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619A -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 및 93%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 및 93%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619A
KR20190030619A KR1020180109396A KR20180109396A KR20190030619A KR 20190030619 A KR20190030619 A KR 20190030619A KR 1020180109396 A KR1020180109396 A KR 1020180109396A KR 20180109396 A KR20180109396 A KR 20180109396A KR 20190030619 A KR20190030619 A KR 20190030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film
coating
laye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흐 클라우디아
크리슈 홀거
보크 안드레
운케 야부느
피셔 빅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filed Critical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Publication of KR2019003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6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4Forming anti-misting or drip-proof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6Forming hydrophilic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65Low-molecular-weight organic substances, e.g. absorption of additives in the surface of the art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4Organic non-macromolecula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8Vinyl resin particles, e.g.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mers o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8Vinyl resin particles, e.g.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mers o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 B32B2264/0242Vinyl halide, e.g. PVC, PVDC, PVF or PVDF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6Bright, glossy, shiny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8Matt, dul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reenhous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면에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을 구비하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온실 블라인드의 제조에 적합하며, 특정 투명도 특성, 영구 김서림방지 특성 및 높은 UV 내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 및 93%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Coated polyester film with a permanent antifog coating and transparency of at least 93%}
본 발명은 적어도 일면에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을 구비하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온실 블라인드의 제조에 적합하며, 특정 투명도 특성, 영구 김서림방지 특성 및 높은 UV 내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실의 블라인드용 필름은 일련의 요구조건을 따라야 한다. 첫째, 식물의 성장에 필요로 하는 빛의 일부는 필름/블라인드를 통과해야 하는 한편, 식물의 성장에 필요하지 않으며 온실의 과도한 가열로 이어지는 빛의 다른 일부는 반사되어야 한다. 게다가 야간 및 이른 아침 시간에, 블라인드는 대류를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온실 내의 반사 및 복사에 의해, 토양으로부터 상승하는 열을 유지함으로써, 이상적인 입사광 조건을 제공해야 한다. 빛에 대한 투과성은 광합성 파장 범위에서 높아야 하는데, 이는 이상적인 식물의 성장을 위해 식물이 필요로 하는 범위이기 때문이다. 가능한 한, 블라인드 상에서 물이 응축되는 기상 조건에서 빛에 대한 투과성이 손상되어서는 안 된다.
김서림방지(antifog)란 용어는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surface) 상에서 물방울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적절한 날씨 조건(가령, 주야 간의 온도차) 하에서, 전형적으로 온실의 높은 습도로 인해, 응축수는 특히 식물을 향하고 있는 온실 블라인드 측의 표면 상에 물방울 형태로 생긴다. 기상 조건과 함께, 물의 응축에 유리한 또 다른 요인으로는 물과 플라스틱 간의 상이한 표면 장력이 있다. 김서림방지 특성을 지닌 필름은 물방울의 형성을 방지하고, 김서림이 없는 플라스틱 필름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압출 공정 동안, 김서림방지 첨가제를 중합체 매트릭스에 혼입하거나 중합체 매트릭스에 코팅제로서 이들 첨가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들 김서림방지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중합체 매트릭스에 정착을 위한 비극성 지방족 영역 및 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극성 친수성 영역을 가지며, 따라서, (친수성 표면으로 인해) 필름 표면 상에 연속적인 투명한 수막이 발생하도록 물방울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2가 화합물이다. 수율의 감소를 피하기 위해, 김서림방지 첨가제의 사용으로 빛에 대한 투과성, 및 그로 인해 온실 필름의 투명도에 악영향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액체 필름과는 대조적으로, 물방울은 높은 정도의 광 산란 및 증가된 반사를 초래하며, 특히 조도가 낮은 아침 시간에는, 이들 요인에 의해 광합성의 레벨이 상당히 낮아지게 된다. 게다가 비점착 또는 떨어지는 물방울에 의해 초래되는 식물 또는 식물 부분이 썩는 것을 피하며, 입사광에서 필름 표면 상의 렌즈처럼 작용하는 방울에 의해 야기되는 식물 또는 식물 부분이 타는 것을 줄인다. 게다가 온실 필름은 UV 내성을 갖고 있어, 표면에서의 심한 황변, 취화나 균열, 또는 기구적인 특성의 심각한 손상이나 투명도의 심한 손상을 보이지 않으면서, 적어도 5년 동안 온실에서 블라인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울 형성이 매우 심한 수분 응축 조건 하에서 발생하는 경우에, 김서림방지 성분은 환경에 독성이며 및/또는 특히 유해한 임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 중에서, 특히 김서림방지 시스템에서 종종 사용되는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로 제조되어야 하는 것을 언급해야 한다 (가령, WO 1995018210).
친수성 수용성 중합체 및/또는 계면활성제를 기반으로 하는 표면-활성 코팅제는, 김서림방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을 코팅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성 이온성일 수 있다. 게다가 김서림방지제로서 중합체 계면활성제 또는 보호 콜로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친숙한 김서림방지 코팅용 성분의 예로는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의 유도체, 지방족 알콜 및 그의 에스테르, 폴리에톡실화 방향족 알콜, 모노 또는 폴리에스테르화 소르비톨 에스테르, 모노 또는 폴리에스테르화 글리세롤 에스테르, 혼합된 글리세롤 에스테르, 또는 예를 들어 에톡실화 아민이 있다. 전형적인 예로는 가령, 글리세롤 에스테르,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에톡실화 아민 등의 3가지 성분 부류로 제조된 활성 성분 조합이 있다. 김서림방지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적합한 재료가 WO 97/22655 A1에 예로서 기재되어 있다. 수용성 중합체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근본적인 문제는 코팅이 세척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는 영구적인 김서림방지 효과의 실현이 불가능한 점이다. 김서림방지 코팅을 갖는 친숙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EP 1647568 B1 및 EP 1777251 B1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지만, 비교적 낮은 투명도를 보인다. 게다가 이들 필름은 풍화 작용에 대한 비교적 낮은 장기 내성(long-term resistance)을 보인다. 더구나, 사용된 김서림방지 첨가제는 세척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고 수용성이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김서림방지 효과는 단지 수개월의 짧은 수명을 가지며, 그로 인해 온실 블라인드로서 사용하는 동안, 활성 물질은 급속하게 이용할 수 없게 된다. EP 1152027 A1, EP 1534776 A1 및 EP 2216362 A1에는 무기 친수성 콜로이드상 물질 (콜로이드상 규소, 알루미늄 및 기타 물질) 및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표면 활성 첨가제를 기반으로 하는 김서림방지 첨가제를 사용하여 식품 포장용 및 온실 용도로서 오래 지속되는 김서림방지 특성을 갖는 PVC, LDPE 및 EVA를 기반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비록 이들은 영구 김서림방지 특성을 보이지만, 크게 감소된 기계적 특성 레벨을 갖는 점에서 상기 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온실 블라인드와는 상이하다. PET의 경우와 달리 PE의 상대적으로 빠른 UV-분해에 의해, 결과적으로 감소된 비용 효율성과 함께, 원하는 장기 안정성 및 그로 인한 5년의 긴 수명을 달성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의도된 용도를 위한 폴리올레핀계 필름의 사용을 전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게다가 폴리올레핀의 기계적 안정성이 낮아짐에 따라, 블라인드가 과도하게 연신되며, 결과적으로 감소된 절연 효과와 함께, 그들의 실질적으로 일관된 구조를 상실하게 된다.
종래 기술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높은 투명도 및 장기 안정성과 함께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을 갖지 않기 때문에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결과로 생기는 표면의 심한 황변 또는 임의의 취화나 균열, 또는 용도상 매우 중요한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의 손상 없이, 93% 이상의 높은 투명도 및 5년 이상의 UV 내성을 지닌 영구 김서림방지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데 있다.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40㎛이어야 하며, 게다가 기존 폴리에스테르 필름 시스템, 단일층 시스템 또는 다층 시스템으로의 비용 효율적인 제조가 가능해야 한다.
