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230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230A
KR20190020230A KR1020170104279A KR20170104279A KR20190020230A KR 20190020230 A KR20190020230 A KR 20190020230A KR 1020170104279 A KR1020170104279 A KR 1020170104279A KR 20170104279 A KR20170104279 A KR 20170104279A KR 20190020230 A KR20190020230 A KR 20190020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pads
sensing
pads
disposed
signal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126B1 (ko
Inventor
박미애
김진환
이병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126B1/ko
Priority to US16/055,278 priority patent/US10818734B2/en
Priority to CN201810933745.1A priority patent/CN109407906B/zh
Publication of KR20190020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230A/ko
Priority to US17/061,776 priority patent/US1131598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01L27/3276
    • H01L51/5203
    • H01L51/52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한다. 입력감지유닛은 복수의 감지전극들,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중 대응하는 감지전극과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대응하는 신호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감지패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은 평면상에서 복수의 행들로 배치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과 같은 전자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들은 정보제공을 위해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최근에 표시장치들은 입력장치로써 표시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한다. 입력감지유닛의 종류로는 애드-온(Add-on) 방식, 커버 글래스(Cover glass) 일체형 방식, 및 디스플레이 일체형 방식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일체형 방식은 인셀(In-Cell) 방식, 온셀(On-Cell) 방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입력감지유닛의 패드부의 너비를 축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축소된 패드부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COF의 너비를 축소시키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제1 인쇄회로기판, 제1 접착부재, 반사방지부재, 제2 접착부재, 제2 인쇄회로기판, 이방성도전필름, 복수의 감지전극들, 복수의 신호라인들, 복수의 터치전극들, 베이스필름, 제3 접착부재, 및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발광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표시패드들을 포함하는 비표시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비표시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표시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표시영역 및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부재는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1 접착부재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부재는 상기 반사방지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2 접착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방성도전필름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은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2 접착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은 각각이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중 대응하는 감지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은 상기 이방성도전필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이방성도전필름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평면상에서 복수의 행들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필름은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부재는 상기 베이스필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3 접착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각각은 다른 감지전극들과 절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은 상기 복수의 행들 중 첫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상기 복수의 행들 중 두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행들 중 세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제1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제2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상기 n개 보다 작은 m개(m은 1이상의 자연수)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n은 2이고, 상기 m은 1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제3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은 제1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좌측 감지패드들,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에만 중첩하는 복수의 제1 중앙 감지패드들,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에 중첩하지 않는 복수의 제1 우측 감지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에만 중첩하는 복수의 제2 좌측 감지패드들,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에 중첩하는 복수의 제2 중앙 감지패드들,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에만 중첩하는 복수의 제2 우측 감지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에 중첩하지 않는 복수의 제3 좌측 감지패드들,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에만 중첩하는 복수의 제3 중앙 감지패드들,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에 중첩하는 복수의 제3 우측 감지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일부의 감지패드들이 2행으로 배치되는 2행 배열 영역 및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2행 배열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일부의 감지패드들과 다른 감지패드들이 3행으로 배치되는 3행 배열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제1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두 개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중 상기 2행 배열 영역 내에 배치되는 인접한 두 개의 제2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두 개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중 상기 3행 배열 영역 내에 배치되는 인접한 두 개의 제2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하나의 신호라인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이 배치되는 감지패드영역을 일방향에서 측정한 제1 길이는 상기 복수의 표시패드들이 배치되는 표시패드영역을 상기 일방향에서 측정한 제2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일방향에서 측정한 제3 길이의 0.35배 이상 0.45배 미만이고,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3 길이의 0.45배 이상 0.55배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2 길이의 0.75배 이상 0.85배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좌측의 감지패드들이 배치된 좌측 감지패드영역 및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우측의 감지패드들이 배치된 우측 감지패드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패드들이 배치되는 표시패드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좌측 감지패드영역의 우측 부분은 상기 표시패드영역의 좌측 부분과 중첩하고, 상기 우측 감지패드영역의 좌측 부분은 상기 표시패드영역의 우측 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은 상기 복수의 표시패드들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일부는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반사방지부재와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은 투명한 도전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각각은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방지부재는 편광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외부의 물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전극들, 각각이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자체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라인들, 및 각각이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연결되고 복수의 행들로 배치된 복수의 감지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입력감지유닛 사이에 배치된 반사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부재는 편광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반사방지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부재 및 상기 입력감지유닛 및 상기 반사방지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전용량의 상기 변화는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외부의 물체와 정전결합하여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각각은 다른 감지전극들과 절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은 상기 복수의 행들 중 첫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상기 복수의 행들 중 두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행들 중 세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제1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제2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상기 n개 보다 작은 m개(m은 1이상의 자연수)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부의 너비가 감소된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감지유닛의 패드부가 표시패널의 패드부와 중첩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표시장치 제조공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I-I`을 절단한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감지패드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감지패드들 중 일부 및 감지패드들에 연결되는 신호라인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패드들 중 일부 및 감지패드들에 연결되는 신호라인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좌측 감지패드영역 또는 우측 감지패드영역에 배치되는 감지패드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감지패드들 중 일부 및 감지패드들에 연결되는 신호라인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패드들 중 일부 및 감지패드들에 연결되는 신호라인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은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사시도이다.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표시장치(DD)는 스마트폰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면(IS)은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도시하였다. 일 예로써, 표시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I-I`을 절단한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DP), 제1 인쇄회로기판(PCB-P), 제2 인쇄회로기판(PCB-T), 반사방지부재(RPP), 입력감지유닛(ISU), 윈도우(WP), 제1 내지 제3 접착부재(AD1, AD2, AD3), 및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접착부재(AD1, AD2, AD3)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또는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일 수 있다. 감압 접착제(PSA)란 접착제를 접착면과 접착시키기 위한 압력이 가해질 때 접착물질이 작용하는 접착제이다.
