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230A - 이동식 칼갈이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칼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230A
KR20190022230A KR1020170108313A KR20170108313A KR20190022230A KR 20190022230 A KR20190022230 A KR 20190022230A KR 1020170108313 A KR1020170108313 A KR 1020170108313A KR 20170108313 A KR20170108313 A KR 20170108313A KR 20190022230 A KR20190022230 A KR 20190022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knife
motor
polishing unit
poli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은경
Original Assignee
지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은경 filed Critical 지은경
Priority to KR1020170108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2230A/ko
Publication of KR2019002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05Auxiliary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07Movable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76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grind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 B24B55/03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designed as a complete equipment for feeding or clarifying coo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는 칼을 연마하는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여 칼을 갈고자 하는 사람이 위치하는 곳으로 이동하여 칼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칼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세방향으로 오픈 가능하게 도어가 설치되는 컨테이너와; 칼의 특성에 맞게 연마를 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일측에 설치되는 칼연마장치와;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칼 또는 기타 부자재를 보관 및 전시하여 사람들이 구매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장식장;을 포함하며, 상기 칼연마장치와 장식장은 컨테이너에 설치되고, 상기 컨테이너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식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며, 제1연마부, 제2연마부, 제3연마부 또는 제4연마부를 통해 칼의 상태에 따라 연마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칼의 날을 세우는 과정이 매우 용이한 것은 물론 일반적인 칼 또는 전문가가 사용하는 칼의 특성에 맞게 연마가 이루어지므로 칼을 사용하는 사람의 만족도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칼갈이 장치{Removable blade grinding system}
본 발명은 칼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는 칼을 연마하는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여 칼을 갈고자 하는 사람이 위치하는 곳으로 이동하여 칼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칼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업소나 가정 등에서 사용하는 칼을 연마하는 칼 연마장치가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1645호(2006.03.15. 공고)의 전동식 칼 연마기가 제공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구동되고 외표면에는 매직테이프가 접착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외표면에 착탈가능토록 부착되는 샌드페이퍼로 이루어진 연마부;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 고정브라켓과 회전축 및 인장스프링에 의해 축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수직지지대와, 이 수직지지대에 가이드봉과 조절봉에 지지된 채로 승강작동되면서 양측단에 가이드로울러를 가지는 이송대와, 수직지지대의 내측에 칼날을 견고히 잡아주도록 하는 판스프링 형태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파지부; 상기 수직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단의 높낮이 조절노브에 의해 정,역회전 작동되면서 이송대를 승강작동시키도록 하는 조절스크류와, 상기 베이스의 고정브라켓트에 횡방향으로 축결합되고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와 밀착되면서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가지는 다수 개의 접촉면을 가지는 작동캠과, 상기 작동캠의 회전축에 형성되는 각도조절노브로 이루어진 조절부: 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파지부의 구성과 조절부의 구성이 복잡하여 초보자가 이를 조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또 연마부가 샌드페이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빈번하게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다른 실시례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944호(2006.03.10. 공고)의 칼 연마기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칼날 진입홈이 형성된 커버에 의해 개방된 상면이 차폐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양측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나선이 가공되면서 외부로 노출된 일측 끝에 핸들이 구비되는 스크류축 및 이 스크류축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평행 설치되는 안내축으로 된 간격조절수단과; 상기 스크류축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안내축이 통과되는 하우징 및 이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스크류축에 대해 직교 배치되는 회전축 및 이 회전축의 전방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요철면을 갖는 연마휠 그리고 후방측에 결합되는 종동풀리로 된 한쌍의 좌·우연마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구동축에 연결된 2단풀리가 각각의 종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 연장된 모터의 구동축상에 동심으로 구비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한 쌍으로 된 중공의 원통형 부재로서 칼날진입을 위하여 서로 대향하는 테두리면이 테이퍼 가공되는 초경 연삭휠과, 상기 구동축상에 구비되어 초경 연삭휠들을 서로 밀착되게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된 초경 연삭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요철면을 갖는 연마휠 그리고 후방측에 결합되는 중동풀리로 된 한쌍의 좌, 우연마수단의 연마휠 사이로 칼날을 투입하여 연마하게 되는 구성으로 칼을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작업자가 칼을 가압한 상태로 당겨 연마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칼 연마장치는 연마숫돌을 구동하는 모터, 연마수를 공급하는 펌프 등을 구동하므로 전력 소비율이 높아 차량에 탑재할 경우 배터리의 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49035호(2015.05.08. 