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453B1 -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453B1
KR101812453B1 KR1020170104486A KR20170104486A KR101812453B1 KR 101812453 B1 KR101812453 B1 KR 101812453B1 KR 1020170104486 A KR1020170104486 A KR 1020170104486A KR 20170104486 A KR20170104486 A KR 20170104486A KR 101812453 B1 KR101812453 B1 KR 101812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aluminum foil
fixing member
foam pad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훈
최송식
Original Assignee
장세훈
최송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훈, 최송식 filed Critical 장세훈
Priority to KR1020170104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굵기로 이루어진 단열 바(bar)를 서로 교차하여 마름모 또는 벌집 형태의 공기층을 다량 확보하여 단열과 방음이 향상된 발포 패드 및 발포 패드의 전·후면을 마감하여 열기 및 냉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알루미늄 박판으로 구성되고, 특히 발포 패드의 전면(前面)에는 부직포가 삽입되되 부직포가 삽입된 범위 내에서 고정부재를 매개로 내벽 또는 외벽에 전개된 단열재를 고정함에 따라 시공이 간편해짐은 물론 단열재의 생산비와 시공비가 절감됨은 물론, 고정부재의 관통력에 의해 발포 패드와 알루미늄 박판이 손상되는 것을 부직포가 적극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면(背面)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알루미늄 박판(10)과 발포 패드(20)를 최소 2회 이상 교대로 적층하되, 전면(前面)에는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으로 마감하며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부직포(30)가 개재된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Insulation Panel}
본 발명은 단열과 방음 등을 목적으로 건축물에 시공되는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름모 또는 벌집 형태의 공기층을 다량 확보하여 단열과 방음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소정의 충격보호소재를 일정 간격 개재함으로써 시공 시 패드와 박판소재의 손상이 적극 방지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시공의 간편성은 물론 비용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단열재의 시공방법으로는 벽체 또는 단열재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는 방법과 복잡한 구조의 걸이 장치를 벽면에 설치한 뒤 이에 맞춰 시공하는 방법 그리고 벽면에 단열재를 전개하고 리벳이나 타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위 접착식 단열재의 일례로, 접착제의 표면 보호용 보호필름을 간편하게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셀프 도배용 벽지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예컨대 공개특허공보 제20-1995-0029565호 "도배작업이 편리한 스티커형 벽지"가 게재되어 있다.
위 종래기술은 벽지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위 접착제에 박리지를 결합시키되, 위 벽지 표면 일측으로 무늬 세팅용 기준선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도배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유도한다. 하지만, 화학성 접착제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스티커형 벽지는 접착제 고유의 화학 성분에 의해 악취는 물론, 인체에 유해한 각종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어 사용이 꺼려지고 있다.
한편,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핀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열재의 일례로 공개특허공보 제20-2002-0023112호 "벽에 부착되는 방음재료 및 단열재료의 결합장치"가 게재되고 있다.
