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962A -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962A
KR20190025962A KR1020197003156A KR20197003156A KR20190025962A KR 20190025962 A KR20190025962 A KR 20190025962A KR 1020197003156 A KR1020197003156 A KR 1020197003156A KR 20197003156 A KR20197003156 A KR 20197003156A KR 20190025962 A KR20190025962 A KR 2019002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main body
belt portion
diaper
absorben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미 에토
겐토 나시키
가즈야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32189A external-priority patent/JP67325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32187A external-priority patent/JP67265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32188A external-priority patent/JP6726545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features before use, e.g. how are the diapers folded or arranged in a pack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은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갖는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은 허리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벨트부(32); 양단부가 상기 벨트부(32)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10); 및 포장재로 포장되는 경우,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이 절곡되는, 상기 상하 방향의 소정의 절곡 위치(F2)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성 본체(10)는 상기 상하 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상기 절곡 위치(F1)에서 접힌다. 상기 흡수성 본체(10)는,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부분(10f) 및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부분(10b)을 갖는다. 상기 절곡 위치(F2)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부분(10f) 및 상기 타방측 부분(10b)은 서로 강성이 상이한 각각의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허리부에 포함되는, 전측부(12)와 후측부(14)의 제1 부분(26)(좌우 방향의 일방측) 및 제3 부분(30)(좌우 방향의 타방측)을 좌우 방향으로 접고, 경계선(2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흡수성 물품(10)을 더 접은, 컴팩트하게 접어 갠 상태의 흡수성 물품(10)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제670279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하의 제1 과제 내지 제3 과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의 과제는, 특허문헌 1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기저귀)을 상하 방향을 따라 접어 갤 때에, 기저귀와 함께 흡수성 본체도 상하 방향으로 절곡된다는 것이다. 흡수체의 강성이 높은 경우에는, 흡수성 본체에 접은 자리(주름)가 형성될 가능성이 적어서, 흡수성 물품이 절곡 전의 평면 상태로 회복되기 쉽다. 포장시에, 이것이 기저귀가 이의 접어 갠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하여, 기저귀를 컴팩트하기 포장하는 것이 어렵다. 다른 한편, 흡수체의 강성이 낮은 경우에는, 흡수성 본체에 주름이 형성되기 쉬워서, 접어 갠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이것이 기저귀를 사용할 때에, 접어 갠 상태로부터 기저귀를 전개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시에 접어 갠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사용시에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2 과제는,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1)에서는, 팬츠형 상태의 흡수성 물품(10)을 경계선(24)을 따라 종 방향으로 접고 있다. 따라서, 제1 부분(26) 및 제3 부분(30)을 제2 부분(28)과 함께 종 방향으로 접어서, 종 방향으로 접은 부재의 수가 증가하여, 접어 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위험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성 물품의 벨트부 및 흡수성 본체의 접힌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하고, 보다 컴팩트하게 포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된 과제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형상을 속옷의 형상에 더욱 가깝게 할수록, 더욱 현저해진다. 예컨대, 기저귀의 형상을 더욱 속옷과 같이 보이게 하기 위해서, 일회용 기저귀의 종 방향(안쪽 솔기) 길이를 증가시키면, 흡수성 코어(흡수성 본체)의 종 방향 길이가 증가하여, 흡수성 코어를 종 방향으로 접을 필요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저귀의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하여, 보다 컴팩트한 포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제3의 과제는,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는, 속옷처럼 보여질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속옷에서와 같이 양측 영역(23)(벨트부)이 횡 방향으로 긴 경우에는, 패키지(15)에 수용된 기저귀(1)가 컴팩트한 형태가 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성 물품을 보다 컴팩트한 포장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된 과제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형상을 속옷의 형상에 더욱 가깝게 할수록, 더욱 현저해진다. 예컨대, 기저귀를 속옷과 같이 보이게 하기 위해서, 일회용 기저귀의 종 방향(안쪽 솔기) 길이 및 횡 방향 길이를 증가시키면, 종 방향으로 길어진 흡수성 코어를 종 방향으로 접고, 횡 방향으로 길어진 벨트부를 횡 방향으로 접을 필요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저귀의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하여, 보다 컴팩트한 포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주된 양태는,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허리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벨트부;
양단부가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 및
포장재로 포장되는 경우,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절곡되는, 상기 상하 방향의 소정의 절곡 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상하 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상기 절곡 위치에서 접히며,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부분 및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절곡 위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부분 및 상기 타방측 부분은 서로 강성이 상이한 각각의 부분을 포함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다.
상기 제2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주된 양태는, 서로 교차하는 종 방향 및 횡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허리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벨트부; 및
양단부가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
를 포함하며,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에 위치하는 개구측, 및 상기 개구측과는 반대측의 반개구측을 가지며,
상기 벨트부의 횡 방향의 양측단이, 상기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반개구측으로부터 상기 개구측을 향해,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양측단을 종 방향으로 접지 않고서,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양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종 방향으로 접혀져 있는 흡수성 물품이다.
상기 제3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주된 양태는, 서로 교차하는 종 방향 및 횡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허리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벨트부; 및
양단부가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
를 포함하고,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에 위치하는 개구측, 및 상기 개구측과는 반대측의 반개구측을 가지며,
상기 벨트부는 횡 방향의 양측단을 포함하고,
상기 벨트부는 상기 횡 방향의 측단 중 일방의 측단을 포함하는 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부분, 및 상기 횡 방향의 측단 중 타방의 측단을 포함하는 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부분을 가지며,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양측단이 상기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고,
상기 횡 방향의 일방의 측단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타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반개구측으로부터 상기 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양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종 방향으로 접혀져 있는 흡수성 물품이다.
제1의 과제에 대한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로서, 포장시에 접어 갠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사용시에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의 과제에 대한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로서, 벨트부의 횡 방향의 양측단을 종 방향으로 접지 않고서, 흡수성 본체를 종 방향의 내측으로 접고 있다. 이것이, 흡수성 본체와 벨트부를 함께 종 방향으로 접은 경우에 비해, 접은 부재의 수를 감소시킨다. 이것이, 접혀진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보다 컴팩트한 포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3의 과제에 대한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로서,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횡 방향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부의 양측단이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접은 경우에는,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내 착용하려고 할 때에는, 벨트부의 두께로 인해 허리 개구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이격된다. 이에 의해, 이격된 허리 개구의 전측 또는 후측 부분을 잡기 쉬워져서, 흡수성 물품을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도 1은 전측으로부터 본 기저귀(1)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2A는 흡수성 본체(10) 및 벨트부(32)를 길이 방향으로 신전시킨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상태의 기저귀(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2A의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를 분리하여 전개한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A는 포장 전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상태로부터 벨트부(32)를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며;
도 4C는 도 4B의 상태로부터 흡수성 본체(10)를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고;
도 5는 기저귀(1)를 포장 상태로부터 꺼내어 소정 시간 경과 후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B의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전개 상태의 기저귀(1)에 대하여, 흡수성 본체(10)와 절곡 위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4C의 C-C 선을 따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9는 전측으로부터 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며;
도 10A는 흡수성 본체(10) 및 벨트부(32)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0B는 도 2A의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1A는 도 10A의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를 분리하여 전개한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1B는 도 3A의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2A는 포장 전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며;
도 12B는 도 12A의 상태로부터 벨트부(32)를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고;
도 12C는 도 12B의 상태로부터 흡수성 본체(10)를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고;
도 13은 기저귀(1)를 포장 상태로부터 꺼내어 소정 시간 경과 후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비접힘부(U)측으로부터 본 도 12C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2B의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6A는 접힘부(T)측으로부터 본, 벨트부(32)를 가장 내측으로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6B는 비접힘부(U)측으로부터 본, 도 8A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벨트부(32)의 접힘 위치를 변경한 경우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8A는 포장 전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8B는 도 18A의 상태로부터 벨트부(32)를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8C는 도 18B의 상태로부터 흡수성 본체(10)를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적어도 하기 사항이 명백해질 것이다.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허리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벨트부;
양단부가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 및
포장재로 포장되는 경우,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절곡되는, 상기 상하 방향의 소정의 절곡 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상하 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상기 절곡 위치에서 접히며,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부분 및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절곡 위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부분 및 상기 타방측 부분은 서로 강성이 상이한 각각의 부분을 포함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의 일방측 부분 및 타방측 부분 중, 강성이 낮은 부분에서는, 접은 자리가 형성되기 쉬워서, 절곡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한편, 강성이 높은 부분에서는, 절곡 위치에 있어서 접은 자리가 형성되기 쉽지 않아서, 절곡 상태로부터 평면 상태로 회복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절곡부의 일방측 부분과 타방측 부분 사이에서 강성의 차이가 없는 기저귀에 비해, 포장시에 접어 갠 상태를 더욱 쉽게 유지할 수 있고, 사용시에 접어 갠 상태로부터 더욱 쉽게 전개할 수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의 상기 좌우 방향의 양측단이 상기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고,
상기 절곡 위치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양측단의 하단보다 하측에 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를 절곡 위치에서 접을 때에, 흡수성 본체와 함께 벨트부가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이, 절곡부에 있어서 절곡되는 부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접어 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쉬워지고, 보다 컴팩트한 포장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의 상기 양측단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벨트부가 접혀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꺼내 착용하려고 할 때에,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벨트부의 두께로 인해, 허리 개구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이격된다. 이에 의해, 이격된 허리 개구의 전측 또는 후측 부분을 잡기 쉬워져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절곡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좌우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의 강성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단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강성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의 좌우 방향의 단부에서만 강성이 높은 영역(고강성 영역)이 형성된다. 이것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가 고강성 영역과 접촉하는 영역을 가능한 한 작게 한다. 이것이 착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덜 느끼게 한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절곡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좌우 방향의 양단부 각각에 있어서의 강성은, 상기 양단부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의 강성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고강성 영역이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제공된다. 이것이 절곡 위치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가 안정하게 절곡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의 중앙부가 저강성 영역이므로, 이 중앙부에서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에 양호한 촉감을 제공할 수 있어서, 흡수성 본체의 흡수 성능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절곡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 중 상기 전후 방향의 전측에 위치하는 전측 부분의 강성이, 상기 흡수성 본체 중 상기 전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부분의 강성보다 낮고,
상기 전측 부분이 상기 후측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가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절곡 위치에 있어서, 강성이 낮은 전측 부분이 강성이 높은 후측 부분보다 접히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성 본체와 같은 소정 두께를 갖는 부재를 절곡시에는, 절곡 위치에 내측의 곡률이 외측의 곡률보다 커진다. 따라서, 강성이 낮은 전측 부분이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이 전측 부분이 큰 곡률로 절곡되어서, 자연스러운 절곡 형상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접힘부와 접히지 않는 비접힘부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고, 상기 절곡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경계 영역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본체는, 고강성부, 및 상기 고강성부보다 강성이 낮은 저강성부를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고강성부와 상기 저강성부 사이의 경계가, 상기 경계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고강성부와 저강성부 사이의 경계에서 흡수체의 강성이 상당히 변화한다. 이것이 이 경계에 있어서 흡수체가 상하 방향으로 절곡하는 기점을 형성하기 쉽게 한다. 따라서, 경계 영역 중에 절곡 기점이 형성되므로, 흡수성 본체가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접어 갠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져서, 보다 컴팩트한 포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보다 전측에 있어서 신축성을 발현하고 있는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가,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보다 후측에 있어서 신축성을 발현하고 있는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 대하여 전후 사이에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가 달라진다. 따라서, 팬츠형의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전측의 단과 후측의 단에 관하여, 상하 방향의 이들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다. 즉,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상단의 위치가 전측과 후측 사이에서 상이하므로, 이것이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착용시에 허리 개구를 열기 쉽게 한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에 위치하는 개구측, 및 상기 개구측과는 반대측의 반개구측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는, 한쌍의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는, 한쌍의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제1 접속부가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각도가, 상기 제2 접속부가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각도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포장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낸 직후에, 팬츠형 흡수성 물품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형상의 차이를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착용자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위한 기점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에 위치하는 개구측, 및 상기 개구측과는 반대측의 반개구측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는, 한쌍의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는, 한쌍의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벨트부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신축성을 갖는 벨트부와 신축성을 갖지 않는 흡수성 본체가 상이한 특성을 가져서, 벨트부와 흡수성 본체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서로 교차하는 종 방향 및 횡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허리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벨트부; 및
