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785A - 공기 흐름의 편향 수단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 흐름의 편향 수단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785A
KR20190027785A KR1020187036564A KR20187036564A KR20190027785A KR 20190027785 A KR20190027785 A KR 20190027785A KR 1020187036564 A KR1020187036564 A KR 1020187036564A KR 20187036564 A KR20187036564 A KR 20187036564A KR 20190027785 A KR20190027785 A KR 20190027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eflecting
air
deflectio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007B1 (ko
Inventor
바바로스 키리스켄
외뮈르 외칼
Original Assignee
베스텔 일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텔 일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베스텔 일렉트로닉 사나이 베 티카레트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90027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2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fro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2350/1028
    • B60K2350/4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5Features of dashboards
    • B60K2360/658Dashboard parts used as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적어도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105) 및 소스로부터 스크린(105)으로 공기를 전도하기 위한 공기 전도 수단(102)을 포함하며, 전도 수단(102)은 스크린(105)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기를 조향하도록 구성되고, 스크린(105)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향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조향하기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10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흐름의 편향 수단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 청구항 11에 따른 대시보드(dashboard), 청구항 12에 따른 차량, 및 청구항 13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 내 환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차량 내부의 공간을 가열하거나 냉각해야 한다. 대시보드의 중앙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이 점점 더 많은 차량에 장착되고 있기 때문에 환기 시스템을 위한 공간을 그러한 스크린이 차지한다. 따라서, 충분한 환기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제한된 공간을 갖는 영역에서 공기의 환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 대시보드, 차량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적어도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스크린, 및 소스(source)로부터 상기 스크린으로 공기를 전달하기 위한 공기 전도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 수단은 스크린 표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기를 조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이 생성되고, 배치되고, 제공되고, 초래되거나 형성되며, 상기 편향 수단은 스크린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향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표면을 갖는다.
이 솔루션은, 공기 흐름이 사람, 특히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화하는 데 사용되는 영역에서 다시 조향 또는 편향될 수 있으므로 유익하다. 또한, 공기 흐름은 스크린 표면으로부터 먼지 또는 유사한 입자를 제거하므로, 스크린 장치의 전체 외관이 개선된다.
유리한 실시 예들이 임의의 청구항 및/또는 다음의 명세서 부분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크린의 일부분을 편향 상태와 비 편향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변형 수단이 상기 스크린 표면의 섹션 아래에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편향 수단은 상기 변형 수단에 의해 야기되는 스크린 표면의 변형에 의해 형성 가능하고, 상기 스크린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편향 표면을 가진 편향 수단으로서 편향 상태에서의 피크를 형성하고, 비 편향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표면의 변형이 더 적으며, 특히 상기 스크린의 한 부분은 편향 상태와 비교하여 평탄하다. 상기 변형 수단은, 스크린 또는 편향 수단의 변형이 스크린 크기의 적어도 10% 또는 스크린 크기의 20% 또는 스크린 크기의 30%, 또는 스크린 크기의 40% 또는 스크린크기의 50% 또는 스크린 크기의 60%, 또는 스크린 크기의 70%, 또는 스크린 크기의 80%, 또는 스크린 크기의 90%, 또는 스크린 크기의 95%, 또는 스크린 크기의 10% 또는 스크린 크기의 99%를 갖는 스크린 표면 섹션에서 야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공기 흐름 파라미터, 특히 흐름 속도, 흐름 방향 및/또는 흐름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 흐름 조절 수단이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된다. 상기 변형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편향 수단의 크기 및/또는 형상 및/또는 위치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변형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공기 흐름 조절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조절과 독립적으로 편향 수단의 크기 및/또는 형상 및/또는 위치를 설정 또는 변경하기 위한 편향 조절 수단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이 실시 예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다른 방식으로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하다.
