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0413A - 전동식 칼 연마기 - Google Patents

전동식 칼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0413A
KR20090030413A KR1020070095696A KR20070095696A KR20090030413A KR 20090030413 A KR20090030413 A KR 20090030413A KR 1020070095696 A KR1020070095696 A KR 1020070095696A KR 20070095696 A KR20070095696 A KR 20070095696A KR 20090030413 A KR20090030413 A KR 20090030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movable plate
blade
fasten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7765B1 (ko
Inventor
강미영
서정걸
Original Assignee
강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미영 filed Critical 강미영
Priority to KR102007009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7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00Wheels or drums supporting in exchangeable arrangement a layer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e.g. sandpaper
    • B24D9/006Tools consisting of a rolled strip of flexi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칼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샌드페이퍼가 장착되는 연마드럼을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칼을 자동으로 연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공이 아니라 할지라도 누구나 손쉽게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성 및 안전성은 물론 연마효율을 향상시키며, 또한 연마드럼의 표면에 칼이 밀착되는 위치와 그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칼의 종류나 형태에 관계없이 어떠한 칼도 간편하고 손쉽게 연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수직의 체결판을 가지는 고정브라켓트가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개폐되는 덮개가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모터와 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구동되면서 외표면에 샌드페이퍼가 탈부착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칼날연마부와; 상기 바디부의 체결판에 나란히 설치되는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의 전,후에 각각 체결되어 칼이 안착되는 안착로울러와, 상기 체결판과 가동판 사이에 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되는 체결보울트로 구성되는 칼파지부와; 상기 체결관과 가동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체결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관과 가동판에 설이되면서 슬라이드관에 삽입체결되어 슬라이드되는 작동봉과, 슬라이드관의 외측에서 삽입되어 작동봉과 나사체결되는 조절노브을 가지는 조절축으로 구성되는 연마조절부와; 상기 체결판에 고정설치되는 너트관과 이 너트관에 나사체결되면서 가동판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진퇴작동되어 칼의 일측면을 지지토록 하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각도조절부;를 갖추어 구성된다.
칼 연마기, 전동식 칼 연마기, 연마기, 연마석, 연마테이프

Description

전동식 칼 연마기{Electric motion knife abrader}
본 발명은 전동식 칼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샌드페이퍼가 장착되는 연마드럼을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칼을 자동으로 연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공이 아니라 할지라도 누구나 손쉽게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성 및 안전성은 물론 연마효율을 향상시키며, 또한 연마드럼의 표면에 칼이 밀착되는 위치와 그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칼의 종류나 형태에 관계없이 어떠한 칼도 간편하고 손쉽게 연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식 칼 연마기는 디스크형으로 이루어지는 연마석을 구동모터로 회전시켜 칼이나 가위 등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로서 종래에도 여러 가지 형태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연마기는 고속으로 회전되는 연마석의 표면에 칼이나 가위 등의 피가공물을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직접 접면시켜 연마토록 하는 구성임으로써 고도의 숙련공만이 연마작업이 가능하고 일반인은 사용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개선된 전동식 칼 연마기를 고안하여 국내에서 여러 번에 걸쳐 실용신안 등록한 바 있다.
본 고안과 가장 근접되는 선등록고안을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본인의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35925호를 들수 있으며, 이는 구동모우터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회전드럼의 표면에 샌드페이퍼를 장착하면서도 연마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연마 깊이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숙련공이 아닌 초보자도 사용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등록 고안은 요구되는 효과는 충분히 기대할 수가 있으나 동력전달 등에 따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성 및 작동성이 좋지 못하고, 칼의 높낮이나 각도의 조절이 원활하지 못하여 다양한 종류의 칼을 사용하기가 어려운 등 사용의 불편함이 야기되었다.
