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900A -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900A
KR20190021900A KR1020170107320A KR20170107320A KR20190021900A KR 20190021900 A KR20190021900 A KR 20190021900A KR 1020170107320 A KR1020170107320 A KR 1020170107320A KR 20170107320 A KR20170107320 A KR 20170107320A KR 20190021900 A KR20190021900 A KR 20190021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ales
user
contents
ut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균
김범진
김성진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시지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온 filed Critical (주)시지온
Priority to KR102017010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1900A/ko
Priority to PCT/KR2018/007368 priority patent/WO2019039721A1/ko
Publication of KR2019002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유저들이 온라인상에 업로드한 유저 컨텐츠들을 소정의 채널에서 상품판매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은,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채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채널에 개시하고자 하는 활용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유저 컨텐츠들 중 적어도 일부인 상기 활용 컨텐츠 중에서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특정 상품의 판매에 활용될 판매활용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의 소정의 위치에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부착된 태그와 상기 채널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를 위한 판매 페이지를 연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가 상기 채널에서 개시되고, 유저 단말기에 의해 상기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판매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상기 유저 단말기를 상기 판매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using user-contents and system therof}
본 발명은 유저들이 네트워크 상에 업로드한 컨텐츠(예컨대, 사진 등)를 상품판매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사용자들이 작성한 컨텐츠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개념들이 널리 공지된 바 있다. 예컨대, 컨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등이 이러한 일 예일 수도 있다.
컨텐츠 큐레이션 서비스의 간단한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컨텐츠 큐레이션 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유저들이 소정의 네트워크(예컨대, 인스타그램ⓡ 과 같은 소셜 미디어)에 업로드한 컨텐츠 즉, 유저 컨텐츠를 활용하고자 하는 채널(예컨대, 특정 기업의 웹 사이트/웹 페이지 등)은 채널 측(예컨대, 특정 기업 측)에서 생산한 컨텐츠 뿐만 아니라 상기 채널과 관련된 유저 컨텐츠, 즉 활용 컨텐츠(20)를 해당 채널에 방문한 유저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다.
이러한 니즈는 활용 컨텐츠(20)가 유저들이 해당 채널 측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직접 구매 또는 사용했다는 인증이 되는 것이기도 하거니와, 이러한 활용 컨텐츠를(20) 유저들이 직접 생산하고 네트워크에 업로드했다는 것은 제품 신뢰도 상승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유저들 사이에서 신뢰성 있는 정보로써 작용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채널에 방문한 유저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할 수도 있고,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효과도 존재한다. 하지만 상기 채널에서는 이러한 활용 컨텐츠들을 상품판매와 직접적으로 연계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 채널에 방문한 유저가 활용 컨텐츠들을 보다가 특정 상품이 표시된 사진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저는 상기 특정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상품은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일 수 있다.
하지만 유저는 활용 컨텐츠를 통해 발생한 구매욕구를 상기 활용 컨텐츠를 통해 직접적으로 상품구매로 연결하지 못하고, 상기 채널에서 상기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페이지(판매 페이지)의 검색 및 이동, 상기 판매 페이지에서 제품의 구매를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 등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45691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유저의 활용 컨텐츠들을 상품의 판매와 연동시켜 상품의 구매욕에 대해 즉각적인 상품 구매가 활용 컨텐츠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저들이 온라인상에 업로드한 유저 컨텐츠들을 소정의 채널에서 상품판매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은,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채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채널에 개시하고자 하는 활용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유저 컨텐츠들 중 적어도 일부인 상기 활용 컨텐츠 중에서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특정 상품의 판매에 활용될 판매활용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의 소정의 위치에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부착된 태그와 상기 채널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를 위한 판매 페이지를 연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가 상기 채널에서 개시되고, 유저 단말기에 의해 상기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판매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상기 유저 단말기를 상기 판매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은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활용 컨텐츠를 상기 채널에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은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유저 컨텐츠들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미리 정의된 컨텐츠 활용기준에 부합되는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후보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용 컨텐츠는 상기 후보 컨텐츠들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미리 정의된 컨텐츠 선택기준에 부합되는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컨텐츠 내에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이미지가 포함되는 기준인 상기 컨텐츠 선택기준에 부합되는 상기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컨텐츠 내에 사람의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는 기준인 상기 컨텐츠 선택기준에 부합되는 상기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의 소정의 위치에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의 판매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상품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이미지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한 위치에 상기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의 소정의 위치에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받은 위치에 상기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된 태그와 상기 채널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를 위한 판매 페이지를 연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태그가 부착된 위치에 상응하는 객체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판매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들 중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복수의 판매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제공된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선택받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은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의 소정의 위치에 복합태그를 부착하는 단계 및 부착된 복합태그를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판매상품들 중 전부 또는 일부인 복합태그 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와 