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757A -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3757A
KR20130013757A KR1020110075541A KR20110075541A KR20130013757A KR 20130013757 A KR20130013757 A KR 20130013757A KR 1020110075541 A KR1020110075541 A KR 1020110075541A KR 20110075541 A KR20110075541 A KR 20110075541A KR 20130013757 A KR20130013757 A KR 20130013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module
remote control
unit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보경
정승민
황영두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지능형 홈 기술 주식회사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능형 홈 기술 주식회사, 이상민 filed Critical 지능형 홈 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3757A/ko
Publication of KR2013001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8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하여 플러그 소켓에 연결된
외부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형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 개가 지정된 위치마다 구비되어 연결된 전기전자제품의 전원소모 신호와 IR 동작신호 및 인체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앞의 3가지 신호인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내장된 스케줄에 의해 동작하는 이동형 플러그인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에 있어서,
WI-FI(무선랜) AP에서 무선 서버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WI-FI 모듈과, 상기 WI-FI 모듈을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유닛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 의한 동작신호에 따라 SSR 및 전원부 릴레이에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장치 전원제어 출력부와, 다른 플러그인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와 무선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WI-FI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서는 상기 WI-FI 모듈을 통해 WI-FI(무선랜) AP에 기본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다른 플러그인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와 서버에서 동작 스케줄 및 연계되는 것을 비교하여 스케줄 출력부를 통해 내장된 스케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여 외부장치에 전원 공급 및 대기전력을 제어하며,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용이하게 점검 및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 { PLUG-IN TYPE Small remote control device }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하여 플러그 소켓에 연결된 외부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형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TV나 컴퓨터 및 IPTV용 셋탑박스 등 대부분의 전기전자제품은 원격조정의 편리함을 위해 대상 기기를‘항상 깨어있는 상태’로 유지시켜야 하는 것 때문에 전기소모가 불필요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이동형 플러그인타입 장치는 전기소모량을 측정하여 전기소비량을 보여주며 장치에 직접 신호입력을 통해 연결된 전기전자제품의 메인전원을 온/오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수동으로 설정된 값에 의해 대기전력을 최소화시켜,대기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하는데 이용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동형 플러그인타입 장치끼리 통신이 되지 않아, 전체적인 소모 전력을 따로 계산하여 확인해야 하며, 손쉽게 원격에서 스마트폰이나 웹을 통해 관리 또는 제어 및 확인이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형 플러그인타입 장치는 주기적으로 직접 관리를 하지 않는 이상 고장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우며, 연결된 전기전자제품의 전원 온 오프 동작을 원격에서 실행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전자기기들이 실제 작동하지도 않으면서 명령을 기다리며 소모하는 대기전력과 필요없이 전원 공급되어 지는 것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 모니터링을 통해 연결된 전기전자제품의 전기소모상황을 원격 모니터링하여 확인하고 제어 및 대처함은 물론 데이터 및 원격에서 자동으로 기능 업그레이드 가능하도록 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 개가 지정된 위치마다 구비되어 연결된 전기전자제품의 전원소모 신호와 IR 동작신호 및 인체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앞의 3가지 신호인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내장된 스케줄에 의해 동작하는 이동형 플러그인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에 있어서,
WI-FI(무선랜) AP에서 무선 서버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WI-FI모듈과, 상기 WI-FI 모듈을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유닛과,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 의한 동작신호에 따라 SSR 및 전원부 릴레이에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장치 전원제어 출력부와, 다른 플러그인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와 무선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WI-FI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서는 상기 WI-FI 모듈을 통해 WI-FI(무선랜) AP에 기본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서는 ZCT(Zero Current Transformer)를 이용한 전원소모 모듈의 정보를 알고리즘형태로 분석하여 대기전력을 차단 할 것인지 판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유닛에서 On 또는 OFF 신호가 SSR에 먼저 인가되면 외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 모듈부를 1차적으로 차단한 후에 2차적으로 레칭릴레이에 신호를 주어 차단하여 1차 차단에 사용되어지는 SSR의 전원공급이 중단됨에 따라 내부적으로 소비하는 전력이 낮아지며, 레칭릴레이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되어도 유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종 내부에서 소비되는 릴레이 동작 전력은 제로가 되는 것을 큰 특징으로 한다.
