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183A -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183A
KR20190030183A KR1020180109148A KR20180109148A KR20190030183A KR 20190030183 A KR20190030183 A KR 20190030183A KR 1020180109148 A KR1020180109148 A KR 1020180109148A KR 20180109148 A KR20180109148 A KR 20180109148A KR 20190030183 A KR20190030183 A KR 20190030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in body
control
module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현
김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주식회사 일성베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주식회사 일성베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Publication of KR20190030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체결링과 나사 체결되어 책상, 싱크대, 장식장을 포함하는 가구에 고정되는 본체와; 전자제품에 상용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센트가 본체에 설치되는 콘센트부와; USB케이블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기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에 구성되는 USB부와; 연결되는 멀티 콘센트의 제어 및 근거리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RJ45커넥터와; 콘센트의 전원제어, USB부 전원제어, 제어부의 전원제어를 할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콘센트부의 전원 제어, USB부의 전원 제어, RJ45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자제품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제어부를 스마트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나의 본체에 상용전원, 변환된 직류전원의 사용이 용이한 것은 물론 인터넷망에 접속이 용이하므로 실내에서 별도의 와이-파이공유기를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스마트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지에서 인터넷망을 거쳐 실내에 설치한 복합 멀티탭을 제어하여 가전제품을 제어하므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값비싼 가전제품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도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Wire/wireless complex multi tap for using IO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스마트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제품의 제어, 유선, 무선 충전의 제어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다양한 전자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전자제품에 전원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벽체에 매립형으로 설치된 콘센트에 다수의 전자제품에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멀티탭을 꽂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가 위치한 책상 아래에는 컴퓨터 본체, 모니터, 스피커, 통신모뎀, 프린터 등의 플러그가 멀티탭의 각 콘센트(플러그 삽입부)에 꽂아져 사용되고 있으며, TV선반 등의 가구 뒤에도 TV, DVD플레이어, 선풍기, 온풍기 등의 플러그가 멀티탭의 각 콘센트에 꽂아져 사용되고 있는데, 이때 상기한 멀티탭에는 해당 전자제품에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 및 차단 가능하도록 스위치가 부설되어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멀티탭은 다수개의 콘센트를 병렬로 연결시켜서 여러 개의 플러그를 동시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구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전기장치가 많아짐에 따라 필요한 콘센트의 개수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사무실이나 가정에 많은 수의 콘센트를 설치하는 것은 비용상으로도 효율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실내규모를 감안하여 적절한 수 또는 최소 개수의 매입형 콘센트를 구비하고, 필요한 경우에 멀티탭을 콘센트에 추가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근래 들어 스마트폰, 무선 태블릿 PC 등, 각종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인터넷 연결, 게임, 각종 정보의 제공, 모바일 쇼핑 등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한편, 무선 전력 제어 기술은 사물인터넷 및 스마트그리드, 지능형 전력 제어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는 기술이다. 그러나 무선 통신모듈의 가격으로 인하여 제품 가격이 매우 높아졌고, 제품의 무게도 증가하여 설치에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858호(2014.10.22. 공고)의 "콘센트 기구"는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삽입결합부를 구비하며, 가구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삽입통공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자리 배치되는 콘센트 기구본체; 및 상기 가구의 내측에서 상기 가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콘센트 기구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콘센트 기구본체를 상기 가구의 플레이트 상에 고정시키는 로킹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 기구본체는, 상기 삽입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구의 내부에 배치되는 삽입 하우징부와, 상기 삽입 하우징부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삽입통공 영역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플러그 삽입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 개구부에 결합되는 탑 커버; 및 상기 탑 커버와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콘센트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 하우징부의 외벽에는 상호간 대칭되는 면에 비연속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 너트의 내벽에는 상기 비연속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연속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858호는 스마트단말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USB 단자부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여 충전을 하거나 또는 플러그 삽입결합부에 유선 또는 무선 충전기를 꼽아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은 물론 주방과 같이 물을 많이 사용하는 곳에서는 물 또는 습기에 의해 쇼트가 일어나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858호는 콘센트기구를 직렬상태 또는 병렬상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기능이 없어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서 원격으로 콘센트기구를 제어하지 못하므로 콘센트기구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전원의 단속이 어려워 사용자가 직접 전원을 단속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6855호(2017.03.15. 