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026B1 -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026B1
KR102295026B1 KR1020140111781A KR20140111781A KR102295026B1 KR 102295026 B1 KR102295026 B1 KR 102295026B1 KR 1020140111781 A KR1020140111781 A KR 1020140111781A KR 20140111781 A KR20140111781 A KR 20140111781A KR 102295026 B1 KR102295026 B1 KR 102295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valid
products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153A (ko
Inventor
나승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026B1/ko
Priority to CN201580034019.0A priority patent/CN106471540A/zh
Priority to PCT/KR2015/006503 priority patent/WO2016032105A1/ko
Priority to US15/317,975 priority patent/US20170124621A1/en
Publication of KR2016002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들의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검수 항목으로 리스트를 검수하여 상품들 중 유효 상품을 추출하고,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 유효 상품을 구비한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및 유효 상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가 많은 유효 상품의 정보가 구축됨으로써 판매자들이 유효 상품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홍보 및 판매 전략을 효율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OF OFFLINE STORE}
본 발명은 일정한 구역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의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상품을 구비한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및 상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바일 상품 검색 서비스는 온라인 상품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 검색은 개념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있으며, 실제로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거나 해당 매장에 전화로 문의하는 방법을 통해서만 상품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지역에 있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의 리스트를 서버에 업로드하면 가능하지만, 매장의 상품을 모두 업로드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항이다. 또한, 입고되는 사항과 출고되는 사항, 반품, 품절 및 매장간 이동 등 모든 정보를 공유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매장에서 잘 팔리지 않는 상품에 대한 데이터도 수용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않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4-0047258호, 2014년 4월 22일 공개 (명칭: 온/오프라인 복합 상거래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품 정보를 구축함으로써, 거래가 많은 유효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구비한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여러 매장을 방문하면서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실제 상품을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들의 리스트를 획득하는 리스트 획득부; 상기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검수 항목으로 상기 리스트를 검수하여 상기 상품들 중 유효 상품을 추출하는 상품 검수부; 및 상기 유효 상품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 상기 유효 상품을 구비한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및 상기 유효 상품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품 검수부는 상기 상품들 중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검수 항목의 주요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상기 주요 항목의 값과 동일한 상품을 상기 유효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검수부는 상기 상품들 중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에 상응하는 상기 리스트 항목의 값이 상기 일반 항목의 값과 동일한 상품을 상기 유효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검수 항목은 상품명, 바코드번호 및 상품 고유 식별 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주요 항목과 출시일, 상품 가격, 제조사, 판매사, 출고자 성명 및 상품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일반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품 검수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유효 상품에 상응하는 상기 리스트 항목의 값과 상기 검수 항목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검수 항목의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때, 리스트 획득부는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기 상품 정보와 함께 포함된 검색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영역 정보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상기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제공부는 상기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 전화번호, 주소, 상기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사진 및 상기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부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검수부는 상기 상품들 중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검수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상기 검수 항목의 값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동일한 상품을 유사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검수부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상기 유사 상품을 상기 유효 상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등록에서 제외되는 등록 제외 상품 중 어느 하나의 상품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들의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검수 항목으로 상기 리스트를 검수하여 상기 상품들 중 유효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상품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 상기 유효 상품을 구비한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및 상기 유효 상품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들 중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검수 항목의 주요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상기 주요 항목의 값과 동일한 상품을 상기 유효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들 중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에 상응하는 상기 리스트 항목의 값이 상기 일반 항목의 값과 동일한 상품을 상기 유효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검수 항목은 상품명, 바코드번호 및 상품 고유 식별 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주요 항목과 출시일, 상품 가격, 제조사, 판매사, 출고자 성명 및 상품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일반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유효 상품에 상응하는 상기 리스트 항목의 값과 상기 검수 항목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검수 항목의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때,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기 상품 정보와 함께 포함된 검색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영역 정보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상기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 전화번호, 주소, 상기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사진 및 상기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부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들 중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검수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상기 검수 항목의 값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동일한 상품을 유사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추출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상기 유사 상품을 상기 유효 상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등록에서 제외되는 등록 제외 상품 중 어느 하나의 상품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들의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검수 항목으로 상기 리스트를 검수하여 상기 상품들 중 유효 상품을 추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 상기 유효 상품을 구비한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및 상기 유효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장치에게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상기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및 상기 유효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품 정보를 구축함으로써, 거래가 많은 유효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구비한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여러 매장을 방문하면서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실제 상품을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정보 요청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 검색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수 과정에 따른 상품 분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 데이터베이스(111), 단말 장치(120) 및 오프라인 매장들(130-1~ 130-N)을 포함한다.