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072A -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072A
KR20190029072A KR1020170116155A KR20170116155A KR20190029072A KR 20190029072 A KR20190029072 A KR 20190029072A KR 1020170116155 A KR1020170116155 A KR 1020170116155A KR 20170116155 A KR20170116155 A KR 20170116155A KR 20190029072 A KR20190029072 A KR 20190029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shaft
fixe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4386B1 (ko
Inventor
문남숙
Original Assignee
문남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남숙 filed Critical 문남숙
Priority to KR1020170116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3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vehicles with loading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6Ball-and-socket hitches, e.g. constructional details, auxiliary devices, their arrangement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는, 캠핑카의 후미 밑면에 설치된 차량 고정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적재물이 지지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고정 프레임(1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 프레임 결합홀(14a)에 각각 삽입 고정되면서 대향면이 연결부(22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수평부(220)와, 상기 수평부(220)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단에 결속돌기(240)가 형성된 수직부(230)를 포함하는 고정 프레임(200); 상기 결속돌기(240)에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일단에 결속홈(322)이 형성되어 축 결합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300); 및 상기 결속돌기(240)와 상기 결속홈(322)을 관통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300)의 타단이 상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면서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 제한부재(2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SMART ELECTRONIC TEACHING DESK FOR CAMPING CAR}
본 발명은 캠핑카 등의 차량 후미에 설치되어 그 위에 적재함 등의 적재물을 지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토요일을 휴무로 지정하는 업체가 증가하고, 보다 여유로운 일상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주말이나 연휴 등을 이용해 장거리 여행을 즐기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로 인해 캠핑문화가 확대됨에 따라 가족과 함께하는 여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주말과 연휴를 이용한 오토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그에 따라 캠핑장의 증가와 함께 캠핑 제품 시장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오토 캠핑이나 여행을 떠날 때 이동과 숙식을 해결할 수 있는 캠핑카가 여행수단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캠핑카는 말 그대로 캠핑(Camping)을 즐길 수 있는 차(Car)를 뜻한다. 주거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각종 설비를 갖추어 당장 어디로든 떠날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간단하게는 침대와 부엌이 마련된 모델부터 식탁을 비롯한 샤워실, 화장실이 붙은 고급 모델도 있다. 우리나라에선 캠핑카라 부르지만 미국에서는 RV(Recreational vehicle), 캐러밴, 캠퍼 밴 등의 이름으로 부른다.
한편, 부피가 큰 캠핑카의 경우엔 상관없지만 부피가 작은 캠핑카의 경우 캠핑짐의 보관 및 적재에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캐리어를 캠핑카 루프나 후미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캐리어는 국내에서 아직 제작 및 판매가 되지 않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나마 국내 차량의 규격 등과 맞지 않아 좀 더 편안하고 안전하게 그리고 구입 및 설치의 용이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캐리어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02-0097212호에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차량의 저면에 설치한 트레일러 견인 조립체의 양쪽에 짐을 적재할 때 사용하도록 캐리어 등과 같은 액세서리를 장착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차량 장착 브라켓의 사이에 연결된 관형 강철 섹션의 중앙에 트레일러 등과의 견인을 위한 히치 바(hitch bar)가 설치되도록 히치 바 수용 공동부가 형성되는데 캐리어의 미사용시 개구에서 분리하지 않으면 캐리어의 차지 면적이 크고, 히치 바 수용 공동부에 결합된 히치 바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높이에 맞게 별도의 히치 바를 추가 구매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0097212호 (공개일: 2002.12.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적재물 지지장치의 미사용시 단부를 세워 부피가 감소 가능하고, 견인체의 견인 위치에 맞게 견인볼의 높낮이 조절이 손쉽게 가능한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는, 캠핑카의 후미 밑면에 설치된 차량 고정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적재물이 지지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고정 프레임(1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 프레임 결합홀(14a)에 각각 삽입 고정되면서 대향면이 연결부(22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수평부(220)와, 상기 수평부(220)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단에 결속돌기(240)가 형성된 수직부(230)를 포함하는 고정 프레임(200); 상기 결속돌기(240)에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일단에 결속홈(322)이 형성되어 축 결합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300); 및 상기 결속돌기(240)와 상기 결속홈(322)을 관통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300)의 타단이 상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면서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 