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981A - A Sub-break System In An Escalator - Google Patents

A Sub-break System In An Esca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981A
KR20190018981A KR1020170103822A KR20170103822A KR20190018981A KR 20190018981 A KR20190018981 A KR 20190018981A KR 1020170103822 A KR1020170103822 A KR 1020170103822A KR 20170103822 A KR20170103822 A KR 20170103822A KR 20190018981 A KR20190018981 A KR 20190018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torque
escalator
unit
auxiliary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지수
Original Assignee
송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수 filed Critical 송지수
Priority to KR102017010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8981A/en
Publication of KR20190018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9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comprises: a motor driving unit including a drive motor and a main brake which performs braking of the drive motor; and a step driving unit including a terminal gear which receives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driving unit by a driving chain, step chain sprockets of both sides which are coaxial with the terminal gear and integrally rotate, and a shaft which connects the step chain sprockets of both sides so as to integrally rotate.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includes: a torque regulating gear unit receiving a rotational moment of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step driving unit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a rear end to reduce a braking torque; and an auxiliary brake including a brake drum which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torque regulating gear unit and rotates by the increased number of rotations and a brake lever which selectively brakes the brake drum to brake the esca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scalator emergency braking can be stably and safely performed.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A Sub-break System In An Escalator}A Sub-break System In An Escalator < RTI ID = 0.0 >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 스텝구동부에 제동 토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토크조절기어부를 연결시키고 그 후단에 보조브레이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요구 제동력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급제동을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하면서도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subordinate brak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scalator subordinate brake system which includes a torque regulator for reducing a braking torque and an auxiliary brake at a rear end thereof, thereby minimizing the required braking force, To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in which the escalator is installed, while stably and safely performing the escalator emergency braking.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종래의 수평보행기(escalator) 보조브레이크장치에서 수평보행기 모터(18)의 구동부터 스텝(120)이 구동하기까지 동작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sequence from the driving of the horizontal moving motor 18 to the driving of the step 120 in the conventional horizontal escalator auxiliary brak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to 4 will be described below.

수평보행기의 모터(18)의 동력이 구동 스프라켓(70) 및 구동체인(80)에 의해 터미널기어(90)로 전달되는데, 상기 구동체인(80)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에 수평보행기의 구동 개시 및 정지의 과정은 아래와 같다.The power of the motor 18 of the horizontal moving machin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gear 90 by the drive sprocket 70 and the drive chain 80. When the drive chain 80 is normally connected, The process of stopping is as follows.

수평보행기 구동지령에 따라 주브레이크 레버(30) 개방이 되고 이와 동시에 모터(18)에 전원이 투입되어 모터(18)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모터(18)에 연결된 감속기(50)를 회전시키고 감속기(50)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 스프라켓(70)도 함께 회전한다.The main brake lever 30 is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walk controller driving command and at the same time the power of the motor 18 is turned on to start the rotation of the motor 18, the decelerator 50 connected to the motor 18 is rotated, The drive sprocket 70 installed in the drive sprocket 50 also rotates together.

구동 스프라켓(70)은 구동체인(80)에 의해 터미널기어(9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며, 터미널기어(9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동축상에 설치된 스텝체인 스프라켓(100)도 함께 회전한다.The drive sprocket 7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gear 90 by the drive chain 80 to transmit the power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tep chain sprocket 100 coaxially install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terminal gear 90 .

스텝체인 스프라켓(100)에 스텝체인(110)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이 스텝체인(110)에 스텝(120)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120)도 연동하여 탑승객을 이동시킨다. The step chain 110 is connected to the step chain sprocket 100 and since the step 120 is connected to the step chain 110, the step 120 is also interlocked to move the passenger.

반대로 수평보행기 정지 명령이 발생하면 모터 전원과 브레이크 코일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며 브레이크 드럼(20)은 브레이크 레버(30)에 부착되어 있는 라이닝 마찰에 의해 모터(18)는 서서히 정지하기 때문에 수평보행기 정지는 동작 개시 때와 동일하게 감속기(50), 구동 스프라켓(70), 구동체인(80), 터미널기어(90), 스텝체인 스프라켓(100), 스텝체인(110), 스텝(120) 순으로 구동동력이 차단되어 수평보행기는 서서히 정지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horizontal walker stop command is issued, the motor power source and the brake coil power supply are simultaneously shut off, and the motor 18 is gradually stopped by the lining friction attached to the brake lever 30, The drive sprocket 70, the drive chain 80, the terminal gear 90, the step chain sprocket 100, the step chain 110, and the step 120 in the same manner as when starting the operation, The horizontal walker is gradually stopped.

수평보행기의 구동 및 정지를 위한 동력전달이 구동체인(80)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구동체인(80)에 파단이 발생하면 주브레이크에 있는 브레이크 드럼(20)과 브레이크 레버(30)에 부착되어 있는 라이닝에 의해 모터(18)는 정지하더라도, 구동체인(80) 파단으로 터미널기어(90)를 정지시킬 수 없기 때문에, 동일 축상에 연결되어 있는 스텝체인 스프라켓(100), 스텝체인(110), 스텝(120)을 정지시킬 수가 없어서 아래 방향으로 스텝(120)이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한다.Since the power transmission for driving and stopping the horizontal moving machine is performed by the drive chain 80, when breakage occurs in the drive chain 80, the brake drum 20 and the brake lever 30, which are attached to the brake drum 20 and the brake lever 30, The step chain sprocket 100, the step chain 110, and the step chain 90, which are connected to the same axis, can not be stopped because the terminal gear 90 can not be stopped by the break of the drive chain 80 even if the motor 18 is stopped by the lining. The step 120 can not be stopped and the step 120 flows downward.

운행방향이 상승방향이냐 하강방향이냐에 따라서 흘러내리는 방법도 다르지만 이와 같이 수평보행기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 터미널 기어(90)에 보조브레이크(130)를 설치하여 구동체인(80)이 파단이 발생하더라도 터미널기어(90)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horizontal walker from flowing down, an auxiliary brake 1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gear 90 so that the drive chain 80 is broken, The terminal gear 90 can be stopped.

도 4에 도시된 종래 수평보행기의 보조브레이크(130)는 터미널기어(90) 및 스텝체인 스프라켓(100)을 정지시키기 위한 디스크 브레이크 1(160)과, 디스크 브레이크 2(170)와 상기 디스크브레이크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보조브레이크 래치(140)와, 상기 보조브레이크 래치(140)를 동작시키기 위한 보조브레이크 솔레노이드 제어부를 포함한다.4 includes a disc brake 1 160 for stopping the terminal gear 90 and the step chain sprocket 100 and a disc brake 1 160 for stopping the disc brake 2 170 and the disc brake 100. The auxiliary brake 130 of the conventional walk- An auxiliary brake latch 140 for stopping the rotation and an auxiliary brake solenoid control for operating the auxiliary brake latch 140.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브레이크 1, 2, 및 3의 각 접촉면에는 브레이크 라이닝이 설치되어 있으며, 디스크브레이크 3은 디스크브레이크 1과 2에 접촉하고 있으며 외측면에는 보조브레이크 래치(40)가 걸쳐질 수 있도록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브레이크 1, 2 및 3에는 스프링(220)에 의해 일정한 결합력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보조브레이크 래치(140)가 동작하는 경우 일정한 마찰력에 의해 터미널기어(90) 및 스텝체인 스프라켓(100)을 정지시키게 된다.4, a brake lining is provided on each contact surface of the disc brakes 1, 2, and 3, the disc brake 3 is in contact with the disc brakes 1 and 2, and the auxiliary brake latch 40 A concavo-convex structure is formed. When the auxiliary brake latch 140 is operated, the disc brake 1, 2, and 3 are attached to the terminal gear 90 and the step chain 90 by a constant friction force, The sprocket 100 is stopped.

