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332B1 -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332B1
KR101697332B1 KR1020150119088A KR20150119088A KR101697332B1 KR 101697332 B1 KR101697332 B1 KR 101697332B1 KR 1020150119088 A KR1020150119088 A KR 1020150119088A KR 20150119088 A KR20150119088 A KR 20150119088A KR 101697332 B1 KR101697332 B1 KR 101697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ealing
gas
inert gas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순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to KR102015011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에 유골(골분)이 수용되는 봉안함 또는 봉안단(봉안함이 수용된 케이스)의 내부를 진공 및 충전처리함에 있어서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열풍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제습 및 살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Vacuum and filling apparatus having a heater}
본 발명은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에 유골(골분)이 수용되는 봉안함 또는 봉안단(봉안함이 수용된 케이스)의 내부를 진공 및 충전처리함에 있어서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열풍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제습 및 살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장묘문화의 변화에 따라 사람이 사망한 후 매장을 하지 않고, 화장을 한 후 유골을 봉안함에 넣어 납골당 등에 안치하는 경우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골을 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봉안함이 최근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데,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봉안함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측에 수용된 골분 형태의 유골이 공기 중의 습기와 미세 세균 등의 오염원에 의하여 부패되거나 변질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봉안함을 케이스에 넣고, 케이스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하거나, 진공 상태의 케이스 내부에 질소 등의 가스를 주입하여 유골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고안되었다.
하지만, 케이스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할 때, 케이스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에 의해 케이스의 형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재질을 두껍고 견고한 재질로 마련하였으나, 이는 비용의 증가 및 봉안함을 모시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9855호에는 봉안함 진공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진공포장된 봉안함이 안치되는 봉안단"이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봉안함 또는 봉안함이 수용된 케이스를 진공 포장할 시, 봉안함 또는 케이스의 외부기압을 봉안함 또는 케이스의 내부기압과 동등하게 하여 봉안함 또는 케이스의 형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진공 상태로 포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봉안함을 진공 포장하는 경우 봉안함의 내,외부 기압을 동일하게 하여 봉안함 또는 케이스의 형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봉안함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7120호에는 유골용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골 살균 방법이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내측에 유골이 수용되는 챔버의 내부에 가열기기와 살균기기를 설치하여 유골에 포함된 유해균을 살균함과 동시에 유골을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유골의 살균과 건조를 동시에 진행하여 유골처리 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가열기기가 챔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챔버 내측의 유골 보관부재 및 공기를 직접 가열하므로 유골 보관부재에 열변형이 발생되어 밀폐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장기간 사용시 챔버에 열변형이 발생되어 밀폐력에 문제가 생기거나, 챔버의 내구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챔버와 가열기기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챔버 내부의 구성이 너무 복잡해지고, 기존 챔버와의 호환이 불가능하며, 유지 및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9855호(2008. 06. 19. 공고)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7120호(2014. 10. 0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챔버에 수용되는 봉안함 또는 봉안단에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에 열풍히터를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열풍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태의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제습 및 살균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으로 이중관을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의 공급과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 혼합기체의 배출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제습 및 살균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가열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직접 공급함으로써 봉안함 또는 봉안단을 직접 가열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봉안함 또는 봉안단이 수용된 챔버와, 상기 챔버에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과, 상기 챔버와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처리하는 진공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및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가열하는 열풍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에 유골이 골분 형태로 수용된 봉안함 또는 상기 봉안함이 내측에 수용된 봉안단과, 상기 봉안함 또는 봉안단에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 및 상기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가열하는 열풍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은 봉안함 또는 봉안단에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공급과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혼합기체의 배출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밸브와, 일측 단부에 상기 체크밸브에 연결 설치되는 충전구가 형성되고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공급을 위한 내부 통로와 혼합기체의 배출을 위한 외부 통로가 형성된 이중관 형태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중간에 열풍히터가 연결 설치되어 열풍히터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연결관으로 공급하는 가스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과 가스공급관 사이의 연결부에는 연결관의 외부 통로를 통해 공급되는 혼합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에는 배출관을 통한 혼합 기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제어밸브와, 혼합 기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공급관의 단부에는 공기의 공급을 위한 공기 공급관과, 불활성가스의 공급을 위한 불활성가스 공급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열풍히터와 공기 공급관 및 불활성가스 공급관의 사이에는 가스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가스압력센서와,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가스공급 제어밸브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열풍히터와 가스공급 제어밸브의 사이에는 바이패스 밸브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처리수단은 챔버와 