위 종래기술은 양머리 각나사와 각머리 스크류나사 등을 이용하여 벽 또는 패널 벽에 단열재를 부착하고, 각나사 또는 스크류나사를 보호하기 위한 양방향 각나사 뚜껑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위 종래기술은 인서트나 어댑터 또는 캡과 같은 별도의 구성품이 요구되기 때문에 시공과정이 복잡하고 생산비용 또한 증가하는 원천적인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단열재에 리벳 또는 타카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시공할 경우 해당 고정부재가 단열재를 관통하면서 그 주변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결과적으로 인체에 무해하면서 시공시간의 단축과 생산단가를 저렴하게 유도할 수 있고, 설치 또한 간편하며, 시공 시 고정부재에 의한 손상이 적극 방지되는 형태의 단열재가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995-0029565호 "도배작업이 편리한 스티커형 벽지" 공개특허공보 제20-2002-0023112호 "벽에 부착되는 방음재료 및 단열재료의 결합장치"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고정부재 시공으로 인해 해당 단열재 주위가 훼손되는 문제를 적극 해소하여 기존 대비 견고한 시공이 유도됨은 물론 생산단가 및 시공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저방사 복합 단열재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제반 요소가 적용된 저방사 복합 단열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위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배면(背面)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알루미늄 박판(10)과 발포 패드(20)를 최소 2회 이상 교대로 적층하되, 전면(前面)에는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으로 마감하며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부직포(30)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발포 패드(20)는 0.5cm 내지 1cm의 굵기로 이루어진 발포성 단열바(bar)가 서로 교차를 이루면서 마름모 형태의 패턴으로 구성됨에 따라 수 개의 공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부직포(30)는 2 내지 3cm의 폭으로 구성되되, 다수 개가 알루미늄 박판(10) 사이에 3 내지 5cm의 간격으로 수직 또는 수평 배치하여 고정부재(40)의 삽입을 유도하는 고정 부직포(31)와, 2 내지 3cm의 폭을 가지며 알루미늄 박판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사각 틀로 이루어져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단열재의 각 변을 봉쇄하여 열 기류를 차단하는 단열 부직포(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위 부직포(30)는 권축 섬유를 포함한 신축성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위 저방사 복합 단열재의 시공방법으로는 알루미늄 박판(10)과 발포 패드(20)가 최소 2회 이상 적층되고, 전면(前面)에는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으로 마감하며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부직포(30)가 개재된 복합 단열재를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전개하는 단열재 전개단계(S10);와, 알루미늄 박판(10) 사이에 3 내지 5cm의 간격으로 수직 또는 수평 배치된 고정 부직포(31)에 고정부재(40)를 관통 삽입하여 벽체에 고정하는 단열재 고정단계(S20);와, 알루미늄 박판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사각 틀로 이루어져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배치된 단열 부직포(32)에 고정부재(40)를 관통 삽입하여 벽체에 고정하면서 화재시 열 기류의 차단을 유도하는 외주연 접합단계(S30);를 순차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전개된 단열재에 단순히 리벳 또는 타카 등의 고정부재만을 이용하여 밀접하게 고정하는 단순한 시공법에 의해 시공시간과 이에 따른 시공비가 절감되고, 특히 부직포에 매설된 범위 내에 고정부재를 관통시킴에 따라 알루미늄 박판과 발포 패드의 훼손을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단열재와 고정부재만을 이용하여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구성품을 생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뛰어나고, 간편한 시공 방식에 의해 인건비가 절감되는 등의 다른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저방사 단열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단열재의 전개 및 고정하여 시공하는 사용 상태도.
도 4는 고정 부직포와 단열 부직포에 의해 열 기류가 차단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저방사 복합 단열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나열한 플로차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과 내벽에 설치되어 단열과 방음을 목적으로 하는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엇보다, 일정한 굵기로 이루어진 단열 바(bar)를 서로 교차하여 마름모 또는 벌집 형태의 공기층을 다량 확보하여 단열과 방음이 향상된 발포 패드 및 발포 패드의 전·후면을 마감하여 열기 및 냉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알루미늄 박판으로 구성되고, 특히 발포 패드의 전면(前面)에는 부직포가 삽입되되 부직포가 삽입된 범위 내에서 고정부재를 매개로 내벽 또는 외벽에 전개된 단열재를 고정함에 따라 시공이 간편해짐은 물론 단열재의 생산비와 시공비가 절감됨은 물론, 고정부재의 관통력에 의해 발포 패드와 알루미늄 박판이 손상되는 것을 부직포가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저방사 복합 단열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의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크게 다수의 알루미늄 박판(10) 사이마다 발포 패드(20)가 내입된 상태에서 진공 프레스로 압착하여 일체화시킨 형태이며, 특히 전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열시킨 부직포(3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알루미늄 박판(10)은 사면의 길이가 415mm로 이루어진 정사각형으로 구성되며 발포 패드(20)의 전·후면을 감싸면서 외부 열이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내부 열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발포 패드(20)는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공될 수 있는 모든 단열재의 종류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에 발포제와 경화제를 첨가하여 가공된 발포성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된다. 위 발포 패드(20)는 알루미늄 패드(10)와 함께 진공 프레스로 압착할 때 서로 일체화될 수 있도록 알루미늄 박판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위 발포 패드(20)는 0.5cm 내지 1cm의 굵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발포성 단열바(bar)가 상호 교차하면서 마름모 형태 또는 벌집 형태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위 공기층은 알루미늄 박판(10)이 미처 차단하지 못한 온기 또는 냉기를 흡수하여 내외적으로 온도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방음의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위 부직포(30)는 발포 패드(20)의 전면(前面)에 구비된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10) 사이에 개재되어 복합 단열재의 외부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온기와 습기를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특히 단열재의 시공시 리벳 또는 타카와 같은 고정부재(40)가 알루미늄 박판과 발포 패드(20)를 관통하면서 발생하는 파괴력을 부직포가 흡수하면서 그 주위를 훼손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도모한다.
