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774A - 액세스 방법, 기지국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액세스 방법, 기지국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774A
KR20190028774A KR1020197004367A KR20197004367A KR20190028774A KR 20190028774 A KR20190028774 A KR 20190028774A KR 1020197004367 A KR1020197004367 A KR 1020197004367A KR 20197004367 A KR20197004367 A KR 20197004367A KR 20190028774 A KR20190028774 A KR 20190028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aging
identifier
base station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 유
다 왕
유 카이
구오롱 리
지안 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28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04W68/025Indirect p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UE에 액세스하고 UE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액세스 방법, 기지국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 1 메시지는 기지국에게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됨 - 와,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 - 페이징 시기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또는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임 - 와,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Description

액세스 방법, 기지국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세스 방법, 기지국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 릴레이 링크에서,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는 저 성능 디바이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고 성능 디바이스, 예를 들면, 고 성능 스마트폰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폰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돕는 중계 노드로서 사용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래에 사람들은 다양한 지능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제 1 디바이스는 복수의 제 2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고, 제 1 디바이스를 중계기로서 사용하여 복수의 제 2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UE(제 1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는 해결책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UE에 액세스하고 UE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액세스 방법, 기지국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책이 사용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액세스 방법이 개시되고 액세스 방법은 D2D 중계 시스템에 적용된다. D2D 중계 시스템은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제 1 디바이스 및 제 1 디바이스와 쌍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 1 메시지는 기지국에게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 절차를 개시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됨 - 와, 기지국에 의해 또한, 페이징 시기(paging occasion)를 결정하는 단계 - 페이징 시기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또는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임 - 와, 마지막으로, 기지국에 의해,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액세스 방법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해야 할 때,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기지국을 사용하여 제 2 디바이스로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고, 기지국은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고,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제 3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 2 디바이스는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와 동기화하고, 제 1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최종적으로 제 1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로, 제 2 디바이스에 송신되어야 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제 1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에 중계한다. 전술한 절차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제 2 디바이스)가 UE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D2D 시나리오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UE를 중계기로서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예에서, 페이징 시기가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기지국에 의해,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을 수신하고, 제 1 페이징 메시지에 있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며,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1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물론, 제 2 디바이스는 또한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기동하여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2 페이징 메시지에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한다.
제 1 구현예에서, 제 2 메시지는 제 1 페이징 메시지 및 제 2 페이징 메시지이고, 즉, 기지국은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따라서 제 1 디바이스는 기지국의 페이징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디바이스는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설정한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예에서, 페이징 시기가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기지국에 의해,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고,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제 2 구현예에서, 제 2 메시지는 제 2 페이징 메시지이다. 기지국은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디바이스만을 페이징한다. 그러나,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기지국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페이징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디바이스는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는 연결을 설정한다.
제 1 양태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예에서, 페이징 시기가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기지국에 의해,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검출하고,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며,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제 3 구현예에서, 제 2 메시지는 제 2 페이징 메시지이다. 기지국은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디바이스만을 페이징한다. 또한,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기지국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페이징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디바이스는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는 연결을 설정한다.
제 1 양태의 또는 제 1 양태의 제 1 내지 제 3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1 양태의 제 4 가능한 구현예에서,
기지국에 의해,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제 1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하는 단계,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액세스 방법이 개시되며 액세스방법은 D2D 중계 시스템에 적용된다. D2D 중계 시스템은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제 1 디바이스 및 제 1 디바이스와 쌍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 2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와, 다음으로, 제 2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한 다음,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1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하며,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기지국에 의해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송신된다.
또한, 제 1 디바이스는 제 1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되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한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하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기지국에 의해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송신된다.
또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한다.
제 2 양태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하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기지국에 의해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송신된다. 또한,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하고,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기동하여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며,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한다.
