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563A -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563A
KR20190027563A KR1020170114499A KR20170114499A KR20190027563A KR 20190027563 A KR20190027563 A KR 20190027563A KR 1020170114499 A KR1020170114499 A KR 1020170114499A KR 20170114499 A KR20170114499 A KR 20170114499A KR 20190027563 A KR20190027563 A KR 20190027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character
voice information
control comman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489B1 (ko
Inventor
김택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11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4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4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acoustic input signals, e.g. by using the results of pitch or rhythm extraction or voic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6Creation of reference templates; Training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e.g.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s voi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81Input via voic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63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sound processing
    • A63F2300/6072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sound processing of an input signal, e.g. pitch and rhythm extraction,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 서버가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온라인 게임에 접속 중인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서버와 미리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CTION OF A CHARACTER IN ONLINE GAME BASED ON VA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에서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캐릭터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편의 및 흥미를 도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장치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기기 예를 들어 컴퓨터, 휴대폰, PDA 등 유무선 통신 기기 또는 비디오를 통하여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의 증가로, 서비스되는 게임의 종류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게임은 오프라인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온라인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게임이 증가함에 따라, 게임의 제공자는 자신이 제공하는 게임에 많은 유저를 유입시키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종래기술은 게임 내 캐릭터를 제어하는데, 키보드,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과 같이 손에 의해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의 이용은 새롭게 게임을 접하는 사용자가 원활하게 게임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흥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게임에서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캐릭터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 서버가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온라인 게임에 접속 중인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서버와 미리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음성 정보 및 제 2 음성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제 1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제어 명령 및 상기 제 2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제어 명령을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제 1 제어 명령 및 상기 제 2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되, 상기 제 1 음성 정보의 입력과 상기 제 2 음성 정보의 입력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object) 음절 및 동작(movement) 음절로 구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이음동의어로 이루어진 복수의 음성 정보 각각과 대응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 내 상기 대상 음절 및 상기 동작 음절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각각 탐색하되, 상기 탐색된 하나 이상의 제어 명령을 1 그룹화하여, 상기 1 그룹화 된 제어 명령을 하나의 제어수행 단위로 하여 상기 게임 내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 내 대상 음절이 동일한 복수의 캐릭터 존재 시, 미리 정해진 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결정된 특정 캐릭터에 대한 제어 명령을 탐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처음 게임을 하게 된 사용자도 보다 원활하게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손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 보다 제어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을 위한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 서버가 사용자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음성 정보를 통해 온라인 게임 내 대상이 선택되는 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음성 정보를 통해 온라인 게임 내 대상이 선택되고, 동작이 제어되는 실시예 중 하나를 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음성 정보를 통해 온라인 게임 내 대상이 선택되고, 동작이 제어되는 실시예 중 하나를 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음성 정보를 통해 온라인 게임 내 대상이 선택되고, 사용자 캐릭터의 복수의 동작이 제어되는 실시예 중 하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을 위한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은, 게임 서버(100) 및 단말(200)을 포함하며,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게임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게임 서버(100)는 서로 연동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단말(200)에 게임 컨텐츠를 통해 동일한 게임 환경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단말(200)은 동일한 게임 환경에서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컨텐츠 는 게임 응용 프로그램(game application)이 될 수 있다.
게임을 즐기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게임 서버(100)에 접속하여, 게임 서버(100)로부터 게임 컨텐츠를 제공 받은 후, 상호 연동하여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컨텐츠를 수신한 단말(200)은 단말(200) 상호간에 게임 실행에 필요한 게임 진행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게임 진행 데이터는 사용자의 단말(200)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로써, 사용 자가 게임 상의 캐릭터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에 상응하여 발생되는 데이터이다. 예컨대, 게임 진행 데이터는, 대전 게임을 가정하면, 사용자가 대전 게임의 캐릭터를 조작하여 상대방 캐릭터에 대한 공격 행위 등의 명령을 내린 경우, 이러한 명령에 따라 대상 캐릭터가 반응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의미한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200) 은 네트워크(300)를 통하거나, P2P(Peer to Peer) 방식을 통해 상호 연동하여, 게임 진행 데이터를 상호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
게임 서버(100)는 기본적으로, 통신 모듈, 인증 모듈 및 패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서버(100)는 저장 모듈 및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단말(200)과 네트워크(3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은 네트워크(300)의 종류에 따라서,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유선 통신 기능 및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기능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0)에 적용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를 처 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모듈은 게임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으로서, 가입 절차에 의해 사용자를 등록한다. 인증 모듈은 단말(200)이 게임 서버(100)에 접속할 때마다, 사용자 등록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 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자(ID)와 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한다.