제한부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도 제한부재(250)는, 상기 결속돌기(240)의 내부를 관통한 양단이 상기 결속홈(322)의 내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300)과 연동되는 축부(251); 상기 결속홈(322)의 외벽에서 출몰되도록 상기 축부(251)의 일단에 고정되는 누름 버튼(252); 상기 결속돌기(240)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축부(251) 상에 설치되어, 경사면(253a)과 수직면(253b)으로 구성된 치형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래칫휠(ratchet wheel: 253); 상기 래칫휠(253)과 이웃한 상기 결속돌기(240)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253a)에 접촉되면 상기 축부(251)가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면(253b)에 밀착되면 상기 축부(251)의 회전을 간섭하는 걸림쇠(254); 및 상기 누름 버튼(252)의 누름력 해제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래칫휠(l53)이 상기 걸림쇠(254)에 결속되도록 상기 축부(251)를 원위치시키는 제1 탄성부재(25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연결부(224) 또는 상기 차량 고정 프레임(10)에는 견인체를 견인할 수 있도록 견인부재(270)가 설치되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연장부(226, 14)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견인부재(270)는, 상기 연장부(226, 14) 내에 고정되며, 단부에 수평축(274)이 형성되는 고정부(272); 상기 연장부(226, 14) 내에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축(274)에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당김시 상기 연장부(226)에서 분리된 후 회전되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회전부(276); 상기 회전부(276)의 내벽과 이와 대향된 축(274)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전부(276)에 가해진 외력의 제거시 상기 회전부(276)가 상기 연장부(226)의 내부로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278); 상기 회전부(276)의 타단 외벽면에 고정되며,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단부에 설정 간격마다 홀(281)이 관통 형성되는 안내부(280); 상기 안내부(280)의 단부를 따라 일단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안내부(280)의 홀(281)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도록 대향면에 홀(282a)이 형성되며, 타단 상하에 견인볼(284a)이 각각 설치되는 연결부(282); 상기 연결부(282)를 상기 안내부(280)에 위치 고정하도록 상기 연결부(282)의 홀(282a)과 상기 안내부(280)의 홀(281)을 통과하는 핀(286); 및 상기 핀(286)의 단부에 착탈되는 클립(288)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장부(226)에는 외벽에 상기 회전부(276)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잠그는 잠금모듈(2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모듈(260)은, 상기 회전부(276)의 대향면에 형성된 잠금홀(276a)에 일단부가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연장부(226)의 외벽에 커버(262)에 의해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버(262)를 관통하는 출몰축(264); 및 상기 출몰축(264)의 일단부가 항시 잠금홀(276a) 내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스프링(26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는, 적재물의 적재가 필요하지 않을 때, 적재물 지지장치를 차량 고정 프레임에서 분리하거나, 회전 프레임을 캠핑카의 후벽과 나란하도록 직립시켜 부피 감소 및 간섭을 방지하고, 트레일러 등을 견인할 때 필요한 견인부재를 적재물 지지장치 또는 차량 고정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분리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방법으로 견인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에서 각도 제한부재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에서 각도 제한부재의 래칫휠과 걸림쇠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에서 견인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중 견인부재가 차량 고정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100)는 캠핑카의 후미 밑면에 설치된 차량 고정 프레임(10)에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200) 및 고정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 고정 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핑카의 후미 밑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프레임 본체(12)의 양단에 고정 프레임(200)의 본체(210) 양단에 형성된 수평부(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 결합홀(14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차량 고정 프레임(10)은 본체(12)의 양측벽에 고정편(18)이 설치되어 캠핑카의 후미 밑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 결합홀(14a)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 결합홀(14a)에는 수평부(220) 및 견인부재(270)의 단부를 체결수단(20)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수단 체결홀(16)이 직교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고정 프레임(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에 수평부(220), 수직부(230), 결속돌기(240), 각도 제한부재(250), 잠금모듈(260) 및 견인부재(270)가 구비된다.
수평부(220)는 차량 고정 프레임(10)의 양쪽 고정 프레임 결합홀(14a)에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이격된 한 쌍의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수평부(220)는 대향면이 연결부(224)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고정 프레임 결합홀(14a)과 인접한 단부 외벽면에 체결홀(222)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홀(222)은 차량 고정 프레임(10)의 고정 프레임 결합홀(14a)에 삽입된 수평부(220)의 분리 방지를 위해 체결수단(20)이 고정되도록 체결수단 체결홀(16)과 연통시키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224)에는 회전 프레임(300)과 이웃한 전면 중심에 견인부재(27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견인부재 결합홀(226a)이 형성된 사각파이프 형상의 연장부(226)가 설치된다.
