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92A -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92A
KR20160000292A KR1020140077491A KR20140077491A KR20160000292A KR 20160000292 A KR20160000292 A KR 20160000292A KR 1020140077491 A KR1020140077491 A KR 1020140077491A KR 20140077491 A KR20140077491 A KR 20140077491A KR 20160000292 A KR20160000292 A KR 2016000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menu screen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봉
이정훈
류세현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7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292A/ko
Priority to PCT/KR2014/012750 priority patent/WO2015199301A1/ko
Priority to US15/321,840 priority patent/US11445101B2/en
Publication of KR2016000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92A/ko
Priority to KR1020210091031A priority patent/KR102444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영상처리장치 원격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영상처리장치에서 인접한 휴대용단말기를 검색하여 페어링하는 단계; 페어링된 휴대용단말기에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화면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한 상기 화면상태정보를 기초로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페어링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메뉴화면의 기능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원격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영상처리장치의 원격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NVR(network video recorder), DVR(digital video recorder), SETTOP BOX 등을 포함하는 영상처리 장치는 OSD(On Screen Display) 내지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지원한다.
그러나, NVR, DVR, SETTOP BOX 등의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은 모니터 화면의 해상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또한, 해상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GUI 메뉴화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미지들을 포함할 경우 영상처리장치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용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상처리장치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GUI를 새롭게 개발하고, 개발된 GUI의 오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등의 개발 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KR20110098468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영상처리장치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를 변경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별도의 구동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원격에서 영상처리장치를 제어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원격제어시스템은 특정 영역의 감시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에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상 각각에 상기 감시 영상을 식별하는 채널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상처리장치;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에서 전송하는 화면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수신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메뉴화면의 기능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용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메뉴화면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화면상태,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실시간 출력 상태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화면 분할 모드 정보, 상기 소스단말기의 PTZ(Pent-Tilt-Zoom)지원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오디오 출력 상태 정보, 시간 정보, 녹화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면상태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영상처리장치 원격제어방법은 영상처리장치에서 인접한 휴대용단말기를 검색하여 페어링하는 단계; 페어링된 휴대용단말기에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화면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한 상기 화면상태정보를 기초로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페어링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메뉴화면의 기능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휴대용단말기는 영상처리장치에서 전송하는 화면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화면상태정보를 기초로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메뉴화면생성부;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수신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메뉴화면의 기능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원격제어부;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메뉴화면생성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화면상태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실시간 출력 상태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화면 분할 모드 정보, 상기 소스단말기의 PTZ(Pent-Tilt-Zoom)지원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오디오 출력 상태 정보, 시간 정보, 녹화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면상태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영상처리장치의 화면상태정보를 제어하는 기능을 원격의 휴대용단말기에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처리장치와 근접한 거리에 있지 못한 경우에도 영상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원격제어시스템의 시스템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예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휴대용단말기에 구현된 메뉴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120, 121, 122), 영상처리장치(110), 휴대용단말기(130)을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에서 휴대용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영상처리장치(110)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원격제어시스템의 시스템도를 도시한다.
원격제어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120, 121, 122), 영상처리장치(110), 휴대용단말기(130)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120, 121, 122) 각각은 특정 영역을 감시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처리장치(110)로 영상을 전송한다. 주의할 것은 소스단말기(120, 121, 122)는 텍스트를 통한 입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생성된 콘텐츠를 영상처리장치(110)로 전송한다.
영상처리장치(1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120, 121, 122)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의 예로는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맥스(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모두 포함한다.
영상처리장치(110)의 예로는 NVR(network video recorder), DVR(digital video recorder), 셋톱박스(set top box),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디지털 티브이(digital television), 미디어 프로젝터(media projector), 휴대형 장치(handhele device), 가전 장치(consumer electronics device) 등이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120, 121, 122)의 예로는 네트워크 카메라, 휴대폰, 카메라,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며, 멀티미디어 처리 및 재생을 지원하는 씬 단말기를 모두 포함한다.