표시패널(DP)은 이미지(IM, 도 1 참조)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에는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복수의 발광소자들(LM,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의 주변영역으로, 복수의 발광소자들(LM)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라인들 및 전기적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비표시영역(NDA)은 복수의 발광소자들(L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표시패드들(PD-DP, 도 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PCB-P)은 표시패널(DP)의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되고, 표시패드들(PD-DP)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PCB-P)은 표시패드들(PD-DP)을 통해서 발광소자들(LM)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AD1)는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인쇄회로기판(PCB-P)의 일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부재(AD1)에 의해 표시패널(DP)과 반사방지부재(RPP)는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부재(AD1)에 의해 제1 인쇄회로기판(PCB-P)과 제2 인쇄회로기판(PCB-T)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반사방지부재(RPP)는 제1 접착부재(AD1) 상에 배치되며, 표시영역(DA)에 중첩한다. 반사방지부재(RPP)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흡수, 상쇄간섭, 또는 편광시켜 외부광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사방지부재(RPP)는 컬러필터, 도전층/유전체층/도전층의 적층 구조물, 편광부재(polarizer), 또는 광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PCB-T)은 제1 접착부재(AD1) 상에 배치되고, 비표시영역(NDA)에 중첩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PCB-T)은 입력감지유닛(ISU)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AD2)는 반사방지부재(RP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부재(AD2)에 의해 반사방지부재(RPP)와 입력감지유닛(ISU)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U)은 제2 접착부재(AD2) 및 제2 인쇄회로기판(PCB-T) 상에 배치된다. 입력감지유닛(ISU)은 베이스필름(BS), 복수의 감지전극들(IE), 복수의 신호라인들(SL), 절연층(IST), 및 복수의 감지패드들(PD)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필름(BS)의 일면에 감지전극들(IE) 및 신호라인들(SL)이 배치될 수 있다. 감지전극들(IE)은 표시영역(DA)에 중첩할 수 있다.
감지전극들(IE) 및 신호라인들(SL)은 절연층(IST)에 의해 커버된다. 절연층(IST)은 제2 접착부재(AD2)와 접촉할 수 있다.
감지전극들(IE)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또는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투명전극(IE)은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라인들(SL)은 감지패드들(PD)과 연결되고, 감지패드들(PD)은 이방성 도전필름(ACF)에 의해 제2 인쇄회로기판(PCB-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U)는 표시패널(DP)과 별도의 공정에 의해 제조되어, 표시패널(DP)에 접착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감지유닛(ISU)은 표시패널(DP)의 일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즉, 입력감지유닛(ISU)는 표시패널(DP)과 연속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입력감지유닛(ISU)는 제2 접착부재(AD2)가 없어도 표시패널(DP)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감지유닛(ISU)은 베이스필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접착부재(AD3)은 베이스필름(BS) 상에 배치된다. 제3 접착부재(AD3)에 의해 입력감지유닛(ISU) 및 윈도우(WP)는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윈도우(WP)는 제3 접착부재(AD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P)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입력감지유닛(ISU) 및 표시패널(DP)을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입력감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입력감지면은 터치감지면 또는 지문인식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표시면(IS)이 사용자의 터치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감지면 일 수 있다. 또한, 표시면(IS)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인식면일 수 있다.
윈도우(WP)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윈도우(WP)는 광 투과성을 가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감지패드들(PD) 중 일부는 반사방지부재(RPP)와 중첩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2a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평면상에서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장치(DD, 도 1 참조)의 표시영역(DD-DA, 도 1 참조) 및 비표시영역(DD-NDA, 도 1 참조)에 각각 대응한다.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장치(DD)의 표시영역(DD-DA) 및 비표시영역(DD-NDA)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표시패널(DP)의 구조/디자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 및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화소들(PX)이 배치된 영역이 표시영역(DA)으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의 테두리를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은 게이트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전원 라인(PL), 및 제어신호 라인(CSL)을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들(G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들(D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된다. 전원 라인(P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연결된다. 비표시영역(NDA)의 일측에는 게이트 라인들(GL)이 연결된 게이트 구동회로(DCV)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신호 라인(CSL)은 게이트 구동회로(DCV)에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전원 라인(PL), 및 제어신호 라인(CSL) 각각은 신호 배선부와 신호 배선부 말단의 표시패드들(PD-DP)에 연결된다. 표시패드들(PD-DP)이 배치되는 영역이 표시패드영역(PDA-DP)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패드영역(PDA-DP)은 비표시영역(NDA)에 포함된다.
