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272A - 기능성 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272A
KR20190025272A KR1020170111731A KR20170111731A KR20190025272A KR 20190025272 A KR20190025272 A KR 20190025272A KR 1020170111731 A KR1020170111731 A KR 1020170111731A KR 20170111731 A KR20170111731 A KR 20170111731A KR 20190025272 A KR20190025272 A KR 20190025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unctional
chamber
doo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배동
박인철
Original Assignee
세비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비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비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5272A/ko
Priority to PCT/KR2018/008521 priority patent/WO2019045281A2/ko
Publication of KR20190025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 기능성 물질을 함유시킨 혼합수를 공급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수가 공급되는 유입구와 혼합수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기능성 물질이 본체부 내부에 공급되도록, 본체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를 포함하고, 유입구와 유출구는, 욕실의 수관 중간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기능성 물질의 교체가 편리하고, 원하는 기능을 바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수용성 재질의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사용함으로써,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외피가 물에 녹아 사용 후, 외피를 따로 처리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친환경적이다.

Description

기능성 물 공급장치{A FUNCTION WATER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에 기능성 물질을 함유시킨 혼합수를 공급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 헤드, 수도꼭지 등은 상수원으로부터 상수관을 통해 가정이나 공중목욕탕 등으로 공급되는 물을 토출시키는 토수기구이다. 이러한 토수기구는 밸브에 의해 수돗물을 토출시키거나 토출을 중단한다.
최근 샤워 시에, 피부를 부드럽게 하거나, 보습, 향기 등의 이유로 아로마오일, 바디오일, 바디로션 등의 바디 제품을 사용한다.
이러한 바디 제품 등은 개별 용기에 저장되어 샤워 도중 또는 샤워 이후에 일정량을 토출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바디 제품은 샤워 도중 사용하는 경우, 바디 제품 사용 이후에 물로 씻어주어야 하고, 샤워 이후에 사용하는 경우, 바디 제품이 손에 묻어 다시 손을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샤워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과 같이 손이 닿지 않는 부위에 제품을 도포하기 어려워 목욕 타월을 이용하면, 목욕 타월이 제품을 흡수하여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7131호는, 샤워 헤드의 손잡이 몸체의 내부에 액상 또는 겔 상태의 비타민을 수용한 카트리지와; 비타민출구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물의 유속에 따라 물레방아식으로 회전 작동하여 비타민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비타민 공급부를 포함함으로써, 샤워기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속에 따라 적절한 양의 비타민을 기계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샤워기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비타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모 비타민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제작 및 소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샤워기용 비타민 공급 장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9342호는, 급수 통로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혼입 용액을 수용한 수용실 및 희석실이 규정된 카트리지와, 카트리지를 고정하여 회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희석실은 지속 방출구를 통하여 급수 통로에 연통되어 수용실로부터 혼입 용액을 공급을 받음으로써, 혼입 용액을 수돗물의 유량에 맞는 적절한 양으로 방출할 수 있고, 혼입 용액을 낭비하지 않고 유효하게 사용하여 카트리지의 수명 및 교환 시기를 길게 할 수 있는 혼입 용액 지속 방출 기능을 가지는 급수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은, 샤워 헤드를 통해 배출되는 물에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기능성 물을 공급하나, 기능성 물질이 샤워 헤드의 손잡이 부분에 대용량으로 구비되어 오랜 시간 사용함에 따라 기능성 물질의 위생관리 및 손실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2566호는, 유입구와 배출구와 유입구에서 일측면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개방된 제1 유로와,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개방된 제2 유로와, 배출구에서 타측면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개방된 제3 유로를 포함하는 바디; 바디의 일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제2 유로의 단부가 위치되는 제1 캡; 바디의 타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제3 유로의 단부가 위치되는 제2 캡; 제1 캡에 구비되어 물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제2 캡에 구비되어 유입된 물에 휩쓸려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기능성 캡슐; 을 포함하는 토수기구용 필터링 및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는 일회용의 기능성 캡슐을 사용하여 위생관리가 철저하고, 샤워 시마다 원하는 기능의 기능성캡슐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회용의 기능성 캡슐 사용 후, 장치 내부의 캡슐 외피를 처리해야만 하고, 이는 환경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1, 제3 유로가 수직으로 꺾여 소음이 심하고, 제1, 제2 캡을 나사식으로 탈착하여 필터 및 기능성 캡슐의 교체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샤워 헤드로 물이 토출되는 도중, 기능성 캡슐을 교체하기 위해 제2 캡을 탈거하면, 유로를 통과하는 물이 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샤워 도중에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을 씻어낼 필요가 없고, 샤워 시간을 단축시키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이 닿지 않는 부위에도 편리하게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고, 기능성 물질의 도포를 위한 도구가 필요 없어 기능성 물질의 낭비 또는 손실을 저감시키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물질 사용 시, 위생관리가 철저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체가 편리하여 원하는 기능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소음을 완화시킨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물질의 교체 시, 장치로부터 물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관로로부터 유입된 유입수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기능성 물질을 혼합한 혼합수를 유출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가 공급되는 유입구와 상기 혼합수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기능성 물질이 상기 본체부 내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본체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는, 욕실의 수관 중간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장착되고, 상기 기능성 물질 수납체는, 수용성 재질의 외피 내부에 상기 기능성 물질이 내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피는, 20℃~50℃ 수온에서 상기 유입수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피는, pH6 ~ pH8 에서 상기 유입수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피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알킬렌 옥사이드(Polyalkylene oxide), 폴리아크릴 아미드(Polyacryla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셀룰로오스 에테르(Cellulose ether), 셀룰로오스 에스테르(Cellulose ester) 셀룰로오스 아미드(Cellulose amide),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덱스트린(Dextri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젤라틴(Gelatin), 전분(Star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피는, 혐오스러운 맛을 내는 혐오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피는, 외면에 혐오스러운 맛을 내는 혐오성 물질이 적어도 일부 도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는 수관은, 온수관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구는, 온수와 냉수가 합류되어 토출되는 토수관에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는, 샤워 호스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구는, 샤워 헤드의 손잡이 내부 관로와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의 하류에 살수판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부 내부를 투시하도록, 적어도 일부를 투명부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뚜껑 폐쇄 시, 상기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일측을 천공하도록 내측면에 돌출된 천공부; 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구비된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와 유로가 연결되며, 상기 도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2 챔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의 폐쇄 시, 폐쇄 동작에 의한 가압력으로 상기 밸브부를 개방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 외측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를 잠금하는 도어 잠금부; 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구비된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와 유로가 연결되며, 상기 도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2 챔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유입수와 상기 혼합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로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 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의 격벽과 밀착되어 