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432A -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 - Google Patents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432A
KR20190030432A KR1020170117872A KR20170117872A KR20190030432A KR 20190030432 A KR20190030432 A KR 20190030432A KR 1020170117872 A KR1020170117872 A KR 1020170117872A KR 20170117872 A KR20170117872 A KR 20170117872A KR 20190030432 A KR20190030432 A KR 20190030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encoder
movable member
height adjusting
adjust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강
Original Assignee
김진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강 filed Critical 김진강
Priority to KR1020170117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432A/ko
Publication of KR20190030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는, 가동형판(ML)의 하단에 제 1 브라켓(11)이 장착되고, 상기 제 1 브라켓에 리미트 스위치(13)가 장착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13)의 레버(15)가 터치되는 높이조정볼트(17)가 제 2 브라켓(21)의 하부판(23)에 형성된 탭구멍에 체결되고, 상기 제 2 브라켓(21)이 고정형판(MH)을 지지하는 프레임(1)에 장착되고, 상기 높이조정볼트(17)의 상단부와 제 2 브라켓(21)의 가동부재(25)에 장착된 엔코더(31)의 구동축(33)이 커플링(35)에 의해 연결되어 엔코더(31)의 구동축(33)이 높이조정볼트(17)와 함께 회전되므로서, 구동축(33)의 회전량이 엔코더(31)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41)에 표시되고, 상기 커플링(35)에 의해 제 2 브라켓(21)의 가동부재(25)가 지지되고, 상기 가동부재(25)에 엔코더(31)가 장착되고, 상기 가동부재(25)가 제 2 브라켓(21)의 가이드 바아(27a, 27b)를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 바아(27a, 27b)에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Thomson Press with safety function}
본 발명은 톰슨 프레스로서, 보다 상세하게 자동차 내장재, 매트, 퍼즐, 성형 폼, 스폰지, PU, PP, PS, 종이, 합판 등을 모형재단하는 톰슨 프레스에 장착되어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 포장용 케이스, 각종 문방구 등 종이나 수지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는 톰슨 프레스장치가 있다. 그 구동방식은 종래에는 유압실린더에 의한 방식의 프레스를 사용하여 작업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유압실린더에 의한 프레스 방식은 상대적으로 그 단면적이 작은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상대적으로 그 가압면적이 크고도 넓게 차지하는 가압부재의 상부 중심에서 가압력이 작용하고 게다가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단일 방향으로서 국부적으로만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그 구성이 이루어지므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가압부재의 전체 부위에 걸쳐 고르게 등분포를 이루기가 어려운 구조적이면서 근본적인 취약점이 있다.
또한 역학적으로는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반작용의 힘이 작용하게 되면서 절단된 제품에 대하여도 분력이 발생하여 고른 가압력을 얻기가 어렵게 되므로 제품의 품질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프레스 절단금형에 가하여지는 가압력이 편심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어 작업상 경쟁력을 약화시키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유압프레스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유압펌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고 가압 작동시에 일정한 가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압펌핑작업이 계속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가동에 따른 전력의 사용량이 커지게 되며 작동중에 소음의 발생이 심하여 작업환경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유압프레스의 구조적인 특성상 설치공간이 많이 차지하게 되고, 유압을 사용하는 기기의 특성상 장비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이에 대한 대응처리가 용이하지 아니하고 사용매체로서 오일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157289호(1999년 6월 26일 등록)에 "프레스의 쿠션 스트로크 조절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프레스의 쿠션 스트로크 조절장치는 고정형판과 가동형판이 합형될 때, 칼날이 공작물에 맞닿기 전까지 가동형판이 고정형판으로 빠르게 고속으로 이송되고, 칼날이 공작물에 맞닿는 지점부터 가동형판이 저속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칼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프레스의 쿠션 스트로크 조절장치로는 가동형판과 고정형판이 합형될 때, 가동형판이 정지해야 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없고, 종래의 경우, 합형시 작업자가 눈짐작과 몇 번의 눈짐작으로 가동형판의 정지위치를 조정하였기 때문에 정확하게 가동형판의 정지위치를 