공개) "칼갈이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DC 전원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상에 대칭으로 양측면을 연삭면으로 하는 2개의 연마숫돌을 설치한 칼갈이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과; 지면에 접하도록 베이스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구와; 양측 지지구 사이에 내입되는 집수통과; 베이스프레임의 중간 상측에 설치되는 서포트와; 서포트에 설치된 베어링에 축결합되며 서포트 내측에 위치하도록 피동풀리를 결합한 구동축과; 피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구동풀리가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축의 양측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연마숫돌과; 연마숫돌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서포트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좌우 이동되는 안내구와; 안내구에는 결합된 부러쉬브래킷에 연마숫돌과 축방향으로 접하도록 결합한 전면부러쉬와; 가이드레일 전방에 위치하도록 집수호퍼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커버와; 상기 연마숫돌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서포트 양측으로 설치하여 연마수를 집수하고 집수통으로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는 집수호퍼와; 상기 집수호퍼를 수용하는 높이로 베이스프레임에 하단이 고정되며 집수호퍼와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전방이 개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며 후방으로 모터수리용 커버가 결합되는 ㄷ형 측면커버와; 상기 연마숫돌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집수호퍼의 후방 상측으로 세워지는 가림판 및 가림판과; 일체로 절곡되며 연마숫돌보다 높은 위치로 구동모터 상부를 밀폐하도록 측면커버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조받침판과; 가림판의 상단에서 연마숫돌 상측으로 돌출되는 비산방지판과; 상기 수조받침판 위에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하단과 연결된 상태에서 연마숫돌의 양측 연삭면에 연마수를 제공하는 연마수호스 및 연마수호스의 중도에 배관되며 집수호퍼에 결합한 체크밸브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은 복수로 구성되는 연마숫돌이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칼의 특성에 맞게 연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칼은 야채류, 고기류 또는 생선류를 다듬거나 자를 때 각기 다르게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에 하는 종류에 따라 칼의 특성이 달라지며, 이러한 특성에 맞게 칼을 연마하여야 하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이러한 특성에 맞게 칼을 연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1645호(2006.03.1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944호(2006.03.10.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49035호(2015.05.08.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하는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칼의 특성에 맞게 칼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하여 식재료를 다듬거나 잘라 내기가 용이하도록 한 이동식 칼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전문적인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칼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칼보다 연마하기가 까다로운데 이는 칼의 가격이 고가인 것은 물론 칼의 방향이 정확한 직선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한편, 칼의 날이 예리하게 서 있어야 식재료를 자를 때 미끄러지거나 잘리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복수의 연마기를 통해 칼의 특성에 맞게 연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식 칼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에 설치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세방향으로 오픈 가능하게 도어가 설치되는 컨테이너와; 칼의 특성에 맞게 연마를 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일측에 설치되는 칼연마장치와;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칼 또는 기타 부자재를 보관 및 전시하여 사람들이 구매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장식장;을 포함하며, 상기 칼연마장치와 장식장은 컨테이너에 설치되고, 상기 컨테이너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식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칼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칼연마장치는, 상부패널, 베이스패널, 측면패널 및 하부패널로 이루어져 작업공간이 형성되며, 베이스패널과 하부패널 사이에 설치공간을 가지며 함체도어가 설치되는 함체와; 함체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함체도어 내측으로 설치되는 제1모터와 연결되어 제1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칼날의 끝단을 거칠게 연마할 수 있도록 함체에 설치되는 제1연마부와; 제1연마부에서 거칠게 연마된 칼날을 곱게 연마할 수 있도록 고정대에 설치된 제2모터에 결합되는 제2연마부와; 이가 빠진 칼날 또는 칼연결대를 갈아낼 수 있도록 제2연마부의 일측에 위치되어 제2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연마부와; 제2연마부에서 연마된 칼을 마무리 연마할 수 있도록 함체도어 내측에 설치된 제3모터의 회전 가능하게 함체에 설치되는 제4연마부와; 칼의 종류에 따라 최종적으로 연마하여 광택이 날 수 있도록 고정대에 설치된 제4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연마부 및 제6연마부와; 제1연마부와 제4연마부의 표면을 연마할 수 있도록 전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연마부연마기와; 제1연마부, 제2연마부, 제3연마부 및 제4연마부에서 칼을 연마할 때 윤활제 역할을 하는 물이 자유낙하에 의해 공급될 수 있도록 물이 공급되는 노즐을 가지며 함체 상부에 설치되어 물탱크와; 제1연마부, 제2연마부, 제3연마부, 제4연마부, 제5연마부 및 제6연마부를 이용하여 칼을 연마하거나 또는 광택을 낼때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체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조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연마부는, 제1풀리를 가지며 베이스패널 하부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제1모터와; 제1모터와 일정한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베어링을 가지며 