회전하는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로의 개방 크기가 변경되도록 상기 조절판의 상하를 관통하는 조절구; 및 상기 조절판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조절판으로부터 상기 본체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조절편;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절편의 상기 유로 폐쇄 시, 제1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조절편의 상기 유로 개방 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를 잠금하는 도어 잠금부;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도어부를 구비하여 기능성 물질의 교체가 편리하고, 원하는 기능을 바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 재질의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사용함으로써,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외피가 물에 녹아 사용 후, 외피를 따로 처리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의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사용되므로, 기능성 물질의 위생관리가 철저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출구의 하류에 살수판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수압이 높은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부를 구비함으로써, 도어부의 개폐 시, 밸브부를 개폐할 수 있고, 뚜껑이 개방된 상태에서 밸브를 폐쇄하여 장치로부터 물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잠금부를 구비함으로써,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부를 잠금하여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유로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여 유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량 조절부와 도어 잠금부를 구비함으로써, 유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부의 잠금을 해제하고,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부를 잠금하여 뚜껑이 개방된 상태에서 장치로부터 물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부를 구비함으로써,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 챔버 내부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워 도중에 간편하게 사용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을 씻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샤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워 시 몸에 직접 도포되므로, 손이 닿지 않는 부위도 편리하게 도포할 수 있고,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다른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기능성 물질의 낭비 또는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교체가 편리하여 원하는 기능을 바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꺾인 형태의 유로가 형성되지 않아 소음 발생을 최소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의 분해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가 설치되는 다른 위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로 가이드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로 가이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어댑터와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가압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가 직렬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가 병렬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의 분해조립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의 분해조립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유로 가이드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을 제3 실시예에 의한 유로 가이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26의 (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절판의 조절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6의 (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격벽에 형성된 유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6의 (c)는 본 발명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의 (d)는 본 발명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의 (e)는 본 발명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의 (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다른 형태의 조절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7의 (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다른 형태의 유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7의 (c)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의 (d)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의 (e)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의 (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또 다른 형태의 조절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8의 (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또 다른 형태의 유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8의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의 (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의 (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조절판과 격벽이 겹쳐져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어댑터와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하여 조절편이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하여 조절편이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하여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나, 일부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또한, 여러 실시예 중 동일한 기능과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의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관로로부터 유입된 유입수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기능성 물질을 혼합한 혼합수를 유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욕실, 공중목욕탕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 도어부(200) 및 밸브부(300)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00)는 제1 챔버(110), 제2 챔버(120), 유로(130) 및 격벽(140)으로 이루어진다.
제1 챔버(110)는 유입수가 공급되는 유입구(111), 혼합수가 배출되는 유출구(112) 및 제1 챔버(110)를 개폐하는 챔버 개폐부(114)를 포함한다.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는 각각 관로 중간에 결합되며, 욕실의 수관 중간에 연결된다.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는 수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거나, 플랜지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수 공급부(10)로부터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관(11)과 냉수 공급부(20)로부터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관(21)이 토수구(30)에서 합류되고, 토수구(30)에서 온수와 냉수가 혼합되어 토수관(31)을 통해 배출되거나 토수관(31)이 샤워 호스(41)와 연결되어 샤워 헤드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1)는, 도 6, 도 7과 같이, 온수관(11)의 중간 또는 토수관(31)과 샤워 호스(41)의 중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는 온수관(11)에 연결된다. 기능성 물질은 대체적으로 냉수보다 온수에서 수용성이 높다. 특히, 기능성 물질이 발향 물질인 경우, 냉수보다 온수에서 발향 효과가 높다. 따라서,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를 온수관(11)에 연결함으로써, 유입수에 기능성 물질을 쉽게 혼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유입구(111)는 온수와 냉수가 합류되어 토출되는 토수관(31)에 연결되고, 유출구(112)는 샤워 호스(41)에 연결된다. 이로써, 토수구(30) 하류에서 기능성 물질과 혼합된 혼합수가 샤워 호스(41)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는 사용자의 샤워 헤드 이용 시, 샤워 헤드의 무게나 움직임에 간섭하지 않으면서 혼합수가 사용자에게 공급되기까지의 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는 제1 챔버(11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입구(111)로부터 유출구(112)까지의 경로를 직선에 가깝게 형성하여 물이 제1 챔버(110)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돌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한다.
챔버 개폐부(114)는 제1 챔버(110)의 일측을 개폐한다. 이로써, 제1 챔버(110) 내부의 청소, 수리 및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챔버 개폐부(114)는 제2 챔버(120)와 연통되는 유로(130)가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챔버 개폐부(114)는 제1 챔버(110)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제1 챔버(110)를 개폐할 수도 있다. 한편, 챔버 개페부(114)는 제1 챔버(110)를 개폐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실링부재(115)는 제2 챔버(120)의 측면과 제1, 제2 챔버 사이의 격벽 사이에 구비되어 제2 챔버(120)와 격벽 사이로 유입수 및 혼합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유입수 및 혼합수는 유로(130)를 통해서만 제1, 제2 챔버(110, 120)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제2 챔버(120)는 제1 챔버(110)와 유로(130)가 연결되어 유입수의 일부를 공급받아 혼합수를 제1 챔버(110)로 공급한다. 즉, 유로(130)를 통해 제1 챔버(110)와 연통되며, 제1 챔버(110)와 제2 챔버(120) 사이는 격벽(140)에 의해 구분된다. 이로써, 유입수는 제1 챔버(110)를 통해 유출구(112)로 바로 유출되는 경로와, 유로(130)를 통해 제2 챔버(120)로 유입된 뒤, 다시 제1 챔버(110)로 유출되어 유출구(112)로 유출되는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제2 챔버(120)는 내측면에 돌출된 천공부(121)를 더 포함한다.
천공부(121)는 도어부(200) 폐쇄 시, 제2 챔버(120) 내부에 수납되는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일측을 천공시킨다.
