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552A - 헤드폰 모듈, 이 헤드폰 모듈을 구비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및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헤드폰 모듈, 이 헤드폰 모듈을 구비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및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552A
KR20190028552A KR1020197006193A KR20197006193A KR20190028552A KR 20190028552 A KR20190028552 A KR 20190028552A KR 1020197006193 A KR1020197006193 A KR 1020197006193A KR 20197006193 A KR20197006193 A KR 20197006193A KR 20190028552 A KR20190028552 A KR 20190028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headphone
module
ear muff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첸 첸
이준 쉬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28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5Manufacture of mono- or stereophonic headphon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폰 모듈, 이 헤드폰 모듈을 구비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및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폰 모듈은 왼쪽 이어머프와 오른쪽 이어머프를 포함한다. 왼쪽 이어머프 및/또는 오른쪽 이어머프에는 터치 모듈이 설치된다. 터치 모듈은 제 1 터치 부품과 제 2 터치 부품를 포함한다. 제 2 터치 부품은 제 1 터치 부품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다. 제 1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헤드폰 모듈에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 2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헤드폰 모듈에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과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다르다. 터치 모듈에 의하여 헤드폰 모듈에 물리적 버튼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헤드폰 모듈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또한 사용상의 조작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폰 모듈, 이 헤드폰 모듈을 구비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및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
본 발명은 음성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헤드폰 모듈, 이 헤드폰 모듈을 구비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및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 마운트 헤드폰은 음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람들의 주목을 이끌고 있다. 종래의 헤드 마운트 헤드폰은 통상적으로 두개의 헤드폰 본체, 두개의 헤드폰 본체를 연결시키는 헤드 장착부 및 제어부로 구성된다. 헤드폰 본체에 통상적으로 물리적 버튼 또는 물리적 회전식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물리적 버튼 또는 물리적 회전식 스위치에 의해 헤드폰의 음량 또는 가곡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헤드 마운트 헤드폰에 설치된 물리적 버튼 또는 회전식 스위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의 외부 미관에 큰 영향을 준다. 또한 물리적 버튼 또는 회전식 스위치의 사이즈가 비교적 작으므로 사용자가 조작하기 불편하다.
하기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헤드폰 모듈, 이 헤드폰 모듈을 구비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및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왼쪽 이어머프와 오른쪽 이어머프를 포함하는 헤드폰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왼쪽 이어머프 및/또는 상기 오른쪽 이어머프에는 터치 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터치 모듈은 제 1 터치 부품과 상기 제 1 터치 부품를 둘러싸는 제 2 터치 부품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상기 제 1 터치 부품을 둘러싸고 있다.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에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에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과 상기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다르다.
또한,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의 음량을 조절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헤드폰 모듈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상기 케이스의 원형 구멍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뒤덮여 있다.
또한, 상기 제 1 터치 부품의 터치 전극의 밀도는 상기 제 2 터치 부품의 터치 전극의 밀도보다 크다.
또한,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원형이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고리 모양이며, 상기 제 1 터치 부품의 원형의 원심과 상기 제 2 터치 부품의 고리 모양의 원심은 동심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헤드폰 모듈은 헤드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 장착부는 상기 왼쪽 이어머프와 상기 오른쪽 이어머프를 연결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왼쪽 이어머프, 오른쪽 이어머프 및 상기 왼쪽 이어머프와 상기 오른쪽 이어머프를 연결시키는 헤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을 제공한다. 상기 왼쪽 이어머프 및/또는 오른쪽 이어머프에는 터치 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터치 모듈은 제 1 터치 부품과 상기 제 1 터치 부품를 둘러싸는 제 2 터치 부품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에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에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과 상기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다르다.
또한,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의 음량을 조절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 1 터치 부품의 터치 전극의 밀도는 상기 제 2 터치 부품의 터치 전극의 밀도보다 크다.
또한,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원형이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고리 모양이며, 상기 제 1 터치 부품의 원형의 원심과 상기 제 2 터치 부품의 고리 모양의 원심은 동심으로 배치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 마운트 헤드폰과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헤드 마운트 헤드폰은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표시장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헤드 마운트 헤드폰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헤드 마운트 헤드폰은 왼쪽 이어머프, 오른쪽 이어머프 및 상기 왼쪽 이어머프와 상기 오른쪽 이어머프를 연결시키는 헤드 장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왼쪽 이어머프 및/또는 오른쪽 이어머프에는 터치 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터치 모듈은 제 1 터치 부품과 상기 제 1 터치 부품를 둘러싸는 제 2 터치 부품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에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에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과 상기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다르다.
