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922A - 다기능 가열유닛 - Google Patents

다기능 가열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922A
KR20190020922A KR1020170105848A KR20170105848A KR20190020922A KR 20190020922 A KR20190020922 A KR 20190020922A KR 1020170105848 A KR1020170105848 A KR 1020170105848A KR 20170105848 A KR20170105848 A KR 20170105848A KR 20190020922 A KR20190020922 A KR 20190020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ting unit
heating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균
Original Assignee
박홍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균 filed Critical 박홍균
Priority to KR1020170105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0922A/ko
Publication of KR2019002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6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horizontal turn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1/00Devices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타지 않게 조리하는 구이기로 사용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가열부를 회전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구이기 외에 난로와 버너로도 사용할 수 있어 효용성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에 회전과 병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부; 및 상기 안내부에서 가열부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안내부와 가열부를 동시에 결속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와 가열부의 상하 간격 및 가열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난로, 버너 및 구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가열유닛{Multi function heating unit}
본 발명은 다기능 가열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타지 않게 조리하는 구이기로 사용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가열부를 회전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구이기 외에 난로와 버너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가열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기는 육류나 어패류 등을 익혀 취식하기 위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장치로, 특히 음식점 등에 구비된 구이기는 테이블에 매설된 상태로 화염이 구이기의 상부에 안착된 그릴에 직접 전달하게 함으로써 가열된 그릴에 올려진 음식물을 가열시켜 이를 섭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구이기는 테이블의 하부로 숯불실을 구비하거나 직접 구이기로 가스나 전기 등을 공급하여 그릴을 가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근래에는 가정에서도 육류나 어패류 등의 음식물을 쉽게 조리하기 위해 전기를 이용한 가정용 구이기가 다양하게 공급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통상의 구이기는 음식물이 올려지는 그릴을 가열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릴에 올려진 음식물이 그릴의 표면에 쉽게 늘러붙어 음식물이 타거나 그릴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특허출원 제10-2012-0075871호와 같은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음식물을 굽기 위해 화염을 발생시키는 화염기가 구이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 및 하부로 열원이 전해지게 함으로써, 음식물을 구울시 열원이 상부로부터 구이판에 올려진 음식물로 직접 전달되게 하여 구이판에 음식물이 눌어붙어 타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구이시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육즙 등의 기름이 열원으로 떨어져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발암물질의 발생을 방지하였다. 또한, 그 사용상에 있어서도, 연료로 통상의 휴대용 가스렌지에 사용되는 휴대용 부탄가스를 사용하고, 구이기 본체가 테이블에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 업소 내 테이블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테이블로부터 탈거하여 별도의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화염기가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 전방을 향하는 난로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직화 구이기는 단순히 화염기를 구이기 본체의 상부에 회전만 가능하도록 구현하였기 때문에 직화 구이기를 구이기 외에 난로의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을 뿐 그 외의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효용성이 떨어지는 점과 통상의 휴대용 가스렌지에 사용되는 휴대용 부탄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가스 공급부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직화 구이기의 제조원가 상승, 점유면적 증가, 휴대의 편의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특허출원 제10-2012-007587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음식물을 타지 않게 조리하는 구이기로 사용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가열부를 회전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구이기 외에 난로와 버너로도 사용할 수 있어 효용성이 증대된 가열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열유닛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들이 모두 독립적으로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나 이동시에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단순히 나사로만 각 부재들을 결합시키기 때문에 설치의 용이성 및 휴대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가열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에 회전과 병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부; 및 상기 안내부에서 가열부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안내부와 가열부를 동시에 결속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와 가열부의 상하 간격 및 가열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난로, 버너 및 구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는 안내부에 형성된 안내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병진하여 베이스부와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열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방향이 개방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공이 관통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탄성클립; 내부로 석영 탄소 섬유 발열체가 실장되고 상기 탄성클립에 끼워진 