이로써, 기능성 물질 수납체는 천공부(121)에 의해 천공된 부분으로부터 기능성 물질을 분출한다. 분출된 기능성 물질은 제2 챔버(120)로 유입된 유입수에 빠르게 혼합되므로, 사용자는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수납한 시각으로부터 단시간에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외피가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천공부(121)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유로(130)는 제1, 제2 챔버(110, 120)를 연통시키는 통로로, 제1, 제2 챔버(110, 120) 사이의 격벽(140)에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유로(130)는 격벽(140)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유입구(111)에 인접한 제1 유로(131)와 유출구(112)에 인접한 제2 유로(1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는 제2 챔버(120)로 유입수와 혼합수가 유입, 유출되는 유로를 별개로 구성하여 제2 챔버(120)로의 유입수 유입과 혼합수 유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1 챔버(110)는 제1, 제2 유로(131, 132) 사이의 내측면에 유로 가이드(113)가 돌출 형성된다.
유로 가이드(113)는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가 제1 유로(131)를 통해 제2 챔버(120)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한다. 이로써, 유입수가 바로 유출구(112)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로 가이드(113)를 구비함으로써, 제1 유로(131)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로 가이드(113)는 도 8, 도 9와 같이, 유로 가이드(113)의 크기, 형태 및 설치 위치 등을 조절하여 제1 유로(131)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유로 가이드(113)의 수평단면을 나타낸다.
유로 가이드(113)의 대표적인 두 가지 형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로 가이드(113)는 제1, 제2 챔버(110, 120) 사이의 격벽(140)으로부터 제1 챔버(120)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판 형태의 부재이다.
먼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가이드(113)는 평면의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유로 가이드(113)의 상단은 격벽(140)과 접하고, 하단은 제1 챔버(110)의 저면과 이격되며, 양단은 제1 챔버(110)의 측면과 접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가이드(113)는 제1 유로(131)를 향해 오목한 곡면의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유로 가이드(113)의 상단은 격벽(140)과 접하고, 하단은 제1 챔버(110)의 저면과 이격되며, 양단은 제1 챔버(110)의 측면과 이격된다.
이로써, 제1, 제2 유로(131, 132)가 폐쇄된 상태에서, 유입수는 유로 가이드(113)의 하부를 통해 유출구(112)로 유출된다. 또한, 제1, 제2 유로(131, 132)가 개방된 상태에서, 유입수의 일부는 유로 가이드(113)의 하부를 통해 유출구(112)로 유출되고, 나머지 유입수는 제1 유로(131), 제2 유로(132)를 통해 유출구(112)로 유출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로 가이드는 하단이 제1 유로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유로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양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도어부(200)는 기능성 물질이 제2 챔버(120) 내부에 공급되도록, 제2 챔버(120)를 개폐한다. 도어부(200)는 본체부(100)와 힌지부(220)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제2 챔버(120)를 개폐하는 뚜껑(210)으로 이루어진다.
뚜껑(210)은 제2 챔버(120)를 개폐하며, 뚜껑(210)이 개방되면 제2 챔버(120)가 개방되고, 뚜껑(210)이 폐쇄되면 제2 챔버(120)가 밀폐된다.
힌지부(220)는 도 2와 같이,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를 통과하는 경로와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뚜껑(21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힌지부(220)는 도 10과 같이,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를 통과하는 경로와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뚜껑(21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힌지부는 본체부의 배치 위치 및 방향 등에 따라 배치되는 위치와 뚜껑의 회동축이 결정될 수 있다.
뚜껑(210)은 적어도 일부를 투명하게 형성한 투명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투명부(230)를 구비함으로써, 뚜껑 폐쇄 시 사용자는 제2 챔버(12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2 챔버(120) 내부에 수납된 기능성 물질의 수납 여부를 인지할 수 있고, 제2 챔버(120) 내부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뚜껑(210)은 폐쇄 시, 걸림부(240)에 의하여 고정되며, 걸림부(240)는 힌지부(220)가 구비된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240)는 버튼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 개방 시, 뚜껑(210)의 외측에 돌출 구비된 버튼을 누르면, 뚜껑(210)과 본체부(100) 사이의 걸림 부분이 해제되어 뚜껑(210)을 개방시킬 수 있다. 반대로 뚜껑 폐쇄 시, 뚜껑(21)을 힌지부(22)에 의해 본체부(100)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뚜껑(210)과 본체부(100) 사이의 걸림 부분이 결합되어 뚜껑(210)의 폐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걸림부(240)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뚜껑(210)을 개방하고, 뚜껑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뚜껑(210)을 폐쇄할 수 있어 한 손으로도 간단하게 뚜껑(210)을 개폐할 수 있다. 이는 기능성 물질의 교체가 편리하고, 원하는 기능의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바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어부(200)는 폐쇄 시, 폐쇄 동작에 의한 가압력으로 밸브부(3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어부(200)는 개방 시, 가압력이 해제되어 밸브부(300)를 폐쇄시킨다. 이로써, 도어부(200) 개방 시, 제2 챔버(12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부(300)는 제1, 제2 챔버(110, 120) 사이에 설치되어 유로(130)를 개폐한다. 밸브부(300)는 제1 유로(131)에 설치되는 제1 밸브(310)와 제2 유로(132)에 설치되는 제2 밸브(320) 및 누름판(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2 밸브(310, 320)는 각각 하우징(311, 321), 지수판(312, 322) 및 스프링(313, 323)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311, 321)은 유로(130) 내부에 구비되며, 지수판(312, 322)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며, 제한한다. 하우징(311, 321)의 상면에는 홀이 형성된다. 이 홀은 지수판(312, 322)의 상승을 제한하고, 지수판(312, 322)의 하강에 의해 유로(130) 개방 시 물을 통과시킨다.
지수판(312, 322)은 하우징(311, 321) 내부에서 승하강하며, 유로(130)를 개폐한다. 지수판(312, 322)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하우징(311, 321)의 상면과 접촉되어 유로(130)가 폐쇄되고, 지수판(312, 322)이 하강된 상태에서는 유로(130)가 개방되어 하우징(311, 321) 상면의 홀을 통해 물이 통과한다.