제 2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제 1 내지 제 3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2 양태의 제 4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을 계산하고,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에서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메시지 송신 시간 길이를 계산하고, 메시지 송신 시간 내에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연속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즉, 일정 기간 내에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연속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메시지(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제 2 메시지는 제 1 페이징 메시지 또는 제 2 페이징 메시지임)를 수신한 후에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2 디바이스로부터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기지국이 개시된다. 기지국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제 1 메시지는 기지국에게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됨 - 과,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 페이징 시기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또는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임 - 과,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제 2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예에서, 페이징 시기가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1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고,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예에서, 페이징 시기가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어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페이징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제 3 양태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예에서, 페이징 시기가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제 1 내지 제 3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3 양태의 제 4 가능한 구현예에서,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하고 및/또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제 1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제 2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과, 제 2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과,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예에서,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1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제 4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예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예에서,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1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예에서,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제 4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예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제 4 가능한 구현예에서,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제 5 가능한 구현예에서,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제 4 양태의 제 5 가능한 구현예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제 6 가능한 구현예에서,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제 1 내지 제 6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4 양태의 제 7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는 계산 유닛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계산 유닛은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을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유닛은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에서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또는 계산 유닛은 메시지 송신 시간 길이를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유닛은 메시지 송신 시간 길이 내에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또는 송신 유닛은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수신 유닛이 제 2 디바이스로부터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기지국이 개시된다. 기지국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 제 1 메시지는 기지국에게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됨 - 와,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 페이징 시기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또는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임 - 와,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 제 2 메지시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제 5 양태를 참조하면, 제 5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예에서, 페이징 시기가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1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고,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제 5 양태를 참조하면, 제 5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예에서, 페이징 시기가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에 사용되고,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제 5 양태를 참조하면, 제 5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예에서, 페이징 시기가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에 사용되고,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제 5 양태 또는 제 5 양태의 제 1 내지 제 3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5 양태의 제 4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하고 및/또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제 6 양태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제 1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 제 2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와, 제 2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와,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제 6 양태를 참조하면, 제 6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예에서,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1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제 6 양태의 제 1 가능한 구현예를 참조하면, 제 6 양태의 제 2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제 1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6 양태를 참조하면, 제 6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예에서,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제 6 양태의 제 3 가능한 구현예를 참조하면, 제 6 양태의 제 4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6 양태를 참조하면, 제 6 양태의 제 5 가능한 구현예에서, 송수신기는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제 6 양태의 제 5 가능한 구현예를 참조하면, 제 6 양태의 제 6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6 양태 또는 제 6 양태의 제 1 내지 제 6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 6 양태의 제 7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을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기는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에서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또는 프로세서는 메시지 송신 시간 길이를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기는 메시지 송신 시간 길이 내에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또는 송수신기는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송수신기가 제 2 디바이스로부터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아래에서 간단히 설명한다. 명백하게, 다음의 설명에서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할 뿐이며,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창조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더라고 이들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PF 및 PO의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WD를 페이징하는 시간 순서(time sequence)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UE에 의해 제 3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WD를 페이징하는 시간 순서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WD를 페이징하는 시간 순서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른 구조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다른 구조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일부이지 전부는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창의적인 노력 없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D2D 중계 링크에서,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2 디바이스는 작은 부피, 작은 배터리 용량 및 낮은 무선 주파수 성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제 2 디바이스의 대기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 감소되어야 한다. 제 1 디바이스는 높은 성능의 디바이스이고, 낮은 성능의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을 돕는 중계 노드로서 사용되어, 제 2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줄여줄 수 있다.
특정 구현 동안, 제 2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WD) 일 수 있으며, 제 1 디바이스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일 수 있다. UE는 복수의 WD를 중계할 수 있다.
미래에 사람들은 다양한 지능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음성 전화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을 중계기로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동 전화를 사용하여 혈압 및 심장 박동수와 같은 건강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업로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UE에 액세스하는 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기지국 또는 이동 전화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 해결책 및 페이징을 수신한 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UE에 액세스하는 해결책이 또한 연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UE(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페이징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한 후에, UE는 특정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UE를 식별하고, UE와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기술 용어가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1) 페이징:
브로드캐스팅과 달리, 페이징은 타겟팅된 방식으로 일부 디바이스에 송신된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측이 ECM-IDLE 상태(즉, 유휴 상태)의 UE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때,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는 UE가 등록되어 있는 모든 트랙킹 영역(Tracking Area, TA) 내의 모든 eNodeB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런 다음, eNodeB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UE에 송신하여 UE를 페이징한다. UE가 RRC_IDLE 상태(즉, 유휴 상태)에 있으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UE는 호를 수신하기 위해 RRC 연결 설정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2) 페이징 시기:
통상적으로, 디바이스(예를 들어, UE)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특정 서브프레임(PF라고 지칭함)에서, UE는 PF의 특정 서브프레임(PO라고 지칭함)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려고 시도한다. PO는 무선 프레임(즉, PF)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번호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PO는 페이징 시기이다.
