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646A -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method for produc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 Google Patents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method for produc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646A
KR20190028646A KR1020187033585A KR20187033585A KR20190028646A KR 20190028646 A KR20190028646 A KR 20190028646A KR 1020187033585 A KR1020187033585 A KR 1020187033585A KR 20187033585 A KR20187033585 A KR 20187033585A KR 20190028646 A KR20190028646 A KR 20190028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olymer
monomer
unit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키 오비
미야코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646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9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photodegradable, e.g. positive electron resi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2Esters containing halogen
    • C08F220/24Esters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perhaloalkyl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1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only one oxygen, e.g. furfuryl (meth)acrylate or 2-methoxy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cover layers or intermediate layers, e.g. subbing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도포 불균일이 없는 발액성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감광성 조성물에 사용했을 때에 도포 불균일이 없는 발액성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감광성 조성물을 사용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제공.
하기 수지 P1 및 하기 수지 P2 중 적어도 일방과,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수지 P1 :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를 갖는 단위 u1 과, 가교기를 갖는 단위 u2 를 갖고, 하기 식 1, 하기 식 2 및 하기 식 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말단기를 갖는 중합체 A 로 이루어지는 수지. 수지 P2 : 상기 단위 u1 을 갖는, 상기 중합체 A 이외의 중합체 B 와, 상기 단위 u2 를 갖는, 상기 중합체 A 이외의 중합체 C 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합체 B 및 상기 중합체 C 중 적어도 일방이, 상기 말단기를 갖는 수지.
-X1-C(R1)(R2)(R3) ···1,
-X2-R4 ···2,
-X3-N(R5)(R6) ···3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Provided is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resins P1 and P2, and a photoinitiator. Resin P1: A resin comprising a polymer A having a unit u1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and at least one unit u2 having a crosslinking group, and having a terminal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 2 and 3: Resin P2: a polymer B other than the polymer A having the unit u1, and a polymer C other than the polymer A having the unit u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has a terminal group / RTI >
-X 1 -C (R 1 ) (R 2 ) (R 3 )
-X 2 -R 4 ... 2,
-X 3 -N (R 5) ( R 6) ··· 3

Description

감광성 조성물, 중합체의 제조 방법,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적층체의 제조 방법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method for produc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본 발명은, 감광성 조성물, 중합체의 제조 방법,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a method for produc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종래, 바이오 칩 등의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소정 패턴의 발액성 막을 형성 가능한 감광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러한 감광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친수성 기판 상에 발수성의 막을 형성하고, 소정 패턴으로 노광하고, 현상하여, 친수성 기판의 일부를 노출시킴으로써, 친수부와 발수부를 분리 제작할 수 있다. Conventionally,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vice such as a biochip, a method of us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capable of forming a lyophobic film of a predetermined pattern by photolithography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y using such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 water repellent film is formed on a hydrophilic substrate, expos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developed, and a part of the hydrophilic substrate is exposed, whereby the hydrophilic portion and the water repellent portion can be separately produced.

상기와 같은 감광성 조성물로서, 탄소수 4 ∼ 8 의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α 위치 치환 아크릴레이트, 불포화 유기산,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및 알킬렌옥시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를 소정의 비율로 중합한, 특정 불소 농도 및 질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불소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발액 레지스트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As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a fluorine-containing polymer having a specific fluorine concentration and a mass obtained by polymerizing a monomer containing an? -Position substituted acrylate having a fluoroalkyl group having 4 to 8 carbon atoms, an unsaturated organic acid, an epoxy group-containing monomer and an alkyleneoxy group at a predetermined ratio A positive type liquid-repellency resist composition comprising a fluorine-based polymer hav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has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1).

분자량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의 실시예에서는, 연쇄 이동제로서 라우릴메르캅탄을 사용하여 중합이 실시되고, 질량 평균 분자량 4600 ∼ 6800 의 불소계 폴리머가 합성되고 있다. As a method for adjusting the molecular weight, a method of using a chain transfer agent is generally known. In the example of Patent Document 1,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using lauryl mercaptan as a chain transfer agent, and a fluorine-based polymer having a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of 4600 to 6800 is synthesized.

일본 특허 제5516484호Japanese Patent No. 5516484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포지티브형 발액 레지스트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면, 도막에 국소적인 두께의 불균일 (도포 불균일) 이 보이는 문제가 있다. 도포 불균일의 문제는, 불소계 폴리머의 질량 평균 분자량을 6,000 ∼ 20,000 정도로 한 경우에 현저하다.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s of the present inventors, there is a problem that unevenness (uneven coating) is locally observed in the coating film when the positive type liquid-repellent resist compositio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applied on a substrate to form a coating film. The problem of uneven application is remarkable when 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luorine-based polymer is about 6,000 to 20,000.

본 발명의 목적은, 도포 불균일이 없는 발액성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감광성 조성물에 사용했을 때에 도포 불균일이 없는 발액성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감광성 조성물을 사용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capable of forming a lyophobic coating film free from coating irregularitie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ymer capable of forming a lyophobic coating film having no coating unevenness when used 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using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이하의 [1] ∼ [14] 의 구성을 갖는, 감광성 조성물, 중합체의 제조 방법,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a method for produc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which have the following structures [1] to [14].

[1] 하기 수지 P1 및 하기 수지 P2 중 적어도 일방과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1]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resins P1 and P2 and a photoinitiator.

수지 P1 :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를 갖는 단위인 단위 u1 과, 가교기를 갖는 단위인 단위 u2 와, 하기 식 1, 하기 식 2 및 하기 식 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말단기를 갖는 중합체인 중합체 A 로 이루어지는 수지. Resin P1: a polymer having a terminal group u1 which is a unit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a unit u2 which is a unit having a crosslinking group, and a terminal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 2 and 3: A resin.

수지 P2 : 상기 단위 u1 을 갖고, 상기 단위 u2 를 가지지 않는 중합체인 중합체 B 와, 상기 단위 u2 를 갖고, 상기 단위 u1 을 가지지 않는 중합체인 중합체 C 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합체 B 및 상기 중합체 C 중 적어도 일방이, 상기 식 1, 상기 식 2 및 상기 식 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말단기를 갖는 중합체인, 수지.Resin P2: a polymer B which has the unit u1 and does not have the unit u2, and a polymer C which has the unit u2 and does not have the unit u1, and at least 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Is a polymer having a terminal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rmulas (1), (2) and (3).

-X1-C(R1)(R2)(R3) ···1 -X 1 -C (R 1 ) (R 2 ) (R 3 )

-X2-R4 ···2 -X 2 -R 4 ... 2

-X3-N(R5)(R6) ···3 -X 3 -N (R 5) ( R 6) ··· 3

단, R1 ∼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옥소기 혹은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1 ∼ R3 중 적어도 2 개는 수소 원자 이외의 원자 또는 기이고, R 1 to R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a hydroxyl group, a halogen atom, an amino group, or a hydrogen atom, which may have an ether group, Atoms, at least two of R 1 to R 3 are atoms or groups other than hydrogen atoms,

R4 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R 4 represents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옥소기 혹은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 R 5 and R 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or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 hydroxyl group, an oxo group or an etheric oxygen atom,

X1 ∼ X3 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S-, -S-R7-, -R8-, -O-R9- 또는 -O- 를 나타내고, R7,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0 의 직사슬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X 1 to X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single bond, -S-, -SR 7 -, -R 8 -, -OR 9 - or -O-, R 7 , R 8 and R 9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arbon number Represents a linear alkylene group of 1 to 40 carbon atoms.

[2] 상기 중합체 A, 상기 중합체 B 및 상기 중합체 C 가, 각각 질량 평균 분자량이 6,000 ∼ 20,000 인, [1] 의 감광성 조성물. [2]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1], wherein the polymer A, 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each have a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of 6,000 to 20,000.

[3] 상기 광 개시제가 광산 발생제이고, 상기 중합체 A 가, 산해리성기로 보호된 알칼리 가용성기를 갖는 단위인 단위 u3 을 추가로 갖는, [1] 또는 [2] 의 감광성 조성물. [3]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photoinitiator is a photoacid generator, and the polymer A further has a unit u3 which is a unit having an alkali-soluble group protected with an acid-dissociable group.

[4] 상기 광 개시제가 광산 발생제이고, 상기 중합체 B 및 상기 중합체 C 중 적어도 일방이, 산해리성기로 보호된 알칼리 가용성기를 갖는 단위인 단위 u3 을 추가로 갖는, [1] 또는 [2] 의 감광성 조성물. [4] Th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photoinitiator is a photoacid generator and at least one of 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further has a unit u3 which is a unit having an alkali-soluble group protected with an acid- Sensitive composition.

[5] 상기 중합체 A, 상기 중합체 B 및 상기 중합체 C 중 어느 1 이상이, 상기 단위 u1, 상기 단위 u2 및 산해리성기로 보호된 알칼리 가용성기를 갖는 단위인 단위 u3 이외의 단위인 단위 u4 를 추가로 갖는, [1] ∼ [4] 중 어느 하나의 감광성 조성물. [5] The poly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olymer A, 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further comprises a unit u4 which is a unit other than the unit u3 which is a unit having the unit u1, the unit u2 and the alkali-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6] 상기 수지 P1 및 상기 수지 P2 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감광성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10 ∼ 70 질량% 인, [1] ∼ [5] 중 어느 하나의 감광성 조성물.[6]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total content of the resin P1 and the resin P2 is 10 to 70% by mass with respect to the total mass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7]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1 과, 가교기 (단,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제외한다) 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하기 식 11, 하기 식 12 및 하기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를 얻는, 중합체의 제조 방법.[7]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monomer a1 as a monomer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and a monomer a2 as a monomer having a crosslinking group (excluding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11, the following formula 12, and the following formula 13 to obtain a polymer.

Z1-X1-C(R1)(R2)(R3) ···11 Z 1 -X 1 -C (R 1 ) (R 2 ) (R 3 )

Z2-X2-R4 ···12Z 2 -X 2 -R 4 ... 12

Z3-X3-N(R5)(R6) ···13 Z 3 -X 3 -N (R 5 ) (R 6) ··· 13

단, R1 ∼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옥소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1 ∼ R3 중 적어도 2 개는 수소 원자 이외의 원자 또는 기이고, R 1 to R 3 each independently may have a hydroxyl group or an oxo group, a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n etheric oxygen atom,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a hydroxyl group, a halogen atom , An amino group or a hydrogen atom, at least two of R 1 to R 3 are atoms or groups other than hydrogen atoms,

R4 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R 4 represents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옥소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 R 5 and R 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or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 hydroxyl group or an oxo group and may have an etheric oxygen atom,

X1 ∼ X3 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S-, -S-R7-, -R8-, -O-R9- 또는 -O- 를 나타내고, R7,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0 의 직사슬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1 to X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single bond, -S-, -SR 7 -, -R 8 -, -OR 9 - or -O-, R 7 , R 8 and R 9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arbon number A straight chain alkylene group having 1 to 40 carbon atoms,

Z1 ∼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Z 1 to Z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halogen atom.

[8]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1 과, 반응 부위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하기 식 11, 하기 식 12 및 하기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를 얻은 후, 그 중합체에, 상기 반응 부위와 결합할 수 있는 반응성 관능기와 가교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가교기를 갖는 단위인 단위 u2 를 갖는 중합체로 하는, 중합체의 제조 방법.[8]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monomer a1 which is a monomer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and a monomer a2 'which is a monomer having a reaction site is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1, 12 and 13 Wherein the polymer is obtained by polymerizing in the presence of a chain transfer agent and then reacting the polymer with a compound hav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binding with the reaction site and a crosslinking group to obtain a polymer having a unit u2 which is a unit having a crosslinking group Gt;

Z1-X1-C(R1)(R2)(R3) ···11 Z 1 -X 1 -C (R 1 ) (R 2 ) (R 3 )

Z2-X2-R4 ···12 Z 2 -X 2 -R 4 ... 12

Z3-X3-N(R5)(R6) ···13 Z 3 -X 3 -N (R 5 ) (R 6) ··· 13

단, R1 ∼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옥소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1 ∼ R3 중 적어도 2 개는 수소 원자 이외의 원자 또는 기이고, R 1 to R 3 each independently may have a hydroxyl group or an oxo group, a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n etheric oxygen atom,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a hydroxyl group, a halogen atom , An amino group or a hydrogen atom, at least two of R 1 to R 3 are atoms or groups other than hydrogen atoms,

R4 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R 4 represents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옥소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R 5 and R 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or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 hydroxyl group or an oxo group and may have an etheric oxygen atom,

X1 ∼ X3 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S-, -S-R7-, -R8-, -O-R9- 또는 -O- 를 나타내고, R7,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0 의 직사슬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 1 to X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single bond, -S-, -SR 7 -, -R 8 -, -OR 9 - or -O-, R 7 , R 8 and R 9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arbon number A straight chain alkylene group having 1 to 40 carbon atoms,

Z1 ∼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Z 1 to Z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halogen atom.

[9]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의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9] A process for produc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s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6]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1 과, 가교기 (단,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제외한다) 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하기 식 11, 하기 식 12 및 하기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A 를 제조하고,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monomer a1 as a monomer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and a monomer a2 as a monomer having a crosslinking group (excluding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Polymer A is prepared by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a chain transfer ag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formulas 12 and 13,

적어도 상기 중합체 A 와 광 개시제를 혼합하여 감광성 조성물을 얻는,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Wherein at least the polymer A and the photoinitiator are mixed to obta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Z1-X1-C(R1)(R2)(R3) ···11 Z 1 -X 1 -C (R 1 ) (R 2 ) (R 3 )

Z2-X2-R4 ···12 Z 2 -X 2 -R 4 ... 12

Z3-X3-N(R5)(R6) ···13 Z 3 -X 3 -N (R 5 ) (R 6) ··· 13

단, R1 ∼ R6, X1 ∼ X3 은 각각 상기와 동의이고, Provided that R 1 to R 6 and X 1 to X 3 are each as defined above,

Z1 ∼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Z 1 to Z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halogen atom.

[10]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의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10] A method for produc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1 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하기 식 11, 하기 식 12 및 하기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B 를 얻고,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monomer a1 which is a monomer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a chain transfer ag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1, 12 and 13 to obtain a polymer B,

가교기 (단,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제외한다) 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상기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C 를 얻고,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monomer a2 which is a monomer having a crosslinking group (excluding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the chain transfer agent to obtain a polymer C,

적어도 상기 중합체 B 와 상기 중합체 C 와 광 개시제를 혼합하여 감광성 조성물을 얻는,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Wherein at least the polymer B, the polymer C and the photoinitiator are mixed to obta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Z1-X1-C(R1)(R2)(R3) ···11 Z 1 -X 1 -C (R 1 ) (R 2 ) (R 3 )

Z2-X2-R4 ···12 Z 2 -X 2 -R 4 ... 12

Z3-X3-N(R5)(R6) ···13 Z 3 -X 3 -N (R 5 ) (R 6) ··· 13

단, R1 ∼ R6, X1 ∼ X3 은 각각 상기와 동의이고, Provided that R 1 to R 6 and X 1 to X 3 are each as defined above,

Z1 ∼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Z 1 to Z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halogen atom.

[11]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의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11] A method for produc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1 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하기 식 11, 하기 식 12 및 하기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B 를 얻고,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monomer a1 which is a monomer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a chain transfer ag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1, 12 and 13 to obtain a polymer B,

적어도 상기 중합체 B 와 상기 중합체 C 와 광 개시제를 혼합하여 감광성 조성물을 얻는,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Wherein at least the polymer B, the polymer C and the photoinitiator are mixed to obta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Z1-X1-C(R1)(R2)(R3) ···11 Z 1 -X 1 -C (R 1 ) (R 2 ) (R 3 )

Z2-X2-R4 ···12 Z 2 -X 2 -R 4 ... 12

Z3-X3-N(R5)(R6) ···13 Z 3 -X 3 -N (R 5 ) (R 6) ··· 13

단, R1 ∼ R6, X1 ∼ X3 은 각각 상기와 동의이고, Provided that R 1 to R 6 and X 1 to X 3 are each as defined above,

Z1 ∼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Z 1 to Z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halogen atom.

[12]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의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12] A method for produc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가교기 (단,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제외한다) 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하기 식 11, 하기 식 12 및 하기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C 를 얻고, A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a monomer a2 which is a monomer having a crosslinking group (excluding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a chain transfer ag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1, 12 and 13: To obtain a polymer C,

적어도 상기 중합체 C 와 상기 중합체 B 와 광 개시제를 혼합하여 감광성 조성물을 얻는,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And at least the polymer C, the polymer B and the photoinitiator are mixed to obta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Z1-X1-C(R1)(R2)(R3) ···11 Z 1 -X 1 -C (R 1 ) (R 2 ) (R 3 )

Z2-X2-R4 ···12Z 2 -X 2 -R 4 ... 12

Z3-X3-N(R5)(R6) ···13 Z 3 -X 3 -N (R 5 ) (R 6) ··· 13

단, R1 ∼ R6, X1 ∼ X3 은 각각 상기와 동의이고, Provided that R 1 to R 6 and X 1 to X 3 are each as defined above,

Z1 ∼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Z 1 to Z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halogen atom.

[13]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적층된 도막을 갖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13]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having a substrate and a coated film laminated on the substrate,

기재 상에, [1] ∼ [6] 중 어느 하나의 감광성 조성물을 도포하여 감광성 막을 형성하고, 상기 감광성 막을 노광하고, 도막을 형성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is applied on a substrate to form a photosensitive film, and the photosensitive film is exposed to form a coated film.

[14] 상기 도막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 또는 홈을 갖고,[14] The coat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

상기 감광성 막의 노광을, 상기 구멍 또는 홈에 대응한 패턴으로 실시하고, 노광 후에 상기 감광성 막을 현상하는, [13] 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Wherein the photosensitive film is exposed in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hole or groove and the photosensitive film is developed after exposure.

본 발명의 감광성 조성물에 의하면, 도포 불균일이 없는 발액성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lyophobic coating film free from coating unevenness can be formed.

본 발명의 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감광성 조성물에 사용했을 때에 도포 불균일이 없는 발액성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가 얻어진다.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ymer capable of forming a liquid-repellent coating film having no coating unevenness when used 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is obtained.

본 발명의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포 불균일이 없는 발액성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조성물이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capable of forming a liquid-repellent coating film free from uneven coating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포 불균일이 없는 발액성의 도막을 갖는 적층체가 얻어진다.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minate having a lyophobic coating film free from uneven coating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목적은, 도포 불균일이 없는 발액성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감광성 조성물에 사용했을 때에 도포 불균일이 없는 발액성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 감광성 조성물을 사용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capable of forming a lyophobic coating film free from coating irregularitie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ymer capable of forming a lyophobic coating film having no coating unevenness when used 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using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하기 용어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The meanings of the following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re as follows.

「광 개시제」란, 광을 조사함으로써 라디칼 및 산 중 적어도 일방을 발생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The "photoinitiator" means a compound which generates at least one of a radical and an acid by irradiation of light.

「광 라디칼 발생제」란, 광을 조사함으로써 라디칼을 발생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The term " photo-radical generator " means a compound that generates radicals upon irradiation with light.

「광산 발생제」란, 광을 조사함으로써 산을 발생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The "photoacid generator" means a compound which generates an acid upon irradiation of light.

「발액성 막」이란, 그 막 이외의 부분에 비해 발액성을 나타내는 막,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액의 접촉각이 그 막 이외의 부분에 비해 큰 막을 의미한다. The term " liquid-repellent film " means a film that exhibits lyophobicity over portions other than the film, specifically, a film having a contact angle of a predetermined liquid larger than that of the film.

「친액성 기재」란, 발액성 막에 비해 친액성을 나타내는 기재,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액의 접촉각이 발액성 막에 비해 작은 기재를 의미한다. The "lyophilic substrate" refers to a substrate exhibiting lyophilicity compared to the liquid-repellent film, specifically, a substrate having a contact angle of a predetermined liquid smaller than that of the liquid-repellent film.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란, 아크릴로일옥시기 및 메타크릴로일옥시기의 총칭이다.The "(meth) acryloyloxy group" is a generic term for an acryloyloxy group and a methacryloyloxy group.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총칭이다.The term "(meth) acrylate" is a collective term for acrylate and methacrylate.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총칭이다. The term "(meth) acrylic acid" is a generic term for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감광성 조성물〕 [Photosensitive composition]

본 발명의 감광성 조성물 (이하, 「본 조성물」이라고도 기재한다.) 은, 수지 P1 및 수지 P2 중 적어도 일방과, 광 개시제를 포함한다.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the present composition ") includes at least one of resin P1 and resin P2 and a photoinitiator.

본 조성물은, 용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solvent.

본 조성물은, 중합체 A, 중합체 B, 중합체 C, 광 개시제 및 용제 이외의 다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The present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components other than polymer A, polymer B, polymer C, photoinitiator and solvent.

(말단기) (Terminal group)

수지 P1 을 구성하는 중합체 A, 및 수지 P2 를 구성하는 중합체 (중합체 B, 중합체 C 중 적어도 일방) 는 하기 특정 말단기 (이하, 「말단기 J」라고도 기재한다.) 를 갖는다. The polymer A constituting the resin P1 and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resin P2 (at least one of 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have the following specific terminal group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erminal group J").