패치(patch) 모듈은 게임의 위해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200)에 설치되는 게임 컨텐츠인 게임 응용 프로그램의 갱신을 실행한다. 즉, 패치 모듈은 접속된 단말(200)에 설치된 게임 응용 프로그램의 버전을 확인하여,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 최신 버전의 게임 응용 프로그램을 접속된 단말(200)로 전송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인증 모듈 및 패치 모듈은 실제 게임 실행 이전에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가 게임을 내려 받게 하거나, 갱신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며, 이에 의한 게임 서비스 제공 과정은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저장 모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데이터를 저장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임 데이터는 게 임 히스토리 정보 및 게임 관련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모듈의 저장 형태는 파일(file) 시스템에 따라 저장될 수도 있고, 데이터베이스(database) 시스템에 따라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서버에 별도의 모듈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서버와 구분되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서버와 연동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은 상호 간에 연동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복수의 단말(200)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단말(200) 중 적어도 하나에 게임 데이터를 요청하고, 요청된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모듈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기 설정된 저장 시점에서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 여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 시점은 복수의 스테이지별로 구성된 게임인 경우 어느 하나의 스테이지가 종료된 때이거나, 게임 데이터 백업 주기가 도래한 때이거나, 게임이 종료되는 때 가 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상술한 저장 시점이 도래한 경우, 게임을 상호 연동하여 실행 중인 단말(200)의 네트워크 상태를 비교한다. 네트워크 상태는 회선 비용 및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하며, 제어 모듈은 회선 비용 및 데이터 전송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단말(200)의 네트워크 상태를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은 복수의 단말(200)의 회선 비용을 비교하여, 복수의 단말(200) 중 회선 비용이 보 다 저렴한 단말(200)에 게임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를 통해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은 복수의 단말(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비교하여, 복수의 단말(200) 중 데이터 전송률이 보다 높은 단말(200)에 게임 데이터를 요청하고, 이를 통해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은 복수의 단말(200)의 데이터 전송률을 비교하여, 게임 데이터 전체에서 복수의 단말 (200) 각각의 데이터 전송률에 비례한 양 만큼의 게임 데이터를 복수의 단말(200) 각각에 요청하고, 이를 통해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은 복수의 단말(200)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게임 데이터를 병합하여 저장 모듈에 저장한다.
제어 모듈은 서로 연동되어 게임을 실행 중인 복수의 단말(200)로부터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모듈 (140)에 저장함으로써, 게임 중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게임 데이터를 완전히 소실시키지 않고, 최근에 저장된 게임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게임 데이터를 저장한 때부터 사용자들이 게임을 이어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은 이동통신 단말(200)기, PDA, 노트북, PC, TV, 노트패드, 휴대용 게임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이 가능하며, 게임 컨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모든 종류의 기기들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은 통신부, 입력부, 출력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다른 단말(200) 또는 게임 서버(100)와 네트워크(300)를 통해 통신하거나, 다른 단말(200)과 직접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으로서, 특히, 게임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통신부는 무선 통신부 및 유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는 무선 망 통신부,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부 및 무선 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부(2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200)이 무선 통신을 이용 하는 경우, 무선 망 통신부, 무선 랜 통신부 및 무선 팬 통신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게임 데이터를 다른 단말(200) 또는 게임 서버(100)에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망 통신부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망 통 신부는 제어부로부터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게임 데이터를 게임 서버(100) 또는 다른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망 통신부는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게임 데이터 또는 게임 진행 데이터를 다른 단말(200) 또는 게임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게임 데이터 또는 게임 진행 데이터를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랜 통신부는 무선 랜(WLAN)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랜 통신부는 제어부로부터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면, 접속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게임 데이터를 다른 단말(200) 또는 게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랜 통신부는 접속 포인트를 통 해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게임 데이터를 다른 단말(200) 또는 게임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게 임 데이터를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팬 통신부는 무선 팬(WPAN)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망 통신부 및 무선 랜 통신부에 비해 짧은 거리의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200)간에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것이 다. 