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676A -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 - Google Patents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676A
KR20190032676A KR1020170119545A KR20170119545A KR20190032676A KR 20190032676 A KR20190032676 A KR 20190032676A KR 1020170119545 A KR1020170119545 A KR 1020170119545A KR 20170119545 A KR20170119545 A KR 20170119545A KR 20190032676 A KR20190032676 A KR 20190032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valve
water
chambe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581B1 (ko
Inventor
곽종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11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5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수도전으로부터의 급수 여부를 기구적으로 제어하면서 증기멸균기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급수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에 의하면; 본체(10)에 내장 설치되며 내부에는 멸균실(21)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멸균챔버(2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1)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멸균챔버(2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챔버도어(30)와; 상기 본체(10)에 내장 설치되며 물이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고 내부에는 히터(41)가 배치된 히팅챔버(40)와; 수도전(1)과 연결되어 상기 히팀챔버(40)로 물을 공급하며 중도에는 제1단속밸브(51)가 배치된 급수관(50)과; 상기 히터(41)의 구동으로 상기 히팅챔버(40)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멸균실(21)로 안내하며 중도에는 제2단속밸브(61)가 배치된 스팀-공급관(60)과; 상기 멸균챔버(20) 멸균실(21)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되게 안내하며 중도에는 제3단속밸브(71)가 배치된 멸균챔버-배기관(70)과; 상기 히팅챔버(40)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되게 안내하며 중도에는 제4단속밸브(81)가 배치된 히팅챔버-배기관(80)과; 상기 제1,제3,제4단속밸브(51)(71)(81)와 히터(41)의 구동을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1단속밸브(51)의 상류측 상기 급수관(50) 중도에 설치되며 밸브몸체 내부에 설치된 콕밸브가 90도 회전 동작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는 급수메인밸브(310)와, 상기 급수메인밸브(310)의 콕밸브와 구동축(320)을 통해 직선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1)에 배치되며, 상기 콕밸브를 90도 회전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손잡이(330)와, 상기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조작손잡이(330)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급수메인밸브(310)의 개폐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부(200)에 전달하는 스위칭유닛(340)을 구비하여, 상기 수도전(1)으로부터의 급수 여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제어부(2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급수제어장치(3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STEAM STERILIZER FOR MEDICAL DEVICE}
본 발명은 의료용 증기멸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멸균수의 급수밸브 개폐동작과 함께 제어부의 동작 전원 온/오프를 보다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의료용 기구는 멸균공정을 실시한 후 보관 사용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약품을 사용하거나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멸균시키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인체에 직접 사용되지 않는 의료기구의 경우는 약품을 사용하여 멸균을 할 수 있지만, 인체에 직접 사용되는 의료기구의 경우는 대부분이 고온의 증기를 이용해서 멸균처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온 증기를 이용한 종래 의료용 증기멸균기는 내부에 멸균 대상물인 의료기구를 넣을 수 있도록 멸균실이 형성된 챔버와, 이 챔버 내측 저부에 배치되는 히터와, 각종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부 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챔버의 멸균실에 상온의 물과 멸균 대상물을 직접 넣고 히터를 구동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면, 멸균 대상물은 고온 증기에 의해 멸균된다. 그러나 종래 의료용 증기멸균기는 챔버의 멸균실에 상온의 물이 직접 공급됨으로써 실제 멸균동작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이며, 가열되는 과정에서 히터 열에 의해 멸균 대상물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 특히, 메스 등과 같은 날카로운 멸균 대상물이 빈번한 멸균과정을 거치면서 히터 열로 인해 칼날이 쉽게 상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물을 가열한 후 고온/고압의 증기를 멸균챔버로 공급함으로써 멸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멸균수의 급수 및 배기 동작을 보다 안전하게 구현하며 전체적인 시스템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특허출원하여 그 권리(특허등록 제10-1317386호)를 확보하고 있다.
