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689A -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0689A KR20190030689A KR1020197001390A KR20197001390A KR20190030689A KR 20190030689 A KR20190030689 A KR 20190030689A KR 1020197001390 A KR1020197001390 A KR 1020197001390A KR 20197001390 A KR20197001390 A KR 20197001390A KR 20190030689 A KR20190030689 A KR 201900306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valve body
- fluid space
- supply opening
- electr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16K1/385—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contacting in the closed position, over a substantial axial length, a seat surface having the same inclin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4—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way in which the rate of flow varies during the actuation of the val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1—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16K15/02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33—Electrical or magnetic means using a permanent magnet, e.g. in combination with a reed re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5/00—Distributing equipment with or without proportion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9/00—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8—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a separate pump; Central lubrication systems
- F16N7/385—Central lubrication syste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2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 G01F1/2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by variable-area meters, e.g. rotameters
- G01F1/2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by variable-area meters, e.g. rotameters with magnetic or electr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2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 G01F1/2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by variable-area meters, e.g. rotameters
- G01F1/2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by variable-area meters, e.g. rotameters of the valve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38—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actuated by piston and cylind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50/00—Measuring
- F16N2250/40—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밸브체의 귀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유체의 유량이 소량이라도 밸브체가 전극으로부터 확실하게 이격하도록 하여 유동 감지의 신뢰성 향상을 제공한다.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체 공간 (E)을 가진 본체 (10)에 유체의 공급 개구 (12) 및 토출 개구 (15)를 형성하고, 본체 (10)의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12a) 및/또는 개구 가장자리 (12)의 주위부 (12b)에 접점부 (T)를 가진 한쪽 전극 (Da)을 형성하고, 본체 (10)에 다른 쪽 전극 (Db)을 형성하여 공급 개구 (12)를 개폐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 (40) 및 밸브체 (40)를 힘을 가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코일 스프링 (41)을 수납하고, 밸브체 (40)에 공급 개구 (12)에서 토출 개구 (15)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여 유체 공간 (E)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유체 공간 (E)의 일단면에 대치하여 공급 개구 (12)로부터의 유체를 받는 받이면 (51)을 가지고, 또한 유체 공간의 타 단면에 대치하는 상면 (52)을 가진 절연체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 (50)를 부설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기 등의 산업 기계 및 공작 기계 등에 설치되는 윤활 시스템의 관로를 흐르는 그리스(grease) 나 오일 등의 윤활제로 이루어진 유체의 유동을 감지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의 밸브체의 개폐를 감지함으로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로서, 예를 들어 실개소53-16743 호 공보에 게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a는 유체가 통과 가능한 원통 내면을 가지고, 유체 공간 E를 가진 절연체로 이루어진 본체 (100)를 구비하고, 이 본체 (100)에 유체 공간 E의 한쪽 끝에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를 중심으로 하는 공급 개구 (101)를 가진 유체의 공급구 (102)를 형성하고, 본체 (100)의 측부에 유체 공간 E에 연통하는 토출 개구 (103)를 가진 유체의 토출구 (104)를 형성하고, 공급 개구 (101)를 형성하는 공급 개구 (101)의 형성 부재를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한쪽 전극 (105)으로 구성하고, 본체 (100)에 유체 공간 E의 타단측에 노출되는 노출부 (106)를 갖는 동시에 한편 전극 (105)에 대해서 절연된 도체로 이루어진 다른 쪽 전극 (107)을 설치하고 유체 공간 E 내에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에 따라 이동되는 공급 개구 (101)의 개구 가장자리 부 (108)에 맞닿아 공급 개구 (101)를 폐쇄하는 한편, 공급 개구 (101)로부터 이격되어 공급 개구 (101)를 개방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 (110)를 수납하고, 또한 유체 공간 E내에 한쪽 끝이 밸브체 (110)에 접속되고 다른 쪽을 다른 전극 (107)의 노출부 (106)에 접속되어 밸브체 (110)를 공급 개구 (101)를 폐쇄로 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코일 스프링 (111)을 수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 전극(107)에는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하고 밸브체 (110)가 선단부 (112)를 돌출시켜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동시에 코일 스프링 (111)이 수납되는 슬라이드 구멍(113)을 가진 원통형 가이드 부재(114)가 고착되어 있다. 해당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a는 밸브체 (110)의 개폐에 의한 소위 체크 밸브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유동 감지 장치 Ka는 한쪽 전극 (105)에 접속된 배선 (115) 및 다른쪽 전극 (107)에 접속된 배선 (116)을 통해 미도시된 감지기에 접속되고, 이 감지기에 의해 한쪽 전극 (105), 밸브체 (110) 코일 스프링 (111) 및 다른쪽 전극 (107)으로 구성되는 전기 회로에 항상 전압을 부여하여, 이 전기 회로의 밸브체 (110)가 폐쇄로 되었을 때의 접속, 개방으로 되었을 때의 절단을 전기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a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유체로서의 윤활유를 급유 개소에 1 회당 예를 들어 0.005 cc ~ 1cc 정도와 소량 토출하는 정량 밸브를 갖춘 윤활 시스템에서 이 정량 밸브에서 급유 개소에 이르는 급유 배관에 접속하여 윤활유의 유동을 감지하고 윤활유가 확실하게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인지하고 싶은 경우, 윤활유의 유동 감지의 신뢰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이유는 유체가 공급 구 (102)에서 공급되면 밸브체 (110)가 코일 스프링 (111)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이동하고 공급 개구 (101)로부터 이격되어 개방으로 되어, 전기 회로를 차단하지만,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 특히 예를 들면, 0.1cc 이하로 미량인 경우, 또는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많아도 예를 들면, 정량 밸브의 사용 수량이 많아지는 등의 상황 등으로 유속이 늦어지는 경우에는 밸브체 (110)의 이동량 (리프트 량)이 매우 작아지기 때문에, 유체가 흘러도 밸브체 (110)의 선단부 (108)가 한쪽 전극 (105)에서 모두가 이격되지 않고 일부가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개방(절단)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소하고자, 코일 스프링 (111)의 탄성력을 약하게 하여 대처하면 밸브체 (110)의 복귀 동작을 나쁘게 해버려서 역효과를 낸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밸브체의 반환 동작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유체의 유량이 소량으로도 밸브체가 공급 개구 측에서 확실하게 이격하도록 하여 유동 감지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한 유동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는 유체가 통과 가능한 원통 내면을 가진 유체 공간이 있는 본체를 갖추고, 이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의 일단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 개구를 가진 유체의 공급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에 연통하는 토출 개구를 가진 유체의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공간 내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 축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하고 해당 공급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공급 개구를 개방하는 밸브체를 수납하고, 해당 유체 공간 내에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로 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주는(付勢) 코일 스프링을 수납하고, 상기 밸브체의 개폐를 감지함으로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 할 수 있도록 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상기 공급 개구에서 토출 개구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여 상기 유체 공간의 원통 내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해당 유체 공간의 일단면에 대치하여 상기 공급 개구로부터 유체를 받을 받이면(受面)을 가지고 또한 상기 유체 공간의 타 단면에 대치하는 상면을 가진 가이드 부재를 부설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유동 감지 장치를 사용할 때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에 공급구 및 배출구를 연결하여 유체가 공급구에서 공급될 때 밸브체의 개폐를 검출함으로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한다. 즉, 유체가 공급구에서 공급되면 유체는 공급 개구에서 유체 공간으로 유입되고 밸브체와 밸브체에 부설된 가이드 부재의 받이면에 유체가 작용하고 가이드 부재는 유체 공간의 원통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접동, 摺動)하기 때문에, 밸브체와 가이드 부재가 일체로 밀어올려져서, 밸브체가 개방된다. 이 경우, 가이드 부재의 받이면에서 유체를 받을 수 있으므로 밸브체가 떠오르기 쉬워지고, 따라서 확실하게 밸브체를 공급 개구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소량인 경우, 특히 예를 들어, 0.1cc 이하로 되는 미량의 경우, 또는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많아도 유속이 느려지는 경우에는 밸브체 이동량 (리프트 량)이 매우 작아지지만 가이드 부재의 떠오름에 의해 확실하게 밸브체가 밀어 올려지므로, 밸브체를 공급 개구 측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유체가 흘러도, 밸브체가 공급 개구 측에서 전부 이격하지 않고 일부가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개발을 감지 못하는 사태를 방지 할 수 있어서, 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는 공급 개구로부터 토출 개구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여 유체 공간의 원통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유체를 토출 개구에서 토출구로 도출시킬 수 있다. 한편, 유체의 공급 구로부터의 공급이 중단되면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밸브체 및 가이드 부재는 유체 공간의 일단면 측으로 이동되어 밸브체는 공급 개구를 폐쇄한다. 이 경우, 가이드 부재에는 공급 개구로부터 토출 개구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체의 반환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선단부를 갖고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 축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막대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 축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하고 상기 밸브체가 선단부를 돌출시켜 끼워 삽입되는 감삽공(嵌孔)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중간 부 외주에 둘레 방향을 따라 유체가 통과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유체 공간의 일단면 측을 상기 받이면을 가지고 상기 유체 공간의 원통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일단측 접동면을 가진 일단측 접동부로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유체 공간의 다른 단면 측을 상기 상면을 가진 상기 유체 공간의 원통 내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타단측 슬라이드 이동면을 가진 타단측 접동부(摺動部)로 구성하고, 상기 일단측 접동부의 외측에 상기 받이면 및 상기 오목부에 걸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일단측 노치를 형성하고, 상기 타단측 접동부의 외측에 상기 상면 및 상기 오목부에 걸친 유체가 통과 가능한 타단측 노치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체는 가이드 부재의 감삽공에 감삽(嵌揷, 끼워 삽입됨)됨으로서 일체화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밸브체와 가이드 부재가 유체에 밀어 올려지면, 유체는 일단측 노치와 오목부를 통해서 토출 개구에 이르고 토출구에서 토출된다. 이 경우,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유체에 대한 저항이 작아지므로 확실하게 공급 개구로부터 토출 개구에 유체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는 오목부 사이에 그 양쪽 끝에 일단측 접동부 및 타단측 접동부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유체의 유동에 의해 기우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타단측 노치를 통해서 유체가 왕래 할 수 있으므로, 밸브체의 개방시 및 폐쇄시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체의 개방시에 있어서 밸브체를 떠오르기 쉽게 할 수 있어서 밸브체의 폐쇄시에도 확실하게 공급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일단측 노치를 여러개 형성하고, 각 일단측 노치를 동일한 크기이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축선을 중심으로 등 각도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타단측 노치를 여러 개 형성하여, 해당 각 타단측 노치를 동일한 크기이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축선을 중심으로 등각 간격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노치를 같은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하여 등각 간격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유체의 흐름이 균등해진다. 따라서 밸브체의 개방시에 밸브체 및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원활하게 진행시키면서, 유체의 도출을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의 폐쇄시에도 확실하게 공급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감삽공을 상기 가이드 부재에 관통 형성하고, 상기 밸브 체를 상기 감삽공에 감착되는 대경부(大部)와 이 대경부보다 가늘게 형성된 소경부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밸브체의 소경부에 대응하는 부위로서 상기 오목부, 일단측 노치 및 타단측 노치의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상기 감삽공에 연통하는 연통로를 여러개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연통로에 유체가 들어감에 따라 그만큼 유체에 대한 저항이 작아 지므로, 유체가 왕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밸브체의 개방시에 밸브체 및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유체의 도출을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의 폐쇄시에도 안정적으로 공급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밸브체의 후 단부 측에 소경부를 설치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 측이 상기 감삽공에 수납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오목부 및/또는 타 단측 노치가 있는 부위에 상기 연통로를 여러개 형성 한 것이 효과적이다.
감삽공에는 코일 스프링의 일단측이 수납되기 때문에 지지가 안정적이고, 이 점에서도 밸브체와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체의 대경부를 해당 밸브체의 도중에 형성하고, 이 밸브체의 선단부와 대경부 사이에 소경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소경부에 대응하는 부위로서 상기 오목부 및/또는 일단측 노치에 상기 연통로를 복수 개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밸브체의 후단부 측 이외에 밸브체의 선단부 측에도 연통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그만큼 유체에 대한 저항이 작아 지므로, 유체가 왕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밸브체의 개방시에 밸브체 및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면서 유체의 도출을 더욱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의 폐쇄시에도 더욱 확실하게 공급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경부에 상기 감삽공의 내면에 탄접(接, 탄성 접촉)하는 O-링을 씌우고 상기 O-링을 통해서 해당 대경부를 해당 감삽공에 감착(嵌着)하여 구성하고 있다. O-링에 의한 감착이므로 밸브체를 가이드 부재에 감착하기 쉬워진다.
