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620A - 이중 연료 시스템을 갖춘 대형 2 행정 압축 점화 내연기관 - Google Patents

이중 연료 시스템을 갖춘 대형 2 행정 압축 점화 내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620A
KR20190026620A KR1020180105157A KR20180105157A KR20190026620A KR 20190026620 A KR20190026620 A KR 20190026620A KR 1020180105157 A KR1020180105157 A KR 1020180105157A KR 20180105157 A KR20180105157 A KR 20180105157A KR 20190026620 A KR20190026620 A KR 20190026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engine
injection system
pump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380B1 (ko
Inventor
칼토프트 요한
에스. 안데르센 요에른
센커 폴
Original Assignee
만 에너지 솔루션즈, 필리알 아프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티스크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에너지 솔루션즈, 필리알 아프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티스크란드 filed Critical 만 에너지 솔루션즈, 필리알 아프 만 에너지 솔루션즈 에스이, 티스크란드
Publication of KR20190026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3/00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ing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fuels, or on a liquid fuel and another liquid, e.g. the other liquid being an anti-knock additive
    • F02M43/02Pumps peculiar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84High pressure fuel injection systems; Details on pumps, rails or the arrangement of 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simultaneously using pluralities of fuels
    • F02D19/081Adjusting the fuel composition or mixing ratio; Transitioning from one fuel to the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41Means for damping pressure puls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7/00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02M47/02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of accumulator-injector type, i.e. having fuel pressure of accumulator tending to open, and fuel pressure in other chamber tending to close, injection valves and having means for periodically releasing that closing pressure
    • F02M47/025Hydraulically actuated valves draining the chamber to release the clos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5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tw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크로스헤드 유형의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관 내연기관(9)은 제1 유형 연료를 엔진의 실린더에 전달하는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을 포함하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은 유압 동력 펌프(43) 및/또는 제1 유형 연료를 가압하는 압력 부스터를 포함하며, 제2 유형 연료를 엔진의 실린더에 전달하는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을 포함하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은 유압 동력 펌프(43) 및/또는 제2 유형 연료를 가압하는 압력 부스터(39)를 포함하며, 유압 펌프 스테이션(22)은 복수의 기계 구동 유압 펌프(24, 25)를 포함하며, 기계 구동 펌프(24, 25)는 엔진의 동력 인출 장치로 구동된다. 엔진은 제1 연료 또는 제2 연료로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은 엔진이 제1 연료로 작동할 때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유압 동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은 엔진이 제2 연료로 작동할 때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유압 동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중 연료 시스템을 갖춘 대형 2 행정 압축 점화 내연기관{A LARGE TWO-STROKE COMPRESSION-IGN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DUAL FUEL SYSTEMS}
본 개시는 이중 연료 시스템을 갖춘 대형 2 행정 압축 점화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대형 2 행정 단류(uniflow) 터보차징 압축 점화 내연 크로스헤드 엔진은 통상적으로 대형 선박의 추진 시스템이나 발전소의 원동기로 사용되고 있다. 엄청난 크기, 무게 및 동력 출력으로 이 엔진은 일반 연소 엔진과 아주 다르며, 대형 2 행정 터보 차칭 압축 내연기관은 그 자체가 하나의 클래스로 분류된다.
대형 2 행정 압축 점화 내연기관은 전통적으로 연료유나 중유 등과 같은 액체 연료로 작동한다. 그러나 환경 측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천연가스, 석유 가스, 메탄올, 에탄올, 석탄 슬러리, 석유 코크스 등과 같은 대체 유형 연료를 사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가스는 일반적으로 액체 형태로 저장하지만 기체 형태로 분사된다.
이러한 대체 유형 연료는 특성이 기존의 연료 펌프로 처리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일부는 석탄 슬러리와 같이 연마성이 있으며, 일부는 휘발유 또는 에탄올과 같이 윤활 품질이 매우 떨어지며, 일부는 액화 가스(극저온 연료)와 같이 극저온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적용에서 엔진은 선박용 디젤유 또는 중유와 같은 기존 연료와 액화 가스 또는 에탄올과 같은 대체의 환경 친화 연료 중 하나에 의해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전용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이 사용하는 연료 유형마다 필요하다. 이와 같은 두 개의 별도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 요구로 엔진 구성을 위한 초기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엔진 복잡성과 유지보수 비용도 증가한다.
따라서 추가 비용과 복잡성을 없애거나 적어도 낮추어 두 가지 유형의 연료를 처리할 수 있는 엔진이 필요하다.
위에 언급한 문제를 극복하거나 적어도 줄이는 엔진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과 다른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 구현 형태는 종속 청구항, 설명 및 도면으로 명백하다.