말단기 J 는, 하기 식 1, 하기 식 2 및 하기 식 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말단기이다. 상기 중합체가 말단기 J 를 가짐으로써, 본 조성물로 도막을 형성할 때에 도포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terminal group J is a terminal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 (2) and (3). When the polymer has the terminal group J, it is possible to suppress occurrence of uneven application in forming a coating film with the present composition.

-X1-C(R1)(R2)(R3) ···1 -X 1 -C (R 1 ) (R 2 ) (R 3 )

-X2-R4 ···2 -X 2 -R 4 ... 2

-X3-N(R5)(R6) ···3 -X 3 -N (R 5) ( R 6) ··· 3

단, R1 ∼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옥소기 혹은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1 ∼ R3 중 적어도 2 개는 수소 원자 이외의 원자 또는 기이고, R 1 to R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a hydroxyl group, a halogen atom, an amino group, or a hydrogen atom, which may have an ether group, Atoms, at least two of R 1 to R 3 are atoms or groups other than hydrogen atoms,

R4 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R 4 represents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옥소기 혹은 탄소 원자 사이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 R 5 and R 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xyl group, an oxo group or a chain-like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n etheric oxygen atom between carbon atoms, or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X1 ∼ X3 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S-, -S-R7-, -R8-, -O-R9- 또는 -O- 를 나타내고, R7,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0 의 직사슬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X 1 to X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single bond, -S-, -SR 7 -, -R 8 -, -OR 9 - or -O-, R 7 , R 8 and R 9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arbon number Represents a linear alkylene group of 1 to 40 carbon atoms.

R1 ∼ R3 에 있어서,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는, 직사슬형이어도 되고 분기형이어도 된다. 또, 포화 탄화수소기여도 되고 불포화 탄화수소기여도 된다. 불포화 탄화수소기가 갖는 불포화 결합 (이중 결합, 삼중 결합 등) 의 수는, 예를 들어 1 ∼ 20 개이면 된다. In R 1 to R 3 , the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may be linear or branched. They may also be saturated hydrocarbons or unsaturated hydrocarbons. The number of unsaturated bonds (double bonds, triple bonds, etc.) of the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may be, for example, 1 to 20.

사슬형 탄화수소기는, 수산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옥소기 (=O) 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에테르성 산소 원자 (-O-)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즉, 사슬형 탄화수소기의 수소 원자의 적어도 1 개가 수산기로 치환된 기여도 되고, 사슬형 탄화수소기의 메틸렌기의 적어도 1 개가 >C=O 로 치환된 기여도 되고, 사슬형 탄화수소기의 말단 또는/및 탄소 원자 사이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기여도 되고, 이들 기의 2 종 이상을 조합한 기여도 된다.The chain hydrocarbon group may have a hydroxyl group, an oxo group (= O), or an ether oxygen atom (-O-). That is, at least one of the hydrogen atoms of the chain hydrocarbon group may be substituted with a hydroxyl group, at least one of the methylene groups of the chain hydrocarbon group may be substituted with> C = O, the terminal of the chain hydrocarbon group and / A group having an etheric oxygen atom between carbon atoms,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se groups.

사슬형 탄화수소기가 수산기를 갖는 경우, 그 사슬형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수산기의 결합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사슬형 탄화수소기가 갖는 수산기의 수는, 예를 들어 1 ∼ 4 개이면 된다.When the chain hydrocarbon group has a hydroxyl group, the bonding position of the hydroxyl group in the chain hydrocarbon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contained in the chain hydrocarbon group may be, for example, 1 to 4.

사슬형 탄화수소기가 옥소기를 갖는 경우, 그 사슬형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옥소기의 결합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사슬형 탄화수소기가 갖는 옥소기의 수는, 예를 들어 1 ∼ 10 개이면 된다.When the chain hydrocarbon group has an oxo group, the bonding position of the oxo group in the chain hydrocarbon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number of oxo groups contained in the chain hydrocarbon group may be, for example, 1 to 10.

사슬형 탄화수소기가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경우, 그 사슬형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에테르성 산소 원자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슬형 탄화수소기의 말단 (식 1 중의 C 에 결합하는 측의 말단) 이어도 되고, 사슬형 탄화수소기의 탄소 원자 사이여도 되며, 그들 양방이어도 된다. 사슬형 탄화수소기가 갖는 에테르성 산소 원자의 수는, 예를 들어 1 ∼ 10 개이면 된다.When the chain hydrocarbon group has an etheric oxygen atom, the position of the etheric oxygen atom in the chain hydrocarbon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terminal of the chain hydrocarbon group (the end on the side bonded to C in the formula 1), the carbon atom of the chain hydrocarbon group, or both of them. The number of etheric oxygen atoms of the chain hydrocarbon group may be, for example, 1 to 10.

사슬형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탄소 원자 사이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1 ∼ 40 이고, 1 ∼ 20 이 바람직하다. 탄소 원자 사이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경우에는, 2 ∼ 40 이고, 2 ∼ 20 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chain-like hydrocarbon group is preferably 1 to 40, more preferably 1 to 20, in the case of not having an etheric oxygen atom between carbon atoms. In the case of having an etheric oxygen atom between carbon atoms, it is 2 to 40, preferably 2 to 20.

R1 ∼ R3 에 있어서의 사슬형 탄화수소기의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2-에틸헥실기 등의 알킬기, 알릴기, -C3H6CH=CH2 등의 알케닐기, -C(=O)CH2CH3, 아세틸기 등의 아실기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chain hydrocarbon group in R 1 to R 3 include alkyl groups such as methyl group, ethyl group, n-propyl group, n-butyl group, isopropyl group, isobutyl group and 2-ethylhexyl group, Group, an alkenyl group such as -C 3 H 6 CH═CH 2 , an acyl group such as -C (═O) CH 2 CH 3 , and an acetyl group.

R1 ∼ R3 에 있어서,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는, 단고리형이어도 되고 다고리형이어도 된다. 또, 지환형 기여도 되고 방향족기여도 된다. 또, 탄화수소 고리형 기여도 되고 고리 골격에 탄소 원자 이외의 원자 (헤테로 원자) 를 포함하는 복소 고리형 기여도 된다. 헤테로 원자로는, 예를 들어 산소 원자, 황 원자, 질소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In R 1 to R 3 , the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may be monocyclic or polycyclic. It may also be an alicyclic or aromatic group. In addition, a heterocyclic group having a hydrocarbon ring-like structure and containing an atom (hetero atom) other than a carbon atom in the ring skeleton may be used. Examples of the heteroatom include an oxygen atom, a sulfur atom, and a nitrogen atom.

고리형 기의 탄소수는, 탄화수소 고리형 기인 경우에는 3 ∼ 40 이고, 5 ∼ 20 이 바람직하다. 복소 고리형 기인 경우에는, 2 ∼ 40 이고, 2 ∼ 20 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cyclic group is preferably from 3 to 40, more preferably from 5 to 20, in the case of a hydrocarbon cyclic group. In the case of a heterocyclic group, it is 2 to 40, preferably 2 to 20.

고리형 기의 고리 골격에 치환기가 결합하고 있어도 된다. 치환기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1 ∼ 20 의 알킬기, 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A substituent may be bonded to the ring skeleton of the cyclic group. Examples of the substituent include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ryl group, and the like.

R1 ∼ R3 에 있어서의 고리형 기 중 탄화수소 고리형 기의 구체예로는, 시클로헥실기, 아다만틸기, 노르보르닐기 등의 지환형 탄화수소기, 페닐기, 나프틸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복소 고리형 기의 구체예로는, 푸릴기, 티오페닐기, 피리디닐기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hydrocarbon ring group in the cyclic group in R 1 to R 3 include alicyclic hydrocarbon groups such as cyclohexyl group, adamantyl group and norbornyl group, aromatic hydrocarbon groups such as phenyl group and naphthyl group and the like . Specific examples of the heterocyclic group include a furyl group, a thiophenyl group, and a pyridinyl group.

R1 ∼ R3 에 있어서, 할로겐 원자로는, 염소 원자, 요오드 원자, 브롬 원자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halogen atom in R 1 to R 3 include a chlorine atom, an iodine atom and a bromine atom.

R1 ∼ R3 은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단, R1 ∼ R3 중 적어도 2 개는 수소 원자 이외의 원자 또는 기, 요컨대 상기 사슬형 탄화수소기, 상기 고리형 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 또는 아미노기이다. 식 (1) 중의 C (R1 ∼ R3 이 결합한 탄소 원자) 에, 수소 원자보다 사이즈가 큰 원자 또는 기가 적어도 2 개 결합하고 있음으로써, 식 (1) 로 나타내는 기가 부피가 큰 구조로 되어 있다.R 1 to R 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Provided that at least two of R 1 to R 3 are atoms or groups other than hydrogen atoms, that is, the above-mentioned chain-like hydrocarbon group, cyclic group, hydroxyl group, halogen atom or amino group. (1) has a bulky structure because at least two atoms or groups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hydrogen atom are bonded to C (R 1 to R 3 -bonded carbon atoms) in the formula (1) .

R4 로는, R1 ∼ R3 에 있어서의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양태도 동일하다.R 4 is the same as the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in R 1 to R 3 , and preferred embodiments are also the same.

R5 및 R6 에 있어서의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로는, R1 ∼ R3 에 있어서의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양태도 동일하다. 단, R5 및 R6 에 있어서의 사슬형 탄화수소기가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경우, 에테르성 산소 원자의 위치는, 사슬형 탄화수소기의 탄소 원자 사이이다.The chain hydrocarbons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in R 5 and R 6 include the same cyclic groups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in R 1 to R 3 , and preferred embodiments are also the same. However, when the chain hydrocarbon group in R 5 and R 6 has an etheric oxygen atom, the position of the etheric oxygen atom is between the carbon atoms of the chain hydrocarbon group.

R5 및 R6 에 있어서의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로는, R1 ∼ R3 에 있어서의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양태도 동일하다.The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in R 5 and R 6 includes the same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in R 1 to R 3 , and preferred embodiments are also the same.

R7 및 R8 의 직사슬 알킬렌기는, -(CH2)n- 로 나타낼 수 있다. 직사슬 알킬렌기의 탄소수 (-(CH2)n- 의 n 의 값) 는 1 ∼ 40 이고, 1 ∼ 20 이 바람직하다. The linear alkylene group of R 7 and R 8 may be represented by - (CH 2 ) n -. The carbon number of the straight chain alkylene group (the value of n of - (CH 2 ) n -) is 1 to 40, preferably 1 to 20.

X1 ∼ X3 으로는, 대응하는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제조할 때의 연쇄 이동의 용이함의 점에서 -S-R7-, -O- 가 바람직하다.As X 1 to X 3 , -SR 7 - and -O- are preferable in terms of easiness of chain transfer when a polymer is produced by using a corresponding chain transfer agent.

말단기 J 의 구체예로는, -S-CH2-CH(OH)-CH2OH, -S-CH2-CH(CH2CH3)-CH2CH2CH2CH3, -S-R10 (R10 은 시클로헥실기), -S-CH2-R11 (R11 은 푸릴기 또는 페닐기), -CCl3, -O-CH2CH(CH3)2, -CH(CH3)-C(=O)CH2CH3, -O-CH2CH2R10, -O-CH2CH(CH2CH2CH2CH2CH2CH3)CH2CH2CH2CH2CH2CH2CH2CH3 등을 들 수 있다. 저악취성의 점에서는, -S-CH2-CH(OH)-CH2OH 가 바람직하다.Specific examples of the terminal group J include -S-CH 2 -CH (OH) -CH 2 OH, -S-CH 2 -CH (CH 2 CH 3 ) -CH 2 CH 2 CH 2 CH 3 , -SR 10 (R 10 is a cyclohexyl group), -S-CH 2 -R 11 (R 11 is a furyl group or a phenyl group), -CCl 3, -O-CH 2 CH (CH 3) 2, -CH (CH 3) - C (= O) CH 2 CH 3, -O-CH 2 CH 2 R 10, -O-CH 2 CH (CH 2 CH 2 CH 2 CH 2 CH 2 CH 3) CH 2 CH 2 CH 2 CH 2 CH 2 CH 2 CH 2 CH 3 , and the like. In the low odor point castle, a -S-CH 2 -CH (OH) -CH 2 OH being preferred.

말단기 J 는, 전형적으로는 하기 식 11, 하기 식 12 및 하기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연쇄 이동제 (이하, 「연쇄 이동제 j」라고도 기재한다.) 에서 유래하는 기이다.The terminal group J is a group derived from a chain transfer agent typically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1, the following formula 12 and the following formula 13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chain transfer agent j ").

Z1-X1-C(R1)(R2)(R3) ···11 Z 1 -X 1 -C (R 1 ) (R 2 ) (R 3 )

Z2-X2-R4 ···12Z 2 -X 2 -R 4 ... 12

Z3-X3-N(R5)(R6) ···13 Z 3 -X 3 -N (R 5 ) (R 6) ··· 13

단, R1 ∼ R6, X1 ∼ X3 은 각각 상기와 동의이고, Provided that R 1 to R 6 and X 1 to X 3 are each as defined above,

Z1 ∼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Z 1 to Z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halogen atom.

Z1 ∼ Z3 에 있어서의 할로겐 원자로는, 염소 원자, 요오드 원자, 브롬 원자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halogen atom in Z 1 to Z 3 include a chlorine atom, an iodine atom and a bromine atom.

연쇄 이동제 j 의 구체예로는, 티오글리세롤, 2-에틸헥산티올, 시클로헥산티올, 푸르푸릴메르캅탄, 벤질티올, 사염화탄소, 이소부틸알코올, 3-펜탄온, 시클로헥실에탄올, 2-헥실-1-데칸올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chain transfer agent j include thioglycerol, 2-ethylhexanethiol, cyclohexanethiol, furfurylmercaptan, benzylthiol, carbon tetrachloride, isobutyl alcohol, 3-pentanone, cyclohexylethanol, 2- - decanol, and the like.

연쇄 이동제 j 로는, 비점이 높아 분자량 조정이 용이하고, 취급하기 용이한 점에서, 식 11 중의 X1 이 -S-R7-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악취성의 점에서는, 티오글리세롤이 바람직하다.As the chain transfer agent j, it is preferable that X 1 in the formula 11 is -SR 7 - because the molecular weight can be easily controlled and easily handled because of its high boiling point. In view of low odor, thioglycerol is preferred.

단위 u1 은,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 (이하, 「함불소 유기기」 라고도 기재한다.) 를 갖는 단위이다. 중합체 A 및 중합체 B 가 단위 u1 을 가짐으로써, 본 조성물로 형성되는 도막은, 발액성을 발휘할 수 있다. The unit u1 is a unit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fluorinated organic group "). By having the polymer A and the polymer B having the unit u1, the coating film formed from this composition can exhibit lyophobicity.

함불소 유기기로는, 예를 들어 탄소 원자 사이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플루오로알킬기,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지환형 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 원자 사이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플루오로알킬기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fluorinated organic group include a fluoroalkyl group which may have an etheric oxygen atom between carbon atoms, and an alicycl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and an etheric oxygen atom between carbon atoms A fluoroalkyl group which may be present is preferred.

플루오로알킬기는, 직사슬형, 분기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플루오로알킬기에 있어서의 수소 원자와 불소 원자의 합계수에 대한 불소 원자의 수는 50 % 이상이 바람직하다.The fluoroalkyl group may be either linear or branched. The number of fluorine atoms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hydrogen atoms and fluorine atoms in the fluoroalkyl group is preferably at least 50%.

플루오로알킬기로는, 탄소 원자 사이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퍼플루오로알킬 부분을 갖는 플루오로알킬기가 바람직하다. As the fluoroalkyl group, a fluoroalkyl group having a perfluoroalkyl moiety which may have an etheric oxygen atom between carbon atoms is preferable.

퍼플루오로알킬 부분을 갖는 플루오로알킬기로는, -R13-Rf 로 나타내는 플루오로알킬기를 들 수 있다. 단, Rf 는 탄소 원자 사이에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퍼플루오로알킬 부분을 나타내고, R13 은 불소 원자를 가지지 않는 알킬렌 부분을 나타낸다.Examples of the fluoroalkyl group having a perfluoroalkyl moiety include a fluoroalkyl group represented by -R 13 -R f . Provided that R f represents a perfluoroalkyl moiety which may have an etheric oxygen atom between carbon atoms and R 13 represents an alkylene moiety having no fluorine atom.

Rf 가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지 않는 퍼플루오로알킬 부분인 경우, 그 탄소수는 4, 5 또는 6 이 바람직하고, 6 이 특히 바람직하다. Rf 는 직사슬이어도 되고 분기 사슬이어도 되지만 직사슬이 바람직하다.When R f is a perfluoroalkyl moiety having no etheric oxygen atom, the number of carbon atoms thereof is preferably 4, 5 or 6, and particularly preferably 6. R f may be a linear chain or a branched chain, but a linear chain is preferred.

Rf 가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퍼플루오로알킬 부분인 경우, 에테르성 산소 원자의 수는, 1 ∼ 3 이 바람직하다. 에테르성 산소 원자보다 말단측 (R13 측과는 반대측) 의 퍼플루오로알킬 부분의 탄소수는 1 ∼ 6 이 바람직하다. 에테르성 산소 원자 사이 및 에테르성 산소 원자와 R13 사이의 퍼플루오로알킬렌 부분의 탄소수는, 1 ∼ 4 가 바람직하다.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갖는 퍼플루오로알킬 부분은 전체적으는 직사슬이어도 되고 분기 사슬이어도 되며, 그 전체 탄소수는 3 ∼ 12 가 바람직하고, 4 ∼ 8 이 보다 바람직하다. When R f is a perfluoroalkyl moiety having an etheric oxygen atom, the number of etheric oxygen atoms is preferably 1 to 3. 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perfluoroalkyl moiety at the terminal side (the side opposite to the R 13 side) is preferably 1 to 6 than the etheric oxygen atom. 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perfluoroalkylene moiety between the etheric oxygen atoms and between the etheric oxygen atom and R < 13 > is preferably 1 to 4. The perfluoroalkyl moiety having an etheric oxygen atom may be an entire linear chain or a branched chain, and the total number of carbon atoms thereof is preferably from 3 to 12, more preferably from 4 to 8.

Rf 로는, 구체적으로는 -(CF2)3CF3, -(CF2)4CF3, -(CF2)5CF3, -CF(CF3)OCF2CF2CF3, -CF2OCF2CF2OCF3, -CF2OCF2CF2OCF2CF3, -CF2OCF2CF2OCF2CF2OCF3 등을 들 수 있다.Roneun R f, specifically, - (CF 2) 3 CF 3 , - (CF 2) 4 CF 3, - (CF 2) 5 CF 3, -CF (CF 3) OCF 2 CF 2 CF 3, -CF 2 OCF 2 CF 2 OCF 3 , -CF 2 OCF 2 CF 2 OCF 2 CF 3 , -CF 2 OCF 2 CF 2 OCF 2 CF 2 OCF 3 , and the like.

R13 은, 직사슬형이어도 되고 분기형이어도 되지만 직사슬형이 바람직하다. R13 의 탄소수는 1 ∼ 6 이 바람직하고, 2 ∼ 4 가 보다 바람직하다. R13 으로는, -CH2CH2- 가 특히 바람직하다.R < 13 > may be a linear or branched type, but is preferably a linear type. The carbon number of R 13 is preferably from 1 to 6, more preferably from 2 to 4. As R 13 , -CH 2 CH 2 - is particularly preferable.

단위 u1 은, 함불소 유기기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1 에 근거하는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a1 은, 전형적으로는 함불소 유기기와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The unit u1 is preferably a unit based on the monomer a1 which is a monomer having a fluorinated organic group. Monomer a1 is typically a compound having a fluorinated organic group and an ethylenic double bond.

단량체 a1 로는, HO-R13-Rf 로 나타내는 모노올과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α-할로아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As the monomer a1, a monomer comprising an ester of a monool represented by HO-R 13 -R f and an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is preferable. The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includes, for example, methacrylic acid, acrylic acid, and? -Haloacrylic acid.

단량체 a1 로는, -R13-Rf 로 나타내는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α-할로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CH2=C(R12)COO-R13-Rf 로 나타내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단, R12 는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R12 의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monomer a1, (meth) acrylate and? -Haloacrylate having a fluoroalkyl group represented by -R 13 -R f are particularly preferable. Examples of such monomers include monomers represented by CH 2 ═C (R 12 ) COO-R 13 -R f . Provided that R 12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methyl group or a halogen atom. Examples of the halogen atom of R 12 include a fluorine atom and a chlorine atom.