특히 회전구동되는 연마드럼의 표면에 연마하고자 하는 칼의 날이 정확히 밀착되어야만 효율적인 연마를 기대할 수가 있겠으나, 실제로 칼은 그 종류에 따라서 칼의 두께나 폭이 너무나 다양할 뿐만 아니라, 칼날의 끝단면도 직선 또는 곡선 등으로서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들을 다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선등록 고안은 극히 제한된 형태의 칼을 연마하는데만 적합할 뿐 다양한 형태의 칼날을 연마하는데는 여전히 오랜 숙련공이 요구되는 등 사용의 호환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모터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구동되면서도 샌드페이퍼가 표면에 장착되는 연마드럼을 사용하여 칼을 자동으로 연마할 수 있도록 하여 숙련공이 아니라 할지라도 누구나 간편하고도 손쉽게 작업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고, 또한 연마드럼의 표면에 칼이 밀착되는 위치와 그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칼의 종류나 형태에 관계없이 어떠한 칼도 간편하고 손쉽게 연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새로운 형태의 전동식 칼 연마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상기 칼 연마기는 운반 및 보관에 따른 핸드링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베이스상에 설치되면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연마드럼의 표면에 샌드페이퍼가 장착되어 칼날을 연마토록 하는 칼날연마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칼날을 파지하면서도 칼날이 연마드럼에 밀착되는 것을 조절토록 하는 밀착조절부와, 상기 밀찰조절부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연마되는 칼날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토록 하는 각도조절부로 구성됨으로써 칼날을 자동으로 연마토록 함과 동시에, 칼날의 크기와 두께, 폭 등에 관계없이 어떠한 형태의 칼도 간편하고 손쉽게 연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교적 소형의 제품으로 구성되어 운반 및 보관에 따른 핸드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고속으로 회전되는 연마드럼에 의해 칼날이 자동으로 연마되는 것임으로써 숙련공이 아닐지라도 누구나 손쉽게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있다.
또한 연마되는 칼의 밀착범위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음으로써 칼날의 크기나 두께, 폭 등이 상이한 여러 가지 종류의 칼도 매우 효율적으로 연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및 도2는 본 고안에 관한 전동식 칼 연마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3 내지 도6은 본 고안의 정면도 및 측면도 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7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관한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전동식 칼 연마기는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크게 구분하여 운반 및 보관에 따른 핸드링이 용이하도록 비교적 소형으로 이루어지는 바디부(10)와, 상기 바디부(10)의 베이스상에 설치되면서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되고 표면에는 샌드페이퍼가 장착되는 회전드럼을 가지는 칼날연마부(20)와, 상기 칼날연마부(2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연마대상물인 칼을 안정되게 파지하토록 하는 칼파지부(30)와, 상기 칼파지부(30)와 나란히 설치되면서 칼날을 칼날연마부의 회전드럼에 밀착시켜 칼날의 연마깊이를 조절토록 하는 연마조절부(40)와, 상기 연마조절부(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칼날의 각도를 조절토록 하는 각도조절부(5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바디부(10)는 전술한 바와도 같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소형의 제품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지면에 안정되게 안착되는 베이스(11)를 갖추어 구성되고, 이의 베이스(11)에는 고정브라켓트(12)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되며, 고정브라켓트(12)의 일측에는 후술할 연마조절부 및 각도조절부가 장착체결되는 체결판(13)이 수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타측에는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개폐작동되는 덮개(14)가 설치된다.
