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175A - 다중 투과율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투과율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175A
KR20190027175A KR1020170113913A KR20170113913A KR20190027175A KR 20190027175 A KR20190027175 A KR 20190027175A KR 1020170113913 A KR1020170113913 A KR 1020170113913A KR 20170113913 A KR20170113913 A KR 20170113913A KR 20190027175 A KR20190027175 A KR 20190027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ttering
film
width
transparent portion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665B1 (ko
Inventor
전창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6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부와; 산란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부와 교대로 배치되는 산란부를 포함하는 다중 투과율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투과율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Multi-transmittance film,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과 투과율이 향상된 다중 투과율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의 등에서의 프레젠테이션에서는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자료 화상을 스크린이나 벽에 투영하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발표자는 프레젠테이션 화상 상의 어느 장소에 레이저 광을 투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여, 스크린 등을 가리키면서 프레젠테이션을 하게 된다.
한편,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음극선관 표시장치(CRT)에 비해 박형, 경량화된 액정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가 활발하게 연구 및 제품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에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하여 프레젠테이션이 진행되는데, 일반적인 평판표시장치에서는 레이저 포인터가 시인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평판표시장치의 표시면 측에 산란입자층을 형성하고, 산란입자에 의한 레이저 포인터의 산란을 이용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 프레젠테이션용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표시장치(1)는, 표시패널(10)과, 상기 표시패널(10)의 표시면 측을 덮는 커버윈도우(20)와, 상기 커버윈도우(20) 상에 위치하며 산란입자(미도시)를 포함하는 산란입자층(3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커버윈도우(20)는 상기 표시패널(10)과 상기 산란입자층(30)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1)에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 광이 조사되면 상기 산란입자층(30)의 산란입자에 의해 레이저 광이 산란되어 레이저 광이 시인된다. 따라서, 표시장치(1)를 이용한 프레젠테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에서 레이저광의 시인성은 향상되나 산란입자에 의해 투과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레이저 광이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조사되는 경우 정면 시야각에서는 레이저 광의 확산 정도가 부족하여 레이저 광의 시인에 문제가 있고, 레이저 광이 측면에서 조사되는 경우 반대 측면 시야각에서는 레이저 광의 전반사 산란으로 인해 눈부심 문제가 발생하며 정면 시야각에서는 레이저 광의 전반사 산란으로 인해 레이저 광의 시인정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산란입자의 크기가 작아 충분한 산란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 광의 시인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프레젠테이션에 이용되는 종래 표시장치에서의 투과율 저하, 시야각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저하 또는 눈부심 발생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투명부와; 산란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부와 교대로 배치되는 산란부를 포함하는 다중 투과율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일측에 위치하는 전술한 다중 투과율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미세입자가 포함된 리시버 필름 상에 제 2 미세입자가 포함된 도너 필름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도너 필름 상부로 제 1 영역에 마스크를 위치시키고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2 영역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단계와; 상기 도너 필름을 상기 리시버 필름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 필름의 상기 제 2 영역에는 상기 제 1 미세입자와 상기 제 2 미세입자가 연결된 산란입자가 형성되는 다중 투과율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중 투과율 필름은 산란입자를 포함하는 산란부와, 이와 교대로 배열되는 투명부를 포함하여, 산란부에 의해 레이저 광이 시인되고 투명부에 의해 투과율이 향상된다.
또한, 이와 같은 다중 투과율 필름은 제 1 입자를 포함하는 도너 필름과 제 2 입자를 포함하는 리시버 필름을 부착시킨 후 일부 영역에 UV를 조사하여 형성됨으로써, 투명부와 산란부가 교대로 배치되는 다중 투과율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산란부 내 산란입자가 충분한 크기를 가져 레이저 광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 투과율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서는, 레이저 시인성이 향상되고 투과율 저하의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투명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하드코팅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다중 투과율 필름의 손상이 방지되고 시야각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저하 또는 눈부심 발생 문제가 방지된다.