스프링(313, 323)은 하우징(311, 321)에 탄지되어 지수판(312, 32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실링부재(340)는 제1, 제2 실링부재(341, 34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341)는 유로(130)와 하우징(311, 321)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된다. 이로써, 유로(130)를 통과하는 유입수 및 혼합수가 하우징(311, 321)의 외측이 아니라 내측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는 지수판(312, 322)의 승하강에 의해 밸브가 개폐되고, 밸브의 개폐를 통해 유로(130)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342)는 하우징(311, 321)과 지수판(312, 322) 사이에 구비된다. 이로써, 지수판(312, 322)이 하우징(311, 321) 상면의 홀을 폐쇄하여 유로(130) 폐쇄 시, 유로(130)를 실링하여 유입수 및 혼합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제2 밸브(310, 320)의 작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 제2 밸브(310, 3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수판(312, 322)은 스프링(313, 323)에 의해 상승된 상태로, 상단이 하우징(311, 321) 상면의 홀과 접촉되어 유로(130)가 폐쇄된다.
제1, 제2 밸브(310, 320)에 가압력이 가해지면, 지수판(312, 322)이 하강되며, 상단이 하우징(311, 321) 상면의 홀과 이격되어 유로(130)가 개방된다.
제1, 제2 밸브(310, 320)에 가압력이 제거되면, 지수판(312, 322)은 스프링(313, 323)에 의해 상승되어 유로(130)가 폐쇄된다.
누름판(330)은 스프링(313, 323)을 가압시켜 지수판(312, 322)을 개방시킨다.
누름판(330)은 제2 챔버(120) 내부에 구비되며, 격벽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판(330)은 도어부(200)의 폐쇄 시, 폐쇄 동작에 의한 가압력을 제공받아 밸브부(300)에 전달하여 밸브부(300)를 개방시킨다. 이러한 누름판(330)은 돌출관, 보조유로(331), 이격부(332) 및 천공부 통과홀(333)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관은 스프링(313, 323)을 가압하도록 누름판(33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관은 제1, 제2 유로(131, 132)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돌출관의 내부에는 보조유로(331)가 형성되어 누름판(330)의 상, 하부를 연통시킨다.
누름판(330)이 가압력을 제공받아 하강하면, 돌출관의 하단이 지수판(312, 322)을 눌러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보조유로(331)는 제1, 제2 유로(131, 132)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유입수와 혼합수가 보조유로(331)를 통해 누름판(330)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격부(332)는 누름판(33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제2 챔버(120) 내부에 수납되는 기능성 물질 수납체와 누름판(330) 사이를 이격시킨다. 이로써, 누름판(330)과 기능성 물질 수납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형성된 공간으로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천공 부분이 노출된다.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천공 부분 노출에 의하여, 기능성 물질 수납체 내부의 기능성 물질 분출이 용이하다.
이격부(332)의 상단은, 누름판(330)이 하강된 상태에서 천공부(121)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제2 챔버(120) 내부에서 누름판(330)을 가압하면서 이격부(332)보다 높게 배치된 천공부(121)에 의해 천공될 수 있다.
천공부 통과홀(333)은 격벽으로부터 제2 챔버(120)의 내부를 향해 형성된 천공부(121)가 삽입된다. 천공부 통과홀(333)은 누름판(330)의 하강과 함께 하강하여 천공부(121)를 노출시킴으로써,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천공을 용이하게 한다.
누름판(330)을 구비함으로써, 제2 챔버(120)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어부(200) 폐쇄 시,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누름판(330)을 가압하여 밸브부(300)를 개방시킨다.
여기서, 기능성 물질 수납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챔버(120) 내부에 장착되며, 수용성 재질의 외피(520) 내부에 기능성 물질(510)이 내장된다.
기능성 물질(510)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갖는 물질로, 샴푸, 린스, 바디워시, 바디오일, 아로마 향, 보습제품 등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물질(5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물질 수납체는 외피(520)가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2 챔버(120)에 수납 시, 유입수에 의해 서서히 녹아 내장된 기능성 물질(510)이 물에 혼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천공하지 않더라도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천공시키는 경우에는 내장된 기능성 물질(510)이 즉각적으로 분출되므로, 사용자는 단시간에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외피(520)는,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외피(520)는 20℃~50℃ 수온에서 유입수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욕실에 제공되는 물의 온도, 즉 유입수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20℃~50℃로 공급된다. 그러므로 외피(520)가 20℃ 미만 또는 50℃를 초과하는 수온에서 수용되면,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유입수에 의해 쉽게 녹지 않아 사용자가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사용하기 어렵다.
둘째, 외피(520)는 pH6 ~ pH8 에서 유입수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욕실에 제공되는 물의 산도, 즉 유입수의 산도는 일반적으로 pH6 ~ pH8로 공급된다. 그러므로 외피(520)가 pH6 미만 또는 pH8을 초과하는 산도에서 수용되면,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유입수에 의해 쉽게 녹지 않아 사용자가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사용하기 어렵다.
셋째, 외피(520)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알킬렌 옥사이드(Polyalkylene oxide), 폴리아크릴 아미드(Polyacryla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셀룰로오스 에테르(Cellulose ether), 셀룰로오스 에스테르(Cellulose ester) 셀룰로오스 아미드(Cellulose amide),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덱스트린(Dextri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젤라틴(Gelatin), 전분(Star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재질은 수용성 재질로,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본체부(100)에 장착하였을 때, 외피(520)가 유입수에 의해 쉽게 녹아 내부의 기능성 물질(510)이 유입수와 쉽게 혼합된다.
부가적으로, 외피(520)는 혐오스러운 맛을 내는 혐오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기능성 물질 수납체는 크기가 작고, 내장된 기능성 물질(510)의 색이나 외피(520)의 색에 따라 알록달록하게 보여진다. 어린아이들은 손에 닿는 장난감이나 물건 등을 입에 가져가 빨거나 입에 넣어 삼키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린아이가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삼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피(520)에 혐오성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어린아이가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입에 넣더라도 쓴맛, 신맛, 짠맛 등의 혐오스러운 맛에 인해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뱉어내게 한다. 이로써, 어린아이의 삼킴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피(520)는 혐오스러운 맛을 내는 혐오성 물질이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이는 외피(520)에 혐오성 물질이 포함된 것에 비하여 혐오스러운 맛을 더 빨리 느끼게 되므로, 어린아이가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더욱 빠르게 뱉어낼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챔버(120)의 내부 공간에 비하여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크기가 작아,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누름판(330)을 충분히 가압하지 못하는 경우, 어댑터(5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어댑터(530)는 뚜껑(210) 내측에 구비하여, 제2 챔버(120)의 내부 공간을 감소시키도록 추가 부피를 제공한다. 이로써, 크기가 작은 기능성 물질 수납체는 어댑터(530)에 삽입되어 추가 부피를 얻음으로써, 누름판(330)에 충분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어댑터(530)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3과 같이, 도어부(200)는 가압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50)는 제2 챔버(120)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어부(200) 폐쇄 시, 가압부(250)가 누름판(330)을 가압하여 밸브부(300)를 개방시킨다.