구체적인 단량체 a1 로는, CH2=C(CH3)COO-C2H4-(CF2)3CF3, CH2=CHCOO-C2H4-(CF2)3CF3, CH2=C(CH3)COO-C2H4-(CF2)4CF3, CH2=CHCOO-C2H4-(CF2)4CF3, CH2=C(CH3)COO-C2H4-(CF2)5CF3, CH2=CHCOO-C2H4-(CF2)5CF3, CH2=C(CH3)COO-CH2CF(CF3)OCF2CF2CF3, CH2=CHCOO-CH2CF(CF3)OCF2CF2CF3, CH2=C(CH3)COO-CH2CF2OCF2CF2OCF3, CH2=CHCOO-CH2CF2OCF2CF2OCF3, CH2=C(CH3)COO-CH2CF2OCF2CF2OCF2CF3, CH2=CHCOO-CH2CF2OCF2CF2OCF2CF3, CH2=C(CH3)COO-CH2CF2OCF2CF2OCF2CF2OCF3, CH2=CHCOO-CH2CF2OCF2CF2OCF2CF2OCF3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양호한 발액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CH2=C(CH3)COO-C2H4-(CF2)5CF3, 및 CH2=C(CH3)COO-CH2CF2OCF2CF2OCF3 이 바람직하다.Roneun specific monomers a1, CH 2 = C (CH 3) COO-C 2 H 4 - (CF 2) 3 CF 3, CH 2 = CHCOO-C 2 H 4 - (CF 2) 3 CF 3, CH 2 = C (CH 3) COO-C 2 H 4 - (CF 2) 4 CF 3, CH 2 = CHCOO-C 2 H 4 - (CF 2) 4 CF 3, CH 2 = C (CH 3) COO-C 2 H 4 - (CF 2) 5 CF 3, CH 2 = CHCOO-C 2 H 4 - (CF 2) 5 CF 3, CH 2 = C (CH 3) COO-CH 2 CF (CF 3) OCF 2 CF 2 CF 3 , CH 2 ═CHCOO-CH 2 CF (CF 3 ) OCF 2 CF 2 CF 3 , CH 2 ═C (CH 3 ) COO-CH 2 CF 2 OCF 2 CF 2 OCF 3 , CH 2 ═CHCOO-CH 2 CF 2 OCF 2 CF 2 OCF 3 , CH 2 = C (CH 3 ) COO-CH 2 CF 2 OCF 2 CF 2 OCF 2 CF 3 , CH 2 = CHCOO-CH 2 CF 2 OCF 2 CF 2 OCF 2 CF 3 , CH 2 = C (CH 3 ) COO-CH 2 CF 2 OCF 2 CF 2 OCF 2 CF 2 OCF 3 , CH 2 = CHCOO-CH 2 CF 2 OCF 2 CF 2 OCF 2 CF 2 OCF 3 . At this point of the preferred liquid-repellency can be obtained, CH 2 = C (CH 3 ) COO-C 2 H 4 - (CF 2) 5 CF 3, and CH 2 = C (CH 3) COO-CH 2 CF 2 OCF 2 CF 2 OCF 3 is preferred.

단량체 a1 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The monomers a1 may be used singly or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in combination.

단위 u2 는, 가교기를 갖는 단위이다 (단, 단위 u1 을 제외한다.). 가교기란, 라디칼 또는 산에 의해 가교할 수 있는 기이다. 본 조성물이나 본 조성물로 형성된 감광성 막이 노광되었을 때에, 노광부에서 광 개시제로부터 라디칼 또는 산이 발생하고, 그 작용에 의해 가교기가 가교 (경화) 한다.The unit u2 is a unit having a crosslinking group (except unit u1). The crosslinking group is a group which can be crosslinked by a radical or an acid. When the composition or the photosensitive film formed from the composition is exposed, radicals or acids are generated from the photoinitiator in the exposed portion, and the crosslinking group is crosslinked (cured) by the action.

라디칼에 의해 가교할 수 있는 기로는,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알릴기, 비닐기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group capable of crosslinking by a radical include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Examples of the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include a (meth) acryloyl group, an allyl group, and a vinyl group.

산에 의해 가교할 수 있는 기로는, 3 원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기, 4 원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기, 비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3 원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기로는, 에폭시기, 3,4-에폭시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4 원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기로는, 옥세탄기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group capable of being crosslinked by an acid include a group containing a 3-membered cyclic ether structure, a group containing a 4-membered cyclic ether structure, and a vinyloxy group. Examples of the group containing a 3-membered cyclic ether structure include an epoxy group and 3,4-epoxycyclohexyl group. Examples of the group containing a quaternary cyclic ether structure include an oxetane group and the like.

3 원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기, 4 원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기는, 반응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알킬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6 이 바람직하다.The group containing a 3-membered cyclic ether structure or the group containing a 4-membered cyclic ether structure may be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reactivity. The alkyl group preferably has 1 to 6 carbon atoms.

에폭시기, 3,4-에폭시시클로헥실기는, 무치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옥세탄기는, 무치환이어도 되고 알킬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3-알킬옥세탄-3-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epoxy group and 3,4-epoxycyclohexyl group are preferably amorphous. The oxetane group may b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and is preferably a (3-alkyloxetan-3-yl) group.

가교기로는,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 3 원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기, 또는 4 원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기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옥시기, 에폭시기, 옥세탄기, (3-알킬옥세탄-3-일)기가, 가교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As the crosslinking group,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a group containing a tricyclic ether structure, or a group containing a quaternary cyclic ether structure is preferable, and a (meth) acryloyl group, a vinyloxy group, an epoxy group , Oxetanyl group and (3-alkyloxetan-3-yl) group are more preferable because of high crosslinking reactivity.

단위 u2 를 갖는 중합체를 얻는 방법으로는, (1) 가교기 (단,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제외한다) 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2 와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방법, (2) 반응 부위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2' 와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중합체를 얻은 후, 그 중합체에, 상기 반응 부위와 결합할 수 있는 반응성 관능기와 가교기를 갖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b」라고도 기재한다.) 을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for obtaining a polymer having a unit u2, there are (1) a method of copolymerizing a monomer a2, which is a monomer having a crosslinking group (except for the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and another monomer, (2)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compound b ") is reacted with a polymer hav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bonding with the above-mentioned reactive site and a crosslinking group .

상기 (1) 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중합체가 갖는 단위 u2 는,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이다. 상기 (2) 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중합체가 갖는 단위 u2 는,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의 상기 반응 부위에 가교기를 도입함으로써 형성된 단위이다. 중합체 A 및 중합체 C 가 갖는 단위 u2 는, 어느 것이어도 된다. The unit u2 of the polymer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1) is a unit based on the monomer a2. The unit u2 of the polymer obtained by the method of (2) is a unit formed by introducing a crosslinking group into the reactive site of the unit based on the monomer a2 '. The unit u2 of the polymer A and the polymer C may be any.

가교기가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인 경우, 중합체 제조 시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 그 가교기를 갖는 단량체도 반응한다. 그 때문에, 가교기가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인 경우, 단위 u2 는,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의 상기 반응 부위에 가교기를 도입함으로써 형성된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crosslinking group is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the monomer having the crosslinking group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polymer also reacts. Therefore, when the crosslinking group is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the unit u2 is preferably a unit formed by introducing a crosslinking group into the above-mentioned reactive site of the unit based on the monomer a2 '.

가교기가 3 원 또는 4 원의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기인 경우, 중합 반응에 있어서 그 가교기를 갖는 단량체는 통상 반응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가교기가 3 원 또는 4 원의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기인 경우, 단위 u2 는, 가교기를 갖는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여도 되고,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의 상기 반응 부위에 가교기를 도입함으로써 형성된 단위여도 된다. 제조가 용이한 점에서는, 가교기를 갖는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crosslinking group is a group containing a 3-membered or 4-membered cyclic ether structure, the monomer having the crosslinking group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usually not reacted. Therefore, when the crosslinking group is a group containing a 3-membered or 4-membered cyclic ether structure, the unit u2 may be a unit based on the monomer a2 having a crosslinking group or may be a unit based on the monomer a2 ' Or a unit formed by introducing a group. In view of ease of produ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nit is based on the monomer a2 having a crosslinking group.

단량체 a2 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가교기와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Monomer a2 is typically a compound having the crosslinking group and an ethylenic double bond.

단량체 a2 로는, 가교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As the monomer a2, (meth) acrylate having a crosslinking group is preferable.

단량체 a2 에 있어서의 가교기로는, 3 원 또는 4 원의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기가 바람직하고, 에폭시기, 옥세탄기, (3-알킬옥세탄-3-일)기가 특히 바람직하다.As the crosslinking group in the monomer a2, a group containing a cyclic ether structure of a 3-membered or 4-membered ring is preferable, and an epoxy group, oxetane group or (3-alkyloxetan-3-yl) group is particularly preferable.

가교기로서 3 원 또는 4 원의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CH2=C(R21)COO-R22-R23 으로 나타내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단, R2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2 는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3 은 3 원 또는 4 원의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기를 나타낸다. R22 의 탄소수는 1 ∼ 20 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having a group containing a cyclic ether structure of a 3-membered or 4-membered ring as a crosslinking group include monomers represented by CH 2 ═C (R 21 ) COO-R 22 -R 23 have. Provided that R 2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R 22 represents an alkylene group, and R 23 represents a group containing a cyclic ether structure of a 3-membered or 4-membered ring. The carbon number of R 22 is preferably 1 to 20.

구체적인 단량체 a2 로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4-글리시딜옥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탄-3-일)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단량체 a2 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monomer a2 include glycidyl (meth) acrylate, 4-glycidyloxybutyl (meth) acrylate, (3-ethyloxetan- Cyclohexylmeth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As the monomer a2, one typ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단량체 a2' 에 있어서의 반응 부위로는, 수산기, 카르복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reaction site in the monomer a2 'include a hydroxyl group, a carboxyl group, an isocyanate group, an epoxy group and an amino group.

단량체 a2' 로는, 그 반응 부위와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단량체로는, 수산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As the monomer a2 ', a monomer having an ethylenic double bond and a reaction site thereof is preferable. Examples of such a monomer include (meth) acrylate having a hydroxyl group or a carboxyl group.

단량체 a2' 중 반응 부위로서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의 구체예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5-하이드록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as a reactive site in the monomer a2 'includ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3-hydroxypropyl (meth) Hydroxybutyl (meth) acrylate, 5-hydroxypentyl (meth) acrylate, 6-hydroxyhexyl (meth) acrylate and 4-hydroxycyclohexyl (meth) acrylate.

단량체 a2' 중 반응 부위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의 구체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s a reactive site in the monomer a2 'includ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vinyl acetic acid.

단량체 a2' 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The monomers a2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화합물 b 의 반응성 관능기로는, 반응 부위에 따른 것이 적절히 선정되고, 예를 들어 반응 부위가 수산기인 경우에는, 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복시기, 할로아실기 (염화아실기 등), 에폭시기 등을 들 수 있고, 반응 부위가 카르복시기인 경우에는 수산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reactive functional group of the compound b include an isocyanate group, a carboxyl group, a haloacyl group (such as an acyl chloride group), and an epoxy group when the reactive site is a hydroxyl group. When the reaction site is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n isocyanate group, an epoxy group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가교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염화아실기 및 가교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메트)아크릴로일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 및 가교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n isocyanate group and a crosslinking group include 2- (meth) acryloyloxyethyl isocyan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 chlorinated acyl group and a crosslinking group include (meth) acryloyl chlorid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n epoxy group and a crosslinking group include glycid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glycidyl ether and 3,4-epoxycyclohexylmethyl (meth) have.

단위 u3 은, 산해리성기로 보호된 알칼리 가용성기를 갖는 단위이다. 이 경우, 광 개시제는, 광산 발생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P1 또는 수지 P2 를 구성하는 중합체가 단위 u3 을 갖고, 광 개시제가 광산 발생제를 포함함으로써, 감광성 막을 알칼리 현상액으로 현상할 수 있다. The unit u3 is a unit having an alkali-soluble group protected with an acid-dissociable group. In this case, the photoinitiator preferably includes a photoacid generator.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resin P1 or the resin P2 has the unit u3 and the photoinitiator contains the photoacid generator so that the photosensitive film can be developed with an alkaline developer.

산해리성기로 보호된 알칼리 가용성기로는, 예를 들어 -C(O)OC(R31)(R32)OR33 으로 나타내는 기, -C(O)OC(R34)(R35)(R36) 으로 나타내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단, R31 은, 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32 는,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33 은, 수소 원자의 일부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수소 원자의 일부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시클로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의 일부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R31 과 R33 이 연결되어 고리형 에테르를 형성해도 된다. R34 ∼ R3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0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The alkali-soluble group protected by the acid-cleavable group is, for example, -C (O) OC (R 31 ) (R 32) group represented by OR 33, -C (O) OC (R 34) (R 35) (R 36 ), And the like. However, R 31 is an alkyl group or a cycloalkyl group, R 32 is a hydrogen atom, an alkyl group or a cycloalkyl group, R 33 is, even if a part of alkyl groups, hydrogen atoms, which may be part of the hydrogen atoms is substituted with optionally substituted Or an aralkyl group in which a part of hydrogen atoms may be substituted, and R 31 and R 33 may be connected to form a cyclic ether. Each of R 34 to R 36 independently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40 carbon atoms.

R31 로는, 탄소수 1 ∼ 6 의 직사슬 또는 분기의 알킬기, 탄소수 3 ∼ 6 의 시클로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원료의 단량체의 입수 용이한 점에서 메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As R 31 ,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or a cycloalkyl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is preferable, and a methyl group is particularly preferable in view of availability of raw monomers.

R32 로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직사슬 또는 분기의 알킬기, 탄소수 3 ∼ 6 의 시클로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원료의 단량체의 입수 용이한 점에서 수소 원자가 특히 바람직하다.As R 32 , a hydrogen atom,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and a cycloalkyl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are preferable, and a hydrogen atom is particularly preferable in view of availability of raw material monomers.

R33 으로는, 탄소수 1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의 알킬기, 탄소수 3 ∼ 10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0 의 아르알킬기가 바람직하다.As R 33 ,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 cycloalkyl group having 3 to 10 carbon atoms, and an aralkyl group having 7 to 10 carbon atoms are preferable.

R31 과 R33 이 연결되어 고리형 에테르를 형성하는 경우, R31 과 R33 이 연결되어 탄소수 2 ∼ 5 의 알킬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R 31 and R 33 are connected to form a cyclic ether, it is preferable that R 31 and R 33 are connected to form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5 carbon atoms.

R33 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 중의 수소 원자의 일부가 치환되어 있는 경우, 그 치환기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다.When a part of the hydrogen atoms in the alkyl group, cycloalkyl group or aralkyl group of R 33 is substituted, examples of the substituent include a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a halogen atom and the like have.

-C(O)OC(R31)(R32)OR33 으로 나타내는 기로는, 예를 들어 1-에톡시에틸기, 1-메톡시에틸기, 1-n-부톡시에틸기, 1-이소부톡시에틸기, 1-(2-클로르에톡시)에틸기, 1-(2-에틸헥실옥시)에틸기, 1-n-프로폭시에틸기, 1-시클로헥실옥시에틸기, 1-(2-시클로헥실에톡시)에틸기, 1-벤질옥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group represented by -C (O) OC (R 31 ) (R 32 ) OR 33 include 1-ethoxyethyl group, 1-methoxyethyl group, 1-n-butoxyethyl group, Ethylhexyloxyethyl group, 1-n-propoxyethyl group, 1-cyclohexyloxyethyl group, 1- (2-cyclohexylethoxy) ethyl group, 1- 1-benzyloxyethyl group and the like.

-C(O)OC(R34)(R35)(R36) 으로 나타내는 기로는, 예를 들어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C(O)OC(CH3)3) 를 들 수 있다. A group represented by -C (O) OC (R 34 ) (R 35) (R 36) is, for example, there may be mentioned a tert- butoxycarbonyl group (-C (O) OC (CH 3) 3).

단위 u3 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The unit u3 may be used singly or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in combination.

단위 u3 으로는, -C(O)OC(R31)(R32)OR33 으로 나타내는 기를 갖는 단위가 바람직하다. -C(O)OC(R31)(R32)OR33 으로 나타내는 기는, -C(O)OC(R34)(R35)(R36) 으로 나타내는 기에 비해 산 분해의 활성화 에너지가 낮고, 광산 발생제로부터의 산에 의해 용이하게 가수분해된다. 그 때문에, 노광 후에 포스트 익스포져 베이크 (PEB) 를 실시하지 않아도 현상이 가능해진다. In unit u3 is, a unit having a group represented by -C (O) OC (R 31 ) (R 32) OR 33 are preferred. The group represented by -C (O) OC (R 31 ) (R 32 ) OR 33 has lower activation energy of acid decomposition than the group represented by -C (O) OC (R 34 ) (R 35 ) (R 36 ) It is easily hydrolyzed by the acid from the photoacid generator. Therefore, a phenomenon can be achieved without performing post-exposure bake (PEB) after exposure.

상기 바람직한 단위는, 전형적으로는 CH2=CH(R30)C(O)OC(R31)(R32)OR33 으로 나타내는 단량체에 근거하는 단위이다. 단, R30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31 ∼ R33 은 상기와 동의이다.The preferred unit is typically a unit based on a monomer represented by CH 2 ═CH (R 30 ) C (O) OC (R 31 ) (R 32 ) OR 33 . Provided that R 30 i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and R 31 to R 33 are as defined above.

구체적인 단량체로는, 1-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n-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이소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2-클로르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2-에틸헥실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n-프로폭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시클로헥실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2-시클로헥실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벤질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monomer include 1-ethoxyethyl (meth) acrylate, 1-methoxyethyl (meth) acrylate, 1-n-butoxyethyl (meth) acrylate, 1-isobutoxyethyl (Meth) acrylate, 1-n-propoxyethyl (meth) acrylate, 1-cyclohexyl (Meth) acrylate, 1- (2-cyclohexylethoxy) ethyl (meth) acrylate and 1-benzyloxyethyl (meth) acrylate.

단위 u4 는, 단위 u1, 단위 u2 및 단위 u3 이외의 다른 단위이다. The unit u4 is a unit other than the unit u1, the unit u2, and the unit u3.

단위 u4 로는, 상기 함불소 유기기, 상기 가교기 및 상기 산해리성기로 보호된 알칼리 가용성기를 가지지 않는 단위인 단량체 a4 에 근거하는 단위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unit u4 include a unit based on the fluorine-containing organic group, the crosslinking group, and the monomer a4 which is a unit having no alkali-soluble group protected with the acid-dissociable group.

단량체 a4 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함불소 유기기, 상기 가교기 및 상기 산해리성기로 보호된 알칼리 가용성기를 가지지 않는,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The monomer a4 is typically a compound having an ethylenic double bond, which has no fluorine-containing organic group, the crosslinking group and an alkali-soluble group protected with the acid-dissociable group.

구체적인 단량체 a4 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단,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사슬의 옥시에틸렌기의 수는 2 내지 300 의 범위이다),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5-{(메트)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6-{(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에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프로필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부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시클로헥실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페닐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탄올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질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조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스티릴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질)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옥시카르보닐)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옥시카르보닐)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카르보닐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포릴에틸)푸마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포릴에틸)푸마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포릴에틸)푸마레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포릴에틸)말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포릴에틸)말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포릴에틸)말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monomer a4 includ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propyl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lauryl (meth) acrylate, stearyl (meth) acrylate, dec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isobornyl (meth) acrylate, adamantyl (meth) acrylate, 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2-methoxyethyl (Meth) acrylate, 2-butoxyethyl (meth) acrylate, 2-phenoxyethyl (meth) acrylate, methoxy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ethoxy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propoxy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butoxy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the number of oxyethylene groups in the polyethylene glycol chain ranges from 2 to 300), 2- (Meth) acryloyloxy} ethyl-2 '- (trimethylammonio) ethylphosphate, 3 - {(meth) acryloyloxy} (Meth) acryloyloxy} butyl-2 '- (trimethylammonio) ethylphosphate, 5 - {(meth) acryloyloxy} pentyl- Acryloyloxy} hexyl-2 '- (trimethylammonio) ethylphosphate, 2 - {(meth) acryloyloxy} ethyl- 2 '- (tributylammonio) ethylphosphate, 2 - {(meth) acryloyloxy} ethyl- 2 - {(meth) acryloyloxy} ethyl-2 '- (tricyclohexylammonio) ethylphosphate, 2 - { Ethyl 2 - {(meth) acryloyloxy} ethyl-2 '- (trimethanolammonio) ethylphosphate, 2 - {(meth) acryloyloxy} (Trimethylammonio) ethylphosphate, 2 - {(meth) acryloyloxy} pentyl-2 '- (trimethylammonio) ethylphosphate, 2- (Meth) acryloyloxy} hexyl-2 '- (trimethylammonio) ethylphosphate, 2- (vinyloxy) ethyl-2'- (trimethylammonio) ethylphosphate, 2- (Trimethylammonio) ethyl phosphate, 2- (p-vinylbenzyloxy) ethyl-2 '- (trimethylammonio) ethylphosphate, 2- Ammonio) ethyl phosphate, 2- (styryl 2 '- (trimethylammonio) ethylphosphate, 2- (p-vinylbenzyl) ethyl-2'- (trimethylammonio) ethylphosphate, 2- (vinyloxycarbonyl) (Trimethylammonio) ethyl phosphate, 2- (allyloxycarbonyl) ethyl-2 '- (trimethylammonio) ethylphosphate, 2- - (vinylcarbonylamino) ethyl-2 '- (trimethylammonio) ethylphosphate, ethyl- (2'-trimethylammonioethylphosphorylethyl) fumarate, butyl- (2'-trimethylammonioethylphosphorylethyl) ) Fumarate, hydroxy- (2'-trimethylammonioethylphosphorylethyl) fumarate, ethyl- (2'-trimethylammonioethylphosphorylethyl) malate, butyl- (2'-trimethylammonioethyl Phosphoylethyl) malate, or hydroxyethyl- (2'-trimethylammonioethylphosphorylethyl) malate, and the like. .

