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235A -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235A
KR20190020235A KR1020170104387A KR20170104387A KR20190020235A KR 20190020235 A KR20190020235 A KR 20190020235A KR 1020170104387 A KR1020170104387 A KR 1020170104387A KR 20170104387 A KR20170104387 A KR 20170104387A KR 20190020235 A KR20190020235 A KR 20190020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usion
cutting
n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17010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0235A/ko
Publication of KR2019002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82Testing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을 일정 구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을 형성하고, 상기 턴테이블과 인접하여 프레임을 공급하는 프레임공급부와, 상기 프레임 상부로 망을 공급하는 망공급부와, 상기 프레임에 망을 융착 또는 커팅하는 융착커팅부와, 상기 프레임에 융착된 망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불량검사부와, 정상적으로 망이 융착된 프레임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정상배출부 및 비정상적으로 망이 융착된 프레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불량배출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융착커팅부를 통해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작업 속도와 작업 효율를 높이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턴테이블(10)과, 프레임공급부(20)와, 망공급부(30)와, 융착커팅부(40)와, 불량검사부(50)와, 정상배출부(60) 및 불량배출부(70)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를 제공하고, 프레임공급단계(S10)와, 망공급단계(S20)와, 융착커팅단계(S30)와, 불량검사단계(S40)와, 정상배출단계(S50) 및 불량배출단계(S60)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Fusion and cutting device of frame and net assembled at the cosmetic container and method fusion and cutting of frame and n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을 일정 구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을 형성하고, 상기 턴테이블과 인접하여 프레임을 공급하는 프레임공급부와, 상기 프레임 상부로 망을 공급하는 망공급부와, 상기 프레임에 망을 융착 또는 커팅하는 융착커팅부와, 상기 프레임에 융착된 망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불량검사부와, 정상적으로 망이 융착된 프레임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정상배출부 및 비정상적으로 망이 융착된 프레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불량배출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융착커팅부를 통해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작업 속도와 작업 효율를 높이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얼굴이 화사하면서 아름답게 보이도록 화장품을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된다.
이러한 화장품은 그 기능에 따라 기초 화장품, 색조 화장품, 기능성 화장품, 모발용 화장품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상태에 따라 분말, 액상, 겔상, 고형 화장품으로 구분되어 각 상태에 알맞은 용기에 보관, 사용된다.
상기 색조화장품은 일반적으로 입구부가 넓은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어 상기 화장품 용기에 함께 수납된 퍼프에 의해 피부에 도포되는데, 최근에는 화장품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이 퍼프에 고르게 묻도록 하기 위해 신축성 소재의 망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가 개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370호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입구부에 결합되는 중간캡 및 상기 중간캡의 내측에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신축성 망사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 화장품 용기의 신축성 망사가 중간캡에 초음파 융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작업자가 신축성 망사 위에 중간캡을 올려놓고, 초음파 융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신축성 망사와 중간캡을 초음파 융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작업에 의해 초음파 융착 공정이 이루어지게 되면 그 과정에서 많은 인력이 소요되어 인건비로 인한 생산원가의 상승 및 제품 가격의 상승을 가져오게 되고, 생산 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록특허공보 제10-1691789호로 스크린 망과 환상부재의 초음파 융착 장치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환상부재공급라인과 스크린 망의 공급라인 및 초음파 융착수단을 하나의 작업테이블에 마련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되, 초음파융착수단에 의해 스크린망에 환상부재를 융착시킬 때 승강엑츄에이터에 의해 환상부재받침편이 네트플랜지보다 조정된 높이만큼 더 상승되도록 하여 스크린망이 팽팽한 상태로 환상부재에 융착시키는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초음파융착수단으로 스크린망과 환상부재를 융착시킨 