특허등록 제10-1317386호 의료용 증기멸균기는 급수모드 → 멸균모드 → 배기모드 → 건조모드를 통하여 멸균 대상물을 멸균 처리하는 것으로; 내부에 멸균실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멸균챔버와; 멸균챔버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챔버도어와; 물이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고 내부에는 히터가 배치된 히팅챔버와; 수도전과 연결되어 히팅챔버로 물을 공급하며 중도에는 제1단속밸브가 배치된 급수관과; 히터의 구동으로 히팅챔버에서 발생된 스팀을 멸균모드에서 멸균실로 안내하며, 중도에는 제2단속밸브가 배치된 스팀-공급관과; 멸균챔버의 멸균실과 연통되어 배기모드에서 멸균챔버내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중도에는 제3단속밸브가 배치된 멸균챔버-배기관과; 히팅챔버와 연통되어 배기모드에서 히팅챔버내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중도에는 제4단속밸브가 배치된 히팅챔버-배기관과; 입구측에는 멸균챔버-배기관 및 히팅챔버-배기관의 출구단이 연결되며 출구측에는 드레인-호스가 연결된 이젝터와; 제1단속밸브 상류측의 급수관과 이젝터를 연결하는 제1-급수분기관과; 제1-급수분기관의 중도에 배치되며 배기모드에서 이젝터측으로 물을 강제공급하여 멸균챔버와 히팅챔버로부터 빠져나오는 스팀을 냉각시키면서 수압을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워터펌프와; 제1,제3,제4단속밸브와 히터 및 워터펌프의 구동을 급수모드, 멸균모드, 배기모드, 건조모드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1단속밸브 상류측의 급수관과 이젝터 출구측의 드레인-호스측을 연결되며, 중도에는 제5단속밸브가 배치된 제2-급수분기관과; 드레인-호스의 스팀 배기온도에 따라 온/오프되어 제5단속밸브를 개폐작동시키되, 드레인-호스의 스팀 배기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온(ON) 되어 제5단속밸브를 개방 작동시키고 일정온도 이하이면 오프(OFF)되어 제5단속밸브를 폐쇄 작동시키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특허등록 제10-1317386호에 제시된 의료용 증기멸균기에서는 히팅챔버에서 물을 가열한 후 고압의 스팀을 멸균챔버로 공급함으로써 멸균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멸균모드에서 멸균 대상물의 손상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급수모드 시 수도전을 통해 물을 직접 공급받으며, 배기모드에서도 멸균챔버 및 히팅챔버로부터 빠져나오는 고온 고압의 스팀을 수도전으로 공급되는 물을 통해 빠른 속도로 냉각시키면서 안전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증기멸균기의 갑작스런 오동작의 경우에도 히팅챔버 및 멸균챔버의 스팀 배출이 수도전의 물과 함께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이루어져 제품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의료용 증기멸균기에서는 수도전으로부의 급수 여부가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제1단속밸브(솔레노이드밸브)로 제어된다. 따라서 의료용 증기멸균기의 동작이 완전하게 오프된 경우에 제1단속밸브가 오동작으로 개방된 상태이면, 수도전으로부터 수압에 의해 히팅챔버는 물론이며 멸균챔버에까지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것은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제1단속밸브가 이물질 등에 의해 개폐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급수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도전과 연결되어 히팅챔버로 물을 공급하며 중도에 단속밸브가 배치된 급수관의 상류측에 기구적으로 개폐되는 급수메인밸브를 부설하고 급수메인밸브 개폐동작과 함께 제어부에 온/오프를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함으로서, 급수메인밸브를 기구적으로 폐쇄하면서 증기멸균기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급수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에 내장 설치되며 내부에는 멸균실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멸균챔버와; 상기 본체의 전면부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멸균챔버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챔버도어와; 상기 본체에 내장 설치되며 물이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고 내부에는 히터가 배치된 히팅챔버와; 수도전과 연결되어 상기 히팀챔버로 물을 공급하며 중도에는 제1단속밸브가 배치된 급수관과; 상기 히터의 구동으로 상기 히팅챔버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멸균실로 안내하며 중도에는 제2단속밸브가 배치된 스팀-공급관과; 상기 멸균챔버 멸균실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되게 안내하며 중도에는 제3단속밸브가 배치된 멸균챔버-배기관과; 상기 히팅챔버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되게 안내하며 중도에는 제4단속밸브가 배치된 히팅챔버-배기관과; 상기 제1,제3,제4단속밸브와 히터의 구동을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증기멸균기가; 상기 제1단속밸브의 상류측 상기 급수관 중도에 설치되며 밸브몸체 내부에 설치된 콕밸브가 90도 회전 동작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는 급수메인밸브와; 상기 급수메인밸브의 콕밸브와 구동축을 통해 직선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콕밸브를 90도 회전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손잡이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조작손잡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급수메인밸브의 개폐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스위칭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수도전으로부터의 급수 여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급수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위칭유닛으로부터 상기 급수메인밸브의 개방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온(ON)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스위칭유닛으로부터 상기 급수메인밸브의 