더욱이, 다중 투과율 필름에서 중앙과 가장자리에서 산란부 (및/또는 투명부)의 폭을 달리하거나 산란부 내 산란입자의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표시장치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프레젠테이션용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투과율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투과율 필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투과율 필름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투과율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표시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투과율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 투과율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투명부와; 산란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부와 교대로 배치되는 산란부를 포함하는 다중 투과율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중 투과율 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와 상기 산란부 각각은 라인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중 투과율 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와 상기 산란부는 체크 패턴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중 투과율 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는 중앙의 제 1 투명부와 상기 제 1 투명부 외측의 제 2 투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투명부는 제 1 폭을 가지며 상기 제 2 투명부는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중 투과율 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부 사이의 제 3 투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투명부는 상기 제 1 폭보다 크고 상기 제 2 폭보다 작은 제 3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중 투과율 필름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중앙의 제 1 산란부와 상기 제 1 산란부 외측의 제 2 산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산란부는 제 4 폭을 가지며 상기 제 2 산란부는 상기 제 4 폭보다 작은 제 5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중 투과율 필름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산란부 사이의 제 3 산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산란부는 상기 제 1 폭보다 작고 상기 제 2 폭보다 큰 제 3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중 투과율 필름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중앙의 제 1 산란부와 상기 제 1 산란부 외측의 제 2 산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란입자는 상기 제 1 산란부에서 제 1 밀도를 갖고 상기 제 2 산란부에서 상기 제 1 밀도보다 작은 제 2 밀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중 투과율 필름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산란부 사이의 제 3 산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란입자는 제 3 산란부에서 상기 제 1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 2 밀도보다 큰 제 3 밀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중 투과율 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는 제 1 미세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산란입자의 크기는 상기 제 1 미세입자보다 크다.
본 발명의 다중 투과율 필름에 있어서, 상기 산란입자는 상기 제 1 미세입자와, 제 2 미세입자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일측에 위치하는 전술한 다중 투과율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패널 일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투명부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하드코팅 필름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제 1 미세입자가 포함된 리시버 필름 상에 제 2 미세입자가 포함된 도너 필름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도너 필름 상부로 제 1 영역에 마스크를 위치시키고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2 영역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단계와; 상기 도너 필름을 상기 리시버 필름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 필름의 상기 제 2 영역에는 상기 제 1 미세입자와 상기 제 2 미세입자가 연결된 산란입자가 형성되는 다중 투과율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중 투과율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세입자의 크기는 상기 제 1 미세입자보다 크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투과율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투과율 필름(100)은 투명부(110)와, 산란입자(122)를 포함하며 투명부(110)와 교대로 배치된 산란부(120)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부(110)와 상기 산란부(120)의 폭은 같을 수 있고, 상기 투명부(110)와 상기 산란부(120)의 베이스 물질은 서로 같다.
상기 산란입자(122)는 약 200~400nm의 크기를 가져 조사되는 빛, 예를 들어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 광을 산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부(110)는 약 1.48~1.5의 굴절률을 갖고, 상기 산란부(120)는 상기 산란입자(122)에 의해 굴절률이 증가하여 약 1.55~1.65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투명부(110)의 굴절률은 상기 산란부(120)의 굴절률보다 작다.
또한, 상기 투명부(110)는 상기 산란입자(122)보다 작은 미세입자(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세입자는 약 50~15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광은 약 200nm 이상의 크기를 갖는 입자에 의해 산란되기 때문에, 상기 투명부(110)가 미세입자를 포함하더라도 상기 투명부(110)에서는 빛의 산란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100)에서, 상기 투명부(110)는 제 1 투과율을 갖고 상기 산란부(120)은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작은 제 2 투과율을 갖는다.
상기 투명부(110)는 표시장치에 조사된 레이저 포인터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레이저 포인터가 정확히 투명부(110)에 조사되더라도, 투명부(110)의 폭이 레이저 포인터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 레이저 포인터는 인접한 산란부(120)에도 조사되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다중 투과율 필름(100)에서는, 상기 산란부(120)에 의해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 광이 산란되어 시인성이 향상되고 상기 투명부(110)에 의해 투과율이 향상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투과율 필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투과율 필름(100)에서, 투명부(110)와, 산란입자(122)를 포함하는 산란부(120) 각각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라인 형상을 가지며 서로 교대로(엇갈려)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투명부(110)와 상기 산란부(120) 각각의 연장 방향은 다중 투과율 필름(100)의 단축 방향과 평행한 것이 보여지고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투명부(110)와 상기 산란부(120) 각각의 연장 방향은 다중 투과율 필름(100)의 장축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투과율 필름(100)에서, 투명부(110)와, 산란입자(122)를 포함하는 산란부(120)는 행과 열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100)에서, 다수의 투명부(110)와 다수의 산란부(120)가 체크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투과율 필름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미세입자(112)를 포함하는 리시버 필름(130, receiver film) 상에 제 2 미세입자(114)를 포함하는 도너 필름(140, donor film)를 위치시킨다.