상기 목적은 93%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통해서 달성되며, 이 필름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및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재층(B)을 포함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제 1 및 제 2표면을 가지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이 도포되고, 김서림방지 코팅의 굴절률은 기재층(B)의 굴절률보다 낮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필름의 총 두께는 10㎛ 이상 최대 40㎛이다. 필름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4㎛ 이상 최대 23㎛, 특히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 최대 20㎛이다. 필름 두께가 10㎛ 미만이면, 에너지 절감 블라인드(energy-saving blind)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을 흡수하는 동안 과연신(overstretching)을 피하기에는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더 이상 충분치 않다. 40㎛를 초과하면, 필름이 너무 뻣뻣해지고, 블라인드를 사용하지 않고 말아 올릴 때 "필름 롤"이 과도하게 커지며, 그에 상응하여 과도하게 큰 그림자가 드리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층은 공압출에 의해 형성된 중합체 층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나 이상의 층(들)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코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된 수성 분산액의 건조 산물이며, 폴리에스테르 필름 자체의 압출 공정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재층(B)를 포함한다. 단일층 필름은 이 기재층으로만 이루어진다. 다층의 구현예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즉, 하나의) 기재층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층(A)으로 이루어진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추가층(C)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이 2개의 추가층(A 및 C)을 포함하면, 기재층(B)은 중간층을 형성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제 1 및 제 2표면을 갖는다. 단일층 필름의 경우, 기재층(B)의 표면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을 형성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기재층(B) 및 추가층(A 또는 C)을 포함하면, 추가층(A 또는 C)으로부터 떨어져 대향하는 기재층의 표면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 1표면을 형성하고, 기재층으로부터 떨어져 대향하는 추가층(A 또는 C)의 표면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 2표면을 형성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기재층(B) 및 2개의 추가층(A 및 C)을 가지면, 기재층으로부터 떨어져 대향하는 층(A)의 표면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 1표면이고, 기재층으로부터 떨어져 대향하는 층(C)의 표면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 2표면을 형성한다. 다층 구현예에서, 기재층의 두께는 적어도 기타 층 두께들의 합 정도이다. 기재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필름 총 두께의 5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필름 총 두께의 63% 이상이다. 기타 층의 두께는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이다. 추가층(A 및/또는 C)의 두께는 최대 3㎛,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5㎛이다. 0.5㎛ 미만이면, 추가층은 가공 중에 감소된 안정성 및 감소된 두께 균일성을 갖는다. 0.7㎛에서 시작할 경우, 가공 중에 매우 우수한 안정성이 달성된다. 층(A 및/또는 C)이 너무 두꺼우면, 충분한 특성(특히 UV 내성)을 보장하기 위해 기재 필름에만 분쇄재생재료를 도입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 효율성이 감소된다. 총 두께와 비교하여 기재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그로인해, 모든 분쇄재생재료를 사용하기 위해 그 층에 도입해야 하는 분쇄재생재료의 비율이 과도해진다. 기재층에 의해, 다음에 이것은 UV 내성 및 투명도 같은 특성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 또한, (다층 구현예에서) 추가층(A 및/또는 C)은, 일반적으로 미끄럼성을 향상(권취성의 향상)시키기 위해 입자를 포함한다. 이들 입자는 후방 산란으로 인해 투명도의 손상을 초래한다. 상기 입자와 추가층(A 및/또는 C)의 비율이 너무 커지면, 본 발명의 투명도 특성을 달성하기가 상당히 더욱 어렵게 된다.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필름 층(C)의 높은 층 두께는 반사방지 개질(antireflective modification)을 제공하며, 공중합체 개질층에서 요구되고, 그 층에 존재하는 비교적 높은 UV 안정제 함량으로 인해서, 바람직하지 않은 비용 증가를 가져온다.
기재층(B) 및 층(A 및/또는 C)은 (층(C)이 반사방지 개질을 제공하지 않는 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70 중량% 이상 정도로 이루어지며; 나머지 성분은 UV 안정제, 입자, 난연제, 폴리올레핀, COCs 및 기타 첨가제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상용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미드 같은 첨가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기타 첨가제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상용성 중합체 (가령, 폴리아미드)의 존재량은 기재층(B) 및 층(A 및/또는 C)에서 2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이다. 필름의 제조 공정 중에 분쇄재생재료가 회수되는 경우, 기타 첨가제 및/또는 중합체의 사용으로 필름의 바람직하지 않은 황변을 가져올 수 있으며, 그 결과 분쇄재생재료의 함량을 줄여야 한다. 따라서, 공정의 비용 효율성이 감소된다. 게다가 기타 첨가제의 사용으로 필름의 기계적 특성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적합하다고 밝혀진 폴리에스테르는 그 중에서도,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으로 제조되거나, 에틸렌 글리콜 및 나프탈렌-2,6-디카복실산 (=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PEN), 및 푸란-2,5-디카복실산과 에틸렌 글리콜로 제조되거나, 전술한 카복실산 및 디올의 원하는 혼합물로도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이다.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유래된 단위가 85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2 몰%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나프탈렌-2,6-디카복실산을 사용하는 것은 테레프탈산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이점이 없으며, 비교적 비싸기 때문에, 나프탈렌-2,6-디카복실산은 대개 생략한다. 푸란-2,5-디카복실산은 비교적 비싸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나머지 단량체 단위는 기타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올 및, 각각 디카복실산으로부터 유래된다.
적합한 기타 지방족 디올의 예로는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일반 식 HO-(CH2)n-OH (여기서 n은,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의 지방족 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부탄디올, 프로판디올 등이 있다. 적합한 기타 디카복실산의 예로는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등이 있다. 온실 용도로의 원활한 주행 및 내후성을 위해, 필름은 (층의 폴리에스테르의 총 중량 기준으로) 2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미만의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각각 디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래된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동일한 이유로, 기재층(B) 및 층(A 및/또는 C)이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복실산 성분에 대해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을 12 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8 몰% 미만, 이상적으로는 5 몰% 미만 포함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기재층(B) 및 층(A 및/또는 C)은 폴리에스테르의 디올 성분에 대해 CHDM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1,4-cyclohexanedimethanol))을 3 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1 몰% 미만 포함하는 것이 더욱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술한 공단량체, 특히 CHDM의 함량이 전술한 한계를 초과하지 않으면, 필름으로 제조된 에너지 절감 블라인드의 UV 내성은 상기 한계를 초과하는 구현예의 경우보다 현저히 우수하다.
층(C)이 공압출을 통해 기재층(B) (이는 본 발명의 반사방지 개질을 형성하며 김서림방지 코팅의 반대측이다)에 도포되면, 상기 층(C)은 이후의 단계에서 언급하는 양으로 공단량체를 포함한다. 단일층의 구현예(모노필름)의 경우, 필름은 기재층(B)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필름 제조를 위해, 사용된 폴리에스테르의 SV 값은 필름의 SV 값이 600 초과, 바람직하게는 65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700을 초과하도록 선택된다. 여기서 필름의 SV 값은 950 미만, 바람직하게는 850 미만이다. SV 값이 600 미만이면, 제조 공정 중에 필름의 취성이 상당히 높아져 종종 파단을 초래한다. 점도의 추가적인 손실은 필름의 유연성 손실과 함께 최종 용도에서 더욱 빠르게 발생하여, 파단을 초래한다. 또한, SV 값이 낮으면, 전술한 기계적 강도 특성의 달성을 신뢰할 수 없게 된다. 필름의 SV가 950보다 커지도록 하려면, 사용된 중합체의 평균 SV는 마찬가지로 950 이상이어야 한다. 다음에, 이들의 점도는 압출기에서 전기 모터의 작동 중에 과도하게 높은 전류가 발생할 정도로 압출기의 용융물에서 높은 상태로 남게 되며, 압출 공정 중에 압력 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원활한 운전을 막는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투명, 불투명, 광택 또는 무광일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광학 특성은 예를 들어, 황산 바륨, 탄산 칼슘, 비정질 실리카 또는 이산화 티타늄 같은 첨가제의 상이한 양의 첨가를 통해 달성된다. 이들 첨가제는 기재층(B)뿐만 아니라 층(C)에도 존재할 수 있다. 무광 또는 불투명 첨가제의 첨가는 본 발명의 투명도를 위협할 수 없는 양으로 허용된다.
또한, 필름은 300㎚ 내지 370㎚ 미만의 파장 범위에서 낮은 투과율을 가져야 한다. 언급한 범위의 모든 파장에서, 투과율은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미만이다. 따라서, 필름은 취화 및 황변으로부터 보호되고; 온실내 식물과 장비는 UV 광으로부터 더욱 보호된다. 390 내지 400㎚에서의 투명도는 20% 초과, 바람직하게는 30% 초과,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초과인데, 상기 파장 범위는 광합성을 위한 현저한 활성을 이미 갖고 있고, 그 파장 범위에서 과도한 여과가 식물 성장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UV에 대한 낮은 투과성은 유기 UV 안정제의 첨가를 통해 달성된다. UV 광에 대한 낮은 투과성으로 인해,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난연제를 신속한 분해 및 심각한 황변으로부터 보호한다. 여기서 유기 UV 안정제는 트리아진, 벤조트리아졸 및 벤족사지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서, 그 중에서도 특히 트리아진이 특히 바람직한데, PET에 대개 사용되는 275 내지 310℃의 처리 온도에서 열 안정성이 좋고 필름으로부터 가스의 발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특히,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 페놀 (Tinuvin(등록상표) 1577)이 적합하다. 여기서, 예를 들어 Tinuvin 1600(상표) 같이 BASF사에서 시판하는 유형의 2-(2'-히드록시페닐)-4,6-비스(4-페닐페닐) 트리아진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물질을 사용하면, 비교적 낮은 안정제 농도에서도 390㎚ 초과의 파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투명도와 함께, 370㎚ 미만의 바람직한 낮은 투명도가 달성될 수 있다.
