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158A - Cold storage evaporator - Google Patents

Cold storage evapo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158A
KR20190029158A KR1020170116371A KR20170116371A KR20190029158A KR 20190029158 A KR20190029158 A KR 20190029158A KR 1020170116371 A KR1020170116371 A KR 1020170116371A KR 20170116371 A KR20170116371 A KR 20170116371A KR 20190029158 A KR20190029158 A KR 20190029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efrigerant
refrigerant flow
space
sp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3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욱
김종원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6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9158A/en
Publication of KR2019002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1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9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comprising regenerative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 accumulators
    • B60H1/005Regenerative cooling means, e.g. cold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34Header boxes; End plates having a second heat exchanger disposed there within, e.g. oil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8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by using inserts for modifying the pattern of flow inside the header box, e.g. by using flow restrictors or permeable bodies or blocks with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2009/0285Other particular headers or end plates
    • F28F2009/0287Other particular headers or end plates having passages for different heat exchange 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A cold storage evaporator comprises: a pair of header tanks each having a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formed to a refrigerant to flow and a cold storage material space filled with a cold storage material,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connecting the refrigerant flow spaces in the header tanks to each other for the refrigerant to flow between the header tanks; and a heat exchange pin interposed between the refrigerant tubes and a plurality of cold storage material tubes. The refrigerant flow space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air-flow direction, and the cold storage material space is formed with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Moreover, an outer surface in the height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refrigerant flow spaces to enable the outer surface to be surrounded by at least one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Description

축냉 증발기{Cold storage evaporator}Cold storage evaporator < RTI ID = 0.0 >

본 발명은 차량 정지 시와 같이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의 압축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도 냉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축냉재를 저장하는 축냉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runken evaporator for storing a shrunken cold material so as to perform a cooling function even when the compressor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not operating, such as when the vehicle is stopped.

연비 향상을 위해 아이들 스탑/고(idle stop and go) 기능을 적용한 차량이 늘고 있다. 아이들 스탑/고 기능은 신호 대기 등으로 차량이 정지하는 경우 엔진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재출발 시에 엔진이 재시동되도록 한다.To improve fuel efficiency, more and more vehicles are equipped with idle stop and go functions. The idle stop / high function stops the engin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due to signal waiting or the like and causes the engine to restart upon restarting.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은 엔진의 동력에 의해 압축기가 구동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아이들 스탑/고 작동에 의해 엔진이 멈추는 경우 압축기의 구동 역시 멈춰지게 되어 냉방 기능이 수행되지 못한다. 이와 같은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의 작동 정지는 냉방 기능의 멈춤에 의해 승객에게 불편을 줄뿐만 아니라 재시동 시에 압축기 및 증발기가 재작동되어야 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유발한다.Since the compressor of the vehicle is driven by the engine,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s also stopped when the engine is stopped by the idle stop / high operation, so that the cooling function can not be performed. Such shutdow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not only inconveniences the passenger due to the stopping of the cooling function but also causes the problem of degrading the energy efficiency since the compressor and the evaporator must be re-operated upon restarting.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축냉재(cold storage material)를 이용하는 축냉 증발기가 소개되었다. 축냉 증발기는 냉기를 저장할 수 있는 축냉재를 증발기에 저장시켜 압축기 정지 시에도 축냉재와의 열 교환을 통해 공기 냉각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2-20828호에 소개된 축냉 증발기는 냉매가 흐르는 튜브를 이중 관 구조로 형성하여 냉매가 흐르는 통로 주위에 축냉재가 저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냉매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이중 관 구조의 축냉 증발기는 제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정상 작동 시에 냉매를 둘러싸는 축냉재에 의해 냉매와 공기와의 열 교환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To solve this problem, a cold evaporator using a cold storage material has been introduced. The cold evaporator stores the cold cold storage material in the evaporator so that the air cooling fun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heat exchange with the cold storage material even when the compressor is stopped.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20828 discloses a coaxial evaporator in which a tub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is formed in a double tube structure so that the refrigerant is stored arou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thereby cooling the refrigerant. Such a double-tube-structured condenser evaporator is not only complicated to manufacture,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air is deteriorated by the condenser surrounding the refrigerant in normal operation.

