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616A - 분리 메커니즘을 구비한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분리 메커니즘을 구비한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616A
KR20190022616A KR1020197000290A KR20197000290A KR20190022616A KR 20190022616 A KR20190022616 A KR 20190022616A KR 1020197000290 A KR1020197000290 A KR 1020197000290A KR 20197000290 A KR20197000290 A KR 20197000290A KR 20190022616 A KR20190022616 A KR 20190022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implant
membrane
loops
separa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293B1 (ko
Inventor
한스 행크스
헤르만 몬슈타트
랄프 한스
Original Assignee
페녹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녹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녹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22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68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 A61B17/1217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having a pre-set deployed three-dimension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68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 A61B17/12177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having a mesh structure comprising additional materials, e.g. thrombogenic, having filaments, having fibers or bein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29Material properties isolating electrical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64Material properties compo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61B2017/12054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 A61B2017/12063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electrolytically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61B2017/12054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 A61B2017/12068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detachable by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7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with a frangible part, e.g. by reduced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 분지(vascular branches)영역, 특히 분지 동맥류에서 혈관 동맥류(A)의 폐색(occlusion of aneurysms)에 사용되는 임플란트(1)로서, 임플란트가 혈관(Z) 내에 이식된 때 확장 상태에 있고 혈관을 관통하여 이동가능할 때 수축된 상태에 있으며, 임플란트가 그에 의하여 혈관 벽에 고정될 수 있는 근접 고정 섹션(proximal fixing section)(3)과, 고정 섹션에 대해 임플란트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고 동맥류의 내부 또는 전방에 식립되는 말단 섹션(distal section)(5), 및 고정 섹션(3)과 말단 섹션(5) 사이에 위치된 전이 섹션(transition section)(4)을 가지며, 고정 섹션(3)은 1차 분리점(6)을 통하여, 분리 방식으로 유도관 외피(2)에 연결되고, 전이 섹션(4)는 말단 섹션(5)이 분리되도록 하는 2차 분리점(7)을 갖는다. 본 발명은 관련 상황에 따라, 담당 의사가 1차 분리점(6) 또는 2차 분리점(7)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분리 메커니즘을 구비한 임플란트
본 발명은 혈관 분지(vascular branches)영역, 특히 분지 동맥류(bifurcation aneurysms)에서 혈관 동맥류의 폐색(occlusion of aneurysms)에 사용되는 임플란트로서, 상기 임플란트가 혈관 내에 이식된 때 확장 상태에 있고 혈관을 관통하여 이동가능할 때 수축 상태에 있으며, 상기 임플란트는, 그에 의하여 혈관 벽에 고정될 수 있는 근접 고정 섹션(proximal fixing section)과, 상기 고정 섹션에 대해 상기 임플란트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고 동맥류의 내부 또는 전방에 식립되는 말단 섹션(distal section), 및 고정 섹션과 말단 섹션 사이에 위치된 전이 섹션(transition section)을 가지며, 상기 고정 섹션은 1차 분리점을 통하여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유도관 외피(introducer sheath)에 부착되고 그리고 2차 분리점을 가지는 상기 전이 섹션에 의하여 상기 말단 섹션이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임플란트를 제 위치에 식립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동정맥 기형(Arteriovenous malformation)은 환자를 상당히 손상시키고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형이 대뇌 영역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발견될 때 특히 이것은 동맥류(aneurysms)에 적용된다. 보통 임플란트에 의하여 이러한 특성의 기형을 폐색하려고 시도된다. 대부분의 경우, 그러한 임플란트들은 카테터를 이용한 혈관내 방법(endovascular methods)에 의하여 식립된다.
특히 뇌 동맥류 치료에서, 백금 스파이럴 식립은 그 가치가 증명되었고, 상기 스파이럴은 동맥류를 다소간 완전히 채우고, 대체로 혈액 유입을 차단하고 국부 혈전(thrombus) 또는 응혈(clot)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서 동맥류를 충진하고 그리고 마침내 폐쇄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치료 방안은 단지 혈관 시스템, 소위 포도상 동맥류에 상대적으로 접근할 기회가 좁은 동맥류의 치료에 적합하다. 혈관에 대한 넓은 접근 기회를 가지는 혈관 융기부의 경우, 식립된 나선부 또는 코일들이 다시 밀어내져서 혈관 시스템의 다른 영역을 손상시키는 위험이 있다.
그러한 경우 동맥류의 구멍을 “바들(bars)", 이로써 폐색 코일들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스텐트를 식립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 그러한 스텐트들은 상대적으로 넓은 메시 벽을 가지도록 설계되고 일부 형태의 동맥류의 치료에 사용되었다.
혈관 가지, 특히 혈관 분지들은 아주 자주 발생하는 현상이다. 약한 혈관 벽의 경우, 동맥을 통해 흐르고 분지에서 전방 벽에 작용하는 혈류가 빠르게 추가로 팽창하기 쉬운 융기부 또는 부풀어짐부를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가끔, 그러한 분지 동맥류는 폐색 코일만으로 치료가 수행되도록 하는 넓은 목부(wide neck)를 가진다.
혈관 분지부 영역에서 동맥류 진입의 그러한 “바링(barring)"을 발생하기에 적합한 혈관 임플란트가, 예컨대, 국제특허 출원들 WO 2012/113554 A1 또는 WO 2014/029835 A1에서 개시되었다. 이어서 동맥류는 임플란트가 제 위치에 식립된 후에 폐색 코일을 삽입한 결과로서 해롭지 않게 될 수 있다. 임플란트 자체가 혈액 흐름으로부터 동맥류를 충분히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컨대, 임플란트는 동맥류 목부의 전방 또는 동맥류 목부 영역에 식립되는 멤브레인을 가질 수 있다. 유용하거나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면, 동맥류에의 혈액 유입은 또한 필라멘트들, 통상적으로 작은 직경의 와이어들에 의하여 폐색 코일 또는 다른 폐색 수단의 동맥류 내로의 추가 도입이 필요하지 않도록 감소될 수 있다.
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플란트는, 혈관 내에 임플란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본질적으로 종래의 스텐트 형태로 제공되는 근접 섹션(proximal section)을 가진다. 말단 섹션(distal portion or section)은 임플란트의 말단 단부에 구비되어 동맥류의 내부 또는 전방에 식립되게 하고 혈액 흐름으로부터 동맥류를 차단하고 및/또는 동맥류에 도입된 폐색 수단이 동맥류로부터 방출되고 혈관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중간 섹션(intermediate section)은 분지 혈관 내로의 혈액 흐름의 저해를 피하거나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예컨대 상대적으로 작은 밀도의 필라멘트들을 가지는 근접 섹션과 말단 섹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캐리어 혈관에 임플란트를 고정하도록 작용하는 샤프트-형상의 근접 섹션(proximal section)은 많은 경우 정맥류 전방에, 정맥류 입구 영역 또는 정맥류 자체에, 말단 섹션을 배치할 때 가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말단 섹션 자체가 이미 정맥류의 진입 영역에서 충분히 양호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또한 샤프트-형상 고정 섹션에 의하여 말단 섹션을 추가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들이 있다.
그러한 경우, 혈관 시스템 내에 고정 섹션을 유지하는 것은 실제로 필요하지 않다. 일반적인 경우, 추가적인 복잡함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모든 추가적으로 설치된 임플란트는 포함한다는 가정 아래 조작자는 진행할 수 있다. 특히, 혈관 구조에 따라, 너무 긴 고정 섹션은 식립동안 복잡성을 발생할 수 있다.
국제특허 출원 WO 2014/029835A1에 기재된 것과 같은 임플란트들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사가 보다 가변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특히 정맥류 전방, 정맥류 입구 또는 정맥류 내에, 말단 섹션만을 설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련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혈관 분지부, 특히 분지 동맥류(bifurcation aneurysms)에서 혈관 동맥류의 폐색을 위하여 사용되는 임플란트에 의하여 달성되고, 확장 상태에서 임플란트는 혈관 내에 식립되고 수축 상태에서 임플란트가 혈관을 통하여 이동가능한 임플란트에 의하여 달성되고, 임플란트는 혈관 벽에 임플란트가 그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근접 고정 섹션, 고정 섹션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확대되고 동맥의 전방 또는 내부에 식립하기 위한 말단 섹션과, 고정 섹션과 말단 섹션 사이에 위치된 전이 섹션을 가지며,
상기 고정 섹션은 1차 분리점을 통하여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유도관 외피(introducer sheath)에 부착되고 그리고 상기 전이 섹션은 상기 말단 섹션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2차 분리점을 가진다.