양단부가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
를 포함하며,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에 위치하는 개구측, 및 상기 개구측과는 반대측의 반개구측을 가지며,
상기 벨트부의 횡 방향의 양측단이, 상기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반개구측으로부터 상기 개구측을 향해,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양측단을 종 방향으로 접지 않고서,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양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종 방향으로 접혀져 있는 흡수성 물품.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상기 벨트부의 횡 방향의 양측단을 종 방향으로 접지 않고서, 흡수성 본체가 종 방향의 내측으로 접힌다. 이것이, 흡수성 본체 및 벨트부를 함께 종 방향으로 접은 경우에 비해, 접는 부재의 수를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져서, 보다 컴팩트한 포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벨트부의 상기 양측단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벨트부가 접혀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내 착용하려고 할 때에,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벨트부의 두께로 인해, 허리 개구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이격된다. 이에 의해, 이격된 허리 개구의 전측 또는 후측 부분을 잡기 쉬워져서, 흡수성 물품을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측단 중 일방의 측단을 포함하는 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부분, 및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측단 중 타방의 측단을 포함하는 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부분을 가지며,
상기 횡방향의 일방의 측단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타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내 착용하려고 할 때에, 허리 개구의 전측 부분과 후측 부부이 더 이격된다. 이에 의해, 이격된 허리 개구의 전측 또는 후측 부분을 잡기 쉬워져서, 흡수성 물품을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횡 방향의 일방의 측단의 개구측의 단은, 상기 타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고,
상기 횡 방향의 일방의 측단의 반개구측의 단은, 상기 타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횡 방향의 타방의 측단의 개구측의 단은, 상기 일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고,
상기 횡 방향의 타방의 측단의 반개구측의 단은, 상기 일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내 착용하려고 할 때에, 허리 개구의 전측 부분과 후측 부부이 더 이격된다. 이에 의해, 이격된 허리 개구의 전측 또는 후측 부분을 잡기 쉬워져서, 흡수성 물품을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양단부 중,
일단부는 한쌍의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는 한쌍의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1 접속부가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각도는, 상기 제2 접속부가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각도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포장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낸 직후에, 흡수성 물품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형상의 차이를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위한 기점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벨트부의 상기 양측단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벨트부가 접혀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이 벨트부와 접촉하지 않아서,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의 손상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양단부 중,
일단부는 한쌍의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는 한쌍의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벨트부는 상기 횡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양단부는 상기 횡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신축성을 갖는 벨트부와 신축성을 갖지 않는 흡수성 본체가 상이한 특성을 가져서, 벨트부와 흡수성 본체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성 물품이 종 방향으로 접히는 접힘부,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접히지 않는 비접힘부, 및
상기 접힘부와 상기 비접힘부 사이의 경계가 되는 경계부
를 가지며,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측단 각각의 반개구측의 단이 상기 경계부에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벨트부의 양측단의 반개구측의 단과 경계부에 접하는 부분 사이에는, 중첩되는 부재의 수가 상이하여, 강성이 변화한다. 이에 의해, 흡수성 본체를 종 방향으로 접기 쉬워지고,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서로 교차하는 종 방향 및 횡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허리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벨트부; 및
양단부가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
를 포함하고,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에 위치하는 개구측, 및 상기 개구측과는 반대측의 반개구측을 가지며,
상기 벨트부는 횡 방향의 양측단을 포함하고,
상기 벨트부는 상기 횡 방향의 측단 중 일방의 측단을 포함하는 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부분, 및 상기 횡 방향의 측단 중 타방의 측단을 포함하는 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부분을 가지며,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양측단이 상기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고,
상기 횡 방향의 일방의 측단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타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반개구측으로부터 상기 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양측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종 방향으로 접혀져 있는 흡수성 물품.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횡 방향의 길이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부의 양측단이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벨트부가 접혀져 있는 경우에는,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내 착용하려고 할 때에, 벨트부의 두께로 인해 허리 개구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서로 이격된다. 이에 의해, 이격된 허리 개구의 전측 또는 후측 부분을 잡기 쉬워져서, 흡수성 물품을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벨트부의 상기 양측단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벨트부가 접혀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내 착용하려고 할 때에,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벨트부의 두께로 인해, 허리 개구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이격된다. 이에 의해, 이격된 허리 개구의 전측 또는 후측 부분을 잡기 쉬워져서, 흡수성 물품을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벨트부의 접혀진 상기 양측단은,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개구측의 단보다 상기 반개구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내 착용하려고 할 때에, 흡수성 물품의 개구측의 단보다 반개구측에 위치하는 중복되는 벨트부의 두께로 인해, 허리 개구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이격된다. 이에 의해, 이격된 허리 개구의 전측 또는 후측 부분을 잡기 쉬워져서, 흡수성 물품을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흡수성 본체는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코어를 가지며,
상기 벨트부의 접혀진 상기 양측단은,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개구측의 단보다 상기 반개구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일방의 벨트부와 타방의 벨트부가 중첩된 부분이 소정 두께를 갖는 쿠션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포장 상태의 흡수성 코어에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양단부 중,
일단부는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는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벨트부의 다른 부분보다 강성이 높은 부분이 되어,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히지 않는다. 이에 의해 흡수성 본체의 내측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양단부 중,
일단부는 한쌍의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는 한쌍의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1 접속부가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각도는, 상기 제2 접속부가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각도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포장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낸 직후에, 흡수성 물품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형상의 차이를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위한 기점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벨트부는 시트 부재를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피부측으로 접어서 형성된 접힘부를 가지며,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일방의 측단의 일부 및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타방의 측단의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접힘부와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벨트부의 횡 방향 측단 중 적어도 일부가 접힘부와 중첩되고, 결과적으로 허리 개구에 더 많은 수의 부재가 중첩된다. 이에 의해,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꺼내 착용하려고 할 때에, 흡수성 물품을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벨트부의 상기 양측단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벨트부가 접혀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이 벨트부와 접촉하지 않아서,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의 손상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양단부 중,
일단부는 한쌍의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는 한쌍의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벨트부는, 접힌 부분과 접히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부에, 상기 횡 방향의 단이 되는 두쌍의 경계선을 가지며,
상기 경계선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 및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상기 경계선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 및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어,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횡 방향의 길이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기저귀(1)의 기본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흡수성 물품으로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이하, "기저귀(1)"로도 지칭됨)의 기본 구성을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전측으로부터 본 기저귀(1)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A는 흡수성 본체(10) 및 벨트부(32)를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상태의 기저귀(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를 분리하여 전개한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기저귀(1)는 착용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팬츠형의 상태가 된다.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는, 서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종 방향"으로도 지칭됨)", "좌우 방향("횡 방향"으로도 지칭됨)" 및 "전후 방향"을 갖는다. 한편, 상하 방향 중 착용자의 허리측을 "허리 개구측" 또는 "개구측"으로 지칭하고, 착용자의 가랑이측을 "가랑이측"으로 지칭한다. 또한, 전후 방향 중 착용자의 전측을 "전측"으로 지칭하고, 착용자의 후측을 "후측"으로 지칭한다.
기저귀(1)는 허리 개구(BH), 한쌍의 다리 개구부(LH),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10), 한쌍의 다리 개더부(37),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벨트부(32)를 갖는다.
벨트부(32)가 좌우 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열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32)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의 각 단부(10eLf, 10eLb)가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기저귀(1)의 전측에서는, 흡수성 본체(10)의 단부(10eLf)와 벨트부(32)가, 허리 개구(BH)로부터 다리 개구(LH)를 향해,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진 한쌍의 제1 접속부(jf)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유사하게, 후측에서는, 흡수성 본체(10)의 단부(10eLb)와 벨트부(32)가, 허리 개구(BH)로부터 다리 개구(LH)를 향해,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진 한쌍의 제2 접속부(j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리 개더부(37)의 전측의 단부(37eLf)가 제1 접속부(jf)에 의해 벨트부(32)에 접속되어 있고, 후측의 단부(37eLb)가 제2 접속부(jb)에 의해 벨트부(32)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에서 이용된 접속 방법으로서, 접착제,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잘 알려진 접속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기저귀(1)의 허리 개구(BH)의 단(개구측의 단)은, 흡수성 본체(10)의 전측 단(10ef) 및 후측 단(10eb), 및 각 벨트부의 단(32ew)을 포함한다. 흡수성 본체의 단(10ef, 10eb) 각각은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제공되어 있다.
기저귀(1)의 각 벨트부(32)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실고무(33)(이하, "탄성 부재" 또는 "신축 부재"로도 지칭됨)를 갖는다. 실고무(33)는 상하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도 1 참조), 벨트부(32)에 좌우 방향으로의 신축성을 부여하여, 허리 개구(BH)에 피트성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다리 개더부(37)는 흡수성 본체(10)의 좌우 방향의 양측에 제공되어 있다. 각 다리 개더부(37)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실고무(38)(탄성 부재)를 갖는다. 실고무(38)는 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다리 개더부(37)에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성을 부여하여, 다리 개구(LH)에 피트성을 부여하고 있다.
기저귀(1)는 제조 공정의 최후 단계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면 상태에 있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는 서로 직교하는 3 방향: 길이 방향; 좌우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다. 길이 방향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이고, 팬츠형 상태(도 1)에서의 상하 방향에 대응한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기저귀(1)"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탄성 부재(예컨대 실고무(33, 38))에 의한 수축력에 대항하여 기저귀(1)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경우에, 실고무(33, 38)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주름 또는 개더가 시인되지 않을 때까지 신장시킨 상태를 지칭한다.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기저귀(1)의 형상은,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발현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평탄하게 신장되어 있는 기저귀(1)의 형상과 유사하다.
도 2A에 도시된 평면 상태의 기저귀(1)에서는, 흡수성 본체(10), 한쌍의 다리 개더부(37) 및 한쌍의 벨트부(32)에 관하여, 이들 자신의 길이 방향이 정렬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10) 및 한쌍의 다리 개더(37)의 피부면측에, 한쌍의 벨트부(32)가 적층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다리 개더부(37) 및 한쌍의 벨트부(32)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벨트부(32)의 좌우 방향의 내측에 내측 단(32ew)이 놓여 있다. 내측 단(32ew)이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열린 후, 각 벨트부(32)를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대해 둘로 접으면서,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개더(37) 각각을 기저귀(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 둘로 접는다. 결과적으로, 기저귀(1)는 팬츠형 상태(도 1)가 된다. 기저귀(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는, 착용시에 있어서 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또한,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는, 팬츠형 상태에 있어서 가장 가랑이측에 위치하는, 도 2A의 중앙 위치(CLL10)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부재(도 3A)를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를 따라 절단하여, 길이 방향의 단부(10eLf, 10eLb)가 평면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V형으로 테이퍼링된 시트 부재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에서는,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부터 다음 순서로 순차 적층되어 있다: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액투과성 탑 시트(12); 흡수체(11);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형성된 액불투과성 백 시트(14); 및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외장 시트(16).
