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158A -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및 압력조절모듈 - Google Patents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및 압력조절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158A
KR20190025158A KR1020170110511A KR20170110511A KR20190025158A KR 20190025158 A KR20190025158 A KR 20190025158A KR 1020170110511 A KR1020170110511 A KR 1020170110511A KR 20170110511 A KR20170110511 A KR 20170110511A KR 20190025158 A KR20190025158 A KR 20190025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unit
pumping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래
김동설
Original Assignee
(주) 개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개마텍 filed Critical (주) 개마텍
Priority to KR1020170110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5158A/ko
Publication of KR20190025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43B17/035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및 압력조절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내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을 통해 신발 내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및 압력조절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회전운동에 의하여 반복 승강하면서 공기 주입 또는 배출을 조절하는 펌핑유닛; 및 상기 펌핑유닛에 의한 공기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는 밸브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및 압력조절모듈{AIR ENGINE FOR AIR INJECTION AND EXHAUST CONTROL AND PRESSURE REGULATING MODULE}
본 발명은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및 압력조절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내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을 통해 신발 내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및 압력조절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용자의 보행 기능을 보조하고 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나, 오늘날에는 패션 문화의 발달과 함께 신발도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인간에게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건이 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최근에는 발을 보호하고 패션용으로 사용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 발열, 향균 등의 기능을 가진 신발, 운동 효과 기능을 가진 신발, 여가 생활의 발달에 따른 등산화, 워킹화, 스키 부츠 등 스포츠용 신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신발 및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신발 등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진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신발은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장치들이 신발에 장착됨에 따라 신발의 부피와 무게가 증가되어 장시간 착용 시 사용자의 피로감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능성 신발은 사용자의 발등이나 발목 등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 자체가 딱딱해지고, 이에 따라 신발을 신고 벗기가 어려워 일상생활을 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 기능성 신발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수하게 제작되어 일반 신발과는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경제 부담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람마다 발 사이즈는 비슷하더라도, 발 모양은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사이즈의 신발을 신더라도 착용감이 불편한 사람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공기를 자유롭게 주입하고 배출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3681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 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통해 신발 내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및 압력조절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회전운동에 의하여 반복 승강하면서 공기 주입 또는 배출을 조절하는 펌핑유닛; 및 상기 펌핑유닛에 의한 공기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는 밸브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한 공기주머니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유닛; 상기 케이스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유닛이 회전됨에 따라 반복 승강되는 펌핑유닛; 상기 케이스유닛 및 상기 펌핑유닛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유닛; 및 상기 케이스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전환유닛과 함께 회전되어 공기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유닛은, 최상부에 결합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펌핑유닛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2 케이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3 케이스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4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케이스의 내부에는 에어룸(air room)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핑유닛은,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돌출캠이 형성된 제1 상부펌핑본체; 상기 제1 상부펌핑본체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 하부펌핑본체; 및 상기 제1 상부펌핑본체로부터 상기 제1 하부펌핑본체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캠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캠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제1 펌핑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캠은 1개 내지 6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캠의 하단에는 상기 에어룸의 내부에 마련된 주피스톤이 결합되며, 상기 주피스톤은, 상기 연장캠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에어룸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에어룸 내부에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물결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핑유닛은, 원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눌려지도록 마련된 제2 상부펌핑본체;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하부펌핑본체; 및 일단이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의 하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2 하부펌핑본체를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된 복수의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실린더는,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가 눌려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유닛은, 상기 제3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외부와 연통된 외부공기홀이 형성된 제5 케이스; 및 상기 제5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가변강성부와 연통된 제1 내부공기홀 및 상기 공기주머니와 연통된 제2 내부공기홀이 형성된 제6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케이스유닛 및 상기 제1 