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120)로부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120)에 입력하는 상품명이나 상품의 고유 식별번호 또는 단말 장치(12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바코드나 상품의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는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오프라인 매장들(130-1~ 130-N)에 구비된 상품들의 리스트를 획득한다. 이 때, 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품 정보와 함께 포함된 검색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영역 정보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오프라인 매장들(130-1~ 130-N)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는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검수 항목으로 리스트를 검수하여 상품들 중 유효 상품을 추출한다. 이 때, 상품들 중 리스트에서 검수 항목의 주요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주요 항목의 값과 동일한 상품을 유효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품들 중 리스트에서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일반 항목의 값과 동일한 상품을 유효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검수 항목은 상품명, 바코드번호 및 상품 고유 식별 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요 항목과 출시일, 상품 가격, 제조자, 판매사, 출고자 성명 및 상품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반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111)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유효 상품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과 검수 항목의 값을 비교하여 검수 항목의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품들 중 리스트에서 검수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검수 항목의 값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동일한 상품을 유사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유사 상품을 유효 상품 및 데이터베이스(111)의 등록에서 제외되는 등록 제외 상품 중 어느 하나의 상품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는 유효 상품을 데이터베이스(111)에 등록하고, 오프라인 매장들(130-1~ 130-N) 중 유효 상품을 구비한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및 유효 상품의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이 때,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 전화번호, 주소,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사진 및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부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효 오프라인 정보를 단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1)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에서 유효 상품으로 추출된 상품의 정보와 해당 상품을 구비한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상품 및 유효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111)에 등록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상품 정보를 그룹핑하거나 사용자들이 검색을 요청한 횟수에 따라 유효 상품을 나열함으로써 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1)는 도 1과 같이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와 연결되어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상품 정보를 입력 받아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120)를 이용하여 상품을 검색할 때, 상품명, 상품 고유 식별 번호, 바코드 및 상품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의 상품 정보를 입력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정보와 함께 검색 영역 정보를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검색 영역 정보는 사용자가 특정한 영역을 지정하고, 해당 영역 내에서 상품을 검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정보로,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가 검색 영역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 내에서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명동에서 운동화를 판매하는 매장을 검색한다면, 명동을 검색 영역 정보로 하여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들(130-1~ 130-N)은 사전에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 및 데이터베이스(111)에 등록된 매장들일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매장들(130-1~ 130-N)은 매장에 구비된 POS(Point Of Sales) 장치를 통해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를 오프라인 매장들(130-1~ 130-N)에 구비된 POS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들(130-1~ 130-N)의 POS 장치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들(130-1~ 130-N)에 구비된 상품들 중 상품 정보와 관련된 상품들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와 관련된 상품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리스트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POS 장치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들(130-1~ 130-N)에서 판매된 상품들은 판매시점에 즉시 기록됨으로써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들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는 수신부(210), 리스트 획득부(220), 상품 검수부(230) 및 제공부(24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통해 특정 상품의 정보를 입력하고 검색을 요청하면,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는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리스트 획득부(220)는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들의 리스트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통해 상품을 입력할 때 상품명, 상품 고유 식별번호, 상품의 바코드 및 상품의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의 상품 정보를 입력하여 특정 상품의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상품 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POS(Point Of Sales) 장치로 전달하면, POS 장치에 등록된, 즉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들 중에서 상품 정보와 관련된 상품들만으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품 정보와 함께 포함된 검색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영역 정보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맵 상에서 A 구역을 선택하고, A 구역 내에서 판매되는 특정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A 구역에 대한 검색 영역 정보를 상품 정보와 함께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제공 장치(100)는 수신한 검색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영역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에 등록된 오프라인 매장들 중에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오프라인 매장들은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 및 데이터베이스(111) 중 하나 이상에 미리 등록될 수 있다.