후, 상기 스크린망과 환상부재를 다시 커팅 공정으로 이동시켜 스크린망을 일정한 크기로 커팅해야 하는 등 거쳐야 하는 공정이 많아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초음파융착수단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스크린망과 환상부재를 융착 및 커팅한 후, 다시 상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크린망과 환상부재가 초음파융착수단을 따라 올라가면서 제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생산 공정 상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프레임을 일정 구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을 형성하고, 상기 턴테이블과 인접하여 프레임을 공급하는 프레임공급부와, 상기 프레임 상부로 망을 공급하는 망공급부와, 상기 프레임에 망을 융착 또는 커팅하는 융착커팅부와, 상기 프레임에 융착된 망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불량검사부와, 정상적으로 망이 융착된 프레임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정상배출부 및 비정상적으로 망이 융착된 프레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불량배출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융착커팅부를 통해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작업 속도와 작업 효율를 높이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망공급부의 맞은편에 텐션유지부를 설치하여 상기 텐션유지부가 망을 지속적으로 잡아당기도록 함으로써, 상기 텐션유지부에 의해 망이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로 프레임에 융착되도록 한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융착커팅부를 1차로 수직 이동시켜 프레임과 망을 융착 및 커팅한 후, 상기 융착커팅부를 다시 2차로 수직 이동시켜 프레임을 눌러주도록 함으로써, 융착커팅부에 의한 융착 또는 커팅 작업 중 기울어지거나 제 위치로부터 벗어난 프레임을 정상 위치로 조정하여 작업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F)을 일정 구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10);
상기 턴테이블(10)과 인접하여 프레임(F)을 공급하는 프레임공급부(20);
상기 프레임(F)에 융착되는 망(M)을 공급하는 망공급부(30);
상기 프레임(F)에 망(M)을 융착하고, 연속적으로 망(M)을 커팅하는 융착커팅부(40);
상기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불량검사부(50);
상기 불량검사부(50)에 의해 정상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정상배출부(60) 및
상기 불량검사부(50)에 의해 불량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불량배출부(70)를 포함하되,
상기 융착커팅부(40)에 형성된 융착커팅몸체(42)가 수직 이동되면서 프레임(F)과 망(M)을 융착 및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10)과 인접하여 정상배출부(60)로부터 배출된 프레임(F)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8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10)과 인접하여 프레임(F)과 망(M)의 융착 및 커팅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C)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융착커팅부(40)에 형성된 융착커팅몸체(42)는 1차로 수직 이동되면서 프레임(F)과 망(M)을 융착 및 커팅하고, 다시 2차로 수직 이동되면서 프레임(F)을 눌러 상기 프레임(F)이 제 위치로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망공급부(30)의 맞은편에는 텐션유지부(90)가 설치되어 상기 텐션유지부(90)가 망(M)을 지속적으로 팽팽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융착커팅부(40)에는 상, 하 이동되면서 프레임(F)에 망(M)을 융착하고 회전되면서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을 커팅하는 융착커팅몸체(42)와, 상기 융착커팅몸체(42)의 하부에 형성되어 융착커팅몸체(42)의 수직 이동과 망(M)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융착커팅판(44) 및 상기 융착커팅몸체(42)의 하측으로 망(M)을 수평 이동시키는 망이동수단(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량검사부(50)에는 상, 하 이동되는 불량검사몸체(52)와, 상기 불량검사몸체(52)와 함께 상, 하 이동되면서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을 눌러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불량검사수단(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되는 턴테이블(10)에 프레임(F)을 공급하는 프레임공급단계(S10);
상기 프레임(F)에 융착되는 망(M)을 공급하는 망공급단계(S20);
상기 프레임(F)에 망(M)을 융착하고, 융착된 망(M)의 외측을 커팅하는 융착커팅단계(S30);
상기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불량검사단계(S40);
상기 불량검사단계(S40)에서 정상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정상배출단계(S50) 및