필름 또는 다층 필름의 경우 모든 필름 층은 1종 이상의 유기 UV 안정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층(들) 또는 모노필름에 첨가되는 UV 안정제의 양은 각각의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0.3 내지 3 중량%이다. 0.75 내지 2.8 중량%의 UV 안정제 함량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적으로, 층(A 및/또는 C)은 1.2 내지 2.5 중량%의 UV 안정제를 포함한다. 기재층에서 UV 안정제의 중량%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층(들)(A 및/또는 C)에서 보다 적다. 층(들)(A 및/또는 C)에서 언급한 상기 함량은 트리아진 유도체와 관련이 있다. 모든 또는 일부 트리아진 유도체 대신에 벤조트리아졸 또는 벤족사지논 군으로부터의 UV 안정제를 사용하면, 대체할 트리아진 성분의 함량은 벤조트리아졸 성분 또는 벤족사지논 성분의 양의 1.5배로 대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들 (cycloolefin copolymers, COCs), 폴리에틸렌, 비가교결합 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주 폴리에스테르 성분과 비상용성인 백화 중합체(whitening polymer)의 존재량은 (필름의 중량 기준으로) 0.1 중량% 미만이고, 이상적으로는, 0 중량%인데, 이는 이들 물질이 투명도를 크게 감소시키고 화재 성능에 악영향을 주며, UV에 노출시 심각한 황변을 일으키고, 그로 인해, 상당한 추가량의 UV 안정제가 필요하며, 따라서 비용 효율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기재층(B) 및 추가층(들)(A 및/또는 C)은 권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무기 또는 유기 입자의 예로는 탄산 칼슘, 인회석, 이산화 규소, 산화 알루미늄, 가교결합된 폴리스티렌, 가교결합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제올라이트 및 규산알루미늄 같은 기타 규산염과, TiO2 또는 BaSO4 같은 백색 안료가 있다. 이들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권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층(A 및/또는 C)에 첨가된다. 이러한 입자를 첨가하면, 이산화 규소계 입자의 사용이 바람직한데, 이들은 작은 투명도 감소 효과를 갖기 때문이다. 임의의 층에서 이들 또는 기타 입자의 비율은, 각각의 경우 관련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모든 층에서 3 중량%보다 많지 않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미만이다. 다층 구현예의 경우, 이들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2개 층(A 및/또는 B)에만 첨가되어, 분쇄재생에 의해 기재층에 대해 매우 작은 비율로만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권취에 필요한 입자는 투명도의 감소를 거의 초래하지 않는다. 외부층이 이들 입자를 0.07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경우 바람직하다.
온실내 화재는 상당한 비용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에, 필름은 감소된 인화성을 가져야 한다.
에너지 절감 온실 블라인드용으로 적합한 화재 성능의 달성은, 입자와, 백색 안료 및 비상용성 중합체의 함량이 바람직한 범위 내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바람직한 범위 내에 있으면 (그로 인해, 필름에 의해 달성된 화재 시험 등급이 4 이상이면), 난연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전술한 군들 중 하나의 경우에 바람직한 함량보다 높은 함량을 사용하거나, 특정 온실 용도에서 화재 성능의 추가적인 향상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필름은 유기 인산 화합물 기반의 난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인산 또는 포스폰산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하기 적합한 난연제는, 예를 들어 EP1368405 B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투명도는 93% 이상, 바람직하게는 94%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4.5% 이상,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다. 투명도가 높아질수록, 온실내의 식물 성장에 주는 도움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원료 및 첨가제 및/또는 입자의 함량을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투명도가 달성된다. 투명도의 증가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으로는, 적어도 일면에 위치되며, 선택적으로 층(C)의 김서림방지 코팅, 반사방지 코팅 또는 반사방지 개질의 반대면에 위치되는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이 있다.
코팅 및 외층 개질(outer-layer modification)
93%, 바람직하게는 94%, 특히 바람직하게는 94.5% 및 이상적으로는 95% 이상의 본 발명의 투명도를 달성하기 위해, 코팅되지 않은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투명도는 91% 이상이어야 하고, 상기 필름은 적어도 일면에 김서림방지 코팅을 구비해야 한다.
일 구현예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투명도의 증가에 동시에 기여 (반사방지 개질로서 작용)하는 김서림방지 코팅을 일면에 구비한다. 이 구현예는 원하는 투명도 값을 달성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김서림방지 코팅의 굴절률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보다 낮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필름의 기계방향으로 589㎚의 파장에서 굴절률은 1.64 미만, 바람직하게는 1.60 미만, 이상적으로는 1.58 미만이다. 게다가 김서림방지 코팅의 두께는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및 최대 150㎚, 바람직하게는 최대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20㎚이어야 한다. 따라서, 원하는 파장 범위에서 이상적인 투명도 증가가 달성된다. 층 두께가 60㎚ 미만이면, 김서림방지 코팅은 더 이상 투명도 증가에 기여하지 않는다. 그러나, 30㎚ 이상의 층 두께에서는, 영구적인 김서림방지 특성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층 두께가 최대 150㎚를 초과하면, 증가된 도포량은 어떤 추가적인 투명도 증가도 가져오지 않는다. 게다가 코팅의 더 많은 소비로 인해 필름의 비용 효율성이 감소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김서림방지 코팅의 두께는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및 최대 60㎚이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의 영구 김서림방지 효과가 달성된다. 93% 이상의 본 발명의 투명도 값을 달성하기 위해, 이 구현예는 김서림방지 코팅의 반대측 필름 면 상에 반사방지 개질을 가져야 한다. 이 반사방지 개질은 반사방지 코팅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외층 개질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반사방지 개질이 반사방지 코팅을 통해 제공되면, 이 코팅의 굴절률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보다 낮다. 필름의 기계방향으로 589㎚의 파장에서 굴절률은 1.64 미만, 바람직하게는 1.60 미만, 및 이상적으로는 1.58 미만이다. 특히 적합한 재료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규소 및 폴리우레탄이며, 또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이다. 적합한 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EP-A-0144948에 기재되어 있으며, 적합한 규소는 예를 들어 EP-A-0769540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재료는 온실에서 코팅 성분의 흡출(bleed-out) 및/또는 코팅 부분의 박편화(flaking) 경향이 없기 때문에, 아크릴레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코팅이 특히 바람직하며, 이는 규소계 코팅에서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다. 코팅은 아크릴레이트와 규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방지 코팅은 70 중량% 초과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초과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 특히 매우 바람직하게는 93 중량% 초과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 반복 단위로 구성된 아크릴레이트 코팅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반복 단위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기타 통상적인 단량체, 가령, 부타디엔, 비닐 아세테이트 등으로부터 유래된다. 50 중량% 초과의 아크릴레이트 코팅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레이트 코팅은 방향족 구조 원소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구조 원소를 갖는 반복 단위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코팅의 내후성이 상당히 악화된다. 반사방지 코팅이 1 중량% (건조 중량 기준) 이상의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서는 Tinuvin 479 또는 Tinuvin 5333-DW가 특히 바람직하다. HALS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는 덜 바람직한데, (제조에서부터 필름 잔여물이 회수되는) 분쇄재생 과정에서 물질의 심한 황변 및 그로 인해 감소된 투명도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또한 반사방지 코팅은 아크릴레이트-규소 공중합체 또는 폴리우레탄 (가령, DSM Coating Resins LLC사로부터의 NeoRez(등록상표) R-600) 및 추가의 UV 안정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방지 코팅의 두께는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며, 최대 130㎚, 바람직하게는 최대 115㎚,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10㎚이다. 따라서, 원하는 파장 범위에서 이상적인 투명도 증가가 달성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코팅의 두께는 87㎚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초과이다. 이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코팅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15㎚ 미만, 및 이상적으로는 110㎚ 미만이다. 상기 좁은 두께 범위 내에서, 투명도 증가는 최적에 가까우며, 동시에 이 영역의 나머지 가시 광선 스펙트럼과 비교하여 UV 및 청색 영역의 반사가 증가된다. 이것은 첫째로 UV 안정제를 절약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청색/적색 비율을 적색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향상된 식물 성장 및 증가된 개화와 결실을 달성하고, 불충분한 조명으로 인해 성장이 멈춘 식물의 발생률을 감소시킨다.