단면 측에 유출구를 갖는 동시에, 둘레 방향으로 따라서 유체가 통과하는 홈 모양의 홈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유형은 특히 유체가 저점도의 경우에 적합한 것이다. 가이드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홈 통로를 형성했기 때문에 유체가 통과하는 저항이 커져서 그만큼 밸브체를 떠오르기 쉽게 할 수 있다. 저점도이므로 유체의 유통은 확보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유체가 통과하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가 유체 공간의 원통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摺動)할 때마다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이 새로운 유체와 접촉하기 쉬워, 예를 들어, 유체가 그리스인 경우 등에는 고착의 우려를 해소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 할 수 있는 선단부를 가지고 구성하고, 이 선단부를 상기 공급 개구에 대치하여 안쪽에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목부를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 축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원추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서 선단부에 안쪽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형성하였으므로, 공급 개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오목부에 의해서 되튀겨와 바깥쪽으로 도망치기 어렵게 되어 유체를 받아들이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한층 밸브체가 떠오르기 쉬워진다. 따라서 밸브체를 공급 개구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어서 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체가 되돌아 올 때에는 오목부의 개구 가장자리가 예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를 전단하는 작용이 생겨 그만큼 폐쇄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공급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상기 밸브체의 공급 개구의 폐쇄시에 상기 오목부 내에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유체 공간에 돌출 형성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밸브체의 오목부에 유체를 집중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러기 위해 더욱 유체를 받기 쉽게 하여 밸브체를 떠오르기 쉽게 할 수 있어서 밸브체를 공급 개구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의 개구 직경보다 공급 개구의 직경이 작아 지므로 공급 개구의 직경이 오목부의 개구의 직경과 대략 같은 경우에 비교하여 유체의 유속도 빨리할 수 있다. 이리하여 이 점에서도 밸브체를 떠오르기 쉽게 하여 밸브체를 공급 개구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는 유체가 통과 가능한 원통 내면을 가지는 유체 공간을 가진 본체를 갖추고, 이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의 일단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 개구를 가진 유체의 공급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에 연통하는 토출 개구를 가진 유체의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공간 내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 축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하고 해당 공급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공급 개구를 개방하는 밸브체를 수납하고, 해당 유체 공간 내에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로 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을 수납하고, 상기 밸브체의 개폐를 감지함으로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 할 수 있도록 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선단부를 가지고 구성하고, 이 선단부를 상기 공급 개구에 대치하여 안쪽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유체 공간 내에 상기 공급 개구에서 토출 개구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여 상기 밸브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유동 감지 장치를 사용할 때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에 공급구 및 토출구를 연결하여 유체가 공급구에서 공급된 때 밸브체의 개폐를 감지함으로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한다. 즉, 유체가 공급구에서 공급되면 유체는 공급구에서 유체 공간으로 유입되고 밸브체에 유체가 작용하여 밸브체는 가이드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밸브체가 개방된다. 이 경우, 밸브체의 선단부에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를 형성하였으므로, 공급 개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오목부에 의해 되돌아 와서 바깥쪽으로 도망치기 어렵게 되어 유체를 받아드리기가 쉽게 할 수 있어서 밸브체가 떠오르기 쉽게 되고, 따라서 확실하게 밸브체를 공급 개구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 특히 예를 들어, 0.1cc 이하인 미량의 경우, 또는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많아도 유속이 느려지는 경우에는 밸브체의 이동량 (리프트 량)이 매우 작아지지만 확실하게 밸브체가 밀어 올려지므로, 밸브체를 공급 개구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유체의 공급구로부터의 공급이 중단되면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밸브체는 가이드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유체 공간의 일단면 측으로 이동되어 밸브체는 공급 개구를 폐쇄 한다. 이 경우 공급 개구로부터 토출 개구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밸브체의 반환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밸브체가 되돌아갈 때에는 오목부의 개구 가장자리가 예각으로 되어 있으므로 유체를 전단하는 작용이 생겨서 그만큼 폐쇄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목 부를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 축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원추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상기 공급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상기 밸브체의 공급 개구의 폐쇄시에 상기 오목부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유체 공간에 돌출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밸브체의 오목부에 유체를 집중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유체를 받아들이기 쉽게 하여 밸브체를 떠오르기 쉽게 할 수 있어서 밸브체를 공급 개구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의 개구의 직경보다 공급 개구의 직경이 작아지므로 공급 개구의 직경이 오목부의 개구의 직경과 대략 같은 경우와 비교하여 유체의 유속도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리하여 이 점에서도 밸브체를 떠오르기 쉽게 할 수 있어서 밸브체를 공급 개구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는 유체가 통과 가능한 원통 내면을 가진 유체 공간을 가진 본체를 갖추고, 해당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의 일단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 개구를 가진 유체의 공급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에 연통하는 토출 개구를 가진 유체의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공간 내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 축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하고 해당 공급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공급 개구를 개방하는 밸브체를 수납하고, 해당 유체 공간 내에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 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을 수납하고, 상기 밸브체의 개폐를 감지함으로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 할 수 있도록 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개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한 상기 밸브체의 개방 동작을 허용하고,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에 대해서 자력(磁力)에 의해 흡입하는 흡입 수단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유동 감지 장치를 사용할 때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에 공급구 및 배출구를 연결하여 유체가 공급구에서 공급될 때 밸브체의 개폐를 감지함으로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한다. 즉, 유체가 공급구에서 공급되면 유체는 공급 개구에서 유체 공간으로 유입되고 밸브체가 밀어 올려져서 밸브체가 개방된다. 이 경우, 흡입 수단인 자력의 흡인에 있어서는 흡인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밸브체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의 이동시에는 흡인력이 약해지므로 밸브체가 떠오르기 쉬워지고, 따라서 확실하게 밸브체를 공급 개구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 특히 예를 들어, 0.1cc 이하로 되는 미량의 경우, 또는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많아도 유속이 느려지는 경우에는 밸브체 이동량 (리프트 량)이 매우 작아지지만 확실하게 밸브체가 밀어 올려지므로, 밸브체를 공급 개구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유체의 공급구로부터의 공급이 중단되면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서 밸브체는 유체 공간의 일단면 측으로 이동되어 밸브체는 공급 개구를 폐쇄한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에서는 굴곡 량과 하중이 비례 관계가 있으므로, 밸브체의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의 복귀 특성과 공급 개구에 대한 압압력(押力)에 한계가 있지만, 흡인 수단인 자력의 흡인에서는 흡인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밸브체의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의 복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공급 개구에 대한 압압력을 더해서 접촉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만의 경우 내압의 관계도 있고, 살짝 덮이듯이 복귀하므로 접점부를 확실하게 폐쇄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자력에 의한 흡인시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흡인력이 증가하므로 가속도가 생겨 접점부 상면의 절연막(유막)을 파괴하고 접점부의 세척 효과도 생기고, 따라서 접점부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흡인 수단의 흡인력은 코일 스프링과의 균형을 고려하여 영구 자석의 재질, 크기, 밸브체의 투자율, 밸브체와 영구 자석의 거리 등으로 조정한다.
이 구성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인 수단을 상기 밸브체 측에 설치된 자석 또는 자석에 자착(磁着) 가능한 자착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부재와, 상기 공급 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부재를 흡인하는 자석 또는 자석에 자착 가능한 자착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밸브체 측에 자석을 설치한 경우에는 공급 개구 측에 자석 및/또는 자착재료를 마련한다. 밸브체 측에 자착재료를 설치한 경우에는 공급 개구 측에는 자석을 설치한다. 자석은 영구 자석, 전자석 어느 것이든 좋지만, 컴팩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영구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력을 확실하게 부여하여 밸브체의 흡인을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 2 부재를, N극면 및 S극면을 가진 복수의 영구 자석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여러개의 영구 자석을 사용하였으므로 그 상승 작용에 의해서 흡인력의 조정이나 코일 스프링과 밸런스 조정을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자석을 여러개 설치함으로써 자석의 자력과 자력선의 영향 범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성상의 유체의 감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 2 부재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을 그 자극 방향이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 축에 따르도록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영구 자석을 그 자극 방향이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 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자석의 배치 상태에 따라 특정한 하나의 자석의 자력선이 다른 자석에 받아 들여져서 이 특정의 하나의 자석이 밸브체를 흡인하는 영향 범위 (자기장, 자기장)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근소한 밸브체의 리프트 량으로 특정한 하나의 자석이 밸브체를 흡인하는 힘을 줄여서, 밸브체를 확실히 개방하기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자석의 자력과 배치를 조정하여 밸브체의 리프트량과 리프트 시간 (열려있는 동안의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의 폐쇄시에는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서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밸브체로 구성하고, 상기 제 2 부재를 상기 본체에 부설 할 수 있다.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밸브체에 상기 공급 개구에서 토출 개구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여 상기 유체 공간의 원통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해당 유체 공간의 일단면에 대치하여 상기 공급 개구로부터의 유체를 받는 받이면(受面)을 가지고 또한 상기 유체 공간의 타 단면에 대치하는 상면측을 가진 가이드 부재를 부설하고,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가이드 부재에 감겨지는 자착재료로 이루어지는 코일로 구성하고, 상기 제 2 부재를 상기 본체에 부설되는 자석으로 구성 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에 감긴 코일을 흡인함으로서 밸브체를 간접적으로 흡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체가 통과 가능한 원통 내면을 가지고 있는 유체 공간을 가진 본체를 갖추고, 이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의 일단에서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 개구를 가진 유체의 공급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에 연통하는 토출 개구를 가진 유체의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의 일단 측에 노출하는 접점부를 가진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한쪽 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의 타단측에 노출하는 노출부를 가지며 상기 한쪽 전극에 대해서 절연된 전도체로 이루어진 다른쪽 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유체 공간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 축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한쪽 전극의 접점부에 접촉하여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하고 해당 접점부에서 이격하여 상기 공급 개구를 개방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를 수납하고, 상기 유체 공간 내에 일단이 상기 밸브체에 접속되고 다른 쪽 끝이 상기 다른 쪽 전극 노출부에 접속되어 이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코일 스프링을 수납하고,
상기 한쪽 전극 밸브체 코일 스프링 및 다른 쪽 전극으로 구성된 전기 회로의 상기 밸브체가 폐쇄되었을 때의 접속, 개방되었을 때의 절단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므로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유동 감지 장치를 사용할 때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에 공급구와 배출구를 접속하는 동시에, 감지기로부터의 배선을 한쪽 전극 및 다른 쪽 전극에 접속하여 이 감지기에 의해 한쪽 전극, 밸브체, 코일 스프링 및 다른 쪽 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기 회로에 항상 전압을 부여하는 등, 이 전기회로의 밸프체가 폐쇄로 되었을 때의 접속, 개방으로 되었을 때의 절단을 전기적으로 검출한다. 즉, 유체가 공급구에서 공급되면 유체는 유체 공급 개구에서 유체 공간으로 유입되고 밸브체에 유체가 작용하여 밸브체가 일체로 밀어올려져서 밸브체가 개방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체가 떠오르기 쉬워지고, 따라서 확실하게 밸브체를 공급 개구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 특히 예를 들면, 0.1cc 이하가 되는 미량인 경우, 또는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많아도 유속이 느려지는 경우에는 밸브체의 이동량 (리프트 량)이 매우 작아 지지만 확실하게 밸브체가 밀어 올려지므로, 밸브체를 공급 개구가 있는 한쪽 전극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액체가 흘러도 밸브체가 한쪽 전극에서 모두가 이격하지 않고 일부가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개방 (절단)을 감지할 수 없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어서, 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기적 감지에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쪽 전극의 접점부를 상기 공급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 및/또는 해당 개구 가장자리의 주위부에 설치하고, 상기 밸브체를 상기 접점부에 접촉하여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 가능한 선단부를 가지고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 축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막대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 유효하다. 접점부에 대한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다른 쪽 전극을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 축에 따라 축선을 축으로 하고, 일단이 상기 유체 공간의 타 단면 측에 노출되는 노출부로서 형성되고 타단측이 본체로부터 돌출한 접속부로서 형성되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다른 쪽 전극을 포지하는(包持, 감싸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포지부재를 설치하고 이 포지부재에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 축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하고 상기 다른 쪽 전극의 노출부가 내부로 향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다른 단 측이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를 돌출시켜서 포지하는 포지공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포지공에는 코일 스프링의 다른 단 측이 수납되므로 지지가 안정되고 밸브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포지부재를 상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이 효과적이다. 