신호 배선부는 게이트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전원 라인(PL), 및 제어신호 라인(CSL) 각각의 표시패드들(PD-DP)을 제외한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패드들(PD-DP)은 화소들(PX)을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드들(PD-DP)은 화소들(PX)을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ine Silicon) 공정 또는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패드들(PD-DP)은 제어 패드(CSL-P), 데이터 패드(DL-P), 및 전원 패드(PL-P)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패드부는 미 도시되었으나, 게이트 구동회로(DCV)와 중첩하며 게이트 구동회로(DCV)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패드영역(PDA-DP)에 제1 인쇄회로기판(PCB-P)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PCB-P)은 리지드 회로기판 또는 플렉서블 회로기판일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PCB-P)은 표시패널(DP)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 다른 회로기판을 통해 표시패널(DP)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PCB-P)에는 표시패널(DP)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제어회로(미도시, 예를들어 타이밍 컨트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신호제어회로는 집적 칩의 형태로 제1 인쇄회로기판(PCB-P)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PCB-P)은 복수의 제1 PCB 패드들(PD-PCB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PCB 패드들(PD-PCB1)에 배치되는 영역은 제1 PCB 패드영역(PDA-PCB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에는 어느 하나의 게이트 라인(GL)과 어느 하나의 데이터 라인(DL), 및 전원 라인(PL)에 연결된 화소(PX)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화소(PX)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화소(PX)는 표시소자로써 발광소자(LM)를 포함한다. 발광소자(LM)는 전면 발광형 다이오드이거나, 배면 발광형 다이오드일 수 있다. 또는, 발광소자(LM)는 양면 발광형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발광소자(LM)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화소(PX)는 발광소자(LM)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로써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 구동 트랜지스터(TFT-D), 및 커패시터(CP)를 포함한다. 발광소자(LM)는 트랜지스터들(TFT-S, TFT-D)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의 의해 광을 생성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는 게이트 라인(GL)에 인가된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커패시터(CP)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FT-D)는 발광소자(LM)에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TFT-D)는 커패시터(CP)에 저장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발광소자(LM)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발광소자(LM)는 구동 트랜지스터(TFT-D)의 턴-온 구간 동안 발광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발광소자(LM)에 전원전압(VDD)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구동 트랜지스터(TFT-D) 및 발광소자(LM)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층(SUB) 상에 회로층(CL)이 배치된다. 베이스층(SUB) 상에 구동 트랜지스터(TFT-D)의 반도체 패턴(ALD)이 배치된다. 반도체 패턴(ALD)은 아몰포스 실리콘, 폴리 실리콘, 금속 산화물 반도체에서 서로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회로층(CL)은 유기/무기층들(BR, BF, 12, 14, 16),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 도 4 참조), 및 구동 트랜지스터(TFT-D)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무기층들(BR, BF, 12, 14, 16)은 기능층(BR, BF), 제1 절연층(12), 제2 절연층(14), 및 제3 절연층(16)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BR, BF)은 베이스층(SUB)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능층(BR, BF)은 배리어층(BR) 또는 버퍼층(BF)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반도체 패턴(ALD)은 배리어층(BR) 또는 버퍼층(BF)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층(SUB) 상에 반도체 패턴(ALD)을 커버하는 절연층(12)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12)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1 절연층(12)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2) 상에 구동 트랜지스터(TFT-D)의 제어전극(GED)이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 도 4 참조)의 제어전극 역시 제1 절연층(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전극(GED)은 게이트 라인(GL, 도 3 참조)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전극(GED)은 게이트 라인들(GL)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고,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갖고,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2) 상에 제어전극(GED)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14)이 배치된다. 제2 절연층(14)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2 절연층(14)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데이터 라인(DL, 도 3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구동 트랜지스터(TFT-D)의 입력전극(SED) 및 출력전극(DED)이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 도 4 참조)의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 역시 제2 절연층(14) 상에 배치된다. 입력전극(SED)은 데이터 라인들(DL)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 도 3 참조)은 데이터 라인들(DL)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전극(SED)은 전원 라인(PL)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커패시터(CP, 도 4 참조)의 전극중 일부가 배치된다. 상기 커패시터(CP, 도 4 참조)의 전극중 일부는 데이터 라인들(DL) 및 전원 라인(PL)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고,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갖고,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전극(SED)과 출력전극(DED)은 제1 절연층(12) 및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과 제2 관통홀(CH2)을 통해 반도체 패턴(ALD)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 도 4 참조)와 구동 트랜지스터(TFT-D)는 바텀 게이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입력전극(SED), 출력전극(DED)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16)이 배치된다. 제3 절연층(16)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3 절연층(16)은 평탄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2), 제2 절연층(14), 및 제3 절연층(16) 중 어느 하나는 화소의 회로 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및 제3 절연층(16) 각각은 층간 절연층(interlayer)으로 정의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은 층간 절연층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된 도전패턴과 상부에 배치된 도전패턴의 사이에 배치되어 도전패턴들을 절연시킨다.