단량체 a4 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The monomers a4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중합체 A 는, 단위 u1 과 단위 u2 를 갖는다. 중합체 A 는, 단위 u3 을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중합체 A 는, 단위 u4 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Polymer A has units u1 and u2. Polymer A may further have unit u3. Polymer A may further have unit u4.

중합체 A 에 있어서,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1 의 비율은, 10 ∼ 90 몰% 가 바람직하고, 20 ∼ 90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In the polymer A, the ratio of the unit u1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is preferably from 10 to 90 mol%, and more preferably from 20 to 90 mol%.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2 의 비율은, 10 ∼ 90 몰% 가 바람직하고, 10 ∼ 80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ratio of the unit u2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is preferably from 10 to 90 mol%, and more preferably from 10 to 80 mol%.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3 의 비율은, 0 ∼ 80 몰% 가 바람직하고, 0 ∼ 70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ratio of the unit u3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is preferably 0 to 80 mol%, more preferably 0 to 70 mol%.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4 의 비율은, 0 ∼ 80 몰% 가 바람직하고, 0 ∼ 60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ratio of the unit u4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is preferably 0 to 80 mol%, more preferably 0 to 60 mol%.

중합체에 있어서의 각 구성 단위의 비율은, 예를 들어 1H-NMR (핵자기 공명 분석) 에 있어서의 각 단위에 특유의 피크의 적분비로부터 구할 수 있다. The ratio of each constitutional unit in the polymer can be obtained from, for example, the integral ratio of peaks unique to each unit in 1 H-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alysis).

중합체 A 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이하의 중합체 A1 및 중합체 A2 를 들 수 있다.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olymer A, the following Polymers A1 and A2 can be mentioned.

중합체 A1 : 단위 u1 과 단위 u2 를 갖고, 단위 u3 을 갖지 않고, 말단기 J 를 갖는 중합체.Polymer A1: A polymer having unit u1 and unit u2, not having unit u3, and end group J.

중합체 A2 : 단위 u1 과 단위 u2 와 단위 u3 을 갖고, 단위 u2 의 가교기가 산에 의해 가교할 수 있는 기이고, 말단기 J 를 갖는 중합체. Polymer A2: a polymer having a unit u1, a unit u2 and a unit u3, a crosslinking group of the unit u2 being capable of crosslinking by an acid, and a terminal group J;

중합체 A1, A2 는 각각 단위 u4 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Polymers A1 and A2 may further have unit u4.

중합체 A1 은,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해 단위 u1 을 10 ∼ 29 몰%, 단위 u2 를 10 ∼ 90 몰%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1 과 단위 u2 의 합계의 비율은, 3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 몰% 여도 된다. The polymer A1 preferably has a unit u1 of 10 to 29 mol% and a unit u2 of 10 to 90 mol% based on the total of all the units. The ratio of the sum of the units u1 and u2 to the total of the total units is preferably 30 mol% or more, and may be 100 mol%.

중합체 A2 는,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해 단위 u1 을 10 ∼ 29 몰%, 단위 u2 를 10 ∼ 60 몰%, 단위 u3 을 20 ∼ 80 몰%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1 과 단위 u2 와 단위 u3 의 합계의 비율은, 4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 몰% 여도 된다.The polymer A2 preferably has 10 to 29 mol% of unit u1, 10 to 60 mol% of unit u2, and 20 to 80 mol% of unit u3 with respect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The ratio of the total of the units u1 to u2 to the total of the units u3 and u3 is preferably 40 mol% or more, and may be 100 mol%.

중합체 A 의 질량 평균 분자량 (Mw) 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4,000 ∼ 500,000 이 바람직하고, 5,000 ∼ 200,000 이 보다 바람직하며, 6,000 ∼ 20,000 이 더욱 바람직하고, 6,000 ∼ 19,000 이 특히 바람직하다. 질량 평균 분자량이 이 범위에 있으면, 리소그래피에 의한 가공이 안정적으로 가능해진다. 특히, 질량 평균 분자량이 6,000 ∼ 20,000 인 경우, 말단기 J 를 가지지 않을 때의 도막의 도포 불균일이 현저하여, 본 발명의 유용성이 높다. 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olymer 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4,000 to 500,000, more preferably 5,000 to 200,000, still more preferably 6,000 to 20,000, and particularly preferably 6,000 to 19,000. When 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is within this range, the lithographic processing can be stably performed. Particularly, when 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is 6,000 to 20,000, uneven application of the coating film when the terminal group J is not present is remarkable, and the useful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igh.

중합체 A 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로부터 측정되는 표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환산의 값이다. 중합체 B, C 의 질량 평균 분자량도 동일하다. 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A is a value in terms of standard polymethyl methacrylate measured from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s of Polymers B and C are also the same.

중합체 A 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2 가지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중합을 연쇄 이동제 j 의 존재하에서 실시함으로써, 주사슬 말단에 말단기 J 를 갖는 중합체가 얻어진다.As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olymer A, for example, the following two production methods can be mentioned. By carrying out the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the chain transfer agent j, a polymer having an end group J at the main chain end is obtained.

·상기 단량체 a1 과 상기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상기 연쇄 이동제 j 의 존재하에 중합시키는 방법. A method for polymerizing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the monomer a1 and the monomer a2 in the presence of the chain transfer agent j.

·상기 단량체 a1 과 상기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상기 연쇄 이동제 j 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를 얻고, 그 중합체에 상기 화합물 b 를 반응시키는 방법. A method of polymerizing a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the monomer a1 and the monomer a2 'in the presence of the chain transfer agent j to obtain a polymer, and reacting the polymer b with the polymer.

상기 2 가지 제조 방법 각각에 있어서, 단량체 성분은, 단량체 a3 및 단량체 a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In each of the above two production methods, the monomer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nomer a3 and monomer a4.

단량체 성분의 중합은, 용액 중합법, 벌크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의 공지된 중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 중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중합 시 중합 개시제를 사용해도 된다.The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component can be carried out by a known polymerization method such as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a bulk polymerization method and an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Of these, the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is preferable. A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in the polymerization.

용액 중합에 있어서, 중합 용매에 대한 단량체 전체량의 비율은, 5 ∼ 70 질량% 가 바람직하고, 10 ∼ 4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본 조성물의 제조 효율이 우수하다. 감광성 조성물이 용제를 포함하는 경우, 중합 용매로는, 감광성 조성물의 용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olution polymerization, the ratio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s to the polymerization solvent is preferably from 5 to 70 mass%, more preferably from 10 to 40 mass%. The higher the ratio, the better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present composition. When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ntains a solvent, the polymerization solvent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solvent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연쇄 이동제 j 의 사용량은, 제조하는 중합체의 분자량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고,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나 단량체 농도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전형적으로는 단량체의 전체량에 대해 0.1 ∼ 20 몰% 이고, 1 ∼ 10 몰% 가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증가하면, 원하는 분자량으로 하기 위해서 필요한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 단량체 농도가 낮으면 원하는 분자량으로 하기 위해서 필요한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The amount of the chain transfer agent j to be use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to be produced and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and the monomer concentration but is typically from 0.1 to 20 mol% To 10 mol% is preferable. Further, when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s increased, the amount of the chain transfer agent necessary for achieving the desired molecular weight tends to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monomer concentration is low, the amount of the chain transfer agent required to obtain the desired molecular weight tends to be small.

중합 조건으로는, 예를 들어 40 ∼ 60 ℃ 에서 5 ∼ 30 시간의 조건을 들 수 있다.Polymerization conditions include, for example, conditions at 40 to 60 DEG C for 5 to 30 hours.

상기 2 번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화합물 b 의 사용량은, 중합체 중의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의 반응 부위의 총수를 100 몰% 로 했을 때에, 10 ∼ 100 몰% 가 바람직하고, 80 ∼ 100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의 반응 부위의 총수는,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가 1 종인 경우는,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의 총몰수) ×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의 반응 부위의 수) 에 의해 구해진다.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가 복수종인 경우에는, 각 단위에 대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단량체 a2'에 근거하는 단위의 총몰수) ×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의 반응 부위의 수) 의 값을 구하고, 그들의 합계를 단량체 a2' 에 근거하는 단위의 반응 부위의 총수로 한다.In the second production method, the amount of the compound b to be used is preferably 10 to 100 mol%, more preferably 80 to 100 mol% based on 100 mol% of the total number of reaction sites of the unit based on the monomer a2 ' % Is more preferable. The total number of reactive sites in the unit based on the monomer a2 'is the total number of moles of the units based on the monomer a2' when the unit based on the monomer a2 'is one kind of units (reaction of units based on the monomer a2' Number of sites). When the number of units based on the monomer a2 'is plural, the value of the unit (the total number of moles of the unit based on the monomer a2') x (the number of reaction sites of the unit based on the monomer a2 ') And the total of them is defined as the total number of reaction sites of the unit based on the monomer a2 '.

화합물 (b) 를 반응시킬 때의 반응 조건으로는, 예를 들어 0 ∼ 60 ℃ 에서 5 ∼ 48 시간의 조건을 들 수 있다. The reaction conditions for the reaction of compound (b) include, for example, conditions of 0 to 60 ° C and 5 to 48 hours.

중합 후, 또는 화합물 b 를 반응시킨 후, 필요에 따라 여과, 재침전 등의 정제 처리, 용매 증류 제거, 용매 치환 등의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After the polymerization, or after the compound b is reacted, purification treatment such as filtration and reprecipitation, solvent distillation removal, solvent substitution and the like may be carried out if necessary.

중합체 B 는, 단위 u1 을 갖고, 단위 u2 를 가지지 않는 중합체이다. 중합체 B 는, 단위 u3 을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중합체 B 는, 단위 u4 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Polymer B is a polymer having unit u1 and no unit u2. Polymer B may further have unit u3. Polymer B may further have unit u4.

중합체 B 에 있어서,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1 의 비율은, 10 ∼ 100 몰% 가 바람직하고, 10 ∼ 29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polymer B, the ratio of the unit u1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is preferably 10 to 100 mol%, more preferably 10 to 29 mol%.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3 의 비율은, 0 ∼ 80 몰% 가 바람직하고, 0 ∼ 70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ratio of the unit u3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is preferably 0 to 80 mol%, more preferably 0 to 70 mol%.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4 의 비율은, 0 ∼ 80 몰% 가 바람직하고, 0 ∼ 70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ratio of the unit u4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is preferably 0 to 80 mol%, more preferably 0 to 70 mol%.

중합체 B 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이하의 중합체 B1 또는 중합체 B2 를 들 수 있다.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olymer B, the following polymer B1 or polymer B2 can be mentioned.

중합체 B1 : 단위 u1 을 갖고, 단위 u2 및 단위 u3 을 갖지 않고, 말단기 J 를 갖는 중합체. Polymer B1: Polymer having unit u1, unit u2 and unit u3, and terminal group J.

중합체 B2 : 단위 u1 및 단위 u3 을 갖고, 단위 u2 를 갖지 않고, 말단기 J 를 갖는 중합체. Polymer B2: A polymer having unit u1 and unit u3, not having unit u2, and end group J.

중합체 B1, B2 는 각각 단위 u4 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Polymers B1 and B2 may further have unit u4.

중합체 B1 은,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해 단위 u1 을 10 ∼ 100 몰%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mer B1 preferably has a unit u1 of 10 to 100 mol% relative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중합체 B2 는,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해 단위 u1 을 10 ∼ 90 몰%, 단위 u3 을 20 ∼ 80 몰%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1 과 단위 u3 의 합계의 비율은, 3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 몰% 여도 된다.The polymer B2 preferably has a unit u1 of 10 to 90 mol% and a unit u3 of 20 to 80 mol% based on the total of all the units. The ratio of the sum of the units u1 and u3 to the total of the total units is preferably 30 mol% or more, and may be 100 mol%.

중합체 B 의 질량 평균 분자량 (Mw) 의 바람직한 범위는, 중합체 A 와 동일하다.The preferable range of 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olymer B is the same as that of the polymer A.

중합체 B 가 말단기 J 를 갖는 경우의 중합체 B 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As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mer B in the case where the polymer B has the terminal group J, for example, the following production methods can be mentioned.

·상기 단량체 a1 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상기 연쇄 이동제 j 의 존재하에 중합시키는 방법. A method for polymerizing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the monomer a1 in the presence of the chain transfer agent j.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량체 성분은, 통상 단량체 a2 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 단량체 성분은, 단량체 a3 및 단량체 a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In the above production method, the monomer component does not usually contain the monomer a2. The monomer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nomer a3 and monomer a4.

단량체 성분의 중합은, 전술한 중합체 A 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component can b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of the polymer A.

중합체 B 가 말단기 J 를 가지지 않는 경우의 중합체 B 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As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mer B in the case where the polymer B does not have the terminal group J, for example, the following production methods can be mentioned.

·상기 단량체 a1 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상기 연쇄 이동제 j 의 부재하에 중합시키는 방법. A method of polymerizing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the monomer a1 in the absence of the chain transfer agent j.

단량체 성분은 상기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 The monomer component is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단량체 성분의 중합은, 연쇄 이동제 j 를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전술한 중합체 A 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중합 시, 연쇄 이동제 j 이외의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도 된다.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component can b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of the polymer A, except that the chain transfer agent j is not used. In the polymerization, a chain transfer agent other than the chain transfer agent j may be used.

중합체 C 는, 단위 u2 를 갖고, 단위 u1 을 가지지 않는 중합체이다. 중합체 C 는, 단위 u3 을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중합체 C 는, 단위 u4 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Polymer C is a polymer having unit u2 and no unit u1. Polymer C may further have unit u3. Polymer C may further have unit u4.

중합체 C 에 있어서,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2 의 비율은, 10 ∼ 100 몰% 가 바람직하고, 10 ∼ 90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In the polymer C, the ratio of the unit u2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is preferably 10 to 100 mol%, and more preferably 10 to 90 mol%.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3 의 비율은, 0 ∼ 90 몰% 가 바람직하고, 0 ∼ 70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ratio of the unit u3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is preferably 0 to 90 mol%, more preferably 0 to 70 mol%.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4 의 비율은, 0 ∼ 90 몰% 가 바람직하고, 0 ∼ 80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ratio of the unit u4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is preferably 0 to 90 mol%, more preferably 0 to 80 mol%.

중합체 C 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이하의 중합체 C1 또는 중합체 C2 를 들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olymer C, the following polymer C1 or polymer C2 can be mentioned.

중합체 C1 : 단위 u2 를 갖고, 단위 u1 및 단위 u3 을 갖지 않고, 말단기 J 를 갖는 중합체. Polymer C1: A polymer having the unit u2, the unit u1 and the unit u3, and the terminal group J.

중합체 C2 : 단위 u2 및 단위 u3 을 갖고, 단위 u1 을 갖지 않고, 말단기 J 를 갖는 중합체. Polymer C2: A polymer having unit u2 and unit u3, no unit u1, and terminal group J.

중합체 C1, C2 는 각각, 단위 u4 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Each of the polymers C1 and C2 may further have a unit u4.

중합체 C1 은,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해 단위 u2 를 10 ∼ 100 몰%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lymer C1 preferably has a unit u2 of 10 to 100 mol% relative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중합체 C2 는,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해 단위 u2 를 10 ∼ 80 몰%, 단위 u3 을 20 ∼ 90 몰%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단위의 합계에 대한 단위 u2 와 단위 u3 의 합계 비율은, 3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 몰% 여도 된다.The polymer C2 preferably has a unit u2 of 10 to 80 mol% and a unit u3 of 20 to 90 mol% based on the total of all the units. The total ratio of the units u2 and u3 to the total of all the units is preferably 30 mol% or more, and may be 100 mol%.

중합체 C 의 질량 평균 분자량 (Mw) 의 바람직한 범위는, 중합체 A 와 동일하다.The preferable range of 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olymer C is the same as that of the polymer A.

중합체 C 가 말단기 J 를 갖는 경우의 중합체 C 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2 가지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As a production method of the polymer C in the case where the polymer C has the terminal group J, for example, the following two production methods can be mentioned.

·상기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상기 연쇄 이동제 j 의 존재하에 중합시키는 방법. A method for polymerizing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the monomer a2 in the presence of the chain transfer agent j.

·상기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상기 연쇄 이동제 j 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를 얻고, 그 중합체에 상기 화합물 b 를 반응시키는 방법. A method of polymerizing a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the monomer a2 'in the presence of the chain transfer agent j to obtain a polymer, and reacting the polymer b with the polymer.

상기 2 가지 제조 방법 각각에 있어서, 단량체 성분은, 통상 단량체 a1 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단량체 성분은, 단량체 a3 및 단량체 a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In each of the above two production methods, the monomer component does not usually contain the monomer a1. The monomer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nomer a3 and monomer a4.

상기 2 가지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단량체 성분의 중합이나 화합물 b 와의 반응은, 전술한 중합체 A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2 가지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The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components and the reaction with the compound b in the above two production methods can b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the two production methods in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of the polymer A.

중합체 C 가 말단기 J 를 가지지 않는 경우의 중합체 C 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2 가지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As a production method of the polymer C in the case where the polymer C does not have the terminal group J, for example, the following two production methods can be mentioned.

·상기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상기 연쇄 이동제 j 의 부재하에 중합시키는 방법. A method for polymerizing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the monomer a2 in the absence of the chain transfer agent j.

·상기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상기 연쇄 이동제 j 의 부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를 얻고, 그 중합체에 상기 화합물 b 를 반응시키는 방법. A method of polymerizing a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the monomer a2 'in the absence of the chain transfer agent j to obtain a polymer, and reacting the polymer b with the polymer.

상기 2 가지 제조 방법 각각에 있어서, 단량체 성분은, 통상 단량체 a1 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단량체 성분은, 단량체 a3 및 단량체 a4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In each of the above two production methods, the monomer component does not usually contain the monomer a1. The monomer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nomer a3 and monomer a4.

단량체 성분의 중합은, 연쇄 이동제 j 를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전술한 중합체 A 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중합 시, 연쇄 이동제 j 이외의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도 된다.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component can b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of the polymer A, except that the chain transfer agent j is not used. In the polymerization, a chain transfer agent other than the chain transfer agent j may be used.

화합물 b 와의 반응은, 전술한 중합체 A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화합물 b 와의 반응과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The reaction with the compound b can b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the reaction with the compound b in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of the polymer A.

수지 P1 을 구성하는 중합체 A 는, 1 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어도 된다.One kind of the polymer A constituting the resin P1 may be used, or two or more kinds may be used.

수지 P2 를 구성하는 중합체 B 및 중합체 C 는 각각 1 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어도 된다.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constituting the resin P2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a mixture of two or more.

수지 P2 에 있어서, 중합체 B 와 중합체 C 의 합계량에 대한 중합체 B 의 비율은, 발액성의 점에서는 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경화성, 패터닝성의 점에서는, 9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70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In the resin P2, the ratio of the polymer B to the total amount of 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is preferably 1%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5% by mass or more, further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0% by mass or more. It is preferably 9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80 mass%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70 mass%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curability and patternability.

따라서, 중합체 B 와 중합체 C 의 합계량에 대한 중합체 B 의 비율은, 1 ∼ 90 질량% 가 바람직하다. 중합체 B 가 단위 3 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1 ∼ 5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1 ∼ 4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체 B 가 단위 3 을 갖는 경우에는, 1 ∼ 9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1 ∼ 8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며, 5 ∼ 70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ratio of the polymer B to the total amount of 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is preferably 1 to 90% by mass. When the polymer B does not have the unit 3, it is more preferably 1 to 50% by mass, and further preferably 1 to 40% by mass. When the polymer B has the unit 3, it is more preferably 1 to 90 mass%, more preferably 1 to 80 ma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 to 70 mass%.

수지 P1 및 수지 P2 는, 어느 일방만을 사용해도 되고, 양방을 병용해도 된다.Either one of the resin P1 and the resin P2 may be used, or both resins P1 and P2 may be used in combination.

광 개시제로는, 광 라디칼 발생제, 또는 광산 발생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공지된 광 라디칼 발생제, 광산 발생제 중에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photoinitiator include a photo-radical generator and a photo-acid generator. Thes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known photo-radical generating agents and photoacid generators, respectively.

중합체 A 및 중합체 C 에 있어서의 가교기가 라디칼에 의해 가교할 수 있는 기인 경우에는, 광 개시제로서 광 라디칼 발생제가 이용되고, 가교기가 산에 의해 가교할 수 있는 기인 경우에는, 광 개시제로서 광산 발생제가 사용된다. When the crosslinking group in polymer A and polymer C is a group capable of crosslinking by radicals, when a photo-radical generator is used as the photoinitiator and the crosslinking group is a group capable of crosslinking by an acid, the photoacid generator Is used.

