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447A -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447A
KR20190026447A KR1020170113376A KR20170113376A KR20190026447A KR 20190026447 A KR20190026447 A KR 20190026447A KR 1020170113376 A KR1020170113376 A KR 1020170113376A KR 20170113376 A KR20170113376 A KR 20170113376A KR 20190026447 A KR20190026447 A KR 20190026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instrument
type
bezel
opera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칠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Priority to KR1020170113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6447A/ko
Publication of KR20190026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16Ambient or aircraft conditions simulated or indicated by instrument or ala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모니터와 조작 스위치를 통해 제어 명령을 병행 입력 받을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입력이 고장나도 시뮬레이션 훈련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할 수 있고,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를 선택하여 해당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계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 훈련을 보다 현장감있게 진행할 수 있으며,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에 따라 해당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조작 스위치에 제어 명령을 매칭할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 훈련 후 실제 항공기를 운행할 때 조작 스위치의 위치 변화에 따른 위화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뮬레이션 장치 조종석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계기 정보를 표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에 있어서,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투시창이 천공된 베젤; 상기 베젤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베젤에 장착되어 상기 투시창을 통해 전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 모니터; 상기 베젤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터치 모니터에 계기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베젤의 후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 스위치의 입력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Multi function display device for aircraft simulator}
본 발명은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모니터와 조작 스위치를 통해 제어 명령을 병행 입력 받을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입력이 고장나도 시뮬레이션 훈련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할 수 있고,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를 선택하여 해당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계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 훈련을 보다 현장감있게 진행할 수 있으며,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에 따라 해당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조작 스위치에 제어 명령을 매칭할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 훈련 후 실제 항공기를 운행할 때 조작 스위치의 위치 변화에 따른 위화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의 전방 계기 및 항공 전자 장비는 항공 산업의 발전과 함께 변화하고 있다. 1, 2세대 퇴역 항공기(F-4, F-5)의 경우 기계식 계기를 적용하여 각 계기의 바늘이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3세대 현역 항공기(T-50, F-16)의 경우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혼합한 형태의 MDF(다기능 시현 장치:Multi Function Display)를 개발하여 운용중에 있다.
차세대 항공기의 경우 대형 디스플레이로 기존 기계식 계기와 다기능 시현 장치를 대체하며, 터치 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실제 항공기 전자 장비의 발달 과정에 발맞춰 시뮬레이터의 항공 전자 계기도 디지털 방식의 다기능 시현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일반적인 항공기 시뮬레이터의 다기능 시현 장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만 구현되어 있는 실정이다.
아날로그 계기를 사용하는 항공기 시뮬레이터는 계기의 고장시 각 계기를 정비해야 하며, 정비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항공기의 기종 변경시 계기 시스템을 새로 구축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터치 입력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항공기 시뮬레이터는 터치패널의 고장시 조작 입력이 불가하고, 이를 정비하기 전까지 시뮬레이션 훈련을 지속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터치패널 및 스위치의 병행 입력이 가능하고, 이러한 제어 신호의 입력 스위치가 항공기의 기종에 맞춰 매칭됨으로써 시뮬레이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KR20-2000-0020489(공개번호) 2000.12.05.
본 발명은, 터치 모니터와 조작 스위치를 통해 제어 명령을 병행 입력 받을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입력이 고장나도 시뮬레이션 훈련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할 수 있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를 선택하여 해당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계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 훈련을 보다 현장감있게 진행할 수 있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에 따라 해당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조작 스위치에 제어 명령을 매칭할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 훈련 후 실제 항공기를 운행할 때 조작 스위치의 위치 변화에 따른 위화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 장치 조종석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계기 정보를 표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에 있어서,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투시창이 천공된 베젤; 상기 베젤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베젤에 장착되어 상기 투시창을 통해 전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 모니터; 상기 베젤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터치 모니터에 계기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베젤의 후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 스위치의 입력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터치 모니터는 상기 조작 스위치와 병행하여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아이콘이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 스위치는 복수의 택타일(Tactile) 스위치 및 복수의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각 택타일 스위치 및 상기 각 로터리 엔코더에 제어 명령이 매칭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 스위치는 상기 택타일 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항공기 기종 또는 계기 종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로 지정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모니터의 설정 위치에 항공기 기종 또는 계기 종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아이콘이 생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 또는 상기 모드 선택 아이콘으로부터 항공기 기종 또는 계기 종류가 선택되면 상기 택타일 스위치 및 상기 로터리 엔코더에 상기 항공기 기종 또는 상기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매칭시키고, 상기 터치 모니터에 상기 항공기 기종 또는 상기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계기 정보를 출력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 또는 상기 모드 선택 아이콘으로부터 항공기 기종 또는 계기 종류가 선택되면 상기 터치 모니터에 상기 항공기 기종 또는 상기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계기판을 출력시키고, 상기 항공기 기종 또는 상기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입력 좌표에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아이콘을 매칭 구현시킨다.