포지 부재를 분리하면, 본체의 유체 공간이 개방되므로 밸브체 및 코일 스프링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다른 쪽 전극을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 축에 직교하는 축선을 축으로 하고 상기 유체 공간의 타단측에 노출되는 노출부를 가짐과 동시에 단부를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접속부로 형성되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다른 쪽 전극을 포지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포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다른 쪽 전극의 접속부에 해당 접속부와는 절연된 상태에서 상기 한쪽 전극의 접속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는 한쪽 전극 및 다른 쪽 전극의 접속부를 집약하여 본체의 측부에 형성할 수 있으며, 그만큼 장치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두 접속부를 절연체의 수지 등으로 성형하는 등 보호하기 쉬워진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노출부를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가 접하는 구형체를 갖추어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다른 쪽 전극은 유체 공간을 가로 질러 배치되기 때문에 이 다른 쪽 전극을 본체에 고정할 때 다른 쪽 전극이 유체 공간의 중심 축에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하여 스프링에 대한 접촉부가 변화하지만, 구형체에 스프링을 접촉시키므로, 다른 쪽 전극의 회전운동이 있어도 항상 구면에 코일 스프링을 접촉시킬 수 있으며, 다른 쪽 전극의 위치 조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장착이 쉬워지는 동시에 접속의 안정을 도모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의 상기 다른 쪽 전극보다 바깥쪽에 해당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 축에 직교하는 축선을 축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고 필요한 회전 위치에서 잠글 수 있는 지지간을 관통하여 설치하고, 상기 토출구를 상기 지지간에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서 지지간은 본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각도 조정이 가능해진다. 토출구가 있는 지지간을 급유 개소에 장착할 때는 지지간의 잠금을 해제하고 이것을 장착 후 잠글 수 있다. 이 경우 지지간을 회전운동시켜도 본체는 일정한 위치에 위치시켜 둘 수 있으므로 공간의 좁은 곳의 설치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상기 다른 쪽 전극의 일단 측이 유삽(遊, 자유롭게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다른 쪽 전극의 일단 측을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여 지지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서 토출구는 다른 쪽 전극의 일단 측이 위치하는 부위에 형성되므로, 다른 쪽 전극보다 외측으로 토출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장치를 콤팩트하게 형성 할 수 있어서 공간이 좁은 곳의 설치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상기 유체 공간의 다른 단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하는 토출 개구를 가지고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공급구와 배출구를 유체 공간의 중심 축 위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를 똑바로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장착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에 상기 밸브체의 개폐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를 부대시키고, 상기 포토 센서에 의해서 유체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광학적 감지에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에 상기 밸브체의 개폐를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를 부대시키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 감지에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따르면, 공급 개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받기 쉽게 할 수 있어서 밸브체를 떠오르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체의 복귀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확실하게 밸브체를 공급 개구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 특히 예를 들면, 0.1cc 이하의 미량인 경우, 또는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많아도 유속이 느려지는 경우에는 밸브체의 이동량 (리프트 량)이 매우 작아지지만, 확실하게 밸브체가 밀어 올려지므로, 밸브체를 공급 개구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어서 매우 유효하게 된다. 그 결과, 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가 사용되는 윤활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에서 그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밸브체와 한쪽 전극의 접점과의 접촉의 양태를 표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a), (b), (c)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에서 그 본체 내부의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그 밸브 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그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측면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그 본체 내부의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a)는 단면도, (b)는 영구 자석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의 변형 예 (a), (b), (c)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집약된 전극 접속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집약된 전극의 접속부를 덮은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그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고, (a)는 밸브체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다른 사시도, (c) 는 평면도, (d)는 좌측면도, (e)는 우측면도 (f)는 정면도, (g)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집약된 전극 접속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b) 집약된 전극의 접속부를 덮은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것으로, 반사형 포토 센서를 탑재 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고 (a)는 단면도, (b)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것으로 투과형 포토 센서를 탑재 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고 (a)는 단면도, (b)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밸브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c)는 그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종래의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의 일례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에서 그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밸브체와 한쪽 전극의 접점과의 접촉의 양태를 표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a), (b), (c)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에서 그 본체 내부의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그 밸브 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그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측면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그 본체 내부의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a)는 단면도, (b)는 영구 자석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의 변형 예 (a), (b), (c)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집약된 전극 접속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집약된 전극의 접속부를 덮은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그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고, (a)는 밸브체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다른 사시도, (c) 는 평면도, (d)는 좌측면도, (e)는 우측면도 (f)는 정면도, (g)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집약된 전극 접속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b) 집약된 전극의 접속부를 덮은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것으로, 반사형 포토 센서를 탑재 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고 (a)는 단면도, (b)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것으로 투과형 포토 센서를 탑재 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를 나타내고 (a)는 단면도, (b)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밸브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c)는 그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종래의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의 일례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는 사출 성형기 등의 산업 기계나 공작 기계 등에 설치되는 윤활 시스템 (S)에 사용된다. 윤활 시스템 (S)은 예를 들면, 그리스나 오일 등의 윤활제로 이루어진 유체를 송급하는 윤활 펌프 장비 (1)로, 유체의 압력 및 탈 압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정량 밸브 (2)를 접속하고, 이 정량 밸브 (2)에서 윤활 부위 (3)에 유체를 간헐적으로 공급한다. 정량 밸브 (2)의 1 샷 당 유량은 예를 들어, 0.005 cc ~ 1cc의 범위에서 여러 종류 준비되어 윤활 부위에 맞추어서, 1 또는 여러 종류 선택되어 배관된다.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는 정량 밸브 (2)에서 윤활 부위 (3) 사이의 급유관로 (4)에 끼워져 있고, 유체의 유동을 감지하여 감지기 (5)에 의해 유체가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는 도 2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가 통과 가능한 원통 내면 (11)을 가진 유체 공간 (E)을 가진 금속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본체 (10)를 갖추고 있다. 본체 (10)에는 유체 공간 (E)의 일단에 해당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 개구 (12)를 가진 유체의 공급구 (13)가 형성되어있다.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은 공급 개구 (12) 쪽을 향해 경사 형성되어있다. 공급 구 (13)가 형성된 부위의 외측에는 급유관로에 접속하기 위한 수나사 (14)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본체 (10)의 측부에는 유체 공간 (E)에 연통하는 토출 개구 (15)를 가진 유체의 토출구 (16)가 형성되어있다. 토출구 (16)는 내부에 공급 관로 (4)의 연결용 암나사부 (17)가 있고 본체 (10)에 대해서 나사 수단 (18)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10)는 유체 공간 (E)의 일단 측에 노출되는 접점부 (T)를 가진 전도체로 이루어진 한쪽 전극 (Da)으로 구성되어있다. 한쪽 전극 (Da)으로 배선의 접속은 적절하게 실시된다. 본체 (10)는 공급 개구 (12)를 형성하는 금속 등의 도전 체로 이루어지는 부시 (20)를 구비하고 있다. 부시 (20)는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구 (13)를 가진 파이프 형상의 부재이며, 공급 개구 (12) 측의 단부는 끝이 가늘게 경사 형성된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를 구성하고 유체 공간 (E)에 돌출 배치되어 있다. 부시 (20) 의 공급 개구 (12)와는 반대측의 입구 개구 (22)가 형성된 머리부 (23)는 일반부 (24)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시 (20)의 일반부 (24)는 본체 (10) 에 형성된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과 같은축 감합공 (嵌合孔)(25)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머리부 (23)는, 감합공 (25)에 연속하여 감합공 (25)에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본체 (10)의 일단에 개구하는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과 같은 축의 입구 구멍 (26) 내에 임하고 있다.
또한, 본체 (10)에는 유체 공간 (E)의 타 단면 측에 노출되는 노출부 (30)를 갖는 동시에, 한쪽 전극 (Da)에 대해서 절연된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다른 쪽 전극 (Db)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 쪽 전극 (Db)은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유체 공간 (E)의 타 단면 측에 노출되는 노출부 (30)로 형성되고, 타 단면 측이 본체 (10)로부터 돌출된 수나사가 형성된 접속부 (31)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다른 쪽 전극 (Db)은 수지 등의 절연체로 구성되어 본체 (10)에 나사 수단 (3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지(包持)부재(33) 에 포지되어있다. 포지부재 (33)에는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하고 다른 쪽 전극 (Db)의 노출부 (30)가 내부로 향하고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 (41)의 타단 측이 수납되는 동시에 접속부 (31)를 돌출시켜 포지하는 포지공(包持孔)(34)이 형성 되어있다. 다른 쪽 전극 (Db)은 포지공 (34)에 압입되거나 나사 고정 등에 의해 포지공 (34)에 고정된다. 접속부 (31)의 수나사 접속부 (31)에는 삽입된 배선 (7)(도 1)의 링 단자 (미도시)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 (35)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 공간 (E)내에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를 따라 이동되어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 접촉하여 공급 개구 (12)를 폐쇄하고, 접점부 (T)에서 이격하여 공급 개구 (12)를 개방하는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 (40)와, 일단이 밸브체 (40)에 접속되고 타단이 다른 쪽 전극 (Db)의 노출부 (30)에 접속되어 밸브체 (40)를 공급 개구 (1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코일 스프링 (41)이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유동 감지 장치 (K)는 한쪽 전극 (Da), 밸브체 (40), 코일 스프링 (41) 및 다른 쪽 전극 (Db)으로 구성되는 전기 회로에서 밸브체 (40) 가 폐쇄되었을 때 (도 2)의 접속, 개방되었을 때 (도 3)의 절단을 전기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12a) 및/또는 이 개구 가장자리 (12a)의 주위부 (12b)에 형성되어 있다. 주위부 (12b)는 부시 (20)의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 및,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의 일부인 부시 (20)의 바깥 쪽의 외주부 (28)로 구성되어 있다. 부시 (20)의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는 선단이 가늘게 경사 형성되어 있으며, 유체 공간 (E)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 (40)는 접점부 (T) 에 맞닿아 공급 개구 (12)를 폐색할 수 있는 선단부 (42)를 가지며,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있다. 밸브체 (4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 (50)의 감삽공(嵌孔)(53)에 감착(嵌着, 붙어서 끼워짐)되는 선단부 측의 대경부 (47), 코일 스프링 (41)에 삽입되도록 대경부 (47)보다 가늘게 형성된 후단부 측의 소경부 (48)로 구성되어있다. 대경부 (47)와 소경부 (48) 사이의 단차부 (43)에 코일 스프링 (41)의 일단이 지지된다. 또한, 밸브체 (40)의 선단부 (42)는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에 대치하고 안쪽으로 오목부 (4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오목부 (45)는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부시 (20)에서 형성된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는 밸브체 (40)의 공급 개구 (12)의 폐색시에 오목부 (45)에 향할 수 있도록, 유체 공간 (E)에 돌출 형성되어있다.
밸브체 (40)의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 대한 접촉은 공급 개구 (12)의 주위 부 (12b)에 대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 (42)의 오목부 (45)의 내면이 부시 (20)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의 외면에 접촉하고 또한, 오목부 (45)의 주연부 (44)가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으로 구성된 부시 (20)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보다 외측의 외주부 (28)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밸브체 (40)의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 대한 접촉은 도 4a에 나타낸 양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 (45)의 주연부 (44)가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으로 구성된 부시 (20)의 개구 가장자리부 (21)보다 외측의 외주부 (28)에만 접촉하는 양태,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 (42)의 오목부 (45)의 내면만이 부시 (20) 개구 가장자리부 (21)의 외면에 접촉하는 양태가 되도록 각 부재의 형상이나 치수를 정해도 된다.
또한, 본 유동 감지 장치 (K) 에서는 도 2 내지 도 6,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 (40)에 부설되어 유체 공간 (E)에 설치되는 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 (5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 (50)에는 공급 개구 (12)에서 토출 개구 (15)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여 유체 공간 (E)의 원통 내면 (11)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유체 공간 (E)의 일단면에 대치하여 공급 개구 (12)로부터의 유체를 받을 받이면 (51)을 가지고 또한 유체 공간 (E)의 타 단면에 대치하는 상면 (52)을 가지고 구성되어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 부재 (50)에는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하고, 밸브체 (40)의 선단부 (42) 측이 선단부 (42)를 돌출시켜 감삽되는 동시에 유체 공간 (E)의 타 단면 측에 코일 스프링 (41)의 일단 측이 수납되는 감삽공 (5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 (50)의 중간부 외주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오목부 (54)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재 (50) 의 유체 공간 (E)의 일단면 측이 받이면 (51)을 가지고 유체 공간 (E)의 원통 내면 (11)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일단 측 접동면 (55a)을 가진 일단 측 접동부 (55)로 구성되어 가이드 부재 (50)의 유체 공간 (E)의 타 단면 측이 상면 (52)을 가지고 유체 공간 (E)의 원통 내면 (11)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타 단측 접동면 (56a)을 가진 타 단측 접동부 (56)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 (40)는 가이드 부재 (50)의 감삽공 (53)에 감삽함으로서 일체화되므로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일단측 접동부 (55)의 외측에는 받이면 (51) 및 오목부 (54)에 걸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일단측 노치 (57)가 형성되어 있다. 일단측 노치 (57)는 복수 개 (실시예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고 각 일단측 노치 (57)는 같은 크기이면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축선을 중심으로 등각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타단측 접동부 (56)의 외측에는 상면 (52) 및 오목부 (54)에 걸친 유체가 통과 가능한 타단측 노치 (58)가 형성되어있다. 타단측 노치 (58)는, 복수 (실시 예에서는 3 개) 형성되어 있으며, 각 타단측 노치 (58)는 같은 크기이면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축선을 중심으로 등각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 (50)의 밸브체 (40)의 소경부 (48)에 대응하는 부위이며, 오목부 (54), 일단측 노치 (57) 및 타단측 노치 (58)의 적어도 어느 부위에 감삽공 (53)에 연통하는 연통로 (59)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실시양태에서는, 밸브체 (40)의 후단부 측에 소경부 (48)를 형성하고 코일 스프링 (41)의 일단측이 감삽공 (53)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재 (50)의 오목부 (54) 및/또는 타단측 노치 (58)가 있는 부위 (실시 형태에서는 타단측 노치 (58)에서 오목부 (54)의 일부에 걸친 부위)에, 연통로 (59)가 복수 (3 개) 형성 되어있다.
