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299A -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299A
KR20190026299A KR1020170112988A KR20170112988A KR20190026299A KR 20190026299 A KR20190026299 A KR 20190026299A KR 1020170112988 A KR1020170112988 A KR 1020170112988A KR 20170112988 A KR20170112988 A KR 20170112988A KR 20190026299 A KR20190026299 A KR 20190026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vehicle
center
wheel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2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6299A/ko
Publication of KR2019002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6Controlling the motor for returning the steering wheel to neutr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45Means or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the central position of the steering system, e.g. straight ahea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주차 시 스티어링 휠을 차량의 직진 방향과 일치하도록 센터(중립 위치)로 자동 복원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시 타이어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티어링 휠과 전륜 사이의 정렬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차량의 주차 여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를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차량 상태 검출부와; 상기 차량이 주차되어 있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가 검출되면,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의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센터 위치로 복원시키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시 발생하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상기 차량의 전륜 사이의 정렬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보상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STORATING STEERING WHEEL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모터 구동 방식의 스티어링 휠을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스티어링 휠(핸들)은 전륜의 각도를 조정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조 동력이 사용된다. 스티어링 휠에 적용되는 보조 동력은 통상적으로 유압 방식이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보조 동력으로 사용하는 전동 방식의 채용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스티어링 휠에 제공되는 보조 동력의 크기는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가변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차량이 정지 상태이거나 비교적 저속으로 운행되는 상태에서는 운전자의 작은 힘으로도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도록 보조 동력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차량이 비교적 고속으로 운행되는 상태에서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운전자의 큰 힘이 필요하도록 보조 동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운행을 마친 차량을 주차하는 과정에서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의 각도에 대하여 큰 관심을 갖지 않는 상태에서 주차를 완료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차량의 전륜을 차체와 일직선이 되도록 정렬시키지 않고 전륜이 어느 한 쪽으로 틀어진 상태로 주차하는 경우, 차량을 다시 운행하기 위해 출발할 때 전륜이 어느 한쪽으로 틀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운전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엉뚱한 방향으로 차량이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운전자는 차량의 출발 전에 전륜의 상태(각도)를 확인하여 차량의 출발 시 진행 방향을 미리 인식한 후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중립위치로 조정한 상태로 출발해야 한다. 운전자에게는 이와 같은 상황이 번거롭고 불편할 수 있으며, 전륜의 상태(각도)를 미리 확인하지 못하면 자칫 운전자가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차량이 진행하는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주차 시 스티어링 휠을 차량의 직진 방향과 일치하도록 센터(중립 위치)로 자동 복원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시 타이어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티어링 휠과 전륜 사이의 정렬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차량의 주차 여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를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차량 상태 검출부와; 상기 차량이 주차되어 있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가 검출되면,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의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센터 위치로 복원시키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시 발생하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상기 차량의 전륜 사이의 정렬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보상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에서, 상기 보상 제어는, 상기 센터 복원 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이 제 1 방향일 때,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센터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스티어링 휠을 더 회전시킨 후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제 1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센터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상기 차량의 중량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상술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중량이 클수록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가 더욱 증가한다.
상술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의 시동 오프 또는 상기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의 활성화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방법은, 차량의 주차 여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주차되어 있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가 검출되면,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의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센터 위치로 복원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시 발생하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상기 차량의 전륜 사이의 정렬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보상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방법에서, 상기 보상 제어는, 상기 센터 복원 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이 제 1 방향일 때,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센터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스티어링 휠을 더 회전시킨 후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제 1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센터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방법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상기 차량의 중량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상술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방법에서, 상기 차량의 중량이 클수록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가 더욱 증가한다.
상술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방법에서, 상기 차량의 엔진의 시동 오프 또는 상기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의 활성화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또 다른 스티어링 휠 복원 방법은, 차량의 주차 여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주차되어 있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가 검출되면,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의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센터 위치로 복원시키는 단계와; 상기 센터 복원 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이 제 1 방향일 때,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센터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스티어링 휠을 더 회전시킨 후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제 1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센터 위치로 복원시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시 발생하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상기 차량의 전륜 사이의 정렬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보상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주차 시 스티어링 휠을 차량의 직진 방향과 일치하도록 센터(중립 위치)로 자동 복원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개선한다. 특히,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시 타이어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티어링 휠과 전륜 사이의 정렬 불일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 센터 복원을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 얼라인먼트 토크 보상을 위한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1)(22),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4),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7),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19)를 포함한다.