또한, 연장부(226)는 견인부재(270)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벽에 수평 방향의 체결홀(228)이 관통 형성된다.
수직부(230)는 사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부(220)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결속돌기(240)는 수직부(230)의 상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회전 프레임(300)의 결속홈(322)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도록 구비된다.
각도 제한부재(2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돌기(240)와 회전 프레임(300)의 결속홈(322)을 관통한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 프레임(300)의 타단이 상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면서 회전 프레임(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각도 제한부재(250)는 양측의 결속돌기(240)와 양측의 결속홈(322)의 내부에 각각 개별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를 위해, 각도 제한부재(250)는 축부(251), 누름 버튼(252), 래칫휠(253), 걸림쇠(254) 및 제1 탄성부재(255)를 포함한다.
축부(251)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사각축으로, 결속돌기(240)의 내부를 관통한 양단이 결속홈(322)의 내부에서 외벽면까지 각각 고정되어 회전 프레임(300)과 연동된다.
여기서, 회전 프레임(300)의 회전시 축부(251)가 연동되어야 하므로 결속홈(322)의 내벽면과 외벽면에는 축부(251)의 면적과 대응된 사각 구멍이 형성되어야 하지만, 결속돌기(240)는 축부(251)와 연동되면 안되므로 축부(251)의 면적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형홀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축부(251)는 결속홈(322)의 내벽면과 단부(320)의 외벽면과의 일측 사이 공간 내에 제1 단턱(251)이 확장 형성된다.
누름 버튼(252)은 일단을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된 형상이며, 결속홈(322)의 외벽면에서 각각 출몰되도록 일단 내부가 축부(251)의 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즉, 누름 버튼(25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300)의 단부(320)의 외벽면에 홀을 각각 형성하고, 홀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며, 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더욱이, 누름 버튼(252)은 축부(251)의 일단에 나선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칫휠(ratchet wheel: 253)은 결속돌기(240)의 내부에 위치된 축부(251) 상에 설치되어 경사면(253a)과 수직면(253b)으로 구성된 치형(齒形)이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래칫휠(253)은 도 2 기준 좌측의 축부(251)를 중심으로 회전 프레임(300)의 우측이 하방향으로는 회전되지 못하고, 상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면서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결국, 래칫휠(253)은 연동되는 회전 프레임(300)이 경사면(253a)의 시작점과 수직면(253b)의 하단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래칫휠(253)은 치형의 개수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므로 회전 프레임(300)의 최소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걸림쇠(254)는 래칫휠(253)과 이웃한 결속돌기(240)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칫휠(253)이 한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회전 방향을 제한하게 된다.
더욱이, 걸림쇠(254)는 축상에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S1)이 설치되어 래칫휠(253)의 회전시 경사면(253a)의 정점을 통과하는 시점에 토션 스프링(S1)의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단부가 수직면(253b)의 하단과 연결된 경사면(253a)의 시작점에 닿도록 이동된다.
이때, 토션 스프링(S1)의 일단은 걸림쇠(254)에 지지되고, 타단은 결속돌기(240)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걸림쇠(254)는 스토퍼(254a)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되어 단부가 수직면(253b)의 하단과 연결된 경사면(253a)의 시작점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55)는 제1 단턱(251)과 이와 대향되는 결속홈(322)의 내부 벽면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누름 버튼(252)을 가압한 후 외력 제거시 복원력에 의해 축부(251)가 원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잠금모듈(26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26)의 상면에 설치되어 견인부재(270)의 미사용시 견인부재(270)의 회전부(276)가 움직일 수 없도록 잠그는 기능을 한다.
이때, 잠금모듈(260)은 커버(262), 출몰축(264) 및 잠금 스프링(268)을 포함한다.
커버(262)는 연장부(226)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어 출몰축(264)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커버(262)는 연장부(226)의 체결홀에 나선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몰축(264)은 회전부(276)의 대향면에 형성된 잠금홀(276a)에 도 6 기준 하단이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체결홀 내에 구비되며, 커버(262)를 관통한 상단에 구 형상의 손잡이(266)가 구비된다.
