KR20190033249A - 글래스 배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글래스 배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249A
KR20190033249A KR1020170121780A KR20170121780A KR20190033249A KR 20190033249 A KR20190033249 A KR 20190033249A KR 1020170121780 A KR1020170121780 A KR 1020170121780A KR 20170121780 A KR20170121780 A KR 20170121780A KR 20190033249 A KR20190033249 A KR 20190033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lass
pattern
antenna pattern
rea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861B1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8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게시된 발명은 차량 내부에 마련된 카메라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의 영향을 감소 시킬 수 있는 글래스 배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 내부에 마련되는 후방 카메라;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가 상기 차량의 외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상기 후방 카메라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의 미엔더 패턴으로 마련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래스 배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GLASS WIRING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글래스 배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다수의 차량이 블랙박스를 장착하고 있으며, 대다수의 블랙박스가 2개의 채널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개의 카메라를 가지고 있다. 후방 카메라는 차량의 리어글라스에 장착되어 차량의 후방 영상 정보를 블랙박스의 본체 즉, 전방 카메라로 전송한다.
이 때, 후방카메라는 전방의 카메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특정 주파수의 디지털 클락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당한 노이즈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노이즈가 차량의 루프에 위치한 통합 안테나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리어글라스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라디오 수신을 위한 안테나 패턴과, 김서림 방지를 위한 열선을 내장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발생 영역을 적절하게 차단하게 되면 자동차의 GPS/통신에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으나, 후방카메라의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블랙박스의 후방카메라에 의한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통신 대역으로의 악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리어글라스 안테나 패턴을 제안한다.
게시된 발명은 차량 내부에 마련된 카메라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의 영향을 감소 시킬 수 있는 글래스 배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 내부에 마련되는 후방 카메라;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가 상기 차량의 외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상기 후방 카메라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의 미엔더 패턴으로 마련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후방 카메라를 중심으로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수평 배선으로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앤더 패턴은, 수평 패턴과 수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평배선 각각에서 형성된 전자기장이 상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앤더 패턴의 수평 패턴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노이즈 신호의 파장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앤더 패턴의 수평 패턴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차량이 수신하는 GPS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 패턴 길이 및 상기 수평 패턴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리어 글래스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노이즈 신호가 상기 차량의 외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적어도 두 개의 미엔더 패턴으로 마련되고,
차량의 전면 유리, 후면 유리, 및 사이드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배선 장치는 차량 내부에 마련되는 후방 카메라;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가 상기 차량의 외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상기 후방 카메라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의 미엔더 패턴으로 마련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후방 카메라를 중심으로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수평배선으로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앤더 패턴은,
수평 패턴과 수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평배선 각각에서 형성된 전자기장이 상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앤더 패턴의 수평 패턴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노이즈 신호의 파장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앤더 패턴의 수평 패턴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차량이 수신하는 GPS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 패턴 길이 및 상기 수평 패턴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리어 글래스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노이즈 신호가 상기 차량의 외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적어도 두 개의 미엔더 패턴으로 마련되고,
차량의 전면 유리, 후면 유리, 및 사이드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배선 장치 및 차량은 차량 내부에 마련된 카메라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의 영향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방의 외관도이다.
도 3는 하나 이상의 배선이 배치된 차량의 개략도이다.
도4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배선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을 구체화한 도면이다.
도6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의 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a)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의 전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b)는 미엔더 패턴의 유무에 따른 안테나 동작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차량(10)의 후방에서 바라본 차량(10) 전면의 내부도이며, 도 3는 하나 이상의 배선(90)이 배치된 차량(1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량(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 차량(10)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 차륜(51, 5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60), 차량(1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 72;도 2 참조), 차량(1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31), 좌방 또는 우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유리(50), 차량(1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후면 유리(39; 도 3 참조), 전면 유리(31)와 전방 사이드 유리(50-1)를 연결하는 A필러(36), 전방 사이드 유리(50-1)와 후방 사이드 유리(50-2)를 연결하는 B필러(37), 후방 사이드 유리(50-2)와 후면 유리(39)를 연결하는 C필러(38), 운전자에게 차량(1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81, 82), 뒷좌석(23, 24; 도 3 참조)과 후면 유리(39) 사이에 마련되는 패키지 트레이(35; 도 4(b) 참조)를 포함한다. 차량 유리는 전면 유리(31), 사이드 유리(50), 및 후면 유리(39)를 포함한다.