광 개시제는, 파장 365 nm 에서의 흡광 계수가 400 [mL·g-1·cm-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흡광 계수가 400 [mL·g-1·cm-1] 이하이면, 리소그래피에 의한 가공이 가능하다. 또, 기재 상에 본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을 형성한 적층체를 기재 상에 형성한 형광 분석 바이오 칩으로서 사용하여 형광 분석을 실시할 때에 노이즈가 되는 광이 억제된다. 구체적으로 노이즈가 되는 광이란, 레이저 광 여기형 형광 분석 장치로 측정했을 때에 형광으로서 관측되는 광이다. 이와 같은 광의 발생 원인은 확실하지 않지만, 자가 형광 또는 산란에 의한 미광이 생각된다.The photoinitiator preferably has an extinction coefficient at a wavelength of 365 nm of 400 [mL · g -1 · cm -1 ] or less. When the extinction coefficient is 400 [mL · g -1 · cm -1 ] or less, processing by lithography is possible. In addition, as a fluorescence analysis biochip formed on a substrate, a laminate on which a coating film formed of the present composition is formed on a substrate is used to suppress the light that becomes noises when performing fluorescence analysis. Specifically, light that becomes noise is light observed as fluorescence when measured by a laser light excitation fluorescence analyzer. The cause of such light generation is not clear, but stray light due to autofluorescence or scattering is conceivable.

광 개시제의 파장 365 nm 에서의 흡광 계수는, 200 [mL·g-1·cm-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그 흡광 계수는 1 [mL·g-1·cm-1]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mL·g-1·cm-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extinction coefficient of the photoinitiator at a wavelength of 365 nm is more preferably 200 [mL · g -1 · cm -1 ] or less. The extinction coefficient is preferably 1 [mL · g -1 · cm -1 ] or higher, more preferably 10 [mL · g -1 · cm -1 ] or higher.

광 라디칼 발생제의 구체예로는,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2-하이드록시-1-페닐아세토페논, 메틸페닐케톤, 디벤조일, 벤조페논,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이, 얻어지는 도막의 형광이 작고, 광 경화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들 광 라디칼 발생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Specific examples of the photoradical generator include 2,2-dimethoxy-1,2-diphenylethane-1-one, 2-hydroxy-1-phenylacetophenone, methylphenyl ketone, dibenzoyl, benzophenone, benzo Methyl-1-phenyl-propan-1-one, 1- [4- (2-hydroxyethoxy) -phenyl] -2-hydroxy-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2-hydroxy-1- {4- [4- (2- Methyl-propan-1-one, and the like. 2-methyl-1-phenyl-propan-1-one, 1-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and 2-hydroxy-1- {4- [4- (2-hydroxy-2-methyl-propionyl) Is preferable because it is small and excellent in photo-curing performance. These photo-radical generato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광 라디칼 발생제의 구체적인 상품명으로는 IRGACURE (상표) 651 (BASF 사 제조), IRGACURE 184 (BASF 사 제조), IRGACURE 127 (BASF 사 제조), IRGACURE 500 (BASF 사 제조), IRGACURE 2959 (BASF 사 제조), 1173 (BASF 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IRGACURE (registered trademark) 651 (manufactured by BASF), IRGACURE 184 (manufactured by BASF), IRGACURE 127 (manufactured by BASF), IRGACURE 500 (manufactured by BASF), IRGACURE 2959 ), 1173 (manufactured by BASF), and the like.

광산 발생제로는, 트리아릴술포늄염, 디아릴요오드늄염, 술포닐디아조메탄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hotoacid generator include triarylsulfonium salts, diaryliodonium salts, and sulfonyldiazomethane.

트리아릴술포늄염, 디아릴요오드늄염의 카티온 부분의 구체예로는, 트리페닐술포늄, 디페닐-4-메틸페닐술포늄, 트리스(4-메틸페닐)술포늄, 디페닐-2,4,6-트리메틸페닐술포늄, 4-(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 디페닐요오드늄, 4-이소프로필-4'-메틸디페닐요오드늄, 4-메틸-4'-메틸프로필디페닐요오드늄, 비스(4-tert-부틸페닐)요오드늄, 4-메톡시페닐페닐요오드늄을 들 수 있다. 아니온 부분으로는,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트리스(펜타플루오로에틸)트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스(헵타플루오로프로필)트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스(노나플루오로이소부틸)트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노나플루오로이소부틸)테트라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cationic moiety of the triarylsulfonium salt and the diaryliodonium salt include triphenylsulfonium, diphenyl-4-methylphenylsulfonium, tris (4-methylphenyl) sulfonium, diphenyl-2,4,6 -Methyldiphenyliodonium, 4-methyl-4'-methylpropyldiphenyliodonium, 4-methylphenyldiphenylsulfonium, 4- , Bis (4-tert-butylphenyl) iodonium, and 4-methoxyphenylphenyliodonium. Examples of the anion moiety include trifluoromethanesulfonate, nonafluorobutanesulfonate, hexafluorophosphate, tetrafluoroborate, tris (pentafluoroethyl) trifluorophosphate, tris (heptafluoropropyl) tri Tris (nonafluoroisobutyl) trifluorophosphate, bis (nonafluoroisobutyl) tetrafluorophosphate, and the like can be given.

술포닐디아조메탄의 구체예로는, 비스(페닐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tert-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시클로헥실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p-톨루엔술포닐)디아조메탄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sulfonyldiazomethane include bis (phenylsulfonyl) diazomethane, bis (tert-butylsulfonyl) diazomethane, bis (cyclohexylsulfonyl) diazomethane, bis Sulfonyldiazomethane, and the like.

이들 중, 4-(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트리스(헵타플루오로프로필)트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트리스(노나플루오로이소부틸)트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비스(노나플루오로이소부틸)테트라플루오로포스페이트, 4-(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펜타플루오로에틸)트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2,4,6-트리메틸페닐술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디페닐-2,4,6-트리메틸페닐술포늄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 비스(페닐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p-톨루엔술포닐)디아조메탄이, 얻어지는 도막의 형광이 작고, 광 경화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들 광산 발생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Of these, preferred are tetrafluoroboric acid salts such as 4- (phenylthio) phenyldiphenylsulfoniumtris (heptafluoropropyl) trifluorophosphate, 4- (phenylthio) phenyldiphenylsulfoniumtris (nonafluoroisobutyl) Tetrafluorophosphate, 4- (phenylthio) phenyldiphenylsulfonium bis (nonafluoroisobutyl) tetrafluorophosphate, 4- (phenylthio) phenyldiphenylsulfonium (pentafluoroethyl) trifluorophosphate, diphenyl- , 4,6-trimethylphenylsulfonium trifluoromethanesulfonate, diphenyl-2,4,6-trimethylphenylsulfonium nonafluorobutanesulfonate, bis (phenylsulfonyl) diazomethane, bis (p- Toluenesulfonyl) diazomethane is preferable because the fluorescence of the obtained coating film is small and the photocuring performance is excellent. These photoacid generato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광산 발생제의 구체적인 상품명으로는 IRGACURE 250 (BASF 사 제조), CPI (상표)-100P (산아프로사 제조), CPI-210S (산아프로사 제조), WPAG199 (와코 준야쿠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product names of the photoacid generators include IRGACURE 250 (manufactured by BASF), CPI (registered trademark) -100P (manufactured by SANA PRO), CPI-210S (manufactured by SANA PRO), WPAG199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

본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지 P1 과 광 개시제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 이하의 조합 (1) ∼ (3) 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조합 (1) 또는 (2) 가 바람직하고, 조합 (2) 가 특히 바람직하다.As preferable combinations of the resin P1 and the photoinitiator in the present composition, the following combinations (1) to (3) can be given. Among them, the combination (1) or (2) is preferable, and the combination (2) is particularly preferable.

조합 (1) : 수지 P1 이 중합체 A1 이고, 중합체 A1 의 단위 u2 의 가교기가 산에 의해 가교할 수 있는 기이고, 광 개시제가 광산 발생제인 조합. Combination (1): Combination wherein the resin P1 is polymer A1, the crosslinking group of unit u2 of polymer A1 is a group capable of crosslinking by an acid, and the photoinitiator is a photo acid generator.

조합 (2) : 수지 P1 이 중합체 A2 이고, 광 개시제가 광산 발생제인 조합. Combination (2): A combination in which the resin P1 is polymer A2 and the photoinitiator is a photoacid generator.

조합 (3) : 수지 P1 이 중합체 A1 이고, 중합체 A1 의 단위 u2 의 가교기가 라디칼에 의해 가교할 수 있는 기이고, 광 개시제가 광 라디칼 발생제인 조합. Combination (3): Combination wherein the resin P1 is polymer A1, the crosslinking group of unit u2 of polymer A1 is a group capable of crosslinking by radicals, and the photoinitiator is a photo-radical generator.

본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지 P2 와 광 개시제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 상기 조합 (1) 또는 (3) 에 있어서, 중합체 A1 을, 이하의 수지 P21 로 변경한 조합이나, 상기 조합 (2) 에 있어서, 중합체 A2 를, 이하의 수지 P22, P23 또는 P24 로 변경한 조합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감광성 막의 패터닝 용이함으로부터, 수지 P21 또는 P24 가 바람직하다. 각 수지의 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중합체 B1 및 B2 의 바람직한 비율은, 전술한 수지 P2 의 중합체의 합계량에 대한 중합체 B 의 바람직한 비율과 동일하다.A preferable combination of the resin P2 and the photoinitiator in the present composition is a combination in which the polymer A1 is changed to the following resin P21 in the above combination (1) or (3) A2 is changed to the following resin P22, P23 or P24. Of these, the resin P21 or P24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asy patterning of the photosensitive film. The preferable ratio of the polymers B1 and B2 to the total amount of the polymers of the respective resins is the same as the preferable ratio of the polymer B to the total amount of the polymers of the above-mentioned resin P2.

수지 P21 : 중합체 B1 과 중합체 C1 로 이루어지고, 그들의 적어도 일방이 말단기 J 를 갖는 수지. Resin P21: Resin having polymer B1 and polymer C1 and at least one of them having terminal group J.

수지 P22 : 중합체 B1 과 중합체 C2 로 이루어지고, 그들의 적어도 일방이 말단기 J 를 갖는 수지.Resin P22: Resin comprising polymer B1 and polymer C2, at least one of which has terminal group J.

수지 P23 : 중합체 B2 와 중합체 C1 로 이루어지고, 그들의 적어도 일방이 말단기 J 를 갖는 수지. Resin P23: Resin comprising polymer B2 and polymer C1, at least one of which has terminal group J.

수지 P24 : 중합체 B2 와 중합체 C2 로 이루어지고, 그들의 적어도 일방이 말단기 J 를 갖는 수지. Resin P24: a resin comprising a polymer B2 and a polymer C2, wherein at least one of them has an end group J;

용제는, 수지 P1, P2 및 광 개시제를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것이면 되고, 용해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용제 등의 휘발성 성분은, 도막을 형성할 때 노광 전에 제거된다.The solvent should be one which dissolves or disperses the resins P1 and P2 and the photoinitiator, and more preferably dissolves the resin. Volatile components such as a solvent are removed before forming the coating film before exposure.

용제로는, 불소계 용제, 비불소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a fluorine-based solvent and a non-fluorine-based solvent.

구체적인 불소계 용제로는, 아사히 유리사 제조의 아사히클린 (상표) 으로서, 1H-트리데카플루오로헥산 (AC2000), 1,1,1,2,2,3,3,4,4,5,5,6,6-트리데카플루오로옥탄 (AC6000), 1,1,2,2-테트라플루오로-1-(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에탄 (AE3000), 디클로로펜타플루오로프로판 (AK-225)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그 외로서, 사이톱 (상표) CT-solv100E (아사히 유리사 제조), 1-메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스리엠 재팬사 제조, Novec (상표) 7100), 1-에톡시노나플루오로부탄 (스리엠 재팬사 제조, Novec (상표) 7200), 1,1,1,2,3,3-헥사플루오로-4-(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폭시)펜탄 (스리엠 재팬사 제조, Novec (상표) 7600), 2H,3H-퍼플루오로펜탄 (미츠이·듀퐁 플루오로 케미칼사 제조, Vertrel (상표) XF), 3,3,4,4,5,5,6,6,7,7,8,8,8-트리데카플루오로-1-옥탄올, 4,4,5,5,6,6,7,7,8,8,9,9,9-트리데카플루오로-1-노난올, 헥사플루오로벤젠, 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 2,2,3,3,4,4,5,5-옥타플루오로-1-펜탄올, 1H,1H,7H-도데카플루오로-1-헵탄올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fluorine-based solvent include Asahi Clean (trademark) manufactured by Asahi Glass Industries Co., Ltd., 1H-tridecafluorohexane (AC2000), 1,1,1,2,2,3,3,4,4,5,5 , 6,6-tridecafluorooctane (AC6000), 1,1,2,2-tetrafluoro-1- (2,2,2-trifluoroethoxy) ethane (AE3000), dichloropentafluoro Propane (AK-225), and the like. In addition, as other examples, there may be mentioned Cytop CT-solv100E (manufactured by Asahi Glass Co., Ltd.), 1-methoxynonafluorobutane (Novec (registered trademark) 7100, (Novec (trademark) 7200, manufactured by SUREM Japan), 1,1,1,2,3,3-hexafluoro-4- (1,1,2,3,3,3-hexafluoropropoxy ) Novec (trademark) 7600), 2H, 3H-perfluoropentane (Vertrel XF manufactured by Mitsui DuPont Fluorochemical Co., Ltd.), 3,3,4,4,5 , 5,6,6,7,7,8,8,8-tridecafluoro-1-octanol, 4,4,5,5,6,6,7,7,8,8,9,9 , 9-tridecafluoro-1-nonanol, hexafluorobenzene, hexafluoro-2-propanol, 2,2,3,3,4,4,5,5-octafluoro-1-pentanol , 1H, 1H, 7H-dodecafluoro-1-heptanol and the like.

구체적인 비불소계 용제로는, 시클로펜탄온, 시클로헥산온, 메틸아밀케톤, 2-부탄온 등의 케톤류, 락트산에틸, 벤조산메틸, 벤조산에틸, 벤조산벤질,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아니솔, 디글라임, 트리글라임 등의 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non-fluorine-containing solvent include ketones such as cyclopentanone, cyclohexanone, methyl amyl ketone and 2-butanone, ethyl lactate, methyl benzoate, ethyl benzoate, benzyl benzoate, methyl cellosolve acetate, ,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and propylene carbonate; ethers such as tetrahydrofuran, dioxane, dimethoxyethane, diethoxyethane, anisole, diglyme and triglyme And the like.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이들 용제 중, 용해성이 높고, 비점이 높아 성막성이 우수한 점에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 2,2,3,3,4,4,5,5-옥타플루오로-1-펜탄올, 1H,1H,7H-도데카플루오로-1-헵탄올이 바람직하다. Of these solvents,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hexafluoro-2-propanol, 2,2,3,3,4,4,4-hexanediol, and the like are preferable because of their high solubility and high boiling point, , 5,5-octafluoro-1-pentanol, 1H, 1H, 7H-dodecafluoro-1-heptanol are preferable.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라디칼 가교제, 산 가교제, 밀착성 부여제, 기타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Other components include, for example, radical crosslinking agents, acid crosslinking agents, adhesion promoters, and other additives.

라디칼 가교제로는, 2 개 이상의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특히, 2 ∼ 6 개의 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As the radical crosslinking agent, there can be mentioned a compound having two or more ethylenic double bonds. Particularly, a compound having 2 to 6 acryloyloxy groups is preferable.

구체적인 라디칼 가교제로는,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3,3,4,4,5,5,6,6,7,7,8,8,9,9-헥사데카플루오로-1,10-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3,3,4,4,5,5,6,6,7,7-도데카플루오로-1,8-옥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3,3,4,4,5,5-데카플루오로-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CH2=CHCOO-CH2)2C(CH3)NHCOO-CH2-(CF2)4-CH2-OCONHC(CH3)(CH2OCOCH=CH2)2, (CH2=CHCOO-CH2)2C(CH3)NHCOO-CH2-(CF2)6-CH2-OCONHC(CH3)(CH2OCOCH=CH2)2, (CH2=CHCOO-CH2)2C(CH3)NHCOO-CH2-(CF2)8-CH2-OCONHC(CH3)(CH2OCOCH=CH2)2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radical crosslinking agent include diethyleneglycol di (meth) acrylate, tetraethyleneglycol di (meth) acrylate, tripropyleneglycol di (meth) acrylate, neopentylglycol di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1,10-decanediol di (meth) acrylate, 2,2,3,3,4,4,5,5,6,6,7 , 7,8,8,9,9-hexadecafluoro-1,10-decanediol di (meth) acrylate, 2,2,3,3,4,4,5,5,6,6,7 , 7-dodecafluoro-1,8-octanediol di (meth) acrylate, 2,2,3,3,4,4,5,5-decafluoro-1,6-hexanediol di ) acrylate, (CH 2 = CHCOO-CH 2) 2 C (CH 3) NHCOO-CH 2 - (CF 2) 4 -CH 2 -OCONHC (CH 3) (CH 2 OCOCH = CH 2) 2, (CH 2 = CHCOO-CH 2) 2 C (CH 3) NHCOO-CH 2 - (CF 2) 6 -CH 2 -OCONHC (CH 3) (CH 2 OCOCH = CH 2) 2, (CH 2 = CHCOO-CH 2 and the (CF 2) 8 -CH 2 -OCONHC (CH 3) (CH 2 OCOCH = CH 2) 2 , etc. -) 2 C (CH 3) NHCOO-CH 2 There.

이들 중,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CH2=CHCOO-CH2)2C(CH3)NHCOO-CH2-(CF2)4-CH2-OCONHC(CH3)(CH2OCOCH=CH2)2, (CH2=CHCOO-CH2)2C(CH3)NHCOO-CH2-(CF2)6-CH2-OCONHC(CH3)(CH2OCOCH=CH2)2, (CH2=CHCOO-CH2)2C(CH3)NHCOO-CH2-(CF2)8-CH2-OCONHC(CH3)(CH2OCOCH=CH2)2 가 수지와의 상용성이 높고, 또한 경화성도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Of thes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CH 2 = CHCOO-CH 2) 2 C (CH 3) NHCOO-CH 2 - (CF 2) 4 -CH 2 -OCONHC (CH 3) (CH 2 OCOCH = CH 2) 2, (CH 2 = CHCOO-CH 2) 2 C (CH 3) NHCOO-CH 2 - (CF 2) 6 -CH 2 -OCONHC (CH 3 ) (CH 2 OCOCH = CH 2 ) 2, (CH 2 = CHCOO-CH 2) 2 C (CH 3) NHCOO-CH 2 - (CF 2) 8 -CH 2 -OCONHC (CH 3) (CH 2 OCOCH = CH 2 ) 2 is highly compatible with the resin and has high curability.

산 가교제로는, 산의 작용에 의해 가교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산 가교제로는, 헥사메틸올메톡시메틸멜라민, 1,3,4,6-테트라키스(메톡시메틸)글리콜우릴, 4,5-디메톡시-1,3-비스(메톡시메틸)이미다졸리딘-1-온, 1,3-비스(메톡시메틸)우레아,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스(2,3-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3-에틸-3-하이드록시메틸옥세탄, 3-에틸[(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시클로헥실디비닐에테르, 3-(3,3,4,4,5,5,6,6,7,7,8,8,8-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옥시)-1,2-에폭시프로판, 2,2,3,3,4,4,5,5,5-노나플루오로펜틸옥시란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cid crosslinking agent include compounds having a group capable of crosslinking by the action of an acid. Specific examples of the acid crosslinking agent include hexamethylolmethoxymethylmelamine, 1,3,4,6-tetrakis (methoxymethyl) glycoluril, 4,5-dimethoxy-1,3-bis (methoxymethyl) imide (Methoxymethyl) urea, 3,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bis (2,3-epoxycyclopentyl) ether , Ethyleneglycol diglycidyl ether, 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3-ethyl-3-hydroxymethyloxetane, 3-ethyl [(3-ethyloxetan- Methyl oxetane, diethylene glycol monovinyl ether, triethylene glycol divinyl ether, cyclohexyldivinyl ether, 3- (3,3,4,4,5,5,6,6,7,7,8,8 , 8-tridecafluorooctyloxy) -1,2-epoxypropane, and 2,2,3,3,4,4,5,5,5-nonafluoropentyloxirane.

밀착성 부여제로는, 실란 커플링제 등의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어 테트라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헵타데카플루오로옥틸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adhesion imparting agent, a coupling agent such as a silane coupling agent can be used. Examples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nclude tetra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oyloxypropyltrimethoxysilane, heptadecafluorooctyltrimethoxysilane, 3-chloro- Propyl trimethoxysilane, vinyl trichlorosilane, vinyl trimethoxysilane, and the like.

본 조성물 중의 수지 P1 및 수지 P2 의 합계 함유량은, 본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10 ∼ 70 질량% 가 바람직하고, 10 ∼ 6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 5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10 ∼ 40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조성물 중의 수지 P1 및 수지 P2 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이면, 막두께 제어가 용이해지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스핀 도포성이 보다 우수하다.The total content of the resin P1 and the resin P2 in the composition is preferably 10 to 70 mass%, more preferably 10 to 60 mass%, still more preferably 10 to 50 mass%, and even more preferably 10 To 40 mass% is particularly preferable. When the total content of the resin P1 and the resin P2 in the composition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above range, the film thickness control becomes easy, and when it is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value,

본 조성물 중의 상기 광 개시제의 함유량은, 본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0.1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0.5 ∼ 15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며, 0.5 ∼ 10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in the composition is preferably 0.1 to 20 mass%, more preferably 0.5 to 15 ma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5 to 10 ma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composition.

