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291A -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 - Google Patents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291A
KR20190027291A KR1020170114182A KR20170114182A KR20190027291A KR 20190027291 A KR20190027291 A KR 20190027291A KR 1020170114182 A KR1020170114182 A KR 1020170114182A KR 20170114182 A KR20170114182 A KR 20170114182A KR 20190027291 A KR20190027291 A KR 20190027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at
control unit
far infrared
infrared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중
박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1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7291A/ko
Publication of KR2019002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9/00Massage for the genitals; Devices for improving sexual intercourse
    • A61H19/30Devices for external stimulation of the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5Cro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 A61H2230/805Weigh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실금 등의 부인과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자 있을 수 있도록 하되, 중앙에 관통공(102)을 구비하고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좌석부(104)와; 상기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6)와; 상기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석부(104)의 외면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108)와; 상기 무게감지센서(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회음부로 진동을 전달해 주는 진동부(110)와; 상기 진동부(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발생부(112)와; 상기 원적외선발생부(112)의 일측에 연결되어 원적외선발생부(112)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관통공(102)을 통해 사용자의 회음부로 조사해 주는 원적외선조사부(1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multi functional Horse-riding typed saddle apparatus}
본 발명은 승마 안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실금 등의 부인과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는 사람이 직접 말을 타서 여러 가지 동작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운동 효과가 뛰어나며, 즐거움과 흥미를 제공한다. 따라서, 승마는 일반인들이 즐기고 싶어하는 스포츠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승마를 즐기기 위해서는 승마장을 방문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승마를 위한 복장을 갖추어야 하는 등 평소에 쉽게 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일반인들이 쉽게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즐거움과 운동 효과를 얻도록 하는 승마용 기구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승마용 기구들은 놀이시설 뿐만 아니라 헬스클럽이나 가정 등에 설치되어 많은 사람들이 즐겨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승마용 기구는 사용자에게 실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안장이 상하로 왕복 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런닝 머신이나 싸이클 헬스기구 등과 같이 많은 힘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을 어렵게 하는 단점을 극복한 승마용 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미를 느끼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승마용 기구는 대부분 안장의 수직운동을 위해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빈번하게 고장이 발생하고, 가격이 비싸며, 복잡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승마를 하는 느낌이 저하되어 운동의 효과 및 흥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6년 01월 13일자 출원번호 제10-2006-0003902호(발명의 명칭 : 승마용 기구)로 출원된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승마용 기구에 있어서, 안장과, 상기 안장에 수직되게 고정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볼의 중심에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승강축이 상기 볼의 중심에 대해 구면운동을 하도록 가이드하는 구면베어링과, 상기 구면베어링을 고정시키는 프레임과,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는 크랭크핀이 일측에 마련됨으로써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축을 승강 및 틸팅시키는 크랭크암과, 상기 크랭크암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승마용 기구. " 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승마용 기구의 안장은 단순히 사용자가 앉자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만 하는바,
요실금 등의 부인과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요실금 등의 부인과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는,
사용자가 앉자 있을 수 있도록 하되, 중앙에 관통공(102)을 구비하고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좌석부(104)와;
상기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6)와;
상기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석부(104)의 외면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108)와;
상기 무게감지센서(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회음부로 진동을 전달해 주는 진동부(110)와;
상기 진동부(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발생부(112)와;
상기 원적외선발생부(112)의 일측에 연결되어 원적외선발생부(112)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관통공(102)을 통해 사용자의 회음부로 조사해 주는 원적외선조사부(114)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는 요실금 등의 부인과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100)는,
사용자가 앉자 있을 수 있도록 하되, 중앙에 관통공(102)을 구비하고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좌석부(104)와;
상기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6)와;
상기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석부(104)의 외면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108)와;
상기 무게감지센서(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회음부로 진동을 전달해 주는 진동부(110)와;
상기 진동부(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발생부(112)와;