보강대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브라켓과; 복수의 제1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과; 제1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풀리와; 제1모터의 제1풀리와 제1회전축의 제2풀리에 설치되어 제1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벨트와; 베이스패널의 상부에서 회전하면서 칼을 연마할 수 있도록 제1회전축과 연결되는 원형의 제1연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연마부와 제3연마부는, 제2모터의 구동축 및 제4모터에 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칼의 연마, 절단 및 광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연마부는, 제3풀리를 가지며 베이스패널 하부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제3모터와; 제3모터와 일정한 거리가 이격 된 위치에 베어링을 가지며 보강대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브라켓과; 복수의 제2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축과;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제3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4풀리와; 제3모터의 제3풀리와 제2회전축의 제4풀리에 설치되어 제3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벨트와; 베이스패널의 상부에서 회전하면서 칼을 연마할 수 있도록 제2회전축과 연결되는 원형의 제4연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연마부와 제6연마부는, 제4모터에 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칼의 표면을 광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연마부, 제2연마부, 제3연마부 또는 제4연마부를 통해 칼의 상태에 따라 연마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칼의 날을 세우는 과정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칼 또는 전문가가 사용하는 칼의 특성에 맞게 연마가 이루어지므로 칼을 사용하는 사람의 만족도가 올라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칼을 연마하고자 하는 사람이 위치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칼을 연마하여 줌으로 칼의 연마를 의뢰한 사람의 만족도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칼갈이 장치가 컨테이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칼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연마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연마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제3연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연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연마부와 제3연마부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부연마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칼갈이 장치에 설치된 장식장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연마부를 통해 칼을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연마부를 통해 칼을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연마부를 통해 칼을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연마부를 통해 칼을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연마부연마기를 통해 제1연마부와 제3연마부를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칼갈이 장치의 컨트롤러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칼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세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칼갈이 장치는 도 1 내지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칼갈이 장치가 컨테이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칼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연마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연마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은 본 발명의 제3연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연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연마부와 제3연마부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부연마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칼갈이 장치에 설치된 장식장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연마부를 통해 칼을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연마부를 통해 칼을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연마부를 통해 칼을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연마부를 통해 칼을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연마부연마기를 통해 제1연마부와 제3연마부를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칼갈이 장치의 컨트롤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칼갈이 장치는 차량에 설치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세방향으로 오픈 가능하게 도어(110)가 설치되는 컨테이너(100)와, 칼의 특성에 맞게 연마를 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칼연마장치(200)와, 컨테이너(100)에 설치되어 칼 또는 기타 부자재를 보관 및 전시하여 사람들이 구매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장식장(400)을 포함하며, 상기 칼연마장치(200)와 장식장은 컨테이너(10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컨테이너(100)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식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테이너(100)의 도어(110)는 걸림쇠(미도시)와 걸리고리(미도시)가 설치되어 이동시 오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어(110)는 절첩되도록 설치되어 차량에 설치된 컨테이너(100)의 상방향으로 오픈될 시에 'ㄴ'자 형상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110)는 쇼바(미부호)가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쇼바에 의해 도어가 오픈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칼연마장치(200)는 칼의 특성에 맞게 연마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100)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칼연마장치(200)는 함체(210), 고정대(220), 제1연마부(230), 제2연마부(240), 제3연마부(250), 제4연마부(260), 제5연마부(270), 제6연마부(280), 연마부연마기(290), 물탱크(300), 및 조명(350)을 포함한다.