상기 리시버 필름(130)과 상기 도너 필름(140) 각각은 티올기를 갖는 링커제(또는 가교제)와 아크릴 말단기를 갖는 모노머(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입자(112, 114) 각각의 말단에는 아크릴 모이어티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시버 필름(130)에서, 티올기를 갖는 링커제는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고 아크릴 말단의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며, 상기 제 1 미세입자(112)에는 하기 화학식3의 모이어티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너 필름(140)에서, 티올기를 갖는 링커제는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고 아크릴 말단의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4로 표시되며, 상기 제 2 미세입자(114)에는 하기 화학식5의 모이어티가 연결될 수 있다.
[화학식1]
Figure pat00001
[화학식2]
Figure pat00002
[화학식3]
Figure pat00003
[화학식4]
Figure pat00004
[화학식5]
Figure pat00005
화학식3에서, n은 1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입자(112, 114) 각각은 Zr, Si, Ti 입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약 50~15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너 필름(140)이 상기 리시버 필름(13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너 필름(140) 상부로 상기 도너 필름(140)의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마스크(150)를 배치한다.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150) 측에서 UV가 조사된다. 예를 들어, 365nm 파장의 UV가 조사될 수 있다.
UV가 조사되면, 상기 도너 필름(140)에서 상기 제 2 미세입자(114)의 라디칼이 생성되고 상기 제 2 미세입자(114)의 라디칼은 상기 리시버 필름(130)으로 전이되어 상기 리시버 필름(130) 내 상기 제 1 미세입자(112)와 반응한다. 따라서, 상기 리시버 필름(130)의 제 2 영역에는 상기 제 1 미세입자(112)와 상기 제 2 미세입자(114)가 결합(또는 연결)되어 산란입자(122)가 생성된다.
상기 산란입자(122)는 약 200~40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산란입자(122)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입자(112, 114)는 짧은 탄소 체인(예를 들어 C1~C2) 또는 유기물 체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종류, 예를 들어 Zr인 제 1 및 제 2 미세입자(112, 114)가 연결되어 산란입자(122)를 형성하거나, 다른 제 1 및 제 2 미세입자(112, 114)가 연결되어 산란입자(12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UV는 상기 마스크(150)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입자(112, 114) 각각이 상기 리시버 필름(130)과 상기 도너 필름(140)에 존재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도 4b의 150)를 제거하고, 상기 리시버 필름(130)과 상기 도너 필름(140)을 분리함으로써 투명부(110)와 산란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산란부(120)에는 산란입자(120)가 포함된 다중 투과율 필름(10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산란부(120)의 상기 산란입자(122)는 약 200~400nm의 크기를 가져 조사되는 빛, 예를 들어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 광을 산란시키고 이에 의해 레이저 포인터가 시인된다. 한편, 상기 투명부(110)에도 제 1 미세입자(112)가 존재하지만, 상기 제 1 미세입자(112)는 약 50~150nm의 크기를 가져 빛을 산란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투명부(110)에 레이저 광이 조사되더라도 시인되지 못하며, 상기 투명부(110)에 의해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100)의 투과율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미세입자(112, 114) 각각은 Zr, Si, Ti 입자 중 어느 하나이고 이들 각각은 약 50~15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산란입자(122)에 의한 광 산란 향상과 상기 투명부(110) 내 제 1 미세입자(112)에 의한 투과율 저하 감소를 위해, 상기 제 1 미세입자(112)의 크기는 상기 제 2 미세입자(114)보다 작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투과율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200)는 표시패널(201)과, 상기 표시패널(201) 상에 위치하는 다중 투과율 필름(100)과,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100) 상에 위치하는 하드코팅 필름(202)을 포함한다. 즉,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100)은 상기 표시패널(201)과 상기 하드코팅 필름(20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표시패널(201)은 발광다이오드 패널 또는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다이오드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인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201)은 기판기판(210)과, 상기 기판기판(210) 상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Tr)와, 상기 기판(210)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D)와, 상기 발광다이오드(D)를 덮는 인캡슐레이션 필름(2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210)은 유리기판일 수 있으며, 메탈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21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210) 상에는 버퍼층(220)이 형성되고, 상기 버퍼층(22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된다. 상기 버퍼층(220)은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220)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220) 상에는 반도체층(230)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230)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230)이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반도체층(230) 하부에는 차광패턴(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광패턴은 반도체층(230)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도체층(230)이 빛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반도체층(230)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반도체층(230)의 양 가장자리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층(23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240)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40)은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40)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250)이 반도체층(230)의 