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055A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055A
KR20190031055A KR1020170118900A KR20170118900A KR20190031055A KR 20190031055 A KR20190031055 A KR 20190031055A KR 1020170118900 A KR1020170118900 A KR 1020170118900A KR 20170118900 A KR20170118900 A KR 20170118900A KR 20190031055 A KR20190031055 A KR 20190031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ear member
gear
hand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9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1858B1 (en
Inventor
곽동훈
고재환
권혁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8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858B1/en
Priority to US16/002,143 priority patent/US10925453B2/en
Priority to EP18814408.3A priority patent/EP3634191A4/en
Priority to PCT/KR2018/006467 priority patent/WO2018226041A1/en
Priority to AU2018281658A priority patent/AU2018281658B2/en
Publication of KR20190031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0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8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Abstract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 handle arranged at the main body and formed so as to be gripped by a user; a driving unit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moving the main body; a gear unit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handl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t least one between the gear unit and the driving unit. The gear un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gear member connected to the handle and a second gear memb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사용자를 보조해서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쉽게 조작해서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capable of supporting a user and moving the main body, and a vacuum cleaner capable of easily moving the main body by a us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 모터를 이용하여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흡입한 다음 상기 본체 내부에서 먼지 및 이물 등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vacuum cleaner sucks dirt and foreign substances existing on a surface to be cleaned by using a suction motor provided inside a main body, and then filters dirt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main body.

최근에는 위와 같은 진공 청소기에 배터리를 설치하여 청소기가 자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선을 통해 외부 전력원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도 청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진공 청소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진공 청소기의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자율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Recently, a battery is installed in a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and a cleaner can supply power to the cleaner, thereby performing a cleaning function even when the cleaner is not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a power line. 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may include a driving unit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to generate a driving force, and the controller of the vacuum cleaner may perform autonomous traveling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상기와 같은 진공 청소기는 흡입 노즐이 본체와 연결되어 본체와 함께 이동하는 업라이트(up-right) 타입의 진공 청소기와, 흡입 노즐이 본체와 연장관, 핸들, 호스 등에 의해서 연결되어 캐니스터(canister) 타입의 진공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includes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in which a suction nozzle is connected to a main body and moves together with the main body, and a suction nozzl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by an extension pipe, a handle, a hose, It can be divided into vacuum cleaner.

두 종류의 진공 청소기 중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등이 내장되는 진공 청소기 본체와,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흡입 노즐이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진공 청소기의 본체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mong the two types of vacuum cleaners,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includes a vacuum cleaner main body in which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is built in, and dust and foreign matters scattered on the cleaned surface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And a handle that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so that the suction nozzle is moved along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grip being gripped by the user.

즉, 상기 본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흡입 모터가 구동되면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 노즐로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motor is driven,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and air including dust and foreign matter scattere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suction nozzle i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그리고, 먼지 및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된 집진통의 내부에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다.Air including dust, foreign matter, and the like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and dust, foreign matter, and the like are separated by the cyclone principle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unted on the main body.

상기와 같이 분리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상기 집진통 내부에 포집되고,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 공기는 공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The separated dust, foreign matter, and the like ar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separated air, such as dust and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air discharging portion.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만 이동이 되기 때문에,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할 때에 청소면의 마찰이 크거나 청소기의 하중이 큰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피로도가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Since such a vacuum cleaner is moved only by the user's force, there is a problem that fatigue occurs to the user when the cleaning surface is large while the cleaning is performed while moving the vacuum cleaner, or when the load of the vacuum cleaner is large.

특히, 업라이트 타입의 진공 청소기의 경우, 다른 타입의 청소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업라이트 타입의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vacuum cleaner of the upright type has a relatively heavy weight as compared with the vacuum cleaners of other types, which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use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일반적인 업라이트 타입의 진공 청소기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인가하는 물리력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바퀴를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vacuum cleaner of a general upright type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ng wheel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force applied by the user.

