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314B1 -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9314B1 KR102049314B1 KR1020190096080A KR20190096080A KR102049314B1 KR 102049314 B1 KR102049314 B1 KR 102049314B1 KR 1020190096080 A KR1020190096080 A KR 1020190096080A KR 20190096080 A KR20190096080 A KR 20190096080A KR 102049314 B1 KR102049314 B1 KR 1020493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unit
- signal
- iot
- control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멀티탭을 이용하여 서로 호환되지 않는 각각의 전자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실시간 전력량 등을 측정하여 이를 전자기기의 제어에 이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는 어댑터유닛; 어댑터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어댑터유닛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전자기기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유닛; 및 단말기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전기공급유닛 또는 어댑터유닛과 결합하고,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제어신호를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통신제어유닛;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전자기기 간 호환성 여부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로 전달되는 제어신호의 종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멀티탭을 이용하여 서로 호환되지 않는 각각의 전자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실시간 전력량 등을 측정하여 이를 전자기기의 제어에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편리하면서도 안전하며 즐거움이 있는 세련된 주거 생활에 대한 욕구가 강해지면서, 스마트홈 관련 제품과 서비스, 즉 사물 인터넷 기반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높은 부가가치와 다양한 활용 분야, 광범위한 파급효과로 인해 이동통신사, 가전제품 제조사, 건설사 등의 기업을 중심으로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이와 같은 IoT 기술에 있어서, 사물 인터넷 환경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들은 전원을 공급 받게 되고, 각각의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사물 인터넷 기반의 환경에서는, 각각의 디바이스가 사물 인터넷에 연결되어 각각의 디바이스 자체 내의 전원 장치에 대한 제어를 통해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어서, 디바이스가 연결된 콘센트, USB포트 자체에 대한 전원 제어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각의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무선 통신 장비가 각각의 디바이스와 호환성을 구비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46522호(발명의 명칭: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전기안전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서는, 전기설비에 연결되어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전기안전 정보를 추출하고 모니터링하는 전기안전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에 연결되어 전기설비에서 발생하는 전기안전 제1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통신부, 저장부, 보정부 및 상기 측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기안전 제1정보를 ADC(Analogdigital converter)를 통해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기안전 제1정보를 토대로 연산을 수행하여 전기안전 제2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무선 통신으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전기안전 제1정보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전기안전 제2정보를 원격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ADC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정보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상기 전기안전 제2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전기안전 제1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주기를 조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전기안전 감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 인터넷 환경과 호환되지 않는 전자기기도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제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는 어댑터유닛; 상기 어댑터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유닛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상기 전자기기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유닛; 및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전기공급유닛 또는 상기 어댑터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제어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통신제어유닛;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전자기기 간 호환성 여부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로 전달되는 상기 제어신호의 종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유닛은 이더넷,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IR)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상기 전자기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서로 통신 호환되는 전자기기들의 집합인 호환군에 상기 전자기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호환군에 포함되지 않으나 IoT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제어 가능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호환군에 포함되지 않고 IoT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제어 불가능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유닛은, 상기 전자기기와의 신호 교환을 통해 상기 전기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로 전달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전력량제어신호를 상기 전기공급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자기기의 주변 환경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제어유닛으로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통신제어유닛으로 사용자의 명령 정보에 의한 신호인 허브신호를 전달하는 중앙허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아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공급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공급부로 전달되는 전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콘센트 또는 USB포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발명의 