상기 고정 섹션과 상기 말단 섹션 사이의 상기 전이 섹션에서 2차 분리점을 생성하면, 담당 의사에게 추가적인 가능성을 제공한다. 통상의 임플란트 설치 공정 동안, 의사들은 1차 분리점에서 분리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샤프트-형상(shaft-like) 고정 섹션은 혈관 시스템 내에 유지하고 이와 같이 임플란트를 그의 희망 위치에 고정한다.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말단 섹션은 정맥류 전방 또는 정맥류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섹션에 의하여 제 위치에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 말단 섹션만이 정맥류 입구 또는 내부 또는 전방에 충분히 고정되고 상기 말단 섹션이 혈류에 의하여 씻겨나갈 위험은 없는 것으로 담당 의사가 판단하면, 의사는 또한 제2 분리점에서의 분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외적으로 상기 말단 섹션만이 혈관 시스템 내에 유지하고; 상기 유도관 외피는 상기 고정 섹션과 같이 후퇴되고 혈관 외부로 제거된다. 또한, 예컨대, 혈관의 과도한 뒤엉킴이나 분기관이 정맥류에 근접 위치된 것에 기인하여, 길다란 고정 섹션의 설치에 어려움을 발생할 것이 명백하면, 상기 말단 섹션을 예외적으로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는 바람직하게 형상 기억 소재로 제조된 자체-팽창성(self-expanding)임플란트이므로, 팽창 및 혈관 내벽에의 접촉은 그 자체 자동으로 발생한다. 대안적으로, 임플란트, 특히 스텐트 형상의 고정 섹션은, 또한 그 위에 고정 섹션이 설치되는 풍선의 도움으로, 또는 다른 기계적인 기술에 의하여 팽창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섹션은 레이저 컷팅으로 제조될 수 있는 스텐트 형상의 튜브 형 구조를 가지므로, 그들 사이에 개구들이 있는 웹들(webs)로 구성되는 표면이 달성된다. 더욱이, 더욱 유연하고 더욱 둥글게 하기 위하여 그들을 전기적으로 연마함으로써 웹들을 가공하여 그들을 덜 불쾌하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게 생각된다. 이는 또한 웹들에 세균과 다른 불순물이 부착할 위험을 감소시킨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튜브 형상 구조는 또한 메시 구조를 형성하는 와이어 브레이딩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들은 통상적으로 세로 축을 따라 나선식으로 연장하고, 대향하는 교차 라인들이 교차점들에서 서로 위와 아래로 연장하므로 상기 와이어들 사이에서 벌집 형상 개구들(honeycomb-like openings)이 생성된다. 상기 와이어들의 전체 수는 바람직하게 3 내지 64 사이 범위이다. 상기 와이어들이 메시 구조를 형성하므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개별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스트랜드들, 즉, 바람직하게는 서로 둘레로 꼬여진, 필라멘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배치된 작은 직경의 여러 와이어들을 제공할 수 있다.
팽창 상태에서, 상기 임플란트의 상기 고정 섹션은 통상적으로 5 내지 40mm, 바람직하게 10 내지 20mm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팽창된 상태에서 직경은 통상 1 내지 10mm이고, 특히 3 내지 6mm이다. 그러한 직경은 신경혈관 용도에서 바람직하다. 팽창된 임플란트의 전이 섹션의 길이는 통상 1 내지 15mm 사이, 바람직하게 5 내지 12mm 사이의 범위이다.
상기 고정 섹션의 튜브 형상 구조 내에서 생성된 개구들은, 방해없이 웹들이나 와이어들로 둘러 싸여야 한다(소위, “폐쇄 셀 디자인(closed cell design)”). 이와 같이, 초소형 카테터 내로의 상기 고정 섹션의 삽입은 카테터를 적절히 재배치함으로써 촉진된다. 2차 분리점에서 의사가 분리를 실행하기를 결정하고 혈관으로부터 상기 고정 섹션을 당겨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특별한 적용 및 디자인 방식에 의하여 스텐트 또는 스텐트-형(stentlike)의 대상으로서 검토된다. 특히, 스텐트에 대한 유사성은 상기 고정 섹션에 적용되고, 상기 말단 섹션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고 예컨대 외측으로 향하는 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들 또는 웹들이며, 특히 금속으로 제조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니켈-티타늄 합금과 같은 니티놀(nitinol)이라는 이름으로 또한 공지된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는 것이다. 3원계 니켈-티타늄 합금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강이나 코발트-크롬 합금과 같은 다른 종래의 스텐트 재료 또는 형상 기억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 또는 다른 합금,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진 재료의 사용은 임플란트의 방출시 임플란트가 그의 팽창 형상을 자동으로 복구하는 것을 보증하므로 유리하다. 상기 웹 또는 와이어를 위한 금속을 사용하는 대신, 이들은 폴리머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면에서, 폴리머 재료로 제조된 필라멘트는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와이어들로서 간주된다.
상기 웹들/와이어들은 둥글고, 타원,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얇은 스트립들, 특히 금속 스트립 형태의 플랫한 웹들/와이어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의 경우, 엣지를 마무리하는데 유리하다.
다른 분리 메커니즘들이 1차 및 2차 분리점들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기계적이고, 전해적이며 또는 열적인 분리 메커니즘들이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유형의 분리 메커니즘들은 기본적으로 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었다.
기계적인 분리 메커니즘은, 하나의 섹션(section)이 기계적인 수단에 의하여 임플란트의 또 다른 섹션에 특히 형태-폐쇄(form-closed) 연결을 통해 연결되는 메커니즘으로서 이해된다. 그러나, 임플란트의 원격으로 위치된 섹션을 분리 및 해제시키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연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 예컨대 연결 요소들(connection elements)은 인접 섹션의 적절하게 대응된 유지 요소(retaining element)의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섹션에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내용의 하나의 방법은 연결 요소들과 유지 요소들은 형태-폐쇄 식으로 서로 합치되므로 이로써 연결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의사는 형태 폐쇄 분리가 확실히 요소들을 분리시키도록 소정의 방안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요소들과 유지 요소들은, 연결 요소들이 유지 요소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클로져(enclosure)에 의하여 둘러 싸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클로져가 특히 근접 방향으로 제거되면, 연결 요소는 해제되고 유지 요소로부터 분리되므로 임플란트의 관련 섹션이 해제된다. 연결 요소와 유지 요소 사이의 상호 작용은 로크-앤-키(lock-and-key)원리와 유사하다. 예컨대, 인클로져는 플라스틱 재료의 호스,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슬리브, 금속의 나선 헬릭스(spiral helix)일 수 있으며 또는 그 결합으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메커니즘이 1차 분리점에 대해 제공되면,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클램핑 장치에 의하여, 예컨대, 토커(torquer)의 도움으로, 유도관 외피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클로져는 전체 유도관 외피(introducer sheath)를 덮을 필요가 없으며, 유도관 외피의 말단 섹션 및 유지 요소에 걸쳐 인클로져를 연장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분리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임플란트를 설치하기 위한 초소형 카테터(microcatheter)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 섹션은 초소형 카테터가 1 차 분리점을 지나 근접 방향으로 후퇴될 때, 1차 분리점에서 유도관 외피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이 경우, 이 위치에서 실제로 분리가 발생하는 것이 확실할 때만 초소형 카테터가 1차 분리점을 지나 근접하게 이동되는 것이 확실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예컨대, 상기 연결 요소들은 구형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들(spheres)는 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동안 유지 요소(retaining element)에 제공되는 대응하는 오목부(recesses)에 의하여 둘러 싸인다. 연결 요소들과 유지 요소들을 함께 홀딩하는 외부 구속이 제거되면 바로, 구체 연결 연소들은 오목부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고 분리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분리점에 근접 위치된 상기 임플란트 섹션들은 후퇴될 수 있고, 1차 분리점의 경우의 상기 유도관 외피가, 그리고 2차 분리점의 경우 상기 유도관 외피 및 상기 고정 섹션이 후퇴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요소들이 구형일 필요가 없음은 말할 필요도 없으며, 상기 유지 요소에 의하여 형태-폐쇄식으로 포착될 수 있는, 특히 두께부들/슬러브들(thickenings/slubs)과 같은 다른 유형의 기하학적 형상이 또한 적절하다. 각각의 개별 연결 요소에 대해 단일 오목부를 제공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으며, 대신에, 예컨대, 연결 요소들이 보유되는 오목부로 기능하는 원주상 홈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요소들은 보다 말단으로 위치된 섹션에 배치되고 상기 유지 요소가 상기 근접 인접 섹션에 배치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유도관 외피의 연결요소들이 상기 고정 섹션에서 상기 유지 요소에 의하여 형태-폐쇄 식으로 둘러 싸지는 반대 배치(inverse arrangement)가 또한 생각될 수 있다.
