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277A -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 - Google Patents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277A
KR20190024277A KR1020170111103A KR20170111103A KR20190024277A KR 20190024277 A KR20190024277 A KR 20190024277A KR 1020170111103 A KR1020170111103 A KR 1020170111103A KR 20170111103 A KR20170111103 A KR 20170111103A KR 20190024277 A KR20190024277 A KR 20190024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ring
diameter portion
ring
diamet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472B1 (ko
Inventor
정봉구
차철환
백혜연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유)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to KR102017011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4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 F16C19/181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41Ball cages comb-shaped
    • F16C33/412Massive or moulded comb cages, e.g. snap ball cages
    • F16C33/414Massive or moulded comb cages, e.g. snap ball cages formed as one-piece cages, i.e. monoblock comb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은 내경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외륜궤도와, 외륜궤도의 축방향 일측으로 구비되며 외륜궤도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외륜소경부와, 외륜궤도를 사이에 두고 외륜소경부의 반대쪽으로 위치하며 외륜소경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외륜대경부를 구비하는 외륜과;
외경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내륜궤도와, 내륜궤도의 축방향 일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외륜소경부와 마주하는 내륜소경부와, 내륜궤도를 사이에 두고 내륜소경부의 반대쪽으로 위치하며 내륜궤도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외륜대경부와 마주하는 내륜대경부를 구비하는 내륜과;
상기 외륜궤도와 내륜궤도 사이에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전동체인 복수의 볼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구비되어 복수의 볼의 원주 방향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작용하는 케이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륜대경부의 내경 측에는 외륜이 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안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An Angular Contact Ball Bearing}
본 발명은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후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윤활성이 향상되며, 케이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베어링 장치는 외륜(1)과, 내륜(2)과, 2개의 볼 림(3, 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륜(1)의 내경면에는 축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트랙이 형성된다. 상기 트랙은 서로 상이한 피치원 반경을 갖는다. 외륜(1)에 형성된 트략 중 피치원 반경이 큰 쪽을 '대경부측'이라 하고, 작은 쪽을 '소경부측'이라고 한다.
상기 내륜(2)의 외경면에는 축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트랙이 형성된다. 상기 트랙은 서로 상이한 피치원 반경을 갖는다. 내륜(2)에 형성된 트랙 중 피치원 반경이 큰 쪽을 '대경부측'이라 하고, 작은 쪽을 '소경부측'이라고 한다. 상기 외륜(1)의 대경부측 트랙과 내륜(2)의 대경부측 트랙은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며, 외륜(1)의 소경부측 트랙과 내륜(2)의 소경부측 트랙은 서로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2개의 볼 림(3, 4)은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대경부측 트랙과 소경부측 트랙 상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볼 림(3, 4)은 대경부측에 구비된 볼 림을 제1 볼림(4)이라 하고, 소경부측에 구비된 볼 림을 제2 볼림(3)이라고 한다. 상기 제1 볼림(4)은 제2 볼림(3)보다 피치원 반경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볼림(4)은 제1 베어링 볼(4.1)과 제2 케이지(4.2)로 이루어지며, 제2 볼 림(3)은 제 2베어링 볼(3.1)과 제2 케이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케이지(4.2)와 제2 케이지(3.2)에는 각각 홀딩 부재(3.3, 4.3)가 구비된다. 상기 홀딩 부재(3.3, 4.3)는 제1 베어링볼(4.1)과 제2 베어링 볼(3.1)이 케이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륜(1)과 내륜(2)에는 쇼울더(1.1, 1.2, 2.1, 2.2)가 구비된다. 상기 쇼울더(1.1, 1.2, 2.1, 2.2)에는 베어링 볼(3.1, 4.1)이 인접하여 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제1 케이지(4.2)의 단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1 홀딩 노우즈(4.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홀딩 노우즈(4.4)는 외륜(1)에 형성된 제1 홈(1.3)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제1 케이지(4.2)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스페이서(4.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페이서(4.5)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페이서(4.5)는 베어링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제2 케이지(3.2)의 단부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케이지(4.2)의 제1 스페이서(4.5)는 외륜(1)의 트랙과 관련하여 제2 볼 림(3)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2 케이지(3)의 축 방향 이동을 저지한다.