반사방지 개질이 외층 개질을 통해 형성되면, 외층 개질은 기저층(B) 상에 공압출을 통해 형성되며, 김서림방지 코팅의 반대측 필름 면 상에 위치된다. 이 경우, 외층 개질을 통해 형성된 층은 층(C)이다. 이 경우, 상기 층은 폴리에스테르 기재층(B)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어야 한다. 파장 589㎚에서의 굴절률은 공압출을 통해 도포된 층(C)의 기계방향으로 1.70 미만, 바람직하게는 1.65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60 미만이다. 이 굴절률은 중합체가 2 몰% 이상의 공단량체, 바람직하게는 3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 몰%의 비율로 포함되어 달성된다. 2 몰% 미만이면, 굴절률에 관한 본 발명의 값을 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공단량체의 비율은 20 몰%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8 몰% 미만,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몰% 미만이다. 16 몰%를 초과하면 UV 내성이 층의 비정질 특성으로 인해 현저히 낮아지고, 20 몰%를 초과하면 UV 안정제의 양이 증가하더라도 더 이상 16 몰% 미만의 UV 내성을 달성할 수 없다.
공단량체는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 이외의 단량체 (및 각각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이다. 본 발명에서 공단량체의 비율은 항상 모든 공단량체의 전체를 기준으로 한다. 2종 이상의 공단량체를 동시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탈산은 공단량체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공압출을 통해 도포된 층(C)은 (각각의 경우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복실산 성분에 대해) IPA 8 몰%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IPA 10 몰% 초과, IPA 20 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19 몰% 미만,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몰% 미만 포함한다. (상기 층 내의 폴리에스테르 및 각각 그의 디카복실산 성분 기준으로) 8 몰% 초과의 공단량체 함량을 갖는 층은, 증가된 공단량체 함량을 갖는 층의 보다 열악한 UV 내성을 보상하기 위해,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1 중량% 초과의 유기 UV 안정제를 또한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필름 표면은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최대 150㎚, 바람직하게는 최대 130㎚, 및 이상적으로는 최대 120㎚ 두께의 김서림방지 코팅을 갖는다. 필름의 기계방향으로 파장 589㎚에서의 김서림방지 코팅의 굴절률은 1.64 미만, 바람직하게는 1.60 미만 및 이상적으로는 1.58 미만이다. 김서림방지 코팅과 반대측의 필름 표면은 반사방지 코팅을 통해 또는 외층 개질을 통해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은 반사방지 개질을 갖는다. 따라서, 94.5% 이상의 특히 바람직한 투명도 값, 및 95% 이상의 이상적인 투명도 값을 달성하는 것이 특히 용이하다. 이들 필름은 매우 높은 투명도를 보이며, 냉간 안개 및 열간 안개 시험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도 나타내므로, 온실에서 수년간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필름의 양면은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최대 150㎚, 바람직하게는 최대 130㎚, 이상적으로는 최대 120㎚ 두께의 김서림방지 코팅을 갖는다. 필름의 기계방향으로 589㎚의 파장에서 김서림방지 코팅의 굴절률은 1.64 미만, 바람직하게는 1.60 미만 및 이상적으로는 1.58 미만이다. 양면 상의 김서림방지 코팅으로 인해, 94.5% 이상의 바람직한 투명도 값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일 코팅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방법은 매우 양호한 영구 김서림방지 특성 (냉간 및 열간 안개 시험)을 갖는 고-투명도 필름을 특히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양면의 김서림방지 코팅에 의해 필름의 양 표면에 물방울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높은 레벨의 습도 (응축)가 유지되는 온실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므로, 첫째는 물방울 형성으로 인한 투명도 손실을 최소화하고, 둘째는 물방울의 렌즈 효과로 인해 식물이 타는 것을 줄인다.
본 발명의 영구 김서림방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름은 적어도 일면에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을 구비해야 한다. 미세한 물방울 (가령, 온실에서의 응축)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 상에서 관찰되지 않는 경우, 표면의 양호한 김서림방지 특성이 달성됨과 동시에, 코팅은 양호한 씻김 내성(wash-off resistance)을 갖는다. 양호한 김서림방지 특성을 위한 최소한의 전제 조건은 높은 표면 장력, 및 각각, 낮은 접촉 각(α)이다. 김서림방지 표면의 표면 장력이 46 mN/m 이상, 바람직하게는 48 mN/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mN/m 이상인 경우, 김서림방지 특성이 적절하다. 냉간 안개 시험에서 적어도 1년간, 열간 안개 시험에서 적어도 3 개월간 지속되는 영구 김서림방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원하는 등급 A 및 B). 반사방지 개질 공존층(antireflective-modified coex layer)을 갖는 다층 구현예의 경우, 반사방지 개질 공존층의 반대측 필름 면에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이 도포된다. 김서림방지 코팅은 코팅 조성물의 건조를 통해 형성된다. 코팅은 1.0 내지 3.0 g/㎡의 도포 중량으로 균일하게 도포 (습식 도포)된다.
후술하는 코팅 조성물의 사용으로 본 발명의 영구 김서림방지 특성 및 93% 이상의 투명도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김서림방지 코팅 조성물은 분산액이며, 물 (연속 상)과 함께, a) 흡습성 다공성 물질, b) 중합체 기반의 가교결합제, c) 접착 촉진 유기 기능성 실란 및 d)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성분 (분산 상)을 포함한다.
코팅 분산액의 제조를 위해, 성분 a)-d)는 건조 형태, 즉, 그 자체로 (즉, 용해되거나 분산된 상태가 아님) 출발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어서 수성 매질에 분산되거나, 각각 개별적으로 수성 매질에 예비 분산 또는 용해된 후에 출발 물질로서 사용된 다음, 물과 혼합되어 선택적으로 희석될 수 있다. 분산 또는 용해 후에 성분 a)-d)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경우, 이들을 사용하기 전에, 얻어지는 혼합물을 교반기로 10분 이상 균질화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성분 (a)-(d)가 그 자체로 (즉, 용해되거나 분산된 상태가 아님) 사용될 경우, 적절한 균질화 공정을 이용하여 분산 과정 중에 높은 전단력을 가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분산액의 비수성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8 중량%의 범위이다. 일반적으로 성분 a)로서 사용할 수 있는 물질로는 무기 및/또는 유기 입자, 예를 들어 (DE 6983371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비정질 실리카, 무기 규소,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 함유 알콕사이드, 카올린, 가교결합된 폴리스티렌 입자 또는 가교결합된 아크릴레이트 입자가 있다. 김서림방지 특성에 대한 악영향이 관찰되었기 때문에, 무기 알콕사이드, 가교결합된 폴리스티렌 입자 또는 가교결합된 아크릴레이트 입자를 사용하는 것은 불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공성 SiO2, 예를 들어 비정질 실리카 및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필름 표면의 습윤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또한 충분한 양의 물을 흡수하기 위해, SiO2 나노 입자를 부가적으로 또는 전용으로 사용함으로써, 균질한 수막이 형성되고 따라서, 김서림방지 효과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적합한 재료는 Takemoto Oil and Fat사(일본)로부터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분산액인 Elecut AG 100이다. 성분 a)의 사용 농도는 1.0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 중량%이다. 사용되는 성분 b)는 가교결합된 중합체, 아크릴레이트, 친수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또는 옥사졸린 기능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0.5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EPOXROS WS-500, 특히 EPOCROS WS-700으로 Nippon Shokubai사에서 시판하는 제품인 옥사졸린 개질 중합체 (옥사졸린계 가교결합제)를 사용한다.
사용되는 성분 c)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또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포함할 수 있고, 그의 사용 농도는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7 중량%이다. 향상된 접착 촉진 효과를 위해, Dow Corning사로부터의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인 Z-6040 실란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에서 언급한 계면활성제 d)의 사용 농도는 1.5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5 중량%이고, 이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 벤젠 설페이트 또는 설포숙신산 에스테르 군으로부터의 이온성 또는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설포숙신산 에스테르 (소듐 디옥틸설포숙시네이트),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가령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가령 Tween 80 (Sigma Aldrich), 또는 Takemoto Oil and Fat사(일본)로부터의 Elecut AG 200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가령, BYK-Chemie사에서 BYK-DYNWET 800으로 시판하거나 Air Products사에서 Surfynol 440으로 시판하는 알코올 알콕시화물을 기반으로 하는 추가의 계면활성제를 0.01 내지 0.08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7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면, 인라인 도포 공정이 사용될 경우, 코팅 표면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계를 초과하면, 분산액의 점도가 너무 높아서, 그로 인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팅 공정에서는 코팅제를 균질하게 도포할 수 없다. 또한 과도한 코팅 성분의 사용으로 인해, 필름의 비용 효율성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한계 미만이면, 코팅이 덜 효과적이기 때문에, 원하는 김서림방지 특성은 제한된 정도 (영구적이지 않음)로만 얻어진다.
