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370A - Reinforcing unit for transition section of roadway - Google Patents

Reinforcing unit for transition section of road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370A
KR20190025370A KR1020170111945A KR20170111945A KR20190025370A KR 20190025370 A KR20190025370 A KR 20190025370A KR 1020170111945 A KR1020170111945 A KR 1020170111945A KR 20170111945 A KR20170111945 A KR 20170111945A KR 20190025370 A KR20190025370 A KR 20190025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fence
reinforcement
transition section
reinforce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7769B1 (en
Inventor
청 이
주재웅
편기현
이재혁
김성태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70111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769B1/en
Publication of KR20190025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3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7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Abstract

A reinforcing unit for a transition section is disclosed. The reinforcement unit for a transi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used in a transition section in which a first flexible protection fence supporting a beam of a wave from by a column to absorb impact of a driving vehicle, and a second strong flexible protection fence formed in a block shape to prevent the driving vehicle from being deviated, comprises: a lower reinforcing element which is formed in a plate sha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ransition section, is coupled to a lower end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and has a lower inclination part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oward the first protection fence side to have a narrowed wid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reinforcing body having a lower inclined part having a structure of reducing damage to a vehicle and a life in a collision with a small vehicle and gradually reducing stiffness toward a flexible protection fence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a beam of the pre-installed flexible protective fence. Thus, flexible and strong protection fen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gradual change in stiffness of protection fences in a transition section can be consistently made. As a pre-installed protection fence is intactly utilized without being replace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an be easily and rapidly performed at low costs.

Description

전이구간용 보강유닛{REINFORCING UNIT FOR TRANSITION SECTION OF ROADWA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ment unit for a transition section,

본 발명은 전이구간용 보강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차량의 충격흡수를 위한 연성 방호울타리와 탈선방지를 위한 강성 방호울타리가 서로 연결되는 전이구간에 간이하게 적용되어 양 방호울타리 간의 강성이 불연속되지 않고 점진적으로 변화되도록 모듈화한 보강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ment unit for a transition s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ition section in which a soft protective fence for shock absorption of a traveling vehicle and a rigid protective fence for preventing derailmen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a reinforcing unit modularized such that the rigidity is gradually changed without being discontinuous.

소정속도 이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양 측면에는 방호울타리가 전체적으로 설치되어 차량, 보행자 또는 시설물 등의 안전을 도모하게 되는데, 이러한 차로용 방호울타리는 강성 방호울타리와 연성 방호울타리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A safety fenc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road on which a vehicle travels at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to secure the safety of a vehicle, a pedestrian or a facility. Such a fence for a lan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rigid fence and a flexible fence have.

이때, 강성 방호울타리는, 차량 충돌시 구조물의 변형에 의한 충격흡수보다는 차량의 복귀를 주목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CSSB(Concrete Safety Shape Barrier)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설치공간의 제약, 유지관리의 수월성, 절대방호, 경제성 등의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rigid protective fence is a structure made of CSSB (Concrete Safety Shape Barrier) that is not deformed primarily for the return of the vehicle, rather than the shock absorption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Protection, and economy.

그리고 연성 방호울타리는, 차량 충돌시 다소의 변형이 수반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고, 주로 철,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빔(혹은 케이블)과 지주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탑승자의 안전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The ducting protection fence is a structure composed mainly of a beam (or cable) made of iron and aluminum, and a support, which mainly absorbs the impact energy accompanied by some deformation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

이러한 강성 방호울타리와 연성 방호울타리와 관련된 각각의 시공이나 성능조건 및 규격 등과 강성과 연성 방호울타리가 서로 연결되는 교량, 교차로, 도로의 진입구간 등의 전이구간(Transition)과 관련된 사항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과 업무편람 등에서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고, 이에 따른 설치 및 운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In relation to each construction, performance condition and specification related to such a rigid protective fence and a soft protective fence, and the transition period of a bridge, an intersection and a road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igid and flexible protective fence, And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instructions of the facility and the work manual, and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are performed accordingly.

특히, 전이구간의 경우, 소정 길이로 확보된 구간영역에서 연성 방호울타리의 강도를 완만하게 증대시켜 강성 방호울타리로 연속성 있게 연결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연성 방호울타리 외측으로 차량이 이탈 및 추락하거나 강성 방호울타리 단부에 충돌하는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Particularly, in the transitional section, the strength of the soft protective fence is gradually increased in the section area secure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rigid protective fence. This is because the vehicle is detached outside the soft protective fence And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crashing or collision with the ends of the rigid protective fence.

위와 같이 연성 방호울타리의 강도를 완만하고 점진적으로 증대하기 위해 종래에는 단순히 강성 방호울타리에 인접할수록 연성 방호울타리의 지주 간격을 좁게 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In order to gradually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oft protective fence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a method of narrowing the pillar spacing of the soft protective fence is applied as simply adjacent to the rigid protective fence.

그러나 이에 의한 경우, 연성 방호울타리의 점진적 강성 변화나 단부처리 등이 일관성 있게 유지되기 어렵고, 강성 방호울타리와의 결합부분에 대한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 또한 어려워 상술한 바와 같은 사고 등의 저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However,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consistently maintain the progressive stiffness change or end treatment of the flexible protective fence, and it is also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the rigidity of the joint with the rigid protective fence. .

그리고 전이구간의 일관성 있는 점진적 강성 변화를 위해 빔을 두께를 달리한 연성 방호울타리를 별도로 제작 및 시공하는 경우, 기존에 설치된 연성 방호울타리의 빔을 활용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시공상의 비용이 증대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case of separately fabricating and constructing a flexible fence with different beam thickness for a consistent progressive stiffness change of the transition section, the cost of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failure to utilize the beam of the existing flexible fence There was a problem.

또한, 방호울타리와 관련된 선행기술 중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91896호는 차량 충돌시 완충브라켓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EVA 또는 연질폴리우레탄 재질의 완충로울러가 회전하면서 차량을 정상적인 진행방향으로 복귀시켜 차량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키며, 상,하부가이드레일의 연결부위 내측에 연결부를 삽입하여 길이방향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수려한 미관을 제공하는 차량용 방호울타리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강성을 갖는 방호울타리인 관계상 점진적 강성 변화가 요구되는 전이구간에 그대로 사용 내지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Among the related arts related to the protective fence, Korean Patent No. 10-1191896 discloses that when a vehicle collision occurs, the shock absorbing bracket is deformed and the shock absorber is absorbed and the shock absorber roller of the EVA or flexible polyurethane material is rotated to return the vehicle to the normal traveling direction Discloses a technique for a vehicle security fence that provides a beautiful aesthetic by preventing damage to the vehicle and minimizing damage to persons and fixing the link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inserting a connection portion insid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be used or applied to a transition section in which a progressive stiffness change is required in relation to a protective fence having a constant stiffness throughout the entire direction.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91896호(공고일: 2012.10.16)Korean Patent No. 10-1191896 (Published on October 16,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또는 대형 차량에 대한 방호는 물론, 도로별 속도제한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등급(SB1 내지 SB5)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이구간의 강성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기설치된 일반적인 연성 방호울타리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적용할 수 있는 모듈화한 전이구간용 보강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lectively and gradually change the stiffness of a transi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tection fence (SB1 to SB5) according to road speed limit as well as to protect small or large vehicles, And to provide a modularized reinforcement unit for a transition section that can be applied while still utilizing a ducted protective fence.