상기 불량검사단계(S40)에서 불량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불량배출단계(S60)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망공급단계(S20)에서는 망(M)이 공급되는 부분의 맞은편에서 망(M)을 지속적으로 잡아당기도록 하여 상기 망(M)이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로 프레임(F)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융착커팅단계(S30)와 불량검사단계(S40)의 사이에는 망(M)이 접합된 프레임(F)을 눌러 상기 프레임(F)이 정상 위치로 조정되도록 하는 프레임위치조정단계(S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은 프레임을 일정 구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을 형성하고, 상기 턴테이블과 인접하여 프레임을 공급하는 프레임공급부와, 상기 프레임 상부로 망을 공급하는 망공급부와, 상기 프레임에 망을 융착 또는 커팅하는 융착커팅부와, 상기 프레임에 융착된 망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불량검사부와, 정상적으로 망이 융착된 프레임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정상배출부 및 비정상적으로 망이 융착된 프레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불량배출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융착커팅부를 통해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작업 속도와 작업 효율를 높이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은 망공급부의 맞은편에 텐션유지부를 설치하여 상기 텐션유지부가 망을 지속적으로 잡아당기도록 함으로써, 상기 텐션유지부에 의해 망이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로 프레임에 융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은 융착커팅부를 1차로 수직 이동시켜 프레임과 망을 융착 및 커팅한 후, 상기 융착커팅부를 다시 2차로 수직 이동시켜 프레임을 눌러주도록 함으로써, 융착커팅부에 의한 융착 또는 커팅 작업 중 기울어지거나 제 위치로부터 벗어난 프레임을 정상 위치로 조정하여 작업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장품용 파우더 용기.
도 2는 종래의 스크린 망과 환상부재의 초음파 융착 장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턴테이블과 망공급부 및 융착커팅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망이동수단이 망을 잡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망이동수단에 의해 망이 융착커팅몸체 하측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고정판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망을 고정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융착커팅몸체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프레임에 망을 융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융착커팅몸체가 회전되면서 망을 커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g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융착커팅몸체가 다시 하측으로 이동되어 프레임을 눌렀다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턴테이블과 불량검사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불량검사몸체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프레임에 융착된 망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정상배출몸체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제1파지수단이 벌려져 정상으로 판별된 프레임을 파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정상배출몸체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정상배출몸체가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이송부로 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불량배출몸체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제2파지수단이 벌려져 불량으로 판별된 프레임을 파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불량배출몸체가 수평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는 프레임(F)을 일정 구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10)과; 상기 턴테이블(10)과 인접하여 프레임(F)을 공급하는 프레임공급부(20)와; 상기 프레임(F)에 융착되는 망(M)을 공급하는 망공급부(30)와; 상기 프레임(F)에 망(M)을 융착하고 연속적으로 망(M)을 커팅하는 융착커팅부(40)와; 상기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불량검사부(50)와; 상기 불량검사부(50)에 의해 정상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정상배출부(60) 및 상기 불량검사부(50)에 의해 불량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불량배출부(70)를 포함하되, 상기 융착커팅부(40)에 형성된 융착커팅몸체(42)가 수직 이동되면서 프레임(F)과 망(M)을 융착 및 커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턴테이블(10)은 원형 판 형태이며, 제자리 회전되면서 턴테이블(10)의 프레임안착홈(12)에 안착된 프레임(F)을 일정 구간 이동시켜 각각의 작업 공정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턴테이블(10)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안착홈(12)이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프레임안착홈(12)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턴테이블(10)의 프레임안착홈(12)에는 프레임(F)이 안착되는데, 상기 프레임(F)은 거꾸로 뒤집힌 상태로 상기 프레임안착홈(12)에 안착된다.
상기 프레임공급부(20)는 턴테이블(10)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10)의 프레임안착홈(12)에 프레임(F)을 낱개로 공급한다.
상기 프레임공급부(20)에는 설치판(22)과 상기 설치판(22)에 연결되어 턴테이블(10)의 프레임안착홈(12) 상부에 위치되는 프레임공급몸체(24)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공급몸체(24)에는 제1 내지 제4 가이드봉(241, 242, 243, 244)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가이드봉(241, 242, 243, 244)의 내측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F)이 뒤집힌 상태로 적층, 보관된다.
