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861A -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861A
KR20190017861A KR1020190017337A KR20190017337A KR20190017861A KR 20190017861 A KR20190017861 A KR 20190017861A KR 1020190017337 A KR1020190017337 A KR 1020190017337A KR 20190017337 A KR20190017337 A KR 20190017337A KR 20190017861 A KR20190017861 A KR 20190017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orifice
valve housing
sea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369B1 (ko
Inventor
전인욱
강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9001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3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체크밸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입유로 및 배출유로를 갖는 모듈레이터블록의 보어에 설치되어 오일의 일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는 상하 양단이 개방되며, 측면 둘레에 상기 유입유로와 연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캡과,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 둘레에 배출유로와 연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하측에 가이드홀을 갖는 하부 홀더와, 하부 홀더에 지지된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승강 이동하게 설치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플런저의 상하 양단에는 각각 플런저의 안정적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체크밸브{CHECK VALVE}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유로에 구비되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제동, 급발진, 또는 급가속시 발생할 수 있는 휠의 슬립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터 실린더에서 휠 실린더 측으로 전달되는 제동 유압을 제어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들과, 오일의 역방향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체크밸브들이 유압회로를 형성하는 유로를 갖는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되어 제동 유압을 제어하게 된다. 최근에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며 브레이크 페달의 변위를 감지하는 페달변위센서로부터 운전자의 제동의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달받아 휠 실린더로 압력을 공급하는 액압 공급장치가 마련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조가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092045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문헌에 따르면, 액압 공급장치가 마련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라 모터가 작동하여 제동압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동압은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을 가압함으로써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모듈레이터블록에 형성된 유로에는 오일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적시적소에 체크밸브가 설치된다. 예컨대, 체크밸브는 압력 공급장치와 리저버를 연결하는 유로 및 각 유압회로의 유입밸브와 연결된 유로 등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체크밸브는 저압 및 고압에 대한 실링 성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뿐만 아니라 거동성(반응성)이 떨어져 빠른 응답성능이 요구되는 시스템에는 취약한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92045호(2013.08.20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실링 성능이 우수하며 빠른 응답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고용량 체크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입유로 및 배출유로를 갖는 모듈레이터블록의 보어에 설치되어 오일의 일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하 양단이 개방되며, 측면 둘레에 상기 유입유로와 연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캡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 둘레에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하측에 가이드홀을 갖는 하부 홀더와, 상기 하부 홀더에 지지된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승강 이동하게 설치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상하 양단에는 각각 상기 플런저의 안정적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체크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 내벽에 지지되며 중앙에 상기 오리피스가 형성된 시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오리피스와 상기 가이드홀에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의 상단에는 상기 시트부재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원판형태의 시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플런저의 하측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원통형태의 탄성부재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와,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의 하면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는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하지 않도록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서 상기 오리피스의 직경과 대응하는 원주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시트부가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할 때 상기 시트부재 하면과 접촉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 위치된 상기 플런저의 측면 둘레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패인 실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 내면에는 상기 시트부재의 상면 지지를 위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지지된 상기 시트부재의 상하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는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상기 밸브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가 하강할 때 상기 플런저의 하강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시트부와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오목하게 패인 시트부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 내벽 둘레에는 상기 오리피스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밸브 하우징 내측으로 연장된 시트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 캡 하측에 돌출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하부 홀더의 상기 가이드홀에 각각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상의 플런저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플런저 바디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바디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 바디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는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시트형성부와 접촉할 수 있는 시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 상측에 위치한 상기 플런저 바디에는 상기 플런저 바디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시트형성부와 함께 상기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시트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된 유로형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 하측에 위치한 상기 플런저 바디 외면 둘레에는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할 때 상기 시트형성부 하면과 접촉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형성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일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곡선면과, 상기 곡선면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시트부가 접촉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접촉하는 수평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런저의 안정적 이동이 가능하므로 거동 안정성에 따른 반응성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중 실링구조에 따른 체크밸브의 실링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된 체크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런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오리피스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플런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오리피스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된 체크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런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체크밸브(10)는 외부에서 조립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모듈레이터블록(1)에 형성된 유입유로(2)와 배출유로(3)를 갖는 보어(4)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체크밸브(10)는 밸브 하우징(20), 상부 캡(30), 시트부재(40), 하부 홀더(50) 및 플런저(60)를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20)은 상하 양단이 개방된 중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모듈레이터블록(1)의 보어(4)에 장착 시 유입유로(2)와 연통하는 복수의 유입구(21)가 측면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캡(30)은 밸브 하우징(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모듈레이터블록(1)의 보어(4)에 삽입 설치 시 보어(4) 상부 쪽에 마련된 단턱(5)에 지지될 수 있다.