제1 접속부(jf)의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하는 각도(θf)는, 제1 접속부(jf)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θf)이다. 제2 접속부(jb)의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하는 각도(θb)는, 제2 접속부(jb)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θb)이다. 각도(θf)는 각도(θb)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도(θf)는 40°이고, 각도(θb)는 34°이다. 각도(θf) 및 각도(θb)는 평면 상태의 기저귀(1)(도 2A) 및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도 1) 양쪽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흡수체(11)는 다음을 포함한다: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코어(15); 및 흡수성 코어(15)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코어랩 시트(미도시). 흡수성 코어(15)는, 액체 흡수성 소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코어(15)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만곡된 타원 형상을 갖는다. 액체 흡수성 소재로서, 펄프 섬유와 같은 액체 흡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를 채용할 수 있다. 코어랩 시트로서는, 티슈페이퍼 및 부직포와 같은 액투과성 시트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흡수성 코어(15)가 코어랩 시트에 의해 피복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체(11)(흡수성 코어(15))의 길이 방향의 각 단부는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하여, 다른 영역보다 강성이 높아지고 있다. 도 3A에서는, 흡수체(11)(흡수성 코어(15)) 중 사선 영역은, 사선이 들어가 있지 않은 저강성 영역(11lr)의 강성보다 강성이 높은 고강성 영역(11hr)이다. 기저귀(1)에서는, 흡수성 본체(10)(흡수체(11))의 길이 방향의 각각의 단부 영역에 벨트부(32)가 접합되어 있고, 이에 따라 기저귀(1)의 착용시에 벨트부(32)가 끌리면서 흡수체(11)가 변형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면에서, 벨트부(32)가 접합되는, 길이 방향의 단부 부근에 고강성 영역(11hr)을 제공하는 것은, 흡수체(11)의 변형을 억제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강성"은 흡수체(11)와 같은 시트 부재가 외력을 받은 때의 변형하기 쉬운 정도를 지칭한다. 강성의 고저를 비교하기 위한 강성값은, 예컨대 걸리 강연도의 측정값을 샘플의 길이로 나누어 없은 값이다. 걸리 강연도는, Yasuda Seiki Seisakusho, LTD.의 No. 311 걸리 굴곡 유연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JIS-L1096에 따라 측정한다.
기저귀(1)에서는, 흡수성 코어(15)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CLL15)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CLL10)와 상이하다. 도 3A에서는, 흡수성 코어(15)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CLL15)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CLL10)에 비해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흡수성 코어(15)는 길이 방향(종 방향)에 있어서 전측을 향해 이동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는, 전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코어(15)의 면적이 넓어진다. 이에 의해, 뇨가 배설된 때에 전측에 있어서 뇨를 흡수하기 쉬워져서, 뇨가 기저귀(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벨트부(32) 및 다리 개더부(37)는 동일한 시트 부재(30)로 형성된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좌우 방향의 양측에는, 시트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각 시트 부재(30)는 하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한쌍의 유연한 시트(30a)를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시트(30a) 사이에 실고무(33, 38)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각 시트 부재(30)의 좌우 방향의 내측 단부(30eW)는, 흡수성 본체(10)를 구성하는 탑 시트(12), 백 시트(14) 및 외장 시트(16) 사이에 개재되고, 내측 단부(30eW)가 탑 시트(12), 백 시트(14) 및 외장 시트(16)에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부재(30) 중, 벨트부(32)가 되는 부분과 다리 개더부(37)가 되는 부분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음선(FL)이 존재한다. 각 시트 부재(30)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리 개구부(LH)를 가지며, 이것이 접음선(FL)을 좌우 방향으로 걸친다. 따라서, 접음선(FL)에서 시트 부재(30)를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접어서 벨트부(32) 및 다리 개더부(37)를 형성한다.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에서, 흡수성 본체(10)의 단부(10eLf, 10eLb) 및 다리 개더부(37)의 단부(37eLf, 37eLb) 및 벨트부(32)의 좌우 단부(32eLf, 32eLb)가 접속되어, 도 2A의 평면 상태의 기저귀(1)가 형성된다.
도 2B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2)의 좌우 방향 외측의 단부 영역에는 접힘부(FLB)가 형성되어 있고; 접힘부(FLB)에서는, 시트 부재(30)의 일부가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2회 접혀서,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힌 상태에서 고정된다. 접힘부(FLB)는,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벨트부(32)의 개구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어, 허리 개구(BH)의 일부를 형성하고, 착용자의 허리에 있어서의 과도한 조임 등에 의해 유발되는 스트레스를 완화시킨다.
<포장 상태의 기저귀(1)>
포장 상태의 기저귀(1)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복수의 기저귀(1)가 각각 소정 회수 접혀진다. 기저귀가 두께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고, 포장재(미도시)에 포장되어, 시장에 유통된다. 포장재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유연한 시트 소재로 형성되고, 기저귀(1)의 형상 또는 포장되는 기저귀(1)의 수에 따라, 이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도 4A는 포장 전의 기저귀(1)를 도시화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상태로부터 벨트부(32)를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상태로부터 흡수성 본체(10)를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5는 포장 상태로부터 꺼내어 소정 시간 경과된 후의 기저귀(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B의 상태의 기저귀(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에 포장되기 전의 기저귀(1)는, 도 1과 유사한 팬츠형 상태에 있다. 우선, 도 4A의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의 벨트부(32)의 측단(32es)을,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접음선(F1)을 따라 접는다. 즉, 벨트부(32)의 측단(32es)이 허리 개구(BH)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벨트부(32)를 내측으로 접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단(32es)이, 단(32ew) 및 단(10ef, 10eb)에 비해 가랑이측에 위치하도록, 접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접음선(F1)은, 벨트부의 측단(32es)을 좌우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접음으로써, 벨트부(32)의 윤곽을 형성하는 선이 되고 있다. 접음선(F1)은,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보다 좌우 방향의 외측에 제공되어 있다. 벨트부(32)의 측단(32es)이 접히면서, 기저귀(1)는 도 4B의 상태가 된다.
도 4B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일방측(도 4A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단(32es)은, 타방측(도 4A의 우측)의 벨트부(32)의 접힌 부분과 중첩되어 있다. 유사하게, 좌우 방향의 타방측(도 4A에 있어서의 우측)의 측단(32es)은, 일방측(도 4A에 있어서의 좌측)의 벨트부(32)의 접힌 부분과 중첩되어 있다. 즉, 접힌 벨트부(32)가 서로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중첩부(P)(도 4B 및 6에 있어서 좌측으로 비스듬히 하향된 사선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4B의 상태로부터, 접음선(F2)을 따라 기저귀(1)를 상하 방향으로 접는다. 이 접음선(F2)은 상하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 기저귀(1)를 절곡하기 위한 "절곡 위치"에 상당한다. 즉, 기저귀(1)를 포장재로 포장하기 위해, 절곡 위치에서 기저귀(1)가 절곡되고, 흡수성 본체(10)가 상하 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접힌다.
흡수성 본체(10)(기저귀(1))는 소정 두께를 가지고 있고, 흡수성 본체(10)를 (접음선(F2)을 따라) 절곡 위치에서 절곡시킬 때에는, 경계 영역(B)이 절곡되는데; 경계 영역(B)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다. 이 경계 영역(B)은 접음선(F2)을 기준선으로 이용하여 기저귀(1)를 상하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또한, 경계 영역(B)은,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기저귀(1)의 접힘부(T)(도 6에 있어서의 가랑이측의 부분)와, 접히지 않는 기저귀(1)의 비접힘부(U)(도 6에 있어서의 개구측의 부분)의 경계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경계 영역(B)은 벨트부(32)에 비해 가랑이측에 위치한다. 도 6에서는, 벨트부(32)의 측단(32es)의 가랑이측의 단(비개구측의 단)이 경계 영역(B)과 접하고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 갠 상태의 기저귀(1)의 크기는 도 4B의 상태의 기저귀(1)의 실질적으로 1/2 크기이다. 이하, 절곡 위치(접음선(F2))에서 기저귀(1)를 접은 상태에서, 허리 개구(BH) 및 기저귀(1)의 가랑이측에 상당하는 측을 "개구측"으로 지칭하고, 절곡 위치(접음선(F2))측에 상당하는 측을 "반개구측"으로 지칭한다. 한편, 도 4C는 접힘부(T)측으로부터 기저귀(1)를 시인한 도면이고,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의 가랑이측 영역을 시인할 수 있다.
도 4C의 접어 갠 상태의 기저귀(1)를 접힘부(T)측 또는 비접힘부(U)측으로 소정 수(예컨대 10개) 적층하고, 포장재에 포장하여, 시장에 유통시킨다.
도 5는 포장재에 포장된 기저귀(1)를 포장재로부터 꺼내어 소정 시간(예컨대 약 15 분) 경과한 후에 개구측으로부터 본 기저귀(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저귀(1)는 통상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포장재에 포장된다. 예컨대, 기저귀(1)는 도 5에 도시된 기저귀(1)의 1/3 내지 1/4의 두께로 압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2)의 측단(32es)이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벨트부(32)를 접음으로써, 허리 개구(BH)의 내측에서 일방측의 벨트부(32)와 타방측의 벨트부(32)가 중첩된다. 상술된 바의 포장 상태의 기저귀(1)에서는, 벨트부(32)의 횡 방향의 단부는 다음 2 부분을 갖는다: 전측 횡단부 및 후측 횡단부. 한편, 벨트부(32)의 접힌 부분과 접히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부에, 각 횡단부의 횡 방향의 외측의 단에 위치하는 각 횡단(32ef, 32ef, 32eb, 32eb)이 제공되어 있다. 일방측 횡단 및 타방측 횡단이 한쌍의 경계선을 형성한다. 일방측의 한쌍의 횡단(32ef, 32eb) 및 타방측의 한쌍의 횡단(32ef, 32eb) 중, 외측에 위치하는 횡단이 접음선(F1)에 상당하고, 기저귀(1)의 벨트부(32)의 윤곽이 된다. 또한, 허리 개구(BH)는 실고무(33)가 제공된 벨트부(32)의 개구측의 단(32ew) 및 흡수성 본체(10)의 개구측의 단(10ef, 10e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벨트부(32)의 개구측의 단(32ew)을 사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허리 개구(BH)는 신축성 단(32ew) 및 비신축성 단(10ef, 10eb)을 포함한다. 신축 가능한 벨트부(32)의 일부가 횡 방향으로 접히고, 비신축성 흡수성 본체(10)는 횡 방향으로 접히지 않는다.