상기 함체(210)는 상부패널(211), 베이스패널(212), 측면패널(213) 및 하부패널(미도시)로 이루어져 작업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패널(212)과 하부패널(미도시) 사이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며, 설치공간의 전면에는 함체도어(210)가 경첩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함체(210)의 베이스패널(212)은 고정대(220), 제1연마부(230), 제2연마부(240), 제3연마부(250), 제4연마부(260), 제5연마부(270) 및 제6연마부(28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보강대(21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대(216)는 복수의 가로바(216-1)가 베이스패널(212)과 하부패널에 각각 설치되고, 가로바(216-1)의 사이에는 수직바(216-2)가 복수로 설치되어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대(220)는 베이스패널(212)의 상부에 'T'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제2연마부(240)와 제3연마부(250)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241) 및 제5연마부(270)와 제6연마부(280)를 회전시키는 제4모터(271)가 고정된다.
상기 제1연마부(230)는 함체도어(215) 내측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제1모터(231)와 연결되어 제1모터(23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칼날의 끝단을 거칠게 연마할 수 있도록 함체(210)에 설치된다.
상기 제1연마부(230)는 제1풀리(232)를 가지며 베이스패널(212) 하부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제1모터(231)와, 제1모터(231)와 일정한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베어링(미도시)을 가지며 보강대(216)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브라켓(233)과, 복수의 제1브라켓(23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234)과, 제1회전축(234)에 결합되어 제1모터(23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풀리(235)와, 제1모터(231)의 제1풀리(232)와 제1회전축(234)의 제2풀리(235)에 설치되어 제1모터(231)의 구동력에 의해 제1회전축(234)을 회전시키는 제1벨트(236)와, 베이스패널(212)의 상부에서 회전하면서 칼을 연마할 수 있도록 제1회전축(234)과 연결되는 원형의 제1연마부재(237)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마부(240)는 제1연마부(230)에서 거칠게 연마된 칼날을 곱게 연마할 수 있도록 고정대(220)에 설치된 제2모터(2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3연마부(250)는 이가 빠진 칼날 또는 칼연결대 등을 갈아낼 수 있도록 제2연마부(240)의 일측에 위치되어 제2모터(2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연마부(240)와 제3연마부(250)는 제2모터(24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칼을 연마 및 절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4연마부(260)는 제2연마부(240)에서 연마된 칼을 마무리 연마할 수 있도록 함체도어(215) 내측에 설치된 제3모터(261)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함체(210)에 설치된다.
상기 제4연마부(260)는 제3풀리(262)를 가지며 베이스패널(212) 하부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제3모터(261)와, 제3모터(261)와 일정한 거리가 이격 된 위치에 베어링을 가지며 보강대(216)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브라켓(263)과, 복수의 제2브라켓(26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축(264)과, 제2회전축(264)에 결합되어 제3모터(26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4풀리(265)와, 제3모터(261)의 제3풀리(262)와 제2회전축(264)의 제4풀리(265)에 설치되어 제3모터(261)의 구동력에 의해 제2회전축(264)을 회전시키는 제2벨트(266)와, 베이스패널(212)의 상부에서 회전하면서 칼을 연마할 수 있도록 제2회전축(264)과 연결되는 원형의 제4연마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5연마부(270)는 칼의 종류에 따라 최종적으로 연마하여 광택이 날 수 있도록 고정대에 설치된 제4모터(2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상기 제6연마부(280)는 제5연마부(270)에서 연마할 수 없는 칼을 최종적으로 연마하여 광택이 날 수 있도록 고정대(220)에 설치된 제4모터(2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상기 제5연마부(270)와 제6연마부(28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모터(271)에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게 결합되어 칼의 표면을 광택 한다.