예컨대, 수평보행기의 정상운전 중 어떤 원인에 의해 구동체인 파단이 발생하면, 구동체인 파단 검출 스위치(27)가 파단을 검출하여 운전제어부(10)로 신호를 입력하며, 보조브레이크 솔레노이드 제어부(15)는 보조브레이크 솔레노이드를 통하여 보조브레이크 래치를 동작시켜 보조브레이크 3(180)을 정지시킨다. 즉, 터미널 기어(90)와 스텝체인 스프라켓(100)과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 1(160)과 2(170)는 회전관성에 의해 계속 회전하지만 디스크 브레이크 3(180)과 라이닝 마찰력에 의해 급격히 감속하면서 정지하는 구조이다.For example, when the drive chain breaks due to any caus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moving walk, the break detection switch 27 of the drive detects the break and inputs a signal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10, and the auxiliary brake solenoid control unit 15, Operates the auxiliary brake latch through the auxiliary brake solenoid to stop the auxiliary brake 3 (180). That is, the disc brake 1 (160) and the disc brake 1 (170) continue to rotate by the rotational inertia together with the terminal gear 90 and the step chain sprocket 100, but are rapidly decelerated by the lining friction force with the disc brake 3 .

그러나, 상기 종래의 수평보행기 보조브레이크의 구성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된다.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are po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ventional horizontal walker auxiliary brake.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보행기의 설치 각도·스텝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부하·운행방향·운행속도 등에 따라 수평보행기의 보조브레이크(130)의 제동거리가 달라진다. 예컨대 상승운전에 탑승객이 적은 경우나 하강운전에 탑승객이 적은 경우는 약간 부드럽게 정지할 수 있지만, 상승운전에 탑승객이 많은 경우에는 급정지 후 아래로 미끄러져 2차 안전사고 위험성이 내재하게 되고, 하강운전에 탑승객이 많은 경우에는 제동거리가 길어지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게 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flowchart shown in FIG. 5, the braking distance of the auxiliary brake 130 of the moving walker vari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moving walker, the passenger load,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traveling speed boarding the step. For example, when there are few passengers in the ascending operation or fewer passengers in the descend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stop a little smoothly. However, when there are many passengers in the ascending operation, There is a danger of a safety accident because the braking distance becomes long.

즉, 보조브레이크(130)의 스프링(210)의 마찰력은 일정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스텝의 부하나 이동방향과 무관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보조브레이크 래치의 동작 이후 슬립거리의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That is, sinc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spring 210 of the auxiliary brake 130 is fixed constantly and is set independent of the step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ep, the deviation of the slip distance after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brake latch becomes severe, I have a risk.

다른 한편 래치 동작용 솔레노이드 제어부는 정상동작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시스템 상태에 따라 솔레노이드 동작이 안될 수도 있는데 제대로 동작이 안되었을 때는 구동체인 파단 등의 경우에 보조브레이크가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안전사고 위험이 커서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olenoid control of the latch operation is normally operated. However, the solenoid operation may not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ystem condition. If the opera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the auxiliary brake can not be performed properly in case of breakage of the drive chain. The risk of accidents is large, and an alternative is needed.

한편, 대한민국 특허 제10-1067756호(발명의 명칭: 고하중용 에스컬레이터의 유압식 비상정지 안전브레이크 제어장치)에 기재된 종래 발명은, 수평보행기의 보조브레이크를 유압시스템에 의해 구성하고 있는데, 승강기 제동을 100% 유압에 의존하기 때문에 고하중 수평보행기의 경우는 유압의 용량도 커지고 유압시스템의 부피가 커지며 시스템 구성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공간구성에 곤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invention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1067756 (entitled "Hydraulic emergency stop and safety brake control device for escalator for heavy load") is constituted by an hydraulic system of an auxiliary brake of a horizontal walker. % Due to the hydraulic pressure, the capacity of the hydraulic pressure increases in the case of a high-load moving walkway, the volume of the hydraulic system becomes large, the system construction cost rises, and the space configuration becomes difficult.

또한, 상기 종래 수평보행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정전으로 주전원 차단 발생시를 위해 유압시스템을 정상동작시키기 위하여 축전지를 사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축전지의 설치에 따른 시스템 구성이 복잡해지며 시스템 구성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horizontal walker auxiliary braking system uses a battery to normally operate the hydraulic system in case of interruption of the main power source due to a power failure, the system configuration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accumulator becomes complicated and the system construction cost increases .

그리고, 상기 종래 수평보행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유압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여 보조브레이크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제대로 유압을 전달하지 못했을 경우 보조브레이크 동작불가 상황이 발생하여 안전사고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ydraulic brake system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oving type traveling vehicle fails to properly transmit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disc brake of the auxiliary brake due to an abnormality in the hydraulic system,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possibility of safety accident is increased due to an incapable auxiliary brake operation.

또한, 종래의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가 어떤 원인에 의해 주행방향과 반대로 움직이는 역주행이나 과속이 발생하여 보조브레이크 동작에 의해 에스컬레이터를 안전하게 정지시켜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이때 1개뿐인 보조브레이크 고장이 발생하면 역주행 또는 과속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auxiliary brake system, if the escalator is caused to reverse the running direction or to overspeed due to some cause, the escalator must be stopped safely by the auxiliary brake operation. However, if there is only one auxiliary brake failure, Or safety accidents due to overspeed occur.

또한, 보조브레이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공간이 필요한데 상기 종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 상부기계실에만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서 기 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는 공간 문제 때문에 설치할 수 없거나 설치 후에도 유지보수 요원의 유지 관리 위한 공간 협소에 의해 안전사고의 위험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로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도 추가로 보조브레이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건물 공간 활용도가 그 만큼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is required to be installed only in the upper machine room of the escalator, it is impossible to install the escalator in the existing escalator due to the space problem, or to maintain the space In addition t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the narrowness of the escalator,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an auxiliary brake even in a newly installed escalator.

또한, 상기 종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보조브레이크 제동력이 한 곳에만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운행 방향, 운행속도 및 탑승객의 부하에 따라 제동력 제어가 불가하기 때문에 보조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잠재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ha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brake because the braking force is not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the traveling speed and the load of the passenger because the auxiliary brake braking force is concentrated in only one place.

또한, 상기 종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폭이나 층고에 따라 해당 층고나 스텝 폭에 맞는 각각의 보조브레이크 장치를 개발하여야 하여야 하기 때문에 개발에 따른 많은 비용과 기간이 소요된다.Further, in order to secure the braking force of the auxiliary brake, the conventional braking system of the conventional escalator must develop each auxiliary brak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layer height or step width according to the step width and the floor height of the escalator, .

그리고 상기 종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제동을 하기 위해서는 라쳇인 경우에는 라쳇이 동작하는 순간의 순간 충격 때문에 탑승객의 전도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내재되어 있다. In the conventional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when a ratchet is used for braking, there is always a risk of a passenger's accident due to a momentary impact at the moment when the ratchet operates.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컬레이터 스텝구동부에 토크조절기어부를 연결시키고 그 후단에 보조브레이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요구 제동력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급제동을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하면서도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scalator which is capable of stably and safely performing an emergency braking operation of an escalator by connecting a torque regulator unit to an escalator step drive unit and installing an auxiliary brake at a rear end thereof,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utiliz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 제동을 수행하는 주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의 구동력을 구동체인에 의해 전달받는 터미널기어와 상기 터미널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양측의 스텝체인 스프라켓과 상기 양 측의 스텝체인 스프라켓을 연결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스텝구동부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스텝구동부와 연결된 전단의 회전모멘트를 받아서 후단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제동 토크를 감소시키는 토크조절기어부와;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후단에 설치되어 증가된 회전수에 의해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을 선택적으로 잡아서 에스컬레이터 제동을 수행하는 브레이크 레버를 포함하는 보조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including a motor driving unit including a driving motor and a main brake for performing braking of the driving motor, a terminal gear receiving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driving unit via a driving cha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rake system for an escalator having an escalator including a stepping sprocket installed coaxially with a terminal gear and integrally rotating with a step chain sprocket on both sides of the step chain sprocket, A torque regulator unit for receiving a rotational moment of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step drive unit and increasing a rotational speed of a rear end to reduce a braking torque; And an auxiliary brake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torque regulating unit to rotate by an increased number of revolutions and a brake lever for selectively braking the brake drum to brake the escalator.