연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합태그 상품들은 상기 복수의 판매상품들 전체이거나, 상기 복수의 판매상품들 중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에 표시된 컨텐츠들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저들이 온라인상에 업로드한 유저 컨텐츠들을 소정의 채널에서 상품판매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은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채널에 개시하고자 하는 활용 컨텐츠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활용 컨텐츠 중에서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특정 상품의 판매에 활용될 판매활용 컨텐츠에 표시된 특정상품에 부착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유저 단말기에 의해 상기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유저 단말기를 상기 태그에 연동된 판매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저들이 온라인상에 업로드한 유저 컨텐츠들을 소정의 채널에서 상품판매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은 상기 채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채널에 개시하고자 하는 활용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조건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유저 컨텐츠들 중 적어도 일부인 상기 활용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컨텐츠 추출모듈, 상기 활용 컨텐츠 중에서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특정 상품의 판매에 활용될 판매활용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의 소정의 위치에 태그를 부착하며, 상기 부착된 태그와 상기 채널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를 위한 판매 페이지를 연동시키기 위한 상품연동 모듈, 및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가 상기 채널에서 개시되고, 유저 단말기에 의해 상기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판매 페이지에 포함된 판매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상기 유저 단말기를 상기 판매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추출모듈은 상기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유저 컨텐츠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미리 정의된 컨텐츠 활용기준에 부합되는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하며, 선택한 후보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활용 컨텐츠는 상기 후보 컨텐츠들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추출모듈은 컨텐츠 내에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이미지가 포함되는 기준인 상기 컨텐츠 선택기준에 부합되는 상기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하거나, 컨텐츠 내에 사람의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는 기준인 상기 컨텐츠 선택기준에 부합되는 상기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상품연동 모듈은 상기 채널의 판매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상품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이미지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위치에 상기 태그를 부착하거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위치에 상기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상품연동 모듈은 상기 태그가 부착된 위치에 상응하는 객체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판매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들 중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거나, 상기 복수의 판매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제공된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선택받을 수 있다.
상기 상품연동 모듈은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의 소정의 위치에 복합태그를 부착하고, 부착된 복합태그를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판매상품들 중 전부 또는 일부인 복합태그 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와 연동시키며, 상기 복합태그 상품들은 상기 복수의 판매상품들 전체이거나, 상기 복수의 판매상품들 중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에 표시된 컨텐츠들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저들이 온라인상에 업로드한 유저 컨텐츠들을 소정의 채널에서 상품판매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은 상기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채널에 개시하고자 하는 활용 컨텐츠를 개시하기 위한 제어모듈, 유저 단말기에 의해 상기 활용 컨텐츠 중에서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특정 상품의 판매에 활용될 판매활용 컨텐츠에 표시된 특정 상품에 태그를 부착하기 위한 상품연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채널에서 개시된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의 상기 태그가 상기 유저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유저 단말기를 상기 태그에 연동된 판매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 컨텐츠 중에서 소정의 채널에 활용되는 활용 컨텐츠를 단순히 정보제공 또는 제품이나 기업의 신뢰도 상승으로 활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상품의 판매와도 직접적인 연계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 판매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품의 판매에 적합한 활용 컨텐츠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도록 하여, 채널의 관리자가 일일이 채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를 수동으로 확인하는 것에 비해 매우 큰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활용 컨텐츠와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상품과의 연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컨텐츠 큐레이션 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의 개략적인 데이터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이 적용되고 있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소정의 채널(예컨대, 웹 사이트/웹 페이지, 모바일 사이트/ 모바일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채널서버(200)와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채널서버(200)는 소정의 채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유저의 단말기(300)는 상기 채널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채널이 소정의 기업이 운용하는 웹 사이트인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상기 채널 및 상기 채널을 운영하는 주체가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상기 채널의 관리자가 이용하는 관리자의 단말기(210)와 통신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는 한 명 또는 복수일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명세서에서 관리자의 단말기(210)라 함은, 관리자가 이용하는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이지 반드시 특정한 하나의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소정의 네트워크(400)에 접속하여 유저 컨텐츠를 검색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400)는 예컨대, 유저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있는 소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네트워크(400)는 유저 컨텐츠들이 모여 있고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이 상기 네트워크(400)에 접속하여 필요한 유저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검색 및/또는 수신하거나 상기 채널서버(200)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면 족하다.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상기 채널서버(200)의 관리자의 단말기(210)로부터 다수의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어떤 컨텐츠를 검색하고 추출할지에 대한 선택조건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유저 컨텐츠들은 각각을 설명하기 위한 태그정보(예컨대, 해시태그 등)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자의 단말기(210)는 원하는 유저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택조건은 상기 태그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는 상기 채널과 관련된 태그정보를 선택조건으로 선택할 것이다.
