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691B1 -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691B1
KR101445691B1 KR1020130024481A KR20130024481A KR101445691B1 KR 101445691 B1 KR101445691 B1 KR 101445691B1 KR 1020130024481 A KR1020130024481 A KR 1020130024481A KR 20130024481 A KR20130024481 A KR 20130024481A KR 101445691 B1 KR101445691 B1 KR 10144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xt
content
original content
original
c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328A (ko
Inventor
고경환
고영혁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엔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엔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에이엔티홀딩스
Priority to KR1020130024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691B1/ko
Priority to PCT/KR2014/001919 priority patent/WO2014137201A2/ko
Publication of KR2014011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소셜 미디어 및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원본 콘텐츠 및 상기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는 콘텐츠 수집 장치; 상기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컨텍스트 분석 장치; 및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는 큐레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curation service based on context}
본 발명은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스마트 폰,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등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컨텍스트와 함께 수집하고 수집한 콘텐츠를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재구성함으로써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의 보급이 늘어나고 소셜 미디어가 활성화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특히 이러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서로 공유함으로써 자신과 관련된 수많은 자료들을 쉽게 얻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단순히 추억의 기록으로서만 저장하고 있을 뿐 이들을 분류하여 정리하고 특정 목적이나 주제에 맞추어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재구성하는 것에 있어서는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느낀다. 그리고, 특히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과 관련된 자료들이 더욱 방대해짐에 따라 이와 같은 작업에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기는 더욱 더 어려워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사진이나 동영상은 대개 촬영한 디바이스 안에서의 재생 또는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의 폴더로 옮겨진 상태에서의 재생이 대부분이었으며, 그 시점에서의 가치를 넘어서는 추가적인 생산은 종료되게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추억에 대한 기본적인 욕구가 여전히 강하며, 특히 유년기, 학창시절, 졸업, 연애, 직장생활, 결혼, 육아, 환갑잔치 등과 같은 인생 전반에 걸친 라이프 이벤트에서 추억의 재생에 대한 니즈(needs)는 매우 강하기 때문에, 기존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특별한 추억으로 재생산하려는 요구는 항상 존재하여 왔다. 이에 따라, 기존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추억으로 쉽게 재구성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과 관련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수집하여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쉽게 재구성할 수 있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컨텍스트 항목을 선택하면 이에 기초하여 콘텐츠들을 필터링 및 소팅하고 디자인 템플릿 등을 이용하여 콘텐츠들을 재구성할 수 있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적절한 추억의 콘텐츠들을 재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할 수 있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추억을 담은 큐레이션 콘텐츠를 OSMU(One Source Multi Use)로 가공하여 소셜 미디어, 웹 페이지, 사진, 앨범, 애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소셜 미디어 및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원본 콘텐츠 및 상기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는 콘텐츠 수집 장치; 상기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2차적인 컨텍스트인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컨텍스트 분석 장치;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큐레이션 장치; 및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여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큐레이션 콘텐츠는 고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가지며,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종속적인 계층 구조와 비종속적인 독립 구조를 함께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소셜 미디어 및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원본 콘텐츠 및 상기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2차적인 컨텍스트인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여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큐레이션 콘텐츠는 고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가지며,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종속적인 계층 구조와 비종속적인 독립 구조를 함께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과 관련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소셜 미디어, 스마트폰, 노트북 등으로부터 자동으로 수집하여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재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컨텍스트 항목에 기초하여 콘텐츠들을 자동으로 필터링 및 소팅할 수 있으며, 또한 디자인 템플릿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콘텐츠들을 재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적절한 콘텐츠들을 재구성하고 사용자에게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잊고 있었던 추억을 재발견해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추억을 담은 큐레이션 콘텐츠를 소셜 미디어, 웹 페이지, 사진, 앨범,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등의 형태로 퍼블리싱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수집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 분석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레이션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은 콘텐츠 수집 장치(110), 컨텍스트 분석 장치(120), 큐레이션 장치(130), 콘텐츠 제공 장치(140), 정보 저장 장치(150) 등을 포함한다. 참고로, 이들 장치들은 각각 하나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2이상의 장치가 모여 하나의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각 장치들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콘텐츠(contents)'란 사진이나 동영상, 텍스트 등과 같이 개인의 추억과 관련될 수 있는 모든 자료나 정보들을 포함하는 의미인데, 현재 소셜 미디어나 개인용 디바이스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형태가 사진(이미지)이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진을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나, 물론 본 발명이 동영상이나 텍스트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콘텐츠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은 사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수집 장치(110)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페이스북, 트위터, 플리커, 피카사, 인스타그램, 포스퀘어 등과 같은 각종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 그리고 노트북, 데스크탑 등과 같은 기존의 일반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사진들을 수집한다.