진공펌프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챔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밸브와, 상기 챔버에 연결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챔버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밸브 및 진공펌프와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혼합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3제어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챔버에는 챔버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압력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에는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부 온도 및 습도 측정을 위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풍히터에는 열풍히터의 가동 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와, 열풍히터에 의해 가온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조절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어가 설치된 상기 챔버의 전면에는, 챔버 내부의 진공압력을 표시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압력표시부와; 진공 및 충전장치의 구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 또는 전환시키거나 긴급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드제어부와; 진공 및 충전장치의 구동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조작부와; 진공 및 충전장치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압력을 표시하는 가스압력표시부와; 진공 및 충전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부; 및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표시하는 온도/습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어패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챔버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열풍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제습 및 살균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으로 이중관을 사용하여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로의 가열된 공기의 공급과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 혼합기체의 배출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안함 내부의 제습 및 살균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열풍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직접 공급함으로써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제습 및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봉안함 또는 봉안단을 직접 가열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챔버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연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챔버의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연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내측에 유골(골분)이 수용되는 봉안함 또는 봉안함이 수용된 케이스(이하, '봉안단'이라 한다)의 내부를 진공 및 충전처리함에 있어서,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열풍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제습 및 살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10)(이하, '진공 및 충전장치(10)'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챔버(100),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200), 진공처리수단(300) 및 열풍히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및 충전장치(10)는 챔버(100)의 내부에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을 설치하여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진공처리한 후 불활성가스를 충전시키는 등의 작업을 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챔버(100)의 내부에 봉안함(20)이 설치된 경우와, 봉안함(20)을 포함하는 케이스, 즉 봉안단(30)이 설치된 경우 후술할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200)이 연결되는 대상만 봉안함(20)과 봉안단(30)으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 및 작용효과는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두 가지 실시예를 동시에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챔버(100)는 내측에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즉 안쪽에 봉안함(20)이 수용되어 있는 밀폐된 공간을 갖는 봉안단(3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것으로, 전면에는 수용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어(120)가 설치되고, 수용공간의 안쪽에는 내측에 수용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이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안치구(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어(120)가 설치되는 챔버(100)의 전면 일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및 충전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130)이 구비되고, 챔버(100)의 하부에는 챔버(1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40)에는 후술할 진공펌프(340)와,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살균 및 봉안함(20) 내부에 수용된 유골(골분)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질소, 아르곤, 크립톤 등의 불활성가스(이하, '불활성가스'라 한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290) 등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하부에는 챔버(100)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는 바퀴(15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 상기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200)은 챔버(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공급하고, 공기의 공급에 의해 혼합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혼합기체, 즉 봉안함(2) 또는 봉안단(3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와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던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크밸브(210), 연결관(220) 및 가스공급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후술하겠지만, 상기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는 열풍히터(40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므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던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가열된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기화되어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200)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기화된 수분을 포함하는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200)을 통해 빠져나가는 공기를 '혼합기체'로 표현하기로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체크밸브(210)는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과 연결관(220)에 연결 설치되어 연결관(220)을 통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공급과,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측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혼합기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210)는 연결관(220)을 통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공급과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 혼합기체의 