그러면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상기 네트워크(400)에 접속하여 상기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유저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된 유저 컨텐츠 자체를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이 수신한 후 상기 채널서버(200)로 전송하여 상기 채널에서 소정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고, 검색된 유저 컨텐츠의 식별정보만을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이 수신한 후 상기 네트워크(400)에서 상기 채널서버(200)로 상기 유저 컨텐츠가 전송되는 것을 중개할 수도 있다.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이 상기 채널서버(200)가 원하는(관리자의 단말기(210)가 원하는) 유저 컨텐츠를 상기 채널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기 위한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네트워크(400)가 허용하는 인터페이스(예컨대, API)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유저 컨텐츠의 선택조건이나 후술할 컨텐츠 선택기준 등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로부터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으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검색된 컨텐츠 즉, 채널에서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상기 채널에 개시하기 위해, 소정의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는 상기 채널의 소스에 상기 코드를 삽입할 수 있고, 삽입된 상기 코드는 상기 채널서버(200)를 제어하여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채널에 개시되는 컨텐츠(이하, '활용 컨텐츠')는 선택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에 의해 검색되는 컨텐츠 전부일 수도 있지만, 일 예에 의하면 관리자의 단말기(210)는 선택조건에 기초하여 검색되는 컨텐츠 중에서 일부를 제외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머지 컨텐츠가 활용 컨텐츠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활용 컨텐츠의 선택은 관리자의 단말기(210)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후술할 바와 같이 컨텐츠 선택기준으로 이용하여 상기 활용 컨텐츠의 선택을 효과적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활용 컨텐츠가 결정되면 상기 활용 컨텐츠는 채널에 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널은 소정의 상품(들)을 판매할 수 있다. 상기 채널에는 일 예에 의하면 각각의 상품들을 판매하기 위한 별도의 판매 페이지가 존재할 수 있다. 물론, 어느 하나의 판매 페이지에 복수의 상품들이 판매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상기 판매 페이지에서 원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채널에 개시된 활용 컨텐츠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상품(들) 중 어느 하나인 특정상품이 표시된 이미지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활용 컨텐츠 중 상기 특정상품이 표시된 이미지를 표시 컨텐츠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 컨텐츠 중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상기 특정상품과 연계되는 컨텐츠를 판매활용 컨텐츠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채널은 유저들이 선택한 컨텐츠 중 상기 채널과 관련된 상품 특히 특정상품이 표시된 컨텐츠가 상기 채널에 개시됨으로써, 상기 채널에 방문한 방문자들에게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컨텐츠는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일종의 광고 컨텐츠로 기능할 수 있다. 방문자는 유저의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채널에 접속하여 이러한 표시 컨텐츠를 확인하면서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구매욕구가 생길 수 있다. 표시 컨텐츠는 모두 판매활용 컨텐츠일 수도 있고, 표시 컨텐츠 중 일부만이 판매활용 컨텐츠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표시 컨텐츠 중 판매활용 컨텐츠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상기 특정상품 및/또는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타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판매활용 컨텐츠에는 소정의 태그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태그는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에서 상기 특정상품이 표시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는 상기 태그를 자동으로 부착하기 위해 소정의 이미지 디텍팅(detecting) 등의 자동화된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관리자의 단말기(210)로부터 상기 부착 위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위치에 상기 태그를 부착할 수도 있다.