한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29417호에 소개된 축냉 증발기는 헤더 내의 공간을 공기 흐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세 개의 부분으로 나누고 양쪽 외측의 냉매 공간에는 냉매가 흐르고 가운데에 위치하는 중간 공간에 축냉재가 저장되도록 구성되었다. 이때 양쪽 외측의 냉매 공간은 축냉재가 채워지는 중간 공간에 의해 서로 이격되도록 분리되며, 축냉재의 길이방향을 끝을 정의하기 위한 구획 배플이 설치되어 중간 공간 중 축냉재가 채워지는 공간을 한정한다. 이로 인해 구획 배플 너머에 있는 중간 공간에는 축냉재가 채워지지 않게 되고 냉매가 이 공간을 통과하여 양쪽 외측의 냉매 공간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축냉 증발기의 경우 유입되는 냉매가 축냉재가 채워진 공간의 일측 면과 열 교환을 하고 또한 배출되는 냉매가 축냉재가 채워진 공간의 다른 일측 면과 열 교환을 하게 된다. 따라서 냉매 흐름과 축냉재가 채워진 공간 사이의 열 교환이 단일한 제한된 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 교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중간 공간이 양측의 냉매 공간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고 구획 배플 너머에 있는 중간 공간에는 축냉재가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 공간 활용이 어렵고 중간 공간의 상측 및 하측 면을 통해서는 열 교환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열 교환 면적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Meanwhile, the co-evaporator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29417 divides the space in the header into three parts arranged in the air flow direction, and the refrigerant flows to the refrigerant spaces on both sides and the intermediate space And an axial coolant is stored.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spaces on both sid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intermediate space filled with the axial coolant, and a partition baffle for defining the end direction of the axial coolant is provided to define a space in which the axial coolant is filled in the intermediate space . As a result, the intermediate space above the compartment baffle is not filled with the axial coolant, and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is space and moves between the refrigerant spaces on both sides. In the case of the thus-constructed condenser-type evaporator, the introduced refrigerant undergoes heat exchange with one side of the space filled with the axial coolant, and the discharged refrigerant undergoes heat exchange with the other side of the space filled with the axial coolant. Therefor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refrigerant flow and the space filled with the coolant is limited in a single limited plane,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low. In addition, because the intermediate space separates the refrigerant spaces on both sides and the intermediate space on the baffle beyond the baffle is not filled with axial coolant, efficient space utilization is difficult and heat exchange does not occur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termediate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exchange area is limited.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2-20828호 (공개일자: 2002년 01월 23일)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20828 (published date: January 23, 200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29417호 (공개일자: 2012년 11월 28일)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29417 (public date: November 28, 20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축냉재에 의한 열 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축냉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shrink evaporator capable of enhancing heat exchange efficiency by a condensation coola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증발기는 냉매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및 축냉재가 채워지는 축냉재 공간을 각각 구비하며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 탱크,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 사이의 냉매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의 냉매 흐름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냉매 튜브, 그리고 상기 복수의 냉매 튜브 사이 및 상기 복수의 축냉재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열 교환 핀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은 공기 흐름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축냉재 공간은 상기 냉매 흐름 공간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높이 방향의 외측 면이 상기 냉매 흐름 공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내에 배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nt evaporator comprising a pair of header tanks each having a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and a freezing space filled with a freezing material and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for connecting the refrigerant flow spaces of the pair of header tanks to each other so as to allow the flow of the refrigerant between the header tanks, and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 Wherein the pair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and the axial refrigerant space is formed to have a smaller height than the refrigerant flow space, In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과 상기 축냉재 공간은 상기 헤더 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은 상기 열 교환 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축냉재 공간은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의 내측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The pair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and the axial coolant space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er tank, and the pair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may extend along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passing between the heat exchange fins And the axial coolant space may be disposed at an inner bottom of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냉 증발기는 상기 축냉재 공간의 높이 방향의 외측에서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사이를 연통시키는 냉매 연통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evaporation evaporator may further include a refrigerant communication path communicating between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on the out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axial coolant spa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냉 증발기는 상기 냉매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냉매 흐름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 흐름 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 배플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densation evapo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compartment baffles disposed in the refrigerant flow space to guid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to partition the refrigerant flow space.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과 상기 축냉재 공간은 상기 헤더 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은 상기 열 교환 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축냉재 공간은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The pair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and the axial coolant space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er tank, and the pair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may extend along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passing between the heat exchange fins And the axial coolant space may be disposed at an inner bottom of one of the pair of the coolant flow spac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냉 증발기는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의 축냉재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축냉재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ld storage evapo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old storage tubes for connecting the cold storage spaces of the pair of header tanks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증발기는 냉매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및 축냉재가 채워지는 축냉재 공간을 각각 구비하며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 탱크,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 사이의 냉매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의 냉매 흐름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냉매 튜브, 그리고 상기 복수의 냉매 튜브 사이 및 상기 복수의 축냉재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열 교환 핀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은 바닥 부재 및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축냉재 공간은 상기 바닥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 내에 배치되는 내부 커버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내부 커버 부재의 높이 방향의 외측 면이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nt evaporator comprising a pair of header tanks each having a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and a freezing space filled with a freezing material and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for connecting the refrigerant flow spaces of the pair of header tanks to each other so as to allow the flow of the refrigerant between the header tanks, and a plurality of heat exchange fins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are formed by a bottom member and a pair of outer cover members, and the axial coolant space is formed by an inner cover member disposed in the bottom member and the pair of outer cover members. And the outer surfac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ner cover member is surrounded by at least one of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상기 바닥 부재는 베이스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의 양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는 외측 천장부, 상기 외측 천장부의 외측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외측벽부, 그리고 외측 천장부의 내측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벽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커버 부재는 내측 천장부, 그리고 상기 내측 천장부의 외측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의 내측백부는 서로 밀착되고 내측 단이 상기 내부 커버 부재의 상기 내측 천장부의 외면에 연결될 수 있다.The bottom member may include a base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 The pair of outer cover members may include an outer ceiling portion, an outer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outer end of the outer ceiling portion, And an inner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at the inner end of the outer ceiling portion. The inner cover member may include an inner ceiling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outer end of the inner ceiling portion. The inner back portion of the pair of outer cover members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an b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eiling portion.