상품 검수부(230)는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검수 항목으로 리스트를 검수하여 상품들 중 유효 상품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상품의 정보를 검색하였을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검색이미지 및 검색 식별번호 등에 따라 검색 결과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하길 원하는 특정 상품과는 거리가 먼 엉뚱한 상품이 검색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검색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검수 항목을 통해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들을 검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유효 상품만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품들 중 리스트에서 검수 항목의 주요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주요 항목의 값과 동일한 상품을 유효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들을 검수하기 위한 여러 검수 항목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상품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중요한 항목들을 주요 항목으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리스트를 구성하는 다양한 항목들 중 주요 항목에 해당하는 상품들의 값을 추출하고, 추출한 값들이 검수 항목의 주요 항목의 값과 동일하다면 해당 상품을 사용자가 검색하길 원하는 유효 상품으로 판단하고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품들 중 리스트에서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일반 항목의 값과 동일한 상품을 유효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검수 항목 중에서 주요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을 일반 항목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 항목들은 주요 항목에 비교하면 상품을 구분하는데 중요한 정보는 아닐 수 있지만,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이 사용자가 검색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이라면, 리스트를 구성하는 항목들 중 일반 항목에 상응하는 상품들의 값이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의 값과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들의 일반 항목의 값을 검수하여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의 값과 모두 일치하는 상품은 사용자가 검색하길 원하는 유효 상품으로 판단하고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검수 항목은 상품명, 바코드 번호 및 상품 고유 식별 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요 항목과 출시일, 상품 가격, 제조자, 판매사, 출고자 성명 및 상품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반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수 항목에 포함된 항목들의 값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하여 특정 상품을 추출하고, 추출한 상품에 대한 정보로 검수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검수 항목의 주요 항목 및 일반 항목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항목들은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의 관리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유효 상품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과 검수 항목의 값을 비교하여 검수 항목의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에 대해서 생성된 검수 항목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고, 다음에 동일한 상품에 대해 검수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상품에 대한 검수 항목의 값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꾸준히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는데, 기설정된 기간을 정해서 검수 항목을 업데이트하면 저장된 검수 항목이 많아졌을 경우에 시스템에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상품에 대해서 검수하는 과정에서 검수 항목의 주요 항목을 이용하여 추출된 유효 상품들의 일반 항목의 값이 모두 동일하고,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의 값만 동일하지 않다면,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의 값을 유효 상품들의 일반 항목의 값으로 변경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때, 이와 같은 업데이트는 여러 검수 항목 중에서도 상품의 가격이나, 할인율과 같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 항목들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때, 상품들 중 리스트에서 검수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검수 항목의 값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동일한 상품을 유사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유사 상품을 유효 상품 및 데이터베이스의 등록에서 제외되는 등록 제외 상품 중 어느 하나의 상품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품들의 가격은 계속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검수 항목과 비교하였을 때 가격차이 때문에 유효 상품으로 추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여러 검수 항목과 비교하여 해당 상품이 일정 기준 이상 동일한 경우에는 상품을 유사 상품으로 추출하여 별도로 분류하고,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 및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자에 의해 직접 판단되어 유효 상품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수 항목이 10가지이고 기설정된 기준이 8가지인 경우, 상품들의 리스트 항목 값 중 검수 항목에 상응하는 값이 8가지 이상 일치한다면 유사 항목으로 분류하고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 및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자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물론,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 