유저의 단말기(300)는 부착되는 태그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를 직접 이용하여 특정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매욕구가 생긴 방문자가 판매활용 컨텐츠를 본 후에, 상기 채널의 다른 매체를 검색하여 특정상품를 구매하도록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소요시간, 번거로움, 그리고 이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구매욕구의 감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인터페이스 모듈(120), 컨텐츠 추출모듈(130), 및 상품연동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모듈(120), 컨텐츠 추출모듈(130), 상품연동 모듈(14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와 통신을 수행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로부터 선택조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선택조건에 대한 정보는 네트워크(400)에 존재하는 다수의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채널서버(200)가 제공하는 채널에 개시하고자 하는 활용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로 소정의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전송에 응답하셔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추출모듈(130)은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네트워크(400)에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검색된 컨텐츠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활용 컨텐츠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에 포함된 소정의 구성(모듈)이 선택을 한다고 함은,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의 선택을 입력받아 최종적인 선택을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추출모듈(130)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컨텐츠 추출모듈(130)은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컨텐츠 중에서 제외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관리자의 단말기(210)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추출모듈(130)은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컨텐츠 중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일부의 컨텐츠를 제외하거나 상기 기준에 부합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기준을 컨텐츠 선택기준이라고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컨텐츠 선택기준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 또는 추출되는 컨텐츠를 후보 컨텐츠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추출모듈(130)은 후보 컨텐츠 전부를 활용 컨텐츠로 선택할 수도 있고, 후보 컨텐츠 중에서 일부를 활용 컨텐츠로 선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컨텐츠 추출모듈(130)은 추출된 후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210)로 제공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로부터 후보 컨텐츠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활용 컨텐츠로 선택받을 수 있다. 그러면 선택받은 컨텐츠가 활용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선택기준은 상기 채널에 방문한 방문자에게 유용한 컨텐츠이거나 상기 채널 측의 이익에 부합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 또는 법률적, 또는 현실적으로 이러한 컨텐츠는 상기 채널에서 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일 수도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컨텐츠 선택기준은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고 있는 소정의 특정상품을 판매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준일 수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 선택기준은 컨텐츠 내에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이미지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컨텐츠 추출모듈(130)은 선택조건에 부합하는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특정상품에 대한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이를 후보 컨텐츠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추출모듈(130)이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객체인식 등의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줌이 수행될 수 있다. 특정 객체의 이미지가 존재하면, 이러한 특정객체를 임의의 이미지에서 탐색하는 객체인식 또는 객체탐색 알고리즘(예컨대,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등) 에 대해서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이러한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컨텐츠 선택기준은 컨텐츠 내에 사람의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는 기준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사람의 동의 없이 상기 채널에 개시되는 것이 법률상 또는 사업상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기타 상기 채널 측의 니즈에 따라 상기 컨텐츠 선택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후보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추출모듈(130)에 의해 추출되면, 추출된 후보 컨텐츠 전체가 자동으로 활용 컨텐츠로 선택될 수도 있고, 후보 컨텐츠 중에서 일부가 관리자의 단말기(210)에 의해 선택되어 활용 컨텐츠로 결정될 수도 있다. 물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컨텐츠이기만 하면 상기 활용 컨텐츠가 될 수도 있고, 상기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컨텐츠 중에서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에 의해 활용 컨텐츠가 선택될 수도 있다.