상기 망공급부(30)는 턴테이블(10)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프레임(F)에 융착되는 망(M)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망공급부(30)에는 망(M)이 감겨져 있는 권취롤(32)이 형성되어 상기 권취롤(32)의 회전에 의해 망(M)이 공급된다.
상기 망공급부(30)에 의해 공급되는 망(M)은 턴테이블(10)의 프레임안착홈(12)과 융착커팅부(40) 사이를 통과하면서 이동된다.
상기 망공급부(30)의 일측에는 망(M)이 감겨진 권취롤(32)을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34)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권취롤(32)에 감겨진 망(M)이 모두 소모되었음을 감지하고 알리는 알람장치(미도시)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망공급부(30)의 맞은편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텐션유지부(90)가 설치되는데, 상기 텐션유지부(90)의 인장력(引張力)에 의해 망(M)이 망공급부(30)와 텐션유지부(90) 사이에서 팽팽하게 당겨진다.
즉, 상기 텐션유지부(90)가 망공급부(30)의 맞은편에서 망(M)을 지속적으로 잡아당기도록 함으로써, 상기 텐션유지부(90)에 의해 망(M)이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로 프레임에 융착되는 것이다.
상기 텐션유지부(90)에는 도 3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 우 설치판(94, 95)이 형성되고, 상기 좌, 우 설치판(94, 95) 사이에 제1 내지 제3회전축(91, 92, 93)이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좌, 우 설치판(94, 95)에는 각각 상하이동슬릿(94a, 95a)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이동슬릿(94a, 95a)에는 텐션축(96)이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텐션축(96)의 하부로 이동되는 망(M)을 위에서 누르게 된다.
상기 텐션축(96)의 양측에는 망(M)이 용이하게 하측으로 눌려지도록 텐션무게추(96a)가 형성된다.
즉, 상기 망(M)은 텐션유지부(90)의 제1회전축(91)과 제2회전축(92)의 상부를 거쳐, 제3회전축(93)의 하부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제1회전축(91)과 제2회전축(92) 사이에 설치된 텐션축(96)의 무게에 의해 망(M)이 하측으로 눌려지면서 지속적으로 팽팽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4a 내지 4g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융착커팅부에 의해 프레임과 망이 융착, 커팅되고, 상기 프레임의 위치가 다시 조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융착커팅부(40)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10)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프레임(F)에 망(M)을 융착하고 연속적으로,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을 커팅하게 된다.
상기 융착커팅부(40)에는 상, 하 이동되면서 프레임(F)에 망(M)을 융착하고, 커팅수단(42b)이 회전되면서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을 커팅하는 융착커팅몸체(42)와, 상기 융착커팅몸체(42)의 하부에 형성되어 융착커팅몸체(42)의 수직 이동과 망(M)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융착커팅판(44) 및 상기 융착커팅몸체(42)의 하측으로 망(M)을 수평 이동시키는 망이동수단(46)이 형성된다.
상기 융착커팅몸체(42)에는 융착수단(42a)이 형성되는데, 상기 융착수단(42a)은 도 4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엑추에이터(41)의 작동에 의해 상, 하 이동되면서 프레임(F) 망(M)을 초음파 융착한다.
상기 융착커팅몸체(42)의 융착수단(42a) 외측에는 커팅수단(42b)이 형성되는데, 상기 커팅수단(42b)은 도 4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융착커팅몸체(42) 옆에 설치된 회전모터(43)와 회전벨트(45)에 의해 회전되면서 망(M)을 일정한 직경으로 커팅하게 된다.
상기 융착커팅판(44)은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융착커팅판(442)과 상기 하부융착커팅판(442)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융착커팅판(444)으로 구성되며, 상기 융착커팅판(44)의 하부에는 턴테이블(10)의 프레임안착홈(12)이 위치된다.