상기 연마부연마기(290)는 제1연마부(230)와 제4연마부(260)의 표면을 연마할 수 있도록 전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대(22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연마부연마기(290)는 고정대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바(291)와, 상기 고정바(291)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조절봉(292)와, 길이조절봉(292)의 하단에 설치되어 제1연마부재(237) 또는 제2연마부재(267)의 표면을 연마하는 다듬질부재(2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291)는 고정바(291)에 경첩에 의해 설치되어 고정바(291)의 측면에서 회전되면서 다듬질부재(293)가 제1연마부재(237) 또는 제2연마부재(267)의 상부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길이조절봉(292)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고정바(291)에 회전에 의해 다듬질부재(293)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상기 다듬질부재(293)의 하부에는 제1연마부재(237) 또는 제2연마부재(267)의 표면을 고르게 다듬을 수 있도록 다이아몬드재질의 연마석이 설치 된다.
상기 연마부연마기(290)는 제1연마부(230)와 제4연마부(260)에 의해 연마되는 칼에 의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요철과 같은 굴곡이 미세하게 발생되는 것을 연마하여 칼의 연마시 연마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물탱크(300)는 제1연마부(230), 제2연마부(240), 제3연마부(250) 및 제4연마부(260)에서 칼을 연마할 때 윤활제 역할을 하는 물이 자유낙하에 의해 공급될 수 있도록 물이 공급되는 노즐(310) 및 물주입구(301)를 가지며 함체(210)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노즐(310)은 제1연마부(230), 제2연마부(240), 제3연마부(250) 및 제4연마부(260)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될 수 있도록 플랙서블 한 연결관(320)이 구성되고, 연결관(320)에는 물의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3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에(300) 담긴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물탱크(300) 외측에 수위확인부(340)가 설치된다.
상기 조명(350)은 제1연마부(230), 제2연마부(240), 제3연마부(250), 제4연마부(260), 제5연마부(270) 및 제6연마부(280)를 이용하여 칼을 연마하거나 또는 광택을 낼 때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체(21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명(350)의 온/오프하는 스위치는 함체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명(350)은 칼을 연마할 때 공급하는 물에 의해 합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킹에 의한 방수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체(210)는 작업자가 칼을 연마할 때 필요한 도구를 올려놓거나 또는 연마하는 칼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선반(3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장식장(400)은 컨테이너(100)에 설치되어 칼 또는 기타 부자재를 보관 및 전시하여 사람들이 구매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식장(40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는 하부에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칼 또는 기타 부자재가 일정 각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놓일 수 있도록 하여 차량에 의해 이동시 놓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식장(40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칼 또는 기타 부자재가 사람들에게 잘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모터(231), 제2모터(241), 제3모터(261), 제4모터(271) 및 조명(350)에 필요한 전원은 컨트롤러(500)를 통해 공급된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버튼부(510)와 전원공급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510)는 제1모터(231)와 제3모터(26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스위치(511) 및 제3스위치(513)는 전원박스(미도시)에 설치되어 함체(210)의 전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2모터(241)와 제4모터(271)의 구동을 제거아하기 위한 제2스위치(512) 및 제4스위치(514)는 제2모터(241)와 제4모터(271)의 전면에 설치되어 작업시 이를 바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520)는 배터리(521), D/A컨버터(522) 및 충전회로(523)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521)는 함체도어(215)의 배면 쪽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D/A컨버터(522)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521)는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521)와는 별개로 적어도 2개 이상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521)는 차량의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이 필요할 경우 차량의 발전기를 통해 충전한다.
상기 D/A컨버터(522)는 배터리(521)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1모터(231), 제2모터(241), 제3모터(261), 제4모터(271) 및 조명(3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체의 일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A컨버터(522)의 설치 위치는 컨테이너(100)에 설치되는 칼연마장치(200)와 장식장(400)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523)는 배터리(521)의 전류 잔량을 확인하고, 배터리의 전류가 낮아지면 이를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LED(미도시)를 통해 알릴 수 있도록 전원박스(미도시)에 설치된다. 또한, 배터리(521)의 전원 잔량을 체크하여 이를 소리 또는 LED를 통해 알려 차량에 설치된 발전기를 통해 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칼의 연마는 제1연마부(230)를 통해 1차로 작업하고, 제1연마부(230)에서 작업한 칼은 2차로 제2연마부(240) 또는 제4연마부(260)를 통해 연마한다.