그러나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바퀴를 구비하는 것만으로는 진공 청소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the vacuum cleaner smoothly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only by having a passively rotating whee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체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reducing the magnitude of force required to move or rotate a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쉽게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which can be easily moved or rotated by a use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청소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시키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 및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제1 기어부재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2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main body, a handle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be gripped by a user, a handle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gear unit and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gear unit includes a first gear member connected to the handle, and a second gear memb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Member. ≪ / RTI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본체에 대해, 지면이 대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gear portion connects the main body and the handle such that the handle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round surface is opposed to the main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gear member is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gear member is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hand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와 상기 손잡이의 결합체는, 상기 본체의 일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gear member and the handle is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main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와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gear member and the second gear member are formed to mesh with each oth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1 기어부재와 상기 제2 기어부재에 각각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3 기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어부재는 상기 제1 기어부재의 회전 중심과 다른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gea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gear member that is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gear member and the second gear member, respectively, and the third gear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gear member And is rotatable around a rotation axis formed at another poi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2 기어부재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제1 기어부재로 전달시키는 벨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gear portion further includes a belt member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second gear member to the first gear memb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와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일축 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gear member and the second gear member are connected unilaterall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일축 상에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재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gear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gear members, which are uniaxially connected,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이격된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와 상기 본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uction unit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uction unit and the main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상기 본체의 다른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gear member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gear member is formed to rotate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at another point of the main body. do.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상기 흡입구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gear member is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second gear member is formed to be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suction por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상기 제1 기어부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gear member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gear member is oppose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portion is loc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gear member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main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gear member is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 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내에 형성된 중공부에는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물체를 집진통으로 전달하기 위한 호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a hose for transmitting an object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dust collector is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약한 힘을 인가하는 것만으로도, 본체를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body can be moved or rotated by only applying a relatively weak force, the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청소기의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청소기 본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옮길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목 등에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Further, since the use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ove the cleaner main body in a desired direction with a small force, the load on the user's finger or wrist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청소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부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본체에 대해 지면이 대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a 및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개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vacuum clean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2A and 2B are block diagrams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driv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knob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is opposed to the main body.
5A and 5C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집되는 집진통(12)이 장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10)가 안착되고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흡입 노즐(30)과,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파지하는 그립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1 includes a main body 10 to which a dust collecting container 12 for collect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existing on a surface to be cleaned is mounted, A suction nozzle 30 for sucking dirt and foreign matter scattere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with air and a grip portion 2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gripped by the user to perform cleaning, .

상기 본체(10)는 상기 흡입 노즐(30)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고, 사용자는 청소시 본체(10)가 피청소면 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를 지지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nozzle 30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angle of arrangement of the main body 10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can be changed.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집진통(1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집진통(12)에는 상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 등을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분리하는 먼지 분리 부재(50)가 구비된다.A dust collecting container (12) is detachabl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dust collecting box 12 is provided with a dust separating member 50 for separat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by a cyclone principle.

즉, 상기 흡입 노즐(30)을 통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집진통(12)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집진통(12)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상기 먼지 분리 부재(50)에 의하여 필터링되어 상기 집진통(12) 내부에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 깨끗한 공기는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That is,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uction nozzle 30 flows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 and dust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 Is filtered by the dust separating member (50) and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 The clean air from which the dust, foreign matter, etc. are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또한, 상기 집진통(12)은 상기 본체(10)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집진통(12) 내부에 포집된 먼지 및 이물 등을 버리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집진통(12)을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다.Sinc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when the user collects the dust and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 the user remove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 from the main body 10 10).

한편, 도 1에 도시된 집진통(12)은 원통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사각 기둥 등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 shown in FIG. 1 has a cylindrical shape, it may be formed into a polygonal columnar shape such as a rectangular column.

상기 흡입 노즐(30)은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노즐부(31)와, 상기 본체(10)가 안착되는 안착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ction nozzle 30 includes a nozzle unit 31 for sucking dirt and foreign matter scattere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ogether with air and a seating unit 32 on which the main body 10 is mounted.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부(31)는 피청소면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이동한다.When the user carries out the cleaning, the nozzle unit 31 moves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in order to suck dust and foreign substances existing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그리고, 상기 노즐부(31)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10)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부(32)의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33)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A pair of wheels 33 are rotatab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32 connected to the nozzle portion 31 and on which the main body 10 is se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부(31)가 피청소면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 이에 연결된 상기 안착부(32)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바퀴(33)는 상기 흡입 노즐(30)이 피청소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회전된다.When the nozzle unit 31 move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seating unit 32 connected to the nozzle unit 31 moves together. The wheel 33 moves along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is rotated to be smoothly moved.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부(31)는 본체(10)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 노즐(30)의 노즐부(31)는 안착부(32) 또는 본체(10)와 별도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노즐부(31)와 안착부(32)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노즐부(31)와 본체(10) 사이에 연결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nozzle portion 3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0. In other words, the nozzle unit 31 of the suction nozzle 30 may move independently of the seat 32 or the main body 10. In this case, a connection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nozzle unit 31 and the seat part 32. Further, a connecting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nozzle unit 31 and the main body 10.