상기 W-IFI 모듈을 통한 무선네트워크의 연결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상태알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는 WI-FI 신호를 분석하고 연결하기 위한 WI-FI 신호분석 및 연결부와, 상기 WI-FI 모듈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를 통해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격 업데이트 기능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의 제어신호를 시간에 따라 순서대로 처리하기 위한 스케줄모듈이 있으며, 상기 스케줄모듈에 내장되는 스케줄 정보는 상기 WI-FI 모듈을 통해 형성되는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관리 서버와 연결되어 동작스케줄 정보의 변경 및 추가 삭제 등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버를 통해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끼리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원격에서 설정된 값에 의해 전기전자제품의 메인 전원 온오프동작들을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끼리 연계되어 연속동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TV에 연결한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와 IPTV용 셋탑박스를 연결한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끼리 통신되어 TV 전원이 오프되면 이것이 감지 되어 IPTV용 셋탑박스도 전원이 자동으로 오프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적외선감지 및 인체감지되는 장치부가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와 결합하게 되면, 대기전력이 차단 되거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적외선 신호 및 인체감지신호 에 의해 대기전력이 복구 되거나 전원이 온(ON) 상태로 된다.
따라서, 자동으로 차단된 대기전력을 원거리에서 손쉽게 복구하고 메인전원을 온(ON) 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플러그인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는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결되어 원격관리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즉, 직접 이동형 플러그인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를 확인하지 않아도 네트워크상에서 정상동작하는 이동형 플러그인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와 오류상황인 이동형 플러그인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형 플러그인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에 내장된 작동 스케줄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형 플러그인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유지 및 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세부 내부구성을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와 전원공급을 이용하는 전자제품과의 구축 형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도시된 무선네트워크망에서 제어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서버기능에 의한 무선네트워크망의 구축 형태를 보인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주요 동작 흐름을 형태를 보인 도면.
도 9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세부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는 베이스(100)와 커버(200)가 결합 되어 외관 대부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와 커버(200)가 결합 되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800)와, 외부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전기소모를 수신하기 위한 ZCT 모듈(750) 및 상기 ZCT 모듈 신호의 수신 시 외부소켓에 전원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소켓 전원공급제어모듈(700)가 구비된다.
상기 WI-FI 모듈(600)은 WI-FI 엑티브 안테나(620)를 포함하며, 무선 네트워크의 2.4Ghz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정보를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 500)으로 전달한다.
상기 외부 소켓 전원공급모듈(700)에는, 외부 전자제품의 전기소모 정보가 내장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500)으로부터 ZCT 모듈(750) 신호의 수신 정보를 전달받으면 1차적으로 SSR(701)에 신호를 주어, 접점(16)에서 접점(17)로 가는 전기공급을 차단하고, 2차 동작으로 릴레이(703)를 동작시켜 접점(15)에서 접점(18)으로 가는 전류를 차단 하고 릴레이(704)를 접점(16)에서 접점(17)로 가는 전류를 차단한다. 3차 동작으로 SSR(701)에 신호를 주어, 접점(16)에서 접점(17)로 전기공급 차단을 해제하는 동작이 기본이다.
상기 센서신호입력부(530)에는 출력될 센서정보가 내장되는 메모리를 마이크로컨트롤유닛(500)에서 포함되며, 상기 메모리에 내장되는 센서정보는 SSR(701),릴레이(702,703)을 동작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에는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간의 정보교환을 위하여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이를 이용하여 외부 전기 제어를 위한 출력을 선택적으로 원격에서 제한하기 위한 WI-FI 모듈(600)과 제어구성이 더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내부공간에는 무선신호를 송수신하여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기 위한 WI-FI 모듈(600)이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500)과 WI-FI 모듈(600)은 범용비동기화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 UART)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테스트장비(10)를 연결하기 위한 범용비동기화 수신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WI-FI 모듈(600)은 작동전원을 상기 전원공급부(800)를 구성하는 내부전원공급부(550)와 직접 상용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에는 상기 WI-FI 모듈(600)에 의한 무선네트워크의 연결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알림부(4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태알림부(400)는 복수의 엘이디(4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500)과 신호 출력을 통해 네트워크의 연결상태를 확인가능하며, 엘이디(440)의 점등 색상이 가변 등으로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작동상태를 알릴 수 있다.
