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497A -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497A
KR20190030497A KR1020170118005A KR20170118005A KR20190030497A KR 20190030497 A KR20190030497 A KR 20190030497A KR 1020170118005 A KR1020170118005 A KR 1020170118005A KR 20170118005 A KR20170118005 A KR 20170118005A KR 20190030497 A KR20190030497 A KR 20190030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luminum
pet film
sheet layer
aluminum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경
Original Assignee
(주)엘림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림론 filed Critical (주)엘림론
Priority to KR102017011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497A/ko
Publication of KR2019003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6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air or gas pockets included in the sl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 주로 외벽용으로 사용하고자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과 하니콤 구조의 PE 가교폼을 반복되게 다층 구조로 적층 접합하되, 상기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은 알루미늄 박판 사이로 알루미늄 박판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은 PET 필름층을 적층 접합한 내부용 알루미늄 시트층과, 알루미늄 박판 사이로 PET 필름층,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 PET 필름층 또는 PET 필름층,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 또는 부직포 층을 적층 접합한 외부용 알루미늄 시트층으로 구분하여 내부용 알루미늄 시트층과 PE 가교폼을 교번되게 적층 접합한 후 가장 외측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외부용 알루미늄 시트층을 적층 접합하여 마감하는 구조 개선에 의해 종래보다 단열 성능을 월등히 향상시킴은 물론 난연 성능을 제공하여 화재의 위험으로 부터 안전성을 부여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INSULATION MATERIAL OF BUILDING AND THE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 주로 외벽용으로 사용되는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과 하니콤 구조의 PE 가교폼을 반복되게 적층 접합하되, 상기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의 구조 개선에 의해 단열 성능을 종래 보다 월등히 향상시킴은 물론 난연 성능을 부가 제공하는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단열재는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로 설치 시공하여 건축물 내외부의 공간 사이로 발생되는 열 교환을 지연 내지 차단하고자 하는 단열 목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 단열재는 방음, 방습 등의 부수적 기능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널리 사용되는 건축물 단열재로는 스티로폼과 유리섬유가 있으나 스티로폼은 패널 형태로 되어 있어 물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단열 성능 향상을 위해 두껍게 제작해야 하며, 외기에 노출되게 설치하기가 곤란한 문제 등으로 사용상 제한이 많이 따랐다. 유리 섬유는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여 사용이 무척 제한적이었다.
이에 대해 알루미늄 박판을 이용한 반사 단열재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는 복사열을 반사할 수 있는 알루미늄 박판으로 형성된 열반사층과, 열반사층의 양면 또는 일면에 접착되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된 보호층 및, 단열기능을 위한 폼 형태의 단열층을 포함하는데 롤 형태로 제공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물류 비용을 절감시키며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반사 단열재는 알루미늄 박판에 의해 열 반사를 할 수 있으나 알루미늄 박판이 열 전달 작용도 함께 하면서 단열 효과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알루미늄 박판과 폼 형태의 단열층을 단순 적층하는 구조만으로 단열 효과를 최대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 반사 단열재는 단열성 성능 시험에서 실제 만족할 만한 시험 성적을 얻을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 반사 단열재는 단열 목적으로 주로 사용될 뿐이어서 단열재와 별도로 건축물의 화재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난연재 또는 그 밖에 다른 기능성 재료를 건축물의 벽체에 함께 설치 시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1181655호 특허문헌 2: 등록특허 제10-1117142호 특허문헌 3: 등록특허 제10-094866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벽체, 주로 외벽용으로 사용하고자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과 하니콤 구조의 PE 가교폼을 반복되게 적층 접합하되, 상기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의 구조 개선에 의해 단열 성능을 종래 보다 월등히 향상시킴은 물론 부수적으로 난연 성능을 부여하는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박판과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알루미늄 박판에 비해 열전도성이 현저히 낮은 PET 필름층을 접착층에 의해 접합한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과,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한 절개선을 길이 방향으로 인장시켜 에어 공간부들을 형성하는 허니컴 구조의 PE 가교폼을 교번되게 적층 접합하여 형성하되, 단열재의 가장 외측의 일 측면이나 양 측면에는 알루미늄 박판과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PET 필름층-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 PET 필름층을 또는 PET 필름층-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 또는 부직포 층을 접착층에 의해 접합한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PE 가교폼에 적층 접합하여 마감 구성한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와;