PF는 LTE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페이징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 프레임의 번호를 지칭하며, PF는 무선 프레임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F는 하나 이상의 PO를 포함할 수 있다. PF와 PO는 함께 LTE 무선 인터페이스의 페이징 시기, 즉, UE가 페이징을 수신하기 위해 DRX의 유휴 상태로부터 기동하는 시기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계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시스템은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제 1 디바이스 및 제 1 디바이스와 쌍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기지국과 직접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를 중계기로서 사용하여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신을 구현하기 위해, 제 1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기지국은 eNB(E-UTRAN NodeB)일 수 있고, 제 1 디바이스는 UE일 수 있으며, UE와 쌍을 이루는 제 2 디바이스는 WD1 및 WD2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에서,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는 쌍을 이루며, 서로의 식별자(ID)를 기록한다. 또한 제 1 디바이스는 RRC_IDLE 상태에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1): 기지국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메시지를 수신한다.
특정 구현 동안, 제 1 메시지는 기지국에게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MME)가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해야 할 때, 예를 들어, MME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해야 할 때, MME는 제 1 메시지를 제 1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전체 페이징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제 1 메시지는 또한 페이징 메시지이고,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해야 하는 것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기지국은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 절차를 개시한다.
(S2): 기지국은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고, 여기서 페이징 시기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또는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다.
특정 구현 동안, 기지국은 제 1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 제 1 디바이스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하고; 및/또는
기지국은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 및 제 2 디바이스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PF는 다음 수학식(a)을 만족하는 시스템 프레임이다.
[수학식 a]
Figure pct00001
PO는 인덱스(i_s)를 사용하여 표 1(PF/PO 수학식의 파라미터 설명 표)를 검색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i_s)는 다음의 수학식(b)을 사용하여 구한다.
[수학식 b]
Figure pct00002
UE의 경우, PF는 제 2 메시지(페이징)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 프레임이고, PO는 PF에서 페이징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이다.
Figure pct00003
(T div N)은 하나의 DRX 사이클이 균등하게 N 개 부분으로 분할된 후 각 부분 내 시스템 프레임의 수량과 동등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UE_ID mod N)은 N개 부분 내 (UE_ID mod N)번째 부분(여기서 값은 0부터 N-1까지의 범위임)과 동등하다. PF는 (UE_ID mod N)번째 부분 내의 제 1 시스템 프레임이다.
(S3): 기지국은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여기서 제 2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특정 구현 동안, 기지국은 다음과 같은 세 개의 방식으로 제 2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첫째, 페이징 시기가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기지국은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고,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1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둘째, 페이징 시기가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기지국은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고,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셋째, 페이징 시기가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기지국에 의해,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고,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S4): 제 1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 2 메시지를 수신한다.
기지국에 의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술한 세 개의 방식과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세 개의 방식이 있다:
첫째,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며, 여기서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1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한다.
둘째,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며, 여기서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된다.
셋째,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된다.
(S5): 제 1 디바이스는 페이징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한다.
이에 대응하여,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가 상이하면,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되는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특정 방법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방법은:
제 1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6): 제 1 디바이스는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특정 구현 동안,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다음과 같은 세 개의 방식이 있다: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을 계산하고,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에서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메시지 송신 시간 길이를 계산하고, 메시지 송신 시간 길이 내에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2 디바이스로부터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제 3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와 동기화하고, 제 1 디바이스를 측정 및 식별하고, 제 1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또한,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 간의 연결은 근거리 통신(near-field communication, NFCC) 연결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제 2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줄어들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의 전송 속도가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eNodeB는 UE(제 1 디바이스)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고, WD(제 2 디바이스)는 UE를 중계기로서 사용하여 eNodeB와의 연결을 설정해야 한다. WD가 UE에 액세스하도록 WD를 페이징하는 절차는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101): MME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WD에 전송해야 할 때, MME는 제 1 메시지를 eNodeB에 송신한다.
제 1 메시지는 또한 페이징 메시지이고, 기지국에게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해야 할 때,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제 1 메시지를 eNodeB에 송신한다.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지국은 WD를 페이징하는 절차를 개시한다.