상기 편향 수단의 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흐름 조절 수단 또는 편향 조절 수단에 의해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이 실시 예는 상이한 수의 편향 수단으로 인해 유익하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변형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미세유체(microfluidic)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유체는, 특히 펌프 장치에 의해, 특히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위치들 사이의 미세유체의 전달은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의 편향 상태와 비 편향 상태 사이의 변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이며, 상기 공기 흐름 조절 수단은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정의된 필드로서 적어도 시각적으로 표시 가능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고, 및/또는 상기 편향 조절 수단은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정의된 필드로서 적어도 시각적으로 표시 가능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 예는 사용자가 정보를 보고 시각화된 정보에 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하다. 상기 스크린은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고 터치스크린이 아닐 수도 있다.
상기 전도 수단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공기 흐름을 비 편향 상태에서 스크린 표면에 대해 30°미만, 특히 15°또는 10°또는 5°미만으로 또는 평행하게 배출한다. 이 실시 예는 스크린 표면에 대해 작은 각도로 흐르는 공기 흐름이 편향 수단에 의해 편향될 수 있고, 따라서 개별적인 환기 방식들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제어 장치가 제공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환기 방식을 저장하므로, 일단 저장된 환기 방식은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 또는 정의된 특성, 예컨대 사용자 특성(예: 나이 및/또는 성별 및/또는 키) 및/또는 주변 조건(온도 및/또는 습도 및/또는 대기압)과 관련하여 환기 방식이 저장 가능한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전도 수단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스크린 표면에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의 슬릿(slit) 또는 튜브(tube)와 같은 출력 개구를 형성하며, 스크린 표면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을 한정하며, 및/또는 상기 전도 수단은 또한 입력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입력 개구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상기 전도 수단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입력 개구 및 출력 개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으로 전도 가능하다. 상기 전도 수단의 출력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변형 수단의 최대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대안으로, 출력 개구 높이는 편향 수단의 최대 높이보다 10% 또는 20% 또는 30% 또는 40% 또는 50% 더 높거나 작은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편향 수단이 제공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다수 편향 수단의 경우, 모든 편향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최대 높이로 편향될 수 있다. 편향 수단이 상이한 높이로 편향될 수 있는 경우, 평균 최대 높이가 얻어지고, 상기 전도 수단의 출력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형 수단의 평균 최대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대안으로, 출력 개구 높이가 편향 수단의 평균 최대 높이보다 10% 또는 20% 또는 30% 또는 40% 또는 50% 더 높거나 작은 것이 가능하다.
다수의 출력 개구가 스크린 표면의 외부 영역에 배열되고, 대응하는 개수의 편향 수단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형 수단에 의해 형성 가능하다. 이 실시 예는 스크린의 전면에 인접한 공간의 다수의 섹션들의 복합 환기 또는 환기가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크린 표면은, 편향 수단이 공기 흐름 조절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태와 독립적으로 영구적으로 구체화되거나 또는 편향 수단이 스크린 표면 역방향으로 또는 비 역방향으로 연결되고 및/또는 편향 수단은 적어도 가시광에, 특히 380nm와 780nm 사이의 파장의 빛에 대해 적어도 투명하다. 이 실시 예는, 변형 수단이 제공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스크린은 스크린 표면을 따라 조향된 공기를 편향시키도록 임의의 스크린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변형 수단이 제공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체 스크린은 더 얇고 덜 복잡 할 수 있으므로, 비용도 저렴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을 적어도 포함하는 대시보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차량 대시보드 용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린의 프레임으로부터 주입되고, 스크린은 바람직하게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속하며, 공기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린의 표면에 평행하게 전도 특히 분사된다. 