상태로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는 히팅관; 및 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메쉬 형상의 보호망;을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가 결속공과 안내홀에 동시에 삽입되어 가열부와 안내부를 상호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결속공에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핀; 및 상기 결속핀의 단부로 연장되는 누름편;을 포함하되, 상기 결속핀이 결속공에 삽입될 경우 누름편이 안내부와 가열부를 서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물이 올려지는 베이스판에서 가열부가 상부로 이격된 채 하방으로 열기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음식물을 타지 않게 조리하는 구이기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가열부를 회전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구이기 외에 난로와 버너로도 사용할 수 있어 가열유닛의 효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가열부와 그릴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화력을 제어함으로써 구이속도의 조절과 음식물의 종류에 따른 구이정도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베이스부, 안내부, 가열부 및 조절부가 모두 독립적으로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나 이동시에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단순히 나사로만 각 부재들을 결합시키기 때문에 설치의 용이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이 구이기로 사용될 때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이 구이기로 사용될 때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이 난로로 사용될 때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이 난로로 사용될 때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이 버너로 사용될 때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이 버너로 사용될 때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의 안내관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이 구이기로 사용될 때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이 구이기로 사용될 때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이 난로로 사용될 때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이 난로로 사용될 때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이 버너로 사용될 때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안내부(200), 상기 안내부(200)에 회전과 병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부(300) 및 상기 안내부(200)에서 가열부(300)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안내부(200)와 가열부(300)를 동시에 결속하는 조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베이스부(100)는 가열유닛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면으로는 음식물이 올려질 수 있도록 그릴(110)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그릴(110)은 베이스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베이스부(100)와 독립적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0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 그릴(110)은 판상의 철판이거나 와이어가 격자구조로 배치된 메쉬의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100)의 측면에는 후술되는 안내부(200)의 고정을 위한 제1 고정구(미도시)가 타공될 수 있으나, 베이스부(100)와 안내부(200)를 일체형으로 구현해도 무관하다. 그리고, 베이스부(100)의 하면에는 베이스부(100)를 지면이나 테이블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키도록 복수의 다리(1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되는 도면에서의 베이스부(100)를 대략 원판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다음으로, 안내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연장된 직사각의 판재로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홀(210)이 형성된다. 이때, 안내홀(210)은 안내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장홈 형상의 구멍으로 상기 안내홀(210)을 따라 가열부(300)가 상하 방향으로 병진하여 베이스부(100)와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안내홀(210)을 따라 병진하는 가열부(300)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조절부(400)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안내부(2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고정구와 대응되도록 제2 고정구(220)가 타공될 수 있으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220)가 연통되도록 베이스부(100)와 안내부(200)를 인접시킨 상태에서 볼트 등을 제1, 2 고정구에 삽입하면 베이스부(100)와 안내부(200)를 상호 결속할 수 있게 된다.
또, 첨부되는 도면에는 안내부(200)를 베이스부(100)의 일측으로 한 개만 설치하였으나 좌우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하여도 무관하다. 안내부(200)를 좌우 대칭되어 형성하였을 경우 후술되는 가열부(300)를 안내부(2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가열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방향이 개방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공(311)이 관통된 하우징(310),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고정되는 탄성클립(320), 내부로 석영 탄소 섬유 발열체가 실장되고 상기 탄성클립(320)에 끼워진 상태로 하우징(310)에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는 히팅관(330) 및 하우징(310)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메쉬 형상의 보호망(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310)의 내부에 수납되며 하우징(310)과 히팅관(33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히팅관(330)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하우징(310)의 개방된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가열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을 난로, 버너 및 구이기 중 어느 하나로 사용하기 위해 열기를 발생시키는 부재로서 열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채용하여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10)은 내부로 탄성클립(320), 히팅관(330), 반사판 등을 수용하며 열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개방된 부분에는 보호망(340)을 덮어 히팅관(33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한편, 외부로부터 기타 이물질이 하우징(3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결속공(311)은 하우징(31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결속공(311)에는 후술되는 조절부(400)가 체결된다.