노즐부(31)와 본체(10)가 이격된 경우, 노즐부(31)를 통해 흡입되는 물체들은, 노즐부(31)와 본체(1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통해, 본체(10)에 구비된 집진통(12)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When the nozzle unit 31 and the main body 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objects sucked through the nozzle unit 31 are guid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nozzle unit 31 and the main body 10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소재로 형성된 연결부재는, 본체(10)가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노즐부(31)만 이동하더라도, 상기 노즐부(31)가 본체(1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탄성소재로 형성된 연결부재는, 노즐부(31)를 이동시킨 외력이 없어지면, 노즐부(31)를 초기 위치로 다시 이동시킬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connecting member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prevents the nozzle unit 31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even if only the nozzle unit 31 moves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 is not mov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may move the nozzle unit 31 back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of moving the nozzle unit 31 disappears.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부에는 노즐부(31)로부터 흡입된 물체를 집진통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호스(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7a 및 도 7b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nother example, a hollow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and a hose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to transmit an object sucked from the nozzle portion 31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he connecting member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한편, 본체(10)의 상측에는 그립부(20)가 마련된다. 따라서, 청소시 사용자는 상기 그립부(20)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1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grip portion 2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ly, in cleaning, the user can grip the grip portion 20 to support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main body 10 maintains the rotated s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특히, 본원발명에 따른 그립부(20)는 본체(10)에 대해 지면에 대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Particularly, the grip portion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aper surface.

즉, 사용자가 그립부(20)를 비트는 경우, 상기 그립부(20)는 본체(10)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is biting the grip portion 20, the grip portion 20 can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ody 10.

일 예에서, 본체(10)는, 본체(10)의 외면 중 그립부(20)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본체(10)에 대해 회전가능한 회전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그립부(20)의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not shown)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a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which is engaged with the grip portion 20. At this time, one end of the grip portion 20 can be engaged with the rotating member.

또 다른 예에서, 본체(10)의 일부분에는 그립부(20)의 일부분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립부(20)는 상기 홀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막대형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a portion of the body 10 may have a hole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grip portion 20 can pass, and the grip portion 20 may have a bar-shaped frame formed to penetrate the hole .

이 경우, 본체(10)의 상기 홀 주변에는 그립부(20)가 본체(10)로부터 분해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원통형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그립부(20)의 막대형 프레임의 양단의 단면이 상기 홀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그립부(20)가 본체(10)로부터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a cylindrical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around the hole of the main body 10 to support the grip portion 20 so as not to be disassembled from the main body 10. Alternatively, the cross-section of both ends of the rod-shaped frame of the grip portion 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hole, so that the grip portion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assembled from the main body 10.

이와 같이, 그립부(20)가 본체(1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실시예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의 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in which the grip portion 2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즉, 본원발명에서 제안하는 청소기는 그립부(20)가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면서도, 상기 그립부(20)가 본체(10)로부터 쉽게 분해되지 않는 구조면 충분하다.That is, the vacuum clean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grip portion 2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but the grip portion 20 is not easily disassembled from the main body 10.

상기 그립부(20)에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손을 파지하는 부분에 마련된 입력부(60)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60)는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20)에 손을 고정한 상태에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The grip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n input portion 60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user actually holds the hand. The input unit 60 can input a signal while the user holds his / her hand on the grip unit 20.

상기 입력부(60)는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2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20)에 대해서 위치를 옮기지 않고 신호를 입력가능하도록 사용자가 그립부(20)를 잡는 범위 내에 위치한다. 즉 상기 그립부(20)는 사용자가 잡아서 청소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인 반면, 상기 입력부(60)는 상기 그립부(20) 중에서 사용자의 손이 실제로 접촉하도록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The input unit 60 is located within a range where the user holds the grip unit 20 so that the user can input a signal without moving the grip unit 20 with respect to the grip unit 20 while holding the grip unit 20. That is, the grip portion 20 is a member that allows the user to grip and move the cleaner, while the input portion 60 refers to a portion of the grip portion 20 that is positioned so that the user's hand actually makes contact.

따라서 상기 입력부(60)에는 사용자가 손을 잡을 때에 손가락의 접촉할 수 있도록 손가락에 대응되는 다 수개의 홈이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60)에 신호를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guide the input unit 60 to input a signal to the input unit 60 by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inger so that the user can touch the finger when the user holds the hand.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60)에 손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60)에 신호를 입력해서 청소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user can move the vacuum cleaner by inputting a signal to the input unit 60 while holding the hand to the input unit 60. [

도 2a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2A,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mponents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1 is shown.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입력부(60), 출력부(120), 전원부(130), 센서부(140), 구동부(150), 먼지 제거부(161), 먼지 저장부(162), 그립부(20), 제어부(180) 및 보조구동부(1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includes an input unit 60, an output unit 120, a power source unit 130, a sensor unit 140, a driving unit 150, a dust removing unit 161, a dust storage unit 162, 20, a control unit 180, and an auxiliary driving unit 190.

입력부(60)는 사용자로부터 청소기에 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60)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입력부(60)는 청소기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 청소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버튼 및 청소기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설정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60 receives various control commands for the cleaner from the user. The input unit 60 may include one or more buttons. For example, the input unit 60 may include an adjustment button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vacuum cleaner, a power button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of the vacuum cleaner, And a mode setting button for setting the mode.

또한, 입력부(60)는 청소기의 그립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입력부(60)는 하드 키나 소프트 키, 터치패드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부(60)는 출력부(120)와 함께 터치 스크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lso, the input unit 60 may be installed in the grip portion 20 of the vacuum cleaner. In addition, the input unit 60 may be a hard key, a soft key, a touch pad, or the like. For example, the input unit 60 may have the form of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output unit 120.