예컨대, 부직포(30)는 일반적으로 섬유를 방적, 제직, 편조하지 않고 화학적 또는 기계적 방법(접착, 융착, 포락 등)으로 박층상 섬유 집합체의 섬유끼리를 결합시킨 포상(布狀)의 것으로 구성됨에 따라 부직포와 밀접한 주변 물체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부직포는 열수축율이 상이한 복수의 수지가 상 구조를 형성한 복합 섬유로 구성된 권축 섬유를 포함한 신축성이 향상된 것을 사용한다.
위 권축 섬유를 포함하여 신축성이 향상된 부직포(30)는 고정부재(40)가 단열재에 관통됨과 동시에 부직포의 일부가 고정부재와 함께 말려들어 가는데, 이때 신축성이 뛰어난 부직포의 성질에 의해 일반적인 부직포에 비해 더욱 많은 양의 부직포가 말려들어 간다.
따라서, 권축 섬유를 포함한 부직포가 일반 부직포에 비해 알루미늄 박판(10)과 발포 패드(20)에 가해지는 파괴력을 더욱 우수하게 흡수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핫멜트와 천연 추출물로 제조한 천연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프레스를 이용한 열 가압으로 알루미늄 박판(10)과 발포 패드(20)를 상호 접합한다.
예컨대 위 복합 단열재는 알루미늄 박판과 발포 단열재의 적층 횟수에 따라 최종적인 두께가 결정되며, 각각의 두께는 10T, 20T, 30T 등으로 조절 가능한다.
예컨대 10T로 구성되는 저방사 단열재는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하나의 발포 단열재가 삽입되고, 전면의 알루미늄 박판에 부직포가 적층되며, 다시 부직포의 전면을 커버하는 알루미늄 박판이 적층된 구성이다.
그리고 20T로 구성되는 저방사 단열재는 알루미늄 박판, 발포 단열재, 알루미늄 박판, 발포 단열재, 알루미늄 박판, 부직포, 알루미늄 박판 순으로 적층된 구성이다.
다시 30T로 구성되는 저방사 단열재는 알루미늄 박판, 발포 단열재, 알루미늄 박판, 발포 단열재, 알루미늄 박판, 발포 단열재, 알루미늄 박판, 부직포, 알루미늄 박판 순으로 적층된 구성으로, 알루미늄 박판과 발포 단열재의 적층 횟수에 따라 기본적으로 10T씩 증가하는 구성이다.
하지만, 두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위 수치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부직포(30)는 벽체와 긴밀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고정 부직포(31)와, 화재시 열 기류를 차단하는 단열 부직포(32)를 포함한다.
위 고정 부직포(31)는 알루미늄 박판(10)과 동일한 길이와 2 내지 3cm의 폭을 갖는다. 특히, 고정 부직포(31)는 다수 개가 각각 3 내지 5cm의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함에 따라 생산비과 시공비 효율을 저렴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위 단열 부직포(32)는 알루미늄 박판(10)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사각 틀로 이루어지되, 고정 부직포(31)와 마찬가지로 2 내지 3cm의 폭으로 구성되고,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부재(40)의 관통 삽입을 유도함에 따라 단열재의 각 변을 봉쇄하여 열 기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저방사 복합 단열재의 시공방법으로는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에 단열재를 전개하여 배치하는 단열재 전개단계(S10);와,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단열재를 벽체에 고정하는 단열재 고정단계(S20)와,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각 단열재의 테두리를 접합하는 외주연 접합단계(S30);로 이루어진다.