상기 바닥 부재는 베이스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의 양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는 외측 천장부, 상기 외측 천장부의 외측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외측벽부, 그리고 외측 천장부의 내측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벽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커버 부재는 내측 천장부, 그리고 상기 내측 천장부의 외측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의 내측벽부는 서로 밀착되고 내측 단이 상기 바닥 부재의 베이스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커버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bottom member may include a base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 The pair of outer cover members may include an outer ceiling portion, an outer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outer end of the outer ceiling portion, And an inner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at the inner end of the outer ceiling portion. The inner cover member may include an inner ceiling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at an outer end of the inner ceiling portion. The inner side wall portions of the pair of outer cover members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of the bottom member and the inner cover member may be formed by the pair of outer cover members and the bottom member, May be disposed within any one of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중 상기 내부 커버 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이 나머지 하나의 공간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 space in which the inner cover member is disposed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width than the remaining one of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본 발명에 의하면, 축냉재 공간이 냉매 흐름 공간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축냉재에 의한 열 교환이 촉진되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xial coolant space is located in the refrigerant flow space, the heat exchange by the axial coolant is promoted and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증발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증발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증발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증발기에서 냉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냉 증발기의 도 4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hroud evapo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roud-type evapo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shroud-type evapo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refrigerant in the co-evapo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4 of a coalesced evapo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증발기는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의 증발기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기존의 증발기에 축냉재를 이용한 추가 냉방 기능이 더해진 장치이다.The shroud evapo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evaporator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vehicle, and an additional cooling function using an axial coolant is added to a conventional evaporator.

먼저, 도 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냉 증발기는 한 쌍의 헤더 탱크(header tank)(10, 20)를 구비한다. 한 쌍의 헤더 탱크(10, 20)는 길이방향(도 1 및 도 2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부호 10에 의해 지시된 헤더 탱크를 제1 헤더 탱크라 하고 도면부호 20에 의해 지시된 헤더 탱크를 제2 헤더 탱크라 한다.1 to 5, a co-evapo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header tanks 10 and 20. The pair of header tanks 10 and 20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in Figs. 1 and 2) and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Hereinafter, the header tank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 is referred to as a first header tank, and the header tank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0 is referred to as a second header tank.

제1 헤더 탱크(10)는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11, 12), 그리고 축냉재 공간(13)을 포함한다. 동일하게, 제2 헤더 탱크(20)는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21, 22), 그리고 축냉재 공간(23)을 포함한다. 냉매 흐름 공간(11, 12, 21, 22)은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축냉재 공간(13, 23)은 축냉재가 채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first header tank 10 includes a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11 and 12, and an axial coolant space 13. Likewise, the second header tank 20 includes a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21 and 22, and an axial coolant space 23. The refrigerant flow spaces 11, 12, 21, and 22 are formed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and the axial coolant spaces 13 and 23 are formed so that the axial coolant can be filled.

제1 및 제2 헤더 탱크(10, 20) 사이의 냉매의 흐름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냉매 튜브(31, 32)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31의 냉매 튜브(31)는 제1 헤더 탱크(10)의 냉매 흐름 공간(11)과 제2 헤더 탱크(20)의 냉매 흐름 공간(21)을 연결하고, 도면부호 32의 냉매 튜브(32)는 제2 헤더 탱크(10)의 냉매 흐름 공간(12)과 제2 헤더 탱크(20)의 냉매 흐름 공간(22)을 연결한다. 냉매 튜브(31, 32)는 냉매의 흐름을 위해 상하로 관통되는 통로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튜브(31, 32)는 서로 이격된 헤더 탱크(10, 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냉매 튜브(31, 32)가 헤더 탱크(10, 2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각각 줄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31, 32) are provided for enabl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er tanks (10, 20). The refrigerant tube 31 of the reference numeral 31 connects the refrigerant flow space 11 of the first header tank 10 and the refrigerant flow space 21 of the second header tank 20, 32 connect the refrigerant flow space 12 of the second header tank 10 and the refrigerant flow space 22 of the second header tank 20. [ The refrigerant tubes (31, 32) are provided with passages vertically passing through for the flow of the refrigerant. 2 and 4, the refrigerant tubes 31 and 32 may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eader tanks 10 and 20 spaced from each other, The refrigerant tubes 31 and 32 of the header tanks 10 and 20 may be arranged in a 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header tanks 10 and 20, respectively.

냉매는 도면부호 31에 의해 지시된 냉매 튜브를 통해 도면부호 11, 21에 의해 지시된 냉매 흐름 공간 사이를 이동하고, 도면부호 32에 의해 지시된 냉매 튜브를 통해 도면부호 12, 22에 의해 지시된 냉매 흐름 공간 사이를 이동한다.The refrigerant travels between the refrigerant flow space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s 11, 21 through the refrigerant tube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31 and through the refrigerant tube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32, And moves between the refrigerant flow spaces.