한편, 출력부(120)는 청소기 본체 또는 청소기 그립부(20)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설치 위치나 설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20)는 출력레벨, 배터리 상태 또는 작동모드 등과 관련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output unit 120 may be installed in the cleaner main body or the cleaner grip unit 20. Of course,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installation type may vary.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20 may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an output level, a battery status, an operation mode, and the like on the screen.

또한, 출력부(12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중 어느 하나의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t may be formed of any one of the elements.

출력부(120)는,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되는 청소기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20)는 제어부(180)에 의해 생성된 경고 신호에 따라 외부에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sound output means for audibly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80. [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20 may output a warning sound to the outside in accordance with the warning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80.

이때, 음향 출력 수단은 비퍼(beeper), 스피커 등의 음향을 출력하는 수단일 수 있고, 출력부(12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소정의 패턴을 가진 오디오 데이터 또는 메시지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음향 출력 수단을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ound output means may be means for outputting sound such as a beeper, a speaker, and the like, and the output unit 120 may use audio data or message data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ound output means.

전원부(130)는 진공 청소기에 직류전압 또는 교류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apply a DC voltage or an AC voltage to the vacuum cleaner.

즉, 전원부(130)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 또는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원을 직접 청소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들에 공급하는 제1 전원공급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공급모듈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와, 상용전원으로부터 교류전원을 전달시키는 코드 및 상기 코드를 감도록 구비되는 코드 릴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include a first power supply module (not shown) that supplies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or the commercial power supply directly to at least one component included in the cleaner. The first power supply module may include a rectifier circuit for converting an AC power source to a DC power source, a cord for transmitting AC power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a cord reel for winding the cord.

또한, 전원부(130)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원을 청소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들에 공급하는 제2 전원공급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전원공급모듈은 배터리와 전원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진공 청소기의 구성요소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include a second power supply module (not shown) that supplies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at least one component included in the cleaner. That is, the second power supply module may include a battery and a power terminal, and may apply power to the components of the vacuum cleaner using a DC power generated from the battery.

한편, 전원부(130)는 상기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에 저장하여, 저장된 전원을 청소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들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는 전원공급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원 공급 장치와 유/무선 충전 방식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배터리는 청소기에 포함된 전원부(13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원 공급 장치와 전원 콘센트와 같은 구성 요소에 의해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전원 공급 장치와 자기 동조 방식(Magnetic Resonance Coupling Method), 전자기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Mehtod), 전파 방식(Radiowave Metho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stor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in a battery, and supply the stored power to at least one component included in the cleaner. At this time, the battery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through a power supply unit by a wire / wireless charging method. That is, the batter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through a power supply unit 130 included in the cleaner, or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through a magnetic resonance coupling metho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a radiowave method, and can receive power.

진공 청소기는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전력원과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has a battery, so that the vacuum cleaner can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when it is not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도 2b를 참조하면, 센서부(140)는 압력센서부(141)와 엔코더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unit 141 and an encoder unit 142.

압력센서부(141)는 그립부(2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압력센서부(141)는 그립부(20)의 외면으로 도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그립부(20)을 파지할 경우, 상기 압력센서부(60)는 사용자의 손과 접촉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portion 141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20. That is, the pressure sensor unit 141 is formed to lea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unit 20. When the user grips the grip unit 20, the pressure sensor unit 60 can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hand.

즉, 압력센서부(141)는 그립부(20)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의 외면 중 일부에 인가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sure sensor unit 141 may be disposed on the grip unit 20 to sense a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to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unit.

도 2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센서부(140)는 외부 신호 감지 센서, 전방 감지 센서, 낭떠러지 감지 센서, 하부 카메라 센서, 상부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B,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xternal signal sensor, a front sensor, a cliff sensor, a lower camera sensor, and an upper camera sensor.

외부 신호 감지 센서는 이동 로봇의 외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신호 감지 센서는, 일 예로, 적외선 센서(Infrared Ray Sensor), 초음파 센서(Ultra Sonic Sensor), RF 센서(Radio Frequency Sensor) 등일 수 있다.The external signal detection sensor can detect the external signal of the mobile robot. The external signal detection sensor may be, for example, an infrared ray sensor, an ultrasonic sensor (Ultra Sonic Sensor), a RF sensor (Radio Frequency Sensor), or the like.

구동부(150)는 모터에 의해 흡입력을 제공하되, 모터는 일반적인 청소기에서 사용되는 BLDC(Brushless DC)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The driving unit 150 provides a suction force by a motor, and the motor may be a BLDC (Brushless DC) motor used in a general vacuum clean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동부(150)는 흡입모터 및 상기 흡입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50 may include a suction motor and a suction fan rotated by the suction motor to generate a suction force.

