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202A - D2d 통신 방법 및 d2d 기기 - Google Patents

D2d 통신 방법 및 d2d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202A
KR20190021202A KR1020187031505A KR20187031505A KR20190021202A KR 20190021202 A KR20190021202 A KR 20190021202A KR 1020187031505 A KR1020187031505 A KR 1020187031505A KR 20187031505 A KR20187031505 A KR 20187031505A KR 20190021202 A KR20190021202 A KR 20190021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device
forwarded
forwarding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2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6Connectivity information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2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location or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D2D 통신 방법 및 D2D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제1 단말 기기가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함 - ;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정보 포워딩을 진행하는 단말 기기를 필터링하여 일정한 조건에 부합되는 단말 기기가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도록 함으로써, 대량의 정보 포워딩으로 인한 혼잡을 방지한다.

Description

D2D 통신 방법 및 D2D 기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분야에 속하는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D2D(Device to Device, 디바이스 간 직접통신) 통신 방법 및 D2D 기기에 관한 것이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협의에서, D2D(Device to Device) 통신은 이미 표준화되었다. 차량 네트워킹의 끊임없는 발전에 따라, 자동차는 점차적으로 하나의 이동 가능한 플랫폼으로 되었고, 정보의 전송과 교류에 점점 많이 참여하고 있으며, 자동차와 단말기, 자동차와 자동차 사이의 인터랙션도 날이 갈수록 빈번해지고, V2V(Vehicle to Vehicle) 기술과 V2X(Vehicle to X) 기술은 연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지만 여기에는 많은 문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PC5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V2X 통신 과정에서, 송수신 차량 사이 거리가 일정한 범위를 벗어난 후 발사 전력을 크게 해야만 자동차와 자동차의 통신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고, 자동차와 자동차 사이의 거리가 계속하여 증가될 경우, 간단하게 송신 전력만 향상하는 것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에, 송수신 차량 사이에서 멀티홉 중계 방식의 정보 포워딩(전달)을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제어가 없는 V2X 통신에서, 기기 사이에서 메시지를 송신할 시 경쟁 메커니즘을 사용하는데, 일부 중요한 정보(예를 들어, 교통 상황과 관련되는 정보, 교통 혼잡의 정보 등)가 상이한 차량에 의해 전달(중계)될 경우, 다른 대량의 정보가 전달되는 문제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혼잡을 쉽게 일으킬 수 있어, 진짜 중요한 정보가 오히려 다른 차랑에 의해 획득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D2D 통신에서 대량의 포워딩 정보에 의한 혼잡 문제를 해결하는 D2D 통신 방법 및 D2D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서,
제1 단말 기기가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함 - ; 및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D2D 통신 방법은 정보 포워딩을 진행하는 기기를 필터링하여 일정한 조건에 부합되는 단말 기기만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도록 함으로써, 대량의 정보 포워딩으로 인한 혼잡을 방지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위치 조건 정보 및/또는 시간 조건 정보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위치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경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위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높이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송신 시각과 최장 포워딩 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종료 시각을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차량탑재 기기이고,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용자 요구 정보 또는 현재 교통 상황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서,
제2 단말 기기가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로써, 포워딩 조건 정보를 통해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여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량의 정보 포워딩으로 인한 혼잡을 방지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위치 조건 정보 및/또는 시간 조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위치 조건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위치 및/또는 상기 시간 조건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시각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경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위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높이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송신 시각과 최장 포워딩 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종료 시각을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결정하면,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정보를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정보를 포워딩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서,
제1 단말 기기가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 및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지시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 포워딩 경로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제4 양태에서,
제2 단말 기기가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 및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로써, 상기 지시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가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 포워딩 경로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전송 경로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에 참여하는 단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한다.
제5 양태에서, 상기 제1 양태 및 다양한 실시형태 중의 D2D 통신 방법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각각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D2D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D2D 기기는,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함 - ; 및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6 양태에서, 상기 제2 양태 및 다양한 실시형태 중의 D2D 통신 방법에서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각각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D2D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D2D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제7 양태에서, 상기 제3 양태 및 다양한 실시형태 중의 D2D 통신 방법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각각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D2D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D2D 기기는,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 및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한다.
제8 양태에서, 상기 제4 양태 및 다양한 실시형태 중의 D2D 통신 방법에서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각각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D2D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D2D 기기는,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 및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 -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포워딩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9 양태에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D2D 기기를 제공한다.
제10 양태에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D2D 기기를 제공한다.
제11 양태에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D2D 기기를 제공한다.
제12 양태에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D2D 기기를 제공한다.