도 1을 참조하면, 냉매 인렛(41)이 냉매 흐름 공간(11)에 연결되고, 냉매 아웃렛(42)이 냉매 흐름 공간(12)에 연결된다. 냉매 인렛(41)을 통해 유입된 냉매는 제1 헤더 탱크(10), 냉매 튜브(31, 32), 제2 헤더 탱크(20)를 경유한 후 냉매 아웃렛(42)을 통해 배출된다. 원하는 냉매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구획 배플(51, 52), 냉매 연통 통로(5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의 위치 및 그에 따른 냉매 흐름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a refrigerant inlet 41 is connected to a refrigerant flow space 11, and a refrigerant outlet 42 is connected to a refrigerant flow space 12. The refrigerant introduce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41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42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der tank 10, the refrigerant tubes 31 and 32 and the second header tank 20. Compartment baffles 51 and 52 and a refrigerant communication passage 53 may be provided to form a desired refrigerant flow, and their location and refrigerant flow therebetween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제1 헤더 탱크(10)의 축냉재 공간(13)과 제2 헤더 탱크(20)의 축냉재 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축냉재 튜브(33)가 구비될 수 있다. 축냉재 튜브(33)는 축냉재의 이동을 위해 상하로 관통되는 통로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냉재 튜브(33)는 서로 이격된 헤더 탱크(10, 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축냉재 튜브(33)가 헤더 탱크(10, 2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줄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튜브(31, 32)의 열 사이에 축냉재 튜브(33)의 열이 배열될 수 있다.Meanwhile, a cold storage material tube 33 for connecting the cold storage space of the first header tank 10 to the cold storage space of the second header tank 20 may be provided. The axial coolant tube (33) has passages vertically passing through for the movement of the axial coolant. 2 and 4, the axial coolant tubes 33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eader tanks 10 and 20 spaced from each other, The axial coolant tubes 33 may be arranged in a 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header tanks 10, 2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heat of the axial coolant tube 33 may be arranged between the rows of the refrigerant tubes 31 and 32.

공기와의 열 교환을 위한 열 교환 핀(34)이 냉매 튜브(31, 32) 및 축냉재 튜브(3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도시의 편의를 위해 상하로 중간 부분에 위치되는 열 교환 핀(34)은 생략되었다.A heat exchange fin 34 for heat exchange with ai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efrigerant tubes 31 and 32 and the axial coolant tube 33. In the drawings, the heat exchange fins 34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intermediate portion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이하에서 위와 같은 냉매 흐름 통로(11, 12, 21, 22) 및 축냉재 공간(13, 23)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부재들에 대해 설명한다.Exemplary members for forming the above-described refrigerant flow passages (11, 12, 21, 22) and the axial coolant spaces (13, 23)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를 참조하면, 제1 헤더 탱크(10)는 바닥 부재(101),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102, 103) 그리고 내부 커버 부재(104)를 포함한다. 바닥 부재(101)는 공기의 유동 방향(도 1 참조)(X축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헤더 탱크(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header tank 10 includes a bottom member 101, a pair of outer cover members 102 and 103, and an inner cover member 104. The bottom member 101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see FIG. 1) (X-axis direction)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er tank 10.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바닥 부재(101)는 베이스부(101a)와 그 양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벽부(101b)를 포함한다. 외부 커버 부재(102,103)는 천장부(102a, 103a), 천장부(102a, 103a)의 외측 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벽부(102b, 103b), 그리고 천장부(102a, 103a)의 내측 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벽부(102c, 103c)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부재(101)와 외부 커버 부재(102, 103)가 결합되어 냉매 흐름 통로(11, 12)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커버 부재(102, 103)의 외측벽부(102b, 103b)가 바닥 부재(101)의 외측벽부(101b)와 각각 접촉된다. 바닥 부재(101)의 베이스부(101a)에는 위에서 설명한 냉매 튜브(31, 32)와 축냉재 튜브(33)의 단부가 삽입되는 체결 구멍(101c, 101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커버 부재(102, 103)의 외측벽부(102b, 103b)가 바닥 부재(101)의 외측벽부(101b)는 용접, 브레이징 등의 방법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 커버 부재가 단일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외부 커버 부재와 바닥 부재가 단일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2 and 4, the bottom member 101 includes a base portion 101a and an outer wall portion 101b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both ends thereof. The outer cover members 102 and 103 are connected to the outer side wall portions 102b and 103b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outer ends of the ceiling portions 102a and 103a and the ceiling portions 102a and 103a, And inner side wall portions 102c and 103c extending to the outer side. As shown in FIG. 2, the bottom member 101 and the outer cover members 102 and 103 are combined to form the refrigerant flow passages 11 and 12. Specifically, the outer wall portions 102b and 103b of the outer cover members 102 and 103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portion 101b of the bottom member 101, respectively. Fastening holes 101c and 101d into which the end portions of the refrigerant tubes 31 and 32 and the axial coolant tubes 33 described above are inserted can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101a of the bottom member 101. [ At this time, the outer side wall portions 102b and 103b of the outer cover members 102 and 103 and the outer side wall portions 101b of the bottom member 101 may be joined to each other by welding, brazing,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outer cover member may be formed as a single member, and the outer cover member and the bottom member may be formed as a single member.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축냉재 공간(13)을 형성하기 위한 내측 커버 부재(104)가 구비된다. 내측 커버 부재(104)는 천장부(104a), 그리고 천장부(104a)의 양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104b)를 포함한다. 이때, 측벽부(104b)의 내측 단(도 4에서 하측 단)이 바닥 부재(101)의 베이스부(101a)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내측 커버 부재(104)에 의해 축냉재 공간(13)이 형성된다. 이때, 측벽부(104b)에는 체결 돌기(104c)가 구비될 수 있고, 바닥 부재(101)와 내측 커버 부재(104)는 이 체결 돌기(104c)가 바닥 부재(101)의 베이스부(101a)에 형성된 체결 홈(101e)에 삽입되는 상태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커버 부재(104)의 천장부(104a)에는 체결 구멍(104d)이 형성될 수 있고 외부 커버 부재(102, 103)의 내측벽부(102c, 103c)에 구비되는 체결 돌기(102d, 103d)가 체결 구멍(104d)에 끼워질 수 있다.2 and 4, an inner cover member 104 for forming the axial coolant space 13 is provided. The inner cover member 104 includes a ceiling portion 104a and side wall portions 104b extending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ceiling portion 104a. At this time, the inner end (the lower end in Fig. 4) of the side wall part 104b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101a of the bottom member 101 so that the axial coolant space 13 . At this time, the side wall 104b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104c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04c of the bottom member 101 and the inner cover member 104 may be inserted into the base portion 101a of the bottom member 101,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01e) The fastening protrusions 102d and 103d provided on the inner wall portions 102c and 103c of the outer cover members 102 and 103 can be formed in the ceiling portion 104a of the inner cover member 104, Can be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104d.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바닥 부재(101), 외부 커버 부재(102, 103), 그리고 내부 커버 부재(104)에 의해 제1 헤더 탱크(10)의 냉매 흐름 통로(11, 12)와 축냉재 공간(13)이 형성된다. 이때, 양측 단을 밀봉하기 위한 캡 부재(105, 106)가 구비된다. 냉매 인렛(41)과 냉매 아웃렛(42)이 연결되는 캡 부재(105)에는 냉매 인렛(41)과 냉매 아웃렛(42)의 삽입을 위한 관통공(105a, 105b)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반대측의 캡 부재(106)에는 축냉재의 주입을 위한 주입 구멍(106a)과 이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106b)가 구비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flow passages 11 and 12 of the first header tank 10 and the axial coolant spaces 13 and 12 of the first header tank 10 are separated by the bottom member 101, the outer cover members 102 and 103 and the inner cover member 104, Is formed. At this time, cap members 105 and 106 for sealing both ends are provided. The cap member 105 to which the refrigerant inlet 41 and the refrigerant outlet 42 are connected may be provided with through holes 105a and 105b for inserting the refrigerant inlet 41 and the refrigerant outlet 42, The cap member 106 may be provided with an injection hole 106a for injecting the axial coolant and a cap 106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hole 106a.

