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237A -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및 그 무선 전력 전송 코일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및 그 무선 전력 전송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237A
KR20190020237A KR1020170104512A KR20170104512A KR20190020237A KR 20190020237 A KR20190020237 A KR 20190020237A KR 1020170104512 A KR1020170104512 A KR 1020170104512A KR 20170104512 A KR20170104512 A KR 20170104512A KR 20190020237 A KR20190020237 A KR 20190020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reless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571B1 (ko
Inventor
김명룡
이병송
이수길
이경표
이건복
이승환
김성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0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5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0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characterised by unspecified or heterogeneous hardness or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hardness transitions
    • H01F1/0311Compounds
    • H01F1/0313Oxidic compounds
    • H01F1/0315Ferr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02B70/144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02T10/724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및 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에 관한 것으로; 급전선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급전용 AC/DC 컨버터와, 상기 급전용 AC/DC 컨버터의 직류전원을 고주파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급전용 DC/AC 인버터와, 상기 급전용 DC/AC 인버터의 고주파 교류전원에 의해서 전자기 유도 에너지를 발생하는 무선 급전 코일과, 상기 무선 급전 코일의 전자기 유도 에너지를 집전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무선 집전 코일과, 상기 무선 집전 코일로 유기되는 고주파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집전용 AC/DC 컨버터로 구성되는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와; 그 반도체 변압기에 모선 전력 전송용 으로 사용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변압기는 1차측과 2차측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어 1차측의 고압과 2차측의 저압 사이의 절연이 용이하고, 반도체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어 1차측과 2차측의 냉각 시스템을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및 그 무선 전력 전송 코일 {SEMICONDUCTOR TRANSFORMER FOR RAILWAY VEHICLE WIT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및 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에 적용되는 고주파 변압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1차측과 2차측이 수 내지 수십cm 정도 이격되어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와 그 반도체 변압기에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철도 차량의 주 전력 변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변압기(1), AC/DC 컨버터(2), 모터 구동용 인버터(3)인 DC/AC 3상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주 변압기(1)는 60Hz, 25kV의 전압을 전차선을 통해 공급 받고, 이를 1kV~3kV 정도로 낮춰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621803호, 등록특허 제10-0881086호 등에 제안된 바 있다. 주 변압기의 출력 측에 연결된 AC/DC 컨버터는 수 kV 의 AC 전압을 일정 크기의 DC 전압으로 변환해 모터 구동용 인버터에 공급해줘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주 변압기(1)와 AC/DC 컨버터(2)는 차량 내 전장품 중 가장 많은 하중을 차지하며, 경량화 필요성이 큰 부품이다. 특히, 주 변압기는 60Hz의 낮은 주파수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필요한 인덕턴스의 값이 커 변압기 권선을 많이 감거나 철심 코어를 많이 사용해야 함에 따라 무게와 부피가 크며 상대적으로 전력 밀도가 낮다.
이에 따라 상용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주 변압기(1)와 AC/DC 컨버터(2)의 경량화를 위해 많은 연구가 이뤄졌으며, 그 중 하나가 바로 반도체 소자를 이용해 변압기의 동작 주파수를 60Hz 보다 훨씬 높은 주파수인 수 kHz 에서 수십 kHz 까지 올려 변압기의 부피 및 무게를 줄이는 것이다. 즉, 도 2를 참고하면 기존의 60Hz에서 동작하는 주 변압기를 고주파에서 동작하는 고주파 변압기(4)로 바꾸고 반도체 소자를 이용해 저주파, 고전압의 입력 전력을 고주파 전압/전류로 변환하여 고주파 변압기를 거친 후 차량에 필요한 저전압 DC로 변환해 주는 장치를 반도체 변압기(Solid-state transformer) 또는 지능형 변압기(Intelligent transformer)라 한다.
