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345A - 모니터링 성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서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링 성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서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345A
KR20110003345A KR1020107023490A KR20107023490A KR20110003345A KR 20110003345 A KR20110003345 A KR 20110003345A KR 1020107023490 A KR1020107023490 A KR 1020107023490A KR 20107023490 A KR20107023490 A KR 20107023490A KR 20110003345 A KR20110003345 A KR 20110003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user input
video
program cont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패트릭 뉴베리
데이비드 존 위버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1000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서버 장치 및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 및 방법들은 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나타나는 콘텐츠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다.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절한 인가 정보가 제공될 때, 주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장치는 각 원격 디바이스의 특징 또는 성능에 따라 제공된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을 추가로 스케일링(scaling) 또는 사이징(sizing) 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링 성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서버 방법 및 장치{DISPLAY SERVER METHOD AND APPARATUS WITH MONITORING CAPABILITY}
본 출원은 2008년 4월 25일 미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일련 번호 61/125587로 할당된, 가 출원으로부터 생긴 모든 권리 및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다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서버 장치 및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다양한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시청 디바이스(viewing device)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셋톱박스(set top box)의 형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단일 디스플레이 서버를 사용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장치 및 방법은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서 나타나는 콘텐츠의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모니터링을 허용한다. 본 방법 및 관련된 장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요구되거나 다른 것들에 의해 시청되고 있는 콘텐츠의 모니터링이 바람직한 가정, 교육상의, 또는 비지니스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이 섹션은 독자들에게 아래에 서술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에 관련될 수 있는 기술의 다양한 양상을 소개되도록 의도된다. 본 논의는 독자들에게 본 발명으로부터 다양한 양상의 더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러한 서술들이 종래 기술의 용인으로서가 아닌 이러한 관점으로 읽혀져야 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수의 케이블, 위성, 디지털 지상파(digital terrestrial), 및 IP 기반 텔레비전 분배 시스템은 수신 위치에서 셋톱박스의 사용을 요구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특정 신호에 동조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복호화 회로 및 다른 성능을 포함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일반적으로 단일 직접 연결된 디스플레이(directly-connected display)를 구동하는 성능을 제공한다. 일찍이 미국 셋톱박스는 동조된 케이블 텔레비전 채널을 특정 VHF 채널 상의 텔레비전에 제공하기 위해 동축 연결을 사용하였다. 더욱 최근의 셋톱박스들은 컴퍼지트(composite), 컴퍼넌트(component), 스카트(SCART), DVI, 또는 HDMI 연결에 걸쳐서 동조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연결 박스로부터 디스플레이로의 비디오 무선 전송은 벽걸이용 텔레비전 패널로 라우팅 케이블에서의 문제를 주로 다루기 위해 일부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하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의 셋톱박스는 여전히 종래의 케이블링(cabling)을 거쳐서 연결박스로 연결된다.
전형적으로 셋톱박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에 일대일 관계가 존재한다.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가정 또는 다른 환경에서, 다양한 셋톱박스들이 요구되고, 각 셋톱박스는 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더욱 최근의 셋톱박스들이 다수의 동조기(tuner)를 포함하지만 이는, 다른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면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레코딩(recording) 하는 목적을 위해 또는 화면 내 화면(picture-in-picture) 모드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고,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함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의 연결은 디스플레이에 대한 셋톱박스의 일대일 관계로써, 여전히 직접,짧은 거리, 비디오 특정 케이블링을 통하여 된다.
이러한 일대일 배열은 높은 정도의 장비 및 셋업(setup) 반복성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에 관하여, 각 셋톱박스는 셋톱박스의 하우징(housing), 전력 공급 장치, 처리기, 동조기, 복호화기, 저장소, 및 전면 패널 디스플레이 및 제어를 요구한다. 셋업에 대하여, 각 셋톱박스는 선호하는 채널 선택, 프로그램 가이드 선호도, 및 시청 규제(parental control)와 같은 세팅으로써 개별적으로 프로그램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대일 셋톱박스 관계는 이용가능할 수 있는 특징들로서 특히 다양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관한 특징들을 제한한다. 셋톱박스들이 각각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신호를 제공하지만, 몇몇 셋톱박스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예외는 일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이용가능한 멀티룸(multi-room)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DVR: digital video recorder)이다. 이러한 기술로써, 제 2 위치의 셋톱박스는 주 셋톱 박스 상에서 저장된 콘텐츠를 접근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여전히 위에 서술된 하드웨어 및 세트업 반복성 결과를 겪는다. 더욱이, 이러한 시스템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시청자가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모니터링 하는 능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서술된 본 발명은 이러한 것 및/또는 다른 문제점을 언급한다.