스크린상에 바람직하게는 미세유체 코팅 또는 유리가 사용되며,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변형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공기 흐름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미세유체 표면에 에너지가 공급되고 하나 이상의 범프(bump)(특히 투명한)가 생성되고, 이는 편향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범프 또는 편향 수단의 각도 및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조절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고, 운전자 및/또는 승객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상기 범프 또는 편향 수단의 크기 및 형상과 공기 흐름의 속도에 따라 조절된다. 통기구(air vents)는 차량 내 공기조화(air conditioning) 및 환기를 위해 가장 중대한 부품이다. 일반적으로 통풍구는 차량 대시보드(계기판) 왼쪽/오른쪽 및 중앙에 있다. 중앙에 위치하는 최대 7" 또는 10"의 인포테인먼트 스크린의 경우 통풍구는 복잡하지 않다. 작은 인포테인먼트 화면에 대해 가능한 많은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최근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컴퓨터는 대시보드에서 최대 17"의 매우 큰 화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매우 큰 스크린과 통풍구를 배치하는 데는 중대한 문제가 있다. 종래 기술과 유사한 특징을 갖는 숨겨진 환기 솔루션을 제공하는 종래 기술에 솔루션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은 대시보드의 중앙 내부의 인포테인먼트 스크린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으며, 또한 차량 내 임의의 위치에 새로운 시스템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제10항에 따른 대시보드 또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 열차, 보트, 비행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또한 가열 장치 및/또는 공기 조화 장치로서 작동하거나 그것들을 제어할 수 있고, 공기 흐름은 냉각된 또는 가열된 공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공기를 편향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적어도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하거나 제9항에 따른 대시보드를 제공하거나 제10항에 따른 차량을 제공하는 단계, 공기가 전도 수단에 의해 전도되도록 하는 단계, 및 전도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편향 수단에 의해 편향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를 스크린 표면의 다수의 섹션 중 하나로 조향하도록 상기 전도 수단을 제어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고, 추가의 단계로 인해 상기 변형 수단이 공기 흐름의 경로에 하나 이상의 편향 수단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단계들은, 상기 편향 수단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흐름의 사전 저절에 따라 제공되므로 유리하다. 대안으로 상기 변형 수단은, 상기 공기를 상기 변형 수단에 의해 형성된 편향 수단으로 조향하도록 상기 전도 수단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편향 수단을 형성한다. 이 단계는 또한 편향 수단의 형성이 편향 수단의 파라미터에 대한 공기 흐름의 적응을 야기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편향 수단의 위치 및/또는 형상 및/또는 높이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의존하여 하나 이상의 편향 수단의 형성 및/또는 형상 및/또는 위치를 야기하는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단계이다. 이 단계는 터치스크린이 많은 사람들이 익숙한 널리 보급된 장치이기 때문에 유리하므로, 이 단계가 장치 사용을 쉽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공기 흐름의 경로에 다수의 편향 수단을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단계를 나타내며, 상기 편향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다르게 형성되고, 특히 제1 편향 수단 뒤에 공기 흐름의 방향에 형성된 제2 편향 수단은 제1 편향 수단보다 높게 연장된다. 이 단계는 개별 편향 수단의 위치 및/또는 높이 및/또는 형상으로 인해 다수의 환기 방식이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프로그램 코드 또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목적 및 특징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성 요소들이 도시된 첨부된 도면들의 다음의 명세서에 의해 기술될 것이다. 본질적으로 적어도 그 기능과 일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 요소는 모든 도면에 표시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단지 예시적으로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을 개략 도시하고;