상기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상기 스텝구동부와 상기 토크조절기어부를 연결하는 제동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기어부는,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라켓과;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전단에 설치되는 종동 스프라켓과; 상기 제동 스프라켓과 상기 종동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동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may include a braking unit that connects the step drive unit and the torque regulator unit, and the braking unit includes a braking sprocket installed on the shaft; A driven sprocket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torque regulating member; And a braking chain connecting the braking sprocket and the driven sprocket.

상기 제동 스프라켓, 상기 제동체인, 상기 종동 스프라켓,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 각각이 2개씩 구비되며, 상기 제동 스프라켓, 상기 제동체인, 상기 종동 스프라켓,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각 세트가 좌우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each of the braking sprocket, the braking chain, the follower sprocket, the torque regulator, and the sub-brakes are each provided with two sets of the braking sprocket, the braking chain, the driven sprocket, the torque regulator, Ar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 각각이 2개씩 구비되어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각 세트가 좌우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each of the torque regulator unit and the sub-brakes is provided with two sets, and the respective sets of the torque regulator unit and the sub-brakes ar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상기 토크조절기어부는 중앙에 하나가 설치되며, 상기 토크조절부의 후단 양측에는 각각 상기 보조브레이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of the torque regulator units is provided at the center, and the auxiliary brak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torque regula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 제동을 수행하는 주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의 구동력을 구동체인에 의해 전달받는 터미널기어와 상기 터미널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양측의 스텝체인 스프라켓과 상기 양 측의 스텝체인 스프라켓을 연결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스텝구동부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스텝구동부와 연결된 전단의 회전모멘트를 받아서 후단의 회전수를 1차로 증가시켜서 제동 토크를 감소시키는 제 1 토크조절기어부와;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의 후단에 연결된 전단의 회전모멘트를 받아서 후단의 회전수를 2차로 증가시켜서 제동 토크를 감소시키는 제 2 토크조절기어부와; 상기 제 2 토크조절기어부 후단에 설치되어 1차 및 2차에 걸쳐 증가된 회전수에 의해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을 선택적으로 잡아서 에스컬레이터 제동을 수행하는 브레이크 레버를 포함하는 보조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including a motor driving unit including a driving motor and a main brake for performing braking of the driving motor, a terminal gear receiving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driving unit via a driving cha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rake system for an escalator having an escalator including a stepping sprocket installed coaxially with a terminal gear and integrally rotating with a step chain sprocket on both sides of the step chain sprocket, A first torque regulator unit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moment of the front end connected to the step drive unit and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end first to reduce the braking torque; A second torque regulator unit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moment of the front en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torque regulator unit and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end secondarily to reduce the braking torque; A brake drum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second torque regulating part and rotated by an increased number of revolutions in first and second order, and an auxiliary brake including a brake lever selectively holding the brake drum to brake the escalator .

상기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상기 스텝구동부와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를 연결하는 제동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기어부는,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라켓과;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 전단에 설치되는 종동 스프라켓과; 상기 제동 스프라켓과 상기 종동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동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includes a braking unit that connects the step drive unit and the first torque adjuster unit, and the braking unit includes: a braking sprocket installed on the shaft; A driven sprocket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first torque regulating member; And a braking chain connecting the braking sprocket and the driven sprocket.

상기 제동 스프라켓, 상기 제동체인,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 상기 제 2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 각각이 2개씩 구비되어 상기 제동 스프라켓, 상기 제동체인,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 상기 제 2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각 세트가 좌우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braking sprocket, the braking chain, the first torque regulator, the second torque regulator, and the sub-brakes are each provided for each of the braking sprocket, the braking chain, the first torque regulator, And the respective sets of the regulator unit and the sub-brakes ar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 상기 제 2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 각각이 2개씩 구비되어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각 세트가 좌우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each of the first torque regulator unit, the second torque regulator unit and the sub-brakes is provided for each of the two sets of the torque regulator unit and the sub-brakes.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는 하나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 후단에는 양측으로 상기 제 2 토크조절기어부가 연결되며, 상기 각 제 토크조절기어부 후단에는 상기 보조브레이크가 각각 좌우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of the first torque regulating part is provided, the second torque regulating par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torque regulating part, and the auxiliary brakes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parts of the rear end of the respective torque regulating part .

상기 보조브레이크가 동작하여야 하는 경우에,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의 크기 또는 제동거리에 따라 동작할 보조브레이크의 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umber of auxiliary brakes to be operate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braking force required for braking or the braking distance when the auxiliary brake must be oper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동체인 파단 또는 기타 영향에 의해 운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거나 공칭속도보다 일정한 값 이상 과속이 발생하면, 토크조절기어부의 증속비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이 줄어들므로 보조브레이크의 최대 제동력도 함께 줄어들어 사이즈가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The braking force necessary for the braking of the escalator due to the speed increasing ratio of the torque regulating member can be reduced by the braking force required for braking the escalator when the over- So that the maximum braking force of the auxiliary brake is also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size.

특히 본 발명은 상부 스텝과 하부 스텝 사이 여유 공간을 이용하여 보조브레이크를 설치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상부기계실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상부 기계실을 이용하는 유지보수요원이나 검사자들에게 여유 공간제공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하며, 건물 내부 또는 에스컬레이터 상부기계실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ccupy the upper machine room space of the escalator by installing the auxiliary brake using the clearance space between the upper step and the lower step,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due to the provision of free space to maintenance personnel or inspectors using the upper machine room And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capable of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inside the building or the escalator upper machine room.

한편, 본 발명은 토크조절기어부 개수 및 제 1, 제 2 토크조절기어부 조합을 통하여 필요한 보조브레이크 제동력이 감소하므로 보조브레이크 시스템 전체 사이즈가 작아져서 공간 활용도가 좋아진다. 특히 상부 스텝과 하부 스텝 사이 유휴 공간에 설치할 수 있을 만큼 보조브레이크 시스템 사이즈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설치되어 가동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에 부가적으로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기존의 대용량의 보조브레이크를 교체할 수도 있다.In the meantime, since the required auxiliary brake braking force is reduc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the torque regulating unit and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orque regulating unit, the total size of the auxiliary braking system is reduced and space utilization is improved. Especially, since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size of the auxiliary brake system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the idle space between the upper step and the lower step,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mount it on the escalator which is installed and operated. .

또한, 본 발명은 각 토크조절기어부 후단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각 보조브레이크를 이용하여 탑승객의 부하에 따라 제어할 보조브레이크 개수를 조절하여 제동력의 크기 및 제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좀 더 부드러운 제동제어가 가능하고, 급제동에 따른 승객 전도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size and braking distance of the braking force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auxiliary brakes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oads of the passengers by using the respective auxiliary brake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each torque adjuster fisherman,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passage of passengers due to sudden braking.

도 1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 제어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2는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주요부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주요부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의 구성을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이 설치되는 위치를 예시한 개요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제어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제어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escalator control configura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 conventional escalator.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 conventional escalator.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uxiliary brake of an escalator.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 where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performed in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performed in an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과 도 6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구동모터(301)의 구동 및 제동을 수행하는 모터구동부(310)와, 상기 모터구동부(3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스텝을 구동하는 스텝구동부(350)와, 상기 스텝구동부(350)와 연결된 전단의 회전모멘트를 받아서 후단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제동 토크를 감쇄시키는 토크조절기어부(360, 예컨대 감속기나 증속기)와, 상기 토크조절기어부(360) 후단에 설치되어 스텝구동부(350)에 대한 제동을 수행하는 보조브레이크(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and 6,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driving unit 310 for driving and braking the driving motor 301, A torque regulator unit 360 (for example, a speed reducer or a speed reducer) that attenuates the braking torque by receiving a rotational moment of the front end connected to the step drive unit 350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end, And an auxiliary brake 380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torque regulator unit 360 to perform braking with respect to the step drive unit 350.