제13 양태에서,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제14 양태에서,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제15 양태에서, 상기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제16 양태에서, 상기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기반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포워딩을 진행하는 기기를 필터링하여 일정한 조건에 부합되는 단말 기기가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도록 함으로써, 대량의 정보 포워딩으로 인한 혼잡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함에 있어서 필요한 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하도록 하며, 하기의 기술 중의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로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은 전제하에서,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응용 장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의 흐름 상호 작용 다이어그램(Interaction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의 흐름 상호 작용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의 흐름 상호 작용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D2D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D2D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되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님은 분명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 없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전부 본원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 (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시스템(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어드밴스드 롱 텀 에볼루션 (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일반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미래의 5 G 통신 시스템 등 각종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D2D (Device to Device) 통신은 차량간(Vehicle to Vehicle, V2V) 통신 또는 V2X 통신일 수 있다. V2X 통신에서, X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무선 수신 및 송신 능력을 구비하는 기기를 가리킬 수 있고, 예를 들면 천천히 움직이는 무선 장치, 빨리 움직이는 차량탑재 기기, 또는 무선 송신 수신 능력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제어 노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로 V2X 통신의 상황에 적용되지만, 임의의 다른 D2D 통신 상황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진행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V2X 통신에는 두가지 통신 방식이 존재하는데, 한가지 방식은 기기 사이에서 직접 통신을 실현하는 PC5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통신이고, 다른 한가지는 기존의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의 UU 인터페이스(User Equipment to Universal)에 기반한 통신이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할 경우, 기기 간 통신은 기지국 중계를 통해 실현되는데, 즉, 기기-기지국-기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기와 기기 사이는 PC5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정보 인터랙션을 진행한다. 하나의 단말 기기가 PC5 인터페이스에서 다른 단말 기기가 포워딩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경우, 상기 단말 기기에는 일정한 포워딩 조건이 부가되어 다른 단말 기기가 상기 메시지를 포워딩하고자 하기 전에 이가 상기 포워딩 조건에 부합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야 하고, 다른 단말기가 해당 메시지를 포워딩하면, 이때 상기 메시지에 휴대되는 포워딩 조건도 동시에 전달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응용 장면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V2X 통신의 상황을 예로 들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도 임의의 다른 D2D 통신 상황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하나의 완전한 D2D 통신 링크에서 정보 전송에 참여하는 단말 기기를 도시한다. 여기서, 단말 기기(10)는 단말 기기(20), 단말 기기(21) 및 단말 기기(22)에 메시지를 송신하고, 단말 기기(20)가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고 단말 기기(21)와 단말 기기(22)가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단말 기기(20)가 상기 메시지를 포워딩하는데, 예를 들어, 단말 기기(30), 단말 기기(31) 및 단말 기기(32)에 상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고, 단말 기기(21)와 단말 기기(22)는 상기 메시지를 포워딩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상이한 단말 기기는 빨리 움직이는 차량탑재 기기 예컨대 단말 기기(10), 단말 기기(20), 단말 기기(22), 단말 기기(30) 및 단말 기기(31)를 포함하거나, 무선 송신 수신 능력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제어 노드 예컨대 단말 기기(21)이거나, 천천히 움직이는 무선 장치 예컨대 단말 기기(32)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D2D 통신에 참여하는 단말 기기의 타입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진행하지 않고,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수신과 송신 능력을 구비하는 다른 D2D 기기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의 흐름 상호 작용 다이어그램이다. 여기서 단말 기기(10)와 단말 기기(2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에서, 단말 기기(10)는 단말 기기(20)를 비롯한 다수의 단말 기기에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추가적인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 다른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단말 기기(2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2D 통신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201에서, 단말 기기(10)는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고, 여기서,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10)는 다른 단말 기기에 포워딩하고자 하는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상기 목표 정보가 계속하여 포워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포워딩 조건 정보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목표 정보는 단말 기기(10)의 사용자 요구 정보 또는 현재 교통 상황 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단말 기기 예컨대 단말 기기(20)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 기기(20)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 중의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계속하여 전달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 기기(20)가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기 못하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더이상 포워딩하지 않고; 상기 단말 기기(20)가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단말 기기(20)가 다른 단말 기기에 계속하여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위치 조건 정보 및/또는 시간 조건 정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가 지시하는 포워딩 조건은 지리적 위치에 기반한 조건일 수 있고, 시간에 기반한 조건일 수도 있으며, 동시에 지리적 위치와 시간에 기반한 조건일 수도 있다.
V2X 통신 과정에서, 교통 정보든 단말 기기 사이에서의 발견이든, 모두 일정한 위치 범위 내에 있어야만 의미가 있다. 따라서, 단말 기기(10)가 PC5 인터페이스에서 다른 단말 기기에 의해 포워딩될 목표 정보를 송신할 경우, 상기 정보의 유효 위치 범위를 부가할 수 있다. 일정한 지리적 위치 범위 내에서만 상기 목표 정보가 유효하거나, 상기 목표 정보만이 다른 기기에 계속하여 포워딩될 필요가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위치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경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위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높이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고자 하는 단말 기기의 경도 좌표 범위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고자 하는 단말 기기의 위도 좌표 범위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단말 기기(10)가 주행 과정에서 심각한 교통 혼잡이 있을 경우, 상기 교통 혼잡의 메시지, 즉, 목표 정보를 다른 단말 기기에 보고해야 한다. 상기 교통 혼잡이 발생한 구역 범위가 동경 116°23′17′′, 북위 39°54′59′′ 내지 동경 116°30′18′′, 북위 39°55′00′′의 범위 내이면, 단말 기기(10)는 지리적 위치가 동경 116°23′15′′, 북위 39°54′58′′ 내지 동경 116°30′20′′, 북위 39°55′01′′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 기기가 여기에서 상기 교통 혼잡이 발생하였음을 통지해야 하는데, 이 경우 상기 교통 혼잡의 정보에 포함되는 포워딩 조건 정보도 상기 지리적 위치 범위를 포함한다. 