제1 양태에 따르면, 크로스헤드 유형의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이 제공되며, 상기 엔진은,
엔진의 실린더에 제1 유형 연료를 전달하는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으로서 유압 동력 펌프 및/또는 제1 유형 연료를 가압하는 압력 부스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
엔진의 실린더에 제2 유형의 연료를 전달하는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으로서 유압 동력 펌프 및/또는 제2 유형의 연료를 가압하는 압력 부스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 및
복수의 기계 구동 유압 펌프를 포함하는 유압 펌핑 스테이션으로서 기계 구동 펌프는 엔진의 동력 인출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핑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은 제1 연료 또는 제2 연료로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압 펌핑 스테이션은 엔진이 제1 연료로 작동할 때 유압 동력을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엔진이 제2 연료로 작동할 때 유압 동력을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두 개의 연료 공급 시스템 중 하나에 동력을 유연하게 공급할 수 있는 단일 유압 펌핑 스테이션을 제공함으로써 각 연료 공급 시스템 전용의 유압 펌핑 스테이션을 피할 수 있으므로 비용과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엔진은 엔진이 제1 유형 연료와 제2 유형 연료로 작동할 때 모두 작동하는 유압 동력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펌핑 스테이션은 엔진이 제1 유형 연료와 제2 유형 연료로 작동할 때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에 유압 동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복수의 기계 구동 펌프 중 선택된 그룹은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과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유압 동력을 전용으로 공급하며, 상기 복수의 기계 구동 펌프 중 하나 이상의 비전용 펌프는 엔진이 제2 유형 연료로 작동할 때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유압 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비전용 펌프의 출구 측 제1 전자 제어 밸브는 제1 도관이나 제2 도관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1 도관은 제1 전자 제어 밸브를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연결하고 제2 도관은 제1 전자 제어 밸브를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연결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필요한 제1 유압(P1)은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필요한 제2 유압(P2)보다 적어도 낮은 특정한 엔진 작동 조건에 있으며, 제1 도관은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유압 펌핑 스테이션과 함께 연결하고 제2 도관은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유압 펌핑 스테이션과 함께 연결하며, 제1 도관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에 공급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유압 부스터 펌프는 펌핑 스테이션에 의해 전달된 제1 압력(P1)을 제2 압력(P2)으로 증압하는 제2 도관에 배치되며, 유압 부스터 펌프는 바람직하게는 유압 모터 또는 전기 구동 모터로 구동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유압 감압 밸브 장치는 펌핑 스테이션에 의해 전달된 제2 압력(P2)을 제1 압력(P1)으로 감압하는 제1 도관에 배치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복수의 기계 구동 펌프 중 선택된 그룹은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과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유압 동력을 전용으로 공급하며, 복수의 기계 구동 펌프 중 하나 이상의 가변 용량 전용 펌프는 엔진이 제2 유형 연료로 작동될 때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유압 동력을 제공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기계 구동 펌프는 가변 용량 유압 펌프이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엔진은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 및 유압 펌핑 스테이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다음을 하도록 구성된다.
제1 유형의 연료로부터 제2 유형의 연료로 작동을 전환하라는 지시를 받으면, 유압 펌핑 스테이션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 동력의 일부를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으로부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해,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을 점차 줄이고(ramp down),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을 점차 늘린다(ramp up).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전자제어장치는 제2 유형의 연료로부터 제1 유형의 연료로 작동을 전환하라는 지시를 받으면,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을 점차 늘리고,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을 점차 줄여, 유압 펌핑 스테이션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 동력의 일부를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으로부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공급되는 유압 동력은 압축기를 구동하는 유압 회전 모터 또한 공급하며, 상기 압축기는 기체 형태의 제2 유형 연료를 압축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은 유압 구동 고압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고압 펌프는 두 개 이상의 펌프 유닛을 포함하고 각 펌프 유닛은 단일 펌프 실린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펌프 피스톤과 단일 구동 실린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유압 동력 구동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피스톤은 펌프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해 펌프 피스톤에 연결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엔진은 하나 이상 펌프 유닛의 구동 실린더로/로부터의 유압유 유동을 제어하는 유압 펌핑 스테이션과 탱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컨트롤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고압 유압유 공급원은 바람직하게는 가변적이면서 제어 가능한 압력 레벨을 갖는 공급원이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엔진은 유압 구동 고압 펌프의 출구에 연결된 열교환기 또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상기 구현예에 따른 두 개의 엔진을 포함하는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상기 엔진들은 단일 유압 구동 고압 펌프와 열교환기 또는 증발기를 공유한다.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각 엔진의 펌핑 스테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비전용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엔진 중 하나의 펌핑 스테이션에 대한 비전용 펌프의 입구에는 해당 입구를 다른 엔진의 탱크 및 여과 시스템 또는 해당 엔진의 탱크 및 여과 시스템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선택 밸브가 제공된다.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어셈블리는 해당 비전용 펌프가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연결될 때 선택 벨브가 제공된 비전용 펌프의 입구를 다른 엔진의 탱크 및 여과 시스템에 연결하는 선택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두 엔진의 펌핑 스테이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가변 용량 전용 펌프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가변 용량 전용 펌프의 입구는 어셈블리 내 두 엔진 중 하나의 탱크 및 여과 시스템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이들 양태와 다른 양태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로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례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2행정 디젤 엔진의 상승상태 정면도이다.
도 2는 두 개의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 및 유압 펌핑 스테이션이 포함된 도 1 엔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두 개의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과 밸브 작동 시스템을 더 상세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두 개의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 및 유압 펌핑 스테이션이 포함된 도 1 엔진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네 개의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 및 유압 펌핑 스테이션이 포함된 도 1의 두 개 엔진 어셈블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에서 제1 유형 연료로부터 제2 유형 연료로 작동을 전환하는 동안 연료 공급 유동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유형 연료로부터 제2 유형 연료로 작동을 전환하는 동안 각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의 유압 동력 소비량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크로스헤드가 포함된 대형 2행정 저속 터보차징 압축 점화 내연기관(9)에 대한 연료 공급 시스템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터닝 휠(7)과 크로스헤드가 포함된 대형 저속 터보차징 2행정 디젤 엔진(9)을 도시한다. 이 일례의 실시예에서, 상기 엔진은 여섯 개의 실린더를 열을 지어 구비한다. 대형 저속 터보차징 2 행정 디젤 엔진은 통상적으로 엔진 프레임(6)에 의해 지지가 되는 실린더 프레임에 의해 지지가 되며, 열을 지어 4개 내지 14개의 실린더를 갖는다. 엔진(9)은 예컨대 해양 선박의 주 엔진 또는 발전소의 발전기 작동을 위한 고정식 엔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엔진의 총 출력은, 예를 들면, 1,000 내지 110,000 kW 범위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엔진(9)은 실린더 라이너(1)의 하부 영역에 소기 포트를, 실린더 라이너(1)의 상부에 중앙 배기 밸브(4)를 갖는 2 행정 단류형 압축 점화 엔진이다. 상기 소기는 소기 리시버(2)로부터 개별 실린더(1)의 소기 포트로 통과한다. 실린더 라이너(1) 내의 피스톤은 소기를 압축하고, 예컨대 기체 연료 또는 액체 연료와 같은 고압 연료는 실린더 커버의 연료 밸브를 통해 분사되고, 연소가 뒤따르며 배기가스가 생성된다.