폐쇄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오프(OFF)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칭유닛이 접점부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손잡이의 구동축에는 상기 조작손잡이의 90도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접점부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칭조작편이 돌출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에 의하면; 수도전과 연결되어 히팅챔버로 물을 공급하며 중도에 단속밸브가 배치된 급수관 상류측에 기구적으로 개폐되는 급수메인밸브를 부설하고 급수메인밸브의 개폐동작과 함께 제어부에 온/오프를 신호를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수도전으로부터의 급수 여부를 기구적으로 제어하면서 증기멸균기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급수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급수메인밸브가 개방되면 제어부에서는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온 상태로 유지시키고, 반면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급수메인밸브가 폐쇄되면서 이러한 폐쇄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에서는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의료용 증기멸균기의 오프 상태에서는 급수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에 의하면; 스위칭유닛을 접점부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리미트스위치(limit switch)로 구성하고, 리미트스위치 접점부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칭조작편을 조작손잡이 구동축에 구성함으로써, 조작손잡이의 90도 회전 동작에 따라 급수메인밸브의 개폐 동작에 따라 즉시 제어부에 개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증기멸균기의 계통도로, 급수제어장치의 급수메인밸브가 폐쇄 동작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장치와 급수메인밸브의 폐쇄 동작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장치와 급수메인밸브가 개방 동작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증기멸균기의 계통도로, 급수제어장치의 급수메인밸브가 개방 동작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증기멸균기의 구성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증기멸균기는 급수모드, 멸균모드, 배기모드, 건조모드 등을 통하여 멸균 대상물을 멸균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전과 직접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배기모드에서도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고온/고압의 스팀을 냉각시키면서 안전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증기멸균기의 오프 상태에서는 수도전으로부터의 급수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증기멸균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前面)이 개방된 멸균챔버(20)가 내장되며 외형을 이루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부(11)에 힌지 결합되어 멸균챔버(20)의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는 챔버도어(30)와, 본체(10)의 전면부(11)에 배치되며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0)와, 수도전(1)으로부터의 급수 여부를 수동으로 제어하면서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200)로 전달하기 위한 급수제어장치(300)를 갖추고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3"은 수도전(1)과 연결되어 급수를 안내하기 위한 급수 연결호스이고, 미설명 부호 "2"는 후술하는 드레인-호스(90)와 연결되어 하수구측으로 배수 안내하는 배수 연결호스이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멸균실(21)을 형성하는 멸균챔버(20)와, 수도전(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일시 저장되며 내부에는 히터(41)가 배치된 히팅챔버(40)와, 외부에서 히팅챔버(4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0)과, 히터(41)의 작동으로 히팅챔버(40)에서 발생된 고온/고압의 스팀을 멸균실(21)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관(60)과, 배기모드에서 멸균챔버(20)내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멸균챔버-배기관(70)과, 히팅챔버(40)내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히팅챔버-배기관(80) 등이 콤팩트하게 배치되어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멸균챔버(20)는 전면이 개방되며 외벽이 금속[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 통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 멸균실(21)을 형성한다. 또한, 멸균실(21)에는 멸균 대상물을 수납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트레이(미도시)가 서랍식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멸균챔버(20)의 전면부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록킹유닛을 갖춘 챔버도어(30)를 통해 개폐된다. 이러한 멸균챔버(20)에는 내부압력과 내부온도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압력센서(23)와 온도센서(22)가 마련되며, 내부압력이 일정압력으로 올라가면 강제 배기시키기 위한 안전밸브(2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멸균챔버(20)에는 배기모드시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유입관(25)이 배치되며, 여기에는 에어 단속밸브(26)와 에어필터(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멸균챔버(20)의 외벽에는 건조모드에서 멸균챔버(20) 내부에 잔류하는 수분을 보다 빠르게 제거하기 위한 건조-히터(28)가 배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건조-히터(28)는 실리콘 열선히터로 적용하였다.