상기 범위 내의 단말 기기가 상기 교통 혼잡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기 때문에, 이러한 단말 기기는 상기 교통 혼잡 메시지를 수신한 후 자체의 주행 노선을 조정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통해, 더 심각한 교통 혼잡과 더 많은 교통 흐름이 교통사고의 발생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밖에 위치하는 다른 단말 기기는 상기 교통 혼잡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기 때문에, 상기 교통 혼잡 메시지를 이러한 단말 기기에 다시 전달할 필요가 없으므로, 대량의 정보 포워딩으로 인한 네트워크 혼잡을 감소시키고, 상기 교통 혼잡 메시지가 필요한 단말 기기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기기(10)가 다른 단말 기기에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한다고 가정하면, 포워딩될 정보가 포함하는 목표 정보는 현재 위치하는 구역에서 교통 혼잡이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포워딩될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고자 하는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Rmin, 및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고자 하는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 Rmax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10)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가 지시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는 단말 기기만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데, 즉, 단말 기기(10)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Rmin 내지 Rmax 범위 내인 단말 기기만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그 중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 어느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10)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Rmin보다 작거나, 그 중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 어느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10)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Rmax보다 크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지 않는다. V2X 통신 과정에서, 두 개의 단말 기기의 거리가 아주 가까울 경우, 이러한 전달은 큰 의미가 없는데, 예를 들어 각각 동일한 도로의 두 갈래의 차선에서 두 대의 자동차가 동일한 방향으로 병렬 이동하면, 이의 유효 커버리지 범위는 기본적으로 일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 두 대의 자동차 사이에서의 불필요한 포워딩을 방지하여 네트워크 혼잡을 감소시킨다. 또한 두 개의 단말 기기의 거리가 아주 멀 경우, 하나의 단말 기기가 위치하는 교통 상황이 다른 하나의 단말 기기에 대한 영향은 무시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고자 하는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및/또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고자 하는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를 포함하면,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10)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어, 다른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10)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V2X 통신 과정에서, 일부 정보는 실시간 교통 정보의 전파와 같은 시간적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 기기(10)가 상기 목표 정보를 송신할 경우, 상기 목표 메시지의 유효 시간 범위도 함께 부가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송신 시각과 최장 포워딩 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종료 시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시각 또는 포워딩 종료 시각은 시간 식별자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협정세계시(Universal Time Coordinated, UTC)의 시간 식별자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최장 포워딩 시간은 하나의 구체적인 시간 식별자일 수 있고, 하나의 시간 길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말 기기(10)가 주행 과정에서 전방에 교통 경찰이 한건의 교통사고 분쟁을 처리하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상기 교통사고 분쟁 처리 시간이 5분 정도이면, 단말 기기(10)는 다른 단말 기기에 전방에 5분의 완행이 있음을 통지하는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즉 상기 교통사고 분쟁의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5분인 상기 시간 정보와 단말 기기(10)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한 시각 정보 예컨대 14:00도 포함한다. 다른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할 경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계속하여 전달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어느 단말 기기가 상기 초기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이 14:02이라고 가정하면,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14:02가 14:00-14:05 이내에 있음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교통사고 분쟁이 아직 처리되지 않음을 표시하므로,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계속하여 다른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 어느 단말 기기가 상기 피전달 메시지를 수신한 시각이 14:07이면,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14:07이 이미 14:05를 지났음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교통사고 분쟁이 처리되었음을 표시하므로, 상기 포워딩 조건을 포함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다시 전달할 필요가 없기에, 네트워크 혼잡을 감소시키고 다른 중요한 정보가 신속하게 포워딩될 수 있도록 한다.
단계202에서, 단말 기기(10)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10)는 송신하고자 하는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한 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상기 목표 정보가 계속하여 포워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단말 기기(10)는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203에서, 단말 기기(20)는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10)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한 후, 단말 기기(20)는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20)는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단말 기기(20)가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다른 단말 기기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으며, 다른 단말 기기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20)와 함께 동일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 기기(20)는 단말 기기(10)가 방송의 방식을 통해 송신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204에서, 단말 기기(20)는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기기(20)는 단말 기기(10)로부터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하며, 단말 기기(20)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가 포함하는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다른 단말 기기에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전달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위치 조건 정보 및/또는 시간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기기(20)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결정하고; 단말 기기(20)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기 않으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금지한다. 상기 단말 기기(20)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목표 정보의 포워딩을 결정하면, 상기 목표 정보를 포워딩하는 동시에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도 함께 전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고자 하는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및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고자 하는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를 포함하면, 단말 기기(20)에 의해 수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10)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단말 기기(20)는 단말 기기(10)의 위치 정보와 자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20)와 단말 기기(1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최소 거리와 상기 최대 거리의 요구를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 기기(20)가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정보는 단말 기기(10)가 위치하는 위치에서 교통 혼잡이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며,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고자 하는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Rmin=500m 및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고자 하는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Rmax=5km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20)는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기기(10)의 위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말 기기(10)가 동경 116°23′17′′, 북위 39°54′59′′에 위치함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20)가 자체의 위치가 동경 116°23′17′′, 북위 39°56′62′′임을 결정하면, 단말 기기(20)는 단말 기기(10)의 위치 정보와 단말 기기(20)의 위치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20)와 단말 기기(10) 사이의 거리가 R=2km임을 산출하고, 상기 단말 기기(20)의 위치는 상기 최소 거리보다 크고 상기 최대 거리보다 작으므로, 상기 단말 기기(20)는 상기 초기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고, 동시에 단말 기기(20)의 위치 정보, 즉, 단말 기기(20)가 동경 116°23′17′′, 북위 39°56′62′′에 위치하는 정보를 포워딩하여, 다른 단말 기기에 상기 혼잡 메시지를 보고하여, 다른 단말 기기가 상기 교통 혼잡 메시지를 수신한 후 자체의 주행 노선을 조정하거나 교통수단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단말 기기(20)가 자체의 위치가 동경 116°23′17′′, 북위 39°54′58′′임을 결정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기기(20)는 단말 기기(10)의 위치 정보와 단말 기기(20)의 위치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20)와 제1 단말 기기(10)의 거리가 R=100m임을 산출하고, 상기 단말 기기(20)의 위치는 상기 최소 거리보다 작은데, 이는 상기 단말 기기(20)가 단말 기기(10)로부터 단지 100m 떨어진 위치에 있고, 상기 단말 기기(20)와 상기 단말 기기(10)의 커버리지 면적이 기본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포워딩 정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말 기기(20)는 상기 초기 메시지의 포워딩을 금지한다. 