설정하지 못했으며, 이로 이해 칼날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0-157289호(1999년 6월 26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형판과 가동형판이 합형될 때, 가동형판의 정확한 정지위치를 세팅할 수 있는 톰슨 프레스의 스트로크 한계값 설정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를 제곧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는, 가동형판(ML)의 하단에 제 1 브라켓(11)이 장착되고, 상기 제 1 브라켓에 리미트 스위치(13)가 장착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13)의 레버(15)가 터치되는 높이조정볼트(17)가 제 2 브라켓(21)의 하부판(23)에 형성된 탭구멍에 체결되고, 상기 제 2 브라켓(21)이 고정형판(MH)을 지지하는 프레임(1)에 장착되고, 상기 높이조정볼트(17)의 상단부와 제 2 브라켓(21)의 가동부재(25)에 장착된 엔코더(31)의 구동축(33)이 커플링(35)에 의해 연결되어 엔코더(31)의 구동축(33)이 높이조정볼트(17)와 함께 회전되므로서, 구동축(33)의 회전량이 엔코더(31)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41)에 표시되고, 상기 커플링(35)에 의해 제 2 브라켓(21)의 가동부재(25)가 지지되고, 상기 가동부재(25)에 엔코더(31)가 장착되고, 상기 가동부재(25)가 제 2 브라켓(21)의 가이드 바아(27a, 27b)를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 바아(27a, 27b)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톰슨 프레스의 스트로크 한계값 설정장치는 고정형판과 가동형판이 합형될 때, 가동형판의 정확한 정지위치를 세팅할 수 있어, 제품이 정확하게 제본성형되고, 안전기능이 강화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의 스트로트 한계값 설정장치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트 한계값 설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개략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트 한계값 설정장치를 이용하여 톰슨 프레스의 가동형판의 최대 상승위치를 세팅하는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톰슨 프레스의 스트로크 한계값 설정장치는 가동형판(ML)의 하단에 제 1 브라켓(11)이 장착되고, 상기 제 1 브라켓에 리미트 스위치(13)가 장착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13)의 레버(15)가 터치되는 높이조정볼트(17)가 제 2 브라켓(21)의 하부판(23)에 형성된 탭구멍에 체결되고, 상기 제 2 브라켓(21)이 고정형판(MH)을 지지하는 프레임(1)에 장착되고, 상기 높이조정볼트(17)의 상단부와 제 2 브라켓(21)의 가동부재(25)에 장착된 엔코더(31)의 구동축(33)이 커플링(35)에 의해 연결되어 엔코더(31)의 구동축(33)이 높이조정볼트(17)와 함께 회전되므로서, 구동축(33)의 회전량이 엔코더(31)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41)에 표시되고, 상기 커플링(35)에 의해 제 2 브라켓(21)의 가동부재(25)가 지지되고, 상기 가동부재(25)에 엔코더(31)가 장착되고, 상기 가동부재(25)가 제 2 브라켓(21)의 가이드 바아(27a, 27b)를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 바아(27a, 27b)에 장착된다.
상기 엔코더(31)는 높이조정볼트(17)의 변위를 1/100mm까지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1)에 높이조정볼트(17)의 이동변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톰슨 프레스의 스트로크 한계값 설정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높이조정볼트(17)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높이조정볼트(17)의 하단부 기준면(17a)의 위치가 변경된다. 예를들어, 높이조정볼트(17)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높이조정볼트(17)의 하단부 기준면(17a) 위치를 도 3의 점선으로 표현된 위치에서 실선으로 표현된 위치로 상승시키면, 리미트 스위치(13)와 상기 높이조정볼트(17)의 하단부 기준면(17a) 사이의 간격이 S1서 S2로 길어지고, 가동형판(ML)이 고정형판(MH) 쪽으로 S1와 S2의 차이 만큼 더 이동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볼트(17)의 상단부가 상승된 만큼 가동부재(25)가 제 2 브라켓(21)의 하부판(23)에 대해 상승되고, 상기 높이조절볼트(17)가 회전될 때, 엔코더(31)의 구동축(33)이 높이조정볼트(17)와 함께 회전되어, 구동축(33)의 회전량이 엔코더(31)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41)에 표시되므로서, 높이조정볼트(17)의 이동변위가 디스플레이 장치(41)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한계값 설정장치가 톰프 프레스에 적용되는 예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동형판(ML)에 받침대(51) 및 공작물(53)이 배치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형판(MH)에 장착된 칼날(55)이 공작물(53)의 표면에 접할 때까지 가동형판(ML)을 상승시키고, 높이조정볼트(17)를 회전시켜 높이조정볼트(17)의 하단부 기준면(17a)이 리미트 스위치(13)의 레버(15)에 걸려 리미트 스위치(13)가 턴오프될 때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높이조정볼트(17)의 변위된 값이 엔코더(31)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41)에 표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디스플레이 장치(41)으 리셋버튼(43)을 눌러 디스플레이 장치(41)를 리셋시킨다. 