임플란트의 전해적인 분리은, 예컨대, 정맥류를 폐쇄하기 위하여 교합 코일이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사례이다. 관련 분리점들은 예컨대 WO 2011/147567A1에 설명되었다. 그 원리는 전압이 인가될 때, 적절한 소재, 특히 금속으로 제조된 적절하게 설계된 분리점이, 대응하는 분리점에 멀리 위치된 임플란트 영역이 이완되는 정도로 적어도 양극 산화(anodic oxidation)에 의하여 원래대로 용해되는 사실에 기초한다. 분리점은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또는 코발트-크롬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분리점의 용해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된다. 전원은 교류 또는 직류일 수 있으며, 낮은 전류 밀도(< 3 mA)로 충분하다. 이 경우의 분리점은 보통 양극으로 기능하고 그의 금속은 산화되고 용해된다.
전해적인 절단(electrolytic severance)은 소정의 분리점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원(power source)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 분리점은 보통 양극(anode)으로 기능하고, 음극(cathode)은 예컨대, 본체 표면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분리점은 전기 전도 방식으로 특히 유도관 외피를 통해 전원에 연결되어야 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유도관 외피 자체는 또한 전기 전도성 디자인이어야 한다. 부식-발생 전류(corrosion-inducing current)는 음극 표면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사실에 기인하여, 상기 음극 표면은 양극 표면보다 휠씬 더 커야 한다. 일정 정도까지, 분리점이 용해되는 속도는 양극 표면에 관련해서 음극 표면의 크기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전원, 적용가능하거나 적절하다면, 및 몸체 표면에 설치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또한 몸체 표면에 제2 전극을 배치할 수는 없으나, 임플란트에 직접 양 전극들(both poles)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분리점의 용해를 더욱 촉진한다.
전해적인 분리점은 통상적으로 0.05와 0.5mm 사이 범위의 길이를 가지며, 특히 대략 0.2mm 길이이고, 0.04와 0.5mm 사이의 직경, 특히 대략 0.1mm의 직경을 가진다.
분리점에서 전류의 충분한 집중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접 영역에 전기 절연 코팅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2차 분리점은 전해적으로 분리가능한 것으로 설계되며, 2차 분리점에 근접한 임플란트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에 전기적으로 절연 코팅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1차 분리점과 2차 분리점 사이에서 절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으로서 예컨대 파릴린(parylene)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해적이며 기계적인 수단에 의하여 분리 방법이 결합된 분리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형태-폐쇄(form closure)에 의해여 발생된 기계적인 연결이 연결 요소들과 유지 요소들 사이에 형성되고, 기계적인 연결을 유지하는 요소가 전해적으로 침식되기까지 이러한 연결은 유지된다.
변형 예에 따라, 두께부들/슬러브들이 유지 요소에 의하여 형태 폐쇄를 통해 유지되는 임플란트의 하나의 섹션에서 배치되고, 유지 요소의 일 섹션이 전해적으로 침식가능하도록 설계되므로 분리은 상기 섹션이 전해적으로 용해된 때 발생된다. 예컨대, 1차점에서의 임플란트의 분리은 유도관 외피에서의 유지 요소의 일 섹션의 전해적인 침식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두께부들이 상기 유지 요소 내로 돌출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 경우 침식가능한 섹션이 배치된다. 예컨대, 상기 두께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유지 요소로부터 분리하지 않도록 그들을 서로 이격 유지하는 것은 핀(pin)일 수 있다. 유지 요소의 일 섹션에 의하여 조절된 형태 폐쇄를 통해 유도관 외피의 유지 요소에서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것은 전해적으로 분리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정확한 배치의 면에서 이점을 제공하고 그리고, 경우에 따라, 임플란트의 재배치 또는 수축의 면에서 유익하다.
아직 또 다른 가능성은 유지 요소(retaining element)의 침식가능하게 설계된 섹션이 개구를 가지는 디스크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며, 연결 요소들의 두께부들/슬러브들(thickenings/slubs)이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연장하고 디스크가 그대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두께부들이 개구를 관통하여 통과할 수 없도록 개구의 직경은 상기 두께부들에 대응된다. 전압을 인가하여 적어도 섹션적으로 디스크가 용해된 후에만 임플란트의 두께부들은 유지 요소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안은 열 분리점으로서 분리점을 설계하는 것이다. 열 분리점에 의하여, 분리점을 가열하여, 임플란트의 세로 방향으로 인접한 섹션들 사이의 연결은 파괴될 수 있고, 연화하거나 용해시키어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1차 및 2차 분리점에 대해 다른 분리 메커니즘들이 선택된다. 이와 같이, 관련 요건들에 따라, 소정의 분리점에 대해 다른 방안들이 목적을 가지고 취해질 수 있다. 예컨대, 이하의 조합들이 가능하다:
1차 분리점 2차 분리점
기계적 전해적
전해적 기계적
기계적 열적
열적 기계적
전해적 열적
열적 전해적
1차 분리점이 기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설계되고, 2차 분리점은 전해적으로(electrolytically) 분리가능한, 그러한 조합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섹션으로부터 비롯하여 상기 임플란트는, 세로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전이 섹션에서 좁게 수렴하고 이어서 다시 상기 말단 섹션에서 확대된다. 따라서 세로방향으로의 임플란트의 단면은 이와 같이 말단 섹션이나 고정 섹션보다 전이 섹션에서 상당히 더 작다. 전이 섹션에서 단지 하나 이상의 웹들 또는 와이어들은 서로 근접해서 위치되어, 상기 임플란트의 유연성을 높여준다. 많은 동맥류들은 일정한 형태를 가지고 있지 않으나 예컨대 한쪽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높은 유연성이 바람직하다. 유연한 전이 섹션은 상기 말단 섹션이 동맥류의 모양에 최적으로 적용되도록 하는 것을 보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웹들/와이어들은 적어도 일정 정도로 상기 전이 섹션에서의 상기 웹들/와이어들과 같이 유지하는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장한다.
이러한 내용에서, "일정 정도(to some extent)"라는 표현은 상기 전이 섹션의 상기 웹들/와이어들은 반드시 전 길이에 걸쳐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장할 핑요는 없고; 상기 전이 섹션의 상기 웹들/와이어들의 길이의 일부가 상기 슬리브에 의하여 감싸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달리 말하면, 슬리브는 상기 전이 섹션을 형성하는 상기 웹들/와이어들과 상기 전이 섹션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슬리브에 의하여 상기 전이 섹션에서 상기 웹들/와이어들이 같이 유지되므로, 상기 웹들/와이어들은 일정 정도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고,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도된 영역 이상으로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상기 전이 섹션에서 하나 또는 여러 웹들/와이어들이 반경방향으로 펼쳐지는 위험이 방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플란트는 상기 전이 섹션 영역에서 매우 유연하며 그러한 이유로서 혈관과 동맥의 형상에 잘 적응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크게 비대칭인 동맥과 일 측으로 경사되는 동맥의 치료에 특히 중요하다.
상기 전이 섹션의 특히 얇은 디자인(thin design)에 기인해서, 분지 혈관으로의 혈류가 손상되지 않거나 거의 손상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고정 섹션에 의하여 상기 임플란트가 운반 혈관에 고정되고, 상기 전이 섹션은 충분한 유연성을 제공하고 분기하는 혈관으로부터 그리고 혈관으로의 저해되지 않은 혈류를 제공하고 상기 말단 섹션은 동맥의 폐색을 위하여 제공되고, 이로써 상기 말단 섹션은 동맥으로의 혈류를 직접 최소화하거나 동맥 내로 도입된 폐색 수단이 동맥 내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동맥의 모양과 임플란트의 모양에 따라, 상기 말단 섹션은 동맥 자체 내에 식립될 수 있고 또는 동맥 전방에, 즉, 운반 혈관의 측면으로 동맥 입구 전방에 식립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동맥으로의 식립은 또한 동맥의 일부를 형성하는 동맥 목부(neck)로의 식립으로 생각된다. 원칙적으로, 상기 말단 섹션은 동맥류의 입구 영역(entry area)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슬리브(sleeve)”라는 용어는 넓게 이해되어야 하고, 즉, 짧은 튜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리브가 상기 웹들/와이어들이 관통할 수 있는 내부 캐비티를 가진다면 슬리브가 또한 다른 형상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슬리브는 칼라(collar)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슬리브는 또한 내부 캐비티를 가지는 와이어 코일일 수 있다
임플란트 수축 시에, 슬리브가 미끄러지지 않고 또는 고정섹션 또는 말단 섹션 영역 내로 위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경우, 슬리브는 임플란트가 해제된 후에 임플란트의 확장을 방해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슬리브의 대응하는 슬리핑이 임플란트의 개별적인 부분들의 치수에 의하여 배제되지 않았고, 따라서 슬리브에 먼 및/또는 근접한 스토퍼들(stoppers)을 배치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고, 상기 스토퍼들은 스토퍼들의 위치를 지나 슬리브가 미끄러지거나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토퍼들은 예컨대, 전이 섹션에서 반경방향 연장부(radial extensions)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슬리브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아일릿을 가진 전이 섹션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웹들/와이어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슬리브가 어느 경우나 부분적으로 아일릿을 통해 연장하므로, 슬리브는 임플란트의 세로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아일릿은 예컨대 전이 섹션에 큰 단면을 가지는 하나 또는 다수의 웹들/와이어들에 의하거나 또는 더 큰 단면 영역에서 필라멘트에 존재하는 구멍(opening)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구멍은 타원 형태를 가지므로, 슬리브의 일정 양의 세로방향 운동은 충분한 유연성을 보장할 수 있고, 그러나 세로방향 운동은 아일릿의 말단 및 근접 단부들에 의하여 제한된다. 정상적으로, 상기 구멍은 임플란트의 세로방향 축에 대해 거의 수직이다. 원칙적으로, 각 웹들/와이어들의 아일릿은 외측에 위치되므로 웹들/와이들은 슬리브에 의하여 에워싸이고, 슬리브는 아일릿을 관통하여 연장한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 또한 생각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아일릿은 각 웹들/와이어들로부터 전이 섹션의 중심을 향하며; 이 경우 또한 슬리브는 아일릿을 관통하여 연장하나, 나머지 웹들/와이어들은 슬리브 외측에 위치된다.