<흡수성 본체(10)의 절곡>
도 7은 전개 상태의 기저귀(1)에 대하여 흡수성 본체(10)와 절곡 위치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C의 C-C 선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C-C 단면의 횡 방향의 위치는, 도 7에 있어서 "(C)-(C)"로 표시되는 위치이다.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는 접음선(F1, F2)을 따라 접혀져서, 도 8의 접어 갠 상태를 형성한다. 기저귀(1)를 접어 개기 위해, 길이 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 중앙 위치(CLL10) 및 접음선(F2)에서 흡수성 본체(10)가 절곡된다. 중앙 위치(CLL10)는, 흡수성 본체(10)의 저강성 영역(11lr)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중앙 위치(CLL10)에 접은 자리가 확실히 형성되어, 흡수성 본체(10)가 절곡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한편, 접음선(F2)(절곡 위치)은 전측에 있어서 전체가 저강성 영역(11lr)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지만, 후측에 있어서는 일부가 고강성 영역(11hr)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 중, 전후 방향의 전측에 전측부(10f)(일방측부)가 위치하고, 전후 방향의 후측에 후측부(10b)(타방측부)가 위치한다. 접음선(F2)(절곡 위치)에 있어서, 전측부(10f) 및 후측부(10b)는 서로 상이한 강성을 갖는 각각의 부분을 포함한다. 도 8의 경우, 전측부(10f)(일방측부)는 낮은 강성을 가지며, 따라서 절곡 위치에서 접힌 자리를 형성하기 쉬워서, 절곡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다른 한편, 후측부(10b)(타방측부)는 높은 강성을 가져서, 절곡 위치에서 접힌 자리를 형성하기 어려워서, 절곡 상태로부터 평면 상태로 회복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절곡 위치에 있어서 일방측 부분 및 타방측 부분 모두가 높은 강성을 갖는 경우에 비해, 기저귀(1)에서 접어 갠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절곡 위치에 있어서 일방측 부분 및 타방측 부분 모두가 낮은 강성을 갖는 경우에 비해, 기저귀(1)를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기저귀에 비해, 포장시에 접어 갠 상태를 더욱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사용시에 접어 갠 상태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다.
기저귀(1)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위치(접음선(F2))를 포함하는 경계 영역(B)에 있어서, 전측부(10f)가 내측이, 그리고 후측부(10b)가 외측이 되도록, 흡수성 본체(10)가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절곡 위치에 있어서, 내측 부분은 절곡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지고, 외측 부분은 평면 상태로 회복되기 쉬워진다. 흡수성 본체(10)(기저귀(1))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따라서 경계 영역(B)에서는, 내측 곡률이 외측 곡률보다 커진다. 따라서, 기저귀(1)와 같이 내측의 전측부(10f)를 외측의 후측부(10b)보다 절곡하기 쉬운 구조가 되어, 경계 영역(B)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절곡 형상을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기저귀(1)의 절곡 위치(접음선(F2))에 있어서, 전측부(10f)와 후측부(10b) 사이에서는 강성이 상이한데, 이것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5)가 길이 방향(종 방향)에 있어서 전측을 향해 이동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흡수성 코어(15)가 길이 방향의 후측을 향해 이동된 경우라도, 전측부(10f)(일방측부)와 후측부(10b)(타방측부)에서 강성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장시에 접어 갠 상태가 용이하게 유지되고 사용시에 접어 갠 상태로부터 용이하게 전개되는 기저귀를 실현할 수 있다.
기저귀(1)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의 절곡 위치(접음선(F2))에 있어서, 흡수체(11)(흡수성 코어(15))의 좌우 방향의 일부만이 고강성 영역(11hr)이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11)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가 고강성 영역(11hr)이 되어 있고, 그 사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는 저강성 영역(11lr)이 되어 있다.
기저귀(1)의 착용시에, 흡수체(11)(흡수성 코어(15))의 절곡 위치(접음선(F2))는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고강성 영역(11hr)이 크면, 딱딱한 고강성 영역(11hr)이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기 쉬워져서, 착용자에게 불편감을 느끼기 쉽게 한다. 기저귀(1)에서는, 절곡 위치(접음선(F2))에 있어서 흡수체(11)(흡수성 코어(15))의 좌우 방향의 단부에서만 고강성 영역(11hr)이 형성되어, 기저귀(1)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가 고강성 영역(11hr)과 접촉하는 면적을 가능한 한 적게 한다. 이것이 착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덜 느끼게 한다.
고강성 영역(11hr)을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제공함으로써, 절곡 위치(F2)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가 안정하게 절곡되기 쉬워진다. 고강성 영역(11hr)이 좌우 방향의 일단부에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흡수성 본체(10)는 좌우 방향의 일방측에서는 절곡되기 쉬워지지만, 좌우 방향의 타방측에서는 절곡되기 어려워진다. 이 경우, 기저귀(1)를 깨끗하게 접어 개서 포장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고강성 영역(11hr)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술된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절곡 위치에서 안정하게 흡수성 본체(10)를 절곡하기 쉬워진다.
절곡 위치에 있어서 흡수체(11)(흡수성 코어(15))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가 저강성 영역(11lr)이 되어 있으므로, 이 중앙부에서는 기저귀를 착용시에 양호한 촉감을 제공할 수 있고 흡수체(11)의 흡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한 고강성 영역(11hr) 사이에 저강성 영역(11lr)을 제공함으로써, 적어도 이 중앙부에서는 흡수체(11)(흡수성 코어(15))를 절곡하기 용이해진다. 이에 의해, 좌우 방향의 전체 영역에 고강성 영역(11hr)이 제공되는 경우에 비해, 흡수성 본체(10)를 절곡 위치에 있어서 어느 정도 절곡하기 쉬워진다.
기저귀(1)에서는, 절곡 위치(접음선(F2))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벨트부(32)보다 하측에 제공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절곡 위치(접음선(F2))가 벨트부(32)의 좌우 방향의 측단(32es)이 내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하 방향의 측단(32es)의 하단부보다 하측에 제공되어 있다. 이에 의해, 흡수성 본체(10)가 절곡 위치(접음선(F2))에서 절곡될 때에, 벨트부(32)가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이, 흡수성 본체(10) 및 벨트부(32)를 상하 방향으로 함께 접은 경우에 비해, 접히는 부재의 수를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기저귀(1)의 접어 갠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져서, 보다 컴팩트한 포장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기저귀(1)는,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접혀진다. 즉,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기저귀(1)의 내측으로 접혀진다. 따라서,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기저귀(1)를 꺼내어 착용하려고 할 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접혀진 벨트부(32)의 두께로 인해, 기저귀(1)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이격될 수 있다. 기저귀(1)를 개구측으로부터 보면, 이격된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쉽게 인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측 부분의 단(10ef) 및 후측 부분의 단(10eb)을 잡기 쉬워져서, 기저귀(1)를 포장 상태로부터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부(10b)에 있어서, 흡수체(11)(흡수성 코어(15))의 고강성 영역(11hr)과 저강성 영역(11lr) 사이의 길이 방향의 경계는, 절곡 위치(접음선(F2))를 포함하는 경계 영역(B)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계에서는 흡수체(11)의 강성이 상당히 변화하므로, 흡수체(11)를 상하 방향으로 절곡하기 위한 절곡 기점을 형성시키기 쉬워진다. 따라서, 경계 영역(B)에 고강성 영역(11hr) 및 저강성 영역(11lr)의 경계가 위치함으로써, 경계 영역(B)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가 절곡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기저귀(1)의 접어 갠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져서, 보다 컴팩트한 포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리 개더부(37)에는, 복수의 탄성 부재(실고무(38))가 제공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CLL10)보다 전측에서의 각각의 탄성 부재의 길이(L38f)는,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CLL10)보다 후측에서의 탄성 부재의 길이(L38b)와 상이하다. 또한, 실고무(38)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길이(L38f, L38b)의 전체 범위에서 신축력을 발현하고 있다. 따라서, 다리 개더부(37)에 제공된 탄성 부재(실고무(38))에 의해 작용하는 신축력의 강도는,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CLL10)에 대하여 전측과 후측에서 상이하다. 이에 의해, 중앙 위치(CLL10)에 대해 전후에서 기저귀(1)의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가 상이해져서, 도 1의 팬츠형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전측의 단(10ef)과 후측의 단(10eb)의 각각의 위치가 상하 방향에서 상이해진다. 기저귀(1)의 상단의 위치가 전측과 후측에서 상이하므로, 이에 의해, 기저귀(1)를 착용시에 허리 개구(BH)를 전후 방향으로 열기 쉬워진다.
기저귀(1)에서는, 기저귀(1)를 접어 갠 상태에서,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접혀진다. 즉, 벨트부(32)의 측단(32es)이 기저귀(1)의 내측으로 접혀진다. 따라서,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기저귀(1)를 꺼내어 착용하려고 할 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접혀진 벨트부(32)의 두께로 인해, 기저귀(1)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이격될 수 있다. 기저귀(1)를 개구측으로부터 보면, 이격된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쉽게 인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측 부분의 단(10ef) 및 후측 부분의 단(10eb)을 잡기 쉬워져서, 기저귀(1)를 포장 상태로부터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전측의 단부(10eLf)가 한쌍의 제1 접속부(jf)에 의해 벨트부(32)에 접속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10)의 후측의 단부(10eLb)가 한쌍의 제2 접속부(jb)에 의해 벨트부(32)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한쌍의 제1 접속부(jf)는 개구측으로부터 반개구측을 향해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한쌍의 제2 접속부(jb)는 개구측으로부터 반개구측을 향해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를, 쇼트 팬츠 또는 브리프와 같은 속옷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제1 접속부(jf)가 횡 방향의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하는 각도는 제2 접속부(jb)가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하는 각도와 상이하고, 이에 의해,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의 전측과 후측을 구별하기 쉬워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속부(jf)와 횡 방향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θf)는 40°이고, 제2 접속부(jb)와 횡 방향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θb)는 34°이다. 한편, 도 1 및 2A를 참조하여 각도(θf, θb)를 설명하지만, 포장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각도(θf, θb)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 및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의 벨트부(32)는 횡 방향으로 신축하는 실고무(38)를 갖고 있으며, 흡수성 본체(10)의 양단부(10eLf, 10eLb)에는 횡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 부재가 제공되어 있지 않다. 즉, 허리 개구(BH)의 단은 다음을 포함한다: 신축 가능한 벨트부(32)의 단(32ew); 및 신축 불가능한 흡수성 본체(10)의 단(10ef, 10eb). 따라서, 실고무(38)의 존재로 인해 벨트부(32)가 부드럽게 변형하고, 신축 부재의 부재로 인해 흡수성 본체(10)가 부드럽게 변형하기 어려워져서 주름 등을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벨트부(32)와 흡수성 본체(10) 사이에서, 벨트부(32)의 양측단(32es) 내측으로 접힐 때의 성상이 상이해지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측으로부터 기저귀(1)를 보면, 이들의 성상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벨트부(32)와 흡수성 본체(10)을 각각 인식하기 쉬워진다. 예컨대, 기저귀(1)를 포장재로부터 꺼낼 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흡수성 본체(10)의 단(10ef, 10eb)을 인식하기 쉽다. 이에 의해, 착용자가 기저귀(1)를 착용하고자 할 때에, 흡수성 본체(10)의 단(10ef, 10eb)을 잡음으로써, 기저귀(1)를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제2 실시형태
<기저귀(1)의 기본 구성>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흡수성 물품으로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하, "기저귀(1)"로도 지칭됨)의 기본 구성을 설명할 것이다. 도 9는 전측으로부터 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를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0A는 흡수성 본체(10) 및 벨트부(32)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X-X선은 기저귀(1)의 횡 방향의 중심이다.
기저귀(1)는 착용시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팬츠형의 상태가 된다.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는 서로 직교하는 "종 방향", "횡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갖는다. 한편, 종 방향 중 착용자의 허리측을 "허리 개구측" 또는 "개구측"으로 지칭하고, 착용자의 가랑이측을 "가랑이측"으로 지칭한다. 또한, 전후 방향 중 착용자의 전측을 "전측"으로 지칭하고, 착용자의 후측을 "후측"으로 지칭한다.