더욱이, 출몰축(264)은 중간 지점에 면적이 확장된 제2 단턱(264a)이 형성된다.
또한, 출몰축(264)은 도 6 기준 하단 우측면에 면취 가공되어 하단이 회전부(276)의 잠금홀(276a)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부(276)를 잡아당겨도 회전부(276)의 분리를 방지하지만, 회전부(276)가 제2 탄성부재(278)의 복원력에 의해 연장부(226)의 내부로 원위치 될 때 후진되는 회전부(276)의 모서리가 면취면을 밀어 출몰축(264)을 상승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출몰축(264)을 인위적으로 잡아당기지 않아도 된다.
잠금 스프링(268)은 커버(262)의 내부 상면과 제2 단턱(264a)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출몰축(236)의 하단이 항시 잠금홀(276a) 내에 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견인부재(270)는 고정 프레임(200)의 연장부(226) 내에 설치되어 견인볼(284a)에 다른 트레일러 등의 견인이 요구될 때 사용하게 되며, 고정부(272), 회전부(276), 제2 탄성부재(278), 안내부(280), 연결부(282), 핀(286) 및 클립(28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욱이, 견인부재(270)는 견인 기능 외에 트레일러 등의 견인고리와 견인볼(284a)의 견인 위치가 상이하면 견인볼(284a)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부(272)는 연장부(226) 내에 삽입되어 연장부(226)의 양측벽에 형성된 체결홀(228)과 연통되는 결속홀(272a)이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더욱이, 고정부(272)는 도 6 기준 연장부(226)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측면 중심에 수평축(2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축(274)은 선단에 제3 단턱(274a)이 형성된다.
회전부(276)는 도 6 기준 연장부(226)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면이 막힌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견인볼(284a)이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부(276)는 회전 각도에 맞게 대향면에 잠금홀(276a)이 각각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홀(276a)이 회전부(276)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하좌우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회전부(276)는 후단이 고정부(272)의 수평축(274)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출몰되며,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후면이 연장부(226)의 전면보다 더 돌출되어 회전시 연장부(226)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회전부(276)는 후단이 제3 단턱(274a)의 면적보다 작도록 절곡 형성되어 제3 단턱(274a)에 의해 수평축(274)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부(276)는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면취(面取) 가공되어 회전부(276)의 외력 제거시 회전부(276)가 견인부재 결합홀(226a) 내에 진입 방향을 안내 받으면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278)는 제3 단턱(274a)과 회전부(276)의 절곡부 사이에 구비되어 견인볼(284a)의 위치 조절 후 회전부(276)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회전부(276)의 후단이 연장부(226)의 내부로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안내부(280)는 회전부(276)의 외벽면에 수평부와 수직부로 구성된 절곡 형태로 고정되며, 절곡 형성된 단부 즉 수직부에 설정 간격마다 홀(281)이 관통 형성된다.
연결부(282)는 홀(281)이 관통 형성된 안내부(280)의 단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안내부(280)의 단부를 따라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리고 연결부(282)는 대향된 외벽면에 안내부(280)의 홀(281)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는 홀(282a)이 관통 형성되며, 타단에 연장 형성된 연장편(284)의 상하면에 견인볼(284a)이 각각 설치된다.
핀(pin: 286)은 연결부(282)를 안내부(280)의 특정 위치에 위치 고정하도록 연결부(282)의 홀(282a)과 안내부(280)의 홀(281)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핀(286)은 양단에 클립(288)이 고정되거나, 일단에만 클립(288)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연결부(282)의 홀(282a) 면적보다 크게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클립(clip: 288)은 연결부(282)의 홀(282a)과 안내부(280)의 홀(281)을 통과한 핀(286)의 단부에 고정되어 연결부(282)의 홀(282a)과 안내부(280)의 홀(281)에서 핀(286)이 분리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100)에 적재물을 적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캠핑카 후미에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해서 캠핑카의 후미 밑면에 차량 고정 프레임(1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차량 고정 프레임(10)의 고정 프레임 결합홀(14a)에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100)의 고정 프레임(200)에 구비된 수평부(220)의 후단을 각각 삽입한다.