시트부재(40)는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중앙에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개구된 오리피스(41)가 구비될 수 있다.
시트부재(40)는 밸브 하우징(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밸브 하우징(20) 내에 삽입되어 압입 장착될 수 있다.
밸브 하우징(20) 내벽에는 시트부재(40)의 설치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단턱(22)이 형성될 수 있고, 시트부재(40)의 상면이 단턱(22)에 지지된 경우 밸브 하우징(20)의 내부는 시트부재(40)를 기준으로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되게 된다.
시트부재(40)를 기준으로 밸브 하우징(20)의 상부공간에는 유입유로(2)와 연통하는 유입구(21)가 위치되고, 밸브 하우징(20)의 하부공간에는 배출유로(3)와 연통하는 배출구(54)가 위치된다.
배출구(54)는 밸브 하우징(20)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홀더(50)에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홀더(50)는 밸브 하우징(20)의 하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상판(51)과, 상판(51)과 소정거리 이격된 링 형상의 하판(52)과, 상판(51)과 하판(52)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대(53)를 포함한다.
복수의 연결대(53)는 하부 홀더(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됨에 따라 그 사이공간에 모듈레이터블록(1)에 구비된 배출유로(3)와 연통하는 배출구(54)가 형성된다.
유입구(21)와 배출구(54) 사이를 연통시키는 오리피스(41)는 밸브 하우징(20)의 하부공간에 위치되는 플런저(6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플런저(6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상의 플런저 바디(61)를 포함하고, 플런저 바디(61)는 그 하측이 하부 홀더(50)의 하판(52)에 지지된 탄성부재(70)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플런저 바디(61)의 상단에는 시트부재(40)의 하면과 밀착되거나 이격되어 시트부재(40)의 오리피스(4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원판형태의 시트부(62)가 구비될 수 있다.
플런저 바디(61)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시트부(62)의 하방으로 실링부재(63)가 장착되는 실 장착부(64), 탄성부재(70)가 끼워지는 탄성부재 장착부(65)가 구비될 수 있다.
실 장착부(64)는 시트부(62)와 시트부(62)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탄성부재(70)의 상단을 지지하는 원판형태의 지지부(66) 사이에서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63)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서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실 장착부(64)에 끼워져 결합된 경우 실링부재(63)의 상단에 형성된 실링부(63a)는 시트부(62)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시트부(62)가 시트부재(40) 하면에 밀착되도록 이동하는 경우 실링부재(63)의 실링부(63a)는 시트부재(40)의 하면에 먼저 접촉하여 1차 밀봉을 수행하게 되고, 이후 시트부(62)의 상면이 시트부재(40)의 하면에 면 접촉하여 2차 밀봉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반복적 사용에 따른 실링부재(63)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시트부(62)에 의한 밀봉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밀성은 월등히 향상된다.
이러한 기밀 유지를 위해 시트부(62)는 오리피스(4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실링부(63a)의 외경은 시트부(62)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도록 시트부(6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66)는 실링부재(63)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실링부재(63)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 장착부(65)는 지지부(66)의 하측에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부(66)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탄성부재(70)가 끼워지게 된다.