무선 팬 통신부는 다른 단말(200)과 직접 게임 진행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팬 통신부는 게이트웨이(Gateway)에 직접 또는 멀티 홉(multi-hop)을 통해 연결 가능한 경우, 게이트웨이를 통해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게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선 팬 통신부는 블루투스 (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에 따른 통신을 예시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 통신부는 특히,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300)에 접속하여, 게임 서버(100) 또는 다른 단말(200)에 게임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200)이 PC, TV 등과 같은 휴대하기 어렵고, 그 설치가 고정된 기기인 경우, 단말(200)은 유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300)에 접속하며, 네트워크(300)를 통해 다른 단말(200) 또는 게임 서버(100)와 게 임 데이터 또는 게임 진행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하거나 음성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키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예컨대,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마이크 등과 같은 통상적인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출력부는 단말(200)의 동작에 따른 결과 또는 정보를 시각, 촉각, 청각, 후각, 미각 등 사용자가 여러 감각을 통해 인식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동영상, 이미지 등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 단, 오디오 정보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수단, 촉각에 의해 인지되는 햅틱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출력부는 게임 중에 제공되는 게임 컨텐츠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으로 인지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수단은 게임 실행 시,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을 시 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터 치스크린 형태로 디스플레이 수단이 형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은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수단을 통해 게임 화면과 게임 실행음(배경음악 또는 효과음 등)을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부는 운영 체제, 게임 컨텐츠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는 게임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게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게임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게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는 다른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게임 진행 데이터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에 저장되는 게임 컨텐츠, 게임 데이터 등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는 운영 체제 및 게임 컨텐츠 등을 실제로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제어부는 단말(200)의 전원이 켜지 면,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를 저장부의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 영 체제를 구동하는 부팅(booting)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게임 실행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게임 컨텐츠를 불러 오고, 게임 서버(100)에 저장된 게임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후,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통상적인 게임과 관련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게임을 실행하면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사용자의 게임 진행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다른 단말(200)에 전송하거나, 또한,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다른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게임 진행 데이 터를 적용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게임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게임 데이터를 적용하여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게임 서버(100)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200)과 게임 진행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게임을 진행 하던 중, 게임 서버(100)로부터 게임 데이터 전송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게임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게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 서버가 사용자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도가 개시되어 있다.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온라인 게임에 접속 중인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S210). 여기서, 음성 명령은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나타낸다. 음성 명령은 다양한 국가의 언어, 조어로서 구성되거나 이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음성 명령은 사용자 단말(200)의 입력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되어 있는 마이크나 외부 마이크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 명령을 수신 받아 음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서버와 미리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할 수 있다(S220). 