차륜(51, 5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5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52)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60)는 본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65; 도 3 참조)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축전기(65; 도 3 참조)는 전원 단자(Vs; 도 3 참조) 및 접지 단자(G; 도 3 참조)를 포함하고, 전원 단자(Vs)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전장 부품에 전압을 공급한다. 접지 단자(G)는 0V의 전위를 갖는다. 전장 부품은 차량(10) 내 장착되는 모든 전기장치 또는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도어(71, 72)는 본체(1)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31)는 본체(1)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 또는 프론트 글래스(front glass)라고도 한다.
사이드 유리(50)는 본체(1)의 좌측 또는 우측에 마련되어 차량(1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 좌방 또는 우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전방에 마련된 사이드 유리(50)를 전방 사이드 유리(50-1), 후방에 마련된 사이드 유리(50)를 후방 사이드 유리(50-2)라 한다.
패키지 트레이(35)는 차량(10)의 뒷좌석(23, 24)과 후면 유리(39) 사이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이드 미러(81, 82)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8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82)를 포함하며, 차량(1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0)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은 에이브이엔(Audio Video Navigation, AVN)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이브이엔 장치(300)는 차량(10) 내 오디오와 멀티미디어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장치를 의미한다.
에이브이엔 장치(300)는 대시보드(32)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33)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10)은 다양한 하나 이상의 전장 부품을 포함한다.
전장 부품은 도 1 내지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전자 또는 전자장치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장 부품은 예를 들어, 축전기(65), 와이어하네스(wire harness), 차량 디스플레이(200), 모터, 센서, 엑튜에이터(actuator), 각종 제어부, 스위치, 보조브레이크등(High Mounted Stop Lamp; HMSL), 사이드 에어백, 리어 커튼,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장 부품은 축전기(65)로부터 전압을 공급 받는다.
와이어하네스는 전장 부품에 전압을 공급하는 배선의 묶음을 의미한다.
배선(90; 도 3 참조)은 차량(10)의 각 전장 부품들을 상호 접속시켜 회로를 구현하는 도선을 의미한다.
도 3를 참조하면, 배선(90)은 차량(10)의 전방에 배치된 메인 배선(90-1), 엔진과 연결되는 엔진 배선(90-2), 축전기(65)와 연결되어 전장 부품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 배선(90-3), 차량(10)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배선을 연결하는 플로어 배선(90-a, 90-b), 운전석(21) 및 조수석(22)에 근접한 도어(71, 72)에 배치되는 프런트 도어 배선(90-5, 90-6), 뒷좌석(23, 24)에 근접한 도어(73, 74)에 배치되는 리어 도어 배선(90-7, 90-8), 운전석(21) 및 조수석(22)에 장착된 전장 부품들을 연결하는 배선(90-4), 뒷좌석(23, 24)에 장착된 전장 부품들을 연결하는 배선(90-9)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배선(90)은 에어백 익스텐션 배선, 트렁크 리드 배선, 테일게이트 배선 등 전장 부품들을 연결하는 다양한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90)은, 후면 유리(39)에 장착되어 김서림을 방지하는 열선 패턴(90-10), 후면 유리(39)에 장착 또는 배치되어 라디오 방송 수신 등을 위해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90-11), 및 후면 유리(39)의 내측으로부터 발생한 잡음을 흡수하는 가드 패턴(90-12)을 포함한다.