슬리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radio-paque material)로 제조되면 특히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임플란트 위의 다른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들(markers)과 같이 이는 시각화를 실행하고 식립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백금, 백금-이리디움과 같은 백금 합금 또는 금으로 이루어진다. 관련 재료로부터 슬리브를, 예컨대, 나선 와이어 및 코일, 제조할 수 있으며, 그러나 코팅, 예컨대, 금 코팅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서로에 대한 상기 웹들/와이어들의 어떤 이동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웹들/와이어들은 전이 섹션에서 서로 평행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웹들/와이어들의 약간의 비틀림은 또한 생각할 수 있으나, 임플란트의 적응성을 해치지 않도록 너무 스티프(stiff)하지 않아야 한다.
임플란트의 식립 공정에 관해서, "근접(proximal)" 및 "말단(distal)"이라는 용어들은 담당 의사를 향하는 임플란트의 부분(근접)을 의미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담당 의사(말단)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임플란트의 부분(말단)을 의미하도록 이해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이 임플란트는 카테터에 의하여 말단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된다. "축방향(axial)"이라는 용어는 근접 방향에서 말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임플란트의 세로방향 축을 의미하고 "반경방향(radial)"이라는 용어는 그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준/평면을 표시한다.
그의 근접 단부에서, 상기 고정 섹션은 상기 1차 분리점을 통해 상기 유도관 외피에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고정 섹션의 웹들/와이어들은 상기 1차 분리점 방향으로 수렴한다. 상기 1차 분리점은 바람직하게 주변에 배치, 즉, 팽창 상태에서 상기 고정 섹션의 둘레 위로 편심되게 배치되고, 설치가 실행될 때, 임플란트가 팽창된 형태를 취할 때 혈관 벽에 접촉한다.
또한 상기 고정 섹션은 여러개, 바람직하게 2 또는 3의 커플링 요소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근접하게 수렴할 수 있고, 이로써 이들 커플링 요소들은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섹션의 둘레 위에 편심적으로, 다시 방사상 에지 영역에 놓인다. 상기 커플링 요소들은 다시 1차 분리점을 통해 상기 유도관 외피에 연결된다. 여러 커플링 요소들을 제공하면 임플란트의 수축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는 특히 상기 고정 섹션이 비교적 짧으면 그러하다. 특히, 상기 유도관 외피는 푸셔 와이어이다.
상기 고정 섹션의 근접 단부에서 1차 분리점의 편심 배치에 의하여, 잘못 설치한 경우의 배치 카테터 내로의 임플란트의 수축이 용이해진다. 더욱이, 특히 상기 고정 섹션이 혈관 내에 영구히 유지하면, 편심적으로 배치된 분리점에 의하여 혈류는 덜 방해된다. 상기 유도관 외피는 바람직하게 스테인레스강, 니티놀 또는 코발트-크롬 합금으로 제조된다.
고정 섹션에 의하여, 임플란트가 이식되고 이와 같이 고정되는 혈관 벽에 임플란트는 지지된다. 이러한 영역에서, 혈관은 손상되지 않고 스텐트 벽에 유사한 고정 섹션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형상기억 합금 및 바람직하게는 니켈 티탄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셀프 확장 임플란트의 경우, 고정 섹션은 이러한 임플란트가 카테터로부터 방출된 때 혈관 벽에 자동으로 접촉되고 제 위치에 식립되고 풍선들(balloons)에 의하여 팽창된 임플란트는 식립 풍선을 통해 이 영역에서 혈관 벽에 가압된다. 자체-확장 임플란트들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고정 섹션에 의한 고정이 불필요해지면, 2차 분리점의 분리가 또한 실행될 수 있고 상기 고정 섹션은 상기 말단 섹션의 배치 후에 상기 유도관 외피를 따라 제거된다.
고정 섹션과 비교해서 그리고 더욱이 전이 섹션에 비교해서 말단 섹션은 거의 대부분의 경우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확장된다. 임플란트는 동맥 자체에 식립하거나 또는 혈관으로 접근하기 위한 영역, 즉, 혈관을 폐쇄하는 동맥 입구에 식립되기 위하여 사용되며, 또는 동맥으로 도입된 폐색 수단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동맥에서 혈액 응고가 결국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표면 영역이 동맥 내로 도입된 폐색 수단이 동맥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충분한 재료 양에 의하여 치밀한 표면을 형성하도록 충분히 넓어야 하며; 다른 한편, 임플란트의 충분한 정도의 유연성이 여전히 유지되어 임플란트가 분지 동맥류 영역에 도입될 수 있어야 한다.
확장 상태에서, 말단 섹션에는 동맥 내부 또는 그 전방에 임플란트를 고정하도록 작용하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아치 또는 스트럿들과 루프들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임플란트는 자주 말단 측으로부터 볼 때 말단 섹션에서 꽃 형상을 보여준다. 규칙으로서, 적어도 두 개의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 특히 세 개의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 또는 그 이상이 있다. 통상적으로,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의 수는 1 내지 24, 바람직하게 2와 8 사이 범위에서 변한다. 상기 스트럿들, 루프들 또는 아치들은 적절히 형성된 와이어 요소들로 제조될 수 있으나 임플란트가 튜브에서 절단되는 경우, 그들은 또한 정상적으로 열 처리에 이어서 상기 튜브에 적용되는 레이저 절단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스트럿들, 루프들 또는 아치들은 예컨대, 레이저 용접 방법을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루프들 또는 아치들이 제공되는 경우, 이들은 바람직하게 전이 섹션에서 발생되는 와이어로 구성되고, 이어서 벤딩부를 형성하고 전이 섹션으로 복귀하며, 상기 루프들/아치들은 기본적으로 선택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특히 또한 루프들 또는 아치들의 구조에 따라 3차원 물체일 수 있다. 루프들 또는 아치들은 크게 비외상성이며 동맥류의 민감한 혈관 벽이 확실히 손상되지 않고 유지된다. 그러나, 다른 필라멘트 또는 스트럿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고 그에 의하여 고정 섹션 및 전이 섹션에 비교해서 말단 섹션의 반경 방향 팽창/확장이 달성된다. 예컨대, 상기 팽창은 바스킷-형상 또는 꽃-형상일 수 있으며, 또는 브레이딩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스트럿들은 바람직하게 반경방향 내측으로 동심으로 정렬된다. 동시에 스트럿들은 말단 섹션에서 돌출할 수 있다. 예컨대, 둘 이상의 스트럿들이 각각 상호 연결점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의 각도는 식립 후의 임플란트의 세로방향 축에 관련해서 형성되고 -45°와 +175°사이에서 변동하고, 양의 각도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이 향하는 것을 표시하고, 음의 각도는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것을 나타낸다. 비교적 규칙적인 분지 동맥류의 경우, 각도는 바람직하게 +45°와 +90°사이 범위이며; 다른 한편, 동맥류는 때때로 불규칙한 형상, 특히 매우 비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는 동맥류를 보게 된다. 그러한 경우,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의 크게 편차되는 각도들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임이 밝혀질 수 있다. 예컨대, 동맥류의 하나의 영역의 벽이 혈액공급 혈관을 향하여 크게 벌어지는 영역의 경우에 매우 큰 각도를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각도 > 90°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의 부분에 대해 내측으로 향하도록 각도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즉, 동맥류 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음의 각도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슬리브가 구비된 매우 좁은 전이 섹션을 통해 달성되는 유연성은,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이 특히 크거나 작은 각도를 미리 정하지 않더라도 동맥류의 형상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각도들은 변할 수 있으며, 예컨대, 비대칭 동맥류의 경우, 예컨대, 일부 루프들에 대해 > 90°의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도움이 되고 효과적일 수 있으며, 반면 다른 루프들은 45°와 90°사이 범위의 통상적인 각도를 형성한다. 식립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각도들이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고, 그러므로, 표시된 각도가 아직 형성되지 않은 임플란트는, 아마도 외력에 의하여 임플란트 식립 전의 상태일 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임플란트의 세로방향 축에 관련해서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이 형성하는 각도는 예컨대 45°에서 90°, -45°와 0°, 90°와 135°또는 135°와 175°사이로 변동할 수 있다.