가압부(250)는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장착 유무와 무관하게 도어부(200) 폐쇄 시, 누름판(330)을 가압하여 밸브부(300)를 개방시키고, 도어부(200) 개방 시, 밸브부(300)를 폐쇄시킨다.
가압부(250)는 제2 챔버(120)에 수납되는 기능성 물질의 형태가 누름판(330)을 가압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가압부(250)는 도어부(200) 폐쇄 시, 밸브부(300)를 개방하므로, 사용자는 기능성 물질의 형태와 무관하게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혼합수를 제1 챔버(110)로 유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 수납체는 제2 챔버(120) 내부에서 녹아 형태가 사라지므로 누름판(330)에 제공하는 가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250)가 누름판(330)에 가압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수용 상태와 무관하게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혼합수를 제1 챔버(110)로 유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샤워 도중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간단히 수납하여 사용함으로써, 샤워 도중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기능성 물질을 씻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샤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워 시 샤워 헤드, 토수구 등을 통해 몸에 직접 도포되므로, 손이 닿지 않는 등과 같은 부위도 편리하게 도포할 수 있고,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다른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기능성 물질의 낭비 또는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일회용으로 사용되므로, 기능성 물질의 위생 관리가 철저하다.
또한,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외피가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져 물에 녹으므로,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사용 후, 외피를 따로 처리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일회용임에도 친환경적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기능성 물 공급장치를 복수개 구비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도 14, 도 15를 참고하여 두 가지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실시예로, 복수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서로 다른 기능의 기능성 물질이 내장되고, 직렬로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 중 최하류에 배치된 기능성 물 공급장치로부터 복수의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혼합수가 유출된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기능성 물 공급장치(1a, 1b, 1c)를 직렬로 배치한다. 제1, 제2, 제3 기능성 물 공급장치(1a, 1b, 1c)에는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의 기능성 물질이 수납된다. 예컨대, 제1 기능성 물 공급장치(1a)에 보습 기능, 제2 기능성 물 공급장치(1b)에 비타민, 제3 기능성 물 공급장치(1c)에 아로마 향을 갖는 기능성 물질이 수납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보습 기능, 비타민 효과, 아로마 향을 함유한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로, 복수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와 복수의 밸브가 구비된다.
복수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서로 다른 기능의 기능성 물질이 내장되고, 병렬로 배치된다.
복수의 밸브 각각은, 복수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 각각의 상류 또는 하류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한다.
이때, 복수의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복수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 각각에 내장된 복수의 기능성 물질이 선택적으로 혼합된 혼합수가 유출된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기능성 물 공급장치(1a, 1b, 1c)를 병렬로 배치하고, 제1, 제2, 제3 밸브(2a, 2b, 2c)를 제1, 제2, 제3 기능성 물 공급장치(1a, 1b, 1c) 각각의 상류에 배치한다.
예컨대, 제1 기능성 물 공급장치(1a)에 보습 기능, 제2 기능성 물 공급장치(1b)에 비타민, 제3 기능성 물 공급장치(1c)에 아로마 향을 갖는 기능성 물질이 수납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샤워 초반에 제2 밸브(2b)를 개방하여 비타민 효과가 함유된 혼합수를 사용하고, 샤워 중반에 제1 밸브(2a)를 개방하여 보습 기능이 함유된 혼합수를 사용하고, 샤워 후반에 제3 밸브(2c)를 개방하여 아로마 향이 함유된 혼합수를 사용하여 샤워를 마무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기능성 물 공급장치(1a)에 샴푸, 제2 기능성 물 공급장치(1b)에 린스, 제3 기능성 물 공급장치(1c)에 바디 워시가 수납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머리를 감기 위해, 제1 밸브(2a)와 제2 밸브(2b)를 개방하여 샴푸와 린스 혼합수를 사용하고, 몸을 씻기 위해, 제3 밸브(2c)를 개방하여 바디 워시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밸브를 개방하여 기능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2 이상의 밸브를 동시에 개방하여 복수의 기능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누름판의 형상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누름판(330)은 돌출관, 보조유로(331)로 이루어진다.
돌출관은 스프링(313, 323)을 가압하도록 누름판(33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관은 제1, 제2 유로(131, 132)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돌출관의 내부에는 보조유로(331)가 형성되어 누름판(330)의 상, 하부를 연통시킨다.
누름판(330)이 가압력을 제공받아 하강하면, 돌출관의 하단이 지수판(312, 322)을 눌러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보조유로(331)는 제1, 제2 유로(131, 132)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유입수와 혼합수가 보조유로(331)를 통해 누름판(330)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돌출관은 누름판(33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챔버(120) 내부에 수납되는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일측을 천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돌출관의 상단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실시예의 천공부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누름판(33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된 돌출관의 내부에는 보조유로(331) 또한 연장 형성되어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유입수는 제1 유로(131)와 제1 밸브(310), 보조유로(331)를 통해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내부로 인입되고, 기능성 물질 수납체 내부에서 기능성 물질과 혼합된 혼합수는 다른 보조유로(331), 제2 밸브(320), 제2 유로(132)를 통해 유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누름판(330)을 구비함으로써, 유입수가 제1 챔버(110)로부터 바로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혼합수가 기능성 물질 수납체로부터 바로 제1 챔버(110)로 유출될 수 있다. 이로써, 유입수와 혼합수가 제1 챔버(110)와 기능성 물질 수납체 사이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본체부의 형상 및 유량 조절부와 도어 잠금부를 부가적으로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19 내지 도 2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체부(100)는 제1 챔버(110), 제2 챔버(120), 유로(130) 및 격벽(140)으로 이루어진다.
