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565A - Vehicle - Google Patents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565A
KR20190024565A KR1020180005538A KR20180005538A KR20190024565A KR 20190024565 A KR20190024565 A KR 20190024565A KR 1020180005538 A KR1020180005538 A KR 1020180005538A KR 20180005538 A KR20180005538 A KR 20180005538A KR 20190024565 A KR20190024565 A KR 20190024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user
signa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범
문지영
신한성
김창현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02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5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62B5/0076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including: a main body; a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driving force to move the main body; a distance sensing unit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measuring a distance of a user to output a corresponding sign; an operation unit carried by the user and sensing a motion sig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user′s movement and posture to wirelessly output a corresponding sign; a sign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wireless sign output from the operation unit and converting the received wireless sign to a sig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and outputting the same; and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sign output from the sign receiving unit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 corresponding to the same.

Description

이동 장치{Vehicle}Mobile device {Vehicle}

본 발명은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에 대응하여 지면상에서 이동하거나, 지면상에서 일정 높이로 부상하여 이동하는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ving apparatus that move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a ground, or moves on a ground corresponding to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speed of a user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

이동 장치는 소정의 동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장치이다. The mobile device is a devic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desired direction by using a predetermined power.

상기 이동장치로는 지상을 이동하는 카트, 하늘로 이동하는 드론, 레일 상으로 이동하는 스토커 등이 있다. The moving device includes a cart that moves on the ground, a dron that moves to the sky, and a stocker that moves on the rails.

카트는 백화점, 슈퍼마켓 등에서 소비자가 구매하는 물품들을 담아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골프장에서 골프 용구의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동 장치의 한 종류이다. 카트는 캐리어, 핸디 왜곤 등으로도 불리운다. A cart is a type of mobile device used in a department store, a supermarket, or the like to easily carry goods purchased by consumers and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golf equipment in a golf course. Carts are also called carriers, handy wagons, and so on.

카트는 사용자에 의해 이끌려 이동하지만, 카트에 많은 물품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 이동이 쉽지 않아 전동식 구동 수단을 사용하는 카트가 개시되었다. The cart is moved by the user, but when the cart is loaded with many items, a cart using an electric drive means is not easy to move.

전동식 구동 수단을 사용하는 카트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동식 구동 수단이 동작하고, 이때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바퀴가 구동하여 지면 상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the cart using the electric drive means, the electric drive means is op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and the wheels are driven by the generated drive force to be able to travel on the ground.

상기와 같은 이동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카트의 주행 방향과 주행 속도 등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직접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above-described mobile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manually operate the handle in order to adjust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rt.

드론(Drone)은 무선 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무인 이동 장치로, 지면 상에서 일정 높이로 부상하여 비행할 수 있다.Drone is an unmanned moving device capable of flying and manipulating by induction of radio waves, and can fly by flying at a certain height on the ground.

일반적인 드론은 GPS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 이동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기능만 제공한다. 따라서, 자동차, 오토바이 등과 같이 빠르게 이동하는 이동체를 따라 비행하는 경우, 이동체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ypical drones provide only the ability to mov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GPS or to move by user's manipulation. Therefore, when flying along a moving object such as an automobile or a motorcy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moving object.

한편, 화물의 이동을 위한 스토커가 개시되었다.On the other hand, a stocker for the movement of the cargo has been started.

스토커(stocker)는 탑재된 화물을 다음 공정을 수행하는 임의의 장비로 운반하기 전에 카세트 보관 시스템의 선반에 임시로 저장한 후 다른 공정을 수행하는 다른 장비로 운반하는 이동 장치이다. A stocker is a mobile device that temporarily stores a loaded cargo on a shelf in a cassette storage system before transferring it to any equipment that carries on the next process, and then carries it to other equipment that performs other processes.

스토커는 레일과 레일 위를 이동하는 바퀴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원자재 및 제품을 이송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구성은 구성 기기들의 속도 증가 및 조절에 한계가 있고, 레일과 바퀴에서 소음과 진동, 분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stocker transports the raw materials and products while moving by the wheels moving on the rails and the rail. However, this conventional configuration has limitations in increasing and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components and noise, vibration and dust in the rails and wheels.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15-0117322호, 등록특허 10-1415967호 및 등록특허 10-1617411호를 예시할 수 있다. As prior art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emplify the publicly known patents 2015-0117322, 10-1415967 and 10-161741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속도에 대응하여 지면상에서 이동하거나 지면상에서 일정 높이로 부상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ing device capable of moving on a ground in accordance with a moving direction and a speed of a user or floating on a ground at a predetermined height.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중, 사용자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a user during movem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 감지부;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며, 상기 구동부의 동작 신호와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및 자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는 조종부; 상기 조종부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동작에 해당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unit disposed on the main body to generate a driving force to move the main body; A distance sensing unit disposed on the body and measuring a distance of the user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A controller which is carried by the user and senses an operation signal of the driving unit and a movement and posture of the user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wirelessly;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converting the received radio signal into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and outputting the signal;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receiver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device comprising:

상기 구동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용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oper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driving wheel rotated by the motor.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용 바퀴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제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braking means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s by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상기 구동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와, 상기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that is oper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propeller that rotates by the driving force.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면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전자석을 포함하는 레일과,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자석에 대하여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본체가 상기 레일 상에서 부상되도록 하는 제2 전자석을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electromagnet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with respect to the first electromagnet to cause the main body to float on the rail, May be included in plur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이동 속도를 일정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limit the moving speed of the main body to a certain level or less.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애물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obstacle detection unit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detecting an obstacle in front of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 중앙과 전방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장애물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obstacle detection unit may include first to third obstacle detection sensors disposed on the front center and front sides of the main body.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초음파 센서, 광센서 및 영상 출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obstacl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and a video output sensor.

상기 거리 감지부는, 상기 본체의 후방 중앙과 후방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tance sensing unit may include first to third distance sensing sensors disposed on the rear center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상기 거리 감지부는, 초음파 센서, 광센서 및 영상 출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tanc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and a video output sensor.

상기 조종부는,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smart phone.

상기 조종부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output a signal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거나, 상기 거리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본체의 거리가 일정 이상 멀어지면 이를 경고하는 제1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bstacle det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arning unit that detects an obstacle or warns the us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main body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distance detec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본체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to stop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by the obstacle sens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본체의 거리가 일정 이상으로 멀어지면, 상기 본체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to stop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main body is distant from the main body by the distance detection unit.

상기 조종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정지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재개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resume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stopped by the us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종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이동이 일정 시간 동안 정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동수단의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unit i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movement of the user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조종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동수단의 동작 해제에 의해 정지된 상기 본체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ause the main body to be moved by operation of the user and stopped by the release of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means.

상기 드론 본체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의 잔류 전원량을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측정부와, 상기 전원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잔류 전원량이 제1 값 이하이면 이를 경고하는 제2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warning unit for warning that the amount of remaining power is less than a first value by an output signal of the power measuring unit, .