펌핑유닛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하단이 상기 밸브유닛과 결합되는 전환본체; 상기 전환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단이 상기 제6 케이스에 결합되는 전환연장체; 상기 전환연장체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전환탄성부재; 및 상기 전환연장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전환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제5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에 마련되며, 공기를 진공흡입하는 진공흡입밸브; 및 상기 밸브몸체에 마련되며, 공기를 배출 할 수 있는 배기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에어엔진; 사용자의 발을 고정시키기 위해 공기주머니가 마련된 발등부; 사용자의 발뒤꿈치 및 발목을 포함한 부분을 지지하는 힐부; 및 상기 에어엔진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엔진의 작동을 초기화시키는 초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을 구비한 압력조절모듈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사용자의 발등과 발뒤꿈치 및 발목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사용자의 발 전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 부상 위험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엔진을 이용하여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모두 가능하게 함으로, 종래의 기능성 신발에 비해 무게와 부피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뒤꿈치 부분인 힐부에 마련된 가변강성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공기를 빼 강성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힐부가 자유롭게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어, 사용자가 힐부를 구겨 신더라도 신발이 망가지지 않고, 사용자의 발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엔진을 구비한 압력조절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엔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펌핑유닛의 투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유닛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펌핑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엔진의 종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환유닛 및 밸브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엔진의 종단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펌핑유닛을 구비한 에어엔진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펌핑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펌핑유닛을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펌핑유닛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강성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층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층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엔진을 구비한 압력조절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을 구비한 압력조절모듈(1000)은 에어엔진(100), 초기화부(200), 베이스부(300) 및 가변강성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에어엔진(100)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엔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펌핑유닛의 투시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유닛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펌핑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엔진의 종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환유닛 및 밸브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엔진의 종단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어엔진(100)은 케이스유닛(110), 펌핑유닛(120), 전환유닛(130) 및 밸브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유닛(110)은 제1 케이스(111), 제2 케이스(112), 제3 케이스(113), 제4 케이스(114), 제5 케이스(115) 및 제6 케이스(116)를 포함하며,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한 공기주머니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11)는 상기 케이스유닛(110)의 최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111)의 형상은 사용자의 그립감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케이스(111)는 종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케이스(112)는 상기 제1 케이스(111)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가이드홈(112a)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펌핑유닛(120)의 승강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케이스(112)는 상기 제1 케이스(111)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케이스(111)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1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12a)은 상기 제2 케이스(112)가 회전시 돌출캠(121a)이 슬라이딩되며, 상기 제1 펌핑유닛(120)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도록 물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12a)의 진폭 및 주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홈(112a)의 진폭이 낮고, 주기가 길 경우, 상기 제2 케이스(112)를 돌리는데 필요한 힘은 적게 들겠지만,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필요한 회전수는 더 많이 필요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가이드홈(112a)의 진폭이 높고, 주기가 짧을 경우, 상기 제2 케이스(112)를 돌리는데 필요한 힘은 많이 들겠지만,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필요한 회전수는 적게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112a)을 물결 형상으로 형성할 때, 진폭 및 주기는 상술한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가이드홈(112a)의 형상을 물결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케이스(11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펌핑유닛(120)이 승강 가능한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112)에는 고정홀(11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홀(112b)은 후술할 상기 제4 케이스(114)가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 케이스(113)는 상기 제2 케이스(112)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2 케이스(11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케이스(113)의 내부에는 에어룸(air room, 11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케이스(113)의 내부에 마련된 에어룸(113a)은 상기 제3 케이스(113)의 중심을 관통한 전환본체(131)의 둘레를 따라 도넛(donut)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케이스(114)는 상기 제2 케이스(112) 및 상기 제3 케이스(113)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케이스(114)는 상기 고정홀(112b)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4 케이스(114)는 상기 제2 케이스(112) 및 상기 제3 케이스(113)가 회전될 때, 상호 이격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케이스(114)는 상기 제1 케이스(111) 및 제2 케이스(112)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5 케이스(115)는 상기 제3 케이스(113)의 하부에 결합되어 외부와 연통된 외부공기홀(11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6 케이스(116)는 상기 제5 케이스(115)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변강성부(400)와 