중앙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 6a에서는, 게이트 절연막(240)이 기판(210)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게이트 절연막(240)은 게이트 전극(25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5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252)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252)은 산화 실리콘이나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형성되거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이나 포토 아크릴(photo-acryl)과 같은 유기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252)은 상기 반도체층(230)의 양측을 노출하는 제 1 및 제 2 콘택홀(254, 256)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콘택홀(254, 256)은 게이트 전극(250)의 양측에 게이트 전극(25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콘택홀(254, 256)은 게이트 절연막(240) 내에도 형성된다. 이와 달리, 게이트 절연막(240)이 게이트 전극(25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경우, 제 1 및 제 2 콘택홀(254, 256)은 층간 절연막(252) 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252) 상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소스 전극(260)과 드레인 전극(262)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260)과 드레인 전극(262)은 상기 게이트 전극(250)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홀(254, 256)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230)의 양측과 접촉한다.
상기 반도체층(230)과, 상기 게이트전극(250), 상기 소스 전극(260), 상기 드레인전극(262)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이루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구동 소자(driving element)로 기능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상기 반도체층(230)의 상부에 상기 게이트 전극(250), 상기 소스 전극(260) 및 상기 드레인 전극(262)이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를 가진다.
이와 달리, 박막트랜지스터(Tr)는 반도체층의 하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고 반도체층의 상부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위치하는 역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가 더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구동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다.
또한, 파워 배선이 상기 게이트 배선 또는 상기 데이터 배선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일 프레임(frame) 동안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전극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상기 드레인 전극(262)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266)을 갖는 보호층(264)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덮으며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264)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266)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상기 드레인 전극(262)에 연결되는 제 1 전극(270)이 각 화소 영역 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270)은 애노드(anode)일 수 있으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27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I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264)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27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276)이 형성된다. 상기 뱅크층(276)은 상기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전극(270)의 중앙을 노출한다.
상기 제 1 전극(270) 상에는 발광층(272)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층(272)은 유기발광물질 또는 양자점과 같은 무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272)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지는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의 단일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발광층(272)은 상기 제 1 전극(270) 상에 순차 적층되는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물질층,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층(272)이 형성된 상기 기판(210) 상부로 제 2 전극(27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274)은 표시영역의 전면에 위치하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캐소드(cathode)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274)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lMg)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70), 상기 발광층(272) 및 상기 제 2 전극(274)은 발광다이오드(D)를 이룬다.
상기 제 2 전극(274) 상에는, 외부 수분이 상기 발광다이오드(D)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캡슐레이션 필름(encapsulation film, 280)이 형성된다.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280)은 제 1 무기 절연층(282)과, 유기 절연층(284)과 제 2 무기 절연층(286)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280) 상에는 외부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편광판(290)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판은 원형 편광판일 수 있다. 