상기 제1 값은 상기 배터리 용량의 30%에 해당할 수 있다.The first value may correspond to 30% of the battery capacity.

상기 제2 경고부는, 상기 전원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량이 제2 값 이하이면, 상기 드론 본체가 착륙하도록 상기 제어부로 비상 착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warning unit may output an emergency land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drones are landed when the amount of power is less than a second value by an output signal of the power measurement unit.

상기 제2 값은 상기 배터리 용량의 10%에 해당할 수 있다.The second value may correspond to 10% of the battery capacit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속도에 대응하여 지면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동 중에는 사용자와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이상인 경우에는 이동 속도를 제한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 장치인 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ove o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user,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 while moving, and to restrict the moving speed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is more than a certain leve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rt as a mobile device that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속도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고, 이동 중에는 사용자와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이동 장치인 드론 또는 스토커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ragon or a stocker, which can move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rection and speed of the user, and can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 while mov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인 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카트 본체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카트 본체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의 배치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장애물 감지부와 거리 감지부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적용 대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적용 대상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인 드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드론 본체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드론 본체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의 배치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장애물 감지부와 거리 감지부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인 스토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스토커 본체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의 배치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rt as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cart main bod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components arranged on the cart body.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obstacle sensing unit and the distance sensing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object of the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application object of the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one as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ron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constituent elements arranged in the drone main body.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state of an obstacle sensing unit and a distance sensing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ocker, which is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components arranged in the stocker main bod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인 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카트 본체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카트 본체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의 배치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rt as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art main bod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components arranged on the cart bod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100)는 카트 본체(110), 구동부(120), 장애물 감지부(130), 거리 감지부(140), 상기 조종부(150), 제어부(160) 및 제1 경고부(170)를 포함한다.1 to 3, a mobi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t body 110, a driving unit 120, an obstacle sensing unit 130, a distance sensing unit 140, A controller 150, a first warning unit 170,

본 실시예에서는, 지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 장치의 일예로 카트 본체를 상정하고 설명하지만, 지면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 장치는 카트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n the assumption that the cart main body is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configured to be movable on the ground. However, the mobile device moving on the ground is not limited to a cart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도 2를 참조하면, 카트 본체(110)는 소정의 크기로서 대략 육면체 형태로 제작되고, 하부와 상부에 소정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2, the cart main body 110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on shape, and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load predetermined articles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또한, 상기 카트 본체(110)의 상부 후방으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카트 본체(110)의 주행을 수동 제어할 수 있는 손잡이(112)가 배치된다. A handle 112 is disposed at the upper rear of the cart main body 110 to manually control the running of the cart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도 2에 도시된 상기 카트 본체(110)는 구성의 일예로서, 상기 카트 본체(110)의 크기와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ize and shape of the cart main body 110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FIG. 2, and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상기 카트 본체(110) 상에는 후술하는 구동부(120), 장애물 감지부(130), 거리 감지부(140) 및 제어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20, the obstacle sensing unit 130, the distance sensing unit 140, and the controller 160 may be disposed on the cart body 110.

상기 구동부(120)는 후술하는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카트 본체(11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부(120)는 소정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20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a controller 160 to generat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cart body 110. The driving unit 12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motor.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120)는 12V에서 동작하고 최대토크 12kg.cm이고 350rpm의 직류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사양을 갖는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20 may be a DC motor operating at 12 V and having a maximum torque of 12 kg.cm and a speed of 350 rpm, but a motor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

상기 구동부(120)는 후술하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고, 후술하는 구동용 바퀴(111)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제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에서 사용되는 제동수단의 동작 방식은 마찰식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20 may include braking means (not shown) that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tops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s 1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perating method of the braking means used in the driving unit 120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such as a friction type.

상기 구동부(120)에는 구동용 바퀴(111)가 연결되어 구동용 바퀴(111)가 회전하도록 한다. A driving wheel 11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20 so that the driving wheel 111 is rotated.

구동용 바퀴(111)는 상기 카트 본체(110)의 하부 후방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카트 본체(110)가 소정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카트 본체(110)의 전방으로는 방향 전환에 사용되는 보조 바퀴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riving wheels 111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ear of the cart body 110 so that the cart body 110 can be moved at a predetermined speed. Here, auxiliary wheels used for direction switching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cart body 110.

이때, 구동용 바퀴(111)에는 단일의 상기 구동부(120)가 소정의 기어 박스를 통해 양측의 구동용 바퀴(111)에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ingle driving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s 111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wheel 111 through a predetermined gear box.

한편, 상기 카트 본체(110)의 일측으로는 상기 구동부(120)와 후술하는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T)가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a battery BT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art body 110 to supply power to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장애물 감지부(130)는 상기카트 본체(1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30)는 상기 카트 본체(110)의 주행 중, 상기 카트 본체(110)의 전방으로 장애물이 출현하면 이를 감지하고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The obstacle sensing unit 1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art body 110. The obstacle sensing unit 130 senses an obstacle in front of the cart body 110 while the cart body 110 is traveling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거리 감지부(140)는 상기 카트 본체(110)의 후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카트 본체(110)의 주행 중 사용자와의 거리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와 상기 카트 본체(110)의 거리가 일정 이상 멀어지거나 일정 이상 가까워지면 사용자가 상기 카트 본체(110)의 후방, 후방 좌측 또는 후방 우측으로 이격된 거리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The distance sensing unit 140 is disposed behind the cart body 110 and continuously senses the distance to the user during traveling of the cart body 11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cart body 110 becomes constant The user may output a signal corresponding to a distance distanced to the rear, rear left, or rear right of the cart main body 110. [0050]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장애물 감지부와 거리 감지부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obstacle sensing unit and the distance sensing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장애물 감지부(130)는 제1 내지 제3 장애물 감지 센서(131, 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장애물 감지 센서(131, 132, 133)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 단일개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30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obstacle detection sensors 131, 132, and 133. Here, the first to third obstacle detection sensors 131, 132, and 133 may include a single sensor or a plurality of sensors, respectively, according to a user's need.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장애물 감지 센서(131, 132, 133)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센서는 스윕(swip)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to third obstacle detection sensors 131, 132, and 133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At this time, the ultrasonic sensor can operate in a sweep manner.