차륜(21)(2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과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한다. 배터리(24)는 차량(1)의 여러 전장 부품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17)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8)(19)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8)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1)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는 차량 상태 검출부(100)와 제어부(200), 모터(300)를 포함한다. 스티어링 휠(190)은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 방식일 수 있으며, 모터(300)에서 발생하는 동력이 스티어링 휠(190)의 보조 동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터(300)의 동력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운전자의 개입 없이 스티어링 휠(190)의 자동 센터 복원을 구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차량 상태 검출부(100)는 차량(1)의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차량 상태 검출부(100)에 의해 검출되는 차량(1)의 정보는 차속과 엔진 회전수, 변속 레버 위치, 조향각, 복원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상태 검출부(100)는 차속 검출부(101)와 엔진 회전수 검출부(102), 변속 레버 검출부(103), 조향각 검출부(104), 복원 의지 검출부(105)를 포함한다.
차속 검출부(101)는 변속기의 출력 축 회전수로부터 차량(1)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엔진 회전수 검출부(102)는 크랭크 축 혹은 캠 축의 위상 변화로부터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변속 레버 검출부(103)는 변속단을 선택하는 변속 레버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조향각 검출부(104)는 스티어링 휠(190)의 작동 변위 및 방향 즉 조향각을 검출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복원 의지 검출부(105)는 스티어링 휠(190)의 복원 의지를 검출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복원 의지 검출부(105)는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을 실시해야 하는 상황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엔진의 시동 오프 또는 주차 브레이크의 활성화 등을 검출하여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차량 상태 검출부(1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1)의 주차 의지 및 스티어 링 휠(190)의 센터 복원 의지가 모두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센터 복원 프로파일에 따라 모터(300)의 구동 속도, 구동 토크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스티어링 휠(190)의 조향각이 0도가 되도록 하거나 현재 조향각이 미리 설정된 영점과 일치되도록 하여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모터(300)는 스티어링 휠(190)의 동작에 보조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장치로서,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토크와 구동 속도, 회전 방향이 제어되어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휠 센터 복원을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200)는 차량 상태 검출부(100)를 이용하여 차량(1)의 상태를 검출한다(302).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차량 상태 검출부(100)를 통해 차속과 엔진 회전수, 변속 레버 위치, 조향각, 복원 여부 등을 포함하는 차량(1)의 상태를 검출한다.
특히 제어부(200)는 차량(1)의 상태 정보로부터 차량(1)이 주차 상태인지를 확인한다(304).
제어부(200)는, 차량(1)의 엔진이 시동 오프되거나 또는 주차 브레이크가 활성화되는 것으로부터 차량(1)의 주차 상태를 확인한다. 즉, 엔진이 시동 오프되거나 주차 브레이크가 활성화되면, 제어부(200)는 차량(1)이 주차 상태인 것으로 인지한다. 차량(1)이 주차 상태일 때, 제어부(200)는 스티어링 휠(190)의 자동 센터 복원을 실시하게 된다.
차량(1)이 주차 상태일 때(304의 '예'), 제어부(200)는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을 위해 스티어링 휠(190)의 현재의 조향각을 측정한다(306). 스티어링 휠(190)의 조향각은 차량 상태 검출부(100)의 조향각 검출부(104)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차량(1)이 주차 상태인 것과 스티어링 휠(190)의 현재의 조향각을 알고 있으므로, 제어부(200)는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을 위해 필요한 목표 제어량을 계산한다(308). 여기서 목표 제어량은 스티어링 휠(190)이 현재의 조향각(변위)에서 센터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스티어링 휠(190)의 제어량을 의미한다.
목표 제어량의 계산은 스티어링 휠(190)의 현재의 위치(조향각)를 기반으로 하여 센터 복원에 필요한 모터(300)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을 위해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 제어를 실시한다(310). 만약 스티어링 휠(190)의 현재의 조향각이 센터 위치(0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25도 각도인 채 차량(1)이 주차되었다면, 제어부(200)는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을 위해 스티어링 휠(190)을 반시계 방향으로 25도 각도로 회전시켜서 센터 위치(0도)에 오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200)는 스티어링 휠(190)의 조향각이 센터 위치(0도)에서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한다(314). 만약 오차 범위가 센터 위치(0도)를 기준으로 ±2도일 때, 스티어링 휠(190)의 조향각이 센터 위치(0도)를 기준으로 ±2도 내에 있으면, 제어부(200)는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된 조향각이 오차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한다. 만약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된 조향각이 오차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314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현재의 조향각 측정 단계(306)로 돌아가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을 반복한다.