공고)의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페어링 방법"은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IGoT: Internet Gateway of Things)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페어링 방법에 있어서, 설정 모듈이 제 1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에 제 2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가 인증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인증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모듈이 제품 식별 정보를 상기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품 식별 정보 확인 후, 결과 값을 반환하여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연결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제 2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지능형 사물 디바이스의 상기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에 대한 제 1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등록특허공보 제10-1716855호 또한 스마트단말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USB케이블을 이용하여 충전하거나 또는 유선, 무선 충전기를 콘센트에 연결하여 충전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 및 멀티탭 주변의 정돈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716855호는 제어모듈 및 게이트웨이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다양한 사물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 간의 효율적인 상호 접속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멀티탭을 제어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 이종 네트워크간의 페어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즉, 등록특허공보 제10-1716855호는 구성을 갖추기 위한 비용의 지출이 많아 판매가가 상승하고 그로인한 소비자가 구매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858호(2014.10.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6855호(2017.03.15.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스마트단말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제품의 제어, 유선, 무선 충전의 제어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SB 충전기와 무선충전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체결링과 나사 체결되어 책상, 싱크대, 장식장을 포함하는 가구에 고정되는 본체와; 전자제품에 상용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센트가 본체에 설치되는 콘센트부와; USB케이블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기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에 구성되는 USB부와; 연결되는 멀티 콘센트의 제어 및 근거리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RJ45커넥터와; 콘센트의 전원제어, USB부 전원제어, 제어부의 전원제어를 할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콘센트부의 전원 제어, USB부의 전원 제어, RJ45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자제품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스마트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지에서 본체에 설치된 제어부를 제어하여 전원, 근거리 무선통신 및 네트워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는, 스위치를 거쳐 인가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MCU로 공급하는 전원모듈과; 직류전원의 변환, 상용전원의 온/오프,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 및 통신 상태 표시를 제어하는 MCU와; MCU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콘센트의 전원을 온하거나 또는 오프하는 것은 물론 하나 이상의 콘센트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릴레이모듈과; MCU의 제어를 통해 전원모듈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화된 교류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정류한 직류전원으로 다시 변환하여 USB부로 인가하는 DC-DC변환부와; 소정 거리 안에서 무선으로 인터넷 및 전자제품과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이-파이모듈과;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위치는, 전원모듈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여 콘센트부, USB부, 제어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본체에서 상용전원 및 변환된 직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인터넷망에 접속이 용이하므로 실내에서 별도의 와이-파이공유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지에서 인터넷망을 거쳐 실내에 설치한 복합 멀티탭을 통해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값비싼 가전제품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도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모듈을 통해 복합 멀티탭을 직렬 또는 병렬로 다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와이-파이모듈에 의한 인터넷망의 접속이 매우 용이한 것은 물론 실내에서 인터넷 속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단말, 태블릿PC, 스피커, 게임기 등을 충전할 시에 무선충전기가 반드시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USB부의 USB포트에 USB케이블을 이용하여 무선충전기를 연결한 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별도의 무선충전기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유무선 복합 멀티탭의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유무선 복합 멀티탭이 인터넷망 및 전자제품과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도 5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100)은 체결링(111)과 나사 체결되어 책상, 싱크대, 장식장 등을 포함하는 가구에 고정되는 본체(110)와; 전자제품에 상용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센트(121)가 본체(110)에 설치되는 콘센트부(120)와, USB케이블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기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구성되는 USB부(130)와, 연결되는 멀티 콘센트(121)의 제어 및 근거리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110)에 설치되는 RJ45커넥터(156-1)와, 콘센트부(120)의 전원제어, USB부(130) 전원제어, 제어부(150)의 전원제어를 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설치되는 스위치(140)와; 콘센트부(120)의 전원 제어, USB부(130)의 전원 제어, RJ45커넥터(156-1)에 연결되는 전자제품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110)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50);로 구성되되, 상기 스마트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지에서 본체(110)에 설치된 제어부(15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근거리 무선통신 및 네트워크 통신을 제어하여 전자제품을 원격지에서 스마트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을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구성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유무선 복합 멀티탭의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유무선 복합 멀티탭이 인터넷망 및 전자제품과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은 본체(110), 콘센트부(120), USB부(130), RJ45커넥터(156-1), 스위치(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내측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에 나사가 형성되어 싱크대, 책상, 장식장 등의 상판 또는 측판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인입시켜 체결링(11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콘센트부(120)는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꼽혀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도록 본체(110)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센트부(120)는 사용전원을 인가하는 콘센트(1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는 콘센트(121)가 본체(110)에 2개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대한 개수는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고, 이때 본체(110)의 크기는 설치되는 개수에 맞게 그 크기가 조절된다.