"패턴"은 전면 유리(31), 후면 유리(39), 또는 사이드 유리(50)에 인쇄된 도선의 집합을 의미한다. 패턴은 하나의 연선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단선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도선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후면 유리(39)에 마련된 패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잡음은 축전기(65)로부터 발생한 전원 노이즈, 자동차 엔진이 점화했을 때 발생하는 이그니션 노이즈(ignition noise), 운전자가 엑셀레이터를 밟을 때 발생하는 얼터네이터 노이즈(alternator noise), 클리킹(Clicking Noise), 유도 노이즈(induction noise), 히싱 노이즈(Hissing noise), 스위칭 노이즈(Switching noise), 팝 노이즈(pops noise) 등 차량(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잡음을 포함한다.
도4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배선 장치(200)의 외관도이다.
도4(a)는 차량(10)의 후면 유리(39)에 마련된 글래스 배선 장치(200) 즉, 열선 패턴(90-10), 안테나 패턴(90-11), 가드 패턴(90-12)을 차량(10) 외측에서 바라본 외관도이고, 도 4(b)는 차량(10)의 후면 유리(39)에 마련된 열선 패턴(90-10), 안테나 패턴(90-11), 가드 패턴(90-12)을 차량(10) 내측에서 바라본 외관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열선 패턴(90-10)은 전류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후면 유리(39)에 열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후면 유리(39) 상의 액체 상태의 서리가 열로 인해 기화되고, 김서림이 방지된다. 또한, 후면 유리(39)는 본체(1)의 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리어 글래스(rear glass)라고도 한다.
안테나 패턴(90-11)은 후면 유리(39)에 장착되어 전파를 수신한다.
안테나 패턴(90-11)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AM라디오 방송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AM라디오 방송 대역의 전파는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 AM)된 535Hz이상 1605Hz이하의 중파이고, 잡음에 취약하다. 또한, AM라디오 방송 대역의 전파는 콘크리트의 투과율이 낮아서 대도시의 실내에서 전달되기 어렵다. 또한, AM라디오 방송 대역의 전파는 물체의 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특성이 있다.
이하, AM라디오 방송 대역의 전파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안테나 패턴(90-11)은 FM라디오 방송 대역의 전파 등 다양한 전파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안테나 패턴(90-11)은 AM라디오 방송 대역의 전파를 수신하는 패턴과 FM라디오 방송 대역의 전파를 수신하는 패턴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안테나 패턴(90-11)이 후면 유리(39) 상에 마련된 경우, 안테나 패턴(90-11)은 차량(10)의 C필러(38), 패키지 트레이(35) 등 차량(10)의 후면에 마련된 구조물 내 전장 부품 및 배선들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공기 및 차량(10)의 후면 유리(39)는 비전도체이나, 공기 중의 수증기 또는 차량(10)의 후면 유리(39)에 붙은 불순물 등의 요인으로 인해 공기 또는 후면 유리(39)를 매질로 하여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후면 유리에는 카메라(100-1)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100-1)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기어조작 레버등을 이용하여 후진 기어를 입력하면, 차량 후방의 사물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00-1)는 차량이 시동이 오프(Off)된 경우에도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카메라(100-1)는 차량 후방의 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어 안전 운행에 도움을 준다. 앞서 언급한 카메라(100-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AVN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서 카메라(100-1)는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이면 충분하고 제한은 없다. 카메라(100-1)는 후진 주행을 수행하는 경우, 외부로 돌출 될 수 있으며, 후진 주행을 하지 않을 경우 차량의 내부로 삽입 될 수 있다. 한편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100-1)(100-1)는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100-1) 또는 CMOS 컬러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CD 및 CMOS는 모두 카메라(100-1)의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저장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100-1)는 전하 결합 소자를 사용하여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또한, CIS(CMOS Image Sensor)는 CMOS 구조를 가진 저소비, 저전력형의 촬상소자를 의미하며, 디지털 기기의 전자 필름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CCD는 CIS보다 감도가 좋아 차량에 많이 쓰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게시된 발명에서 카메라(100-1)(90)는 위치와 장치에 제한이 없으며, 차량(1)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도움이 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이면 충분하다.