여기서, 제어 명령은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온라인 게임 프로그램 상 언어 또는 명령어로서, 이음동의어로 이루어진 복수의 음성 정보 각각과 대응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는 서버 내 모듈, 단말 내 모듈, 별도의 장치 또는 프로그램으로서,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든 제어 명령이 저장된 장치 또는 시스템이다. 이 데이터 베이스는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기 전 또는 수행되면서 서버와 단말과 연동된다. 단말은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음성 명령을 데이터 베이스에 전달하고,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데이터 베이스 내 제어 명령을 탐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탐색된 제어 명령에 따라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230). 데이터베이스에서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탐색되면, 탐색된 제어 명령은 서버에 전달된다. 서버와 단말은 탐색된 제어 명령을 전달받는다. 단말은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캐릭터의 동작이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서버는 탐색된 제어 명령에 해당되는 캐릭터의 동작이 다른 사용자에게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에서 서버가 사용자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음성 정보를 통해 온라인 게임 내 대상이 선택되는 실시예를 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타 사용자가 제어하는 캐릭터를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정보는 타 사용자 캐릭터를 나타내는 대상 음절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대상 음절과 사용자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음절과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음성 정보는 동작 음절만으로 구성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대상 음절 및 적어도 하나의 동작 음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음성 정보 입력 전 화면(310)은 현재 사용자가 제어하는 캐릭터(311) 및 타 사용자 캐릭터(312)가 구분되어 표현되어 있다. 타 사용자 캐릭터(312)는 현재 단말의 사용자 외 다른 사용자가 다른 단말로서 제어하는 캐릭터를 나타낸다. 음성 정보 입력 전 화면(310)의 타 사용자 캐릭터(312)는 출력부에 출력되어 있을 뿐 별도의 표시가 되어 있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자가 타 사용자 캐릭터를 선택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입력한면, 도 2의 순서도에 따라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탐색되고, 제어 명령을 전달받은 단말은 사용자의 출력부에 타 사용자 캐릭터를 선택되어 졌음을 나타내는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320)을 출력한다. 타 사용자 캐릭터가 선택되면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320)과 같이 타 사용자 캐릭터(322)에 별도의 식별표시가 출력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음성 정보를 통해 온라인 게임 내 대상이 선택되고, 동작이 제어되는 실시예 중 하나를 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타 사용자가 제어하는 캐릭터를 특정하고, 사용자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정보는 대상 음절과 사용자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음절과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음성 정보는 동작 음절만으로 구성되어 대상 음절을 생략하여 구성되거나 복수의 대상 음절 및 복수의 동작 음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음성 정보 입력 전 화면(410)은 현재 사용자가 제어하는 캐릭터(411) 및 타 사용자 캐릭터(412)가 구분되어 표현되어 있다. 음성 정보 입력 전 화면(410)의 타 사용자 캐릭터(412)는 출력부에 출력되어 있을 뿐 별도의 표시가 되어 있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자가 타 사용자 캐릭터를 선택하고, 사용자 캐릭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입력한면, 도 2의 순서도에 따라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탐색되고, 제어 명령을 전달받은 단말은 사용자의 출력부에 타 사용자 캐릭터를 선택되어 졌음을 나타내는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420, 430)이 출력한다.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인 대상 선택된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420)과 사용자 캐릭터 동작이 제어된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430)이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타 사용자 캐릭터가 선택되면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420)과 같이 타 사용자 캐릭터(422)에 별도의 식별표시가 출력부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430)과 같이 사용자 캐릭터(431)이 타 사용자 캐릭터(432)에 특정 동작(여기서는, 마법 공격)을 수행하는 동작이 출력부에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음성 정보를 통해 온라인 게임 내 대상이 선택되고, 동작이 제어되는 실시예 중 하나를 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타 사용자가 제어하는 캐릭터를 특정하고, 사용자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정보는 대상 음절과 사용자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음절과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음성 정보는 동작 음절만으로 구성되어 대상 음절을 생략하여 구성되거나 복수의 대상 음절 및 복수의 동작 음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음성 정보 입력 전 화면(510)은 현재 사용자가 제어하는 캐릭터(511) 및 타 사용자 캐릭터(512)가 구분되어 표현되어 있다. 음성 정보 입력 전 화면(510)의 타 사용자 캐릭터(512)는 출력부에 출력되어 있을 뿐 별도의 표시가 되어 있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자가 타 사용자 캐릭터를 선택하고, 사용자 캐릭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 정보를 입력한면, 도 2의 순서도에 따라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탐색되고, 제어 명령을 전달받은 단말은 사용자의 출력부에 타 사용자 캐릭터를 선택되어 졌음을 나타내는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520, 530)이 출력한다.