또한, 가열부(300)는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손잡이(3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35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가열부(300)를 상하 방향으로 병진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탄성클립(320)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호 길이만큼 절취된 금속링의 형상으로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의 벽면에 고정되며 후술되는 히팅관(330)의 외주면을 파지한 상태로 히팅관(330)이 하우징(3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한편, 탄성클립(320)은 전술한 실시예 외에 히팅관(330)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히팅관(330)은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유리관 내에 공지의 석영 탄소 섬유 발열체가 실장된 상태로 상기 탄성클립(320)에 끼워져 하우징(310)에 수납된다. 이때, 석영 탄소 섬유 발열체는 전기와 열 사이의 전환효율이 높고 니켈, 크롬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금속히터보다 에너지를 30% 이상 절약할 수 있어 열에너지의 절약효과가 높은 특징이 있다. 또한, 석영 탄소 섬유 발열체는 전기와 열 간의 전환과정 중 가시광선을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광학 오염이 적고, 발생하는 원적외선이 인체, 의류, 물 등에 쉽게 흡수됨과 아울러 신체에는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또한, 전원이 인가될 때 순간적인 펄스전류충격이 없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재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며 연속 사용 수명은 대략 6000시간 이상이므로 부재들의 사용수명을 길게 가질 수 있다. 또, 석영 탄소 섬유 발열체는 적외선의 파장범위가 2 내지 15um정도이고 그 중의 80%의 방사강도가 3 내지 8um에 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가열부(300)는 히팅관(330)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였으나, 상기 반사판의 작용을 하는 반사부재(미도시)가 히팅관(330)의 내부에 실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가열부(300)는 조절부(400)에 의해 안내부(200)에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데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400)가 결속공(311)과 안내홀(210)에 동시에 삽입되어 가열부(300)와 안내부(200)를 상호 결속하게 된다.
다음으로, 조절부(400)는 결속공(311)에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핀(410) 및 결속핀(410)의 단부로 연장되는 누름편(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결속핀(410)이 결속공(311)에 삽입될 경우 누름편(420)이 안내부(200)와 가열부(300)를 서로 밀착시키도록 하였는데, 일례로 조절부(4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속핀(410)이 결속공(311)에 삽입되고 조절부(4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속핀(410)이 결속공(311)에서 인출되도록 구현하였다.
즉, 가열부(300)를 안내부(200)에서 고정하고자 할 경우 결속공(311)과 안내홀(210)이 연통된 상태에서 조절부(400)의 결속핀(410)을 결속공(311)에 삽입시켜 조절부(4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그면 결속핀(410)이 결속공(311)에 삽입되면서 누름편(420)이 안내부(200)를 가열부(300) 측으로 밀착시키게 되고 가열부(300)와 안내부(200)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호 결속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가열부(300)와 안내부(200)를 상호 결속하고 있는 조절부(4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풀어주면 쉽게 가열부(300)의 고정을 안내부(200)에서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조절부(400)가 가열부(300)와 안내부(200)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면 조절부(400)를 축으로 하여 가열부(300)를 회전시키거나 안내부(200)의 안내홀(2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가열부(300)를 병진시켜 가열부(300)와 베이스부(1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유닛은 상기 베이스부(100)와 가열부(300)의 상하 간격 및 가열부(3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난로, 버너 및 구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유닛의 베이스부(100)와 가열부(30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부여한 채 가열부(300)의 개방된 부분을 하방으로 위치시키고 베이스부(100)의 그릴(110)에 음식물을 올려 가열부(30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로 음식물을 가열한다. 이 경우, 가열유닛을 일반적인 구이기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가열부(300)와 안내부(200)를 상호 결속하는 조절부(400)를 풀어 안내부(200)의 안내홀(210)을 따라 가열부(300)를 병진시켜 가열부(300)와 베이스부(100)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베이스부(100)의 그릴(110)에 올려진 음식물과 가열부(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서 가열부(300)에 의해 발생되는 화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열부(300)와 그릴(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구이속도의 조절과 음식물의 종류에 따른 구이정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300)와 안내부(200)를 상호 결속하는 조절부(400)를 풀고 조절부(400)를 축으로 하여 가열부(300)의 개방된 부분이 전면을 향하도록 가열부(300)를 소정의 각도 회전시킨 후 조절부(400)를 잠궈 가열부(300)와 안내부(200)를 상호 결속하게 되면 전면을 향해 열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을 필요에 따라 난로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300)와 안내부(200)를 상호 결속하는 조절부(400)를 풀고 조절부(400)를 축으로 하여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가열부(300)를 180°회전한 상태로 베이스부(100)와 접촉하게끔 안내부(200)의 안내홀(210)을 따라 가열부(300)를 하강시킨다. 이때, 베이스부(100)의 상면에는 안내홀(210)을 따라 하강한 가열부(300)가 베이스부(100)에 직접적으로 부딪혀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재질의 완충부재(1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열부(300)의 개방된 부위가 상면을 향해 있는 상태로, 가열부(300)의 보호망(340)에 조리도구, 예컨대, 냄비, 주전자 등을 올려 가열시킬 수 있는 버너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보호망(340)의 상부로는 조리도구와의 이격을 위한 화구격자(341)가 안착될 수 있으며, 조리도구가 화구격자(341)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열부(300)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200)에는 안내부(2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안내관(2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은 히팅관(330)으로 전원을 제공하도록 외측으로 전원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히팅관(330)과 전원부재를 연결하는 전선(S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관(230)에 전선(SC)이 가이드되어 외부로 전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하였다.