말단 섹션의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은 잔여 임플란트 구조를 형성하는 필라멘트의 연속일 수 있으나 또한 잔여 임플란트 구조의 말단 영역, 즉, 전이 섹션의 말단 단부에 레이저 용접 기술을 적용하여 부착된 별도의 필라멘트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말단 섹션의 각각의 스트럿, 각각의 루프 또는 각각의 아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 지점들을 통해 잔여 임플란트 구조에 연결될 수 있고, 특히 스트럿/루프/아치에 대해 단지 하나 또는 두 개의 연결 지점들이 제공될 수 있다.
루프들 또는 아치들을 포함하는 말단 섹션의 디자인에 대한 대안으로서, 말단 섹션은 또한 구형, 버섯 형상, 앵커-형상 또는 타원-형상일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형상들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말단 섹션을 형성하기 위하여 또한 사용될 수 있는 대안으로서 보여진다. 규칙적인 분지 동맥류는 가끔 기본적으로 구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예컨대, 구형 섹션은 그 자체 동맥류의 내벽에 잘 적응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구형 형태는 그의 기하학적인 규정마다 진정한 구로서만이 아니라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바와 같은 구이어야 하는 둥근, 3차원 형상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섹션의 형태는 또한 타원에 비교할만하나 또한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타원으로서 간주되도록 정확한 구체일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더구나, 예컨대 동맥류의 벽 부분이 공급 혈관의 방향으로 상당한 융기를 보이는 경우, 섹션들은 또한 불규칙 동맥류의 치료에 특히 적합한 버섯 형태, 또는 앵커-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섯 또는 앵커 형태인 경우, 부분의 일부 영역이 근접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달성된다. 버섯-형상 또는 앵커-형상의 섹션은 또한 비대칭일 수 있으며, 예컨대, 단지 일 측면에서 근접 방향으로 연장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말단 섹션은 레이저 절단 기술 또는 브레이드 설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8과 128 사이의 필라멘트들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말단 섹션에서, 중심 영역에는 폐색 수단의 방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및/또는 혈액 흐름으로부터 말단 섹션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동맥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중심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서 구비된 요소들은 분리 요소들로 표시된다. 한편, 해당 영역은 도입된 섬유, 실, 얇은 와이어, 멤브레인 또는 유사한 분리요소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나, 다른 한편, 분리 요소들이 기본 튜브에서 절단될 수 있고 예컨대 루프들 또는 스트링들의 형상의 와이어 브레이딩으로 적절히 변환되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다. 루프들이나 스트링들의 경우, 적어도 대부분의 경우 외측으로 향하는 말단 섹션의 상기 설명한 루프들보다, 이들 요소들은 임플란트의 내강 내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한다. 내측으로 배치된 루프/스트링들이 확실히 서로 저촉하지 않도록 그들을 비대칭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수는 임플란트의 구조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분리 요소를 구성하는 실(thread)들은 폴리머 재료, 예컨대, 나일론(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산 아미드(polyhexamethylene adipic acid amide))와 같은 폴리아미드로 제조된다. 이는 또한 이를 위하여 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형상기억 합금이 바람직하고, 특히 니티놀(nitinol)과 같은 니켈 티타늄 합금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가능성은 분리요소로서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멤브레인은 대체로 또는 완전히 혈액이 침투할 수 없으며 이로써 혈액 흐름으로부터 동맥류를 분리시킬 수 있다. 혈액 흐름으로부터 동맥류가 거의 완전히 분리될 수 있고, 동맥류 내로의 폐색 수단의 도입은 상황이 허용되면, 분리 요소가 이 경우 폐색 수단을 보유하도록 작용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멤브레인은 필라멘트들에 고정될 수 있거나 및/또는 실이나 와이어의 브레이드에서 신장할 수 있으며, 예컨대, 실이나 와이어들이 그 위로 또는 그 위에서 멤브레인이 신축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컨대, 십자 또는 십자선을 형성하도록 연장하거나 배치될 수 있는 추가적인 실/와이어들이 생각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 또는 와이어들의 배치는 이러한 목적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말단 섹션의 중심 영역은 또한 추가적인 실이나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걸어질 수 있다.
분리 요소로서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것은, 확장된 상태에서 큰 불침투성 분리 요소를 가지고 수축 상태에서 좁은 혈관을 용이하게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는 임플란트가 유용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임플란트가 카테터 내에 식립될 때 말단 방향 또는 근접 방향으로 멤브레인이 같이 접혀지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 않으면, 분리 요소가 없는 임플란트에 비교해서, 이전에 설명된 임플란트는 대체로 같다.
그러나, 분리요소로서 멤브레인이 제공된 경우에도, 동맥류에 여전히 폐색 수단을 추가로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서, 폐색 수단, 특히 코일들이 이들 절개부를 통해 동맥류 내로 식립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여러 절개부(cutouts)들을 가지는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적절히 형성되므로 카테터는 동맥류 영역 내로 절개부를 통해 밀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카테터를 통해 각각의 폐색 수단을 식립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동맥류의 입구는 제어되지 않은 방식으로 폐색 수단이 동맥류를 방출시키지 못하도록 덮혀야 하며, 이 경우 멤브레인 영역에 걸리는 실/와이어들이 추가적인 유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실이나 와이어들은 폐색 수단을 관통하고 이를 도입하는 카테터와 저촉하지 않도록 너무 밀접하게 이격되지 않아야 하는 것을 당연하다.
동맥류 내에 폐색 수단을 도입할 수 있도록 멤브레인은 또한 부분적으로 천공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그러한 천공 효과는 통상적으로 소형 카테터 또는 가이드와이어에 의하여 발생된다. 그와 같이 형성된 구멍을 통해 소형 카테터가 도입되고, 그를 통해 폐색 수단은 제 위치에 식립된다. 멤브레인은 천공된 후 폐색수단이 다시 방출되는 것을 계속 확실히 방지하도록 부분적으로 그대로 유지되게 설계되어야 한다. 예컨대, 십자선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 추가적인 분리 요소로서 배치된 실 또는 와이어들은, 천공된 때 단지 멤브레인의 일 세그먼트만이 구멍을 형성하고 맴브레인의 다른 세그먼트들은 덮혀진 채로 유지되는 데, 멤블레인의 경계 영역들은 실/와이어들에 의하여 파단으로부터 보호되고 안정되는 사실에 기인한다. 분리 요소로서 제공된 멤브레인은 단지 부분적으로 천공되는 단일 멤브레인이거나 여러 개의 더 작은 멤브레인들로 구성될 수 있다.
분리 요소로서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대신 또는 추가적으로, 말단 섹션을 형성하는 아치 또는 (와이어) 루프의 내부에 멤브레인을 배치하는 것이 유용하거나 효과적일 수 있다. 멤브레인은 또한 말단 섹션의 스트럿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구형, 버섯 형태, 앵커- 또는 타원 형상의 말단 섹션이 멤브레인들로 덮혀질 수 있다. 동맥류의 전방 또는 입구 영역에 식립될 때, 멤브레인은 분지 혈관으로 혈액 흐름을 공급히거나 또는 동맥류 내로의 혈액 흐름을 방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분리 요소 및 루프/아치들의 내부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나 말단 섹션의 전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스트럿들, 루프들 및 아치들이 멤브레인을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멤브레인들은 스트럿들, 루프들 및 아치들 사이의 공간(interspace)에 배치될 수 있다.
루프들이 아닌 필라멘트들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말단 섹션이 형성되면, 이 위치에 멤브레인을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또는 여러 멤브레인들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스트럿들에 의하여 위로 밀어질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구조가 우산과 유사해지고, 즉, 말단 섹션이 확장되면 펼쳐지지 않은 스트럿들이 그들 사이로 올려져서 하나의 연속 또는 여러 개의 멤브레인을 형성한다. 복수의 스트럿들과 이와 같이 대응하는 수의 스트럿들의 단부를 제공함으로써 더 크고 더 많은 원형 영역이 멤브레인에 의하여 덮혀질 수 있으므로 그들 사이의 공간은 크기가 감축될 수 있다.