단말 기기(20)가 자체의 위치가 동경 116°23′17′′, 북위 39°52′62′′임을 결정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기기(20)는 단말 기기(10)의 위치 정보와 단말 기기(20)의 위치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20)와 제1 단말 기기(10)의 거리가 R=7km임을 산출하고, 상기 단말 기기(20)의 위치는 상기 최대 거리보다 큰데, 이는 상기 단말 기기(20)가 단말 기기로부터 7k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있고, 이미 현재의 혼잡 범위를 많이 벗어났으며, 상기 혼잡 정황의 영향을 아주 적게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단말 기기(20)는 상기 초기 메시지를 다시 전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D2D 통신 방법은 정보 포워딩을 진행하는 기기를 필터링하여 일정한 조건에 부합되는 단말 기기만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도록 함으로써, 대량의 정보 포워딩으로 인한 혼잡을 방지한다.
일부 장면에서, 포워딩 정보뿐만 아니라, 포워딩 정보가 포함하는 경로(토폴로지 구조) 정보도 모두 유용하다. 예를 들어 V2X 통신이 교통사고 지원, 재난 지원 등 공공 안전 분야에 적용될 경우, V2X 정보의 포워딩 경로는 아주 유용한 정보일 수 있다. 단말 기기(10)가 PC5 인터페이스에서 포워딩하고자 하는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정보를 포워딩하는 단말 기기가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자체의 속성 정보를 부가하여 함께 송신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도 3에 도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의 흐름 상호 작용 다이어그램에서, 단계201에서, 단말 기기(10)에 의해 결정되는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 기기(10)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2에서, 단말 기기(10)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203에서, 단말 기기(20)가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할 경우,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 기기(10)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20)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단말 기기(20)의 속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204에서, 단말 기기(20)는 포워딩될 정보가 포함하는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D2D 통신 방법은 단계2041, 단계205 및 단계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204는 단계2041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단계205에서, 단말 기기(20)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한다.
단말 기기(20)는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 중의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포워딩 정보는 포워딩될 정보와 단말 기기(20)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20)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20)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는 단말 기기에 속하는 타입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단말 기기가 빨리 움직이는 차량탑재 기기, 천천히 움직이는 무선 장치, 또는 무선 송신 수신 능력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제어 노드 등임을 의미한다. 상이한 타입의 단말 기기는 상이한 타입 식별자로 표기할 수 있다.
이 밖에,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는 각각의 단말기 각자가 구비하는 상이한 식별자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V2V 통신 과정에서, 각각의 자동차의 차량 번호를 각자의 신원 정보로 할 수 있고, 상기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를 알게 되면, 상기 단말 기기를 유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기기(10)는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 목표 정보, 포워딩 조건 정보, 상기 단말 기기(10)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20)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20)가 그 중의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하면, 단말 기기(20)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고,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단말 기기(20)의 속성 정보도 포함한다.
단계206에서, 단말 기기(20)는 상기 포워딩 정보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기기(20)가 단말 기기(10)로부터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결정하면, 단말 기기(20)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단말 기기(20)의 속성 정보도 포함한다. 이로써, 단말 기기(20)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기기는 상기 포워딩 정보로부터 단말 기기(20)의 속성 정보와 단말 기기(10)의 속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써,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전송 경로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에 참여하는 단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이한 단말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포워딩될 정보에 따라 경로 토폴로지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단말 기기는 다른 단말기의 위치 및 분포를 획득할 수 있고, 일부 특수 상황 예컨대 재난 지원 현장에서 지원 작업을 지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의 흐름 상호 작용 다이어그램이다. 여기서, 단말 기기(10)와 단말 기기(2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에서, 단말 기기(10)는 단말 기기(10)를 비롯한 다수의 단말 기기에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다른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단말 기기(2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2D 통신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401에서, 단말 기기(10)는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10)는 다른 단말 기기에 송신하고자 하는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단말 기기(10)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20)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단말 기기(20)의 속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속성 정보는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402에서, 단말 기기(10)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10)는 송신하고자 하는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한 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단말 기기(10)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단말 기기(10)는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403에서, 단말 기기(20)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10)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한 후, 단말 기기(20)는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단말 기기(10)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20)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와 단말 기기(20)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 기기(20)가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다른 단말 기기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으며, 다른 단말 기기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20)와 함께 동일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 기기(20)는 단말 기기(10)가 방송의 방식을 통해 송신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404에서, 단말 기기(20)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기기(10)는 포워딩될 정보를 단말 기기(20)에 송신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상기 단말 기기(10)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20)가 단말 기기(10)로부터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20)는 다른 단말 기기에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해야 한다. 단말 기기(20)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가 포함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단말 기기(20)의 속성 정보도 포함한다.