상기 원적외선발생부(112)의 일측에 연결되어 원적외선발생부(112)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관통공(102)을 통해 사용자의 회음부로 조사해 주는 원적외선조사부(114)와;
상기 원적외선발생부(1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부(116)와;
상기 음이온발생부(116)의 일측에 연결되어 음이온발생부(116)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을 관통공(102)을 통해 사용자의 회음부로 토출해 주는 음이온토출부(118)와;
상기 음이온발생부(11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열을 사용자의 회음부로 전달해 주는 열발생부(120)와;
상기 열발생부(120)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열발생부(12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122)와;
상기 열발생부(12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의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4)와;
상기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12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100)는 좌석부(104)의 관통공(102)에 삽입되되, 다 수개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원적외선조사부(114), 음이온토출부(118)를 보호하는 보호캡(128)과;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착탈 가능한 지압돌기패드(도시는 생략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압돌기패드는 사용자의 회음부를 지압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100)의 조립과정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100)의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앉자 있을 수 있도록 하되, 중앙에 관통공(102)을 구비하고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좌석부(104)를 위치시킨 후, 상기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제어부(10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무게감지센서(108)를 설치한 후, 상기 무게감지센서(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진동부(11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6)에 진동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발생부(112)를 설치한 후, 상기 원적외선발생부(112)의 일측에 관통공(102)을 통해 사용자의 회음부로 원적외선을 조사해 주는 원적외선조사부(114)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6)에 원적외선발생부(1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원적외선발생부(1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음이온발생부(116)를 설치한 후, 상기 음이온발생부(116)의 일측에 관통공(102)을 통해 사용자의 회음부로 음이온을 토출해 주는 음이온토출부(118)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6)에 음이온발생부(116)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음이온발생부(11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열을 사용자의 회음부로 전달해 주는 열발생부(120)를 설치한 후, 상기 열발생부의 일측에 열감지센서(122)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6)에 열발생부(120) 및 열감지센서(1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열발생부(12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실내의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4)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6)에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126)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6)에 경고음발생부(126)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106)는 무게감지센서(108)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무게감지센서(108)는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게를 감지한 후, 감지된 무게감지값을 제어부(106)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6)는 기 설정된 무게값과 감지된 무게감지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무게값과 보다 감지된 무게감지값이 크면(좌석부(104)의 외면에 사용자가 앉자 있는 것으로 간주), 진동부(110), 원적외선발생부(112), 음이온발생부(116) 및 열발생부(12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진동부(110)는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여 발생된 진동을 사용자의 회음부로 전달한다.
상기 원적외선발생부(112)는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적외선을 발생하여 원적외선을 원적외선조사부(114)로 보낸다. 여기서, 상기 원적외선조사부(114)는 관통공(102)을 통해 원적외선을 사용자의 회음부로 조사한다.
상기 음이온발생부(116)는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이온을 발생하여 음이온을 음이온토출부(118)로 보낸다. 여기서, 상기 음이온토출부(118)는 관통공(102)을 통해 음이온을 사용자의 회음부로 토출한다.
상기 열발생부(120)는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열을 발생하여 발생된 열을 사용자의 회음부로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는 요실금 등의 부인과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6)는 열감지센서(122) 및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4)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열감지센서(122)는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열발생부(12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감지한 후, 감지된 열감지값을 제어부(106)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6)는 기 설정된 열값과 감지된 열감지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열값과 보다 감지된 열감지값이 크면, 열발생부(12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열발생부(120)는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열 발생 동작을 정지한다.
한편,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4)는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감지한 후, 감지된 이산화탄소량감지량값을 제어부(106)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6)는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량값과 감지된 이산화탄소량감지값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이산화탄소량값과 보다 감지된 이산화탄소량감지값이 크면, 경고음발생부(126)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경고음발생부(126)는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실내에 이산화탄소량이 많이 있으니 실내를 환기하라는 경고음을 발생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
104 : 좌석부
106 : 제어부
108 : 무게감지센서
110 : 진동부
112 : 원적외선발생부
114 : 원적외선조사부
116 : 음이온발생부
118 : 음이온토출부
120 : 열발생부
122 : 열감지센서
124 : 이산화탄소감지센서
126 : 경고음발생부