여기서, 기존의 주 변압기뿐만 아니라 반도체 변압기에 사용되는 고주파 변압기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타입(Core-type)이나 쉘타입(shell-type)의 형태로 많이 제작 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변압기 구조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 간의 갭(gap)을 줄이고 자속 쇄교수(flux linkage)를 키울 수 있어 고효율 시스템에 적합하다. 하지만 25kV의 고압이 인가되는 철도 차량의 경우 1차측과 2차측 권선 사이의 절연 문제가 있어 1차측과 2차측 권선 사이에 절연을 위한 이격 및 절연구조물을 배치하고, 절연유를 채우기 때문에, 상용 주파수 변압기의 경우 무게 및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기존의 상용주파수 변압기를 반도체 변압기로 대체한 경우에도 반도체 변압기에 사용하는 고주파 변압기가 기존의 변압기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문제가 존재한다.
다만, 고주파 변압기는 동작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작은 인덕턴스로도 전력 전달이 가능해, 변압기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는 하나, 절연 측면에서 보면 1차측과 2차측 권선 및 인접 변압기 사이에 확보해야 하는 절연 레벨은 동일하게 25kV 이상이기 때문에, 권선간에 충분한 절연이격이 요구되어 고주파 변압기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며, 절연 및 냉각을 고려해 절연유 등의 기존 절연 방법을 그대로 사용한다면 변압기의 무게 및 부피를 줄이는데 효율적이지 않다.
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1621803호 참고문헌 2: 등록특허 제10-088108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에 적용되는 고주파 변압기를 기존의 코어타입(Core-type)이나 쉘타입(shell-type) 변압기 대신, 1차측과 2차측이 수 ~ 수십 cm 정도 이격 되어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와 그 반도체 변압기에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급전선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급전용 AC/DC 컨버터와, 상기 급전용 AC/DC 컨버터의 직류전원을 고주파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급전용 DC/AC 인버터와, 상기 급전용 DC/AC 인버터의 고주파 교류전원에 의해서 전자기 유도 에너지를 발생하는 무선 급전 코일과, 상기 무선 급전 코일의 전자기 유도 에너지를 집전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무선 집전 코일과, 상기 무선 집전 코일로 유기되는 고주파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집전용 AC/DC 컨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급전용 DC/AC 인버터는 공진형 인버터이고, 상기 집전용 AC/DC 컨버터는 공진형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급전용 AC/DC 컨버터, 급전용 DC/AC 인버터 및 무선 급전 코일은 하나의 패키지(package) 안에 장착해 모듈화한 송신모듈이며; 상기 무선 집전 코일, 집전용 AC/DC 컨버터는 하나의 패키지 안에 장착하여 모듈화한 수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송신모듈은 급전용 동조 콘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모듈은 집전용 동조 콘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은 1:1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모듈은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복수의 송신모듈에 1:1로 대응되게 복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송신모듈은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수신모듈의 무선 집전 코일은 상기 복수의 송신모듈에서 생성하는 자기장을 받기 위해서 확장된 하나의 무선 집전 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모듈은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복수의 송신모듈에 1:1로 대응되게 복수가 구비되되, 상기 수신모듈 별 무선 집전 코일간의 입출력단을 연속적으로 직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코일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폭 50 ~ 300 ㎜, 길이 50 ~ 300 ㎜, 높이 50 ~ 300 ㎜를 가지며, 두께 5 ~ 300 ㎜의 코어재료를 이용해 I 타입의 코어를 형성하고, 상기 코어에 1턴 이상의 권선을 감아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용 무선 전력 전송 코일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코어는 페라이트, 철심, 복합 물질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코일은 반도체 변압기의 무선 급전 코일 및 무선 집전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우선, 반도체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어 1차측의 고압과 2차측의 저압 사이의 절연이 용이하고, 반도체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어 1차측과 2차측의 냉각 시스템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경우 누설 인덕턴스(Leakage inductance)가 크기 때문에 별도의 인덕터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아울러, 기존의 변압기는 1차측이나 2차측에 멀티-와인딩(multi-winding)으로 병렬 구성하기 위해서는 자속 쇄교를 위해 1차측이나 2차측에 사용되는 코일이 모두 하나의 코어에 감겨야 해 상호 인덕턴스(mutual-inductance)가 매우 크고, 각각의 와인딩(winding)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불균형에 의해 코일 사이에 순환 전류(Circulation current)가 발생함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변압기는 이러한 순환 전류(Circulation current)가 매우 작아 병렬 운전시 효율이 높다.