이를 상술하면, 소셜 미디어의 경우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예컨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서비스로부터 온라인 상에서 해당 소셜 미디어의 사진들을 사진 소유자인 사용자의 동의를 통해 그대로 받아올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경우 iOS 또는 안드로이드, 윈도우 모바일용 전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진들을 자동으로 수집해서 네트워크 상의 콘텐츠 수집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의 경우에는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사진들을 수집하여 콘텐츠 수집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각각의 사진을 수집할 때 해당 사진의 컨텍스트(context)도 함께 수집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컨텍스트(context)'는 콘텐츠(예, 사진, 동영상, 텍스트 등)와 관련된 소셜 그래프(social graph), 인터레스트 그래프(interest graph), 시간, 위치, 인물, 주제, 인터랙션(예, 인물간의 인터랙션, 인물과 콘텐츠간의 인터랙션, 인물과 본 서비스간의 인터랙션) 등과 같이 해당 콘텐츠와 관련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리고,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이와 같이 수집한 사진과 컨텍스트를 서로 연관시켜 각각 원본 콘텐츠 DB(151)와 원본 컨텍스트 DB(152)에 저장한다. 참고로,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사진과 연관하여 컨텍스트를 저장할 때 해당 사진을 어느 소스 채널에서 수집하였는지, 언제 어떠한 이유(예, 신규, 업데이트)로 수집했는지 등 콘텐츠 수집과 관련된 종합적인 정보를 함께 기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 분석 장치(120)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텍스트 분석 장치(120)는 원본 콘텐츠와 원본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하여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등과의 관련성을 판단하여 2차적인 컨텍스트들을 추출한다. 예컨대, 컨텍스트 분석 장치(120)는 소정의 사진과 그 원본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해당 사진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언제 어디서 찍은 사진인지, 누구와 찍은 사진인지, 사진의 배경이나 대상은 무엇인지, 해당 사진에 댓글은 누가 달았는지, 댓글의 내용은 무엇인지, 어느 채널을 통해 다운받았는지, ...)를 분석하고 그 관련성을 판단한다.
이를 상술하면, 시간 컨텍스트는 예컨대 사진 파일이 생성된 날짜, 사진에 기본적으로 포함된 EXIF 메타 데이터에서의 촬영 날짜, 소셜 미디어 및 스마트 디바이스에 업로드되거나 저장된 날짜, 사용자가 직접 언제 찍은 사진이라고 지정한 날짜 등 가능한한 모든 정보를 수집한 다음에 수집한 날짜들 중에서 개연성(관련성)이 높은 것을 우선순위로 설정하여 이를 적용한다. 참고로, EXIF 메타 데이터에서는 시간, 장소 정보 외에 촬영 조건, 촬영한 디바이스 등의 정보들도 모두 얻을 수 있다.
한편, 시간 컨텍스트에는 촬영 날짜와 시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정보 외에도 계절, 아침/점심/저녁/밤, 기념일, 생일 등과 같은 특정 이벤트성 컨텍스트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예컨대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로부터 이벤트성 기념일들에 대한 정보를 가져오고, 사진에 붙은 캡션 텍스트들로부터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시간 컨텍스트들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장소 컨텍스트는 스마트 폰으로 찍은 사진의 경우 EXIF 메타 데이터에 있는 위도 및 경도 값(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값)을 읽어서 저장하고, 이 값을 토대로 행정 지역상으로 분류(예컨대,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등)를 하여 장소 컨텍스트를 단계적으로 집어 넣을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바다나 산, 공원 등이 있을 경우 장소 분류를 계층화하여 매칭시켜서 저장할 수도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에서 수집한 컨텍스트의 경우에는 특정 장소명까지 원본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 명칭을 그대로 읽어들여서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인물 컨텍스트의 경우 해당 사진에 사람이 관련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얼굴 이미지 인식 등을 통해 분석하여 지정하거나 아니면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특히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사진에 사람들을 태그하고 그 사람의 얼굴이 무엇이며 그 사람과 어떤 관계(예, 친구, 연인, 가족)인지에 대하여 알 수도 있으므로 이에 기초하여 관련성을 판단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소셜 미디어에서 가져온 사진과 디바이스에서 곧바로 저장된 사진을 함께 수집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써 사진 속의 사람이 어떤 사람이고, 사진에 나와 있지 않아도 누구와 관련된 사진인지 등을 보완할 수 있다. 