배출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체크밸브(210)는 그 내부에 이중관 형태의 통로가 형성되어, 중앙에 형성된 내부 통로를 통해 공기 및 불활성가스가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내부 통로의 외측에 형성된 외부 통로를 통해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혼합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연결관(220)은 체크밸브(210)와 가스공급관(23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가스공급관(23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 공급하고, 체크밸브(210)를 통해 배출되는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혼합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 단부에는 체크밸브(210)에 연결 설치되는 충전구(2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관(2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충전구(222)는 체크밸브(210)에 형성된 이중관 형태의 통로에 모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연결관(220) 또한 중앙부에 형성되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내부 통로(220a)와, 내부 통로(220a)의 외측에 형성되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혼합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외부 통로(220b)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연결관(220)의 다른 실시예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220a)와,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혼합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220b)를 각각 별개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220a)는 가스공급관(230)에 연결 설치되고, 혼합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220b)에는 후술할 배출관(224)과, 배출제어밸브(226) 및 유량조절기(22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혼합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220b)에는 온도센서(225) 및 습도센서(227)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온도센서(225)와 습도센서(227)는 상기 통로(220b)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기체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측정함으로써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상기 가스공급관(230)은 연결관(220)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로 공급될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연결관(22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후술하겠지만, 상기 가스공급관(230)은 연결관(220)의 (외부) 통로(220b)를 통해 배출되는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혼합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스공급관(230)에는 열풍히터(400)가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열풍히터(400)는 가스공급관(23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열풍히터(400)를 이용하여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가열하여 가스공급관(230) 및 연결관(220)을 통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공급함으로써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제습효과와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직접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 주입시킴으로써 고온에 의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열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챔버(100) 내로 공급하거나 챔버(100)의 내부에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직접적으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에 전해지는 고온에 의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형상이 변형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챔버(100)의 외부에서 열풍히터(400)를 이용하여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직접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 공급함으로써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열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열풍히터(400)는 가스공급관(2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를 통해 기존에 사용되는 챔버(100)에 열풍히터(40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열풍히터(400)의 양측 단부에 가스공급관(230)과 연통될 수 있는 배관을 설치하여 플랜지 결합 등의 방법에 의해 가스공급관(230)의 중간 부분에 열풍히터(400)가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챔버 등의 진공 및 충전장치에도 열풍히터(400)를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열풍히터(40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유지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열풍히터(400)에는 열풍히터(400)의 가동시간을 조절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410)와, 열풍히터(400)에 의한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가열 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조절기(420)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결관(220)과 가스공급관(230) 사이의 연결부에는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관(220)의 외부 통로(220b)를 통해 배출되는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혼합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관(224)이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224)에는 배출관(224)을 통한 혼합기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제어밸브(226)와, 배출관(224)을 통한 혼합기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228)가 설치된다.
또한, 전술할 온도센서(225)와 습도센서(227)가 배출관(224)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가스공급관(230)의 타측 단부, 즉 연결관(220)과 연결되는 가스공급관(230)의 일측 단부와 반대되는 쪽의 단부에는 가스공급관(23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240)과,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불활성가스 공급관(250)이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관(240)은 에어컴프레셔 또는 송풍기(미도시)에 연결 설치되고, 불활성가스 공급관(250)은 불활성가스 저장탱크(290)에 연결 설치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가스공급관(230)에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공기공급관(240) 및 불활성가스 공급관(250)에도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가 각각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가스공급관(230)에는 가스압력센서(260)와 가스공급 제어밸브(270)가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가스압력센서(260)는 열풍히터(400)와 공기공급관(240) 및 불활성가스 공급관(25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공기공급관(240) 및 불활성가스 공급관(250)으로부터 가스공급관(23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와 불활성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가스공급 제어밸브(270)는 공기공급관(240) 및 불활성가스 공급관(250)으로부터의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열풍히터(400)와 가스공급 제어밸브(270)의 사이에는 바이패스 밸브(28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바이패스 밸브(280)는 가스압력센서(260)에 의해 측정된 공기와 불활성가스의 공급 압력이 기준압력 또는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개방되어 공기와 불활성가스의 