이렇게 활용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활용 컨텐츠를 상기 채널에 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코드가 상기 채널의 소스에 삽입되면, 상기 코드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채널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코드를 통해 상기 활용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활용 컨텐츠가 상기 채널의 소정의 위치에서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이 상기 활용 컨텐츠를 상기 채널에 개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함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활용 컨텐츠 중에서 판매활용 컨텐츠가 존재하고, 판매활용 컨텐츠에 부착된 태그가 유저의 단말기(300)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연계 컨텐츠를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자체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계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상기 채널에 존재하는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 페이지로부터 가져올 수 있다. 물론 상기 판매 페이지가 아니더라도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예컨대, 이미지, 가격, 이름 등)가 상기 채널서버(200)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저장된 위치를 상기 제어모듈(110)이 알고 있다면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된 연계 컨텐츠에는 상기 특정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UI가 존재할 수 있고, 상기 UI를 통해 유저의 단말기(300)는 상기 특정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태그가 유저의 단말기(300)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유저의 단말기(300)를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판매 페이지로 리디렉션(redirection)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리디렉션된 판매 페이지에서 상기 유저의 단말기(300)가 상기 특정상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에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연계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연계 컨텐츠에 포함된 소정의 UI를 유저가 선택하면 상기 유저의 단말기(300)가 상기 특정상품의 판매 페이지로 리디렉션될 수도 있다.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는 활용 컨텐츠 중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소정의 태그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판매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상품연동 모듈(140)은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의 선택, 판매활용 컨텐츠에서 태그의 부착, 및 태그에 연동정보를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동정보는 상기 채널에 포함되며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특정상품의 판매 페이지에 대한 정보(예컨대, URL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정보이면 족하다.
상기 상품연동 모듈(140)은 활용 컨텐츠 중에서 판매활용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상품연동 모듈(140)은 활용 컨텐츠들 모두를 판매활용 컨텐츠로 선택할 수도 있고, 이 중에서 일부만을 판매활용 컨텐츠로 선택할 수도 있다. 판매활용 컨텐츠의 선택은 관리자의 단말기(210)의 선택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고, 특정상품이 표시된 컨텐츠가 자동으로 추출되어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로 선택될 수도 있다.
특정 컨텐츠에 복수의 상품들이 표시된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는 복수의 상품들 각각에 대한 판매활용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상품연동 모듈(140)에 의해 부착되는 태그는 특정상품에 상응하는 특정상품 태그일 수도 있고, 복합태그일 수도 있다. 즉, 특정상품 태그는 특정상품 하나와만 대응될 수 있다. 복합태그는 복수의 상품들과 대응될 수 있다. 각각의 태그에는 대응되는 상품의 연동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합태그는 예컨대, 복합태그가 부착된 컨텐츠 내에 존재하는 상품들과 대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상품들 전부가 상기 복합태그에 대응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채널에는 상품 1 내지 10이 판매될 수 있고, 소정의 컨텐츠에는 상품 1 내지 상품 3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컨텐츠에 부착된 복합태그는 상기 상품 1 내지 상품 3과 대응되는 태그일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태그를 선택하면 유저는 상기 컨텐츠를 직접 토해 상기 상품 1 내지 상품 3을 구매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합태그는 자신이 부착된 컨텐츠와는 무관하게 상기 상품 1 내지 상품 10 모두에 대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는 상기 복합태그를 통해 유저가 상품 1 내지 상품 10을 구매할 수 있다.
상기 상품연동 모듈(140)은 상기 특정상품 태그를 판매활용 컨텐츠에서 상기 특정상품이 표시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상품연동 모듈(140)은 상기 복합태그를 상기 복합태그와 대응되는 객체들이 표시된 위치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도 있고, 대응되는 객체(상품)의 위치와 무관하게 임의의 위치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상품연동 모듈(140)이 소정의 태그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객체인식이 수행될 수 있고, 인식된 객체의 위치에 자동으로 특정상품 태그 및/또는 복합태그가 부찰될 수도 있다. 물론, 실시 예에 따라서는 관리자의 단말기(210)가 특정상품 태그를 부착할 위치 및/또는 복합태그를 부착할 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상품연동 모듈(140)은 관리자의 단말기(210)의 선택에 따라 상기 특정상품 태그 및/또는 복합태그를 부착할 수도 있다.