배기 밸브(4)가 열릴 때, 배기가스는 해당 실린더와 관련된 배기 덕트를 통해 배기가스 리시버(3)로 유동하고 계속해서 터보차저(5)의 터빈으로 유동하여, 거기서 배기가스는 배기 도관을 통해 대기로 흘러간다. 터보차저(5)의 터빈은 흡기구를 경유하여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는 압축기를 구동한다. 상기 압축기는 소기 리시버(2)에 이르는 소기 도관에 가압한 소기를 전달한다. 소기 도관 내의 소기는 소기를 냉각하는 인터쿨러를 통과한다.
도 2는 연료 분사시스템(52, 53),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 및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을 포함하는 엔진(9)의 개략도이다. 전자제어장치(50)는 이들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한다. 전자제어장치(50)가 단일 장치로 도시되었지만 분산된 형태일 수 있다. 엔진(9)과 그 시스템은 LNG선이나 컨테이너선과 같은 해양 선박에 설치할 수 있다.
엔진(9)에는 선박 디젤유 또는 중유와 같은 제1유형 연료용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이 제공된다.
엔진(9)에는 예컨대 액화석유가스(LPG),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에탄가스(LEG)와 같은 제2 유형 연료용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이 제공된다. 이들 액화 가스는 분사 전에 기화되어 기체 형태로 엔진 내로 분사된다. 제2 연료 시스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연료 유형에는 에탄 또는 메탄올과 같은 저인화점 연료가 있다.
엔진(9)에는 유압 동력과 전자 제어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이 제공된다.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은 각종 유압 동력 소비 장치에 유압 동력을 공급하는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 및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 등에 유압 동력을 공급한다. 펌핑 스테이션(22)에는 복수의 기계 구동 펌프(24, 25)가 제공된다. 이들 유압 펌프(24, 25)는 유압 펌프(24, 25)를 엔진 크랭크축에 연결하는, 예컨대 체인 또는 기어 드라이브에 의한 엔진의 동력 인출 장치로 구동된다.
펌핑 스테이션(22)에는 또한 전기 구동 모터로 구동되는 유압 스타트업 펌프(26)가 두 개 제공된다. 이들 유압 스타트업 펌프(26)는 엔진 시동 단계에 유압 동력과 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 스타트업 펌프(26)와 다른 전기 구동 펌프(도시되지 않음) 또한 엔진이 작동할 때 추가 유압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타트업 펌프의 전력은 엔진이나 주전원 또는 배터리와 같은 다른 적절한 전력 공급원과 관련된 발전기 세트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엔진(9)에는 윤활유 시스템과 저압 유압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저압 유압 시스템은 여과된 윤활유를 유압 액체로 사용한다.
저압 펌프(29)는 저압 유압 시스템을 가압한다.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에는 필터(28)를 포함하는 도관을 경유하여 저압 유압 시스템으로부터 유압 액체가 제공된다.
엔진(9)은 제1 유형 연료 또는 제2 유형 연료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엔진(9)이 제2 유형 연료로 작동할 때 파일럿 연료(점화액)로 매우 적은 양의 제1 유형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매우 적은 양의 파일럿 연료는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지 않고, 대신에 바람직하게는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과 일체형인 전용 파일럿 오일 전달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다.
도 11은 제1 유형 연료의 연료 소비량은 실선으로, 제2 유형 연료의 연료 소비량은 점선으로 시간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따라서 상기 그래프는 제1 유형 연료로부터 제2 유형 연료로 작동 전환을 도시한다. 그래프의 시작에서 엔진(9)은 제1 유형 연료로 작동한다. t1에서 전자제어장치(50)는 작동을 제1 유형 연료로부터 제2 유형 연료로 변경하라는 지시를 받거나, t1에서 전자제어장치(50)는 제1 유형 연료에서 제2 유형 연료로 작동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한다. 그에 따라, 전자제어장치(50)는 제1 유형 연료의 양이 0이 되고 제2 유형 연료의 양이 원하는 레벨인 t2가 될 때까지 전달되는 제1 유형 연료의 양을 점차 줄이고, 제2 유형 연료의 양을 점차 늘린다.