또한, 기존 변압기는 멀티-와인딩(multi-winding) 및 이를 이용한 병렬 운전으로 구성하게 되면 변압기의 1차측이 모두 동일한 코어에 감기게 되어 고주파 변압기의 모듈(module)화는 불가능했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이용할 경우 병렬 운전 시 멀티-와인딩(multi-winding)이라 하더라도 와인딩(winding) 사이의 상호 자속 쇄교수(Mutual flux linkage)가 작아 각각의 와인딩(winding)을 모듈화가 가능해 고장 시 유지 보수 및 핫 스왑(hot swap)에 유리하다.
도 1은 종래 철도차량의 주전력 변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철도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 코어타입(Core-type) 및 쉘타입(shell-type) 변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의 기본구성에 사용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의 기본구성에 사용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용 I-type 코일의 상세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반도체 변압기에 사용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반도체 변압기에 사용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400 kW급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기반 반도체 변압기의 시뮬레이션 회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400kW급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기반 반도체 변압기의 시뮬레이션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및 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는 종래 반도체 변압기의 구성에서 DC/AC 고주파 인버터 및 고주파 변압기, AC/DC 컨버터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급전용 DC/AC 인버터(120)와 무선 급전(Transmitter) 코일(130) 및 무선 집전(Receiver) 코일(210)과 집전용 AC/DC 컨버터(220)로 대체하여 무선 전력 전송함으로서 1,2차측 사이의 절연이 용이하고 1,2차측의 냉각 시스템을 분리할 수 있으며 누설 인덕턴스(Leakage inductance)가 크기 때문에 별도의 인덕터를 추가할 필요가 없는 구조로서, 철도차량은 물론 자동차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는 급전선(10)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급전용 AC/DC 컨버터(110)와, 상기 급전용 AC/DC 컨버터(110)의 직류전원을 고주파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급전용 DC/AC 인버터(120)와, 상기 급전용 DC/AC 인버터(120)의 고주파 교류전원에 의해서 전자기 유도 에너지를 발생하는 무선 급전 코일(130)과, 상기 무선 급전 코일(130)의 전자기 유도 에너지를 집전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무선 집전 코일(210)과, 상기 무선 집전 코일(210)로 유기되는 고주파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집전용 AC/DC 컨버터(220)로 구성된다.
물론, 이와 같은 집전용 AC/DC 컨버터(110)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원은 모터(22) 제어를 위한 견인모터제어어용 인버터(20)와, 차량 내 조명이나 에어컨 등의 보조부하(32)의 구동을 위한 보조전원장치(SIV)(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변압기에 있어서 급전용 DC/AC 인버터(120) 및 집전용 AC/DC 컨버터(220)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LC 공진형 Resonant tank를 구동할 수 있도록 공진형 인버터 및 공진형 컨버터의 원리를 이용하며, 기존 반도체 변압기에서 사용되는 코어타입(Core-type) 및 쉘타입(shell-type) 변압기들은 1차측과 2차측이 최소 1 수 ~ 수십 ㎝ 완전히 이격되어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무선 급전 코일(130)과 무선 집전 코일(210)로 대체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는, 급전선(10)의 고전압 입력단에 직렬연결된 급전용 DC/AC 인버터(110) 및 집전용 AC/DC 컨버터(220)의 각 레벨(level) 마다 따로 공진형 무선 급전 코일(130)과 무선 집전 코일(210)을 가지고 있어 각 레벨(level)별 송신모듈(Transmitter module)과 수신모듈(Receiver module)로 완전히 따로 모듈화 및 패키징(packaging)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해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의 무선 전력시스템은 송신모듈(Transmitter module)(100)과 수신모듈(Receiver module)(200)로 완전히 분리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송신모듈(Transmitter module)(100)은 급전용 AC/DC 컨버터(110), 급전용 DC/AC 인버터(120), 무선 급전 코일(130) 및 급전용 동조 콘덴서(Tuning capacitor)(140)를 하나의 패키지(package) 안에 장착해 모듈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신모듈(Receiver module)(200)도 마찬가지로, 무선 집전 코일(210), 집전용 동조 콘덴서(Tuning capacitor)(230) 및 집전용 AC/DC 컨버터(220)를 하나의 패키지 안에 장착하여 모듈화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레벨(level)별 송신모듈(100)과 수신모듈(200)은 1:1로 