만약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된 조향각이 오차 범위 내에 있으면(314의 '예'), 제어부(200)는 타이어 얼라인먼트 토크를 보상하기 위한 제어를 실시한다(31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얼라인먼트 토크 보상을 위한 제어는 차량(1)의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력에 의해 스티어링 휠(190)의 실제 회전량과 전륜(21)이 실제 회전량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정렬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스티어링 휠(190)은 지면에 대해 마찰력을 갖지 않기 때문에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해당 각도 그대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전륜(21)은 타이어를 통해 지면과 맞닿아 있어서 지면에 대한 마찰력을 갖는다. 이 마찰력으로 인해 전륜(21)의 실제 회전 각도가 스티어링 휠(190)의 조향각을 그대로 추종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차량(1)이 주차 상태일 경우에는 차량(1)의 하중에 의해 타이어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이 극대화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스티어링 휠(190)과 전륜(21)의 정렬 불일치 발생률은 크게 상승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가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을 위해 스티어링 휠(190)을 반시계 방향으로 25도 각도로 회전시켜서 센터 위치(0도)에 오도록 하더라도, 실제의 전륜(21)은 0도에 위치하지 않고 22도만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륜(21)의 실제 각도는 센터 위치(0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3도만큼 회전한 상태여서 오차 범위(±2도)를 벗어나고, 결국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은 이루어졌으나 전륜(21)은 실제로 센터 복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된다. 전륜(21)이 센터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각도는 3도로 제한되지 않고, 차량(1)의 중량에 따라 그 각도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의 중량이 클수록 전륜(21)이 센터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각도는 더 커질 것이고, 반대로 차량(1)의 중량이 작을수록 전륜(21)이 센터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각도는 상대적으로 작을 것이다. 따라서 차량(1)의 중량을 고려한 실험을 통해 전륜(21)의 정렬 불일치 정도를 데이터로 구하여 보정 제어 시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타이어 얼라인먼트 토크 보상을 위한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스티어링 휠(190)의 실제 회전량과 전륜(21)이 실제 회전량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정렬 불일치를 보상한다. 이와 같은 타이어 얼라인먼트 토크 보상을 위한 제어를 후술하는 도 4에 자세히 나타내었다.
단계 304에서, 만약 차량(1)이 주차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304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이 아닌 다른 일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318).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 얼라인먼트 토크 보상을 위한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E)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타이어 얼라인먼트 토크 보상을 위한 제어 과정을 스티어링 휠(190)과 전륜(21)의 상태 변화를 통해 나타내었다.
도 4(A)는 차량(1)의 전륜(21)이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예를 들면 25도)만큼 회전한 채 주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티어링 휠(190)과 전륜(21) 모두 센터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주차되어 있어 센터 복원 제어가 필요한 상황이다.
도 4(B)는 차량(1)의 센터 복원 제어가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200)는 도 3의 310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센터 복원 제어를 통해 스티어링 휠(190)과 전륜(21)의 센터 복원을 시도한 상태이다.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센터 복원 제어를 통해 스티어링 휠(190)과 전륜(21)이 일시적으로 센터 정렬이 이루어져 있다.
도 4(C)는 전륜(21)의 타이어 얼라인먼트 토크로 인해 발생한 스티어링 휠(190)과 전륜(21) 사이의 정렬 불일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도 4(B)에서 센터 복원 제어를 통해 스티어링 휠(190)과 전륜(21)이 일시적으로 센터 정렬이 이루어졌으나, 실제로는 스티어링 휠(190)은 센터 정렬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전륜(21)은 타이어 얼라인먼트 토크로 인해 센터 정렬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여전히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틀어진 상태로 남아 있다.
도 4(D)는 전륜(21)의 타이어 얼라인먼트 토크로 인해 발생한 스티어링 휠(190)과 전륜(21) 사이의 정렬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보상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보상 제어를 위해 스티어링 휠(190)을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틀어서 시계 방향으로 틀어져 있는 전륜(2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센터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보상 제어를 통해 전륜(21)의 센터 정렬이 이루어진다.