연통된 제1 내부공기홀(116a) 및 상기 공기주머니(320, 330)와 연통된 제2 내부공기홀(116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펌핑유닛(120)은 제1 상부펌핑본체(121), 제1 하부펌핑본체(122) 및 연장캠(12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펌핑유닛(120)은 상기 케이스유닛(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유닛(110)이 회전되면서, 상기 돌출캠(121a)이 상기 가이드홈(112a)을 따라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펌핑본체(121)는 상기 제2 케이스(11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홈(112a)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캠(121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상부펌핑본체(121)는 상기 원형으로 마련되어, 외측면에 외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돌출캠(121a)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캠(121a)은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상기 돌출캠(121a)은 모두 물결 형태의 상기 가이드홈(112a)의 같은 높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돌출캠(121a)은 볼 베어링 형태로 마련되어 이동 중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하부펌핑본체(122)는 상기 제1 상부펌핑본체(121)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하부펌핑본체(122)는 상기 제1 상부펌핑본체(1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장캠(123)은 상기 제1 상부펌핑본체(121)로부터 상기 제1 하부펌핑본체(122)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캠(123)의 상단은 상기 제1 상부펌핑본체(121)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캠(123)의 하단은 상기 제1 하부펌핑본체(122)를 관통하여 상기 에어룸(113a)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캠(123)의 하단에는 상기 에어룸(113a)의 내부에 마련된 주피스톤(123a)이 결합되며, 상기 주피스톤(123a)은, 상기 연장캠(123)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에어룸(113a)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에어룸(113a) 내부에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캠(123)은 1개 내지 6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장캠(123)은 7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상기 제1 펌핑유닛(120)은, 물결 모양의 상기 가이드홈(112a)이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돌출캠(121a)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며, 이때, 상기 연장캠(123)의 하단에 결합된 상기 주피스톤(123a)이 상기 에어룸(113a) 내부에서 승강되면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펌핑유닛을 구비한 에어엔진의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펌핑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펌핑유닛을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펌핑유닛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펌핑유닛(1120)은 제2 상부펌핑본체(1121), 제2 하부펌핑본체(1122), 실린더(1123), 볼헤드(1124), 스프링(1125), 코어톱니(1126), 미들톱니(1127) 및 원주톱니(1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1121)는 후술할 전환본체(131)가 중심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된 것처럼 바람직하게는 원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1121)는 원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2 하부펌핑본체(1122) 방향으로 눌려지도록 상기 전환본체(1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1121)를 상기 제2 하부펌핑본체(1122) 방향으로 가압하여 누르도록 상기 제1 케이스(111)의 하면에 가압캠(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케이스(111)가 회전할 때, 상기 가압캠은 상기 제1 케이스(111)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1121)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1121)가 원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제2 하부펌핑본체(1122) 방향으로 눌려지도록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펌핑본체(1122)는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1121)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1123)의 개수와 동일한 펌핑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123)는 일단이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1121)의 하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2 하부펌핑본체(1122)를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볼헤드(1124)는 상기 실린더(1123)의 일단에 더 마련될 수 있으며, 구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볼헤드(1124)는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1121)가 원주 방향을 따라 부드럽게 순차적으로 눌려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125)은 각각의 상기 실린더(112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123)는 상기 제1 상부펌핑본체(1121)에 의해 하강될 때 압축되고, 상기 제1 상부펌핑본체(1121)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스프링(1125)에 의해,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1121)가 원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눌려질 때,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실린더(1123)가 함께 순차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각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펌핑유닛(1120)은 상기 실린더(1123)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에어룸(113a)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펌핑유닛(1120)은 복수의 상기 실린더(1123)들이 연속해서 순차적으로 승강되면서 공기를 유동시키기 때문에 펌핑 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코어톱니(1126)는 상기 전환연장체(13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코어톱니(1126)는 상기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112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미들톱니(1127)는 상기 코어톱니(1126) 및 상기 원주톱니(1128)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원주톱니(1128)는 상기 제2 케이스(112)의 내측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상기 원주톱니(1128)는 상기 제2 케이스(11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케이스(112)를 회전시키면, 상기 원주톱니(1128)는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원주톱니(1128)가 회전하면, 상기 원주톱니(1128)와 맞물린 상기 미들톱니(1127)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톱니(1127)가 회전하면, 상기 미들톱니(1127)와 맞물린 상기 코어톱니(1126)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코어톱니(112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환연장체(132)도 함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전환연장체(132)가 회전하면, 상기 전환본체(131)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전환본체(13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환본체(131)에 비스듬하게 결합된 원판 형태의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1121)가 회전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볼헤드(1124)를 순차적으로 누를 수 있다.
