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679A - 목재데크시스템 - Google Patents

목재데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679A
KR20190032679A KR1020170119620A KR20170119620A KR20190032679A KR 20190032679 A KR20190032679 A KR 20190032679A KR 1020170119620 A KR1020170119620 A KR 1020170119620A KR 20170119620 A KR20170119620 A KR 20170119620A KR 20190032679 A KR20190032679 A KR 20190032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wooden
fitting groove
connec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900B1 (ko
Inventor
이관궁
Original Assignee
이관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궁 filed Critical 이관궁
Priority to KR102017011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9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은 일면에 삽입부가 형성된 사각프레임, 양측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일면에 안착되고 상기 사각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목재데크 및 상기 삽입부 및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며, 상기 목재데크를 상기 사각프레임 일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데크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연결구는, 상기 끼움홈 안에서 상기 목재데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재데크시스템{A SYSTEM OF WOOD DECK}
본 발명은 목재데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공원 내의 산책로, 등산로, 인도교, 호수 주변을 따라 형성된 보도, 전원주택이나 펜션 등의 테라스와 같은 다양한 장소의 바닥면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바닥면, 외벽 및 내벽 마감에도 목재데크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다.
목재데크는 바닥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프레임 상부에 복수개로 나열된 상태에서 평면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못 또는 고정피스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목재데크를 고정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시공 공수가 많이 들어 전체적인 데크 설치작업공정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을 제공하고, 작업비용도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제공하며, 그리고, 목재데크의 상부로 체결부재의 머리부분이 노출되기 때문에 보행자의 보행에 지장을 주어 자칫 넘어지면서 안전사고도 발생할 수 있으며 미관상으로도 매우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제공한다.
또한, 종래에는, 데크와 데크의 측면사이에 연결구를 개재한 상태에서 고정피스와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연결구를 프레임에 고정시켜 목재데크와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키는 시공방식이 이용되었다.
상기와 같은 시공방식은, 목재데크에 직접적으로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목재데크의 파손을 줄이고 보행자의 안전도모 및 미관상으로 깔끔한 효과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작업자가 체결부재를 프레임에 고정피스로 일일이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공정을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시공성, 작업시간 및 시공비가 여전히 많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시공성 및 미관을 향상시키고, 파손율을 감소시킨 목재데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은 일면에 삽입부가 형성된 사각프레임, 양측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일면에 안착되고 상기 사각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목재데크 및 상기 삽입부 및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며, 상기 목재데크를 상기 사각프레임 일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데크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연결구는, 상기 끼움홈 안에서 상기 목재데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연결구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고 단부에 서포팅부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가지는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에 연결되며, 상기 플레이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팅부 하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팅부에 중공부를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돌출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부는, 상기 탄성부 방향으로 우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부는, 상기 탄성부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에 연결되어 경사지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경사면에 형성된 중공부 및 상기 제1 경사면의 하면에서 상기 제2 경사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은, 시공성 및 미관이 향상되고, 파손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데크연결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데크연결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데크연결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연결된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목재데크시스템(100)은 목재데크(10), 데크연결구(30) 및 사각프레임(20)을 포함할 수 있다.
목재데크(10)는 양측면에 끼움홈(11, 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목재데크(10)는 사각프레임(20)의 상면에 복수개가 안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목재데크(10)는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목재데크(10)는 사각프레임(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목재데크(10)는 사각프레임(20)과 데크연결구(3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목재데크(10)는 못이나 체결부재 없이 사각프레임(20)과 연결되어 강성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미관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목재데크(10)가 파손될 경우에도 외부로 노출되는 못이나 체결부재가 없어 안전상 매우 유리하다.
사각프레임(20)은 목재데크(10) 아래에서 목재데크(10) 배치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각프레임(20)은 알루미늄으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에도 부식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사각프레임(20) 일면에는 삽입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는 사각프레임(20)과 목재데크(10)가 밀착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부(21)는 사각프레임(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데크연결구(30)는 목재데크(10)와 목재데크(10) 사이에 위치하며, 사각프레임(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크연결구(30)는 사각프레임(20)의 삽입부(21)에 연결되며,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목재데크시스템(100)은 복수개의 데크연결구(30)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데크연결구(3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사각프레임(20)에 연결될 수 있다.
데크연결구(30)는 목재데크(10)의 측면에 끼워지고, 사각프레임(20)의 일면 방향을 향해 가압시켜 목재데크(10)와 사각프레임(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데크연결구(30)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목재데크(10)와 사각프레임(20)을 가압고정시킬 수 있다.