멀티탭을 이용하는 경우, 호환성 여부와 상관 없이 다양한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을 이용한 IoT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을 이용한 IoT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유닛이 결합된 멀티탭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닛의 내부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의 일부 유닛이 분리된 사항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을 이용한 IoT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유닛이 결합된 멀티탭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닛의 내부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의 일부 유닛이 분리된 사항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1)을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IoT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1)을 이용한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IoT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oT시스템은, 전기를 공급 받아 작동을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단말기기(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멀티탭(1)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는 어댑터유닛(30); 어댑터유닛(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어댑터유닛(30)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전자기기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유닛(10); 및 단말기기(3)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전기공급유닛(10) 또는 어댑터유닛(30)과 결합하고,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제어신호를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통신제어유닛(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전자기기 간 호환성 여부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로 전달되는 제어신호의 종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기기(3)와 통신제어유닛(20)이 직접 통신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기기(3)의 신호가 중앙허브(2)를 거쳐 통신제어유닛(20)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단말기기(3)와 중앙허브(2) 사이에 외부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단말기기(3)의 신호가 외부 네트워크를 거쳐 중앙허브(2)로 전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oT시스템에서는, 단말기기(3)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통신제어유닛(20)으로 사용자의 명령 정보에 의한 신호인 허브신호를 전달하는 중앙허브(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탭(1)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멀티탭(1)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기(3)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PC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IoT시스템에서는, 서로 호환이 되며 센서부(5)와도 호환이 되는 복수 개의 전자기기로 형성된 호환군(일 실시 예로 도 1에 개시된 전자기기 중 에어컨(4b), 냉장고(4c))과, IoT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 가능하나 이와 같은 호환군과 호환되지 않는 전자기기로 형성된 제1비호환군(일 실시 예로 도 1에 개시된 전자기기 중 전기오븐(4d)) 및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구형의 전자기기로 형성된 제2비호환군(일 실시 예로 도 1에 개시된 전자기기 중 TV(4a))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제어유닛(20)은 이더넷,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IR)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전자기기로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가 호환성이 있는 경우 제어신호에 의해 전자기기가 제어될 수 있고, 전자기기가 비호환성인 경우에도, 제어신호에 의해 전자기기가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101에서 전자기기의 전원이 본 발명의 멀티탭(1)의 전기공급유닛(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02에서, 통신제어유닛(20)이 전자기기로 호환군의 전자기기를 제어 가능한 제어신호인 호환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통신제어유닛(20)에 의해 전자기기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전자기기를 호환군의 전자기기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호환군은 사용자의 지정에 의하거나 서로 통신 호환되는 전자기기들의 집합일 수 있으며, 통신 방식은 지-웨이브(Z-Wave)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업체에서 제조된 전자기기들의 집합일 수 있다.
단계 S102에서 전자기기가 호환군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S103에서 전자기기의 제품 종류가 자동으로 선택되고, 이에 대한 제어 사항이 단말기기(3)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4에서 사용자는 단말기기(3)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기기의 기능을 선택하고, 단계 S105에서 사용자가 옵션을 선택하면, 이에 대한 정보가 통신제어유닛(20)으로 전달된 후 통신제어유닛(20)으로부터 전자기기로 제어신호가 전달되어, 단계 S111에서 전자기기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가 에어컨(4b)인 경우, 선택되는 기능은 온도이고, 선택되는 옵션은 상승 또는 하강일 수 있다.
단계 S102에서 전자기기가 호환군에 포함된다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 즉, 통신제어유닛(20)이 전자기기로 호환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통신제어유닛(20)에 의해 전자기기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단계 S106에서 통신제어유닛(20)은 다른 종류의 IoT 네트워크 제어신호를 전자기기로 전달하고, 매칭되는 제어신호인 매칭 제어신호에 의해 전자기기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전자기기를 IoT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제어 가능한 IoT 전자기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 제어신호는 지그비(Zigbee) 방식일 수 있다.
단계 S106에서 전자기기가 IoT 전자기기라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S107에서 통신제어유닛(20)은 내부에 저장된 제품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단계 S108에서 통신제어유닛(20)은 전자기기의 제품 종류를 선택하여, 이에 대한 제어 사항이 단말기기(3)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9에서 사용자는 단말기기(3)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기기의 기능을 선택하고, 단계 S110에서 사용자가 옵션을 선택하면, 이에 대한 정보가 통신제어유닛(20)으로 전달된 후 통신제어유닛(20)으로부터 전자기기로 제어신호가 전달되어, 단계 S111에서 전자기기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가 전기오븐(4d)인 경우, 선택되는 기능은 전원이고, 선택되는 옵션은 on 또는 off일 수 있다.