히팅챔버(40)는 소정량의 물을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여기에는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41)가 배치된다. 금속으로 제작된 히팅챔버(40)에도 안전밸브(4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히팅챔버(40) 내부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42)가 배치되며, 급수모드시 제어부에서는 수위감지센서(4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급수관(50)의 제1단속밸브(51)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히팅챔버(40)에는 물을 공급하며 중도에 제1단속밸브(51;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짐)가 배치된 급수관(50)이 연결되는데, 이 급수관(50)은 급수 연결호스(3)를 통해 수도전(1)과 연결되어 있다. 제1단속밸브(51)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로 적용하였다.
스팀-공급관(60)은 히터(41)의 구동으로 히팅챔버(40)에서 발생된 스팀을 멸균모드에서 멸균실(21)로 안내하는 것으로, 이의 중도에는 히팅챔버(40)로부터 전달되는 스팀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인 경우 개방되는 제2단속밸브(61)가 배치되어 있다. 제2단속밸브(61)는 스프링 포스를 통해 개방시기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타입으로 적용하였다.
멸균챔버-배기관(70)은 멸균챔버(20)의 멸균실(21)과 연통되어 배기모드에서 멸균챔버(20)내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의 중도에는 제3단속밸브(71)가 배치되어 있다. 제3단속밸브(71)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로 적용하였다.
히팅챔버-배기관(80)은 히팅챔버(40)의 저부와 연통되어 배기모드에서 히팅챔버(40)내의 물과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의 중도에는 제4단속밸브(8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4단속밸브(81) 역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로 적용하였다.
또한, 멸균챔버-배기관(70) 및 히팅챔버-배기관(80)의 출구단이 입구측에 연결되는 이젝터(100)가 배치된다. 이젝터(100;ejector)는 압력이 있는 물을 노즐에서 분사시켜 멸균챔버-배기관(70) 및 히팅챔버-배기관(80)을 통해 빠져나오는 스팀을 빠르게 배출시키는 것으로, 이의 출구측에는 드레인-호스(90)가 연결된다.
또한, 제1단속밸브(51) 상류측의 급수관(50)과 이젝터(100)를 연결하는 제1-급수분기관(110)이 마련되며, 이의 중도에는 배기모드에서 이젝터(100)측으로 물을 강제공급하여 멸균챔버(20)와 히팅챔버(40)로부터 빠져나오는 스팀을 냉각시키면서 수압을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워터펌프(120)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기모드에서 워터펌프(120)가 구동하면 수도전의 물이 고압으로 이젝터(100)측으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멸균챔버(20)와 히팅챔버(40)로부터 빠져나오는 스팀은 냉각되면서 빠르게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제1단속밸브(51)와 제3,제4단속밸브(71)(81) 및 히터(41), 워터펌프(120) 등의 구동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0)에 입력된 급수모드, 멸균모드, 배기모드, 건조모드의 제어프로그램에 제어된다.