본 발명의 한계를 따름으로써, 코팅 분산액의 반응 생성물은 특히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서 양호한 김서림방지 효과, 높은 씻김 내성 및 높은 친수성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김서림방지 코팅 및/또는 반사방지 코팅은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공정 중에 인라인으로 도포된다. 여기서, 코팅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 또는 코팅 (김서림방지 코팅 및 반사방지 코팅)은 종 연신 후 및 횡 연신 전에 일면 또는 양면에 각각 도포된다. 수계 코팅제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호한 습윤을 달성하기 위해, 필름 표면(들)은, 바람직하게는 제 1 코로나 처리된다. 코팅제(들)는 친숙한 적합한 공정, 예를 들어 슬롯 코터(slot coater) 또는 스프레이 공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코팅제(들)가 매우 균질하게 도포될 수 있는 리버스 그라비어-롤 코팅 공정에 의해 코팅제(들)를 도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코팅을 달성할 수 있는 메이어 로드(Meyer rod) 공정에 의해 도포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코팅 성분은 중합체 필름의 건조 및 배향 동안, 및 특히 240℃까지 도달할 수 있는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 동안 서로 반응할 수 있다. 양면 코팅의 경우에 김서림방지 코팅 및 반사방지 코팅을 동시에 도포할 수 있고, 따라서 오프라인 공정과 비교하여 공정 단계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인라인 공정은 비용 효율면에서 보다 매력적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공정에서, 전술한 코팅제는 오프라인으로 도포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반사방지 및/또는 김서림방지 코팅은 필름 제조 하류의 부가적인 공정 단계에서 그라비어-롤 (포워드 그라비어)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절한 표면에 오프라인으로 도포된다. 최상한은 공정 조건 및 코팅 분산액의 점도를 통해 설정되며, 이들의 상한은 가공성 또는 코팅 분산액으로부터 유도된다. 결과적인 필름의 비용 효율성 감소와 함께, 첫째로 재료의 소비가 증가되고 둘째로 추가적인 공정 단계가 필요하기 때문에, 언더코팅 상에 김서림방지 코팅 (반사방지 코팅 상에 김서림방지 코팅)을 도포하는 것이 불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인라인 코팅 공정에서는 코팅 분산액의 높은 점도로 인해 특히 바람직한 코팅 두께를 달성할 수 없다. 이 경우는 오프라인 코팅 공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 낮은 고체 함량과 더 높은 습윤 도포 중량, 및 결과적으로 보다 용이한 처리를 통해 분산액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오프라인 코팅은 더 큰 코팅 두께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이는 김서림방지 코팅의 수명에서 요구되는 엄격한 조건으로 도포하는데 유리하며: 오프라인 공정에 의해 80㎚를 초과하는 큰 코팅 두께가 특히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우수한 영구 김서림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면서도 투명도의 추가적인 증가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조 방법
개별 층의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는 디카복실산 및 디올로부터 출발하거나 또는 디카복실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에스테르 및 디올로부터 출발하여 중축합에 의해 제조된다.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의 SV 값은 500 내지 1300의 범위이며, 여기서 개별 값은 비교적 중요하지 않지만, 사용된 원료의 평균 SV 값은 700을 초과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750을 초과한다.
입자 및 UV 안정제는 폴리에스테르의 제조가 완료되기 전에 첨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자를 디올에 분산시키고, 선택적으로 분쇄하고, 옮겨 붓고 및/또는 여과하고, (트랜스) 에스테르화 단계 또는 중축합 단계에서 반응기에 첨가한다. 농축된 입자 함유 또는 첨가제 함유 폴리에스테르 마스터배치를 제조하기 위해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고, 필름을 압출하는 동안 희석을 위해 입자 무함유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30 중량% 미만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임의의 마스터배치를 사용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SiO2 입자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는 (겔화의 위험으로) 20 중량% 이하의 SiO2 함량을 가져야 한다. 또 다른 가능성은 이축 압출기에서 필름을 압출하는 동안 입자 및 첨가제를 직접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단일축 압출기를 사용할 경우, 폴리에스테르를 예비 건조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탈 휘발 영역을 갖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할 경우, 건조 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층 또는 다층 필름의 경우 개별 층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을 압출기에서 먼저 압축하여 가소화한다. 다음에 용융물(들)은 단일층으로 성형되거나 또는 공압출 다이에서 평탄한 용융 필름으로 제공되며, 평탄한 필름 다이를 통해서 가압된 후, 냉각 롤 및 하나 이상의 취출(take-off) 롤에서 인출되고, 이후 냉각되어 굳어진다.
본 발명의 필름은 이축 배향, 즉 이축 연신된다. 필름의 이축 방향은 가장 자주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이 경우에, 배향은 먼저 종방향(즉,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 = MD)으로, 다음에 횡방향(즉, 기계방향에 수직 = TD)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방향 배향은 원하는 연신비에 대응하여 상이한 속도로 주행하는 2개의 롤의 도움으로 수행할 수 있다. 횡 연신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적절한 텐터 프레임을 사용한다.
연신이 수행되는 온도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변화할 수 있으며, 필름의 원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연신은 일반적으로 80℃ 내지 130℃의 온도 범위 (가열 온도 80℃ 내지 130℃)에서 종방향으로, 및 90℃ (연신 개시) 내지 140℃ (연신 종료)의 온도 범위에서 횡방향으로 수행된다. 종 연신비는 2.5:1 내지 4.5:1, 바람직하게는 2.8:1 내지 3.4:1이다. 연신비가 4.5를 초과하면, 제조의 용이성이 크게 악화된다 (파단). 횡 연신비는 일반적으로 2.5:1 내지 5.0:1, 바람직하게는 3.2:1 내지 4:1이다. 횡 연신비가 4.8보다 높으면, 제조의 용이성이 크게 악화되며 (파단),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이를 피해야 한다. 원하는 필름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연신 온도 (MD 및 TD에서)는 125℃ 미만, 바람직하게는 118℃ 미만인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횡 연신 전에,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들)을 그 자체가 공지된 공정에 의해 인라인으로 코팅할 수 있다. 인라인 코팅은 투명도를 증가시키도록 한 (반사방지) 코팅제를 도포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어지는 열 경화 동안, 필름은 장력 하에 약 0.1 내지 10초 동안 150 내지 250℃의 온도로 유지되고, 바람직한 수축률 및 연신 값을 달성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1%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상 이완시킨다. 이러한 이완은,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90℃의 온도 범위에서 일어난다. 투명도 활(transparency bow)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 1경화 영역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2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90℃ 미만이다. 동일한 이유로, 총 횡 연신비의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 대개는 더 이상의 연신이 일어나지 않는 제 1 경화 영역과 관련되어야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에, 필름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권취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히 비용-효율적인 제조 모드에서, 얻어지는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어떤 심한 악영향을 주지 않고,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60 중량% 양의 다짐 재료(chopped material) (분쇄재생재료)를 압출 공정으로 회수할 수 있다.
기타 필름 특성
전술한 공정 후에, 150℃에서 본 발명의 필름의 종방향 및 횡방향 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5%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미만이다. 게다가 100℃에서 상기 필름의 팽창은 3% 미만, 바람직하게는 1%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미만이다. 이러한 치수 안정성은, 예를 들어 권취 전에 필름의 적절한 이완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치수 안정성은 에너지 절감 블라인드에서 사용되는 동안 스트립의 후속 수축을 피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며; 상기 수축은 스트립들 사이에서 공기의 증가된 통과 (감소된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롤러 블라인드의 제조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 블라인드의 경우에, 과도한 수축 및 과도한 팽창은 완제품에 주름이 생기는 식으로 과연신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필름의 탄성 계수는 필름의 양방향, 즉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3000 N/㎟ 이상, 바람직하게는 3500 N/㎟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적어도 일방향으로) 4500 N/㎟보다 크다.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F5 값 (5% 연신시의 힘)은, 바람직하게는 80 N/㎟ 초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N/㎟ 초과이다. 이들 기계적 특성은 전술한 공정 조건의 범위 내에서 필름의 이축 연신을 위한 매개 변수의 변화를 통해 확립되고 유지될 수 있다. 언급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필름을 인장 하에서 사용할 경우, 이들 필름은 지나친 과연신을 겪지 않으면서 양호한 방향 제어가 가능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투명도 값을 달성하기 위해, 필름의 헤이즈는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8% 미만, 이상적으로는 15% 미만인 것이 유리한 것으로 더욱 입증되었다. 헤이즈가 감소할수록, 빛의 후방 산란 역시 감소되며, 따라서 투명도 역시 손상된다. 본 발명의 입자 함량 및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에 따르면, 이들 헤이즈 값을 달성한다.