상기 하부융착커팅판(442)은 융착커팅몸체(42)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망(M)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하부융착커팅판(442)의 중앙에는 융착커팅몸체(42)의 융착수단(42a)과 커팅수단(42b)이 상, 하 이동되면서 관통하는 제1관통홀(442a)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망(M)이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관통하는 관통슬릿(442b)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융착커팅판(444)은 하부융착커팅판(44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 하 이동되며, 융착커팅몸체(42)의 융착수단(42a)과 커팅수단(42b)이 정확히 프레임(F)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상부융착커팅판(444)의 중앙에는 융착커팅몸체(42)의 융착수단(42a)과 커팅수단(42b)이 상, 하 이동되면서 관통하는 제2관통홀(444a)이 형성된다.
상기 망이동수단(46)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망이동수단(46)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망이동수단(46)의 상부에는 이동판(46a)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46a)이 상, 하 이동되면서 망(M)을 잡거나 놓게 된다.
상기 한 쌍의 망이동수단(46)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판(46a)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망(M)을 잡은 다음,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이동되어 한 쌍의 망이동수단(46) 사이에 파지된 망(M)을 프레임(F)의 상부로 위치시킨다. 이후, 프레임(F)과 망(M)의 융착 및 커팅이 끝난 후에는 이동판(46a)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망(M)을 놓은 다음, 수평으로 이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망이동수단(46)은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면서 망(M)을 일정 구간 이동시켜 프레임(F)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착커팅부(40)는 융착커팅몸체(42)와, 융착커팅판(44) 및 망이동수단(46)의 연동 작동에 의해 프레임(F)과 망(M)을 융착 및 커팅하게 된다.
즉, 도 4b와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이동수단(46)이 망공급부(30)로부터 공급된 망을 수평으로 이동시켜 프레임(F)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융착커팅판(44)의 상부융착커팅판(444)이 하측으로 이동된 다음, 도 4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융착커팅몸체(42)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프레임(F)과 망(M)을 융착시키고, 융착된 망(M)을 커팅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프레임(F)과 망(M)의 융착 및 커팅 후에는 도 4g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융착커팅몸체(42)가 상측으로 이동되었다가 다시 하측으로 이동되어 프레임(F)을 눌러주게 된다.
즉, 상기 융착커팅부(40)에 의한 융착 또는 커팅 작업 중 프레임(F)이 융착커팅부(40)의 융착수단(42a)과 커팅수단(42d)에 달려 올라오게 되어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제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는 융착커팅부(40)에 형성된 융착커팅몸체(42)가 1차로 수직 이동되면서 프레임(F)과 망(M)을 융착 및 커팅하고, 다시 2차로 수직 이동되면서 프레임(F)을 눌러주도록 함으로써, 기울어지거나 제 위치에서 벗어난 프레임(F)을 정상 위치로 조정하여 융착 및 커팅 작업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불량검사부에 의해 프레임에 융착된 망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불량검사부(50)는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데, 상기 망(M)의 텐션 정도가 사전에 설정된 값 이내일 경우 정상, 사전에 설정된 값에서 벗어날 경우 불량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불량검사부(50)에는 상, 하 이동되는 불량검사몸체(52)와, 상기 불량검사몸체(52)와 함께 상, 하 이동되면서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을 눌러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불량검사수단(54)이 형성된다. 