제3 절연층(16) 상에 발광소자층(ELL)이 배치된다. 발광소자층(ELL)은 화소정의막(PXL) 및 발광소자(LM)를 포함한다. 제3 절연층(16) 상에 애노드(AE)가 배치된다. 애노드(AE)는 제3 절연층(16)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을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TFT-D)의 출력전극(DED)에 연결된다. 화소정의막(PX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된다. 화소정의막(PXL)의 개구부(OP)는 애노드(AE)의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발광소자층(ELL)은 발광영역(PXA)과 발광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영역(NPXA)을 포함한다.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PXA)을 에워싸을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애노드(AE)에 대응하게 정의되었다. 그러나, 발광영역(PXA)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광영역(PXA)은 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면 충분하다. 발광영역(PXA)은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애노드(AE)의 일부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PXA)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공 제어층(HCL)과 같은 공통층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도 3 참조)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발광층(EML)이 배치된다. 발광층(EML)은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M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 상에 전자 제어층(ECL)이 배치된다. 전자 제어층(ECL) 상에 캐소드(CE)가 배치된다. 캐소드(CE)는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터닝된 발광층(EM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발광층(EM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발광층(EML)은 백색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EML)은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박막봉지층(TFE)은 캐소드(CE)를 직접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소드(CE)를 커버하는 캡핑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박막봉지층(TFE)은 캡핑층을 직접 커버한다. 박막봉지층(TFE)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유기층 및 무기물을 포함하는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ISU)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입력감지유닛(ISU)은 평면상에서 입력감지영역(TA)과 비입력감지영역(NTA)을 포함한다. 입력감지유닛(ISU)의 입력감지영역(TA) 및 비입력감지영역(NTA)은 표시장치(DD, 도 1 참조)의 표시영역(DD-DA, 도 1 참조) 및 비표시영역(DD-NDA, 도 1 참조)에 각각 대응한다. 입력감지유닛(ISU)의 입력감지영역(TA) 및 비입력감지영역(NTA)은 표시장치(DD)의 표시영역(DD-DA) 및 비표시영역(DD-NDA)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입력감지유닛(ISU)의 구조/디자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감지유닛(ISU)은 셀프 캡(Self Capacitive) 방식으로 입력감지면에 제공되는 터치 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U)은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L) 및 복수 개의 감지전극들(IE)을 포함한다. 감지전극들(IE)이 배치된 영역이 입력감지영역(TA)으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 비입력감지영역(NTA)은 입력감지영역(TA)의 테두리를 따라 정의될 수 있다.
감지전극들(IE)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감지전극들(IE) 각각은 입력감지영역(TA) 내에서 다른 감지전극들(IE)과 절연될 수 있다.
신호라인들(SL)은 대응하는 감지전극들(IE)에 각각 연결된다. 신호라인들(SL)과 감지전극들(IE)은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신호라인들(SL)은 대응하는 감지패드들(PD, 도 7 참조)에 각각 연결된다. 신호라인들(SL)과 감지패드들(PD)은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신호라인들(SL)은 감지전극들(IE) 자체의 정전용량이 외부의 물체와 정전결합하여 변화하는 것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지패드들(PD)로 전달할 수 있다.
감지패드들(PD)이 배치되는 영역이 감지패드영역(PDA-IS)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감지패드영역(PDA-IS)은 비입력감지영역(NTA)에 포함된다.
감지패드영역(PDA-IS)에 제2 인쇄회로기판(PCB-T)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PCB-T)은 리지드 회로기판 또는 플렉서블 회로기판일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PCB-T)은 입력감지유닛(ISU)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 다른 회로기판을 통해 입력감지유닛(ISU)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PCB-T)에는 입력감지유닛(ISU)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제어회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신호제어회로는 집적 칩의 형태로 제2 인쇄회로기판(PCB-T)에 실장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PCB-T)은 복수의 제2 PCB 패드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PCB 패드들이 배치되는 영역은 제2 PCB 패드영역(PDA-PCB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PCB 패드들은 이방성 도전필름(ACF, 도 2a 참조)를 통해서 감지패드들(PD)과 접속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방향(DR1) 상에서, 감지패드영역(PDA-IS)을 측정한 길이를 제1 길이(L-PDIS)라하고, 표시패드영역(PDA-DP)을 측정한 길이를 제2 길이(L-PDDP)라 하고, 표시패널(DP)을 측정한 길이를 제3 길이(L-DP)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길이(L-PDDP)는 제3 길이(L-DP)의 0.45배 이상 0.55배 미만일 수 있다. 제2 길이(L-PDDP)가 제3 길이(L-DP)의 0.45배 미만인 경우, 표시패드영역(PDA-DP) 내에 충분한 수의 표시패드들(PD-DP)이 배치되지 못하거나, 표시패드들(PD-DP) 간의 이격거리가 너무 작아져서 공정상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길이(L-PDDP)가 제3 길이(L-DP)의 0.55배 초과인 경우, 표시패드영역(PDA-DP)이 입력감지유닛(ISU)의 감지패드영역(PDA-IS)과 중첩하는 부분이 많아져서, 공정상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단, 제2 길이(L-PDDP)와 제3 길이(L-DP)의 관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길이(L-PDIS)는 제2 길이(L-PDDP)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길이(L-PDIS)는 제3 길이(L-DP)의 0.35배 이상 0.45배 미만이고, 제2 길이(L-PDDP)는 제3 길이(L-DP)의 0.45배 이상 0.55배 미만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길이(L-PDIS)는 제2 길이(L-PDDP)의 0.75배 이상 0.85배 이하일 수 있다. 제1 길이(L-PDIS)가 제2 길이(L-PDDP)의 0.75배 미만인 경우, 감지패드영역(PDA-IS) 내에 충분한 수의 감지패드들(PD)이 배치되지 못하거나, 감지패드들(PD) 간의 이격거리가 너무 작아져서 공정상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길이(L-PDIS)가 제2 길이(L-PDDP)의 0.85배를 초과하는 경우, 감지패드영역(PDA-IS)이 표시패널(DP)의 표시패드영역(PDA-DP)과 중첩하는 부분이 많아져서, 공정상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단, 제1 길이(L-PDIS)와 제2 길이(L-PDDP)의 관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길이(L-PDIS)는 제2 길이(L-PDDP)보다 길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길이(L-PDIS)는 제2 길이(L-PDDP)의 1.1배 이상 1.3배 이하 일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감지패드영역(PDA-IS)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는 편의상 감지패드들(PD)만을 도시하고, 신호라인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감지패드들(PD)은 복수의 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감지패드들(PD)은 3개의 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감지패드들(PD)이 3개의 행으로 배치되는 경우, 감지패드들(PD)은 첫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PD1), 두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PD2), 및 세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PD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패드들(PD1), 제2 감지패드들(PD2), 제3 감지패드들(PD3)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된다.