기저귀(1)는 허리 개구(BH), 한쌍의 다리 개구부(LH), 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10), 한쌍의 다리 개더부(37), 및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벨트부(32)를 갖는다.
벨트부(32)가 횡 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열되어 있고, 상기 벨트부(32)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종 방향)의 각 단부(10eLf, 10eLb)가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기저귀(1)의 전측에서는, 흡수성 본체(10)의 단부(10eLf)(일단부)와 벨트부(32)가, 허리 개구(BH)로부터 다리 개구(LH)를 향해,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진 한쌍의 제1 접속부(jf)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유사하게, 후측에서는, 흡수성 본체(10)의 단부(10eLb)(타단부)와 벨트부(32)가, 허리 개구(BH)로부터 다리 개구(LH)를 향해,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진 한쌍의 제2 접속부(j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리 개더부(37)의 전측의 단부(37eLf)가 제1 접속부(jf)에 의해 벨트부(32)에 접속되어 있고, 후측의 단부(37eLb)가 제2 접속부(jb)에 의해 벨트부(32)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에서 이용된 접속 방법으로서, 접착제,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잘 알려진 접속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기저귀(1)의 허리 개구(BH)의 단(개구측의 단)은, 흡수성 본체(10)의 전측 단(10ef) 및 후측 단(10eb), 및 각 벨트부(32)의 단(32ew)을 포함한다. 흡수성 본체의 단(10ef, 10eb) 각각은 횡 방향의 중앙부에 제공되어 있다.
기저귀(1)의 각 벨트부(32)는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실고무(33)를 갖는다. 실고무(33)는 종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도 9 참조), 벨트부(32)에 횡 방향으로의 신축성을 부여하여, 허리 개구(BH)에 피트성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다리 개더부(37)는 흡수성 본체(10)의 횡 방향의 양측에 제공되어 있다. 각 다리 개더부(37)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실고무(38)를 갖는다. 실고무(38)는 횡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다리 개더부(37)에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성을 부여하여, 다리 개구(LH)에 피트성을 부여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의 벨트부(32)의 횡 방향의 길이(일방측의 벨트부(32)의 측단(32es)으로부터 타방측의 벨트부(32)의 측단(32es)까지의 길이)는 250 mm이다. 기저귀(1)의 종 방향의 길이(기저귀(1)의 개구측의 단으로부터 가랑이측의 단까지의 길이)는 220 mm이다. 또한, 벨트부(32)의 측단(32es)의 종 방향 길이는 60 mm이고, 흡수성 본체(10)의 흡수성 코어(15)(후술함)의 횡 방향 길이는 100 mm이다. 횡 방향의 흡수성 코어(15)의 일방측의 측단으로부터 일방측의 벨트부(32)의 측단(32es)까지의 횡 방향의 길이는 90 mm이다.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에서, 벨트부(32)의 측단(32es)의 종 방향 길이를, 기저귀(1)의 종 방향 길이로 나누어 얻은 값은 20%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7.3%이다. 또한, 횡 방향의 흡수성 코어(15)의 일방측의 측단으로부터 일방측의 벨트부(32)의 측단(32es)까지의 횡 방향의 길이를, 벨트부(32)의 횡 방향 길이로 나누어 얻은 값은 25%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6.0%이다. 또한, 횡 방향의 흡수성 코어(15)의 일방측의 측단으로부터 일방측의 벨트부(32)의 측단(32es)까지의 횡 방향의 길이를, 흡수성 코어(15)의 횡 방향 길이로 나누어 얻은 값은 8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이다. 그 결과, 기저귀(1)를 더욱 속옷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기저귀(1)는 제조 공정의 최후 단계에서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면 상태에 있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는 서로 직교하는 3 방향: 길이 방향; 횡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다. 길이 방향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이고, 팬츠형 상태(도 9)에서의 종 방향에 대응한다. 한편, 도 10A에 도시된 바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기저귀(1)"는, 실고무(33, 38)에 의한 수축력에 대항하여 기저귀(1)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경우에, 실고무(33, 38)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주름 또는 개더가 시인되지 않을 때까지 신장시킨 상태를 지칭한다.
도 10A에 도시된 평면 상태의 기저귀(1)에서는, 흡수성 본체(10), 한쌍의 다리 개더부(37) 및 한쌍의 벨트부(32)에 관하여, 이들 자신의 길이 방향이 정렬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10) 및 한쌍의 다리 개더(37)의 피부면측에, 한쌍의 벨트부(32)가 적층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다리 개더부(37) 및 한쌍의 벨트부(32)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평면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벨트부(32)의 횡 방향의 내측에 내측 단(32ew)이 놓여 있다. 내측 단(32ew)이 횡 방향의 외측으로 열린 후, 각 벨트부(32)를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대해 둘로 접으면서,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개더(37) 각각을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 둘로 접는다. 결과적으로, 기저귀(1)는 팬츠형 상태(도 9)가 된다.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는, 착용시에 있어서 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또한,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는, 팬츠형 상태에 있어서 가장 가랑이측에 위치하는, 도 2A의 대략 중앙 위치(CLL10)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부재(도 11A)를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를 따라 절단하여, 길이 방향의 단부(10eLf, 10eLb)가 평면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V형으로 테이퍼링된 시트 부재이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에서는,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부터 다음 순서로 순차 적층되어 있다: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액투과성 탑 시트(12); 흡수체(11);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형성된 액불투과성 백 시트(14); 및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외장 시트(16).
제1 접속부(jf)의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하는 각도(θf)는, 제1 접속부(jf)와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θf)이다. 제2 접속부(jb)의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하는 각도(θb)는, 제2 접속부(jb)와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θb)이다. 각도(θf)는 각도(θb)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도(θf)는 40°이고, 각도(θb)는 34°이다. 각도(θf) 및 각도(θb)는 평면 상태의 기저귀(1)(도 10A) 및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도 9) 양쪽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흡수체(11)는 다음을 포함한다: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코어(15); 및 흡수성 코어(15)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코어랩 시트(미도시). 흡수성 코어(15)는, 액체 흡수성 소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코어(15)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만곡된 타원 형상을 갖는다. 액체 흡수성 소재로서, 펄프 섬유와 같은 액체 흡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를 채용할 수 있다. 코어랩 시트로서는, 티슈페이퍼 및 부직포와 같은 액투과성 시트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흡수성 코어(15)가 코어랩 시트에 의해 피복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벨트부(32) 및 다리 개더부(37)는 동일한 시트 부재(30)로 형성된다. 도 11A는 도 10A의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를 이격하여 전개한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횡 방향의 양측에는, 시트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각 시트 부재(30)는 하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부직포 등으로 제조된 한쌍의 유연한 시트(30a)를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시트(30a) 사이에 실고무(33, 38)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각 시트 부재(30)의 횡 방향의 내측 단부(30eW)는, 흡수성 본체(10)를 구성하는 탑 시트(12), 백 시트(14) 및 외장 시트(16) 사이에 개재되고, 내측 단부(30eW)가 탑 시트(12), 백 시트(14) 및 외장 시트(16)에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부재(30) 중, 벨트부(32)가 되는 부분과 다리 개더부(37)가 되는 부분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음선(FL)이 존재한다. 각 시트 부재(30)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다리 개구부(LH)를 가지며, 이것이 접음선(FL)을 횡 방향으로 걸친다. 따라서, 접음선(FL)에서 시트 부재(30)를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어서 벨트부(32) 및 다리 개더부(37)를 형성한다.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에서, 흡수성 본체(10)의 단부(10eLf, 10eLb) 및 다리 개더부(37)의 단부(37eLf, 37eLb) 및 벨트부(32)의 횡 방향 단부(32eLf, 32eLb)가 접속되어, 접음선(FL)을 따라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 10A의 평면 상태의 기저귀(1)가 형성된다.
도 10B 및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2)의 횡 방향 외측의 단부 영역에는 접힘부(FLB)가 형성되어 있고; 접힘부(FLB)에서는, 시트 부재(30)의 일부가 횡 방향의 내측으로 2회 접혀서,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힌 상태에서 고정된다. 접힘부(FLB)는,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벨트부(32)의 개구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어, 허리 개구(BH)의 일부를 형성하고, 착용자의 허리에 있어서의 과도한 조임 등에 의해 유발되는 스트레스를 완화시킨다.
<포장 상태의 기저귀(1)>
포장 상태의 기저귀(1)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복수의 기저귀(1)가 각각 소정 회수 접혀진다. 기저귀가 두께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고, 포장재(미도시)에 포장되어, 시장에 유통된다. 포장재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유연한 시트 소재로 형성되고, 기저귀(1)의 형상 또는 포장되는 기저귀(1)의 수에 따라, 이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포장 상태의 기저귀(1)"는, 포장재에 포장된 기저귀(1), 또는 포장재로부터 기저귀(1)를 꺼낸 직후의 횡 방향 및 종 방향으로 아직 접혀져 있는 기저귀(1)를 의미한다. 또한, "전개 상태의 기저귀(1)"는 도 9에 도시된,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를 의미한다.
도 12A는 포장 전의 기저귀(1)를 도시화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상태로부터 벨트부(32)를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2C는 도 12B의 상태로부터 흡수성 본체(10)를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3은 포장 상태로부터 꺼내어 소정 시간 경과된 후의 기저귀(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비접힘부(U)측으로부터 본 도 12C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2B의 상태의 기저귀(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에 포장되기 전의 기저귀(1)는, 도 9와 유사한 팬츠형 상태에 있다. 우선, 도 12A의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의 벨트부(32)의 측단(32es)을,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접음선(F1)을 따라 접는다. 즉, 벨트부(32)의 측단(32es)이 허리 개구(BH)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벨트부(32)를 내측으로 접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측단(32es)이, 단(32ew) 및 단(10ef, 10eb)에 비해 가랑이측에 위치하도록, 접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접음선(F1)은, 벨트부의 측단(32es)을 횡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접음으로써, 벨트부(32)의 윤곽을 형성하는 선이 되고 있다. 접음선(F1)은,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보다 횡 방향의 외측에 제공되어 있다. 벨트부(32)의 측단(32es)이 접히면서, 기저귀(1)는 도 12B의 상태가 된다.