한편, 의료용 증기멸균기의 내부 오동작에 따라 시스템이 다운될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멸균챔버 배기관(70) 및 히팅챔버-배기관(80)의 제3단속밸브(71)와 제4단속밸브(81)가 개방되어 고온/고압의 스팀이 자동으로 빠져나가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또한, 시스템이 다운되면 워터펌프(120)는 동작하지 않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도 배출 스팀이 수도전(1)의 물과 혼합되어 냉각되면서 빠져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1단속밸브(51) 상류측의 급수관(50)과 이젝터(100)의 출구측의 드레인-호스(90)측을 연결하는 제2-급수분기관(130)이 배치되며, 이 제2-급수분기관(130)의 중도에는 평상시 폐쇄된 상태를 노말클로즈형 제5단속밸브(13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드레인-호스(90)의 스팀 배기온도에 따라 온/오프되어 제5단속밸브(131)를 개폐 작동시키는 바이메탈 스위치(140)가 이젝터(100)의 출구측 드레인-호스(90)에 구비되어 있다. 이 바이메탈 스위치(140)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은 제어부와는 별도로 메인전원에서 분기되어 직접 공급되는 것으로, 바이메탈 스위치(140)는 드레인-호스(90)를 통한 스팀 배기온도가 일정온도(본 발명에서는 60℃에서 작동하는 타입으로 적용) 이상이면 온(ON)되어 제5단속밸브(131)에 전원을 공급 개방 작동시키고, 일정온도 이하이면 오프(OFF)되어 제5단속밸브(131)에 전원을 차단 폐쇄 작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시스템이 다운되어 멸균챔버(20)와 히팅챔버(40)내의 고온/고압 스팀이 배출되는 경우에도 수도전(1)의 물이 자동 공급되어 안전한 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 요소인 급수제어장치(300)는 수도전(1)으로부터의 급수 여부를 수동으로 제어함과 아울러 제어부(2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온/오프 상태로 유지시키며, 의료용 증기멸균기의 오프(off) 상태에서는 제1단속밸브(51)의 오동작에도 수도전(1)으로부터의 급수를 완전하게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제어장치(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단속밸브(51) 상류측의 급수관(5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급수관의 최상단부)에 설치되는 급수메인밸브(310)와; 본체(10)의 전면부(11)에 배치되면서 급수메인밸브(310)를 개폐 조작시키기 위한 조작손잡이(330)와;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조작손잡이(330) 회전동작에 따라 급수메인밸브(310)의 개폐동작 신호를 제어부(200)에 전달하는 스위칭유닛(340)을 구비하고 있다.
일방향 밸브(일명 단방향 밸브)로 이루어진 급수메인밸브(310)는 급수관(50)의 최상단부에 연결되며, 밸브몸체(311)에 내장된 콕밸브(312)가 90도 회전 동작에 따라 개폐가 제어된다.
조작손잡이(330)는 급수메인밸브(310)의 콕밸브(312)와 구동축(320)을 통해 직선상으로 연결되면서 본체(10)의 전면부(11)에 배치되는 것으로, 콕밸브(312)를 90도 회전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조작손잡이(330)가 수직 상태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급수메인밸브(310)의 콕밸브(312)가 폐쇄되고(도 3 참조), 조작손잡이(330)가 수평 상태에서는 급수메인밸브(310)의 콕밸브(312)가 개방되도록 구성하였다(도 4 참조).
스위칭유닛(340)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330) 회전조작에 따라 급수메인밸브(310)의 개폐동작 신호를 제어부(200)에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200)에서는 스위칭유닛(340)으로부터 급수메인밸브(310)의 개방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온(ON) 상태로 유지하며; 스위칭유닛(340)으로부터 급수메인밸브(310)의 폐쇄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오프(OFF) 상태로 유지하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스위칭유닛(340)은 접점부(341)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제어부(2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조작손잡이(330)의 구동축(320)에는 조작손잡이(330)의 90도 회전 동작에 따라 리미트스위치(340)의 접점부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기 위한 스위칭조작편(350)이 돌출되게 마련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증기멸균기의 급수 제어에 동작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제어장치(300)의 조작손잡이(330)를 수직 조작한 상태에서는 급수메인밸브(310)의 콕밸브(312)가 폐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조작손잡이(330) 구동축(320)의 스위칭조작편(350)이 스위칭유닛(340)의 접점부(341)를 누르고, 스위칭유닛(340)에서는 제어부(200)에 급수메인밸브(310)의 폐쇄된 신호(오프 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에서는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오프(OFF) 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제어장치(300)의 조작손잡이(330)를 수평 조작한 상태에서는 급수메인밸브(310)의 콕밸브(312)가 개방된다. 