제2 헤더 탱크(20)와 제1 헤더 탱크(1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헤더 탱크(20)는 바닥 부재(201),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202, 203), 그리고 내부 커버 부재(2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제1 헤더 탱크(10)의 대응하는 부재들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반대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제2 헤더 탱크(20)의 양측 단의 밀봉을 위한 캡 부재(205, 206)가 구비된다.And may be configured similar to the second header tank 20 and the first header tank 10. The second header tank 20 may include a bottom member 201, a pair of outer cover members 202 and 203, and an inner cover member 204, They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members and are arr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up and down as shown in Fig. And cap members 205 and 206 for sealing both side ends of the second header tank 20 are provided.

바닥 부재(201)는 베이스부(201a)와 그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201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외측 커버 부재(202, 203)는 천장부(202a, 203a), 외측벽부(202b, 203b), 내측벽부(202c, 203c)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01a)에는 냉매 튜브(31, 32) 및 축냉재 튜브(33)의 단부가 삽입되는 체결 구멍(201c, 201d)가 구비될 수 있다.The bottom member 201 may include a base portion 201a and a side wall portion 201b extending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base member 201a. The outer cover members 202 and 203 may include ceiling portions 202a and 203a, an outer wall portion 202b , 203b, and inner side walls 202c, 203c, respectively. The base portion 201a may be provided with fastening holes 201c and 201d into which the ends of the refrigerant tubes 31 and 32 and the axial coolant tube 33 are inserted.

내부 커버 부재(204)는 천장부(204a)와 그 양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204b)를 구비할 수 있다. 내부 커버 부재(204)는 측벽부(204b)의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 돌기(204c)가 바닥 부재(201)에 구비되는 체결 구멍(201e)에 삽입되는 상태로 바닥 부재(201)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커버 부재(204)의 천장부(204a)에 체결 구멍(204e)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커버 부재(202, 203)의 내측벽(202c, 203c)의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 돌기(202d, 203d)가 체결 구멍(204e)에 삽입될 수 있다.The inner cover member 204 may have a ceiling portion 204a and side wall portions 204b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both ends thereof. The inner cover member 204 can be fastened to the bottom member 201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protrusion 204c provided at the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204b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01e provided in the bottom member 201 have. A fastening hole 204e can be formed in the ceiling portion 204a of the inner cover member 204 and fastening protrusions 202d and 202d provided at the ends of the inner walls 202c and 203c of the outer cover members 202 and 203, 203d can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204e.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위에서 언급한 냉매 연통 통로(53)가 외부 커버 부재(202, 203)의 내측벽(202c, 203c)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매가 냉매 연통 통로(53)를 통해서 냉매 흐름 통로(21, 22)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2 and 5, the refrigerant communication passage 53 may be formed through the inner walls 202c and 203c of the outer cover members 202 and 203, respectively. Thereby, the refrigerant can move between the refrigerant flow passages (21, 22) through the refrigerant communication passage (53).