대응되며, 복수의 송신모듈(Transmitter module)(100)은 직렬로 연결되고, 복수의 수신모듈(Receiver module)(200)은 병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구조에서 사용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의 일 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경우 각 레벨(level)별 송신모듈(100)과 수신모듈(200)을 구성하는 무선 급전 코일(130)과 무선 집전 코일(210) 사이의 거리(Air-Gap)가 약 4 ~ 5㎝ 정도 이격되어 있다고 할 때, 복수의 코어(132,212)를 각각 I-type으로 형성해 무선 급전 코일(130)과 무선 집전 코일(210) 간의 자기장 쇄교량을 개선하고, 이러한 코어(132,212)에 필요한 양 만큼의 턴(turn)수를 감아 코일을 만드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송신모듈(100)과 수신모듈(200)을 구성하는 무선 급전 코일(130)과 무선 집전 코일(210)의 코어(132,212)는 폭(Width) 50 ~ 300 ㎜, 길이(Length) 50 ~ 300 ㎜, 높이(Height) 50 ~ 300 ㎜를 가지며, 두께 5 ~ 300 ㎜ 정도의 페라이트 또는 철심 또는 복합 물질의 코어재료를 이용해 I 타입(I-type)로 형성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I-type 코어에 1턴 또는 그 이상의 권선(134,214)을 감아서 무선 급전 코일(130)과 무선 집전 코일(210)을 제작한다.
이때, 각 레벨(level)별 송신모듈(100)과 수신모듈(200)의 무선 급전 코일(130) 및 무선 집전 코일(210) 개당 약 30 ~ 60㎾ 정도 일 때 필요한 코일(132,212)의 크기 및 권선 형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구조에서 무전 전력 전송 시스템을 이용하면 무선 급전 코일(130) 간의 상호 자속 쇄교수(Mutual flux linkage)가 매우 작기 때문에, 각 레벨(level)의 병렬 운전 및 모듈화에 유리하며, 이는 도 8에 병렬운전에 해당하는 구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적합한 무선 급전 코일(130) 및 무선 집전 코일(210)의 구성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에 의하면 송신모듈(100)의 무선 급전 코일(130)은 도 6과 동일한 배치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수신모듈(200)의 무선 집전 코일(210)은 송신모듈(100)에서 생성하는 자기장을 모두 받기 위해서 옆으로 확장된 하나의 무선 집전 코일(210a)로 이루어진다. 즉, 각 레벨(level)별 복수의 송신모듈(100)과 하나의 수신모듈(200) 대응되는 N:1의 대응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반도체 변압기의 레벨(level) 수에 따라 무선 급전 코일(130)의 개수는 변화 가능하며, 무선 집전 코일(210)의 폭 역시 레벨(level) 수 및 무선 급전 코일(130)의 개수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상기 도 9에서 수신모듈(200)의 무선 집전 코일(210) 폭이 넓어지는 이유는 복수의 무선 급전 코일(130)이 만드는 자기장을 모두 받아 높은 전압을 출력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폭이 넓은 단일의 광폭 무선 집전 코일(210a)을 대신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모듈(200)를 복수의 무선 급전 코일(130)에 1:1로 대응되는 복수의 무선 집전 코일(210)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집전 코일(210)간의 입출력단을 연속적으로 직렬 연결하면 동일한 전압 및 전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수신모듈(200)의 무선 집전 코일(210)의 출력단을 인접한 다른 하나의 수신모듈(200)의 무선 집전 코일(210)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인접한 수신모듈(200)간 무선 집전 코일(210)을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도 11을 참고하면 수신부 측의 무선 집전 코일(210)의 소형화, 집전용 AC/DC 컨버터(220) 및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집전 코일(210)에 인가되는 높은 전압을 보상(compensation)하기 위한 집전용 동조 콘덴서(Tuning capacitor)(230)의 연결에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은 수신부 측을 도 8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시스템으로 구성하지 않고 레벨(level)이 많거나, 반도체 스위치의 전압 및 전류 용량이 작아 여러 개로 구성해야할 경우 도 12 및 도 13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송신모듈(Transmitter module)(100)을 하나의 그롭으로 하여 하나의 수신모듈(Receiver module)(200)에 대응되게 구비하되, 복수의 수신모듈(Receiver module)(200)을 통해 보다 많은 레벨(level)의 복수의 송신모듈(Transmitter module)(100)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모듈(Receiver module)(200)별로 하나의 집전용 동조 콘덴서(Tuning capacitor)(230)를 구비하거나 복수의 집전용 동조 콘덴서(Tuning capacitor)(230)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이용해 대용량의 2MVA 급 반도체 변압기를 제작시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25개의 송신모듈(100)을 직렬 연결하고, 총 5개의 수신모듈(200)을 병렬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송신모듈(100)의 무선 급전 코일(130)과 수신모듈(200)의 무선 집전 코일(210)은 도 9의 I-type 코일을 이용할 수 있다.