본 발명은, 터치 모니터와 조작 스위치를 통해 제어 명령을 병행 입력 받을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입력이 고장나도 시뮬레이션 훈련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를 선택하여 해당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계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 훈련을 보다 현장감있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에 따라 해당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조작 스위치에 제어 명령을 매칭할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 훈련 후 실제 항공기를 운행할 때 조작 스위치의 위치 변화에 따른 위화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의 아날로그 계기의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의 디지털 계기의 예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장치 조종석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계기 정보를 표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에 있어서,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투시창이 천공된 베젤(100)과, 베젤(100)의 후면으로부터 베젤(100)에 장착되어 투시창을 통해 전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 모니터(200)와, 베젤(10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300)와, 조작 스위치(300)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고 터치 모니터(200)에 계기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베젤(100)의 후면 일측에 구비되어 조작 스위치(300)의 입력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회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젤(100)은, 터치 모니터(200) 및 조작 스위치(3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 공간을 제공하고, 시뮬레이터에 본 발명의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중심부에 투시창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베젤(100)은 바람직하게는 투시창이 사각으로 형성되어 터치 모니터(200)의 화면이 전방으로 최대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베젤(100)의 테두리 전면에는 조작 스위치(300)들이 장착되어 베젤(100)의 후면에 구비된 회로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베젤(100)은 시뮬레이션 장치의 조종석 전면에 기구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네 모서리에 장착홀이 천공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홀에는 나사 등이 삽입되어 시뮬레이션 장치와 고정될 수 있다.
베젤(100)의 후면에는 터치 모니터(200)가 장착되어서 터치 모니터(200)의 전면이 베젤(100)의 투시창 외부로 노출되고, 터치 모니터(200)의 후면 또는 일측 방향에는 조작 스위치(300)의 입력을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회로부(400)가 구비된다.
터치 모니터(200)는,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계기 정보를 가시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베젤(100)의 후면에 장착되어 그 전면 일측이 베젤(100)의 투시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터치 모니터(20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를 통해 조작 스위치(300)와 병행하여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모니터(200) 또는 조작 스위치(300)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새 부품의 교체 준비 전까지 시뮬레이션 훈련을 중단하지 않고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터치 모니터(200)에 표시되는 정보는 도 3 과 같이 아날로그 계기판일 수 있고, 도 4 와 같은 디지털 계기판일 수 있다. 이때, 아날로그 계기판의 경우 아날로그 계기판의 각종 계기들을 아날로그 모양으로 표시하는 것일 뿐, 실제 아날로그 계기판으로 구성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계기의 주변에는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아이콘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터치 모니터(200)에 표시되는 계기 정보는 시뮬레이션할 항공기의 기종에 대응되도록 변경되며, 조작 스위치(300)의 모드 선택 스위치(311) 또는 터치 모니터(200)의 모드 선택 아이콘을 조작하여 항공기 또는 계기 종류를 선택하면, 제어부가 터치 모니터(200)에 선택된 항공기 또는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계기판을 출력시킨다. 이때, 터치 모니터(200)에는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명령 입력 좌표에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아이콘이 구현된다.
조작 스위치(30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복수 개가 베젤(10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된다.