(102): eNodeB는 MME에 의해 송신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에서 표시된 WD의 ID(식별자)에 기초하여 WD의 페이징 시기(PO1)를 계산하며, 메시지에서 표시된 UE의 ID(식별자)에 기초하여 UE의 페이징 시기(PO 2)를 계산한다.
(103): eNodeB는 UE의 페이징 시기(PO 2)를 통해 UE를 페이징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PO 2를 통해 UE에 송신되고,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WD의 ID를 반송한다.
(104): eNodeB는 WD의 페이징 시기(PO 1)를 통해 WD를 페이징한다.
구체적으로,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PO 1를 통해 WD에 송신되고, WD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또한 WD의 ID를 반송한다.
(105): UE는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1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WD의 ID를 식별한 후에 제 3 메시지를 WD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UE는 PO 2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물론, WD는 또한 WD의 페이징 시기(PO 1)을 통해 기동하여 기지국으로부터의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UE는 또한 도 5에 도시된 세 개의 방식을 참조하여 제 3 메시지를 WD에 송신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a.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T)을 계산하고,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T)에서 제 3 메시지를 WD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b. 메시지 송신 시간 길이를 계산하고, 메시지 송신 시간 길이 내에 제 3 메시지를 WD에 송신하는 단계, 즉, 일정 기간 내에 제 3 메시지를 WD에 연속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c. UE에 의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 3 메시지를 WD에 연속적으로 송신하고, WD로부터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3 메시지를 WD에 송신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06): WD는 제 3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UE를 식별하고, UE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UE 및 WD는 단계(101) 이전에 서로 쌍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의 ID를 알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UE는 RRC_IDLE 상태에 있다. 페이징 프로세스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4는 전술한 단계(103 내지 105)만을 시간 순서에서 도시하고 전술한 방법의 나머지 단계를 도시하지 않지만, 전술한 방법은 이들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eNodeB는 UE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WD는 UE를 중계기로 사용하여 eNodeB와의 연결을 설정해야 한다. WD가 UE에 액세스하도록 WD를 페이징하는 절차는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201): MME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WD로 전송해야 할 때, MME는 제 1 메시지를 eNodeB에 송신한다.
(202): eNodeB는 MME에 의해 송신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에서 표시된 WD의 ID(식별자)에 기초하여 WD의 페이징 시기(PO 1)를 계산한다.
이 실시예의 단계(201 및 202)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101 및 102)와 동일하고, 상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203): eNodeB는 WD의 페이징 시기(PO 1)를 통해 WD를 페이징한다.
구체적으로,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PO 1를 통해 WD에 송신되고 WD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된다.
(204): UE는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UE는 WD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WD의 페이징 시기(PO 1)를 계산하고, PO 1을 통해 기동하여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며, 또한 WD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WD는 대안적으로 WD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즉 PO 1을 통해 기동하여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205): UE는 제 3 메시지를 WD에 송신한다.
UE는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 3 메시지를 WD에 송신한다. 또한, UE는 또한 도 5에 도시된 세 개의 방식을 참조하여 제 3 메시지를 WD에 송신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206): WD는 제 3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UE를 식별하고, UE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UE와 WD는 단계(101) 이전에 서로 쌍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의 ID를 알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UE는 RRC_IDLE 상태에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방법을 제공한다. eNodeB는 UE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WD는 UE를 중계기로 사용하여 eNodeB와의 연결을 설정해야 한다. WD가 UE에 액세스하도록 WD를 페이징하는 절차는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301): MME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WD에 전송해야 할 때, MME는 eNodeB에 제 1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실시예의 단계(301)는 전술한 실시예의 단계(101)과 동일하고, 상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302): eNodeB는 MME에 의해 송신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페이징 시기가 UE의 페이징 시기(PO 2)인 것으로 결정한다.
(303): eNodeB는 UE의 페이징 시기(PO 2)를 통해 WD를 페이징한다.
구체적으로,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PO 1을 통해 WD에 송신되고 WD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또한 WD의 ID를 반송한다.
(304): WD는 UE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UE의 페이징 시기(PO 2)를 계산하고, PO2를 통해 기동하여 eNodeB에 의해 송신된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305): UE는 UE의 페이징 시기(PO 2)를 통해 기동하여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물론, UE는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WD의 ID에 기초하여, WD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며, 또한 단계(306)를 수행하도록 트리거한다.