따라서, 실시양태에 관한 유동 감지 장치 (K)를 사용할 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정량 밸브 (2)에서 윤활 부위 사이의 급유관로 (4)에 공급 구 (13) 와 토출구 (16)를 접속하여 끼워져 있고 감지기 (5)로부터 배선 (6)을 한쪽 전극 (Da) (본체 10)에, 배선 (7)을 다른 전극 (Db)에 각각 접속하고, 감지기 (5)에 의해 한쪽 전극 (Da), 밸브체 (40), 코일 스프링 (41) 및 다른 쪽 전극 (Db)으로 구성된 전기 회로에 항상 전압을 부여하는 등, 이 전기 회로의 밸브체 (40)가 폐쇄(도 2) 되었을 때의 접속, 개방되었을 때 (도 3)의 절단을 전기적으로 검출한다.
자세한 내용은 도 2에 도시한 밸브체 (40)의 폐쇄 위치에서 유체가 공급 구 (13) 로부터 공급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는 공급 개구 (12)에서 유체 공간 (E)에 유입되고, 밸브체 (40) 및 밸브체 (40)에 부설된 가이드 부재 (50) 의 받이면 (51)에 유체가 작용하여 가이드 부재 (50)는 유체 공간 (E)의 원통 내면 (11)을 슬라이드 이동하므로, 밸브체 (40) 및 가이드 부재 (50)가 일체로 밀어 올려져서 밸브체 (40) 가 개방된다. 그리고 유체의 공급구 (13)로부터 공급이 중단되면 코일 스프링 (41)의 부세력에 의해 밸브체 (40) 및 가이드 부재 (50)는 유체 공간 (E)의 일단면 측으로 이동되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 (40)는 공급 개구 (12)를 폐쇄한다.
이 경우 유체가 공급구 (13)로부터 공급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 (50) 의 받이면 (51) 도 유체를 받으므로 밸브체 (40)가 떠오르기 쉬워지고, 따라서 확실하게 밸브체 (40)를 공급 개구 (12)에서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 특히 예를 들어, 0.1cc 이하로 미량인 경우, 또는 유체의 유량이 비교적 많아도 예를 들어, 정량 밸브의 사용 수량이 많아지는 등의 상황 등으로 유속이 느려지는 경우에는 밸브체의 이동량 (리프트 량)이 매우 작아 지지만, 가이드 부재 (50) 의 들뜸에 의해 확실하게 밸브체 (40)가 올려지기 때문에, 밸브체 (40)를 공급 개구 (12)가 있는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액체가 흘러도 밸브 체 (40) 가 한쪽 전극 (Da)에서 모두가 이격하지 않고 일부가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개방 (절단)을 감지 할 수 없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감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 (50)의 상면 (52)이 유체 공간 (E)의 타 단면에 접촉해도 가이드 부재 (50)는 절연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락(短絡)이 저지된다.
또한 밸브체 (40)의 선단부 (42) 안쪽에 오목한 원추형의 오목부 (45)를 형성하였으므로, 유체가 공급구 (13)로부터 공급되면 공급 개구 (12)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오목부 (45)에 의해서 튀어 되돌아 와서, 바깥쪽으로 도망하기 어렵게 되어 유체를 받기 쉬워져서 더욱 밸브체 (40)가 떠오르기 쉬워지고, 따라서 밸브체 (40)가 공급 개구 (12)가 있는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를 돌출 형성하였으므로, 밸브체 (40)의 오목부 (45)에 유체를 집중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더욱 유체를 받기 쉽게하여 밸브체 (40)를 떠오르기 쉽게 할 수 있어서 밸브체 (40)를 공급 개구 (12)가 있는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 (45)의 개구의 직경보다 공급 개구 (12)의 직경이 작아 지므로 공급 개구 (12)의 직경이 오목부 (45)의 개구의 직경과 대략 같은 경우에 비교하여 유체의 유속도 빠르게 할 수 있어서, 이 점에서도 밸브체 (40)를 떠오르기 쉽게 할 수 있어서, 밸브체 (40)를 공급 개구 (12)가 있는 한쪽 전극 (Da)에서 확실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더욱 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체 (40)가 되돌아올 때에는 오목부 (45)의 개구 가장자리가 예각으로 되어 있으므로 유체를 전단하는 작용이 생겨 그만큼 폐쇄동작을 원활하게 수행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 (50)는 공급 개구 (12)에서 토출 개구 (15)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여 유체 공간 (E)의 원통 내면 (11)을 슬라이드 이동하므로 유체를 토출 개구 (15)에서 토출구 (16)로 도출시킬 수 있다. 즉, 밸브체 (40) 및 가이드 부재 (50) 가 유체에 밀어 올려지면, 유체는 일단측 노치 (57) 및 오목부 (54)를 통해서 토출 개구 (15)에 이르러 토출구 (16)에서 토출된다. 이 경우, 오목부 (54)를 형성하고 있어 유체에 대한 저항이 작아지므로 확실하게 공급 개구 (12)에서 토출 개구 (15)로 유체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 (50) 는 오목부 (54)를 사이에 두고 그 양단에 일단측 접동부 (55) 및 타단측 접동부 (56)를 갖추고 있으므로, 유체의 유동에 의해 기우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타단측 노치 (58)를 통해서 유체가 왕래할 수 있으므로, 밸브체 (40)의 개방 시 및 폐쇄시의 가이드 부재 (5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밸브체 (40)의 개방시에 밸브체 (40)를 떠오르기 쉽게 할 수 있으며, 밸브체 (40)의 폐쇄시에도 가이드 부재 (50)는 공급 개구 (12)로부터 토출 개구 (15)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밸브체 (40)의 복귀 동작에 지장이 생기는 일 없이, 확실하게 공급 개구 (1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감삽공 (53)에는 코일 스프링 (41)의 일단 측이 수납되므로 지지가 안정되고, 이 점에서도 밸브체 (40) 및 가이드 부재 (5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일단측 노치 (57)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등각 간격으로 형성되고, 타단측 노치 (58)도 같은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등각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체의 흐름이 고르고, 따라서 밸브체 (40)의 개방시에 밸브체 (40) 및 가이드 부재 (50) 의 이동을 원활하게 진행시키면서, 유체의 도출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 (40)의 폐쇄시에서도 확실하게 공급 개구 (1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 (50)의 타단측 노치 (58)에서 오목부 (54)의 일부에 걸친 부위에는 연통로 (59)가 복수 (3 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유체에 대한 저항이 작아지므로 유체가 왕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밸브체 (40)의 개방시에 밸브체 (40) 및 가이드 부재 (5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유체의 도출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 (40)의 폐쇄시에서도 확실하게 공급 개구 (1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양태에서, 부시 (20)는 본체 (10)의 일반부와는 별체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 (10)와 일체로 형성 되어도 좋고, 적당히 변경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시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상기와는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동의 감지 장치 (K)를 나타낸다. 이것은 상기와는 다르게, 가이드 부재 (50)를 도체로 형성하고 밸브체 (40)와 일체로 형성하여, 본체 (10)를 전도체의 부시 (20)를 제외하고 절연체로 형성하고, 부시 (20)만을 한쪽 전극 (Da)으로 한 형태의 것이다. 그 경우에는 밸브체 (10)와 한쪽 전극 (Da)과의 접촉은 도 4(a) 또는 도 4(c)에 나타낸 양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동 감지 장치 (K)를 나타낸다. 이것은 상기와 달리 부시 (20)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본체 (10)가 한쪽 전극 (Da)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부 (21)는 유체 공간 (E)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에 개구하고 있다. 오목부 (45)의 주연부 (44)의 외주 가장자리 (46) (도 6)가,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를 구성하고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에서 형성된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부 (21) (주위부 12b)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와 거의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 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유동 감지 장치 (K)를 나타낸다. 이것은 도 8에 나타내는 유동 감지 장치 (K)와 달리, 밸브체 (40)의 선단부 (42)를 반구 모양으로 불룩하게 형성한 것이다. 선단부 (42)의 외면이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를 구성하고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에서 형성된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12a)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 (50)에서는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동 감지 장치 (K)를 나타낸다. 이것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유동 감지 장치 (K)와 달리, 밸브체 (40)에 상기 와 같은 형상의 가이드 부재 (50a)를 밸브체 (4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묶여있는 것이다. 이 가이드 부재 (50a)는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하는 밸브체 (40) 가 선단부 (42)를 돌출시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동시에, 유체 공간 (E)의 타 단면 측에 코일 스프링 (41)의 일단측이 수납되는 접동공(摺動孔)(53a)이 관통 형성되어있다. 즉, 상기의 유동 감지 장치 (K)는 밸브체 (40)와 가이드 부재 (50)가 일체로 되어 있지만, 본 유동 감지 장치 (K)는 밸브체 (40)가 가이드 부재 (50a)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동 감지 장치 (K)로서, 도 10에 나타내는 유동 감지 장치 (K)와 마찬가지로, 밸브체 (40)를 가이드 부재 (50a)의 접동공 (53a)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에서 가이드 부재 (50a)를, 본체 (10) 또는 포지(包持)부재 (33) 등에 고정하여 유체의 유입이 있어도 움직이지 않도록 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밸브체 (40)의 오목부 (45)에서는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유동 감지 장치 (K)를 나타낸다. 이 유동 감지 장치 (K)는 유체가 통과 가능한 원통 내면 (11)을 가진 유체 공간 (E)을 가진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본체 (1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10)에는 유체 공간 (E)의 일단에 해당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를 중심으로 하는 공급 개구 (12)를 가진 유체의 공급구 (13)가 형성되어 있다.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은 공급 개구 (12) 쪽을 향해서 경사 형성되어있다. 또한, 본체 (10)의 측부에는 유체 공간 (E)에 연통하는 토출 개구 (15)를 가진 유체의 토출구 (16)가 형성되어있다. 토출구 (16)는 본체 (10)에 대해서 나사 수단 (18)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10)는 유체 공간 (E)의 일단 측에 노출되는 접점부 (T)를 가진 전도체로 이루어진 한쪽 전극 (Da)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쪽 전극 (Da)으로 배선 접속은 적절하게 행하여 진다. 본체 (10)는 공급 개구 (12)를 형성하는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부시 (20)를 구비하고 있다. 부시 (20)는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구 (13)를 가진 파이프 모양의 부재이며, 공급 개구 (12)측의 단부는 끝이 가늘게 경사 형성된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부 (21)를 구성하고 유체 공간 (E)에 돌출 배치되어있다. 부시 (20)의 공급 개구 (12)는 반대측 입구 개구 (22)가 형성된 머리부 (23)는 일반부 (24)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있다. 부시 (20)의 일반부 (24)는 본체 (10)에 형성되어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과 동축의 감합공(嵌合孔) (25)에 감합되어 있다. 머리부 (23)는 감합공 (25) 연속하여 감합공 (25)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본체 (10)의 일단에 개구하는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과 동축의 입구 구멍 (26)내로 향하고 있다.
또한, 본체 (10)에는 유체 공간 (E)의 타 단면 측에 노출되는 노출부 (30)를 갖는 동시에 한쪽 전극 (Da)에 대해서 절연된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다른 쪽 전극 (Db)가 설치되어있다. 다른 쪽 전극 (Db)은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유체 공간 (E)의 타 단면 측에 노출되는 노출부 (30)로 형성되고, 타단 측이 본체 (10)로부터 돌출된 수나사가 형성된 접속부 (31)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다른 쪽 전극 (Db)은 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져서 본체 (10)에 나사 수단 (3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지부재 (33)에 포지되어 있다. 포지부재 (33)는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다른 쪽 전극 (Db)의 노출부 (30)가 내부로 향하고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 (41)의 타단 측이 수납되는 동시에, 접속부 (31)를 돌출시켜 포지하는 포지공 (34)이 형성되어있다. 다른 쪽 전극 (Db)은 포지공(包持孔) (34)에 압입되거나 나사 고정 등에 의해 포지공 (34)에 고정된다. 연결부 (31)의 수나사에는 이 접속부 (31)에 삽입된 배선 (7)(도 1)의 링 형상 단자 (미도시)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 (35)가 나사 결합되어있다.
또한 유체 공간 (E) 내에는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에 따라 이동되는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 접촉하여 공급 개구 (12)를 폐쇄하고 접점부 (T)에서 이격되어 공급 개구 (12)를 개방하는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 (40)와, 일단이 밸브체 (40)에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쪽 전극 (Db)의 노출부 (30)에 접속되어 밸브체 (40)를 공급 개구 (1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코일 스프링 (41)이 수납되어있다. 따라서 본 유동 감지 장치 (K)는 한쪽 전극 (Da) 밸브체 (40), 코일 스프링 (41) 및 다른 쪽 전극 (Db)으로 구성된 전기 회로에서 밸브체 (40)가 폐쇄되었을 때 (도 2)의 접속, 개방으로 되었을 때 (미도시)의 절단을 전기적으로 검출(감지)함으로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12a) 및/또는 이 개구 가장자리 (12a)의 주위부 (12b)에 형성되어있다. 주위부 (12b)는 부시 (20)의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 및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의 일부인 부시 (20)의 외부의 외주부 (28)로 구성되어있다. 부시 (20)의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는 선단이 끝이 가늘게 경사 형성되어 있으며, 유체 공간 (E)에 돌출 형성되어있다.