동시에, 전자제어장치(50)는 t1에서 시작하여 펌핑 스테이션(22)을 제어하여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에 공급되는 유압 동력의 양을 줄이고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공급되는 유압 동력의 양을 늘린다. t2에서 유압 동력 분배가 통합된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9)에는 엔진이 제1 유형 연료와 제2 유형 연료로 작동할 때 모두 작동하는 유압 동력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이 제공된다. 펌핑 스테이션(22)은 엔진(9)이 제1 유형 연료와 제2 유형 연료로 작동할 때 모두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에 유압 동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유압 동력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은 전자제어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은 기계 구동 유압 펌프(24, 25) 3개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들은 엔진(9)의 동력 인출 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이 실시예에서 기계 구동 유압 펌프(24, 25)는 전자제어장치로 제어되는 가변 용량 펌프이다. 즉, 상기 펌프의 용량은 전자제어장치(50)로 제어된다. 복수의 기계 구동 펌프(24)(도시된 실시예에서, 선택된 그룹은 2개의 기계 구동식 펌프(24)를 포함한다) 중 선택된 그룹은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과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에 유압 동력을 전용으로 제공한다. 복수의 기계 구동 펌프 중 하나 이상의 비전용(non-dedicated) 펌프(25)(도시된 실시예에, 하나의 비전용 펌프(25)가 도시됨)는 엔진이 제2 유형 연료로 작동될 때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선택적으로 유압 동력을 제공한다.
비전용 펌프(25) 출구 측의 제1 전자 제어 밸브(27)는 제1 도관(32) 또는 제2 도관(33)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도관(32)은 제1 전자 제어 밸브(27)를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과 밸브 작동 시스템(54)에 연결하고, 제2 도관(33)은 제1 전자 제어 밸브(27)를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연결한다. 전자제어장치(50)는 제1 전자 제어 밸브(27)에 명령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50)는 비전용 펌프(25)를 제1 도관(32) 또는 제2 도관(33)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비전용 펌프(25)로부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과 유압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 또는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유압 동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은 유압 구동 고압 펌프의 출구에 연결된 열교환기 또는 증발기(참조 부호 71로 함께 지정)를 포함한다.
사용 유압 액체는 제1 및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으로부터 그리고 유압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으로부터 탱크(61)로 리턴한다. 저압 펌프(29)는 필터(28)를 포함하는 도관을 경유하여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을 포함한 각종 소비 장치에 유압 액체를 공급한다.
도 3은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 및 유압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을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제2 연료 공급 시스템(53)은 제2 유형 연료가 저장된 연료 저장 탱크(8)를 포함한다. 연료가 액화 가스이면 연료 저장 탱크(8)의 극저온 조건에 저장된다. 피드 도관은 연료 또는 윤활제 저장 탱크(8)의 출구를 고압 펌프(40)에 연결한다. 피드 펌프(10)는 저장 탱크(8)로부터 고압 펌프(40)의 입구로 연료 또는 윤활제의 운반을 지원한다.
고압 펌프(40)에는 두 개 이상의 펌프 유닛(41, 42, 43)이 제공된다(본 실시예 3에 펌프 유닛이 도시됨). 각 펌프 유닛(41, 42, 43)에는 펌프 실린더(61)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펌프 피스톤(62)과 드라이브 실린더(45)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유압 동력 구동 피스톤(46)을 포함하며, 구동 피스톤(46)은 펌프 피스톤(62)을 구동하기 위해 펌프 피스톤(62)에 연결된다.
펌프 피스톤(62)과 펌프 실린더(61)는 용적식 펌프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펌프 피스톤(62)과 펌프 실린더(61)는 액화 가스를 펌핑하기 위해 펌프 챔버(63)와 함께 극저온 펌프 유닛의 소위 저온 단부를 형성한다.
펌프 실린더(61)는 피스톤 로드(49)를 경유하여 해당 펌프 유닛(41, 42, 43)의 구동 피스톤에 연결된다. 구동 피스톤(46)은 드라이브 실린더(45)의 내부를 구동 챔버(48)와 리턴 챔버(47)로 분할한다.
드라이브 실린더(45)는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에 연결된다. 메인 컨트롤 밸브(19)는 드라이브 실린더(45)로 고압 유압 액체의 유동을 제어한다. 메인 컨트롤 밸브(19)는 개별 구동 챔버(48)를 도관(33) 또는 탱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각 펌프 유닛(41, 42, 43)에는 펌프 실린더(61)에 의해 형성된 선형 용적 펌프 형태의 펌프를 포함하며, 펌프 피스톤(62)은 펌프 실린더 내에 수용되어 펌프 챔버(63)를 형성한다. 펌프 챔버(63)는 압력 챔버(63)로만 유동하게 하는 제1 일방향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피드 도관(9)에 연결된다. 펌프 챔버(63)는 압력 챔버(63)로만 유동하게 하는 제2 일방향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공급 도관(18)에 연결된다.
제2 유형 연료가 LNG 또는 LPG 등과 같은 극저온 연료이면 고압 펌프(40)는 극저온 펌프이다. 제2 유형 연료가 에탄올 등과 같이 극저온 연료가 아니면 고압 펌프(40)는 비극저온 액체를 펌핑하기 위한 통상적인 선형 용량식 펌프이다.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은 천연가스 등이 극저온 상태로 보관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8)를 포함한다(비극저온 연료를 제2 유형 연료로 사용하면 통상적인 저장 탱크(8)가 사용된다). LNG 저장 탱크(8) 내의 압력은 기화 가스가 해양 선박의 보조 기관과 같은 보일러 또는 저압 가스 분사 엔진 등에 사용되는 탱크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기화 프로세스는 저장 탱크 내의 액화 가스를 저온으로 유지한다. 저장 탱크(8) 내의 액화 가스는 천연가스 외에 에탄이나 메탄 등의 다른 유형일 수 있다.