그리고 냉매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냉매 흐름 공간(11, 12, 21, 22)에 배치되어 냉매 흐름 공간(11, 12, 21, 22)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 배플(51, 5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획 배플(51, 52)의 개수 및 위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원하는 냉매 흐름을 만들기 위해 구획 배플의 개수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구획 배플(51, 52)을 냉매 흐름 공간(11, 12, 21, 22)을 폐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바닥 부재(101, 201)에 체결된 내부 커버 부재(104, 204)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And one or more compartment baffles (51, 52) arranged in the refrigerant flow spaces (11, 12, 21, 22) so as to guid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to partition the refrigerant flow spaces (11, 12, 21, 22) have.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compartment baffles 51, 52 shown in FIG. 2 are exemplary and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compartment baffles can be varied to create the desired refrigerant flow.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artition baffles 51 and 52 have shapes that can close the refrigerant flow spaces 11, 12, 21 and 22, and the inner cover members 104 and 105 fastened to the bottom members 101 and 201, 204, respectively.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커버 부재(104, 204)의 높이 방향(도면에서 Z축 방향)의 외측 면(즉, 도면부호 104의 내부 커버 부재의 도면 상의 상측 면, 그리고 도면부호 204의 내부 커버 부재의 도면 상의 하측 면)이 냉매 흐름 공간(11, 12, 21, 22)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 부재(102, 103)(202, 203)의 내측벽부(102c, 103c)(202c, 203c)는 서로 밀착되며 그 내측 단이 내부 커버 부재(104, 204)의 천장부(104a, 204a)의 외면에 연결될 수 있다.2 and 4,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ver members 104 and 204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that is, the upper surface in the drawing of the inner cover member 104, And the lower side in the drawing of the inner cover member 204) are surrounded by at least one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11, 12, 21, 22.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ner wall portions 102c, 103c (202c, 203c) of the outer cover members 102, 103 (202, 20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204, 204a of the first, second,

도 6을 참조하면, 냉매 인렛(41)을 통해 유입된 냉매는 도면부호 11의 냉매 흐름 통로를 지나다가 구획 배플(51)에 의해 냉매 튜브(32)를 통해 도면부호 21의 냉매 흐름 통로로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냉매는 도면부호 21의 냉매 흐름 통로를 지나가다 구획 배플(53)에 의해 냉매 튜브(32)를 통해 다시 도면부호 11의 냉매 흐름 통로로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냉매는 냉매 튜브(32)을 통해 다시 도면부호 21의 냉매 흐름 통로로 이동한 후 냉매 연통 통로(53)을 통해 도면부호 22의 냉매 흐름 통로로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냉매는 냉매 튜브(31)를 통해 도면부호 12의 냉매 흐름 통로로 이동한 후 이를 통해 지나다가 구획 배플(51)에 의해 냉매 튜브(31)를 통해 도면부호 22의 냉매 흐름 통로로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냉매를 도면부호 22의 냉매 흐름 통로를 흐르다가 냉매 튜브(31)를 통해 도면부호 12의 냉매 흐름 통로로 이동된 후 냉매 아웃렛(42)의 통해 배출된다.Referring to FIG. 6, the refrigerant introduce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41 passes through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11 and moves to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21 through the refrigerant tube 32 by the partition baffle 51 . The refrigerant then passes through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21 and into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again through the refrigerant tube 32 by the compartment baffle 53. The refrigerant then travels through the refrigerant tube 32 again to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21 and then through the refrigerant communication passage 53 to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22. The refrigerant then travels through the refrigerant tube 31 to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12 and through it to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22 through the refrigerant tube 31 by the compartment baffle 51. The refrigerant then flows through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22 and through the refrigerant tube 31 to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12 and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42.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냉재 공간(13, 23)은 냉매 흐름 공간(11, 12, 21, 22)보다 작은 높이(도 2 및 도 4에서 Z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게 되며, 또한 축냉재 공간(13, 23)의 높이 방향의 외측 면(즉 도면부호 13에 의해 지시된 축냉재 공간은 도면 상의 상면, 도면부호 23에 의해 지시된 축냉재 공간은 도면 상의 하면)이 냉매 흐름 공간(11, 12, 21, 2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xial coolant spaces 13 and 23 have a height (a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in Figs. 2 and 4) smaller than that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11, 12, 21 and 22, The outer surfac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paces 13 and 23 (that is, the upper surface in the drawing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3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drawing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23) are arranged in the refrigerant flow space 11 , 12, 21, 22).