본 실시예의 모터구동부(31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01)와, 구동모터(301)의 회전력을 입력으로 받아서 회전수는 줄이고 회전 모멘트는 증가시켜 출력하는 감속기(320)와, 감속기(320) 후단에 연결된 구동 스프라켓(325)의 구동력을 스텝구동부(350)로 전달하는 구동체인(328) 및 구동모터(301)의 제동을 수행하는 주브레이크(338)를 포함한다.The motor drive unit 3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rive motor 301 for generating power, a speed reducer 320 for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301 as input, reducing the number of rotations and increasing the rotational moment, And a main brake 338 that performs braking of the driving motor 301 and a driving chain 328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procket 325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driving motor 320 to the step driving unit 35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텝구동부(350)는 구동체인(328)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는 터미널기어(352)와, 상기 터미널 기어(352)와 일체로 회전하며 스텝체인(358)을 일정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는 양측의 스텝체인 스프라켓(351)과, 양측에 스텝체인 스프라켓(351)이 연결되며 동축상에서 일체로 회전하는 샤프트(353)와, 양측에 스텝체인(358)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스텝체인 스프라켓(351)이 회전하여 스텝체인(358)이 움직이게 되면 스텝체인(358)과 함께 일적궤적을 이동하는 스텝(359)과, 상기 샤프트(353)에 연결되어 핸드레일을 구동시키는 핸드레일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step drive unit 350 includes a terminal gear 352 that receives a drive force from the drive chain 328 and a stepping motor 352 that rotates integrally with the terminal gear 352 and moves the step chain 358 alo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A step chain sprocket 351 on both sides for moving the step chain sprocket 351 and a step chain sprocket 351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tep chain sprocket 351 for moving the step chain sprocket 351, A step 359 for moving the fixed locus along with the step chain 358 when the step chain 358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tep chain 358, Hour).

본 실시예의 토크조절기어부(360)는 상기 스텝구동부(350)와 연결된 전단의 회전모멘트를 받아서 후단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시 필요한 토크를 감소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The torque regulator unit 360 of this embodiment receives a rotational moment of the front end connected to the step drive unit 350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end, thereby reducing the torque required for braking by the auxiliary brake.

따라서, 보조브레이크(380)에 의한 제동 수행시에는 스텝구동부(350)에 비하여 회전모멘트가 급격히 감소된 상태에서 보조브레이크(380)를 동작시켜 제동을 수행하므로 자연스러운 제동이 가능하여, 제동과정에서 승객의 전도위험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급제동에 요구되는 제동력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at the time of braking by the auxiliary brake 380, the auxiliary brakes 380 ar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al moment is sharp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step driver 350, so that natural braking is enabled, And the braking force required for rapid braking by the auxiliary brakes can be minimized.

본 실시예의 토크조절기어부(360) 전단에는 상기 스텝구동부(350)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력을 스텝구동부(350)를 전달하기 위한 제동기어부(390)를 구비하며, 상기 토크조절기어부(360) 후단에는 보조브레이크(380)가 연결된다.A brake actuator unit 390 for transmitting the braking force for braking the step drive unit 350 to the step drive unit 35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torque adjuster unit 36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brake 380 is connected.

본 실시예의 제동기어부(390)는, 스텝구동부(350)의 샤프트(353) 외주에 형성되는 제동 스프라켓(391)과, 상기 토크조절기어부(360) 전단 축에 설치되어 제동 스프라켓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종동 스프라켓(393)과, 상기 제동 스프라켓(391)과 상기 종동 스프라켓(393)을 연결하여 제동력을 상기 샤프트(353)로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제동체인(398)을 포함한다.The braking device portion 39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raking sprocket 39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aft 353 of the step drive portion 350 and a braking device 390 provided on the front end shaft of the torque adjusting device portion 360, And a braking chain 398 for connecting the braking sprocket 391 and the driven sprocket 393 to transmit the braking force to the shaft 353.

한편, 본 실시예의 제동기어부(390)는, 토크조절기어부(360)의 크기의 소형화 및 보조브레이크(380)가 필요로 하는 제동력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제동 스프라켓(391) 잇수를 종동 스프라켓(393) 잇수보다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동 스프라켓(391)은 상부 스텝과 하부 스텝 사이 공간(A, 도 10)에서 나올 수 있는 최대 잇수(즉 최대 반경)로 설계할 수 있다. The braking device portion 39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number of teeth of the braking sprocket 391 as the driven sprocket 393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torque regulating portion 360 and to reduce the braking force required by the auxiliary brake 380. [ And the braking sprocket 391 can be designed to have a maximum number of teeth (i.e., a maximum radius)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space A between the upper step and the lower step (FIG. 10).

본 실시예의 보조브레이크(380)는 상기 토크조절기어부(360) 후단에 형성되는 보조브레이크 드럼(383)과, 상기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을 선택적으로 잡아서 상기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에 대한 제동력을 인가하는 보조브레이크 레버(382)와, 상기 보조브레이크 레버(382)의 구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The auxiliary brake 38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uxiliary brake drum 383 formed at a rear end of the torque regulator unit 360 and a braking unit 383 for selectively braking the auxiliary brake drum 383 And a solenoid device (not shown) for driving the auxiliary brake lever 382. The sub-

따라서, 구동모터(301)의 구동력이 구동체인(308)을 통해 스텝구동부(350)로 전달되어 스텝체인 스프라켓(351) 및 샤프트(353)가 회전하며 스텝(359)이 이동하여 에스컬레이터 정상운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동 스프라켓(391)은 샤프트(353)와 일체로 회전하며 그 회전에 의해 제동체인(398)이 이동하여 종동 스프라켓(393)을 구동하게 된다. 이때, 토크조절기어부(360)는 전단에서 종동 스프라켓(393)의 회전모멘트를 받아서 후단은 해당 토크조절기어부(360)의 증속비율에 대응하는 속도로 증속되므로,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은 상기 토크조절기어부(360)의 증속비율에 대응하여 증가된 회전수로 회전(헛돌기)하게 된다. The drive force of the drive motor 301 is transmitted to the step drive unit 350 through the drive chain 308 so that the step chain sprocket 351 and the shaft 353 rotate and the step 359 moves, The braking sprocket 391 rotates integrally with the shaft 353, and the braking chain 398 moves by the rotation of the braking sprocket 391 to drive the driven sprocket 393. At this time, since the torque adjusting unit 360 receives the rotational moment of the driven sprocket 393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is increased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increasing rate of the torque adjusting unit 360, the auxiliary brake drum 383, (Idle) at an increased number of revolutions corresponding to the increasing rate of the regulator unit 360.

한편, 에스컬레이터 정상운전 중 구동체인(328) 파단이나 기타의 상황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급정지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보조브레이크 레버(382)를 잡고 있던 솔레노이드 장치에 전원이 오프 되면서 보조브레이크 레버(382)가 동작하여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을 잡게 되며, 보조브레이크(380)의 제동력이 토크조절기어부(360) 및 제동기어부(390)를 통하여 샤프트(353)에 전달되어 스텝구동부(350)에 대한 제동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the escalator should be suddenly stopped due to breakage of the drive chain 328 or the lik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scalator, the solenoid device holding the auxiliary brake lever 382 is turned off and the auxiliary brake lever 382 The braking force of the auxiliary brake 380 is transmitted to the shaft 353 through the torque adjusting unit 360 and the braking unit 390 so that the braking force to the step driving unit 350 .