목재데크(10)는 사각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데크연결구(30)에 의해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목재데크(10)는 못이나 체결부재가 없어도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목재데크(10)는 외력이 가해져도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데크연결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크연결구(30)는, 상면부(31) 및 탄성부(34)로 이뤄질 수 있다.
상면부(31)와 탄성부(34)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34)는 상면부(31)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면부(31)는 중앙에 홀(3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면부(31)에 형성된 홀(31a)은 목재데크시스템(100)의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재데크시스템(100)이 완성된 상태에서 파손되거나 교체의 필요가 있는 목재데크(10)를 탈거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데크연결구(3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데크연결구(30)로 연결된 목재데크(10)의 유지보수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노출되지 않은 목재데크(10)에 삽입되는 상면부(31)에 홀을 형성하여 외부로 노출시킨다. 홀(31a)에는 탈거를 위한 도구가 끼워져 데크연결구(30)를 목재데크(10) 및 사각프레임(20)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또한, 부분적으로 목재데크시스템(100)이 보수될 경우, 목재데크(10)와 데크연결구(30)가 새롭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홀(31a)에 고정피스를 관통시켜 데크연결구(30)를 사각프레임(20)에 연결하여, 새롭게 설치된 데크연결구(30)가 사각프레임(20)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면부(31)는 탄성홈(31b)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홈(31b)을 통해 상면부(31)는 탄성부(34)가 외력에 의해 오므라들거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벌어질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탄성홈(31b)은 상면부(31)의 중앙에 형성된 홀(31a)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홈(31b)은 탄성부(34)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홈(31b)은 홀(31a) 주위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홈(31b)은 제1 플레이트(311a) 및 제2 플레이트(311b)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어, 제1 플레이트(311a) 또는 제2 플레이트(311b)가 목재데크(10)에 의해 외력을 받게 될 때, 상면부(3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면부(31)의 양측면은 목재데크(10)의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11)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면부(31)는 측면에 연결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33)는 상면부(31)의 측면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펀칭하는 작업을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33)는 펀칭 작업에 의해 형성된 중공부(33a)와 돌출부(33b)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33a)는 상면부(31)의 양측면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3b)는 중공부(33a)의 외주면을 따라 연결되며, 상면부(31)의 하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3b)는 단부가 뾰족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33b)는 1~20mm 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3b)의 돌출 길이가 1mm 이하로 돌출되면, 박힘 고정되는 힘이 저하되어 시공의 효과가 없다. 돌출 길이가 20mm 이상이면,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에 삽입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다.
데크연결구(30)의 연결부(33)가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에 삽입되어, 연결부(33)의 돌출부(33b)가 끼움홈(11)에 박힘 고정됨으로서 데크연결구(30)의 측면과 목재데크(10)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데크연결구(30)에 연결부(3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 목재데크(10)와 목재데크(10)의 사이의 이동이 더욱더 구속될 수 있다.
탄성부(34)는 상면부(31)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부(34)는 상면부(31) 하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34)는 사각프레임(20)의 삽입부(21)에 끼워져 가압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34)는 사각프레임(20)에 탄성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34)는 삽입부(21)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절곡부(34a)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34)는 외력에 의해 탄성부(34)가 오므라들어 삽입부(21)에 삽입되면서 절곡부(34a)가 삽입부(21)의 턱에 걸린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절곡부(34a)의 중앙에는 삽입부(21)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착되기 위한 돌기(34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데크연결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데크연결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크연결구(30)의 상면부(31)는 목재데크(10) 측면의 끼움홈(11)에 삽입되는 플레이트(31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11)는 상면부(31)에서 목재데크(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플레이트(311)는 제1 플레이트(311a) 및 제2 플레이트(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311)는 상면부(31)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311)는 목재데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부(3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311)는 상면부(31)의 폭(w31)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은 깊이(L)가 6mm ~ 12mm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면부(31)의 폭(w31)은 예를 들면, 12mm 일 수 있고, 플레이트(311)는 상면부(31) 양측으로 5 ~ 10mm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재데크(10) 1개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2m ~ 5m 정도이다. 더 자세하게는 2m ~ 3.9m 정도이다. 따라서, 수많은 목재데크(10)를 배열하여 큰 면적에 목재데크시스템(100)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목재데크(10)는 폭 방향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목재데크(10)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될 때, 데크연결구(30)의 플레이트(311)는 상면부(31)보다 길게 형성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목재데크(10)와 인접한 목재데크(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플레이트(311)는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에 삽입되어 목재데크(10)를 사각프레임(20) 방향을 향해 가압시킨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311)의 길이를 상면부(31)보다 길게 형성하여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는 목재데크(10)를 보다 안정적이고 강하게 사각프레임(20) 방향을 향해 가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목재데크(10)들의 보다 강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면부(31)에는 중앙에 홀(31a)이 형성될 수 있다. 홀(31a)은 제1 플레이트(311a)와 제2 플레이트(31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면부(31)에는 탄성홈(31b)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홈(31b)은 제1 플레이트(311a)와 제2 플레이트(311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홈(31b)은 상면부(31) 표면에서 제1 플레이트(311a) 및 제2 플레이트(311b)의 돌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홈(31b)은 홀(31a) 주위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서포팅부(32)는 플레이트(311)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서포팅부(32)는 플레이트(311)의 단부에서 목재데크(1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서포팅부(32)는 플레이트(311) 단부에서 사각프레임(20) 방향으로 만곡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포팅부(32)는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에 삽입되어 목재데크(10)를 사각프레임(20) 방향을 향해 보다 더 강하게 가압시킬 수 있다.