상기 목적은, 주행차량의 충격흡수를 위해 파형의 빔을 지주로 받친 연성의 제1 방호울타리와, 주행 차량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형상으로 제작된 강성의 제2 방호울타리가 서로 연결되는 전이구간에 사용되는 보강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이구간을 길이방향으로 한 판재형상으로 되어 상기 제1,2 방호울타리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하되, 상기 제1 방호울타리 쪽으로 갈수록 지면에서 이격되며 폭이 좁아지는 하단경사부가 구비된 하부보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with a flexible first protective fence supported by a beam of a waveform for absorbing a shock of a traveling vehicle and a rigid second protective fence formed in a block- Wherein the transition sec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respectively, wherein the transition sections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oward the first protection fence, And a lower reinforcement member having a lower end slanting portion.

상기 하부보강체는, 상기 제2 방호울타리의 정면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형성된 하단절곡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빔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빔과 함께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Wherein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further includes a lower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on fe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eam, Lt; / RTI >

상기 하부보강체의 두께는, 6 내지 8T이고, 상기 전이구간의 길이에 대한 상기 하부보강체의 길이의 비는, 0.5 내지 0.6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lower reinforcement is 6 to 8 T, 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transition section to the length of the lower reinforcement may be 0.5 to 0.6.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빔에서 상기 제2 방호울타리 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보강체의 정면에 구비되되, 상기 빔 및 상기 하부보강체와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하부보강체 및 상기 제2 방호울타리와 일체로 결합되는 타단부로 구성되는 보강빔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unit includes an end extended from the beam toward the second protection fence and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and integrally joined to the strut through the beam and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blockout, And a reinforcing beam composed of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and the other end integrally joined to the second protective fence.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전이구간을 길이방향으로 한 판재형상으로 되어 상기 하부보강체의 상단부와 맞댐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2 방호울타리의 상단부와 각각 결합하고, 상기 제1 방호울타리 쪽으로 갈수록 지면을 향하며 폭이 좁아지는 상단경사부가 구비된 제1 상부보강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reinforcing unit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the transition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so as to abut agains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And a first upper reinforcement body having an upper inclined portion that is narrowed in width toward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body.

상기 제1 상부보강체는, 상기 제2 방호울타리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단절곡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빔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빔과 함께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n upper bent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hap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econd barrier fence and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eam, As shown in FIG.

상기 제1 상부보강체의 두께는, 6 내지 8T이고, 상기 전이구간의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상부보강체의 길이의 비는, 0.2 내지 0.4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is 6 to 8 T, 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transition portion to the length of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may be 0.2 to 0.4.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빔에서 상기 제2 방호울타리 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보강체 및 상기 제1 상부보강체의 정면에 구비되되, 상기 빔, 상기 하부보강체 및 상기 제1 상부보강체와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하부보강체, 상기 제1 상부보강체 및 상기 제2 방호울타리와 일체로 결합되는 타단부로 구성되는 보강빔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reinforcing unit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and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so as to extend from the beam toward the second protective fence, and the beam,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and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And a reinforcing beam having one end integrally coupled to the strut through the outs, and the other end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reinforcement,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and the second guard fence.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전이구간을 길이방향으로 한 직사각형의 판재형상으로 되어 상기 하부보강체의 상단부와 맞댐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2 방호울타리의 상단부와 각각 결합하고, 상기 제2 방호울타리의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단돌출부가 구비된 제2 상부보강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reinforcing un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the transition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engage with an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so as to abut agains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ement body, And a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having an upper protrus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ing upward.

상기 빔은, 상단부에 배치되는 2파형 빔과, 하단부에 배치되는 3파형 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상부보강체는, 상기 2파형 빔 및 상기 3파형 빔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2,3파형 빔과 함께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Wherein the beam is composed of a two-wave-shaped beam disposed at an upper end portion and a three-wave-shaped beam disposed at a lower end portion, the second upper-end reinforcement being provided on a back surface of the two- And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trut through a block-out with a corrugated beam.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2,3파형 빔에서 상기 제2 방호울타리 쪽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보강체 및 제2 상부보강체의 정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2 보강빔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보강빔은, 상기 2파형 빔 및 상기 제2 상부보강체와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제2 상부보강체와 일체로 결합되는 타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보강빔은, 상기 3파형 빔, 상기 하부보강체 및 상기 제2 상부보강체와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하부보강체, 상기 제2 상부보강체 및 상기 제2 방호울타리와 일체로 결합되는 타단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unit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eams extending from the two or three corrugated beams toward the second protection fence and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and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The first reinforcing beam is composed of one end portion integrally joined to the strut through the two wave-like beam and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block-out, and the other end integrally joined to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Wherein the second reinforcing beam includes one end coupled integrally to the strut through the three-wave shaped beam, the lower reinforcement, and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through a block-out, And the other end integrally coupled to the second protection fence.

상기 하부보강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1 상부보강체의 하단부는,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호 끼움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are dispos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can be fitted to each other.

상기 하부보강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상부보강체의 하단부는,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호 끼움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are dispos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can be fit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 차량과의 충돌시 차량 및 인명 피해를 저감하고 연성 방호울타리 쪽으로 강성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구조의 하단경사부를 갖는 하부보강체가 기설치된 연성 방호울타리의 빔의 배면에 추가설치되어 연성 및 강성 방호울타리 간을 연결함에 따라 전이구간 내의 방호울타리의 점진적인 강성변화가 일관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고, 기설치된 방호울타리의 교체 없이 그대로 활용함으로 인해 시공 및 유지관리가 저비용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reinforcement member having a lower inclined portion for reducing the damage of the vehicle and human lif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with a small-sized vehicle and gradually reducing the rigidity toward the flexible protection fence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eam of the soft- By connecting the flexible and rigid protective fences, the progressive stiffness change of the guard fence in the transition section can be made consistently and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an be carried out easily and promptly without any replacement of the installed guard fence. There is an effect.

또한, 하부보강체의 하단절곡부, 제1,2 상부보강체 및 보강빔 등이 각각 모듈화된 형태로 제작되어 전이구간의 방호울타리에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경우, 소형 또는 대형 차량에 대한 방호는 물론, 도로별 속도제한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등급(SB1 내지 SB5)에 요구되는 강성 및 강성변화가 손쉽게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wer bent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the first and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s, the reinforcing beam, and the like are individually formed in a modular form and selectively applied to the protective fence of the transition region, , The stiffness and stiffness changes required for the grades (SB1 to SB5) of the protective fence according to the road-specific speed limit can be easily implemented.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이구간용 보강유닛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각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이구간용 보강유닛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각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이구간용 보강유닛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각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전이구간의 방호울타리에 본 발명의 보강유닛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소형 차량의 충돌안전성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전이구간의 방호울타리에 본 발명의 보강유닛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대형 차량의 충돌안전성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1A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transition section reinforcement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each cut line in FIG. 1A.
2A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transition section reinforcement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each cutting line in FIG. 2A.
3A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transition section reinforcement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each cut line in FIG. 3A.
FIG. 4 is a graph showing a simulation result of a collision safety performance of a small-sized vehicle with respect to a case where the reinforc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rotective fence of a conventional transition period and a case where the reinforcing unit is not applied.
FIG. 5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simulating collision safety performance of a large-sized vehicle with respect to a case where the reinforc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rotective fence of a conventional transition period and a case where the reinforcing unit is not appl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이구간용 보강유닛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각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이구간용 보강유닛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각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이구간용 보강유닛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각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 전이구간의 방호울타리에 본 발명의 보강유닛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소형 차량의 충돌안전성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종래 전이구간의 방호울타리에 본 발명의 보강유닛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대형 차량의 충돌안전성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의 각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A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transition section reinforcement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each cutting line in FIG. 1A,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each cutting line in FIG. 2A, FIG. 3A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transition section reinforcement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each cutting line in FIG. 3A. FIG. 4 is a graph illustrating a simulation result of collision safety performance of a small-sized vehicle with and without a reinforc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conventional fence And FIG. 5 is a view showing simulation results of a collision safety performance of a large vehicle when a reinforc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rotective fence of a conventional transition section and when the reinforc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respective section line.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차로를 마주하는 방향), 후(배, 차로를 마주하지 않는 방향)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Sideways or sideways), a front (a direction facing a lane, a lane), a rear (a direction not facing a ship, a lane) And the like are set on the basis of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the drawings and the constitu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not on the purpose of limitation of rights, and each direction described below is based on this except that the directions are specifically limited otherwise.