탄성부재(70)가 탄성부재 장착부(65)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탄성부재(70)의 상단은 지지부(66)의 하면에 탄성 지지되고, 탄성부재(70)의 하단은 하판(52)의 상면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70)는 플런저(60)가 오리피스(41)를 밀폐하는 상부방향으로 플런저(60)를 탄성 가압하게 된다.
플런저(60)가 하부 홀더(50) 내에서 탄성부재(70)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 이동하는 경우 안정적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거동 안정성에 따른 빠른 응답성능을 이루도록 플런저(60)의 상하 양단에는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가이드부는 플런저(60)의 최상단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80)와, 플런저(60)의 최하단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80)는 시트부(62)의 상면에서 상부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오리피스(41)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는 탄성부재 장착부(65)의 하면에서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홀(55)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80)는 각각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시트부(62)의 상면에서 오리피스(41)의 직경과 대응하는 원주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80)는 오리피스(41)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3개소 구비된 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80)는 각각 시트부(62)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 외면(81)이 오리피스(41)의 내벽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위치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80)는 플런저(6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조로서 오리피스(41)를 이용함에 따라 오리피스(41)를 막지 않는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구비된다.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는 하부 홀더(50)의 하판(52) 중앙에 개구된 가이드홀(55)에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는 가이드홀(55)의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플런저(60)의 무게를 줄여 거동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방사형 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가 안정적 지지를 위해 등간격으로 위치된 3개소 구비된 예를 도시하나, 그 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 각 외측에 위치된 외면(91)은 가이드홀(55)의 내벽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탄성부재 장착부(65)의 하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의 각 외면(91)의 위치는 탄성부재 장착부(65)의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마련되되, 각 외면(91)을 연결한 가상의 원의 직경은 탄성부재 장착부(65)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마련된다. 이를 통해 플런저(60)가 하강할 때 탄성부재 장착부(65)의 하단(67)이 하판(52)에 걸림에 따라 플런저(60)의 하강위치를 규제하게 된다.
한편 밸브 하우징(20) 외면에는 유입구(21)를 커버하여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부재(75)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오리피스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유로(2)를 통해 오일이 유입되면 필터부재(75)에 의해 여과된 오일이 밸브 하우징(20)의 유입구(21)로 유입되고,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이 탄성부재(70)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 플런저(6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오리피스(41)는 개방되게 된다. 이때 플런저(60)는 상하 양단에 구비된 가이드부(80,90)에 의해 안정적 직선 이동이 가능하여 거동 안정성에 따른 빠른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오일의 압력이 탄성부재(70)의 탄성력보다 작아지게 되면 플런저(60)는 탄성부재(70)에 의해 가압되어 시트부재(40)를 향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플런저(60)가 이동하는 경우 실링부재(63)의 실링부(63a)가 먼저 시트부재(40)의 하면과 접촉되어 1차 실링이 이루어진 후 플런저(60)의 시트부(62)의 상면이 시트부재(40)의 하면과 면 접촉하여 밀착됨에 따라 2차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반복된 사용에 따른 고무재질인 실링부재(63)의 마모가 발생되더라도 시트부(62)에 의한 백업 실링이 가능하여 누설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체크밸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체크밸브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체크밸브(10)는 오리피스(41)의 밀봉 기능을 수행하는 플런저(60)의 시트부(62)와 시트부재(40)의 하면 접촉면의 구조만이 상이할 뿐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체크밸브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시트부재(40)의 하면에는 시트부(62)와 접촉하는 2단 실링면을 구성하도록 시트부(62)와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오목하게 패인 시트부 안착홈(4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플런저(60)의 시트부(62)가 오리피스(41)를 밀폐하도록 시트부재(40)에 접촉하게 위치된 경우 시트부(62)의 가장자리에서 이웃하는 두 면인 상면(62a)과 측면(62b)이 시트부 안착홈(45)의 내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플런저(60)의 시트부(62)가 시트부재(40)에 밀착될 때 실링부재(63)의 변형에 의해 시트부(62)와 시트부재(40)의 접촉면 사이에 실링부재(63)가 끼여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시트부(62)의 2단 접촉면에 의해 기밀성은 더욱더 향상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체크밸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체크밸브(10)는 플런저(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오리피스의 구조만이 차이가 있을 뿐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플런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오리피스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밸브 하우징(20) 내벽 둘레에는 오리피스(110)를 형성하기 위해 밸브 하우징(20) 내벽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시트형성부(120)가 구비된다.