소정의 판매활용 컨텐츠에 태그가 부착되면 상기 상품연동 모듈(140)은 상기 태그와 대응되는 상품간의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연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태그에 연동정보를 매칭(할당)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상품연동 모듈(140)은 상기 태그가 부착된 위치에 사응하는 객체(예컨대, 계란)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판매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들 중에서 상기 특정상품(예컨대, 계란)의 판매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상품연동 모듈(140)은 상기 복수의 판매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들에 대한 정보(예컨대, URL)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제공된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선택받을 수 있다. 즉, 복수의 상품들의 연동정보를 제공하고 이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받음으로써 간편하게 특정태그의 연동정보를 선택받을 수도 있다.
이렇게 태그와 특정상품간의 연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특정상품의 판매 페이지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은 연계 컨텐츠를 미리 생성해둘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채널에 방문한 유저의 단말기(300)가 상기 태그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연계 컨텐츠를 즉각적으로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의 개략적인 데이터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관리자의 단말기(210)로부터 선택조건을 수신할 수 있다(S100). 그러면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상기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검색/추출할 수 있으며(S110), 이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활용 컨텐츠로 선택할 수 있다(S120).
활용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소정의 컨텐츠 선택기준을 미리 정의하고, 정의된 컨텐츠 선택기준을 이용하여 후보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활용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판매활용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130). 판매활용 컨텐츠의 선택역시 특정상품이 표시된 모든 활용 컨텐츠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고,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바와 같다.
판매활용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S140). 태그의 부착은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이 특정상품의 이미지를 관리자의 단말기(210)로부터 입력받으면 자동으로 상기 특정상품이 표시된 위치를 탐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관리자의 단말기(210)에 의해 상기 태그가 부착될 위치가 지정될 수도 있다.
부착되는 태그는 특정상품 태그일 수도 있고, 복합태그일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부착된 태그에는 연동되는 상품과 연동되기 위한 연동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S150).
그러면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상기 채널에서 판매활용 컨텐츠가 개시되고, 개시된 판매활용 컨텐츠에 포함된 태그가 선택되면 유저의 단말기(300)가 상기 태그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소정의 연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유저의 단말기(300)를 대응되는 상품의 판매 페이지로 리디렉션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이 적용되고 있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우선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관리자의 단말기(210)는 활용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판매활용 컨텐츠에 태그(30)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태그(30)는 특정상품(예컨대, 계란)과 대응되는 특정상품 태그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의 단말기(210) 또는 상기 상품연동 모듈(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30)를 부착할 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그러면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태그(30)의 연동정보를 소정의 UI(31)를 통해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는 상기 태그(30)의 연동정보(32)를 상기 UI(31)에 입력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상품들 각각의 연동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210)에 리스트업 해줄 수 있고, 이 중에서 어느 하나를 관리자의 단말기(210)로 선택받으면 선택받은 연동정보가 상기 태그(30)에 매칭될 수 있다. 상기 연동정보는 상기 채널에 포함된 상기 특정상품의 판매 페이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지만, 상기 특정상품을 판매하는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가 상기 태그(30)에 연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태그(30)와 특정상품이 연동되면 상기 태그(30)가 부착된 판매활용 컨텐츠가 상기 채널에 개시되고, 상기 유저의 단말기(300)가 상기 태그(30)를 선택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에 연계 컨텐츠(4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채널에 존재하는 상기 특정상품의 판매 페이지(41)로 상기 유저의 단말기(300)가 리디렉션될 수도 있다. 또는 연계 컨텐츠(40)에 포함된 UI(50)를 선택하면 상기 판매 페이지(41)로 상기 유저의 단말기(300)가 리디렉션될 수도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연계 컨텐츠(40)는 상기 특정상품의 판매 페이지(41)에 개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상품의 판매 페이지(41)에 개시된 이미지와 이름, 가격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계 컨텐츠(40)에 포함시켜 상기 연계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판매활용 컨텐츠에 복합태그(60)를 부착할 수도 있다. 복합태그(60)는 복수의 상품들이 대응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복합태그(60)가 부착된 판매활용 컨텐츠에 존재하는 상품들만이 상기 복합태그(60)에 대응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전체 상품이 대응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복합태그(60)에 대응되는 상품들의 연동정보가 각각 상기 복합태그(60)에 매칭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널을 방문한 유저의 단말기(300)에 의해 상기 복합태그(60)가 선택되면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태그(60)에 대응되는 복수의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UI(61)를 통해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돈 바와 같이 상기 복합태그(60)에 대응되는 상품들 중 어느 하나(예컨대, 친환경 방울토마토)가 상기 UI(61)를 통해 유저의 단말기(300)에 의해 선택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 컨텐츠(70)가 판매활용 컨텐츠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계 컨텐츠(70)에 포함된 UI(예컨대, 구매하기)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상품(예컨대, 친환경 방울토마토)의 판매 페이지(71)로 유저의 단말기(300)가 리디렉션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유저들에 의해 생성된 유저 컨텐츠를 채널에 단순히 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유저 컨텐츠를 상기 채널의 상품판매에 직접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상품판매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유저들이 온라인상에 업로드한 유저 컨텐츠들을 소정의 채널에서 상품판매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채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채널에 개시하고자 하는 활용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유저 컨텐츠들 중 적어도 일부인 상기 활용 컨텐츠 중에서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특정 상품의 판매에 활용될 판매활용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의 소정의 위치에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부착된 태그와 상기 채널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를 위한 판매 페이지를 연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가 상기 채널에서 개시되고, 유저 단말기에 의해 상기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판매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상기 유저 단말기를 상기 판매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은,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활용 컨텐츠를 상기 채널에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은,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유저 컨텐츠들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미리 정의된 컨텐츠 활용기준에 부합되는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후보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용 컨텐츠는,