서포팅부(32)에 의해 가압된 목재데크(10)는 외력에 의해 사각프레임(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포팅부(32)는 제1 경사면(32a)과 제2 경사면(32b)으로 이뤄질 수 있다. 즉, 제1 경사면(32a)은 플레이트(311) 단부에 연결되며 탄성부(34)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 방향이면서 탄성부(34)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경사면(32a)와 제2 경사면(32b)는 둔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에 억지끼움을 고려할 때, 제1 경사면(32a)과 제2 경사면(32b) 사이의 각도는 90°~ 150°가 바람직하다.
제2 경사면(32b)은 제1 경사면(32a)에 연결되어 경사지고, 플레이트(311) 상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경사면(32a)과 제2 경사면(32b) 사이에는 뾰족한 부분이 형성되며, 목재데크(10)에 서포팅부(32)가 끼워져 목재데크(10)와 목재데크(10) 사이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면(32b)을 통해, 플레이트(311)는 목재데크(10) 끼움홈(11)에 보다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서포팅부(32)는 탄성부(34) 방향으로 우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부(34) 방향으로 만곡지며 우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포팅부(32)와 플레이트(311)는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에 보다 자연스럽게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각프레임(20)과 데크연결구(30)의 상면부(31) 사이의 높이는 목재데크(10) 하면에서 끼움홈(11)까지 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를 통해 목재데크(10)가 데크연결구(30)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따라서, 목재데크(10)를 강하게 밀어 넣으면서 데크연결구(30)와 목재데크(10)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때, 목재데크(10) 끼움홈(11)에 서포팅부(32) 및 플레이트(311)가 보다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서포팅부(32)를 보다 만곡지게 형성할 수 있다.
서포팅부(32)의 중앙에 연결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포팅부(32)의 중앙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펀칭하여 중공부(33a)와 돌출부(33b)를 포함하는 연결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33)는 서포팅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중공부(33a)는 서포팅부(32)의 중앙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3b)는 중공부(33a)의 외주면을 따라 연결되며, 플레이트(311)의 하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3b)는 단부가 뾰족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33b)는 1~20mm의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데크연결구(30)의 서포팅부(32)와 플레이트(311)가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에 끼워지고, 서포팅부(32)에 형성된 연결부(33)의 돌출부(33b)가 끼움홈(11)에 박힘 고정됨으로서 데크연결구(30)의 측면과 목재데크(10)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목재데크(10)와 목재데크(10) 사이의 이동을 더욱더 용이하게 구속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33)는 서포팅부(32)의 제1 경사면(32a)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포팅부(32)의 제1 경사면(32a)에, 제2 경사면(32b)이 경사진 동일 방향으로 연결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33)는 중공부(33a)와 돌출부(33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공부(33a)는 삼각형일 수 있다. 돌출부(33b)는 제2 경사면(32b)과 평행한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즉, 돌출부(33b)는 제2 경사면(32b)의 하면에서 제2 경사면(32b)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결부(33)는 서포팅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중공부(33a)는 서포팅부(32)의 제1 경사면(32a)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데크연결구(30)의 서포팅부(32)와 플레이트(311)가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에 끼워지고, 서포팅부(32)에 형성된 연결부(33)의 돌출부(33b)가 목재데크(10)와 데크연결구(30)가 연결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끼움홈(11)에 박힘 고정됨으로서 데크연결구(30)의 측면과 목재데크(10)가 일체로 고정되어 이탈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목재데크(10)와 목재데크(10) 사이의 이동을 더욱더 강하게 구속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데크시스템의 연결된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목재데크(10)는 인접한 목재데크(10)와 데크연결구(30)를 사이에 두고 사각프레임(2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목재데크(10)는 측면에 끼움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11)은 목재데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목재데크(1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끼움홈(11)은 