상기 ZCT(Zero Current Transformer) 모듈은 Zero Current Transformer로 이용한 전류소모 감지부로서 접점(15)에서 입력된 110~220V 값이 접점(18)으로 흘러가는 전류량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에는 상기 ZCT(Zero Current Transformer) 모듈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값을 마이크로컨트롤유닛(500)에서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접점(17,18)에서 소모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정해진 일정기간 동안 대기전력으로 소비되는 값인지 체크하여 대기전력으로 소비되는 값이면 상기 외부 소켓 전원공급제어부(540)를 통해 전류공급을 차단하고, 대기전력 복구는 상기 I/O(12)에서 신호가 따라 작동여부를 마이크로컨트롤유닛(500)에서 확인한다.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제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500)에는 ZCT 모듈 제어부(520)와 센서신호입력부(530), 외부 소켓 전원공급제어부(540), 내부 전원공급부(550), WI-FI 모듈 작동부(560), 원격 업데이트 기능부(570) 및 상기 각 기능부들을 통합하여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부(51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ZCT 모듈 제어부(520)는 상기 접점(15)에서 접점(18)로 전류흐름이 감지되면, 이를 분석한 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외부 소켓 전원공급제어모듈 (700)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신호입력부(530)는 IR센서 모듈 및 인체감지센서 모듈 등의 신호출력장치를 I/O(12)에 연결하고 입력된 신호를 판단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외부 소켓 전원공급제어부(540)는 접점(17,18)로 연결된 다수의 전자제품을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내부 전원공급부(550)는 상기 내부 전원공급부(800)를 제어하여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WIFI 신호분석 및 연결 기능부(560)는 무선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엑세스 포인트를 확인하여 무선네트워크와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원격 업데이트 기능부(570)는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접속하여 펌웨어 및 동작스케줄 정보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통합제어부(510)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어정보를 종합하여 무선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복수의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에서 연동되어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이와 같은 처리과정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와 각종 전자제품의 연결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무선네트워크망에서 제어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에는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서버기능에 의한 무선네트워크망의 구축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다수의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는 설치 초기에 부여되는 맥어드레스와 일련번호를 가지고 무선 AP와 상기 WIFI 모듈(600)을 통해 연결되어 무선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무선네트워크가 형성되면 각각의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에서는 ZCT 모듈(750) 신호와 I/O(12) 포트 신호 포함하는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WI-FI 모듈(600)을 가진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A)와 Wi-FI 모듈(600)을 제거한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B)를 I/O(11) 포트를 통한 유선 연결을 통해 일체형 같이 동작한다.
즉, (A)에 연결된 TV(A1)이 TV리모컨에 의해 전원이 오프되면, 대기전력 소비만 일어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ZCT 모듈(750)에서 감지하여 (B)에 연결된 셋탑박스(B1) 및 홈시어터(B2)의 전원을 차단할 수는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무선 AP를 통해 네트워크가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무선 AP를 이용하여 외부의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원격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서버기능에 의한 무선네트워크망의 구축 형태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버에서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A,B,C)를 스케줄 동작에 관련된 값을 전송하거나, 즉시 연결된 TV,셋탑박스,컴퓨터,모니터 등의 메인전원을 원격에서 동작시키거나 해제가 가능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내용의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일반적인 동작 흐름을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무선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는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별도의 관리 서버와 연결되어 원격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를 이용한 작동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필드 즉,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가 구비되는 장소나 건물에서는 상기 WI-FI 모듈(600)을 통해 무선네트워크망이 구축되고, 상기 무선네트워크망에 복수의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일련번호 내용과 관리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버가 연결된다.
즉, 상기 서버에는 무선네트워크 망을 통해 복수의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관리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업데이트 관리서버에서는 관리자가 개인 PC나 스마트 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함으로써, 상기 업데이트 관리서버를 통해 연결된 음성유도장치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업데이트 관리서버에 접속한 관리자는 상기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작동상태를 업데이트 관리서버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복수의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가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업데이트 관리서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애나 오류 상황이 발생된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가 확인될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 관리서버에 접속한 관리자는 상기 업데이트 관리서버를 통해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에 내장된 펌웨어를 최신상태로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를 장치 컨트롤 서버에 의해 원격에서 손쉽게 관리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500)에는 시스템을 구동시키기 위한 부트(Boot)영역과 장치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이 마련된다.