본 발명에 따른 전이구간용 보강유닛(100)은, 기설치된 연성의 제1 방호울타리(10)와 강성의 제2 방호울타리(20)가 서로 연결되는 전이구간 내 방호울타리의 강성을 요구되는 수준으로 점진적이고 일관성 있게 변화시키는 한편, 기설치된 방호울타리의 교체 없이 그대로 활용하여 전이구간에 대한 강성보강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The reinforcing unit 100 for a transi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o that the stiffness of a fence in a transition section in which a first flexible protective wall 10 and a rigid second protective wall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set at a desired level And it is possible to utilize it without replacing the built-in protective fence and to reinforce the stiffness of the transition section at a low cost with ease and speed.

여기서 연성의 제1 방호울타리(10)란, 차량과의 충돌시 다소의 변형을 수반하면서 주행차량의 충격흡수를 통해 탑승자 및 차량의 안전을 도모하는 구성요소로서, 주로 철, 알루미늄 등을 소재로 한 판재를 파형으로 절곡시킨 빔(12)(혹은 케이블)을 다수의 지주(14)로 받쳐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flexible first fencing 10 is a component for securing the occupant and the vehicle through shock absorp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with a slight deformation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vehicle, And a beam 12 (or a cable) formed by bending a plate into a corrugated shape may b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pillars 14.

그리고 강성의 제2 방호울타리(20)란, 차량 충돌시 구조물의 변형에 의한 충격흡수보다는 차량의 추락이나 이탈방지를 통해 탑승자 및 차량의 안전을 도모하는 구성요소로서, 거의 변형 없는 콘크리트 등을 소재로 한 블록형상의 중량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방호울타리(20)는 전체적으로 아랫변이 윗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오목한 절곡면(22)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rigid second protective fence 20 is a component for securing the occupant and the vehicle by preventing the vehicle from falling or departing rather than absorbing the shock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d can be made of a block-shaped heavy material. The second protection fence 20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hose lower side is longer than the upper side as a whole, and may be formed with a concave curved surface 22 at a central portion as shown in the drawing.

위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유닛(100)이 전이구간에 모듈화된 형태로 범용적이면서도 선택적으로 적용 내지 사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above function or operation can be achieved by applying the reinforc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dular form in a transition period, universally and selectively.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판재형상의 보강체(110,120,130) 및 보강빔(140)의 형태로 다양하게 모듈화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이구간용 보강유닛(100)이, 도로별 속도제한에 따른 방호울타리의 등급(SB1 내지 SB5)에서 요구하는 강성 및 강성변화에 상응하도록 전위구간 내의 기설치된 방호울타리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적용됨으로써 위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at is, as described later, the transition section reinforcement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variously modularized in the form of the plate-like reinforcement members 110, 120, and 130 and the reinforcement beam 140, The above functions or actions are selectively applied to the existing guard fences in the potential s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tiffness and stiffness changes required in the grades SB1 to SB5 of the guard fence.

여기서 SB1 등급은 저속의 차로(5) 구간에 적용되는 방호울타리 등급을 지칭하고, SB2 등급은 기본 등급으로 일반 속도의 차로(5) 구간에 적용되는 방호울타리 등급을 지칭하고, SB3는 고속의 차로(5) 구간에 적용되는 등급을 지칭하며, SB4와 SB5 등급은 SB2 및 SB3의 적용 대상 구간 중 중앙분리대, 교량 등 차로(5) 측 위험도가 큰 구간에 적용되는 방호울타리 등급을 지칭한다. 이외에 SB6과 SB7 등급은 특수 중차량의 통행이 잦은 구간이나 위험도가 매우 높은 특수구간에 적동되는 방호울타리 등급을 지칭한다.Here, SB1 class refers to the guarded fence class applied to the low speed lane (5), SB2 class refers to the guarded fence class applied to the section (5) of the lane of general speed as the base class, and SB3 refers to the high speed lane (5), and SB4 and SB5 classes refer to the protective fence class applied to areas where SB2 and SB3 are subject to high risk areas, such as median blocks, bridges, etc., for the applicable sections of SB2 and SB3. In addition, the SB6 and SB7 grades refer to guarded fence grades that are activated during special traffic or frequent high-risk area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이구간용 보강유닛(100)은, 전위구간 내의 방호울타리에 대하여 대략 SB1 등급(저속 차로용)에 상응하는 보강과 연속성 있는 강성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보강체(110) 및 보강빔(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ition section reinforcement uni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provide reinforcement corresponding to the SB1 grade (for low speed lane) and continuous stiffness change with respect to the guard fence in the potential section , A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a reinforcement beam 140 as shown in FIGS. 1A and 1B.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부보강체(110)는, 연성의 제1 방호울타리(10)와 강성의 제2 방호울타리(20) 간 연결부위의 강성이 양측의 하단부에서 불연속되지 않고 점진적으로 변화되도록 보강하는 구성요소이다.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so that the rigidity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oft first protection fence 10 and the rigid second protection fence 20 is gradually changed at the lower end portions of both sides, Reinforcing component.

이러한 하부보강체(110)를 통해 전이구간 내 방호울타리의 강성변화가 연속성을 이룰 수 있게 되며, 전이구간에서의 소형 차량의 충돌안전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The rigidity change of the protection fence in the transition section can be made continuous through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the collision safety performance of the small vehicle in the transition section can be increased.

구체적으로 하부보강체(110)는, 전이구간을 길이방향으로 한 판재형상으로 되어 양단부가 제1,2 방호울타리(10,20)의 하단부와 각각 볼트를 통해 결합되고, 하단경사부(112) 및 하단절곡부(114)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ransition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ard fences 10 and 20 through bolts, And a lower bent portion 114. The lower bending portion 114 and the lower bending portion 114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이때, 하부보강체(110)의 일단부는 제1 방호울타리(10) 쪽 빔(12)의 배면(차로(5)를 마주하지 않는 방향)에 구비되어 빔(12)과 함께 블록아웃(16)을 통해 지주(14)에 일체로 볼트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 방호울타리(20)의 정면(차로(5)를 마주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볼트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is provided at the rear surface (direction not facing the lane 5) of the beam 12 toward the first guard fence 10, and is connected to the blockout 16 together with the beam 12. [ And the other end can be bolt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guard fence 20 (in the direction facing the lane 5).

하단경사부(112)는, 제1 방호울타리(10) 쪽으로 갈수록 지면에서 이격되며 하부보강체(110)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경사면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로 인해 하부보강체(110)의 전체 형상은 아랫변보다 윗변이 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게 된다.The lower inclined portion 112 is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surfac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oward the first protection fence 10 and narrows the width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The overall shape becomes a trapezoidal shape with the upper side longer than the lower side.