스윕 동작은 일정 시간 동안 주파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주는 동작 방식으로, 예를 들면, 바이브로사이스(vibroseis)는 수 초 동안 연속적으로 진동 주파수(10~70 Hz)를 변화시킨다. 바이브로사이스(vibroseis)는 기계적 진동장비에 의해 진동 주파수를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탄성파를 발생시키는 음원이다. The sweep operation is an operation method that continuously changes the frequency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he vibroseis changes the vibration frequency (10 to 70 Hz) continuously for several seconds. Vibroseis is a sound source that generates elastic waves by continuously changing the vibration frequency by a mechanical vibration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장애물 감지 센서(131, 132, 133)에는 광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obstacle detection sensors 131, 132, and 133 may use optical sensor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상기 제1 내지 제3 장애물 감지 센서(131, 132, 133)는 상기 카트 본체(110) 전방의 중앙과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카트 본체(110)의 전방과 전방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 범위 이내에 나타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obstacle detection sensors 131, 132, and 133 are disposed at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cart body 110 and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art body 110, It is possible to detect an obstacle within the rang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130)는 상기 카트 본체(110) 전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카트 본체(110) 후방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카트 본체(110)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The obstacle sensing unit 130 may be arranged in front of the cart body 110. However, the obstacle sensing unit 130 may be disposed behind the cart body 110, Respectively.

초음파와 광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ection of an obstacle using an ultrasonic wave and an optical sensor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장애물 감지 센서(131, 132, 133)에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출력하는 영상 출력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Also, the first to third obstacle detection sensors 131, 132, and 133 may use an image output sensor that outputs a predetermined image.

여기서, 영상 출력 센서는 CCD 소자 또는 CMOS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mage output sensor may include a CCD element or a CMOS element.

영상 출력 센서는 카트 본체(110)의 동작이 개시되면, 카트 본체(110) 전방을 연속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출력한다. 영상 출력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는 공개특허 2013-0119582호에 개시되어 있는 등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cart main body 110 is started, the video output sensor continuously photographs the front of the cart main body 110 and outputs a photographed image. Detection of an obstacle using a video output sensor is well known in the art such as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3-0119582,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13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장애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장애물 감지부(130)가 포함하는 센서의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bstacle sensing unit 130 includes the first to third obstacle sensing sensors. However, the number of sensors included in the obstacle sensing unit 130 may vary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

상기 거리 감지부(140)는 제1 내지 제3 거리 감지 센서(141, 142, 1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tanc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distance sensing sensors 141, 142, and 143.

상기 거리 감지부(140)가 포함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거리 감지 센서(141, 142, 143)는 상기 카트 본체(110) 후방의 중앙과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카트 본체(110) 후방과 후방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distance sensors 141, 142 and 143 included in the distance sensing unit 140 are disposed at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cart body 110, And a distance from a user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to both sides based on the rear sid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리 감지부(140)가 상기 카트 본체(110)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어, 상기 카트 본체(110) 후방의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거리 감지부(140)는 상기 카트 본체(110) 전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카트 본체(110) 전방의 사용자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nce sensing unit 140 is disposed behind the cart body 110 to sense the distance to the user behind the cart body 110, (14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cart body (110) to detect a distance to a user in front of the cart body (110).

또한, 상기 거리 감지부(140)는 상기 카트 본체(110)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stance sensing unit 14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cart body 11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거리 감지 센서(141, 142, 143)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to third distance sensors 141, 142, and 143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초음파를 이용한 거리 감지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distance detection using ultrasonic waves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거리 감지 센서(141, 142, 143)는 각각 복수의 광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광센서를 이용한 거리 감지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tance sensors 141, 142, and 143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Since the distance detection using the optical sensor is a well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장애물 감지 센서(131, 132, 133)에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영상 출력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영상 출력 센서는 CCD 소자 또는 CMOS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first to third obstacle detection sensors 131, 132, and 133 may use an image output sensor that captures and outputs a predetermined image. Here, the image output sensor may include a CCD element or a CMOS element.

촬영된 영상을 이용한 거리 측정은 공개특허 2015-65473호, 등록특허 10-1692809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distance measurement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is a known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2015-65473 and 10-1692809,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거리 감지 센서(141, 142, 143) 각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 단일개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to third distance sensors 141, 142, and 143 may include a single sensor or a plurality of sensor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다시,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상기 조종부(150)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조종부(150)는 사용자가 휴대한다. The control unit 150 senses an operation of the user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as a radio signal. The control unit 150 is carried by the user.

상기 조종부(150)의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조종부(150)는 사용자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으로 보행하거나, 보행 중 방향을 전환하며 보행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직립한 자세에서 상체를 기울이는 자세로 전환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조종부(150)는 보행 속도도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0 detects when the user is walking in a straight line to the front or back or when walking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while walking,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as a radio signal, and controls the posture in which the user tilts the upper body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signal as a radio signal. Also, the control unit 150 may sense the walking speed and output a corresponding signal.

여기서, 상기 조종부(150)는 일반인이 휴대하며 전화 통화에 사용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종부(150)로 사용되는 스마트폰은 자신의 보행 상황과 보행 방향을 감지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무선 출력하도록 하는 어플이 설치된다. Here, the controller 150 may include a smart phone that is carried by the general public and used for telephone conversation. The smartphone used as the control unit 150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for sensing a walking situation and a walking direction of the smartphone and wirelessly outputting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스마트폰은 내장되어 있는 중력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조종부(150)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전진, 후진, 방향 전환 및 자세 전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smartphone can detect the forward, backward, direction change, and posture change of a user carrying the control unit 150 using a built-in grav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scope sensor, and a motion sensor. In addition, a smartphone can output a signal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ed in a smartphone.

신호 수신부(164)는 상기 카트 본체(110)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조종부(150)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후술하는 상기 제어부(16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수신부(164)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receiving unit 164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art body 110 and receives a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50 and converts it into a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controller 160, do. Here, the signal receiving unit 164 may include a Bluetooth module.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장애물 감지부(130)와 상기 거리 감지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 본체(110) 전방의 장애물 출현을 감지하고, 상기 카트 본체(110)와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며, 감지 결과에 따른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signals output from the obstacle sensing unit 130 and the distance sensing unit 140 and senses the appearance of obstacles in front of the cart body 110 using the received signals, 110 and the user, and outpu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신호 수신부(164)를 통해 상기 조종부(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구동부(12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50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164 and detects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speed of the user, .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본체(110)가 기준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본체(110)의 속도를 제한함으로써 전방의 장애물과의 충돌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ain body 110 moves at a speed higher than the reference speed, the controller 160 can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ahead by limiting the speed of the main body 110.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이동이 일정 시간 이상 정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본체(110)가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브레이크 제어 신호를 구동부(120)로 출력하여 구동용 바퀴(111)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20)가 브레이크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전원의 공급 오프에 의해 브레이크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f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that the movement of the user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er 120 to stop the main body 11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outputs a brake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120 so that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111 may be stopped. Further, when the driving unit 120 uses a brake motor, the brake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특히, 본체(110)가 정지되어 있는 위치가 소정 각도의 경사로인 경우, 본체(110)가 경사로 상에서의 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동 수단에 의한 브레이크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when the main body 110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k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braking means so that the main body 110 does not move on the ramp.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아두이노(Arduino)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160 is implemented using Arduino technology, but various techniques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제1 경고부(170)는 상기 카트 본체(110) 전방으로 장애물 출현이 감지되거나, 상기 카트 본체(110)와 사용자간의 거리가 일정 이상으로 멀어지면, 상기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소정의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When the occurrence of an obstacle is detected in front of the cart body 110 o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art body 110 and the user is distant from the cart body 110 by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And outputs a predetermined warning signal.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경고부(170)는 부저를 사용하였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알림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warning unit 170 uses a buzzer, but various notification mean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인 카트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cart, which is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사용자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소정의 물품을 본 발명에 따른 카트 본체(110)에 싣고, 이동을 하려고 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카트 본체(1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The cart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follows when a user puts a predetermined article required by himself / herself on the cart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oves.