또한, 축냉재 공간(13, 23)을 형성하는 내부 커버 부재(104, 204)가 바닥 부재(101, 201)에 결합되어 축냉재 공간(13, 23)의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11, 12)(21, 22)의 내측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ner cover members 104 and 204 that form the axial coolant spaces 13 and 23 are coupled to the bottom members 101 and 201 so that the pair of coolant flow spaces 11 and 23 of the axial coolant spaces 13 and 23, 12) 21, 22, respectively.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내부 커버 부재(104, 204)의 위치가 다르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member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s of the inner cover members 104 and 204 a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커버 부재(104, 204)가 두 개의 외부 커버 부재(102, 103)(202, 203)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커버 부재(104, 204)가 도면부호 103 및 203에 의해 지시된 외부 커버 부재의 내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외부 커버 부재(102, 103)의 내측벽부(102c, 103c)의 내측 단이 바닥 부재(101)의 베이스부(101a)에 연결되고, 내부 커버 부재(104)는 분리된 두 개의 냉매 흐름 공간(11, 12)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냉매 흐름 공간(11, 12) 중 내부 커버 부재(104)가 배치되는 것이 나머지 것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ner cover members 104, 204 are disposed inside any one of the two outer cover members 102, 103 (202, 203).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inner cover members 104 and 204 are disposed inside the outer cover member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103 and 203. For example, the inner ends of the inner wall portions 102c and 103c of the outer cover members 102 and 103 are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101a of the bottom member 101, May be disposed in one of the two refrigerant flow spaces (11, 12).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figure,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cover member 104 out of the two refrigerant flow spaces 11 and 12 can be formed to have a greater width than the res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20: 헤더 탱크
11, 12, 21, 22: 냉매 흐름 공간
13, 23: 축냉재 공간
31, 32: 냉매 튜브
33: 축냉재 튜브
34: 열 교환 핀
41: 냉매 인렛
42: 냉매 아웃렛
51, 52: 구획 배플
53: 냉매 연통 통로
101, 201: 바닥 부재
102, 103, 202, 203: 외부 커버 부재
104, 204: 내부 커버 부재
10, 20: header tank
11, 12, 21, 22: refrigerant flow space
13, 23: Shaft coolant space
31, 32: Refrigerant tube
33: Axial coolant tube
34: Heat exchange pin
41: Refrigerant inlet
42: Refrigerant outlet
51, 52: Compartment baffle
53: Refrigerant communication passage
101, 201: bottom member
102, 103, 202, 203: outer cover member
104, 204: inner cover member

Claims (13)