또한, 구동부(150)는 본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와, 상기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50 may include a wheel for moving the main body 10 and a driving motor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wheel.

먼지제거부(161) 및 먼지저장부(162)는 본체(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본체(10)와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제거부(161) 및 먼지저장부(162) 중 적어도 하나는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을 잡고 먼지제거부(161) 및 먼지저장부(162) 중 적어도 하나를 본체(10)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The dust removing unit 161 and the dust storing unit 162 may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main body 10 to facilitate connection and separation with the main body 10.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dust removing unit 161 and the dust storing unit 162 may include a handle. The user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at least one of the dust removing unit 161 and the dust storing unit 162 from the main body 10 by holding the handle.

한편, 상기 먼지저장부(162)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먼지를 보관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먼지제거부(161)와 연통되어 먼지제거부(161)에서 분리된 먼지를 보관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케이스는 상기 먼지제거부(161)와는 별도의 공간 또는 영역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먼지를 보관한다.Meanwhile, the dust storage unit 162 includes a case. That is, it may include a container for storing dust. The case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dust removing unit 161 to stor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removing unit 161. That is, the case forms a space or an area separate from the dust removing unit 161 and stores dust therein.

제어부(180)는 청소기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leaner. The control unit 180 may process or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may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to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청소기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2A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Further,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at least two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leane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for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제어부(180)는 온도 센서(미도시)에서 감지된 온도 값이나, 압력센서부(141)에서 감지된 압력 값을 근거로, 사용자가 그립부(20)를 파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gripped the grip unit 20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or the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unit 141. [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그립부(20)에 배치된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값 이상이면, 사용자가 그립부(20)를 파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온도 값은 체온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현재 날짜 또는 시각에 따라 상기 기준 온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값을 일정 시간 간격마다 저장하고, 저장된 온도 값을 이용하여 기준 온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grips the grip unit 20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on the grip unit 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For example,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may be set to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body temperature. Also, the control unit 180 may set the reference temperatur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urrent date or time. Also, the controller 180 may store the temperature valu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may set the reference temperature using the stored temperature value.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에 포함되면, 사용자가 그립부(20)를 파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온도센서에 가해진 열이 사용자가 아닌 다른 물체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구동부(15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Further,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included in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control unit 18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gripped the grip unit 20. For example, when the sensed temperature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reference temperature range,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that the heat applied to the temperature sensor is due to an object other than the user, and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50 .

아울러, 제어부(180)는 그립부(20)에 포함된 압력센서부(141)에서 감지된 압력이 기준 압력 값 이상이면,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20)를 파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grasps the grip unit 20 if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unit 141 included in the grip unit 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pressure value.

구체적으로, 기준 압력 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청소기의 초기 구동시 기준 압력 값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상기 가이드 정보가 출력된 후 압력센서부(141)에 인가된 압력을 근거로, 기준 압력 값을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ference pressure value can be set by the user. The output unit 120 may output guide information to the user to set the reference pressure value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The controller 180 may be configured to output the guide information to the pressure sensor unit 141 after the guide information is output Based on the pressure, the reference pressure value can be set.

예를 들어, 출력부(120)는 청소기가 초기 구동될 때나, 청소기가 상기 기준 압력 값을 재설정하기 위한 모드로 동작할 때, "손잡이를 잡아주세요"라는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정보가 출력된 후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복수의 시점에서 압력센서부(141)에 인가되는 압력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여, 기준 압력 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정보는 음성 정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put unit 120 may output the voice information "Please hold the handle" when the vacuum cleaner is initially driven or when the vacuum cleaner operates in the mode for resetting the reference pressure value. The control unit 180 may proces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unit 141 at a plurality of points of tim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voice information is outputted to set the reference pressure value. On the other hand, the guide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voice information and can be output in various forms.

또한, 제어부(180)는 감지된 압력이 기준 압력 범위에 포함되면,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20)를 파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감지된 압력이 기준 압력 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압력센서부(141)에 가해진 압력이 사용자가 아닌 다른 물체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구동부(15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grips the grip unit 20 when the sensed pressure is within the reference pressure rang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sed pressure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reference pressure range,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unit 141 is due to an object other than the user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50 .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20)를 파지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150)를 동작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20)를 파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150)를 정지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operates the driving unit 1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gripped the grip unit 20 and stops the driving unit 150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grip unit 20 is not gripped by the user .

즉, 제어부(180)는 그립부(20)에 배치된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부(141)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그립부(20)를 파지한 것으로 판단되면, 청소기의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grips the grip portion 20 using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portion 141 disposed in the grip portion 20, (150).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감지된 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구동부(15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그립부(20)을 파지하는 힘이 강해질수록, 청소기의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50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driving unit 150 according to the detected pressure. That is,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50 to increase the output of the vacuum cleaner as the user grips the grip unit 20.