제1 챔버(110)는 유입수가 공급되는 유입구(111), 혼합수가 배출되는 유출구(112) 및 제1 챔버(110)를 개폐하는 살수판(116)을 포함한다.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는 각각 관로 중간 또는 관로의 하류에 결합되며, 욕실의 수관 중간 또는 하류에 연결된다.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는 수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거나 플랜지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기능성 물 공급장치는, 샤워 헤드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11)는 샤워 헤드의 손잡이(50) 내부 관로(51)와 연결되고, 유출구(112)의 하류에 살수판(116)이 설치된다. 이로써, 샤워 헤드의 손잡이(5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살수판(116)을 통해 분사된다. 이는 유출되는 혼합수가 살수판(116)에 의해 수압이 높아지므로 사용자는 적당한 수압의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살수판(116)은 제1 챔버(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손잡이(5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살수판(116)으로 분사되는 혼합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살수판(116)은 제1 챔버(110)에 탈부착되며, 나사식, 플랜지 형식 등 제1 챔버(110)를 개폐할 수 있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챔버(110)는 살수판(116)에 의해 개폐되며, 제1 챔버(110) 내부의 청소, 수리 및 유지 관리와 살수판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유로(130)는 격벽(140)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유입구(111)에 인접한 제1 유로(131)와 제1 유로(131)에 비하여 유입구(111)와의 거리가 멀게 위치한 제2 유로(1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는 제2 챔버(120)로 유입수와 혼합수가 유입, 유출되는 유로를 별개로 구성하여 제2 챔버(120)로의 유입수 유입과 혼합수 유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입구(111)에서 유출구(112)까지의 경로와 유입구(111)에서 제2 챔버(120)를 거쳐 유출구(112)로 유출되는 경로에 꺾인 형태의 유로가 형성되지 않아 제1, 제2 챔버(110, 120)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돌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한다.
유로 가이드(113)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표적인 두 가지 형상에 대하여 도 24, 도 2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가이드(113)는 평면의 판 형태로, 제1 실시예의 도 8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가이드(113)는 제1 유로(131)를 향해 오목한 곡면의 판 형태로, 제1 실시예의 도 9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유량 조절부(600)는 유로(130)를 통과하는 유입수와 혼합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유로(130)의 개방 크기를 조절한다. 유량 조절부(600)는 격벽(140)과 밀착된 상태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유로(130)의 개방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유량 조절부(600)는 조절판(610), 조절구(620) 및 조절편(630)으로 이루어진다.
조절판(610)은 격벽(140)과 밀착되어 회전하며, 격벽(14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절판(610)은 도 2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가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챔버(120)가 뚜껑(210)과 조절판(610)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조절판(610)의 회전 시, 안정적으로 본체부(100)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조절구(620)는 조절판(610)의 회전에 따라 유로(130)의 개방 크기가 변경되도록 조절판(610)의 상하를 관통하는 구멍이다. 조절구(620)는 조절판(610)의 회전에 의해 유로(130)와 대응되는 위치가 변경된다. 이때, 유로(130)와 겹치는 부분의 크기에 따라 유로(130)를 통과하는 유입수량과 혼합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유로(130)를 개폐할 수 있다.
조절구(620)는 제1, 제2 조절구(621, 62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조절구(621)는 유입구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제2 조절구(622)는 제1 조절구(621)에 비하여 유입구보다 먼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제2 조절구(621, 622)는 조절판(610)의 회전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편(630)은 조절판(610)을 회전시키도록 조절판(610)으로부터 본체부(100)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사용자는 조절편(630)을 이동시켜 뚜껑(210)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제2 챔버(120)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판(6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조절편(630)은 본체부(100)의 내, 외부를 관통하는 조절편 관통홀(631)을 통해 조절판(610)으로부터 본체부(100) 외측으로 연장된다.
조절편 관통홀(631)은 조절판(6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이동하는 조절편(630)의 이동 거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실링부재(640)는 본체부(100)와 조절판(610)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제2 챔버(120) 내부의 유입수 및 혼합수가 본체부(10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6 내지 도 28을 참고하여, 조절판(610)에 형성된 조절구(620)와 격벽(140)에 형성된 유로(130)의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6 내지 도 28에 있어서, (a) 도면은 각 실시예에 의한 조절판(610)의 조절구(62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 도면은 각 실시예에 의한 격벽(140)에 형성된 유로(13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c), (d), (e) 도면은 각 실시예에 의한 조절판(610)과 격벽(140)이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c) 도면은 유로(130)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 (d) 도면은 유로(130)가 일부 개방된 상태, (e) 도면은 유로(130)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상 좌측으로부터 유입수가 유입된다고 가정하고, 도면상 빗금 친 부분은 유로가 개방된 부분을 표시하며, 조절판(610)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로, 도 26의 (a)와 같이, 제1, 제2 조절구(621, 622)는 반경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호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도 26의 (b)와 같이, 제1, 제2 유로(131, 132)는 반경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호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 제2 유로(131, 132)는 제1, 제2 조절구(621, 622) 각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도 26의 (c)와 같이, 조절구(620)와 유로(130)는 완전히 겹쳐져 유로의 개방 크기가 최대로 형성된다. 조절편(630)을 회전시키면, 도 26의 (d)와 같이, 유로(130)는 조절구(130)에 의해 일부 폐쇄되고, 나머지 일부가 개방되어 유로의 개방 크기가 감소된다. 조절편(630)을 더 회전시키면, 도 26의 (e)와 같이, 유로(130)는 조절구(630)와 겹치는 부분이 없어 폐쇄된다.
두 번째로, 도 27의 (a)와 같이, 제1, 제2 조절구(621, 622)는 반경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호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도 27의 (b)와 같이, 유로(130)는 제1, 제2 큰 유로(131a, 132a), 제1, 제2 작은 유로(131b, 132b)로 구성된다.
제1, 제2 큰 유로(131a, 132a)는 조절구(620)에 비하여 반경 방향으로 길이가 짧은 호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제1, 제2 작은 유로(131b, 132b)는 조절구(620)에 비하여 반경 방향으로 길이가 짧고, 제1, 제2 큰 유로(131a, 132a)와 동일한 각도인 호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도 27의 (c)와 같이, 조절구(620)는 제1, 제2 큰 유로(131a, 132a)와 겹쳐져 유로의 개방 크기가 최대로 형성된다. 조절편(630)을 회전시키면, 도 27의 (d)와 같이, 조절구(620)는 제1, 제2 작은 유로(131b, 132b)와 겹쳐져 유로의 개방 크기가 감소된다. 조절편(630)을 더 회전시키면, 도 27의 (e)와 같이, 유로(130)는 조절구(630)와 겹치는 부분이 없어 폐쇄된다.