피드 도관(9)은 LNG 저장 탱크(8)의 출구를 고압 펌프(40)의 입구에 연결한다. 저압 피드 펌프(10)는 LNG 저장 탱크(8)로부터 고압 펌프(40)의 입구로 액화 가스의 운반을 지원한다. 또는, LNG 저장 탱크(8)는 저압 공급 펌프(10)를 생략할 수 있도록 가압할 수 있다. 이송 도관(13)은 고압 펌프(40)의 출구를 고압 액화 가스를 고압 펌프(40)로부터 고압 증발기(14)로 운반하기 위해 고압 증발기(14)의 입구에 연결한다. 제2 유형 연료가 액화 가스가 아니면 고압 증발기는 열교환기(14)로 대체된다. 고압 펌프(40)는 이송 도관(13)을 경유하여 고압 증발기(14)로 액화 가스를 펌핑한다. 고압 증발기(14)는 고압의 액화 가스를 수용하고 고압 증발기(14) 내의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액화 가스를 증발시킨다. 고압 증발기(14)는 순환 회로(15)를 통해 순환하는 글리콜 등과 같은 열교환 매체와 액화 가스 사이에 열을 교환한다. 순환 회로(15)는 순환 펌프(16)와 히터(17)를 포함한다. 고압 증발 가스는 연료 공급 도관(18)에 연결된 고압 증발기(14)의 출구를 통해 고압 증발기(14)를 떠난다. 고압 펌프(40)는 증발기(14)와 함께 펌프 증발기 유닛(PVU: Pump Vaporizer Unit)으로 불리며 참조 부호는 71이다.
공급 도관(18)은 고압 증발기(14)의 출구를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의 연료 분사 시스템 입구에 연결한다. 도관들은 공급 도관(18)으로부터 제2 유형 연료를 실린더(1)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된 개별 분사기(64)로 분기한다.
엔진 실린더(1)에는 제2 유형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연료 밸브(64)와 제1 유형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연료 분사 밸브(23)가 제공된다.
제1 연료 분사 시스템(52)에는 제1 도관(32)을 경유하여 유압 동력이 제공된다. 어큐물레이터 또는 압축 챔버(67)는 안정적인 압력을 유압 동력의 각종 소비 장치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보장하고, 분배 도관(69)은 개별 제어 밸브(11, 44, 55)를 통해 각종 소비 장치에 공급한다.
제1 유형 연료는 저장 탱크(12)(서비스 탱크)로부터 제공되고 전기 구동 공급 펌프(16)에 의해 피드 도관(73)을 경유하여 압력 부스터(39)로 운반된다. 전기 구동 공급 펌프(16)는 연료 시스템의 저압 부분에서 약 4 bar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제1 유형 연료의 연료 분사는 실린더(1)마다 하나씩 있는 전자 제어 압력 부스터(39)에 의해 수행된다. 압력 부스터(39)는 저압(유압유가 인가되는 경우) 측으로부터 고압 측(연료 측)으로 고정된 비율로 압력을 증대시킨다.
압력 부스터(39)는 가압한 유압유로 구동된다.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은 일반적으로 수백 bar의 고압 유압유를 전달한다. 리턴 유체는 실린더로부터 도관(65)을 경유하여 탱크(61)로 이송된다.
압축 챔버(67)는 각 쌍의 실린더(1)마다 제공된다(엔진에 실린더가 홀수이면 실린더 중 하나는 한 개의 압축 챔버가 제공된다). 도관(69)은 압축 챔버(67)를 비례 제어 밸브(44), 온오프 밸브(55) 및 비례 제어 밸브(11)에 연결한다.
엔진(9)의 각 실린더(1)는 일반적인 동기화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제어장치(50)와 연결되고 전자 제어 신호를 특히 신호 라인 또는 와이어(59)를 통해 비례 제어 밸브(44)로 전송한다. 실린더(1)마다 하나의 관리 제어 유닛(50)이 있거나, 몇 개의 실린더(1)가 동일한 전자제어장치(5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제어장치(50)는 엔진(9)의 작동 조건에 따라 타이밍, 분사율 및 연료 분사량을 계산한다. 여기서, 전자제어장치(50)는 크랭크축의 회전 위치, 크랭크축의 회전 속도(회전 위치 신호로부터 전자제어장치(50)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 주변 온도, 부하, 각종 엔진 유체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전자제어장치(50)는 또한 엔진을 반전시키기 위해 연료 분사 타이밍을 조정한다. 비례 제어 밸브(44) 내에서 스풀의 이동은 전자제어장치(50)로 제어된다.
안정 위치에서 비례 제어 밸브(44)는 압력 부스터(39) 저압 측의 압력 챔버를 탱크에 연결한다. 전자제어장치(50)가 정해진 실린더에 연료 분사를 시작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때, 비례 제어 밸브(44) 중 하나는 일정한 정도까지 열리고, 이에 의해 압력 부스터(39)의 저압 측을 도관(69)을 경유하여 압축 챔버(67)에 연결함으로써, 펌핑 스테이션(22)으로부터 압력 부스터(39)의 저압 측에 유압 고압을 인가한다.
압력 부스터(39)의 저압 측 압력은 일반적으로 약 400 내지 1500 bar의 분사 압력에 도달하도록 증대된다. 피드 도관(51)은 고압 연료를 압력 부스터(39)로부터 연료 분사기(23)로 운반하며, 이 연료 분사기는 노즐을 통해 연소 챔버에 분사함으로써 제1 유형 연료를 분무한다.
전자제어장치(50)는 또한 배기 밸브(4)의 작동을 제어한다. 배기 밸브는 유압 밸브 액추에이터(21)에 의해 공기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개폐된다. 비례 제어 밸브(11)는 유압 밸브 액추에이터(21)를 도관(77)과 압축 챔버(67)를 경유하여 제1 도관(35)에 또는 도관(78과 65)을 경유하여 탱크(61)에 선택적으로 그리고 비례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전자제어장치(50)는 신호 라인 또는 와이어(59)를 통해 비례 제어 밸브(11)를 제어한다. 전자제어장치(50)는 크랭크축 위치와 엔진 작동 조건에 따라 배기 밸브(4)의 리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안정 위치에서 비례 제어 밸브(11)는 유압 배기 밸브 액추에이터(21)를 탱크(61)에 연결한다.