다음으로, 고정 프레임 결합홀(14a)에 형성된 체결수단 체결홀(16)과 수평부(220)의 체결홀(22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수단 체결홀(16)과 체결홀(222)을체결수단(20)에 의해 체결시킨다.
다음으로, 고정 프레임(200)에 축으로 연결된 회전 프레임(300)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는 회전 프레임(300)의 후단을 잡고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회전 프레임(300)을 따라 축부(251)가 연동하면서 축부(251)에 고정된 래칫휠(253)이 도 5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래칫휠(253)의 반시계 방향 회전시 치형을 걸림쇠(254)가 간섭하고 있는데 경사면(253a)의 시작점에서 정점으로 갈수록 걸림쇠(254)가 래칫휠(253)의 반대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점차 회전된다. 그리고 경사면(253a)이 정점이 걸림쇠(254)의 선단을 통과하면 걸림쇠(254)는 토션 스프링(S1)의 복원력에 의해 수직면(253b)을 통과한 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경사면(253a)의 시작점으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래칫휠(253)이 하향 회전되려고 하면 래칫휠(253)의 반시계 방향에 대한 회전 각도를 제한하고 있는 스토퍼(254a)와, 치형의 수직면(253b) 하단과 경사면(253a)의 시작점과의 연결 지점에서 걸림쇠(254)의 선단이 래칫휠(253)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게 된다.
이렇게, 회전 프레임(300)을 캠핑카 후미 방향으로 약간 들어올린 상태에서 그 위에 적재함 등과 같은 적재물을 올려놓으면 적재함이 회전 프레임(300)의 각도만큼 캠핑카 후면 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구비되므로 캠핑카의 급정거시 적재함의 하중이 전방으로 편중되도록 하여 회전 프레임(300)에서 후방으로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적재함 등을 적재하지 않는 경우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100)를 차량 고정 프레임(10)에서 분리시키기엔 인력도 필요하고, 보관 공간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해 회전 프레임(300)을 고정 프레임(200)에서 회전시켜 캠핑카 후면과 평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누름 버튼(252)을 누르면 축부(251)가 이동되면서 축부(251)에 고정된 래칫휠(253)이 걸림쇠(254)에서 분리되어 회전 프레임(300)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 회전된다.
이렇게, 회전 프레임(300)이 캠핑카 후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누름 버튼(252)을 놓으면 축부(251)가 제1 탄성부재(25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고 래칫휠(253)이 걸림쇠(254) 쪽으로 이동하면서 결속된 걸림쇠(254)에 의해 회전 프레임(300)이 하향 회전됨을 제한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100)에서 견인볼(284a)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기존 트레일러가 아닌 다른 트레일러 등의 견인시 견인볼(284a)의 견인 높이가 상이할 때 견인볼(284a)을 180°회전시킨 상태에서 견인볼(284a)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로, 먼저 사용자는 잠금모듈(260)을 조작하여 견인부재(27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먼저, 사용자가 출몰축(264) 상에 구비된 손잡이(266)를 잡아 위로 당기게 된다.
다음으로, 출몰축(264)이 상승하면서 하단이 회전부(276)의 잠금홀(276a)에서 분리되며, 그 상태에서 회전부(276)를 견인볼(284a)을 이용하여 사용자 방향인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다음으로,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후단이 최초 연장부(226) 내에 위치되어 회전이 제한된 상태인 회전부(276)가 연장부(226) 내에서 분리된다.
다음으로, 회전부(276)를 180° 회전시킨 후 잡고 있던 회전부(276)를 놓으면 회전부(276)의 후단이 제2 탄성부재(278)의 복원력에 의해 연장부(226)의 내부로 삽입되고, 잠금모듈(260)의 출몰축(264)으로 잠금홀(276a)이 위치되면서 회전부(276)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회전부(276)의 전면에 설치된 안내부(280) 역시 회전되면서 안내부(280)에 형성된 홀(281)이 회전부(276)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된다(도 6 참조).
다음으로, 연결부(282)의 홀(282a)과 안내부(280)의 홀(281)에 삽입된 핀(286)의 단부에서 클립(288)을 분리시킨 후 그 후에 핀(286)을 연결부(282)의 홀(282a)과 안내부(280)의 홀(281)에서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견인볼(284a)이 설치된 연결부(282)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연결부(282)에 형성된 홀(282a)이 안내부(280)의 홀(281) 중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와 동일수평선상에 오도록 일치시킨다.