멤브레인을 한정하고 강화하기 위하여, 실들이 또한 개별적인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 사이에 걸릴 수 있으며, 즉, 서로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을 연결하도록 작용하는 하나 또는 여러 실들에 의하여 측면에서 멤브레인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 자체가 일정 정도로 이러한 목적에 기여할 수 있어도, 관련 멤브레인의 그와 같은 한정은 모든 방향으로 실을 통해 반드시 발생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가끔 더욱 멀리 위치되는 멤브레인의 외측 에지는 실들에 의하여 경계지워질 수 있고 내측 에지는 스트럿들/루프들/아치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측면들에서 한정이 없는 멤브레인에 비교해서, 멤브레인의 추가적인 보호는 이와 같이 달성되므로 손상과 균열이 피해질 수 있다. 실들은 바람직하게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멤브레인(분리요소로 사용되거나 말단 부분의 다른 영역들에 위치되거나)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올레핀(polytetrafluoroethylene, polyester, polyamides, polyurethanes or polyolefins)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 카보네이트 우레탄(polycarbonate urethanes)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적용할 수 있으면, 추가적인 분리 요소로서 제공된 와이어들이나 실과 멤브레인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다. 그러한 연결은 침지 또는 분무 기술에 의하여 실/와이어를 코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멤브레인은 전기방사(electrospinning)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다.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미소섬유(fibrils) 또는 섬유들f(ibers)이 폴리머 용액으로부터 분리되고 기판 위에 침착된다. 상기 침착에 의하여 미소섬유들은 부직물(non-woven fabric)로 응집된다. 규칙 상, 미소섬유들은 100nm 과 3000nm 사이 범위의 직경을 가진다. 전기방사에 의하여 생성된 멤브레인들은 매우 균일한 텍스쳐를 가지며 실이나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기본 구조에 그들을 포함하거나 에워쌀 수 있다. 멤브레인은 끈끈하고, 기계적 응력에 견디고, 그로부터 시작하는 균열을 생성하는 구멍 없이 기계적으로 천공될 수 있다. 미소섬유의 두께와 기공도(degree of porosity)는 적절히 공정 변수를 선택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면에서 그리고 이러한 목적에 적절한 재료의 면에서, WO 2008/049386 A1, DE 28 06 030 A1의 간행물 및 그 속에서 개시된 모든 문헌들에 대해 특별한 주의가 기울여져야 한다.
또한 임플란트의 내측에 접하는 멤브레인을 분리 요소로 사용하는 것이 임플란트의 이점이며, 말단 섹션의 개별적인 루프들 또는 아치들을 채우는 추가적인 외측 멤브레인에 상기 멤브레인은 다시 영구히 부착된다. 그러한 멤브레인 구조가 전기 방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및 외부 멤브레인 부분들은 부분적으로 연결되고; 내부 멤브레인은 외부 멤브레인과의 연결이 없으며, 나일론 스타킹과 유사하게 수축하고, 생성된 폐색 수단을 도입하기 위한 구멍을 생성한다.
전기방사 방법(electrospinning method)을 사용하는 대신, 멤브레인은 또한 침지 공정(immersion process)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분리 요소로서 작용하는 멤브레인은 반드시 임플란트의 세로방향 축에 직각으로 배치되어야 하나 또한 근접 방향으로 향해질 수 있다. 멤브레인은 그 주변 영역에서 이 경우 임플란트의 둘레에 고정되더라도, 그러나 멤브레인의 중간 영역은 근접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와 같이,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 형상이 형성되고 원추/피라미드의 기저는 세로방향 축에 직각으로 향해지고, 그 주변 영역에서 멤브레인은 임플란트에 부착되고 원추/피라미드의 정점은 더욱 근접방향으로 위치된다. 이와 같이, 멤브레인에 접촉할 때 혈액 흐름은 분할되고 측면으로 향해져서 동맥류로의 혈액 진입이 크게 저해된다.
분리요소로서 제공된 멤브레인이 원추 또는 피라미드 형상을 가지더라도, 임플란트가 제 위치에 식립된 후 또한 상기 절개부를 통해 동맥류 내부로 폐색 수단이 연속으로 도입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상기 멤브레인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절개부들이 구비될 수 있다.
확실히 멤브레인의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은 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멤브레인은 실이나 와이어의 골격 구조에 고정되어야 하나, 기본적으로 이러한 구조는 또한 임플란트를 형성하는 구조로부터, 예컨대, 레이저에 의하여 절단된 스트링/랜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와이어들은 혈압에 의하여멤브레인이 재방향 전환 또는 내측으로의 전환을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에 주의가 기울여져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추가적인 실이나 와이어들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멤브레인이 부착된 두 개의 상대적으로 길다란 개별적인 실들로 구성되는 십자선을 형성하는 것이며, 멤브레인은 초기적으로 개별적인 실들의 길이에 기인하여 긴장되지 않는다. 더구나, 하나 또는 여러 실들은 추가적으로 근접하게 위치된 임플란트의 루프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가 신장됨에 따라 즉시 십자선과 따라서 멤브레인이 근접 방향으로 걸리고/긴장된다. 그러나, 십자선들은 반드시 두 개의 실들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 것이 이해되어야 하고, 멤브레인 위에 구조물을 가압하는 골격 유형을 형성하는 거의 한정되지 않은 구조의 다른 실 브레이딩들이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의 경우 분리 요소를 가질 수 있는 말단 섹션이, 동맥류에 도입된 폐색 수단, 예컨대, 폐색 코일을 신뢰할만하게 유지하는 것이나 또는 추가적인 폐색 수단이 필요하지 않도록 혈액 흐름을 편향시키는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리 요소는 또한 임플란트의 세로방향 축에 직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가진다.
분리 요소들이 섬유들, 실 또는 얇은 와이어들을 삽입하여 형성되면, 단면 또는 십자 또는 성(star)-형상 패턴을 사용하여 매듭을 지어 실들이 고정된 말단 섹션에 아일릿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일릿들은 섬유 재료로 적절히 제조될 수 있다. 실/섬유들은 예컨대 폴리아미드(나일론)과 같은 적절한 폴리머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금속 섬유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튜브 재료로부터 절단되고 임플란트 본체로 구부러진 (와이어) 루프들 또는 아치들은 또한 분리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치/하나의 루프가 이를 위하여 필요하다. 둘과 넷 사이의 아치들/루프들이 사용되면, 이들은 동맥류에 도입된 폐색 수단을 신뢰성 있게 유지하는 안정된 분리 요소를 형성할 것이다.
임플란트를 수축시킬 때, 루프들은 통상적으로 근접 방향 임플란트의 다른 필라멘트들에 지지되어 신장하므로 임플란트는 문제 없이 카테터를 통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슬롯-형상의 구멍들이 루프들 사이에 잔류될 수 있고 그를 통해 폐색 수단이 동맥류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대신해서, 루프들 및/또는 루프들 사이의 사이 공간들에 멤브레인을 제공하여 분리 요소를 불침투성이 되게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하나 또는 여러 구멍들이 구비된 멤브레인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분리 요소를 구성하거나 또는 멤브레인을 가진 말단 섹션을 제공하는 다양한 가능성들에 관해, WO 2014/029835 A1를 참조하고, 그 내용은 또한 본 발명의 개시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임플란트들은 메시 구조를 가지나 또한 측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슬롯이 형성될 수 있는 연속으로 횡방향으로(laterally) 닫혀진 튜브 형태의 고정 섹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슬롯이 형성된 구조는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거나 또는 경사된/헬리컬 배열일 수 있다. 이 경우, 슬롯이 형성된 영역의 메시 구조는 감겨서 혈관의 형상, 예컨대, 와이어 메시 펜스의 감긴 세그먼트 형태에 합치한다. 식립 동안, 그러한 슬롯이 형성된 임플란트는 혈관 내강, 특히 공급 혈관에 적절히 부합할 수 있으며, 메시 구조의 횡방향 에지의 작은 하향 돌기(갭) 또는 중첩부는 규칙상 문제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놀랍게도, 슬롯이 형성된 구조는 반경방향 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말아야 하나, 다른 한편, 그러한 임플란트는 카테터를 통해 밀어질 때 더 작은 저항을 생성한다.