단열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제조하는 과정과, 단열재의 가장 외측에 일 측면이나 양 측면 위치하는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제조하는 과정과,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한 절개선을 길이 방향으로 인장시켜 에어 공간부들을 형성하는 허니콤 구조의 PE 가교폼을 제조하는 과정을 거친 후,
상기 PE 가교폼을 이송 공급하면서 일 측면을 버너 가열하여 접착성을 갖도록 표면 용융시킨 후 이 표면 용융된 가열면으로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밀착시켜 합지롤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 적합하는 제1 적층 공정과, 상기 제1 적층 공정에 의한 합지를 이송 공급하면서 PE 가교폼의 타 측면을 버너 가열한 후 가열면으로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밀착시켜 합지롤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 접합하는 제2 적층 공정과, 다른 PE 가교폼을 이송 공급하면서 일 측면을 버너 가열하여 접착성을 갖도록 표면 용융시킨 후 이 표면 용융된 가열면으로 제2 적층 공정에 의한 합지의 내부용 알루미늄 시트층을 밀착시켜 합지롤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 접합하는 제3 적층 공정 및, 상기 제2,3 적층 공정을 반복하여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과 PE 가교폼을 교번되게 다층 접합하되, 가장 외 측방에 위치하는 PE 가교폼에는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밀착시켜 적층 접합하는 마감 적층 공정에 의해 다층 구조로 적층 접합하도록 제조하는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과 하니콤 구조의 PE 가교폼을 반복되게 다층 구조로 적층 접합하되, 상기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은 알루미늄 박판 사이로 알루미늄 박판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은 PET 필름층을 적층 접합한 내부용 알루미늄 시트층과, 알루미늄 박판 사이로 PET 필름층,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 PET 필름층 또는 PET 필름층,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 또는 부직포 층을 적층 접합한 외부용 알루미늄 시트층으로 구분하여 내부용 알루미늄 시트층과 PE 가교폼을 교번되게 적층 접합한 후 가장 외측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외부용 알루미늄 시트층을 적층 접합하여 마감하는 구조 개선에 의해 종래보다 단열 성능을 월등히 향상시킴은 물론 난연 성능을 제공하여 화재의 위험으로 부터 안전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단열재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7은 도 2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8은 도 2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PE 가교폼의 제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의 제조 과정도.
도 12은 본 발명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의 제조 과정도.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제조 과정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 단열재의 제조 과정도.
먼저,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 주로 외벽 시공에 사용되는 것으로 휘거나 롤 형태로 말 수도 있는 정도의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하고 있는데,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과 허니컴 구조의 PE 가교폼을 교번되게 반복하여 적층 접합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단열재(100)는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과 허니컴 구조의 PE 가교폼을 적어도 3층 이상 구조, 바람직하기는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 PE 가교폼-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 PE 가교폼-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과 같이 5층 이상 구조로 적층 접합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은 단열재(100)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과 단열재(100)의 가장 외측의 일 측면이나 양 측면에 위치하되 난연성을 갖는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열재(100)의 가장 외측의 일 측면으로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에 난연 방향, 화기 노출 방향 등의 표기를 하여 단열재를 벽체에 시공할 때 상기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이 콘크리트 외벽에 맞닿는 것이 아니라 반대편을 향하도록 시공하여 난연 효과를 더욱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은 도 3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박판(11)과 알루미늄 박판(11) 사이에 알루미늄 박판에 비해 열전도성이 현저히 낮은 PET 필름층(12)을 접착층(15)에 의해 접합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접착층(15)은 ADH 또는 AD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한다.