위와 같이 하부보강체(110)를 윗변이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만드는 하단경사부(112)로 인해, 전이구간 내 방호울타리의 하단부 강성이 제2 방호울타리(20)에서 제1 방호울타리(10) 쪽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전이구간 내에서 연속성 있는 강성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lower end stiffness of the protection fence in the transition section is lowered from the second protection fence 20 to the first protection fence 10 side due to the lower inclination portion 112 which makes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into a trapezoid shape with the upper side as described above. The continuous stiffness change can be made in the transition section.

또한, 이러한 구조의 하단경사부(112)로 인해, 하단경사부(112)를 마주하며 차로(5)를 주행하는 소형 차량의 타이어에 대한 직접적인 충격이 회피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소형 차량이 하부보강체(110)에 충돌하더라도 안전이 도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urther, the lower inclined portion 112 of this structure can avoid the direct impact on the tire of the small-sized vehicle running on the lane 5, facing the lower inclined portion 112, So that safety can be achieved even when collision with the body 110 occurs.

하단절곡부(114)는, 하부보강체(110) 자체의 강성 증대는 물론, 제2 방호울타리(20)와 하부보강체(110) 간의 결합력 증대와 제2 방호울타리(20)에 대한 하부보강체(110)의 용이한 시공을 도모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호울타리(20)의 정면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하부보강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bent portion 114 is form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110 itself and increase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second protection fence 20 and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110, As shown in FIG. 1A and FIG. 1B, in order to facilitate the easy installation of the body 110,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is formed to be clos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on fence 20 As shown in FIG.

이상에서 살펴본 하부보강체(110)는, SB1 등급에 따라 규격화된 전이구간의 제1,2 방호울타리(10,20)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대략 6 내지 8T의 두께를 갖고, 전이구간(대략 9500mm)에 대한 길이의 비가 0.5 내지 0.6(하부보강체(110)의 길이: 대략 4800mm)이며, 하부보강체(110)의 폭은 대략 500 내지 600mm인 아연용융도금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described above has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6 to 8 T so as to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the first and second guard fences 10 and 20 of the transition period normalized according to the SB1 rating, (The length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is about 4800 mm) and the width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is about 500 to 600 mm can be made of a zinc hot-dip coated steel sheet have.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빔(140)은, 제1 방호울타리(10)의 빔(12)과 일체를 이루며 제1,2 방호울타리(10,20) 간을 연결하여 전이구간의 강성을 강화하는 한편, 하부보강체(110)를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제1 방호울타리(10)의 빔(12)에서 제2 방호울타리(20) 쪽으로 연장형성되어 하부보강체(110)의 정면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며, 빔(12)에 대응하는 파형의 주름이 형성되거나 평평한 평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eam 1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integrated with the beam 12 of the first protection fence 10 and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10 and 20 to enhance the rigidity of the transition section And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eam 12 of the first guard fence 10 toward the second guard fence 20 so as to support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 And may be formed to have a corrugation of a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beam 12 or to have a flat plane shape.

이러한 보강빔의 일단부(142)는 빔(12) 및 하부보강체(110)와 블록아웃(16)을 통해 지주(14)에 일체로 볼트 결합되며, 보강빔의 타단부(144)는 하부보강체(110) 및 제2 방호울타리(20)와 일체로 볼트 결합될 수 있다.One end 142 of this reinforcing beam is integrally bolted to the strut 14 through the beam 12 and the bottom reinforcement 110 and the blockout 16 and the other end 144 of the reinforcing beam is connected to the lower And may be bolted integrally with the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protection fence 20.

이때, 보강빔(140)은, 규격화된 전이구간의 제1,2 방호울타리(10,20)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대략 3 내지 4T의 두께를 갖고, 길이가 대략 1600mm 내지 1800mm이며, 폭은 대략 460mm인 아연용융도금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eam 140 has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3 to 4 T and a length of approximately 1600 mm to 1800 mm so as to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10 and 20 of the standardized transition period , And a width of about 460 mm.

위와 같은 규격 및 형상으로 하부보강체(110) 및 보강빔(140)이 모듈화되어 전이구간 내 방호울타리에 적용되면, SB1 등급(저속 차로용)에 대응하는 수준의 점진적인 강성변화가 일관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저비용으로 용이하고 신속한 시공 및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the reinforcement beam 140 are modularized and applied to the guard fence in the transition section in the above standard and shape, the gradual stiffness change corresponding to the SB1 class (for the low-speed lane) can be made consistently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perform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t a low cos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이구간용 보강유닛(100)은, 전위구간 내의 방호울타리에 대하여 대략 SB3 등급(고속 차로용)에 상응하는 보강과 연속성 있는 강성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The transition section reinforcement uni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reinforcement corresponding to the SB3 grade (for a high-speed lane) and continuous stiffness change are made to the guard fence in the potential section .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이구간용 보강유닛(10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하부보강체(110) 및 보강빔(14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되, SB3 등급에 따른 강성보강을 위해 제1 상부보강체(120)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2A and 2B,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the reinforcement beam 140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basically provided in the transitional section reinforcement uni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according to the SB3 grade.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부보강체(110)는,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하부보강체(110)의 내용으로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규격 및 기능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ose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제1 상부보강체(120)는, 연성의 제1 방호울타리(10)와 강성의 제2 방호울타리(20) 간 연결부위의 강성이 양측의 상단부에서 불연속되지 않고 점진적으로 변화되도록 보강하는 구성요소이다.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is a member that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flexible protection fence 10 and the second flexible protection fence 20 so that the rigidity thereof gradually changes without being discontinued at the upper end portions of both sides to be.

이러한 제1 상부보강체(120)를 통해 전이구간 내 방호울타리의 강성변화가 연속성을 이룰 수 있고, 고속 차로(SB3)에 부합하는 전이구간 내 방호울타리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전이구간에서의 대형 차량의 충돌안전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The stiffness of the protection fence in the transition section can be made continuous through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120 and the rigidity of the protection fence in the transition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high speed lane SB3 can be secured, The collision safety performance of the large-sized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reased.

구체적으로 제1 상부보강체(120)는, 전이구간을 길이방향으로 한 판재형상으로 되어 하부보강체(110)의 상단부와 맞댐이 이루어지도록 양단부가 제1,2 방호울타리(10,20)의 상단부와 각각 볼트를 통해 결합되고, 상단경사부(122) 및 상단절곡부(124)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ransition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10 and 20 are engaged with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which are coupled to the upper end portion through bolts, respectively, and include an upper end inclined portion 122 and an upper end bent portion 124.

이때, 제1 상부보강체(120)의 일단부는, 하부보강체(110)와 마찬가지로, 제1 방호울타리(10) 쪽 빔(12)의 배면(차로(5)를 마주하지 않는 방향)에 구비되어 빔(12)과 함께 블록아웃(16)을 통해 지주(14)에 일체로 볼트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 방호울타리(20)의 정면(차로(5)를 마주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볼트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in a direction not facing the roadway 5) of the beam 12 toward the first protection fence 10, like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is integrally bolted to the strut 14 via the block-out 16 together with the beam 12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 the front face of the second guard fence 20 (in the direction facing the lane 5) Bolts can be combined.