상기 콘센트부(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답터(160)에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지 않은 상용전원과 교류전원을 변환한 직류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아답터에서 인가되는 상용전원은 제어부(150)의 릴레이모듈(153)에 의해 전원의 온/오프가 제어된다.
상기 USB부(130)는 아답터(160)에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을 제어부(150)를 통해 인가받아 스마트단말(200) 또는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스피커, 보조배터리, 태블릿PC, 게임기 등)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USB포트(131)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에는 USB포트(131)가 본체(110)에 2개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대한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RJ45커넥터(156-1)는 IP 공유기(300) 및 인터넷 단말(400)을 통해 인터넷망에 다른 복합 멀티탭(100)과 연결되어 와이-파이모듈(155)을 통해 스마트단말(200)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RJ45커넥터(156-1)는 하기에서 설명할 네트워크모듈(156)에 구성되며 설치되는 개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복합 멀티탭(100)과 다른 복합 멀티탭(100)을 직렬로 연결할 때에는 한개만 구성하고, 병렬로 연결할 시에는 복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140)는, 전원모듈(151)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여 콘센트부(120), USB부(130), 제어부(150)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140)는 아답터(160)를 통해 교류전원을 직류전원 변환된 전원 및 릴레이모듈(153)을 거쳐 인가되는 상용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스위치(140)를 오프하면, 전원모듈(151)을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원이 차단되고, 릴레이모듈(153)이 오프되면서 콘센트(121)로 인가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된다.
상기 스위치(140)를 온하면, 오프와는 반대로 전원모듈(151)을 통해 직류전원이 공급되고, 상용전원은 릴레이모듈(153)을 통해 콘센트(121)로 공급되어 전자제품에서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스위치(140)를 거쳐 인가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MCU(152)로 공급하는 전원모듈(151)과, 직류전원의 변환, 상용전원의 온/오프,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 및 통신 상태 표시를 제어하는 MCU(152)와, MCU(152)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콘센트(121)의 전원을 온하거나 또는 오프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콘센트(121)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릴레이모듈(153)과, MCU(152)의 제어를 통해 전원모듈(151)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화된 교류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정류한 직류전원으로 다시 변환하여 USB부(130)로 인가하는 DC-DC변환부(154)와, 소정 거리 안에서 무선으로 인터넷 및 전자제품과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이-파이모듈(155)과,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158)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모듈(151)은 아답터(160)를 통해 교류전원이 직류전원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직류전원을 정류하고, 정류한 전원을 다시 평활하여 전류의 크기를 일정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MCU(152)는 전원모듈(15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DC-DC변환부(154), 릴레이모듈(153), 와이-파이모듈(155), 표시부(158) 및 네트워크모듈(156)로 공급하는 것은 물론 DC-DC변환부(154), 릴레이모듈(153), 와이-파이모듈(155), 표시부(158) 및 네트워크모듈(156)을 제어하여 직류전원의 변환, 상용전원의 온/오프,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 및 통신 상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릴레이모듈(153)은 MCU(152)를 제어를 받아 콘센트(121)로 인가되는 상용전원을 온/오프를 제어하고, 스위치(140)의 오프시 함께 오프되어 콘센트(121)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오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DC-DC변환부(154)는 MCU(152)의 제어를 통해 전원모듈(151)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화된 교류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정류한 직류전원으로 다시 변환하여 USB부(130)로 인가하여 USB케이블로 연결되는 스피커, 보조배터리, 태블릿PC, 게임기 등을 포함하는 전자제품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이-파이모듈(155)은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단말(200), 태블릿PC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와이-파이모듈(155)은 스마트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의해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격으로 복합 멀티탭(100)의 전원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단말(20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와이-파이모듈(155)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와이-파이모듈(155)을 