단계405에서, 단말 기기(20)는 상기 포워딩 정보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기기(20)가 단말 기기(10)로부터 목표 정보, 단말 기기(10)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20)는 단말 기기(20)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결정한 포워딩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단말 기기(20)의 속성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워딩 정보를 수신한 단말 기기는 상기 포워딩 정보로부터 단말 기기(20)의 속성 정보와 단말 기기(10)의 속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경로를 결정할 수 있고, 상이한 단말 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여러 갈래의 경로를 결정하여 경로 토폴로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말 기기(20)는 포워딩될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전송 경로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에 참여하는 단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기기(20)는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와 상기 단말 기기(20)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포워딩 정보를 포워딩한다. 다른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20)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10)의 위치 정보와 단말 기기(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포워딩 정보를 수신한 단말 기기는 상기 포워딩 정보의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포워딩 정보를 수신한 단말 기기는 다른 단말 기기가 상이한 경로를 거쳐 전송해 온 상기 포워딩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다수의 상이한 경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포워딩될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에서의 모든 경로를 결정하여 하나의 경로 토폴로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각각의 단말 기기는 모두 다른 단말기의 위치 및 분포를 획득할 수 있고,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는 단말 기기의 타입을 구분할 수 있음으로써, 다른 단말기의 위치 및 분포를 획득하는 동시에 각각의 전달점 위치의 기기가 무슨 타입인지를 획득하여, 상기 정보를 포워딩하는 것이 차량 또는 행인인지 아니면 다른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일부 특수 상황 예컨대 재난 지원 현장에서 지원 행동을 지도할 수 있다. 송신 단말기는 형성된 상기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포워딩 경로에 위치하는 특정 단말기(포워딩 경로에서의 포워딩 단말기)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V2X 통신 중의 포워딩 효율(해당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포워딩 경로에 위치하는 특정 단말기만 포워딩하도록 요구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재난 지원과 사고 처리에서 특수한 의미가 있다. 동시에, 포워딩 경로에 포함되어 있는 지리적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V2X 중의 차량 위치 분포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는데, 이는 공공 안전 분야에서(예를 들어, 재난 지원, 사고 처리에서)도 도움이 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말 기기(20)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다수의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전송 경로에서의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에 참여하는 다수의 단말 기기의 위치 분포 정황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속성 정보가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단말 기기(30)가 단말 기기(20)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 정보를 수신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기기(30)는 상기 경로 토폴로지 구조에 따라 각각의 차량의 구체적인 위치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어느 구역의 교통 흐름이 비교적 많고 어느 구역의 교통 흐름이 적은지를 결정할 수 있어, 교통 흐름이 비교적 적은 선로를 선택하여 주행할 수 있기에, 더 심각한 교통 혼잡을 방지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20)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다수의 전송 경로에서 목표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단말 기기(20)는 상기 목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속성 정보가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를 포함하고 단말 기기(30)가 단말 기기(20)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 정보를 수신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기기(30)는 상기 포워딩 정보에 따라 포워딩될 정보의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고, 각각의 차량의 구체적인 위치, 및 상이한 경로로부터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10), 단말 기기(20) 및 단말 기기(30)가 재난 지원 현장에 위치하면, 단말 기기(30)는 상이한 단말 기기로부터 상이한 경로를 거쳐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단말 기기(10)가 다른 차량의 지원이 필요함을 지시한다. 단말 기기(30)가 단말 기기(20)로부터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경로에서 상기 포워딩될 정보 전송에 필요한 시간이 제일 적다고 가정하면, 단말 기기(10)가 자체적으로 단말 기기(10)를 지원하는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경로를 이용할 것을 선택할 수 있는데, 즉, 단말 기기(30)는 단말 기기(20)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10)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제일 짧은 시간 내에 단말 기기(10)에 통지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단말 기기(30)의 신원 정보, 단말 기기(20)의 신원 정보 및 단말 기기(10)의 신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피드백 정보가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에 따라 해당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단말 기기(10)에 도달하도록 한다.