설계된 I-type 코일의 파라미터(parameter)는 다음과 같다.
무선 급전 코일 무선 집전 코일
자기 인덕턴스
(Self-inductance)
20 μH 44 μH
상호 인덕턴스
(Mutual-inductance)
3 μH
위 파라메터를 이용해 도 14의 5개의 수신모듈(200) 중 하나인 400kW 급 시스템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결과는 도 16과 같다. 이에 의하면 최종 출력단에는 약 1800Vrms의 전압이 유기되고, 출력 파워는 약 400kW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급전선 20: 견인모터제어어용 인버터
22: 모터 30: 보조전원장치
32: 보조부하 100: 송신모듈
110: 급전용 AC/DC 컨버터 120: 급전용 DC/AC 인버터
130: 무선 급전 코일 140: 급전용 동조 콘덴서
200: 수신모듈 210: 무선 집전 코일
220: 집전용 AC/DC 컨버터 230: 집전용 동조 콘덴서

Claims (11)

  1. 급전선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급전용 AC/DC 컨버터와, 상기 급전용 AC/DC 컨버터의 직류전원을 고주파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급전용 DC/AC 인버터와, 상기 급전용 DC/AC 인버터의 고주파 교류전원에 의해서 전자기 유도 에너지를 발생하는 무선 급전 코일과, 상기 무선 급전 코일의 전자기 유도 에너지를 집전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무선 집전 코일과, 상기 무선 집전 코일로 유기되는 고주파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집전용 AC/DC 컨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용 DC/AC 인버터는 공진형 인버터이고, 상기 집전용 AC/DC 컨버터는 공진형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용 AC/DC 컨버터, 급전용 DC/AC 인버터 및 무선 급전 코일은 하나의 패키지(package) 안에 장착해 모듈화한 송신모듈이며;
    상기 무선 집전 코일, 집전용 AC/DC 컨버터는 하나의 패키지 안에 장착하여 모듈화한 수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급전용 동조 콘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모듈은 집전용 동조 콘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은 1:1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복수의 송신모듈에 1:1로 대응되게 복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수신모듈의 무선 집전 코일은 상기 복수의 송신모듈에서 생성하는 자기장을 받기 위해서 확장된 하나의 무선 집전 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복수의 송신모듈에 1:1로 대응되게 복수가 구비되되, 상기 수신모듈 별 무선 집전 코일간의 입출력단을 연속적으로 직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9.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코일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폭 50 ~ 300 ㎜, 길이 50 ~ 300 ㎜, 높이 50 ~ 300 ㎜를 가지며, 두께 5 ~ 300 ㎜의 코어재료를 이용해 I 타입의 코어를 형성하고, 상기 코어에 1턴 이상의 권선을 감아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용 무선 전력 전송 코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페라이트, 철심, 복합 물질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용 무선 전력 전송 코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반도체 변압기의 무선 급전 코일 및 무선 집전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용 무선 전력 전송 코일.
