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879A -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8879A KR20190028879A KR1020170115709A KR20170115709A KR20190028879A KR 20190028879 A KR20190028879 A KR 20190028879A KR 1020170115709 A KR1020170115709 A KR 1020170115709A KR 20170115709 A KR20170115709 A KR 20170115709A KR 20190028879 A KR20190028879 A KR 201900288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ope
- block
- steel wire
- main body
- reinforcement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02D2200/115—Height being adjustable with separate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면 또는 비탈면의 앵커공(A)에 정착된 정착구의 강선(W)을 인장한 후, 사면 또는 비탈면의 지면(G)에 대응 결합되어 강선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사면보강블럭(B)에 있어서, 상기 사면보강블럭(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앵커공(A)의 직경에 대응되는 강선공(120)이 중심에 형성되어 강선이 통과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면보강블럭(B) 하부면에 대응되어 상기 앵커공(A)의 주면 지면(G)에 밀착대응되어 사면보강블럭(B)과 앵커공(A) 사이 및 주변 토사를 움켜쥐어 토사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콘크리트 주입이 가능하도록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주입량에 따라 주변 사면보강블럭(B)과 높이를 조정하도록 형성된 세굴방지수단(100)이 형성된 것으로, 우천시 강수량에 의한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고, 강우로 사면 또는 비탈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에 의해 발생되는 사면 또는 비탈면이 보강되도록 강선이 인발 고정된 사면보강블럭 주변의 세굴현상을 방지하며, 토사의 유출로 인한 사면보강블럭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사면보강블럭의 붕괴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 및 사면 또는 비탈면의 안전성 증대와 토사유출에 따른 사면 또는 비탈면의 유지보수 비용절감이 가능하고, 세굴방지수단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토사유출 방지 및 세굴방지와 함께 사면보강블럭과 인접하는 사면보강블럭간의 레벨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면 또는 비탈면에 설치시공되는 사면보강블럭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관이 주변 환경과 이질감을 가지지 않는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야, 하천, 도로 등의 사면을 보강하기 위해 앵커시공을 통해 사면이 보강되도록 강선이 인발 고정된 사면보강블럭의 토사면이 우천 등으로 인한 사면보강블럭 주변의 세굴현상을 방지하고, 사면보강블럭과 인접하는 사면보강블럭간의 레벨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높은 품질의 시공이 가능한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아 집중호우와 동결융해 등으로 사면의 훼손이 극심하고, 이러한 사면의 훼손에 따른 산사태, 낙석 등의 발생으로 인한 재산피해가 크며, 현실적으로 산지, 도로, 호안의 비탈면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특히, 도로 절개지 비탈면 내지는 사면은 도로라는 특수성 때문에 부득이 기반 암까지 노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기반암 노출은 보행자 및 주행자 그리고, 인근주민에게 나쁜 경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비탈면의 불안정으로 인한 붕괴 우려까지 고민해야 할 실정이다.
이에 비탈면 내지는 사면의 환경복원은 여러 가지 목적으로 인하여 훼손된 비탈면을 안전하게 보강하고 녹화하여 자연경관을 조기에 회복시키며, 단절된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복원함으로써 야생동식물의 서식공간을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로 비탈면 내지는 사면을 안정화하고, 제방 및 수로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 하천, 호수, 기타 수로(水路) 등에 여러 형태와 크기를 가진 콘크리트 블럭이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도로의 비탈면이나 사면은 앵커공을 시공하고, 앵커체를 앵커공에 시공한 후, 강선을 인발하여 비탈면이나 사면을 보강하되, 강선의 끝단은 인발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콘크리트 블럭과 같은 사면보강블럭에 고정되어 비탈면이나 사면의 시공 면에 일정하고, 조밀하게 시공된다. 또한, 제방에 정형화된 형태와 크기를 갖는 호안블럭이 수로등의 언(堰)에 시공되어 제방을 보호하고 있는데, 특히 홍수로 인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블럭의 시공 면이 일정하면서 조밀한 상태가 되도록 시공되는 바, 저수로가 제방에 접근하는 곳 또는 홍수 때 물의 충돌이 많은 곳에는 특히 견고하게 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사면보강 내지는 호안의 보호를 위해 설치되는 콘크리트 블럭은 호안과 같은 경우에는 하천의 흐름에 따른 통상의 세굴방지를 위한 요건들이 잘 갖추어져 시공되고 있으나 도로 비탈면이나 사면의 경우에는 세굴방지를 위한 부분이 전혀 개시되거나 소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단지, 콘크리트를 비탈면이나 사면에 타설하여 시공하거나 식생을 가꾸어 식생으로 인한 세굴방지 등의 토사 유출을 방지하고 있고, 때로는 부직포와 같은 직물을 덮어 두거나 비닐포 등을 임시방편으로 덮어 우천에 따른 비탈면이나 사면의 토사유출 및 세굴에 대하여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 대부분이 였다.