냉매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및 축냉재가 채워지는 축냉재 공간을 각각 구비하며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 탱크,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 사이의 냉매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의 냉매 흐름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냉매 튜브, 그리고
상기 복수의 냉매 튜브 사이 및 상기 복수의 축냉재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열 교환 핀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은 공기 흐름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축냉재 공간은 상기 냉매 흐름 공간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높이 방향의 외측 면이 상기 냉매 흐름 공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내에 배치되는 축냉 증발기.
A pair of header tanks each having a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configured to allow a refrigerant to flow therethrough and a axial coolant space filled with the axial coolant,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connecting the refrigerant flow spaces of the pair of header tanks to each other to enabl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between the pair of header tanks,
And a heat exchange fin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olant tubes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coolant tubes,
Wherein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Wherein the axial refrigerant space is formed to have a height smaller than the refrigerant flow space and the out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pair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so as to be surrounded by at least one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과 상기 축냉재 공간은 상기 헤더 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은 상기 열 교환 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축냉재 공간은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의 내측 바닥에 배치되는 축냉 증발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ir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and the axial coolant space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er tank,
Wherein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ar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of an air flow passing between the heat exchange fins,
And the axial cold space is disposed on an inner bottom of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제2항에서,
상기 축냉재 공간의 높이 방향의 외측에서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사이를 연통시키는 냉매 연통 통로를 더 포함하는 축냉 증발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refrigerant communication passage communicating between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on an out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axial cold-generating space.
제3항에서,
상기 냉매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냉매 흐름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 흐름 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 배플을 더 포함하는 축냉 증발기.
4. The method of claim 3,
And one or more compartment baffles disposed in the refrigerant flow space to guid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to partition the refrigerant flow space.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과 상기 축냉재 공간은 상기 헤더 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은 상기 열 교환 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축냉재 공간은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바닥에 배치되는 축냉 증발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ir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and the axial coolant space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er tank,
Wherein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ar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of an air flow passing between the heat exchange fins,
And the axial cold space is disposed at an inner bottom of any one of the pair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의 축냉재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축냉재 튜브를 더 포함하는 축냉 증발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lurality of axial coolant tubes connecting the axial coolant spaces of the pair of header tanks to each other.
냉매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및 축냉재가 채워지는 축냉재 공간을 각각 구비하며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 탱크,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 사이의 냉매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의 냉매 흐름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냉매 튜브, 그리고
상기 복수의 냉매 튜브 사이 및 상기 복수의 축냉재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열 교환 핀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은 바닥 부재 및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축냉재 공간은 상기 바닥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 내에 배치되는 내부 커버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내부 커버 부재의 높이 방향의 외측 면이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구성되는 축냉 증발기.
A pair of header tanks each having a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configured to allow a refrigerant to flow therethrough and a axial coolant space filled with the axial coolant,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connecting the refrigerant flow spaces of the pair of header tanks to each other to enabl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between the pair of header tanks,
And a heat exchange fin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olant tubes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coolant tubes,
Wherein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are formed by a bottom member and a pair of outer cover members,
Wherein the axial coolant space is defined by the bottom member and an inner cover member disposed in the pair of outer cover members,
And the outer side surfac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ner cover member is surrounded by at least one of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제7항에서,
상기 바닥 부재는 베이스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의 양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는 외측 천장부, 상기 외측 천장부의 외측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외측벽부, 그리고 외측 천장부의 내측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벽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내부 커버 부재는 내측 천장부, 그리고 상기 내측 천장부의 외측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의 내측벽부는 서로 밀착되고 내측 단이 상기 내부 커버 부재의 상기 내측 천장부의 외면에 연결되는 측냉 증발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ottom member includes a base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pair of outer cover members each include an outer ceiling portion, an outer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at an outer end of the outer ceiling portion, and an inner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at an inner end of the outer ceiling portion,
Wherein the inner cover member includes an inner ceiling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vertically extending from an outer end of the inner ceiling portion,
Wherein the inner wall portions of the pair of outer cover memb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eiling portion of the inner cover member.
제7항에서,
상기 바닥 부재는 베이스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의 양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는 외측 천장부, 상기 외측 천장부의 외측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외측벽부, 그리고 외측 천장부의 내측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벽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내부 커버 부재는 내측 천장부, 그리고 상기 내측 천장부의 외측 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의 내측벽부는 서로 밀착되고 내측 단이 상기 바닥 부재의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내부 커버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축냉 증발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ottom member includes a base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pair of outer cover members each include an outer ceiling portion, an outer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at an outer end of the outer ceiling portion, and an inner wal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at an inner end of the outer ceiling portion,
Wherein the inner cover member includes an inner ceiling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vertically extending from an outer end of the inner ceiling portion,
Wherein the inner wall portions of the pair of outer cover memb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end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of the bottom member,
Wherein the inner cover member is disposed inside any one of the pair of outer cover members and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formed by the bottom member.
제9항에서,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 중 상기 내부 커버 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이 나머지 하나의 공간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축냉 증발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space in which the inner cover member is disposed among the pair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s is form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remaining one space.
제8항 또는 제9항에서,
상기 한 쌍의 외부 커버 부재의 내측벽부에는 상기 한 쌍의 냉매 흐름 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냉매 연통 구멍이 형성되는 축냉 증발기.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And a refrigerant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pair of refrigerant flow spaces is formed in an inner wall portion of the pair of outer cover members.
제10항에서,
상기 냉매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냉매 흐름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 흐름 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 배플을 더 포함하는 축냉 증발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one or more compartment baffles disposed in the refrigerant flow space to guid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to partition the refrigerant flow space.
제7항에서,
상기 한 쌍의 헤더 탱크의 축냉재 공간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축냉재 튜브를 더 포함하는 축냉 증발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plurality of axial coolant tubes connecting the axial coolant spaces of the pair of header tanks to each other.
KR1020170116371A 2017-09-12 2017-09-12 Cold storage evaporator KR201900291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371A KR20190029158A (en) 2017-09-12 2017-09-12 Cold storage evapo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371A KR20190029158A (en) 2017-09-12 2017-09-12 Cold storage evapo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158A true KR20190029158A (en) 2019-03-20

Family

ID=6603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371A KR20190029158A (en) 2017-09-12 2017-09-12 Cold storage evapo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9158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0828A (en) 2000-07-06 2002-01-23 Mitsubishi Heavy Ind Ltd Aluminum alloy material, its production method and basket and cask using the same
KR20120129417A (en) 2011-05-20 2012-11-28 한라공조주식회사 Cold reserving evapo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0828A (en) 2000-07-06 2002-01-23 Mitsubishi Heavy Ind Ltd Aluminum alloy material, its production method and basket and cask using the same
KR20120129417A (en) 2011-05-20 2012-11-28 한라공조주식회사 Cold reserving evapo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0673B2 (en) Cold-storage heat exchanger
KR102205848B1 (en) Cooling module and Cooling System for Vehicles
JP5768480B2 (en) Cold storage heat exchanger
US9410745B2 (en) Heat exchanger
US9958218B2 (en) Heat exchanger, housing, and air-conditioning circuit comprising such an exchanger
US9746245B2 (en)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cold reserving pa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50007971A1 (en) Cold storage heat exchanger
EP2565571A1 (en) Vehicle interior heat exchanger
US20140360705A1 (en) Radiator for vehicle
US20160245595A1 (en) Cooling module
JP2009024899A (en) Evaporator
EP3971508B1 (en) Heat exchanger
JP2007327664A (en) Heat exchanger
US9995513B2 (en) Refrigerant evaporator
KR101286212B1 (en) Front end module
KR20190029158A (en) Cold storage evaporator
KR101551692B1 (en) Cold reserving heat exchanger
KR102205847B1 (en) Cooling module and Cooling System for Vehicles
KR20170022015A (en) Cold reserving evaporator
KR102173343B1 (en) Cold reserving heat exchanger
US10760837B2 (en) Evaporator
KR102161528B1 (en) Cold reserving heat exchanger
KR101170690B1 (en) Cold reserving part equipped Heat Exchanger
JP2014089035A (en) Cold storage heat exchanger
KR101919106B1 (en) Outdoor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6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26

Effective date: 2019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