이 경우, 상기 전선(SC)은 스프링 코드(Spring code)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부(300)가 안내부(20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전선(SC)의 신장 및 압축을 허용하도록 하여 전선(SC)이 단선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또한, 전선(SC)의 다른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플러그를 구비한 채 일단은 가열부(300)에 접속하고 타단은 베이스부(100)에 접속하도록 구현하였다. 이 경우, 전원부재는 베이스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선(SC)의 일단과 히팅관(33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전선(미도시)이 가열부의 내측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의 분해 조립 시에 전선(SC)의 취급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가열부(300)는 상기 전원부재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을 타지 않게 조리하는 구이기로 사용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가열부(300)를 회전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구이기 외에 난로와 버너로 사용할 수 있어 효용성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유닛은 베이스부(100), 안내부(200), 가열부(300) 및 조절부(400)가 모두 독립적으로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나 이동시에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단순히 나사로만 각 부재들을 결합시키기 때문에 설치의 용이성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베이스부
110: 그릴
120: 완충부재
130: 다리
200: 안내부
210: 안내홀
220: 제2 고정구
300: 가열부
310: 하우징
320: 탄성클립
330: 히팅관
340: 보호망
400: 조절부
410: 결속핀
420: 누름편

Claims (4)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에 회전과 병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부; 및
    상기 안내부에서 가열부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안내부와 가열부를 동시에 결속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와 가열부의 상하 간격 및 가열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난로, 버너 및 구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열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는 안내부에 형성된 안내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병진하여 베이스부와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열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방향이 개방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공이 관통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탄성클립;
    내부로 석영 탄소 섬유 발열체가 실장되고 상기 탄성클립에 끼워진 상태로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는 히팅관; 및
    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메쉬 형상의 보호망;을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가 결속공과 안내홀에 동시에 삽입되어 가열부와 안내부를 상호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열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결속공에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결속핀; 및
    상기 결속핀의 단부로 연장되는 누름편;을 포함하되,
    상기 결속핀이 결속공에 삽입될 경우 누름편이 안내부와 가열부를 서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가열유닛.
KR1020170105848A 2017-08-22 2017-08-22 다기능 가열유닛 KR20190020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848A KR20190020922A (ko) 2017-08-22 2017-08-22 다기능 가열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848A KR20190020922A (ko) 2017-08-22 2017-08-22 다기능 가열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922A true KR20190020922A (ko) 2019-03-05

Family

ID=6576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848A KR20190020922A (ko) 2017-08-22 2017-08-22 다기능 가열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092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871A (ko) 2010-12-29 2012-07-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족 관절 재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871A (ko) 2010-12-29 2012-07-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족 관절 재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5307A (zh) 烹饪机
KR200473899Y1 (ko) 로스터의 상부 전기 히터 조립체
US6779519B2 (en) Cover sheet for rotisserie burners
US5129312A (en) Radiant baffle assembly for gas-fired cooker
KR101183938B1 (ko) 다목적 전기 직화 구이기
KR101436280B1 (ko) 휴대용 가스 난로
KR100901824B1 (ko) 전기 로스터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20080073860A (ko) 조리 기기용 히터 서포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리 기기
KR20190020922A (ko) 다기능 가열유닛
AU2011101307C4 (en) A burner assembly
KR100691058B1 (ko) 가스 풍로
KR200417927Y1 (ko) 할로겐 구이기
KR101764429B1 (ko) 조리기기
US20030140798A1 (en) Sealed infrared broiler for outdoor barbecue
JP3193085U (ja) 加熱調理器
KR102053551B1 (ko) 조리용 솥
KR101694156B1 (ko) 다기능 구이기
KR200441569Y1 (ko) 전기식 로스터
KR200463874Y1 (ko) 꼬치 직화 구이기
KR101542687B1 (ko) 적외선 가열 조리기
KR100247613B1 (ko) 가열 조리기의 양면 그릴
CN214307220U (zh) 多功能天然气炉
CN212252727U (zh) 一种余热利用的灶具
KR100247614B1 (ko) 가열 조리기의 양면 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