여기서, 단말 기기(30)가 단말 기기(20)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단말 기기(10)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 정보는 다른 단말 기기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으며, 다른 단말 기기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30)와 함께 동일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서, 상기 각 단계의 순번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각 단계의 수행 순서는 이들의 기능과 내재적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과정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진행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위에서 도 1 내지 도 4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을 상세하게 기술하였고, 아래 도 5 내지 도 16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기기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즉, 아래의 다양한 기기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기기(500)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2D 기기(500)는 결정 모듈(501)과 송신 모듈(502)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501)은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하며; 송신 모듈(502)은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위치 조건 정보 및/또는 시간 조건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위치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경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위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높이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송신 시각과 최장 포워딩 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종료 시각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속성 정보는,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모듈(502)은 구체적으로,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정 모듈(501)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송신 모듈(502)은 송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D 기기(600)는 프로세서(601), 수신기(602), 송신기(603) 및 메모리(6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604)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D2D 기기(600) 중의 각각의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605)을 통해 커플링되고, 여기서, 버스 시스템(605)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601)는 구체적으로,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하며;
송신기(603)는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프로세서(601)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위치 조건 정보 및/또는 시간 조건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위치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경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위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높이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송신 시각과 최장 포워딩 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종료 시각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기(603)는 구체적으로, 통신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7의 시스템 칩(700)은 입력 인터페이스(701), 출력 인터페이스(7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703), 메모리(704)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701), 출력 인터페이스(702), 상기 프로세서(703) 및 메모리(704) 사이는 버스(705)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703)는 상기 메모리(704) 중의 코드를 실행하며,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703)는 도 2 또는 도 3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실현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기기(800)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2D 기기(800)는 수신 모듈(801), 결정 모듈(802) 및 송신 모듈(80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801)은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하며;
결정 모듈(802)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결정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금지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위치 조건 정보 및/또는 시간 조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조건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위치 및/또는 상기 시간 조건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시각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위치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경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위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높이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송신 시각과 최장 포워딩 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종료 시각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D2D 기기는 송신 모듈(8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결정하면, 상기 결정 모듈(802)은 또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803)은 상기 포워딩 정보를 포워딩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모듈(803)은 구체적으로, 상기 포워딩 정보를 방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정 모듈(802)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수신 모듈(801)은 수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송신 모듈(803)은 송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D 기기(900)는 프로세서(901), 수신기(902), 송신기(903) 및 메모리(9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904)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D2D 기기(900) 중의 각각의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905)을 통해 커플링되고, 여기서, 버스 시스템(905)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기(902)는 구체적으로,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하며;
프로세서(901)는 상기 수신(902)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프로세서(901)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금지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위치 조건 정보 및/또는 시간 조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901)는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조건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위치 및/또는 상기 시간 조건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시각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위치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경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위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높이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송신 시각과 최장 포워딩 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종료 시각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901)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결정하면, 상기 프로세서(901)는 또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903)는 상기 포워딩 정보를 포워딩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기(903)는 구체적으로, 상기 포워딩 정보를 방송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하나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0의 시스템 칩(1000)은 입력 인터페이스(1001), 출력 인터페이스(10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3), 메모리(1004)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01), 출력 인터페이스(1002), 상기 프로세서(1003) 및 메모리(1004) 사이는 버스(1005)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1003)는 상기 메모리(1004) 중의 코드를 실행하며,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1003)는 도 2 또는 도 3에서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실현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기기(1100)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2D 기기(1100)는 결정 모듈(1101)과 송신 모듈(1102)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1101)은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 및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송신 모듈(1102)은 상기 결정 모듈(1101)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모듈(1102)은 구체적으로,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정 모듈(1101)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송신 모듈(1102)은 송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D 기기(1200)는 프로세서(1201), 수신기(1202), 송신기(1203) 및 메모리(12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204)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D2D 기기(1200) 중의 각각의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1205)을 통해 커플링되고, 여기서, 버스 시스템(1205)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201)는 구체적으로,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 및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송신기(1203)는
상기 프로세서(1201)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기(1203)는 구체적으로,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하나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3의 시스템 칩(1300)은 입력 인터페이스(1301), 출력 인터페이스(13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3), 메모리(1304)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301), 출력 인터페이스(1302), 상기 프로세서(1303) 및 메모리(1304) 사이는 버스(1305)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1303)는 상기 메모리(1304) 중의 코드를 실행하며,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1303)는 도 4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실현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기기(1400)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2D 기기(1400)는 수신 모듈(1401), 결정 모듈(1402) 및 송신 모듈(1403)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401)은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 및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결정 모듈(1402)은 상기 수신 모듈(1401)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 모듈(1403)은 상기 결정 모듈(1402)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포워딩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신 모듈(1401)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결정 모듈(1402)은 또한,
상기 포워딩될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전송 경로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에 참여하는 단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결정 모듈(1402)은 또한,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다수의 전송 경로에서 목표 전송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 모듈(1403)은 또한, 상기 목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결정 모듈(1402)은 또한,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다수의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전송 경로에서의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에 참여하는 다수의 단말 기기의 위치 분포 정황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모듈(1403)은 구체적으로,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정 모듈(1402)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수신 모듈(1401)은 수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송신 모듈(1403)은 송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D 기기(1500)는 프로세서(1501), 수신기(1502), 송신기(1503) 및 메모리(15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504)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501)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D2D 기기(1500) 중의 각각의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1505)을 통해 커플링되고, 여기서, 버스 시스템(1505)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기(1502)는 구체적으로,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 및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501)는 상기 수신 모듈(1401)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기(1503)는 상기 프로세서(1501)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포워딩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수신기(1502)가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프로세서(1501)는 또한,