아울러 조작손잡이(330) 구동축(320)의 스위칭조작편(350)이 스위칭유닛(340)의 접점부(341)로터 떨어지고, 스위칭유닛(340)에서는 제어부(200)에 급수메인밸브(310)의 개방된 신호(온 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에서는 급수메인밸브(310)의 개방동작과 연계하여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온(ON) 상태로 유지시키며,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의료용 증기멸균기의 급수모드 → 멸균모드 → 배기모드 → 건조모드를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그리고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통한 멸균동작을 완전하게 마친 후 사용자가 급수제어장치(300)의 조작손잡이(330)를 수직으로 90도 회전 조작하면(도 3 참조), 다시 급수메인밸브(310)의 콕밸브(312)가 폐쇄된다. 아울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330) 구동축(320)의 스위칭조작편(350)은 스위칭유닛(340)의 접점부(341)를 누르고, 스위칭유닛(340)에서는 제어부(200)에 급수메인밸브(310)가 폐쇄된 신호(오프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200)에서는 급수메인밸브(310)의 폐쇄동작과 연계하여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오프(OFF) 상태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의료용 증기멸균기의 오프(OFF) 상태에서는 수도전(1)으로부터의 급수가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특히, 의료용 증기멸균기의 오프 시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제1단속밸브(51)가 이물질 등에 의한 오동작으로 개방되더라도, 증기멸균기의 오프(OFF) 상태에서는 급수메인밸브(310)가 폐쇄된 상태로 수도전(1)으로부터의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결국, 수도전(1)으로부터의 급수 여부를 기구적으로 제어하면서 증기멸균기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유지시켜 급수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본체 11..전면부 20..멸균챔버
21..멸균실 22..온도센서 23..압력센서
24..안전밸브 25..에어-유입관 26..에어-단속밸브
27..에어필터 28..건조히터 30..챔버도어
40..히팅챔버 41..히터 42..수위감지센서
43..안전밸브 50..급수관 51..제1단속밸브
60..스팀-공급관 61..제2단속밸브 70..멸균챔버-배기관
71..제3단속밸브 80..히팅챔버-배기관 81..제4단속밸브
90..드레인-호스 100..이젝터 110..제1-급수분기관
120..워터펌프 130..제2-급수분기관 131..제5단속밸브
140..바이메탈 스위치 200..제어부 300..급수제어장치
310..급수메인밸브 311..밸브몸체 312..콕밸브
320..구동축 330..조작손잡이 340..스위칭유닛
341..접점부 350..스위칭조작편

Claims (3)

  1. 본체(10)에 내장 설치되며 내부에는 멸균실(21)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멸균챔버(2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1)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멸균챔버(2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챔버도어(30)와; 상기 본체(10)에 내장 설치되며 물이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고 내부에는 히터(41)가 배치된 히팅챔버(40)와; 수도전(1)과 연결되어 상기 히팀챔버(40)로 물을 공급하며 중도에는 제1단속밸브(51)가 배치된 급수관(50)과; 상기 히터(41)의 구동으로 상기 히팅챔버(40)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멸균실(21)로 안내하며 중도에는 제2단속밸브(61)가 배치된 스팀-공급관(60)과; 상기 멸균챔버(20) 멸균실(21)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되게 안내하며 중도에는 제3단속밸브(71)가 배치된 멸균챔버-배기관(70)과; 상기 히팅챔버(40)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되게 안내하며 중도에는 제4단속밸브(81)가 배치된 히팅챔버-배기관(80)과; 상기 제1,제3,제4단속밸브(51)(71)(81)와 히터(41)의 구동을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증기멸균기는;
    상기 제1단속밸브(51)의 상류측 상기 급수관(50) 중도에 설치되며 밸브몸체(311) 내부에 설치된 콕밸브(312)가 90도 회전 동작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는 급수메인밸브(310)와;
    상기 급수메인밸브(310)의 콕밸브(312)와 구동축(320)을 통해 직선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1)에 배치되며, 상기 콕밸브(312)를 90도 회전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손잡이(330)와;
    상기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조작손잡이(330)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급수메인밸브(310)의 개폐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부(200)에 전달하는 스위칭유닛(340)을 구비하여;
    상기 수도전(1)으로부터의 급수 여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제어부(2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급수제어장치(3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스위칭유닛(340)으로부터 상기 급수메인밸브(310)의 개방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온(ON)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스위칭유닛(340)으로부터 상기 급수메인밸브(310)의 폐쇄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의료용 증기멸균기를 오프(OFF)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유닛(340)은 접점부(341)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손잡이(330)의 구동축(320)에는 상기 조작손잡이(330)의 90도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340)의 접점부(341)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칭조작편(350)이 돌출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