통해 수신된 신호는 MCU(152)로 인가되며, MCU(152)로 인가된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치(140), DC-DC변환부(154), 릴레이모듈(153) 및 네트워크모듈(156)를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158)는 와이-파이모듈(155)에 의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158)는 와이-파이모듈(155)을 통해 인터넷망의 송수신상태를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158)는 와이-파이모듈(155)을 통해 송수신되는 패킷의 전송속도를 제어부(150)에서 측정하고, 신호의 감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스마트단말(200)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 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트프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단말(20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단말(200)은 인터넷망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Internet)망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100)은 본체(110), 스위치(140), 콘센트부(120), USB부(130), RJ45커넥터(156-1), 제어부(150) 및 뚜껑(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 콘센트부(120), USB부(130), RJ45커넥터(156-1) 및 제어부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12)의 구성이 다르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성만을 설명한다.
상기 본체(110)는 콘센트부(120), USB부(130) 등에 먼지가 유입되어 접촉불량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첩(1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뚜껑(112)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10)와 뚜껑(112)에는 제어부(15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스마트단말(200)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모듈(157)이 구성된다.
상기 충전모듈(157)은 뚜껑(112)의 내측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설치되는 유도코일(157-1)을 설치하고, 상기 유도코일(157-1)에서 자기유도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충전전원이 송신될 수 있도록 플랙서블한 전원연결선(미도시)이 설치되어 뚜껑(112)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전원연결선을 통해 인가되는 충전전원은 유도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DC-DC변환부(154)와 연결되어 본체에 설치되는 충전모듈본체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모듈본체는 DC-DC변환부(154)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통해 스마트단말을 충전하위한 볼트(V)와 전압으로 조정하여 상기 플랙서블한 전연결선을 통해 유도코일(157-1)로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무선충전은 본체(110)에서 뚜껑(112)이 열리거나 닫힌 상태에서도 충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콘센트부(120)에 플러그가 꼽혀있거나 또는 USB부(130)에 USB케이블이 꼽혀있는 상태와 무관하게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USB부(130)의 USB포트(131)에 무선충전기를 연결한 후 스마트단말(200)을 충전할 시에 장소 및 무선충전기가 반드시 필요로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별도의 무선충전기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55-1은 안테나로 와이-파이모듈(155)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스마트단말(20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을 스마트단말(200)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복합 멀티탭(100)을 실내에 설치한 후 구글스토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단말(200)에 설치한다.
상기 스마트단말(200)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프로세서에 따라 실내에 설치한 복합 멀티탭(100)을 설정한다.
실내에 설치한 스마트단말(200)에 전원을 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스마트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전원을 온하라는 명령을 내리면, 스마트단말(200)은 기설정된 IP어드레스로 신호를 인가하고, 인가되는 신호는 인터넷망을 거쳐 인터넷단말(400)과 IP 공유기(300)로 인가된다.
상기 IP 공유기(300)로 인가되는 신호는 와이-파이모듈(156)을 통해 MCU(152)로 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MCU(152)로 인가된 신호에 의해 아답터(160)를 통해 스위치(140)를 거쳐 전원모듈(151)로 공급되는 전원을 DC-DC변환기(154)에서 USB포트(131)로 직류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MCU(152)는 릴레이모듈(153)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아답터(160)에서 인가되는 상용전원을 콘센트(121)를 거쳐 전자제품으로 인가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멀티 복합기(100)의 전원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전원을 오프하라는 명령을 내리면, 스마트단말(200)은 기설정된 IP어드레스로 신호를 인가하고, 인가되는 신호는 인터넷망을 거쳐 인터넷단말(400)과 IP 공유기(300)로 인가되어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원을 오프한다.