밸브체 (40)는 접점부 (T)에 접촉하여 공급 개구 (12)를 폐쇄 가능한 선단부 (42)를 가지며,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 (40)는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 (50)의 감삽공 (53)에 끼워지고 중간에 형성된 대경부 (60)와 코일 스프링 (41)에 삽입되도록 대경부 (60)보다 가늘게 형성된 후단부 측의 직경부 (61)와 밸브체 (40)의 선단부 (42)와 대경부 (60)와의 사이에 형성된 소경부 (62)로 구성되어있다. 대경부 (60)와 소경부 (61)사이의 단차부 (63)에 코일 스프링 (41)의 일단이 지지된다. 대경부 (60)는 후술하는 감삽공 (53)의 내면에 탄접(接)하는 O-링 (64)이 씌워지며(被冠), O-링 (64)을 통해 대경부 (60)는 감삽공 (53)에 감착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 (40)의 선단부 (42)는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에 대치하여 안쪽으로 오목한 오목부 (4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있다. 오목부 (45)는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원추형으로 형성되어있다. 한편, 부시 (20)에서 형성된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는 밸브체 (40)의 공급 개구 (12)의 폐색시에 오목부 (45)내에 향할 수 있도록 유체 공간 (E)에 돌출 형성되어있다.
밸브체 (40)의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 대한 접촉은 공급 개구 (12)의 주위 부 (12b)에 대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 (42)의 오목부 (45)의 내면이 부시 (20)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의 외면에 접촉하고 또한 오목부 (45)의 주연부 (44)가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으로 구성된 부시 (20)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보다 외측의 외주부 (28)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밸브체 (40)의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 대한 접촉은 도 4(a)에 나타낸 양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 (45)의 주연부 (44)가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으로 구성된 부시 (20)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보다 외측의 외주부 (28)만 접촉하는 양태도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 (42)의 오목부 (45)의 내면만이 부시 (20)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의 외면에 접촉하는 양태가 되도록 각 부재의 형상 및 치수를 정해도 된다.
또한, 본 유동 감지 장치 (K)에서는 밸브체 (40)에 부설되어 유체 공간 (E)내에 설치되는 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 (50)가 구비되어있다. 이 가이드 부재 (50)는 공급 개구 (12)로부터 토출 개구 (15)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여 유체 공간 (E)의 원통 내면 (11)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유체 공간 (E)의 일단면에 대치하여 공급 개구 (12)로부터의 유체를 받는 받이면 (51)을 가지고 또한 유체 공간 (E)의 타 단면에 대치하는 상면 (52)을 가지고 구성되어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 부재 (50)는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하여 밸브체 (40)의 선단부 (42) 측이 선단부 (42)를 돌출시켜 감삽되는 동시에 유체 공간 (E)의 타 단면 측에 코일 스프링 (41)의 일단측이 수납되는 감삽공 (53)이 관통 형성되어있다. 밸브체 (40)의 대경부 (60)는 O-링 (64)을 통해 감삽공 (53)에 감착되어있다. O-링에 의한 감착이므로 밸브체를 가이드 부재에 감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가이드 부재 (50)의 중간부 외주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오목부 (54)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재 (50)의 유체 공간 (E)의 일단면 측이 받이면 (51)을 가지고 유체 공간 (E)의 원통 내면 (11)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일단 측 접동면 (55a)을 가진 일단측 접동부 (55)로 구성되어, 가이드 부재 (50)의 유체 공간 (E)의 타단면 측이 상면 (52)을 가지고 유체 공간 (E)의 원통 내면 (11)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타 단측 접동면 (56a)을 가진 타 단측 접동부 (56)로 구성되어있다. 밸브체 (40)는 가이드 부재 (50)의 감삽공 (53)에 감삽으로서 일체화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일단측 접동부 (55)의 외부에는 받이면 (51) 및 오목부 (54)에 걸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일단측 노치 (57)가 형성되어있다. 일단측 노치 (57)는 복수 (실시예에서는 3 개) 설치되어 있고 각 일단측 노치 (57)는 같은 크기이면서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축선을 중심으로 등각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타단측 접동부 (56)의 외측에는 상면 (52) 및 오목부 (54)에 걸친 유체가 통과 가능한 타단측 노치 (58)가 형성되어있다. 타단측 노치 (58)는 복수 (실시 예에서는 3 개) 형성되어 있으며, 각 타단측 노치 (58)는 같은 크기이면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축선을 중심으로 등각 간격으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 (50)의 밸브체 (40)의 소경부 (61)에 해당하는 부위이며 오목 부 (54), 일단측 노치 (57) 및 타단측 노치 (58)의 적어도 어느 부위에 감삽공 (53)에 연통하는 연통로 (70)가 여러 개 형성되어 있다. 실시양태에서, 밸브체 (40)의 후단부 측에 소경부 (48)를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 (41)의 일단측이 감삽공 (53)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재 (50)의 오목부 (54) 및/또는 타단측 노치 (58)가 있는 부위 (실시 형태에서는 타단측 노치 (58) 및 오목부 (54)에 걸치는 부위)에 연통로 (70)가 복수 (3 개) 형성되어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 (50)의 밸브체 (40)의 직경부 (62)에 대응하는 부위이며 오목부 (54), 일단측 노치 (57) 및 타단측 노치 (58)의 적어도 어느 부위에 감삽공 (53)에 연통하는 연통로 (71)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실시양태에서는 가이드 부재 (50)의 오목부 (54) 및/또는 일단측 노치 (57)가 있는 부위 (실시예에서는 일단측 노치 (57) 및 오목부 (54)에 걸치는 부위)에 연통로 (71)가 복수 (3 개) 형성되어있다.
또한, 본 유동 감지 장치 (K)에서는 공급 개구 (12)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한 밸브체 (40)의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 대한 개방 동작을 허용하여 밸브체 (40)를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 자력에 의해 흡인하는 흡인 수단 (80)이 설치되어있다. 흡인 수단 (80)은 밸브체 (40) 측에 설치된 자석 또는 자석에 자착가능한 자착(磁着)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 (81)와, 한쪽 전극 (Da) 측에 설치된 제 1 부재 (81)를 흡인하는 자석 또는 자석에 자착 가능한 자착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 (82)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양태에서는, 제 1 부재 (81)를 밸브체 (40)로 구성하고 제 2 부재 (82)를 본체 (10)에 부설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체 (40) (제 1 부재 (81))는 철에 금도금을 한 자착재료로 구성되고, 제 2 부재 (82)는 영구 자석 (83)으로 구성되어 부시 (20)의 머리부 (23)에 부설되어 있다. 영구 자석 (83)(제 2 부재 (82))은 부시 (20)의 입구 개구 (22)에 연통하는 통공 (84)을 가진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인 수단 (80)의 흡인력은 도전성 코일 스프링 (41)과의 균형을 고려하여 영구 자석의 재질, 크기, 밸브체 (40)의 투자율, 밸브체 (40)와 영구 자석의 거리로 조정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동 감지 장치 (K)를 이용할 때는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표시한 유동 감지 장치 (K)와 같은 작용을 한다. 즉, 밸브체 (40)의 폐쇄 위치에서 유체가 공급구 (13)로부터 공급되면 유체는 공급 개구 (12)로부터 유체 공간 (E)에 유입되고 밸브체 (40) 및 밸브체 (40)에 부설된 가이드 부재 (50)의 받이면 (51)에 유체가 작용하여 가이드 부재 (50)는 유체 공간 (E)의 원통 내면 (11)을 슬라이드 이동하므로, 밸브체 (40) 및 가이드 부재 (50)가 일체로 밀어 올려져서 밸브체 (40)가 개방된다. 그리고 유체의 공급구 (13)로부터의 공급이 중단되면 코일 스프링 (41)의 부세력에 의해 밸브체 (40) 및 가이드 부재 (50)는 유체 공간 (E)의 일단면 측으로 이동되어 밸브체 (40)는 공급 개구 (12)를 폐쇄한다.
이 경우 유체가 공급구 (13)로부터 공급되면 가이드 부재 (50)의 받이면 (51)에서도 유체를 받으므로 밸브체 (40)가 떠오르기 쉬워지고, 따라서 확실하게 밸브체 (40)를 공급 개구 (12)에서 이격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상술한 바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가이드 부재 (50)에서 밸브체 (40)의 후단부 측의 연통로 (70) 이외에 밸브체 (40)의 선단부 측에 연통로 (71)가 형성되기 때문에, 그만큼 유체에 대한 저항이 작아져서 유체가 왕래하기 쉬워지고, 따라서 밸브체 (40)의 개방시에 밸브체 (40) 및 가이드 부재 (50)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면서 유체의 도출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 (40)의 폐쇄시에도 더욱 확실하게 공급 개구 (12)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흡인 수단 (80)을 형성하였으므로, 흡인 수단 (80)의 자력의 흡인에서는 흡인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밸브체 (40)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의 이동시에는 흡인력이 약해 지므로 밸브체 (40)가 떠오르기 쉬워지고, 따라서 확실하게 밸브체 (40)를 공급 개구 (1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 (41)만으로는, 굴곡량과 하중이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밸브체 (40)의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의 귀환 특성과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 대한 압압력에 한계가 있지만, 흡인 수단 (80)의 자력의 흡인에서는 흡인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밸브체 (40)의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의 귀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 대한 압압력을 증가하여 접촉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 (41)만의 경우 내압의 관계도 있고, 살짝 씌워지듯 돌아가기 때문에 접점부 (T)를 확실하게 폐쇄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자력에 의한 흡인시에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흡인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가속도가 생겨 접점부 상면의 절연막 (유막)을 파괴하고 접점부 (T)의 세척 효과도 생기는 바, 따라서 접점부 (T)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동 감지 장치 (K)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는 상기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상기와 달리 본체 (10)는 절연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부재 (82)는, N 극면 및 S 극면을 가진 복수 (실시예 에서는 두 개)의 영구 자석, 즉 내부 영구 자석 (83a) 및 외부 영구 자석 (83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제 2 부재 (82)에서는 내부 영구 자석 (83a)은 전도체로 구성되어 그 자극 방향이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에 따르도록 배치되고, 외부 영구 자석 (83b)은 그 자극 방향이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내부 영구 자석 (83a)은 부시 (20)의 입구 개구 (22)에 연통하는 통공 (84)을 가진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부시 (20)의 머리부 (23)에 부설되어있다. 외부 영구 자석 (83b)은 원반 모양으로 형성되고, 본체 (10)의 밸브체 (40)에 대응한 측면이며, 토출구 (16)는 반대측의 측면에 부설되어있다. 또한 내부 영구 자석 (83a) 및 외부 영구 자석 (83b)은 N 극면이 내향으로 되도록, S 극면이 외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있다.
또한, 자극면의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인 수단 (80)의 흡인력은 전도성 코일 스프링 (41)과의 균형을 고려하여 영구 자석의 재질, 크기, 밸브체 (40)의 투자율, 밸브체 (40)와 영구 자석의 거리로 조정한다. 또한, 본체 (10)의 입구 구멍 (26)에는 어댑터 (88)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이 어댑터 (88)와 내부 영구 자석 (83a) 사이에 전도성 코일 (89)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이 어댑터 (88)를 한쪽 전극 (Da)으로 하고있다.
이로써 내부 영구 자석 (83a) 및 외부 영구 자석 (83b)의 복수의 영구 자석을 사용하였으므로 그 상승 작용에 의해 흡인력 조절과 코일 스프링 (41)과의 밸런스 조정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의 자력과 자력선의 영향 범위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성상의 유체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양태에서는 내부 영구 자석 (83a) 및 외부 영구 자석 (83b)을 상기의 배치 관계로 했기 때문에, 내부 영구 자석 (83a)의 흡인력이 미치는 범위가 작아져서 이것에 의해 밸브체 (40)가 떨어지기 쉽고, 또한, 밸브체 (40)가 돌아왔을 때 내부 영구 자석 (83a)의 흡인력으로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석의 흡인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지만, 외부 영구 자석 (83b)의 배치 관계에 따라 자석의 흡인력이 예를 들면 거리의 3 제곱에 반비례하도록 작용이 생겨 밸브체 (40)의 개폐가 용이해진다고 생각된다. 즉, 내부 영구 자석 (83a) 및 외부 영구 자석 (83b)의 배치 상황에 따라 내부 영구 자석 (83a)의 자력선이 외부 영구 자석 (83b)에 받아 들여져 이 내부 영구 자석 (83a)이 밸브체 (40)를 흡인하는 영향 범위 (자기장, 자계)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량의 밸브체 (40)의 리프트 량으로 내부 영구 자석 (83a)이 밸브체 (40)를 흡인하는 힘을 줄이고, 밸브체 (40)를 확실하게 개방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 영구 자석 (83a) 및 외부 영구 자석 (83b)의 자력과 배치를 조정하므로서 밸브체 (40)의 리스트 량과 리프트 시간 (열려있는 동안의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 (40)의 폐쇄시에는 내부 영구 자석 (83a)의 흡인력에 의해 확실하게 폐쇄 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양태에서는, 부시 (20)는 비자착체(非磁着)로 구성해도 좋고, 영구 자석 또는 자착재료로 구성하여도 좋다. 영구 자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부시 (40)도 제 2 부재 (82)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 영구 자석 (83a) 및 외부 영구 자석 (83b)의 2 개의 자석을 설치하여 구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석을 3 개 이상 설치해도 되고, 또한 자석의 형상, 재질이나 강도 등의 성상은 어떻게 정해도 좋고, 또한 자석의 부착 위치는 예를 들면 본체 (10)에 매설하는 등 어떻게 결정해도 되며, 적절히 변경해도 지장 없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를 나타낸다. 이는 상기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흡인 수단 (80)의 구성이 다르다. 흡인 수단 (80)은 제 1 부재 (81)를 가이드 부재 (50)의 오목부 (54)에 감기는(回) 자착재료로 이루어지는 코일 (85)로 구성하고 제 2 부재 (82)를 본체 (10)의 부시 (20)에 부설되는 상기와 같이 영구 자석 (83)으로 구성한 것이다. 가이드 부재 (50)에 감긴 코일 (85)을 흡인함으로서 밸브체 (40)를 간접적으로 흡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밸브체 (40)는 비 자착체로 구성해도 되고, 영구 자석 또는 자착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영구 자석 또는 자착재료로 구성한 경우에는 밸브체 (40)도 제 1 부재 (81)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부시 (20)는 비자착체로 구성해도 되고, 영구 자석 또는 자착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영구 자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부시 (40)도 제 2 부재 (82)를 구성하게 된다.