(306): UE는 제 3 메시지를 WD에 송신한다.
UE는 또한 도 5에 도시된 세 개의 방식을 참조하여 제 3 메시지를 WD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307): WD는 제 3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UE를 식별하고, UE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UE와 WD는 단계(101) 이전에 서로 쌍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의 ID를 알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UE는 RRC_IDLE 상태에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액세스 방법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WD(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해야 할 때,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기지국을 이용하여 제 2 디바이스에 페이징을 개시할 수 있고, 기지국은 UE(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또는 WD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UE는 제 2 메시지에서 반송된 WD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WD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고, 제 3 메시지를 WD에 송신할 수 있다. 제 3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WD는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UE와 동기화하고, UE를 식별하며, 최종적으로 UE와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UE로, WD에 송신되어야 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UE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WD에 중계한다. 전술한 절차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제 2 디바이스)가 UE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D2D 시나리오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UE를 중계기로 이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을 네트워크 요소 간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전술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기지국 및 UE(제 1 디바이스)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의 예가 본 발명에서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특정 해결책 및 기술적 해결책의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다르다.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방법 예에 기초하여 기지국, UE(제 1 디바이스) 등에 대해 기능 모듈 분할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 모듈은 기능에 대응하여 분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둘 이상의 기능은 하나의 프로세싱 모듈에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분할은 예이며, 단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일 뿐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실제 구현시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다.
기능 모듈이 기능에 대응하여 분할될 때, 도 8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가능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기지국은 수신 유닛(401), 결정 유닛(402) 및 송신 유닛(403)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401)은 도 3의 프로세스(S1), 도 4의 프로세스(102), 도 6의 프로세스(202) 및 도 7의 프로세스(302)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지국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유닛(402)은 도 3의 프로세스(S2), 도 4의 프로세스(102), 도 6의 프로세스(202) 및 도 7의 프로세스(302)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지국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유닛(403)는 도 3의 프로세스(S3), 도 4의 프로세스(103), 도 6의 프로세스(203) 및 도 7의 프로세스(303)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지국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단계의 모든 관련된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 모듈의 기능적 설명을 위해 참조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수신 유닛(401)은 기지국의 송수신기일 수 있다. 송신 유닛(403)은 기지국의 송수신기일 수 있다. 송수신기와 송수신기는 함께 통합되어 기지국의 송수신기를 형성할 수 있다. 결정 유닛(402)은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코드를 호출하여 결정 유닛의 전술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프로세서(501), 송수신기(502), 메모리(503) 및 버스(504)를 포함한다. 송수신기(502), 프로세서(501) 및 메모리(503)는 버스(504)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버스(504)는 주변 기기 상호접속(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 확장된 산업 표준 아키텍처(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 버스 등일 수 있다. 버스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시의 용이함을 위해, 버스는 도 9에서 오직 하나의 굵은 선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그러나 단 하나의 버스 또는 단 하나의 유형의 버스만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기능 모듈이 기능에 대응하여 분할될 때, 도 10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가능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제 1 디바이스는 수신 유닛(601), 결정 유닛(602) 및 송신 유닛(603)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601)은 도 3의 프로세스(S4), 도 4의 프로세스(105), 도 6의 프로세스(204) 및 도 7의 프로세스(305)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 1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유닛(602)은 도 3의 프로세스(S5), 도 4의 프로세스(105), 도 6의 프로세스(204)에서 제 2 디바이스가 호출된 것으로 결정하는 관련된 단계 및 도 7의 프로세스(305)에서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는 관련된 단계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 1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유닛(603)은 도 3의 프로세스(S6), 도 4의 프로세스(105), 도 6의 프로세스(205) 및 도 7의 프로세스(306)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 1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단계의 모든 관련된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 모듈의 기능적 설명을 위해 참조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수신 유닛(601)은 제 1 디바이스의 송수신기일 수 있다. 송신 유닛(603)은 제 1 디바이스의 송수신기일 수 있다. 송수신기와 송수신기는 함께 통합되어 제 1 디바이스의 송수신기를 형성할 수 있다. 결정 유닛(602)은 제 1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메모리 내의 코드를 호출하여 결정 유닛의 전술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는 프로세서(701), 송수신기(702), 메모리(703) 및 버스(704)를 포함한다. 송수신기(702), 프로세서(701) 및 메모리(703)는 버스(704)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버스(704)는 주변 기기 상호접속(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 확장된 산업 표준 아키텍처(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 버스 등일 수 있다. 버스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시의 용이함을 위해, 버스는 도 1에서 오직 하나의 굵은 선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그러나 단 하나의 버스 또는 단 하나의 유형의 버스만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 단계는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식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CD-ROM), 또는 관련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결합되어,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물론,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ASIC은 코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코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서 개별 구성요소로 존재할 수 있다.