영상처리장치(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120, 121, 122)에서 전송하는 영상 또는 콘텐츠를 수신한다. 콘텐츠는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등을 모두 포함한다. 영상처리장치(110)는 각 소스단말기(120, 121, 122)에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영상 또는 콘텐츠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네트워크카메라(120) 에서 전송되는 영상에 제 1 채널이라는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제 2 네트워크카메라(121)에서 전송되는 영상에 제 2 채널이라는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110)는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또는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영상처리장치(110)에 내장되어 있거나 또는 영상처리장치(11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장치(110)는 화면분할 기능을 지원한다. 도 2 는 영상처리장치(110)에서 16화면을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도 3 은 영상처리장치에서 9화면을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영상처리장치(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120, 121, 122)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120, 121, 122) 중 특정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만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영상처리장치(110)는 소스단말기(120, 121, 122)에서 수신한 영상 또는 콘텐츠를 각각 분할된 화면(도 2의 200, 도 3의 3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된 화면의 일 영역(210)에 3번 NVR 소스단말기부터 16번 NVR 소스단말기에서 전송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화면의 또 다른 영역(220)에 17번 NVR 소스단말기부터 32번 NVR 소스단말기에서 전송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120, 121, 122)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에 대한 화면상태정보를 인접한 휴대용단말기(130)에 전송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영상처리장치(110)는 와이파이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이나 블루투스 기술을 활용하여 인접한 휴대용단말기(130)를 검색하고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페어링(paring)을 수행한다. 영상처리장치(110)와 휴대용단말기(130)간에 페어링이 끊어지면 휴대용단말기(130)는 잠금 상태로 변경된다. 페어링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에만 휴대용단말기(130)는 등록된 사용자로 로그인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페어링 단계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페어링이 수행되면, 영상처리장치(110)는 현재 화면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상태정보를 휴대용단말기(130)에 전송한다. 휴대용단말기(130)는 영상처리장치(110)에서 전송하는 화면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영상처리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메뉴화면을 생성한다.
화면상태정보는 영상처리장치(110) 상태 정보, 영상처리장치(110) 동작 정보 및 영상처리장치(110) 설정정보를 포함한다.
영상처리장치(110) 상태 정보의 일 예로는 Live, Playback, Split view, channel 등이 있다. Live는 영상처리장치(110)에서 소스 단말기(120, 121, 122)로부터 수신한 영상 또는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Playback은 영상처리장치(110)에서 소스 단말기(120, 121, 122)로부터 수신한 녹화영상을 재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Split view 는 영상처리장치(110)의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개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channel은 영상처리장치(110)에서 선택한 영상 또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단말기(120, 121, 122)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영상처리장치(110) 동작 정보 및 영상처리장치(110) 설정정보의 예로는 화면 출력 채널의 상태정보, 영상 프로파일 정보, 시간 정보, PTZ 정보, 녹화 상태 정보, 영상처리장치의 오디오 출력 상태 정보, 사용 가능한 메뉴 정보 등이 있다.
화면 출력 채널의 상태정보는 Video Loss,Disconnect, Connect,Video,Freeze,Play,Pause, Speed 등이 있다. 영상 프로파일 정보는 Resolution, Framerate, Bitrate, Codec, Quality 등을 포함한다. PTZ 정보는 Pen, Tilt, Zoom 이 실행가능한지 여부와 디스플레이 내에서 PTZ 가 수행되는 영역 정보 등을 포함한다. 녹화 상태 정보는 Full Frame Recording, I-Frame Filter Rec, Stop, Disk Full Stop 등을 포함한다.
메뉴화면의 일 예는 도 4 를 참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휴대용단말기(130)는 수신한 화면상태정보를 기초로 도 4에 도시된 메뉴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뉴화면은 휴대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OSD(On Screen Display)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휴대용단말기(130)에서는 화면상태정보를 수신하면, 화면상태정보를 수신하였다는 알람 또는 메시지가 휴대용단말기(130)에 팝업되면서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겠냐는 안내메시지를 띄우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휴대용단말기(130)에 앱(application)이나 WEB 의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메뉴화면(4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메뉴화면(400)에 도시된 각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채널 1의 밝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채널을 선택하고(401), 밝기를 조절하는 메뉴 모드(410)를 선택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30)의 메뉴화면(400)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은 휴대용 단말기(130)를 통해 영상처리장치(110)로 전달된다. 일 예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30)의 메뉴화면(400)을 통해 채널 1의 밝기를 2단계 밝게 조절한 경우, 영상처리장치(110)에서 재생되고 있는 채널 1의 밝기가 2단계 밝게 조절된다.