공급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공기공급관(240) 또는 불활성가스 공급관(25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 상기 진공처리수단(300)은 챔버(100)와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거나 진공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제어밸브(310), 제2제어밸브(320) 및 제3제어밸브(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제어밸브(310)는 챔버(100)와 진공펌프(34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진공펌프(340)의 구동에 의해 챔버(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챔버(10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2제어밸브(320)는 챔버(100)에 연결 설치되어 챔버(100) 외부의 공기가 챔버(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챔버(100) 내부가 진공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3제어밸브(330)는 진공펌프(340)와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200)의 가스공급관(23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진공펌프(340)의 구동에 의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혼합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챔버(100)에는 진공압력센서(1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진공압력센서(110)는 챔버(100) 내부의 진공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진공처리수단(300), 즉 제1제어밸브(310)와 제2제어밸브(320) 및 제3제어밸브(330)의 구동이 설정된 챔버(10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압력센서(110)와 전술한 온도센서(225) 및 습도센서(227)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및 충전장치(10)의 구동이 상기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챔버(10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어패널(130)은 진공압력표시부(131), 모드제어부(132), 수동조작부(133), 상태표시부(134), 가스압력표시부(135), 전원부(136) 및 온도/습도 표시부(13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먼저 상기 진공압력표시부(131)는 진공압력센서(110)에 의해 측정되는 챔버(100) 내부의 진공압력을 표시함과 동시에 챔버(100) 내부의 진공압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후술하겠지만, 챔버(100) 내부의 압력과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압력에 차이가 발생될 경우 압력 차에 의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형상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진공처리과정에서 챔버(100) 내부의 압력과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압력은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챔버(10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진공처리수단(300)의 구동이 제어되므로 진공압력표시부(131)에 의해 챔버(100) 내부의 진공압력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진공처리수단(300)의 구동을 위한 챔버(100) 내부의 진공압력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모드제어부(13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및 충전장치(10)의 구동 모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작업 도중 자동모드에서 수동모드 또는 수동모드에서 자동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 도중 진공 및 충전장치(10)에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모드제어부(132)를 통해 진공 및 충전장치(10)의 구동을 비상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수동조작부(133)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및 충전장치(10)가 수동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진공 및 충전장치(10)에 구비된 밸브들, 즉 체크밸브(210), 배출제어밸브(226), 가스공급 제어밸브(270), 바이패스 밸브(280) 및 제1 내지 제3제어밸브(310,320,330)의 구동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상태표시부(134)는 진공 및 충전장치(10)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압력표시부(135)는 가스압력센서(260)에 의해 측정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공급 압력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전원부(136)는 진공 및 충전장치(10)의 전원을 온/오프로 설정하여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온도/습도 표시부(137)는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200)의 연결관(220) 또는 배출관(224)에 설치되는 온도센서(225) 및 습도센서(227)에 의해 측정되는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표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진공 및 충전장치(10)의 자동 구동을 위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및 충전장치(10) 중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200)과 진공처리수단(300) 및 열풍히터(400)를 챔버(1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에 설치하여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공기를 건조 및 살균시키고,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에 불활성가스를 충전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및 충전장치(10)를 이용하여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을 진공 및 충전처리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챔버(100)의 도어(120)를 열고 챔버(100) 내부의 수용공간에 구비된 안치구(40)에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을 안치시킨 후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에 체크밸브(210)를 결합시킨다.
그 후, 상기 체크밸브(210)에 이중관 형태의 연결관(220)에 형성된 충전구(222)를 결합시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과 연결관(220)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챔버(100)의 도어(120)를 닫아 챔버(100) 내부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킨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210)에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220a)와,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혼합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220b)가 별개로 형성된 연결관(220)을 연결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열풍히터(400)를 가스공급관(230)에 연결 설치하고, 제1 내지 제3제어밸브(310,320,330)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열풍히터(400)를 작동시킨다.