한편, 이러한 카메라(100-1)는 2개의 채널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개를 구비할 수 있다. 차량은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방 카메라(100-1-1)와 전방에 마련되는 전방 카메라(100-1)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카메라(100-1)는 차량의 리어글라스에 장착되어 차량의 후방 영상 정보를 블랙박스의 본체 즉, 전방 카메라(100-2)로 전송할 수 있다.
후방 카메라(100-1)는 전방의 카메라(100-2)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특정 주파수의 디지털 클락을 사용할 수 있다. 후방 카메라(100-1)는 RF주파수 대역대의 노이즈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노이즈가 차량의 루프에 위치한 통합 안테나(A)에 유기되어 차량의 통합 안테나(A)가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한편, 후방 카메라(100-1)는 RF주파수 대역대의 노이즈를 발생 시킬 수 있다.
후방 카메라(100-1)가 발생시키는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본 차량의 후면 유리에 포함된 글래스 배선 장치는 미엔더 패턴(M)을 포함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미엔더(meander) 패턴은 도4에 나타난 것처럼 구형파 형태로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미엔더 패턴(M)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을 구체화한 도면이다.
도5(a)를 참고하면, 안테나 패턴(90-11)은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100-1)를 중심으로 마련된 미엔더 패턴(M)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100-1)는 노이즈를 발생 시킬 수 있는데 안테나 패턴(90-11)에 마련된 미엔더 패턴(M)을 통하여 다른 전자기기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차량에는GPS신호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신호를 수신하는 통합 안테나(A)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100-1)가 발생하는 노이즈는 통합 안테나(A)가 수신하는 신호를 교란시켜 통합 안테나(A)의 수신 감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90-11)은 카메라(100-1)가 발생하는 노이즈가 퍼지는 것을 차단하여 통합 안테나(A)와 같은 전자기기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5(b)에 나타난 안테나 패턴(90-11)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5(b)를 참고하면, 안테나 패턴(90-11)은 미엔더 패턴(M)을 구성하는 수평 패턴(h)과 수직 패턴(v)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엔더 패턴(M)은 차량에 마련된 배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평으로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수평 배선(L)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90-11)은 카메라(100-1)의 위치를 중심으로 점대칭의 미엔더 패턴(M)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5(b)에서는 제한적 개수의 미엔더 패턴(M)을 나타냈지만, 미엔더 패턴(M)의 개수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90-11)은 수평 패턴(h)과 수직 패턴(v)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에 포함된 수평 패턴(h)의 길이는 후방카메라(100-1)가 발생하는 노이즈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차단하고자 하는 주파수에 따라 안테나 패턴(90-11)의 수평 패턴(h)의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마련되는 카메라(100-1)는 RF노이즈를 주로 발생 시키는데, RF노이즈의 주파수는 수 MHz에서 1~2GHz 이하이며, RF노이즈의 파장은 15cm부터 수십 미터까지 가능하다. 실험적으로 이러한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해당 주파수대역대 노이즈 파장의 1/4이하의 수평 패턴(h) 길이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서 발생하는 2GHz대역대의 노이즈는 약 15cm의 파장을 갖으므로 안테나 패턴(90-11)의 수평 패턴(h)을 5cm이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통합 안테나(A)를 이용하여 GPS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GPS주파수 대역은 1570MHz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90-11)의 수평 패턴(h)은 GPS주파수 대역에 최적화 되도록 5cm 이하의 길이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패턴 및 미엔더 패턴(M)의 길이나 형태에 관련된 것은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100-1)의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6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의 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을 참고하면, 도6은 안테나 패턴(90-11)에 미엔더 패턴(M)이 적용된 전후의 노이즈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90-11)에 마련된 미엔더 패턴(M)은 카메라(100-1)가 발생한 노이즈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미엔더 패턴(M)의 수평 패턴(h)은 노이즈 주파수에 대해서 1/4 파장 이하의 길이를 가지므로 전기벽 (electric wall)과 같이 동작하여 노이즈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부에 의한 카메라(100-1)에 의한 노이즈가 차량의 외부로 전파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6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X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Y축은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6은 미엔더 패턴(M) 적용전의 간섭 신호(S1)와 미엔터 패턴 적용후의 간섭 신호(S2)를 나타내고 있다. 