위 단열재 전개단계(S10)는 알루미늄 박판(10)과 발포 패드(20)가 최소 2회 이상 적층되고, 전면(前面)에는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으로 마감하며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부직포(30)가 개재된 복합 단열재를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전개하는 단계이다.
위 단열재 전개단계(S10)는 바둑판과 같이 좌·우 정렬된 배치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시공 목적에 따라 그 배열이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외벽을 기준으로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의 침입이나 유실 및 화재시 열 기류를 적극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벽돌 쌓기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벽돌 쌓기 방식으로 배치할 경우 3 내지 5cm 간격으로 이격된 부직포(30)가 서로 지그재그 배열을 이루게 되며, 해당 배열에 따라 고정부재(40)를 관통 삽입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고 정밀하게 부착 시공을 시도할 수 있다.
위 단열재 고정단계(S20)는 단열재 전개단계(S10)에서 알루미늄 박판(10) 사이에 3 내지 5cm의 간격으로 수직 또는 수평 배치된 고정 부직포(31)에 고정부재(40)를 관통 삽입함으로써 복합 단열재를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와 일체로 부착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재(40)를 고정 부직포(31)가 배치된 범위 내에서 관통 삽입하여야만 복합 단열재의 훼손을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위 외주연 접합단계(S30);는 알루미늄 박판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사각 틀로 이루어져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배치된 단열 부직포(32)에 고정부재(40)를 관통 삽입하는 단계를 일컫는다.
위와 같이 단열재 고정단계(S20) 및 외주연 접합단계(S30)를 거친 저방사 복합 단열재는 알루미늄 박판(10)과 발포 패드(20)와의 틈새는 물론, 복합 단열재와 외벽 간의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하기 때문에 외부 및 내부 온도의 침입이나 유실을 적극적으로 차단하고, 화재시 틈새를 통해 발생하는 열 기류를 억제한다.
한편, 위 단열재 고정단계(S20)와 외주연 접합단계(S30)에서 고정부재(40)는 리벳 또는 타카를 이용하여 복합 단열재를 벽면에 손쉽게 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전개된 단열재에 단순히 리벳 또는 타카 등의 고정부재만을 이용하여 밀접하게 고정하는 단순한 시공법에 의해 시공시간과 이에 따른 시공비가 절감되고, 특히 부직포에 매설된 범위 내에 고정부재를 관통시킴에 따라 알루미늄 박판과 발포 패드의 훼손을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더불어 복합 단열재와 고정부재만을 이용하여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구성품을 생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뛰어나며 간편한 시공 방식에 의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알루미늄 박판 20. 발포 패드
30. 부직포 31. 고정 부직포
32. 단열 부직포 40. 고정부재

Claims (5)

  1. 배면(背面)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알루미늄 박판(10)과 발포 패드(20)를 최소 2회 이상 교대로 적층하되, 전면(前面)에는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으로 마감하며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부직포(30)가 개재되는 복합 단열재에 있어서,
    위 부직포(30)는 2 내지 3cm의 폭으로 구성되되, 다수 개가 알루미늄 박판(10) 사이에 3 내지 5cm의 간격으로 수직 또는 수평 배치하여 고정부재(40)의 삽입을 유도하는 고정 부직포(31)와,
    2 내지 3cm의 폭을 가지며 알루미늄 박판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사각 틀로 이루어져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단열재의 각 변을 봉쇄하여 열 기류를 차단하는 단열 부직포(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방사 복합 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위 발포 패드(20)는 0.5cm 내지 1cm의 굵기로 이루어진 발포성 단열바(bar)가 서로 교차를 이루면서 마름모 형태의 패턴으로 구성됨에 따라 수 개의 공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방사 복합 단열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위 부직포(30)는 권축 섬유를 포함한 신축성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방사 복합 단열재.