상기 제1연마부(230)에서 연마한 칼의 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바로 제4연마부(260)를 통해 연마하고, 칼의 상태가 조금 좋지 않은 경우에는 제2연마부(240)를 거쳐 제4연마부(260)를 통해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연마부(230)를 통해 연마한 칼의 상태는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때 칼날의 이가 빠져 연마가 많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2연마부(240)를 거쳐 제4연마부(260)를 통해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칼의 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제1연마부(230)를 통해 제4연마부(260)에서 연마하여 칼의 날을 세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연마부(230)와 제4연마부(260)의 구동은 제1모터(231) 또는 제3모터(261)가 구동되면, 그 구동력을 제1풀리(232) 또는 제3풀리(262)를 통해 제1벨트(236) 또는 제2벨트(266)를 통해 전달되어 제제3풀리(262) 또는 제4풀리(265)를 통해 전달되어 제1회전축(234) 또는 제2회전축(264)을 회전시켜 베이스패널(212) 상부에 위치된 제1연마부재(237) 또는 제4연마부(260)를 회전시켜 칼의 연마가 이루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3연마부(250)는 칼날의 상태가 매우 안좋아 칼날을 많이 갈아내야 할 때 사용한다. 상기 제3연마부(250)는 제1연마부(230), 제2연마부(240), 제4연마부(260), 제5연마부(270), 제6연마부(280)와는 별개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5연마부(270)와 제6연마부(280)는 칼의 재질 또는 상태에 따라 광택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칼의 재질 또는 상태에 따라 마무리 광택시 칼이 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연마부(240)와 제3연마부(250)는 제2모터(241)의 구동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제5연마부(270)와 제6연마부(280) 또한, 제4모터(271)의 구동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2연마부(240)와 제3연마부(250) 또는 제5연마부(270)와 제6연마부(280)를 하나의 제2모터(241) 또는 제4모터(271) 하나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은 차량에 설치되는 컨테이너(100)의 내부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칼의 연마가 이루질 때 물탱크(300)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어 물에 의해 연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물탱크(300)가 함체(210)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저장된 물은 자유낙하에 의해 연결관(320)을 거쳐 노즐(310)을 통해 제1연마부(230), 제2연마부(240), 제3연마부(250), 제4연마부(260)로 공급하여 윤활제 역할을 한다. 상기 노즐(310)로 공급되는 물의 단속은 연결관에 설치된 밸브(330)를 통해 제어된다.
즉, 밸브(330)를 조작하여 물의 공급이 많이되도록 하거나 또는 물의 공급이 조금되도록 조절하여 칼의 크기에 따라 물의 공급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관(320)은 플렉서블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물을 공급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제1연마부(230)와 제4연마부(260)에 의해 연마되는 칼에 의해 제1연마부(230)와 제4연마부(260)의 표면이 미세하게 요철이 형성되는데, 이를 고정대(220) 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연마부연마기(290)의 다듬질부재(293)를 통해 그 표면을 고르게 다듬는다.