또한,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의 음량을 조절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 1 터치 부품의 터치 전극의 밀도는 상기 제 2 터치 부품의 터치 전극의 밀도보다 크다.
또한,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원형이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고리 모양이며, 상기 제 1 터치 부품의 원형의 원심과 상기 제 2 터치 부품의 고리 모양의 원심은 동심으로 배치된다.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 모듈, 이 헤드폰 모듈을 구비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및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어머프에 터치 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터치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폰 모듈에 물리적 버튼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헤드폰 모듈의 외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의 도면은 구체적인 실시형태와 함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는 실제 크기 및 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며, 본 발명은 아래의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의 헤드 마운트 헤드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의 헤드 마운트 헤드폰의 다른 시각의 분해도이다.
아래에서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 구체적인 실시형태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부분은 본 발명의 각 부품의 실제 비례 관계를 대표하지 않고, 단순히 예시일 뿐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1)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10)과 표시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마운트 헤드폰(10)은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표시장치(20)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정보를 표시하는 데에 사용되며, 예를 들면, 비디오 파일, 이미지, 화면 등을 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20)는 상기 헤드 마운트 헤드폰(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하기에 사용자는 자기 수요에 따라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1)의 헤드 마운트 헤드폰(10)과 표시장치(20) 사이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20)는 상기 헤드 마운트 헤드폰(10)에 의하여 확정된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장치(20)와 상기 헤드 마운트 헤드폰(10)은 일체로 접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1)를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1)를 통하여 3D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또는 현장을 모의한 게임을 놀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1)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헤드 마운트 헤드폰(10)은 헤드폰 모듈(11)과 헤드 장착부(12)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장착부(12)는 상기 헤드폰 모듈(11)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헤드 마운트 헤드폰(10)을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헤드 장착부는 원호형이고,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폰 모듈(11)은 왼쪽 이어머프(111)(ear muff)와 오른쪽 이어머프(112)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장착부(12)는 상기 왼쪽 이어머프(111)와 오른쪽 이어머프(112) 사이에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왼쪽 이어머프(111)는 단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이어머프(112)는 단부(113)에 대응하는 단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장착부(12)는 상기 단부(113)와 상기 단부(1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부(113) 및 상기 단부(114)에 상기 헤드 장착부(12)의 두 말단을 수납시키는 구멍(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 장착부(12)의 두 말단은 상기 구멍(115)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된다. 상기 헤드 장착부(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기 수요에 따라 이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20)는 상기 헤드폰 모듈(11)과 비슷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수요에 따라 표시장치(2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이해햐여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폰 모듈(11)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모듈(116)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듈(116)은 상기 왼쪽 이어머프(111) 또는 오른쪽 이어머프(112) 위에 설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왼쪽 이어머프(111)와 오른쪽 이어머프(112)에 모두 상기 터치 모듈(116)을 설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 모듈(116)을 상기 왼쪽 이어머프(111) 또는 오른쪽 이어머프(112)의 외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터치 모듈(116)은 제 1 터치 부품(117)과 제 2 터치 부품(118)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은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은 원형이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는 고리 모양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의 원형의 원심과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의 고리 모양의 원심은 동심으로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의 원형의 원심과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의 고리 모양의 원심은 비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은 원형이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의 원형은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에 접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은 원형이며,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은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의 원형에 접할 수 도 있다.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과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은 모두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도 있다.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은 상기 헤드폰 모듈(11)에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는 상기 헤드폰 모듈(11)에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과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11)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며, 예를 들면, 일시 정지, 빨리 감기(Fast Forward), 되감기, 전환 등 조작을 수행한다. 상기 전환은 현재의 오디오 파일을 다음 오디오 파일로 바꾸거나, 또는 이미 재생되었던 그 전의 오디오 파일로 돌아가거나, 또는 현재의 오디오 파일 전의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일시 정지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을 정지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빨리 감기는 재생 진행률 표시줄을 앞으로 전진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되감기는 재생 진행률 표시줄을 뒤로 후퇴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11)의 음량 크기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폰 모듈(11)은 사용자가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에 대한 터치 방향에 따라, 음량을 크게 하거나 또는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계 회전 방향에 따른 터치 조작은 상기 헤드폰 모듈(11)의 음량을 크게 하는 데에 사용되고, 시계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따른 터치 조작은 상기 헤드폰 모듈(11)의 음량을 작게 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와 동시에, 음량 조절의 크기는 사용자의 터치 슬라이드 거리와 관련되며,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슬라이드 거리가 크면 클 수록 음량 조절양이 더욱 커진다.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이 수신한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이 수신한 터치 제어 지령보다 많으므로,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이 사용하는 터치 전극의 밀도는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이 사용하는 터치 전극의 밀도보다 크다. 따라서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1)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표시장치(20)가 표시하는 영상 파일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고, 예를 들면, 일시 정지, 빨리 감기(Fast Forward), 되감기, 전환 등 조작을 수행한다.