사용자는 상기 조종부(150)의 동작을 개시한다. 이때, 상기 조종부(150)는 사용자의 보행 속도와 보행 방향을 감지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무선 출력하도록 하는 어플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을 실행시킨다. The user start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5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detects a walking speed and a walking direction of a user, and wirelessly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The user operates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여기서,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은 사용자의 보행 상황에 해당하는 신호의 출력 제어, 카트 본체의 주행 상황을 알리고, 상기 제1 경고부(170)의 경고음 발생 중지, 상기 카트 본체(110)의 동작 개시, 정지된 상기 카트 본체(110)의 동작 재개 등을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informs the output control of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walking situation,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cart main body, and stops the alarm sound of the first warning unit 170, The operation of the cart main body 110 stopped, and the like.

사용자는 동작 스위치를 온(ON) 조작하여, 상기 카트 본체(110) 상에 배치된 배터리(BT)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카트 본체(110) 상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로 공급되도록 한다.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to turn on the power so tha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BT disposed on the cart main body 110 is supplied to the components arranged on the cart main body 110.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 경고부(170)에서는 소정의 음을 발생시켜 본 발명에 따른 카트 본체(110)의 동작이 개시됨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 본체(110)의 동작 개시와 함께 소정의 동작 LED가 점등되고, 상기 카트 본체(11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점등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e first warning unit 170 generates a predetermined sound to inform that the operation of the cart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rted. In addition, a predetermined operation LED is turned on with the start of operation of the cart body 110, and the lighting state can be maintained while the cart body 110 is being operated.

상기 카트 본체(110)는 사용자보다 일정 거리(예를 들어 1m 20cm) 앞서서 소정의 속도로 전방을 향하여 주행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카트 본체(110) 보다 후방에서 상기 카트 본체(110)를 따라 보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카트 본체(110)와 사용자와의 거리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The cart main body 110 travels forward at a predetermined speed ahead of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 m 20 cm) from the user. The user is allowed to walk along the cart body 110 from behind the cart body 110.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cart body 110 and the user can be variously set as needed.

상기 카트 본체(110)의 주행 중, 상기 장애물 감지부(130)와 상기 거리 감지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The controller 160 operates as follows in response to a signal output from the obstacle sensing unit 130 and the distance sensing unit 140 while the cart body 110 is traveling.

상기 제어부(16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60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장애물 감지부(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 본체(110)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한다. The control unit 160 detects an obstacle in front of the cart body 110 using a signal output from the obstacle sensing unit 130.

상기 카트 본체(110)의 전방에 별도의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별도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구동부(120)가 계속 주행하도록 한다. If no obstacle is detected in front of the cart main body 110, the driving unit 120 continues to drive without outputting a separate control signal.

상기 제1 내지 제3 장애물 감지 센서(131, 132, 133)를 포함하는 상기 장애물 감지부(130)에 의해 상기 카트 본체(110)의 전방에 장애물이 나타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카트 본체(110) 전방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일정 거리(예를 들어 40cm) 이내에 장애물이 나타난 것을 알리는 경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When the obstacle sensing unit 130 including the first to third obstacle sensors 131, 132, and 133 detects an obstacle in front of the cart body 110, the controller 160 And outputs an alarm control signal indicating that an obstacle appea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40 cm) to the right or left of the front of the cart body 110.

출력된 경보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경고부(170)는 소정의 경보를 할 수 있다. The first warning unit 170 can perform a predetermined alarm based on the output alarm control signal.

그리고, 상기 카트 본체(110)와 장애물의 거리가 일정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구동부(12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art body 110 and the obstacle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20 to stop operating.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거리 감지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 본체(110) 후방과 사용자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카트 본체(1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예를 들어 1미터 20cm)를 유지하고 있는지 감지하고, 거리가 일정 이상 가까워지면 상기 제1 경고부(170)를 통해 상기 카트 본체(110)와 일정 거리의 유지를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may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 of the cart body 110 and the user us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distance sensing unit 14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art body 110 and the user is (For example, 1 meter 20 cm), and when the distance is close to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 signal requesting maintenance of the cart body 110 through the first warning unit 170 is output can do.

상기 제1 경고부(170)를 통한 경고 신호 출력 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구동부(120)를 동작하여 상기 카트 본체(110)와 사용자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After outputting the warning signal through the first warning unit 170, the control unit 160 may operate the driving unit 120 to move the distance between the cart body 110 and the user.

이때, 사용자가 소정의 보행 속도로서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조종부(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신호 수신부(164)를 통해 상기 제어부(160)로 입력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moves forward at a predetermined walking speed,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50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60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164.

상기 제어부(16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보행 방향과 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카트 본체(110)가 주행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walking direction and the speed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so that the cart main body 110 travels.

사용자의 보행 중, 보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바꾼다면 이는 상기 조종부(150)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조종부(150)는 보행 방향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고, 이는 상기 제어부(160)로 입력된다. If the walking direction is changed to the left or right during the user's walking, this is sensed by the steering unit 150. The control unit 150 outputs a signal for the walking direction, and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the signal.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카트 본체(110)가 사용자의 보행 방향으로 주행 방향을 변경하여 주행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so that the cart main body 110 changes the traveling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walking.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거리 감지부(140)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 본체(110)가 사용자와의 거리가 소정의 오차 범위(예를 들어 6cm)이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120)를 제어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distance sensor 14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art body 110 and the user can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for example, 6 cm)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120.

그리고, 사용자의 보행 속도 변화에 따라 사용자와 상기 카트 본체(110)와의 거리가 변화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구동부(120)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보행 속도 변화에 따라 사용자와 상기 카트 본체(110)와의 거리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카트 본체(110)와 장애물의 거리가 일정 이상으로 멀어지면, 상기 구동부(12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cart main body 110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user's walking speed,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peration speed of the driving unit 120,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cart main body 110 is maintained. At this tim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art main body 110 and the obstacl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may be stopped.

이때, 사용자의 보행 속도가 급속히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카트 본체(110)의 속도가 일정 이상(예를 들어 시속 10km)으로 증가하지 않도록 하여 사고 예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 본체(110)가 유모차, 휠체어, 환자 이송용 침대로 사용되는 경우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s walking speed rapidly increases, the controller 160 prevents the speed of the cart body 110 from increasing to a predetermined speed (for example, 10 km / h) to prevent an accident. This i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ccupant when the cart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troller, a wheelchair, and a patient transporting bed.