    상기 후보 컨텐츠들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미리 정의된 컨텐츠 선택기준에 부합되는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컨텐츠 내에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이미지가 포함되는 기준인 상기 컨텐츠 선택기준에 부합되는 상기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컨텐츠 내에 사람의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는 기준인 상기 컨텐츠 선택기준에 부합되는 상기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의 소정의 위치에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의 판매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상품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이미지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한 위치에 상기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의 소정의 위치에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치를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받은 위치에 상기 태그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된 태그와 상기 채널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를 위한 판매 페이지를 연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태그가 부착된 위치에 상응하는 객체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판매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들 중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또는
    상기 복수의 판매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제공된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선택받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은,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의 소정의 위치에 복합태그를 부착하는 단계; 및
    부착된 복합태그를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판매상품들 중 전부 또는 일부인 복합태그 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와 연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합태그 상품들은,
    상기 복수의 판매상품들 전체이거나,
    상기 복수의 판매상품들 중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에 표시된 컨텐츠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9. 유저들이 온라인상에 업로드한 유저 컨텐츠들을 소정의 채널에서 상품판매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채널에 개시하고자 하는 활용 컨텐츠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활용 컨텐츠 중에서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특정 상품의 판매에 활용될 판매활용 컨텐츠에 표시된 특정상품에 부착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이, 상기 유저 단말기에 의해 상기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유저 단말기를 상기 태그에 연동된 판매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10.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내지 제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유저들이 온라인상에 업로드한 유저 컨텐츠들을 소정의 채널에서 상품판매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으로써,
    상기 채널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채널에 개시하고자 하는 활용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조건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유저 컨텐츠들 중 적어도 일부인 상기 활용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컨텐츠 추출모듈;
    상기 활용 컨텐츠 중에서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특정 상품의 판매에 활용될 판매활용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의 소정의 위치에 태그를 부착하며, 상기 부착된 태그와 상기 채널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를 위한 판매 페이지를 연동시키기 위한 상품연동 모듈; 및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가 상기 채널에서 개시되고, 유저 단말기에 의해 상기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판매 페이지에 포함된 판매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상기 유저 단말기를 상기 판매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출모듈은,
    상기 선택조건에 상응하는 유저 컨텐츠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미리 정의된 컨텐츠 활용기준에 부합되는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하며, 선택한 후보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활용 컨텐츠는,
    상기 후보 컨텐츠들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출모듈은,
    컨텐츠 내에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이미지가 포함되는 기준인 상기 컨텐츠 선택기준에 부합되는 상기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하거나,
    컨텐츠 내에 사람의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는 기준인 상기 컨텐츠 선택기준에 부합되는 상기 후보 컨텐츠들을 선택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연동 모듈은,
    상기 채널의 판매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상품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이미지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위치에 상기 태그를 부착하거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위치에 상기 태그를 부착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연동 모듈은,
    상기 태그가 부착된 위치에 상응하는 객체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판매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들 중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거나, 상기 복수의 판매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제공된 정보 중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선택받는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연동 모듈은,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의 소정의 위치에 복합태그를 부착하고, 부착된 복합태그를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판매상품들 중 전부 또는 일부인 복합태그 상품들 각각의 판매 페이지와 연동시키며,
    상기 복합태그 상품들은,
    상기 복수의 판매상품들 전체이거나, 상기 복수의 판매상품들 중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 내에 표시된 컨텐츠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
  17. 유저들이 온라인상에 업로드한 유저 컨텐츠들을 소정의 채널에서 상품판매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으로써,
    상기 유저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채널에 개시하고자 하는 활용 컨텐츠를 개시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유저 단말기에 의해 상기 활용 컨텐츠 중에서 상기 채널에서 판매되는 특정 상품의 판매에 활용될 판매활용 컨텐츠에 표시된 특정 상품에 태그를 부착하기 위한 상품연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채널에서 개시된 상기 판매활용 컨텐츠의 상기 태그가 상기 유저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특정상품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유저 단말기를 상기 태그에 연동된 판매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컨텐츠 활용시스템.