이처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펌핑유닛(1120)은 톱니들에 의해 상기 볼헤드(1124)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눌려짐에 따라, 상기 제2 펌핑유닛(1120)은 상기 실린더(1123)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에어룸(113a)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펌핑유닛(1120)은 톱니들을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1123)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양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특히,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펌핑유닛(1120)은, 상기 제2 케이스(112)가 회전시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1121)가 더 많이 회전하도록 하여 제2 케이스(112)의 회전수에 비해 더 많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기어비를 조절하여 회전 대비 공기 유동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환유닛(130)은 전환본체(131), 전환연장체(132), 전환탄성부재(133), 전환스토퍼(134), 전환핸들결합체(135), 전환씰링체(136) 및 전환핸들(137)을 포함하며, 상기 전환유닛(130)은 상기 케이스유닛(110) 및 상기 제1 펌핑유닛(12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전환본체(131)는 상기 케이스유닛(110) 및 상기 제1 펌핑유닛(12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하단이 상기 밸브유닛(140)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환본체(131)는 상기 밸브유닛(140)과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전환본체(131)가 회전시 상기 밸브유닛(140)도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환연장체(132)는 상기 전환본체(131)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단이 상기 제6 케이스(116)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환연장체(132)는 상기 전환본체(131)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하단이 상기 제 6케이스(116)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연장체(132)는 상단이 상기 전환본체(13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환탄성부재(133)는 상기 전환연장체(132)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환탄성부재(133)는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환스토퍼(134)는 상기 전환연장체(132)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환스토퍼(134) 및 상기 전환탄성부재(133)는 상기 전환본체(131)가 회전시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스토퍼(134) 및 상기 전환탄성부재(133)는 상기 밸브유닛(140)의 하면이 바닥쪽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밸브와 공기홀 사이 공간으로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환핸들결합체(135)는 상기 전환연장체(132)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전환핸들(137)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환씰링체(136)는 상기 전환본체(131)의 외측면 및 상기 전환본체(131)와 접하는 상기 밸브유닛(140)의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전환본체(131)와 상기 밸브유닛(140)을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씰링체(136)는 상기 전환본체(131)와 상기 밸브유닛(14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환핸들(137)은 상기 전환핸들결합체(135)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전환핸들(137)은 사용자가 잡은 상태에서 돌리기 편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전환핸들(137)은, 상기 전환본체(131)와 상기 밸브유닛(140)을 손쉽게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보다 용이하게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밸브유닛(140)은 밸브몸체(141), 진공흡입밸브(142), 제1 배기밸브(143) 및 제2 배기밸브(144)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유닛(140)은 상기 케이스유닛(1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환유닛(130)과 함께 회전되어 공기의 흐름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밸브몸체(141)는 상기 제5 케이스(115)의 내부에 마련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몸체(141)는 상기 밸브유닛(140)의 몸체를 형성하며, 원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141)는 상기 제5 케이스(115)의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전환본체(131)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진공흡입밸브(142)는 상기 밸브몸체(141)에 마련되며, 공기를 진공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진공흡입밸브(142)는 상기 외부공기홀(115a)과 대응되도록 위치한 상태일 때, 상기 주피스톤(123a)이 상승하면, 외부공기홀(115a)을 통해 에어룸(113a)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흡입밸브(142)가 상기 제1 내부공기홀(116a)에 위치하면, 상기 주피스톤(123a)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가변강성부(400)에 수용된 공기를 에어룸(113a)으로 