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인 대상 선택된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520)과 사용자 캐릭터 동작이 제어된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530)이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타 사용자 캐릭터가 선택되면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520)과 같이 타 사용자 캐릭터(522)에 별도의 식별표시가 출력부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530)과 같이 사용자 캐릭터(531)이 타 사용자 캐릭터(532)에 특정 동작(여기서는, 일반 공격(근접 공격 또는 타격 공격))을 수행하는 동작이 출력부에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음성 정보를 통해 온라인 게임 내 대상이 선택되고, 사용자 캐릭터의 복수의 동작이 제어되는 실시예 중 하나를 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타 사용자가 제어하는 캐릭터를 특정하고, 사용자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정보는 대상 음절과 사용자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동작 음절과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음성 정보는 복수의 동작을 나타내는 하나의 동작 음절만으로 구성되어 대상 음절을 생략하여 구성되거나 복수의 대상 음절 및 복수의 동작 음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음성 정보 입력 전 화면(610)은 현재 사용자가 제어하는 캐릭터(611) 및 타 사용자 캐릭터(612)가 구분되어 표현되어 있다. 음성 정보 입력 전 화면(610)의 타 사용자 캐릭터(612)는 출력부에 출력되어 있을 뿐 별도의 표시가 되어 있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자가 타 사용자 캐릭터를 선택하는 대상 음절과 사용자 캐릭터 동작을 제어하는 2개의 동작 음절이 시간순으로 배열된 음성 정보를 입력하면, 도 2의 순서도에 따라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탐색되고, 제어 명령을 전달받은 단말은 사용자의 출력부에 타 사용자 캐릭터를 선택되어 졌음을 나타내는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620, 630, 640)이 출력한다.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인 대상 선택된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620)과 사용자 캐릭터 동작이 제어된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630, 640)이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타 사용자 캐릭터가 선택되면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620)과 같이 타 사용자 캐릭터(622)에 별도의 식별표시가 출력부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630)과 같이 사용자 캐릭터(631)이 타 사용자 캐릭터(632)에 특정 동작(여기서는, 마법 공격)을 수행하는 동작이 출력부에 출력되고, 이후 음성 정보 입력 후 화면(640)과 같이 사용자 캐릭터(641)이 타 사용자 캐릭터(642)에 특정 동작(여기서는, 일반 공격(근접 공격 또는 타격 공격))을 수행하는 동작이 출력부에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는 복수의 음성 정보를 입력하여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음성 정보 및 제 2 음성 정보를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제 1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제어 명령 및 제 2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제어 명령이 탐색되고, 탐색된 제 1 제어 명령 및 제 2 제어 명령에 따라 온라인 게임 내 타 사용자 캐릭터가 선택되고, 사용자 캐릭터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음성 정보가 제 2 음성 정보가 입력된 시간 순서와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대상 선택 및 사용자 캐릭터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는 음성 정보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음성 정보를 통해 복수의 제어 명령이 탐색되고, 복수의 대상 선택 및 복수의 사용자 캐릭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룹화는 기설정된 하나의 음성 정보에 복수의 타 사용자 캐릭터를 선택 또는 사용자 캐릭터의 복수의 동작 제어 또는 복수의 타 사용자 캐릭터를 선택하면서 사용자 캐릭터의 복수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명령이 하나의 제어수행 단위로서 대응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룹화를 통해 기설정된 하나의 음성 정보를 통해 2개의 타 사용자 캐릭터에게 마법 공격 및 일반 공격을 수행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온라인 게임 내 대상 음절이 동일한 복수의 캐릭터가 존재할 경우, 미리 정해진 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결정된 특정 캐릭터에 대한 제어 명령을 탐색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준의 일례로, 제어 명령에 따른 사용자 캐릭터의 동작은 사용자의 단말에 먼저 출력된 타 사용자 캐릭터에게 우선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미리 정해진 기준의 일례로, 제어 명령에 따른 사용자 캐릭터의 동작은 사용자 캐릭터와 함께 서버에 접속되어 온라인 게임을 수행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캐릭터의 동작은 가장 최근 사용자 캐릭터와 함께 서버에 접속한 타 사용자 캐릭터에게 우선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온라인 게임에서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캐릭터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는,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를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온라인 게임에서 서버가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온라인 게임에 접속 중인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서버와 미리 연동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음성 정보 및 제 2 음성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제 1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제어 명령 및 상기 제 2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제어 명령을 탐색하여, 상기 탐색된 제 1 제어 명령 및 상기 제 2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되, 상기 제 1 음성 정보의 입력과 상기 제 2 음성 정보의 입력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object) 음절 및 동작(movement) 음절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이음동의어로 이루어진 복수의 음성 정보 각각과 대응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 내 상기 대상 음절 및 상기 동작 음절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각각 탐색하되,