도 2는 차량의 대시보드 내 본 발명의 특정 구현을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을 배치하는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a는 사용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추가의 개략적인 일 예의 평면도;
도 4b는 사용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추가의 개략적인 일 예의 다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변화시키는 가능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6은 편향 수단의 추가 형상에 대한 예들을 도시하고;
도 7은 편향 수단의 추가 형상에 대한 예들를 도시하고;
도 8은 공기 흐름이 정지되거나 시스템이 오프 전환되는 경우의 스크린 표면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시하고;
도 9는 특정한 사용 상황에서의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0은 특정한 사용 상황에서 본 발명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예의 평면도;
도 12는 요구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편향 수단을 가진 종래 스크린을 도시하고;
도 13은 도 12의 것보다 큰 편향 수단을 갖는 추가의 종래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스크린, 특히 인포테인먼트 스크린(105) 및 공기 전도 수단(102)을 포함한다. 공기 전도 수단(102)으로 인해 공기는 소스 또는 제1 위치로부터 프레임 또는 튜브 같은 장치(상기 전도 수단)을 통과하여 스크린(105)의 전면으로 전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흐름은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특히 속도 또는 처리량 및/또는 온도 및/또는 출력 영역으로 인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조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스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은 또한 복수의 편향 수단(104a, 104b, 104c)을 도시한다. 편향 수단(104)은 임의의 원하는 수로 및/또는 크기로 및/또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상황에 대한 대안으로서, 3개 미만 또는 초과의 편향 수단(104)이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전도 수단은 공기를 스크린 표면을 따라 각각 조향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출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개구는 바람직하게 단지 수 밀리미터의 크기를 갖는다. 특히 개구들의 크기는 편향 수단(104)의 최대 크기/높이에 대응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구 크기/높이는 편향 수단(104)의 최대 크기보다 작다. 개구들은 바람직하게는 상승된 프레임(102)에 의해 배열된다. 편향 수단(104)은 스크린을 따라 흐르는 공기를 참조 번호 '101'에 따라 조종실 내로 편향시키고 있다. 편향 수단(104)은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변형 수단은 한 번에 및/또는 한 줄로 스크린의 다수의 표면 부분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다수의 "패턴"(하나 또는 다수의 편향 수단)이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차량(200)의 일부를 도시한다. 차량(200)의 대시보드(201)는 바람직하게는 7" 또는 10" 또는 13" 또는 15"보다 큰 스크린(105)을 포함한다. 스크린(105)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특히 2개, 3개 또는 4개의 프레임 섹션(102) 사이에 배치된다. 프레임(102)은 공기 출구가 한정된 필드에만 제공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서만 환기가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02)은 스크린의 표면 섹션들의 대부분으로 공기를 조향하기 위한, 특히 50% 초과 또는 75% 초과 또는 90% 초과 또는 99% 초과의 표면 섹션들에 공기를 조향하기 위한 다수의 출구를 포함한다. 그러한 경우, 상기 전도 수단은, 선택된 또는 설정된 환기부와 일치하는 섹션들만 환기되는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2는 프레임(102)에 대해 상이한 거리를 갖는 위치들에 배치된 편향 수단(104)을 더 도시한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 상부 편향 수단은 운전자 또는 공동-운전자의 머리에 더 가까운 경로 상에 공기를 편향시키고 있으며, 하부 편향 수단은 운전자 또는 공동-운전자의 머리에서 더 멀리 떨어진 경로 상에 공기를 편향시키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수의 편향 수단의 임의의 조합 또는 배열이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스크린 및 전도 수단 또는 프레임 요소(102)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프레임 요소(102)는 다수의 개구(103), 특히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슬릿 같은 모양의 분배기 오리피스(orifice)를 제공한다. 각각의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공기 공기 소스와 유체 연결된다. 