상기 불량검사수단(54)에 의해 측정된 텐션 값은 제어부(C)로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C)에 의해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정상배출부에 의해 망이 접합된 프레임을 이송부로 배출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정상배출부(60)는 불량검사부(50)에 의해 정상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정상배출부(60)에는 정상배출몸체(62)와, 상기 정상배출몸체(62)의 하부에 형성되어 벌려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정상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파지하는 정상배출파지수단(64)이 형성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상배출부(60)와 인접하여 이송부(8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이송부(80)는 정상배출부(60)에 의해 배출된 프레임(F)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일 수 있다.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및 커팅 장치의 불량배출부에 의해 망이 접합된 프레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불량배출부(70)는 불량검사부(50)에 의해 불량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불량배출부(70)에는 불량배출몸체(72)와, 상기 불량배출몸체(72)의 하부에 형성되어 벌려졌다가 오므라들면서 불량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파지하는 불량배출파지수단(74)이 형성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10)과 인접하여 프레임(F)과 망(M)의 융착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C)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의 전원을 ON/OFF 하거나, 일시 정지 하거나, 수동 또는 자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의 텐션 정도 등 다양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에는 정상적으로 작업된 프레임(F)과 불량으로 작업된 프레임(F)의 갯수 또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제반 사항들을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되는 턴테이블(10)에 프레임(F)을 공급하는 프레임공급단계(S10)와; 상기 프레임(F)에 융착되는 망(M)을 공급하는 망공급단계(S20)와; 상기 프레임(F)에 망(M)을 융착하고, 융착된 망(M)의 외측을 커팅하는 융착커팅단계(S30)와; 상기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불량검사단계(S40)와; 상기 불량검사단계(S40)에서 정상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정상배출단계(S50) 및 상기 불량검사단계(S40)에서 불량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불량배출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공급단계(S10)는 턴테이블(10)의 프레임안착홈(12)에 프레임(F)을 하나씩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프레임공급단계(S10)에서는 프레임공급부(20)에 의해 프레임(F)이 뒤집어진 상태로 턴테이블(10)에 공급된다.
상기 프레임(F)은 턴테이블(10)에 의해 일정 구간 이동되었다가 멈추는 작동을 반복하면서 각각의 작업 공정으로 이동된다.
상기 망공급단계(S20)는 프레임(F)에 융착되는 망(M)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망공급단계(S20)에서는 망공급부(30)에 의해 망(M)이 프레임(F)의 상부로 공급된다. 상기 망(M)은 망공급부(30)의 권취롤(32)에 감겨져 있다가 상기 권취롤(32)의 회전에 의해 풀리면서 프레임(F)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망(M)이 공급되는 망공급부(30)의 맞은편에서 텐션유지부(90)가 망(M)을 지속적으로 잡아당기도록 하여 상기 망(M)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융착커팅단계(S30)는 프레임(F)에 망(M)을 융착하고, 융착된 망(M)의 외측을 커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융착커팅단계(S30)에서는 융착수단(42a)에 의해 프레임(F)과 망(M)이 초음파 융착되고, 커팅수단(42b)에 의해 망(M)이 일정한 직경으로 커팅되는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턴테이블(10)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F)이 융착커팅부(40)의 하부로 이동되면, 먼저 망이동수단(46)의 이동판(46a)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망을 잡은 다음,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망이동수단(46)이 수평으로 이동되어 상기 한 쌍의 망이동수단(46) 사이에 파지된 망(M)을 프레임(F)의 상부로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융착커팅판(44)의 상부융착커팅판(444)이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으로 이동된 다음, 도 4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융착커팅몸체(42)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융착커팅몸체(42)의 융착수단(42a) 및 커팅수단(42b)이 상부융착커팅판(444)의 제2관통홀(442a)과 제1관통홀(422a)을 차례대로 관통하게 된다.