즉, 사용자가 메뉴화면(400)을 통해 선택한 기능에 따라 영상처리장치(110)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을 제어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뉴화면(400)을 통해 영상처리장치(100)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면분할 모드를 변경하거나 PTZ 기능 적용, 영상 출력 채널 위치 변경, 오디오 출력 제어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메뉴화면(400)을 통해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는 인터페이스를 지원함으로써, 영상처리장치(110)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을 적합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만 표시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NVR 영상처리장치의 일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VR 시스템의 전원이 연결되고, 시스템이 시작되면 설치 환경에 필요한 언어, 날짜, 시간, 네트워크 설정, 로그인 ID/PWD 를 설정하는 등의 기본 시스템 설정이 요구될 수 있다. 이 경우, NVR 영상처리장치에서는 근접한 휴대용단말기를 검색하고 인증과정을 거쳐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화면을 통해 NVR영상처리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 카메라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휴대용단말기에서 수신할 수 있다.
이 후, 휴대용단말기에서는 NVR영상처리장치에 연결된 네트워크 카메라 중 특정 네트워크카메라를 선택하고, 해당 네트워크카메라의 Preview 를 보기 원하는 경우 휴대용단말기에 구현된 메뉴화면(400)을 통해 영상을 요청하면, 영상처리장치(110)에서 해당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휴대용단말기(110)에 영상을 전달하거나 또는 영상처리장치(110)의 디스플레이에서 직접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처리장치(110)에서 설정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도, 휴대용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영상을 감시하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영상처리장치(110)에서 실시간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경우, 휴대용단말기(130)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영상의 분할모드를 9화면에서 12화면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2화면에서 단일화면으로 변경하는 등과 같이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휴대용 단말기(130)에 구현되는 메뉴화면(400)은 영상처리장치(110)에서 전송되는 화면상태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생성되고, 또한 현재 출력되는 영상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30)에 구현되는 메뉴화면(400)은 영상처리장치(110)에서 생성되는 메뉴화면(도 5, 510)과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메뉴화면(400)은 사용자가 휴대용단말기(130)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추가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뉴화면(400)에 사용자 입력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휴대용단말기(130)의 키보드, 자판, 키패드 등을 통해 입력하는 텍스트, 휴대용단말기(130)에서 촬영된 영상, 휴대용단말기(130)에서 녹음한 오디오 텍스트 등을 영상처리장치(110)에서 표시되는 영상 또는 콘텐츠에 부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30)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30)에서 지원하는 멀티터치, 센서 기능 등을 이용하여, 영상처리장치(110)에서 표시되는 영상 또는 콘텐츠를 원격으로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영상처리장치(110)는 현재 화면을 휴대용단말기(130)에 그대로 미러링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영상처리장치(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120, 121, 122)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영상처리장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 디스플레이 상에 영상처리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화면을 띄우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영상의 일 부분을 가리게 되고, 사용자가 직접 영상처리장치와 인접한 거리에서 영상처리장치를 제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도 6과 같이 영상처리장치에 영상만을 띄우고, 제어를 수행하는 메뉴화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단말기에서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처리장치와 떨어진 거리에서도 영상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영상처리장치에서도 영상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메뉴화면을 띄운 상태에서도 동시에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휴대용단말기에 메뉴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생성된 메뉴화면은 영상처리장치에 생성된 메뉴화면과 독립적으로 생성되도록 구현된다.
도 7 내지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120, 121, 122), 영상처리장치(110), 휴대용단말기(130)을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에서 휴대용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영상처리장치(110)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영상처리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소스 단말기(120, 121, 122)로부터 영상 또는 콘텐츠를 수신한다(S810). 영상처리장치(110)는 인접한 휴대용단말기(130)를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페어링을 실행한다(S710).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영상처리장치(110)는 휴대용단말기(130)에 영상처리장치(110)에서는 영상처리장치(110)의 화면상태정보(S820)를 전송한다(S720). 휴대용단말기(130)에서는 수신한 화면상태정보(S820)를 기초로 도 4의 일 예시와 같은 메뉴화면을 생성한다(S730, S830).
이 후, 휴대용단말기(130)에서는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S740, S840). 사용자는 영상처리장치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용단말기(130)의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화면을 제어하고자 하는 Action(S850)을 휴대용단말기(130)의 메뉴화면을 통해 입력한 경우, 휴대용단말기(130)는 해당 화면제어 신호를 영상처리장치(110)로 전달한다.