동맥류의 벽들은 오히려 유연하여 힘이 가해지면 파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는 반드시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특히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말단 섹션은 비외상성(atraumatic)이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예컨대, 이것은 그들이 접촉하는 부위에서 동맥류의 벽들에 부드럽게 적응하는 루프 또는 아치들의 배열에 의하여 달성된다. 임플란트의 다른 영역들과 같이, 그러한 루프들 또는 아치들은 고정 와이어에 의하여 제조된 튜브로부터 레이저 절단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균일한 와이어 브레이딩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말단 섹션에서, 모든 와이어 단부들은 동맥류 벽의 천공을 방지하도록 비외상성이 되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에는 시각화 및 식립 장소에서의 배열을 촉진하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 요소가 구비된다. 특히, 전이 섹션에 제공된 슬리브는 그러한 마커 요소일 수 있다. 더구나, 마커 요소는 예컨대 말단 섹션의 말단 단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비외상성이도록 결합 와이어들의 연결 지점들을 형상화할 수 있다. 그러한 마커 요소에는 또한 와이어 권선 형태로, 예컨대, 루프들을 형성하는 필라멘트를 에워싸는 마커 코일은 마커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규칙상, 전체 루프가 아닌, 예컨대, 단지 절반만이 마커 코일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상기 마커 요소들에 대해, 표시를 위하여 그리고 폐색 코일용 재료로서 이 기술 상태에 따라 그들이 자주 사용되므로 백금과 백금 합금 재료, 예컨대, 백금과 이리듐의 합금이 적절하다. 이상적으로, 말단 섹션 및 특히 말단 섹션의 루프/스트럿/아치는 방사선 불투과성이 되도록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제공되며, 즉, 방사 동안 그들은 가시적으로 된다.
다른 사용가능한 방사선 불투과 금속은 탄탈륨, 골드, 텡스텐이다. 이상적으로는, 상기 말단 섹션 및 특히 말단 섹션의 루프들/스트럿들/아치들은 완전히 또는 섹션적으로 방사선 불투과인 것으로 설계되고, 즉 방사선 촬영시 볼 수 있도록 제작되고, 또한 방사선 불투과 물질로 코팅하거나 채울 수 있다.
멤브레인에는 방사선 불투과성(radiopaque)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종래 X--선 기술을 위한 대조적인 매체로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들은 방사선 불투과성 입자일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황화바륨 또는 요오드 화합물과 같은 중금속 염일 수 있다. 방사선 불투과성 멤브레인은 임플란트의 식립 동안 및 저비중화를 위하여 유익한 것으로 입증되었고 표시 요소 대신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은, 루프들 또는 루프의 특정 영역과 같은 임플란트의 영역의 부분적인 금 코팅이다.
유리하다고 생각되면, 임플란트의 일부가 임플란트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얇은 단면을 가지는 스트럿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 영역은 고정 섹션에 배치되고 고정 존(zone)에서의 불규직 혈관 구조에 연관된 조건들을 충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임플란트는 기존 알려진 방식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적합한 코팅 재료는, 특히, 스텐트용으로 설명된 그것들, 예컨대, 내성장 및/또는 침천물 예방에 도움이 되는, 항증식성(antiproliferative), 소염성(antiphlogistic), 안티트로보겐(antithrombogeneous) 성질 또는 헤모컴패티블(hemocompatible)특성을 갖는 재료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상기 장치는, 특히 신경혈관 분야에서 사용되고, 그러나 심혈관 또는 주변부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를 혈관 시스템 내에 도입하기 위한 공정에 대한 것이다. 이는 종래의 소형 카테터에 의하여 발생되고, 이는 입증되고 자주 사용된 기술이다. 동맥 목부가 임플란트만으로 이미 충분히 밀봉되지 않은 경우, 폐색 수단이 임플란트가 제 위치에 식립된 후에 동맥에 도입된다. 이를 위하여, 소형 카테터의 말단 단부는 폐색 수단, 특히 코일들이 이완된 후에 동맥 내에 이동된다. 이것이 완료된 후에, 소형 카테터는 수축되고 임플란트는 동맥에서 폐색 수단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형상과 구조의 코일 본체와 같은 종래의 폐색 수단과 달리, 동맥을 폐쇄하기 위하여 예컨대 브레이딩 디자인(braided design) 또는 다르게 형성된 구형 본체(spherical bodies)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폐색 수단을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카데터는, 임플란트를 통하여 특히 상기 고정 섹션의 내부를 통하여, 동맥류 내로 전진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 섹션은 상기 카데터의 특정 가이드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폐색수단(occlusion means)이, 정맥류에 도입되는 여부에 상관 없이, 1차 분리점 또는 2차 분리점에서 절단(severance)이 최종적으로 발생하고 유도관 외피는, 고정 섹션과 함께 또는 없이, 혈관 시스템으로부터 후퇴되고, 말단 섹션과, 필요하면, 고정 섹션은 혈관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첨부 도면들을 통하여 단지 예로서 제공되고, 여기서:
도 1은 개략적인 표현으로 이방향 정맥류를 도시하며;
도 2a는 측면에서 본 짧은 고정 섹션을 가진 본 발명의 임플란트를 도시하며;
도 2b는 측면에서 본 긴 고정 섹션을 가진 본 발명의 임플란트를 도시하고;
도 3a는 1차 분리점에서 분리 전의 위치에 있는 임플란트를 도시하고;
도 3b는 1차 분리점에서의 분리 후의 도 3a의 임플란트를 도시하고;
도 4a는 2차 분리점에서의 분리 전 위치에 설치된 임플란트를 도시하고;
도 4b는 2차 분리점에서 분리 후의 위치에 설치된 도 4a의 임플란트를 도시하고;
도 5a는 2차 분리점에서 분리 전의 멤브레인을 가진 삽입된 임플란트를 도시하며;
도 5b는 2차 분리점에서 분리 후의 도 5a의 임플란트를 도시한다.
도 1에서 혈액 공급관(Z)과, 두 개의 분지관들(X 및 Y)과 분지에 위치된 동맥류(A)와 같이 분지 동맥류가 예시된다. 긴 화살표는 동맥류 내로의 혈액 흐름을 표시하고 여기서 혈액 흐름은 동맥 벽에 충돌하여 외부 압력을 가하여 동맥이 확장하도록 한다(작은 화살표).
도 2a는 확장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임플란트(1)에는 고정 섹션(3)과 말단 섹션(5)이 구비되고, 말단 섹션(5)은 고정 섹션(3)에 비교해서 반경방향으로 확대된다. 임플란트는 그 내부의 동맥류 벽에 그 자체가 붙어 있는 몇개의 루프(loops)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 섹션(3)과 상기 말단 섹션(5) 사이에, 작은 단면을 가지는 전이 섹션(4)이 있다. 근접 부분(도면의 좌측)에서 말단 부분(도면의 우측)으로 보면, 상기 고정 섹션(3)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임플란트(1)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웹들은 상기 전이 섹션(4)에서 같이 밀착하게 결합하고 이후 다시 확장되어 상기 말단 섹션(5)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 섹션(3)은 1차 분리점(6)을 통하여, 유도관 외피(2), 통상적으로 가이드와이어에 연결된다. 상기 전이 섹션(4)는 2차 분리점(7)을 갖는다.
도 2b에서, 임플란트(1)는 본 발명에 따라 도시되는 데, 이는 대체로 도 2a 도시의 임플란트에 대응하나, 더 긴 고정 섹션(3)을 갖는다
도 3a는 분기 정맥류 영역(A)에서 도 2a 도시된 임플란트(1)의 설치를 도시한다. 상기 정맥류(A)는 혈관(Z)이 혈관들(X 및 Y) 내로 분기하는 영역에 위치된다. 임플란트(1)는 말단 섹션(5)이 정맥류(A)의 진입 영역에 접촉하고, 고정 섹션(3)에 의하여 임플란트가 확실히 혈관(Z)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도 3b는 1차 분리점(6)에서 임플란트(1)의 분리 후의 대응하는 위치를 도시하며, 즉, 이 경우 말단 섹션(5)은 고정 섹션(3)과 함께 혈관 시스템 내에 유지된다. 2차 분리점(7)은 그대로 유지된다.
도 4a는 도 3a에 대응하는 도시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도시하며, 그러나, 말단 섹션(5)만이 정맥류(A)내에 충분히 고정된 것으로, 즉, 고정 섹션(3)을 통한 추가적인 고정이 불필요하다.