세 번째로, 도 28의 (a)와 같이, 제1, 제2 조절구(621, 622)는 반경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원주 방향으로 길이가 짧은 사각형의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도 28의 (b)와 같이, 제1, 제2 유로(131, 132)는 반경 방향의 길이가 원주 방향으로 갈수록 짧아지는 형상이 대칭되어 형성된다.
도 28의 (c)와 같이, 조절구(620)는 제1, 제2 유로(131, 132)의 반경 방향 길이가 가장 긴 부분과 겹쳐져 유로의 개방 크기가 최대로 형성된다. 조절편(630)을 회전시키면, 도 28의 (d)와 같이, 조절구(620)는 제1, 제2 유로(131, 132)의 반경 방향 길이가 더 짧은 부분과 겹쳐져 유로의 개방 크기가 감소된다. 조절편(630)을 더 회전시키면, 도 10의 (e)와 같이, 유로(130)는 조절구(630)와 겹치는 부분이 없어 폐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구(620)와 유로(130)를 형성하여 조절판(610)을 회전시킴으로써, 유로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고, 개폐시킬 수 있다. 이는, 유로(130)를 통과하는 유입수와 혼합수의 양을 조절하여 제2 챔버(120)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물에 함유되는 기능성 물질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어 잠금부(400)는 본체부(100) 외측의 제1 위치에서 도어부(200)의 잠금을 해제하고,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한 제2 위치에서 도어부(200)를 잠금한다. 이러한 도어 잠금부(400)는 본체 돌기(410), 잠금편(420) 및 도어 돌기(430)로 이루어진다.
본체 돌기(410)는 본체부(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잠금편(420)은 본체 돌기(410)에 결합되어 제1,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도어 돌기(430)는 도어부(200)가 폐쇄된 상태에서 본체 돌기(410)에 안착되고, 잠금편(420)이 제2 위치일 때 도어 돌기(43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잠금편(420)은 제1 위치에서 본체 돌기(410)에 결합되고, 도어 돌기(430)에 결합되지 않으므로 도어부(200)의 잠금이 해제된다. 반대로, 잠금편(420)은 제2 위치에서 본체 돌기(410)와 도어 돌기(430)에 결합되므로 도어 돌기(430)가 잠금편(420)에 의해 본체 돌기(410)에 고정되어 도어부(200)를 잠금한다.
사용자는 잠금편(420)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걸림부(240)에 의하여 뚜껑(210)의 개폐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잠금편(420)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걸림부(240)의 버튼을 눌러 걸림 부분이 해제되더라도 도어 돌기(430)가 잠금편(420)에 걸려 본체 돌기(410)에 고정되므로 뚜껑(210)을 개방할 수 없다.
즉, 사용자는 잠금편(420)을 제1 위치로 이동시킨 뒤, 걸림부(240)의 걸림 부분을 해제시켜 뚜껑을 개방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걸림부(240)를 눌러 뚜껑이 개방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유량 조절부(600)에 의해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잠금부(400)를 제2 위치에 위치시켜 도어부(200)를 잠금하여 개방을 방지하고, 유량 조절부(600)에 의해 유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 잠금부(400)를 제1 위치로 이동시켜 도어부(200)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써, 도어부(200)는 걸림부(240)와 도어 잠금부(400)에 의해 이중으로 잠금하여 도어부(200)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챔버(120) 내부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수납된 상태를 도 29, 도 3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기능성 물질 수납체는, 제1 실시예에 설명한 기능성 물질 수납체와 동일하다.
도 29는, 제2 챔버(120)의 내부 공간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장착한 것이다. 뚜껑(210)의 폐쇄 시, 제2 챔버(120) 내측면의 천공부(121)에 의해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일측이 천공된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챔버(120)의 내부 공간에 비하여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크기가 작아, 뚜껑(210)의 폐쇄 시 천공부(121)에 닿지 않아 천공되지 못하는 경우, 어댑터(5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어댑터(530)는 뚜껑(210) 내측에 구비하여, 제2 챔버(120)의 내부 공간을 감소시키도록 추가 부피를 제공한다. 이로써, 크기가 작은 기능성 물질 수납체는 어댑터(530)에 삽입되어 제2 챔버(12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어댑터(530)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장착 및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외피(520)는 수용성 재질로 이루어져,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천공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2 챔버(120) 내부에 구비되는 천공부(121)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3 실시예와 대비하여 유량 조절부와 도어 잠금부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3 실시예와 차이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31 내지 도 3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어 잠금부(400)는 조절편(630)의 유로 폐쇄 시, 제1 위치에서 도어부(200)의 잠금을 해제하고, 조절편(630)의 유로 개방 시, 제2 위치에서 도어부(200)를 잠금한다.
도어 잠금부(400)는 조절편(630)의 이동 경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도어부(2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도어 돌기(430)를 포함한다.
도어 돌기(430)는 조절편 관통홀(631)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도어부(2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조절편 관통홀(63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유량 조절부(600)의 조절편(630)은 도어 돌기(430)가 삽입되는 삽입홈(632)이 형성된다. 이로써, 조절편(630)은 조절편 관통홀(631)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도어 돌기(430)와 결합된 상태로 도어 돌기(430)를 따라 제1,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어 돌기(430)의 길이가 조절편 관통홀(631)의 길이에 비하여 짧기 때문에 조절편(630)은 제1 위치에서 도어 돌기(430)와 결합되어 도어부(200)를 잠금하고, 제2 위치에서 도어 돌기(43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도어부(200)의 잠금이 해제된다. 즉, 조절편(630)은 제3 실시예의 잠금편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는 조절편(630)이 도어 돌기(430)와 결합이 해제된 구간의 위치를 의미하며, 제2 위치는 조절편(630)이 도어 돌기(430)와 결합된 구간의 위치를 의미한다.
조절편(630)의 위치에 따른 도어부(200)의 개방 과정을 살펴보면,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편(630)은 제2 위치에 위치하며, 도어 돌기(430)와 결합된 상태로 도어부(200)를 잠금한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편(630)을 제1 위치로 이동시키면, 도어 돌기(43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도어부(200)의 잠금이 해제된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부(200)를 개방하면, 도어부(20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도어부(2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조절편(63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유로(130)가 폐쇄된 상태이고, 조절편(63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유로(130)가 개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조절편(630)을 제1, 제2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사용자는 유로(130)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부(200)의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할 수 있고, 유로(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부(200)를 잠금할 수 있다.