상기 포워딩될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전송 경로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에 참여하는 단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1501) 또한,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다수의 전송 경로에서 목표 전송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기(1503)는 또한, 상기 목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1501)는 또한,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다수의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전송 경로에서의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에 참여하는 다수의 단말 기기의 위치 분포 정황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기(1503)는 구체적으로,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의 하나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6의 시스템 칩(1600)은 입력 인터페이스(1601), 출력 인터페이스(16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3), 메모리(1604)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601), 출력 인터페이스(1602), 상기 프로세서(1603) 및 메모리(1604) 사이는 버스(1605)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1603)는 상기 메모리(1604) 중의 코드를 실행하며,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1603)는 도 4에서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기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하거나 실현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결부시켜 공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팅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디코팅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롬, 프로그래머블 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고,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서 작용하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 설명으로서, 예를 들어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2배속 동기식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인핸스먼트형 동기식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접속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 등 많은 형태의 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밖에, 본문에서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문에서 흔히 서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문에서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것으로, 3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 A와 B가 동시에 존재, B만 존재하는 3가지 경우를 의미한다. 이밖에, 본문에서의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와 상응한 B”는 B는 A와 연관되는 것을 의미하고, A에 따라 B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된다. 그러나, A에 따라 B를 결정하는 것은 단지A에만 따라 B를 결정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A 및/또는 다른 정보에 따라 B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에 공개된 실시예와 결부시켜 기술된 각각의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술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된 일부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유닛에 대한 구획은 단지 하나의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 실제로 다른 구획 방식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되거나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즉 한곳에 배치되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는 바 실제 필요에 의해 그 중 일부분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일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부분적 단계를 수행시키는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변화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50)

  1. D2D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단말 기기가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함 - ; 및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위치 조건 정보 및 시간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경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위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높이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송신 시각과 최장 포워딩 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차량탑재 기기이고,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용자 요구 정보 또는 현재 교통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9. D2D 통신 방법으로서,
    제2 단말 기기가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위치 조건 정보 및 시간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위치 조건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위치, 및/또는, 상기 시간 조건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시각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경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위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높이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송신 시각과 최장 포워딩 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결정하면,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정보를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16.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정보를 포워딩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17. D2D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단말 기기가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 및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19.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20. D2D 통신 방법으로서,
    제2 단말 기기가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 및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22.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전송 경로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에 참여하는 단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다수의 전송 경로에서 목표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D2D 통신 방법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다수의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전송 경로에서의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에 참여하는 다수의 단말 기기의 위치 분포 정황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25.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통신 방법.
  26. D2D 기기로서,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함 - ;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위치 조건 정보 및 시간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경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위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높이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29. 청구항 27 또는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송신 시각과 최장 포워딩 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30.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32.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33. 청구항 26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기기는 차량탑재 기기이고, 상기 목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사용자 요구 정보 또는 현재 교통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34. D2D 기기로서,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와 포워딩 조건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포워딩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금지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36. 청구항 34 또는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조건 정보는 위치 조건 정보 및 시간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조건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위치, 및/또는, 상기 시간 조건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시각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경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위도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의 높이 좌표 범위,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소 거리,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해야 할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기기 사이의 최대 거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38. 청구항 36 또는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송신 시각과 최장 포워딩 시간을 포함하거나, 상기 시간 조건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 종료 시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39. 청구항 34 내지 청구항 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와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을 결정하면,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포워딩 정보를 포워딩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41. 청구항 34 내지 청구항 4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포워딩 정보를 방송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42. D2D 기기로서,
    포워딩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 및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기기가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포워딩할 경우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43.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44. 청구항 42 또는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45. D2D 기기로서,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 상기 포워딩될 정보는 목표 정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 및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포워딩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 - 상기 포워딩 정보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와 상기 제2 단말 기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함 - ; 및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포워딩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46. 청구항 45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위치 정보와;
    송신 시작 정보, 단말 기기의 타입 정보 및 단말 기기의 신원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47. 청구항 45 또는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포워딩될 정보에 따라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전송 경로는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에 참여하는 단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48. 청구항 47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다수의 전송 경로에서 목표 전송 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목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49. 청구항 47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다수의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전송 경로에서의 상기 포워딩될 정보의 포워딩에 참여하는 다수의 단말 기기의 위치 분포 정황을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50. 청구항 45 내지 청구항 4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방송의 방식을 통해 상기 포워딩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기.