및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자에 의해 판단된 결과, 유효 상품이 아닌 데이터베이스의 등록에서 제외되는 등록 제외 상품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제공부(240)는 유효 상품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 유효 상품을 구비한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및 유효 상품의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유효 상품으로 추출된 상품들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다음에 동일한 영역에서 동일한 상품의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에 또다시 검수할 필요 없이 해당 상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상품의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할 때에는 해당 유효 상품을 판매하는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유효 오프라인 매장을 수월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 전화번호, 주소,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사진 및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부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매장의 위치를 검색할 필요 없이 위치나 전화 번호 주소 등을 제공할 수 있고, 매장의 사진이나 부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을 이용할 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정보 요청에 의한 오프라인 매장 검색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단말 장치(120)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에게 운동화에 대한 검색을 요청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운동화에 대한 브랜드나 운동화의 상품명칭 및 운동화의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하여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에게 정보 요청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지역에서 운동화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할 지 알 수 있는 검색 영역 정보를 상품 정보와 함께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발송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에는 명동에서 운동화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한 경우로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는 단말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와 검색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명동이라는 검색 영역(310)에서 운동화를 판매하는 A부터 G까지 7개의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7개의 오프라인 매장에게 각각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들을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검수 항목으로 검수할 수 있다.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들을 검수한 결과 도 3과 같이 유효 상품을 판매하는 A, B, C, E 및 F의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획득하여 유효 상품의 정보와 함께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에 등록할 수 있다.
이 후,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는 획득한 유효 상품의 정보 및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단말 장치(12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 데이터베이스(111), 단말 장치(120) 및 오프라인 매장들(411~415)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20)는 사용자, 즉 고객으로부터 상품 검색을 입력 받아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에게 상품의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장치(120)는 검색할 상품의 상품 정보와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한 검색 영역 정보를 포함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에게 전송하여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는 수신부(210)를 통해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리스트 획득부(220)에서 수신한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와 검색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들(411~415)을 검색할 수 있다.
리스트 획득부(220)는 오프라인 매장들(411~415)에 상품 정보를 전달하여 상품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들(411~415)은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POS 장치에 등록된 상품들 중 상품 정보에 상응하는 상품들로 상품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들(411~415)에서 생성된 매장 별 상품 리스트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후,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의 상품 검수부(230)에서는 획득한 상품 리스트들을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한 검수 항목으로 검수할 수 있다.
매장 별 상품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들 중 상품 검수부(230)에 의해 검수된 유효 상품들은 데이터베이스(111)에 등록되고, 제공부(240)를 통해 단말 장치(120)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유효 상품의 정보,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및 기타 프로모션 정보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수 과정에 따른 상품 분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수 과정에 따른 상품 분류는 도 5와 같이 유효 상품(510), 유사 상품(520) 및 등록 제외 상품(530)으로 분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들(411~415)에서 획득한 상품 리스트들에 포함된 상품들을 주요 항목과 일반 항목으로 구성된 검수 항목으로 검수할 수 있다.