전반적으로 미엔더 패턴(M)을 적용한 안테나 패턴(90-11)의 신호의 간섭신호의 세기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GPS대역의 노이즈신호의 세기는 미엔더 패턴(M)을 적용하기 전에는 -5였으나, 미엔더 패턴(M)을 적용하고 -25까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6의 실시예는 GPS대역의 노이스신호에 최적화된 설계이지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차단되는 주파수대역대는 달라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7(a)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90-11)의 전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b)는 미엔더 패턴(M)의 유무에 따른 안테나 동작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7(a)를 참고하면, 도7(a)는 두 개의 수평 배선(L)으로 미엔더 패턴(M)이 구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엔더 패턴(M)은 두 개의 수평 배선(L)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엔더 패턴(M)을 형성하는 수평 배선(L)은 각각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수평 배션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전계가 발생 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90-11)에 미엔더 패턴(M)이 형성되면서 이러한 전계의 변화가 생기면 신호의 간섭에 의해서 안테나 패턴(90-11)의 동작을 제대로 실시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미엔더 패턴(M) 상호간 전류의 방향이 반대로 흘러 전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발생한 전계가 상쇄 될 수 있고, 전계가 상쇄되어 안테나 패턴(90-11)의 안테나 동작에는 변동이 없다.
도7(b)는 안테나 패턴(90-11)에 미엔더 패턴(M)이 형성 전후의 수신하는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미엔더 패턴(M) 형성 전의 수신 신호(S11)와 미엔더 패턴(M) 형성 후의 수신 신호(S22)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즉, 차량에 마련된 배선으로 미엔더 패턴(M)을 형성하여도 전류의 흐름으로 형성된 전계가 상쇄되어 기존의 안테나 패턴(90-11)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의 글래스 배선 장치의 안테나 패턴(90-11)에 미엔더 패턴(M)이 마련되어도 안테나 배턴의 성능은 변화가 없다.
도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8을 참고하면, 상술한 글래스 배선 구조는 차량의 후면 유리 뿐 아니라 차량의 전면 유리, 후면 유리, 및 사이드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후면 유리에 마련된 카메라(100-1)를 중심으로 형성된 미엔더 패턴(M)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나, 도8에 나타난 차량에는 카메라(100-1)의 위치에 상관 없이 상기 노이즈 신호가 상기 차량의 외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차량의 전면 유리, 후면 유리, 및 사이드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도8에 나타난 것 처럼 차량에 마련된 미엔더 패턴(M)은 차량 내부에서 발생한 특정 대역대의 노이즈를 차단하여 노이즈가 차량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미엔더 패턴(M)의 차량의 전면에 마련된 경우, RF 신호 감청, 노이즈에 의한 차량 손괴를 방지할 수 있는 방호 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차량
90-11 : 안테나 패턴
100-1 : 후방 카메라
100-2 : 전방 카메라
200 : 글래스 배선 장치
M : 미엔더 패턴

Claims (16)

  1. 차량 내부에 마련되는 후방 카메라;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가 상기 차량의 외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상기 후방 카메라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의 미엔더 패턴으로 마련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후방 카메라를 중심으로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수평 배선으로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앤더 패턴은,
    수평 패턴과 수직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평배선 각각에서 형성된 전자기장이 상쇄되도록 마련되는 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앤더 패턴의 수평 패턴 길이가 결정되는 차량.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노이즈 신호의 파장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앤더 패턴의 수평 패턴 길이가 결정되는 차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차량이 수신하는 GPS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 패턴 길이 및 상기 수평 패턴 길이가 결정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리어 글래스에 마련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노이즈 신호가 상기 차량의 외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적어도 두 개의 미엔더 패턴으로 마련되고,
    차량의 전면 유리, 후면 유리, 및 사이드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차량.