한편, 사용자가 상기 카트 본체(110)를 뒤따라 보행하는 도중, 사용자의 사정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보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보행 방향 변화는 상기 조종부(150)에 의해 감지된 후, 상기 제어부(160)로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카트 본체(110)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카트 본체(110)가 항상 사용자의 전방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follows the cart body 110 while walking, the user can walk in the opposite direction. A change in the walking direction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150 and then output to the control unit 160.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driving unit 120 to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cart body 110 so that the cart body 110 can always travel in front of the user.

이때, 조종부(150)의 출력 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소정 장소에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소정 장소에서 업무 수행을 위해 정지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동수단을 제어하여 본체(110)가 소정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의 정지는 소정 업무의 수행을 위한 것이므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어도 본체(110)는 이동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by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150 that the user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predetermined place,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stopped for performing a task at a predetermined place, So that the main body 110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t this time, since the stop of the user is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task, the main body 110 does not move even if the user's motion is detected.

본체(110)의 정지 상태는 사용자가 조종부(150)를 통한 제동 상태 해제 조작에 의한 동작 개시 신호가 출력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The stop state of the main body 110 can be maintained until the operation start signal by the braking state releasing opera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150 is output by the us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적용 대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object of the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청소용구를 적재한 카트는 청소 노동자가 밀어서 주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cart loaded with cleaning utensils can be pushed by a cleaning worker.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카트를 도 5에 도시된 청소용 카트에 적용한다면 청소 노동자는 카트의 이동에 소모되는 노력을 줄일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leaning cart shown in Fig. 5, the cleaning worker can reduce the effort required for moving the car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적용 대상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application object of the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여객기 내부에서 근무하는 스튜어디스의 푸드 카트는 스튜어디스가 기내에서 직접 밀어 이동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카트를 도 6에 도시된 푸트 카트에 적용한다면 스튜어디스는 푸드 카트의 이동에 소모되는 노력을 줄이고 기내 서비스 제공에 전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stewardess food cart that operates inside the passenger plane pushes the stewardess directly in the cabin. At this time, if the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ootcart shown in Fig. 6, the stewardess can reduce the effort spent on the movement of the foodcart and can concentrate on providing in-flight service.

본 발명에 따른 카트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대상 이외에도, 마트의 쇼핑 카트, 유모차, 도우미가 필요한 전동 휠체어, 간호사의 의료용 카트, 병원의 환자 이송용 침대, 구급차 등에 활용할 수 있다. The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shopping carts of a mart, a baby carriage, an electric wheelchair requiring a helper, a medical cart of a nurse, a bed for transporting patients, an ambulance, etc., in addition to the objects shown in Fi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속도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는 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최대 이동 속도가 일정 이내로 제한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카트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art that can be moved at a distance from the user and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and speed of the us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a cart in which the maximum moving speed is limit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the safety of the occupant can be secur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부상하여 비행하는 드론(Drone)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one that flies by flying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의 일예인 드론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dron, which is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인 드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드론 본체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드론 본체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의 배치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drone as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drone main bod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components arranged in the drone main body.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200)는 상기 드론 본체(210), 상기 구동부(220), 장애물 감지부(230), 거리 감지부(240), 상기 조종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200)는 상기 전원 측정부(270B), 제1 경고부(270A 및 상기 제2 경고부(270C)를 포함한다.7 to 9, the mobile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rone main body 210, the driving unit 220, the obstacle sensing unit 230, the distance sensing unit 240, And includes the control unit 250 and the control unit 260.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ower measurement unit 270B, the first warning unit 270A, and the second warning unit 270C.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상기 드론 본체(2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The drone main body 210 will now be described.

상기 드론 본체(210)는 소정의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주위로는 상기 드론 본체(210)의 비행을 위해 후술하는 상기 구동부(220)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The drone main body 210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and the driving units 220 to be described later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drone main body 210 in order to fly the drone main body 210.

상기 드론 본체(210) 상에는 후술하는 구성 요소들 이외에도 비행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T) 등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a battery BT for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flying may be disposed on the drone main body 210.

구동부(220)는 상기 드론 본체(210) 상에 배치된 배터리(BT)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모터의 구동축에는 소정의 크기와 피치(pitch)를 갖는 프로펠러(propeller)(222)가 연결된다. 모터와 프로펠러 사이에는 소정의 기어박스가 개재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220 includes a motor that is opera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a battery BT disposed on the drones 210. A propeller 22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pitch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 predetermined gear box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motor and the propeller.

상기 구동부(220)는 프로펠러(222)를 회전시켜 얻어지는 동력에 의해 상기 드론 본체(210)을 소정의 방향과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220)의 배치 개수는 4개, 6개, 8개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220)는 상기 드론 본체(21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드론 본체(210)의 이동을 위한 상기 구동부(220)의 제어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driving unit 220 can move the drone main body 21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speed by the power obtained by rotating the propeller 222. Here, the number of the driving units 22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such as four, six, eight.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220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drones 210 as symmetrical to each other. Since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220 for moving the drone main body 210 is well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장애물 감지부와 거리 감지부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state of an obstacle sensing unit and a distance sensing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장애물 감지부(230)는 상기 드론 본체(210) 상에 배치되고, 상기 드론 본체(210)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감지된 장애물이 상기 드론 본체(210)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The obstacle detection unit 230 is disposed on the dron body 210 and detects an obstacle in front of the dron body 210. When the detected obstacle is located in front of the dron body 210, And outputs a signal.

장애물 감지부(230)는 상기 드론 본체(210)의 전방 중앙과 전방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장애물 감지 센서(231, 232, 2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장애물 감지 센서(231, 232, 233) 각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 단일개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bstacle detection unit 230 may include first to third obstacle detection sensors 231, 232, and 233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center and the front of the drones 210. [ Here, each of the first to third obstacle detection sensors 231, 232, and 233 may include a single sensor or a plurality of sensor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230)는 상기 드론 본체(210) 상에 배치되는 것 이외에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bstacle sensing unit 230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except that it is disposed on the drones 210.

거리 감지부(240)는 상기 드론 본체(210)의 후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드론 본체(210)의 비행 중 사용자와의 거리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와 상기 드론 본체(210)의 거리가 일정 이상 멀어지거나 일정 이상 가까워지면 사용자가 상기 드론 본체(210)의 후방, 후방 좌측 또는 우방 우측으로 이격된 거리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The distance sensing unit 240 is disposed behind the dron main body 210 and continuously senses the distance to the user during the flight of the dron main body 21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ron main body 210 is constant The user may output a signal corresponding to a distance distanced from the rear of the drone main body 210 to the rear left side or the right side right side.