이 때, 하나 이상의 주요 항목 및 하나 이상의 일반 항목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품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들의 리스트 항목 값이 하나 이상의 주요 항목의 값과 모두 동일하거나 하나 이상의 일반 항목의 값과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상품을 유효 상품(510)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검수 항목의 값과 리스트 항목의 값이 동일한 상품은 유효 상품(510)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검수 항목의 값과 리스트 항목의 값이 모두 동일하지는 않지만, 기설정된 기준 이상 동일한 상품에 대해서는 유사 상품(520)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들의 리스트 항목의 값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검수 항목의 값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기설정된 기준 이상 동일한 상품들에 대해서는 유사 상품(520)으로 분류해 두었다가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 및 데이터베이스(111)의 관리자에 의해 판단되어 유효 상품(510)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유사 상품(520)으로 분류되었지만 상품 정보 제공 장치(110) 및 데이터베이스(111)의 관리자에 유효 상품(510)으로 판단되지 못한 상품들은 등록 제외 상품(530)으로 분류되어 데이터베이스(111)에 등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물론, 검수 과정에서 상품의 리스트 항목의 값이 검수 항목의 값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동일하지 않은 상품들도 등록 제외 상품(530)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6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통해 특정 상품의 정보를 입력하고 검색을 요청하면, 상품 정보 제공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들의 리스트를 획득한다(S6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통해 상품을 입력할 때 상품명, 상품 고유 식별번호, 상품의 바코드 및 상품의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의 상품 정보를 입력하여 특정 상품의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상품 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POS(Point Of Sales) 장치로 전달하면, POS 장치에 등록된, 즉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들 중에서 상품 정보와 관련된 상품들만으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품 정보 제공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품 정보와 함께 포함된 검색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영역 정보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맵 상에서 A 구역을 선택하고, A 구역 내에서 판매되는 특정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A 구역에 대한 검색 영역 정보를 상품 정보와 함께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품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제공 장치는 수신한 검색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영역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에 등록된 오프라인 매장들 중에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오프라인 매장들은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 이상에 미리 등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검수 항목으로 리스트를 검수하여 상품들 중 유효 상품을 추출한다(S630).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상품의 정보를 검색하였을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 검색이미지 및 검색 식별번호 등에 따라 검색 결과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하길 원하는 특정 상품과는 거리가 먼 엉뚱한 상품이 검색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검색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검수 항목을 통해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들을 검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유효 상품만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품들 중 리스트에서 검수 항목의 주요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주요 항목의 값과 동일한 상품을 유효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들을 검수하기 위한 여러 검수 항목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상품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중요한 항목들을 주요 항목으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리스트를 구성하는 다양한 항목들 중 주요 항목에 해당하는 상품들의 값을 추출하고, 추출한 값들이 검수 항목의 주요 항목의 값과 동일하다면 해당 상품을 사용자가 검색하길 원하는 유효 상품으로 판단하고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품들 중 리스트에서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일반 항목의 값과 동일한 상품을 유효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검수 항목 중에서 주요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을 일반 항목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 항목들은 주요 항목에 비교하면 상품을 구분하는데 중요한 정보는 아닐 수 있지만,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이 사용자가 검색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이라면, 리스트를 구성하는 항목들 중 일반 항목에 상응하는 상품들의 값이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의 값과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들의 일반 항목의 값을 검수하여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의 값과 모두 일치하는 상품은 사용자가 검색하길 원하는 유효 상품으로 판단하고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검수 항목은 상품명, 바코드 번호 및 상품 고유 식별 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요 항목과 출시일, 상품 가격, 제조자, 판매사, 출고자 성명 및 상품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반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수 항목에 포함된 항목들의 값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하여 특정 상품을 추출하고, 추출한 상품에 대한 정보로 검수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검수 항목의 주요 항목 및 일반 항목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항목들은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유효 상품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과 검수 항목의 값을 비교하여 검수 항목의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에 대해서 생성된 검수 항목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고, 다음에 동일한 상품에 대해 검수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상품에 대한 검수 항목의 값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꾸준히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는데, 기설정된 기간을 정해서 검수 항목을 업데이트하면 저장된 검수 항목이 많아졌을 경우에 시스템에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상품에 대해서 검수하는 과정에서 검수 항목의 주요 항목을 이용하여 추출된 유효 상품들의 일반 항목의 값이 모두 동일하고,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의 값만 동일하지 않다면,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의 값을 유효 상품들의 일반 항목의 값으로 변경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때, 이와 같은 업데이트는 여러 검수 항목 중에서도 상품의 가격이나, 할인율과 같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 항목들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때, 상품들 중 리스트에서 검수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검수 항목의 값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동일한 상품을 유사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판단에 따라 유사 상품을 유효 상품 및 데이터베이스의 등록에서 제외되는 등록 제외 상품 중 어느 하나의 상품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품들의 가격은 계속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검수 항목과 비교하였을 때 가격차이 때문에 유효 상품으로 추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여러 검수 항목과 비교하여 해당 상품이 일정 기준 이상 동일한 경우에는 상품을 유사 상품으로 추출하여 별도로 분류하고,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자에 의해 직접 판단되어 유효 상품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수 항목이 10가지이고 기설정된 기준이 8가지인 경우, 상품들의 리스트 항목 값 중 검수 항목에 상응하는 값이 8가지 이상 일치한다면 유사 항목으로 분류하고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자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물론,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자에 의해 판단된 결과, 유효 상품이 아닌 데이터베이스의 등록에서 제외되는 등록 제외 상품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유효 상품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 유효 상품을 구비한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및 유효 상품의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S640). 유효 상품으로 추출된 상품들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다음에 동일한 영역에서 동일한 상품의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에 또다시 검수할 필요 없이 해당 상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상품의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할 때에는 해당 유효 상품을 판매하는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유효 오프라인 매장을 수월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 전화번호, 주소,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사진 및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부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매장의 위치를 검색할 필요 없이 위치나 전화 번호 주소 등을 제공할 수 있고, 매장의 사진이나 부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을 이용할 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먼저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710).