위에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허가함과 동시에, 비디오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 비디오 콘텐츠를 다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장치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양상들은 첨부 도면에 관하여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제 1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1 비디오 신호의 생성 단계;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를 제 1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 제 2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2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비디오 신호를 제 2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프로그램 콘텐츠 및 상기 제 2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3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1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한정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라, 본 방법은 다음의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인가(authorization) 정보를 위한 요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인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가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제 1 출력단과, 제 2 출력단 각각은 DVI, HDMI,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스카트(SCART), HD15, 컴퍼지트, S-비디오(S-video), 또는 컴퍼넌트 비디오 출력단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제 1 비디오 신호 및 제 2 비디오 신호는 연관된 오디오 신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사용자 입력은 적외선 또는 RF 신호를 통하여 수신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사용자 입력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제 1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1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를 제 1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수단, 제 2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2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제 2 비디오 신호를 제 2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수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프로그램 콘텐츠 및 상기 제 2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3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1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제 1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1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를 제 1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 제 2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2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비디오 신호를 제 2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 제 3 프로그램 콘텐츠를 위한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에 대하여, 제 3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3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2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들 및 다른 양상들은 첨부 도면에서 도시되는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음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특징과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 및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식은 더욱 명백해질 것이고, 본 발명은 더욱 이해하기 쉬워질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서 서술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상들을 구체화하는 시스템 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블록도.
본 개시내용에서 상설된 예시들은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이러한 예시들은 어떠한 방식으로든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서술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허용함과 동시에, 비디오 콘텐츠를 수신하고, 비디오 콘텐츠를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서버 장치 및 관련된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서버는 개별적인 프레임 버퍼(frame buffer)를 가진 서버로부터 다루어 지는 다양한 UI 스크린을 포함하고, 원격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는 진보된 특징과, 원격 디바이스가 패스워드를 통하여 로그인하는 능력을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과 동시에, 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능력,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동시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능력, 수신 디바이스를 적합하게 하기 위한 콘텐츠의 크기와 해상도를 조절하는 능력, 일반 비디오, 웹 페이지, 또는 엔코딩된 비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능력, 및 원격 디바이스로부터 원격 제어 입력을 수신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선호되는 설계를 갖는 것으로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개시 내용의 취지 및 범위 내에서 추가로 수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은 일반적인 원리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동, 사용, 또는 적응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본 출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공지되거나 일반적인 실시예에 포함되고 첨부되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 드는 본 개시내용으로부터의 이러한 이탈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100)의 양상을 구체화하는 시스템의 실시예인 도면이 도 1에 도시되었다. 디스플레이 서버(150)는 연결(115)을 통하여 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및 연결(165)을 통하여 비디오 액세스 지점(160)(VAP: video access point)에 부착된다.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 태블릿(tablet) 디바이스(130), 또는 랩탑(140)(laptop)과 같은 다양한 디바이스들은 VAP(16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서버(15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170)을 통해 원격 컴퓨터(180)로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시스템의 구성에 의존하여, 디스플레이(120)를 통하거나, 라우터(190)를 통하거나, VAP(160)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 서버(150)에 통신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유닛(125)을 가진다.