KR1020170119545A 2017-09-18 2017-09-18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 KR101982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45A KR101982581B1 (ko) 2017-09-18 2017-09-18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45A KR101982581B1 (ko) 2017-09-18 2017-09-18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676A true KR20190032676A (ko) 2019-03-28
KR101982581B1 KR101982581B1 (ko) 2019-05-28

Family

ID=6590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545A KR101982581B1 (ko) 2017-09-18 2017-09-18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5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608A (ko) * 2020-06-22 2021-12-29 최재환 입수라인히터가 구비된 순간가열식 온수기
KR20210157607A (ko) * 2020-06-22 2021-12-29 최재환 순간가열식 온수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296B1 (ko) * 2006-11-28 2007-09-04 주식회사 엠케이티 의료용 소형 증기멸균기
KR20130102297A (ko) *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대정밸브 밸브용 리미트스위치
KR101317386B1 (ko) * 2012-04-02 2013-10-11 주식회사 엠케이티 의료용 증기멸균기
JP2013248208A (ja) * 2012-05-31 2013-12-12 Hiruson Dekku Kk 蒸気滅菌器
KR101420996B1 (ko) * 2014-01-28 2014-07-17 유형열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물 공급 및 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296B1 (ko) * 2006-11-28 2007-09-04 주식회사 엠케이티 의료용 소형 증기멸균기
KR20130102297A (ko) *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대정밸브 밸브용 리미트스위치
KR101317386B1 (ko) * 2012-04-02 2013-10-11 주식회사 엠케이티 의료용 증기멸균기
JP2013248208A (ja) * 2012-05-31 2013-12-12 Hiruson Dekku Kk 蒸気滅菌器
KR101420996B1 (ko) * 2014-01-28 2014-07-17 유형열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물 공급 및 배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608A (ko) * 2020-06-22 2021-12-29 최재환 입수라인히터가 구비된 순간가열식 온수기
KR20210157607A (ko) * 2020-06-22 2021-12-29 최재환 순간가열식 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581B1 (ko)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386B1 (ko) 의료용 증기멸균기
CN107398456B (zh) 用于再处理医疗装置的设备和方法
EP1992684B1 (en) Incubator for isolator
KR101982581B1 (ko)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
KR100942291B1 (ko) 최적 환경 구현을 위한 축사용 냉/온수 분무장치
EP1941914A1 (en) Endoscope washer disinf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cleaning and disinfecting agent used thereby
KR20060125551A (ko) 감소된 막힘을 가지는 내시경 세척기 커넥터
KR101177868B1 (ko) 핸드피스 소독 멸균장치
US20180214589A1 (en) Sterilizing Using Ozone
JP2010506633A (ja) オゾン滅菌の方法及び装置
EP1654399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US20200061230A1 (en)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US3431065A (en) Autoclave
KR20170133197A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100755296B1 (ko) 의료용 소형 증기멸균기
KR20120015174A (ko) 소독장치
KR101697332B1 (ko)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KR100554443B1 (ko) 수위감지장치를 갖춘 의료용 멸균장치
US20020044898A1 (en) Instrument securing device for a sterilizer
KR100856057B1 (ko) 소독기
JPH03111026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6370616B2 (ja) 感染性廃棄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EP3281645B1 (en) Features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of endoscope from reprocessing system
JP2022055181A (ja) 滅菌器
JP6909443B2 (ja) 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