상기 거리 감지부(240)는 상기 드론 본체(210)의 후방 중앙과 후방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거리 감지 센서(241, 242, 2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tance sensing unit 240 may include first to third distance sensors 241, 242, and 243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center and the rear of the drone main body 2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 감지부(240)는 상기 드론 본체(210) 상에 배치되는 것 이외에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nce sensing unit 240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except that the distance sensing unit 240 is disposed on the drones 210.

상기 조종부(250)는 사용자가 휴대한다.The control unit 250 is carried by the user.

상기 조종부(250)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250 senses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as a radio signal.

상기 조종부(250)의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조종부(250)는 사용자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으로 보행하거나, 보행 중 방향을 전환하며 보행하면 이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250 senses the user when he / she is walking in a straight line forward or backward, or changes his / her direction while walking,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signal as a radio signal.

또한, 상기 조종부(250)는 사용자의 보행 속도도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250 may sense the user's walking speed and output a corresponding signal.

또한, 상기 조종부(250)는 사용자가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체를 일방향으로 기울이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면 이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tilting the upper body in one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tationary, the controller 250 may detect the operation and output a corresponding signal.

여기서, 상기 조종부(250)는 일반인이 휴대하며 전화 통화에 사용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ler 250 may include a smart phone carried by a general public and used for telephone conversation.

상기 조종부(250)로 사용되는 스마트폰은 자신의 보행 상황과 보행 방향을 감지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무선 출력하도록 하는 어플이 설치된다. The smartphone used as the control unit 250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for sensing the walking situation and the walking direction of the smartphone and wirelessly outputting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스마트폰은 내장되어 있는 중력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조종부(250)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전진, 후진, 방향 전환 및 자세 전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smartphone can detect the forward, backward, direction change, and posture change of a user carrying the control unit 250 using a built-in grav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scope sensor, and a motion sensor. In addition, a smartphone can output a signal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ed in a smartphone.

신호 수신부(264)는 상기 드론 본체(210)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조종부(250)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후술하는 상기 제어부(26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수신부(264)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receiving unit 264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drones 210 and receives a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250. The signal receiving unit 264 converts the radio signal into a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control unit 260, do. Here, the signal receiver 264 may include a Bluetooth module or a Wi-Fi module.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장애물 감지부(230)와 상기 거리 감지부(2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 본체(210) 전방의 장애물 출현을 감지하고, 상기 드론 본체(210)와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며, 감지 결과에 따른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260 receive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obstacle sensing unit 230 and the distance sensing unit 240 and senses the appearance of obstacles in front of the drones 210 using the signals, 210 and the user, and outpu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또한,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신호 수신부(264)를 통해 상기 조종부(2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60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250 through the signal receiver 264, detects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and outpu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제1 경고부(270A)는 상기 드론 본체(210) 전방으로 장애물 출현이 감지되거나, 상기 드론 본체(210)와 사용자간의 거리가 일정 이상으로 멀어지면, 상기 제어부(26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소정의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The first warning unit 270A detects the occurrence of an obstacle in front of the drones 210 o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s 210 and the user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outputs a predetermined warning signal.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경고부(270A)는 부저를 사용하였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알림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warning unit 270A uses a buzzer, but various notification mean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드론 본체(210)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BT)에 저장된 전원을 측정하는 상기 전원 측정부(270B)와 상기 제2 경고부(270C)를 더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power measuring unit 270B and the second warning unit 270C for measuring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BT disposed on the drone main body 210.

상기 전원 측정부(270B)는 상기 드론 본체(2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22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T)의 잔류 전원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잔류 전원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The power measuring unit 270B is disposed on the drone main body 210 and measures the amount of residual power of the battery BT that supplies power to the driving unit 220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residual power amount .

상기 제2 경고부(270C)는 상기 전원 측정부(270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BT)의 잔류 전원량이 일정 이하이면, 사용자에게 전원 부족을 경고한다.The second warning unit 270C warns the user of a power shortage if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B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by us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measuring unit 270B.

여기서, 상기 제2 경고부(270C)에서 전원 부족 경고의 기준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criterion of the power shortage warning in the second warning unit 270C may be set as follows.

배터리의 잔류 전원이 전체 용량의 30%이면 제1 값으로 하고, 배터리의 잔류 전원이 전체 용량의 10%이면 제2 값으로 상정하기로 한다.If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is 30% of the total capacity, the first value is assumed; if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is 10% of the total capacity, the second value is assumed.

본 실시예에서, 제1 값과 제2 값이 각각 배터리 용량의 30%와 10%로 설정되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value and the second value are set to 30% and 10%, respectively, of the battery capacity, but they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상기 제2 경고부(270C)는 상기 전원 측정부(270B)에 의해 측정된 전원량이 제1 값보다 작으면, 사용자에게 소정의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The second warning unit 270C outputs a predetermined warning signal to the user when the power amount measured by the power source measurement unit 270B is smaller than the first value.

이때, 사용자는 상기 조종부(250)를 조작하여 상기 드론 본체(210)를 착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operate the control unit 250 to land the drones 210.

상기 제2 경고부(270C)는 상기 전원 측정부(270B)에 의해 측정된 전원량이 제2 값보다 작으면, 사용자에게 소정의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조종부(250)로 착륙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조작없이도 상기 드론 본체(210)가 착륙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warning unit 270C outputs a warning signal to the user when the amount of power measured by the power measuring unit 270B is smaller than the second value and outputs a landing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250 So that the drone main body 210 can be landed without user's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드론 본체(2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The drone main body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follows.

사용자는 상기 조종부(250)의 동작을 개시한다. 이때, 상기 조종부(250)는 자신의 보행 상황과 보행 방향을 감지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무선 출력하도록 하는 어플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을 실행시킨다. 여기서,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은 사용자의 보행 상황에 해당하는 신호의 출력 제어, 드론 본체의 주행 상황을 알리고, 상기 제1 경고부(270A)의 경고음 발생 중지, 상기 드론 본체(210)의 동작 개시, 정지된 상기 드론 본체(210)의 동작 중지, 재개 등을 제어할 수 있다.The user start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5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50 is a smartphone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detecting a walking situation and a walking direction of the controller 250, and wirelessly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and the user executes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Here,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informs the output control of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alking situation of the user,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dron body, the stop of the alarm sound of the first warning unit 270A, And stopping or resuming operation of the drones 210 that are stopped.

사용자는 동작 스위치를 온(ON) 조작하여, 상기 드론 본체(210) 상에 배치된 배터리(BT)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드론 본체(210) 상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로 공급되도록 한다.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to turn on the power so tha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BT disposed on the drones 210 is supplied to the components arranged on the drones 210. [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 경고부(270A)에서는 소정의 음을 발생시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드론 본체(210)의 동작이 개시됨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 본체(210)의 동작 개시와 함께 소정의 동작 LED가 점등되고, 상기 드론 본체(21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점등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e first warning unit 270A generates a predetermined sound to inform that the operation of the drones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rted. In addition, a predetermined operation LED is turned on with the start of operation of the drone main body 210, and the lighting state can be maintained while the operation of the drone main body 210 is performed.