목재데크(10)의 높이의 중간보다는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목재데크(10) 표면과 끼움홈(11) 사이의 두께(t1)를 끼움홈(11)과 목재데크(10)의 하면 사이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목재데크(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은 목재데크(10)의 측면에서 목재데크(10)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끼움홈(11)은 목재데크(10)의 측면에서 목재데크(10)의 상면 또는 하면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끼움홈(11)은 목재데크(10)의 일측면에서는 목재데크(10)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목재데크(10)의 타측면에서는 목재데크(10)의 상면 또는 하면을 향해 경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끼움홈(11)에 가해지는 데크연결구(30)의 가압력을 보다 향상시켜 목재데크(10)를 사각프레임(20)에 보다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목재데크(10)가 사각프레임(20) 상면에 안착되고, 데크연결구(30)가 일측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목재데크(10)를 기울여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에 데크연결구(30)를 끼워 목재데크시스템(100)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재데크시스템(100)은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목재데크(10)를 설치하며 완성될 수 있다. 이때, 일방향에 목재데크(10)를 미리 사각프레임(20)에 안착시키고, 이후, 데크연결구(30)를 사각프레임(20)의 삽입부(21)에 끼우고, 데크연결구(30)의 일측을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에 억지끼움으로 밀어넣어 목재데크(10)와 연결시킨다. 위치가 고정된 데크연결구(30)의 타측에 목재데크(10)를 기울여 끼움홈(11)과 데크연결구(30)의 타측을 연결시킨다. 이를 반복한다.
한편, 데크연결구(30)의 서포팅부(32)에 형성된 연결부(33)가 목재데크(10)의 끼움홈(11)에 삽입되어, 연결부(33)의 돌출부(33b)가 끼움홈(11)에 박힘 고정되면서 데크연결구(30)의 측면과 목재데크(10)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목재데크(10)는 못이나 체결부재 없이 사각프레임(20)과 연결되어 강성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미관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목재데크(10)가 파손될 경우에도 외부로 노출되는 못이나 체결부재가 없어 안전상 매우 유리하다.
데크연결구(30)는 목재데크(10) 사이에 위치할 뿐 아니라, 사각프레임(20)의 삽입부(21)에 끼워져 단단히 고정되므로 못이나 체결부재가 없어도 조립 설치된 복수개의 목재데크(10)는 서로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사각프레임(20)의 상면과 데크연결구(30) 사이의 높이(갭)(G)보다 목재데크(10)의 측면에 형성되는 끼움홈(11)의 높이를 좀 더 높게 형성하면 목재데크(10)를 사각프레임(20)에 보다 강하게 가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0: 목재데크시스템
10: 목재데크 11: 끼움홈
20: 사각프레임 21: 삽입부
30: 데크연결구 31: 상면부
31a: 홀 31b: 탄성홈
32: 서포팅부 32a: 제1 경사면
32b: 제2 경사면 33: 연결부
33a: 중공부 33b: 돌출부
34: 탄성부 34a: 절곡부
34b: 돌기 311: 플레이트
311a: 제1 플레이트 311b: 제2 플레이트
t1, t2: 두께 w31: 폭
G: 높이(갭)

Claims (7)

  1. 일면에 삽입부가 형성된 사각프레임;
    양측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일면에 안착되고 상기 사각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목재데크; 및
    상기 삽입부 및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며, 상기 목재데크를 상기 사각프레임 일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데크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연결구는,
    상기 끼움홈 안에서 상기 목재데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목재데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연결구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고 단부에 서포팅부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가지는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에 연결되며, 상기 플레이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목재데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팅부 하면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목재데크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팅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돌출부가 연결된 목재데크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부는,
    상기 탄성부 방향으로 우묵하게 형성되는 목재데크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부는,
    상기 탄성부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에 연결되어 경사지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목재데크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경사면에 형성된 중공부; 및
    상기 제1 경사면의 하면에서 상기 제2 경사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목재데크시스템.