이들 개구(103) 중 하나 또는 다수를 통해 공기 흐름을 선택적으로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밸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는 하나의 특히 특정한 또는 다수의 특히 다수의 특정한 개구를 통한 공기 흐름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또한 편향 수단이 공기 흐름 통로 내에 또는 그 아래 또는 부분적으로 배치되거나 생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도시한다. 참조 번호 '401'는 현재 또는 미래의 설정에 대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화면에 의해 시각화될 수 있는 필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필드는, 스크린이 터치스크린인 경우, 명령 특히, 온도 및/또는 공기 흐름 속도 및/또는 공기 흐름 방향과 같은 환기 파라미터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삽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필드(401)는 임의의 원하는 모양 및 크기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그 필드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도 4b는 편향 수단(104)이 참조 번호 '104e'에 따른 설정으로 배열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다수의 편향 수단(104)이 서로 옆에 또는 뒤에, 특히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한 배열('104e'와 같은)에서 개별 편향 수단(104)의 형태 또는 크기는 다를 수 있으며, 편향 수단의 크기는 개개의 편향 수단(104)이 스크린(105)의 중심에 더 가깝게 배치될수록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프레임 또는 개구(502)의 치수가 다양한 사용 사례에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채널은 각각의 사용 사례에 따라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변형 수단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개별 또는 모든 편향 수단의 폭 및/또는 높이가 설정되거나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는 예시적이고 가장 가능한 일반적인 조절을 도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다른 조절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도 6은 편향 수단 또는 편향기(601)의 대안적인 형상 및 수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경우에, 톱니 모양 4개의 편향기가 주어진다. 그러나 어떤 다른 수의 편향기라도 가능하다. 도 6의 편향 수단(601)은 미세유체 요소에 의해 생성되거나 전체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스크린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은 Plexiglas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제조된 고정 편향 수단, 특히 투명한 편향기 범프가 스크린에 부착되거나 스크린에 부착 가능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 예는 조절 가능성의 관점에서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덜 복잡한 스크린 설계로 인해 비용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유리하다.
도 8은 환기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각각 꺼지거나 비활성화되는 때 또는 차량 AC 또는 공기 환기가 꺼지는 때에 바람직한 경우를 보여준다. 그 경우 편향 수단은 더는 보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향 수단, 특히 미세유체 범프는 바람직하게 평탄화된다.
도 9는 본 발명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추가 실시 예이다. 그러나 편향 수단, 특히 미세유체 범프는 바람직하게는 대부분 또는 완전히 투명하지만, 완전히 볼 수 없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상의 화상을 적당히 교란시킬 수 있다. 또한, 그것들은 용량성(capacitive) 터치와 완벽하게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터치 스크린 사용 중에는 사용자를 괴롭힐 수 있다.
도 10a는 편향 수단(1001)이 바람직하게 스크린 표면에 부착되는 배열을 도시한다. 편향 수단(1001)은 바람직하게는 길쭉한 물체로서 형성된다. 편향 수단(1001)은 프레임(102) 또는 전도 수단을 따라 또는 인접하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향 수단(1001)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02)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편향 수단(1001)은 투명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향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중심보다 프레임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편향 수단의 중심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02)으로부터 50mm 미만 또는 40mm 미만 또는 30mm 미만 또는 20mm 미만 또는 15mm 미만으로 떨어져 배치된다.
도 11은 스크린이 하나 이상의 편향 수단(1001a, 1001b)을 구비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편향 수단(1001a, 1001b) 각각은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된 편향 수단(1001)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종래 기술의 장치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이해를 돕는다.