제1 감지패드들(PD1)은 제1 좌측 감지패드들(PD1-L), 제1 중앙 감지패드들(PD1-C), 및 제1 우측 감지패드들(PD1-R)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측 감지패드들(PD1-L)은 제2 방향(DR2)에서 제2 감지패드들(PD2) 및 제3 감지패드들(PD3)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중앙 감지패드들(PD1-C)은 제2 방향(DR2)에서 감지패드들(PD) 중 제2 감지패드들(PD2)에만 중첩할 수 있다. 제1 우측 감지패드들(PD1-R)은 제2 방향(DR2)에서 제2 방향(DR2)에서 에서 제2 감지패드들(PD2) 및 제3 감지패드들(PD3)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감지패드들(PD2)은 제2 좌측 감지패드들(PD2-L), 제2 중앙 감지패드들(PD2-C), 및 제2 우측 감지패드들(PD2-R)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좌측 감지패드들(PD2-L)은 제2 방향(DR2)에서 복수의 감지패드들(PD) 중 제3 감지패드들(PD3)에만 중첩할 수 있다. 제2 중앙 감지패드들(PD2-C)은 제2 방향(DR2)에서 제1 감지패드들(PD1) 및 제3 감지패드들(PD3)에 중첩할 수 있다. 제2 우측 감지패드들(PD2-R)은 제2 방향(DR2)에서 감지패드들(PD) 중 제1 감지패드들(PD1)에만 중첩할 수 있다.
제3 감지패드들(PD3)은 제3 좌측 감지패드들(PD3-L), 제3 중앙 감지패드들(PD3-C), 및 제3 우측 감지패드들(PD3-R)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좌측 감지패드들(PD3-L)은 제2 방향(DR2)에서 제1 감지패드들(PD1) 및 제2 감지패드들(PD2)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중앙 감지패드들(PD3-C)은 제2 방향(DR2)에서 감지패드들(PD) 중 제2 감지패드들(PD2)에만 중첩할 수 있다. 제3 우측 감지패드들(PD3-R)은 제2 방향(DR2)에서 제1 감지패드들(PD1) 및 제2 감지패드들(PD2)에 중첩할 수 있다.
단, 감지패드들(PD)이 배열되는 형상은 도 7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변경될 수 있다. 예를들어, 감지패드들(PD)은 3행보다 더 많은 행들로 배열되거나, 더 적은 행들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배열된 행들 각각이 다른 행들과 제2 방향(DR2)에서 중첩되는 형태 역시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감지패드들(PD) 중 일부 및 감지패드들(PD)에 연결되는 신호라인들(SL)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신호라인들(SL)은 제1 신호라인들(SL1), 제2 신호라인들(SL2), 및 제3 신호라인들(SL3)을 포함한다. 제1 신호라인들(SL1)은 제1 감지패드들(PD1)과 연결된다. 제2 신호라인들(SL2)은 제2 감지패드들(PD2)과 연결된다. 제3 신호라인들(SL3)은 제3 감지패드들(PD3)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접한 두개의 제1 감지패드들(PD1) 사이에 배치되는 신호라인들(SL)의 개수가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 라고 가정하면, 인접한 두개의 제2 감지패드들(PD2) 사이에 배치되는 신호라인들(SL)의 개수는 n개보다 작은 m개(m은 1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n=2이고 m=1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서는 감지패드들(PD)이 제1 방향(DR1)에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감지패드들(PD)이 제1 방향(DR1)에서 이격된 거리가 다를 수 있다.
감지패드들(PD)은 신호라인들(SL)과 일대일로 대응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신호라인들(SL)은 감지전극들(IE)과 일대일로 대응된다. 셀프 캡(Self Capacitive) 방식으로 터치 또는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입력감지유닛(ISU)을 제어하는 신호제어회로가 감지전극들(IE)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감지전극들(IE) 각각에 신호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감지전극들(IE), 신호라인들(SL), 및 터치전극들(PD)는 서로 일대일로 대응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패드들(PD-1) 중 일부 및 감지패드들(PD-1)에 연결되는 신호라인들(SL)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감지패드들(PD-1)은 도 8의 감지패드들(PD)과 달리 제1 감지패드들(PD1-1)이 제1 방향(DR1)에서 이격된 거리(L1, 이하 제1 이격거리), 제2 감지패드들(PD2-1)이 제1 방향(DR1)에서 이격된 거리(L2, 이하 제2 이격거리), 및 제3 감지패드들(PD3-1)이 제1 방향(DR1)에서 이격된 거리(L3, 이하 제3 이격거리)는 서로 다르다.
제1 이격거리(L1)는 제2 이격거리(L2) 보다 크고, 제2 이격거리(L2)는 제3 이격거리(L3) 보다 크다.
제1 이격거리(L1)가 제2 이격거리(L2)보다 크기 때문에, 제1 감지패드들(PD1-1) 사이에 제2 감지패드들(PD2-1) 사이보다 더 많은 신호라인들(SL)이 공정상 오류 없이 배치될 수 있다.