진공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배기밸브(143, 144)는 상기 밸브몸체(141)에 마련되며,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기밸브(143) 및 상기 제2 배기밸브(144)는 상기 외부공기홀(115a), 상기 제1 내부공기홀(116a) 및 상기 제2 내부공기홀(116b)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진공흡입밸브(142)는 제1 내부공기홀(116a)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배기밸브(144)가 상기 외부공기홀(115a)에 위치할 경우, 상기 주피스톤(123a)을 상승시키면, 상기 가변강성부(400)에 수용된 공기가 상기 진공흡입밸브(142)를 통해 에어룸(113a)으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피스톤(123a)을 하강시키면, 상기 에어룸(113a)으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 배기밸브(144) 및 상기 외부공기홀(115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기밸브(143, 144)는 반드시 배기만 가능한 것으로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흡기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흡기와 배기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초기화부(200)는 상기 에어엔진(100)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엔진(100)의 작동을 초기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화부(200)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사용한 후 한 번에 최초 단계로 리셋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초기화부(200)를 누르면, 대기압에 의해 외부 공기가 진공 상태인 상기 가변강성부(400)로 유입됨과 동시에 공기가 들어차 있는 상기 베이스부(300)의 공기주머니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신발은 부드러워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00)는 발등부(310), 제1 공기주머니(320), 제2 공기주머니(330) 및 힐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발등부(310)는 사용자의 발의 발등 및 양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발등부(310)에는 사용자의 발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공기주머니(320) 및 제2 공기주머니(3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기주머니(320) 및 상기 제2 공기주머니(330)은 공기가 유출입됨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기주머니(320) 및 상기 제2 공기주머니(330)는 상기 제2 내부공기홀(116b)과 연통되어 상기 제2 내부공기홀(116b)을 통해 공기가 주입되거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힐부(340)는 사용자의 발뒤꿈치 및 발목을 포함한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힐부(340)에는 상기 가변강성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가변강성부(4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강성부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층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층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변강성부(400)는 상기 힐부(340)에 마련되며, 상기 에어엔진(100)에 의해 강성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변강성부(400)는 상기 에어엔진에 의한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 조절에 의해 상기 힐부(340)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내부의 압력과 대기압 사이의 관계에 따라 강성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변강성부(400)는 일측에 장착된 밸브(410)를 통해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되는 커버(420) 및 상기 커버(4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서로 접착되거나 분리되는 다수의 가요성 층(43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410)는 에어엔진(100)과 연결된 연결통로를 통해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고, 커버(420) 내부에 대기압 (또는 그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가요성 층(430)은 압축되지 않으며, 커버(420) 내부가 진공인 경우 상기 가요성 층(430)들은 서로 마찰이 증가되며 압축되어 가변강성부(400)의 강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가변강성부(400)는 대기압에서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압력이 줄어든 경우 단단한 상태로 바뀌는 것처럼 다양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변강성부(400)에 진공이 적용되었다가 다시 진공이 해제된 경우, 가변강성부(400)는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상태로 회복되어야 하므로 다수의 가요성 층(430)은 높은 마찰계수와 낮은 접착특성을 모두 얻을 수 있는 두께와 표면 처리를 가진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가요성 층(430)과 이에 이웃하는 다른 가요성 층(430) 사이의 마찰계수는 0.5보다 높고, 이웃하는 가요성 층(430) 사이의 접착특성은 0.07N/mm2 미만의 단위 면적당 수직력에 의해 분리되거나 6.7J/m2 미만의 단위 면적당 에너지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요성 층(430)의 마찰계수와 접착특성은 재료 만의 성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층의 표면 마감(거칠기)과 두께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가변강성부(400)는, 공기가 주입될수록 강성이 감소하여 상기 힐부(340)가 접히도록 마련되며, 공기가 배출될수록 강성이 증가하여 상기 힐부(340)가 펼쳐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가요성 층(430)은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요성 층(430)의 상측면, 하측면 또는 상하측면 모두에는 가요성 층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마찰계수와 상대적으로 낮은 접착특성을 가지는 코팅층(431)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요성 층(430)은 고무와 같이 높은 영률을 가지는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가요성 층은 0.8Gpa 보다 높은 영률을 가질 수 있다.