따라서,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어 유닛 또는 시스템은 편향 수단특히 편향기 범프의 위치로부터 중대한(critical) 제어 요소 및 중대한 정보를 멀리 이동시킨다. 이는, 편향 수단이 명령을 삽입하기 위한 기능적 섹션으로서 사용되거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편향 장치와 상기 기능적 섹션이 동일한 위치에 있음을 검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 유닛은 그 다음에 상기 기능적 구역을 편향 장치가 없는 스크린의 다른 섹션으로 재배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칭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적어도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 및 소스로부터 스크린으로 공기를 전달하기 위한 공기 전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도 수단은 스크린을 따라 상기 공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스크린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향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수단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통기 솔루션(air vent solution), 특히 숨겨진 통기 솔루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 위로 대략 수 밀리미터, 특히 최대 또는 최소 1mm 또는 최대 또는 최소 2mm 이상 또는 2 밀리미터 또는 최대 또는 최소 3mm 또는 최대 또는 최소 4mm 또는 최대또는 최소 5mm 또는 최대 또는 최소 6mm 또는 최대 또는 최소 7mm 또는 최대 또는 최소 8mm 또는 최대 또는 최소 9mm 또는 최대 또는 최소 10mm 상승된다. 상기 공기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린의 표면에, 특히 작은 각도로 또는 평행하게, 정렬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변화시기 위해, 특히 편향 수단을 형성하는 투명한 미세유체가 스크린 표면 위 또는 아래에 사용된다. 통기가 오프될 때, 편향 수단, 특히 미세유체 범프가 바람직하게는 사라지거나 그것의 크기로 감소된다. 편향 수단 특히 미세유체 범프는 공기가 흐르기 시작하거나 제어 장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 명령에 따라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향 수단의 크기(높이 및/또는 폭) 및/또는 위치 및/또는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자동 또는 수동으로, 특히 터치스크린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편향 수단의 크기(높이 및/또는 폭) 및/또는 위치 및/또는 형상으로 인해, 공기 흐름 방향은 조절 가능하다. 편향 수단 특히 미세유체는 위에서 직접 볼 때 거의 보이지 않는(대부분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방법은 다양하지만, 편향 수단 특히 미세유체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향은 고정된 또는 조절 가능한 높이의 임의의 투명 재료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숨겨진 통기구가 특히 대형인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스크린용으로 생성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100 표시 장치
101 조종실로 흐르는 공기
102 상승된 프레임
103 프레임 내부로 조향된 공기 흐름
104 미세유체의 투명한 편향기 범프
104a 제1 편향기 범프
104b 제2 편향기 범프
104c 제N 편향기 범프
104d 위에서 본 편향기들
105 인포테인먼트 화면
106 편향 수단
200 차량
201 대시보드(dashboard)
202 조종석
401 터치스크린 상의 가능한 공기 환기(AC) 제어
501 공기 통로 조절
502 프레임 크기 조절
503 범프 높이 조절
504 범프 폭 조절
601 편향기의 대체 형상(톱니)과 대체 수
901 임계(critical) 터치 제어
1001a, 1001b 스크린과 나란한 미세유체 편향기 범프

Claims (15)

  1.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스크린(105);
    소스로부터 상기 스크린(105)에 공기를 전도하며, 상기 공기를 상기 스크린(105)을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조향하는 공기 전도 수단(102); 및
    상기 스크린(105)을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조향된 상기 공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표면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편향 수단(104);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05)의 일부분을 편향 상태와 비 편향 상태 사이에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스크린 표면의 섹션 아래에 변형 수단(106)이 추가로 배치되며,
    상기 편향 수단(104)은 상기 변형 수단(106)에 의해 초래된 상기 스크린 표면의 변형에 의해 형성 가능하고,
    상기 스크린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편향 표면을 가진 상기 편향 수단으로서 상기 편향 상태에서 피크를 형성하고,
    상기 비 편향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표면의 변형은 상기 편향 상태에 비해서 더 적으며, 특히 상기 스크린의 일부는 평탄한, 디스플레이 유닛(10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기 흐름 파라미터 특히 흐름 속도, 흐름 방향, 및 흐름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공기 흐름 조절 수단이 추가로 제공되며,
    상기 변형 수단(106)은 상기 조절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편향 수단(104)의 크기, 형상,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변형 수단은 상기 조절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조절과 독립적으로 상기 편향 수단의 크기, 형상,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거나 변경시키는 편향 조절 수단에 의해 작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유닛(1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수단(104)의 수는 상기 공기 흐름 조절 수단 또는 상기 편향 조절 수단에 의해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편향 수단은 하나 이상의 미세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유체는 2개 이상의 상이한 위치들 사이에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미세유체의 전달은 상기 편향 상태와 상기 비 편향 상태 사이의 변화를 초래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이고,
    상기 공기 흐름 조절 수단은 한정된 필드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적어도 시각적으로 표시 가능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및/또는
    상기 편향 조절 수단은 한정된 필드로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적어도 시각적으로 표시 가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100).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수단(102)은 상기 비 편향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표면에 대하여 30°미만, 특히 15°미만, 또는 10°미만, 또는 5°미만의 각도로 또는 평행하게 상기 공기 흐름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수단(102)은 상기 스크린 표면에 인접하여 슬릿 또는 튜브와 유사한 출력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 표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전면을 한정하며, 및/또는
    상기 전도 수단(102)은 또한 입력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에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공기는 전도 수단(102)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입력 개구 및 상기 출력 개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으로 전도 가능한, 디스플레이 유닛(100).