그 후,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에 설치된 체크밸브(210)를 개방하고, 공기공급관(240)으로부터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스공급관(230)으로 공급하여, 열풍히터(40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가스공급관(230)과 연결관(220)의 내부 통로(220a) 및 체크밸브(210)의 내부 통로를 통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 공급된 가열된 공기는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에 존재하던 공기와 혼합되면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기화시켜 건조시키고,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살균작용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 가열된 공기를 직접 공급함으로써 고온에 의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제습 효과를 증진시키고, 제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 가열된 공기와 불활성가스가 혼합된 기체를 주입하거나, 가열된 불활성가스만을 공급하여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제습 및 살균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동시에, 연결관(220)과 가스공급관(23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된 배출관(224)에 구비된 배출제어밸브(226)를 열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측에 존재하던 수분을 포함하는 혼합기체가 체크밸브(210)의 외부 통로와 이에 연결된 연결관(220)의 외부 통로(220b) 및 배출관(2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로의 가열된 공기의 유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제어밸브(226)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기체의 배출량은 배출관(224)에 구비된 유량조절기(22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연결관(220) 또는 배출관(224)에 설치된 습도센서(227)에 의해 측정되는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습도가 설정치 이하가 될 때까지 지속되며, 챔버(100)의 제어패널(130)에 형성된 온도/습도 표시부(137)를 통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습도가 설정치 이하로 떨어진 것을 확인하게 되면, 가스공급관(230)에 구비된 가스공급 제어밸브(270)를 닫아 더 이상의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다음, 진공펌프(340)를 구동하고, 진공펌프(340)에 연결 설치된 제1제어밸브(310)와 제3제어밸브(330)를 열어 챔버(100) 내부의 공기가 제1제어밸브(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혼합기체는 체크밸브(210)의 외부 통로와 연결관(220)의 외부 통로(220b) 및 가스공급관(230)을 경유하여 제3제어밸브(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챔버(100) 내부와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챔버(100)와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진공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이유는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외부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진공작업은 챔버(100)에 구비된 진공압력센서(110)에 의해 측정되는 챔버(100) 내부의 진공압력이 기설정된 압력에 이를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되며, 이와 같은 진공압력의 설정 및 확인은 챔버(100)의 제어패널(130)에 구비된 진공압력표시부(13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작업이 완료되면 진공펌프(340)의 구동을 종료하고, 제1제어밸브(310) 및 제3제어밸브(330)를 닫은 후, 가스공급 제어밸브(270)를 열어 불활성가스 공급관(250)으로부터 불활성가스를 가스공급관(230)과 연결관(220) 및 체크밸브(210)를 통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로 공급하는 충전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불활성가스는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에 수용된 유골(골분)의 부패 및 세균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불활성가스를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로 주입시키는 과정과 동시에 챔버(100)에 연결 설치된 제2제어밸브(320)를 열어 챔버(100) 외부의 공기가 기압 차에 의해 챔버(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또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외부의 기압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챔버(10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경우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진공처리 및 불활성가스의 충전이 완료된 후 챔버(100)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에 의해 챔버(100)의 도어(120)가 열리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제2제어밸브(320)를 통해 외부 공기를 챔버(100)의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모든 작업이 완료된 후에 챔버(100)의 도어(120)가 용이하게 오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불활성가스의 충전이 완료되면, 가스공급 제어밸브(270)를 닫음으로써 불활성가스의 공급을 중단시키고,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에 설치된 체크밸브(210)를 닫음으로써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을 밀폐시킨 후 챔버(100)의 도어(120)를 열고, 체크밸브(210)에 연결 설치된 연결관(220)의 충전구(222)를 분리시키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진공처리작업 및 충전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을 챔버(100)의 내부에 집어 넣지 않고,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200) 등을 직접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에 설치하여 봉안함(20) 및 봉안단(30)의 제습 및 살균작업과 불활성가스 충전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에 체크밸브(210)를 결합시킨 후, 상기 체크밸브(210)에 이중관 형태의 연결관(220)에 형성된 충전구(222)를 결합시켜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과 연결관(220)을 연결시킨다.
다음, 열풍히터(400)를 가스공급관(230)에 연결 설치하여 열풍히터(400)를 작동시킨 후,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에 설치된 체크밸브(210)를 개방하고, 공기공급관(240)으로부터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스공급관(230)으로 공급하여, 열풍히터(40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가스공급관(230)과 연결관(220)의 내부 통로(220a) 및 체크밸브(210)의 내부 통로를 통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기화시켜 건조시키고,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살균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연결관(220)과 가스공급관(23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된 배출관(224)에 구비된 배출제어밸브(226)를 열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측에 존재하던 수분을 포함하는 혼합기체가 체크밸브(210)의 외부 통로와 이에 연결된 연결관(220)의 외부 통로(220b) 및 배출관(2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로의 가열된 공기의 유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제습 및 살균작업이 완료되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20) 내부로의 가열된 공기 공급을 중단시킨 후, 진공펌프(340)를 구동하고 진공펌프(340)에 연결 설치된 제3제어밸브(330)를 개방하여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혼합기체가 체크밸브(210)의 외부 통로와 연결관(220)의 외부 통로(220b) 및 가스공급관(230)을 경유하여 제3제어밸브(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진공작업이 완료되면 진공펌프(340)의 구동을 종료하고, 가스공급 제어밸브(270)를 열어 불활성가스 공급관(250)으로부터 불활성가스를 가스공급관(230)과 연결관(220) 및 체크밸브(210)를 통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부로 공급하는 충전작업을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불활성가스의 충전이 완료되면, 가스공급 제어밸브(270)를 닫음으로써 불활성가스의 공급을 중단시키고,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에 설치된 체크밸브(210)를 닫음으로써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을 밀폐시킨 후 체크밸브(210)에 연결 설치된 연결관(220)의 충전구(222)를 분리시키면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진공처리작업 및 충전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챔버(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열풍히터(400)에 의해 가열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제습 및 살균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200)으로 이중관을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의 공급과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수분을 포함하는 혼합기체의 배출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제습 및 살균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내측으로 챔버(100)의 외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직접 공급함으로써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 내부의 제습 및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을 직접 가열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봉안함(20) 또는 봉안단(30)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에 유골(골분)이 수용되는 봉안함 또는 봉안단(봉안함이 수용된 케이스)의 내부를 진공 및 충전처리함에 있어서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열풍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 및 불활성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제습 및 살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10 : 진공 및 충전장치 20 : 봉안함