    상기 탐색된 하나 이상의 제어 명령을 1 그룹화하여, 상기 1 그룹화 된 제어 명령을 하나의 제어수행 단위로 하여 상기 게임 내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 내 대상 음절이 동일한 복수의 캐릭터 존재 시, 미리 정해진 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결정된 특정 캐릭터에 대한 제어 명령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KR1020170114499A 2017-09-07 2017-09-07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67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499A KR102367489B1 (ko) 2017-09-07 2017-09-07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499A KR102367489B1 (ko) 2017-09-07 2017-09-07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563A true KR20190027563A (ko) 2019-03-15
KR102367489B1 KR102367489B1 (ko) 2022-02-24

Family

ID=6576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499A KR102367489B1 (ko) 2017-09-07 2017-09-07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4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5089A1 (en) * 2019-04-19 2020-10-22 Skydance Media Voice control for virtual reality platform background
CN112516584A (zh) * 2020-12-21 2021-03-19 上海连尚网络科技有限公司 游戏角色的控制方法和装置
CN114931747A (zh) * 2022-07-25 2022-08-23 深圳市景创科技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游戏控制器和智能语音控制方法
CN112516584B (zh) * 2020-12-21 2024-06-04 上海连尚网络科技有限公司 游戏角色的控制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015A (ko) * 2003-07-24 2005-01-31 주식회사 안다미로 음성채팅 및 음성제어가 가능한 아케이드 게임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20110069907A (ko) * 2009-12-18 2011-06-24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음성에 의한 게임객체 선택명령 처리 방법
KR20120071645A (ko) * 2010-12-23 2012-07-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웹페이지의 이질적 데이터 정보융합 제공시스템 및 방법
JP2017118979A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015A (ko) * 2003-07-24 2005-01-31 주식회사 안다미로 음성채팅 및 음성제어가 가능한 아케이드 게임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20110069907A (ko) * 2009-12-18 2011-06-24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음성에 의한 게임객체 선택명령 처리 방법
KR20120071645A (ko) * 2010-12-23 2012-07-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웹페이지의 이질적 데이터 정보융합 제공시스템 및 방법
JP2017118979A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5089A1 (en) * 2019-04-19 2020-10-22 Skydance Media Voice control for virtual reality platform background
US11547930B2 (en) 2019-04-19 2023-01-10 Skydance Media Voice control for virtual reality platform
CN112516584A (zh) * 2020-12-21 2021-03-19 上海连尚网络科技有限公司 游戏角色的控制方法和装置
CN112516584B (zh) * 2020-12-21 2024-06-04 上海连尚网络科技有限公司 游戏角色的控制方法和装置
CN114931747A (zh) * 2022-07-25 2022-08-23 深圳市景创科技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游戏控制器和智能语音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489B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650B1 (ko)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1770419B1 (ko) 프로파일 관리 방법
US102187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speech recognition program profiles for an application
WO2010067605A1 (ja) ペアリングシステム、ペアリング装置、ペアリング装置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947388B (zh) 页面播读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070012406A (ko) 게임 서버 시스템, 게임 요소 제공 방법, 게임 장치 및프로그램 제품
US20220206594A1 (en) Haptic ecosystem
JP2010524136A (ja) 入力メソッドエディタのユーザプロファイル
US11600266B2 (en) Network-based learning model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KR20160133441A (ko) 게임 시스템, 기억 제어 장치, 및 기록 매체
JP5572581B2 (ja) 歌唱情報処理装置及び歌唱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90027563A (ko)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캐릭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60188681A1 (en) Viewing Search Results Using Multiple Different Devices
KR20110135754A (ko) 게임 데이터 연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게임 서비스 시스템
JP586774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用プログラム
JP5218796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カラオケ装置
KR101478576B1 (ko) 게임 진행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30290567A1 (en) Facilitating sharing of setting data in binary format for electronic device
KR102427236B1 (ko) 사용자 음성 정보 기반 온라인 게임 내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10744A (ko) 게임 접속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6157010A (ja) 歌唱評価装置及び歌唱評価用プログラム
JP5646154B2 (ja) ブロックゲーム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20009212A (ja) 連動設定方法、連動用サーバ、ゲームサーバ、マネージメントサーバ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5360435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プログラム
KR20100125931A (ko) 온라인 게임 수정판(mod) 보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