도 3은 제2 볼 림(3)이 내륜(2) 상에 지지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 베어링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제2 케이지(3.2)의 단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 홀딩 노우즈(3.4)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홀딩 노우즈(3.4)는 내륜(2)에 형성된 제2 홈(2.3)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제2 케이지(3.2)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2 스페이서(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페이서(3.5)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페이서(3.5)는 베어링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제1 케이지(4.2)의 단부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케이지(3.2)의 제2 스페이서(3.5)는 내륜(2)의 트랙과 관련하여 제1 볼 림(4)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1 케이지(4.2)의 축 방향 이동을 저지한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562732호
본 발명은 앵귤러 컨택트 볼베어링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조립후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윤활성이 향상되며, 케이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은 내경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외륜궤도와, 외륜궤도의 축방향 일측으로 구비되며 외륜궤도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외륜소경부와, 외륜궤도를 사이에 두고 외륜소경부의 반대쪽으로 위치하며 외륜소경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외륜대경부를 구비하는 외륜과;
외경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내륜궤도와, 내륜궤도의 축방향 일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외륜소경부와 마주하는 내륜소경부와, 내륜궤도를 사이에 두고 내륜소경부의 반대쪽으로 위치하며 내륜궤도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외륜대경부와 마주하는 내륜대경부를 구비하는 내륜과;
상기 외륜궤도와 내륜궤도 사이에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전동체인 복수의 볼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구비되어 복수의 볼의 원주 방향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작용하는 케이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륜대경부의 내경 측에는 외륜이 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안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외륜대경부의 내경에는 오목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링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방지안내부재는 링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분리방지안내부재는 링상의 안내부재본체와, 상기 안내부재본체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부재본체는 볼을 향하는 방향에 오목하게 만곡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외륜대경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외륜대경부내경면과, 상기 외륜대경부내경면의 축방향 외측에 구비되며 축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하는 외륜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륜대경부내경면에 오목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링상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방지안내부재는 링상으로 형성되는 안내부재본체와, 상기 안내부재본체의 외경면에 반경 방향 외향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재본체의 외경면은 외륜대경부내경면에 접하여 구비되며, 볼을 향하는 방향에 오목하게 만곡된 원호형이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안내부재본체의 내경면에는 반경 방향 내향 돌출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단부가 케이지의 외경면과 마주하여 이격된 본체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걸림홈은 외륜지지부와 외륜걸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륜지지부는 축방향 외향할수록 지름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외륜걸림부는 외륜지지부의 축방향 외측 단부에서 외륜대경부내경면까지 반경 방향 내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는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외륜지지부에 접하는 경사진 삽입돌기지지면과 삽입돌기지지면의 축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외륜걸림부에 접하는 삽입돌기걸림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걸림홈은 축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도 축방향으로 걸림홈의 개수만큼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안내면에는 오목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본체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안내면에는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어 엠보싱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은 윤활 성능이 향상되며, 조립 후 분리되지 않으며, 케이지의 흔들림이 억제되어 소음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 는 외륜의 홈 내부에 결합된 홀딩 노우즈를 구비한 종래 베어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내륜의 홈 내부에 결합된 홀딩 노우즈를 구비한 종래 베어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4의 "B"부를 확대 도시 변형 예이며,
도 7은 도 5의 내측에서 도시한 일부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4의 "B"부를 확대 도시 변형 예이며, 도 7은 도 5의 내측에서 도시한 일부 측면도이다.
도 4에서 가로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고, 세로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 하며, 내륜에서 외륜을 향하는 방향을 "반경 방향 외향"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반경 방향 내향"이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100)은 외륜(110)과, 내륜(120)과, 볼(130)과, 케이지(140)와, 분리방지안내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륜(110)은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외륜(110)에는 외륜궤도(111)가 형성되며, 외륜소경부(115)와 외륜대경부(113)가 구비된다.
