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463A - 항균 활성을 가지는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활성을 가지는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463A
KR20190025463A KR1020170112136A KR20170112136A KR20190025463A KR 20190025463 A KR20190025463 A KR 20190025463A KR 1020170112136 A KR1020170112136 A KR 1020170112136A KR 20170112136 A KR20170112136 A KR 20170112136A KR 20190025463 A KR20190025463 A KR 20190025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ysin
derivative
antimicrobial
present
methicil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101B1 (ko
Inventor
김승영
현창구
최해리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1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5Phosphorus compound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fosfo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가지는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신 유도체는 크리신과 비교하여 항균 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항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 활성을 가지는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Chrysin Derivatives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가지는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생제란 통상적으로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것으로, 특히 세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 상세하게는 세균이 세포벽이나 단백질 등을 합성하는 시스템을 저해시킴으로써 뛰어난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로부터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가장 대표적인 항생제로는 영국인 의사 알렉산더 플레밍이 1928년에 제조한 페니실린이 있으며, 페니실린 이후에 개발된 대표적인 항생제로는 페니실린보다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인정되는 메티실린(methicillin)이 있다. 메티실린은 페니실린의 화학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제조한 것이다.
항생제 내성 세균이란 특정 항생제에 내성을 보여 약효가 듣지 않는 세균을 말한다. 예를 들어, 페니실린의 약효가 전혀 듣지 않는 페니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이 있다. MRSA는 페니실린이나 메티실린의 항생제에도 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독특한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MRSA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감염이 되지 아니하고, 주로 면역력이 약한 환자나 수술을 마친 환자에게 감염되어 패혈증이나 폐렴을 일으켜 사망케 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이러한 항생제 내성 세균의 출현으로 인하여 기존의 항생제를 뛰어넘는 새로운 항균제의 개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항생제 민감성 및 항생제 내성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우수한 크리신 유도체를 합성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2598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식 I]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글루코스, 또는 인산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식 I]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글루코스, 또는 인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은 크리신으로부터 합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크리신을 식용 미생물과 배양하여 생물전환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환된 글루코스는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이 치환된 글루코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숙신산(succinic acid)이 치환된 글루코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 조성물은 스태필로코커스 속(genus Staphylococcus) 또는 바실러스 속(genus Bacillus)에서 선택되는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태필로코커스 속 미생물은 메티실린 민감성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또는 메티실린 내성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용어, '메티실린 내성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라고도 불리우며, 페니실린이나 메티실린 등의 거의 모든 항생제에 강한 내성을 지닌 세균을 말한다. 병원 감염의 주범이 되며 항생제를 많이 사용하는 대형 병원에서 발견되는데, 호흡기 계통과 수술 환자의 환부에 침투하여 고열, 오한, 폐렴 및 혈압 저하 등의 심각한 증상을 유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의미인 항생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고, 항균제, 살균제, 방부, 보존제 또는 제균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언급한 미생물의 발육과 생활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을 0.001 중량%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항균 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균 효과가 필요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신 유도체는 크리신(chrysin)과 비교하여 항균 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항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미생물과 크리신의 배양 결과물을 HLPC로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크리신 유도체의 질량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크리신 유도체 합성
본 발명자가 개발한 미생물 생물전환 방법을 이용하여 크리신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CTC)로부터 Pediococcus acidilactici (KCTC 3101), Lactobacillus sakei (KCTC 13416) 및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3588)를 분양받아 GPY 배지(4% 포도당, 0.5% 펩톤 및 0.5% 효모 추출물) 500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3,0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미생물 펠렛(pellet)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미생물 3종의 펠렛을 혼합하여 PG 버퍼(50 mM phosphate pH 7.2 및 2% 글리세롤)로 세척한 후 PG 버퍼 5 ㎖에 현탁시켰다. 상기 미생물 현탁액에 크리신(chrysin)을 첨가하여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기 배양 결과물에 아세톤 3 ㎖를 첨가하고, 3분 동안 볼텍싱(vortexing)하여 현탁시킨 후 상온(room temperature)에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 상기 배양 결과물과 아세톤의 혼합 용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거하고, 수거한 상등액을 농축하여 80%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크리신 유도체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크리신 외에 세 개의 새로운 피크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여 미생물과의 배양에 의하여 크리신 유도체가 합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미생물과 크리신의 배양 결과물을 HLPC로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크리신 이외에 세 개의 피크가 새로 형성되어 크리신 유도체가 합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합성된 크리신 유도체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된 크리신 유도체를 LCMS(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크리신에서 합성된 세 종류의 유도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유도체의 질량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질량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질량 분석 결과 화학 구조 화학식
크리신 254.0579
Figure pat00003
C15H10O4
크리신 유도체 1 334.02
Figure pat00004
C15H11O7P
크리신 유도체 2 416.11
Figure pat00005
C21H20O9
크리신 유도체 3 516.13
Figure pat00006
C25H24O12
도 2는 크리신 유도체의 질량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피크에 표시된 숫자 1은 크리신을 의미하며, 숫자 2 내지 4는 각각 크리신 유도체 1 내지 3을 나타낸다.
실시예 3: 크리신 유도체의 항균 활성 확인
하기 표 2에 표시된 균주에 대한 크리신 유도체의 항균 활성은 최소 억제 농도(minimun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96-웰 플레이트(96-welll plate)의 첫 번째 세로줄에 MHB 배지를 158 ㎕, 나머지 세로줄에 80 ㎕를 분주하고, 크리신 유도체 2 ㎕를 첨가한 후 연속 희석(serial dilution)하였다. 다음으로, 하기 표 1의 균주를 20 ㎕(5x105 cfu/㎖)씩 각 웰에 접종한 후 37℃ 배양기에서 16 내지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흡광도 측정기(absorbance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IC50 값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크리신은 MIC가 128 ㎍/㎖ 이상으로 나타나 항균 활성이 거의 없으나, 크리신 유도체 1 내지 3의 경우 MIC가 0.5 내지 128 ㎍/㎖의 범위로 나타나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크리신 유도체 1의 경우 항생제 내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MIC (㎍/㎖)
크리신 크리신
유도체 1
크리신
유도체 2
크리신
유도체 3
S. aureus CCARM 0205 (MSSA) >128 0.5 16 32
S. aureus CCARM 0204 (MSSA) >128 32 >128 >128
S. aureus CCARM 0027 (MSSA) 128 0.5 16 32
S. aureus CCARM 3634 (MRSA) >128 128 128 >128
S. aureus CCARM 3635 (MRSA) >128 1 32 128
S. aureus CCARM 3089 (MRSA) >128 16 >128 >128
S. aureus CCARM 3640 (MRSA) 128 4 64 64
S. aureus ATCC 33591 (MRSA) >128 64 >128 >128
Bacillus subtilis ATCC 6633 >128 16 >128 >128
Kocuria rhizophila NBRC 12708 >128 >128 >128 >128
E. coli ATCC 25922 >128 >128 >128 >128
Salmonella enterica ATCC 14028 >128 128 >128 >128
Enterococcus faecalis 19433 >128 >128 >128 >128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일반식 I]
    Figure pat00007