전자제어장치(50)는 또한 실린더 주유기(57)에 가압된 실린더 윤활유 공급을 제어하는 온오프 밸브(55)를 제어한다. 작동 조건과 크랭크축 위치에 기초하여, 전자제어장치(50)는 실린더 윤활유가 실린더(1)로 펌핑하는 시기와 양을 결정한다. 안정 위치에서, 온오프 밸브(55)는 실린더 주유기(57)를 탱크(61)에 연결한다. 주어진 온오프 밸브(55)는 윤활유를 특정 실린더 내로 펌핑하기 위해 전자제어장치(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온오프 밸브(55)가 개방되고, 그에 따라 실린더 주유기(57)를 도관(69)을 경유하여 압축 챔버(67)에 연결하며, 실린더 주유기는 실린더 내로 윤활유 펌핑을 시작한다. 전자제어장치(50)는 온오프 밸브(55)의 작동 길이를 통해 실린더 내로 펌핑되는 윤활유의 양을 결정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제1 도관(32)은 유압 동력을 엔진 실린더 윤활 시스템에 추가로 공급한다. 그러나 엔진 실린더 윤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과 연료 분사 시스템(들)이 사용하는 유압 동력의 양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유압 동력을 사용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4는 제2 도관(33)에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공급되는 유압을 증가시키는 부스터 펌프(34)가 제공된 것 외에는 도 2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은 실시예에서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필요한 유압 공급 압력(P2)과 비교하여 더 낮은 유압 공급 압력(P1)이 필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과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에 필요한 공급 압력(P1)은 엔진 부하를 따르고 최대 엔진 부하에서의 압력(P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부스터 펌프(34)는 비전용 펌프(25)의 출력 압력을 압력 P1에서 압력 P2로 증가시킨다. 부스터 펌프(34)는 이 실시에에서 유압 모터(36)로 구동한다. 유압 모터(36)에는 제2 도관(33)으로부터 유압 동력으로 동력을 공급 받는다.
도 5는 부스터 펌프(34)가 전기 구동 모터(38)로 구동되는 것 외에는 도 4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모든 기계 구동 펌프(24, 25)가 고압(P2)을 공급하고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과 유압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2)이 저압(P1)을 수용하도록 감압 밸브 장치(31)를 제1 도관(32)에 배치하여 저압(P1)을 달성하는 것 외에는 도 4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 구동 가변 용량 펌프(20)가 제2 도관(32)을 경유하여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전용으로 공급하는 것 외에는 도 2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공급되는 압력(P2)은 전자제어장치(50)의 제어에 따라 전용 가변 용량 펌프(20)를 조정하여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8은 2개의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이 1개의 PVU(71)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2개의 엔진(9)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두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은 단일 공통 PVU(71)에 유압 동력을 공급한다. 한 엔진 유압 시스템의 오염을 다른 엔진과 함께 피하기 위해, 단일 공통 PVU(71)의 리턴 유압 액체는 한 엔진의 탱크(61)로 가고, 두 엔진에 대한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의 전용 가변 용량 유압 펌프(20)는 한 엔진의 탱크(61)로부터 유압 액체를 받는다.
도 9는 펌핑 스테이션에 비전용 기계 구동 펌프(25)가 제공되는 것 외에는, 도 8의 어셈블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 개 엔진(9)의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한 엔진으로부터 다른 엔진으로 유압 오일의 오염을 피하기 위해, 한 엔진 펌핑 스테이션(22)의 비전용 유압 구동 펌프(25)에는 그 입구 내에 전자 제어 선택 밸브(30)가 제공되고, 전자제어장치(50)가 해당 비전용 기계 구동 펌프(25)에 비전용 기계 구동 펌프(25)가 속하는 엔진으로부터 또는 다른 엔진으로부터 유압 유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50)는 비전용 기계 구동 펌프(25)가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으로부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으로 공급을 바꿀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위치를 바꾸도록 두 펌핑 스테이션(22)의 제1 전자 제어 밸브(27)와 한 펌핑 스테이션(22)의 전자 제어 선택 밸브에 명령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가 압축기(72)를 구동하는 유압 회전 모터(7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 외에는 도 7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압축기(72)는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서 사용하기 위해 기체 형태로 제2 유형 연료를 압축한다.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공급된 유압 동력 또한 압축기(72)를 구동하는 유압 회전 모터(70)에 동력을 공급한다.
도 11은 제1 유형 연료(실선으로 도시)로 100% 작동으로부터 제2 유형 연료(점선으로 도시)로 100% 작동하기까지 작동 전환 동안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에서 시간 t(s)에 따른 연료 공급 유동(F(l/s))을 도시한다. t1에서 제1 유형 연료를 점차 줄이는 동시에 제2 유형 연료를 점차 늘리면서 작동한다. 엔진이 제2 유형 연료로 100% 작동하는 t2까지 제1 유형 연료 작동을 점차 줄이고 제2 유형 연료 작동을 점차 늘리는 과정이 계속된다. 따라서, t2에서 전환이 완료된다.