상기 외륜궤도(111)는 상기 외륜(110)의 내경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외륜궤도(111)는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외륜궤도(111)가 복수로 형성된 경우, 상기 외륜궤도(111)는 서로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륜궤도(111)가 2개 구비되는 경우 외륜궤도(111)는 외륜궤도(111)의 궤도 지름이 같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외륜궤도(111)의 궤도 지름이 타측 외륜궤도(111)의 궤도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륜소경부(115)는 상기 외륜궤도(111)의 축 방향 일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외륜소경부(115)는 상기 외륜궤도(11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륜대경부(113)는 상기 외륜궤도(11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륜소경부(115)의 반대쪽으로 위치한다. 상기 외륜대경부(113)는 상기 외륜소경부(115)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륜궤도(111)가 복수로 구비되고 일측 외륜궤도(111)의 궤도 지름이 타측 외륜궤도(111)의 궤도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외륜대경부(113)는 궤도 지름이 큰 외륜궤도(111)의 축 방향 외측에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륜대경부(113)에는 외륜대경부내경면(1131)과, 외륜가이드부(1137)와,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외륜대경부내경면(1131)은 상기 외륜대경부(113)의 내경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륜가이드부(1137)는 상기 외륜대경부내경면(1311)의 축 방향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외륜가이드부(1137)는 외륜대경부대경면(1311)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륜가이드부(1137)는 분리방지안내부재(15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외륜대경부내경면(1131)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외륜대경부내경면(1131)에 오목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은 외륜지지부(1135)와 외륜걸림부(1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륜지지부(1135)는 축 방향 외향할수록 지름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외륜걸림부(1133)는 상기 외륜지지부(1135)의 축 방향 외측 단부에서 외륜대경부내경면(1131)까지 반경 방향 내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에는 분리방지안내부재(150)의 안내부삽입돌기(153)가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내륜(120)은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내륜(120)에는 내륜궤도(121)가 형성되며, 내륜소경부(125)와 내륜대경부(123)가 구비된다.
상기 내륜궤도(121)는 상기 내륜(120)의 외경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내륜궤도(121)는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내륜궤도(121)가 복수로 형성된 경우, 상기 내륜궤도(121)는 서로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륜궤도(121)와 외륜궤도(111)는 서로 같은 개수로 구비된다. 상기 내륜궤도(121)와 외륜궤도(111)는 각각 1개씩 구비될 수도 있고,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내륜궤도(121)가 2개 구비되는 경우 내륜궤도(121)는 내륜궤도(121)의 궤도 지름이 같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내륜궤도(121)의 궤도 지름이 타측 내륜궤도(121)의 궤도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륜소경부(125)는 상기 내륜궤도(121)의 축 방향 일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내륜소경부(125)는 상기 외륜소경부(115)와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내륜소경부(125)는 상기 내륜궤도(12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륜궤도(121)가 복수로 형성된 경우, 상기 내륜소경부(125)는 내륜소경부(125) 쪽에 위치한 내륜궤도(12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륜대경부(123)는 상기 내륜궤도(121)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륜소경부(125)의 반대쪽으로 위치한다. 상기 내륜대경부(123)는 상기 외륜대경부(113)와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내륜대경부(123)는 상기 내륜소경부(125)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륜궤도(121)가 복수로 구비되고 일측 내륜궤도(121)의 궤도 지름이 타측 내륜궤도(121)의 궤도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내륜대경부(123)는 궤도 지름이 큰 내륜궤도(111)의 축 방향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볼(130)은 상기 외륜궤도(111)와 내륜궤도(12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볼(130)은 전동체이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케이지(140)는 상기 내륜(120)과 외륜(11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케이지(140)는 상기 내륜(120)과 외륜(110) 사이에서 복수의 볼(130)의 원주 방향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작용한다. 상기 외륜궤도(111)와 내륜궤도(121)가 2개 형성된 경우, 상기 케이지(140)는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 구비되며, 축 방향 내측 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분리방지안내부재(150)는 상기 외륜대경부(113)의 내경 측에 구비된다. 상기 분리방지안내부재(150)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분리방지안내부재(150)는 상기 외륜대경부(113)의 내경 측에 구비되어 외륜(110)이 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방지안내부재(150)는 안내부재본체(151)와 삽입돌기(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부재본체(151)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본체(151)는 외경면인 본체지지면(1513)이 외륜대경부내경면(1131)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본체(151)의 내경은 상기 외륜소경부(115) 쪽에 위치한 외륜궤도(11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재본체(151)의 축 방향 내측에는 안내면(1511)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면(1511)은 볼(130)을 향하는 방향에 오목하게 만곡 형성된다. 상기 안내면(1511)은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어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안내면(1511)은 볼(130)의 단면의 원호와 동심을 이루어 단면이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153)는 상기 안내부재본체(151)의 외경면에 구비된다. 상기 삽입돌기(153)는 상기 안내부재본체(151)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 돌출 구비된다. 상기 삽입돌기(153)는 상기 외륜대경부(113)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 구비된다.