    상기 식에서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글루코스, 또는 인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된 글루코스는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이 치환된 글루코스인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스태필로코커스 속 (genus Staphylococcus) 또는 바실러스 속(genus Bacillus)에서 선택되는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인 항균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필로코커스 속 미생물은 메티실린 민감성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또는 메티실린 내성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인 것인 항균 조성물.
KR1020170112136A 2017-09-01 2017-09-01 항균 활성을 가지는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0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136A KR102504101B1 (ko) 2017-09-01 2017-09-01 항균 활성을 가지는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136A KR102504101B1 (ko) 2017-09-01 2017-09-01 항균 활성을 가지는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463A true KR20190025463A (ko) 2019-03-11
KR102504101B1 KR102504101B1 (ko) 2023-02-27

Family

ID=6575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136A KR102504101B1 (ko) 2017-09-01 2017-09-01 항균 활성을 가지는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5612A (zh) * 2019-05-23 2019-07-19 吉林大学 白杨素在制备治疗耐甲氧西林金黄色葡萄球菌感染性肺炎药物中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598B1 (ko) 2009-12-09 2012-05-0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다시마 정유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40019537A (ko) * 2012-08-06 2014-02-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아그배나무 가지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598B1 (ko) 2009-12-09 2012-05-0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다시마 정유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40019537A (ko) * 2012-08-06 2014-02-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아그배나무 가지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o Liu 외. Flavonoids from Halostachys caspica and Their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Molecules 2010, Vol. 15, pp. 7933-794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5612A (zh) * 2019-05-23 2019-07-19 吉林大学 白杨素在制备治疗耐甲氧西林金黄色葡萄球菌感染性肺炎药物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101B1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lle Jr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thanol and supercritical CO2 extracts of Philippine Piper betle L. on clinical isolates of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with transferable multiple drug resistance
George et al. Antibacterial honey (Medihoney™): in-vitro activity against clinical isolates of MRSA, VRE, and other multiresistant gram-negative organisms including Pseudomonas aeruginosa
Ofek et al. Antibacterial synergism of polymyxin B nonapeptide and hydrophobic antibiotics in experimental gram-negative infections in mice
Genç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sulfonamide derivatives on clinical isolates of Staphylococus aureus
Lee et al. Synergistic effect between dieckol from Ecklonia stolonifera and β-lactams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hoi et al. In vitro activity of methyl gallate isolated from galla rhois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ciprofloxacin against clinical isolates of salmonella
KR0165132B1 (ko) 포도상구균 항균제
Layus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CRL 759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US20120129949A1 (en) Use of Anthracene Derivatives as Anti-Infectives
Shanthi et al. Characterization of a potential β-lactamase inhibitory metabolite from a marine Streptomyces sp. PM49 active against multidrug-resistant pathogens
KR102504101B1 (ko) 항균 활성을 가지는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EP1551422A1 (en) Carbohydrate based anti-bacterials
Poleto et al. Production of antimicrobial metabolite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yeasts by Fusarium oxysporum in submerged culture processes
Mutmainnah et al. Characteristic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MSSA) and their inhibitory response by ethanol extract of Abrus precatorius
KR101216729B1 (ko) 소나무로부터 항균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진 물질을 생산하는 방법
Minami et al. Methanol extract of Lonicera caerulea var. emphyllocalyx fruit has anti-motility and anti-biofilm activity against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Lanzafame et al. In vitro activity of levofloxacin against recent Gram-negative nosocomial pathogens
Kusaka et al. Oral and rectal coloniz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long‐term care facility residents and their association with clinical status
AL-Rubaye et al. Isolation and Diagnosis of Multi Drug Resistance Pseudomonas Aeruginosa from Wound and Burnpatients in Baghdad City
MX2012007557A (es) Un medio de cultivo para seleccion o enriquecimiento de s. aureus resistente a meticilina.
Lee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antimycotic miconazole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P6084084B2 (ja) 抗菌剤、及び抗菌活性増強剤
JP2015062429A (ja) グラム陽性球菌検出用培地
Eid et al. Phenotypic and genotypic characterization of some virulence factors in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s isolated from different clinical sources in Mansoura University Hospitals
KR20140037419A (ko) 항세균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반고엔시스 엠제이엠2077 균주, 그의 추출물 및 그들을 함유하는 항세균성 의약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