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 층(430)은 매트릭스(432) 내부에 매립된 다수의 섬유(4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가요성 층(430)의 상측면, 하측면 또는 상하측면 모두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마찰계수와 낮은 접착특성을 가지는 코팅층(431)이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등부(310)에 공기주머니를 형성하고 힐부(330)에 가변강성부재(400)를 활용하여 상호 반대적인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에어엔진(100)을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신발을 딱딱하거나 부드럽게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에어엔진을 이용하여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모두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기능성 신발에 비해 무게와 부피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켜 상기 공기주머니 및 상기 가변강성부(400)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에 따라 및 사용자의 발 모양에 따라 신발의 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에어엔진 110: 케이스유닛
111: 제1 케이스 112: 제2 케이스
112a: 가이드홈 112b: 고정홀
113: 제3 케이스 114: 제4 케이스
115: 제5 케이스 115a: 외부공기홀
116: 제6 케이스 116a: 제1 내부공기홀
116b: 제2 내부공기홀 120: 제1 펌핑유닛
121: 제1 상부펌핑본체 121a: 돌출캠
122: 제1 하부펌핑본체 123: 연장캠
123a: 주피스톤 130: 전환유닛
1120: 제2 펌핑유닛 1121: 제2 상부펌핑본체
1122: 제2 하부펌핑본체 1123: 실린더
1124: 볼헤드 1125: 스프링
1126: 코어톱니 1127: 미들톱니
1128: 원주톱니
131: 전환본체 132: 전환연장체
133: 전환탄성부재 134: 전환스토퍼
135: 전환핸들결합체 136: 전환씰링체
137: 전환핸들 140: 밸브유닛
141: 밸브몸체 142: 진공흡입밸브
143: 제1 배기밸브 144: 제2 배기밸브
200: 초기화부 300: 베이스부
310: 발등부 320: 제1 공기주머니
330: 제2 공기주머니 340: 힐부
400: 가변강성부 410: 밸브
420: 커버 430: 가요성 층
431: 코팅층 432: 매트릭스
433: 섬유
1000: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을 구비한 압력조절모듈

Claims (12)

  1. 회전운동에 의하여 반복 승강하면서 공기 주입 또는 배출을 조절하는 펌핑유닛; 및
    상기 펌핑유닛에 의한 공기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는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한 공기주머니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유닛;
    상기 케이스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유닛이 회전됨에 따라 반복 승강되는 펌핑유닛;
    상기 케이스유닛 및 상기 펌핑유닛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유닛; 및
    상기 케이스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전환유닛과 함께 회전되어 공기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밸브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유닛은,
    최상부에 결합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펌핑유닛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2 케이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3 케이스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4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케이스의 내부에는 에어룸(air room)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유닛은,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돌출캠이 형성된 제1 상부펌핑본체;
    상기 제1 상부펌핑본체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 하부펌핑본체; 및
    상기 제1 상부펌핑본체로부터 상기 제1 하부펌핑본체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캠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캠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제1 펌핑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캠은 1개 내지 6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캠의 하단에는 상기 에어룸의 내부에 마련된 주피스톤이 결합되며,
    상기 주피스톤은, 상기 연장캠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에어룸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에어룸 내부에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물결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유닛은,