30 : 봉안단 100 : 챔버
110 : 진공압력센서 120 : 도어
130 : 제어패널 131 : 진공압력표시부
132 : 모드제어부 133 : 수동조작부
134 : 상태표시부 135 : 가스압력표시부
136 : 전원부 137 : 온도/습도 표시부
140 : 지지프레임 150 : 바퀴
200 :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 210 : 체크밸브
220 : 연결관 222 : 충전구
224 : 배출관 225 : 온도센서
226 : 배출제어밸브 227 : 습도센서
228 : 유량조절기 230 : 가스공급관
240 : 공기공급관 250 : 불활성가스 공급관
260 : 가스압력센서 270 : 가스공급 제어밸브
280 : 바이패스 밸브 290 : (불활성가스) 저장탱크
300 : 진공처리수단 310 : 제1제어밸브
320 : 제2제어밸브 330 : 제3제어밸브
340 : 진공펌프 400 : 열풍히터
410 : 타이머 420 : 온도조절기

Claims (10)

  1. 내측에 봉안함 또는 봉안단이 수용된 챔버와, 상기 챔버에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과, 상기 챔버와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처리하는 진공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및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가열하는 열풍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은 봉안함 또는 봉안단에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공급과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혼합기체의 배출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밸브와,
    일측 단부에 상기 체크밸브에 연결 설치되는 충전구가 형성되고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공급을 위한 내부 통로와 혼합기체의 배출을 위한 외부 통로가 형성된 이중관 형태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중간에 열풍히터가 연결 설치되어 열풍히터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연결관으로 공급하는 가스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2. 내측에 유골이 골분 형태로 수용된 봉안함 또는 상기 봉안함이 내측에 수용된 봉안단과,
    상기 봉안함 또는 봉안단에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 및
    상기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가열하는 열풍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은 봉안함 또는 봉안단에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공급과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혼합기체의 배출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밸브와,
    일측 단부에 상기 체크밸브에 연결 설치되는 충전구가 형성되고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공급을 위한 내부 통로와 혼합기체의 배출을 위한 외부 통로가 형성된 이중관 형태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중간에 열풍히터가 연결 설치되어 열풍히터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와 불활성가스를 연결관으로 공급하는 가스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과 가스공급관 사이의 연결부에는 연결관의 외부 통로를 통해 공급되는 혼합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에는 배출관을 통한 혼합 기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제어밸브와, 혼합 기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기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관의 단부에는 공기의 공급을 위한 공기 공급관과, 불활성가스의 공급을 위한 불활성가스 공급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열풍히터와 공기 공급관 및 불활성가스 공급관의 사이에는 가스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가스압력센서와,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가스공급 제어밸브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히터와 가스공급 제어밸브의 사이에는 바이패스 밸브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처리수단은 챔버와 진공펌프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챔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밸브와, 상기 챔버에 연결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챔버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제어밸브 및 진공펌프와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혼합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3제어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는 챔버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압력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 공급 및 배출수단에는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부 온도 및 습도 측정을 위한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히터에는 열풍히터의 가동 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와, 열풍히터에 의해 가온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조절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도어가 설치된 상기 챔버의 전면에는, 챔버 내부의 진공압력을 표시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압력표시부와;
    진공 및 충전장치의 구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 또는 전환시키거나 긴급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드제어부와;
    진공 및 충전장치의 구동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조작부와;
    진공 및 충전장치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와;
    봉안함 또는 봉안단의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 및 불활성가스의 압력을 표시하는 가스압력표시부와;
    진공 및 충전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부; 및
    봉안함 또는 봉안단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표시하는 온도/습도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어패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KR1020150119088A 2015-08-24 2015-08-24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KR101697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88A KR101697332B1 (ko) 2015-08-24 2015-08-24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88A KR101697332B1 (ko) 2015-08-24 2015-08-24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332B1 true KR101697332B1 (ko) 2017-01-23

Family

ID=5799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088A KR101697332B1 (ko) 2015-08-24 2015-08-24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3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189A (ko) * 2019-07-08 2021-01-18 (주)지산비엠피 봉안함을 밀폐 보관시키는 봉안함 밀폐 보관 장치
KR20210008548A (ko) * 2019-07-08 2021-01-22 (주)지산비엠피 봉안함을 밀폐 보관시키는 봉안함 밀폐 보관 장치 및 방법
KR102366706B1 (ko) * 2021-06-02 2022-02-23 유광열 가정용 반려동물 유골 안치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234B1 (ko) * 2005-10-07 2006-09-01 (주)지구통신건설 (Gk) 진공 가압 방식의 밀폐구조를 갖는 납골함.