본 조성물 중의 다른 성분의 함유 비율은, 본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0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0 ∼ 1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other components in the composition is preferably 0 to 20% by mass, more preferably 0 to 10% by mass with respect to the total mass of the composition.

본 조성물 중의 용제의 함유량은, 본 조성물에서 수지 P1, 수지 P2, 광 개시제 및 다른 성분을 제외한 잔부이다. The content of the solvent in the composition is the balance of the present composition excluding the resin P1, the resin P2, the photoinitiator and other components.

본 조성물은, 본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수지 P1 및 수지 P2 중 적어도 일방을 10 ∼ 70 질량%, 광 개시제를 1 ∼ 10 질량%, 용제를 20 ∼ 89 질량%, 및 다른 성분을 0 ∼ 59 질량% 포함하는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지 P1 및 수지 P2 중 적어도 일방을 10 ∼ 40 질량%, 광 개시제를 1 ∼ 4 질량%, 용제를 46 ∼ 89 질량%, 및 다른 성분을 0 ∼ 10 질량% 포함하는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present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at least one of resin P1 and resin P2 in an amount of 10 to 70 mass%, a photoinitiator in an amount of 1 to 10 mass%, a solvent in an amount of 20 to 89 mass%, and other components in an amount of 0 to 59 % By mass of at least one of resin P1 and resin P2, from 1 to 4% by mass of a photoinitiator, from 46 to 89% by mass of a solvent, and from 0 to 10% by mass of other components % Of the composition.

본 조성물은, 적어도 수지 P1 및 수지 P2 중 적어도 일방과 광 개시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용제나 다른 성분을 혼합해도 된다.The present composition can be produced by mixing at least one of resin P1 and resin P2 with a photoinitiator. At this time, a solvent or other components may be mixed as necessary.

각 성분의 혼합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mixing order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조성물이 수지 P2 를 포함하는 경우, 중합체 B 및 중합체 C 는, 광 개시제 등의 혼합 전에 미리 혼합되어 있어도 되고, 광 개시제 등을 혼합할 때에 혼합되어도 된다.When the composition contains the resin P2, 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may be mixed beforehand with the photoinitiator or the like, or may be mixed when mixing the photoinitiator and the like.

각 성분을 혼합하기 전에, 중합체 A, 중합체 B 또는 중합체 C 를 제조하는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각 중합체의 제조는, 상기 순서로 제조할 수 있다.A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 A, Polymer B or Polymer C may be performed before mix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preparation of each polymer can be carried out in the above order.

따라서, 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제조 방법 1 ∼ 4 중 어느 것이면 된다. Therefore,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composition may be any one of the following production methods 1 to 4.

제조 방법 1 : 단량체 a1 과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연쇄 이동제 j 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A 를 제조하고, Production method 1: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monomer a1 and monomer a2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chain transfer agent j to prepare polymer A,

적어도 상기 중합체 A 와 광 개시제를 혼합하여 감광성 조성물을 얻는,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Wherein at least the polymer A and the photoinitiator are mixed to obta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제조 방법 2 : 단량체 a1 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연쇄 이동제 j 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B 를 얻고, Production Method 2: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monomer a1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chain transfer agent j to obtain polymer B,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연쇄 이동제 j 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C 를 얻고,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monomer a2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chain transfer agent j to obtain polymer C,

적어도 상기 중합체 B 와 상기 중합체 C 와 광 개시제를 혼합하여 감광성 조성물을 얻는,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Wherein at least the polymer B, the polymer C and the photoinitiator are mixed to obta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제조 방법 3 : 단량체 a1 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연쇄 이동제 j 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B 를 얻고, Production method 3: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monomer a1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chain transfer agent j to obtain polymer B,

적어도 이 중합체 B 와 중합체 C 와 광 개시제를 혼합하여 감광성 조성물을 얻는,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Wherein at least the polymer B, the polymer C and the photoinitiator are mixed to obta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제조 방법 4 :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연쇄 이동제 j 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C 를 얻고, Production method 4: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monomer a2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chain transfer agent j to obtain polymer C,

적어도 이 중합체 C 와 중합체 B 와 광 개시제를 혼합하여 감광성 조성물을 얻는,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Wherein at least the polymer C, the polymer B and the photoinitiator are mixed to obta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제조 방법 3 에 있어서의 중합체 C, 제조 방법 4 에 있어서의 중합체 B 는 통상 말단기 J 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가지고 있어도 지장 없다. 이들의 중합체로서, 시판되는 중합체를 사용해도 된다. Polymer C in Production Method 3 and Polymer B in Production Method 4 do not usually have terminal group J, but they may be present. As these polymers, commercially available polymers may be used.

제조 방법 1 의 일 양태로서, 중합체 A 의 제조 시에 중합을 용액 중합법에 의해 실시하여, 중합체 A 와 용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용액을 얻고, 이 중합체 용액에 광 개시제 등을 첨가하여 본 조성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As one embodiment of the production method 1, the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by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in the production of the polymer A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containing the polymer A and a solvent, and a photoinitiator or the like is added to the polymer solution to obtain the composition Method.

본 조성물에 있어서는, 수지 P1 및 수지 P2 중 적어도 일방과 광 개시제를 포함하므로, 도포 불균일이 없는 발액성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composition, a liquid repellent coating film having no coating irregularity can be formed because it contains at least one of resin P1 and resin P2 and a photoinitiator.

본 조성물은 감광성을 가지므로, 하기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본 조성물로 형성되는 도막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 또는 홈을 갖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Since the composition has photosensitivity, the coating film form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holes or groove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by photolithography as described below.

본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시킴으로써, 수지 P1 및 수지 P2 중 적어도 일방과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막이 형성된다. 이 감광성 막을, 형성하고자 하는 구멍 또는 홈에 대응한 패턴으로 선택적으로 노광하면, 감광성 막의 노광부에서, 광 개시제로부터 라디칼 또는 산이 발생하고, 그 작용에 의해 가교기가 가교 (경화) 한다. The composition is coated on a substrate and dried as required, whereby a photosensitive film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resin P1 and the resin P2 and a photoinitiator is formed. When this photosensitive film is selectively exposed to a pattern corresponding to a hole or groove to be formed, a radical or an acid is generated from the photo initiator in the exposed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film, and the crosslinking group is crosslinked (cured) by the action.

수지 P1 및 수지 P2 를 구성하는 중합체가 단위 u3 을 가지지 않는 경우, 또는 단위 u3 을 가지고 있어도 광 개시제가 광산 발생제가 아닌 경우에는, 가교기의 가교에 의해, 노광부의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한다. 한편, 미노광부에서는,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은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노광 후의 감광성 막을 현상액에 의해 현상하면, 미노광부는 현상액에 용해되어 제거되고, 한편 노광부는 제거되지 않고 남는다. 이로써, 미노광부의 위치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 또는 홈이 형성된 도막 (경화막) 이 형성되고, 기재와, 그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도막을 갖는 적층체가 얻어진다.When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resin P1 and the resin P2 does not have the unit u3, or when the photoinitiator is not the photoacid generator even with the unit u3, the solubility of the exposed portion in the developer is lowered by crosslinking of the crosslinking agent. On the other hand, in the unexposed portion, the solubility in the developer does not substantially change. Therefore, when the exposed photosensitive film is developed with a developing solution, the unexposed portion is dissolved and removed in the developing solution, and the exposed portion remains without being removed. As a result, a laminate having a base film and a coating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is obtained, in which a coating film (cured film) having holes or groove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unexposed portion.

수지 P1 및 수지 P2 를 구성하는 중합체 중 적어도 일종이 단위 u3 을 갖고, 광 개시제가 광산 발생제인 경우에는, 상기 노광 시 노광부에 있어서 광산 발생제로부터 발생한 산의 작용에 의해 산해리성기가 해리하고, 카르복시기 등의 알칼리 가용성기가 생성된다. 이로써, 노광부의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높아진다. 한편, 미노광부에서는,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은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노광 후의 감광성 막을 알칼리 현상액에 의해 현상하면, 노광부는 알칼리 현상액에 용해되어 제거되고, 한편 미노광부는 제거되지 않고 남는다. 이로써, 노광부의 위치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 또는 홈이 형성된 도막 (경화막) 이 형성되고, 기재와, 그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도막을 갖는 적층체가 얻어진다.When at least one of the polymers constituting the resin P1 and the resin P2 has the unit u3 and the photoinitiator is a photoacid generator, the acid dissociable group is dissociated by the action of an acid generated from the photoacid generator in the exposure unit upon exposure, An alkali-soluble group such as a carboxyl group is produced. As a result, the solubility of the exposed portion in the alkali developing solution is enhanced. On the other hand, in the unexposed portion, the solubility in an alkali developing solution does not substantially change. Therefore, when the exposed photosensitive film is developed with an alkali developing solution, the exposed portion is dissolved and removed in the alkaline developer, and the unexposed portion remains without being removed. Thus, a laminate having a base film and a coating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is obtained, in which a coating film (cured film) having holes or groove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exposure section.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기재 상에, 본 조성물을 도포하여 감광성 막을 형성하고, 상기 감광성 막을 노광하고, 도막을 형성한다. 이로써,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적층된 도막을 갖는 적층체가 얻어진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is applied onto a substrate to form a photosensitive film, and the photosensitive film is exposed to form a coated film. Thereby, a laminate having a base material and a coating film laminated on the base material is obtained.

기재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종 유리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등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내열성의 점에서 유리판, 특히 석영 유리판이 바람직하다.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various glass plates, thermoplastic plastic sheets such as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and polystyrene. In view of heat resistance, a glass plate, particularly a quartz glass plate, is preferable.

본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프레이법, 롤 코트법, 스핀 코트법, 바 도포법 등을 들 수 있다.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spray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 spin coat method, and a bar coating method.

본 조성물이 용제를 포함하는 경우, 본 조성물을 도포하여 얻어진 습윤 도막은 베이크 (이하, 프리베이크라고도 한다.)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베이크함으로써, 신속하게 용제가 휘발하고, 유동성이 없는 건조 도막 (감광성 막) 이 얻어진다. When the composition contains a solvent, the wet coating film obtained by applying the composition is preferably baked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prebake). By pre-baking, the solvent volatilizes quickly and a dry film (photosensitive film) having no fluidity is obtained.

프리베이크 조건은, 각 성분의 종류, 배합 비율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바람직하게는 50 ∼ 120 ℃, 10 ∼ 2000 초간 정도이다. The prebake cond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kind of each component, blending ratio, and the like, but is preferably about 50 to 120 DEG C for about 10 to 2000 seconds.

건조 도막의 막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1 ∼ 20 ㎛ 가 바람직하고, 0.5 ∼ 1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dry coating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1 to 20 占 퐉, more preferably 0.5 to 10.0 占 퐉.

노광은, 건조 도막의 전체면을 노광하는 전체면 노광이어도 되고, 건조 도막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노광하는 선택적 노광이어도 된다.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 또는 홈이 형성된 도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형성하고자 하는 구멍 또는 홈에 대응한 패턴으로 선택적 노광을 실시한다. 예를 들어, 건조 도막에 소정 패턴의 마스크를 통하여 노광을 실시하면 된다.The exposure may be an entire surface exposure for expos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dried coating film or a selective exposure for selectively exposing a part of the dried coating film. In the case of forming a coating film in which holes or groove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formed, selective exposure is performed in a pattern corresponding to a hole or groove to be formed. For example, the dry film may be exposed through a mask of a predetermined pattern.

수지 P1 및 수지 P2 를 구성하는 중합체가 단위 u3 을 가지지 않는 경우, 또는 단위 u3 을 가지고 있어도 광 개시제가 광산 발생제가 아닌 경우에는, 구멍 또는 홈을 형성하는 부분은 노광하지 않고, 그 이외의 부분을 노광한다. 수지 P1 및 수지 P2 를 구성하는 중합체 중 적어도 일종이 단위 u3 을 갖고, 광 개시제가 광산 발생제인 경우에는, 구멍 또는 홈을 형성하는 부분을 노광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는 노광하지 않는다. When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resin P1 and the resin P2 does not have the unit u3 or when the photoinitiator is the photoacid generator even when the polymer has the unit u3, the hole or the groove forming part is not exposed and the other part Exposure. When at least one of the polymers constituting the resin P1 and the resin P2 has the unit u3 and the photoinitiator is a photoacid generator, the hole or groove forming portion is exposed, and the other portions are not exposed.

노광에 사용되는 광은, 파장 100 ∼ 500 nm 의 광선이고, 200 ∼ 450 nm 의 광선이 바람직하며, i 선 (365 nm) 이 특히 바람직하다. 조사 장치로는, 고압 수은등, (자외선) LED, 레이저 등을 광원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광량은 5 ∼ 2000 mJ/㎠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The light used for exposure is a light beam having a wavelength of 100 to 500 nm, preferably a light ray of 200 to 450 n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n i-ray (365 nm). As the irradiation device, it is preferable to use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n (ultraviolet) LED, a laser or the like as a light source. The exposure dos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2000 mJ / cm < 2 >.

노광 후, 필요에 따라 노광 후의 도막에 대해 가교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노광 후 베이크 (PEB)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PEB 처리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50 ∼ 150 ℃, 10 ∼ 2000 초간의 범위이다. After the exposure, a post-exposure baking (PEB)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to accelerate the crosslinking reaction on the coated film after exposure, if necessary. The PEB treatment conditions a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 to 150 DEG C for 10 to 2000 seconds.

노광 후 또는 PEB 처리 후, 필요에 따라 노광된 건조 도막을 현상한다. 현상은, 현상액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After the exposure or after the PEB treatment, the exposed dried coating film is developed as necessary. The development can be carried out using a developer.

현상액이 용제를 포함하는 용제계 현상액인 경우, 현상에 의해 미노광부가 용해 제거된다. When the developer is a solvent-based developer containing a solvent, the unexposed portion is dissolved and removed by development.

현상액이 알칼리 현상액이고, 수지 P1 및 수지 P2 를 구성하는 중합체 중 적어도 일종이 단위 u3 을 갖고, 광 개시제가 광산 발생제인 경우에는, 현상에 의해 노광부가 용해 제거된다.When at least one of the polymers constituting the resin P1 and the resin P2 has the unit u3 and the photo initiator is a photoacid generator, the exposed portion is dissolved and removed by development.

용제계 현상액에 사용되는 용제로는, 미노광부를 선택적으로 용해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상기에서 예시한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The solvent used in the solvent-based developer may be any solvent capable of selectively dissolving the unexposed portion. For example, the solvent exemplified above may be used.

알칼리 현상액 (알칼리 수용액) 의 알칼리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탄산염,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중탄산염,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콜린하이드록사이드 등의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규산나트륨, 메타규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 수용액의 pH 는, 10 ∼ 14 가 바람직하다. 알칼리 수용액은, 수용성 유기 용매 (메탄올, 에탄올 등), 계면 활성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계면 활성제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alkali of the alkali developing solution (alkali aqueous solution) include alkali metal hydroxides such as lithium hydroxide, sodium hydroxide and potassium hydroxide; alkali metal carbonates such as sodium carbonate and potassium carbonate; alkali metal bicarbonates such as sodium bicarbonate and potassium bicarbonate; Ammonium hydroxides such as methyl ammonium hydroxide, tetraethyl ammonium hydroxide and choline hydroxide, sodium silicate, sodium metasilicate and the like. The pH of the aqueous alkali solution is preferably 10 to 14. The alkaline aqueous solution may contain a water-soluble organic solvent (methanol, ethanol, etc.), a surfactant,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surfactant include nonionic surfactants.

현상 방법으로는, 퍼들법, 딥핑법, 샤워법 등을 들 수 있다. 현상 시간은 5 ∼ 180 초간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developing method include a puddle method, a dipping method, and a shower method. The developing time is preferably 5 to 180 seconds.

현상 후, 기재 상의 도막에 대해, 그 도막을 용해하지 않는 용제, 물 등을 사용하여 세정 (린스) 을 실시해도 된다.After development, the coating film on the substrate may be rinsed (rinsed) using a solvent, water or the like which does not dissolve the coating film.

현상 후 또는 린스 후에는, 도막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development or after the rinsing, it is preferable to dry the coating film.

그 후, 가교를 촉진하기 위해서, 도막에 대해 노광 (포스트 노광) 및 가열 처리 (큐어) 를 실시해도 된다. 노광은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가열 처리는, 핫 플레이트, 오븐 등의 가열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가열 처리의 조건은, 120 ∼ 250 ℃, 5 ∼ 90 분간이 바람직하다.Thereafter, the coating film may be subjected to exposure (post exposure) and heat treatment (cure) in order to promote crosslinking. The exposure can b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heat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using a heating apparatus such as a hot plate or an oven. The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120 to 250 ° C for 5 to 90 minutes.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도막 (경화막) 은, 함불소 유기기를 포함하므로, 발액성 막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 이 도막은, 도포 불균일이 억제된 것이다.The coating film (cured film) obtained as described above contains a fluorinated organic group and can thus function as a liquid-repelling film. Further, the coating film is suppressed from uneven application.

도포 불균일의 지표로서, 박막 계측용의 촉침식 단차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멍이나 홈 이외의 부분의 막표면이 단차가 없고 평탄한 도막을 얻을 수 있다. As an index of coating unevenness, a touch-sensitive step system for measuring thin films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flat coating film having no step on the film surface of the portion other than the hole or groove.

도막의 불소 함량 (막 중의 불소 원자 함유량) 은, 15 ∼ 75 질량% 가 바람직하고, 15 ∼ 6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불소 함량이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이면, 발액성이 보다 우수하다. 불소 함량이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이면, 도막의 형성 시에, 현상액으로 용해 제거하는 부분의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양호하다. The fluorine content (fluorine atom content in the film) of the coating film is preferably from 15 to 75% by mass, and more preferably from 15 to 60% by mass. If the fluorine content is at least the lower limit of the above range, the liquid repellency is more excellent. When the content of fluorine is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of the above range, the solubility of the portion to be dissolved and removed by the developing solution in the developing solution at the time of forming the coating film is good.

도막의 불소 함량은, 중합체 A, B 의 불소 함량, 감광성 조성물 중의 중합체 A, B 의 비율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The fluorine content of the coating film can be adjusted by the fluorine content of the polymers A and B, the ratio of the polymers A and B in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the like.

도막의 불소 함량은, 중합체 A, B 의 불소 함량, 도막 중의 중합체 A, B 의 비율 등으로부터 산출된다. 중합체 A, B 의 불소 함량은, 단위 u1 의 함유 비율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The fluorine content of the coating film is calculated from the fluorine content of the polymers A and B, the ratio of the polymers A and B in the coating film, and the like. The fluorine content of the polymers A and B can be adjusted by the content ratio of the unit u1 and the like.

중합체 A, B 각각의 불소 함량은, 중합체 중의 불소 원자의 비율 (질량%) 이고, 하기 식으로 구해진다. The fluorine content of each of the polymers A and B is the proportion (% by mass) of fluorine atoms in the polymer, and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QF = [19 × NF/MA] × 100 Q F = [19 x N F / M A ] x 100

단, QF 는, 불소 함량이고, NF 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위의 종류마다, 단위의 불소 원자수와, 전체 단위에 대한 당해 단위의 몰비율을 곱한 값의 총합이고, MA 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위의 종류마다, 단위를 구성하는 모든 원자의 원자량의 합계와, 전체 단위에 대한 당해 단위의 몰비율을 곱한 값의 총합이다. However, Q F is a fluorine content, N F is, for each type of the units constituting the polymer, the number of fluorine atoms of the units and, the sum of the product of the molar ratio of such units for the entire unit, M A is, The sum of the atomic weights of all the atoms constituting the unit and the molar ratio of the unit to the whole unit multiplied by the total of the units constituting the polymer.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도막은, 물의 접촉각이 90 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물의 접촉각이 95 도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물의 접촉각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발액성이 충분히 우수하다. 접촉각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접촉각은, 도막의 불소 함량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The finally obtained coating film preferably has a contact angle of water of 90 degrees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 contact angle of water of 95 degrees or more. If the contact angle of water is not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the liquid repellency is sufficiently excellent. The contact angle was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 The contact angle can be adjusted by the fluorine content of the coating film.

도막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 또는 홈을 갖는 것인 경우, 얻어진 적층체는, 예를 들어 바이오 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재로는, 친액성 기재가 바람직하다. 친액성 기재로는, 상기 서술한 각종 유리판, 열가소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친액성 기재로는, 물의 접촉각이 50 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where the coating film has holes or groove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obtained laminate can be used, for example, as a biochip. In this case, as the substrate, a lyophilic substrate is preferable. Examples of the lyophilic substrate include the above-mentioned various glass plates, thermoplastic plastic sheets and the like. As the lyophilic substr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angle of water is less than 50 degrees.

도막이 갖는 구멍 또는 홈은, 전형적으로는 복수이다. The holes or grooves of the coating film are typically plural.

바이오 칩이 형광 분석 바이오 칩인 경우, 상기 도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형광 강도가 15,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5,0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4,0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형광 강도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형광 분석용으로서 유용하다. When the biochip is a fluorescence analysis biochip, the coating film preferably has a fluorescence intensity of 15,000 or less, more preferably 10,000 or less, more preferably 5,000 or less, and a fluorescence intensity of 4,000 or less, as measured by the measuring method described in Examples described later Is particularly preferable. When the fluorescence intensity is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value, it is useful for fluorescence analysis.