상기 헤드폰 모듈(11)은 케이스(11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9)에는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은 케이스(119)의 원형 구멍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은 케이스(119)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은 상기 케이스(119)의 하부에 설치된다. 즉 제 2 터치 부품(118)은 케이스(119)의 하부에 뒤덮여 있다.
상기 헤드폰 모듈(11)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터치 부품(117)과 상기 제 2 터치 부품(118)에 대한 조작을 식별하여 해당 지령을 형성하고,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지령에 대응하는 조작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의 음량을 제어하고, 상기 헤드폰 모듈(11)이 재생하는 오디오 파일을 제어한다.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 모듈, 이 헤드폰 모듈을 구비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및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어머프에 터치 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터치 모듈을 터치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모듈은 사용자의 조작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헤드폰 모듈에 물리적 버튼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헤드폰 모듈의 외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진행된 수정, 동등한 변경, 개량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4)

  1. 왼쪽 이어머프와 오른쪽 이어머프를 포함하는 헤드폰 모듈로서, 상기 왼쪽 이어머프 및/또는 상기 오른쪽 이어머프에는 터치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터치 모듈은 제 1 터치 부품과 상기 제 1 터치 부품를 둘러싸는 제 2 터치 부품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에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에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과 상기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에 제어 지령을 인가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의 음량을 조절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모듈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상기 케이스의 원형 구멍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뒤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헤드폰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부품의 터치 전극의 밀도는 상기 제 2 터치 부품의 터치 전극의 밀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원형이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고리 모양이며, 상기 제 1 터치 부품의 원형의 원심과 상기 제 2 터치 부품의 고리 모양의 원심은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모듈은 헤드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 장착부는 상기 왼쪽 이어머프와 상기 오른쪽 이어머프를 연결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모듈.
  7. 왼쪽 이어머프, 오른쪽 이어머프 및 상기 왼쪽 이어머프와 상기 오른쪽 이어머프를 연결시키는 헤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으로서, 상기 왼쪽 이어머프 및/또는 상기 오른쪽 이어머프에는 터치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터치 모듈은 제 1 터치 부품과 상기 제 1 터치 부품를 둘러싸는 제 2 터치 부품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에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에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과 상기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의 음량을 조절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부품의 터치 전극의 밀도는 상기 제 2 터치 부품의 터치 전극의 밀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원형이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고리 모양이며, 상기 제 1 터치 부품의 원형의 원심과 상기 제 2 터치 부품의 고리 모양의 원심은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11. 헤드 마운트 헤드폰과 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마운트 헤드폰은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표시장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헤드 마운트 헤드폰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헤드 마운트 헤드폰은 왼쪽 이어머프, 오른쪽 이어머프 및 상기 왼쪽 이어머프와 상기 오른쪽 이어머프를 연결시키는 헤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으로서,
    상기 왼쪽 이어머프 및/또는 상기 오른쪽 이어머프에는 터치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터치 모듈은 제 1 터치 부품과 상기 제 1 터치 부품를 둘러싸는 제 2 터치 부품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상기 제 1 터치 부품을 둘러싸고 있고,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에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사용자의 터치 제어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헤드폰 모듈에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을 입력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과 상기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2류 터치 제어 지령은 상기 헤드폰 모듈의 음량을 조절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부품의 터치 전극의 밀도는 상기 제 2 터치 부품의 터치 전극의 밀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부품은 원형이고, 상기 제 2 터치 부품은 고리 모양이며, 상기 제 1 터치 부품의 원형의 원심과 상기 제 2 터치 부품의 고리 모양의 원심은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