조작 스위치(300)는 실제 항공기의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MFD:Multi Function Display)의 스위치와 유사한 조작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택타일(Tactile) 스위치가 적용되며, 연속적인 신호의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로터리 엔코더(320)(Rotary Encoder)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때, 조작 스위치(300)의 택타일 스위치(31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를 선택하는 모드 스위치로 지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드 선택 스위치(311)를 조작하여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를 선택하면, 제어부가 선택된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택타일 스위치(310) 및 로터리 엔코더(320)에 매칭시킨다. 이때, 택타일 스위치(310) 및 로터리 엔코더(320)는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에 따라 모두 사용되지 않고 일부는 NC(Non Connect)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모니터(200)의 가장자리 부근에는 택타일 스위치(310) 및 로터리 엔코더(3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어느 스위치가 어느 항목의 제어 명령을 위한 스위치인지를 나타내는 네임택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조작 스위치(300)의 제어 명령 매칭은 선택된 항공기 또는 계기 종류와 최대한 유사한 위치로 지정되어 시뮬레이션 훈련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작 스위치(300)는 다양한 항공기 또는 계기 종류에 대응하여 제어 명령을 매칭할 수 있도록 충분히 많은 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부(400)는, 터치 모니터(200) 또는 조작 스위치(300)에서 발생되는 조작 입력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터치 모니터(200)의 후면 또는 터치 모니터(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터치 모니터(200), 조작 스위치(300),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회로부(400)는 단지 하나의 회로 기판으로 구성된 것을 한정하지 않고, 여러 회로 기판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 역시 가능하다. 또한, 회로부(400)는 터치 모니터(200)의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 회로, 전력 변환 장치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부(400)는 별도의 하우징으로 후면이 밀폐되어 외부의 먼지,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의 발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방열공 또는 방열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조작 스위치(300) 또는 터치 모니터(200)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고 터치 모니터(200)에 계기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조작 스위치(300) 및 터치 모니터(200)와 직접 또는 회로부(400)를 통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부는 회로부(400)의 내에 별도의 처리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회로부(400) 및 베젤(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별도의 케이블로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반드시 베젤(100)에 장착되지 않고 외부의 컴퓨터에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는 터치 모니터(200)에 시뮬레이션할 항공기의 계기판을 출력시킨다. 이러한 계기판은 아날로그 방식일 수 있고 디지털 방식일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도 설명하였지만 아날로그 방식이라는 의미는 표시되는 계기가 아날로그 모양으로 표시되는 것일 뿐 화면상에 구현되는 디지털 정보임은 자명하다.
제어부는 조작 스위치(300)의 모드 선택 스위치(311) 또는 터치 모니터(200)의 모드 선택 아이콘으로부터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가 선택되면, 해당 항공기 또는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계기 정보를 터치 모니터(200)에 표출시키고, 택타일 스위치(310) 및 로터리 엔코더(320)에 선택된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매칭시킨다. 이때, 택타일 스위치(310) 및 로터리 엔코더(320)에 매칭된 제어 정보를 터치 모니터(200)의 가장자리에 표출하여 어느 스위치가 어느 명령을 입력하는 스위치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택타일 스위치(310) 및 로터리 엔코더(320)의 명령 정보를 표출하는 네임택을 아이콘 형태로 구현하고, 해당 위치에 제어 명령 입력 좌표를 매칭하여서 터치 모니터(200)를 통해서도 제어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시뮬레이션 장치 및 본 발명의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리고, 모드 선택 스위치(311) 또는 모드 선택 아이콘을 조작하여 시뮬레이션할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를 선택한다.
제어부는 모드 선택 스위치(311) 또는 모드 선택 아이콘으로부터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가 선택되면, 조작 스위치(300)에 해당 기종 또는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매칭시키고, 터치 모니터(200)에 해당 기종 또는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계기 정보를 출력시킨다. 그리고, 이와 함께 터치 모니터(200)에 해당 기종 또는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입력 좌표에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을 매칭하여 구현시킨다.