도 12는 도 11의 제1 유형 연료로부터 제2 유형 연료로 작동을 전환 동안 각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의 유압 동력 소비량(H(kW))을 도시한다. 제1 연료 시스템과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의 유압 동력 소비량은 실선으로 도시되며 제2 연료 시스템의 유압 동력 소비는 점선으로 도시된다. 제1 연료 시스템과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의 동력 소비는 t2의 안정된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즉 연료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 t1에서 감소하기 시작한다. 나머지 연료 소비는 제1 연료 시스템이 더는 유압 동력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의 연료 소비를 나타낸다. t1에서 제2 연료 시스템의 동력 소비는 증가하기 시작하여 전환이 완료된 t2에서 안정된 레벨에 도달한다.
본 발명을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형들은 도면, 개시된 내용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연구로부터 청구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 및 실시될 수 있다. 청구 범위에서,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부정관사 "하나"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전자제어장치는 별도의 전자 제어 장치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정 방안들이 서로 다른 종속항에서 인용된다는 단순한 사실만으로 방안으로 사용된 이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에 사용된 참조 부호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7)

  1. 크로스헤드 유형의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에 있어서,
    제1 유형 연료를 기관(엔진)의 실린더(1)에 전달하는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
    제2 유형 연료를 상기 엔진의 실린더(1)에 전달하는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 및
    복수의 기계 구동 유압 펌프(24, 25)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 구동 펌프(24, 25)는 상기 엔진의 동력 인출 장치로 구동되는 기계 구동 펌프(24, 25)를 포함하는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은 유압 동력 펌프(39) 및/또는 상기 제1 유형 연료를 가압하는 압력 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은 유압 동력 펌프 및/또는 상기 제2 유형 연료를 가압하는 압력 부스터(43)를 포함하며,
    상기 엔진은 상기 제1 연료 또는 상기 제2 연료로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은 상기 엔진이 상기 제1 연료로 작동할 때 상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유압 동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엔진이 상기 제2 연료로 작동할 때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에 유압 동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유형의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상기 제1 유형 연료와 상기 제2 유형 연료로 작동할 때 모두 작동하는 유압 동력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을 포함하고, 상기 펌핑 스테이션(22)은 상기 엔진이 상기 제1 유형 연료로 작동할 때 및 상기 제2 유형 연료로 작동할 때 상기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에 유압 동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유형의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계 구동 펌프(24) 중 선택된 그룹은 상기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과 상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에 유압 동력을 제공하는 데 전용되고, 상기 복수의 기계 구동 펌프 중 하나 이상의 비전용 펌프(25)는 상기 엔진이 상기 제2 유형 연료로 작동할 때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선택적으로 유압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유형의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용 펌프(25)의 출구 측 상의 제1 전자 제어 밸브(27)는 제1 도관(32)이나 제2 도관(33)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관(32)은 제1 전자 제어 밸브(27)를 상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과 상기 밸브 작동 시스템(54)에 연결하고 상기 제2 도관(33)은 제1 전자 제어 밸브(27)를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유형의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에 필요한 제1 유압(P1)은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필요한 제2 유압(P2)보다 적어도 낮은 특정한 엔진 작동 조건에 있으며, 제1 도관(32)은 상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에 상기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에 연결하고 제2 도관(33)은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상기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도관(32)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헤드 유형의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6. 제5항에 있어서,
    유압 부스터 펌프(34)는 상기 펌핑 스테이션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1 압력(P1)을 상기 제2 압력(P2)으로 증압하는 상기 제2 도관(33)에 배치되며, 상기 유압 부스터 펌프(34)는 바람직하게는 유압 모터(35) 또는 전기 구동 모터(38)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7. 제5항에 있어서,
    유압 감압 밸브 장치(31)는 상기 펌핑 스테이션(22)에 의해 전달된 상기 제2 압력(P2)을 상기 제1 압력(P1)으로 감압하는 상기 제1 도관(3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계 구동 펌프(24) 중 선택된 그룹은 상기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과 상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에 유압 동력을 전용으로 공급하며, 상기 복수의 기계 구동 펌프 중 하나 이상의 가변 용량 전용 펌프(25)는 상기 엔진이 제2 유형 연료로 작동할 때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선택적으로 유압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기계 구동 펌프(24, 25)는 가변 용량 유압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 상기 배기 밸브 작동 시스템(54) 및 상기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제어장치(50)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장치(50)는,
    상기 제1 유형 연료로부터 상기 제2 유형 연료로 작동을 전환하라는 지시를 받으면, 유압 펌핑 스테이션(22)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 동력의 일부를 상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으로부터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을 점차 줄이고,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을 점차 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50)는,
    상기 제2 유형 연료로부터 상기 제1 유형 연료로 작동을 전환하라는 지시를 받으면, 유압 펌핑 스테이션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 동력의 일부를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으로부터 상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으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제1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2)을 점차 늘리고,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을 점차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은 유압 구동 고압 펌프(40)를 포함하며, 상기 고압 펌프(40)는 두 개 이상의 펌프 유닛(41, 42, 43)을 포함하고 각 펌프 유닛(41, 42, 43)은 단일 펌프 실린더(61)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펌프 피스톤과 단일 구동 실린더(45)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유압 동력 구동 피스톤(46)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피스톤(46)은 상기 펌프 피스톤(62)을 구동하기 위해 펌프 피스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13. 제1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 상기 펌프 유닛(41, 42, 43)의 상기 구동 실린더(43)로/로부터의 유압유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유압 펌핑 스테이션(22)과 탱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컨트롤 밸브(19)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압 유압유의 공급원(22)은 바람직하게는 가변적이면서 제어 가능한 압력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구동 고압 펌프(40)의 출구에 연결된 열교환기(14) 또는 증발기(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다기통 내연기관(9).