VAP(160)는 임의의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킹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IEEE 802.11n 무선 또는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과 같은 네트워킹 기술들은 특히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대역폭 요구 때문에 적합할 수 있다. VAP(160)의 기능은 도시되는 것처럼 분리되어 간수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서버(150) 내에 간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직접 디스플레이 서버(150)에 연결되는 것보다는 VAP(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디오 콘텐츠는 라우터(190)를 통한 환경에서 존재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분배될 수 있다. 라우터(190)는 인터넷(170)으로의 연결과 동시에,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다양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서, VAP(160)는 라우터(190)의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간섭을 피하고 또는 국부 네트워크 대역폭의 포화를 피하기 위하여 비디오 전송을 위한 상이한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장치(110, 120, 130, 140, 180)는 이러한 디바이스의 제한을 조건으로, 디스플레이 서버(150)로부터 상이한 프로그램 스트림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서버(150)가 오직 2개의 동조기를 포함하는 경우, 오직 2개의 다른 라이브 동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서버(150)는 케이블, 위성, 인터넷, 오버 디 에어(over-the-air) 방송, 또는 내부의 또는 네트워크 저장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프로그램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서버 장치(150)는 각 원격 디바이스의 특성 및 성능에 따른 제공된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을 스케일링(scaling) 및 사이징(sizing) 할 능력이 있다. 이러한 스케일링 및 사이징은 전용 이미지 처리 구성요소를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컴퓨터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디스플레이 서버(150)의 위치에서의 사용자 입력은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적외선 또는 RF 신호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서버에 의해 직접 수신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서버(150)로부터 떨어져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 다양한 메카니즘들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을 디스플레이 서버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가 이용가능할 수 있다. 네트워크상에 무선 액세스 지점으로 연결된 원격 제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플레이 서버로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외선 반복기들은 원격 디스플레이에서 IR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IR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기와 같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은 직접 디스플레이 서버와 통신하는 RF 트랜스시버(transceiver)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을 디스플레이 서버의 연결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서버로 도로 전송할 수 있다. 태블릿 또는 터치 스크린 성능을 가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의 경우에서, 스크린 입력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서버(150)로 도로 제공될 수 있다.
직접 연결된 셋톱박스가 제공되는 것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이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스플레이(120)에서 사용된 원격 제어 디바이스는 "가이드(guide)," 네비게이션(navigation) 및 채널 변경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디스플레이 서버(150)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격 장치(125)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웹 또는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주택의 거실에서 텔레비전일 수 있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는 다른 방에서 텔레비전일 수 있다. 내부 VAP 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 서버(250)는 연결(215)을 통하여 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 연결(225)을 통하여 제 2 디스플레이(120)에 연결된다. 연결(215) 및 연결(225)은 DVI, HDMI, 디스플레이포트, 스카트(SCART), HD15, 컴퍼지트, S-비디오, 또는 컴퍼넌트 비디오 출력단의 하나 일수 있거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 또는 중요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다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일 수 있다.
프로그램 스트림(210)을 디스플레이하는 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시청자는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나타나는 콘텐츠(220) 또한 모니터링 하고 싶은 욕구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명령의 수신시, 주 디스플레이(110)는 도 3에 도시되는 것처럼, 주 프로그램 스트림의 감소 된 크기 변형(310)과 제 2 프로그램 스트림의 감소된 크기 변형(320) 둘 모두를 나타낼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는 제 2 프로그램 스트림(220)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지속한다. 또한 제 2 프로그램 스트림(220)은 주 프로그램 디스플레이(210) 내에서 화면내 화면으로써, 투명한 오버레이(transparent overlay)로써, 또는 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 관한 보조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는 나타나는 콘텐츠가 다른 디스플레이에서 모니터링되는 지시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도 안 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련된 프로그램 스트림을 나타내기 위한 디폴트(default) 허가를 가질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20)는 주 디스플레이(110)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로 제공되는 프로그램 콘텐츠의 시청을 허용하기 전에 패스워드 또는 다른 인가를 요구하기 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a는 제 2 디바이스(120)의 사용자가 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 제공되는 프로그램 콘텐츠를 또한 나타내도록 요청을 한 이후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사용자에게 인가 스크린(440)이 제시된다. 인가 스크린(440)은 문자와 숫자를 짜맞춘 패스워드를 요청할 수 있거나, 사용자에게 인가 디바이스를 삽입하도록 지시할 수 있거나, 일부 다른 인가 행위를 수행시킬 것이다. 도 4b는 적합한 인가 증명서가 지급된 이후의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를 도시한다. 제 2 디스플레이(120)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된 프로그램의 감소 된 크기 변형(420)과 주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프로그램의 감소 된 크기 변형(410)들이 동시에 보인다. 또한 콘텐츠는 화면 내 화면, 오버레이, 또는 다른 혼합으로써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순서도(500)이다. 본 방법은 제 1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1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510),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를 제 1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520), 제 2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2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530), 상기 제 2 비디오 신호를 제 2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540),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550),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다른 디스플레이의 모니터링을 요청하고, 상기 제 1 프로그램 콘텐츠와 상기 제 2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3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1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560)를 포함한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서버(150)의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서버는 케이블, 위성, 또는 다른 소스로부터 콘텐츠 스트림을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조기(610, 620, 63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40)는 다른 기능 사이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콘텐츠를 얻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통신을 위하여, 그리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처리기(660)는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조정한다. 하나 이상의 처리기는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비디오 가속기(670)는 처리기(660)의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비디오 공동처리를 제공한다. 비디오 가속기(670)는 스케일링, 리사이징(resizing), 압축해제, 압축 또는 다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처리기(660)의 성능은 비디오 가속기(670)를 위한 필요를 줄이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양한 비디오 가속기(670)는 더욱 진보된 비디오 처리를 제공하거나 또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위한 비디오 처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각 비디오 가속기(670)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예정된 비디오 데이터의 생성 및 저장을 위한 프레임 버퍼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는 원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제공될 수 있고, 국부 프레임 버퍼 저장소에서 데이터는 차례차례 압축해제될 것이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드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처리 단계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통합될 수 있고, 일반적인 목적의 하드웨어 또는 전용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로 수행될 수도 있다.