단계 S106에서 전자기기가 IoT 전자기기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S112에서 전자기기에 대한 기본 기능 설정에 대한 사항을 단말기기(3)로 전달하고, 단계 S113에서 사용자가 단말기기(3)를 이용하여 원격 조종을 수행하면, 이에 대한 정보가 통신제어유닛(20)으로 전달된 후 통신제어유닛(20)으로부터 전자기기로 제어신호가 전달되어, 단계 S111에서 전자기기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해당 전자기기의 종류를 파악하고 단말기기(3)에서 전자기기의 종류를 TV(4a)로 선택하는 경우, TV와 관련된 기본 기능 설정이 단말기기(3)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단말기기(3)로 TV(4a)를 원격 조종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제어유닛(20)으로부터 전자기기로 전달되는 제어신호는 적외선(IR) 방식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통신제어유닛(20)에는 각각의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통신제어유닛(20)에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기(3)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가 통신제어유닛(20)에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센서부(5)는 전자기기의 주변 환경 감지 결과에 따라 전자기기 및 통신제어유닛(20)으로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신호는 호환 제어신호와 동일한 방식의 신호이므로, 감지신호가 호환군에 포함되는 전자기기에 바로 전달되어, 호환군에 포함되는 전자기기가 감지신호에 따라 바로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신호가 통신제어유닛(20)으로 전달되면, 통신제어유닛(20)은 제1비호환군 또는 제2비호환군의 전자기기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각각의 전자기기가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탭(1)을 이용하는 경우, 센서부(5)와 호환되지 않는 방식의 신호를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대해서도, 센서부(5)를 이용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5)가 에어컨(4b)의 근처에 설치되고, 센서부(5)가 에어컨(4b)에 사람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경우, 센서부(5)가 이에 대한 감지신호를 에어컨(4b)으로 전달하고, 에어컨(4b)이 자동으로 on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멀티탭(1)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멀티탭(1)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1)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유닛이 결합된 멀티탭(1)에 대한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 6과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닛의 내부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탭(1)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는 어댑터유닛(30); 어댑터유닛(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어댑터유닛(30)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전자기기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유닛(10); 및 전기공급유닛(10) 또는 어댑터유닛(30)과 결합하고, 전자기기 또는 전기공급유닛(10)과 신호를 교환하는 통신제어유닛(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어댑터유닛(30), 전기공급유닛(10) 및 통신제어유닛(20) 각각은, 하우징(180), 하우징(180)의 일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전기를 전달받이기 위한 전극이 형성된 돌출부(110), 하우징(180)의 타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전기를 전달하기 위한 전극이 형성된 걸림부(120),를 구비하고, 돌출부(110)와 걸림부(120)의 결합에 의해, 어댑터유닛(30), 전기공급유닛(10) 또는 통신제어유닛(20) 중 선택되는 두 유닛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공급유닛(10)은, 하우징(180)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공급부(130), 및 공급부(130)와 연결되고 공급부(130)로 전달되는 전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부(130)는 콘센트 또는 USB포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전기공급유닛(10)에는 콘센트가 형성되고, 다른 전기공급유닛(10)에는 USB포트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전기공급유닛(10)에는 각각 다른 전자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어댑터유닛(30), 전기공급유닛(10) 및 통신제어유닛(20) 각각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복수 개의 유닛이 결합되어 본 발명의 멀티탭(1)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어댑터유닛(30), 전기공급유닛(10) 및 통신제어유닛(20)을 통칭하여 유닛이라고 할 수 있다.