위와 같이 제1 상부보강체(120)가 상술한 하부보강체(110)와 상하로 맞댐을 이루며 중첩적으로 설치됨으로 인해 전이구간의 강성이 SB1 등급에 비해 강화됨에 따라 차로(5)를 고속 주행하는 소형 차량은 물론, 전고가 높은 대형 차량이 전이구간 내 방호울타리에 충돌하더라도 더욱 안전이 도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is vertically overlapped with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s described above, the stiffness of the transition section is strengthened as compared with the SB1 grade,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safety even when a heavy vehicle with a high altitude collides with a protective fence in the transition section.

상단경사부(122)는, 제1 방호울타리(10) 쪽으로 갈수록 지면을 향하며 제1 상부보강체(120)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는 경사면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로 인해 제1 상부보강체(120)의 전체 형상은 윗변보다 아랫변이 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게 된다.The upper inclined portion 122 is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surface facing the ground toward the first protection fence 10 and narrowing the width of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As a result, 120 have a trapezoidal shape longer than the upper side.

위와 같이 제1 상부보강체(120)를 아랫변이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만드는 상단경사부(122)로 인해, 전이구간 내 방호울타리의 상단부 강성이 제2 방호울타리(20)에서 제1 방호울타리(10) 쪽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전이구간 내에서 연속성 있는 강성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upper end rigidity of the protection fence in the transition section is lower than the upper end rigidity of the first protection fence 20 in the transition fence 10 due to the upper inclined portion 122 that makes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into a long trapezoid shape as described above. ), The continuous stiffness change can be made in the transition section.

상단절곡부(124)는, 제1 상부보강체(120) 자체의 강성 증대는 물론, 제2 방호울타리(20)와 제1 상부보강체(120) 간의 결합력 증대와 제2 방호울타리(20)에 대한 제1 상부보강체(120)의 용이한 시공을 도모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호울타리(20)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제1 상부보강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bending portion 124 can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120 and increase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second bending fence 20 and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120, As shown in FIG. 2A and FIG. 2B,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120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on fence 20, And may be formed by b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ement member 120.

이상에서 살펴본 제1 상부보강체(120)는, SB3 등급에 따라 규격화된 전이구간의 제1,2 방호울타리(10,20)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대략 6 내지 8T의 두께를 갖고, 전이구간(대략 9500mm)에 대한 길이의 비가 0.2 내지 0.4(제1 상부보강체(120)의 길이: 대략 2700mm)이며, 제1 상부보강체(120)의 폭은 대략 400 내지 450mm인 아연용융도금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described above has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6 to 8 T so as to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the first and second guard fences 10 and 20 of the transition period normalized according to the SB3 rating (The length of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120: approximately 2700 mm), and the width of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120 is approximately 400 to 450 mm, and the ratio of the length to the transition section (approximately 9500 mm) is 0.2 to 0.4 It can be made of a galvanized steel sheet.

이때, 제1 상부보강체(120)의 전체적인 크기를 상술한 하부보강체(110)보다 작게 한 이유는, 아래쪽의 하부보강체(110)에 의해 제1 상부보강체(120)가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차로(5)를 주행하는 차량의 대다수가 일반적으로 소형 차량인 점과, 3파형의 빔(12)을 1열 배치한 SB3 등급의 제1 방호울타리(10)에 제1 상부보강체(120)와 하부보강체(110) 모두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제1 상부보강체(120)가 상대적으로 작아야 유리하다는 점 등을 고려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overall size of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12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110 is that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120 is easily supported by the lower lower reinforcing member 110, . In addition, the majority of the vehicles running on the lane 5 are generally small vehicles, and the first upper guard (10) of the SB3 class with one row of three-beam shaped beams (12) 120 and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it is advantageous that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is relatively small.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빔(140)은, 제1 방호울타리(10)의 빔(12)과 일체를 이루며 제1,2 방호울타리(10,20) 간을 연결하여 전이구간의 강성을 강화하는 한편, 하부보강체(110) 및 제1 상부보강체(120)를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The reinforcing beam 1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eam 12 of the first protection fence 10 and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10 and 20 to enhance the rigidity of the transition section And is a component provided to firmly support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이러한 보강빔(140)은, 제1 방호울타리(10)의 빔(12)에서 제2 방호울타리(20) 쪽으로 연장형성되어 하부보강체(110) 및 제1 상부보강체(120)의 정면 일부를 각각 덮도록 구비되되, 빔(12)에 대응하는 파형의 주름이 형성되거나 평평한 평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eam 140 extends from the beam 12 of the first guard fence 10 toward the second guard fence 20 and extends to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120 And the corrugations of the corrugations corresponding to the beams 12 may be formed or may be formed in a flat planar shape.

구체적으로 보강빔의 일단부(142)는 빔(12), 하부보강체(110) 및 제1 상부보강체(120)와 블록아웃(16)을 통해 지주(14)에 일체로 볼트 결합되며, 보강빔의 타단부(144)는 하부보강체(110), 제1 상부보강체(120) 및 제2 방호울타리(20)와 일체로 볼트 결합될 수 있다.Concretely, one end 142 of the reinforcing beam is integrally bolted to the strut 14 via the beam 12, the lower reinforcement 110 and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120 and the block-out 16, The other end 144 of the reinforcing beam may be bolted integrally with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and the second guard member 20.

이때, 보강빔(140)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규격화된 전이구간의 제1,2 방호울타리(10,20)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대략 3 내지 4T의 두께를 갖고, 길이가 대략 1600mm 내지 1800mm이며, 폭은 대략 460mm인 아연용융도금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eam 140 has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3 to 4 T so as to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10 and 20 of the standardized transition period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approximately 1600 mm to 1800 mm and a width of approximately 460 mm.

위와 같은 규격 및 형상으로 제1 상부보강체(120)가 모듈화되어 상술한 하부보강체(110) 및 보강빔(140)과 함께 전이구간 내 방호울타리에 적용되면, SB3 등급(고속 차로용)에 대응하는 수준의 점진적인 강성변화가 일관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저비용으로 용이하고 신속한 시공 및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is modularized and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transition fence with the above-described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the reinforcement beam 140 in the above-mentioned standard and shape, the SB3 grade (for high-speed lane) A gradual change in stiffness at a corresponding level can be made consistently, and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an be easily and quickly performed at a low cost.

한편, 하부보강체(110)의 상단부와 제1 상부보강체(120)의 하단부는,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호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may be arrang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be fitted to each other.

즉, 도 2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보강체(110)의 상단부 및 제1 상부보강체(120)의 하단부 중 어느 한 측에 끼움돌기(152)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 측에 끼움홈(154)이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보강체(110)와 제1 상부보강체(120) 간의 결합력과 제1 방호울타리(10)와 제2 방호울타리(20)의 연결부위에 대한 강성은 보다 증대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2B, the fitting protrusions 152 are formed on either the upper end of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120, Grooves 154 may be form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As a resul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and the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10 and 20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이구간용 보강유닛(100)은, 전위구간 내의 방호울타리에 대하여 대략 SB5 등급(차로 측 위험도가 큰 구간)에 상응하는 보강과 연속성 있는 강성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The transition section reinforcement uni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o that the reinforcement corresponding to the SB5 class (the section in which the road side risk is large) and the continuous stiffness change are made to the protection fence in the potential section .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이구간용 보강유닛(10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하부보강체(11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되, SB5 등급에 상응하는 강성보강을 위해, 제2 상부보강체(130) 및 제1,2 보강빔(140a,140b) 등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ition section reinforcement uni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basically includes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130,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beams 140a and 140b, and the like.