KR1020170104512A 2017-08-18 2017-08-18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및 그 무선 전력 전송 코일 KR101953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512A KR101953571B1 (ko) 2017-08-18 2017-08-18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및 그 무선 전력 전송 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512A KR101953571B1 (ko) 2017-08-18 2017-08-18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및 그 무선 전력 전송 코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237A true KR20190020237A (ko) 2019-02-28
KR101953571B1 KR101953571B1 (ko) 2019-05-24

Family

ID=6558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512A KR101953571B1 (ko) 2017-08-18 2017-08-18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및 그 무선 전력 전송 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5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9797A (zh) * 2019-09-19 2019-11-29 南京丁博控制器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用ac-dc充电器
KR102241145B1 (ko) * 2019-10-24 2021-04-1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및 그 무선전력전송 코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86B1 (ko) 2007-09-06 2009-01-30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전원공급시스템
KR20100098715A (ko) * 2007-12-21 2010-09-08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유도 전력 전송 회로
KR101621803B1 (ko) 2016-03-29 2016-05-17 주식회사 비츠로씨앤씨 철도차량용 주변압기
KR20160063004A (ko) * 2014-11-26 2016-06-03 에스엘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및 수신 장치
JP2016123187A (ja) * 2014-12-25 2016-07-07 有限会社アール・シー・エス 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WO2016121030A1 (ja) * 2015-01-28 2016-08-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86B1 (ko) 2007-09-06 2009-01-30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전원공급시스템
KR20100098715A (ko) * 2007-12-21 2010-09-08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유도 전력 전송 회로
KR20160063004A (ko) * 2014-11-26 2016-06-03 에스엘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및 수신 장치
JP2016123187A (ja) * 2014-12-25 2016-07-07 有限会社アール・シー・エス 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WO2016121030A1 (ja) * 2015-01-28 2016-08-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KR101621803B1 (ko) 2016-03-29 2016-05-17 주식회사 비츠로씨앤씨 철도차량용 주변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9797A (zh) * 2019-09-19 2019-11-29 南京丁博控制器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用ac-dc充电器
CN110509797B (zh) * 2019-09-19 2022-12-16 南京多姿控制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用ac-dc充电器
KR102241145B1 (ko) * 2019-10-24 2021-04-1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및 그 무선전력전송 코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571B1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230B1 (ko) 철도차량용 반도체 변압기용 무선 급집전 코일 및 모듈
Zhang et al. Design of high-power static wireless power transfer via magnetic induction: An overview
CA2985091C (en) Wireless power transfer
CN109428490B (zh) 多单元功率变换系统
US8345453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JP5592124B2 (ja) 非接触給電装置
CN110386008B (zh) 一种基于双发射-双拾取模式的电动汽车无线充电方法及系统
KR20120079799A (ko) 자계 공명 방식의 비접촉 급전장치
US9548664B2 (en) Gate-power-supply device and semiconductor circuit breaker using same
US11777411B2 (en) Resonant power converter for wide voltage switching
KR20170059391A (ko) 무선 충전기용 양면 lcc 컨버터 및 그 구현방법
US20120286914A1 (en) Power converter method and apparatus
CN109888933B (zh) 一种原边多模块高频并联的无线电能传输系统
KR102349935B1 (ko) 반도체 변압기 전원공급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50318103A1 (en) Hybrid planar common-mode choke
KR102241145B1 (ko) 온라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및 그 무선전력전송 코일
CN110971011A (zh) 一种无线能量传输装置
KR101953571B1 (ko)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및 그 무선 전력 전송 코일
US20110074219A1 (en) High-frequency inductive coupling power transfe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9859713B2 (en) Parallel inverters connected to one inductor
KR102464779B1 (ko) 반도체 변압기의 무선 급집전 코일 구조
CN211670682U (zh) 一种无线能量传输装置
Lee et al. A high-efficient duty-controlled synchronous rectifier for uniformly powering of multiple receivers
Tian et al.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Secondary-side Interleaved Buck Converter and Magnetic Integrated Coupler
US11837961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