이후, 상기 융착커팅몸체(42)의 융착수단(42a)에 의해 프레임(F)과 망(M)을 융착한 다음, 커팅수단(42b)이 더 하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커팅수단(42b)이 회전되면서 프레임(F)에 접합된 망(M)의 외측을 커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융착커팅단계(S30)와 불량검사단계(S40)의 사이에는 망(M)이 접합된 프레임(F)을 눌러 상기 프레임(F)이 정상 위치로 조정되도록 하는 프레임위치조정단계(S7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융착커팅단계(S30)에서 융착커팅부(40)를 1차로 수직 이동시켜 프레임(F)과 망(M)을 융착 및 커팅한 후, 상기 프레임위치조정단계(S70)에서 상기 융착커팅부(40)를 다시 2차로 수직 이동시켜 프레임(F)을 눌러주도록 함으로써, 융착커팅부(40)에 의한 융착 또는 커팅 작업 중 기울어지거나 제 위치로부터 벗어난 프레임(F)을 정상 위치로 조정하여 작업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불량검사단계(S40)는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즉,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망(M)이 접합된 프레임(F)이 턴테이블(10)의 회전에 의해 불량검사부(50)의 하부로 이동되면,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불량검사몸체(52)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불량검사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불량검사수단(54)이 반복적으로 상, 하 이동되면서 프레임(F)에 접합된 망(M)의 텐션 정도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정상배출단계(S50)는 불량검사단계(S40)에서 정상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정상배출단계(S50)에서는 불량검사부(50)에 의해 정상으로 판별된 프레임(F)이 정상배출부(60)의 하부로 이동되면,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배출몸체(62)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배출파지수단(64)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프레임(F)을 파지한 다음,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배출몸체(62)가 상측으로 이동된 후, 도 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배출몸체(62)가 수평으로 이동되어 정상적으로 망(M)이 접합된 프레임(F)을 이송부(80)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불량배출단계(S60)는 불량검사단계(S40)에서 불량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불량배출단계(S60)에서는 불량검사부(50)에 의해 불량으로 판별된 프레임(F)이 불량배출부(70)의 하부로 이동되면,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량배출몸체(72)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불량배출파지수단(74)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프레임(F)을 파지한 다음,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량배출몸체(72)가 상측으로 이동된 후, 불량배출몸체(72)가 수평으로 이동되어 불량으로 망(M)이 접합된 프레임(F)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프레임공급단계(S10)와, 망공급단계(S20)와, 융착커팅단계(S30)와, 불량검사단계(S40)와, 정상배출단계(S50) 및 불량배출단계(S60)는 턴테이블(10)이 회전을 멈췄을 때, 동시에 진행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턴테이블 20: 프레임공급부
30: 망공급부 40: 융착커팅부
42a: 융착수단 42b: 커팅수단
50: 불량검사부 60: 정상배출부
70: 불량배출부 80: 이송부
90: 텐션유지부 C: 제어부
F: 프레임 M: 망
S10: 프레임공급단계 S20: 망공급단계
S30: 융착커팅단계 S40: 불량검사단계
S50: 정상배출단계 S60: 불량배출단계
S70: 프레임위치조정단계

Claims (10)

  1. 프레임(F)을 일정 구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10);
    상기 턴테이블(10)과 인접하여 프레임(F)을 공급하는 프레임공급부(20);
    상기 프레임(F)에 융착되는 망(M)을 공급하는 망공급부(30);
    상기 프레임(F)에 망(M)을 융착하고, 연속적으로 망(M)을 커팅하는 융착커팅부(40);
    상기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불량검사부(50);
    상기 불량검사부(50)에 의해 정상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정상배출부(60) 및
    상기 불량검사부(50)에 의해 불량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불량배출부(70)를 포함하되,
    상기 융착커팅부(40)에 형성된 융착커팅몸체(42)가 수직 이동되면서 프레임(F)과 망(M)을 융착 및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10)과 인접하여 정상배출부(60)로부터 배출된 프레임(F)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8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10)과 인접하여 프레임(F)과 망(M)의 융착 및 커팅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C)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커팅부(40)에 형성된 융착커팅몸체(42)는 1차로 수직 이동되면서 프레임(F)과 망(M)을 융착 및 커팅하고, 다시 2차로 수직 이동되면서 프레임(F)을 눌러 상기 프레임(F)이 제 위치로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공급부(30)의 맞은편에는 텐션유지부(90)가 