이로써, 유로(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부(200)가 개방되어 기능성 물 공급장치로부터 물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유로(130)의 개폐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편(630)이 도어부(200)의 잠금 상태를 결정하므로, 사용자는 조절편(630)을 이동시켜 유로(130)의 개폐 상태와 도어부(200)의 잠금 상태를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중심으로 그 변형물 또는 균등물에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120 : 제1, 제2 챔버
130 : 유로
140 : 격벽
200 : 도어부
210 : 뚜껑
220 : 힌지부
230 : 투명부
240 : 걸림부
250 : 가압부
300 : 밸브부
310, 320 : 제1, 제2 밸브
330 : 누름판
400 : 도어 잠금부
410 : 본체 돌기
420 : 잠금편
430 : 도어 돌기
510 : 기능성 물질
520 : 외피
600 : 유량 조절부
610 : 조절판
620 : 조절구
630 : 조절편

Claims (18)

  1. 물이 공급되는 관로로부터 유입된 유입수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기능성 물질을 혼합한 혼합수를 유출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가 공급되는 유입구와 상기 혼합수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기능성 물질이 상기 본체부 내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본체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는, 욕실의 수관 중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가 장착되고,
    상기 기능성 물질 수납체는, 수용성 재질의 외피 내부에 상기 기능성 물질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20℃~50℃ 수온에서 상기 유입수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pH6 ~ pH8 에서 상기 유입수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알킬렌 옥사이드(Polyalkylene oxide), 폴리아크릴 아미드(Polyacryla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셀룰로오스 에테르(Cellulose ether), 셀룰로오스 에스테르(Cellulose ester) 셀룰로오스 아미드(Cellulose amide),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덱스트린(Dextri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젤라틴(Gelatin), 전분(Star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혐오스러운 맛을 내는 혐오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외면에 혐오스러운 맛을 내는 혐오성 물질이 적어도 일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는 수관은, 온수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온수와 냉수가 합류되어 토출되는 토수관에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는, 샤워 호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샤워 헤드의 손잡이 내부 관로와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의 하류에 살수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부 내부를 투시하도록, 적어도 일부를 투명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기능성 물질 수납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뚜껑 폐쇄 시, 상기 기능성 물질 수납체의 일측을 천공하도록 내측면에 돌출된 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구비된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와 유로가 연결되며, 상기 도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2 챔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의 폐쇄 시, 폐쇄 동작에 의한 가압력으로 상기 밸브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외측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를 잠금하는 도어 잠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구비된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와 유로가 연결되며, 상기 도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제2 챔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유입수와 상기 혼합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로의 개방 크기를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 사이의 격벽과 밀착되어 회전하는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로의 개방 크기가 변경되도록 상기 조절판의 상하를 관통하는 조절구; 및 상기 조절판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조절판으로부터 상기 본체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조절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조절편의 상기 유로 폐쇄 시, 제1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조절편의 상기 유로 개방 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상기 도어부를 잠금하는 도어 잠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 공급장치.
KR1020170111731A 2017-09-01 2017-09-01 기능성 물 공급장치 KR20190025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31A KR20190025272A (ko) 2017-09-01 2017-09-01 기능성 물 공급장치
PCT/KR2018/008521 WO2019045281A2 (ko) 2017-09-01 2018-07-27 기능성 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31A KR20190025272A (ko) 2017-09-01 2017-09-01 기능성 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272A true KR20190025272A (ko) 2019-03-11

Family

ID=6552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731A KR20190025272A (ko) 2017-09-01 2017-09-01 기능성 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25272A (ko)
WO (1) WO201904528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016B1 (ko) * 2019-03-20 2020-06-26 성종현 샤워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355A (ja) * 1994-08-16 1996-03-05 Shiba Kosan Kk シャワー・ヘッド
KR20070040980A (ko) * 2005-10-13 2007-04-18 (주)파이온텍 발포성 세안 및 목욕 제제
KR102188651B1 (ko) * 2014-08-25 2020-12-08 코웨이 주식회사 캡슐 펀칭 구조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KR101522566B1 (ko) * 2014-12-02 2015-05-26 주식회사 바이오켐코리아 토수기구용 필터링 및 기능성 물 공급장치
KR101838268B1 (ko) * 2016-01-21 2018-03-14 조옥남 목욕용재 수납형 샤워헤드
KR20170097291A (ko) * 2016-02-18 2017-08-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에 용해되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세정제 소분 파우치와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016B1 (ko) * 2019-03-20 2020-06-26 성종현 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281A2 (ko) 2019-03-07
WO2019045281A3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5781B2 (ja) 浣腸機能を有するビデ用の噴射ノズルの構造
JP7065066B2 (ja) 衛生陶器洗浄システム
KR101969961B1 (ko) 기능성 물 공급장치
KR20110038941A (ko) 비데 노즐 세척액 분사장치 및 비데 노즐 어셈블리
KR20190025272A (ko) 기능성 물 공급장치
KR20170038243A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KR200459243Y1 (ko) 두발용 염모제 혼합브러쉬
KR101980306B1 (ko) 기능성 물 공급장치
KR200488259Y1 (ko) 거품발생 샤워장치
KR20220074846A (ko) 방수 유로를 가진 비데 장치
JPS5817824Y2 (ja) 衛生洗浄装置
JP2000317350A (ja) 薬剤吐出装置
JP4203970B2 (ja) 錠剤付シャワーヘッド
KR20200012537A (ko) 기능성 물 공급장치
JP2001152520A (ja) 温水洗浄装置のノズル掃除装置
JP4425394B2 (ja) 温水洗浄装置のノズル掃除装置
JP2001259488A (ja) 吐出装置
JP4260943B2 (ja) 止水機能付き吐水ヘッド
JP2001218691A (ja) 塩素除去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KR20200146035A (ko) 에센스 샤워기
JP4240596B2 (ja) 錠剤付シャワーヘッド
JP4498055B2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KR200473265Y1 (ko) 비데 기능을 갖는 관장기
KR20200094866A (ko) 에센스 샤워기
JP4169684B2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