예컨대, 에스컬레이터 정상운행 중에는 주브레이크(338)와 동일하게 보조브레이크 레버(392)가 보조브레이크 드럼(382)을 개방한 상태이므로 제동기어부(390)를 통해 샤프트(353)의 회전모멘트를 받아서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이 헛돌게 된다. For example,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escalator, since the auxiliary brake lever 392 has opened the auxiliary brake drum 382 in the same manner as the main brake 338, it receives the rotational moment of the shaft 353 through the brake mechanical part 390, The drum 383 is idle.

그리고, 에스컬레이터 정상운행 중 정상적인 정지 시에는 주브레이크(338)가 동작하여 구동모터(310)에 대한 제동을 수행하며, 보조브레이크 레버(382)는 석방되지 않으므로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은 헛돌다가 구동모터(310)의 제동이 수행되어 스텝구동부(350)가 정지함에 따라 서서히 회전을 정지한다. When the escalator is normally stopped during normal operation, the main brake 338 is operated to perform braking on the drive motor 310. Since the auxiliary brake lever 382 is not released, the auxiliary brake drum 383 is idled The rotation of the motor 310 is stopped and the rotation of the stepping driver 350 is stopped gradually as the stepping motor 350 is stopped.

한편, 구동체인 파단 또는 어떤 영향에 의하여 운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에스컬레이터가 주행하거나 공칭속도보다 일정한 값 이상 과속이 발생한 경우에는 보조브레이크(380)에 의한 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로서, 솔레노이드 장치가 보조브레이크 레버(382)를 석방하여 에스컬레이터를 급정지시킨다. 다만 주브레이크(338)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상기 조건(즉, 구동체인 파단 또는 어떤 영향에 의하여 운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에스컬레이터가 주행하거나 공칭속도보다 일정한 값 이상 과속이 발생한 경우)을 제외한 급정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급정지에 의한 전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주브레이크(338)의 동작시점과 일정한 시차를 두고 보조브레이크(380)가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scalator travel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 direction due to the breakage of the drive chain or some influence or an overspeed over a value that is higher than the nominal speed occurs, the braking by the auxiliary brake 380 is performed. (382) to release the escalator immediately. However, if the emergency stop is necessary except for the condition of the main brake 338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at is, when the escalator travel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unning direction due to breakage of the driving chain or by some influence, The auxiliary brake 38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t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from the operation timing of the main brake 338 as needed, because of the risk of a conduction accident caused by a sudden stop.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크조절기어부(360) 및 보조브레이크(380)는 스텝 상부와 스텝 하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A, 도9 참조)에 설치되며, 토크조절기어부(360) 및 보조브레이크(380)는 각 2 대가 좌우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스텝구동부(350)의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을 분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5,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rque regulator unit 360 and the auxiliary brake 380 are installed in a space A (see FIG. 9) form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step and the lower part of the step, The two driver units 360 and the auxiliary brake 380 may be constructed so that two of them ar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o share the braking force required for braking the step drive unit 350.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53) 외주에 한 쌍의 제동 스프라켓(391)이 설치되고, 각 제동 스프라켓(391)에 각 대응하는 제동체인(398), 종동 스프라켓(393) 및 토크조절기어부(360)가 설치되며 다시 각 토크조절기어부(360) 후단에는 각 대응하는 보조브레이크(380)가 설치되어 스텝구동부(350)의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을 각각 분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5, a pair of braking sprockets 391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aft 353, and the respective braking chains 398, the driven sprockets 393, The torque regulator unit 360 may be provided and the corresponding auxiliary brake 38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each torque regulator unit 360 to share the braking force required for braking the step drive unit 350.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제동 스프라켓(390), 제동체인(398) 및 종동 스프라켓(393)을 포함하는 제동기어부(390)는 각 토크조절기어부(360)에 대응하도록 각각 한 세트씩 설치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동 스프라켓(391), 제동체인(398) 및 종동 스프라켓(393)은 한 세트만 설치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종동 스프라켓(393)은 양측의 토크조절기어부(360)에 연결되며, 급제동시 양측의 각 보조브레이크(380)는 급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을 분담하게 된다.Although the braking device portion 390 including the braking sprocket 390, the braking chain 398 and the driven sprocket 393 is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torque adjusting device portion 360 in the above embodimen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nly one set of braking sprocket 391, braking chain 398 and follower sprocket 393 may be installed, in which case the driven sprocket 393 is connected to the torque regulator unit 360 on both sides , The auxiliary brakes 380 on both sides share the braking force necessary for the sudden braking when the braking is in progress.

예컨대, 각각 토크조절기어부(360) 후단에 구비되는 보조브레이크(380)가 급제동에 필요한 제동력 50%씩을 분담한다고 가정하면 탑승객 부하가 50% 미만이면 1개의 토크조절기어부(360) 후단의 보조브레이크(380)만 동작하여 제동을 수행하면 되고, 탑승객 부하가 50% 이상인 경우에는 양측 2개의 토크조절기어부(360) 후단의 보조브레이크(380)를 동작하여 제동을 수행한다면 더 안전하게 제동제어를 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uxiliary brake 380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torque control unit 360 shares the braking force 50% required for rapid braking, if the load on the passenger is less than 50%, the auxiliary brakes The bra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safely if the braking is performed by operating the auxiliary brake 380 at the rear end of the two torque adjusting mechanism units 360 on both sides when the load on the passenger is 50% or more .

본 제 1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에스컬레이터의 구동과정과 제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예컨대, 정상 운전시에는 제동 스프라켓(391)이 샤프트(353)와 일체로 회전하면 제동 체인은 샤프트(353)의 회전모멘트에 의해 움직여서 종동 스프라켓(393)을 회전시키며, 제동 스프라켓(391)과 종동 스프라켓(393)의 잇수 비율에 의해 토크조절기어부(360) 입력 측의 회전수가 증가한다.The driving process and the braking process of the escalator performed in the first embodiment are as follows. For example, during normal operation, when the braking sprocket 391 rotates integrally with the shaft 353, the braking chain is moved by the rotation moment of the shaft 353 to rotate the driven sprocket 393, and the braking sprocket 391, The number of revolutions on the input side of the torque regulator unit 360 is increased by the ratio of the number of teeth of the sprocket 393.

그리고, 토크조절기어부(360) 출력 측은 토크조절기어부(360)의 증속비율에 의해 회전수가 증가한 상태가 되므로, 토크조절기어부(360) 후단의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은 토크조절기어부의 전단의 회전수에 대하여 상기 증속비율에 해당하는 증가한 회전수로 회전한다(헛돈다).The auxiliary brake drum 383 at the rear end of the torque regulating member 36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ront end of the torque regulating member 360, The number of revolutions is increased by an increased number of revolutions corresponding to the rate of increase of the number of revolutions per minute.

한편, 제동을 수행할 때에는 보조브레이크 레버(382)가 솔레노이드 장치로부터 석방되어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을 잡게 되면, 보조브레이크 레버(382)와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의 라이닝 마찰에 의해 서서히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이 감속되다가 정지하게 되는데, 작용과 반작용에 의해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에 인가된 제동력은 토크조절기어부(360)에 의해 지지되며 토크조절기어부(360)의 증속비율에 대응하는 지지력(즉, 제동 토크)이 제동기어부(390)를 통해 샤프트(353)에 인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the braking, when the auxiliary brake lever 382 is released from the solenoid device and catches the auxiliary brake drum 383, the auxiliary brake lever 382 is gradually released from the lining friction of the auxiliary brake drum 383,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auxiliary brake drum 383 due to the action and the reaction is supported by the torque adjusting unit 360 and the support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increasing rate of the torque adjusting unit 360 (I.e., braking torque) is applied to the shaft 353 through the brake mechanical section 390. [

한편, 샤프트(353)는 제동기어부(390)를 통해 전달받은 지지력(즉, 제동 토크)에 의해 서서히 회전을 멈추게 되며, 이에 일체로 연결된 스텝체인 스프라켓도 샤프트와 함께 멈추게 되면서 에스컬레이터 스텝에 대한 제동이 수행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haft 353 gradually stops rotating due to the bearing force (i.e., braking torque) transmitted through the brake gear unit 390, and the step chain sprocket integrally connected therewith is stopped together with the shaft, .