구현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편리하고 간단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기능 모듈의 분할이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실제 응용에서, 전술한 기능은 상이한 모듈에 할당될 수 있고 요건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데, 즉, 장치의 내부 구조는 상이한 기능 모듈로 분할되어 위에서 설명한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한다. 위에서 설명한 디바이스의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하며, 상세한 내용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별도의 부품으로 설명되는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보이는 부품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유닛일 수 있는데, 즉, 한 곳에 위치되거나 상이한 장소에 분산될 수 있다. 유닛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에서의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통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통합 유닛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해결책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단일 칩 마이크로컴퓨터, 칩 등일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모든 단계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몇 가지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착탈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일 뿐이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생각해 내는 모든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의 보호 범위의 대상이 된다.

Claims (26)

  1. 메시지 전송 방법으로서,
    기지국에 의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에게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됨 - 와,
    상기 기지국에 의해, 페이징 시기(paging occasion)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시기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임 - 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시기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시기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시기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 -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6. 액세스 방법으로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와,
    상기 제 2 메시지에서 반송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하는
    액세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하는
    액세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하는
    액세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방법.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을 계산하고, 상기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에서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메시지 송신 시간 길이를 계산하고, 상기 메시지 송신 시간 길이 내에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방법.
  14. 기지국으로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에게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됨 - 과,
    페이징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 상기 페이징 시기는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임 - 과,
    상기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는
    기지국.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시기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상기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기지국.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시기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기지국.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시기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이면,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 -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기지국.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하고, 및/또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9. 제 1 디바이스로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제 2 메시지는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함 - 과,
    상기 제 2 메시지에서 반송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과,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상기 제 3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하는
    제 1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바이스.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하는
    제 1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바이스.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페이징 시기를 통해 제 2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페이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반송하는
    제 1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페이징 메시지에서 반송된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페이징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바이스.
  26. 제 19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산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계산 유닛은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 3 메시지 송신 시점에서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계산 유닛은 메시지 송신 시간 길이를 계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메시지 송신 시간 길이 내에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 3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디바이스.
KR1020197004367A 2016-07-22 2016-07-22 액세스 방법, 기지국 및 디바이스 KR201900287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91092 WO2018014359A1 (zh) 2016-07-22 2016-07-22 一种接入方法、基站及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774A true KR20190028774A (ko) 2019-03-19

Family

ID=6099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367A KR20190028774A (ko) 2016-07-22 2016-07-22 액세스 방법, 기지국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27461B2 (ko)
EP (1) EP3481030B1 (ko)
JP (1) JP6724237B2 (ko)
KR (1) KR20190028774A (ko)
CN (1) CN109417560B (ko)
WO (1) WO20180143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757A (ko) * 2019-05-22 2022-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전자 기기 및 지능형 전자 기기에 전송되는 메시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9379B (zh) * 2015-04-09 2021-08-24 索尼公司 终端设备、无线通信设备、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程序