다음으로, 연결부(282)의 홀(282a)과 안내부(280)의 홀(281)에 핀(286)을 삽입한 후 삽입된 핀(286)의 단부에 클립(288)을 고정시켜 연결부(282)를 안내부(280)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고정 프레임(10)에 견인부재(270)를 고정 프레임(200)의 연장부(226)에 고정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프레임(200)의 본체(210)에는 연장부(226)가 생략되고, 차량 고정 프레임(10)의 전면 중심부에 한 쌍의 고정 프레임 결합홀(14a)의 사이에서 고정 프레임 결합홀(14a)과 평행하게 배치된 연장부(14) 내에 결합홀(14b)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결합홀(14b)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홀(14b)에는 견인부재(270)의 단부를 체결수단(20)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수단 체결홀(16)이 직교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한편, 견인부재(270)가 차량 고정 프레임(10)의 연장부(14) 내에 형성된 결합홀(14b)에 장착되는 경우, 고정 프레임(200)의 본체(210)에는 연장부(226)가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차량 고정 프레임(10)의 프레임 본체(12)에 형성된 결합홀(14b)에 견인부재(270)를 설치하는 경우 견인볼(284a)의 높이 조절을 연결부(282)의 위치 조절을 통해 구현 가능하므로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100)를 차량 고정 프레임(10)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견인볼(284a)을 사용할 수 있거나, 견인볼(284a)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차량 고정 프레임 12: 프레임 본체
14a: 고정 프레임 결합홀 14b: 결합홀
16: 체결수단 체결홀 18: 고정편
100: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200: 고정 프레임
220: 수평부 224: 연결부
226: 연장부 230: 수직부
240: 결속돌기 250: 각도 제한부재
251: 축부 252: 누름 버튼
253: 래칫휠 253a: 경사면
253b: 수직면 254: 걸림쇠
255: 제1 탄성부재 260: 잠금모듈
262: 커버 264: 출몰축
266: 잠금 스프링 270: 견인부재
272: 고정부 274: 수평축
276: 수평축 276: 회전부
278: 제2 탄성부재 280: 안내부
281: 홀 282: 연결부
284a: 견인볼 286: 핀
288: 클립 300: 회전 프레임
322: 결속홈

Claims (5)

  1. 캠핑카의 후미 밑면에 설치된 차량 고정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적재물이 지지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고정 프레임(1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 프레임 결합홀(14a)에 각각 삽입 고정되면서 대향면이 연결부(22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수평부(220)와, 상기 수평부(220)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단에 결속돌기(240)가 형성된 수직부(230)를 포함하는 고정 프레임(200);
    상기 결속돌기(240)에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일단에 결속홈(322)이 형성되어 축 결합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300); 및
    상기 결속돌기(240)와 상기 결속홈(322)을 관통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300)의 타단이 상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면서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 제한부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제한부재(250)는,
    상기 결속돌기(240)의 내부를 관통한 양단이 상기 결속홈(322)의 내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300)과 연동되는 축부(251);
    상기 결속홈(322)의 외벽에서 출몰되도록 상기 축부(251)의 일단에 고정되는 누름 버튼(252);
    상기 결속돌기(240)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축부(251) 상에 설치되어, 경사면(253a)과 수직면(253b)으로 구성된 치형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래칫휠(ratchet wheel: 253);
    상기 래칫휠(253)과 이웃한 상기 결속돌기(240)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253a)에 접촉되면 상기 축부(251)가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면(253b)에 밀착되면 상기 축부(251)의 회전을 간섭하는 걸림쇠(254); 및
    상기 누름 버튼(252)의 누름력 해제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래칫휠(l53)이 상기 걸림쇠(254)에 결속되도록 상기 축부(251)를 원위치시키는 제1 탄성부재(255)를 포함하는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연결부(224) 또는 상기 차량 고정 프레임(10)에는 견인체를 견인할 수 있도록 견인부재(270)가 설치되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연장부(226, 14)가 연장되는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270)는,
    상기 연장부(226, 14) 내에 고정되며, 단부에 수평축(274)이 형성되는 고정부(272);
    상기 연장부(226, 14) 내에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축(274)에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당김시 상기 연장부(226)에서 분리된 후 회전되는 사각 파이프 형태의 회전부(276);
    상기 회전부(276)의 내벽과 이와 대향된 축(274)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전부(276)에 가해진 외력의 제거시 상기 회전부(276)가 상기 연장부(226)의 내부로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278);