영상처리장치(110)는 휴대용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 화면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처리장치(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콘텐츠를 제어한다(S750, S850). 이 경우 예를 들어, pen, tilt, zoom 과 같이 추가적으로 소스단말기(120, 121, 122)의 제어가 요구되는 Action의 경우, 영상처리장치(110)에서 소스단말기(120, 121, 122)로 해당 제어신호를 전달한다(S860).
본 방법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특정 영역의 감시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에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상 각각에 상기 감시 영상을 식별하는 채널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상처리장치;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에서 전송하는 화면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수신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메뉴화면의 기능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용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메뉴화면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화면상태,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실시간 출력 상태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화면 분할 모드 정보, 상기 소스단말기의 PTZ(Pent-Tilt-Zoom)지원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오디오 출력 상태 정보, 시간 정보, 녹화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면상태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메뉴화면은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OSD(On Screen Display)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와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와이파이디렉트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페어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분할된 화면 중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는 분할화면이 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단말기를 통해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시스템.
  5. 영상처리장치에서 인접한 휴대용단말기를 검색하여 페어링하는 단계;
    페어링된 휴대용단말기에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화면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한 상기 화면상태정보를 기초로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페어링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메뉴화면의 기능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영상처리장치 원격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로부터 콘텐츠를 입력으로 수신하고, 상기 영상처리장치에서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디스플레이에 상기 콘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콘텐츠가 복수개인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상태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실시간 출력 상태 정보, 화면 분할 모드 정보, 상기 소스단말기의 PTZ(Pent-Tilt-Zoom)지원 정보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오디오 출력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상태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재생 영상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영상의 실시간 출력 상태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영상을 전송한 소스단말기 채널정보, 화면 분할 모드 정보, 상기 소스단말기의 PTZ(Pent-Tilt-Zoom)지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화면은
    상기 페어링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OSD(On Screen Display)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10. 제 5 항에 잇어서,
    상기 페어링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메뉴화면의 기능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메뉴화면은 PTZ 제어모드, 화면분할모드 모드, 오디오출력 모드, 콘텐츠 출력 위치 변경 모드, 사용자 입력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페어링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는 입력이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입력되고, 상기 입력은 문자, 음성,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상기 PTZ제어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페어링된 휴대폰 단말기는 상기 영상처리장치 디스플레이의 화면 일부 또는 전체 화면을 PTZ제어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와이파이디렉트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인접한 휴대용단말기를 검색하여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14. 영상처리장치에서 전송하는 화면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화면상태정보를 기초로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메뉴화면생성부;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메뉴화면을 통해 수신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메뉴화면의 기능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원격제어부;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메뉴화면생성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화면상태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실시간 출력 상태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화면 분할 모드 정보, 상기 소스단말기의 PTZ(Pent-Tilt-Zoom)지원 정보,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오디오 출력 상태 정보, 시간 정보, 녹화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화면상태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휴대용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와이파이디렉트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처리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특정 영역의 감시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소스단말기에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영상 각각에 상기 감시 영상을 식별하는 채널 번호를 부여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KR1020140077491A 2014-06-24 2014-06-24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KR20160000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91A KR20160000292A (ko) 2014-06-24 2014-06-24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PCT/KR2014/012750 WO2015199301A1 (ko) 2014-06-24 2014-12-24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US15/321,840 US11445101B2 (en) 2014-06-24 2014-12-24 Remote control method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KR1020210091031A KR102444603B1 (ko) 2014-06-24 2021-07-12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91A KR20160000292A (ko) 2014-06-24 2014-06-24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031A Division KR102444603B1 (ko) 2014-06-24 2021-07-12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92A true KR20160000292A (ko) 2016-01-04