KR1020187031505A 2016-06-29 2016-06-29 D2d 통신 방법 및 d2d 기기 KR201900212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87745 WO2018000262A1 (zh) 2016-06-29 2016-06-29 D2d通信的方法和d2d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202A true KR20190021202A (ko) 2019-03-05

Family

ID=6078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505A KR20190021202A (ko) 2016-06-29 2016-06-29 D2d 통신 방법 및 d2d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71040B2 (ko)
EP (1) EP3432613B1 (ko)
JP (1) JP6843883B2 (ko)
KR (1) KR20190021202A (ko)
CN (1) CN109076315B (ko)
HK (1) HK1258454A1 (ko)
TW (1) TW201801559A (ko)
WO (1) WO2018000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0012B2 (ja) * 2016-04-29 2020-04-28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装置間通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1172327B2 (en) 2018-07-12 2021-11-09 Qualcomm Incorporated Relaying for vehicular communications
CN110213715B (zh) * 2019-05-17 2020-10-02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车辆间最优估计距离的v2v通信模式切换方法
CN111245497B (zh) * 2020-01-10 2022-06-0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中继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8386A1 (en) * 2002-01-16 2004-10-07 Dupray Dennis J. Applications for a wireless location gateway
US7139820B1 (en) * 2002-02-26 2006-11-21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in relation to a target device
CN1283071C (zh) * 2003-02-20 2006-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中指定路由的方法
CN100450077C (zh) 2004-09-15 2009-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网络中路由转发的方法
EP2127263B1 (en) * 2007-02-01 2014-05-07 Nec Deutschland Gmbh Method for information dissemin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9033442A (ja) 2007-07-26 2009-02-12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無線ネットワーク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無線装置
US8059012B2 (en) * 2008-09-05 2011-1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liable packet delivery protocol for geocast protocol in disconnected vehicular ad hoc network
US8314718B2 (en) * 2009-10-02 2012-11-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ducing the computational load on processors by selectively discarding data in vehicular networks
US9538493B2 (en) * 2010-08-23 2017-01-03 Finetrak, Llc Locating a mobile station and applications therefor
JP5644689B2 (ja) * 2011-06-15 2014-12-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8923147B2 (en) * 2011-10-03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nd processing received vehicle peer transmissions based on reliability information
US9495870B2 (en) 2011-10-20 2016-11-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Vehicular communications using a scalable ad hoc geographic routing protocol
EP3755079A1 (en) * 2011-12-02 2020-12-2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 communication among wireless devices
CN102883281B (zh) 2012-01-30 2015-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消息的方法、设备及系统
CN202587034U (zh) * 2012-03-12 2012-12-05 东南大学 一种基于车辆间通信的车辆密度感知系统
EP2856836B1 (en) 2012-05-31 2019-02-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d2d, mobility in wireless systems
CN102740395A (zh) * 2012-07-12 2012-10-17 南京邮电大学 一种面向移动传感器网络的自组织路由方法
WO2014074681A1 (en) * 2012-11-07 2014-05-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eliable multicast/broadcast for p2p communications
US9203748B2 (en) * 2012-12-24 2015-12-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oftware defined network-based data processing method, node, and system
JP6373997B2 (ja) * 2013-08-22 2018-08-15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ベ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ウント・コンパニー・オッフェネ・ハンデルスゲゼルシヤフト Car2Xネットワーク内における伝送すべきデータパケットのフィルタリング
TWI555430B (zh) 2013-12-02 2016-10-21 創新音速股份有限公司 在一無線通訊系統中支援裝置間通訊的方法及裝置
CN104717714A (zh) * 2013-12-17 2015-06-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路由信息发送、接收的方法、装置及路由信息处理系统
US10212642B2 (en) * 2014-02-27 2019-02-19 Nokia Technology Oy Device-to-device based user equipment to network relay
CN105280005A (zh) 2014-06-06 2016-01-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道路安全消息的发送方法及装置
CN104135438B (zh) 2014-07-08 2017-10-17 清华大学 报文携带路由信息的可扩展路由方法
US9832706B2 (en) 2014-07-30 2017-11-28 Nec Corporation Information dissemination in a multi-technology communication network
CN105472646B (zh) * 2014-08-08 2020-09-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报设备到设备资源获取失败的信息的方法及设备
CN105592404A (zh) 2014-11-06 2016-05-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D2d通信的同步处理方法及装置
CN105657783A (zh) * 2015-05-29 2016-06-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直连通信方法及装置
CN105282688B (zh) * 2015-10-30 2018-12-25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的方法及路侧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58454A1 (zh) 2019-11-15
US11071040B2 (en) 2021-07-20
JP6843883B2 (ja) 2021-03-17
EP3432613A1 (en) 2019-01-23
WO2018000262A1 (zh) 2018-01-04
EP3432613A4 (en) 2019-01-23
TW201801559A (zh) 2018-01-01
CN109076315A (zh) 2018-12-21
CN109076315B (zh) 2021-12-28
JP2019523572A (ja) 2019-08-22
EP3432613B1 (en) 2022-04-27
US20190124583A1 (en)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9887B1 (en) Method for predicting channel load
US10440668B1 (en) Vehicle platooning management and power control with LTE/5G V2X communications
US10708734B2 (en) Proxy coordinated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ion for vehicular environments
US20170330457A1 (en) Techniques for vehicle based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11178516B2 (en) Intra-group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0692276A (zh) 在无线通信系统中通过共享上行链路资源和侧链路资源执行装置到装置通信的方法及装置
CN108028710B (zh) 传输通信消息的装置和方法
CN109644378B (zh) V2x通信方法和终端
WO201815863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s for travelling route determination
KR20190021202A (ko) D2d 통신 방법 및 d2d 기기
US8831604B2 (en) Localized information service for cellular networks using multicast channels
US202100998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uthorization for unmanned aerial system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84734B1 (en) Using geofencing areas to improve road safety use cases in a V2X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2569131B1 (ko) 차량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EP3614713B1 (en) V2x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5611503B (zh) 一种车载网络环境下的信息通信方法及系统
KR101975759B1 (ko) 차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US20220007187A1 (en) Proxy coordinated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ion for vehicular environments
CN111464982A (zh) 网络管理方法和网络系统
CN113498037A (zh) V2x通信方法和装置
WO2016169509A1 (en) Forwarding control method and forwarding control apparatus
WO2017107070A1 (zh) 传输信息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TW202412539A (zh) 用於共享連接和感測物件的不當行為偵測服務
KR20230057299A (ko) V2x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로드 사이드 유닛
CN114155729A (zh) 用于解决车辆的僵局交通情形的方法、计算机程序、装置、车辆和控制中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