KR1020170119620A 2017-09-18 2017-09-18 목재데크시스템 KR10203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20A KR102030900B1 (ko) 2017-09-18 2017-09-18 목재데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20A KR102030900B1 (ko) 2017-09-18 2017-09-18 목재데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679A true KR20190032679A (ko) 2019-03-28
KR102030900B1 KR102030900B1 (ko) 2019-10-11

Family

ID=6590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620A KR102030900B1 (ko) 2017-09-18 2017-09-18 목재데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9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981B1 (ko) 2019-12-11 2020-04-02 주식회사 에이치티 데크의 탄성 고정이 가능한 데크클립을 가지는 데크 시스템
KR102127730B1 (ko) 2020-01-09 2020-06-29 주식회사 에이치티 충격과 소음이 완화되고 교체가 용이한 데크 시스템
KR102154119B1 (ko) 2020-04-13 2020-09-09 주식회사 디울 목재데크 파손 방지형 데크 시스템
KR102180567B1 (ko) 2020-04-16 2020-11-18 주식회사 에이치티 탄성 기능을 활용하여 보행성이 향상된 데크 시스템
KR102241676B1 (ko) 2020-07-02 2021-04-19 주식회사 에이치티 균일한 간격이 적용된 미끄럼 방지 데크 시스템
KR102241667B1 (ko) 2020-07-02 2021-04-19 주식회사 에이치티 상부하중 지지력 보강 데크 시스템
KR102255275B1 (ko) 2020-12-10 2021-05-25 주식회사 디울 고강도 목재데크를 가지는 데크 시스템
KR102337642B1 (ko) 2021-06-23 2021-12-09 주식회사 디울 목재데크의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한 데크 시스템
KR102621612B1 (ko) 2021-12-13 2024-01-04 문학선 국산 목재를 이용하고 데크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데크 시스템
KR102457434B1 (ko) 2022-08-05 2022-10-21 주식회사 디자인남영 목재데크 파손 방지형 데크 시스템
KR102600860B1 (ko) 2023-07-21 2023-11-10 주식회사 나무와나무 목재설치구를 이용한 조립식 데크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913U (ko) * 2010-02-03 2011-08-10 주식회사 동양씨엠아이 데크 조립 구조
KR101166849B1 (ko) * 2011-04-26 2012-07-19 주식회사휴플러스 바닥재용 고정구
KR101275503B1 (ko) * 2012-02-24 2013-06-20 이관궁 데크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8830B2 (ja) * 1993-12-29 2001-04-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近紫外線と近赤外線の一方あるいは両方を反射する構造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913U (ko) * 2010-02-03 2011-08-10 주식회사 동양씨엠아이 데크 조립 구조
KR101166849B1 (ko) * 2011-04-26 2012-07-19 주식회사휴플러스 바닥재용 고정구
KR101275503B1 (ko) * 2012-02-24 2013-06-20 이관궁 데크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900B1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2679A (ko) 목재데크시스템
KR101848258B1 (ko) 나사못이 필요 없는 목재 데크 판재용 원터치 탄성 고정 장치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JP4578561B1 (ja) 床板固定具
US9441379B2 (en) Flooring system having assembly clip and related method
KR102095981B1 (ko) 데크의 탄성 고정이 가능한 데크클립을 가지는 데크 시스템
CN110121582B (zh) 铺板连接器
KR102256356B1 (ko) 데크조립체
KR20170037058A (ko) 비닐하우스용 패드 일체형 골조 및 패드 일체형 골조 고정장치
KR101480343B1 (ko) 바닥 프로파일 장치
KR101572981B1 (ko) 데크 보드 조립체의 데크 보드 고정용 클립
KR101275503B1 (ko) 데크 연결구
KR20160004617A (ko)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KR20180013630A (ko) 나사못 없이 원터치 탄성 결합이 가능한 목재 데크 판재
KR101844721B1 (ko) 목재데크시스템
KR101260667B1 (ko) 데크 플레이트 고정 구조
KR20180097926A (ko) 전방 압입식 벽체 배수판
JP2008285929A (ja) 床板固定具
KR102380449B1 (ko)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KR20160140016A (ko) 목재 데크용 고정 클립
KR102034843B1 (ko) 목재 데크용 결속구와 목재 데크 및 목재 데크의 시공방법
JP6347483B2 (ja) 床板の固定具
KR20090011629U (ko) 천장 보드 설치용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의 결합 구조
KR101931904B1 (ko) 목재데크시스템
CN211143603U (zh) 一种带有龙骨固定结构的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