이 후, 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품 정보와 함께 포함된 검색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영역 정보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한다(S720).
이 후,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들의 리스트를 획득한다(S730).
이 후,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검수 항목으로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으로부터 획득한 리스트를 검수한다(S740).
이 후, 검수한 상품이 유효 상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45).
단계(S745)의 판단 결과 유효 상품이라면, 데이터베이스에 유효 상품을 등록한다(S750).
단계(S745)의 판단 결과 유효 상품이 아니라면, 검수한 상품이 유사 상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55).
단계(S755)의 판단 결과 유사 상품이라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유사 상품을 유효 상품 및 등록 제외 상품 중 어느 상품으로 구분할지 판단한다(S760).
이 후,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 판단에 따라 유사 상품이 유효 상품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65).
단계(S765)의 판단 결과 유효 상품으로 변경되었다면, 데이터베이스에 유효 상품을 등록한다(S750).
단계(S765)의 판단 결과 유효 상품으로 변경되지 않았다면, 검수한 상품을 등록 제외 상품으로 구분한다(S770).
또한, 단계(S755)의 판단 결과 유사 상품이 아니라면, 검수한 상품을 등록 제외 상품으로 구분한다(S770).
이 후, 단말 장치에게 유효 상품의 정보 및 유효 상품을 판매하는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제공한다(S780).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들의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검수 항목으로 리스트를 검수하여 상품들 중 유효 상품을 추출하고, 유효 상품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 유효 상품을 구비한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및 유효 상품의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고객들로부터 수요가 많은, 즉 거래가 많은 상품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됨으로써,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판매자가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매장에서 해당 상품을 더욱 활발하게 판매할 수 있도록 홍보 및 판매 전략을 수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매장에서의 상품 판매 실적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110: 상품 정보 제공 장치 111: 데이터베이스
120: 단말 장치
130-1~ 130-N, 411~415: 오프라인 매장들
210: 수신부 220: 리스트 획득부
230: 상품 검수부 240: 제공부
310: 검색 영역 510: 유효 상품
520: 유사 상품 530: 등록 제외 상품

Claims (20)

  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들의 리스트를 획득하는 리스트 획득부;
    상기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검수 항목으로 상기 리스트를 검수하여 상기 상품들 중 유효 상품을 추출하는 상품 검수부; 및
    상기 유효 상품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 상기 유효 상품을 구비한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및 상기 유효 상품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검수부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들을 각각 상기 검수 항목을 구성하는 주요 항목 및 일반 항목으로 검수하여 상기 유효 상품, 유사 상품 및 등록 제외 상품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유사 상품은
    관리자에 의해 상기 유효 상품으로 변경 가능한 것으로, 상기 검수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상기 검수 항목의 값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동일한 상품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 검수부는
    상기 상품들 중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검수 항목의 주요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상기 주요 항목의 값과 동일한 상품을 상기 유효 상품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품 검수부는
    상기 상품들 중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검수 항목의 일반 항목에 상응하는 상기 리스트 항목의 값이 상기 일반 항목의 값과 동일한 상품을 상기 유효 상품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획득부는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상기 상품 정보와 함께 포함된 검색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영역 정보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상기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된 상품들의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검수 항목으로 상기 리스트를 검수하여 상기 상품들 중 유효 상품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상품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 상기 유효 상품을 구비한 유효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 및 상기 유효 상품의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들을 각각 상기 검수 항목을 구성하는 주요 항목 및 일반 항목으로 검수하여 상기 유효 상품, 유사 상품 및 등록 제외 상품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유사 상품은
