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240A -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 - Google Patents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240A
KR20190029240A KR1020170116573A KR20170116573A KR20190029240A KR 20190029240 A KR20190029240 A KR 20190029240A KR 1020170116573 A KR1020170116573 A KR 1020170116573A KR 20170116573 A KR20170116573 A KR 20170116573A KR 20190029240 A KR20190029240 A KR 20190029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mming
console
sig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192B1 (ko
Inventor
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질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질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질라이트
Priority to KR102017011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1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5B37/029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이 개시된다. 연결 유닛은, 콘솔 장치와 DMX512 및 RDM 프로토콜 기반의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디밍 유닛과 상기 제1 통신 방식 이외의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솔 장치로부터 콘솔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콘솔 신호가 DMX512 프로토콜 신호인지 RDM 프로토콜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DMX512 프로토콜 신호인 경우에는 수신된 콘솔 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디밍 유닛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Dimming unit and communication unit for operating illuminator}
본 발명은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램프를 구비한 조명기가 무대 및 방송 조명, 사진 촬영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기는 디머(dimmer)와 연결되어 조명 연출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색 온도 및 밝기 등으로 조절되어 이용된다.
사용자는 각각의 조명기는 연결된 디머 자체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복수의 디머에 연결된 콘솔 장치를 조작하여 각 조명기의 밝기 및/또는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디머와 콘솔 장치는 국제통신프로토콜 중 하나인 DMX51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조명기에는 냉감 광원인 제1형 광원과 온감 광원인 제2형 광원이 포함될 수 있고, 색온도 및 밝기의 조절을 위해 디머는 제1형 광원과 제2형 광원에 적절한 크기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조명기에 연결되도록 구현되는 종래의 디머(100)는 일 측면에 콘솔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1 통신 커넥터(110)와 타 디머로 콘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2 통신 커넥터(120)가 각각 구비되고(도 1의 (a) 참조), 타 측면에는 사용자가 조명기의 밝기 및/또는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130)가 구비된다(도 1의 (b) 참조).
즉, 디머(100)는 콘솔 장치로부터 수신한 콘솔 신호에 상응하도록 조명기를 조작할 수도 있으나, 디머(100)에 자체 구비된 스위치(130)의 조작에 상응하여 조명기를 조작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디머(100)는 콘솔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 콘솔 장치로부터 수신된 콘솔 신호의 유형 및 내용을 해석하기 위한 해석 수단, 콘솔 신호에 상응하여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예를 들어, 조명기가 요구된 밝기 및 색온도로 구동되도록 적절한 전류를 조명기로 공급하는 수단 등) 등이 모두 포함되도록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콘솔 장치와 연결되지 않고 디머(100) 자체의 스위치(130)를 이용하여 조명기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이미 통신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현된 디머(100)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즉, 통신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사용자일지라도 통신 수단이 구비된 디머(100)를 구매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매 비용이 높아질 수 밖에 없고, 또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 디머(100)는 상대적으로 외형 사이즈가 커지기 때문에 휴대 측면에서도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10-0930193 (디지털 무대조명 제어시스템) 한국등록특허 10-1153976 (미믹보드를 이용한 무대조명 원격 제어장치) 한국등록특허 10-0985439(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 조명제어방법) 한국공개특허 10-2015-0115451(조명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디머를 콘솔 장치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통신 유닛과 조명기를 조작하는 디밍 유닛으로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구현함으로써, 조명기를 조작하는 디밍 유닛의 외형 사이즈가 감소되어 사용자의 휴대 효율성이 증진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최소한의 비용으로 원하는 형태의 조명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밍 유닛만을 이용한 조명기 제어 구성, 통신 유닛과 디밍 유닛을 결합하여 콘솔 장치에 의한 조명기 제어 구성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조명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밍 유닛에 체결되는 연결 유닛으로서, 콘솔 장치와 DMX512 및 RDM 프로토콜 기반의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디밍 유닛과 상기 제1 통신 방식 이외의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솔 장치로부터 콘솔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콘솔 신호가 DMX512 프로토콜 신호인지 RDM 프로토콜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DMX512 프로토콜 신호인 경우에는 수신된 콘솔 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디밍 유닛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된 디밍 유닛은 콘솔 신호에 상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기의 밝기 및 색온도 중 하나 이상의 조절을 수행하고, 상기 디밍 유닛과 상기 연결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장치로 각각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이 제공된다.