    상기 회전부(276)의 타단 외벽면에 고정되며,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단부에 설정 간격마다 홀(281)이 관통 형성되는 안내부(280);
    상기 안내부(280)의 단부를 따라 일단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안내부(280)의 홀(281) 중 어느 하나와 일치되도록 대향면에 홀(282a)이 형성되며, 타단 상하에 견인볼(284a)이 각각 설치되는 연결부(282);
    상기 연결부(282)를 상기 안내부(280)에 위치 고정하도록 상기 연결부(282)의 홀(282a)과 상기 안내부(280)의 홀(281)을 통과하는 핀(286); 및
    상기 핀(286)의 단부에 착탈되는 클립(288)을 포함하는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26)에는 외벽에 상기 회전부(276)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잠그는 잠금모듈(2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모듈(260)은,
    상기 회전부(276)의 대향면에 형성된 잠금홀(276a)에 일단부가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연장부(226)의 외벽에 커버(262)에 의해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버(262)를 관통하는 출몰축(264); 및
    상기 출몰축(264)의 일단부가 항시 잠금홀(276a) 내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스프링(268)을 포함하는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KR1020170116155A 2017-09-11 2017-09-11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KR102014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55A KR102014386B1 (ko) 2017-09-11 2017-09-11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55A KR102014386B1 (ko) 2017-09-11 2017-09-11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072A true KR20190029072A (ko) 2019-03-20
KR102014386B1 KR102014386B1 (ko) 2019-10-21

Family

ID=6603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155A KR102014386B1 (ko) 2017-09-11 2017-09-11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2884A (zh) * 2021-06-30 2021-08-10 哈尔滨理工大学 一种用于限制舰载机牵引系统折腰角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7212A (ko) 2000-04-03 2002-12-31 리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액세서리 포트들을 갖는 트레일러 견인 조립체
JP2016128296A (ja) * 2015-01-09 2016-07-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連結構造
KR101683915B1 (ko) * 2011-04-01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7212A (ko) 2000-04-03 2002-12-31 리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액세서리 포트들을 갖는 트레일러 견인 조립체
KR101683915B1 (ko) * 2011-04-01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범퍼커버 해체용 클램핑 장치
JP2016128296A (ja) * 2015-01-09 2016-07-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連結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2884A (zh) * 2021-06-30 2021-08-10 哈尔滨理工大学 一种用于限制舰载机牵引系统折腰角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386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9520B2 (en) Adjustable hitch assembly
US6125908A (en) Rolling cover for use in covering items stored in a vehicle storage area
US7967311B2 (en) Multi position step
US9050910B2 (en) Cup holder tray for armrest of automobile
US7204508B1 (en) Trailer lock
US20130020784A1 (en) Adjustable hitch assembly
US20090322060A1 (en) Folding, support and security trailer tongue
US5887885A (en) Self-locking trailer hitch assembly
KR20190029072A (ko) 캠핑카용 적재물 지지장치
US20150121975A1 (en) Single-armed trailer coupler locking device
US6120106A (en) Wheel supporter and shaft for a golf cart
KR20010072943A (ko) 유아용 시트 부착 장치
CN209833735U (zh) 可受座椅收合而连动解锁的婴儿车车架折收装置
US20030193167A1 (en) Trailer coupler
US5376415A (en) Removable hood ornament
US11712934B2 (en) Aligning hitch pin assembly
CN210195506U (zh) 一种连接稳定的工具箱用锁紧卡扣装置
CA2483623A1 (en) Universal accessory support assembly
CN220764173U (zh) 一种高强度汽车座椅靠背锁结构
CN215323041U (zh) 后泥板组件和具有该后泥板组件的可折叠的代步车
CN218061909U (zh) 房车门高强度安防锁
US11623485B1 (en) Self-latching ball clamp coupler
GB2420766A (en) Vehicle luggage rack system
CN208069473U (zh) 一种汽车座椅
KR0133912Y1 (ko) 자동차의 수납형 견인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