또한, 작업자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쿠션 스트로크 조절장치의 상부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위치를 세팅할 수 있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작물(53)의 두께(t)만큼 높이조정볼트(17)를 회전시켜 높이조정볼트(17)의 하단부 기준면(17a)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때, 다시 상기 높이조정볼트(17)의 변위된 값이 엔코더(31)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41)에 표시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미트 스위치(13)의 레버(15)가 높이조정장치(17)의 하단부 기준면(17a)에 걸려 리미트 스위치(13)가 턴오프될 때까지 가동형판(ML)을 상승시켜 칼날(55)이 공작물(53)을 모형제단하도록 하며, 디스플레이 장치(41)의 리셋버튼(43)을 눌러 디스플레이 장치(41)를 리셋시킴으로서, 가동형판(ML)의 최대 상승위치를 세팅할 수 있다. 이후, 도 5와 도 6의 공정을 반복하여 가동형판(ML)의 최대 상승위치를 반복하여 정밀하게 세팅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톰슨 프레스의 스트로크 한계값 설정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1)에 표시된 값을 보면서 높이조정볼트(17)의 위치를 미세하게 1/100mm까지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후, 공작물의 두께가 변경될 경우, 위 도 4 내지 도 6의 방법으로 강동형판의 최대 상승위치를 세팅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크 한계값 설정장치가 상향식 톰슨 프레스에 장착되어 적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분야에 보통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하향식 톰슨 프레스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가동형판(ML)의 하단에 제 1 브라켓(11)이 장착되고, 상기 제 1 브라켓에 리미트 스위치(13)가 장착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13)의 레버(15)가 터치되는 높이조정볼트(17)가 제 2 브라켓(21)의 하부판(23)에 형성된 탭구멍에 체결되고, 상기 제 2 브라켓(21)이 고정형판(MH)을 지지하는 프레임(1)에 장착되고, 상기 높이조정볼트(17)의 상단부와 제 2 브라켓(21)의 가동부재(25)에 장착된 엔코더(31)의 구동축(33)이 커플링(35)에 의해 연결되어 엔코더(31)의 구동축(33)이 높이조정볼트(17)와 함께 회전되므로서, 구동축(33)의 회전량이 엔코더(31)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41)에 표시되고, 상기 커플링(35)에 의해 제 2 브라켓(21)의 가동부재(25)가 지지되고, 상기 가동부재(25)에 엔코더(31)가 장착되고, 상기 가동부재(25)가 제 2 브라켓(21)의 가이드 바아(27a, 27b)를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 바아(27a, 27b)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
KR1020170117872A 2017-09-14 2017-09-14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 KR20190030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872A KR20190030432A (ko) 2017-09-14 2017-09-14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872A KR20190030432A (ko) 2017-09-14 2017-09-14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432A true KR20190030432A (ko) 2019-03-22

Family

ID=6594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872A KR20190030432A (ko) 2017-09-14 2017-09-14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4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7289B1 (ko) 1995-11-13 1998-12-01 김광호 컬럼 선택 신호 제어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7289B1 (ko) 1995-11-13 1998-12-01 김광호 컬럼 선택 신호 제어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7596B1 (en) Web-slitter with electronic motor control
EP2055402B1 (en) Sheet material feeding apparatus
JPH10263888A (ja) 板金成形用油圧プレス機械
CN101454093A (zh) 用于在根据内高压成型法构成的部件的壁体中产生切口或者破口的方法和装置
CN105215198A (zh) 拉伸模
KR100497529B1 (ko) 프레스성형용 금형장치
KR20190030432A (ko) 안전기능이 강화된 톰슨 프레스
CN110695207A (zh) 一种冲孔与折弯一体的治具和加工设备
KR100709743B1 (ko) 연속 프레스 성형 장치
CN107225167A (zh) 一种折弯机折边模具
CN210412078U (zh) 一种汽车模具加工冲压装置
KR102027745B1 (ko) 펀치 프레스
EP1657006B1 (en) Drawing die with stabilizer
CN203875219U (zh) 级进定位冲压模具
KR101296680B1 (ko) 연속 프레스용 가변 펀치 장치
EP2210686B1 (en) Press for hot pressing billets and the like
JP2003211231A (ja) プレス金型のシワ押え圧力調整機構
KR102362486B1 (ko) 프레스 성형 장치 및 프레스 성형 방법
KR20090059135A (ko) 판재 전단용 누름 장치
KR102280909B1 (ko) 금형장치
KR100444070B1 (ko) 프레스용 피어싱 장치
KR101488876B1 (ko) 소재의 탈형이 가능한 압축 성형장치
KR100642822B1 (ko) 톰슨 프레스의 스트로크 한계값 설정장치
KR20130134435A (ko) 챔퍼링 장치와 챔퍼링 방법 그리고 챔퍼링 방법이 적용된 프레스 가공 방법
JP5600187B2 (ja) ワークの打抜き成形方法及びワークの打抜き成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