상기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은 도 4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박판(11)과 알루미늄 박판(11) 사이에 PET 필름층(12)-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13)- PET 필름층(12)을 접착층(15)(15')에 의해 접합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접착층(15')은 부직포 층(13)의 접착을 위한 LDPE 수지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도 5의 경우에는 알루미늄 박판(11)과 알루미늄 박판(11) 사이에 PET 필름층(12)-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13)을 접착층(15)(15')에 의해 접합한 것이고, 도 6의 경우에는 알루미늄 박판층(11)과 알루미늄 박판층(11) 사이에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13) 만을 접착층(15')에 의해 접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 박판(11)은 열 반사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PET 필름층(12)은 열 전도 차단은 물론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방습성, 구김방지, 파열 강도 향상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13)은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사용하여 난연성을 확보함은 물론 조직 사이로 공기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직접적인 열 전달을 방지하여 단열성 및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PE 가교폼(20)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선을 촘촘히 절개하되 절개선(21a)이 서로 교번되게 위치하도록 절개 형성한 후, 길이 방향으로 인장시켜 주는 것에 의해 각 절개선(21a)이 벌어져 재료 절감은 물론 단열성 및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허니콤 형상의 에어 공간부(21) 들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PE 가교폼(20)은 에어 공간부 형성 후 또는 에어 공간부 형성과 함께 버너 열을 가하여 표면 용융시켜 접착성을 갖게 함으로써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과 적층하되 합지롤에 의한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망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100)의 제조 방법은 단열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을 제조하는 과정과, 단열재의 가장 외측에 일 측면이나 양 측면 위치하는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을 제조하는 과정과,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한 절개선을 길이 방향으로 인장시켜 에어 공간부들을 형성하는 허니콤 구조의 PE 가교폼(20)을 제조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도 15 내지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PE 가교폼(20)을 이송 공급하면서 일 측면을 버너(50) 가열하여 표면을 용융시킨 후 표면 용융된 가열면으로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을 밀착시켜 합지롤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 적합하는 제1 적층 공정과, 상기 제1 적층 공정에 의한 합지를 이송 공급하면서 PE 가교폼(20)의 타 측면을 버너(50) 가열한 후 가열면으로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을 밀착시켜 합지롤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 접합하는 제2 적층 공정과, 다른 PE 가교폼(20)을 이송 공급하면서 일 측면을 버너(50) 가열한 후 가열면으로 제2 적층 공정에 의한 합지의 내부용 알루미늄 시트층(10)을 밀착시켜 합지롤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 접합하는 제3 적층 공정 및, 상기 제2,3 적층 공정을 적어도 한번 이상 반복하여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과 PE 가교폼(20)을 교번되게 다층 접합하되, 가장 외 측방에 위치하는 PE 가교폼(20)에는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을 밀착시켜 적층 접합하는 마감 적층 공정에 의해 다층 구조로 적층 접합하도록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용 알루미늄 시트층(10)과 PE 가교폼(20) 및 외부용 알루미늄 시트층(10')은 적어도 3층 이상,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5층 이상 구조로 적층 접합하는 다층 구조로 제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제조하는 과정은 도 11에서와 같이 PET 필름층(12)의 일 측면에 접착제통(60)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알루미늄 박판(11)과 함께 제1 합지롤(71)을 통과시켜 적층 접합하고, PET 필름층(12)의 타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다른 알루미늄 박판(11)과 함께 제2 합지롤(72)을 통과시켜 적층 접합하여 알루미늄 박판- PET 필름층- 알루미늄 박판이 적층 접합되는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을 제조하는 것이다.