즉, 채널에 따라 컨텍스트의 형태가 조금씩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함께 고려하여 컨텍스트의 정확도와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예컨대, 채널마다 얻을 수 있는 정보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상이성을 통일화하고 비어 있는 정보는 채우고 확장시킴으로써 컨텍스트의 정확도와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주제 컨텍스트의 경우에는 주로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주제를 지정함으로써 추출될 수 있으며, 또한 이미지 인식 등을 통해 얻어진 정보(예, 바다, 산), 사진이나 동영상에 붙어 있는 제목, 캡션, 댓글 등의 텍스트 정보를 마이닝하거나, 소셜 미디어에서의 내용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소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소셜 미디어 안에서 다른 사람들(예컨대, 친구들)과 인터랙션(interaction)한 정보들을 인터랙션 컨텍스트로 추출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랙션 컨텍스트를 활용함으로써 필터링(filtering)이나 소팅(sorting) 등을 할 때에도 친구들의 인터랙션을 받은 사진들 중에서 가장 많은 호감을 얻은 사진이라든가 가장 많은 댓글이 달린 사진들을 추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시간 컨텍스트이든 장소 컨텍스트이든 모든 컨텍스트는 종속적인 계층구조와 비종속적인 독립 구조를 모두 가지는 데이터 구조체로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위 계층의 컨텍스트는 상위 계층의 컨텍스트를 같이 포함하게 된다. 예컨대, 날짜와 시간이 컨텍스트로 있다고 가정하면 그 날짜를 토대로 계절, 아침/점심/저녁 등과 같은 시간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미지 인식 기술(예컨대, 사람, 형태 등을 인식),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술(예컨대, 이미지 안의 글자를 인식), 텍스트 마이닝 기술(예컨대, 이미지에 들어 있는 문자, 소셜 미디어 등에 있는 이미지와 관련된 텍스트 등을 인식)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은 컨텍스트 분석 장치(120)의 내부에서 직접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서버에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어떤 텍스트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어떤 컨텍스트를 태깅(tagging)하는 지는 해당 컨텍스트의 텍스트 마이닝 레퍼런스 DB를 통해 파악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텍스트 컨텍스트 정보에 '갈비탕'이라는 단어가 있다면 레퍼런스 DB(153)에는 '갈비탕-한식'의 연결고리가 있어서 해당 컨텍스트가 붙어 있는 사진에는 '한식'이라는 컨텍스트 태그를 붙여주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텍스트 분석 장치(120)는 원본 콘텐츠(예, 사진)와 이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등을 추출해 낸 다음, 그 정제된 컨텍스트들을 원본 콘텐츠의 관련성과 함께 별도의 컨텍스트 DB에 각각 저장한다. 즉, 컨텍스트 분석 장치(120)는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2차적인 새로운 컨텍스트들(시간, 장소, 인물, 주제, 인터랙션 컨텍스트 등)을 추출하고 이를 그 관련성과 함께 시간 컨텍스트 DB(154), 장소 컨텍스트 DB(155), 인물 컨텍스트 DB(156), 주제 컨텍스트 DB(157), 인터랙션 컨텍스트 DB(158) 등에 저장한다. 그러면, 각각의 컨텍스트는 해당하는 콘텐츠(예, 사진)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콘텐츠(예, 사진)가 어떠한 컨텍스트들(시간, 장소, 인물, 주제, 인터랙션 등)을 지니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레이션 장치(130)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접속하면, 큐레이션 장치(130)는 사용자 자신이 여러 채널을 통해 올리거나 저장해둔 사진들(콘텐츠들)을 보여 준다. 이 사진들(콘텐츠들)에는 컨텍스트 분석 장치(120)의 자체 컨텍스트 분석 엔진을 통해서 추출된 2차적인 컨텍스트들이 일종의 태그 형태로 모두 붙어 있으며, 큐레이션 장치(1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텍스트를 지정하면 그 컨텍스트가 태그 형태로 붙어 있는 사진들(콘텐츠들)을 필터링해서 보여 준다. 예컨대, 사용자가 '봄, 프랑스, 가족'이라는 3개의 컨텍스트를 AND 조건으로 선택하면, 큐레이션 장치(130)는 봄에 가족들과 프랑스에 여행갔을 때 찍은 사진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참고로, 이러한 사진들은 다시 컨텍스트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날짜 시간순으로 정렬되거나 사진에 포함된 사람의 이름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원본 콘텐츠에 대한 2차적인 컨텍스트들(시간, 장소, 인물, 주제, 인터랙션 컨텍스트 등)을 추출할 때 그 관련성을 함께 기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큐레이션 장치(130)는 사진들을 추출할 때 관련성을 함께 고려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 사진에 대한 2차적인 컨텍스트를 추출할 때 '봄'이라는 시간 컨텍스트와의 관련성 30%, '프랑스'라는 장소 컨텍스트와의 관련성 100%, '가족'이라는 인물 컨텍스트와의 관련성 80%를 