KR1020170107320A 2017-08-24 2017-08-24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21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20A KR20190021900A (ko) 2017-08-24 2017-08-24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PCT/KR2018/007368 WO2019039721A1 (ko) 2017-08-24 2018-06-28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320A KR20190021900A (ko) 2017-08-24 2017-08-24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135A Division KR20190127625A (ko) 2019-10-31 2019-10-31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00A true KR20190021900A (ko) 2019-03-06

Family

ID=6543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320A KR20190021900A (ko) 2017-08-24 2017-08-24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21900A (ko)
WO (1) WO201903972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691B1 (ko) 2013-03-07 2014-10-01 (주)에이엔티홀딩스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1387A (zh) * 2009-01-30 2011-12-28 梁承武 用于转发广告产品的内容和在线选购广告产品的基于网络的系统及其方法
KR101611995B1 (ko) * 2013-10-16 2016-04-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모바일 스마트단말에서의 범위 커서 영역 이동을 통한 감성 광고 기반의 광고대상물 구매 방법
KR101698558B1 (ko) * 2015-05-08 2017-01-23 네이버 주식회사 컨텐츠에 링크 정보를 등록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40046A (ko) * 2015-10-02 2017-04-12 (주)비비드그루브 Url 이미지 추출기반의 상품구매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 중개방법
KR20170062879A (ko) * 2015-11-30 2017-06-08 최우혁 소셜 네트워킹을 이용한 통신 판매 중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691B1 (ko) 2013-03-07 2014-10-01 (주)에이엔티홀딩스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9721A1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7895B2 (en) Associating video content with geographic maps
US75426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images with recognition analysis
CN103842993A (zh) 用于上下文个性化搜索的系统和方法
US20110307482A1 (en) Search result driven query intent identification
KR102320749B1 (ko) 인플루언서를 매개로 하는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81136B1 (ko) 추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JP6310599B1 (ja) 検索装置、検索方法および検索プログラム
CN112740228A (zh) 视觉搜索引擎
US20180130119A1 (en) Product tagging and purchasing method and system
JP2015521306A (ja) 製品フィード類似性を使用したスパム商人の発見
CN102880716B (zh) 被识别实体的相关任务的主动交付
KR101784287B1 (ko)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20076489A (ko) 코드 기반의 가격 비교 서비스 및 프로모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3036009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with image analysis
JP6396568B1 (ja) 提供プログラム、提供装置、提供方法、端末装置および情報提供装置
US20120226550A1 (en) Method,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collection information
KR20190021900A (ko)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15697A (ko) 스마트 폰 인식 이미지를 이용한 연관 동작 수행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444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products
KR20190127625A (ko)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CN110945502A (zh) 集成图像搜索系统
KR102295026B1 (ko)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6998354B2 (ja) 検索に基づく収集支援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CN113139121A (zh) 查询方法、模型训练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766052A (zh) 菜品图片上传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63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031

Effective date: 2020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