감지패드들(PD-1) 각각이 가지는 너비(LH, 이하, 감지패드 너비)는 90μm 이상 100μm 이하 일 수 있다. 감지패드 너비(LH)가 90μm보다 작을 경우 이방성 도전필름(ACF)의 도전볼들이 정확히 접촉하지 못할 수 있고, 감지패드 너비(LH)가 100μm보다 클 경우 감지패드영역(PDA-IS)이 너무 넓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감지패드들(PD, PD-1)이 배치되는 경우, 감지패드영역(PDA-IS)은 표시패드영역(PDA-DP)과 평면상에서 중첩하지 않거나, 적은 부분만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DD)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공정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ISU-1)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좌측 감지패드영역(PDA-ISL) 또는 우측 감지패드영역(PDA-ISR)에 배치되는 감지패드들(PD-2)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서는 편의상 감지패드들(PD-2)만을 도시하고, 신호라인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10의 감지패드영역(PDA-IS1)은 도 6의 감지패드영역(PDA-IS)과 달리 두 개로 나누어질 수 있다. 감지패드영역(PDA-IS1)은 좌측 감지패드영역(PDA-ISL) 및 우측 감지패드영역(PDA-ISR)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좌측 감지패드영역(PDA-ISL) 또는 우측 감지패드영역(PDA-ISR)은 평면상에서 표시패드영역(PDA-DP)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좌측 감지패드영역(PDA-ISL)의 우측 부분은 평면상에서 표시패드영역(PDA-DP)의 좌측 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우측 감지패드영역(PDA-ISR)의 좌측 부분은 평면상에서 표시패드영역(PDA-DP)의 우측 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좌측 감지패드영역(PDA-ISL) 및 우측 감지패드영역(PDA-ISR)에 배치되는 감지패드들(PD-2)는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감지패드들(PD-2)은 첫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PD1-2), 두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PD2-2), 및 세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PD3-2)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패드들(PD-2)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가상의 경계선에 의해 2행 배열 영역(RW1) 및 3행 배열 영역(RW2)로 구분될 수 있다.
2행 배열 영역(RW1)에는 제2 감지패드들(PD2-2) 및 제3 감지패드들(PD3-2) 중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패드들이 배치될 수 있다. 3행 배열 영역(RW2)에는 제2 감지패드들(PD2-2) 및 제3 감지패드들(PD3-2) 중 중앙에 배치된 패드들 및 제1 감지패드들(PD1-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2은 도 11의 감지패드들(PD-2) 중 일부 및 감지패드들(PD-2)에 연결되는 신호라인들(SL)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1 신호라인들(SL1)은 제1 감지패드들(PD1-2)과 연결된다. 제2 신호라인들(SL2)은 제2 감지패드들(PD2-2)과 연결된다. 제3 신호라인들(SL3)은 제3 감지패드들(PD3-2)과 연결된다. 그 외, 다른 설명은 도 8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패드들(PD-3) 중 일부 및 감지패드들(PD-3)에 연결되는 신호라인들(SL-1)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의 신호라인들(SL-1)은 앞에서 도시된 신호라인들(SL)과 달리 제2 방향(DR2)에서 곧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도 13의 신호라인들(SL-1)은 감지패드들(PD-3) 사이에서 꺽여진 부분이 없을 수 있다. 신호라인들(SL-1)이 이와 같이 곧게 연장되는 경우, 신호라인들이 연장되는 방향을 변경하는 공정이 없을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의 편의성 및 공정상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신호라인들(SL-1)이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경우, 감지패드들(PD-3) 사이에 배치되는 신호라인들(SL-1)의 개수도 앞에서 도시된 것들과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어, 인접한 제1 감지패드들(PD1-3) 사이에는 2개의 신호라인들(SL-1)이 배치될 수 있다. 2행 배열 영역(RW1)에 배치되는 인접한 제2 감지패드들(PD2-3) 사이에는 2개의 신호라인들(SL-1)이 배치되고, 3행 배열 영역(RW2)에 배치되는 인접한 제2 감지패드들(PD2-3) 사이에는 1개의 신호라인(SL-1)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감지패드들(PD2-3)은 경우에 따라 인접한 제2 감지패드들(PD2-3) 사이에 배치되는 신호라인들(SL-1)의 개수가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감지패드들(PD2-3) 사이에 배치되는 신호라인들(SL-1)의 개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제2 신호라인들(SL2-1)은 대응하는 제2 감지패드들(PD2-3)의 우측 상단 꼭지점 부분 또는 좌측 상단 꼭지점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인접한 제1 감지패드들(PD1-3) 간 이격거리(L1-1, 제1 이격거리)는 3행 배열 영역(RW2) 내에서 일정할 수 있다.
인접한 제2 감지패드들(PD2-3) 간 이격거리(L2-1, 제2 이격거리)는 2행 배열 영역(RW1) 및 3행 배열 영역(RW2) 내에서 일정할 수 있다.
인접한 제3 감지패드들(PD3-3) 간 이격거리(L3-1, L3-2, 제3 이격거리)는 2행 배열 영역(RW1) 및 3행 배열 영역(RW2) 내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들어, 3행 배열 영역(RW2) 내에서 제3 이격거리(L3-1)는 2행 배열 영역(RW1) 내에서 제3 이격거리(L3-2)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이격거리(L3-1, L3-2)의 조절을 위해 각각의 제3 신호라인들(SL3-1)은 대응하는 제3 감지패드들(PD3-3)의 우측 상단 꼭지점 부분 또는 좌측 상단 꼭지점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단, 제1 이격거리(L1-1), 제2 이격거리(L2-1), 및 제3 이격거리(L3-1, L3-2)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감지패드들(PD-3)은 도 6에 도시된 입력감지유닛(ISU) 및 도 10에 도시된 입력감지유닛(ISU-1)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은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ISU-2, ISU-3)의 평면도이다.