KR1020197006193A 2016-09-14 2016-09-14 헤드폰 모듈, 이 헤드폰 모듈을 구비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및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 KR201900285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99100 WO2018049617A1 (zh) 2016-09-14 2016-09-14 耳机组件、具有该耳机组件的头戴耳机及头戴显示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552A true KR20190028552A (ko) 2019-03-18

Family

ID=6157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193A KR20190028552A (ko) 2016-09-14 2016-09-14 헤드폰 모듈, 이 헤드폰 모듈을 구비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및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61665A1 (ko)
EP (1) EP3515089A1 (ko)
JP (1) JP2019533403A (ko)
KR (1) KR20190028552A (ko)
CN (1) CN107810642A (ko)
WO (1) WO2018049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66641A (ja) * 2019-03-29 2020-10-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38748U (zh) * 2009-07-01 2010-04-14 东莞市宇佳电子实业有限公司 Sd卡耳机
CN201590883U (zh) * 2010-01-27 2010-09-22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触摸按键蓝牙耳机
WO2011130919A1 (en) * 2010-04-23 2011-10-27 Motorola Mobility,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ing touch-detecting surface
CN102103448A (zh) * 2011-02-24 2011-06-22 苏州瀚瑞微电子有限公司 电容式触摸旋钮及其布线方法
JP2012190185A (ja) * 2011-03-09 2012-10-04 Nippon Seiki Co Ltd 制御装置
JP3171610U (ja) * 2011-08-26 2011-11-10 碧芬 林 無線ヘッドセット装置
CN202261734U (zh) * 2011-09-02 2012-05-30 深圳市合智创盈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耳机
US8577427B2 (en) * 2012-03-08 2013-11-05 Lee Serota Headset with adjustable display and integrated computing system
CN202721788U (zh) * 2012-06-04 2013-02-06 王承延 一种连杆上具有触摸按键的头戴式无线耳机
CN103823548B (zh) * 2012-11-19 2019-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穿戴式设备、控制系统和方法
CN203038833U (zh) * 2013-01-09 2013-07-03 深圳市晟瑞科技有限公司 一种环形触摸键遥控器及其按键
US20140233754A1 (en) * 2013-02-18 2014-08-21 Polk Audio, Inc. Headphone system with retractable microphone
US9036855B2 (en) * 2013-08-29 2015-05-19 Bose Corporation Rotary user interface for headphones
CN204131679U (zh) * 2014-06-17 2015-01-28 惠州市汇华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耳机
CN104410937A (zh) * 2014-12-02 2015-03-11 林浩 智能耳机
JP6829693B2 (ja) * 2014-12-23 2021-02-10 ティモシー デグレイ オーディオ共有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70094451A (ko) * 2014-12-30 2017-08-17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동작 방법, 터치 동작 어셈블리 및 전자 디바이스
US9933995B2 (en) * 2015-01-25 2018-04-0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s with integral image display
CN204666953U (zh) * 2015-04-01 2015-09-2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显示设备
CN204948311U (zh) * 2015-08-26 2016-01-06 东莞市库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投影功能的头戴式耳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33403A (ja) 2019-11-14
US20190361665A1 (en) 2019-11-28
EP3515089A1 (en) 2019-07-24
WO2018049617A1 (zh) 2018-03-22
CN107810642A (zh)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0035B2 (en) Methods for controlling presentation of content using a multi-media table
US20230418448A1 (en) Automatically Adjusting Media Display in a Personal Display System
US10848894B2 (en) Controlling audio in multi-viewpoint omnidirectional content
WO2012029790A1 (ja) 映像提示装置、映像提示方法、映像提示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9883136B2 (en) System and method of outputting multi-lingual audio and associated audio from a single container
US20200169828A1 (en) Stereophonic sound locating device connected to headset for tracking head movement
WO2012100114A2 (en) Multiple viewpoint electronic media system
KR2011001212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
US86938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video placement on a display
CN109068260A (zh) 配置经由家庭音频回放系统的音频的回放
KR2011004019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1203175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mproved audio experience for viewers of video
CN110036416A (zh) 用于空间音频的装置和相关方法
WO2019002667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CN112673651B (zh) 多视点多用户音频用户体验
WO2019057530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ESENTING AUDIO IN THE FORM OF SPACE AUDIO
KR20190028552A (ko) 헤드폰 모듈, 이 헤드폰 모듈을 구비하는 헤드 마운트 헤드폰 및 헤드 마운트 표시장치
US11487496B2 (en) Controlling audio processing
JP3081677U (ja) ヘッドフォン装置
CN207897103U (zh) 一种新型投影时钟音响
Baxter Convergence the Experiences
JP2013051686A (ja) 映像提示装置、映像提示方法、映像提示プログラム、記憶媒体
Sande et al. It’s Also an iPod
TW202416732A (zh) 用於增強3d音頻編輯與呈現之設備、方法及非暫態媒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