상기 칼날연마부(20)는 베이스(11)상에 전원의 공급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구동되는 모터(21)가 설치되고, 이 모터(21)의 회전축에는 원형의 회전드럼(22)이 장착되며, 회전드럼(22)의 외표면에는 샌드페이퍼(23)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드럼(22)은 합성수지,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중심부가 모터(21)의 회전축에 결합됨으로써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구동되는 것이고, 이의 외주면에는 칼날의 연마를 위한 샌드페이퍼(23)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샌드페이퍼(23)는 회전드럼(22)에 강력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또는 회전드럼(22)의 표면과 샌드페이퍼(23) 후면에 매직테이프를 형성하여 이들의 접착력에 의해 착탈 가능토록 설치됨으로써 마모시에는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샌드페이퍼(23)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밴드형으로 구성되면서 외표면에는 사포가 형성됨에 따라 칼날을 효과적으로 연마하게 되는 것이고, 이는 접착제나 매직테이프는 물론이고 기타 여러 가지 형태의 연결수단에 의해 회전드럼(22)에 착 탈식으로 교체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칼파지부(30)는 연마대상물인 칼을 안정되게 파지토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고정브라켓트(12)의 체결판(13)과 나란히 설치되는 가동판(31)을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체결판(13)과 가동판(31) 사이의 전,후면에 각각 한 쌍으로 수평 설치된다.
상기 가동판(31)에는 칼의 칼날면이 안착체결될 수 있는 안착로울러(32)가 설치되고, 이 안착로울러(32)는 체결보울트(33)에 의해 가동판(31)의 전단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체결보울트(33)는 고정브라켓트(12)의 체결판(13)까지 연장되게 설치되어 너트(34)로 결속됨과 동시에 체결판(13)과 가동판(31)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35)이 탄력설치된다.
또 상기 안착로울러(32)는 그 중심부에 칼날이 삽입체결되는 "V"자형의 홈(32a)이 형성되며, 이의 홈(32a)은 칼날이 연마될 시 수평으로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칼파지부(30)의 중심부에는 연마조절부(40)가 설치되며, 이는 바디부(10)에 형성된 고정브라켓트(12)의 체결판(13)과 가동판(31) 사이의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연마되는 칼을 회전드럼(22) 측으로 밀착시키는 조절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연마조절부(40)는 고정브라켓트(12)의 체결판(13)에 슬라이드관(41)이 일체형으로 설치됨과동시에 가동판(31)에는 슬라이드관(41)내로 삽입체결되는 작동봉(42)이 일체로 수평설치된다.
또 상기 슬라이드관(41)의 외측에는 조절노브(43)를 가지는 조절축(44)이 슬라이드관(41)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봉(42)과 나사 결합됨으로써 이의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가동판(31)을 진퇴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50)는 연마조절부(4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브라켓트(12)의 체결판(13)에 일체로 고정되는 너트관(51)과, 상기 너트관(51)에 나사체결되면서 그 전단의 가동판(3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봉(52)과, 상기 지지봉(52)의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5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52)의 그 표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너트관(51)에 나사결합되므로써 손잡이(53)의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그 전단에 형성되는 가동판(31)의 관통공을 통하여 진퇴작동된다.
이러한 각도조절부(50)는 지지봉(53)의 끝단이 연마조절부에 안착된 칼날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칼날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각도조절에 의해 칼날의 연마면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중 부호 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트(12)에 힌지축으로 체결되어 개폐가능토록 구성되는 덮개로서,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이의 상면에는 일정한 크기의 가위연마홈(15)이 형성되어 가위를 편리하게 연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가위연마홈(15)의 내부로 가위의 날을 삽입하여 회전드럼(22)의 샌드페이퍼(23)와 접면되도록 함으로써 가위도 손쉽게 연마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각종 칼이나 가위 등의 연마대상물 을 숙련공이 아니라 하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연마할 수 있으며, 특히 칼날의 크기나 두께가 다른 각종 칼들을 종류에 관계없이 연마할 수 있도록 회전드럼에 밀착되는 위치와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칼 연마기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칼파지부(30)의 안착로울러(32)에 형성된 "V"자 홈(32a)에 연마대상물인 칼의 칼날이 삽입되는 상태로 올려놓으며, 칼은 전,후 두 개의 안착로울러(32)에 의해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절노브(43)를 정,역회전 작동시키게 되면 이의 조절축(44)과 나사결합된 작동봉(42)이 슬라이드관(41)을 따라 진퇴작동되므로써 가동판(31)이 진퇴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판(31)의 전,후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안착로울러(32)가 역시 동일하게 진퇴작동됨으로써 즉, 상기 안착로울러(32)가 칼날연마부(20)의 회전드럼(22)으로 부터 진퇴작동됨으로써 칼날의 연마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절이 완료되면 본체를 온작동시켜 모터(21)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그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드럼(22)이 고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의 표면에 체결된 샌드페이퍼(23)가 연마조절부(20)에 안착된 칼날을 연마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칼은 칼날을 안착로울러(32)의 홈(32a)에 긴밀히 밀착시킨 상태에서 칼자루를 쥐고 일정한 속도로 전,후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연마작업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칼 연마기는 칼의 두께나 크기 등을 감안하여 연마조절부(20)에 안착되는 칼의 밀착 위치 즉, 연마되는 칼날을 회전드럼(22)의 샌드페이퍼(23)와 밀착 정도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가 있음으로써 칼날의 연마깊이를 조절할 수 가 있다.