  9. 차량 내부에 마련되는 후방 카메라;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가 상기 차량의 외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상기 후방 카메라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의 미엔더 패턴으로 마련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글래스 배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후방 카메라를 중심으로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수평배선으로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앤더 패턴은,
    수평 패턴과 수직 패턴을 포함하는 글래스 배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평배선 각각에서 형성된 전자기장이 상쇄되도록 마련되는 글래스 배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앤더 패턴의 수평 패턴 길이가 결정되는 차량.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노이즈 신호의 파장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미앤더 패턴의 수평 패턴 길이가 결정되는 차량.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차량이 수신하는 GPS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 패턴 길이 및 상기 수평 패턴 길이가 결정되는 글래스 배선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리어 글래스에 마련되는 글래스 배선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노이즈 신호가 상기 차량의 외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적어도 두 개의 미엔더 패턴으로 마련되고,
    차량의 전면 유리, 후면 유리, 및 사이드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글래스 배선 장치.
KR1020170121780A 2017-09-21 2017-09-21 글래스 배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410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780A KR102410861B1 (ko) 2017-09-21 2017-09-21 글래스 배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780A KR102410861B1 (ko) 2017-09-21 2017-09-21 글래스 배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249A true KR20190033249A (ko) 2019-03-29
KR102410861B1 KR102410861B1 (ko) 2022-06-21

Family

ID=6589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780A KR102410861B1 (ko) 2017-09-21 2017-09-21 글래스 배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8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380A (ko) * 2007-10-15 2009-04-20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용 유리 안테나
JP2016195299A (ja) * 2015-03-31 2016-11-17 旭硝子株式会社 車両用アンテナ及び車両用アンテナを備えた窓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380A (ko) * 2007-10-15 2009-04-20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용 유리 안테나
JP2016195299A (ja) * 2015-03-31 2016-11-17 旭硝子株式会社 車両用アンテナ及び車両用アンテナを備えた窓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861B1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1004B2 (en)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vehicle
US10131280B2 (en) Vehicular video mirror system
US8026861B2 (en) Shielding device for vehicular electronic components
US6151065A (en) Concealed integrated vehicular camera safety system
CN101327763B (zh) 显示系统和程序
US9210307B2 (en) Vehicular camera system with reduced number of pins and conduits
US7683326B2 (en) Vehicle vision system with high dynamic range
KR100909368B1 (ko) 차량용 후방 감시카메라 설치구조
US8131429B2 (en) Driver observation and security system and method therefor
WO1996009941A1 (en) Conceale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2004312638A (ja) 障害物検知装置
CN109398223A (zh) 车辆用灯及车辆
WO2018221210A1 (ja) カメラユニット及び移動体
US20230078512A1 (en) Overhead console accessory system with shared controls, cameras, and lighting
US11904663B2 (en) Vehicle with an external sun visor and a sensor unit connected thereto
JP2003165336A (ja) 合成樹脂製ドアパネル
JP2008118546A (ja) 車両アンテナ送受信構造
US7380851B2 (en) Covering an equipment module whose wall is provided with a rear vision camera
KR102410861B1 (ko) 글래스 배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1152726B2 (en)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system
EP4293820A1 (en) Antenna assembly, antenna system, and vehicle
CN201633629U (zh) 一种改进的汽车用后视镜
JPH1117595A (ja) 4面ダイバーシティアンテナ装置
JP3609472B2 (ja) 多機能ルームミラー装置
KR101588185B1 (ko) 차량, 차량용 글래스 배선 장치, 및 차랑용 글래스 배선 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