함께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큐레이션 장치(130)는 예컨대 사용자가 선택한 '봄, 프랑스, 가족'이라는 세 개의 컨텍스트에 대해 그 관련성을 함께 고려하여 전체적인 관련성이 높게 나오는 사진들을 추출하여 정렬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관련성(상관도)'은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거나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해 얻어진 누적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사진 속의 꽃이 봄에 피는 꽃이라든가 해당 사진에 대해 봄과 관련된 댓글이 많으면 '봄'이라는 시간 컨텍스트와의 관련성을 높게 설정하는 등,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언급한 정보가 컨텍스트에 들어 있는지 아니면 레퍼런스 DB를 통해 추론한 정보가 컨텍스트에 들어 있는지 등에 따라 관련성 점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큐레이션 장치(130)는 이와 같이 필터링하여 최종 추출된 사진들에 대해 컨텍스트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템플릿 중에서 어울리는 템플릿을 추천하여 지정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 자신이 직접 디자인 템플릿 DB(159)에서 선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애인, 여행, 봄'이라는 컨텍스트들이 사진들에 포함되어 있다면 이런 주제들에 어울리는 느낌의 디자인 템플릿을 큐레이션 장치(130)가 자동으로 추천해 줄 수 있다. 참고로, 템플릿에는 디자인 요소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원본 추억 사진들에 붙어 있는 친구들과의 대화나 자신이 남긴 메모 및 글들도 적절하게 활용하여 들어갈 수 있다. 또한, 큐레이션 장치(130)는 디자인 템플릿뿐만 아니라 사진 필터링 이펙트나 각종 편집 기능들을 사용자가 직접 할 수 있는 DIY(Do It Yourself) 편집 기능도 제공할 수 있으며, 콘텐츠들(예, 사진들)이 큐레이션되어 생성되는 결과물인 큐레이션 콘텐츠(예, 앨범)에는 새로운 제목과 설명을 붙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따라서, 추억을 담고 있는 단순한 사진들에 컨텍스트를 추가함으로써 완성도 있는 스토리텔링 추억 콘텐츠를 생성해 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140)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예, 앨범)는 구성 요소인 사진과 다양한 연출 조합들로 코드화되어 별도의 DB에 저장되며, 사용자는 자신이 만들어낸 앨범들을 콘텐츠 제공 장치(140)를 통해 손쉽게 조회하고 감상할 수 있다. 물론, 콘텐츠 제공 장치(140)는 이러한 앨범을 다른 이용자들에게 공개하거나 주위 지인들에게 배포하는 기능들도 제공하는데, 큐레이션 콘텐츠(예, 앨범)은 기본적으로 고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갖게 되기 때문에 다양한 소셜 미디어로도 배포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SMS를 통해 전달하여 지인들이 한 번의 터치로 웹 페이지에 접근하여 감상할 수도 있다. 또한, 앨범 하나의 대형 통 이미지로도 변환되어 인쇄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저장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인쇄 형태의 앨범이나 포스터, 엽서, 청첩장 등의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2차원적인 앨범 이미지를 넘어서, ebook, 동영상, 프레젠테이션 파일, 스마트폰/태블릿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인터랙션도 가능한 형태)로 손쉽게 퍼블리싱(publishing)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은 전술한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구체적 기능이나 구현 방식 등은 전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610에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소셜 미디어 및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원본 콘텐츠 및 상기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한다. 예컨대,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페이스북, 트위터, 플리커, 피카사, 인스타그램, 포스퀘어 등과 같은 각종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 그리고 노트북, 데스크탑 등과 같은 기존의 일반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사진들(원본 콘텐츠들) 및 이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집한 사진과 컨텐스트를 서로 연관시켜 각각 원본 콘텐츠 DB와 원본 컨텍스트 DB에 저장한다.
단계 S620에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단계 S610에서 수집된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한다. 예컨대,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원본 콘텐츠와 원본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하여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등과의 관련성을 판단하고 2차적인 컨텍스트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이와 같이 추출된 2차적인 컨텍스트들을 원본 콘텐츠의 관련성과 함께 별도의 컨텍스트 DB에 저장한다.