위와 같은 제어부(180)는 청소기의 본체(1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그립부(2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10 of the vacuum cleaner 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grip 20.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입력부(60), 출력부(120), 센서부(140) 및 제어부(180)는 그립부(20)의 내부 또는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input unit 60, the output unit 120, the sensor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80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grip unit 20.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입력부(60), 출력부(120), 전원부(130), 센서부(140), 구동부(150) 및 제어부(180)는 청소기의 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The input unit 60, the output unit 120, the power source unit 130, the sensor unit 140, the driving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180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입력부(60), 출력부(120), 센서부(140) 및 제어부(180)는 그립부(20)과 청소기의 본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input unit 60, the output unit 120, the sensor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80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the body of the grip unit 20 and the vacuum cleaner, respectively.

도 3에서는 구동부(150)의 구성요소가 설명된다.In Fig. 3, components of the driving unit 150 are described.

구동부(150)는 구동바퀴(151), 기어부(152), 풀리(153), 모터(154) 및 흡입팬(15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riving wheel 151, a gear unit 152, a pulley 153, a motor 154, and a suction fan 155.

기어부(152)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감속비를 갖는다. 즉, 기어부(152)는 설정된 감속비에 근거하여, 기어부(152)에 인가된 회전력을 본체(10) 또는 흡입 노즐의 노즐부(31)에 전달할 수 있다.The gear portion 152 is for transmitting power and has a predetermined reduction ratio. That is, the gear portion 152 can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gear portion 152 to the main body 10 or the nozzle portion 31 of the suction nozzle, based on the set reduction ratio.

예를 들어, 기어부(152)는 복수의 기어부재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ear portion 152 may b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gear member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또 다른 예에서, 기어부(152)는 두 개의 기어부재가 벨트를 통해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gear portion 152 may be formed such that the two gear members are connected via a belt.

또 다른 예에서, 기어부(152)는 복수의 기어부재가 일축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gear portion 152 may be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gear members are disposed on a single shaft.

즉, 기어부(152)는, 기어부(152)의 기계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감속비를 갖고, 상기 감속비에 근거하여 입력된 회전수를 변경시켜 출력한다. 기어 자체의 기능과 상세 구성요소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at is, the gear portion 152 has a reduction ratio determined by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gear portion 152, and changes the input rotation speed based on the reduction ratio to output the changed rotation speed. Since the functions and detailed components of the gear itself are well known, further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기어부(152)는 손잡이(20)가 본체(10)에 대해, 지면이 대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와 상기 손잡이(20)를 연결시킬 수 있다.4, the gear portion 152 connects the main body 10 and the handle 20 so that the handle 2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surface is opposed to the main body 10 .

구체적으로, 본체(10)의 일부분에는 기어부(152)가 설치되며, 기어부(152)의 회전 가능한 일단은 손잡이(2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gear portion 152 is provided in a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a rotatable one end of the gear portion 152 can be engaged with one end of the handle 20.

예를 들어, 기어부(152)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경우, 본체(10)의 외관에는 손잡이(20)의 일단을 관통시키기 위한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을 통해, 손잡이(20)의 일단과 기어부(152)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20)가 회전 가능하게 기어부(152)와 연결되려면, 상기 홀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손잡이(20)의 횡단면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the gear portion 152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 hole for passing one end of the handle 2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hole, one end of the handle 20 and the gear portion 152 can be engaged. In order for the knob 20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gear portion 152, the hole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handle 20 is circular.

이하, 도 5a 및 도 5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5A and 5B show an embodimen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기어부(152)는 손잡이(20)에 연결되는 제1 기어부재(501)와 본체(10)에 연결되는 제2 기어부재(502)를 포함할 수 있다.5A, the gear portion 152 may include a first gear member 501 connected to the handle 20 and a second gear member 502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20)는 본체(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본체에 대해 지면이 대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기어부(152)의 일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20)가 결합되는 기어부(152)의 일부분은 제1 기어부(501)에 대응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2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can be engaged with a portion of the gear portion 152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is opposed to the main body.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gear portion 152 to which the handle 20 is coupled may correspond to the first gear portion 501.

기어부(152)는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2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20)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고, 상기 손잡이(20)로부터 인가받은 회전력을 본체(10)에 전달할 수 있다.The gear portion 152 may receive a rotational force from the handle 20 and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from the handle 20 to the main body 10 when the handle 20 rotates by the user.

즉, 기어부(152)는 손잡이(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을 본체(10)에 전달할 수 있다. That is, the gear portion 152 can transmit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handle 20.

구체적으로, 제2 기어부재(502)는 본체(10)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기어부재(502)는 본체(10)에 대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gear member 502 can be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body 10. That is, the second gear member 502 may not ro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

또한, 제1 기어부재(501)는 손잡이(20)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1 기어부재(501)와 손잡이(20)의 결합체는, 본체(10)의 일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gear member 501 can be fixedly coupled to a part of the handle 20. [ Particularl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gear member 501 and the handle 20 can be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main body 10.