그리고, 터치 모니터(200)의 터치 입력이 먹통이 되는 경우 조작 스위치(300)의 입력을 통해, 또는 조작 스위치(300)가 고장인 경우 터치 모니터(200)의 터치 입력을 통해 시뮬레이션의 중단 없이 훈련을 계속 진행하며, 수리 준비가 완료되면 본 발명의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를 신속히 교체함으로써 훈련을 계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터치 모니터(200)와 조작 스위치(300)를 통해 제어 명령을 병행 입력 받을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입력이 고장나도 시뮬레이션 훈련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를 선택하여 해당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계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 훈련을 보다 현장감있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의 기종 또는 계기 종류에 따라 해당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조작 스위치(300)에 제어 명령을 매칭할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 훈련 후 실제 항공기를 운행할 때 조작 스위치(300)의 위치 변화에 따른 위화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베젤
200 : 터치 모니터
300 : 조작 스위치
310 : 택타일 스위치
311 : 모드 선택 스위치
320 : 로터리 엔코더
400 : 회로부

Claims (5)

  1. 시뮬레이션 장치 조종석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계기 정보를 표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에 있어서,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투시창이 천공된 베젤;
    상기 베젤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베젤에 장착되어 상기 투시창을 통해 전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 모니터;
    상기 베젤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터치 모니터에 계기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베젤의 후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 스위치의 입력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회로부;
    를 포함하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니터는 상기 조작 스위치와 병행하여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아이콘이 구현되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는 복수의 택타일(Tactile) 스위치 및 복수의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각 택타일 스위치 및 상기 각 로터리 엔코더에 제어 명령이 매칭되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는 상기 택타일 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항공기 기종 또는 계기 종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로 지정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모니터의 설정 위치에 항공기 기종 또는 계기 종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아이콘이 생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 또는 상기 모드 선택 아이콘으로부터 항공기 기종 또는 계기 종류가 선택되면 상기 택타일 스위치 및 상기 로터리 엔코더에 상기 항공기 기종 또는 상기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매칭시키고, 상기 터치 모니터에 상기 항공기 기종 또는 상기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계기 정보를 출력시키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 또는 상기 모드 선택 아이콘으로부터 항공기 기종 또는 계기 종류가 선택되면 상기 터치 모니터에 상기 항공기 기종 또는 상기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계기판을 출력시키고, 상기 항공기 기종 또는 상기 계기 종류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입력 좌표에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아이콘을 매칭 구현시키는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
KR1020170113376A 2017-09-05 2017-09-05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 KR20190026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376A KR20190026447A (ko) 2017-09-05 2017-09-05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376A KR20190026447A (ko) 2017-09-05 2017-09-05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447A true KR20190026447A (ko) 2019-03-13

Family

ID=6576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376A KR20190026447A (ko) 2017-09-05 2017-09-05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64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1987A (zh) * 2019-07-20 2019-10-18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显示器的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14077210A (zh) * 2020-08-18 2022-02-22 普源精电科技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及多功能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1987A (zh) * 2019-07-20 2019-10-18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显示器的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14077210A (zh) * 2020-08-18 2022-02-22 普源精电科技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及多功能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4761B2 (ja) 小型表示器を備えた表示器装置
US10246179B2 (en) Display system
EP2624238A1 (en) Virtual mock up with haptic hand held aid
CA2578640C (en) Cursor management system
US8432397B2 (en) Data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measurement data in a time serial manner
US20140035819A1 (en)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an Augmented-Reality Keyboard
CN104269083A (zh) 低成本飞行模拟器座舱显控系统
US8977526B1 (en) Nuclear power plant control room simulator
EP2693255A1 (en)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an augmented-reality keyboard
US8386673B2 (en) KVM swi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26447A (ko) 항공기 시뮬레이터용 다기능 시현 장치
JPH10296670A (ja) チップマウンターのタッチスクリーン入力装置とこれを具備したチップマウンター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307350B1 (ko) 그래픽 이미지를 이용한 다기종의 가변형 비행시뮬레이터의 계기패널 구현방법 및 구현장치
KR20080008001A (ko) 입출력수단의 공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JP5574192B2 (ja) 波形表示装置
US11455039B2 (en) Advanced haptics in touchscreen avionics lower level device simulators
KR101521994B1 (ko) 모의 비행체의 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276482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206058607U (zh) 半实物仿真机载多功能显示器
KR20140090476A (ko) 훈련 시스템이 내장되는 항공기
JPH06314318A (ja) プラント制御盤設計支援方法及び装置
WO2024106500A1 (ja) 操作表示システム
TWI441111B (zh) 加工模擬系統及其實體手動操作器
JPS61101807A (ja) プラント運転操作装置
KR20170074514A (ko) 임무컴퓨터 영상 검증 시스템 및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