어댑터유닛(30), 전기공급유닛(10) 및 통신제어유닛(20) 각각의 하우징(180) 형상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각각의 유닛의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복수 개의 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장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각각의 유닛의 하우징(180) 크기가 동일한 경우,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장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기에 더 용이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유닛의 하우징(180) 형상이 상기와 같이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도와 기능에 따라 각각의 유닛의 하우징(180) 형상 또는 하우징(180) 크기가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유닛에 형성된 돌출부(110)의 형상은 걸림부(120)에 인입될 수 있도록 걸림부(12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유닛과 다른 유닛이 결합 가능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닛은, 하우징(180)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결합되는 다른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홈인 인입홈(182)에 인입되는 결합체(18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유닛은 하부에 돌출부(110)와 걸림부(120)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유닛의 돌출부(110)와 다른 유닛의 걸림부(120)가 결합하는 경우, 양 측의 유닛의 상부 결합 구성이 없어, 본 발명의 전원 제어 장치의 위치 변경을 위한 이동 시, 각각의 유닛이 분리되면서 돌출부(110)와 걸림부(120)가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와 같이 유닛의 상부에 결합체(181)와 인입홈(182)이 형성되어 있으면, 하나의 유닛과 다른 유닛의 결합 시, 하나의 유닛에 있는 결합체(181)가 다른 유닛의 인입홈(182)에 인입되면서 양 유닛의 상부와 하부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체(181)는 측면이 곡면인 기둥 형상일 수 있고, 인입홈(182)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전기공급유닛(10)과 통신제어유닛(20)이 결합되는 경우, 전기공급유닛(10)의 돌출부(110)와 통신제어유닛(20)의 걸림부(120)가 결합되고, 동시에, 전기공급유닛(10)의 결합체(181)와 통신제어유닛(20)의 인입홈(182)이 결합될 수 있다.
전기공급유닛(10)은 돌출부(110), 제어부(140), 공급부(130) 및 걸림부(120)를 연결하는 전선을 구비하는 제1전선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공급유닛(10)은 돌출부(110)와 걸림부(120)를 연결하는 전선을 구비하는 제2전선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기공급유닛(10)의 내부에는, 공급부(130)의 일 부위와 제어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전선부(160)는 통전을 위한 2개의 전선인 제1-1전선(161)과 제1-2전선(162)을 구비하고, 제2전선부(170)는 통전을 위한 2개의 전선인 제2-1전선(171)과 제2-2전선(17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0)는 제1돌출부(111)와 제2돌출부(112)의 2개로 형성되며 각각의 돌출부(110)는 전극을 구비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걸림부(120)도 제1걸림부(121)와 제2걸림부(122)의 2개로 형성되며 각각의 걸림부(120)는 전극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1전선(161)의 일단은 제1돌출부(111)의 전극과 연결되고 제1-1전선(161)의 타단은 제1걸림부(121)의 전극과 연결되며, 제1-1전선(161)은 공급부(130)와 제어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2전선(162)의 일단은 제2돌출부(112)의 전극과 연결되고 제1-2전선(162)의 타단은 제2걸림부(122)의 전극과 연결되며, 제1-2전선(162)은 공급부(130)와 제어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1전선(171)의 일단은 제1돌출부(111)의 전극과 연결되고 제2-1전선(171)의 타단은 제1걸림부(121)의 전극과 연결되며, 제2-2전선(172)의 일단은 제2돌출부(112)의 전극과 연결되고 제2-2전선(172)의 타단은 제2걸림부(122)의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하나의 전기공급유닛(10)과 결합한 다른 전기공급유닛(10)은, 하나의 전기공급유닛(10)에 구비된 제2전선부(170)를 따라 전달되는 전기를 지속적으로 제공 받아, 하나의 전기공급유닛(10)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상태와 관계 없이 다른 전기공급유닛(10)에 연결된 전자기기는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유닛(30)은 걸림부(120)만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걸림부(120)로부터 돌출부(110)로 전기가 전달되는 방식이므로, 전기를 공급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어댑터유닛(30)은 걸림부(120)만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전기를 공급하는 부위가 돌출부(110) 또는 걸림부(120)로 형성될 수 있으나, 안전을 위해서는 함몰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접촉이 방지되는 걸림부(120)로부터 돌출부(110)로 전기가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통신제어유닛(20) 역시 돌출부(110)와 걸림부(120)를 구비하며, 통신제어유닛(20)도 하나의 유닛 및 다른 유닛과 결합하여, 하나의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전기를 다른 유닛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전기공급유닛(10)에 