그러나, 외부광에 의한 명암비 저하의 문제가 없다면, 상기 편광판(290)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도 5의 100)은 상기 편광판(290) 상에 위치하거나 터치패널(미도시)을 개재하여 상기 편광판(29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액정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인 도 6b를 참조하면, 액정패널(201)은,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기판(310, 350)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310, 350) 사이에 개재되며 액정분자(362)를 포함하는 액정층(36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310) 상에는 제 1 버퍼층(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버퍼층(32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버퍼층(320)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버퍼층(320) 상에는 게이트 전극(322)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322)을 덮으며 게이트 절연막(3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퍼층(320) 상에는 상기 게이트 전극(322)과 연결되는 게이트 배선(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324) 상에는 반도체층(326)이 상기 게이트 전극(322)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326)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도체층(326)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액티브층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오믹 콘택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326) 상에는 서로 이격하는 소스 전극(330)과 드레인 전극(3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스 전극(330)과 연결되는 데이터 배선(미도시)이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322), 상기 반도체층(326), 상기 소스 전극(330) 및 상기 드레인 전극(332)은 박막트랜지스터(Tr)를 구성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 상에는, 상기 드레인 전극(332)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336)을 갖는 보호층(334)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334)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336)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332)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340)과, 상기 화소 전극(340)과 교대로 배열되는 공통 전극(34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기판(350) 상에는 제 2 버퍼층(352)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버퍼층(352) 상에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 상기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 등 비표시영역을 가리는 블랙매트릭스(354)가 형성된다. 또한,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컬러필터층(356)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버퍼층(352)과 상기 블랙매트릭스(354)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310, 350)은 액정층(360)을 사이에 두고 합착되며, 상기 화소 전극(340)과 상기 공통 전극(342)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층(360)의 액정분자(362)가 구동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310, 350) 각각의 외측에는 서로 수직한 투과축을 갖는 제 1 및 제 2 편광판(372, 374)이 부착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액정층(360)과 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310, 350) 각각의 상부에는 배향막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기판(310) 하부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도 5의 100)은 상기 제 2 편광판(374) 상에 위치하거나 터치패널(미도시)을 개재하여 상기 제 2 편광판(374)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100)은 투명부(110)와 약 200~400nm의 크기를 갖는 산란입자(122)를 포함하는 산란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201)로부터의 영상은 상기 투명부(110)를 통과하여 표시되고, 표시장치(200)에 대하여 레이저 광이 조사되면 상기 산란부(120)에 의해 레이저 광이 시인된다.
즉,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100)의 상기 산란부(120)에 의해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이 향상되며,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100)의 상기 투명부(110)에 의해 표시장치(200)의 투과율 저하가 최소화된다.
상기 산란부(120)에 의한 투과율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산란부(120)는 발광다이오드패널(201)의 뱅크층(도 6a의 276) 또는 액정패널(201)의 블랙매트릭스(도 6b의 354)와 같은 비표시영역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필름(202)은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100)을 보호하며 상기 투명부(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다.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100)에는 입자(제 1 미세입자(도 4c의 112) 및 산란입자(122))가 포함되기 때문에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100)의 표면 경도가 저하되는데, 상기 하드코팅 필름(202)에 의해 다중 투과율 필름(1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산란입자(122)에 의한 전반사 산란으로 인해 시야각에 따른 레이저 광의 산란 편차가 상기 하드코팅 필름(202)에 의해 감소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투명부(110)와 산란입자(122)가 구비된 산란부(120)를 포함하는 다중 투과율 필름(100)에 의해 투과율과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이 확보된다. 또한, 투명부(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하드코팅 필름(202)에 의해 다중 투과율 필름(100)의 손상이 방지되고 시야각에 따른 레이저 시인성 편차 및 눈부심 발생 문제가 방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투과율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투과율 필름(400)은 투명부(410)와, 산란입자(422)를 포함하며 투명부(410)와 교대로 배치된 산란부(420)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부(410)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투명부(410a)와 상기 제 1 투명부(410a) 외측의 제 2 (410b)를 포함하며 상기 산란부(420)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산란부(420a)와 상기 제 1 산란부(420a)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산란부(42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투명부(410a)는 제 1 폭(w1)을 갖고 상기 제 2 투명부(410a)는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w2)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 1 산란부(420a)는 제 3 폭(w3)을 갖고 상기 제 2 산란부(420b)는 상기 제 3 폭(w3)보다 작은 제 4 폭(w4)을 갖는다.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400)을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프레젠테이션에 이용되는 경우, 레이저 포인터는 표시영역의 중앙에 주로 조사된다. 따라서, 다중 투과율 필름(400)의 중앙에서는 상기 산란부(420)의 폭을 증가시켜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가장자리에서는 상기 투명부(410)의 폭을 증가시켜 표시장치의 투과율을 향상시킨다.