110 : 주 디스플레이 120 : 제 2 디스플레이
130 : 태블릿 140 : 랩탑
150 : 디스플레이 서버 160 : VAP
170 : 인터넷 180 : 원격 컴퓨터
190 : 라우터 210 : 프로그램 스트림
220, 320 : 제 2 프로그램 스트림 440 : 인가 스크린
610, 620, 630 : 동조기 64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660 : 처리기 670 : 비디오 가속기

Claims (18)

  1. 방법으로서,
    제 1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1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를 제 1 출력단에 제공하는 단계,
    제 2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2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비디오 신호를 제 2 출력단에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프로그램 콘텐츠 및 상기 제 2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3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1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인가 정보의 요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인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가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 1 출력단 및 상기 제 2 출력단은 DVI, HDMI,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스카트(SCART), HD15, 컴퍼지트(composite), S-비디오(S-video) 또는 컴퍼넌트(component) 비디오 출력단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제 2 비디오 신호는 관련된 오디오 신호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적외선 또는 RF 신호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법.
  7. 장치로서,
    제 1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1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를 제 1 출력단에 제공하는 수단,
    제 2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2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제 2 비디오 신호를 제 2 출력단에 제공하는 수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프로그램 콘텐츠 및 상기 제 2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3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1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인가 정보의 요청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과,
    인가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인가 정보를 검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 1 출력단 및 상기 제 2 출력단은 DVI, HDMI, 디스플레이포트, 스카트, HD15, 컴퍼지트, S-비디오, 또는 컴퍼넌트 비디오 출력단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하는,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제 2 비디오 신호는 관련된 오디오 신호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적외선 또는 RF 신호를 통하여 수신되는,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장치.
  13. 방법으로서,
    제 1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1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를 제 1 출력단에 제공하는 단계,
    제 2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2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비디오 신호를 제 2 출력단에 제공하는 단계,
    제 3 프로그램 콘텐츠의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 3 프로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3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 2 출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제 3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3 프로그램 콘텐츠에 관한 그래픽(graphical)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프로그램 콘텐츠를 갖는 상기 그래픽 콘텐츠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 1 출력단 및 상기 제 2 출력단은 DVI, HDMI, 디스플레이포트, 스카트, HD15, 컴퍼지트, S-비디오, 또는 컴퍼넌트 비디오 출력단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제 2 비디오 신호는 다음의 관련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적외선 또는 RF 신호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법.