상기 삽입돌기(153)는 반경 방향 외향 돌출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153)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 경우, 삽입돌기(153)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걸림홈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153)는 삽입돌기지지면(1535)과 삽입돌기걸림면(15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돌기지지면(1535)는 축 방향 외향할수록 지름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지지면(1535)는 상기 외륜지지부(1135)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삽입돌기걸림면(1533)은 상기 삽입돌기지지면(1535)의 축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삽입돌기걸림면(1533)은 상기 삽입돌기지지면(1535)의 축 방향 외측 단부에서 안내부본체(151)의 본체지지면(1513)까지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걸림면(1533)은 상기 외륜걸림부(1133)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삽입돌기(1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걸림홈은 상기 삽입돌기(153)의 개수만큼 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분리방지안내부재(150)는 축 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외륜가이드부(1137)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걸림홈에 삽입되고, 삽입돌기걸림면(1533)이 외륜걸림부(1133)에 걸리어 고정된다.
상기 안내부재본체(151)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본체(151)의 상기 안내면(1511)에 오목한 본체요홈(15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요홈(1515)은 오목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그리스 윤활에서 상기 본체요홈(1515)은 베어링이 회전하여 윤활유가 소경부 쪽에서 대경부쪽으로 유동될 때 윤활유가 본체요홈(1515)에 머무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스가 본체요홈(1515)에 머무르며 볼(130)에 그리스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본체요홈(1515)은 관통된 본체홀로 형성될 수 있다. 오일 윤활에서 안내부재본체(151)에 관통된 본체홀이 형성됨으로써 본체홀을 통하여 오일이 유동함으로써 안내부재본체(151)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일 유동의 저항이 감소하여 오일 윤활이 활성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홀은 축방향으로는 관통하며 반경 방향 내향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홀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홀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는 외륜대경부내경면(1131)에 인접하여 본체홀이 형성된 부분의 안내부재본체(151)의 두께는 얇게(예를 들면 1㎜) 형성된다. 본체홀이 형성된 부분의 안내부재본체(151) 두께가 얇게 형성됨으로써 안내부재본체(151)에 의한 오일 유동의 저항이 감소 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1511)에는 돌출된 복수의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엠보싱 형상을 이루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안내면(1511)에 구비된 엠보싱 형상의 돌기는 윤활유가 돌기에 부딛혀 축 방향 내측으로 다시 유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부재본체(151)의 내경면에는 본체돌기(155)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돌기(155)는 안내부재본체(151)의 내경면에서 반경 방향 내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본체돌기(155)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돌기(155)는 단부가 케이지(140)의 외경면과 마주하여 이격 구비된다. 상기 본체돌기(155)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돌기(155)는 축 방향 두께가 안내부재본체(151) 내경면의 축 방향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돌기(155)는 베어링 회전시 케이지(140)의 흔들림을 잡아주어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된다.
상기 분리방치안내부재(150)가 구비됨에 따라 베어링 조립 후 분리되지 않으며, 케이지의 흔들림이 억제되어 소음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
110 : 외륜 111 : 외륜궤도
113 : 외륜대경부 115 : 외륜소경부
120 : 내륜 121 : 내륜궤도
123 : 내륜대경부 125 : 내륜소경부
130 : 볼 140 : 케이지
150 : 분리방지안내부재 151 : 안내부본체
153 : 안내부삽입돌기 155 : 본체돌기

Claims (6)

  1. 내경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외륜궤도(111)와, 외륜궤도(111)의 축방향 일측으로 구비되며 외륜궤도(11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외륜소경부(115)와, 외륜궤도(111)를 사이에 두고 외륜소경부(115)의 반대쪽으로 위치하며 외륜소경부(115)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외륜대경부(113)를 구비하는 외륜(110)과;
    외경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내륜궤도(121)와, 내륜궤도(121)의 축방향 일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외륜소경부(115)와 마주하는 내륜소경부(121)와, 내륜궤도(121)를 사이에 두고 내륜소경부(121)의 반대쪽으로 위치하며 내륜궤도(12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외륜대경부(113)와 마주하는 내륜대경부(123)를 구비하는 내륜(120)과;
    상기 외륜궤도(111)와 내륜궤도(121) 사이에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전동체인 복수의 볼(130)과;
    상기 내륜(120)과 외륜(110) 사이에 구비되어 복수의 볼(130)의 원주 방향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작용하는 케이지(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륜대경부(113)의 내경 측에는 외륜(110)이 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안내부재(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대경부(113)의 내경에는 오목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링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방지안내부재(150)는 링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안내부재(150)는 링상의 안내부재본체(151)와, 상기 안내부재본체(151)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53)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부재본체(151)는 볼(130)을 향하는 방향에 오목하게 만곡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면(15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100).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대경부(113)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외륜대경부내경면(1131)과, 상기 외륜대경부내경면(1131)의 축 방향 외측에 구비되며 축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하는 외륜가이드부(1137)를 구비하며, 상기 외륜대경부내경면(1131)에 오목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링상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방지안내부재(150)는 링상으로 형성되는 안내부재본체(151)와, 상기 안내부재본체(151)의 외경면에 반경 방향 외향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53)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재본체(151)의 외경면은 외륜대경부내경면(1131)에 접하여 구비되며, 볼(130)을 향하는 방향에 오목하게 만곡된 원호형이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면(15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100).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1511)에는 오목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본체요홈(15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100).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1511)에는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어 엠보싱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100).