    원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눌려지도록 마련된 제2 상부펌핑본체;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 하부펌핑본체; 및
    일단이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의 하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2 하부펌핑본체를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된 복수의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실린더는, 상기 제2 상부펌핑본체가 눌려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유닛은,
    상기 제3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외부와 연통된 외부공기홀이 형성된 제5 케이스; 및
    상기 제5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가변강성부와 연통된 제1 내부공기홀 및 상기 공기주머니와 연통된 제2 내부공기홀이 형성된 제6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케이스유닛 및 상기 제1 펌핑유닛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하단이 상기 밸브유닛과 결합되는 전환본체;
    상기 전환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단이 상기 제6 케이스에 결합되는 전환연장체;
    상기 전환연장체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전환탄성부재; 및
    상기 전환연장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전환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제5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에 마련되며, 공기를 진공흡입하는 진공흡입밸브; 및
    상기 밸브몸체에 마련되며, 공기를 배출 할 수 있는 배기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12. 제 1 항에 따른 상기 에어엔진;
    사용자의 발을 고정시키기 위해 공기주머니가 마련된 발등부;
    사용자의 발뒤꿈치 및 발목을 포함한 부분을 지지하는 힐부; 및
    상기 에어엔진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엔진의 작동을 초기화시키는 초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을 구비한 압력조절모듈.
KR1020170110511A 2017-08-30 2017-08-30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및 압력조절모듈 KR20190025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511A KR20190025158A (ko) 2017-08-30 2017-08-30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및 압력조절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511A KR20190025158A (ko) 2017-08-30 2017-08-30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및 압력조절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158A true KR20190025158A (ko) 2019-03-11

Family

ID=6575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511A KR20190025158A (ko) 2017-08-30 2017-08-30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및 압력조절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51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5679A (zh) * 2019-05-30 2019-11-26 立兆股份有限公司 用于鞋子的自系紧系统及其真空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681B1 (ko) 2016-03-02 2017-03-08 권동혁 에어 펌핑 기능을 갖는 스프링 쿠션 신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681B1 (ko) 2016-03-02 2017-03-08 권동혁 에어 펌핑 기능을 갖는 스프링 쿠션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5679A (zh) * 2019-05-30 2019-11-26 立兆股份有限公司 用于鞋子的自系紧系统及其真空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250B2 (en) Multipiece footwear insole
JP3183882U (ja) 簡易空気注入弁の構造
US20090030354A1 (en) Stimulator pad
US6557272B2 (en) Helium movement magnetic mechanism adjustable socket sole
CA2431712A1 (en) Shoe with a foot-massaging effect
CN104886870A (zh) 一种充气按摩健身鞋
KR20190025158A (ko) 공기 주입 및 배출 조절을 위한 에어엔진 및 압력조절모듈
KR101918597B1 (ko) 접이식 힐부를 구비한 신발
US20200352274A1 (en) Massaging Footwear Device
CN201798118U (zh) 可平衡足底压力的鞋垫
ES2225069T3 (es) Estructura de calzado con circulacion forzada de aire.
JP2005058615A (ja) 健康シューズ
CN207070912U (zh) 一种具有防扭伤的运动鞋
US6387064B1 (en) Foot pump powered neck massaging device
KR0139453Y1 (ko)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101682329B1 (ko) 신발용 쿠션포켓, 아웃솔, 미들솔 및 신발
CN106983221A (zh) 一种按摩鞋
CN208096165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足疗鞋
US20040211087A1 (en) Shoe having improved impact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TW201615116A (zh) 保護足弓裝置
KR200346340Y1 (ko) 공기 순환형 깔창
CN221357329U (zh) 一种扁平足矫正鞋垫
RU2492782C1 (ru) Сапог спасателя, работающего в чрезвычайных условиях
CN210227053U (zh) 一种新型热敷按摩拖鞋
JP3213147U (ja) 履物の中敷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