다음에 또한 도 15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도 15(a)에 나타내는 유동 감지 장치 (K)는 도 14에 나타내는 유동 감지 장치 (K)와 거의 같지만, 제 2 부재 (82)를 본체 (10)의 외부에 부설되는 반링 형상의 영구 자석 (86)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15(b)에 나타내는 유동 감지 장치 (K)는 도 14에 나타내는 유동 감지 장치 (K)와 거의 같지만, 제 2 부재 (82)를 본체 (10)의 외부에 부설되는 링 형상의 영구 자석 (87)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15(c)에 나타내는 유동 감지 장치 (K)는 도 14에 나타내는 유동 감지 장치 (K)와 마찬가지로 코일 (85)을 구비한 것이며, 제 1 부재 (81)를 밸브체 (40) 및 코일 (85)에서 구성하고 제 2 부재 (82)를 부시 (20)로 구성하 고있다. 부시 (20)는 영구 자석으로 구성되어있다.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가 통과 가능한 원통 내면 (11)을 가진 유체 공간 (E)을 가진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본체 (10)를 갖추고 있다. 본체 (10)에는 유체 공간 (E)의 일단에 해당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 개구 (12)를 가진 유체의 공급구 (13)가 형성되어있다.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은 공급 개구 (12) 쪽을 향해서 경사 형성되어있다. 공급 구 (13)가 형성된 부위의 외측에는 급유관로에 접속하는 수나사 (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10)의 측부에는 유체 공간 (E)에 연통하는 토출 개구 (15)를 가진 유체의 토출구 (16)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 (16)는 내부에 급유관로 (4)에 접속용 암나사 부 (17)를 가지며, 본체 (10)에 대해서 나사 수단 (18)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는 본 발명의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를 나타낸다. 이 유동 감지 장치 (K)는 유체가 통과 가능한 원통 내면 (11)을 가진 유체 공간 (E)를 가진 금속 등의 도전 체로 이루어지는 본체 (1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10)에는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을 구성하는 링 형상의 단부 부재 (120)가 감착되어 있으며, 이 단부 부재 (120)는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와 동축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진 부시 (20)가 감착되어 있다. 부시 (20)에는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 개구 (12)를 가진 유체의 공급구 (13)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 개구 (12) 측의 단부는 끝이 가늘게 경사 형성된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를 구성하고 유체 공간 (E)에 돌출 배치되어 있다. 단부 부재 (120)의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을 구성하는 부위는 공급 개구 (12) 쪽으로 향해서 경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부 부재 (120)에는 부시 (20)의 공급 개구 (12)와는 반대측의 위치에서 상기와 같은 흡인 수단 (80)을 구성하고 후술하는 제 1 부재 (81)로서의 밸브체 (40)를 흡인하는 제 2 부재 (82)로서의 링형 영구 자석 (83)이 감착되어(끼워져)있다.
본체 (10)의 일단측 의 내측에는 암나사 (1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 (121)에 급유관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부재 (122)가 나사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단부 부재 (120)와 접속 부재 (122) 사이에는 코인형 필터 (123)가 끼워져 있다.
본체 (10)의 타 단측이며 후술하는 다른 쪽 전극 (Db)보다 바깥쪽에는 본체 (10)를 지지하고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에 직교하는 축선 (Q)을 축으로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고 소요의 회전운동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지지간(支持杆)(130)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본체 (10)에는 지지간 (130)이 삽입되는 관통공 (131)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간 (130)의 본체 (10)로부터 돌출하는 일단부(一端部)는 관통공 (131)보다 큰 직경의 대경부 (132)와 이의 대경부 (132)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급유 부위에 나사를 받는 수나사 (13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간 (130)의 본체 (10)로부터 돌출하는 타 단부에는 너트 (134)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 (135)가 형성되고, 이 너트 (134)를 풀어주므로서 지지간 (130) 은 본체 (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가능해지고, 너트 (134)를 조임으로서 지지간 (130)은 본체 (10)에 대해서 고정된다. 부호 (136)는 지지간 (130)과 관통공 (131) 사이에 끼워진 밀봉용 O-링이다.
본체 (10)에는 유체 공간 (E)에 연통하는 토출 개구 (15)를 가진 유체의 토출구 (16)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이 토출구 (16)는 지지간 (130)에 형성 되어있다. 토출구 (16)의 토출 개구 (15)는 지지간 (130)의 유체 공간 (E)으로 향하는 부위에 2 개소로 형성되고, 토출구 (16)의 출구 (16a)는 지지간 (130)의 일단면에 형성되어있다.
본체 (10)는 유체 공간 (E)의 일단 측에 노출되는 접점부 (T)를 가진 전도체로 되는 한쪽 전극 (Da)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10)에는 한쪽 전극 (Da)에 절연된 도체로 이루어진 다른 쪽 전극 (Db)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 전극 (Db)은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에 직교하는 축 (R)을 축으로 하고, 유체 공간 (E)의 타 단측에 노출되는 노출부 (140)를 가지는 동시에 일단부 (141) 및 타단부 (142)가 본체 (10)로부터 돌출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출부 (140)의 중간부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즉, 노출부 (140)는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 (41)의 단부가 접하는 구형체 (140a)를 갖추고 형성된다. 본체 (10)에는 다른 쪽 전극 (Db)이 삽통되는 삽통공 (143)이 형성되고, 다른 쪽 전극 (Db)의 삽통공 (143)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다른 쪽 전극 (Db)을 포지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포지부재 (144)가 설치되어 있다. 포지부재 (144)는 삽통공 (143)에 액밀(液密)하게 감삽되어 있다.
다른 쪽 전극 (Db)의 일단부 (141)에는 삽통공 (143) 보다 큰 직경의 고정 링 (145)이 계착(係着)되어 빠짐이 방지되어 있다. 한편, 다른 쪽 전극 (Db)의 타단부 (142)에는 너트 (146)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 (147)가 형성되고, 이 너트 (146)를 조여서 다른 쪽 전극 (Db)이 본체 (10)에 고정된다. 다른 쪽 전극 (Db)의 타단부 (142)는, 접속부 (150)로 구성되며, 접속용 단자 (151)가 접속된다. 또한 다른 쪽 전극 (Db)의 접속부 (150)에는 이 접속부 (150)는 절연된 상태로 한쪽 전극 (Da)의 접속부 (152)가 설치된다. 접속부 (152)는 본체 (10)에 접촉하는 접속용 단자 (153)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 (151) 및 단자 (153)는 절연체 (154)를 통해 본체 (10)와 너트 (146) 사이에 협지(挾持)되어있다. 부호 (155)는 다른 쪽 전극 (Db)의 한 단부 (141)를 덮는 커버, 부호 (156)는 다른 쪽 전극 (Db)의 타 단부 (142) 너트 (146) 단자 (151) 및 단자 (153)를 덮는 커버이며, 내부에 수지제 몰드를 주입 가능하게 형성되어있다.
또한 유체 공간 (E)에는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에 따라 이동되어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 접촉하여 공급 개구 (12)를 폐쇄하고 접점부 (T)에서 이격하여 공급 개구 (12)를 개방하는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 (40)와, 한쪽 끝(一端)이 밸브체 (40)에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쪽 전극 (Db)의 노출부 (140)의 구형체 (140a)에 접속되어 밸브체 (40)를 공급 개구 (1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금속 등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코일 스프링 (41)이 수납되어있다. 따라서 본 유동 감지 장치 (K)는 한쪽 전극 (Da) 밸브체(40), 코일 스프링 (41) 및 다른 쪽 전극 (Db)으로 구성된 전기 회로에서 밸브체 (40)가 폐쇄되었을 때의 접속, 개방되었을 때의 절단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유체의 유동을 감지 할 수 있다.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12a) 및/또는 이 개구 가장자리 (12a)의 주위부 (12b)에 설치되어 있다. 주위부 (12b)는 부시 (20)의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 및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의 일부인 부시 (20)의 외측의 외주부 (28)로 구성되어 있다. 부시 (20)의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는 첨단이 가늘게 경사 형성되어 있으며, 유체 공간 (E)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 (40)는 도 1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부 (T)에 접촉하여 공급 개구 (12)를 폐쇄 가능한 선단부 (42)를 가지며,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있다. 밸브체 (40)는 후술하는 가이드 부재 (50)의 감삽공 (53)에 끼워지는 선단부 측의 대경부 (47)와 코일 스프링 (41)내에 삽입되도록 대경부 (47)보다 가늘게 형성된 후단부 측의 소경부 (48)로 구성되어있다. 대경부 (47)와 소경부 (48) 사이의 단차부 (43)에 코일 스프링 (41)의 일단이 지지된다. 밸브체 (40)의 대경부 (47)는 O-링 (47a)을 통해서 감삽공 (53)에 감착되어 있다. O- 링 (47a) 에 의한 감착이므로 밸브체 (40)를 가이드 부재 (50)에 감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밸브체 (40)의 선단부 (42)는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에 대치하고 안쪽이 오목한 오목부 (4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있다. 오목부 (45)는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부시 (20)에서 형성된 공급 개구 (12)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는 밸브체 (40)의 공급 개구 (12)의 폐색시에 오목부 (45)에 향할 수 있도록 유체 공간 (E)에 돌출 형성되어있다.
밸브체 (40)의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 대한 접촉은 공급 개구 (12)의 주위 부 (12b)에 대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 (42)의 오목부 (45)의 내면만이 부시 (20)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밸브체 (40)의 한쪽 전극 (Da)의 접점부 (T)에 대한 접촉은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 (42)의 오목부 (45)의 내면이 부시 (20)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의 외면에 접촉하고, 또한, 오목부 (45)의 주연부 (44)가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으로 구성된 부시 (20)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보다 외측의 외주부 (28)에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 (45)의 주연부 (44)가 유체 공간 (E)의 일단 (Ea)으로 구성된 부시 (20)의 개구 가장자리 부 (21)보다 외측의 외주부 (28)에만 접촉하는 형태가 되도록 각 부재의 형상 및 치수를 정하게 된다.
또한, 본 유동 감지 장치 (K)에서는 밸브체 (40)에 부설되어 유체 공간 (E)에 설치되는 수지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 (50)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 (50)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 개구 (12)로부터 토출 개구 (15)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여 유체 공간 (E)의 원통 내면 (11)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유체 공간 (E)의 일단면에 대치하여 공급 개구 (12)로부터의 유체를 받을 받이면 (51)을 가지고, 또한 유체 공간 (E)의 타 단면에 대치하는 상면 (52)을 가진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 (50)는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에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하고 밸브체 (40)의 선단부 (42) 측이 선단부 (42)를 돌출시켜서 감삽되는 감삽공 (5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 (5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부재 (50)의 유체 공간 (E)의 일단면 측에 유입구 (161)를 가지고 유체 공간 (E)의 타 단면 측에 유출구 (162)를 갖는 동시에, 둘레 방향에 따라서 유체가 통과하는 홈 형상의 홈로 (160)가 형성되어 있다. 홈로 (160)는 가이드 부재 (50)의 내주면에 두 줄기가 설치되어 각 홈로(溝路)(160)는 중간 연통로 (163)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에서는, 예를 들면, 미리, 한쪽 전극 (Da) 및 다른 쪽 전극 (Db)에 배선 (미도시)을 접속하여 둔다. 이 때, 예를 들면, 단자 (151) 및 단자 (153)에 미리 배선을 접속해 두고, 이 배선이 접속된 단자 (151) 및 단자 (153)를 절연체 (154)를 통해서 다른 쪽 전극 (Db)에 장착하고 너트 (146)를 수나사 (147)에 나사 결합하여 조인다. 그러면 다른 쪽 전극 (Db)은 본체 (10)에 고정된다. 이 경우 다른 쪽 전극 (Db)은 유체 공간 (E)을 가로 질러 배치되기 때문에, 다른 쪽 전극 (Db)이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에 직교하는 축 (R)을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하여 코일 스프링 (41)에 대한 접촉부가 변화하지만, 구형체 (140a)에 코일 스프링 (41)을 접촉시키므로, 다른 쪽 전극 (Db)의 회전운동이 있어도 항상 구면에 코일 스프링 (41)을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쪽 전극 (Db)의 위치 조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장착이 용이하고, 접속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그 후, 다른 쪽 전극 (Db)의 타 단부 (142) 너트 (146) 단자 (151) 및 단자 (153)를 커버 (156)로 덮고 필요한 경우 내부에 절연체의 수지제 몰드를 주입한다. 이 경우, 한쪽 전극 (Da) 및 다른 쪽 전극 (Db)의 접속부 (150, 152)를 집약하여 본체 (10)의 측부에 형성할 수 있고, 그만큼 장치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두 접속부 (150, 152)를 절연체 수지로 몰드할 수 있어서 보호하기 쉽게 된다.