즉, 도로나 주택가의 비탈면이나 사면은 강이나 호수와 같이 물에 의한 침식이나 세굴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미리 설치시공하는 것과는 달리 토사의 유출이나 붕괴 등을 고려하여 보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로나 주택가의 비탈면이나 사면은 통상적으로 앵커공을 뚫고 앵커공에 앵커체를 정착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강선을 인장하여 사면보강블럭에 고정하여 비탈면이나 사면이 보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면보강블럭은 지면을 고르게 다지지 않으면 그 높이(레벨)가 들쑥날쑥하여 외관시공불량을 초래한다. 또한, 기존 사면보강블럭은 비탈면이나 사면에 콘크리트 블럭이 단순히 받침지지되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우천시, 빗물이 비탈면이나 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블럭 사이에 세굴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토사유출로 산사태와 같은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세굴현상으로 인해 강선을 지지하고 있는 콘크리트 블럭의 균형이 흐트러져 결국에는 콘크리트블럭의 파손으로 인한 비탈면 또는 사면의 재시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러한 세굴현상의 지속은 다량의 토사유출을 유도하여 산사태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토사를 다시 메꾸어주어야 하는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세굴현상에 의한 토사의 유출로 인해 비탈면 또는 사면에 식생된 식물의 유실이 발생되어 토사 및 콘크리트 등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보기 좋지 않아 주변환경과 어우러지지 못하는 이질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임야, 하천, 도로 등의 사면 또는 비탈면을 보강하기 위해 앵커시공을 통해 사면이 보강되도록 강선이 인발 고정된 사면보강블럭의 토사면이 우천 등으로 인한 사면보강블럭 주변의 토사유출에 따른 세굴현상을 방지하고, 토사의 유출로 인한 사면보강블럭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사면 또는 비탈면의 붕괴 위험을 방지가 가능하여 사면 또는 비탈면의 안전성 증대 및 토사의 유실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절감이 가능한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면보강블럭과 인접하는 사면보강블럭간의 레벨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면 또는 비탈면에 설치시공되는 사면보강블럭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관이 주변 환경과 이질감을 가지지 않는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은 사면 또는 비탈면의 앵커공(A)에 정착된 정착구의 강선(W)을 인장한 후, 사면 또는 비탈면의 지면(G)에 대응 결합되어 강선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사면보강블럭(B)에 있어서, 상기 사면보강블럭(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앵커공(A)의 직경에 대응되는 강선공(120)이 중심에 형성되어 강선이 통과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면보강블럭(B) 하부면에 대응되어 상기 앵커공(A)의 주면 지면(G)에 밀착대응되어 사면보강블럭(B)과 앵커공(A) 사이 및 주변 토사를 움켜쥐어 토사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콘크리트 주입이 가능하도록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주입량에 따라 주변 사면보강블럭(B)과 높이를 조정하도록 형성된 세굴방지수단(1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굴방지수단(100)은 주머니 형태의 직물지로 봉제형성되어 상기 사면보강블럭(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세굴방지포 본체(110)와;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중앙으로 앵커공(A) 직경과 대응되고, 상기 사면보강블럭(B) 중심으로 돌출되어 인장되는 강선(W)이 통과되도록 마련된 강선공(120)과;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일측에 세굴방지포 본체 내부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가 지면(G)으로부터 높이가 콘크리트의 주입량에 따라 조정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관(13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사면보강블럭(B) 주변의 토사유출을 방지하고, 식생이 가능하도록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테두리를 따라 식생망체(140)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사면 또는 비탈면의 앵커공(A)에 정착된 정착구의 강선(W)을 인장한 후, 사면 또는 비탈면의 지면(G)에 대응 결합되어 강선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사면보강블럭(B)에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100)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주머니 형태의 직물지로 상기 사면보강블럭(B) 형상에 대응되도록 세굴방지포 본체(110)가 봉제형성되고,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중앙으로 앵커공(A) 직경과 대응되어 상기 사면보강블럭(B) 중심으로 돌출되어 인장되는 강선(W)이 통과되도록 강선공(120)이 마련되며,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일측에 내부로 콘크리트가 주입되어 지면(G)으로부터 세굴방지포 본체(110)의 높이가 콘크리트의 주입량에 따라 조정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관(130)이 마련된 세굴방지수단(100)을 준비하는 단계(S100)와; 상기 세굴방지수단(100)의 세굴방지포 본체(110)의 강선공(120)이 앵커공(A)에 대응되도록 지면(G)에 대응하고,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가 앵커공(A) 주면 지면(G)에 밀착되어 토사가 우천시 빗물에 직접 접촉되어 유실되지 않도록 움켜쥐도록 하는 기초밀착단계(S200)와; 상기 기초밀착단계를 통해 앵커공(A) 주변 지면(G)에 밀착대응된 세굴방지수단(100)의 