또한, 복합 단말기(100)에 설치된 USB포트(131)는 USB케이블을 연결하여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전자제품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RJ45커넥터(156-1)는 직렬로 연결되는 복합 멀티탭(100)에 설치된 와이-파이모듈(155)을 통해 실내에 설치한 스마트단말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멀티 콘센트(100)를 하나의 네트워크으로 묶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충전을 하고자 하는 경우 본체(110)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뚜껑(112)에 올려놓으면 DC-DC변환기(154)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원에 의해 유도코일(157-1)을 통해 자기유도 방식으로 스마트단말(200)에 전원을 충전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스마트단말(200)의 충전 또는 전자제품의 전원공급을 용이하게 하므로 사용자는 멀티 콘센트(100)를 통해 편리하게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본체(110)에 상용전원, 변환된 직류전원의 사용이 용이한 것은 물론 인터넷망에 접속이 용이하므로 실내에서 별도의 와이-파이공유기를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인터넷의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지에서 인터넷망을 거쳐 실내에 설치한 복합 멀티탭(100)을 통해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값비싼 가전제품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도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모듈(156)을 통해 복합 멀티탭(100)을 직렬로 다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와이-파이모듈(155)에 의한 인터넷망의 접속이 매우 용이한 것은 물론 실내에 인터넷의 속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복합 멀티탭 110: 본체
111: 체결링 112: 뚜껑
113: 경첩 120: 콘센트(121)부
121: 콘센트 130: USB부
131: USB포트 140: 스위치
150: 제어부 151: 전원모듈
152: MCU 153: 릴레이모듈
154: DC-DC변환부 155: 와이-파이모듈
155-1: 안테나 156: 네트워크모듈
156-1: RJ45커넥터 157: 충전모듈
157-1: 유도코일 158: 표시부
160: 아답터 200: 스마트단말
300: IP 공유기 400: 인터넷 단말

Claims (3)

  1.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멀티탭(100)은,
    체결링(111)과 나사 체결되어 책상, 싱크대, 장식장을 포함하는 가구에 고정되는 본체(110)와;
    전자기기에 상용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센트(121)가 본체(110)에 설치되는 콘센트부(120)와;
    USB케이블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기기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구성되는 USB부(130)와;
    연결되는 멀티 콘센트(121)의 제어 및 근거리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RJ45커넥터(156-1)와;
    콘센트(121)의 전원제어, USB부(130) 전원제어, 제어부(150)의 전원제어를 할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스위치(140); 및
    콘센트부(120)의 전원 제어, USB부(130)의 전원 제어, RJ45커넥터(156-1)에 연결되는 전자기기와의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50);로 구성되되,
    상기 스마트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지에서 본체(110)에 설치된 제어부(150)를 제어하여 전원, 근거리 무선통신 및 네트워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스위치(140)를 거쳐 인가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MCU(152)로 공급하는 전원모듈(151)과;
    직류전원의 변환, 상용전원의 온/오프,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 및 통신 상태 표시를 제어하는 MCU(152)와;
    MCU(152)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콘센트(121)의 전원을 온하거나 또는 오프하는 것은 물론 하나 이상의 콘센트(121)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릴레이모듈(153)과;
    MCU(152)의 제어를 통해 전원모듈(151)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화된 교류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정류한 직류전원으로 다시 변환하여 USB부(130)로 인가하는 DC-DC변환부(154)와;
    소정 거리 안에서 무선으로 인터넷 및 전자기기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이-파이모듈(155)과;
    네트워크모듈(156)과;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통신 감도를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5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40)는,
    전원모듈(151)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여 콘센트부(120), USB부(130), 제어부(150)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
KR1020180109148A 2017-09-13 2018-09-12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 KR201900301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17288 2017-09-13
KR1020170117288 2017-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183A true KR20190030183A (ko) 2019-03-21

Family