즉,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400)은 중앙에서 제 1 투과율을 갖고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큰 제 2 투과율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c를 통해 설명한 다중 투과율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마스크(150)의 크기(폭)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투명부(410)와 상기 산란부(420)이 위치에 따라 다른 폭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중앙에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과 가장자리에서 투과율을 고려할 때, 상기 제 1 투명부(410a)의 제 1 폭(w1)은 상기 제 1 산란부(420a)의 제 3 폭(w3)과 같거나 이보다 작고 상기 제 2 투명부(410b)의 제 2 폭(w2)은 상기 제 2 산란부(420b)의 제 4 폭(w4)과 같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산란입자(422)는 상기 제 1 및 제 2 산란부(420a, 420b)에서 동일한 밀도를 갖는다. 이와 달리, 상기 제 1 산란부(420a)에서의 산란입자(422) 밀도는 상기 제 2 산란부(420b)에서의 산란입자(422) 밀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부(410)는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부(410a, 410b)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투명부(410c)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3 투명부(410c)는 상기 제 1 폭(w1)보다 크고 상기 제 2 폭(w2)보다 작은 제 5 폭(w5)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란부(420)는 상기 제 1 및 제 2 산란부(420a, 420b)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산란부(420c)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3 산란부(420c)는 상기 제 3 폭(w3)보다 작고 상기 제 4 폭(w4)보다 큰 제 6 폭(w6)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5 폭(w5)과 상기 제 6 폭(w6)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400)은 중앙에서 제 1 투과율을 갖고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큰 제 2 투과율을 가지며, 중앙과 가장자리 사이 영역에서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크고 상기 제 2 투과율보다 작은 제 3 투과율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부(410)의 폭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산란부(420)의 폭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400)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투과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산란입자(422)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산란부(420a, 420b, 420c)에서 동일한 밀도를 갖는다. 이와 달리, 상기 제 3 산란부(420c)에서의 산란입자(422) 밀도는 상기 제 1 산란부(420b)에서의 산란입자(422)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 2 산란부(420b)에서의 산란입자(422)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란입자(422)의 밀도는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중 투과율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투과율 필름(500)은 투명부(510)와, 산란입자(522)를 포함하며 투명부(510)와 교대로 배치된 산란부(520)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부(510)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투명부(510a)와 상기 제 1 투명부(510a) 외측의 제 2 (510b)를 포함하며 상기 산란부(520)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산란부(520a)와 상기 제 1 산란부(520a)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산란부(52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산란입자(522)는 상기 제 1 산란부(520a)에서 제 1 밀도를 갖고 상기 제 2 산란부(520b)에서 상기 제 1 밀도보다 작은 제 2 밀도를 갖는다.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500)을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프레젠테이션에 이용되는 경우, 레이저 포인터는 표시영역의 중앙에 주로 조사된다. 따라서, 다중 투과율 필름(500)의 중앙에서는 상기 산란부(520) 내 산란입자(522)의 밀도를 증가시켜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가장자리에서는 상기 산란부(520) 내 산란입자(522)의 밀도를 감소시켜 표시장치의 투과율을 향상시킨다.
즉,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500)은 중앙에서 제 1 투과율을 갖고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큰 제 2 투과율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c를 통해 설명한 다중 투과율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마스크(150)를 이용한 노광 공정의 UV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산란입자(522)가 위치에 따라 다른 밀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란부(520)는 상기 제 1 및 제 2 산란부(520a, 520b)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산란부(520c)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산란입자(522)는 상기 제 3 산란부(520c)에서 상기 제 1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 2 밀도보다 큰 제 3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500)은 중앙에서 제 1 투과율을 갖고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큰 제 2 투과율을 가지며, 중앙과 가장자리 사이 영역에서 상기 제 1 투과율보다 크고 상기 제 2 투과율보다 작은 제 3 투과율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산란입자(522)의 밀도는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500)은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투과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400, 500: 다중 투과율 필름
110, 410, 410a, 410b, 410c, 510, 510a, 510b, 510c: 투명부
120, 420, 420a, 420b, 420c, 520, 520a, 520b, 520c: 산란부
112, 114: 미세입자 122, 422, 522: 산란입자
200: 표시장치 201: 표시패널
202: 하드코팅 필름

Claims (15)

  1. 투명부와;
    산란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부와 교대로 배치되는 산란부
    를 포함하는 다중 투과율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와 상기 산란부 각각은 라인 형태를 갖는 다중 투과율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와 상기 산란부는 체크 패턴으로 배치되는 다중 투과율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는 중앙의 제 1 투명부와 상기 제 1 투명부 외측의 제 2 투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투명부는 제 1 폭을 가지며 상기 제 2 투명부는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갖는 다중 투과율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부 사이의 제 3 투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투명부는 상기 제 1 폭보다 크고 상기 제 2 폭보다 작은 제 3 폭을 갖는 다중 투과율 필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중앙의 제 1 산란부와 상기 제 1 산란부 외측의 제 2 산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산란부는 제 4 폭을 가지며 상기 제 2 산란부는 상기 제 4 폭보다 작은 제 5 폭을 갖는 다중 투과율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산란부 사이의 제 3 산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산란부는 상기 제 1 폭보다 작고 상기 제 2 폭보다 큰 제 3 폭을 갖는 다중 투과율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중앙의 제 1 산란부와 상기 제 1 산란부 외측의 제 2 산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란입자는 상기 제 1 산란부에서 제 1 밀도를 갖고 상기 제 2 산란부에서 상기 제 1 밀도보다 작은 제 2 밀도를 갖는 다중 투과율 필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산란부 사이의 제 3 산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란입자는 제 3 산란부에서 상기 제 1 밀도보다 작고 상기 제 2 밀도보다 큰 제 3 밀도를 갖는 다중 투과율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는 제 1 미세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산란입자의 크기는 상기 제 1 미세입자보다 큰 다중 투과율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입자는 상기 제 1 미세입자와, 제 2 미세입자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다중 투과율 필름.