도 11 내지 이후의 도면에서 접착제통(60)은 액상 접착제가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 생략되었으나 상기 접착제통(60)에 일부가 잠겨 액상 접착제를 묻히는 도포롤러를 이용하거나, 가이드롤러들에 의해 필름층(12)이 접착제통 내부의 액상 접착제를 경유하게 하는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제조하는 과정은 도 12에서와 같이 PET 필름층(12)의 일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알루미늄 박판(11)과 함께 제1 합지롤(81)을 통과시켜 적층 접합하고, PET 필름층(12)의 타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부직포 층(13)과 함께 제2 합지롤(82)을 통과시켜 적층 접합하며, 다른 PET 필름(12)의 일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알루미늄 박판- PET 필름층- 부직포 층의 합지와 함께 제3 합지롤(83)을 통과시켜 상기 부직포 층(13) 하부에 적층 접합하고, 다른 PET 필름층(12)의 타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다른 알루미늄 박판(11)과 함께 제4 접지롤(84)을 통과시켜 PET 필름층(12) 하부에 적층 접합하여 알루미늄 박판- PET 필름층- 부직포 층- PET 필름층- 알루미늄 박판이 적층 접합되는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은 도 13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박판- PET 필름층- 부직포 층- 알루미늄 박판만을 적층 접합하거나, 도 14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박판- 부직포 층- 알루미늄 박판만을 적층 접합하도록 제조할 수 있는데, 그 제조 과정은 전술한 실시 예의 과정과 동일 유사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PE 가교폼을 제조하는 과정하는 과정은 PE 가교폼(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통형 롤러(25)의 칼날(25a)에 의해 절개선(21a)을 촘촘히 절개하되 절개선(21a)이 서로 교번되게 위치하도록 절개 형성한 후 일단은 고정하고 타단을 잡아 당기는 인장력에 의해 PE 가교폼(20)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면서 각 절개선(21a)이 벌어져 에어 공간부(12)들을 형성하는 허니콤 구조의 PE 가교폼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100)는 건축물의 벽체, 주로 외벽에 설치 시공하는데 유용하다.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에서 내벽은 석고보드, 합판을 결합한 후 벽지로 마감 시공하고, 외벽은 본 발명의 단열재(100)를 시공한 후 석고보드 또는 콘크리트 타설이나 벽돌 조적으로 마감 시공하도록 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열재(100)는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과 하니콤 구조의 PE 가교폼을 반복되게 다층 구조로 적층 접합하되, 특히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은 알루미늄 박판(11)(11) 사이로 알루미늄 박판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은 PET 층(12)을 적층 접합한 내부용 알루미늄 시트층(10)과, 알루미늄 박판(11)(11) 사이로 PET 필름층(12)-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13)- PET 필름층(12) 또는 PET 필름층(12)-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13) 또는 부직포 층(13)만을 적층 접합한 외부용 알루미늄 시트층(10')을 단열재(100)의 내부와 외부 양 측면이나 일 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외부용 알루미늄 시트층(10')에서는 알루미늄 박판(11)에 의한 열 반사와, PET 필름층(12)에 의한 열 전도 차단 기능, 부직포 층(13)의 조직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단열 성능 향상, 특히 상기 부직포 층의 유리 섬유에 의한 난연성에 의해 화재로 부터 안전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용 알루미늄 시트층(10)에서는 알루미늄 박판(11)에 의한 열 반사와 PET 필름층(12)에 의한 열 전도 차단 기능으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상기 PE 가교폼(20)과 상기 PE 가교폼에 하니폼 구조로 형성되는 에어 공간부(21)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단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한 내,외부용 알루미늄 시트층(10)(10')과 PE 가교폼(20)을 다층 구조로 적층 접합하므로 상술한 단열 성능, 난연성 등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회피를 위한 PET, PE 등 합성수지의 재료를 변경 치환하는 경우나 접착제의 재료를 변경 치환하는 경우에도 당해 분야에 대한 당업계의 통상적 지식의 범주 내에서의 치환이라면 균등한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10: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
10':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
11: 알루미늄 박판
12: PET 필름층
13: 부직포 층
20: PE 가교폼
21: 에어 공간부
50: 버너
60: 접착제 통
100: 단열재

Claims (5)

  1. 알루미늄 박판(11)과 알루미늄 박판(11) 사이에 알루미늄 박판에 비해 열전도성이 낮은 PET 필름층(12)을 접착층(15)에 의해 접합한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과,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한 절개선을 인장시켜 에어 공간부(21)들을 형성하는 허니컴 구조의 PE 가교폼(20)을 교번되게 적층 접합하여 형성하되,