  15. 제14항에 따른 두 개의 상기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엔진은 단일 유압 구동 고압 펌프(40)와 열교환기(14) 또는 증발기(14)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각 엔진의 펌핑 스테이션(22)은 적어도 하나의 비전용 펌프(25)를 포함하며, 엔진 중 하나의 펌핑 스테이션(22)에 대한 비전용 펌프(25)의 입구에는 해당 입구를 다른 엔진의 탱크 및 필터링 시스템 또는 해당 엔진의 탱크 및 필터링 시스템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선택 밸브(3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해당 비전용 펌프(25)가 제2 연료 공급 분사 시스템(53)에 연결될 때 선택 밸브(30)가 제공된 비전용 펌프의 입구를 다른 엔진의 탱크 및 필터링 시스템에 연결하는 상기 선택 밸브(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KR1020180105157A 2017-09-04 2018-09-04 이중 연료 시스템을 갖춘 대형 2 행정 압축 점화 내연기관 KR102058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770660 2017-09-04
DKPA201770660A DK179683B1 (en) 2017-09-04 2017-09-04 A LARGE TWO-STROKE COMPRESSION-IGN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DUAL FUEL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620A true KR20190026620A (ko) 2019-03-13
KR102058380B1 KR102058380B1 (ko) 2019-12-23

Family

ID=6518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157A KR102058380B1 (ko) 2017-09-04 2018-09-04 이중 연료 시스템을 갖춘 대형 2 행정 압축 점화 내연기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50003B2 (ko)
KR (1) KR102058380B1 (ko)
CN (1) CN109281787B (ko)
DK (1) DK1796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3393A1 (de) * 2019-03-13 2020-09-17 Robert Bosch Gmbh Hochdruckpumpe für ein Dual-Fuel-Einspritzsystem, Dual-Fuel-Einspritzsystem
CN112112729B (zh) * 2020-08-28 2021-10-12 江苏大学 一种双燃料缸内直喷发动机的可变进气滚流装置
CN112392785B (zh) * 2020-11-12 2022-09-20 天津大学 低速柴油机燃油升压泵和排气阀的伺服驱动系统
KR102382406B1 (ko) * 2021-01-06 2022-04-11 최재웅 액화가스 연료공급 시스템
DK181415B1 (en) 2022-11-04 2023-10-25 Man Energy Solutions Filial Af Man Energy Solutions Se Tyskland A large turbocharged two-stroke uniflow crosshead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419A (ko) * 2002-01-30 2004-11-09 디이젤 엔진 리타더스, 인코포레이티드 감압된 커먼 레일 및 전용 엔진 밸브를 사용하는 방법 및엔진 밸브 작동 시스템
JP2005248920A (ja) * 2004-03-08 2005-09-15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
KR20120135535A (ko) * 2009-06-16 2012-12-14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둘 이상의 연료성분의 연료혼합에 의하여 구동되는 대형 터보차지 2-행정 디젤 엔진
JP5808128B2 (ja) * 2011-03-31 2015-11-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焚きエンジン
US8733326B2 (en) * 2011-06-24 2014-05-27 Caterpillar Inc. Dual fuel injector for a common rail system
DE102011088797A1 (de) * 2011-12-16 2013-06-20 Robert Bosch Gmbh Kraftstoffsystem
DK177623B1 (en) * 2012-06-29 2013-12-16 Man Diesel & Turbo Deutschlan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variable fuel gas injection pressure and duration
US9046067B2 (en) * 2012-09-28 2015-06-02 Caterpillar Inc. Dual fuel injector with off set check biasing springs
DK178072B1 (en) * 2014-01-06 2015-04-27 Man Diesel & Turbo Deutschland A method of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447740B2 (en) * 2014-06-23 2016-09-20 Caterpillar Inc. Engine system having hydraulically actuated gas in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81787B (zh) 2020-03-06
JP6650003B2 (ja) 2020-02-19
JP2019044774A (ja) 2019-03-22
DK201770660A1 (en) 2019-03-20
DK179683B1 (en) 2019-03-20
KR102058380B1 (ko) 2019-12-23
CN109281787A (zh)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380B1 (ko) 이중 연료 시스템을 갖춘 대형 2 행정 압축 점화 내연기관
JP6482596B2 (ja) 大型2ストローク圧縮点火高圧ガス噴射内燃エンジンのための燃料供給システム
JP6902066B2 (ja) 大型2ストローク圧縮点火内燃エンジン用の燃料又は潤滑ポンプ
EP0069717B1 (en) Method for utilizing boil-off gas from cryogenic liquids as fuel in a dual gas/oil-burning diesel engine, and a system for utilizing the method
KR102455808B1 (ko) 대형 2행정 단류 소기식 기체 연료 엔진
CN101952635A (zh) 天然气供应方法和装置
AU2011308044A1 (en) Two engine system with a gaseous fuel stored in liquefied form
KR101513960B1 (ko) 이중 연료 공급 시스템을 갖는 대형 저속 터보과급식 2-행정 내연 기관
KR20130054345A (ko) 가스 연소식 엔진
JP2021011870A (ja) ガス燃料モードを有する大型2ストロークユニフロー掃気機関
KR102315522B1 (ko)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기체 연료 공급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CN117988974A (zh) 大型涡轮增压二冲程单流十字头内燃机及用于运行该内燃机的方法
DK202070189A1 (en) A GASEOUS FUEL SUPPLY SYSTEM FOR A MA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ARINE VESSEL, A POWER SYSTEM FOR A MARINE VESSEL AND A METHOD FOR SUPPLYING GASEOUS FU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