일 실시예에서, 제1 기어부재(501)와 제2 기어부재(502)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gear member 501 and the second gear member 502 may be formed to mesh with each other.

도 5b를 참조하면, 제1 기어부재(501)는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제2 기어부재(502)는 본체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잡이(20)를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20)를 회전시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 기어부재(502)와 본체(10)의 결합체가 지면에 대해 상기 제1 기어부재(50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5B, since the first gear member 501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gear member 502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when the user rotates the grip 20, The combined body of the second gear member 502 and the main body 10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gear member 501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ear member 20 is rotated.

제1 기어부재(501)와 제2 기어부재(502)에 의해 기어비가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손잡이(20)를 회전시킨 각도와, 본체(10)가 회전되는 각도는 상이하다.Since the gear ratio is formed by the first gear member 501 and the second gear member 502, the angle by which the user rotates the grip 20 and the angle by which the main body 10 rotates are different.

한편, 제1 기어부재(501)의 톱니 개수가 제2 기어부재(502)의 톱니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발생시킨 회전력보다, 본체(10)에 더 큰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무거운 본체(10)를 손쉽게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eeth of the first gear member 501 may be smaller than the number of teeth of the second gear member 502. In this case, a larger rotational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10 than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user. Thereby, the user can easily move or rotate the heavy body 10.

도 5c를 참조하면, 기어부(152)는 제1 기어부재(501)와 상기 제2 기어부재(502)에 각각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3 기어부재(5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the gear portion 152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ear member 501 and a third gear member 503 adapted to be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member 502,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제3 기어부재(503)는 제1 기어부재(501)의 회전 중심과 다른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gear member 503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at a point differen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gear member 501.

즉, 도 5a와 같이 두 개의 기어부재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전시킨 방향과 본체가 회전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므로, 본체에 고정된 제2 기어부재와, 손잡이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 기어부재 사이에 별도의 제3 기어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전시킨 방향과 본체가 회전하는 방향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wo gear members are form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5A,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rotates the handle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rotates, the second gear member fixed to the main body, By inserting a separate third gear member between the rotating first gear members,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rotates the handle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rotates can be made the same.

도 6a를 참조하면, 기어부(152)는 제2 기어부재(502)에서 발생된 동력을 제1 기어부재(501)로 전달시키는 벨트부재(6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6A, the gear portion 152 may further include a belt member 601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second gear member 502 to the first gear member 501.

도 6b를 참조하면, 벨트부재(601)를 통해 두 개의 기어부재가 연결되면,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전시킨 방향과 본체가 회전하는 방향이 일치된다.Referring to FIG. 6B, when two gear members are connected through the belt member 601,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rotates the handle is aligned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rotates.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기어부재와 제2 기어부재는 일축 상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기어부(152)의 동력 입력부분과 동력 출력부분이 일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어부(152)는 일축 상에 연결된 제1 및 제2 기어부재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6A and 6B, the first gear member and the second gear member can be uniaxially connected. That is, the power input portion and the power output portion of the gear portion 152 can be uniaxially formed. At this time, the gear portion 152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gear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on one axis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도 7a를 참조하면, 노즐부(31)는 본체(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노즐부(31)와 본체(10)는 연결부재(70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the nozzle portion 3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the nozzle unit 31 and the main body 10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701.

이때, 제1 기어부재(501)는 본체(10)의 일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부재(502)는 본체(10)의 다른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gear member 501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gear member 502 rotates around a rotation axis formed at another point of the main body 10 .

또한, 제1 기어부재(501)는 상기 손잡이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제2 기어부재(502)는 노즐부(31)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ear member 501 may be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second gear member 502 may be formed to be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nozzle unit 31.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잡이(20)를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20)를 회전시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노즐부(31)가 회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20, the nozzle unit 31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rotates the handle 20.

도 7c를 참조하면, 제1 기어부재(501) 및 제2 기어부재(502) 사이에는 제3 기어부재(50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어부재와 제3 기어부재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제2 기어부재와 제3 기어부재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면, 손잡이(20)의 회전방향과 노즐부(31)의 회전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C, a third gear member 50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ear member 501 and the second gear member 502. When the first gear member and the third gear member are formed so as to mesh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gear member and the third gear member are form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handle 20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nozzle unit 31 coincide with each other .

이와 같이, 기어부에 포함되어 서로 맞물리는 기어의 개수, 맞물리는 기어 사이의 기어비를 조정함으로써, 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노즐이 회전하는 방향이나, 손잡이의 회전각도에 따라 노즐이 회전하는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By adjusting the number of gears included in the gear portion and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gear ratio between the engaging gears included in the gear portion, the angle at which the nozzle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nozzl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andle or the rotation angle of the handle Can be changed.