연결된 전자기기는, 하나의 전기공급유닛(10)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상태에 따라 제어부(140)가 공급부(130)에 전달되는 전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공급부(130)에 연결된 전자기기로 전달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통신제어유닛(20)은, 전자기기와의 신호 교환을 통해 전기공급유닛(10)으로부터 전자기기로 전달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전력량제어신호를 전기공급유닛(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에서 측정된 전력량은 통신제어유닛(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제어유닛(20)은 측정된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기(3)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기(3)를 이용하여 각각의 전기공급유닛(10)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실시간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탭(1)은, 어댑터유닛(30), 전기공급유닛(10) 또는 통신제어유닛(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닛과 결합하여, 돌출부(110) 또는 걸림부(120)의 노출을 방지하는 보호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10)의 노출을 방지하는 보호유닛(40)은 걸림부(120)만 구비할 수 있고, 걸림부(120)의 노출을 방지하는 보호유닛(40)은 돌출부(110)만 구비할 수 있으며, 보호유닛(40)에 구비되는 돌출부(110) 또는 걸림부(120)는 전극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보호유닛(40)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 또는 전기 전달될 수 있는 물체가 보호유닛(40)의 돌출부(110) 또는 걸림부(12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보호유닛(40)의 돌출부(110) 또는 걸림부(120)는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유닛(40)도 결합체(181)와 인입홈(182)을 구비할 수 있다.
어댑터유닛(30), 전기공급유닛(10) 또는 통신제어유닛(20)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은 LED등으로 형성되는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어댑터유닛(30)의 표시부는 어댑터유닛(30)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어댑터유닛(30)의 표시부가 on인 경우 외부 전원 연결을 표시하고, 어댑터유닛(30)의 표시부가 off인 경우 외부 전원 연결 해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기공급유닛(10)의 표시부는 전기공급유닛(10)의 공급부(130)와 전자기기의 연결 상태에 대해서 표시할 수 있으며, 전기공급유닛(10)의 표시부가 on인 경우 전기공급유닛(10)과 전자기기의 연결을 표시하고, 전기공급유닛(10)의 표시부가 off인 경우 전기공급유닛(10)과 전자기기의 연결 해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제어유닛(20)의 표시부는 통신제어유닛(20)의 작동 여부에 대해서 표시할 수 있으며, 통신제어유닛(20)의 표시부가 on인 경우 통신제어유닛(20)의 작동 중을 표시하고, 통신제어유닛(20)의 표시부가 off인 경우 통신제어유닛(20)의 작동 정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기(3)는 통신제어유닛(20)으로부터 전달받은 각각의 전기공급유닛(10)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 대한 전력량 정보를 전달 받고,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전자기기에 대한 실시간 전력량 및 누적소비전력량을 도출하여 저장하고, 이와 같은 데이터를 숫자, 그래프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1)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1)의 일부 유닛이 분리된 사항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탭(1)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은 어댑터유닛(30); 어댑터유닛(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어댑터유닛(30)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전자기기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유닛(10); 및 전기공급유닛(10) 또는 어댑터유닛(30)과 결합하고, 전자기기 또는 전기공급유닛(10)과 신호를 교환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아 제어신호를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통신제어유닛(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멀티탭(1)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아 제어신호를 전자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즉, 통신제어유닛(20)은 마이크 및 스피커를 구비하는 소리부(21)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신제어유닛(20)에 음성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결과 등이 스피커를 통해 음성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1)과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1)은 어댑터유닛(30)에 플러그(31)가 형성되어 어댑터유닛(30)을 직접 콘센트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어댑터유닛(30)의 둘레 방향의 각각의 면에 걸림부(120)가 형성되어, 다른 유닛의 돌출부(110)와 결합됨으로써, 어댑터유닛(30)으로부터 다른 유닛으로 전기가 전달될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탭(1)에 대한 사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통신제어유닛(2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멀티탭(1)을 이용하는 경우, 종래기술의 사물 인터넷 환경(IoT 시스템)과 같이 외부 허브를 이용하여 각각의 전자기기와 단말기 간 정보가 교환되고 제어가 수행되지 않아,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기기의 정보 누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보안상 안정성이 증가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는, 서로 호환되는 전자기기들 간에서만 정보 또는 신호 교환이 수행되어, 사물 인터넷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멀티탭(1)을 이용하는 경우, 이와 같은 한계 없이, 다양한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멀티탭 2 : 중앙허브