ES2893116T3 (es) * 2016-07-26 2022-02-08 Ipcom Gmbh & Co Kg Conexión de dispositivos que se llevan puestos
CN111726862B (zh) * 2019-03-18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寻呼监听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1818504B (zh) * 2019-04-12 2021-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消息的传输方法及装置
WO2021174554A1 (zh) * 2020-03-06 2021-09-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寻呼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30379879A1 (en) * 2020-10-30 2023-11-23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aging configu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paging methods and apparatus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67596A (zh) 2007-03-14 2008-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消息的承载方法、系统及装置
US8521194B2 (en) 2007-07-10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ing paging in a wireless peer-to-peer network
US8706145B2 (en) 2007-07-10 2014-04-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hop paging of a peer in a peer-to-peer communication network
CN101400153B (zh) * 2007-09-27 2013-01-1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户设备通过hnb接入系统直接通信的方法
JP5462357B2 (ja) 2009-04-28 2014-04-02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 ページング方法、ロケーション更新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8666403B2 (en) * 2009-10-23 2014-03-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device-to-device connection establishment
CN102202396A (zh) * 2010-03-23 2011-09-28 华为终端有限公司 寻呼处理方法、装置和系统
MY161528A (en) 2010-04-02 2017-04-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Group procedure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s
CN102480779B (zh) 2010-11-29 2014-10-29 开曼晨星半导体公司 一种家用基站执行周期同步的方法
CN103200535B (zh) 2012-01-10 2016-06-29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集群组的寻呼方法
CN103428855B (zh) 2012-05-25 2017-10-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系统消息更新信息的发送、接收方法及其装置
CN103581916B (zh) * 2012-07-19 2016-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间用户设备直接通信的方法、用户设备及通信系统
CN102970750B (zh) * 2012-12-06 2015-06-24 北京北方烽火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lte系统中的消息寻呼方法、装置和基站
CN103906098B (zh) 2012-12-26 2017-12-0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长期演进网络中的寻呼参数自优化方法与系统
KR20150026775A (ko) * 2013-09-03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EP3064004A4 (en) * 2013-11-01 2017-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ging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12939B2 (en) * 2014-01-08 2021-05-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lways on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5493622B (zh) * 2014-08-06 2020-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网络设备、寻呼方法和区域信息更新方法
US9749986B2 (en) 2014-08-28 2017-08-29 Apple Inc. Paging mechanisms for link-budget-limited user devices
US10917222B2 (en) * 2014-09-30 2021-02-09 Apple Inc. Simultaneous operation of multiple time division duplex links using a single transceiver
CN107409379B (zh) * 2015-04-09 2021-08-24 索尼公司 终端设备、无线通信设备、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程序
US9955453B2 (en) * 2015-08-25 2018-04-24 Intel Corporation Evolved Node-B,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paging using a bitmap of paging indicators
WO2017196611A1 (en) * 2016-05-11 2017-11-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ower efficient d2d communications for wearables/io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757A (ko) * 2019-05-22 2022-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전자 기기 및 지능형 전자 기기에 전송되는 메시지를 이용한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17560B (zh) 2021-02-12
EP3481030B1 (en) 2022-03-02
US10827461B2 (en) 2020-11-03
WO2018014359A1 (zh) 2018-01-25
US20190335420A1 (en) 2019-10-31
CN109417560A (zh) 2019-03-01
EP3481030A1 (en) 2019-05-08
EP3481030A4 (en) 2019-05-15
JP2019525594A (ja) 2019-09-05
JP6724237B2 (ja)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8774A (ko) 액세스 방법, 기지국 및 디바이스
KR102288062B1 (ko) CEL에 기초하여 eDRX 사이클에서 페이징 어케이전들을 결정하고 페이징 어케이전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CN109691194B (zh) 寻呼方法和设备
CN109152089A (zh) 处理在长期演进网络端及网络端间的移动性的装置及方法
KR101975195B1 (ko) 기지국 및 기지국의 단말 연결 방법
US886207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tandby mode in a communication terminal
CN109644427A (zh) 一种寻呼方法和设备
RU2750786C1 (ru) Способ поискового вызова,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9672979B (zh) 双卡通信方法和设备
WO2018195917A1 (zh) 消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20220394669A1 (en) Paging Method and Apparatus
CN106961727A (zh) 一种寻呼及其控制方法及装置
CN106961688B (zh) 一种寻呼消息的传输方法及装置
CN111194072B (zh) 多波束场景下监听寻呼的方法及装置
EP3358895B1 (en) Paging method and system
WO2021031827A1 (zh) 多卡终端的配置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07005991B (zh) 上行数据包的传输方法、终端设备、基站及通信系统
CN110636577B (zh) 高速传输噪音监测数据的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3327611A (zh) 寻找mtc终端的方法、装置和系统
CN112770392A (zh) 通信配置方法及设备
US20240179792A1 (en) Extended drx assistance signaling
WO2021032187A1 (zh) 链路失败处理的方法和通信设备
CN109391911B (zh) 宽带集群的短消息发送方法及基站
CN117835219A (zh) 能力指示方法、装置、终端及介质
CN117500085A (zh) 信息发送方法、信息接收方法、装置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