시트형성부(120)는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오일이 오리피스(110)를 거쳐 배출구(54) 쪽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오일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곡선면(121)과, 곡선면(121)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시트부(62)와 접촉 가능한 수직면(122)과, 수직면(122)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실링부재(63)가 접촉하는 수평면(123)을 포함한다.
플런저(10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상의 플런저 바디(61)를 포함하고, 플런저 바디(61)는 그 하측이 하부 홀더(50)의 하판(52)에 지지된 탄성부재(70)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플런저 바디(61)에 구비된 시트부(62)는 시트형성부(120)와 선택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오리피스(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구체적으로, 플런저 바디(61)의 하단에는 가이드홀(55)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가 구비되고, 플런저 바디(61)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는 오리피스(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시트부(62)가 위치되고, 시트부(62)의 상부로는 오리피스(110)를 통과하여 상부로 연장되어 시트형성부(120)의 수직면(122)과 함께 오리피스(110)를 형성하도록 시트부(6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유로형성부(130)가 마련되고, 유로형성부(130)의 상단에는 플런저 바디(61)의 안정적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홀(140)이 형성된다.
플런저 바디(61)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홀(140)에는 상부 캡(30)의 하측에 돌출된 가이드돌기(33)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며, 플런저 바디(61)가 승강 이동할 때 플런저 바디(61)의 상부는 가이드돌기(33)에 안내되어 안정적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실링부재(63)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서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실 장착부(64)에 끼워져 결합된 경우 실링부재(63)는 시트부(62)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된다. 이에 따라 시트부(62)가 오리피스(41)를 밀폐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실링부재(63)의 상단 실링부(63a)는 시트형성부(120)의 수평면(123)에 접촉하고, 시트부(62)의 측면이 시트형성부(120)의 수직면(122)에 접촉하여 밀봉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반복적 사용에 따른 실링부재(63)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시트부(62)에 의한 밀봉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밀성은 월등히 향상된다.
이러한 기밀 유지를 위해 시트부(62)는 오리피스(41)의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실링부(63a)의 외경은 시트부(62)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도록 시트부(6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도 10과 같이 유입유로(2)를 통해 오일이 유입되면 필터부재(75)에 의해 여과된 오일이 밸브 하우징(20)의 유입구(21)로 유입되고,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이 탄성부재(70)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 플런저(10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오리피스(110)는 개방되게 된다. 이때 플런저(100)는 상하 양단에 구비된 가이드부(140,90)에 의해 안정적 직선 이동이 가능하여 거동 안정성에 따른 빠른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모듈레이터블록, 2: 유입유로,
3: 배출유로, 20: 밸브 하우징,
21: 유입구, 30: 상부 캡,
33: 가이드돌기, 40: 시트부재,
41,110: 오리피스, 45: 시트부 안착홈,
50: 하부 홀더, 54: 배출구,
55: 가이드홀, 60,100: 플런저,
62: 시트부, 63: 실링부재,
64: 실 장착부, 65: 탄성부재 장착부,
70: 탄성부재, 75: 필터부재,
80: 상부돌기, 90: 하부돌기,
120: 시트형성부, 121: 곡선면,
122: 수직면, 123: 수평면,
130: 유로형성부, 140: 가이드홀.