KR1020107023490A 2008-04-25 2009-03-31 모니터링 성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서버 방법 및 장치 KR201100033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58708P 2008-04-25 2008-04-25
US61/125,587 2008-04-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345A true KR20110003345A (ko) 2011-01-11

Family

ID=4074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490A KR20110003345A (ko) 2008-04-25 2009-03-31 모니터링 성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서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04894A1 (ko)
EP (1) EP2266315A1 (ko)
JP (1) JP5587866B2 (ko)
KR (1) KR20110003345A (ko)
CN (1) CN102017621B (ko)
WO (1) WO2009131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8046B2 (en) * 2010-11-19 2017-10-10 Sling Media Pvt Ltd. Multistream placeshifting
EP2680524A1 (en) * 2012-06-27 2014-01-01 Watchever Group System for displaying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51492A1 (de) * 1981-11-21 1983-07-07 Gorenje Körting Electronic GmbH & Co, 8217 Grassau Audio-video-heimanlage
US4907079A (en) * 1987-09-28 1990-03-06 Teleview Rating Corporation, Inc.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home entertainment electronic devices
US5473744A (en) * 1992-09-28 1995-12-05 Optical Magnetic Imaging Corporation Computer-assisted interactive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multi-media presentation
US5767897A (en) * 1994-10-31 1998-06-16 Picturetel Corporation Video conferencing system
JP3627431B2 (ja) * 1997-03-04 2005-03-09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テレビ受信システム
US6988276B2 (en) * 1999-12-14 2006-01-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house TV to TV channel peeking
WO2002017623A1 (en) * 2000-08-23 2002-02-28 Ch.1 Inc. An internet access device
US20070107029A1 (en) * 2000-11-17 2007-05-10 E-Watch Inc. Multiple Video Display Configurations & Bandwidth Conservation Scheme for Transmitting Video Over a Network
US20020078007A1 (en) * 2000-12-20 2002-06-20 Carlos Herrero Task management program
US7058891B2 (en) * 2001-05-25 2006-06-06 Learning Tree International, Inc. Interface for a system of method of electronic presentations having multiple display screens with remote input
US20020184631A1 (en) * 2001-05-31 2002-12-05 Cezeaux Thomas Edward Subscriber self-provisioning via a set-top box
KR100556375B1 (ko) * 2003-09-1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지원 셋탑 박스
JP4789444B2 (ja) * 2003-10-03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764251A (zh) * 2004-12-22 2006-04-26 黎笑先 一种共享数字电视条件接收的方法
JP4862200B2 (ja) * 2004-12-27 2012-01-2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コンテンツ転送システム
US8849908B2 (en) * 2005-10-13 2014-09-30 Kaydon A. Stanzione Internet based data, voice and video alert notification communications system
US8060910B2 (en) * 2006-12-21 2011-11-1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t top box apparatus having a radio frequency antenna and an associated method
CN101087376A (zh) * 2007-06-27 2007-12-12 北京海尔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一拖二数字电视接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04894A1 (en) 2011-01-06
WO2009131617A1 (en) 2009-10-29
JP5587866B2 (ja) 2014-09-10
EP2266315A1 (en) 2010-12-29
JP2011523799A (ja) 2011-08-18
CN102017621B (zh) 2014-03-26
CN102017621A (zh)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1297B (zh) 與遠端影像來源裝置相關之同屏顯示
US9154813B2 (en) Multiple video content in a composite video stream
US8544056B2 (en) Image control apparatus and image control method
US8763065B2 (en) Video integration
US200702561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icture-in-picture video content
US9794634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viewing and controlling audio video content in a home network
US20130135179A1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KR20150112033A (ko) 하드웨어 수단으로 비디오 처리를 위한 내장 시스템
US201101918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Computer and Entertainment Information
US7908623B2 (en) Set top box for PC/HDTV multimedia center
KR101311463B1 (ko) 원격 영상정보 제공시스템
US20090049399A1 (en) System for presenting graphical user interface windows
US20230179815A1 (en) Electronic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10003345A (ko) 모니터링 성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서버 방법 및 장치
KR100853959B1 (ko) 아이피티브이망을 이용한 다채널 영상의 원격 감시 시스템및 그 방법
KR102450507B1 (ko) IoT 기반의 셋톱박스 원격 제어 시스템
KR20160011158A (ko) 화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57679A1 (en) Multi-audio annotation
KR20190103775A (ko) 개인 맞춤형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US202201037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the output of a media gateway appliance
KR20100047764A (ko) 텔레비전의 피벗 기능을 이용한 주화면 및 부화면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5955588A (zh) 一种显示设备及音画同步方法
CN115967830A (zh) 一种显示设备及音画同步方法
CN116939270A (zh) 一种显示设备及播放参数的设置方法
KR20160091167A (ko) 방송 프로그램 다중표시를 위한 셋톱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