도 14에서 입력감지유닛(ISU-2)의 감지전극들(IE-1)은 도 6에서 입력감지유닛(ISU)의 감지전극들(IE)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도 15에서 입력감지유닛(ISU-3)의 감지전극들(IE-1)은 도 10의 입력감지유닛(ISU-1)에서 감지전극들(IE)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의 감지전극들(IE-1)은 메쉬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 외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6 및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1, DD-2)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1)는 표시패널(DP), 입력감지유닛(ISU), 반사방지부재(RPP), 및 윈도우(W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입력감지유닛(ISU)이 연속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U)과 반사방지부재(RPP)의 적층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U)과 반사방지부재(RPP)는 입력감지유닛(ISU) 상에 연속공정으로 형성되거나,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1)는 별도의 반사방지부재(RPP)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1)의 입력감지유닛(ISU)은 반사방지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패널(DP)은 반사방지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2)는 표시패널(DP), 입력감지유닛(ISU), 반사방지부재(RPP), 윈도우(WP), 및 접착부재들(AD1-1, AD2-1, AD3-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2)에 포함되는 반사방지부재(RPP)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반사방지부재(RPP)와 달리 입력감지유닛(ISU)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3)의 사시도이다.
표시장치(DD-3)는 일부분 또는 전체가 벤딩 또는 롤링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3)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일 수 있다.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DD-1, DD-2, DD-3: 표시장치 DP: 표시패널
ISU: 입력감지유닛 RPP: 반사방지부재
WP: 윈도우 PCB-P: 제1 인쇄회로기판
PCB-T: 제2 인쇄회로기판 PDA-DP: 표시패드영역
PDA-IS: 감지패드영역 PD: 감지패드
SL: 신호라인 IE: 감지전극

Claims (36)

  1.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표시패드들을 포함하는 비표시영역이 정의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비표시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표시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인쇄회로기판;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표시영역 및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착부재;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1 접착부재의 상에 배치되는 반사방지부재;
    상기 반사방지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착부재;
    상기 비표시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2 접착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방성도전필름;
    상기 표시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2 접착부재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전극들;
    각각이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중 대응하는 감지전극과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라인들;
    상기 이방성도전필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이방성도전필름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평면상에서 복수의 행들로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패드들;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 상에 배치되는 제3 접착부재; 및
    상기 제3 접착부재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각각은 다른 감지전극들과 절연된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은,
    상기 복수의 행들 중 첫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상기 복수의 행들 중 두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행들 중 세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제1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제2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상기 n개 보다 작은 m개(m은 1이상의 자연수)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되는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이고, 상기 m은 1인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제3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되지 않는 표시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은 제1 방향으로 나열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좌측 감지패드들;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에만 중첩하는 복수의 제1 중앙 감지패드들;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에 중첩하지 않는 복수의 제1 우측 감지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에만 중첩하는 복수의 제2 좌측 감지패드들;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에 중첩하는 복수의 제2 중앙 감지패드들;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에만 중첩하는 복수의 제2 우측 감지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에 중첩하지 않는 복수의 제3 좌측 감지패드들;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에만 중첩하는 복수의 제3 중앙 감지패드들;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에 중첩하는 복수의 제3 우측 감지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일부의 감지패드들이 2행으로 배치되는 2행 배열 영역 및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2행 배열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일부의 감지패드들과 다른 감지패드들이 3행으로 배치되는 3행 배열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제1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두 개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중 상기 2행 배열 영역 내에 배치되는 인접한 두 개의 제2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두 개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중 상기 3행 배열 영역 내에 배치되는 인접한 두 개의 제2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하나의 신호라인이 배치되는 표시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이 배치되는 감지패드영역을 일방향에서 측정한 제1 길이는 상기 복수의 표시패드들이 배치되는 표시패드영역을 상기 일방향에서 측정한 제2 길이보다 짧은 표시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일방향에서 측정한 제3 길이의 0.35배 이상 0.45배 미만이고,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3 길이의 0.45배 이상 0.55배 미만인 표시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2 길이의 0.75배 이상 0.85배 이하인 표시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좌측의 감지패드들이 배치된 좌측 감지패드영역 및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우측의 감지패드들이 배치된 우측 감지패드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표시패드들이 배치되는 표시패드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좌측 감지패드영역의 우측 부분은 상기 표시패드영역의 좌측 부분과 중첩하고, 상기 우측 감지패드영역의 좌측 부분은 상기 표시패드영역의 우측 부분과 중첩하는 표시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은 상기 복수의 표시패드들과 중첩하지 않는 표시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일부는 상기 평면상에서 상기 반사방지부재와 중첩하는 표시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은 투명한 도전물질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각각은 메쉬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부재는 편광부재인 표시장치.
  21.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외부의 물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전극들;
    각각이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자체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라인들; 및
    각각이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과 연결되고, 복수의 행들로 배치된 복수의 감지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입력감지유닛 사이에 배치된 반사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부재는 편광부재인 표시장치.
  2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반사방지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부재; 및
    상기 입력감지유닛 및 상기 반사방지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25.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의 상기 변화는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외부의 물체와 정전결합하여 발생하는 표시장치.
  26.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전극들 각각은 다른 감지전극들과 절연된 표시장치.
  27.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은,
    상기 복수의 행들 중 첫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상기 복수의 행들 중 두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행들 중 세번째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제1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n개(n은 2이상의 자연수)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제2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상기 n개 보다 작은 m개(m은 1이상의 자연수)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되는 표시장치.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이고, 상기 m은 1인 표시장치.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제3 감지패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되지 않는 표시장치.