이 경우, 그리고 도 4b의 도시와 같이, 2차 분리 사이트(7)에서 분리가 발생한다. 삽입 보조구(2)는 고정 섹션(3)과 같이 혈관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되고; 1차 분리점(6)이 그대로 유지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a 와 4b에 완전히 대응하나, 이 경우 말단 섹션(5)이 멤브레인(8)으로 덮혀진다. 이러한 멤브레인(8)은 추가적으로 혈액이 정맥류(A)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5)

  1. 혈관 분지(vascular branches)영역, 특히 분지 동맥류에서 혈관 동맥류(A)의 폐색(occlusion of aneurysms)에 사용되는 임플란트(1)로서, 상기 임플란트가 혈관(Z) 내에 이식된 때 확장 상태에 있고 혈관을 관통하여 이동가능할 때 수축 상태에 있으며, 상기 임플란트가, 그에 의하여 혈관 벽에 고정될 수 있는 근접 고정 섹션(proximal fixing section)(3)과, 상기 고정 섹션에 대해 임플란트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고 동맥류의 내부 또는 전방에 식립되는 말단 섹션(distal section)(5), 및 상기 고정 섹션(3)과 상기 말단 섹션(5) 사이에 위치된 전이 섹션(transition section)(4)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섹션(3)은 제1 분리점(6)을 통하여 유도관 외피(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이 섹션(4)에는 상기 말단 섹션(5)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2차 분리점(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플라트(1)의 상기 고정 섹션(3)은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 교차하는 웹들 또는 와이어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섹션(3) 또는 상기 말단 섹션(5)로부터 시작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웹들 또는 와이어들은 상기 전이 섹션(4) 내로 중심적으로 서로 함께 진행하거나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이 섹션(4)의 상기 웹들 또는 와이어들은 적어도 어느 정도(some extent)까지 슬리브(7)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5.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점(6) 및 제2 분리점(7)을 위한 분리 메커니즘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6. 청구항 1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점(7)은 전해적으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2차 분리점(7)에 근접한 상기 임플란트(1)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전기적 절연 코팅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8. 청구항 1 내지 7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섹션(5)은 확장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복수의 스트럿들, 루프들 또는 아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확장 상태에서 상기 스트럿들, 루프들 또는 아치들의 각도는 상기 임플란트(1)의 세로방향 축에 대하여, -45°와 +175°사이에서 변동하고, 바람직하게 +45°와 +90°사이 범위이며, 양의 각도(positive angle)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스트럿들, 루프들 또는 아치들이 향하는 것이고, 음의 각도(negative angle)는 상기 스트럿들, 루프들 또는 아치들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0.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루프들 또는 아치들에는 그 내부에 멤브레인(8)이 설치되거나 또는 멤브레인(8)이 상기 스트럿들 사이에 스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1. 청구항 1 내지 7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말단 섹션(5)이 확장상태에서 구형, 버섯 형태, 앵커, 또는 타원 형상으로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2. 청구항 1 내지 11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또는 다수의 분리 요소들이 상기 말단 섹션(5)에 중심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분리 요소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식립된 상태에서 동맥류(A)의 목부를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분리 요소들은 파이버, 실, 와이어 또는 멤브레인(8)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8)은, 확장 상태에서 근접 방향으로 연장하고, 바람직하게는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5. 청구항 13 또는 14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11)은 하나 또는 다수의 개구를 가지거나 상기 멤브레인(8) 내에 하나 이상의 개구가 피어싱 방법으로 만들어 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KR1020197000290A 2016-06-23 2017-06-14 분리 메커니즘을 구비한 임플란트 KR102509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1568.1A DE102016111568A1 (de) 2016-06-23 2016-06-23 Implantat mit Ablösemechanismus
DE102016111568.1 2016-06-23
PCT/EP2017/064530 WO2017220400A1 (de) 2016-06-23 2017-06-14 Implantat mit ablösemechanism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616A true KR20190022616A (ko) 2019-03-06
KR102509293B1 KR102509293B1 (ko) 2023-03-10

Family

ID=5929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290A KR102509293B1 (ko) 2016-06-23 2017-06-14 분리 메커니즘을 구비한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179160B2 (ko)
EP (1) EP3474756B1 (ko)
JP (1) JP7190908B2 (ko)
KR (1) KR102509293B1 (ko)
CN (1) CN109640840B (ko)
AR (1) AR108873A1 (ko)
AU (1) AU2017282672B2 (ko)
CA (1) CA3028239C (ko)
DE (1) DE102016111568A1 (ko)
ES (1) ES2898776T3 (ko)
SG (1) SG11201811229TA (ko)
WO (1) WO2017220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76260C (en) 2015-02-25 2024-02-06 Galaxy Therapeutics, Llc System for and method of treating aneurysms
US11185335B2 (en) 2018-01-19 2021-11-30 Galaxy Therapeutics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treating aneurysms
CA3133857A1 (en) 2019-03-20 2020-09-24 inQB8 Medical Technologies, LLC Aortic dissection implant
US11202636B2 (en) 2019-05-25 2021-12-21 Galaxy Therapeu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aneurysms
JP2024505199A (ja) * 2021-01-26 2024-02-05 フェノッ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コーティングされた医療機器
EP4284263A1 (en) 2021-01-27 2023-12-06 Galaxy Therapeu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aneurysms
US20240156459A1 (en) * 2021-03-19 2024-05-16 Microvention, Inc. Implant Delivery System With Multiple Detachment Mechanisms
CN115721364A (zh) * 2022-11-01 2023-03-03 上海心玮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介入治疗颅内侧壁动脉瘤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5440A1 (en) * 2001-09-20 2003-03-20 Jones Donald K. Stent aneurysm embolization method using collapsible member and embolic coils
JP2012501756A (ja) * 2008-09-05 2012-01-26 パルサー バ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理的開口部又は腔を支持し又は閉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296362A1 (en) * 2011-05-19 2012-11-22 Tyco Healthcare Group Lp Vascular remodeling device
US20140121752A1 (en) * 2012-10-31 2014-05-01 Covidien Lp Wing bifurcation reconstru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6030C2 (de) 1978-02-14 1984-02-02 B. Braun Melsungen Ag, 3508 Melsung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lauchförmigen Blutgefäßprothese
AU2001279261A1 (en) * 2000-06-23 2002-01-08 John J Frantzen Radially expandable aneurysm treatment stent
AU2001285102A1 (en) * 2000-08-21 2002-03-0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Adenosine deaminase homolog
DE102004003265A1 (de) * 2004-01-21 2005-08-11 Dendron Gmbh Vorrichtung zur Implantation von elektrisch isolierten Okklusionswendeln
DE102006051013A1 (de) 2006-05-02 2007-11-08 Nonwotecc Medical Gmbh Flächengefüge
DE102010021947A1 (de) 2010-05-28 2011-12-01 Phenox Gmbh Implantatablösung
US9039749B2 (en) * 2010-10-01 2015-05-26 Covidien Lp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low restoration and implanting members in the human body
US8915950B2 (en) * 2010-12-06 2014-12-23 Covidien Lp Vascular remodeling device
DE102011011869A1 (de) 2011-02-22 2012-08-23 Phenox Gmbh Implantat
US10398444B2 (en) * 2011-03-30 2019-09-03 Noha, Llc Advanced endovascular clip and method of using same
SG11201501184XA (en) 2012-08-22 2015-05-28 Phenox Gmbh Impl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5440A1 (en) * 2001-09-20 2003-03-20 Jones Donald K. Stent aneurysm embolization method using collapsible member and embolic coils
JP2012501756A (ja) * 2008-09-05 2012-01-26 パルサー バ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理的開口部又は腔を支持し又は閉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296362A1 (en) * 2011-05-19 2012-11-22 Tyco Healthcare Group Lp Vascular remodeling device
US20140121752A1 (en) * 2012-10-31 2014-05-01 Covidien Lp Wing bifurcation reconstru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76574A2 (pt) 2019-04-16
US20190231358A1 (en) 2019-08-01
CA3028239C (en) 2022-08-23
CN109640840B (zh) 2021-10-26
WO2017220400A1 (de) 2017-12-28
CN109640840A (zh) 2019-04-16
CA3028239A1 (en) 2017-12-28
DE102016111568A1 (de) 2017-12-28
SG11201811229TA (en) 2019-01-30
KR102509293B1 (ko) 2023-03-10
ES2898776T3 (es) 2022-03-08
AU2017282672A1 (en) 2019-01-17
AR108873A1 (es) 2018-10-03
AU2017282672B2 (en) 2021-12-23
EP3474756A1 (de) 2019-05-01
US11179160B2 (en) 2021-11-23
JP7190908B2 (ja) 2022-12-16
EP3474756B1 (de) 2021-08-25
JP2019520898A (ja)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9293B1 (ko) 분리 메커니즘을 구비한 임플란트
US20230270441A1 (en) Devices for therapeutic vascular procedures
US9107670B2 (en) Implant, especially for the occlusion of bifurcation aneurysms
JP6533463B2 (ja) インプラント
CN105902330B (zh) 用于影响动静脉畸形中的血液流动的植入物
US10828040B2 (en) Vascular implant
US201202837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large and giant vascular defects
BR112018076574B1 (pt) Implante a ser usado para a oclusão de aneurism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66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325

Effective date: 20221226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