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967A -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967A
KR20190032967A KR1020170121481A KR20170121481A KR20190032967A KR 20190032967 A KR20190032967 A KR 20190032967A KR 1020170121481 A KR1020170121481 A KR 1020170121481A KR 20170121481 A KR20170121481 A KR 20170121481A KR 20190032967 A KR20190032967 A KR 20190032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video
iot
cloud server
contro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507B1 (ko
Inventor
이태숙
권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인
Priority to KR102017012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5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7Implementing a Virtual Machine [V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IoT 기기의 영상 및 음성 정보에 오류가 발생되면 가상화 장치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제공되는 셋톱 박스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며 원격 제어 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에 출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수신하는 가상화 장치가 구비된 셋톱박스; 상기 가상화 장치로부터 합성된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전송받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미디어 장치의 출력 영상 및 음성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며 상기 셋톱 박스를 원격제어하는 관제 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하는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에는 오류 정보가 포함되는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OF SET TOP BOX BASED ON IoT}
본 발명은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IoT(Internet Of Things : 이하 IoT라 함) 기기의 영상 및 음성 정보에 오류가 발생되면 가상화 장치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제공되는 셋톱 박스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며 원격 제어 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뿐만 아니라 호텔이나 콘도 등에서는 숙박을 하는 고객들이 편하게 쉴 수 있도록 다양한 편의 시설들이 배치된다. 그 중에서도 각 방에 설치된 편의 시설들은 고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기기들이 다수 배치된다. 이렇게 각 방에 배치되는 것들 중 최근 디지털 방송이나 주문형 비디오(VOD), 네트워크 게임 등 TV를 통해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하도록 TV 옆에는 셋톱박스가 설치된다.
셋톱박스는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TV 측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인터넷망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랜(LAN)과 연결되어 인터넷망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TV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측으로 출력하는 기술이 셋톱박스에 추가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즉, 셋톱박스를 분류하자면 디지털 TV 방송을 아날로그 TV 또는 HDTV(High Definition TV)를 통해 수신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인 디지털 셋톱과, TV를 통한 인터넷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인 인터넷 셋톱 등이 있다. 이러한 인터넷 셋톱 박스는 통합 제어기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셋톱박스에 IoT(Internet of Things) 허브를 탑재함으로써 가정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IoT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역할을 하는 셋톱 박스가 가정 내에서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면 고객의 요청에 의해 셋톱 박스 관리자가 원격 또는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문제를 처리하고 있다.
다만, 현재 원격으로 셋톱박스를 관리하는 기술은 관리자측에서 셋톱박스에 연결된 TV 등의 화면 오류가 발생하면 고객의 셋톱박스 설정 조작 등을 안내하는 등 그 조치가 제한적이다. 또한, 셋톱박스와 같은 동영상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는 동영상과 시스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영역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문제된 동영상의 일 정지화면이 원격으로 관리자에게 전송될 뿐이므로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문제된 동영상을 보며 셋톱박스를 제어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관리자가 원격으로도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면 직접 가정을 방문하게 되므로 고객의 입장에서 비용 증가의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TV를 포함한 IoT 기기 등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을 가상화 장치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IoT 기기에 연결된 셋톱박스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발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에 출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수신하는 가상화 장치가 구비된 셋톱박스; 상기 가상화 장치로부터 합성된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전송받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미디어 장치의 출력 영상 및 음성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며 상기 셋톱 박스를 원격제어하는 관제 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하는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에는 오류 정보가 포함되는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화 장치는 상기 관제 센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미디어 장치의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개별적으로 수신한다.
또한, 상기 관제 센터의 제어 장치의 화면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출력된 화면 및 상기 셋톱 박스를 제어하는 가상 리모컨 화면이 표시된다. 이러한 관제 센터의 제어 장치에 표시된 화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미디어 장치로 전송된다.
상기 관제 센터가 조작하는 가상 리모컨의 조작 신호가 상기 사용자 미디어 장치의 화면에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관제 센터와 사용자가 동일한 화면을 보며 상기 관제 센터의 원격 제어 상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셋톱 박스의 가상화 장치가 사용자 미디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오류 정보가 있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관제 센터가 사용자 미디어 장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제 센터의 제어 장치 화면이 사용자 미디어 장치의 화면에 전송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관제 센터의 원격 제어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데이터 및 제어 신호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셋톱 박스 기반의 IoT 원격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 기반의 IoT 원격 제어 시스템은 관리자가 미디어 출력장치의 화면을 보며 셋톱 박스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화 서버인 클라우드 서버, 셋톱박스 및 사용자 미디어 장치 및 관제 센터를 포함한다.