KR1020170111103A 2017-08-31 2017-08-31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 KR101976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103A KR101976472B1 (ko) 2017-08-31 2017-08-31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103A KR101976472B1 (ko) 2017-08-31 2017-08-31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277A true KR20190024277A (ko) 2019-03-08
KR101976472B1 KR101976472B1 (ko) 2019-05-10

Family

ID=6580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103A KR101976472B1 (ko) 2017-08-31 2017-08-31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190A (ko) 2020-05-28 2021-12-07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구름 베어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4100A (ja) * 1999-06-01 2000-12-12 Nsk Ltd 鉄道車両駆動装置用転がり軸受装置
JP2004116585A (ja) * 2002-09-24 2004-04-15 Koyo Seiko Co Ltd ころ軸受
KR100562732B1 (ko) 2002-05-10 2006-03-20 이나-쉐플러 카게 2열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
JP2010101369A (ja) * 2008-10-22 2010-05-06 Ntn Corp 転がり軸受
JP4715745B2 (ja) * 2004-03-11 2011-07-0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斜接型複列玉軸受およびピニオン軸支持用軸受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4100A (ja) * 1999-06-01 2000-12-12 Nsk Ltd 鉄道車両駆動装置用転がり軸受装置
KR100562732B1 (ko) 2002-05-10 2006-03-20 이나-쉐플러 카게 2열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
JP2004116585A (ja) * 2002-09-24 2004-04-15 Koyo Seiko Co Ltd ころ軸受
JP4715745B2 (ja) * 2004-03-11 2011-07-0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斜接型複列玉軸受およびピニオン軸支持用軸受装置
JP2010101369A (ja) * 2008-10-22 2010-05-06 Ntn Corp 転がり軸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472B1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9047C2 (ru) Самоустанавливающийся подшипник качения и сепаратор для самоустанавливающегося подшипника качения
CN108397476B (zh) 滚珠轴承
KR101757095B1 (ko) 조향 칼럼 지지 베어링
JP6717028B2 (ja) 玉軸受
EP2994656B1 (en) Spherical roller bearing cage with cylindrical guidance contact surfaces and inward flange turned radially outward
CN106979232B (zh) 滚子轴承
JP4946881B2 (ja) 転がり軸受
JP2007113592A (ja) 合成樹脂製転がり軸受用保持器及び転がり軸受
WO2020054758A1 (ja) 車輪用軸受装置
CN108626251B (zh) 滚动轴承
KR101976472B1 (ko) 앵귤러 컨택트 볼 베어링
KR20190115374A (ko) 테이퍼 롤러 베어링
JP2018194040A (ja) スラストころ軸受用保持器及びスラストころ軸受
JP7142629B2 (ja) アンギュラ玉軸受保持器およびアンギュラ玉軸受
JPH074439A (ja) 高速アンギュラ玉軸受
JP2012219994A (ja) ころがり軸受
JP2000320558A (ja) ころ軸受用合成樹脂製保持器
JP2018135957A (ja) 円すいころ軸受
JP7243278B2 (ja) 傾斜型保持器及びアンギュラ玉軸受
WO2020196172A1 (ja) 自動調心ころ軸受
JPH10318264A (ja) ころ軸受用合成樹脂製保持器
KR20170093707A (ko) 롤러 베어링
JP2019173918A (ja) 四点接触玉軸受およびそれに用いる玉軸受用保持器
JP2017141876A (ja) 転がり軸受
JP2007327518A (ja) 円筒ころ軸受および円筒ころ軸受用保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