그리고 이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를 급유 개소에 장착할 때는 토출구 (16)가 있는 지지간 (130)의 숫나사 부 (133)를 급유 개소에 나사 결합한다. 이 때 너트 (134)를 풀어 지지간 (130)의 잠금을 해제하고 이것을 장착한 후 너트 (134)를 조여 잠근다. 이 경우 지지간 (130)을 회전시켜도, 본체 (10)는 일정한 위치에 위치시켜 놓을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의 좁은 곳의 장착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시에는 상기와 같이 밸브체 (40) 및 가이드 부재 (50)가 진퇴 이동한다. 이 경우, 가이드 부재 (5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홈로 (160)를 형성하였으므로 유체가 통과하는 저항이 커져서 그만큼 밸브체 (40)를 떠오르기 쉽게 할 수 있다. 특히 유체가 저점도인 경우에 적합하다. 저점도이므로 유체의 유통은 보장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 (50)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에 따라서 유체가 통과하는 홈 모양의 홈로 (160)를 형성했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 (5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유체가 통과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 (50)가 유체 공간 (E)의 원통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할 때마다 가이드 부재 (50)의 내주면이 새로운 유체와 접촉하기 쉬워지고, 예를 들어, 유체가 그리스의 경우 등에는 고착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다른 작용 효과는 상기와 동일하다.
도 19 및 도 20에는 본 발명의 다른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를 나타낸다. 이 유동 감지 장치 (K)는 상기와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상기와 달리 지지간 (130) 및 이것이 장착되는 부위를 없애고 토출구 (16)를 다른 쪽 전극 (Db)의 일단측이 유삽(遊)되도록 본체 (10)의 측부에 형성한 것이다. 본체 (10)의 측부에는 중심축 (P)에 직교하는 축 (R)을 축으로 한 돌출부 (170)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 (170)의 외주에 급유 개소에 나사로 결합되는 수나사 (171)를 형성하고 내부에 토출 개구 (15) 및 토출구 (16)를 형성하고 있다. 다른 쪽 전극 (Db)의 일단은 토출구 (16)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토출구 (16)보다 큰 직경의 대경부 (141a)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170) 의 단면에는 토출구 (16)에 연통하는 홈 (172)이 형성 되어 있다.
본체 (10)에는 다른 쪽 전극 (Db)의 일단 측을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고 지지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 (173)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 (173)는 다른 쪽 전극 (Db)의 일단부 (141)에 삽입 관통되어 토출구 (16) 보다 큰 직경의 돌출부 (170)의 끝면에 접촉하는 고리 모양의 절연체 (174)와, 이를 누르는 고정링 (17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절연체 (174) 및 고정링 (175)은 너트 (146)의 체결을 통해 다른 쪽 전극 (Db)의 일단부 (141)의 대경부 (141a)에 의해 돌출부 (170)의 단면에 눌린다. 토출구 (16)의 토출 개구 (15)에는 다른 쪽 전극 (Da)을 둘러싸고 유체의 통과 노치 (미도시)가 형성된 다른 지지 부재 (176)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토출구 (16)는 다른 쪽 전극 (Db)의 일단 측이 위치하는 부위에 형성되므로, 다른 쪽 전극 (Db)보다 바깥쪽으로 토출구 (16)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장치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공간이 좁은 곳의 설치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별종의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를 나타낸다. 이 유동 감지 장치 (K)는 상기와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상기와 달리 지지간 (130) 및 이것이 장착되는 부위를 없애고, 토출구 (16)를 유체 공간 (E)의 타단에 해당 유체 공간 (E)의 중심축 (P)을 중심으로 하는 토출 개구 (15)를 가지고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공급구 (13)와 토출구 (16)를 유체 공간 (E)의 중심 축 (P)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 (10)를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설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를 나타낸다. 이 유동 감지 장치 (K)의 기본 구성은 도 11에 나타내는 유동 감지 장치 (K)와 동일하지만, 다른 점은 본체 (10)가 투명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 전극 (Da)이 부시 (20)로 구성되고, 또한, 가이드 부재 (50)가 밸브체 (40)의 선단부 측에만 부대(付)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24(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 (50)는 예를 들어, 외주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축 방향의 하나의 노치 (50b)를 구비한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4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 (50)는 외주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축 방향의 노치 (50c)를 등각 관계로 복수 형성한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 (10)에는 밸브체 (40)의 개폐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 (90)가 부대되어 있으며, 이 포토 센서 (90)에 의해 유체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소위 포토 인터럽터 (Photo interrupter) 로 불리고, 대항하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고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물체가 차단하는 것을 수광부에서 검출함으로서 물체의 유무와 위치를 판정하는 주지의 센서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포토 센서 (90) (A)는 반사형이며, 가이드 부재 (50)는 상하 방향으로 흰색과 검은색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재 (50)를 인식함으로써 밸브체 (40)의 개폐를 검출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포토 센서 (90)(B)는 반사형이며, 가이드 부재 (50)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밸브체 (40)를 인식 한다.
또한, 도 11 내지 도 23에 나타내는 유동 감지 장치 (K)에서 제 1 부재 (81)와 제 2 부재 (82)의 조합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하게 설정해도 된다. 그리고 또한, 도 11 내지 도 21에 나타내는 유동 감지 장치 (K)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유동 감지 장치 (K)처럼, 밸브체 (40)를 가이드 부재 (50)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해도 되고, 적당히 변경해도 지장 없다.
또한, 상기 실시양태에 관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K)에서 한쪽 전극 (Da)이나 다른 쪽 전극 (Db)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해도 지장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체 (40)의 개폐를 검출하는 수단을 전극 (Da, Db)에 의한 수단, 또는 포토 센서 (90)에 의한 수단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수단으로 구성하는 등 어떤 수단으로 검출하도록 해도 되고, 적절히 변경해도 지장이 없다. 이미지 센서는 광학식 마우스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미지의 변화로 이동량을 산출한다. 또한, 밸브체 (40) 와 가이드 부재 (50)의 형상, 크기, 재질 등도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신규한 교시 및 효과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예시인 실시양태에 많은 변경을 가하는 것이 용이하며, 이러한 많은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 명세서에 기재된 문헌 및 본원의 파리 우선의 기초가 되는 일본 출원 명세서의 내용을 모두 여기에 원용한다.
K 유동 감지 장치
S 윤활 시스템
1 윤활 펌프 장치
2 정량 밸브
3 윤활 부위
4 급유관로
5 감지기
6, 7 배선
10 본체
11 내면
E 유체 공간
P 중심축
12 공급 개구
12a 개구 가장자리
12b 주위부
13 공급구
15 토출 개구
16 토출구
20 부시
Da 한쪽 전극
T 접점부
21 개구 가장자리부
Db 다른 쪽 전극
28 외주부
30 노출부
31 접속부
33 포지부재 (包持部材)
34 포지공 (包持孔)
35 너트
40 밸브체
41 코일 스프링
42 선단부(先端部)
43 단차부(段差部)
44 주연부(周部)
45 오목부
46 외주 가장자리
47 대경부
48 소경부
50 가이드 부재
51 받이면 (受面)
52 상면
53 감삽공 (嵌孔)
54 오목부 (凹所)
55 일단측 접동부
55a 일단측 접동면
56 타단측 접동부
56a 타단측 접동면
57 일단측 노치
58 타단측 노치
59 연통로
50a 가이드 부재
53a 접동공 (摺動孔)
60 대경부
61 소경부
62 소경부
63 단차부
64 O-링
70 연통로
71 연통로
80 흡인 수단
81 제 1 부재
82 제 2 부재
83 영구 자석
83a 내부 영구 자석
83b 외부 영구 자석
85 코일
86 영구 자석
87 영구 자석
90 포토 센서
91 어댑터 (한쪽 전극 (Da))
92 코일
120 단부 부재
122 연결 부재
123 필터
130 지지간(支持杆)
Q 축선
131 관통공
134 너트
R 축선
140 노출부
140a 구형체
141 일단부
142 타단부
143 삽통공
144 포지부재
145 고정링
146 너트
150 접속부
151 접속용 단자
152 접속부
153 접속용 단자
160 홈로
170 돌출부
173 지지 부재
176 지지 부재
S 윤활 시스템
1 윤활 펌프 장치
2 정량 밸브
3 윤활 부위
4 급유관로
5 감지기
6, 7 배선
10 본체
11 내면
E 유체 공간
P 중심축
12 공급 개구
12a 개구 가장자리
12b 주위부
13 공급구
15 토출 개구
16 토출구
20 부시
Da 한쪽 전극
T 접점부
21 개구 가장자리부
Db 다른 쪽 전극
28 외주부
30 노출부
31 접속부
33 포지부재 (包持部材)
34 포지공 (包持孔)
35 너트
40 밸브체
41 코일 스프링
42 선단부(先端部)
43 단차부(段差部)
44 주연부(周部)
45 오목부
46 외주 가장자리
47 대경부
48 소경부
50 가이드 부재
51 받이면 (受面)
52 상면
53 감삽공 (嵌孔)
54 오목부 (凹所)
55 일단측 접동부
55a 일단측 접동면
56 타단측 접동부
56a 타단측 접동면
57 일단측 노치
58 타단측 노치
59 연통로
50a 가이드 부재
53a 접동공 (摺動孔)
60 대경부
61 소경부
62 소경부
63 단차부
64 O-링
70 연통로
71 연통로
80 흡인 수단
81 제 1 부재
82 제 2 부재
83 영구 자석
83a 내부 영구 자석
83b 외부 영구 자석
85 코일
86 영구 자석
87 영구 자석
90 포토 센서
91 어댑터 (한쪽 전극 (Da))
92 코일
120 단부 부재
122 연결 부재
123 필터
130 지지간(支持杆)
Q 축선
131 관통공
134 너트
R 축선
140 노출부
140a 구형체
141 일단부
142 타단부
143 삽통공
144 포지부재
145 고정링
146 너트
150 접속부
151 접속용 단자
152 접속부
153 접속용 단자
160 홈로
170 돌출부
173 지지 부재
176 지지 부재
Claims (31)
- 유체가 통과 가능한, 원통 내면을 가진 유체 공간을 가진 본체를 구비하고,
이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의 일단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 개구를 가진 유체의 공급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에 연통하는 토출 개구를 가진 유체의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공간 내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공급 개구에서 이격되어 상기 공급 개구를 개방하는 밸브체를 수납하고,
해당 유체 공간에,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을 수납하고,
상기 밸브체의 개폐를 검출함으로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상기 공급 개구에서 토출 개구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여 상기 유체 공간의 원통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해당 유체 공간의 일 단면에 대치하여 상기 공급 개구로부터의 유체를 받을 받이면을 가지고, 또한 상기 유체 공간의 타 단면에 대치하는 상면측을 가진 가이드 부재를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선단부를 가지고,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축에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 막대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축을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하고, 상기 밸브체가 선단부를 돌출시켜서 감삽되는 감삽공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중간부 외주에, 둘레 방향을 따라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유체 공간의 일단면 측을 상기 받이면을 가지고, 상기 유체 공간의 원통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일단측 접동면을 가진 일단측 접동부로서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유체 공간의 타단면 측을 상기 상면을 가지고, 상기 유체 공간의 원통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타단측 접동면을 가진 타단측 접동부로 구성하고,
상기 일단측 접동부의 외측에, 상기 받이면 및 상기 오목부에 걸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일단측 노치를 형성하고,
상기 타단측 접동부의 외측에, 상기 상면 및 상기 오목부에 걸친, 유체가 통과 가능한 타단측 노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측 노치를 여러 개 형성하고,
상기 각 일단측 노치를 동일한 크기이면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축선을 중심으로 등각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타단측 노치를 여러 개 형성하고,
상기 각 타단측 노치를 동일한 크기이면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축선을 중심으로 등각 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삽공을 상기 가이드 부재에 관통 형성하고,
상기 밸브체를 상기 감삽공에 감착되는 대경부와 이 대경부보다 가늘게 형성된 소경부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밸브체의 소경부에 대응하는 부위이며, 상기 오목부, 일단측 노치 및 타단측 노치의 적어도 어느 부위에, 상기 감삽공에 연통하는 연통로를 복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후단부 측에 소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측이 상기 감삽공에 수납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오목부 및/또는 타단측 노치가 있는 부위에 상기 연통로를 복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대경부를 이 밸브체의 도중에 형성하고,
이 밸브체의 선단부와 대경부 사이에 소경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소경부에 대응하는 부위이며, 상기 오목부 및/또는 일단측 노치에, 상기 연통로를 복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유체 공간의 일단면 측에 유입구를 가지고, 해당 유체 공간의 타단면 측에 유출구를 갖는 동시에, 둘레 방향에 따라서, 유체가 통과하는 홈 모양의 홈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 할 수 있는 선단부를 가지고 구성하고,
해당 선단부를, 상기 공급 개구에 대치하여 안쪽에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축을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원추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상기 밸브체의 공급 개구의 폐쇄시에, 상기 오목부 내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유체 공간에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원통 내면을 가진 유체 공간을 가진 본체를 구비하고,
해당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의 일단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 개구를 가진 유체의 공급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에 연통하는 토출 개구를 가진 유체의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공간 내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하고, 해당 공급 개구에서 이격되어 해당 공급 개구를 개방하는 밸브체를 수납하고,
해당 유체 공간 내에,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을 수납하고,
상기 밸브체의 개폐를 검출함으로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선단부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해당 선단부를 상기 공급 개구에 대치한 내측에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유체 공간 내에 상기 공급 개구로부터 토출 개구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여 상기 밸브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 축을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원추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상기 밸브체의 공급 개구의 폐쇄시에, 상기 오목부내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유체 공간에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원통 내면을 가진 유체 공간을 가진 본체를 구비하고,