상기 연마부연마기(290)에 의해 제1연마부(230)와 제4연마부(260)의 표면이 매끄럽게 다듬어지므로 칼을 연마할 때 제1연마부(230)와 제4연마부(260)에 미세하게 형성된 요철에 의해 칼날이 고르게 연마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칼 또는 전문가가 사용하는 칼의 특성에 맞게 연마가 이루어지므로 칼을 사용하는 사람의 만족도가 상승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아 칼의 재질, 상태에 따라 연마를 달리하므로 칼의 연마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칼날이 제대로 서는 이점이 있는 것은 물론 칼의 재질 및 상태에 따라 연마가 이루어져 칼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예들 또한 본 발명의 카테고리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컨테이너 110: 도어
200: 칼연마장치 210: 함체
211: 상부패널 212: 베이스패널
213: 측면패널 214: 하부패널
216: 함체도어 216: 보강대
216-1: 가로바 216-2: 수직바
220: 고정대 230: 제1연마부
231: 제1모터 232: 제1풀리
233: 제1브라켓 234: 제1회전축
235: 제2풀리 236: 제1벨트
237: 제1연마부재 240: 제2연마부
241: 제2모터 250: 제3연마부
260: 제4연마부 261: 제3모터
262: 제3풀리 263: 제2브라켓
264: 제2회전축 265: 제4풀리
266: 제2벨트 267: 제2연마부재
270: 제5연마부 271: 제4모터
280: 제6연마부 290: 연마부연마기
291: 고정바 292: 길이조절봉
293: 다듬질부재 300: 물탱크
310: 노즐 320: 연결관
330: 밸브 340: 수위확인부
350: 조명 360: 선반
400: 장식장 500: 컨트롤러
510: 버튼부 511: 제1스위치
512: 제2스위치 513: 제3스위치
514: 제4스위치 520: 전원공급부
521: 배터리 522: D/A컨버터
523: 충전회로

Claims (6)

  1. 차량에 설치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세방향으로 오픈 가능하게 도어(110)가 설치되는 컨테이너(100)와;
    칼의 특성에 따라 연마 및 광택을 다르게 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100)에 설치되는 칼연마장치와;
    컨테이너(100)에 설치되어 칼 또는 기타 부자재를 보관 및 전시하여 사람들이 구매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장식장(400);을 포함하며,
    상기 칼연마장치(200)와 장식장(400)은 컨테이너(100)에 설치되고, 상기 컨테이너(100)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식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칼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연마장치(200)는,
    상부패널(211), 베이스패널(212), 측면패널(213) 및 하부패널로 이루어져 작업공간이 형성되어 컨테이너(100)에 설치되며, 베이스패널(212)과 하부패널 사이에 설치공간을 가지며 함체도어(215)가 설치되는 함체(210)와;
    함체(210)에 설치되는 고정대(220)와;
    함체도어(215) 내측으로 형성된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제1모터(231)와 연결되어 제1모터(23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칼날의 끝단을 거칠게 연마할 수 있도록 함체(210)에 설치되는 제1연마부(230)와;
    제1연마부(230)에서 거칠게 연마된 칼날을 곱게 연마할 수 있도록 고정대(220)에 설치된 제2모터(241)에 결합되는 제2연마부(240)와;
    이가 빠진 칼날 또는 칼연결대를 갈아낼 수 있도록 제2연마부(240)의 일측에 위치되어 제2모터(2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연마부(250)와;
    제2연마부(240)에서 연마된 칼을 마무리 연마할 수 있도록 함체도어(215) 내측에 설치된 제3모터(261)의 회전 가능하게 함체에 설치되는 제4연마부(260)와;
    칼의 종류에 따라 최종적으로 연마하여 광택이 날 수 있도록 고정대(220)에 설치된 제4모터(27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5연마부(270) 및 제6연마부(280)와;
    제1연마부(230)와 제4연마부(260)의 표면을 연마할 수 있도록 전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대(2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연마부연마기(290)와;
    제1연마부(230), 제2연마부(240), 제3연마부(250) 및 제4연마부(260)에서 칼을 연마할 때 윤활제 역할을 하는 물이 자유낙하에 의해 공급될 수 있도록 물이 공급되는 노즐을 가지며 함체 상부에 설치되어 물탱크(300)와;
    제1연마부(230), 제2연마부(240), 제3연마부(250), 제4연마부(260), 제5연마부(270) 및 제6연마부(280)를 이용하여 칼을 연마하거나 또는 광택을 낼때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체(210)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조명(3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칼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마부(230)는,
    제1풀리(232)를 가지며 베이스패널(212) 하부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제1모터(231)와;
    제1모터(231)와 일정한 거리가 이격 된 위치에 베어링을 가지며 보강대(216)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브라켓(233)과;
    복수의 제1브라켓(23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234)과;
    제1회전축(234)에 결합되어 제1모터(23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풀리(235)와;