도 12B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의 일방측(도 12A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단(32es)은, 타방측(도 12A의 우측)의 벨트부(32)의 접힌 부분과 중첩되어 있다. 유사하게, 횡 방향의 타방측(도 12A에 있어서의 우측)의 측단(32es)은, 일방측(도 12A에 있어서의 좌측)의 벨트부(32)의 접힌 부분과 중첩되어 있다. 즉, 접힌 벨트부(32)가 서로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중첩부(P)(도 12B 및 15에 있어서 좌측으로 비스듬히 하향된 사선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12B의 상태로부터, 기저귀(1)를 접음선(F2)을 따라 종 방향으로 접는다. 도 15의 경계부(B)는, 접음선(F2)을 기준선으로 하여 기저귀(1)를 종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또한, 경계부(B)는 기저귀(1)를 종 방향으로 접은 기저귀(1)의 접힘부(T)(도 15에 있어서의 가랑이측의 부분)와 접히지 않은 기저귀(1)의 비접힘부(U)(도 15에 있어서의 개구측의 부분) 사이의 경계이다. 접음선(F2)은 경계부(B)의 종 방향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접음선(F2)은 흡수성 코어(15)의 전측의 단(15ef) 및 후측의 단(15eb)보다 가랑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접힘부(B)는 벨트부(32)보다 가랑이측에 위치하고, 벨트부(32)의 측단(32es)의 가랑이측의 단(반개구측의 단)은 경계부(B)와 접하고 있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B의 상태로부터 도 12C의 상태로 접음선(F2)을 따라 기저귀(1)를 접음으로써, 기저귀(1)의 크기를 대략 1/2로 감소시킨다. 접음선(F2)을 따라 기저귀(1)를 접은 상태에서, 허리 개구(BH) 및 기저귀(1)의 가랑이측에 상당하는 측을 "개구측"으로 지칭하고, 접음선(F2)측을 "반개구측"으로 지칭한다. 한편, 도 12C는 접힘부(T)측으로부터 기저귀(1)를 볼 때의 도면이고,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의 가랑이측 영역을 시인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C의 경우와는 반대측의 비접힘부(U)로부터 본 기저귀(1)의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벨트부(32)의 단(32es)을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기저귀(1)가 접혀지므로, 접힘부(T)(도 12C)측으로부터 본 경우에도, 비접힘부(U)(도 14)측으로부터 본 경우에도, 벨트부(32)의 단을 시인할 수 없다.
도 12C 및 14의 접어 갠 상태의 기저귀(1)를 접힘부(T)측 또는 비접힘부(U)측으로 소정 수(예컨대 10개) 적층하고, 포장재에 포장하여, 시장에 유통시킨다.
도 13은 포장재에 포장된 기저귀(1)를 포장재로부터 꺼내어 소정 시간(예컨대 약 15 분) 경과한 후에 개구측으로부터 본 기저귀(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저귀(1)는 통상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포장재에 포장된다. 예컨대, 기저귀(1)는 도 13에 도시된 기저귀(1)의 1/3 내지 1/4로 압축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2)의 측단(32es)이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벨트부(32)를 접음으로써, 허리 개구(BH)의 내측에서 일방측의 벨트부(32)와 타방측의 벨트부(32)가 중첩된다. 상술된 바의 포장 상태의 기저귀(1)에서는, 벨트부(32)의 횡 방향의 단부는 다음 2 부분을 갖는다: 전측 횡단부 및 후측 횡단부. 한편, 벨트부(32)의 접힌 부분과 접히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부에, 각 횡단부의 횡 방향의 외측의 단에 위치하는 각 횡단(32ef, 32ef, 32eb, 32eb)이 제공되어 있다. 일방측 횡단 및 타방측 횡단이 한쌍의 경계선을 형성한다. 일방측의 한쌍의 횡단(32ef, 32eb) 및 타방측의 한쌍의 횡단(32ef, 32eb) 중, 외측에 위치하는 횡단이 접음선(F1)에 상당하고, 기저귀(1)의 벨트부(32)의 윤곽이 된다. 또한, 허리 개구(BH)는 실고무(33)가 제공된 벨트부(32)의 개구측의 단(32ew) 및 흡수성 본체(10)의 개구측의 단(10ef, 10e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있어서, 벨트부(32)의 개구측의 단(32ew)을 사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허리 개구(BH)는 신축성 단(32ew) 및 비신축성 단(10ef, 10eb)을 포함한다. 신축 가능한 벨트부(32)의 일부가 횡 방향으로 접히고, 비신축성 흡수성 본체(10)는 횡 방향으로 접히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유용성>>>
종래 기술에서, 기저귀를 포장재에 포장하기 위해, 횡 방향 및 종 방향으로 일회용 기저귀를 접을 때에는, 우선, 벨트부를 횡 방향의 내측을 향해 접는다. 그 다음, 흡수성 본체 및 횡 방향으로 접힌 벨트부를 함께 종 방향으로 접는다. 따라서, 종 방향에서의 접힌 부분의 수가 증가하여, 접는 데에 강한 힘을 제공할 필요가 있어,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대량의 배설물을 흡수시키고자 하는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흡수성 코어(흡수체)가 길이 방향으로 길어진다. 따라서, 포장 상태로 하기 위해서 일회용 기저귀를 종 방향으로 접을 때에, 흡수체의 일부를 종 방향으로 접게 된다. 흡수성 코어는 액체 흡수성 섬유 소재 등을 성형하여 형성되므로, 그리고 이의 두께는 다른 시트 부재보다 커지므로, 흡수체 및 벨트부를 함께 접는 것은 어렵다. 더욱 강한 힘을 가하여 기저귀를 종 방향으로 접더라도, 접힌 상태가 붕괴될 가능성이 있다. 기저귀를 포장재에 포장할 때에도, 접힘부와 비접힘부 사이의 경계로서의 경계부(B)가 팽창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의 두께를 늘려도, 포장 상태의 크기를 증가시킬 위험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에서는, 기저귀를 포장재로 포장한 상태에서, 벨트부(32)의 횡 방향의 양측단(32es)이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진다. 또한, 흡수성 본체(10)가, 반개구측으로부터 개구측을 향해,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을 종 방향으로 접지 않고서,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을 덮도록, 종 방향으로 접혀져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음선(F2)은 기저귀(1)의 벨트부(32)보다 반개구측에 위치하고, 경계부(B)에 벨트부(32)가 위치하지 않는다. 또한, 벨트부(32)를 종 방향으로 접지 않고서, 흡수성 본체(10)를 접음선(F2)에 대하여 종 방향으로 접고 있다.
그 결과,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종 방향으로 접히지 않는다. 즉, 벨트부(32)를 종 방향으로 접지 않고서, 흡수성 본체(10)만을 종 방향으로 접고 있으므로, 종래 기술의 일회용 기저귀와 같이, 벨트부(32) 및 흡수성 본체(10)를 함께 접은 경우에 비해, 접힌 부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경계부(B)의 팽창 위험이 감소되고, 종 방향으로 접힌 기저귀(1)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져서, 보다 컴팩트한 포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는,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접혀져 있다. 즉,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기저귀(1)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기저귀(1)를 꺼내어 착용하려고 할 때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내측으로 접혀진 벨트부(32)의 두께로 인해, 기저귀(1)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이격될 수 있다. 기저귀(1)를 개구측으로부터 보면, 이격된 전측 및 후측 부분을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전측 부분의 단(10ef) 및 후측 부분의 단(10eb)을 잡기 쉬워져서, 포장 상태의 기저귀(1)를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의 벨트부(32)는 일방(도 9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단(32es)을 포함하는 일방측 부분(도 9의 좌측 벨트부(32)), 및 타방(도 9에 있어서의 우측)의 측단(32es)을 포함하는 타방측 부분(도 9의 우측 벨트부(32))를 갖는다. 일방의 측단(32es)의 일부는 타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다. 유사하게, 타방의 측단(32es)의 일부는 일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다. 일방의 벨트부(32)가 타방의 벨트부(32)와 중첩되어 있는 중첩부(P)는, 벨트부(32)의 두께로 인해, 벨트부(32)가 중첩되어 있지 않는 부분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내측의, 벨트부(32)의 단부가 중첩된 부분의 두께로 인해, 기저귀(1)의 개구측에 있어서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이격된다. 기저귀(1)를 개구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전측 부분및 후측 부분은 이격되어 있으므로, 전측 및 후측 부분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전측의 단(10ef) 및 후측의 단(10eb)을 잡기 쉬워져서, 포장 상태의 기저귀(1)를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전측의 단부(10eLf)가 한쌍의 제1 접속부(jf)에 의해 벨트부(32)에 접속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10)의 후측의 단부(10eLb)가 한쌍의 제2 접속부(jb)에 의해 벨트부(3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2C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제1 접속부(jf)는 개구측으로부터 반개구측을 향해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한쌍의 제2 접속부(jb)는 개구측으로부터 반개구측을 향해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를, 쇼트 팬츠 또는 브리프와 같은 속옷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제1 접속부(jf)가 횡 방향의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하는 각도는 제2 접속부(jb)가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하는 각도와 상이하고, 이에 의해,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의 전측과 후측을 구별하기 쉬워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 및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부(jf)와 횡 방향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θf)는 40°이고, 제2 접속부(jb)와 횡 방향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θb)는 34°이다. 한편, 도 9 및 10A를 참조하여 각도(θf, θb)를 설명하지만, 포장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각도(θf, θb)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6A 및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2)를 가장 내측으로 접은 경우, 흡수성 본체(10)의 전측의 단부(일단부)(10eLf) 및 후측의 단부(타단부)(10eLb)를 시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이들의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도 16A는 접힘부(T)측으로부터 본, 벨트부(32)를 가장 내측으로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B는 비접힘부(U)측으로부터 본, 도 16A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벨트부(32)를 가장 내측으로 접은 상태란, 벨트부(32)가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때까지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를 따라 접은 상태를 의미한다. 즉, 기저귀(1)가 횡 방향에 있어서 가장 컴팩트하게 접힌 상태이다. 이 경우,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의 외측의 윤곽이 접음선(F1)과 일치한다. 도 16A에 도시된 접힘부(T)측으로부터 보면, 도 12C의 경우와 실질적인 차이가 없다. 그러나, 도 16B에 도시된 비접힘부(U)측으로부터 보면,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 각각을 시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저귀(1)를 보다 컴팩트한 상태로 접으면서, 기저귀(1)를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위한 기점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도 9 및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의 벨트부(32)는 횡 방향으로 신축하는 실고무(38)를 갖고 있으며, 흡수성 본체(10)의 양단부(10eLf, 10eLb)에는 횡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 부재가 제공되어 있지 않다. 즉, 허리 개구(BH)의 단은 다음을 포함한다: 신축 가능한 벨트부(32)의 단(32ew); 및 신축 불가능한 흡수성 본체(10)의 단(10ef, 10eb).
따라서, 실고무(38)의 존재로 인해 벨트부(32)가 부드럽게 변형하고, 신축 부재의 부재로 인해 흡수성 본체(10)가 부드럽게 변형하기 어려워져서 주름 등을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벨트부(32)와 흡수성 본체(10) 사이에서, 벨트부(32)의 양측단(32es) 내측으로 접힐 때의 성상이 상이해지고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측으로부터 기저귀(1)를 보면, 이들의 성상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벨트부(32)와 흡수성 본체(10)을 각각 인식하기 쉬워진다.