해당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의 일단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 개구를 가진 유체의 공급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에 연통하는 토출 개구를 가진 유체의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공간 내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공급 개구에서 이격되어 해당 공급 개구를 개방하는 밸브체를 수납하고,
해당 유체 공간에,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을 수납하고,
상기 밸브체의 개폐를 검출함으로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개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한 상기 밸브체의 개방 동작을 허용하고, 상기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에 대해서 자력에 의해서 흡인하는 흡인 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수단을,
상기 밸브체 쪽에 형성되고, 자석 또는 자석에 자착(磁着)가능한 자착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상기 공급 개구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재를 흡인하는 자석 또는 자석에 자착 가능한 자착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를 N 극면(極面) 및 S 극면을 가진 복수의 영구 자석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을, 그 자극 방향이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축에 따르도록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영구 자석을, 그 자극 방향이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밸브체로 구성하고,
상기 제 2 부재를 상기 본체에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상기 공급 개구에서 토출 개구에 이르는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여 상기 유체 공간의 원통 내면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해당 유체 공간의 일단면에 대치하여 상기 공급 개구로부터 유체를 받을 받이면을 가지고, 또한 상기 유체 공간의 타단면에 대치하는 상면을 가진 가이드 부재를 부설하고,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가이드 부재에 감겨지는 자착재료로 이루어지는 코일로 구성하고,
상기 제 2 부재를, 상기 본체에 부설되는 자석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가 통과 할 수 있는 원통 내면을 가진 유체 공간을 가진 본체를 구비하고,
해당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의 일단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 개구를 가진 유체의 공급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에 연통하는 토출 개구를 가진 유체의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의 일단측에 노출되는 접점부를 가진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한쪽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유체 공간의 타단측에 노출되는 노출부를 가지며, 상기 한쪽 전극에 대해서 절연된 전도체로 이루어진 다른 쪽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유체 공간 내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 축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한쪽 전극의 접점부에 접촉하여 상기기 공급 개구를 폐쇄하고, 해당 접점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공급 개구를 개방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를 수납하고,
해당 유체 공간에, 일단이 상기 밸브체에 접속되어, 타단이 상기 다른 쪽 전극의 노출부에 접속되어, 해당 밸브체를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코일 스프링을 수납하고,
상기 한쪽 전극, 밸브체, 코일 스프링 및 다른 쪽 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기 회로의 상기 밸브체가 폐쇄되었을 때의 접속, 개방되었을 때의 절단을 전기적으로 검출함으로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전극의 접점부를, 상기 공급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 및/또는 해당 개구 가장자리의 주위부에 설치하고,
상기 밸브체를 상기 접점부에 접촉하여 상기 공급 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선단부를 갖고,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축을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한 막대 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 전극을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축을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하고, 일단이 상기 유체 공간의 타단면 측에 노출되는 노출부로서 형성되고, 타단측이 본체에서 돌출된 접속부로 형성되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다른 전극을 감싸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포지부재를 설치하고,
해당 포지부재에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축을 따르는 축선을 축으로 하고, 상기 다른 쪽 전극의 노출부가 내부로 향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측이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를 돌출시켜서 감싸는 포지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부재를 상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 전극을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 축에 직교하는 축선을 축으로 하고, 상기 유체 공간의 타 단측에 노출되는 노출부를 가짐과 동시에, 단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접속부로 형성되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다른 쪽 전극을 포지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포지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다른 쪽 전극의 접속부에, 상기 접속부는 절연된 상태로, 상기 한쪽 전극의 접속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를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가 접촉하는 구형체를 갖추고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다른 쪽 전극보다 바깥쪽에 해당 본체를 지지하고, 상기 유체 공간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축선을 축으로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고, 혹은 필요한 회전운동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지지간을 관통하여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를 상기 지지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상기 유체 공간의 타단에 해당 유체 공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토출 개구를 가지고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밸브체의 개폐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를 부대시켜서,
상기 포토 센서에 의해서 유체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밸브체의 개폐를 검출하는 이미지 센서를 부대시켜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유체의 유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42359 | 2016-07-20 | ||
JPJP-P-2016-142359 | 2016-07-20 | ||
JP2016187037 | 2016-09-26 | ||
JPJP-P-2016-187037 | 2016-09-26 | ||
JPJP-P-2016-221215 | 2016-11-14 | ||
JP2016221215 | 2016-11-14 | ||
JP2016257382A JP6692546B2 (ja) | 2016-07-20 | 2016-12-29 | 流体の流動検知装置 |
JPJP-P-2016-257382 | 2016-12-29 | ||
PCT/JP2017/025918 WO2018016478A1 (ja) | 2016-07-20 | 2017-07-18 | 流体の流動検知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0689A true KR20190030689A (ko) | 2019-03-22 |
KR102382808B1 KR102382808B1 (ko) | 2022-04-04 |
Family
ID=6099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1390A KR102382808B1 (ko) | 2016-07-20 | 2017-07-18 |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209098B2 (ko) |
KR (1) | KR102382808B1 (ko) |
MY (1) | MY195596A (ko) |
TW (1) | TWI757311B (ko) |
WO (1) | WO201801647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1599B1 (ko) * | 2021-01-04 | 2022-05-25 | 주식회사 한성엠에스 | 솔레노이드밸브에 부착되는 플로우센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6223798A1 (de) * | 2016-11-30 | 2018-05-30 | Skf Lubrication Systems Germany Gmbh | Detektionseinrichtung und Schmierstoffverteiler |
DE102016223802A1 (de) * | 2016-11-30 | 2018-05-30 | Skf Lubrication Systems Germany Gmbh | Detektionseinrichtung und Schmierstoffverteiler |
WO2019176271A1 (ja) * | 2018-03-16 | 2019-09-19 | ジヤトコ株式会社 | 油圧スイッチ |
JP7083153B2 (ja) * | 2018-03-29 | 2022-06-10 | リューベ株式会社 | 流体の配管部材 |
MX2023001581A (es) * | 2018-06-07 | 2023-03-08 | The Bentley Group Ltd | Valvula de control de flujo. |
CN113045023B (zh) * | 2021-04-26 | 2022-07-15 | 宁波利佳青石电气科技有限公司 | 一种净水机高低压开关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6743U (ko) * | 1976-07-23 | 1978-02-13 | ||
JPS5316743A (en) | 1976-07-31 | 1978-02-16 | Onoda Cement Co Ltd | Improved gypsum fillers |
JPH02140734U (ko) * | 1989-04-27 | 1990-11-26 | ||
JPH02144743U (ko) * | 1989-05-10 | 1990-12-07 | ||
JPH03283222A (ja) * | 1990-03-29 | 1991-12-13 | Manotetsuku Kogyo:Yugen | 流量スイッチ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57949A (en) * | 1966-08-24 | 1969-07-29 | Albert L Coulter | Check valve |
US3644915A (en) | 1969-08-27 | 1972-02-22 | Allis Chalmers Mfg Co | Filter bypass indicator |
FR2376977A1 (fr) | 1977-01-10 | 1978-08-04 | Sapag Sa | Perfectionnement aux soupapes |
US4341241A (en) * | 1980-10-20 | 1982-07-27 | Brunswick Corporation | Position indicating valve means |
GB8709039D0 (en) | 1987-04-15 | 1987-05-20 | Aqua Hydraulics Ltd | Valve member |
JP3009191U (ja) | 1994-09-19 | 1995-03-28 | 巍 蘇 | 水流スイッチ構造 |
US6608266B2 (en) | 2001-12-18 | 2003-08-19 | Eaton Corporation | Pressure switch with annular electrodes method of making same |
CN201084644Y (zh) | 2007-06-22 | 2008-07-09 | 中国科学院等离子体物理研究所 | 一种水流开关 |
JP2009115271A (ja) | 2007-11-09 | 2009-05-28 | Yamatake Corp | 流量計測バルブ |
US20100084029A1 (en) | 2008-10-08 | 2010-04-08 | Chun Lin | Apparatus to determine a position of a valve |
JP5727596B2 (ja) | 2011-05-10 | 2015-06-03 | 株式会社フジキン | 流量モニタ付圧力式流量制御装置の実ガスモニタ流量初期値のメモリ方法及び実ガスモニタ流量の出力確認方法 |
US8786455B2 (en) | 2011-06-23 | 2014-07-22 | Ford Motor Company | Tool lubrication deliver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DE102014001306A1 (de) | 2014-01-31 | 2015-08-06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 Ventil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
CN204189708U (zh) | 2014-09-15 | 2015-03-04 | 深圳市昭行云科技有限公司 | 一种流体开关 |
EP3204670B1 (en) | 2014-10-07 | 2019-06-19 | BWXT mPower, Inc. | Passive integral isolation valve |
JP6219806B2 (ja) | 2014-11-12 | 2017-10-2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逆止弁およびレセプタクル構造 |
CN105422924B (zh) | 2015-12-29 | 2019-01-22 | 郑辉 | 一种单向导通流体传感器 |
-
2017
- 2017-07-18 MY MYPI2019000085A patent/MY195596A/en unknown
- 2017-07-18 KR KR1020197001390A patent/KR10238280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7-18 US US16/318,588 patent/US11209098B2/en active Active
- 2017-07-18 WO PCT/JP2017/025918 patent/WO2018016478A1/ja unknown
- 2017-07-20 TW TW106124323A patent/TWI757311B/zh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6743U (ko) * | 1976-07-23 | 1978-02-13 | ||
JPS5316743A (en) | 1976-07-31 | 1978-02-16 | Onoda Cement Co Ltd | Improved gypsum fillers |
JPH02140734U (ko) * | 1989-04-27 | 1990-11-26 | ||
JPH02144743U (ko) * | 1989-05-10 | 1990-12-07 | ||
JPH03283222A (ja) * | 1990-03-29 | 1991-12-13 | Manotetsuku Kogyo:Yugen | 流量スイッチ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1599B1 (ko) * | 2021-01-04 | 2022-05-25 | 주식회사 한성엠에스 | 솔레노이드밸브에 부착되는 플로우센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209098B2 (en) | 2021-12-28 |
MY195596A (en) | 2023-02-02 |
WO2018016478A1 (ja) | 2018-01-25 |
TW201807381A (zh) | 2018-03-01 |
KR102382808B1 (ko) | 2022-04-04 |
US20190242495A1 (en) | 2019-08-08 |
TWI757311B (zh) | 2022-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30689A (ko) |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 |
CN109643622B (zh) | 流体的流动检测装置 | |
US5565770A (en) | Linear position sensor including a first open housing having a reciprocal, biased magnet holder and magnet and removable second housing having a hall sensor | |
CN110753824B (zh) | 用于确定电磁阀柱塞位置的集成系统及其方法 | |
TWI554703B (zh) | 閥裝置 | |
KR101092676B1 (ko) | 일체된 압력 센서를 갖는 전자기식 압력 조절 밸브 장치 | |
CN109555890B (zh) | 隔膜阀 | |
US20070057217A1 (en) | Solenoid valve | |
US9646754B2 (en) | Linear solenoid | |
US6918571B1 (en) | Solenoid operated valv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 |
EP3259510B1 (en) | Solenoid apparatus | |
US20140174564A1 (en) | Valve Module | |
JP5644664B2 (ja) | ソレノイドバルブ | |
US20010052584A1 (en) | Electromagnetic valve | |
US6528748B2 (en) | In-line flow switch assembly including magnetic sensitive plunger and microswitch actuator | |
EP1022569A1 (en) | A magnetically operated liquid flow detector and a hydraulic group incorporating the same | |
CN111344511B (zh) | 电磁阀装置 | |
US20040183650A1 (en) | Magnet coil arrangement | |
US11226276B2 (en) | Sensor apparatus for metal particles in fluids | |
US4573349A (en) | Needle position indicator for a fuel injection nozzle holder | |
JPH09510762A (ja) | 2つのセクションを備えたポンプ | |
JP2019074199A (ja) | 流体の開閉弁装置 | |
US20120313625A1 (en) | Visual indicator device for proximity sensor | |
JPH0338542Y2 (ko) | ||
CN117525974A (zh) | 电连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