또한, 칼날의 연마 깊이 뿐만 아니라 칼의 두께나 종류 등에 따라서 칼날의 연마면적과 칼날의 각도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가 있는데, 이는 각도조절부(50)의 손잡이(53)를 정,역 회전 작동시키게 되면, 그 지지봉(52)이 고정브라켓트(12)의 체결관(13)에 고정된 너트관(51)과 나사결합되어 진퇴작동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그 끝단이 가동판(31)을 관통하여 칼의 일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연마되는 칼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칼의 지지각도를 임의대로 조절함으로써 연마되는 칼날의 각도도 임의대로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고, 칼의 반대편을 연마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계의 본체를 돌려서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연마 및 각도조절부(30)(40)의 조절범위는 회전드럼(22)의 먼 위치부터 가까운 위치로 조절함과 동시에 각도조절은 가장 두꺼운 위치에서부터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칼날의 크기 등을 감안하여 양측 조절손잡이상에 눈금을 표시함으로써 편리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샌드페이퍼(23)는 오랜사용으로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면 회전드럼(22)을 모터(21)로 부터 분리하여 교체사용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칼이 아니라 가위도 연마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덮 개(14)상에 형성된 가위연마홈(15)의 내부로 가위의 날을 삽입하여 회전되는 회전드럼(22)의 샌드페이퍼(23)와 긴밀히 밀착시킴으로써 손쉽게 연마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동식 칼 연마기의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 도1에서 덮개가 제거된 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도1의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도2의 정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6는 본 발명의 좌측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를 단면하여 보인 정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를 단면하여 보인 평면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 정면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바디부 11:베이스
12:고정브라켓트 13:체결판
14:덮개 20:칼날연마부
21:모터 22:회전드럼
23:샌드페이퍼 30:칼파지부
31:가동판 32:안착로울러
32a:홈 33:체결보울트
34:너트 35:코일스프링
40:연마조절부 41:슬라이드관
42:작동봉 43:조절노브
44:조절축 50:각도조절부
51:너트관 52:지지봉
53:손잡이

Claims (1)

  1. 수직의 체결판을 가지는 고정브라켓트가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개폐되는 덮개가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모터와 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구동되면서 외표면에 샌드페이퍼가 탈부착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칼날연마부와;
    상기 바디부의 체결판에 나란히 설치되는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의 전,후에 각각 체결되어 칼이 안착되는 안착로울러와, 상기 체결판과 가동판 사이에 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되는 체결보울트로 구성되는 칼파지부와;
    상기 체결관과 가동판의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체결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관과 가동판에 설이되면서 슬라이드관에 삽입체결되어 슬라이드되는 작동봉과, 슬라이드관의 외측에서 삽입되어 작동봉과 나사체결되는 조절노브을 가지는 조절축으로 구성되는 연마조절부와;
    상기 체결판에 고정설치되는 너트관과 이 너트관에 나사체결되면서 가동판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진퇴작동되어 칼의 일측면을 지지토록 하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각도조절부;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칼 연마기.