설치되어 상기 텐션유지부(90)가 망(M)을 지속적으로 팽팽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커팅부(40)에는 상, 하 이동되면서 프레임(F)에 망(M)을 융착하고 회전되면서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을 커팅하는 융착커팅몸체(42)와, 상기 융착커팅몸체(42)의 하부에 형성되어 융착커팅몸체(42)의 수직 이동과 망(M)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융착커팅판(44) 및 상기 융착커팅몸체(42)의 하측으로 망(M)을 수평 이동시키는 망이동수단(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검사부(50)에는 상, 하 이동되는 불량검사몸체(52)와, 상기 불량검사몸체(52)와 함께 상, 하 이동되면서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을 눌러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불량검사수단(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8. 회전되는 턴테이블(10)에 프레임(F)을 공급하는 프레임공급단계(S10);
    상기 프레임(F)에 융착되는 망(M)을 공급하는 망공급단계(S20);
    상기 프레임(F)에 망(M)을 융착하고, 융착된 망(M)의 외측을 커팅하는 융착커팅단계(S30);
    상기 프레임(F)에 융착된 망(M)의 텐션 정도를 체크하는 불량검사단계(S40);
    상기 불량검사단계(S40)에서 정상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정상배출단계(S50) 및
    상기 불량검사단계(S40)에서 불량으로 판별된 프레임(F)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불량배출단계(S60)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망공급단계(S20)에서는 망(M)이 공급되는 부분의 맞은편에서 망(M)을 지속적으로 잡아당기도록 하여 상기 망(M)이 팽팽하게 유지된 상태로 프레임(F)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커팅단계(S30)와 불량검사단계(S40)의 사이에는 망(M)이 접합된 프레임(F)을 눌러 상기 프레임(F)이 정상 위치로 조정되도록 하는 프레임위치조정단계(S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
KR1020170104387A 2017-08-17 2017-08-17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 KR20190020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387A KR20190020235A (ko) 2017-08-17 2017-08-17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387A KR20190020235A (ko) 2017-08-17 2017-08-17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235A true KR20190020235A (ko) 2019-02-28

Family

ID=6558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387A KR20190020235A (ko) 2017-08-17 2017-08-17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02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323B1 (ko) * 2020-08-25 2022-02-11 펌텍코리아(주) 화장품 용기용 망 융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323B1 (ko) * 2020-08-25 2022-02-11 펌텍코리아(주) 화장품 용기용 망 융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232B1 (ko) 귀끈을 이용한 마스크용 귀걸이 제조 자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용 귀걸이 제조방법
EP01506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articles of any shape in a stretchable plastic film
JPH0126985B2 (ko)
KR20190020235A (ko) 화장품 용기에 조립되는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과 망의 융착 및 커팅 방법
CN205328200U (zh) 自动包膜机
ITBO20000134A1 (it) Macchina confezionatrice di materassi in un foglio svolto in continuoda una bobina .
KR101691789B1 (ko) 파우더 화장품에 수용된 중간 캡을 구성하는 스크린 망과 환상부재의 초음파 융착 장치
CN109051130A (zh) 一种手术铺单布折叠系统
IT201800005606A1 (it) Macchina per la stesura di tessuto e metodo di funzionamento di detta macchina
CN208882300U (zh) 一种手术铺单布折叠系统
CN204298617U (zh) 一种新型激光切割绣花机
TWI524888B (z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CN106283323A (zh) 一种双层式清洁型整经机
CN210681417U (zh) 一种全自动床垫包装系统
KR101635789B1 (ko) 후가공된 원단을 자동권취 및 자동포장장치
CN208847246U (zh) 一种软磁材料性能测试设备
CN208963377U (zh) 1000-2500克挂面通用捆扎机
DE2627610A1 (de) Maschine zum umschliessen von paketen mit einer banderole
US20120175052A1 (en) Combination buckram applicator, pleat and hem marker and cutter for drapery material
CN206671216U (zh) 高速验布机
CN216891696U (zh) 一种快速检验布料的验布机
JP2016169036A (ja) 包装装置
US10040583B2 (en) Carpet wrapp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N214769995U (zh) 一种新型机器人工作站
KR102218680B1 (ko) 망체필터의 핸들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