3 : 단말기기 5 : 센서부
10 : 전기공급유닛 20 : 통신제어유닛
21 : 소리부 30 : 어댑터유닛
31 : 플러그 40 : 보호유닛
110 : 돌출부 111 : 제1돌출부
112 : 제2돌출부 120 : 걸림부
121 : 제1걸림부 122 : 제2걸림부
130 : 공급부 140 : 제어부
160 : 제1전선부 161 : 제1-1전선
162 : 제1-2전선 170 : 제2전선부
171 : 제2-1전선 172 : 제2-2전선
180 : 하우징 181 : 결합체
182 : 인입홈
3 : 단말기기 5 : 센서부
10 : 전기공급유닛 20 : 통신제어유닛
21 : 소리부 30 : 어댑터유닛
31 : 플러그 40 : 보호유닛
110 : 돌출부 111 : 제1돌출부
112 : 제2돌출부 120 : 걸림부
121 : 제1걸림부 122 : 제2걸림부
130 : 공급부 140 : 제어부
160 : 제1전선부 161 : 제1-1전선
162 : 제1-2전선 170 : 제2전선부
171 : 제2-1전선 172 : 제2-2전선
180 : 하우징 181 : 결합체
182 : 인입홈
Claims (11)
- 전기를 공급 받아 작동을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단말기기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에 있어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는 어댑터유닛;
상기 어댑터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유닛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전자기기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유닛; 및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전기공급유닛 또는 상기 어댑터유닛과 결합하고,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제어신호로써 서로 통신 호환되는 전자기기들의 집합인 호환군의 전자기기를 위한 IoT 네트워크 제어 신호인 호환 제어신호, 상기 호환 제어신호와는 상이한 IoT 네트워크 제어신호인 매칭 제어신호, 또는, IoT 네트워크 제어신호에 해당되지 않는 제어신호인 적외선 신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통신제어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제어유닛은, 상기 호환 제어신호, 상기 매칭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적외선 신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전자기기로 전달하고, 전자기기의 신호 감지 여부에 따라, 전자기기를 호환군, 제1비호환군 또는 제2비호환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군으로 판단함으로써, 복수 개의 전자기기 간 호환성 여부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로 전달되는 상기 제어신호의 종류를 가변시켜, 복수 개의 상기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고 전자기기의 주변 환경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호환 제어신호와 동일한 방식의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로부터 상기 통신제어유닛으로 상기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통신제어유닛은, 상기 제1비호환군의 전자기기로 상기 매칭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2비호환군의 전자기기로 상기 적외선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유닛은 이더넷,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IR)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전자기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자기기가 서로 통신 호환되는 전자기기들의 집합인 상기 호환군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호환 제어신호에 의해 전자기기에 대한 전원 또는 기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자기기가 상기 호환군에 포함되지 않으나 IoT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들의 집한인 상기 제1비호환군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매칭 제어신호에 의해 전자기기의 전원 또는 기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자기기가 상기 호환군에 포함되지 않고 IoT 네트워크 제어신호로 제어 불가능한 전자기기들의 집합인 제2비호환군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적외선 신호에 의해 전자기기의 전원 또는 기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유닛은, 전자기기와의 신호 교환을 통해 상기 전기공급유닛으로부터 전자기기로 전달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전력량제어신호를 상기 전기공급유닛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통신제어유닛으로 사용자의 명령 정보에 의한 신호인 허브신호를 전달하는 중앙허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아 상기 제어신호를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공급유닛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공급부로 전달되는 전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콘센트 또는 USB포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6080A KR102049314B1 (ko) | 2019-08-07 | 2019-08-07 |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6080A KR102049314B1 (ko) | 2019-08-07 | 2019-08-07 |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9314B1 true KR102049314B1 (ko) | 2019-11-26 |