본원발명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기어부재(501)는 본체(10)의 일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부재(502)는 상기 제1 기어부재(501)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부(31)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기어부재(502)는 본체(10)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gear member 501 rotates around a rotation ax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gear member 502 rotates about the first gear member 501, Or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zzle unit 31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nozzle unit 31. At this time, the second gear member 502 can be fixedly coupled to a part of the main body 10. [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약한 힘을 인가하는 것만으로도, 본체를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body can be moved or rotated by only applying a relatively weak force, the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진공 청소기의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청소기 본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옮길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목 등에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Further, since the use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ove the cleaner main body in a desired direction with a small force, the load on the user's finger or wrist can be minimized.

Claims (18)

본체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 및 헤드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먼지 및 이물을 포집하는 집진통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을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지면이 대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기어부의 일부분과 결합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제1 기어부재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2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main body, a handle and a head formed by a user to grasp,
The main body includes:
A dust collecting passage for collecting dust and foreign matter,
A drive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for moving the main body,
And a gear portion for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a user to the main body,
The handle
A gear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a portion of the gear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e gear portion
A first gear member connected to the handle, and a second gear memb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손잡이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고, 상기 손잡이로부터 인가받은 회전력을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ear portion
Wherein when the handle is rotated by a user,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handle, and a rotational force applied from the handle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gear member is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gear member is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hand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와 상기 손잡이의 결합체는, 상기 본체의 일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gear member and the handle is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main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와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gear member and the second gear member are formed to mesh with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1 기어부재와 상기 제2 기어부재에 각각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3 기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어부재는 상기 제1 기어부재의 회전 중심과 다른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gear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third gear member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gear member and the second gear member, respectively,
Wherein the third gear member is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at a point differen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gear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2 기어부재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제1 기어부재로 전달시키는 벨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ear portion
And a belt member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second gear member to the first gear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와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일축 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gear member and the second gear memb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ingle shaf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일축 상에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재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ear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ear member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are formed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헤드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헤드에 구비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와 상기 본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body and the head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nozzle unit provided in the head,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nozzle unit to the main bod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상기 본체의 다른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gear member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gear member is formed to rotate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at another point of the main bod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상기 노즐구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gear member is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second gear member is formed to be fixedly coupled to a part of the nozzle orif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 지점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상기 제1 기어부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부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gear member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second gear member is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nozzle portion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gear memb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second gear member is fixed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bod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 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내에 형성된 중공부에는
상기 노즐부로부터 흡입된 물체를 집진통으로 전달하기 위한 호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And a hose for delivering an object sucked from the nozzle unit to the dust coll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기어부의 제1 기어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ear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handle is coupled with the first gear member of the gear portion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KR1020170118900A 2017-06-08 2017-09-15 Vacuum cleaner KR1020218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900A KR102021858B1 (en) 2017-09-15 2017-09-15 Vacuum cleaner
US16/002,143 US10925453B2 (en) 2017-06-08 2018-06-07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8814408.3A EP3634191A4 (en) 2017-06-08 2018-06-07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8/006467 WO2018226041A1 (en) 2017-06-08 2018-06-07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8281658A AU2018281658B2 (en) 2017-06-08 2018-06-07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900A KR102021858B1 (en) 2017-09-15 2017-09-15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055A true KR20190031055A (en) 2019-03-25
KR102021858B1 KR102021858B1 (en) 2019-09-17

Family

ID=6590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900A KR102021858B1 (en) 2017-06-08 2017-09-15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85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188A (en) * 2004-07-05 2006-01-10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Automatic floor cleaner
KR20120139748A (en) * 2010-02-09 2012-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Upright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188A (en) * 2004-07-05 2006-01-10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Automatic floor cleaner
KR20120139748A (en) * 2010-02-09 2012-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Upright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858B1 (en)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0634B2 (en) Vacuum cleaner and handle for a cleaner
KR20160100154A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4141610A (en) Suction device of vacuum cleaner
US10925453B2 (en)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354327A1 (en) Cleaner and charging mechanism, and cleaner package comprising same
EP2301401A1 (en) Vacuum cleaner with remote control
EP3473151B1 (en) Vacuum cleaner and handle thereof
KR101471322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EP2152136A1 (en) Vacuum cleaner
KR20110120238A (en) Electrical vacuum cleaner
KR101411028B1 (en) Electric cleaner
JP2003052595A (en) Cleaning equipment
KR20190031055A (en) Vacuum cleaner
US20230117115A1 (en) Clean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69187B1 (en)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2203839A (en) Nozzle part, robot cleaner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KR102021859B1 (en) Vacuum cleaner and handle for a cleaner
JP2007160128A (en) Cleaning device
JP2012200556A (en) Vacuum cleaner
JP2024042728A (en) vacuum cleaner
JP2013059484A (en) Vacuum cleaner
JP2006218147A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6218147A5 (en)
JP2003144360A (en) Vacuum cleaner
JP2004173787A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