ID=6603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148A KR20190030183A (ko) 2017-09-13 2018-09-12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183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314B1 (ko) * 2019-08-07 2019-11-26 (주)현대에이아이티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KR20210009512A (ko) 2019-07-17 2021-01-27 곽수성 멀티탭
WO2021090981A1 (ko) * 2019-11-06 2021-05-14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Iot 보조 플러그
KR102254348B1 (ko) * 2020-03-19 2021-05-20 신세욱 가구용 전기 콘센트
KR20210089376A (ko) * 2020-01-08 2021-07-16 (주)메티스 게이트웨이
KR20220038245A (ko) 2020-09-19 2022-03-28 추창욱 멀티탭 라우터
KR20220067433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나우테크이즈 단자 통합 장치
KR102453814B1 (ko) * 2021-12-13 2022-10-14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 다기능 콘센트 구조
KR20220169857A (ko) 2021-06-21 2022-12-28 손이찬 원격 제어가 가능한 모듈형 IoT 멀티탭
KR20230071470A (ko) 2021-11-16 2023-05-23 최정호 모듈형 멀티탭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615233B1 (ko) * 2023-06-20 2023-12-19 한국철도공사 자동제어 보조전원장치를 이용한 철도차량 객실용 스마트 멀티 콘센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58Y1 (ko) 2013-08-01 2014-10-22 (주)코스모 콘센트 기구
KR101716855B1 (ko) 2015-10-20 2017-03-15 주식회사 뉴로메카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페어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58Y1 (ko) 2013-08-01 2014-10-22 (주)코스모 콘센트 기구
KR101716855B1 (ko) 2015-10-20 2017-03-15 주식회사 뉴로메카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페어링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512A (ko) 2019-07-17 2021-01-27 곽수성 멀티탭
KR102049314B1 (ko) * 2019-08-07 2019-11-26 (주)현대에이아이티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WO2021090981A1 (ko) * 2019-11-06 2021-05-14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Iot 보조 플러그
KR20210089376A (ko) * 2020-01-08 2021-07-16 (주)메티스 게이트웨이
KR102254348B1 (ko) * 2020-03-19 2021-05-20 신세욱 가구용 전기 콘센트
KR20220038245A (ko) 2020-09-19 2022-03-28 추창욱 멀티탭 라우터
KR20220067433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나우테크이즈 단자 통합 장치
KR20220169857A (ko) 2021-06-21 2022-12-28 손이찬 원격 제어가 가능한 모듈형 IoT 멀티탭
KR20230071470A (ko) 2021-11-16 2023-05-23 최정호 모듈형 멀티탭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453814B1 (ko) * 2021-12-13 2022-10-14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 다기능 콘센트 구조
KR102615233B1 (ko) * 2023-06-20 2023-12-19 한국철도공사 자동제어 보조전원장치를 이용한 철도차량 객실용 스마트 멀티 콘센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0183A (ko)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
US9712068B2 (en) Power supply device, adapter, power receiving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JP4999916B2 (ja) コンセント装置およびその接続方法
US20120256484A1 (en) Computer adapter with power outlet and replaceable and rechargeable battery, wireless card, and transceiver
US20130339766A1 (en) Power supply dock with wireless network and power management functions
US20130015714A1 (en) Smart Power Portal
JP2017509303A (ja) 電気車両を充電するための電源システム
JP2011082802A (ja) 直流コンセント
US10483796B2 (en) Power control system
JP4858429B2 (ja) 洗面台
US11641129B2 (en) DC to DC edge device
KR20160047015A (ko)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JP2011254229A (ja) プラグ受、電源タップ及びホームエネルギー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US10431940B1 (en) Power receptacle with wireless control
US20150281815A1 (en) Accessory Shelf
KR20120005801A (ko)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
US10454274B2 (en) Storage unit for a consumer,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torage system
US9444893B2 (en) Network power control module
JP5255268B2 (ja) 非接触給電アダプタ
CN206401030U (zh) 一种嵌入墙体的存储管理装置
MX2015001094A (es) Dispositivo alambrico con expansor de señal inalambrica integrado.
KR20150138547A (ko) 전원 원격제어 콘센트 및 콘센트 전원 원격제어 시스템
EP2618453B1 (en) Intelligent wall-type charger
KR20130037548A (ko) 벽체 매립형 무접점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US201801986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pid change of electrical receptacle and creation of smart-ready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