  31.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은 제1 방향으로 나열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과 중첩하는 복수의 제1 좌측 감지패드들;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에만 중첩하는 복수의 제1 중앙 감지패드들;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에 중첩하지 않는 복수의 제1 우측 감지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에만 중첩하는 복수의 제2 좌측 감지패드들;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에 중첩하는 복수의 제2 중앙 감지패드들;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에만 중첩하는 복수의 제2 우측 감지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33.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감지패드들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에 중첩하지 않는 복수의 제3 좌측 감지패드들;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 중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에만 중첩하는 복수의 제3 중앙 감지패드들;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감지패드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감지패드들에 중첩하는 복수의 제3 우측 감지패드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3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패드들이 배치되는 감지패드영역을 일방향에서 측정한 제1 길이는 상기 복수의 표시패드들이 배치되는 표시패드영역을 상기 일방향에서 측정한 제2 길이보다 짧은 표시장치.
  35.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일방향에서 측정한 제3 길이의 0.35배 이상 0.45배 미만이고,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3 길이의 0.45배 이상 0.55배 미만인 표시장치.
  36.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2 길이의 0.75배 내지 0.85배인 표시장치.
KR1020170104279A 2017-08-17 2017-08-17 표시장치 KR10241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279A KR102416126B1 (ko) 2017-08-17 2017-08-17 표시장치
US16/055,278 US10818734B2 (en) 2017-08-17 2018-08-06 Display device
CN201810933745.1A CN109407906B (zh) 2017-08-17 2018-08-16 显示装置
US17/061,776 US11315988B2 (en) 2017-08-17 2020-10-0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279A KR102416126B1 (ko) 2017-08-17 2017-08-17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230A true KR20190020230A (ko) 2019-02-28
KR102416126B1 KR102416126B1 (ko) 2022-07-05

Family

ID=6536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279A KR102416126B1 (ko) 2017-08-17 2017-08-17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818734B2 (ko)
KR (1) KR102416126B1 (ko)
CN (1) CN1094079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66114B1 (en) 2017-01-03 2023-06-07 Brilliant Home Technology, Inc. Home device controller with a touch control groove
USD944216S1 (en) 2018-01-08 2022-02-22 Brilliant Home Technology, Inc. Control panel with sensor area
KR102581839B1 (ko) * 2018-10-02 2023-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003270B2 (en) * 2019-02-13 2021-05-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ouch screen panel
TWI702579B (zh) * 2019-05-07 2020-08-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軟性顯示器
USD945973S1 (en) 2019-09-04 2022-03-15 Brilliant Home Technology, Inc. Touch control panel with moveable shutter
US11715943B2 (en) 2020-01-05 2023-08-01 Brilliant Home Technology, Inc. Faceplate for multi-sensor control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336A (ko) * 2010-03-31 201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장치
KR20150080825A (ko) * 2014-01-02 2015-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49644A (ko) * 2014-10-28 2016-05-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60080249A (ko) * 2014-12-29 2016-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78466A (ko) * 2015-12-29 2017-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일체형 표시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779A (ja) * 2001-05-07 2002-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7924273B2 (en) * 2006-11-06 2011-04-1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optical input function
JP5206250B2 (ja) * 2008-05-02 2013-06-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853454B1 (ko) * 2011-01-21 2018-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400576B2 (en) * 2011-07-19 2016-07-26 Apple Inc. Touch sensor arrangement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KR20140011154A (ko) 2012-07-17 2014-01-28 크루셜텍 (주)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KR101980766B1 (ko) * 2012-12-27 2019-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056671B1 (ko) 2013-01-30 2019-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형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201516781A (zh) 2013-10-21 2015-05-01 Wintek Corp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KR20150088489A (ko) 2014-01-24 2015-08-03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감지 장치
KR102291466B1 (ko) 2015-01-20 2021-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60241560A1 (en) * 2015-02-13 2016-08-18 Instart Logic, Inc. Client-site dom api access control
KR20160140239A (ko) 2015-05-29 2016-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내장형 디스플레이 패널
KR102331587B1 (ko) * 2015-07-30 2021-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방식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ic
CN108153440B (zh) * 2016-12-06 2021-01-26 和鑫光电股份有限公司 软性可挠触摸显示屏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336A (ko) * 2010-03-31 201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장치
KR20150080825A (ko) * 2014-01-02 2015-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49644A (ko) * 2014-10-28 2016-05-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60080249A (ko) * 2014-12-29 2016-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78466A (ko) * 2015-12-29 2017-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일체형 표시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15988B2 (en) 2022-04-26
KR102416126B1 (ko) 2022-07-05
US20210020702A1 (en) 2021-01-21
CN109407906A (zh) 2019-03-01
CN109407906B (zh) 2023-04-18
US10818734B2 (en) 2020-10-27
US20190058014A1 (en)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645B2 (en) Display device
US11037996B2 (en) Display device having an input sensing unit
KR102416126B1 (ko) 표시장치
KR102521879B1 (ko) 표시장치
CN108121478B (zh) 显示装置
KR102638304B1 (ko) 표시장치
TWI485588B (zh) 具靜電放電保護之觸控面板及使用其之電子裝置
KR20180015326A (ko) 유기발광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90025798A (ko)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190114063A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26008B1 (ko) 입력감지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KR102607494B1 (ko)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594615B1 (ko)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244989B2 (en) Display device
TW202401221A (zh) 觸控感測器及其顯示裝置
JP2020013578A (ja) タッチディスプレイパネル、タッチ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240000431A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30171913A (ko) 표시장치
KR102675011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