더욱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살펴보면, 보조브레이크(380)에 의한 급제동을 수행하는 경우 만약 샤프트(353) 회전수가 2 rpm 이고, 제동 스프라켓(391)과 종동 스프라켓(393)의 증속비가 2이면 토크조절기어부(360)) 전단의 회전속도는 4rpm이 되며, 다시 토크조절기어부(360)의 증속비가 100이면 토크조절기어부(360)의 출력은 400rpm이 되어 브레이크 드럼(383)은 400rpm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보조브레이크(380)에 의한 제동이 수행되는 경우에, 브레이크 드럼(383)의 회전모멘트는 2/400에 해당되므로 매우 적은 제동력으로도 스텝구동부(350) 즉 샤프트(353)의 제동이 가능해지게 된다.More specifically, if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shaft 353 is 2 rpm and the rate of increase of the braking sprocket 391 and the driven sprocket 393 is 2 in the case of performing rapid braking by the auxiliary brake 380, When the speed increasing ratio of the torque adjusting unit 360 is 100, the output of the torque adjusting unit 360 is 400 rpm, and the brake drum 383 is rotated at 400 rpm. Conversely, when braking by the auxiliary brake 380 is performed, the rotation moment of the brake drum 383 corresponds to 2/400, so that the braking of the step drive unit 350, that is, the shaft 353, do.

즉 전체 보조브레이크 제동력 = 필요 제동력 / ((종동 스프라켓 잇수/제동 스프라켓 잇수) × 토크조절기어부의 증속비율)이 되기 때문에 토크조절기어부(360) 후단에 연결되는 보조브레이크 제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조브레이크(380)의 사이즈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토크조절기어부 수가 증가하게 되거나 증속비가 증가하게 되면 제동의 과정에서 마지막 토크조절기어부 후단에 인가되는 요구 회전모멘트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므로 매우 작은 힘으로도 에스컬레이터 스텝구동부(350)에 대한 제동제어가 가능하다.That is, the total auxiliary brake braking force = necessary braking force / ((number of driven sprocket teeth / number of braking sprocket teeth) × speed increasing ratio of the torque adjusting unit) is minimized so that the auxiliary brake braking forc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orque adjusting unit 360 can be minimized,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380 can be minimized. As the number of torque regulator parts constituting the auxiliary brake system is increased or the speed increasing ratio is increased, the required rotational moment applied to the rear end of the last torque regulating part during the braking process becomes very small, so that the escalator step driving part 350 can be controlled.

또한, 양측에 토크조절기어부 및 보조브레이크가 설치되는 경우는 제동시 브레이크 드럼의 회전모멘트는 (2/400)X(1/2)이 되므로 양측 보조브레이크에 요구되는 제동력 또는 제동토크는 (1/2)로 감소한다. .When the torque regulator and auxiliary brake are installed on both sides, the braking force or braking torque required for both side auxiliary brakes is (1 / 2). .

한편, 도 7과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각각 전단에 제동기어부(390)가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토크조절기어부(361) 및 상기 각 제 1 토크조절기어부(361) 후단에 연결되어 2차로 증속을 하는 각 제 2 토크조절기어부(363)를 포함하며, 각 제 2 토크조절기어부(363) 후단에는 보조브레이크(380)가 설치되는 구성에 의할 수 있다.7 and 8, a pair of first torque regulator unit 361 and a first torque regulator unit 361, both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braking unit 390 at the front end, And an auxiliary brake 380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each second torque regulating member unit 363. The second torque regulating member unit 363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second torque regulating member unit 363,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토크조절기어부(361) 및 제 2 토크조절기어부(363)에 의한 2 단에 걸친 증속(회전수 증가)이 되며 제동시 제 2 토크조절기어부(363) 후단의 회전모멘트는 더욱 감소될 수 있으므로 제 2 토크조절기어부(363) 후단의 보조브레이크(380)에 의한 제동이 더욱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어 승객 전도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제 1 제 2 토크조절기어부(361,363) 및 보조브레이크(380)의 설치방향도 변경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가 높고 토크조절기어부 소형화가 가능하여 상하부 스텝(359) 사이 좁은 공간에도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torque regulating member 361 and the second torque regulating member 363 are increased in speed (increase in the number of revolutions) over two stages, and the rotation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torque regulating member 363 The braking by the auxiliary brake 380 at the rear stage of the second torque regulator unit 363 can be performed more naturally, so that the risk of the passenger traveling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first torque regulator-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auxiliary brakes 361 and 363 and the auxiliary brakes 380 can also be changed. Therefore, the space utilization is high and the torque regulator can be miniaturized, so that the auxiliary braking system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narrow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teps 359.

본 제 2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에스컬레이터의 구동과정과 제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예컨대, 정상 운전시에는 제동 스프라켓(391)이 샤프트(353)와 일체로 회전하면 제동체인은 샤프트(353)의 회전모멘트에 의해 움직여서 종동 스프라켓(393)을 회전시키며, 제동 스프라켓(391)과 종동 스프라켓(393)의 잇수 비율에 의해 제 1 토크조절기어부(361) 입력 측의 회전수가 증가한다.The driving process and the braking process of the escalator performed in the second embodiment are as follows. For example, during normal operation, when the braking sprocket 391 rotates integrally with the shaft 353, the braking chain is moved by the rotation moment of the shaft 353 to rotate the driven sprocket 393, and the braking sprocket 391,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input side of the first torque regulator unit 361 increases due to the ratio of the number of teeth of the sprocket 393.

그리고, 제 1 토크조절기어부(361) 출력 측은 제 1 토크조절기어부(361)의 증속 비율에 의해 회전수가 증가한 상태로 제 2 토크조절기어부(363) 입력 측에 연결되고, 그 증가한 회전수에 제 2 토크조절기어부(363)의 증속비율에 의해 회전수가 증가한 상태가 되므로, 제 2 토크조절기어부(363) 후단의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은 (제 1 토크조절기어부의 증속비율) x (제 2 토크조절기어부 증속비율)에 해당하는 증가한 회전수로 회전한다(헛돈다).The output side of the first torque regulator unit 361 is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second torque regulator unit 363 with the number of revolutions increased by the increasing rate of the first torque regulator unit 361, The auxiliary brake drum 383 at the rear stage of the second torque regulator unit 363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speed ratio of the first torque regulator unit is increased by the speed ratio x of the second torque regulator unit 363, Torque adjuster fish speed increase ratio).