세굴방지포 본체(110) 상부면에 사면보강블럭(B)을 대응하여 안치하는 블럭결합단계(S300)와; 상기 블럭결합단계를 통해 상기 세굴방지수단(100)의 세굴방지포 본체(110) 상부면에 안치된 주변 사면보강블럭(B)의 높이와 동일높이를 유지하도록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일측에 형성된 주입관(130)을 통해 주변 사면보강블럭(B)과 높이가 일치되도록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양생하는 레벨조정단계(S400)와; 상기 레벨조정단계를 통해 주변 사면보강블럭(B) 간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결합된 후, 강선(W)을 인장하여 마감하는 인장마감단계(S50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준비단계의 세굴방지수단(100)의 세굴방지포 본체(110) 테두리를 따라 주변의 토사유출을 방지하고, 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망체(140)가 더 형성되어 상기 인장마감단계 후, 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조성단계(S600)가 더 마련되어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직물 포대로 구성된 세굴방지수단에 의해 토사를 직물포대 단위로 블럭화하여 지면에 밀착결합하여 움켜잡도록 함으로써, 우천시 강수량에 의한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고, 강우로 사면 또는 비탈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에 의해 발생되는 사면 또는 비탈면이 보강되도록 강선이 인발 고정된 사면보강블럭 주변의 세굴현상을 방지하며, 토사의 유출로 인한 사면보강블럭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사면보강블럭의 붕괴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 및 사면 또는 비탈면의 안전성 증대와 토사유출에 따른 사면 또는 비탈면의 유지보수 비용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 포대로 구성된 세굴방지수단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토사유출 방지 및 세굴방지와 함께 사면보강블럭과 인접하는 사면보강블럭간의 레벨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면 또는 비탈면에 설치시공되는 사면보강블럭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관이 주변 환경과 이질감을 가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사면 또는 비탈면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요부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레벨 조정의 사용상태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을 이용한 시공방법의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요부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레벨 조정의 사용상태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을 이용한 시공방법의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사면 또는 비탈면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요부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요부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레벨 조정의 사용상태 측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을 이용한 시공방법의 블럭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은 사면이나 비탈면의 보강을 위해 앵커공을 천공하고, 정착구를 앵커공에 정착시켜 콘크리트 타설 후, 강선을 인장하여 사면 또는 비탈면의 지면에 인장된 강선을 고정하도록 마련된 사면보강블럭의 설치시공시, 레벨조정을 통한 시공품질 향상과 우천시 빗물로 인한 토사의 유출과 세굴로 인한 구조적 안정성 저해를 방지하고자 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 또는 비탈면의 앵커공(A)에 정착된 정착구의 강선(W)을 인장한 후, 사면 또는 비탈면의 지면(G)에 대응 결합되어 강선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사면보강블럭(B)의 하부면과 지면 사이에 세굴방지수단(100)이 결합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굴방지수단(100)은 상기 사면보강블럭(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앵커공(A)의 직경에 대응되는 강선공(120)이 중심에 형성되어 강선이 통과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면보강블럭(B) 하부면에 대응되어 상기 앵커공(A)의 주면 지면(G)에 밀착대응되어 사면보강블럭(B)과 앵커공(A) 사이 및 주변 토사를 움켜쥐어 토사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콘크리트 주입이 가능하도록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주입량에 따라 주변 사면보강블럭(B)과 높이를 조정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굴방지포 본체(110), 강선공(120), 주입관(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는 직물지를 주머니 형태로 봉제형성한 것으로, 후술되는 주입관을 통해 콘크리트 주입시, 콘크리트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봉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는 상기 사면보강블럭(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의 포대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강선공(120)은 앵커공에 정착구가 정착되고 난 후, 강선을 인장하는 과정에서 강선과 전술한 세굴방지포 본체(110)간의 간섭이 없도록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중앙으로 앵커공(A) 직경과 대응되고, 상기 사면보강블럭(B) 중심으로 돌출되어 인장되는 강선(W)이 통과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강선공(120) 둘레를 따라서도 봉제되되,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에 주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봉제형성된다.