  12.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의 다중 투과율 필름
    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투과율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패널 일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투명부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하드코팅 필름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 1 미세입자가 포함된 리시버 필름 상에 제 2 미세입자가 포함된 도너 필름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도너 필름 상부로 제 1 영역에 마스크를 위치시키고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2 영역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단계와;
    상기 도너 필름을 상기 리시버 필름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 필름의 상기 제 2 영역에는 상기 제 1 미세입자와 상기 제 2 미세입자가 연결된 산란입자가 형성되는 다중 투과율 필름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세입자의 크기는 상기 제 1 미세입자보다 큰 다중 투과율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70113913A 2017-09-06 2017-09-06 다중 투과율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53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913A KR102534665B1 (ko) 2017-09-06 2017-09-06 다중 투과율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913A KR102534665B1 (ko) 2017-09-06 2017-09-06 다중 투과율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175A true KR20190027175A (ko) 2019-03-14
KR102534665B1 KR102534665B1 (ko) 2023-05-18

Family

ID=6575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913A KR102534665B1 (ko) 2017-09-06 2017-09-06 다중 투과율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6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9102A (ja) * 1987-04-03 1988-10-17 Mitsubishi Rayon Co Ltd 光むら除去シ−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3083564A1 (en) * 2002-04-01 2003-10-09 Hunatech Co., Ltd. Light guiding panel formed with minute recesses by a sand blasting process and a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KR20070109555A (ko) * 2006-05-11 200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JP2014238474A (ja) * 2013-06-07 2014-12-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スクリーン
KR20150144842A (ko) * 2014-06-17 2015-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18977A (ko) * 2014-08-08 2016-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9102A (ja) * 1987-04-03 1988-10-17 Mitsubishi Rayon Co Ltd 光むら除去シ−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3083564A1 (en) * 2002-04-01 2003-10-09 Hunatech Co., Ltd. Light guiding panel formed with minute recesses by a sand blasting process and a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KR20070109555A (ko) * 2006-05-11 200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JP2014238474A (ja) * 2013-06-07 2014-12-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スクリーン
KR20150144842A (ko) * 2014-06-17 2015-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18977A (ko) * 2014-08-08 2016-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665B1 (ko)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22490B (zh) 覆盖板和包括覆盖板的可折叠显示装置
CN108122489B (zh) 覆盖窗口和包括该覆盖窗口的可折叠显示装置
US9575228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lor conversion layer
US8410484B2 (en) Flat display device with a dummy pixel integrally formed in a peripheral region
US766780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2914901A (zh) 显示面板和使用该显示面板的显示设备
KR10132341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73310B1 (ko) 표시 장치
KR20080097769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651571B (zh) 顯示零件及顯示裝置
CN101158774B (zh) 液晶显示面板和液晶显示装置
JP3464945B2 (ja) 液晶表示装置
CN1249501C (zh) 电光装置以及电子设备
KR20170081116A (ko) 거울형 표시장치
KR102534665B1 (ko) 다중 투과율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07309965A (ja) 液晶表示装置
KR20180069521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10031010A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소자
KR101697587B1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24823A (ko) 액정표시장치
KR100936817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369189B1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20240105897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67076B1 (ko) 플라스틱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25677A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