상기 셋톱박스는 디지털 방송 사용자가 송출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다중 송신으로 압축한 후 이를 변조해 사용자 미디어 장치로 송신하는 장치로서,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CPU, 그래픽카드용 칩인 GPU(Graphics Controller), 상기 사용자 미디어 장치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송출하는 입출력부 및 가상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화 장치는 미디어 출력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 또는 동영상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때, 상기 가상화 장치는 미디어 장치로부터 영상 및 음성 신호를 개별적으로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미디어 장치의 출력 화면에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셋톱 박스는 가상화 장치를 통해 상기 출력 화면에 발생된 셋톱박스의 오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가상화 장치가 수신한 상기 오류 정보를 포함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관제 센터에 전송한다.
상기 관제 센터의 제어 장치의 화면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신호에 따라 출력된 화면 및 상기 셋톱 박스를 제어하는 리모컨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제어 장치의 스피커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신호에 따라 음성이 출력된다.
상기 관제 센터의 제어 장치에 표시된 화면 정보의 신호는 관제 센터와 셋톱 박스 간에 연결된 통신망에 의해 셋톱박스로 전송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미디어 장치의 화면에는 관제 센터의 제어 장치와 동일한 화면이 표시된다. 즉, 관제 센터와 사용자는 동일한 화면을 보며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관제 센터가 조작하는 리모컨의 조작 신호가 상기 사용자 미디어 장치의 화면에 출력되며, 사용자는 사용자 미디어 장치에 출력되는 화면을 통해 관제 센터의 제어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사용자 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에 출력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수신하는 가상화 장치가 구비된 셋톱박스;
    상기 가상화 장치로부터 합성된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전송받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미디어 장치의 출력 영상 및 음성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며 상기 셋톱 박스를 원격제어하는 관제 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하는 상기 비디오/오디오 신호에는 오류 정보가 포함되는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 장치는 상기 관제 센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미디어 장치의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개별적으로 수신하여 합성하는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센터의 제어 장치의 화면에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출력된 화면 및 상기 셋톱 박스를 제어하는 가상 리모컨 화면이 표시되는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센터의 제어 장치에 표시된 화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미디어 장치로 전송되는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센터와 사용자가 동일한 화면을 보며 상기 관제 센터의 원격 제어 상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센터가 조작하는 가상 리모컨의 조작 신호가 상기 사용자 미디어 장치의 화면에 출력되는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170121481A 2017-09-20 2017-09-20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450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481A KR102450507B1 (ko) 2017-09-20 2017-09-20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481A KR102450507B1 (ko) 2017-09-20 2017-09-20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967A true KR20190032967A (ko) 2019-03-28
KR102450507B1 KR102450507B1 (ko) 2022-10-05

Family

ID=6590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481A KR102450507B1 (ko) 2017-09-20 2017-09-20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296A (ko)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큐버 Mqtt 기반의 디바이스 기능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802B1 (ko) * 2011-06-28 2012-04-18 주식회사 엔트로피테크 Pip 제어 가능한 iptv용 셋톱박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0292A (ko) * 2014-06-24 2016-01-0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KR20170097377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케이티 원격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버, 셋톱 박스 및 클라우드 서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802B1 (ko) * 2011-06-28 2012-04-18 주식회사 엔트로피테크 Pip 제어 가능한 iptv용 셋톱박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0292A (ko) * 2014-06-24 2016-01-0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KR20170097377A (ko) * 2016-02-18 2017-08-28 주식회사 케이티 원격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서버, 셋톱 박스 및 클라우드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296A (ko)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큐버 Mqtt 기반의 디바이스 기능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507B1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0939B2 (en) Virtual desktop services with available applications customized according to user type
AU2011315950B2 (en) Streaming digital video between video devices using a cable television system
US10805675B2 (en) Remote viewing of multimedia content
US20120030712A1 (en) Network-integrated remote control with voice activation
KR102225765B1 (ko) 하드웨어 수단으로 비디오 처리를 위한 내장 시스템
US20130138726A1 (en)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display device thereof
JP2008236773A5 (ko)
US20200228851A1 (en) Atsc 3.0 advertising notification using event streams
US201101918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Computer and Entertainment Information
US9865273B2 (en) Tangible multimedia content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KR102450507B1 (ko)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US20150032900A1 (en) System for seamlessly switching between a cloud-rendered application and a full-screen video sourced from a content server
KR20110003345A (ko) 모니터링 성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서버 방법 및 장치
KR20230161804A (ko) 아바타를 이용한 메타버스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US9681193B2 (en) Locally controllable interactive game system and methods of creating the same
US20120200780A1 (en) Systems, methods, and operation for networked video control room
KR20180037083A (ko) 외부 비디오/오디오 신호 입력과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갖춘 양방향 광고 및 시청률 조사 플랫폼 디지털 미디어 허브 디바이스 및 그 방법
WO2013113043A1 (en) System for seamlessly switching between a cloud-rendered application and a full-screen video sourced from a content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