형광 강도는, 광 개시제의 종류 및 함유량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The fluorescence intensity can be adjusted by the type and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형광 분석 바이오 칩을 사용한 형광 분석에서는, 형광 분석 바이오 칩에 광 선을 조사하고, 방출되는 형광을 측정한다. 형광 분석은, 형광 현미경 및 마이크로 어레이 스캐너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 광원으로는 레이저 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 파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광 색소를 여기하기 위해서, 450 nm ∼ 800 n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488 nm, 532 nm, 594 nm, 635 nm, 650 nm 의 파장이 바람직하다. 특히, 532 nm, 635 nm 의 파장이 바람직하다. 방출된 형광의 측정에는 광 배증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luorescence analysis In fluorescence analysis using a biochip, a fluorescence analysis biochip is irradiated with a light beam and the emitted fluorescence is measured. The fluorescence analysis is preferably carried out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and a microarray scanner. It is preferable to use laser light as the excitation light source. The excitation wavelength is preferably between 450 nm and 800 nm, and preferably at 488 nm, 532 nm, 594 nm, 635 nm and 650 nm in order to excite fluorescent dyes generally used. In particular, a wavelength of 532 nm and 635 nm is preferable. For the measurement of emitted fluorescence, it is preferable to use an optical double tub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는다. 「%」는, 특별히 규정이 없는 경우 「질량%」를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 Represents "% by mass" unless otherwise specified.

예 1, 8 ∼ 16, 19, 21, 23 ∼ 25 는 실시예이고, 다른 예는 비교예이다. Examples 1, 8 to 16, 19, 21, and 23 to 25 are examples, and the other examples are comparative examples.

〔원료 등〕 [Raw materials, etc.]

이하의 화합물을 원료 등으로서 사용하였다. The following compounds were used as raw materials and the like.

(단량체 a1) (Monomer a1)

C6FMA : 3,3,4,4,5,5,6,6,7,7,8,8,8-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메타크릴레이트. C6FMA 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59616호의 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었다.C6FMA: 3,3,4,4,5,5,6,6,7,7,8,8,8-tridecafluorooctyl methacrylate. C6FMA was obtain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1 of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4-359616.

(단량체 a2) (Monomer a2)

GMA :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토쿄 화성 공업사 제조). GMA: glycidyl methacrylate (manufactured by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단량체 a3) (Monomer a3)

EEMA : 1-에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EEMA: 1-ethoxyethyl methacrylate.

EEMA 는, 하기 순서로 합성하였다.EEMA was synthesized in the following sequence.

에틸비닐에테르 (토쿄 화성사 제조) 의 55.8 g 및 p-톨루엔술폰산피리디늄염 (ACROS 사 제조) 의 2.5 g 을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빙욕 중에서 30 분간 질소 치환하였다. 혼합물에 메타크릴산 (쥰세이 화학사 제조) 의 50.1 g 을 적하하고, 하룻밤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탄산수소나트륨 (칸토 화학사 제조) 의 0.8 g, 황산나트륨 (칸토 화학사 제조) 의 1.4 g 을 첨가하고, 고형분을 3 ㎛ 직경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이하, PTFE 라고도 기재한다.) 필터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증류 제거하였다. 남은 액체를 10 mmHg 로 감압 증류하고, 40 ℃ 에서 얻어진 액체를 분취하여, 1-에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EEMA) 를 얻었다. 55.8 g of ethyl vinyl ether (manufactured by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and 2.5 g of pyridinium p-toluenesulfonate (manufactured by ACROS Co., Ltd.) were mixed and purged with nitrogen in an ice bath for 30 minutes with stirring. 50.1 g of methacrylic acid (manufactured by Junsei Chemical Co., Ltd.) was added dropwise to the mixture, and the mixture was stirred overnight at room temperature. 0.8 g of sodium hydrogencarbonate (manufactured by Kanto Chemical Co.) and 1.4 g of sodium sulfate (manufactured by Kanto Chemical Co., Ltd.) were added to the reaction solution, and the solid content was filtered with polytetrafluoroethylen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PTFE) filter having a diameter of 3 탆 Filtered, and the filtrate was distilled off under reduced pressure. The remaining liquid was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to 10 mmHg, and the liquid obtained at 40 占 폚 was collected to obtain 1-ethoxyethyl methacrylate (EEMA).

EEMA 의 1H-NMR (300.4 MHz, 용매 : d-아세톤, 기준 : 테트라메틸실란 (TMS)) δ (ppm) : 1.1 (t, 3H), 1.4 (d, 3H), 1.9 (s, 3H), 3.5 ∼ 3.7 (m, 2H), 5.6 (s, 1H), 5.9 (q, 1H), 6.1 (s, 1H). Of EEMA 1 H-NMR (300.4 MHz , solvent: d- acetone, standard: tetramethylsilane (TMS)) δ (ppm) : 1.1 (t, 3H), 1.4 (d, 3H), 1.9 (s, 3H) , 3.5-3.7 (m, 2H), 5.6 (s, IH), 5.9 (q, IH), 6.1 (s, IH).

(용제, 중합용 용매) (Solvent, polymerization solvent)

PGMEA :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중합 개시제) (Polymerization initiator)

V65 :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와코 준야쿠 공업사 제조). V65: 2,2'-azobis (2,4-dimethylvaleronitrile)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연쇄 이동제) (Chain transfer agent)

j-1 : 티오글리세롤 (토쿄 화성 공업사 제조).j-1: thioglycerol (manufactured by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j-2 : 도데칸티올 (칸토 화학사 제조). j-2: Dodecanethiol (manufactured by Kanto Chemical).

j-3 : 옥타데칸티올 (토쿄 화성 공업사 제조).j-3: Octadecanethiol (manufactured by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j-4 : 메르캅토에탄올 (토쿄 화성 공업사 제조). j-4: Mercaptoethanol (manufactured by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j-5 : 2-에틸헥산티올 (토쿄 화성 공업사 제조).j-5: 2-ethylhexanethiol (manufactured by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j-6 : 시클로헥산티올 (토쿄 화성 공업사 제조).j-6: Cyclohexanethiol (manufactured by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j-7 : 푸르푸릴메르캅탄 (토쿄 화성 공업사 제조).j-7: Furfuryl mercaptan (manufactured by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j-8 : 벤질티올 (토쿄 화성 공업사 제조). j-8: Benzylthiol (manufactured by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광산 발생제 (이하, 「PAG」라고도 기재한다.) )(Photoacid generato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PAG "))

CPI210S : 4-(페닐티오)페닐디페닐술포늄트리스(헵타플루오로프로필)트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산아프로사 제조, CPI (상품명)-210S, 파장 365 nm 에 있어서의 흡광 계수 : 98 mL·g-1·cm-1).CPI210S: CPI (trade name) -210S, manufactured by SANA PRO, wavelength: 365 nm, absorption: 98 mL · g -1 · cm -1 ).

IRPAG103 : 2-[2-(프로필술포닐옥시이미노)티오펜-3(2H)-일리덴]-2-(2-메틸페닐)아세토니트릴 (BASF 사 제조, IRGACURE (상품명) PAG103, 파장 365 nm 에 있어서의 흡광 계수 : 11,000 mL·g-1·cm-1).(IRGAGURE (trade name) PAG103, manufactured by BASF) at a wavelength of 365 nm,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3 hours. IRPAG103: 2- [2- (propylsulfonyloxyimino) thiophene- Lt; -1 > cm < -1 > cm -1 ).

〔물성 및 평가〕 [Property and evaluation]

(1H-NMR) ( 1 H-NMR)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은, FT-NMR 장치 (닛폰 전자사 제조, JNM-AL30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1 H-NMR spectrum of the compound was measured using an FT-NMR apparatus (JNM-AL300, manufactured by Nippon Electronics Co., Ltd.).

(질량 평균 분자량 : Mw)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Mw)

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고속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장치 (토소사 제조, HLC-8220) 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분자량이 이미 알려진 표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시료를 사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was determined from a chromatogram obtained by a high-spee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pparatus (Hosokawa, HLC-8220) using a calibration curve prepared using a standard polymethylmethacrylate sample whose molecular weight was already known Respectively.

(도포성) (Coating property)

6 인치 실리콘 웨이퍼 (미츠비시 매트리얼 트레이딩사 제조) 의 표면에 감광성 조성물을, 1,000 회전/분으로 30 초간 스핀 코트하여, 습윤 상태의 감광성 막을 형성하였다. 스핀 코트한 직후, 형성된 감광성 막에 대해, 육안으로 크레이터링에 의한 도포 불균일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도포 불균일이 없는 것을 ○ (양호), 적어도 일방에 도포 불균일이 있는 것을 × (불량) 로 하였다.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was spin-coated on the surface of a 6-inch silicon wafer (manufactured by Mitsubishi Matrix Trading Co., Ltd.) at 1,000 revolutions / minute for 30 seconds to form a photosensitive film in a wet state. Immediately after spin-coating, the formed photosensitive film was visually inspected for coating irregularity by cratering. (Good), and those having at least one coating unevenness were rated as poor (poor).

별도로, 6 인치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에 감광성 조성물의 액량 200 μL 를, No.1 의 바를 사용하여 바 코트하여, 습윤 상태의 감광성 막을 형성하였다. 바 코트한 직후, 형성된 감광성 막에 대해 육안으로 크레이터링에 의한 도포 불균일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포 불균일이 없는 것을 ○ (양호), 적어도 일방에 도포 불균일이 있는 것을 × (불량) 로 하였다. Separately, 200 μL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was bar-coated on the surface of a 6-inch silicon wafer using a bar No. 1 to form a photosensitive film in a wet state. Immediately after the bar coating, the formed photosensitive film was visually inspected for coating irregularity by cratering. Similarly to the above, those having no coating unevenness were evaluated as? (Good), and those having at least one coating unevenness were evaluated as? (Poor).

(해상도) (resolution)

SiO2 막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 (가로 세로 30 mm) 의 표면에 감광성 조성물을, 이하의 조건으로 30 초간 스핀 코트하고, 핫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100 ℃ 에서 300 초간 가열하여 두께 3 ㎛ 의 건조 상태의 감광성 막을 형성하였다.A photosensitive composition was spin-coated on the surface of a silicon substrate (30 mm square) on which an SiO 2 film was formed for 30 seconds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heated at 100 ° C for 300 seconds using a hot plate to form a photosensitive film having a dry thickness of 3 μm .

스핀 코트 조건 : 감광성 조성물에 사용한 중합체 PGMEA 용액의 용액 농도가 30 % 인 경우에는 1,000 회전/분, 그 용액 농도가 40 % 인 경우에는 2,000 회전/분.Spin coat conditions: 1,000 revolutions / minute when the solution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PGMEA solution used in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is 30%, 2,000 revolutions / minute when the solution concentration is 40%.

다음으로, 광원으로서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고, 포토마스크 (직경이 2 ㎛ 부터 10 ㎛ 까지 1 ㎛ 씩 변화시킨 원형의 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마스크) 를 통하여, 이하의 노광량이 되도록 i 선을 감광성 막에 조사 (노광) 하였다.Next, a high-pressure mercury lamp is used as a light source, and an i-line is irradiated through a photomask (a mask capable of forming a circular hole pattern whose diameter is changed from 2 mu m to 10 mu m by 1 mu m) (Exposed) to the photosensitive film.

노광량 : PAG 가 CPI210S 인 경우에는 300 mJ/㎠, PAG 가 IRPAG103 인 경우에는 100 mJ/㎠. Exposure dose: 300 mJ / cm 2 when PAG is CPI 210S and 100 mJ / cm 2 when PAG is IRPAG 103.

노광 후의 감광성 막에 대해, 이하의 현상액을 사용하여 5 ∼ 60 초간 현상을 실시하거나, 또는 이하의 현상액을 사용하여 샤워를 40 초간 실시하고, 그 후 순수를 사용하여 30 초간 린스를 실시하였다. 현상액 및 린스액을 제거하기 위해서, 2,000 회전/분으로 30 초간 스핀 드라이를 실시하였다. 그 후, 경화를 촉진하기 위해, 노광량이 100 mJ/㎠ 가 되도록 i 선을 조사 (포스트 노광) 하고, 핫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150 ℃ 에서 30 분간 가열 처리 (큐어) 하였다. 이로써, 홀 패턴을 갖는 발액성 막을 얻었다.The exposed photosensitive film was subjected to development for 5 to 60 seconds using the following developer, or for 40 seconds using the following developer, and then rinsed with pure water for 30 seconds. In order to remove the developing solution and the rinsing liquid, spin-drying was carried out at 2,000 rpm for 30 seconds. Thereafter, in order to promote curing, the i-line was irradiated (post exposure) so that the exposure amount was 100 mJ / cm 2 and heat treatment (curing) was performed at 150 캜 for 30 minutes using a hot plate. Thus, a liquid-repellent film having a hole pattern was obtained.

단, 중합체 A-1, 30, 31 을 사용한 경우에는, 현상 전에 120 ℃ 에서 120 초간 가열 처리 (Post Exposure Bake) 를 실시하였다.In the case of using Polymers A-1, 30, and 31, heat treatment (Post Exposure Bake) was performed at 120 占 폚 for 120 seconds before development.

현상액 : 중합체가 EEMA 단위 (단위 u3) 를 갖는 경우에는, NMD-W (토쿄 오카 공업사 제조, 2.38 질량% 의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 계면 활성제 함유) 를 이용하고, 중합체가 EEMA 단위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PGMEA를 사용하였다.Developer: When the polymer has an EEMA unit (unit u3), use is made of NMD-W (aqueous solution of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2.38 mass%, manufactured by Tokyo Ohka Kogyo Co., Ltd., containing surfactant) PGMEA was used.

얻어진 발액성 막을 현미경 (KEYENCE 사 제조, VHX DIGITAL MICROSCOPE) 으로 관찰하고, 홀이 개구한 최소의 홀 패턴 직경 (㎛) 을 측정하고, 그 값을 해상도로 하였다.The obtained liquid-repellent film was observed with a microscope (VHX DIGITAL MICROSCOPE, manufactured by KEYENCE), and the minimum hole pattern diameter (μm) in which the holes were opened was measured.

(물 접촉각) (Water contact angle)

석영 유리 기판 (25 mm × 50 mm) 의 표면에 감광성 조성물을, 1,000 회전/분으로 30 초간 스핀 코트하고, 핫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100 ℃ 에서 120 초간 가열하고, 이어서 150 ℃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두께 3 ㎛ 의 건조 상태의 감광성 막을 형성하였다. 감광성 막의 표면에 둔, 약 2 μL 의 증류수의 접촉각을, 접촉각 측정 장치 (쿄와 계면 과학사 제조, DM-701)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was spin-coated on the surface of a quartz glass substrate (25 mm x 50 mm) at 1,000 revolutions / minute for 30 seconds, heated at 100 占 폚 for 120 seconds using a hot plate, and then heated at 150 占 폚 for 30 minutes, Thereby forming a photosensitive film having a dry state of 3 占 퐉. The contact angle of about 2 μL of distilled water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film was measured using a contact angle measuring apparatus (DM-701, manufactured by Kyowa Interface Science Co., Ltd.).

(형광 강도) (Fluorescence intensity)

석영 유리 기판 (25 mm × 50 mm) 의 표면에 감광성 조성물을, 1,000 회전/분으로 30 초간 스핀 코트하고, 핫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100 ℃ 에서 120 초간 가열하여 두께 2 ㎛ 의 건조 상태의 감광성 막을 형성하였다. 광원으로서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고, 노광량이 500 mJ/㎠ 가 되도록 감광성 막을 노광하였다. 이어서, 핫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150 ℃ 에서 30 분간 포스트베이크를 실시하였다.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was spin-coated on the surface of a quartz glass substrate (25 mm x 50 mm) at 1,000 revolutions / minute for 30 seconds and heated at 100 占 폚 for 120 seconds using a hot plate to form a photosensitive film having a dry thickness of 2 占 퐉 Respectively. A high-pressure mercury lamp was used as a light source, and a photosensitive film was exposed so that the exposure amount was 500 mJ / cm 2. Subsequently, post-baking was performed at 150 캜 for 30 minutes using a hot plate.

포스트베이크 후의 감광성 막의 형광 강도를 마이크로 어레이 스캐너 (Molecular Devices 사 제조, GenePix4000B) 로 측정하였다 (여기 파장 532 nm, 해상도 5 ㎛, 레이저 출력 100 %, 포토멀티플라이어의 전압 1,000 V).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photosensitive film after post-baking was measured with a microarray scanner (GenePix4000B, manufactured by Molecular Devices) (excitation wavelength: 532 nm, resolution: 5 μm, laser output: 100%, voltage of the photomultiplier: 1,000 V).

〔제조예 A-7〕[Production Example A-7]

C6FMA 의 4.00 g, GMA 의 1.97 g, EEMA 의 3.66 g, 연쇄 이동제인 j-1 (티오글리세롤) 의 0.10 g, 및 V65 의 0.40 g 을 PGMEA 의 22.4 g 에 용해하고, 질소 치환한 후, 50 ℃ 에서 24 시간 진탕하였다. 그 후, 70 ℃ 로 승온하고 2 시간 진탕하였다. 얻어진 반응액을 구멍 직경 0.45 ㎛ 의 나일론 필터로 여과하여, 중합체 (A-7) 의 PGMEA 용액을 얻었다.4.00 g of C6FMA, 1.97 g of GMA, 3.66 g of EEMA, 0.10 g of a chain transfer agent j-1 (thioglycerol) and 0.40 g of V65 were dissolved in 22.4 g of PGMEA, For 24 hours. Thereafter,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70 캜 and shook for 2 hours. The obtained reaction solution was filtered with a nylon filter having a pore diameter of 0.45 mu m to obtain a PGMEA solution of the polymer (A-7).

중합체 (A-7) 중의 각 단위의 몰비 (공중합비), 중합에 사용한 연쇄 이동제의 종류와 사용량, 질량 평균 분자량 (Mw) 및 용액 농도를 표 1 에 나타낸다. 공중합비는, 2.5 ppm, 3.2 ppm, 4.3 ppm, 및 5.7 ppm 의 적분비로부터 구하였다. NMR 의 측정용 샘플은, 중합체의 PGMEA 용액의 20 배량의 헥산에 첨가하고, 석출된 고체를 구멍 직경 3 ㎛ 의 PTFE 필터로 여과하고 감압 건조시킨 것을 측정하였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중합에 사용한 단량체의 총몰수에 대한 비율 (몰%) 을 나타냈다. 용액 농도는 PGMEA 용액 중의 중합체의 농도 (질량%) 이다. Table 1 shows the molar ratio (copolymerization ratio) of each unit in the polymer (A-7), the kind and amount of the chain transfer agent used in the polymerization, the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the solution concentration. The copolymerization ratios were obtained from the integrating ratios of 2.5 ppm, 3.2 ppm, 4.3 ppm, and 5.7 ppm. The sample for NMR measurement was added to hexane of 20 times the amount of the PGMEA solution of the polymer, and the precipitated solid was filtered with a PTFE filter having a pore diameter of 3 占 퐉 and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The amount of the chain transfer agent used was expressed as a ratio (mol%) to the total number of moles of the monomers used in the polymerization. The solution concentration is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 by mass) in the PGMEA solution.

중합체 (A-7) 의 1H-NMR (300.4 MHz, 용매 : d-아세톤, 기준 : TMS) δ(ppm) : 1.4 ∼ 1.9 (m, 14H), 2.5 (br, 0.02H), 2.7 (br, 1.1H), 2.8 ppm (br, 1.9H), 3.2 (br, 0.5H), 3.6 (br, 1.0H), 3.8 (br, 1.7H), 4.3 (br, 1.4H), 5.7 (br, 1H).Polymer (A-7) 1 H- NMR of (300.4 MHz, solvent: acetone d-, standard: TMS) δ (ppm): 1.4 ~ 1.9 (m, 14H), 2.5 (br, 0.02H), 2.7 (br , 1.8 (br, 1H), 2.8 ppm (br, 1.9H), 3.2 (br, 0.5H) 1H).

2.5 (br, 0.02H) 가, 티오글리세롤 유래의 말단기의 피크에 상당한다. 이 측정 결과로부터, 중합체가 말단기 J 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5 (br, 0.02H) corresponds to the peak of the terminal group derived from thioglycerol. From the measurement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ymer had the terminal group J.

〔제조예 A-1 ∼ A-6, A-8 ∼ A-32〕[Production Examples A-1 to A-6, A-8 to A-32]

연쇄 이동제의 종류 및 사용량, 공중합하는 단량체의 종류 및 공중합비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A-7 과 동일하게 하여, 중합체 (A-1) ∼ (A-6), (A-8) ∼ (A-32) 각각의 PGMEA 용액을 얻었다. (A-1) to (A-6) and (A-6)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A-7, except that the types and amounts of the chain transfer agent, the kind of copolymerizable monomer and the copolymerization ratio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1. [ -8) to (A-32).

〔예 1〕 [Example 1]

중합체 (A-1) 의 PGMEA 용액의 중합체 환산량으로 3.0 g 을 구멍 직경 0.50 ㎛ 의 PTFE 필터로 여과한 후, CPI210S 의 0.3 g 과 함께 유리 바이알 (20 mL) 에 넣고, 충분히 교반하여, 감광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3.0 g of the PGMEA solution of the polymer (A-1) was filtered with a PTFE filter having a pore size of 0.50 占 퐉 and then poured into a glass vial (20 ml) together with 0.3 g of CPI210S and sufficiently stirred to obta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Was prepared.