예컨대, 기저귀(1)를 포장재로부터 꺼낼 때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흡수성 본체(10)의 단(10ef, 10eb)을 인식하기 쉽다. 이에 의해, 착용자가 기저귀(1)를 착용하고자 할 때에, 흡수성 본체(10)의 단(10ef, 10eb)을 잡음으로써, 기저귀(1)를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의 반개구측의 단이 경계부(B)와 접하고 있다.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의 반개구측의 단이 경계부(B)와 접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중첩된 부재의 수가 변하여 강성이 변화한다. 이에 의해, 이 부분에서 흡수성 본체(10)를 종 방향으로 접기 쉬워져서, 기저귀(1)를 포장 상태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구조도 허용 가능하다: 벨트부(32)의 일방의 측단(32es)의 개구측의 단이 타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고; 일방의 측단(32es)의 반개구측의 단이 타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지 않고; 벨트부(32)의 타방의 측단(32es)의 개구측의 단이 일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고; 타방의 측단(32es)의 개구측의 단이 일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지 않다. 도 17은 벨트부(32)의 접음 위치를 변경한 경우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일방의 벨트부(32) 및 타방의 벨트부(32)가 중첩되는 중첩부(P)가 양측단(32es)의 개구측에 제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기저귀(1)를 꺼내어 착용하려고 할 때에는, 흡수성 본체(10)의 내측에 벨트부(32)의 단부가 중첩되므로, 벨트부(32)이 두께가 기저귀(1)의 개구측 상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을 이격시킨다. 특히, 개구측에 중첩부(P)가 제공되므로, 개구측에서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용이하게 이격된다. 이에 의해, 전측의 단(10ef) 및 후측의 단(10eb)을 잡기 쉬워져서, 포장 상태의 기저귀(1)를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종래 기술에서는,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 및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접어서 포장재에 포장하였다. 일부 경우에, 기저귀(1)에서, 배설물을 더 많이 흡수시키기 위해 흡수성 코어(흡수체)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하고, 속옷과 더욱 유사한 형상을 실현하기 위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부의 길이를 길게 하였다. 따라서, 기저귀(1)에 대한 보다 컴팩트한 포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를 포장재로 포장시에, 벨트부(32)는 일방측 부분(32sl) 및 타방측 부분(32sr)을 가지며; 일방측 부분(32sl)은 횡 방향의 측단(32es) 중 일방의 측단(32esl)을 포함하는 측에 위치하고, 타방측 부분(32sr)은 타방의 측단(32esr)을 포함하는 측에 위치한다.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서, 일방의 측단(32esl)의 일부가 타방측 부분(32sr)과 중첩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성 본체(10)가 반개구측으로부터 개구측을 향해, 양측단(32es)의 일부를 덮도록, 종 방향으로 접혀져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의 측단(32esl)의 일부가 타방측 부분(32sr)과 중첩되고, 타방의 측단(32esr)의 일부도 일방측 부분(32sl)과 중첩되어 있다. 일방측 부분(32sl)과 타방측 부분(32sr)이 중첩된 중첩부(P)가 기저귀(1)의 횡 방향의 내측에 제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첩부(P)를 제공하기 위해 양 벨트부(32)를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기저귀(1)의 횡 방향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10)를 종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기저귀(1)의 종 방향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횡 방향 및 종 방향으로 기저귀(1)를 접음으로써, 포장 상태의 기저귀(1)를 보다 컴팩트하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중첩부(P)를 확대함으로써, 기저귀(1)의 횡 방향의 길이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는,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접혀져 있다. 즉,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기저귀(1)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기저귀(1)를 꺼내어 착용하려고 할 때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내측으로 접혀진 벨트부(32)의 두께로 인해, 기저귀(1)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이 이격될 수 있다. 기저귀(1)를 개구측으로부터 보면, 이격된 전측 및 후측 부분을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전측 부분의 단(10ef) 및 후측 부분의 단(10eb)을 잡기 쉬워져서, 포장 상태의 기저귀(1)를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접혀진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은, 종 방향에 있어서 기저귀(1)의 개구측의 단보다 반개구측에 위치한다. 도 12B, 12C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힌 벨트부(32)는, 기저귀(1)의 개구측의 단을 구성하고 있는, 흡수성 본체(10)의 단(10ef, 10eb)보다 그리고 벨트부(32)의 단(32ew)보다 반개구측에 제공되어 있다. 벨트부(32)가 중첩된 중첩부(P)가 기저귀(1)의 종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포장 상태의 기저귀(1)의 종 방향의 길이를 더 감소시킬 수 있어서, 보다 컴팩트한 기저귀(1)를 제공할 수 있다.
중첩부(P)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성 본체(10)의 흡수성 코어(15)(흡수체(11))와 중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15)는, 액체 흡수성 섬유 소재 등을 성형하여 형성되며, 이이 두께는 다른 시트 부재보다 크다. 따라서, 흡수성 코어(15)와 중첩부(P)를 중첩함으로써, 포장 상태에 있어서 개구측에 있어서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을 더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측의 단(10ef) 및 후측의 단(10eb)을 잡기 쉬워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전측의 단부(10eLf)는 한쌍의 제1 접속부(jf)에 의해 벨트부(32)에 접속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10)이 후측의 단부(10eLb)는 한쌍의 제2 접속부(jb)에 의해 벨트부(3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2C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는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지 않다. 즉, 접음선(F1)은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의 횡 방향의 외측에 제공된다. 벨트부(32)만이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지고, 흡수성 본체(10)는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지지 않는다.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는, 벨트부(32)와 흡수성 본체(10)가 소정 방법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부분이며, 따라서 다른 부분의 강성보다 강성이 높아져 있다. 따라서,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를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으면, 흡수성 본체(10)의 내측에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가 위치하여, 흡수성 본체(10)의 내측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이러한 면에서, 기저귀(1)의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가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지 않고, 이에 의해, 제1 접속부(jf) 및 이에 의해 생기는 흡수성 본체(10)의 내측에 대한 손상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에 있어서, 도 12C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제1 접속부(jf)는 개구측으로부터 반개구측을 향해 횡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한쌍의 제2 접속부(jb)는 개구측으로부터 반개구측을 향해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를 쇼트 팬츠 또는 브리프와 같은 속옷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접속부(jf)가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하는 각도는 제2 접속부(jb)가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하는 각도와 상이하고, 이에 의해,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의 전측과 후측의 구별을 하기가 쉬워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9 및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부(jf)와 횡 방향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θf)는 40°이고, 제2 접속부(jb)와 횡 방향 직선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θb)는 34°이다. 한편, 도 9 및 10A를 참조하여 각도(θf, θb)를 설명하지만, 포장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각도(θf, θb)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6A 및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2)를 가장 내측으로 접은 경우, 흡수성 본체(10)의 전측의 단부(일단부)(10eLf) 및 후측의 단부(타단부)(10eLb)를 시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이들의 형상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도 16A는 접힘부(T)측으로부터 본, 벨트부(32)를 가장 내측으로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B는 비접힘부(U)측으로부터 본, 도 16A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벨트부(32)를 가장 내측으로 접은 상태란, 벨트부(32)가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때까지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를 따라 접은 상태를 의미한다. 즉, 기저귀(1)가 횡 방향에 있어서 가장 컴팩트하게 접힌 상태이다. 이 경우,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의 외측의 윤곽이 접음선(F1)과 일치한다. 도 16A에 도시된 접힘부(T)측으로부터 보면, 도 12C의 경우와 실질적인 차이가 없다. 그러나, 도 16에 도시된 비접힘부(U)측으로부터 보면,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 각각을 시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저귀(1)를 보다 컴팩트한 상태로 접으면서, 기저귀(1)를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위한 기점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의 벨트부(32)는, 시트 부재(30)를 개구측으로부터 반개구측을 향해 피부측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된 접힘부(FLB)를 갖고 있다. 이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2)의 일방의 측단(32esl)의 일부가 접힘부(FLB)와 중첩되어 있다. 유사하게, 벨트부(32)의 타방의 측단(32esr)의 일부가 접힘부(FLB)와 중첩되어 있다.
시트 부재(30)가 접힘부(FLB)에서 2회 접히므로, 이의 두께는 벨트부(32)의 다른 부분보다 증가한다. 따라서, 벨트부(32)의 측단(32esl, 32esr)의 일부가 접힘부(FLB)와 중첩된 부분은 더 큰 두께를 갖는다. 이에 의해, 기저귀(1)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을 더 이격시킬 수 있다(도 13). 기저귀(1)를 개구측으로부터 보면, 이격된 전측 및 후측 부분을 시인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전측의 단(10ef) 및 후측의 단(10eb)을 잡기 쉬워져서, 포장 상태의 기저귀(1)를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전측의 단부(10eLf)는 한쌍의 제1 접속부(jf)에 의해 벨트부(32)에 접속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10)의 후측의 단부(10eLb)는 한쌍의 제2 접속부(jb)에 의해 벨트부(3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벨트부(32)는 접힌 부분과 접히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부에 두쌍의 경계선, 즉, 횡 방향의 단(32ef, 32ef, 32eb, 32eb)을 갖는다. 경계선(32ef, 32ef, 32eb, 32eb) 중 하나는, 한쌍의 제1 접속부(jf) 및 한쌍의 제2 접속부(jb)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2B, 1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경계선)(32ef)은 제1 접속부(jf)와는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어 있고, 각 단(경계선)(32eb)은 제2 접속부(jb)와는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이런 식으로 경계선(32ef, 32eb) 중 하나가 한쌍의 제1 접속부(jf) 및 한쌍의 제2 접속부(jb)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더라도, 포장 상태의 기저귀(1)의 횡 방향의 길이를 더 감소시킬 수 있어서, 보다 컴팩트한 포장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2)의 접힌 양측단(32es)은 종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15)의 개구측의 단(15ef, 15eb)보다 반개구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벨트부(32)가 서로 중첩된 중첩부(P)가 흡수성 코어의 단(15ef, 15eb)보다 반개구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에 따라 중첩부(P)가 흡수성 코어(15)와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중첩부(P)가 제공된 부분은 더 큰 두께를 가지므로, 이에 의해, 기저귀(1)의 전측 및 후측 부분을 더 이격시킬 수 있다(도 13). 기저귀(1)를 개구측으로부터 보면, 이격된 전측 및 후측 부분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전측의 단(10ef) 및 후측의 단(10eb)을 잡기 쉬워져서, 포장 상태의 기저귀(1)를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그 외의 실시형태
상기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고 변경 또는 개량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본 발명의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술된 실시형태에서는,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벨트부(32)가 접혀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A 내지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흡수성 본체(10)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도록, 벨트부(32)가 접혀져 있을 수도 있다. 도 18A는 포장 전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상태로부터 벨트부(32)를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C는 도 18B의 상태로부터 흡수성 본체(10)를 접은 상태의 기저귀(1)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우선, 도 18A의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1)의 벨트부(32)의 측단(32es)이 흡수성 본체(10)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접음선(F10)을 따라 전측을 향해 내측으로 접혀져 있다. 접음선(F10)은 벨트부(32)의 윤곽을 형성하며, 제1 접속부(jf) 및 제2 접속부(jb)보다 횡 방향의 외측에 제공되어 있다. 벨트부(32)의 측단(32es)을 접음으로써 도 18B의 상태가 되며, 접혀진 벨트부(32)가 서로 중첩되어 있는 중첩부(P)(도 18B에 있어서 비스듬히 하향된 사선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어서, 기저귀(1)를 접음선(F20)을 따라 종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도 18C의 상태의 기저귀(1)가 된다. 도 18C는 접힘부(T)측으로부터 본 기저귀(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된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접음선(F20)은 벨트부(32)의 측단(32es)보다 반개구측에 위치하고, 벨트부(32)는 접음선(F20)을 따라 종 방향으로 접혀져 있지 않다. 이에 의해, 기저귀(1)의 접힘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지고, 포장재에 포장된 상태에서도 보다 컴팩트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흡수성 본체(10)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도록, 벨트부(32)가 접혀져 있으므로, 벨트부(32)가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면에서의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형태에서는, 벨트부(32)가 중첩부(P)에서 서로 중첩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벨트부(32)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질 수도 있다. 예컨대, 벨트부(32)의 횡 방향의 내측으로 복수 회 접음으로써, 벨트부(32)의 횡 방향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형태에서는,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의 반개구측의 단이 경계부(B)에 접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벨트부(32)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경계부(B)가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라도, 포장 상태의 기저귀(1)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형태에서는, 기저귀(1)의 실질적으로 종 방향의 중앙 위치에 접음선(F2)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벨트부(32)가 종 방향으로 접히지 않는 한, 접음선(F2)을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형태에서는, 접힌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은 종 방향에 있어서 기저귀(1)의 개구측의 단보다 반개구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장 상태에 있어서,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허리 개구(벨트부(32)의 단(32ew) 및 흡수성 본체(10)의 단(10ef, 10eb))보다 개구측(도 15에 있어서의 상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이 허리 개구보다 외측에 제공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착용자가 포장재로부터 기저귀(1)를 꺼내서 착용하려고 할 때에는, 허리 개구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벨트부(32)의 단(32es)을 잡기 쉬워져서, 기저귀(1)를 이의 착용 상태로 펼치기 쉬워진다.