상기 주입관(13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일측에 세굴방지포 본체 내부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가 지면(G)으로부터 높이가 콘크리트의 주입량에 따라 조정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통상의 플랙시블한 파이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면보강블럭(B) 주변의 토사유출을 방지하고, 식생이 가능하도록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테두리를 따라 식생망체(140)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식생망체(14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굴방지수단(100)이 사면보강블럭의 세굴현상을 방지하기에 앞서 사면보강블럭의 주변 토사가 빗물에 의해 유실될 수 있는 부분을 해결하고, 식생시, 토사유출로 인한 식생의 어려움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다 높은 품질의 시공 및 식생에 의한 자연친화적이며, 주변 환경과 이질감을 상쇠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식생망체(140)의 메쉬공의 숫자에 따라 단위블럭화되어 식생이 유리하도록 토사가 빗물에 의해 유실되지 않도록 받침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사면보강을 위한 앵커시공방법을 통한 것으로, 사면 또는 비탈면의 앵커공(A)에 정착된 정착구의 강선(W)을 인장한 후, 사면 또는 비탈면의 지면(G)에 대응 결합되어 강선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사면보강블럭(B)에 본 발명의 세굴방지수단(100)을 통해 사면보강블럭(B)의 세굴방지 및 사면보강블럭의 시공에 따른 주변 사면보강블럭간의 레벨조정을 통한 시공품질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을 위한 사면보강블럭의 시공방법은 도 7의 블럭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굴방지수단을 준비하는 단계(S100), 기초밀착단계(S200), 블럭결합단계(S300), 레벨조정단계(S400), 인장마감단계(S500)를 통해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하다.
준비하는 단계(S100)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 형태의 직물지로 상기 사면보강블럭(B) 형상에 대응되도록 세굴방지포 본체(110)가 봉제형성되고,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중앙으로 앵커공(A) 직경과 대응되어 상기 사면보강블럭(B) 중심으로 돌출되어 인장되는 강선(W)이 통과되도록 강선공(120)이 마련되며,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일측에 내부로 콘크리트가 주입되어 지면(G)으로부터 세굴방지포 본체(110)의 높이가 콘크리트의 주입량에 따라 조정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관(130)이 마련된 세굴방지수단(100)을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세굴방지수단(100)의 형상은 도면상에는 사각의 포대 형상에 중앙에 강선공을 형성하여 강선의 인장시, 세굴방지포 본체(110)와의 간섭없이 인장시공이 가능하고, 후술되는 레벨조정단계에서의 콘크리트를 주입관을 통해 주입시, 세굴방지포 본체(110) 내의 콘크리트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봉제된다. 밀폐봉제되는 부분은 주입관을 제외한 강선공 테두리 및 세굴방지포 본체(110) 테두리가 밀폐 봉제된다.