용도
본 발명의 필름은 고-투명도 대류 격벽(high-transparency convection barrier)으로서, 특히 온실내 에너지 절감 블라인드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우수한 적합성을 갖는다. 여기서, 필름은 대개 좁은 스트립으로 절단되며, (UV 내성을 지녀야 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결합하여, 다음에 직물/레이드 스크림(laid scrim)이 제조되며, 이를 온실에 매단다. 본 발명의 필름으로 제조된 스트립은 기타 필름으로 제조된 스트립과 (특히 광산란 효과 또는 추가의 투명도 증가를 제공하는 필름과)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직물 없이) 필름 자체를 온실에 설치할 수 있다.
분석
다음의 시험 방법을 이용하여 원료 및 필름을 특징화하였다.
파장 x에서 UV/Vis 스펙트럼 및 투과율
Perkin Elmer사(미국)로부터의 (Lambda 12 또는 35) UV/Vis 이중-빔 분광계로 필름의 투과율을 시험하였다. 이를 위해, 평탄한 샘플 홀더를 사용하여 약 (3 × 5)㎝ 크기의 필름 시편을 측정 빔에 수직으로 빔 경로에 삽입하였다. 측정 빔은 50㎜ 울브리히트 구(Ulbricht sphere)를 통해 탐지기 위를 지나며, 원하는 파장에서 투명도를 결정하기 위한 강도가 결정된다.
공기가 배경으로 사용된다. 원하는 파장에서 투과율을 판독한다.
헤이즈/투명도
이 시험은 광학 선명도와 각각의 헤이즈가 기능적 값에 중요한 플라스틱 필름의 헤이즈 및 투명도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측정은 BYK Gardner사로부터의 헤이즈-가드 헤이즈 미터(haze-gard haze meter) XL-21 1에서 ASTM D1003-61에 따라 행해진다. 투명도는 BYK-Gardner GmbH 사(독일)로부터의 헤이즈-가드 플러스(haze-gard plus)에 의해 ASTM-D1003-61 (방법 A)에 따라 측정하였다.
SV 값 (표준 점도)
묽은 용액의 표준 점도(standard viscosity, SV)는 Ubbelohde 점도계를 이용하여 (25±0.05)℃에서 DIN 53 728 파트 3을 기준으로 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디클로로아세트산(dichloroacetic acid, DCA)을 용매로서 사용하였다. 용해된 중합체의 농도는 중합체 1g/순수 용매 100㎖이었다. 중합체의 용해는 60℃에서 1시간 소요되었다. 이 시간이 지나도 샘플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으면, 각각의 경우에 80℃에서 40분 동안 최대 2회 용해를 추가로 시도한 다음, 용액을 4100 min-1의 회전 속도로 1시간 동안 원심 분리하였다.
무 차원 SV 값은 상대 점도 (ηrel = η/ηs)로부터 하기와 같이 결정한다.
SV = (ηrel-1) Х 1000
필름 또는 중합체 원료내 입자의 함량은 애싱(ashing)에 의해 결정하고, 그에 따라 투입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보정하였다, 즉:
투입 중량 = (중합체 100%에 해당하는 투입 중량)/[(100-입자 함량 중량%)/100]
기계적 특성
기계적 특성은 100㎜ × 15㎜ 크기의 필름 스트립에서 DIN EN ISO 572-1 및 -3 (시편 유형 2)을 기반으로 한 방법으로 인장 시험을 통해 결정하였다.
수축률
열 수축률은 가장자리 길이가 10㎝인 사각형 필름 샘플에서 결정하였다. 한쪽 가장자리가 기계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다른 한쪽 가장자리는 기계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샘플을 절단하였다. 샘플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L0 TD 및 L0 MD를 제공하기 위해 각 기계방향(TD 및 MD)에 대해 결정된 가장자리 길이 L0), 대류 건조 오븐에서 언급한 수축 온도 (이 경우 150℃)로 15분 동안 열처리하였다. 샘플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가장자리 길이 LTD 및 LMD). 수축률은 다음의 식으로 구한다.
수축률 [%] MD = 100 · (L0 MD-LMD)/L0 MD 및, 각각,
수축률 [%] TD = 100 · (L0 TD-LTD)/L0 TD
팽창률
열 팽창률은 10㎝의 가장자리 길이를 갖는 사각 필름 샘플에서 결정하였다. 샘플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가장자리 길이 L0), 대류 건조 오븐에서 100℃로 15분 동안 가열한 다음, 실온에서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가장자리 길이 L0). 팽창률은 다음의 식으로 구한다.
팽창률 [%] = 100 · (L-L0)/L0
각 필름 방향에서의 팽창률을 따로 따로 결정하였다.
UV 내성
UV 내성은 DE69731750 (WO 9806575의 DE 버전)의 8페이지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하였고, UTS 값은 초기 값의 %로 나타내었으며, 풍화 시간은 1000시간이 아니라 2000시간이었다.
난연성
30 × 30㎝ 크기의 필름 조각을 2개의 클램프로 코너를 고정하고 수직으로 매달았다. 일반적으로 주목해야 할 점은 샘플이 매달린 위치에서 필름 조각의 눈에 띄는 이동을 초래하는 임의의 공기 이동을 배제하는 것이다. 낮은 유속에서 상부로부터 공기를 추출하는 것이 여기서는 허용된다. 다음에, 하부에서 필름 조각의 하측 중앙에 화염을 가했다. 화염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시가 라이터, 또는 바람직하게는 분젠 버너를 사용하여 가할 수 있다. 여기서, 화염의 길이는 1㎝ 초과 3㎝ 미만이어야 한다. 발화된 화염이 없이 필름이 지속적으로 연소될 때까지 (적어도 3초 동안), 화염과 필름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화염이 필름과 접촉하여 유지되고 연소/수축되는 필름과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이동한 최대 시간은 5초이다. 4번의 발화 절차를 수행했다.
난연성은 다음의 등급을 사용하여 여기서 인용한 실시예에서 평가한다.
1 = 4번의 발화 절차 동안, 필름의 발화가 3초 이상 지속되지 않았다.
2 = 필름이 발화되고 15초 이내에 자체 소화된 후, 30%를 초과하는 필름 면적이 남아 있다.
3 = 필름이 발화되고 20초 이내에 자체 소화된 후, 30%를 초과하는 필름 면적이 남아 있다.
4 = 필름이 발화되고 40초 이내에 자체 소화된 후, 30%를 초과하는 필름 면적이 남아 있다.
5 = 필름이 발화되고 40초 이내에 자체 소화된 후, 10%를 초과하는 필름 면적이 남아 있다.
6 = 필름이 발화되고 40초를 초과하여 연소되거나, 자체 소화된 후, 10% 미만의 필름 면적이 남아 있다.
파장의 함수로서 굴절률 결정
분광 타원 편광분석(spectroscopic ellipsometry)에 의해 필름 기판 및 도포된 코팅의 굴절률을 파장의 함수로서 결정하였다.
J. A. Woollam et al., 가변 각도 분광 타원 편광분석(variable-angle spectroscopic ellipsometry, VASE)의 개요: I. 기본 이론 및 전형적인 응용, Proc. SPIE vol. CR72, pp.3-28, Optical Metrology, Ghanim A. Al-Jumaily; 편집.
이를 위해, 먼저 코팅 또는 개질된 공존 면이 없는 기재 필름을 분석한다. 필름의 배면을 거칠게 만들기 위해 가능한 최소 입자 직경(가령, P1000)을 갖는 연마지를 사용하여 배면 반사를 억제한다. 다음에, 분광 타원 편광분석기 (이 경우, 회전 보상기를 구비한 J. A. Woollam사로부터의 M-2000)에 의해 필름의 측정을 실시한다. 샘플의 기계방향은 광선에 평행하다. 측정에 사용된 파장은 370 내지 1000㎚이며, 측정 각도는 65, 70, 75°이다.
다음에, 모델을 사용하여 타원 편광분석 데이터(ψ 및 Δ)를 시뮬레이션한다. 코오시(Cauchy) 모델
Figure pat00001
(파장 λ는 ㎛)은 본 경우의 상기 목적에 적합하다. 측정된 스펙트럼에서 ψ 및 Δ와 가능한 가장 잘 맞는 값을 데이터가 제공하도록 매개 변수(A, B 및 C)를 변화시킨다. 모델을 측정된 데이터 (ψ(λ) 및 Δ(λ))와 비교하고, 가능한 한 작아야 하는 MSE 값을 사용하여 모델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윗식에서 n = 파장의 수, m = 적합한 매개 변수의 수, N = cos(2ψ), C = sin(2ψ) cos(Δ), S = sin(2ψ) sin(Δ) [1]
기재 필름에 대해 얻어진 코오시 매개 변수(A, B 및 C)는, 370 내지 1000㎚의 측정 범위에서 유효성을 갖는 파장의 함수로서 굴절률 n을 계산할 수 있게 한다.