  8. 제 7 항에 있어서,
    다수의 출력 개구가 상기 스크린 표면의 외부 영역에 배열되고, 대응하는 수의 편향 수단이 상기 변형 수단(106)에 의해 형성 가능한, 디스플레이 유닛(10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표면은, 공기 흐름 조절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태와 독립하여 영구적으로 상기 편향 수단이 구체화되는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편향 수단(104)은 상기 스크린 표면에 역방향으로 또는 비 역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편향 수단(104)은 가시광, 특히 380nm와 780nm 사이의 파장의 빛에 대해 투명한, 디스플레이 유닛(100).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포함하는 대시보드(201).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포함하는, 차량(200).
  12. 공기를 편향시키는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0) 또는 제 9 항에 따른 대시보드(201) 또는 제 10 항에 따른 차량(200)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도 수단(102)에 의해 공기가 전도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전도된 공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편향 수단(104)에 의해 편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표면의 다수의 섹션들 중 하나에 상기 공기를 조향하도록 상기 전도 수단(102)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변형 수단(106)에 의해 상기 공기 흐름의 경로에 하나 이상의 편향 수단(104)을 형성하게 하는 단계, 또는
    상기 변형 수단(106)에 의해 하나 이상의 편향 수단(104)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형 수단(106)에 의해 형성된 상기 편향 수단(104)으로 상기 공기를 조향하도록 상기 전도 수단(102)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하나 이상의 편향 수단(104)의 형성,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야기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흐름의 경로에 다수의 편향 수단(104)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편향 수단(104)은 다르게 특히 제1 편향 수단의 후방에 상기 공기 흐름의 방향에 형성된 제2 편향 수단이 상기 제1 편향수단보다 더 높이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방법.
KR1020187036564A 2016-07-14 2017-06-07 공기 흐름의 편향 수단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KR102446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9577.8A EP3269570B1 (en) 2016-07-14 2016-07-14 Display unit with integrated means for air flow deflection
EP16179577.8 2016-07-14
PCT/EP2017/063793 WO2018010895A1 (en) 2016-07-14 2017-06-07 Display unit with integrated means for air flow defl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785A true KR20190027785A (ko) 2019-03-15
KR102446007B1 KR102446007B1 (ko) 2022-09-21

Family

ID=5688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564A KR102446007B1 (ko) 2016-07-14 2017-06-07 공기 흐름의 편향 수단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30166B2 (ko)
EP (1) EP3269570B1 (ko)
JP (1) JP6968105B2 (ko)
KR (1) KR102446007B1 (ko)
CN (1) CN109414974B (ko)
TR (1) TR201709246A2 (ko)
WO (1) WO2018010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4214B2 (en) * 2017-10-04 2021-06-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isplay and ventilation assembly
MX2023008367A (es) * 2021-01-28 2023-07-26 Tesla Inc Sistema termico para un vehicul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8290B2 (ja) * 1988-11-02 1997-09-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気調和制御装置
DE10043623A1 (de) * 2000-09-05 2002-03-14 Daimler Chrysler Ag Anzeige- und Bedieneinrichtung
DE102014011119A1 (de) * 2014-07-26 2016-01-28 Audi Ag Kraftfahrzeug mit Bildschirm und Gebläseauslas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854A (ja) * 1991-08-12 1993-02-23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US8239087B2 (en) * 2008-02-14 2012-08-07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accessory
FR2931566B1 (fr) * 2008-05-26 2010-04-30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Interface tactile pour chauffer ou climatiser un vehicule, et son procede de reglage