기초밀착단계(S200)
앞서 준비하는 단계를 통해 세굴방지수단(100)을 준비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상기 세굴방지수단(100)을 밀착대응하여 앵커공과 강선공이 동일축선상에 놓여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세굴방지수단(100)의 세굴방지포 본체(110)의 강선공(120)이 앵커공(A)에 대응되도록 지면(G)에 대응하고,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가 앵커공(A) 주면 지면(G)에 밀착되어 토사가 우천시 빗물에 직접 접촉되어 유실되지 않도록 움켜쥐도록 한다. 즉, 세굴방지포 본체(110)가 앵커공 주변의 지면에 밀착대응됨에 따라 빗물이 토사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사면보강블럭 외측으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지면의 강도가 우천시라도 사면보강블럭의 붕괴 내지는 시공불량을 요하는 최소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빗물이 사면보강블럭 주변으로 흐르더라도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00)에 의해 토사가 유실되지 않게 움켜쥐는 것과 같이 밀착되어 세굴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블럭결합단계
(S3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 또는 비탈면의 보강을 위해 앵커공을 천공하고, 천공된 앵커공에 정착구를 삽입고정하여 콘크리트 양생후, 강선을 인장하여 사면 또는 비탈면을 보강한 상태에서 강선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사면보강블럭을 앞서 상술한 상기 기초밀착단계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공(A) 주변 지면(G)에 밀착대응된 세굴방지수단(100)의 세굴방지포 본체(110) 상부면에 대응하여 안치한다. 즉, 종래 사면보강블럭의 시공에 본 발명의 사면보강수단(100)의 결합과정이 추가되어 세굴방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레벨조정단계(S400)
상기 블럭결합단계를 통해 상기 세굴방지수단(100)의 세굴방지포 본체(110) 상부면에 안치된 주변 사면보강블럭(B)의 높이와 동일높이를 유지하도록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일측에 형성된 주입관(130)을 통해 주변 사면보강블럭(B)과 높이가 일치되도록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양생한다. 즉, 사면 또는 비탈면의 지면이 고르지 않아 사면보강블럭을 설치시공하면 지면의 굴곡에 따라 사면보강블럭이 들쑥날쑥하게 자리잡아 외관품질이 일정치 않고, 이로 인해 주변환경과 이질감을 초래하게 되거나 시공품질을 의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여 사면 또는 비탈면의 사면보강블럭간에 일정하게 동일한 높이를 요구하여 설치하는 경우 별도의 지압판 등을 추가적으로 설치하게 되는 데 이를 본 발명의 세굴방지수단(100)의 세굴방지포 본체(110) 일측에 형성된 주입관(130)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주입함으로써, 사면보강블럭의 설치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주변 사면보강블럭간의 레벨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면 또는 비탈면에 설치되는 사면보강블럭의 다수가 서로 일치된 높이로 정렬됨에 따라 외관이 미려하고, 시공품질이 향상되며, 설치 후에도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한 사면보강블럭의 불량부분을 육안으로 간편하게 발견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면보강블럭의 붕괴 등의 초래전에 사전에 안전사고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사면보강블럭의 동일한 레벨 조정을 통한 시공은 외관 및 안전, 유지보수에 걸쳐 상당히 중요한 공정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과 같이 간편하게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조정함에 따라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공기의 단축 및 시공 편의성을 가져올 수 있다.
인장마감단계(S500)
상기 레벨조정단계를 통해 주변 사면보강블럭(B) 간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결합된 후, 강선(W)을 인장하여 마감한다. 즉, 사면보강블럭(B)의 사면 또는 비탈면 고정을 위해 강선을 인장하여 고정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다.