상기 드론 본체(210)는 소정의 고도(예를 들어 2m)로 부상한 상태에서 사용자보다 일정 거리(예를 들어 1m 20cm) 앞서서 소정의 속도로 전방을 향하여 비행한다. The drone main body 210 is forwarded at a predetermined speed ahead of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 m 20 cm) from the user in a floating state at a predetermined altitude (for example, 2 m).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드론 본체(210) 보다 후방에서 상기 드론 본체(210)을 따라 보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드론 본체(210)의 비행 고도와 상기 드론 본체(210)와 사용자와의 거리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is allowed to walk along the drones 210 from behind the drones 210. At this time, the flight altitude of the drones 2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s 210 and the user can be variously set as needed.

상기 드론 본체(210)의 비행 중, 상기 장애물 감지부(230)와 상기 거리 감지부(24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260)가 동작한다. During the flight of the drone main body 210, the controller 260 operates according to signals output from the obstacle sensing unit 230 and the distance sensing unit 240.

여기서, 제어부(260)의 동작은 이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어부(160)의 동작과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60 will not be described in the same way a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60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상기 드론 본체(2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22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T)의 잔류 전원량은 전원 측정부(270A)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전원 측정부(270B)는 측정된 잔류 전원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The residual power amount of the battery BT disposed on the drone main body 210 and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220 is measured by the power measuring unit 270A and the power measuring unit 270B measures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idual power source amount.

상기 제2 경고부(270C)는 상기 전원 측정부(270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BT)의 잔류 전원량이 전체 전원량의 일정 이하(예를 들어 30%)이면, 사용자에게 전원 부족을 1차로 경고한다. 제1 경고가 이루어지는 배터리(BT)의 잔류 전원량은 상기 드론 본체(210)의 비행은 가능하지만 비행 가능 시간이 1~2분 이내인 경우로 설정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비행 가능 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If the residual power of the battery BT is equal to or less than a certain amount of power (for example, 30%) us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measuring unit 270B, . The remaining amount of power of the battery BT in which the first warning is made can be set to a case where the dragon body 210 can fly but the available flight time is within 1 to 2 minutes, Can be variously set.

사용자는 제1 경고가 출력된 후, 상기 드론 본체(210)를 착륙시키고, 배터리 교환 또는 충전을 수행한 후 다시 비행을 재개시킬 수 있다. After the first warning is output, the user can land the drones 210, perform battery replacement or charging, and then restart the flight again.

제1 경고가 출력된 상태에서도, 비행이 계속 이루어지는 경우 다음과 같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Even when the first warning is output, if the flight continues, the follow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상기 전원 측정부(270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BT)의 잔류 전원량이 전체 전원량의 일정 이하(예를 들어 10%)이면, 상기 제2 경고부(270C)는 사용자에게 전원 부족을 2차로 경고하고, 제어부(250)로 비상 착륙 신호를 출력한다.If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BT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power level (for example, 10%) us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measuring unit 270B, And outputs an emergency land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250. [

비상 착륙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250)는 상기 구동부(22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이동에 관계없이 상기 드론 본체(210)가 지면에 착륙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250 receiving the emergency landing signal controls the driving unit 220 to cause the dron main body 210 to land on the ground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user.

여기서, 제2 경고가 이루어지는 배터리(BT)의 잔류 전원량은 상기 드론 본체(210)의 비행은 가능하지만 비행 가능 시간이 10 ~ 20 초 이내인 경우로 설정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비행 가능 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residual power of the battery BT in which the second warning is issued can be set to a case where the dragon main body 210 can fly but the availble time is within 10 to 20 seconds, Can be set variously according to tim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카메라(202)가 탑재되고, 사용자를 따라 함께 이동하는 드론이 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it can be seen that the camera 202 is loaded and a dron that moves along with the user is disclosed.

도 11에 도시된 드론은, 탑재된 카메라(202)가 사용자를 향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보다 선행하여 비행하면서 사용자의 모습을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동은 상기 조종부(250)에 의해 감지된다. The drones shown in FIG. 11 can continuously photograph the user's state while flying on the fly ahead of the user while the mounted camera 202 is facing the user, and the movement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250 .

드론은 상기 조종부(25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속도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종부(250)가 사용자의 상체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신체를 기울이는 등의 자세 전환을 수행하면 상기 조종부(250) 상의 모션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므로, 드론은 사용자가 신체를 기울이는 등의 자세 전환에 대응하면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The drones can mov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speed of the user sensed by the control unit 250.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250 is disposed on the upper body of the user and the user performs an attitude change such as tilting the body, the motion sensor on the controller 250 detects the motion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The drone can perform shooting while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change such as tilting the us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는 스토커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cker.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인 스토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스토커 본체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의 배치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ocker, which is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state of constituent elements arranged in the stocker main body.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300)는 스토커 본체(310), 구동부(320), 장애물 감지부(330), 거리 감지부(340), 조종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장치(300)는 전원 측정부(370B), 제1 경고부(370A) 및 제2 경고부(370C)를 포함한다.12 and 13, a mobile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cker main body 310, a driving unit 320, an obstacle sensing unit 330, a distance sensing unit 340, (350) and a control unit (360).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measuring unit 370B, a first warning unit 370A, and a second warning unit 370C.

여기서,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and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구동부(320)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스토커 본체(310)가 일정 높이로 부상되도록 한다. The driving unit 320 causes the stocker body 310 to float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using a magnetic force.

구동부(320)는 스토커 본체(3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제1 전자석(322A)을 포함하는 레일(320A)과 스토커 본체(3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전자석에 대응하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2 전자석(322B)을 복수로 포함하는 본체 부상부(320B)를 포함한다. The driving unit 320 includes a rail 320A disposed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stocker main body 310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magnets 322A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magnets 323 disposed below the stocker main body 310, And a main body lifting unit 320B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magnets 322B for generating the second electromagnets 322B.

레일(320A)에 배치된 제1 전자석(322A)과 본체 부상부(320B) 상의 제2 전자석(322B)은 서로 척력으로 작용하는 자력을 발생시켜, 스토커 본체(310)가 레일(320A) 상에서 소정의 높이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electromagnet 322A disposed on the rail 320A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322B disposed on the main body floating portion 320B generate a magnetic force acting repulsively against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floated.

또한, 본체 부상부(320B)에 의해 스토커 본체(310)가 부상한 상태에서, 제1 전자석(322A)과 제2 전자석(322B)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스토커 본체(310)가 레일(320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electromagnet 322A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322B is sequentially changed in the state where the stocker main body 310 is lifted by the main body lifting portion 320B, Can move along the rail 320A.