연결 유닛은, 상기 연결된 디밍 유닛의 상태 정보 및 주소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부는 미리 지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연결된 디밍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콘솔 신호가 RDM 프로토콜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밍 유닛의 상태 정보를 상기 콘솔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연결 유닛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된 디밍 유닛의 주소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주소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변경 주소 정보는 상기 주소 정보를 대체하도록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디밍 유닛의 주소 정보가 상기 변경 주소 정보로 갱신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변경 주소 정보를 상기 연결된 디밍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머를 콘솔 장치와의 통신을 매개하는 통신 유닛과 조명기를 조작하는 디밍 유닛으로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구현함으로써, 조명기를 조작하는 디밍 유닛의 외형 사이즈가 감소되어 사용자의 휴대 효율성이 증진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최소한의 비용으로 원하는 형태의 조명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밍 유닛만을 이용한 조명기 제어 구성, 통신 유닛과 디밍 유닛을 결합하여 콘솔 장치에 의한 조명기 제어 구성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조명 시스템에 적용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머의 외형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으로 구성되는 디머의 외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유닛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의 연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의 주소 변경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유닛의 통신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으로 구성되는 디머의 외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유닛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머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디밍 유닛(210)과 통신 유닛(220)으로 구현된다.
디밍 유닛(210)에는 사용자가 조명기(320)의 밝기 및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위치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디밍 유닛(210) 자체에 구비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연결된 조명기(320)의 밝기 및/또는 색온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디밍 유닛(210)과 조명기(320)만이 서로 연결된 조명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콘솔 장치(310)로부터 콘솔 신호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조명기(320)를 조작하도록 조명 시스템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조명기(320)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210)과 콘솔 장치(310)로부터 콘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220)은 서로 체결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디밍 유닛(210)에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또는/및 통신 유닛(220)을 통해 수신된 콘솔 신호의 내용에 상응하는 조작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 인식된 조작 정보에 상응하여 조명기(320)에 적절한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 등이 구비된다. 전술한 인식 수단 및 공급 수단의 구성 및 동작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머에서도 이미 구비된 것으로서, 별도의 설명의 생략할지라도 당업자는 이들의 구성 및 동작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콘솔 장치(310)로부터 제공되는 콘솔 신호에 상응하도록 디밍 유닛(210)이 구동되어야 하는 경우, 통신 유닛(220)은 디밍 유닛(210)과 결합되어 콘솔 장치(310)로부터 수신한 콘솔 신호를 디밍 유닛(210)으로 제공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신 유닛(220)은 저장부(221), 주소 설정부(223), 통신부(225) 및 관리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1)에는 통신 유닛(220)에 체결된 디밍 유닛(210)의 주소(Address) 정보, 디밍 유닛(210)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동작상태(예를 들어 소모전력,에러 유무 등), 모델명, 제조사, 총 동작시간, 제품 내부 온도 등) 등이 저장된다.
주소 설정부(223)는 디밍 유닛(210)의 주소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를 들어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위치 조작 등을 통해 디밍 유닛(210)에 대해 변경하고자 하는 주소 정보를 설정한다. 변경 주소 정보는 저장부(221)에 저장될 수 있다.
변경하고자 하는 주소 정보는 관리부(227)의 제어에 의해 예를 들어 USART 통신 방식으로 디밍 유닛(21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디밍 유닛(210)은 통신 유닛(220)으로부터 변경 주소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상응하도록 디밍 유닛(210)의 주소 정보를 변경 설정한다.
통신부(225)는 콘솔 장치(310)와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커넥터와, 디밍 유닛(210)과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PLASA 표준기구에서 제정한 DMX512 및 RDM(Remote Device Management)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참고로, DMX512는 전기적으로는 RS-485 통신방식을 바탕으로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써 총 512개의 채널을 가지고, 또한 각 채널당 256 단계의 정보를 가진다. 각 디밍 유닛(210)에는 변경 가능하지만 512개의 채널 중 어느 하나가 고유의 주소 정보로 설정되고, 각 디밍 유닛(210)은 512개의 채널 중 자기 주소 정보와 일치하는 채널의 정보를 밝기 또는 색온도로 인식하고 연결된 조명기(320)를 제어한다.