    관리자에 의해 상기 유효 상품으로 변경 가능한 것으로, 상기 검수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상기 검수 항목의 값과 기설정된 기준 이상 동일한 상품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들 중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검수 항목의 주요 항목에 상응하는 리스트 항목의 값이 상기 주요 항목의 값과 동일한 상품을 상기 유효 상품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111781A 2014-08-26 2014-08-26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95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781A KR102295026B1 (ko) 2014-08-26 2014-08-26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201580034019.0A CN106471540A (zh) 2014-08-26 2015-06-25 产品信息提供装置、产品信息提供方法、产品信息提供系统和记录有计算机程序的记录介质
PCT/KR2015/006503 WO2016032105A1 (ko) 2014-08-26 2015-06-25 상품 정보 제공 장치,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5/317,975 US20170124621A1 (en) 2014-08-26 2015-06-25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781A KR102295026B1 (ko) 2014-08-26 2014-08-26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153A KR20160025153A (ko) 2016-03-08
KR102295026B1 true KR102295026B1 (ko) 2021-08-30

Family

ID=5553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781A KR102295026B1 (ko) 2014-08-26 2014-08-26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615B1 (ko) 2021-04-22 2022-02-16 주식회사 아잉 인공지능 기반 의류 트렌드 분석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의류 판매 전략 도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56468A (ko) 2022-05-06 2023-11-14 (주)다올컴퍼니 의류 트랜드를 분석하여 의류 판매전략을 도출하는 의류 판매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4453A1 (en) * 2007-12-21 2009-06-25 Glyd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search results on merchandi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218B1 (ko) * 2008-04-04 2010-06-16 엔에이치엔(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오프라인 상품 검색 시스템 및방법
KR101934434B1 (ko) 2012-10-11 2019-0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4453A1 (en) * 2007-12-21 2009-06-25 Glyd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search results on merchandi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153A (ko)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3864B2 (en) Shopping trip planner
KR101443158B1 (ko) 사용자 관심 기반의 상품정보 추천 시스템
US20170132686A1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offering and displaying product information
TWI490808B (zh) 智慧型裝置輔助商務
US20190078908A1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output program,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0748190B2 (en) Apparatus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method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a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110320317A1 (en) Image capture for purchases
CN108431854A (zh) 检测垃圾信息发布
KR20150136809A (ko) 이미지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이미지 제공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JP2015521306A (ja) 製品フィード類似性を使用したスパム商人の発見
JP6536741B2 (ja) 情報出力プログラム、情報出力方法および情報出力システム
US20150379573A1 (en) Electronic content filtering server between a mobile computing device and an electronic receipt server
KR102295026B1 (ko)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00123347A (ko) 모바일 쇼핑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6436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93291A1 (ja) 接客支援装置、接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WO2017126707A1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
US201601176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odity sales system, and commodity sales method
JP2020119062A (ja) Snsに投稿された画像から商品情報を取得するためのカード会社システム、端末のプログラム、sns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70002151A (ko) 상점 위치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815558B1 (ko) 비콘을 이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US11410216B2 (en) Customer service assistance apparatus, customer service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220102054A (ko) 사용자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는 커머스 플랫폼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92053A (ko) 지능형 쇼핑 관리시스템
JP697990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