코팅 또는 개질된 공압출 층을 유사하게 분석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매개 변수는 이제 이미 알려져 있으며, 모델링 절차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코팅 또는 공압출 층 상에서의 결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의 배면의 거칠기도 필요로 한다. 여기서, 마찬가지로 코오시 모델을 사용하여 파장의 함수로서 굴절률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제 각 층은 이미 알려진 기판 상에 존재하며, 이는 관련 평가 소프트웨어 (CompleteEASE 또는 WVase)에서 고려한다. 층의 두께는 얻어진 스펙트럼에 영향을 주며, 모델링 절차에서 고려해야 한다.
표면 장력
표면 장력 (표면 자유 에너지)은 DIN 5560-1, 2에 따라 Owens-Wendt-Rabel-Kaelble 방법을 이용하여 접촉각으로부터 계산하였다. 물, 1,5-펜탄디올 및 디요오도메탄을 시험액으로 사용한다. 독일 Kruss GmbH사로부터의 DSA-100 테스터를 사용하여 접촉각을 결정하였다. 장비와 관련된 DSA 소프트웨어 (2005년 발표)는 Owens-Wendt-Rabel-Kaelble 방법에 의한 평가에서 사용하였다. 게브하르트(Gebhardt) 값은 1,5-펜탄디올의 극성 및 분산 성분에 적용하였으며 스트롬(Strom) 값은 물과 디요오도메탄에 적용했다.
Figure pat00003
접촉각(α) 측정 (도 1 참조)
DIN 55660-1, 2에 따른 증류수에 대한 정적 접촉각 측정은 필름 표면(A)의 친수성 측정으로서 사용된다. Kruss GmbH사로부터의 DSA-100 테스터 버전 4 소프트웨어는 정적 방울(B) 상에서의 측정에 사용된다. 전하가 없고 온도 및 습도의 표준 조건 하에서 최소 16시간 동안 미리 조절된 필름 샘플 상에서 23℃ 및 50% 상대 습도로에서 값을 측정한다. ME41 자동 계량 주사기를 사용하여 필름 표면에 증류수 3 내지 5㎕를 가한다. 20초의 기간에 걸쳐, 접촉각(α)이 5 초마다 자동으로 결정된다. 측정은 4방울로 이루어지며, 16개의 개별 값으로부터 접촉각(α)의 평균값을 계산한다.
김서림방지 효과 결정
냉간 안개 시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김서림방지 특성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23℃ 및 50% 상대 습도로 조절된 실험실에서, 약 50㎖의 물을 포함하는 비정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APET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제조된 식품 트레이 (길이 약 17㎝, 폭 약 12㎝, 높이 약 3㎝) 상에 필름 샘플을 밀봉하였다. 트레이를 4℃로 조절된 냉장고에 보관하고 30°의 각도로 놓은 다음, 각각 12시간, 24시간, 1주, 1개월 및 1년 후에 평가를 위해 옮겼다. 이 시험에서는 23℃의 따뜻한 공기가 냉장고 온도로 냉각될 때 응축수가 생성되는 지를 연구한다. 응축물이 응집된 투명 필름을 형성하기 때문에, 유효한 김서림방지제를 구비한 필름을 응축물 형성 후의 투명한 상태로 유지한다. 유효한 김서림방지제가 없이, 필름 표면에 미세한 물방울 안개가 형성되어 필름의 투명도 감소를 초래하고; 최악의 경우에, 식품 트레이의 내용물이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고온 증기 시험 또는 열간 안개 시험으로 알려진 시험은 또 다른 조사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Q-lab으로부터의 QCT 응결 테스터를 사용한다. 이 테스터는 온수가 필름 바로 위에서 응축되는 지에 대해, 실외 조건 하에서 습기의 김서림 효과를 시뮬레이션한다. 따라서,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서 수분으로 인해 초래된 결과를 수일 또는 수주 내에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QCT 응축 장치 내의 물을 60℃로 조절하고 필름을 적절한 홀더에 고정한다. 여기서, 고정된 필름의 경사각은 약 30°이다. 평가 절차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 시험을 통해, 증기가 필름 상에 지속적으로 응축된 후, 차례로 흘러넘치고 및/또는 흘러내리기 때문에, 필름의 장기간 김서림방지 효과와 씻김 내성을 시험할 수 있다. 따라서, 쉽게 용해되는 물질이 씻겨 내려, 김서림방지 효과가 감소된다. 이 시험은 23℃ 및 50% 상대 습도로 조절된 실험실에서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김서림방지 효과 (김서림방지 시험)를 시각적으로 평가한다.
등급:
A 우수함: 눈에 보이는 물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 완전 투명 필름
B 허용 가능함: 가끔 표면 상에 불규칙적으로 분포되는 물방울, 비연속인 수막
C 열악함: 큰 투명한 물방울의 완전한 층, 열악한 필름 투명도, 렌즈 형성, 방울 형성
D 매우 열악함: 큰 물방울의 불투명 또는 투명 층, 필름 투명도 없음, 열악한 투명도.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설명을 위해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언급한 모든 특징들은 당업자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임의의 형태로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으며, 이들 형태는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 발명의 실시예 1-9 및
· 비교예(CE) 1-6
중합체 혼합물을 292℃에서 용융시키고, 평탄 필름 다이를 통과시킨 후에, 50℃로 조절된 냉각 롤 상에 정전기를 띠게 올려 놓았다. 하기의 원료를 층당 하나의 압출기에서 용융하였고, 3층 평탄 필름 다이를 통과시킨 후, 냉각된 취출 롤 상에 압출시켰다. 이어서, 얻어진 비정질 예비필름을 먼저 종으로 연신하였다. 종으로 연신된 필름을 코로나 방전 장치에서 코로나 처리한 후, 리버스 그라비어 코팅을 통해 하기의 분산액으로 코팅하였다. 이어서, 필름을 횡으로 연신하고, 경화시켜 권취하였다. 개별 단계의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Figure pat00004
다음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후술하는 필름을 제조하였다:
PET1 = SV 값 820 및 DEG 함량 0.9 중량% (단량체로서 디에틸렌 글리콜 함량)를 갖는 에틸렌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으로부터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원료.
PET2 = Tinuvin 1577 20 중량%를 포함하는 SV 값 700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원료. UV 안정제의 조성물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독일 Ludwigshafen 소재 BASF사로부터의 Tinuvin(등록상표) 1577)이다. Tinuvin 1577의 융점은 149℃이며, 330℃에서 열적으로 안정하다.
PET3 = SV 값 700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원료 및 2.7㎛의 d50을 갖는 Sylysia 310 P 이산화 규소 입자 (NC/미국 그린빌(Greenville) 소재 FUJI SILYSIA CHEMICAL사에서 제조함) 15 중량%. SiO2는 이축 압출기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내에 혼입하였다.
PET4 = 공단량체로서 이소프탈산 25 몰%를 포함하는 SV 값 710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원료.
코팅 분산액의 조성물
코팅제 1:
다음의 조성물을 코팅 용액에 사용하였다:
· 탈 이온수 88.95 중량%
· Elecut AG 100 (16.5 중량%, Takemoto Oil and Fat사) 3.50 중량%
· Elecut AG 200 (13.5 중량%, Takemoto Oil and Fat사) 4.50 중량%
· EPOCROS WS-700 (25 중량%, Nippon Shokubai사) 2.50 중량%
· Z-6040 (90 내지 100 중량%, Dow Corning사) 0.50 중량%
·BYK-DYNWET 800 (100 중량%, BYK-Chemie GmbH사) 0.05 중량%
각각의 성분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탈 이온수에 첨가하고, 사용 전에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코팅제 2:
다음의 조성물을 코팅 용액에 사용하였다:
· 탈 이온수 88.45 중량%
· Elecut AG 100 (16.5 중량%, Takemoto Oil and Fat사) 2.50 중량%
· Elecut AG 200 (13.5 중량%, Takemoto Oil and Fat사) 3.50 중량%
· EPOCROS WS-700 (25 중량%, Nippon Shokubai사) 5.00 중량%
· Z-6040 (90 내지 100 중량%, Dow Corning사) 0.50 중량%
· BYK-DYNWET 800 (100 중량%, BYK-Chemie GmbH사) 0.05 중량%
각각의 성분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탈 이온수에 첨가하고, 사용 전에 적어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코팅제는 인라인 공정으로 도포된다. 하기 표 1에는 제제, 제조 조건 및 얻어진 필름 특성을 수집해 놓았다:
Figure pat00005
비교예
코팅제 3
코팅 조성물의 건조 생성물이 물, 설포폴리에스터, 계면활성제 및 선택적으로 접착 촉진 중합체를 포함하는 친수성 코팅제로 이루어지는 EP1777251A1에서와 같은 코팅제. 이들 필름은 물방울에 의한 필름의 단기간 김서림을 방지하는 친수성 표면을 갖는다. 다음의 조성물을 코팅 용액에 사용하였다:
· 설포폴리에스테르 (이소프탈산 90 몰%, 나트륨 설포이소프탈산 및 에틸렌 글리콜 10 몰%로부터의 코폴리에스테르) 1.0 중량%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60 중량%, 에틸 아크릴레이트 35 중량% 및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5 중량%로 이루어지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 중량%
· 디에틸헥실 설포숙시네이트의 나트륨 염 (Lutensit A-BO BASF AG) 1.5 중량%.