이에 비해, RDM은 DMX512의 확장 프로토콜로써 DMX512와 달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 유닛(220)은 RD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저장부(221)에 저장되어 있는 디밍 유닛(210)의 상태 정보를 콘솔 장치(310)로 전송하여, 콘솔 장치(31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원격에서 디밍 유닛(21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USART(Universal Synchronous/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5)는 해당 통신 유닛(220)이 타 디밍 유닛에 연결된 타 통신 유닛으로 콘솔 장치(310)로부터 수신된 콘솔 신호를 전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용하기 위한 통신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관리부(227)는 콘솔 장치(310)에서 전송된 콘솔 신호가 통신부(225)를 통해 수신되면, 콘솔 신호의 형식을 해석하여 통신 신호가 단방향 신호(예를 들어, DMX512 프로토콜 신호)인지 양방향 신호(예를 들어, RDM 프로토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콘솔 신호에는 DMX512 프로토콜 신호인지 또는 RDM 프로토콜 신호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코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관리부(227)는 콘솔 신호의 형식(즉, 해당 코드의 정보)을 해석하여 콘솔 신호가 단방향 신호인지 양방향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콘솔 신호가 단방향 신호인 경우에는 조명기(320)의 밝기 및/또는 색온도 조절을 위한 신호로 인식하고, 관리부(227)는 콘솔 신호를 디밍 유닛(21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한 후 통신부(225)를 통해 콘솔 신호를 디밍 유닛(210)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만일 콘솔 신호가 양방향 신호인 경우에는 디밍 유닛(210)의 동작 상태 파악을 위한 신호로 인식하고, 관리부(227)는 저장부(221)에 저장된 디밍 유닛(210)의 상태 정보를 통신부(225)를 통해 콘솔 장치(310)로 제공한다.
관리부(227)는 디밍 유닛(210)로부터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저장부(221)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디밍 유닛(210)의 상태 정보는 디밍 유닛(210)의 동작상태(예를 들어 소모전력,에러 유무 등), 모델명, 제조사, 총 동작시간, 제품 내부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델명, 제조사 등의 정보는 디밍 유닛(210)의 내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총 동작시간, 내부 온도 등은 디밍 유닛(210) 내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센싱된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밍 유닛(210)과 통신 유닛(220)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개별 장치로 구현되고, 디밍 유닛(210)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개별 사용되거나 통신 유닛(220)과 체결하여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통신 유닛(220)이 콘솔 신호를 해석하고, 콘솔 장치(310) 및 디밍 유닛(210)간의 통신을 매개하는 구성요소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통신 유닛(220)와 디밍 유닛(210)간의 통신 회선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일부 프로세싱 처리를 통신 유닛(220)에서 수행함으로써 디밍 유닛(210)의 프로세싱 부하를 감소시키는 특징도 있다.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콘솔 장치(310), 통신 유닛(220) 및 디밍 유닛(210) 상호간의 통신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의 연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의 주소 변경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유닛의 통신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원 인가된 디밍 유닛(210)과 통신 유닛(220)간의 통신 과정이 예시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전원 인가된 통신 유닛(220)은 체결 상태로서 전원 인가된 디밍 유닛(210)으로 인식 신호를 전송한다.
통신 유닛(220)에서 입력된 인식 신호가 정상적으로 감지되면, 디밍 유닛(210)은 구비된 표시 화면(도시되지 않음) 상에 연결 상태를 표시한다(단계 420).
단계 430에서, 디밍 유닛(210)은 연결 상태로 인식된 통신 유닛(220)으로 디밍 유닛(210)에 할당되어 저장된 주소 정보와 디밍 유닛(210)의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440에서, 통신 유닛(220)은 디밍 유닛(210)으로부터 수신된 주소 정보와 디밍 유닛(210)의 상태 정보를 저장부(221)에 저장한다.
여기서, 디밍 유닛(210)과 통신 유닛(220)간의 통신은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구비된 통신 커넥터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유닛(220)은 디밍 유닛(210)과 체결된 시점에 체결 상태인 디밍 유닛(210)을 인식하기 위한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통신 유닛(220)은 복수의 디밍 유닛(210)에 대해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디밍 유닛(210)에 대해 할당된 주소 정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디밍 유닛(210)의 주소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과정이 예시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사용자는 통신 유닛(220)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디밍 유닛(210)에 대한 변경 주소 정보를 설정한다.
디밍 유닛(210)은 통신 유닛(220)으로부터 변경 주소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520), 수신된 변경 주소 정보를 표시 화면에 출력하며 또한 구비된 저장부에 변경 주소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530).
도 6에는 통신 유닛(220)이 콘솔 장치(310)와 디밍 유닛(210)간의 통신을 매개하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유닛(220)은 체결된 디밍 유닛(210)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부(221)에 저장한다(단계 610).
또한 통신 유닛(220)은 단계 620에서 콘솔 장치(310)로부터 콘솔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콘솔 장치(310)와 통신 유닛(220) 간의 통신은 제1 통신 방식, 즉 DMX512 및 RDM(Remote Device Management)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 방식으로 실시된다.