    제1모터(231)의 제1풀리(232)와 제1회전축(234)의 제2풀리(235)에 설치되어 제1모터(231)의 구동력에 의해 제1회전축(234)을 회전시키는 제1벨트(236)와;
    베이스패널(212)의 상부에서 회전하면서 칼을 연마할 수 있도록 제1회전축(234)과 연결되는 원형의 제1연마부재(23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칼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마부(240)와 제3연마부(250)는,
    제2모터(24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칼의 연마, 절단 및 광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칼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연마부(260)는,
    제3풀리(262)를 가지며 베이스패널(212) 하부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제3모터(261)와;
    제3모터(261)와 일정한 거리가 이격 된 위치에 베어링을 가지며 보강대(216)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브라켓(263)과;
    복수의 제2브라켓(26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축(264)과;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제3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4풀리(265)와;
    제3모터(261)의 제3풀리(262)와 제2회전축(264)의 제4풀리(265)에 설치되어 제3모터(261)의 구동력에 의해 제2회전축(264)을 회전시키는 제2벨트(266)와;
    베이스패널(212)의 상부에서 회전하면서 칼을 연마할 수 있도록 제2회전축(264)과 연결되는 원형의 제4연마부(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칼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연마부(270)와 제6연마부(280)는,
    제4모터(271)에 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칼의 표면을 광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칼갈이 장치.
KR1020170108313A 2017-08-26 2017-08-26 이동식 칼갈이 장치 KR20190022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313A KR20190022230A (ko) 2017-08-26 2017-08-26 이동식 칼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313A KR20190022230A (ko) 2017-08-26 2017-08-26 이동식 칼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230A true KR20190022230A (ko) 2019-03-06

Family

ID=65761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313A KR20190022230A (ko) 2017-08-26 2017-08-26 이동식 칼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22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2512A (zh) * 2021-04-28 2021-07-27 安徽江淮扬天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机动车维修用打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944Y1 (ko) 2005-12-19 2006-03-10 양승철 칼 연마기
KR200411645Y1 (ko) 2005-12-29 2006-03-15 서정걸 전동식 칼 연마기
KR20150049035A (ko) 2013-10-29 2015-05-08 이윤호 칼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944Y1 (ko) 2005-12-19 2006-03-10 양승철 칼 연마기
KR200411645Y1 (ko) 2005-12-29 2006-03-15 서정걸 전동식 칼 연마기
KR20150049035A (ko) 2013-10-29 2015-05-08 이윤호 칼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2512A (zh) * 2021-04-28 2021-07-27 安徽江淮扬天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机动车维修用打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010B1 (ko) 칼갈이 장치
US4622782A (en) Sander shield
US9289872B1 (en) Multi-wheel grinder tool
CN207402617U (zh) 一种不锈钢钢带的抛光打磨装置
JP2012176480A (ja) デッキ表面の研削・研磨装置
US6202775B1 (en) Rotary floor finisher for use with a power rider trailer
US2228385A (en) Apparatus for finishing and reconditioning edged tools
KR20190022231A (ko) 칼갈이 장치
KR20190022230A (ko) 이동식 칼갈이 장치
KR20090030413A (ko) 전동식 칼 연마기
US7413505B1 (en) Pipe and shaft sander
US2191600A (en) Grinder
US4381911A (en) Portable hand controlled cement finishing machine
CN215506897U (zh) 一种粮食自动化控制碾打刷组合机
JP2000263414A (ja) 自動研磨装置
CN209223777U (zh) 一种轮毂用打磨装置
EP0267993A1 (en) Sander shield
US2228386A (en) Abrading apparatus and the like
KR100659508B1 (ko) 연마기
US1271639A (en) Sanding-machine.
CN106217159A (zh) 尖角打磨装置
KR100545878B1 (ko) 칼 연마기
CN210340947U (zh) 一种皮革加工用磨皮设备
CN112276745A (zh) 一种桥梁建设用护栏切口处圆滑处理装置
KR200410944Y1 (ko) 칼 연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