Family
ID=6873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6080A KR102049314B1 (ko) | 2019-08-07 | 2019-08-07 |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9314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5009B1 (ko) * | 2016-03-11 | 2017-02-13 | (주)커누스 |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
KR20170047055A (ko) * | 2015-10-22 | 2017-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원제어 시스템 |
KR20190015941A (ko) * | 2017-08-07 | 2019-02-15 | 이순복 | IoT 기반의 유무선 공유기 기능을 갖는 멀티탭 장치 |
KR20190030183A (ko) * | 2017-09-13 | 2019-03-21 |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 |
KR20190046522A (ko) | 2017-10-26 | 2019-05-07 | 한국 전기안전공사 |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전기안전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2019
- 2019-08-07 KR KR1020190096080A patent/KR1020493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47055A (ko) * | 2015-10-22 | 2017-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원제어 시스템 |
KR101705009B1 (ko) * | 2016-03-11 | 2017-02-13 | (주)커누스 |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
KR20190015941A (ko) * | 2017-08-07 | 2019-02-15 | 이순복 | IoT 기반의 유무선 공유기 기능을 갖는 멀티탭 장치 |
KR20190030183A (ko) * | 2017-09-13 | 2019-03-21 |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유무선 복합 멀티탭 |
KR20190046522A (ko) | 2017-10-26 | 2019-05-07 | 한국 전기안전공사 |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전기안전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04278B1 (en) | Control attachment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power adapter to control power provided to a load | |
US20160209899A1 (en) | Iot communications bridging power switch | |
US9519939B2 (en) |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 |
TWI483580B (zh) | 智慧插排及應用該智慧插排的智慧家居系統 | |
US20160012693A1 (en) | Tamper Detection in AC-Powered Tags | |
US10763697B2 (en) |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 |
KR101843820B1 (ko) |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 |
CN104577548B (zh) | 智能插座 | |
KR20110123652A (ko) | 전력 모니터링 장치 | |
KR102049314B1 (ko) |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 |
US10396577B2 (en) | Electronic apparatus with environmental sensing function | |
KR102138629B1 (ko) |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센트 관리 장치 | |
KR102335420B1 (ko) |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 | |
KR20200071642A (ko) | 가전기기의 비접촉 통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 |
US9898927B2 (en) | Wi-Fi/radio frequency converting device | |
US9373249B2 (en) | Wi-Fi/radio frequency converting device | |
KR20180022381A (ko) | 사물인터넷 확장구현용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 |
KR20180024446A (ko) |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력사용량 모니터링 시스템 | |
JP6098015B2 (ja) | 配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配線システム | |
KR101826631B1 (ko) |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 |
KR20110116613A (ko) | 네트워킹 기능을 갖는 콘센트형 엘이디 램프 | |
KR20130013757A (ko) |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 | |
NZ730125A (en) |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 |
NZ730125B2 (en) |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 |
CN106325111A (zh) | 电器设备管理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