스토커 본체(310)가 자기 부상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stocker body 310 moves in a state of being magnetically levitated, it is a well-known techniqu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토커(300)의 동작은 소정 높이로 부상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 이외에는 이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카트 본체(11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stocker 300 configured as above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cart body 110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except that it moves in a floating state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스토커(300)는 카세트 보관 시스템의 선반을 따라 배치된 레일(320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Such a stocker 300 may move along a rail 320A disposed along the shelf of the cassette storage system.

사용자는 레일(320A)을 따라 이동하며 자기부상 스토커(300)에 적재된 화물을 카세트 보관 시스템의 선반에 옮기거나, 카세트 보관 시스템의 선반에서 자기부상 스토커(300)로 화물을 옮길 수 있다. The user can move along the rail 320A and transfer the cargo loaded in the maglevor stocker 300 to the shelf of the cassette storage system or the cargo from the shelf of the cassette storage system to the maglevor stocker 30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200, 300: 이동 장치
110: 카트 본체 210: 드론 본체
310: 스토커 본체
120, 220, 320 : 구동부
130, 230, 330: 장애물 감지부
140, 240, 340: 거리 감지부
150, 250, 350: 조종부
160, 260, 360: 제어부
164, 264, 364: 신호 수신부
170, 270A, 370A: 제1 경고부
100, 200, 300: Mobile device
110: Cart body 210: Drone body
310: Stocker main body
120, 220, 320:
130, 230, and 330: an obstacle detection unit
140, 240 and 340:
150, 250, 350:
160, 260, 360:
164, 264, and 364:
170, 270A, and 370A:

Claims (23)

본체;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거리 감지부;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 신호와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및 자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는 조종부;
상기 조종부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동작에 해당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
main body;
A driving unit disposed on the main body to generate a driving force to move the main body;
A distance sensing unit disposed on the body and measuring a distance of the user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A controller which is carried by the user and senses a driving signal of the driving unit and a moving direction, a moving speed and an attitude of the user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wirelessly;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converting the received radio signal into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and outputting the signal; And
A controlle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receiver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용 바퀴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oper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driving wheel rotated by the mo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용 바퀴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제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동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unit includes:
And braking means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s by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와,
상기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oper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propeller that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면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전자석을 포함하는 레일과,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자석에 대하여 척력을 발생시켜 상기 본체가 상기 레일 상에서 부상되도록 하는 제2 전자석을 복수로 포함하는 본체 부상부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ncludes:
A rail disposed on the ground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omagnets,
And a body lifting portion disposed on the body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magnets for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with respect to the first electromagnets to cause the body to float on the rails.
제2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이동 속도를 일정 이하로 제한하는 이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or 5,
Wherein,
Wherein the moving speed of the main body is limited to a certain level or les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애물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n obstacle detection unit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detecting an obstacle in front of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 중앙과 전방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장애물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bstacle detection unit
And first to third obstacle detection sensors disposed on the front center and front sides of the main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초음파 센서, 광센서 및 영상 출력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bstacle sensing unit includes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and a video output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감지부는,
상기 본체의 후방 중앙과 후방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sensing unit may include:
And first to third distance sensing sensors disposed at both the rear center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감지부는,
초음파 센서, 광센서 및 영상 출력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stanc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ultrasound sensor, an optical sensor, and a video output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obile device including a smart phon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mobile device for outputting a signal by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거나, 상기 거리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본체의 거리가 일정 이상 멀어지면 이를 경고하는 제1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first warning unit for warning an obstacle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by the obstacle sensing unit or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main body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distance sensing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감지부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본체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이동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stop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by the obstacle sensing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본체의 거리가 일정 이상으로 멀어지면, 상기 본체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이동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stop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main body is distant from the main body by the distance detection unit.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정지된 상기 본체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재개시키는 이동 장치.
1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Wherein,
And resume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body is moved by the u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종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이동이 일정 시간 동안 정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동수단의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이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of the user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control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is stopp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동수단의 동작 해제에 의해 정지된 상기 본체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So that movement of the main body stopp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means and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means is per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의 잔류 전원량을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측정부와,
상기 전원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잔류 전원량이 제1 값 이하이면 이를 경고하는 제2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power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residual power amount of the battery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And a second warning unit for alerting the user if the residual power amount is equal to or less than a first value by an output signal of the power measuring uni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값은 상기 배터리 용량의 30%에 해당하는 이동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first value corresponds to 30% of the battery capacity.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고부는,
상기 전원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량이 제2 값 이하이면,
상기 본체가 착륙하도록 상기 제어부로 비상 착륙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second warning unit comprises:
If the power supply amoun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value by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supply measuring unit,
And outputs an emergency land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main body landing.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값은 상기 배터리 용량의 10%에 해당하는 이동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And the second value corresponds to 10% of the battery capacity.
KR1020180005538A 2017-08-28 2018-01-16 Vehicle KR2019002456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8825 2017-08-28
KR1020170108825 2017-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565A true KR20190024565A (en) 2019-03-08

Family

ID=6580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538A KR20190024565A (en) 2017-08-28 2018-01-16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456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570B1 (en) * 2020-01-31 2021-07-23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stroller and smart care system using the same
KR20220014490A (en) * 2020-07-29 2022-02-07 모터싱스 주식회사 Smart moving device and mov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570B1 (en) * 2020-01-31 2021-07-23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stroller and smart care system using the same
KR20220014490A (en) * 2020-07-29 2022-02-07 모터싱스 주식회사 Smart moving device and mov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5836B2 (en) Electric luggage
CN110177742B (en) Landing and payload loading structure
JP5099772B2 (en) Wheelchair drive device
JP6420981B2 (en)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system
CN111491824B (en) Delivery location recharging method and device during air transport mission
CN109204830B (en) Cart for movement along a surface and method for moving a cart along a surface
KR101738134B1 (en) Apparatus for conveying product and method thereof
US10751232B1 (en) Mobile application-controlled undercarriage
KR20190024565A (en) Vehicle
US20220107639A1 (en) Automatic traveling vehicle and storage facility thereof
US11542006B2 (en) Galley cart assembly and an aircraft that utilizes the galley cart assembly
JP2017125609A (en) platform
JP2011042248A (en) Platform cart with driving device
US20220153180A1 (en) Automatic traveling cart
JP6376580B1 (en) Drone cart and drone cart unit
JP7302554B2 (en) stand-up vehicle
US10569795B2 (en) Auxiliary transport vehicle, auxiliary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uxiliary transport vehicle
JP2022100650A (en) Cargo conveyance system, cargo conveyance method, and cargo conveyance program
EP3085600B1 (en) Motor driven shopping trolley
US20210382498A1 (en) Mobility assist apparatus and method
CA3132143C (en) Integrated systems for passenger bus
US20230168680A1 (en) Moving body control device, moving bod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ent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8284866A (en) Motor-driven shopping cart
JP2018187949A (e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