상술된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에서는, 포장 상태에 있어서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을 종 방향으로 접지 않고서,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을 덮도록, 기저귀(1)가 종 방향으로 접혀져 있다. 그 결과, 벨트부(32) 및 흡수성 본체(10)가 함께 종 방향으로 접히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접히는 부재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종 방향으로 접혀져 있는 포장 상태의 기저귀(1)를 유지하기 쉬워져서, 컴팩트한 포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을 종 방향으로 접지 않고서,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을 덮도록, 기저귀(1)를 종 방향으로 접을 필요는 없다. 기저귀(1)를 종 방향으로 접을 때에, 벨트부(32)의 양측단(32es)을 함께 접는 것도 허용 가능하다. 이에 의해, 종 방향으로 접는 위치(접음선(F2))를 기저귀(1)의 실질적으로 종 방향의 중앙 위치에 한정하지 않고 임의의 위치로 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접음선(F2)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컴팩트한 포장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성인용에도 또는 유아용에도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한정되지 않고,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에도 적용될 수 있다.
1 기저귀(흡수성 물품),
10 흡수성 본체,
10ef, 10eb 단,
10eLf 단부(일단부),
10eLb 단부(타단부),
10f 전측부(일방측부),
10b 후측부(타방측부),
11 흡수체,
11hr 고강성 영역,
11lr 저강성 영역,
12 탑 시트,
14 백 시트,
15 흡수성 코어,
16 외장 시트,
30 시트 부재,
30eW 단부,
32 벨트부,
32ef 횡단부(경계선),
32eb 횡단부(경계선),
32ew 단,
32es 측단,
32esl 측단(일방의 측단),
32esr 측단(타방의 측단),
32eLf, 32eLb 단부,
32sl 일방측 부분,
32sr 타방측 부분,
33 실고무(탄성 부재),
37 다리 개더부,
37eLf, 37eLb 단부,
38 실고무(탄성 부재),
jf 제1 접속부,
jb 제2 접속부,
BH 허리 개구부,
LH 다리 개구부,
CLL10 중앙 위치(대략 중앙 위치, 흡수성 본체),
CLL15 중앙 위치(흡수성 코어),
F1, F2 접음선,
FL 접음선,
FLB 접힘부,
B 경계부,
T 접힘부,
U 비접힘부

Claims (27)

  1.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허리 개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며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벨트부;
    양단부가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 및
    포장재로 포장되는 경우,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절곡되는, 상기 상하 방향의 절곡 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상하 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상기 절곡 위치에서 접히며,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전후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부분 및 상기 전후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절곡 위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측 부분 및 상기 타방측 부분은 서로 강성이 상이한 각각의 부분을 포함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의 상기 좌우 방향의 양측단이 상기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고,
    상기 절곡 위치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양측단의 하단보다 하측에 제공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의 상기 양측단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벨트부가 접혀져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좌우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의 강성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단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강성보다 높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좌우 방향의 양단부 각각에 있어서의 강성은, 상기 양단부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의 강성보다 높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 중 상기 전후 방향의 전측에 위치하는 전측 부분의 강성이, 상기 흡수성 본체 중 상기 전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부분의 강성보다 낮고,
    상기 전측 부분이 상기 후측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수성 본체가 절곡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접힘부와 접히지 않는 비접힘부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고, 상기 절곡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폭을 갖는 경계 영역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본체는, 고강성부, 및 상기 고강성부보다 강성이 낮은 저강성부를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의 상기 고강성부와 상기 저강성부 사이의 경계가, 상기 경계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보다 전측에 있어서 신축성을 발현하고 있는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가,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보다 후측에 있어서 신축성을 발현하고 있는 상기 탄성 부재의 길이와 상이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에 위치하는 개구측, 및 상기 개구측과는 반대측의 반개구측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는, 한쌍의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는, 한쌍의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제1 접속부가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각도가, 상기 제2 접속부가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각도와 상이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에 위치하는 개구측, 및 상기 개구측과는 반대측의 반개구측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는, 한쌍의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는, 한쌍의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벨트부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일단부 및 상기 타단부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1. 서로 교차하는 종 방향 및 횡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허리 개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며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벨트부; 및
    양단부가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
    를 포함하며,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에 위치하는 개구측, 및 상기 개구측과는 반대측의 반개구측을 가지며,
    상기 벨트부의 횡 방향의 양측단이, 상기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반개구측으로부터 상기 개구측을 향해,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양측단을 종 방향으로 접지 않고서,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양측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종 방향으로 접혀져 있는 흡수성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의 상기 양측단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벨트부가 접혀져 있는 흡수성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측단 중 일방의 측단을 포함하는 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부분, 및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측단 중 타방의 측단을 포함하는 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부분을 가지며,
    상기 횡방향의 일방의 측단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타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방향의 일방의 측단의 개구측의 단은, 상기 타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고,
    상기 횡 방향의 일방의 측단의 반개구측의 단은, 상기 타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횡 방향의 타방의 측단의 개구측의 단은, 상기 일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고,
    상기 횡 방향의 타방의 측단의 반개구측의 단은, 상기 일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지 않은 흡수성 물품.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양단부 중,
    일단부는 한쌍의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는 한쌍의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1 접속부가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각도는, 상기 제2 접속부가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각도와 상이한 흡수성 물품.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의 상기 양측단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벨트부가 접혀져 있는 흡수성 물품.
  17. 제11항 내지 제14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양단부 중,
    일단부는 한쌍의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는 한쌍의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벨트부는 상기 횡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양단부는 상기 횡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
  18. 제11항 내지 제14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성 물품이 종 방향으로 접히는 접힘부,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접히지 않는 비접힘부, 및
    상기 접힘부와 상기 비접힘부 사이의 경계가 되는 경계부
    를 가지며,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측단 각각의 반개구측의 단이 상기 경계부에 접해 있는 흡수성 물품.
  19. 서로 교차하는 종 방향 및 횡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허리 개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며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벨트부; 및
    양단부가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
    를 포함하고,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허리 개구에 위치하는 개구측, 및 상기 개구측과는 반대측의 반개구측을 가지며,
    상기 벨트부는 횡 방향의 양측단을 포함하고,
    상기 벨트부는 상기 횡 방향의 측단 중 일방의 측단을 포함하는 측에 위치하는 일방측 부분, 및 상기 횡 방향의 측단 중 타방의 측단을 포함하는 측에 위치하는 타방측 부분을 가지며,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양측단이 상기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고,
    상기 횡 방향의 일방의 측단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타방측 부분과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흡수성 본체가 상기 반개구측으로부터 상기 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양측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종 방향으로 접혀져 있는 흡수성 물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양측단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벨트부가 접혀져 있는 흡수성 물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의 접혀진 상기 횡방향의 양측단은,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개구측의 단보다 상기 반개구측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코어를 가지며,
    상기 벨트부의 접혀진 상기 횡방향의 양측단은, 상기 종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개구측의 단보다 상기 반개구측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양단부 중,
    일단부는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는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는 횡 방향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지 않은 흡수성 물품.
  24.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양단부 중,
    일단부는 한쌍의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는 한쌍의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1 접속부가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각도는, 상기 제2 접속부가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각도와 상이한 흡수성 물품.
  25.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시트 부재를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피부측으로 접어서 형성된 접힘부를 가지며,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일방의 측단의 일부 및 상기 벨트부의 상기 횡 방향의 타방의 측단의 일부 중 하나 또는 둘다가, 상기 접힘부와 중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의 상기 양측단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벨트부가 접혀져 있는 흡수성 물품.
  27. 제19항 내지 제22항 및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양단부 중,
    일단부는 한쌍의 제1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는 한쌍의 제2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벨트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는, 상기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반개구측을 향해 상기 횡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벨트부는, 접힌 부분과 접히지 않은 부분 사이의 경계부에, 상기 횡 방향의 단이 되는 두쌍의 경계선을 가지며,
    상기 경계선 중 하나 또는 둘다가, 상기 한쌍의 제1 접속부 및 상기 한쌍의 제2 접속부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 제공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197003156A 2016-07-04 2017-06-21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 KR201900259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2188 2016-07-04
JPJP-P-2016-132189 2016-07-04
JP2016132189A JP6732571B2 (ja) 2016-07-04 2016-07-04 吸収性物品
JPJP-P-2016-132187 2016-07-04
JP2016132187A JP6726544B2 (ja) 2016-07-04 2016-07-04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16132188A JP6726545B2 (ja) 2016-07-04 2016-07-04 吸収性物品
PCT/JP2017/022886 WO2018008401A1 (ja) 2016-07-04 2017-06-21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962A true KR20190025962A (ko) 2019-03-12

Family

ID=6091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156A KR20190025962A (ko) 2016-07-04 2017-06-21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90025962A (ko)
CN (1) CN109414353A (ko)
WO (1) WO2018008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70798A (zh) * 2021-07-30 2023-02-03 尤妮佳股份有限公司 短裤型吸收性物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2798B2 (en) 2001-08-16 2004-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lded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348U (ja) * 1998-06-26 1999-01-12 株式会社クレシア 完全パンツ型紙おむつの折り畳み構造
JP3807924B2 (ja) * 2000-10-31 2006-08-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US20020123730A1 (en) * 2001-03-05 2002-09-05 Popp Robert Lee Tucked fastener for improved fastener performance
JP2004123171A (ja) * 2002-10-02 2004-04-22 Uni Charm Corp おむつ収納パッケージ
JP4204300B2 (ja) * 2002-10-18 2009-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おむつ包装体
DE102012208395A1 (de) * 2012-05-18 2013-11-21 Paul Hartmann Ag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JP6006289B2 (ja) * 2014-12-26 2016-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6104751A1 (ja) * 2014-12-26 2016-06-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おむ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2798B2 (en) 2001-08-16 2004-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lded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8401A1 (ja) 2018-01-11
CN109414353A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3635C (en) Absorbent product
AU2003207283A1 (en) Pants-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KR101910783B1 (ko) 흡수성 물품
JP2020096749A (ja) 吸収性物品
JP6412834B2 (ja) 吸収性物品
KR20180000064U (ko) 팬츠형 흡수성 물품
KR20190025962A (ko) 팬츠형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
JP6725544B2 (ja) 吸収性物品
JP7109187B2 (ja) 吸収性物品
TWI788494B (zh) 吸收性物品
KR102522820B1 (ko) 흡수성 물품
JP6726544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726545B2 (ja) 吸収性物品
JP6775554B2 (ja) 吸収性物品
WO2019146126A1 (ja) 吸収性物品
JP6732571B2 (ja) 吸収性物品
JP6226909B2 (ja) 吸収性物品
WO2017002491A1 (ja) 吸収性物品
JP708998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713202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7097260B2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15156067A1 (ja) 使い捨ておむつ
JP6822217B2 (ja) 吸収性物品
JP6953742B2 (ja) 吸収性物品
CN118105244A (zh) 吸收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