얻어진 감광성 조성물에 대해, 도포성, 해상도, 물 접촉각, 형광 강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The result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 was evaluated for coatability, resolution, water contact angle and fluorescence intensit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예 2 ∼ 29, 31, 32〕 [Examples 2 to 29, 31, 32]

중합체의 종류 또는 PAG 의 종류를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예 2 ∼ 29, 31, 32 의 감광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Photosensitive compositions of Examples 2 to 29, 31, and 32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kind of polymer or the kind of PAG was changed as shown in Table 2.

〔예 30〕[Example 30]

중합체 (A-28) 의 반응액과 중합체 (A-29) 의 반응액을, 각각 3.0 g, 7.0 g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감광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A photosensit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3.0 g and 7.0 g of the reaction liquid of the polymer (A-28) and the reaction liquid of the polymer (A-29) were mixed, respectively.

〔예 33〕[Example 33]

중합체 (A-30) 의 반응액과 중합체 (A-32) 의 반응액을, 각각 1.0 g, 9.0 g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감광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0 g and 9.0 g of the reaction liquid of the polymer (A-30) and the reaction liquid of the polymer (A-32) were mixed, respectively.

얻어진 감광성 조성물에 대해, 도포성, 해상도, 물 접촉각, 형광 강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The result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 was evaluated for coatability, resolution, water contact angle and fluorescence intensit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연쇄 이동제 j 에 상당하는 연쇄 이동제 (j-1, j-5 ∼ j-8) 를 사용하여 얻은 중합체를 포함하는 예 1, 8 ∼ 16, 19, 21, 23 ∼ 31, 33 에서는, 도포 불균일이 없는 발액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었다. 또,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한 패터닝도 가능하였다. 또, 형광 강도가 충분히 낮아, 형광 분석용으로서 사용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In Examples 1, 8 to 16, 19, 21, 23 to 31, and 33 including the polymer obtained by using the chain transfer agent (j-1, j-5 to j-8) corresponding to the chain transfer agent j, A coating film excellent in lyophobic property could be formed. In addition, patterning by photolithography was also possible. Fur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fluorescence intensity was sufficiently low and could be used for fluorescence analysis.

연쇄 이동제 j 이외의 연쇄 이동제 (j-2 ∼ j-4) 를 사용하여 얻은, 질량 평균 분자량이 6,000 ∼ 20,000 인 중합체를 포함하는 예 2 ∼ 7, 17, 18, 20, 22, 32 에서는, 도막에 도포 불균일이 있었다. In Examples 2 to 7, 17, 18, 20, 22, and 32, in which the polymer obtained by using the chain transfer agent (j-2 to j-4) other than the chain transfer agent j and having a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of 6,000 to 20,000, There was uneven application.

중합체가 단위 u1 을 가지지 않는 예 24 ∼ 27 에서는, 도포 불균일은 없었지만, 도막의 발액성이 열등하였다. In Examples 24 to 27 in which the polymer does not have a unit u1, there was no coating unevenness, but the liquid repellency of the coating film was inferior.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감광성 조성물은, 패터닝된 발액성 막을 갖는 부재 또는 장치, 예를 들어 패터닝된 발액성 막을 갖는 바이오 칩, 패터닝된 발액성 뱅크재를 갖는 화소 형성용 기판, 패터닝된 발액성 절연막을 갖는 일렉트로웨팅 장치 등의 제조에 유용하다.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ember or apparatus having a patterned liquid repellent film, for example, a biochip having a patterned liquid repellent film, a substrate for forming a pixel having a patterned liquid repellent bank material, Wetting apparatuses and the like.

또한, 2016년 07월 0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6-136414호, 2016년 07월 0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6-136415호 및 2017년 04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7-090779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 범위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 명세서의 개시로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6-136414 filed on Jul. 08, 201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6-136415 filed on Jul. 08, 2016,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 The entir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of 090779, the claims and the abstract are hereby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s the disclosure of the specification.

Claims (14)

하기 수지 P1 및 하기 수지 P2 중 적어도 일방과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수지 P1 :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를 갖는 단위인 단위 u1 과, 가교기를 갖는 단위인 단위 u2 와, 하기 식 1, 하기 식 2 및 하기 식 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말단기를 갖는 중합체인 중합체 A 로 이루어지는 수지.
수지 P2 : 상기 단위 u1 을 갖고, 상기 단위 u2 를 가지지 않는 중합체인 중합체 B 와, 상기 단위 u2 를 갖고, 상기 단위 u1 을 가지지 않는 중합체인 중합체 C 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합체 B 및 상기 중합체 C 중 적어도 일방이, 상기 식 1, 상기 식 2 및 상기 식 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말단기를 갖는 중합체인, 수지.
-X1-C(R1)(R2)(R3) ···1
-X2-R4 ···2
-X3-N(R5)(R6) ···3
단, R1 ∼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옥소기 혹은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1 ∼ R3 중 적어도 2 개는 수소 원자 이외의 원자 또는 기이고,
R4 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옥소기 혹은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
X1 ∼ X3 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S-, -S-R7-, -R8-, -O-R9- 또는 -O- 를 나타내고, R7,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0 의 직사슬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And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resins P1 and P2 and a photoinitiator.
Resin P1: a polymer having a terminal group u1 which is a unit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a unit u2 which is a unit having a crosslinking group, and a terminal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 2 and 3: A resin.
Resin P2: a polymer B which has the unit u1 and does not have the unit u2, and a polymer C which has the unit u2 and does not have the unit u1, and at least 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Is a polymer having a terminal group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rmulas (1), (2) and (3).
-X 1 -C (R 1 ) (R 2 ) (R 3 )
-X 2 -R 4 ... 2
-X 3 -N (R 5) ( R 6) ··· 3
R 1 to R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a hydroxyl group, a halogen atom, an amino group, or a hydrogen atom, which may have an ether group, Atoms, at least two of R 1 to R 3 are atoms or groups other than hydrogen atoms,
R 4 represents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R 5 and R 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or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 hydroxyl group, an oxo group or an etheric oxygen atom,
X 1 to X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single bond, -S-, -SR 7 -, -R 8 -, -OR 9 - or -O-, R 7 , R 8 and R 9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arbon number Represents a linear alkylene group of 1 to 40 carbon ato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A, 상기 중합체 B 및 상기 중합체 C 가, 각각 질량 평균 분자량이 6,000 ∼ 20,000 인, 감광성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A, 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each have a mass average molecular weight of 6,000 to 20,00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가 광산 발생제이고,
상기 중합체 A 가, 산해리성기로 보호된 알칼리 가용성기를 갖는 단위인 단위 u3 을 추가로 갖는, 감광성 조성물.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hotoinitiator is a photoacid generator,
Wherein the polymer A further has a unit u3 which is a unit having an alkali-soluble group protected with an acid-dissociable group.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가 광산 발생제이고,
상기 중합체 B 및 상기 중합체 C 중 적어도 일방이, 산해리성기로 보호된 알칼리 가용성기를 갖는 단위인 단위 u3 을 추가로 갖는, 감광성 조성물.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hotoinitiator is a photoacid generato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further has a unit u3 which is a unit having an alkali-soluble group protected with an acid-dissociable group.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A, 상기 중합체 B 및 상기 중합체 C 중 어느 1 이상이, 상기 단위 u1, 상기 단위 u2 및 산해리성기로 보호된 알칼리 가용성기를 갖는 단위인 단위 u3 이외의 단위인 단위 u4 를 추가로 갖는, 감광성 조성물.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olymer A, the polymer B and the polymer C further has a unit u4 which is a unit other than the unit u3 in which the unit u1, the unit u2 and the alkali-soluble group protected with an acid-dissociable group are protected, Com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P1 및 상기 수지 P2 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감광성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10 ∼ 70 질량% 인, 감광성 조성물.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total content of the resin P1 and the resin P2 is 10 to 70 mass% with respect to the total mass of the photosensitive composition.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1 과, 가교기 (단,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제외한다) 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하기 식 11, 하기 식 12 및 하기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를 얻는, 중합체의 제조 방법.
Z1-X1-C(R1)(R2)(R3) ···11
Z2-X2-R4 ···12
Z3-X3-N(R5)(R6) ···13
단, R1 ∼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옥소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1 ∼ R3 중 적어도 2 개는 수소 원자 이외의 원자 또는 기이고,
R4 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옥소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
X1 ∼ X3 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S-, -S-R7-, -R8-, -O-R9- 또는 -O- 를 나타내고, R7,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0 의 직사슬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Z1 ∼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monomer a1 as a monomer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and a monomer a2 as a monomer having a crosslinking group (excluding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In the presence of a chain transfer ag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formulas (12) and (13) to obtain a polymer.
Z 1 -X 1 -C (R 1 ) (R 2 ) (R 3 )
Z 2 -X 2 -R 4 ... 12
Z 3 -X 3 -N (R 5 ) (R 6) ··· 13
R 1 to R 3 each independently may have a hydroxyl group or an oxo group, a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n etheric oxygen atom,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a hydroxyl group, a halogen atom , An amino group or a hydrogen atom, at least two of R 1 to R 3 are atoms or groups other than hydrogen atoms,
R 4 represents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R 5 and R 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or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 hydroxyl group or an oxo group and may have an etheric oxygen atom,
X 1 to X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single bond, -S-, -SR 7 -, -R 8 -, -OR 9 - or -O-, R 7 , R 8 and R 9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arbon number A straight chain alkylene group having 1 to 40 carbon atoms,
Z 1 to Z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halogen atom.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1 과, 반응 부위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하기 식 11, 하기 식 12 및 하기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를 얻은 후, 그 중합체에, 상기 반응 부위와 결합할 수 있는 반응성 관능기와 가교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가교기를 갖는 단위인 단위 u2 를 갖는 중합체로 하는, 중합체의 제조 방법.
Z1-X1-C(R1)(R2)(R3) ···11
Z2-X2-R4 ···12
Z3-X3-N(R5)(R6) ···13
단, R1 ∼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옥소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 수산기,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1 ∼ R3 중 적어도 2 개는 수소 원자 이외의 원자 또는 기이고,
R4 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옥소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에테르성 산소 원자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40 이하의 사슬형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40 이하의 고리형 기를 나타내고,
X1 ∼ X3 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S-, -S-R7-, -R8-, -O-R9- 또는 -O- 를 나타내고, R7,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0 의 직사슬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Z1 ∼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A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a monomer a1 which is a monomer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and a monomer a2 'which is a monomer having a reaction site is reacted with a chain transfer ag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1, 12 and 13 To obtain a polymer and then reacting the polymer with a compound hav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 capable of binding with the reaction site and a crosslinking group to obtain a polymer having a unit u2 which is a unit having a crosslinking group.
Z 1 -X 1 -C (R 1 ) (R 2 ) (R 3 )
Z 2 -X 2 -R 4 ... 12
Z 3 -X 3 -N (R 5 ) (R 6) ··· 13
R 1 to R 3 each independently may have a hydroxyl group or an oxo group, a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n etheric oxygen atom,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a hydroxyl group, a halogen atom , An amino group or a hydrogen atom, at least two of R 1 to R 3 are atoms or groups other than hydrogen atoms,
R 4 represents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R 5 and R 6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hain hydrocarbon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or a cyclic group having 40 or less carbon atoms which may have a hydroxyl group or an oxo group and may have an etheric oxygen atom,
X 1 to X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single bond, -S-, -SR 7 -, -R 8 -, -OR 9 - or -O-, R 7 , R 8 and R 9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carbon number A straight chain alkylene group having 1 to 40 carbon atoms,
Z 1 to Z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halogen atom.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1 과, 가교기 (단,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제외한다) 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하기 식 11, 하기 식 12 및 하기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A 를 제조하고,
적어도 상기 중합체 A 와 광 개시제를 혼합하여 감광성 조성물을 얻는,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Z1-X1-C(R1)(R2)(R3) ···11
Z2-X2-R4 ···12
Z3-X3-N(R5)(R6) ···13
단, R1 ∼ R6, X1 ∼ X3 은 각각 상기와 동의이고,
Z1 ∼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A process for produc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monomer a1 as a monomer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and a monomer a2 as a monomer having a crosslinking group (excluding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Polymer A is prepared by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a chain transfer ag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formulas 12 and 13,
Wherein at least the polymer A and the photoinitiator are mixed to obta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Z 1 -X 1 -C (R 1 ) (R 2 ) (R 3 )
Z 2 -X 2 -R 4 ... 12
Z 3 -X 3 -N (R 5 ) (R 6) ··· 13
Provided that R 1 to R 6 and X 1 to X 3 are each as defined above,
Z 1 to Z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halogen atom.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1 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하기 식 11, 하기 식 12 및 하기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B 를 얻고,
가교기 (단,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제외한다) 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상기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C 를 얻고,
적어도 상기 중합체 B 와 상기 중합체 C 와 광 개시제를 혼합하여 감광성 조성물을 얻는,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Z1-X1-C(R1)(R2)(R3) ···11
Z2-X2-R4 ···12
Z3-X3-N(R5)(R6) ···13
단, R1 ∼ R6, X1 ∼ X3 은 각각 상기와 동의이고,
Z1 ∼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A process for produc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monomer a1 which is a monomer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a chain transfer ag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1, 12 and 13 to obtain a polymer B,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monomer a2 which is a monomer having a crosslinking group (excluding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the chain transfer agent to obtain a polymer C,
Wherein at least the polymer B, the polymer C and the photoinitiator are mixed to obta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Z 1 -X 1 -C (R 1 ) (R 2 ) (R 3 )
Z 2 -X 2 -R 4 ... 12
Z 3 -X 3 -N (R 5 ) (R 6) ··· 13
Provided that R 1 to R 6 and X 1 to X 3 are each as defined above,
Z 1 to Z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halogen atom.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불소 원자를 1 개 이상 갖는 유기기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1 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하기 식 11, 하기 식 12 및 하기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B 를 얻고,
적어도 상기 중합체 B 와 상기 중합체 C 와 광 개시제를 혼합하여 감광성 조성물을 얻는,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Z1-X1-C(R1)(R2)(R3) ···11
Z2-X2-R4 ···12
Z3-X3-N(R5)(R6) ···13
단, R1 ∼ R6, X1 ∼ X3 은 각각 상기와 동의이고,
Z1 ∼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A process for produc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monomer a1 which is a monomer having an organic group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a chain transfer ag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1, 12 and 13 to obtain a polymer B,
Wherein at least the polymer B, the polymer C and the photoinitiator are mixed to obta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Z 1 -X 1 -C (R 1 ) (R 2 ) (R 3 )
Z 2 -X 2 -R 4 ... 12
Z 3 -X 3 -N (R 5 ) (R 6) ··· 13
Provided that R 1 to R 6 and X 1 to X 3 are each as defined above,
Z 1 to Z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halogen atom.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가교기 (단,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제외한다) 를 갖는 단량체인 단량체 a2 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하기 식 11, 하기 식 12 및 하기 식 13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연쇄 이동제의 존재하에 중합시켜 중합체 C 를 얻고,
적어도 상기 중합체 C 와 상기 중합체 B 와 광 개시제를 혼합하여 감광성 조성물을 얻는, 감광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Z1-X1-C(R1)(R2)(R3) ···11
Z2-X2-R4 ···12
Z3-X3-N(R5)(R6) ···13
단, R1 ∼ R6, X1 ∼ X3 은 각각 상기와 동의이고,
Z1 ∼ Z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A process for producing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a monomer a2 which is a monomer having a crosslinking group (excluding a group containing an ethylenic double bond)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a chain transfer agent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1, 12 and 13: To obtain a polymer C,
And at least the polymer C, the polymer B and the photoinitiator are mixed to obtain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Z 1 -X 1 -C (R 1 ) (R 2 ) (R 3 )
Z 2 -X 2 -R 4 ... 12
Z 3 -X 3 -N (R 5 ) (R 6) ··· 13
Provided that R 1 to R 6 and X 1 to X 3 are each as defined above,
Z 1 to Z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 halogen atom.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적층된 도막을 갖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재 상에,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광성 조성물을 도포하여 감광성 막을 형성하고, 상기 감광성 막을 노광하고, 도막을 형성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having a base material and a coating film laminated on the base material,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ich is applied on a substrate to form a photosensitive film, and the photosensitive film is exposed to form a coated film.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 또는 홈을 갖고,
상기 감광성 막의 노광을, 상기 구멍 또는 홈에 대응한 패턴으로 실시하고, 노광 후에 상기 감광성 막을 현상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ating film has a hole or groov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rein the exposure of the photosensitive film is performed in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hole or groove and the photosensitive film is developed after exposure.
KR1020187033585A 2016-07-08 2017-07-03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method for produc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KR2019002864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6414 2016-07-08
JPJP-P-2016-136415 2016-07-08
JP2016136415 2016-07-08
JP2016136414 2016-07-08
JP2017090779 2017-04-28
JPJP-P-2017-090779 2017-04-28
PCT/JP2017/024403 WO2018008610A1 (en) 2016-07-08 2017-07-03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method for produc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646A true KR20190028646A (en) 2019-03-19

Family

ID=6091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585A KR20190028646A (en) 2016-07-08 2017-07-03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method for produc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8008610A1 (en)
KR (1) KR20190028646A (en)
CN (1) CN109415467A (en)
TW (1) TW201821456A (en)
WO (1) WO201800861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8681A1 (en) * 2019-03-18 2020-09-24 株式会社ニコン Exposure system, exposure device, and exposure method
CN114276239B (en) * 2021-12-29 2023-10-27 徐州博康信息化学品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ketal structure-containing acid-sensitive photoresist resin monom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84A (en) 1978-07-24 1980-02-05 Tokyo Inst Of Technol Band semiconductor las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6211A (en) * 1986-09-05 1988-03-24 Sunstar Giken Kk Dihydroxyl group-containing condensible macromonomer
JPH06157983A (en) * 1992-11-19 1994-06-07 Nissan Motor Co Ltd Resin composition for coating
WO2005049667A1 (en) * 2003-11-21 2005-06-02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Fluorine-containing photocuring composition
KR101912158B1 (en) * 2011-09-22 2018-10-2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A positive-type photosensitive acrylic resin and positive-typ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JP5358005B2 (en) * 2011-09-22 2013-12-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sitive photosensitive acrylic resin and positiv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JP5644970B1 (en) * 2014-02-28 2014-12-24 住友化学株式会社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KR101511476B1 (en) * 2014-02-28 2015-04-1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JP2016018691A (en) * 2014-07-09 2016-02-01 Jsr株式会社 Display or illumination device
JP2016172835A (en) * 2015-03-18 2016-09-29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Silica dispersion, and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WO2017082307A1 (en) * 2015-11-10 2017-05-18 旭硝子株式会社 Photosensitive composition for biochip for fluorescence analysis, method for manufacturing biochip for fluorescence analysis, and biochip for fluorescence analysis
CN108602927A (en) * 2016-01-19 2018-09-28 Agc株式会社 Biochip photosensitive polymer combination and the forming method for denounceing fluidity fil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84A (en) 1978-07-24 1980-02-05 Tokyo Inst Of Technol Band semiconductor la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08610A1 (en) 2019-06-13
TW201821456A (en) 2018-06-16
CN109415467A (en) 2019-03-01
WO2018008610A1 (en)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0538B2 (en) Resist composition
JP5961363B2 (en) Lactone photoacid generator, resin and photoresist containing the same
JP4010160B2 (en) Resist composition
JP2017008068A (en) Base reactive photoacid generator and photoresist comprising the same
US20150132699A1 (en) Branched fluorinated photopolymers
JP2014514602A (en) Chemically amplified positive photosensitive organic insulating film composition and organic insulating film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234960B1 (en) Fluorinated monomer, fluorinated polymer, and composition for pattern formation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attern formation thereof
JP5138199B2 (en) Resist polymer, resis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ubstrate with pattern
JPWO2006070694A1 (en) Acrylic copolymer
TWI504619B (en) Polymer for forming resist protection film, composition for forming resist protection film,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s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he composition
WO2017126570A1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for biochip and method for forming liquid-repellent film
TW202012382A (en) Composition, cured product, pattern-forming method, compound, polymer, and method for producing compound
JP6561731B2 (en) Radiation sensitive resin composition, resist pattern forming method, acid diffusion controller and compound
KR20190028646A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method for produc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US20180202934A1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for biochip for fluorescence analysis, method for producing biochip for fluorescence analysis, and biochip for fluorescence analysis
TW201629629A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hotocurable pattern formed from the same and image display comprising the pattern
JP6283477B2 (en) Photoresist containing amide component
TW201831459A (en) Composition, cured product, pattern forming method, compound, polymer and method for producing compound
KR101979980B1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WO2018225549A1 (en) Fluorine-containing monomer, fluorine-containing polymer, pattern forming composition using same, and pattern forming method of same
JP2018102159A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for biochip and biochip production method
JPWO2006043597A1 (en) Radiation sensitive resin composition
JP2019143033A (en) Resin, photosensitive composition, substrate with liquid-repellent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4277493A (en) Silicon-containing resin an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JP6825249B2 (en) Radiation-sensitive resin composition, resist pattern forming method, polymer and comp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