이때, 제1,2 보강빔(140a,140b)은, 전이구간에 배치되는 제1 방호울타리(10)에 대한 SB1 및 SB3 등급의 시공조건(1열 배치된 3파형의 빔(12,12b))과 다르게 빔(12)을 상하로 2열 배치한 SB5 등급의 시공조건에 대응하기 위해 모듈화된 구성이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eams 140a and 140b are applied to the first protection fence 10 disposed in the transition section under the construction conditions of the SB1 and SB3 grades (the beams 12 and 12b, , The beam 12 is arranged in two r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B5 grade construction condition.

SB5 등급의 시공조건에 따르면, 제1 방호울타리(10)의 빔(12)은, 상단부에 배치되는 2파형 빔(12a)과, 하단부에 배치되는 3파형 빔(12b)으로 이루어져 각각 지주(1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B5 grade construction condition, the beam 12 of the first guard fence 10 is composed of the two-wave beam 12a disposed at the upper end and the three-wave beam 12b disposed at the lower end, As shown in Fig.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부보강체(110)은, 마찬가지로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하부보강체(110)의 내용으로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규격 및 기능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ose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제2 상부보강체(130)는, 연성의 제1 방호울타리(10)와 강성의 제2 방호울타리(20) 간 연결부위의 강성이 양측의 상단부에서 불연속되지 않고 점진적으로 변화되도록 보강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is a member that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oft first protection fence 10 and the rigid second protection fence 20 such that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gradually changed without discontinuity at both upper ends to be.

이러한 제2 상부보강체(130)를 통해 전이구간 내 방호울타리의 강성변화가 연속성을 이룰 수 있고, 차로 측 위험도가 큰 구간(SB5)에 부합하는 전이구간 내 방호울타리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전이구간에서의 차량의 충돌안전성능 및 이탈방지능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The stiffness of the protection fence in the transition section can be made continuous through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and the rigidity of the protection fence in the transition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SB5 having the greater road side risk can be secured , The collision safety performance of the vehicle in the transition period and the ability to prevent departure can be further increased.

구체적으로 제2 상부보강체(130)는, 전이구간을 길이방향으로 한 직사각형의 판재형상으로 되어 하부보강체(110)의 상단부와 맞댐이 이루어지도록 제1,2 방호울타리(10,20)의 상단부와 각각 볼트 결합되고, 상단돌출부(132)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1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transition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10 and 20 And may include a top protrusion 132 and the like.

이때, 제2 상부보강체(130)의 일단부는, 제1 방호울타리(10) 쪽 2파형 빔(12a) 및 3파형 빔(12b)의 배면(차로(5)를 마주하지 않는 방향)에 구비되어 2,3파형 빔(12a,12b)과 함께 블록아웃(16)을 통해 지주(14)에 일체로 볼트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 방호울타리(20)의 정면(차로(5)를 마주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볼트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in a direction not facing the lane 5) of the two-wave beam 12a and the three-wave beam 12b on the first protective fence 10 side And is integrally bolted to the stanchion 14 through the blockout 16 with the two or three corrugated beams 12a and 12b and the other end is bolt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guard fence 20 And can be bolted together.

위와 같이 제2 상부보강체(130)가 상술한 하부보강체(110)와 상하로 맞댐을 이루며 2,3 파형 빔(12a,12b)과 중첩적으로 설치됨으로 인해 전이구간의 강성이 SB1 및 SB3 등급에 비해 강화됨에 따라 차로 측 위험도가 큰 구간(SB5)에서도 차량의 안전 및 이탈방지가 도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130 is vertically overlapped with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overlapped with the second and third wave shaped beams 12a and 12b, the stiffness of the transition section is reduced to SB1 and SB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nd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even in the section SB5 where the side risk of the vehicle is large.

상단돌출부(132)는, 상술한 전이구간 내 제1 방호울타리(10) 상단부의 2파형 빔(12a)과 연계되어 차로 측 위험도가 큰 구간을 고속 주행하는 소형 및 대형 차량의 차로(5) 이탈을 저지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제2 방호울타리(20)의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제2 상부보강체(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rojection 132 is connected to the two-wave beam 12a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otection fence 10 in the transition period described above to allow the small-sized and large- And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in a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protection fence 20.

도 3a 및 도 3b에서는 제2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상단절곡부(124) 및 상단경사부(122)가 제2 상부보강체(130)에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2 상부보강체(13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FIGS. 3A and 3B, the upper bent portion 124 and the upper inclined portion 122 a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re not applied to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case 130.

이상에서 살펴본 제2 상부보강체(130)는, SB5 등급에 따라 규격화된 전이구간의 제1,2 방호울타리(10,20)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대략 7 내지 9T의 두께를 갖고, 전이구간(대략 13500mm)에 대한 길이의 비가 0.1 내지 0.2(제2 상부보강체(130)의 길이: 대략 1700mm)이며, 제2 상부보강체(130)의 폭은 대략 620 내지 700mm인 아연용융도금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described above has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7 to 9 T so as to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10 and 20 of the transition period normalized according to the SB5 rating (Length of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approximately 1700 mm), and the width of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is approximately 620 to 700 mm, and the ratio of the length to the transition region (approximately 13500 mm) is 0.1 to 0.2 It can be made of a galvanized steel sheet.

이때, 제2 상부보강체(130)의 폭이 제1 상부보강체(120)보다 큰 이유는, 상술한 상단돌출부(132)의 형성을 위한 것이고, 전체적인 길이가 제1 상부보강체(120)보다 작은 이유는, 전이구간 내 제1 방호울타리(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2파형 빔(12a)이 차로(5)의 반대쪽으로 휘어져 3파형 빔(12b)과 단차를 점진적으로 이루며 설치되는 시공조건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제2 상부보강체(130)의 두께를 제1 상부보강체(120)보다 두껍게 한 이유는, SB5 등급에 부합하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width of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13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is that the overall length of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is longer than that of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0,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two-wave-shaped beam 12a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ard fence 10 in the transition section is bent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lane 5 and gradually forms a step with the three- Conditions. The reason why the thickness of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is made thicker than that of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120 is to secure the rigidity conforming to the SB5 rating.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2 보강빔(140a,140b)은, SB5 등급에 따른 제1 방호울타리(10)의 2,3파형 빔(12a,12b)과 각각 일체를 이루며 제1,2 방호울타리(10,20) 간을 연결하여 전이구간의 강성을 강화하는 한편, 하부보강체(110) 및 제2 상부보강체(130)를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이다.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eams 140a and 14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wo or three waveform beams 12a and 12b of the first protection fence 10 according to the SB5 rating, The reinforcing members 110 and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enhance the rigidity of the transition region and to securely support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130.