한편, 제동을 수행할 때에는 보조브레이크 레버(382)가 솔레노이드 장치로부터 석방되어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을 잡게 되면, 보조브레이크 레버(382)와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의 라이닝 마찰에 의해 서서히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이 감속되다가 정지하게 되는데, 작용과 반작용에 의해 보조브레이크 드럼(383)에 인가된 제동력은 제 1 및 제 2 토크조절기어부(361,363)에 의해 지지되어 (제 1 토크조절기어부의 증속비율) x (제 2 토크조절기어부 증속비율)에 의해 지지력(즉, 제동 토크)이 증가하며 제동기어부(390)를 통해 샤프트(353)로 인가되며, 샤프트에 일체로 회전하던 스텝체인 스프라켓도 샤프트와 함께 멈추게 되면서 에스컬레이터 스텝에 대한 제동이 수행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the braking, when the auxiliary brake lever 382 is released from the solenoid device and catches the auxiliary brake drum 383, the auxiliary brake lever 382 is gradually released from the lining friction of the auxiliary brake drum 383, The braking force applied to the auxiliary brake drum 383 due to the action and the reaction is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torque adjuster fishes 361 and 363 so that the speed of the first torque adjuster fisherman The step chain sprocket which is integrally rotated with the shaft is also applied to the shaft 353 through the braking device portion 390 by the shaft (not shown in the figures) x (second torque regulator fish speed increasing ratio) The braking of the escalator step is performed.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살펴보면, 보조브레이크(380)에 의한 급제동을 수행하는 경우 만약 샤프트(353) 회전수가 2 rpm 이고, 제동 스프라켓(391)과 종동 스프라켓(393)의 증속비가 2이면 제 1 토크조절기어부(361) 전단의 회전속도는 4rpm이 되며, 다시 제 1 토크조절기어부(361)의 증속비가 20이면 제 1 토크조절기어부(361)의 출력은 80rpm이 되어 제 2 토크조절기어부(363)로 입력되며, 제 2 토크조절기어부(363)의 증속비가 10이면 제2 토크조절기어부(363) 후단의 브레이크 드럼(383)은 800rpm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보조브레이크(380)에 의한 제동이 수행되는 경우에, 브레이크 드럼(383)의 회전모멘트는 2/800에 해당되므로 매우 적은 제동력으로도 스텝구동부(350) 즉 샤프트(353)의 제동이 가능해지게 된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performing rapid braking by the auxiliary brake 380, if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haft 353 is 2 rpm and the speed increasing ratio of the braking sprocket 391 and the driven sprocket 393 is 2, The rotation speed of the front end of the regulating part 361 is 4 rpm and the output of the first torque regulating part 361 becomes 80 rpm when the speed increasing ratio of the first torque regulating part 361 is 20, If the speed ratio of the second torque regulator unit 363 is 10, the brake drum 383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torque regulator unit 363 is rotated at 800 rpm. Conversely, when braking by the auxiliary brake 380 is performed, the rotation moment of the brake drum 383 corresponds to 2/800, so that the braking of the step drive unit 350, that is, the shaft 353, do.

즉 전체 보조브레이크 제동력 = 필요 제동력 / ((종동 스프라켓 잇수/제동 스프라켓 잇수) × 제 1 토크조절기어부의 증속비율 × 제 2 토크조절기어부의 증속비율)이 되기 때문에 제 2 토크조절기어부 후단에 연결되는 보조브레이크 제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조브레이크(380)의 사이즈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토크조절기어부 수가 증가하게 되거나 증속비가 증가하게 되면 제동의 과정에서 마지막 토크조절기어부 후단에 인가되는 요구 회전모멘트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므로 매우 작은 힘으로도 에스컬레이터 스텝구동부(350)에 대한 제동제어가 가능하다.That is, the total auxiliary brake braking force = required braking force / ((number of driven sprocket teeth / number of braking sprocket teeth)) (the rate of increase of the first torque adjuster unit x the rate of increase of the second torque adjuster unit) The auxiliary brake braking force can be minimized and the size of the auxiliary brake 380 can be minimized. As the number of torque regulator parts constituting the auxiliary brake system is increased or the speed increasing ratio is increased, the required rotational moment applied to the rear end of the last torque regulating part during the braking process becomes very small, so that the escalator step driving part 350 can be controlled.

또한, 양측에 토크조절기어부 및 보조브레이크가 설치되는 경우는 제동시 브레이크 드럼의 회전모멘트는 (2/800)X(1/2)이 되므로 양측 보조브레이크에 요구되는 제동력 또는 제동토크는 (1/2)로 감소한다. .When the torque regulator and auxiliary brake are installed on both sides, the braking force or the braking torque required for both side auxiliary brakes is (1 / 2). .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하나의 제동기어부에 토크조절기어부가 설치되며, 토크조절기어부의 양측에 보조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제동을 수행하는 구성이다.In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9, a torque regulator is provided in one brake unit, and auxiliary brake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orque regulator to perform braking.

본 실시예의 토크조절기어부(360) 전단에는 상기 스텝구동부(350)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력을 스텝구동부(350)를 전달하기 위한 제동기어부(390)를 구비하며, 상기 토크조절기어부(360) 후단 양측에는 각각 보조브레이크(380)가 연결된다.The front end of the torque regulating unit 36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braking unit 390 for transmitting the braking force for braking the step driving unit 350 to the step driving unit 350, Respectively, the auxiliary brake 380 is connected.

즉 토크조절기어부의 후단 양측에는 각각 보조브레이크 드럼이 연결 설치되며, 정상운전시에 토크조절기어부는 전단의 회전모멘트를 받아서 일정 증속률로 회전수를 증가시키며 양측의 각 보조브레이크 드럼은 증가된 회전수로 회전을 한다(헛돈다). 한편,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급정지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전원이 오프되면서 보조브레이크 레버가 석방되어 보조브레이크 드럼을 잡게 되면,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이 토크조절기어부 및 제동기어부를 거치면서 회전모멘트가 증폭되며 샤프트에 대한 제동을 수행하게 된다. In other words, auxiliary brake drums are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torque adjuster, respectively. In the case of normal operation, the torque adjusting unit receives the rotation moment of the front end to increase the rotation speed at a constant speed increase rate. (It is idle). If the sudden stop by the auxiliary brake is required, the solenoid power is turned off and the auxiliary brake lever is released and the auxiliary brake drum is caught, the braking force of the auxiliary brake is transmitted through the torque adjusting unit and the braking unit, As shown in FIG.

본 제3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제동기어부 및 토크조절기어부가 각각 1개씩 설치되는 구성과 토크조절기어부 후단의 증속 정도가 동일하며, 상기 제동기어부의 구성 및 상기 양측 보조브레이크의 구성도 상기 제 1, 제 2 실시예에 해당 하는 것이 모두 적용된다. 다만, 본 제 3 실시예는 하나의 토크조절기어부에 2개의 보조브레이크가 연결되므로 양측의 각 보조브레이크에 요구되는 제동력의 크기는 1/2로 감소하며, 제동 토크를 감소 및 회전수 증가와 관련된 사항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보조브레이크가 하나인 경우 및 2개인 경우)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thir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rake controller and the torque controller are respectively provided for each of the brake controller and the torque controller has the same degree of acceleration at the rear end of the torque controller, All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applicable. However, in the third embodiment, since two auxiliary brakes are connected to one torque regulating member, the magnitude of the braking force required for each of the auxiliary brakes on both sides is reduced to 1/2, and the braking torque is decreased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ase of one auxiliary brake and the case of two auxiliary brakes) are equally applicable.

한편, 본 제 3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실시예의 경우처럼 제 1 토크조절기어부 1개가 2개의 제 2 토크조절기어부에 연결되어 2단에 걸쳐서 증속 및 제동토크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한 제동토크의 감소 및 회전수 증가와 관련된 사항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so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it is possible that one of the first torque regulating element units is connected to the two second torque regulating element unit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so as to reduce the acceleration and braking torques over two stages, The same matters as those in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reduction of the braking torque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volutions.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청구범위 기재 사항과 균등범위에서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is defined by the matters defin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ncompasses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made in the scope of claims.