도 4(E)는 전륜(21)의 센터 정렬이 완료된 후 스티어링 휠(190)의 센터 복원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도 4(D)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상 제어를 통해 전륜(21)의 센터 복원은 이루어졌지만, 이 과정에서 스티어링 휠(190)이 반시계 방향으로 틀어지게 된다. 도 4(E)의 과정에서 제어부(200)는 스티어링 휠(190)을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센터 복원이 온전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스티어링 휠(190)과 전륜(21) 모두의 센터 복원이 완료된다.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차량
10 : 본체
14 : 도어
17 : 전면 유리
18, 19 : 사이드미러
21 : 전륜
22 : 후륜
100 : 차량 상태 검출부
101 : 차속 검출부
102 : 엔진 회전수 검출부
103 : 변속 레버 검출부
104 : 조향각 검출부
105 : 복원 의지 검출부
190 : 스티어링 휠
200 : 제어부
300 : 모터

Claims (11)

  1. 스티어링 휠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차량의 주차 여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를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차량 상태 검출부와;
    상기 차량이 주차되어 있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가 검출되면,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의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센터 위치로 복원시키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시 발생하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상기 차량의 전륜 사이의 정렬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보상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제어는,
    상기 센터 복원 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이 제 1 방향일 때,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센터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스티어링 휠을 더 회전시킨 후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제 1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센터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인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상기 차량의 중량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인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중량이 클수록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가 더욱 증가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의 시동 오프 또는 상기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의 활성화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6. 차량의 주차 여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주차되어 있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가 검출되면,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의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센터 위치로 복원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시 발생하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상기 차량의 전륜 사이의 정렬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보상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제어는,
    상기 센터 복원 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이 제 1 방향일 때,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센터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스티어링 휠을 더 회전시킨 후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제 1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센터 위치로 복원시키는 것인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상기 차량의 중량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인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중량이 클수록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가 더욱 증가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엔진의 시동 오프 또는 상기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의 활성화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방법.
  11. 차량의 주차 여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주차되어 있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의지가 검출되면,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의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센터 위치로 복원시키는 단계와;
    상기 센터 복원 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방향이 제 1 방향일 때,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센터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스티어링 휠을 더 회전시킨 후 상기 스티어링 휠을 상기 제 1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센터 위치로 복원시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센터 복원 시 발생하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상기 차량의 전륜 사이의 정렬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보상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방법.
KR1020170112988A 2017-09-05 2017-09-05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및 방법 KR20190026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988A KR20190026299A (ko) 2017-09-05 2017-09-05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988A KR20190026299A (ko) 2017-09-05 2017-09-05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299A true KR20190026299A (ko) 2019-03-13

Family

ID=6576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988A KR20190026299A (ko) 2017-09-05 2017-09-05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62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96B1 (ko) * 2019-05-16 2020-11-04 주식회사 만도 조향 제어 장치와 그 방법, 및 조향 제어 시스템
CN114162212A (zh) * 2020-09-10 2022-03-1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自动回正的方法和一种汽车
CN114524018A (zh) * 2022-03-04 2022-05-2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方向盘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5214775A (zh) * 2022-08-31 2022-10-21 北京主线科技有限公司 一种方向盘中位的调整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996B1 (ko) * 2019-05-16 2020-11-04 주식회사 만도 조향 제어 장치와 그 방법, 및 조향 제어 시스템
CN114162212A (zh) * 2020-09-10 2022-03-1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自动回正的方法和一种汽车
CN114524018A (zh) * 2022-03-04 2022-05-2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方向盘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5214775A (zh) * 2022-08-31 2022-10-21 北京主线科技有限公司 一种方向盘中位的调整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5214775B (zh) * 2022-08-31 2023-09-22 北京主线科技有限公司 一种方向盘中位的调整方法、装置、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6299A (ko)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 장치 및 방법
JP4884056B2 (ja) 車両用操舵制御装置
JP424873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60001774A1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Assistance Device Control Method
US20060089770A1 (en) Steering control apparatus
US7374015B2 (en)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US10994773B2 (en) Steering system
US20200070878A1 (en) Vehicle steering control system, vehicle and control method
KR20130008351A (ko)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를 이용한 차륜 정렬장치 및 그 방법
JP6213233B2 (ja) 操舵制御装置
KR20150055982A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제어방법
JP3794173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3719193B2 (ja) 舵角比可変装置
KR20120033831A (ko) 차량의 스티어링 휠 복원장치 및 방법
US11505243B2 (en) Steering control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101888455B1 (ko)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를 이용한 차륜 정렬장치의 제어방법
KR101904712B1 (ko) 조향시스템의 고장 감지장치 및 방법
KR20100007321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차량의 차륜 정렬장치 및 방법
KR101896313B1 (ko) 가변 랙 스트로크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방법
JP4608803B2 (ja) 駐車方法、駐車支援装置、視界表示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
JPH04143170A (ja) 電動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KR20150043684A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조향휠 복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4016A (ko) 차량의 차륜 정렬 제어방법
CN208698853U (zh) 一种汽车转向控制系统及汽车
KR101499518B1 (ko) 주차시 조향 보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