    단열재의 가장 외측의 일 측면이나 양 측면에는 알루미늄 박판(11)과 알루미늄 박판(11) 사이에 PET 필름층(12)-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13)- PET 필름층(12)을 접착층(15)(15')에 의해 접합한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을 PE 가교폼에 적층 접합하여 마감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2. 알루미늄 박판(11)과 알루미늄 박판(11) 사이에 알루미늄 박판에 비해 열전도성이 낮은 PET 필름층(12)을 접착층(15)에 의해 접합한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과,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한 절개선을 인장시켜 에어 공간부(21)들을 형성하는 허니컴 구조의 PE 가교폼(20)을 교번되게 적층 접합하여 형성하되,
    단열재의 가장 외측의 일 측면이나 양 측면에는 알루미늄 박판(11)과 알루미늄 박판(11) 사이에 PET 필름층(12)-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13)을 접착층(15)(15')에 의해 접합한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을 PE 가교폼에 적층 접합하여 마감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3. 알루미늄 박판(11)과 알루미늄 박판(11) 사이에 알루미늄 박판에 비해 열전도성이 낮은 PET 필름층(12)을 접착층(15)에 의해 접합한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과,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한 절개선을 인장시켜 에어 공간부(21)들을 형성하는 허니컴 구조의 PE 가교폼(20)을 교번되게 적층 접합하여 형성하되,
    단열재의 가장 외측의 일 측면이나 양 측면에는 알루미늄 박판(11)과 알루미늄 박판(11) 사이에 유리 섬유를 주 재료로 하는 부직포 층(13)을 접착층(15')에 의해 접합한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10')을 PE 가교폼에 적층 접합하여 마감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4. 단열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제조하는 과정과,
    단열재의 가장 외측에 일 측면이나 양 측면 위치하는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제조하는 과정과,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한 절개선을 길이 방향으로 인장시켜 에어 공간부들을 형성하는 허니콤 구조의 PE 가교폼을 제조하는 과정을 거친 후,
    상기 PE 가교폼을 이송 공급하면서 일 측면을 버너 가열하여 접착성을 갖도록 표면 용융시킨 후 이 표면 용융된 가열면으로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밀착시켜 합지롤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 적합하는 제1 적층 공정과,
    상기 제1 적층 공정에 의한 합지를 이송 공급하면서 PE 가교폼의 타 측면을 버너 가열하여 접착성을 갖도록 표면 용융시킨 후 이 표면 용융된 가열면으로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밀착시켜 합지롤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 접합하는 제2 적층 공정과,
    다른 PE 가교폼을 이송 공급하면서 일 측면을 버너 가열하여 접착성을 갖도록 표면 용융시킨 후 가열면으로 제2 적층 공정에 의한 합지의 내부용 알루미늄 시트층을 밀착시켜 합지롤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 접합하는 제3 적층 공정 및, 상기 제2,3 적층 공정을 반복하여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과 PE 가교폼을 교번되게 다층 접합하되, 가장 외 측방에 위치하는 PE 가교폼에는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밀착시켜 적층 접합하는 마감 적층 공정에 의해 다층 구조로 적층 접합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제조하는 과정은 PET 필름층의 일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알루미늄 박판과 함께 제1 합지롤을 통과시켜 적층 접합하고, PET 필름층의 타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다른 알루미늄 박판과 함께 제2 합지롤을 통과시켜 적층 접합하여 알루미늄 박판- PET 필름층- 알루미늄 박판을 적층 접합하여 내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제조하고,
    상기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제조하는 과정은 PET 필름층의 일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알루미늄 박판과 함께 제1 합지롤을 통과시켜 적층 접합하고, PET 필름층의 타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부직포 층과 함께 제2 합지롤을 통과시켜 적층 접합하며, 다른 PET 필름의 일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알루미늄 박판- PET 필름층- 부직포 층의 합지와 함께 제3 합지롤을 통과시켜 상기 부직포 층 하부에 적층 접합하고, 다른 PET 필름층의 타 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다른 알루미늄 박판과 함께 제4 접지롤을 통과시켜 PET 필름층 하부에 적층 접합하여 알루미늄 박판- PET 필름층- 부직포 층- PET 필름층- 알루미늄 박판을 적층 접합하여 외부용 단열 알루미늄 시트층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제조 방법.