301.........구동모터 310.........모터구동부
320.........감속기 325.........구동 스프라켓
328.........구동체인 338.........주브레이크
350.........스텝구동부 351.........스텝체인 스프라켓
352.........터미널기어 353.........샤프트
358.........스텝체인 359.........스텝
360.........토크조절기어부 361.........제 1 토크조절기어부
363.........제 2 토크조절기어부 380.........보조브레이크
382.........보조브레이크 레버 383.........보조브레이크 드럼
390.........제동기어부 391.........제동 스프라켓
393.........종동 스프라켓 398.........제동체인
301 ......... drive motor 310 ......... motor drive section
320 ......... Reduction gear 325 ......... Drive sprocket
328 ......... drive chain 338 ......... main brake
350 Step drive unit 351 Step chain sprocket
352 ......... terminal gear 353 ......... shaft
358 ......... step chain 359 ......... step
360 ......... Torque regulator unit 361 .......... First torque regulator unit
363 ......... Second torque regulator unit 380 .......... Secondary brake
382 ......... auxiliary brake lever 383 ......... auxiliary brake drum
390 .........braking unit fisher unit 391 .........braking sprocket
393 ......... Actuation sprocket 398 ......... Braking chain

Claims (11)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 제동을 수행하는 주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의 구동력을 구동체인에 의해 전달받는 터미널기어와 상기 터미널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양측의 스텝체인 스프라켓과 상기 양 측의 스텝체인 스프라켓을 연결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스텝구동부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스텝구동부와 연결된 전단의 회전모멘트를 받아서 후단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제동 토크를 감소시키는 토크조절기어부와;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후단에 설치되어 증가된 회전수에 의해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을 선택적으로 잡아서 에스컬레이터 제동을 수행하는 브레이크 레버를 포함하는 보조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
A motor drive unit including a drive motor and a main brake for performing braking of the drive motor; a terminal gear that receives the drive force of the motor drive unit by the drive chain; and a step chain that is coaxially installed with the terminal ge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rake system for an escalator having an escalator having a step drive including a sprocket and a shaft rotatable integrally by connecting the step chain sprockets on both sides,
A torque regulator unit for receiving a rotational moment of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step drive unit and increasing a rotational speed of a rear end to reduce a braking torque;
An auxiliary brake including a brake drum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torque regulator and rotated by an increased number of revolutions and a brake lever for selectively braking the brake drum to brake the escalator, Brak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상기 스텝구동부와 상기 토크조절기어부를 연결하는 제동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기어부는,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라켓과;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전단에 설치되는 종동 스프라켓과;
상기 제동 스프라켓과 상기 종동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동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
2. The brak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includes a braking unit for connecting the step-driving unit and the torque regulating unit,
A braking sprocket installed on the shaft;
A driven sprocket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torque regulating member;
And a braking chain for connecting the braking sprocket and the driven sprocke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동 스프라켓, 상기 제동체인, 상기 종동 스프라켓,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 각각이 2개씩 구비되며, 상기 제동 스프라켓, 상기 제동체인, 상기 종동 스프라켓,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각 세트가 좌우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each of the braking sprocket, the braking chain, the driven sprocket, the torque regulator, and the sub-brakes is provided in two, and the braking sprocket, the braking chain, the driven sprocket, And each set of auxiliary brakes is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 각각이 2개씩 구비되어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각 세트가 좌우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each of the torque regulator unit and the sub-brakes is provided in two, and each of the torque regulator unit and each of the sub-brakes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크조절기어부는 중앙에 하나가 설치되며, 상기 토크조절부의 후단 양측에는 각각 상기 보조브레이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one of the torque regulator units is provided at the center, and the auxiliary brake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ear end of the torque regulator.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 제동을 수행하는 주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의 구동력을 구동체인에 의해 전달받는 터미널기어와 상기 터미널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양측의 스텝체인 스프라켓과 상기 양 측의 스텝체인 스프라켓을 연결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스텝구동부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기 스텝구동부와 연결된 전단의 회전모멘트를 받아서 후단의 회전수를 1차로 증가시켜서 제동 토크를 감소시키는 제 1 토크조절기어부와;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의 후단에 연결된 전단의 회전모멘트를 받아서 후단의 회전수를 2차로 증가시켜서 제동 토크를 감소시키는 제 2 토크조절기어부와;
상기 제 2 토크조절기어부 후단에 설치되어 1차 및 2차에 걸쳐 증가된 회전수에 의해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을 선택적으로 잡아서 에스컬레이터 제동을 수행하는 브레이크 레버를 포함하는 보조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
A motor drive unit including a drive motor and a main brake for performing braking of the drive motor; a terminal gear that receives the drive force of the motor drive unit by the drive chain; and a step chain that is coaxially installed with the terminal ge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rake system for an escalator having an escalator having a step drive including a sprocket and a shaft rotatable integrally by connecting the step chain sprockets on both sides,
A first torque regulator unit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moment of the front end connected to the step drive unit and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end first to reduce the braking torque;
A second torque regulator unit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moment of the front en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torque regulator unit and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ear end secondarily to reduce the braking torque;
A brake drum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second torque regulating part and rotated by an increased number of revolutions in first and second order, and an auxiliary brake including a brake lever selectively holding the brake drum to brake the escalator And an escalator auxiliary braking syste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은, 상기 스텝구동부와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를 연결하는 제동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기어부는,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라켓과;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 전단에 설치되는 종동 스프라켓과;
상기 제동 스프라켓과 상기 종동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동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
7. The brak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includes a braking unit for connecting the step-driving unit and the first torque regulating unit,
A braking sprocket installed on the shaft;
A driven sprocket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first torque regulating member;
And a braking chain for connecting the braking sprocket and the driven sprocke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동 스프라켓, 상기 제동체인,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 상기 제 2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 각각이 2개씩 구비되어 상기 제동 스프라켓, 상기 제동체인,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 상기 제 2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각 세트가 좌우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
7. Th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raking sprocket, the braking chain, the first torque regulator, the second torque regulator, and the sub-brakes are each provided for the braking sprocket, the braking chain, , Each of the second torque regulating member and each of the sub-brakes is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 상기 제 2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 각각이 2개씩 구비되어 상기 토크조절기어부 및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각 세트가 좌우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
[Claim 7]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each of the first torque regulator unit, the second torque regulator unit and the sub-brakes is provided in two, and each of the torque regulator unit and the sub-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는 하나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토크조절기어부 후단에는 양측으로 상기 제 2 토크조절기어부가 연결되며, 상기 각 제 토크조절기어부 후단에는 상기 보조브레이크가 각각 좌우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
[7]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one of the first torque regulator is provided, the second torque regulator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torque regulator, and the sub- And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is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escalator auxiliary brake system.
청구항 3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레이크가 동작하여야 하는 경우에,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의 크기 또는 제동거리에 따라 동작할 보조브레이크의 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시스템.
Th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10, wherein when the auxiliary brake needs to be operated, the number of auxiliary brakes to be operate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braking force required for braking or the braking distance. system.
KR1020170103822A 2017-08-16 2017-08-16 A Sub-break System In An Escalator KR201900189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822A KR20190018981A (en) 2017-08-16 2017-08-16 A Sub-break System In An Esca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822A KR20190018981A (en) 2017-08-16 2017-08-16 A Sub-break System In An Esca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81A true KR20190018981A (en) 2019-02-26

Family

ID=6556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822A KR20190018981A (en) 2017-08-16 2017-08-16 A Sub-break System In An Esca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89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73909A1 (en) Elevator device
US5890565A (en) Elevator emergency escape device
JP5287859B2 (en) Elevator governor
EP1893516A1 (en) Method and appliance for tripping the safety gear of an elevator
JPH02233490A (en) Floor-stopping device linear motor driven elevator
JP5850754B2 (en) Speed governor and elevator device equipped with the speed governor
EP3071502B1 (en) Brake for use in passenger conveyor system
JP2018062424A (en) Method to avoid useless actuation of safety device in elevator system, control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speed governor brake and elevator system each having the control device
CN1986369B (en) Brake shoe for use in elevator safety tongs
US6296080B1 (en) Variable traction mechanism for rotary actuated overspeed safety device
JP2000211841A (en) Device for stopping motion of elevator device
JP6834022B2 (en) Safety device and elevator equipped with it
KR20190018981A (en) A Sub-break System In An Escalator
KR20180058142A (en) An Escalator Sub-brake Control System
EP2490971B1 (en) Unintended movement governor and elevator
WO2006070436A1 (en) Speed governor device of elevator
US20100018810A1 (en) Elevator apparatus
KR20210057571A (en) A Sub-break System In An Escalator
JP4937038B2 (en) Passenger conveyor stop device
JP2002060157A (en) Speed governor for elevator
JP5845317B2 (en) Elevator governor
WO2003089354A1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KR101749382B1 (en) A Drive Chain Break Detecting Device For An Escalator and A Sub-brake Control System For An Escalator
KR101925569B1 (en) A Break Control System For An Dual Motor Escalator
EP1678060B1 (en) Passenger conveyor drive monitoring arrangement with brake act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