Claims (4)

  1. 사용자가 앉자 있을 수 있도록 하되, 중앙에 관통공(102)을 구비하고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좌석부(104)와;
    상기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6)와;
    상기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석부(104)의 외면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108)와;
    상기 무게감지센서(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회음부로 진동을 전달해 주는 진동부(110)와;
    상기 진동부(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발생부(112)와;
    상기 원적외선발생부(112)의 일측에 연결되어 원적외선발생부(112)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관통공(102)을 통해 사용자의 회음부로 조사해 주는 원적외선조사부(11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
  2. 사용자가 앉자 있을 수 있도록 하되, 중앙에 관통공(102)을 구비하고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좌석부(104)와;
    상기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6)와;
    상기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석부(104)의 외면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108)와;
    상기 무게감지센서(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회음부로 진동을 전달해 주는 진동부(110)와;
    상기 진동부(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발생부(112)와;
    상기 원적외선발생부(112)의 일측에 연결되어 원적외선발생부(112)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관통공(102)을 통해 사용자의 회음부로 조사해 주는 원적외선조사부(114)와;
    상기 원적외선발생부(1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부(116)와;
    상기 음이온발생부(116)의 일측에 연결되어 음이온발생부(116)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을 관통공(102)을 통해 사용자의 회음부로 토출해 주는 음이온토출부(118)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
  3. 사용자가 앉자 있을 수 있도록 하되, 중앙에 관통공(102)을 구비하고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좌석부(104)와;
    상기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106)와;
    상기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석부(104)의 외면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108)와;
    상기 무게감지센서(108)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회음부로 진동을 전달해 주는 진동부(110)와;
    상기 진동부(11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발생부(112)와;
    상기 원적외선발생부(112)의 일측에 연결되어 원적외선발생부(112)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관통공(102)을 통해 사용자의 회음부로 조사해 주는 원적외선조사부(114)와;
    상기 원적외선발생부(1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부(116)와;
    상기 음이온발생부(116)의 일측에 연결되어 음이온발생부(116)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을 관통공(102)을 통해 사용자의 회음부로 토출해 주는 음이온토출부(118)와;
    상기 음이온발생부(11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열을 사용자의 회음부로 전달해 주는 열발생부(120)와;
    상기 열발생부(120)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열발생부(12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122)와;
    상기 열발생부(12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내의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4)와;
    상기 이산화탄소감지센서(12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제어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12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100)는 좌석부(104)의 외면 일측에 착탈 가능한 지압돌기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

















KR1020170114182A 2017-09-06 2017-09-06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 KR20190027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82A KR20190027291A (ko) 2017-09-06 2017-09-06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82A KR20190027291A (ko) 2017-09-06 2017-09-06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291A true KR20190027291A (ko) 2019-03-14

Family

ID=6575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182A KR20190027291A (ko) 2017-09-06 2017-09-06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72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202B1 (ko)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JP6363170B2 (ja) 人を収容し、人の動作の自由を部分的に制限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9265988B2 (en) Exercise apparatus
KR100996592B1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JP2009506863A (ja) 振動吸収支持部を備えたフィットネス装置
US201901180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fitness equipment via a cloud-based networking
JP2007037974A (ja) 可動プラットフォームを有する運動器具
US10123928B2 (en) Musculoskeletal vibration system providing independent vibration and bias control
JP2010240433A (ja) 非接触式センサを用いたゴルフスイング練習装置
KR101188137B1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20110133958A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20160049111A (ko) 타격 훈련용 로봇
KR20190027291A (ko) 다 기능성 케겔용 승마 안장장치
US20040224826A1 (en) Motorized punching bag apparatus and a system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906892B1 (ko) 승마용 운동기구 시스템
JP6222001B2 (ja) 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WO2019169887A1 (zh) 控制旋钮、跑步机、划船机、健身车、椭圆机及力量器械
KR101525960B1 (ko) 싸이클형 운동 기구
JP2007301373A (ja) 運動神経等活性化訓練装置
KR100903968B1 (ko) 등자쇠 운동을 할 수 있는 승마 운동기구
KR20150134771A (ko)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KR101446043B1 (ko) 하나의 구동유닛을 이용하여 등자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장 및 이를 구비한 승마 시뮬레이터
KR101915639B1 (ko) 가상 현실을 이용한 자전거 운동 기구
JP2010075622A (ja) 受動運動器
KR101421117B1 (ko) 승마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