Figure pat00006

Claims (16)

  1. 93%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및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재층(B)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제 1 및 제 2표면을 가지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이 도포되고, 상기 김서림방지 코팅의 굴절률은 상기 기재층(B)의 굴절률보다 낮은,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다층 필름이며, 기재층 상에 도포된 층(A)을 포함하거나, 층(A) 및 층(C)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B)은 층(A)과 층(C)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층(A 및 C)은 열가소성 중합체 및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10㎛ 이상 최대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14㎛ 이상 최대 23㎛, 특히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 최대 2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B)의 70 중량% 이상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85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2 몰% 이상은 에틸렌-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유래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SV 값은 600 초과, 바람직하게는 65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700 초과이고, 필름의 SV 값은 950 미만, 바람직하게는 850 미만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V 안정제는 트리아진, 벤조트리아졸 및 벤족사지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트리아진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재층(B) 및, 존재하는 경우, 상기 층(A) 및 층(C)은 각각의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UV 안정제를 0.3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75 내지 2.8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방지 코팅은 물과 함께, a) 흡습성 다공성 물질, b) 중합체 기반의 가교결합제, c) 접착 촉진 유기 기능성 실란 및 d)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김서림방지 코팅 조성물의 분산액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 1 또는 제 2표면에는 김서림방지 코팅이 도포되어 있고, 상기 김서림방지 코팅과 반대측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은
    (1) 반사방지 코팅이거나, 또는
    (2) 외층 개질을 통해 형성되는 반사방지 개질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개질은 상기 기재층(B) 상에 공압출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외층 개질은 상기 기재층(B)의 폴리에스테르 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개질의 중합체의 공단량체 함량은 2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 몰%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방지 코팅의 두께는 60㎚ 이상 최대 150㎚,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최대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최대 12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방지 코팅의 두께는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및 최대 6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압출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고, 이 필름을 이축 연신하는 단계와;
    김서림방지 코팅 조성물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인라인으로 습식 도포하는 단계와;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열 경화 및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출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고, 이 필름을 이축 연신, 열 경화 및 권취하는 단계와;
    통상의 코팅 기술에 의해, 김서림방지 코팅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오프라인으로 습식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건조 및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고-투명 대류 격벽으로서의 용도.
  16.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온실에서 에너지 절감 블라인드 제조를 위한 용도.
KR1020180109396A 2017-09-14 2018-09-13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 및 93%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900306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16258.9 2017-09-14
DE102017216258.9A DE102017216258A1 (de) 2017-09-14 2017-09-14 Beschichtete Polyesterfolie mit einer permanenten Antifog-Beschichtung und einer Transparenz von mindesten 9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619A true KR20190030619A (ko) 2019-03-22

Family

ID=6368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396A KR20190030619A (ko) 2017-09-14 2018-09-13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 및 93%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97518B2 (ko)
EP (1) EP3456762B1 (ko)
JP (1) JP2019051713A (ko)
KR (1) KR20190030619A (ko)
DE (1) DE102017216258A1 (ko)
PL (1) PL3456762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882A (ko) * 2017-09-14 2020-05-15 에이비 루드빅 스벤쏜 온실 스크린
KR20220108291A (ko) 2021-01-26 2022-08-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친수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1137A (zh) * 2019-03-21 2019-07-05 深圳市昱荣环保材料有限公司 一种吸塑用防雾胶片及其制备方法
DE102020213101A1 (de) 2020-10-16 2022-04-2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Ein- oder mehrschichtige Polyesterfolie mit einer permanenten Antifog-Beschichtung und einer Transparenz von mindestens 92%
EP4229136A1 (en) 2020-10-16 2023-08-23 AB Ludvig Svensson Greenhouse screen with antifogging effect
CA3222130A1 (en) 2021-06-30 2023-01-05 Yuewen XU (co)polyester resins for use as heat seal layers for containers and films incorporating such layers to seal and reseal container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1363A (en) 1983-12-12 1986-02-18 American Hoechst Corporation Polyester film primed with crosslinked acrylic polymers
US5531933A (en) 1993-12-30 1996-07-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hard surface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specific polycarboxylate detergent builders
US5585186A (en) * 1994-12-12 1996-12-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ating composition having anti-reflective, and anti-fogging properties
US5580819A (en) * 1995-03-22 1996-12-03 Ppg Industries, Inc. Coating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antireflective coatings, and coated articles
US5672428A (en) 1995-10-17 1997-09-30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Silicone release coated polyester film and a process for coating the film
EP0874872B2 (en) 1995-12-15 2007-08-15 Cryovac, Inc. Film having excellent ink adhesion in combination with enhanced slip, antifog, and/or antistatic properties
GB9617185D0 (en) 1996-08-15 1996-09-25 Ici Plc Polymeric film
JP3897408B2 (ja) 1997-08-27 2007-03-22 株式会社中戸研究所 防曇性コーティング材料、防曇性塗膜および防曇性物品
US6455142B1 (en) * 1999-12-17 2002-09-24 Mitsubishi Polyester Film, Llc Anti-fog coating and coated film
DE10007724A1 (de) * 2000-02-19 2001-08-2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ansparente, siegelfähige, UV-stabilis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K1152027T3 (da) 2000-05-04 2004-11-15 Ciba Sc Holding Ag Polyolefinfilmsammensætninger med permanente antidugegenskaber
GB0104277D0 (en) 2001-02-21 2001-04-11 Dupont Teijin Films Us Ltd Polyester film
CA2495485A1 (en) 2002-09-06 2004-03-18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Film compositions with permanent anti-fog, anti-mist and anti-cloud properties
DE102004049609A1 (de) 2004-10-12 2006-04-1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hydrophiler Beschich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2005049639A1 (de) 2005-10-18 2007-04-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hydrophiler Beschichtung
TWI464201B (zh) * 2006-12-19 2014-12-1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單一或多層穩定的聚酯膜
US8568892B2 (en) * 2007-10-31 2013-10-29 Dupont Teijin Films U.S. Limited Partnership Coated articles
US20130224478A1 (en) * 2008-08-07 2013-08-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cicular silica coating for enhanced hydrophilicity/transmittivity
IT1393672B1 (it) 2009-02-06 2012-05-08 Sabo S R L Composizioni di poliolefine per pellicole con durevoli proprieta' anticondensa per applicazioni agricole
US10241237B2 (en) * 2011-12-15 2019-03-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fog coating comprising aqueous polymeric dispersion, crosslinker and surfactant
TWI707932B (zh) * 2015-02-03 2020-10-21 美商道康寧公司 硬塗層及相關組成物、方法、及物品
DE102016200875A1 (de) * 2016-01-22 2017-07-27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UV-stabilisierte, ein- oder mehrschichtige Polyesterfolie mit einer Kombination aus Siliziumdioxidpartikeln als Lichtstreupartikel und einem UV-Stabilisator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Gewächshausschattenmatt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882A (ko) * 2017-09-14 2020-05-15 에이비 루드빅 스벤쏜 온실 스크린
KR20220108291A (ko) 2021-01-26 2022-08-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친수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6762A3 (de) 2019-04-03
DE102017216258A1 (de) 2019-03-14
US20190077137A1 (en) 2019-03-14
EP3456762B1 (de) 2021-01-06
EP3456762A2 (de) 2019-03-20
US11097518B2 (en) 2021-08-24
JP2019051713A (ja) 2019-04-04
PL3456762T3 (pl) 202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0619A (ko) 영구 김서림방지 코팅 및 93%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US10472480B2 (en) Biaxially oriented UV-resistant, single- or multilayer polyester film with at antireflective coating
US20200079921A1 (en) Biaxially oriented, UV-stabilized, single- or multilayer transparent polyester film with a permanent aqueous antifog coating and transparency of at least 93%
AU2017272602B2 (en) Energy saving greenhouse screen
CN114369275A (zh) 具有永久防雾涂层且透明度至少为92%的单层或多层聚酯膜
EP3681268B1 (en) Greenhouse screen
JP4966614B2 (ja) 農業用フィルム
RU2774219C2 (ru) Экран для теплицы
JP7418444B2 (ja) 省エネ温室スクリーン
JP2023546422A (ja) 防曇効果を有する温室スクリーン
KR20200090624A (ko) 하나 이상의 면에 눈부심 방지 및 난연 코팅을 갖고 93.5%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이축 배향, uv-안정, 단일 또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EA041237B1 (ru)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ий экран для теплиц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