  5. 알루미늄 박판(10)과 발포 패드(20)가 최소 2회 이상 적층되고, 전면(前面)에는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으로 마감하며 두 겹의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부직포(30)가 개재된 복합 단열재를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전개하는 단열재 전개단계(S10);
    알루미늄 박판(10) 사이에 3 내지 5cm의 간격으로 수직 또는 수평 배치된 고정 부직포(31)에 고정부재(40)를 관통 삽입하여 벽체에 고정하는 단열재 고정단계(S20);
    알루미늄 박판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사각 틀로 이루어져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배치된 단열 부직포(32)에 고정부재(40)를 관통 삽입하여 벽체에 고정하면서 화재시 열 기류의 차단을 유도하는 외주연 접합단계(S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방사 복합 단열재의 시공방법.
KR1020170104486A 2017-08-18 2017-08-18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12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486A KR101812453B1 (ko) 2017-08-18 2017-08-18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486A KR101812453B1 (ko) 2017-08-18 2017-08-18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453B1 true KR101812453B1 (ko) 2017-12-27

Family

ID=6093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486A KR101812453B1 (ko) 2017-08-18 2017-08-18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4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484A (ko) * 2018-11-13 2020-05-21 주식회사 티엘론 건축물 단열재 제조방법
KR20200055483A (ko) * 2018-11-13 2020-05-21 주식회사 티엘론 건축물 단열재
CN113380283A (zh) * 2021-06-09 2021-09-10 西安交通大学 一种m2固态硬盘散热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393B1 (ko) 2011-07-21 2012-01-17 주식회사 테크론 건축물용 고효율 단열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393B1 (ko) 2011-07-21 2012-01-17 주식회사 테크론 건축물용 고효율 단열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484A (ko) * 2018-11-13 2020-05-21 주식회사 티엘론 건축물 단열재 제조방법
KR20200055483A (ko) * 2018-11-13 2020-05-21 주식회사 티엘론 건축물 단열재
KR102175156B1 (ko) * 2018-11-13 2020-11-06 주식회사 티엘론 건축물 단열재
KR102175157B1 (ko) * 2018-11-13 2020-11-06 주식회사 티엘론 건축물 단열재 제조방법
CN113380283A (zh) * 2021-06-09 2021-09-10 西安交通大学 一种m2固态硬盘散热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453B1 (ko) 저방사 복합 단열재 및 이의 시공방법
US7000729B2 (en) Five-layer sound absorbing pad: improved acoustical absorber
KR100191984B1 (ko) 히트싱크영역과 단열영역 및 성형성을 지니는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패드
JP2877510B2 (ja) 熱障壁ラミネート
AU725990B2 (en) Encapsulated insulation assembly
AU2005297091B2 (en) Multi-layer thermal insulation system
US7521386B2 (en) Moldable heat shield
US20060008616A1 (en) Insulation material including extensible mesh material from fibrous material
JP2005509756A (ja) 一体の防水バリヤを有する防音ドアライナ
JP2009540159A (ja) 断熱材
CA2444639C (en) Multidensity liner/insulator
WO2019039123A1 (ja) 吸音パネル
US10365005B2 (en) Stainless steel foil laminated plastic HVAC 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1020088A2 (en) Metal building insulation assembly
KR20190030497A (ko) 건축물 벽체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GB2398758A (en) Supple thermal-insulation material comprising at least one perforated batt
KR200403182Y1 (ko) 층간소음 방지재
KR20160125930A (ko) 단열과 방습 특성을 가진 발포 초배지
US20050139415A1 (en) Acoustical substrate suitable for fabrication into a three dimensional product
KR102371324B1 (ko) 친환경 운동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7217447B2 (ja) コンクリート養生用シート
KR101602161B1 (ko) 안전 보호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US5601896A (en) Fabric-covered board structure and process of manufacture
KR20190001549U (ko) 건축용 마감재
JP5791174B2 (ja) 化粧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