단계 S630에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단계 S620에서 추출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한다. 예컨대,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텍스트를 기초로 그 컨텍스트가 태그 형태로 붙어 있는 콘텐츠들을 필터링해서 보여 주고 디자인 템플릿 등을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들을 재구성함으로써 큐레이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시스템 자체적으로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적절한 추억의 콘텐츠들을 재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참고로, 이 경우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콘텐츠들을 추출할 때 그 관련성을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인 관련성이 높게 나오는 콘텐츠들을 추출하여 정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640에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단계 S630에서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를 웹 포맷(예, 소셜 미디어, 웹 페이지), 프린트 포맷(예, 사진, 앨범, 포스터), 인터랙티브 포맷(예, 애플리케이션, e-book), 파일 포맷(예, 이미지, 동영상) 등의 형태로 제공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소셜 미디어 및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원본 콘텐츠 및 상기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는 콘텐츠 수집 장치;
    상기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2차적인 컨텍스트인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컨텍스트 분석 장치;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큐레이션 장치; 및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여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큐레이션 콘텐츠는 고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가지며,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종속적인 계층 구조와 비종속적인 독립 구조를 함께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분석 장치는 원본 콘텐츠를 수집한 채널을 고려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분석 장치는 이미지 인식 기술,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술, 및 텍스트 마이닝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로부터 직접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레이션 장치는 상기 원본 콘텐츠와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레이션 장치는 기 설정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레이션 장치는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는 자동으로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10.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소셜 미디어 및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원본 콘텐츠 및 상기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2차적인 컨텍스트인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여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큐레이션 콘텐츠는 고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가지며,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종속적인 계층 구조와 비종속적인 독립 구조를 함께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콘텐츠를 수집한 채널을 고려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이미지 인식 기술,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술, 및 텍스트 마이닝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로부터 직접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콘텐츠와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원본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17.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8. 삭제
KR1020130024481A 2013-03-07 2013-03-07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45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481A KR101445691B1 (ko) 2013-03-07 2013-03-07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4/001919 WO2014137201A2 (ko) 2013-03-07 2014-03-07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481A KR101445691B1 (ko) 2013-03-07 2013-03-07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328A KR20140110328A (ko) 2014-09-17
KR101445691B1 true KR101445691B1 (ko) 2014-10-01

Family

ID=5149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481A KR101445691B1 (ko) 2013-03-07 2013-03-07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5691B1 (ko)
WO (1) WO201413720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900A (ko) 2017-08-24 2019-03-06 (주)시지온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127625A (ko) 2019-10-31 2019-11-13 (주)시지온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419A1 (en) * 2019-12-04 2021-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utomatically editing vide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752A (ko) * 2008-07-10 2010-01-21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0850A (ko) * 2010-12-22 2012-07-02 주식회사 케이티 웹 마이닝을 이용한 콘텐츠 태그 생성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3172A1 (en) * 2004-09-03 2006-03-09 Biowisdom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editing, and using multi-relational ontologies
US20090055857A1 (en) * 2007-08-21 2009-02-26 Yahoo! Inc. Video channel cu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752A (ko) * 2008-07-10 2010-01-21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컨텐츠 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0850A (ko) * 2010-12-22 2012-07-02 주식회사 케이티 웹 마이닝을 이용한 콘텐츠 태그 생성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송수미 외 1명, '시나리오 기반 스마트 단말기 대상의 지능형 콘텐츠 큐레이션 모델',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7, no.11(2012.1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900A (ko) 2017-08-24 2019-03-06 (주)시지온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127625A (ko) 2019-10-31 2019-11-13 (주)시지온 유저 컨텐츠 활용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7201A2 (ko) 2014-09-12
WO2014137201A3 (ko) 2015-12-03
KR20140110328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14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files
US20200026751A1 (en) Narrative-based media organizing system for transforming and merging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digital media within a work area
US9549085B2 (en) Proactive creation of image-based products
US201902082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human memory recollection and cataloging through an autogenerated video journal
US11935165B2 (en) Proactive creation of personalized products
US20120317111A1 (en) Method and application for managing digital files
KR101445691B1 (ko)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80701B1 (ko)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95839B1 (ko) 전자문서에서 멀티미디어 정보 제공방법 및 검색방법
WO20151687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and story telling
AU2016101716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and story telling
Manoli et al. Personal photograph collections ontology development through thematic tags
Greenhill et al. Geode: A Framework for Social and Context-Driven Browsing for Personal Multi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