KR1020070095696A 2007-09-20 2007-09-20 전동식 칼 연마기 KR100897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96A KR100897765B1 (ko) 2007-09-20 2007-09-20 전동식 칼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96A KR100897765B1 (ko) 2007-09-20 2007-09-20 전동식 칼 연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413A true KR20090030413A (ko) 2009-03-25
KR100897765B1 KR100897765B1 (ko) 2009-05-15

Family

ID=4069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696A KR100897765B1 (ko) 2007-09-20 2007-09-20 전동식 칼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7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0636A (zh) * 2014-11-26 2015-03-11 河南航天精工制造有限公司 螺纹杆磨扁工装及使用该工装的螺纹杆平面加工方法
WO2017030265A1 (ko) * 2015-08-19 2017-02-23 홍순민 휴대용 칼갈이 장치
CN110900346A (zh) * 2019-12-12 2020-03-24 郑喜凤 一种建筑用多功能钢管打磨装置
KR102393793B1 (ko) * 2020-11-27 2022-05-02 최윤정 전동식 칼 연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539B1 (ko) 2011-05-03 2013-12-03 홍순민 칼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7194A (en) 1984-03-12 1986-12-09 Friel Daniel D Method and apparatus for knife and blade sharpening
KR200240841Y1 (ko) 2001-04-20 2001-10-11 서정걸 전동식 칼 연마기
KR200335925Y1 (ko) 2003-09-18 2003-12-11 서정걸 전동식 칼 연마기
KR200411645Y1 (ko) 2005-12-29 2006-03-15 서정걸 전동식 칼 연마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0636A (zh) * 2014-11-26 2015-03-11 河南航天精工制造有限公司 螺纹杆磨扁工装及使用该工装的螺纹杆平面加工方法
WO2017030265A1 (ko) * 2015-08-19 2017-02-23 홍순민 휴대용 칼갈이 장치
CN110900346A (zh) * 2019-12-12 2020-03-24 郑喜凤 一种建筑用多功能钢管打磨装置
CN110900346B (zh) * 2019-12-12 2021-06-01 江苏恒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用多功能钢管打磨装置
KR102393793B1 (ko) * 2020-11-27 2022-05-02 최윤정 전동식 칼 연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765B1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3247B2 (en) Electric sharpener
KR100897765B1 (ko) 전동식 칼 연마기
KR101379478B1 (ko) 칼 연마기
WO2007113510A1 (en) Tool holding jig
KR200411645Y1 (ko) 전동식 칼 연마기
JP2013535345A (ja) 板係止機構
US20190366500A1 (en) Knife sharpener
EP1658930A1 (en) Tool sharpening apparatus
KR100904980B1 (ko) 전동식 칼 연마기의 연마드럼
US2621453A (en) Portable electric belt sanding machine
AU2014287504B2 (en) Tool rest with angle indicator for use with bench grinder
KR200456205Y1 (ko) 칼 갈이 기구
KR100820978B1 (ko) 연마 겸용 면취장치
JP6228990B2 (ja) 目立て機
US3562907A (en) Carpet cutting machine
KR200317396Y1 (ko) 가위 연마장치
KR101083650B1 (ko) 연마기
JP2004009287A (ja) 連接砥石刃物研ぎ機
JP2013091148A (ja) ハンド用のディスクグラインダー、該ハンド用のディスクグラインダーを用いた被研磨材の研磨方法
GB2420091A (en) An electrically powered grinding tool
AU2011100677A4 (en) Sharpening tool
KR200314805Y1 (ko) 동력을 이용한 칼갈이 장치
JPH0866852A (ja) 鋏の研磨装置
JP4305877B2 (ja) ドリル刃研磨器
KR200302557Y1 (ko) 동력을 이용한 칼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