Family

ID=549383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491A KR20160000292A (ko) 2014-06-24 2014-06-24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KR1020210091031A KR102444603B1 (ko) 2014-06-24 2021-07-12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031A KR102444603B1 (ko) 2014-06-24 2021-07-12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45101B2 (ko)
KR (2) KR20160000292A (ko)
WO (1) WO20151993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967A (ko) *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큐인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WO2022039284A1 (ko) * 2020-08-19 2022-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9958B1 (en) * 2015-07-17 2018-12-11 Bao Tra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assisted operation
CN206835272U (zh) * 2017-04-26 2018-01-02 X·M·蔡 基于无线网络通信的免布线安全监控系统
US10469806B2 (en) * 2017-04-26 2019-11-05 Xing Mike Cai Lighting device with low voltage power output ports and surveillance and lighting system having same
CN108259824A (zh) * 2017-12-29 2018-07-06 金螳螂家装电子商务(苏州)有限公司 一种应用于家装工地实时监控的唯一性信息传输方法
WO2023219921A1 (en) * 2022-05-10 2023-11-16 Google Llc External application stream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8468A (ko) 2010-02-26 2011-09-01 (주)엠비텍 홈네트워크 장치의 연동제어용 nvr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7252B2 (en) 2002-12-26 2012-02-14 Schaff Glen D Video-monitor/recording/playback system
JP4792247B2 (ja) * 2005-06-29 2011-10-12 Omo株式会社 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の視聴方法
US8659400B2 (en) 2006-09-05 2014-02-2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US8035686B2 (en) * 2007-06-15 2011-10-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TB/DVR video surveillance
KR100853959B1 (ko) * 2007-06-19 2008-08-25 주식회사 씨앤비텍 아이피티브이망을 이용한 다채널 영상의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US8599315B2 (en) * 2007-07-25 2013-12-03 Silicon Image, Inc. On screen displays associated with remote video source devices
US20120044354A1 (en) * 2010-08-22 2012-02-23 Fred Cheng Versatile dual mode wireless camera hotspot device
KR101205691B1 (ko) * 2011-01-19 2012-11-28 주식회사 아이디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관리 시스템
KR101190120B1 (ko) 2011-02-28 2012-10-11 주식회사 인투텍 공유기 특성과 3g 기능을 가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220884B1 (ko) 2011-05-02 2013-01-15 (주)스마트모션 스마트폰을 이용한 멀티 관제 시스템
US8781293B2 (en) * 2012-08-20 2014-07-15 Gorilla Technology Inc. Correction method for object linking across video sequences in a multiple camera video surveillance system
KR101393260B1 (ko) * 2012-10-15 2014-05-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ip 서비스 지원시스템, p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pip 서비스 지원방법
KR101562297B1 (ko) * 2014-01-22 2015-10-30 주식회사 아이디스 Nvr 장치의 자원 사용을 최소화한 영상 스트리밍 시스템
JP6357023B2 (ja) * 2014-06-06 2018-07-11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849365B1 (ko) * 2014-11-05 2018-04-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70691B1 (ko) * 2014-12-18 2020-10-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 감시용 기록 장치, 및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8468A (ko) 2010-02-26 2011-09-01 (주)엠비텍 홈네트워크 장치의 연동제어용 nvr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967A (ko) *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큐인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WO2022039284A1 (ko) * 2020-08-19 2022-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301A1 (ko) 2015-12-30
US20170134635A1 (en) 2017-05-11
KR20210091086A (ko) 2021-07-21
US11445101B2 (en) 2022-09-13
KR102444603B1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603B1 (ko)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및 원격제어시스템
US9654563B2 (en) Virtual remote functionality
KR102023609B1 (ko) 컨텐트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1065689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80073228A (ko) Rtp/rtsp 표준을 따르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에서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방법
US8412839B2 (en) Portable phone remote
US201200729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mless viewing
US8978070B2 (en) Content output system,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content output apparatus, and cont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6385429B2 (ja) ストリーム・メディア・データを再生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6994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data management for camera systems
US20170223109A1 (en) Virtual Remote Functionality
JP2013110472A (ja) 再生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機器選択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7501598A5 (ko)
CN103369387A (zh) 处理服务的设备及其方法
KR20150145228A (ko) 정보 처리 장치, 콘텐츠 요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100140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media consumption environment based on changes in status of an object
KR101311463B1 (ko) 원격 영상정보 제공시스템
JP2014082722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KR101990866B1 (ko)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470234B2 (en) Wireless camera and method of video streaming
EP2012534A1 (en) Broadcast scheduling metho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60050242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laying streaming media data
KR102206235B1 (ko) 네트워크카메라 대쉬보드
US20230209102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1800489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home security system to alert a user about a media ev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78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712

Effective date: 2022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