식생조성단계
(S600)
한편, 도 8의 블럭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사의 유실방지 및 사면 또는 비탈면이 주면환경과 어우러져 일질감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준비단계의 세굴방지수단(100)의 세굴방지포 본체(110) 테두리를 따라 주변의 토사유출을 방지하고, 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망체(140)가 더 형성되어 상기 인장마감단계 후, 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조성단계(S600)가 더 마련되어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식생조성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망체의 메쉬 간극에 의해 토사가 흘러내려 유실되지 않도록 나무의 뿌리와 같이 제공하고, 메시 간극간에 식생을 하여 초기 식생시, 빗물 등으로 인한 식생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식생 생장시, 지면으로부터 안정된 정착이 가능하여 식생 생장을 촉진할 수 있으며, 식생으로 인해 식생망체와 더불어 사면보강블럭 주변 토사까지도 유실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주변환경과 어우러져 보다 친환경적 시공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A : 앵커공
W : 강선
G : 지면 B : 사면보강블럭
100 : 세굴방지수단 110 : 세굴방지포 본체
120 : 강선공 130 : 주입관
140 : 식생망체 S100 : 준비하는 단계
S200 : 기초밀착단계 S300 : 블럭결합단계
S400 : 인장마감단계 S600 : 식생조성단계
G : 지면 B : 사면보강블럭
100 : 세굴방지수단 110 : 세굴방지포 본체
120 : 강선공 130 : 주입관
140 : 식생망체 S100 : 준비하는 단계
S200 : 기초밀착단계 S300 : 블럭결합단계
S400 : 인장마감단계 S600 : 식생조성단계
Claims (5)
- 사면 또는 비탈면의 앵커공(A)에 정착된 정착구의 강선(W)을 인장한 후, 사면 또는 비탈면의 지면(G)에 대응 결합되어 강선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사면보강블럭(B)에 있어서,
상기 사면보강블럭(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앵커공(A)의 직경에 대응되는 강선공(120)이 중심에 형성되어 강선이 통과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면보강블럭(B) 하부면에 대응되어 상기 앵커공(A)의 주면 지면(G)에 밀착대응되어 사면보강블럭(B)과 앵커공(A) 사이 및 주변 토사를 움켜쥐어 토사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콘크리트 주입이 가능하도록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주입량에 따라 주변 사면보강블럭(B)과 높이를 조정하도록 형성된 세굴방지수단(1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굴방지수단(100)은 주머니 형태의 직물지로 봉제형성되어 상기 사면보강블럭(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세굴방지포 본체(110)와;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중앙으로 앵커공(A) 직경과 대응되고, 상기 사면보강블럭(B) 중심으로 돌출되어 인장되는 강선(W)이 통과되도록 마련된 강선공(120)과;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일측에 세굴방지포 본체 내부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가 지면(G)으로부터 높이가 콘크리트의 주입량에 따라 조정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관(13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보강블럭(B) 주변의 토사유출을 방지하고, 식생이 가능하도록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테두리를 따라 식생망체(14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 사면 또는 비탈면의 앵커공(A)에 정착된 정착구의 강선(W)을 인장한 후, 사면 또는 비탈면의 지면(G)에 대응 결합되어 강선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사면보강블럭(B)에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100)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주머니 형태의 직물지로 상기 사면보강블럭(B) 형상에 대응되도록 세굴방지포 본체(110)가 봉제형성되고,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중앙으로 앵커공(A) 직경과 대응되어 상기 사면보강블럭(B) 중심으로 돌출되어 인장되는 강선(W)이 통과되도록 강선공(120)이 마련되며,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일측에 내부로 콘크리트가 주입되어 지면(G)으로부터 세굴방지포 본체(110)의 높이가 콘크리트의 주입량에 따라 조정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관(130)이 마련된 세굴방지수단(100)을 준비하는 단계(S100)와;
상기 세굴방지수단(100)의 세굴방지포 본체(110)의 강선공(120)이 앵커공(A)에 대응되도록 지면(G)에 대응하고,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가 앵커공(A) 주면 지면(G)에 밀착되어 토사가 우천시 빗물에 직접 접촉되어 유실되지 않도록 움켜쥐도록 하는 기초밀착단계(S200)와;
상기 기초밀착단계를 통해 앵커공(A) 주변 지면(G)에 밀착대응된 세굴방지수단(100)의 세굴방지포 본체(110) 상부면에 사면보강블럭(B)을 대응하여 안치하는 블럭결합단계(S300)와;
상기 블럭결합단계를 통해 상기 세굴방지수단(100)의 세굴방지포 본체(110) 상부면에 안치된 주변 사면보강블럭(B)의 높이와 동일높이를 유지하도록 상기 세굴방지포 본체(110) 일측에 형성된 주입관(130)을 통해 주변 사면보강블럭(B)과 높이가 일치되도록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양생하는 레벨조정단계(S400)와;