KR100839855B1 (ko) 2007-05-09 2008-06-19 이순호 봉안함 진공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진공포장된봉안함이 안치되는 봉안단
KR20120020215A (ko) * 2010-08-27 2012-03-08 (주)메디칼어플라이언스 오존을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KR20130122203A (ko) * 2012-04-30 2013-11-07 양송철 유골함 밀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유골함을 밀봉하는 방법
KR20140020624A (ko) * 2012-08-10 2014-02-19 양송철 유골용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골 살균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234B1 (ko) * 2005-10-07 2006-09-01 (주)지구통신건설 (Gk) 진공 가압 방식의 밀폐구조를 갖는 납골함.
KR100839855B1 (ko) 2007-05-09 2008-06-19 이순호 봉안함 진공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진공포장된봉안함이 안치되는 봉안단
KR20120020215A (ko) * 2010-08-27 2012-03-08 (주)메디칼어플라이언스 오존을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KR20130122203A (ko) * 2012-04-30 2013-11-07 양송철 유골함 밀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유골함을 밀봉하는 방법
KR20140020624A (ko) * 2012-08-10 2014-02-19 양송철 유골용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골 살균 방법
KR101447120B1 (ko) 2012-08-10 2014-10-06 양송철 유골용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골 살균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189A (ko) * 2019-07-08 2021-01-18 (주)지산비엠피 봉안함을 밀폐 보관시키는 봉안함 밀폐 보관 장치
KR20210008548A (ko) * 2019-07-08 2021-01-22 (주)지산비엠피 봉안함을 밀폐 보관시키는 봉안함 밀폐 보관 장치 및 방법
KR102218613B1 (ko) 2019-07-08 2021-02-22 (주)지산비엠피 봉안함을 밀폐 보관시키는 봉안함 밀폐 보관 장치
KR102484376B1 (ko) 2019-07-08 2023-01-03 (주)지산비엠피 봉안함을 밀폐 보관시키는 봉안함 밀폐 보관 장치 및 방법
KR102366706B1 (ko) * 2021-06-02 2022-02-23 유광열 가정용 반려동물 유골 안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332B1 (ko) 열풍히터가 구비된 진공 및 충전장치
EP0016887B1 (en) Gas steri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464265B2 (en) Incubator for isolator
US4294804A (en) Pressure responsive conditioning control gas sterilization
US4108601A (en) Steam sterilizing apparatus
CN107970460A (zh) 一种高温灭菌器及使用其进行灭菌的方法
KR101118519B1 (ko) 살균 챔버를 가습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1021207B1 (en) Sterilisation apparatus
CN106062652B (zh) 用于控制湿度的系统和方法
US20120048883A1 (en) Assembly for Removing a Medium from a Pressurized Container
KR101358073B1 (ko)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CA21726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zing infectious waste
US20160215252A1 (en) Incubator
KR20120015174A (ko) 소독장치
KR101982581B1 (ko) 급수제어장치를 갖춘 의료용 증기멸균기
US5364590A (en) Method for sterilization of objects
JP5100506B2 (ja) 高圧蒸気滅菌器
JP4344702B2 (ja) 培養装置
JP3063176U (ja) 高圧蒸気滅菌装置
JPH11253141A (ja) 加圧殺菌装置
KR200426988Y1 (ko) 멸균기
RU2156622C1 (ru) Срерилизатор
JP3643723B2 (ja) 蒸気滅菌器
CN209847880U (zh) 一种塑料安瓿的输液制剂制备系统
JPH10137325A (ja) 蒸気滅菌装置の連続運転方法を持った滅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