이러한 제1,2 보강빔(140a,140b)은, 제1 방호울타리(10)의 2,3파형 빔(12a,12b)에서 제2 방호울타리(20) 쪽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하부보강체(110) 및 제2 상부보강체(130)의 정면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2,3파형 빔(12a,12b)에 각각 대응하는 파형의 주름이 형성되거나 평평한 평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eams 140a and 140b extend from the second and third reinforcing ribs 110a and 120b of the first rib 10 to the second ribs 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The corrugations may have corrugations corresponding to the two or three corrugated beams 12a and 12b,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제1 보강빔의 일단부(142a)는, 2파형 빔(12a) 및 제2 상부보강체(130)와 블록아웃(16)을 통해 지주(14)에 일체로 볼트 결합되며, 제1 보강빔의 타단부(144a)는 제2 상부보강체(130)와 일체로 볼트 결합될 수 있다.Concretely, one end 142a of the first reinforcing beam is integrally bolted to the strut 14 through the two wave-shaped beam 12a and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and the block-out 16, The other end 144a of the reinforcing beam can be bolt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그리고 제2 보강빔의 일단부(142b)는, 3파형 빔(12b), 하부보강체(110) 및 제2 상부보강체(130)와 블록아웃(16)을 통해 지주(14)에 일체로 볼트 결합되며, 제2 보강빔의 타단부(144b)는 하부보강체(110), 제2 상부보강체(130) 및 제2 방호울타리(20)와 일체로 볼트 결합될 수 있다.The one end 142b of the second reinforcing beam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rut 14 through the three wave-shaped beam 12b, the bottom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top reinforcing member 130 and the block- And the other end 144b of the second reinforcing beam can be bolted integrally with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130, and the second protection fence 20. [

이때, 제1 보강빔(140a)은, SB5 등급에 따라 규격화된 전이구간의 제1,2 방호울타리(10,20)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대략 3 내지 4T의 두께를 갖고, 길이가 대략 1600mm 내지 1800mm이며, 폭은 대략 350mm인 아연용융도금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reinforcing beam 140a has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3 to 4 T so as to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the first and second guard fences 10 and 20 of the transition period normalized according to the SB5 rating, Of about 1600 mm to about 1800 mm and a width of about 350 mm.

그리고 제2 보강빔(140b)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규격화된 전이구간의 제1,2 방호울타리(10,20)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대략 3 내지 4T의 두께를 갖고, 길이가 대략 1600mm 내지 1800mm이며, 폭은 대략 460mm인 아연용융도금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second reinforcing beam 140b has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3 to 4T so as to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the first and second guard fences 10 and 20 of the standardized transition period as in the first embodiment, A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a length of approximately 1600 mm to 1800 mm and a width of approximately 460 mm.

위와 같은 규격 및 형상으로 제2 상부보강체(130)가 모듈화되어 상술한 하부보강체(110) 및 제1,2 보강빔(140a,140b)과 함께 전이구간 내 방호울타리에 적용되면, SB5 등급(고속 차로용)에 대응하는 수준의 점진적인 강성변화가 일관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저비용으로 용이하고 신속한 시공 및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f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is modularized and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transition fence with the above-described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eams 140a and 140b, (For a high speed lane) can be consistently made, and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an be easily and quickly performed at a low cost.

한편, 하부보강체(110)의 상단부와 제2 상부보강체(130)의 하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호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130 may be arrang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fitted to each other.

즉, 하부보강체(110)의 상단부 및 제2 상부보강체(130)의 하단부 중 어느 한 측에 끼움돌기(미도시, 도 2b 참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 측에 끼움홈이 형성되어 서로 체결됨으로써, 하부보강체(110)와 제2 상부보강체(130) 간의 결합력과 제1 방호울타리(10)와 제2 방호울타리(20)의 연결부위에 대한 강성은 보다 증대될 수 있다.That is, a fitting protrusion (not shown in Fig. 2B)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130,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0 and the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10 and 20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4 및 도 5는, 종래 전이구간의 방호울타리에 본 발명의 보강유닛(제2 실시예)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소형 및 대형 차량의 충돌안전성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Figs. 4 and 5 show results of simulating collision safety performance of a small-sized and a large-sized vehicle with respect to a case in which the reinforcing unit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nventional fence in a transition section It is.

도 4(a)(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이구간의 방호울타리는 제1,2 방호울타리(10,20) 사이에 보강이 이루어지지 않아 양자 간 강성이 불연속적인 관계로, 제1 방호울타리(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와 속도로 소형(또는 대형)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제2 방호울타리(20)와 연결되는 제1 방호울타리(10)의 변형이 커짐에 따라 결국, 소형(또는 대형) 차량은 제2 방호울타리(20)와 강한 충돌이 일어나게 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 (or Fig. 5 (a)), the conventional fence of the transition section is not reinforc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10 and 20, As a result, when the small (or large) vehicle collides with the first protection fence 10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speed,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protection fence 10 connected to the second protection fence 20 becomes large It can be seen that a small (or large) vehicle eventually undergoes a strong collision with the second guard fence 20.

반면에 도 4(b)(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이구간의 방호울타리에 대하여 제1,2 방호울타리(10,20) 사이에 보강유닛(100)이 설치된 경우, 양자 간에 보강이 이루어져 강성 변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제1 방호울타리(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와 속도로 소형(또는 대형) 차량이 충돌하게 되더라도 제2 방호울타리(20)와 연결되는 제1 방호울타리(10)의 변형이 감소됨에 따라 결국, 소형(또는 대형) 차량은 제2 방호울타리(20)와 강한 충돌이 발생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b) (or FIG. 5 (b)), when the reinforcing unit 10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10 and 20 with respect to the conventional fence (Or large) vehicle collides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spe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rotection fence 10, even i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econd protection fence 20 because the reinforcement between the both is progressed gradually, As a result, as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protection fence 10 is reduced, it can be seen that a small (or large) vehicle will not have a strong collision with the second protection fence 20.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5: 차로 10: 제1 방호울타리
12: 빔 12a: 2파형 빔
12b: 3파형 빔 14: 지주
16: 블록아웃 20: 제2 방호울타리
22: 절곡면
100: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110: 하부보강체
112: 하단경사부 114: 하단절곡부
120: 제1 상부보강체 122: 상단경사부
124: 상단절곡부 130: 제2 상부보강체
132: 상단돌출부 140: 보강빔
142: 보강빔의 일단부 144: 보강빔의 타단부
140a: 제1 보강빔 142a: 제1 보강빔의 일단부
144a: 제1 보강빔의 타단부 140b: 제2 보강빔
142b: 제2 보강빔의 일단부 144b: 제2 보강빔의 타단부
152: 끼움돌기 154: 끼움홈
5: by car 10: 1st protection fence
12: Beam 12a: 2-wave beam
12b: 3 wave form beam 14: holding
16: Block-out 20: Second protective fence
22: Bending face
100: Transition section reinforcement unit 110: Lower reinforcement body
112: lower inclined portion 114: lower bent portion
120: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122: upper inclined portion
124: upper bent portion 130: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132: upper protrusion 140: reinforcing beam
142: one end of the reinforcing beam 144: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ing beam
140a: first reinforcing beam 142a: on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eam
144a: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eam 140b: the second reinforcing beam
142b: one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beam 144b: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beam
152: fitting projection 154: fitting groove

Claims (13)