만일 콘솔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단계 620에서 대기한다. 그러나 만일 콘솔 신호가 수신되었다면, 단계 630에서 통신 유닛(220)은 수신된 콘솔 신호가 단방향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콘솔 신호가 단방향 신호인 경우에는 조명기(320)의 밝기 및/또는 색온도 조절을 위한 신호로 인식하고, 단계 640에서 통신 유닛(220)은 콘솔 신호를 디밍 유닛(21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한 후 디밍 유닛(210)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만일 콘솔 신호가 양방향 신호인 경우에는 디밍 유닛(210)의 동작 상태 파악을 위한 신호로 인식하고, 단계 650에서 통신 유닛(220)은 저장부(221)에 저장된 디밍 유닛(210)의 상태 정보를 콘솔 장치(310)로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디머 110, 120 : 통신 커넥터
210 : 디밍 유닛 220 : 통신 유닛
221 : 저장부 223 : 주소 설정부
225 : 통신부 227 : 관리부
310 : 콘솔 장치 320 : 조명기

Claims (4)

  1. 디밍 유닛에 체결되는 연결 유닛으로서,
    콘솔 장치와 DMX512 및 RDM 프로토콜 기반의 제1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디밍 유닛과 상기 제1 통신 방식 이외의 제2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솔 장치로부터 콘솔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콘솔 신호가 DMX512 프로토콜 신호인지 RDM 프로토콜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DMX512 프로토콜 신호인 경우에는 수신된 콘솔 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디밍 유닛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된 디밍 유닛은 콘솔 신호에 상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기의 밝기 및 색온도 중 하나 이상의 조절을 수행하고,
    상기 디밍 유닛과 상기 연결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장치로 각각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디밍 유닛의 상태 정보 및 주소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부는 미리 지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연결된 디밍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콘솔 신호가 RDM 프로토콜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밍 유닛의 상태 정보를 상기 콘솔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된 디밍 유닛의 주소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 주소 정보를 설정하는 주소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변경 주소 정보는 상기 주소 정보를 대체하도록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디밍 유닛의 주소 정보가 상기 변경 주소 정보로 갱신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변경 주소 정보를 상기 연결된 디밍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
KR1020170116573A 2017-09-12 2017-09-12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 KR102446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573A KR102446192B1 (ko) 2017-09-12 2017-09-12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573A KR102446192B1 (ko) 2017-09-12 2017-09-12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240A true KR20190029240A (ko) 2019-03-20
KR102446192B1 KR102446192B1 (ko) 2022-09-22

Family

ID=6603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573A KR102446192B1 (ko) 2017-09-12 2017-09-12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1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193B1 (ko) 2008-09-08 2009-12-07 김동천 디지털 무대조명 제어시스템
KR100985439B1 (ko) 2008-01-02 2010-11-09 루미너스엘이디(주)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조명제어방법
KR101153976B1 (ko) 2012-01-31 2012-06-08 포스인주식회사 미믹보드를 이용한 무대조명 원격 제어장치
KR20140124529A (ko) * 2013-04-17 2014-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장치
KR20150115451A (ko) 2014-04-04 2015-10-14 (주)포스티엄코리아 조명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439B1 (ko) 2008-01-02 2010-11-09 루미너스엘이디(주) Dmx512 프로토콜 환경에서의 조명제어시스템 및조명제어방법
KR100930193B1 (ko) 2008-09-08 2009-12-07 김동천 디지털 무대조명 제어시스템
KR101153976B1 (ko) 2012-01-31 2012-06-08 포스인주식회사 미믹보드를 이용한 무대조명 원격 제어장치
KR20140124529A (ko) * 2013-04-17 2014-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장치
KR20150115451A (ko) 2014-04-04 2015-10-14 (주)포스티엄코리아 조명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192B1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9790C (zh) 无线控制照明系统的初始化
US8626318B2 (en) Lamp device
CN109479356B (zh) 通用智能照明网关
EP2277360B1 (en) Configurable lighting devices under broadcast control
CN101444145A (zh) 具有连接分组的照明系统
US9095015B2 (en) Configurable light fixture, configurable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lighting system
CN101547543B (zh) 照明系统
JP201019887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CN104247570B (zh) 照明系统及其控制单元
CN106713760A (zh) 终端、led灯的控制显示系统和方法
US10568190B2 (en) Remote control, lighting system, and luminaire
KR100836533B1 (ko) 조명기기용 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80153024A1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KR101638441B1 (ko) 교실 조명 제어 시스템
EP2579691B1 (en) Intelligent switch modul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N101861760A (zh) 用于数据输出的照明单元的操作装置
KR20120095154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433377B2 (en) Control circuit for modulating an analog dimming command signal
KR20190029240A (ko) 조명기를 조작하기 위한 디밍 유닛과 통신 유닛
JP2010523037A (ja) 制御回路、装置を動作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このような制御回路にプログラムを書き込むための装置
KR102141866B1 (ko) 조명 통합 관리 시스템
JP200915828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3451984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KR101414864B1 (ko) 무선랜 기반의 디지털 멀티플렉서 제어시스템
KR102147579B1 (ko) 조명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