즉, 상기 장치의 작동을 위한 펌웨어는 모두 상기 데이터영역에 저장되는데, 관리자가 원격업데이트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원격 업데이트를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펌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부트영역으로 점프시킨 다음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업그레이드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아 데이터 영역에 저장한 다음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진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에서는 직접 설치된 장비를 찾아서 통신선을 연결한 다음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하지 않고, 관리자가 개인 PC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100..... 커버 200..... 베이스
201..... 전선고정대 400..... 상태알림부
440..... 엘이디 500..... 마이크로컨트롤유닛
510..... 통합제어부 520..... ZCT 모듈 제어부
530..... 센서신호입력부 540..... 외부 소켓 전원공급제어부
550..... 내부 전원공급부 560..... WI-FI 모듈 작동부
570..... 원격 업데이트 기능부 600..... WI-FI 모듈
620..... WI-FI 안테나 700..... 외부 소켓 전원 공급 제어모듈
701..... SSR(에스에스알) 702..... 릴레이
703..... 릴레이 800..... 전원공급부(SMPS)
900..... 외부센서연결장치 920..... IR 센서 모듈
930..... IR 센서 모듈연결부 950..... 인체감지센서모듈
960..... 인체감지 모듈연결부

Claims (5)

  1. 한 개 또는 다수 개가 지정된 위치마다 구비되어 전자기기의 플러그와 연결되어 전기소모신호 및 IR신호 또는 인체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신호들이 수신되면 대기전력 차단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모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ZCT(Zero Current Transformer) 모듈;
    상기 ZCT 모듈을 통해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유닛;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 의한 동작신호에 따라 플러그인 소켓의 메인전원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모듈부;
    상기 전기소모신호를 체크하여 플러그인 소켓의 메인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다른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와 무선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WI-FI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서는,
    상기 WI-FI 모듈을 통해 연결된 다른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들과 연결된 무선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동작 스케줄을 확인하고, 소켓을 통해 외부에 0연결된 전자기기의 메인전원이 오프되어 일정한 대기전력이 발생할 경우 ZCT 모듈을 통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 공급모듈부 내 전원공급 차단 릴레이에 전기적신호를 출력하고, 서버를 통해 연동된 다른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모듈부 내 차단 릴레이에 전기적 출력이 온 또는 오프 되도록 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모듈부에서는,
    전원차단은 1차측와 2차측로 나누어 지며, 1차측 차단은 SSR로 이루어 지고, 2차측 차단은 레칭 릴레이에서 동작된다. SSR 릴레이로 외부 전원공급 차단이 이루어지고 뒤에 이어서 레칭릴레이를 동작시켜 2차측을 차단시킨다. SSR동작에 사용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더라도 2차측에서 외부공급차단이 된다. 외부로 공급되는 메인전원은 차단되며 SSR과 릴레이에 공급되는 전원소모량이 없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서는 대기전력 차단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 인체감지센서 또는 IR센서를 이용하는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을 통한 무선네트워크의 연결상태 및 대기전력 차단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상태알림부가 더 구비되는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유닛에는,
    WI-FI 신호를 분석하고 연결하기 위한 WI-FI 신호분석 및 연결부와,
    ZCT 모듈에 의해 전기소모량을 판단을 위한 대기전력 적정값을 조정하는 마이크로컨트롤 유닛및 상기 WI-FI 모듈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를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격 업데이트 기능부가 포함되는 플러그인 타입 소형 원격제어장치



KR1020110075541A 2011-07-29 2011-07-29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 KR20130013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541A KR20130013757A (ko) 2011-07-29 2011-07-29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541A KR20130013757A (ko) 2011-07-29 2011-07-29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757A true KR20130013757A (ko) 2013-02-06

Family

ID=4789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541A KR20130013757A (ko) 2011-07-29 2011-07-29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37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1269A (zh) * 2018-11-15 2019-02-19 安徽盛联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智能补偿节能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1269A (zh) * 2018-11-15 2019-02-19 安徽盛联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智能补偿节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9939B2 (en) Smart switch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US20160139574A1 (en) Smart hom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US20110217875A1 (en) Receptacle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anaging method thereof
US11817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a system
JP6061597B2 (ja) エネルギー監視システム、エネルギー監視方法及び端末
US202400311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a system
JP2012222898A (ja) 電力測定器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KR101143758B1 (ko) 지능형소켓과 리모컨을 사용한 절전시스템
KR20120087257A (ko)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소전력 원격 제어관리시스템
JP2014195227A (ja) 電気機器の遠隔操作システム
US907743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devices remotely
KR2014011825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
KR20130013757A (ko)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원격제어 장치
WO2017149367A1 (en) Multiple input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outlet device
KR101843648B1 (ko) 인공지능 스마트 플러그
KR102327693B1 (ko)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시스템
KR102335420B1 (ko)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
KR102201748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합 리모콘 시스템
US9494978B2 (en) Power line docking station apparatus
KR101087729B1 (ko) 건물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79142A (ko) 실시간 정보 수집을 통한 에너지 정책 수립 및 피드백 시스템
KR101133995B1 (ko) 전력량 계측 및 제어장치
KR102049314B1 (ko) 사물 인터넷 기반 전자기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멀티탭
KR20170001522A (ko) 스마트 전기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