상기 레벨조정단계를 통해 주변 사면보강블럭(B) 간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결합된 후, 강선(W)을 인장하여 마감하는 인장마감단계(S500);를 포함하는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을 이용한 시공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의 세굴방지수단(100)의 세굴방지포 본체(110) 테두리를 따라 주변의 토사유출을 방지하고, 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망체(140)가 더 형성되어 상기 인장마감단계 후, 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조성단계(S600)가 더 마련된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을 이용한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5709A KR102108823B1 (ko) | 2017-09-11 | 2017-09-11 |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5709A KR102108823B1 (ko) | 2017-09-11 | 2017-09-11 |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8879A true KR20190028879A (ko) | 2019-03-20 |
KR102108823B1 KR102108823B1 (ko) | 2020-05-11 |
Family
ID=6603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5709A KR102108823B1 (ko) | 2017-09-11 | 2017-09-11 |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882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248546A (zh) * | 2023-11-16 | 2023-12-19 | 西南交通大学 | 一种无需挖槽的锚索框架梁快速施工方法及结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2288A (ja) * | 1999-07-27 | 2001-02-06 | Shin Gijutsu Koei Kk | 地上構造物の基礎工法 |
KR200423790Y1 (ko) | 2006-05-29 | 2006-08-10 | 최은호 | 호안 구조물용 포대 |
KR20070077550A (ko) | 2006-01-24 | 2007-07-27 | 주식회사 동호 | 패브릭 직물포대와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
KR20100024647A (ko) * | 2008-08-26 | 2010-03-08 | 장현준 | 소일 네일용 사면 안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정화공법 |
-
2017
- 2017-09-11 KR KR1020170115709A patent/KR1021088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2288A (ja) * | 1999-07-27 | 2001-02-06 | Shin Gijutsu Koei Kk | 地上構造物の基礎工法 |
KR20070077550A (ko) | 2006-01-24 | 2007-07-27 | 주식회사 동호 | 패브릭 직물포대와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
KR200423790Y1 (ko) | 2006-05-29 | 2006-08-10 | 최은호 | 호안 구조물용 포대 |
KR20100024647A (ko) * | 2008-08-26 | 2010-03-08 | 장현준 | 소일 네일용 사면 안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정화공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248546A (zh) * | 2023-11-16 | 2023-12-19 | 西南交通大学 | 一种无需挖槽的锚索框架梁快速施工方法及结构 |
CN117248546B (zh) * | 2023-11-16 | 2024-02-02 | 西南交通大学 | 一种无需挖槽的锚索框架梁快速施工方法及结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8823B1 (ko) | 2020-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930231B (zh) | 一种应用于度汛工程防洪堤加固的施工方法 | |
KR101023660B1 (ko) |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RU2319806C2 (ru) |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биопозитивного крепления | |
CN205999903U (zh) | 环保型植草混凝土公路护坡结构 | |
CN108442318A (zh) | 一种用于河岸防护的生态护岸的施工方法 | |
CN108385700A (zh) | 边坡加固及保护方法 | |
CN112832288A (zh) | 一种坡地建筑地下室抗浮构造及其施工方法 | |
CN116537221A (zh) | 一种公路隧道洞口段塌滑体边坡防护加强结构和施工方法 | |
CN110055929A (zh) | 一种管道穿越软基河堤的施工方法 | |
KR20190028879A (ko) |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CN111778922A (zh) | 一种河道流域防汛堤坝的施工方法 | |
CN211547768U (zh) | 公路路基防护装置 | |
CN117627689A (zh) | 一种适用于直薄中墙连拱隧道的衬砌渗漏水防治方法 | |
EP0897435B1 (en) | Method for forming a steep embankment | |
CN110195419A (zh) | 一种混凝土护栏结构及其施工方法 | |
KR101840708B1 (ko) | 법면을 포함하는 친환경 수로 시공방법 | |
JP2981839B2 (ja) | 河川構造物 | |
CN108316237A (zh) | 驳岸挡墙 | |
JP2012031622A (ja) | ドレーン構造およびドレーン構造の施工方法 | |
CN109183964A (zh) | 一种调蓄池施工方法 | |
CN109440622A (zh) | 一种生态型水环境过流及修复方法 | |
Pilarczyk | Geotextiles and geosystems in dike and coastal design | |
CN206800093U (zh) | 一种土建防滑路基 | |
KR20090075476A (ko) | 사면녹화공법 | |
KR20010016170A (ko) | 세굴 및 침식방지 섬유대와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