주행차량의 충격흡수를 위해 파형의 빔을 지주로 받친 연성의 제1 방호울타리와, 주행 차량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형상으로 제작된 강성의 제2 방호울타리가 서로 연결되는 전이구간에 사용되는 보강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이구간을 길이방향으로 한 판재형상으로 되어 상기 제1,2 방호울타리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하되, 상기 제1 방호울타리 쪽으로 갈수록 지면에서 이격되며 폭이 좁아지는 하단경사부가 구비된 하부보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A flexible first protective fence supported by a beam of a waveform to absorb a shock of a traveling vehicle and a second protective fence formed in a block shape to prevent derailment of the traveling vehic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reinforcing unit,
A lower reinforcement body having a bottom inclined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plat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ition section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guard fence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oward the first protection fence, And the reinforcement unit for the transition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강체는,
상기 제2 방호울타리의 정면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형성된 하단절곡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빔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빔과 함께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comprises:
And a lower bent portion formed to b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hap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ve fence and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strut through the block out with the beam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eam A reinforcement unit for the transition s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강체의 두께는, 6 내지 8T이고,
상기 전이구간의 길이에 대한 상기 하부보강체의 길이의 비는, 0.5 내지 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hickness of the lower reinforcement is 6 to 8 T,
Wherein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transition section to the length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is 0.5 to 0.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빔에서 상기 제2 방호울타리 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보강체의 정면에 구비되되, 상기 빔 및 상기 하부보강체와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하부보강체 및 상기 제2 방호울타리와 일체로 결합되는 타단부로 구성되는 보강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inforcing unit comprises:
An e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beam toward the second protection fence and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and integrally coupled to the strut through the beam and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block out,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beam formed of a second end portion integrally coupled to the second protection fe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전이구간을 길이방향으로 한 판재형상으로 되어 상기 하부보강체의 상단부와 맞댐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2 방호울타리의 상단부와 각각 결합하고, 상기 제1 방호울타리 쪽으로 갈수록 지면을 향하며 폭이 좁아지는 상단경사부가 구비된 제1 상부보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inforcing unit comprises:
The transition section is formed in a plat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so as to abut agains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Further comprising a first upper reinforcement body having an upper end inclined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보강체는,
상기 제2 방호울타리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단절곡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빔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빔과 함께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And an upper bending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hape closely adhering to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ve fence and being integrally coupled to the strut through the block out together with the beam. A reinforcement unit for the transition s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보강체의 두께는, 6 내지 8T이고,
상기 전이구간의 길이에 대한 상기 제1 상부보강체의 길이의 비는, 0.2 내지 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hickness of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is 6 to 8 T,
Wherein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transition region to the length of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is 0.2 to 0.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빔에서 상기 제2 방호울타리 쪽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보강체 및 상기 제1 상부보강체의 정면에 구비되되, 상기 빔, 상기 하부보강체 및 상기 제1 상부보강체와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하부보강체, 상기 제1 상부보강체 및 상기 제2 방호울타리와 일체로 결합되는 타단부로 구성되는 보강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inforcing unit comprises:
And a second protection fence extending from the beam toward the second protection fence and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wherein the beams,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ement beam having one end integrally joined to the first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other end integrally joined to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the first upper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second protection fenc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전이구간을 길이방향으로 한 직사각형의 판재형상으로 되어 상기 하부보강체의 상단부와 맞댐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2 방호울타리의 상단부와 각각 결합하고, 상기 제2 방호울타리의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단돌출부가 구비된 제2 상부보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inforcing unit comprises: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are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fences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reinforcement body is abutted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reinforcement bod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having an upper protrusion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단부에 배치되는 2파형 빔과, 하단부에 배치되는 3파형 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상부보강체는, 상기 2파형 빔 및 상기 3파형 빔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2,3파형 빔과 함께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eam is composed of a two-wave beam arranged at an upper end portion and a three-wave beam arranged at a lower end portion,
Wherein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on a back surface of the two-wave beam and the three-wave beam, and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strut through a block-out together with the two or three-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2,3파형 빔에서 상기 제2 방호울타리 쪽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보강체 및 제2 상부보강체의 정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2 보강빔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보강빔은, 상기 2파형 빔 및 상기 제2 상부보강체와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제2 상부보강체와 일체로 결합되는 타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보강빔은, 상기 3파형 빔, 상기 하부보강체 및 상기 제2 상부보강체와 블록아웃을 통해 상기 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하부보강체, 상기 제2 상부보강체 및 상기 제2 방호울타리와 일체로 결합되는 타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einforcing unit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eams extending from the two or three corrugated beams toward the second guard fence and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and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beam is composed of one end portion integrally joined to the strut through the two wave-like beam and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block out, and the other end integrally joined to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member ,
Wherein the second reinforcing beam includes one end coupled integrally to the strut through the three-wave shaped beam, the lower reinforcement, and the second upper reinforcement through a block-out, And a second end portion integrally coupled to the second protection fe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강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1 상부보강체의 하단부는,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호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upper reinforcing member,
And the reinforcing members are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are mutually fitted togeth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강체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상부보강체의 하단부는,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호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구간용 보강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upper end of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reinforcing member,
And the reinforcing members are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are mutually fitted together.
KR1020170111945A 2017-09-01 2017-09-01 Reinforcing unit for transition section of roadway KR1020077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945A KR102007769B1 (en) 2017-09-01 2017-09-01 Reinforcing unit for transition section of road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945A KR102007769B1 (en) 2017-09-01 2017-09-01 Reinforcing unit for transition section of roadw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370A true KR20190025370A (en) 2019-03-11
KR102007769B1 KR102007769B1 (en) 2019-08-06

Family

ID=6575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945A KR102007769B1 (en) 2017-09-01 2017-09-01 Reinforcing unit for transition section of road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76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216A (en) * 1995-08-09 1997-02-18 Kawatetsu Steel Prod Corp Media strip protection fence
KR20110004896A (en) * 2008-05-05 2011-01-14 더 텍사스 에이 & 엠 유니버시티 시스템 Guardrail safety system for dissipating energy to decelerate the impacting vehicle
KR101191896B1 (en) 2011-12-30 2012-10-16 안은희 Guard fence for vehicle
KR101642926B1 (en) * 2015-09-18 2016-07-27 주식회사 거원 auxiliary apparatus of impact absorber for ro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9216A (en) * 1995-08-09 1997-02-18 Kawatetsu Steel Prod Corp Media strip protection fence
KR20110004896A (en) * 2008-05-05 2011-01-14 더 텍사스 에이 & 엠 유니버시티 시스템 Guardrail safety system for dissipating energy to decelerate the impacting vehicle
KR101191896B1 (en) 2011-12-30 2012-10-16 안은희 Guard fence for vehicle
KR101642926B1 (en) * 2015-09-18 2016-07-27 주식회사 거원 auxiliary apparatus of impact absorber for ro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769B1 (en)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728B1 (en) Guardrail
JP2014077230A (en) Guard fenc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 same
KR100345739B1 (en) Steel guide rail and impact absorber used for the same guide rail
US20040079932A1 (en) Shock-absorbing guardrail device
JP4387332B2 (en) Guardrail
KR20190025370A (en) Reinforcing unit for transition section of roadway
KR20130004377U (en) Reinforcing member for a guardrail
JPH08158334A (en) Protection device for road
KR20160146059A (en) Vehicle protection fence
KR101776658B1 (en) Safety guardrail assembly
KR102185578B1 (en) Guard rai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climb-over prevention
KR101835861B1 (en) High intensity impact absorbing guard rail with improved impact absorbing performance
KR101585734B1 (en) Guard Rail Post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KR101190671B1 (en) Guardrail
KR101235823B1 (en) Safety fence for vehicle with impact absorption function
KR100380184B1 (en) A Guide Rail For Shock Absorbing Of The Road
KR20110105106A (en) Frp guardrail considering impact location and impulse of different type of vehicles
KR20110049273A (en) Guard rail of road
JP6652462B2 (en) Bridge fence
JP6733933B2 (en) Vehicle restraint structure for bridge landslide
KR101948987B1 (en) Guardrail post structure
KR101353774B1 (en) Guard beam connection member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KR100560732B1 (en) soundproof wall of using friction damper
KR101164944B1 (en) Reinforcing member for a guardrail
KR101406423B1 (en) Guard beam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