CN202006758U (zh) * 2011-03-21 2011-10-12 缪飞 宝马一系带触摸屏控制车载影音导航系统
US20130044100A1 (en) * 2011-08-17 201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 for microfluidic display
CN203110875U (zh) * 2013-01-04 2013-08-07 张跃亮 汽车分区空调系统
CN204348336U (zh) * 2014-11-26 2015-05-20 重庆长野汽车配件有限公司 具有自洁屏功能的汽车影音导航仪
JP6472234B2 (ja) * 2014-12-19 2019-02-20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DE102015200286A1 (de) * 2015-01-13 2016-07-14 Robert Bosch Gmbh Anzeigeeinheit zum Anzeigen von Bilddaten auf einem Display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zeigeeinheit
DE102015005126B3 (de) * 2015-04-22 2016-06-02 Audi Ag Verfahren und Bedienungsvorrichtung zum Bedienen einer Klimaanlage eines Fahrzeugs
US20180004339A1 (en) * 2016-07-02 2018-01-04 Intel Corporation Touch sensitive display with dynamically modifiable writing surf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8290B2 (ja) * 1988-11-02 1997-09-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気調和制御装置
DE10043623A1 (de) * 2000-09-05 2002-03-14 Daimler Chrysler Ag Anzeige- und Bedieneinrichtung
DE102014011119A1 (de) * 2014-07-26 2016-01-28 Audi Ag Kraftfahrzeug mit Bildschirm und Gebläseausla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14974B (zh) 2022-09-23
WO2018010895A1 (en) 2018-01-18
TR201709246A2 (tr) 2018-01-22
US11230166B2 (en) 2022-01-25
US20190299745A1 (en) 2019-10-03
EP3269570B1 (en) 2019-09-11
EP3269570A1 (en) 2018-01-17
JP6968105B2 (ja) 2021-11-17
CN109414974A (zh) 2019-03-01
JP2019524526A (ja) 2019-09-05
KR102446007B1 (ko)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1467A1 (en) Vehicle headliner assembly for zonal comfort
JP6417188B2 (ja) 車両のデフロスタ構造
US9751380B2 (en) Air vent assembly with integral air vent and control head
US10703165B2 (en) Air blowing device
US11014432B2 (en) Vehicle vent assembly
US10518609B2 (en) Air outlet for heating and ventilation or air-conditioning systems of motor vehicles
US20200207181A1 (en) Air Outlet Apparatus for an Interior of a Motor Vehicle, and System
JP2015164837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20060217054A1 (e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air nozzles as an air outflow device
US20180236844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Introducing Air into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JP2018526272A (ja) 車両のヘッドレスト熱調節装置
US10556480B2 (en) Vehicle HVAC system
KR102446007B1 (ko) 공기 흐름의 편향 수단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US9738239B2 (en) Trim assembly for a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and corresponding vehicle
US10486492B2 (en) Ventilation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EP2500192A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6257975B1 (en)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s
CN116829397A (zh) 用于在车辆的内部空间中的空气分布的组件
JP2024504738A (ja) 車両用の熱システム
WO2020190227A1 (en) Air flow direction controller system for air conditioning systems and diffuser structure providing said control
JP2019043545A (ja) 車両内室用の空気吹き出し装置
DE102015100312A1 (de) Systeme zum Verbessern des Klimakomforts für Fahrzeuginsassen über Luftlieferung der Lenkbaugruppe
US20230067559A1 (en) Adjustable air v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8583196B (zh) 除霜器构造
US20220185386A1 (en) Air-guiding device for an interior of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