KR1020170118005A 2017-09-14 2017-09-14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0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05A KR20190030497A (ko) 2017-09-14 2017-09-14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05A KR20190030497A (ko) 2017-09-14 2017-09-14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497A true KR20190030497A (ko) 2019-03-22

Family

ID=6594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005A KR20190030497A (ko) 2017-09-14 2017-09-14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49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487B1 (ko) 2019-07-09 2020-04-02 강찬국 미세 유리 분진이 없는 친환경 준 불연 건축 내외장재용 표면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 내외장재
KR102319048B1 (ko) * 2020-04-21 2021-10-29 변무원 단열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2401B1 (ko) * 2021-05-03 2021-12-01 최인운 다층형 공기층이 형성된 준불연 단열재
KR20220059702A (ko) * 2020-11-03 2022-05-10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이한 셀 규격을 가지는 고분자 폼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용 패드
KR20220059701A (ko) * 2020-11-03 2022-05-10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소재의 고분자 폼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용 패드
WO2023096116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에어론 반사형 단열재 제조장치
KR20230096461A (ko) * 2021-12-23 2023-06-30 박종옥 알루미늄 열차단 단열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66B1 (ko) 2007-09-14 2010-03-18 영보화학 주식회사 배수용 매트
KR101117142B1 (ko) 2009-10-14 2012-03-07 장호경 단열재 제조장치
KR101181655B1 (ko) 2011-09-22 2012-09-19 장호경 건축용 단열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66B1 (ko) 2007-09-14 2010-03-18 영보화학 주식회사 배수용 매트
KR101117142B1 (ko) 2009-10-14 2012-03-07 장호경 단열재 제조장치
KR101181655B1 (ko) 2011-09-22 2012-09-19 장호경 건축용 단열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487B1 (ko) 2019-07-09 2020-04-02 강찬국 미세 유리 분진이 없는 친환경 준 불연 건축 내외장재용 표면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 내외장재
KR102319048B1 (ko) * 2020-04-21 2021-10-29 변무원 단열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59702A (ko) * 2020-11-03 2022-05-10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이한 셀 규격을 가지는 고분자 폼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용 패드
KR20220059701A (ko) * 2020-11-03 2022-05-10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소재의 고분자 폼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용 패드
KR102332401B1 (ko) * 2021-05-03 2021-12-01 최인운 다층형 공기층이 형성된 준불연 단열재
WO2023096116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에어론 반사형 단열재 제조장치
KR20230096461A (ko) * 2021-12-23 2023-06-30 박종옥 알루미늄 열차단 단열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0497A (ko)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US5776580A (en) Insula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lement
KR20020021673A (ko) 외장 시스템을 절연제품에 부착하기 위한 기법
CA2351031A1 (en) Burn through and flame propagation resistant layer or covering
KR102093562B1 (ko)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KR101852731B1 (ko) 고기능성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970703455A (ko) 보온성 다층 부직 배트(multilayer nonwoven thermal insulating batts)
JP2009540159A (ja) 断熱材
US20180320368A1 (en) Thermal insulating construction wrap and methods for same
KR20090066087A (ko)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KR101820399B1 (ko) 보온 및 단열용 샌드위치 판넬
KR101558953B1 (ko) 단열성이 개선된 반사형 단열재
EP3106580B1 (en) A covering for insulation panels for external thermal insulation composite system
EP3094483B1 (en) Support layer of an insulation panel for construction
KR101812453B1 (ko)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84848B1 (ko) 고무발포층을 가지는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30688B1 (ko) 샌드위치 판넬
KR20110122076A (ko) 단열재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US8986815B2 (en) Flame retardant polymer jacket
KR20110040347A (ko) 단열재, 그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983497B1 (ko) 고기능성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49910A1 (en) Mineral wool covered with complexes formed of organic polymer laminates
AU2012201247A1 (en) High Temperature Reflective Insulation Sheeting
JP2005163481A (ja) 耐火断熱サンドイッチパネル
US20100003487A1 (en) Reflective Insulation Product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