Claims (17)

  1. 유입유로 및 배출유로를 갖는 모듈레이터블록의 보어에 설치되어 오일의 일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하 양단이 개방되며, 측면 둘레에 상기 유입유로와 연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캡;
    상기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 둘레에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하측에 가이드홀을 갖는 하부 홀더;
    상기 하부 홀더에 지지된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승강 이동하게 설치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상하 양단에는 각각 상기 플런저의 상하 이동 시 상기 플런저의 안정적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체크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 내벽에 지지되며 중앙에 상기 오리피스가 형성된 시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오리피스와 상기 가이드홀에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는 체크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상단에는 상기 시트부재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원판형태의 시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플런저의 하측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원통형태의 탄성부재 장착부가 구비되는 체크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와,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의 하면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는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하지 않도록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서 상기 오리피스의 직경과 대응하는 원주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체크밸브.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시트부가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할 때 상기 시트부재 하면과 접촉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체크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 위치된 상기 플런저의 측면 둘레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패인 실 장착부가 구비되는 체크밸브.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 내면에는 상기 시트부재의 상면 지지를 위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지지된 상기 시트부재의 상하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는 구획되는 체크밸브.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상기 밸브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체크밸브.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하강할 때 상기 플런저의 하강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체크밸브.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시트부와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오목하게 패인 시트부 안착홈이 형성되는 체크밸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 내벽 둘레에는 상기 오리피스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밸브 하우징 내측으로 연장된 시트형성부가 형성되는 체크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 캡 하측에 돌출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하부 홀더의 상기 가이드홀에 각각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는 체크밸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상의 플런저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플런저 바디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바디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 바디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는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시트형성부와 접촉할 수 있는 시트부가 형성되는 체크밸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상측에 위치한 상기 플런저 바디에는 상기 플런저 바디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시트형성부와 함께 상기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시트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된 유로형성부가 구비되는 체크밸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하측에 위치한 상기 플런저 바디 외면 둘레에는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할 때 상기 시트형성부 하면과 접촉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체크밸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성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일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곡선면과, 상기 곡선면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시트부가 접촉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접촉하는 수평면을 포함하는 체크밸브.
KR1020190017337A 2019-02-14 2019-02-14 체크밸브 KR102195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337A KR102195369B1 (ko) 2019-02-14 2019-02-14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337A KR102195369B1 (ko) 2019-02-14 2019-02-14 체크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742A Division KR20180127699A (ko) 2017-05-22 2017-05-22 체크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861A true KR20190017861A (ko) 2019-02-20
KR102195369B1 KR102195369B1 (ko) 2020-12-24

Family

ID=6556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337A KR102195369B1 (ko) 2019-02-14 2019-02-14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36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855A (ko) * 2004-12-01 2006-06-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 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펌프용 체크 밸브
KR20060100101A (ko) * 2005-03-16 2006-09-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체크 밸브
KR20060129573A (ko) * 2005-06-07 2006-12-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 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펌프용 체크 밸브
KR20120103866A (ko) * 2011-03-11 2012-09-20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의 체크 밸브
KR20130092045A (ko) 2012-02-10 2013-08-20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JP2015102139A (ja) * 2013-11-22 2015-06-04 三桜工業株式会社 チェックバルブ
KR101622146B1 (ko) * 2015-03-16 2016-05-18 주식회사 만도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855A (ko) * 2004-12-01 2006-06-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 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펌프용 체크 밸브
KR20060100101A (ko) * 2005-03-16 2006-09-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체크 밸브
KR20060129573A (ko) * 2005-06-07 2006-12-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 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펌프용 체크 밸브
KR20120103866A (ko) * 2011-03-11 2012-09-20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의 체크 밸브
KR20130092045A (ko) 2012-02-10 2013-08-20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JP2015102139A (ja) * 2013-11-22 2015-06-04 三桜工業株式会社 チェックバルブ
KR101622146B1 (ko) * 2015-03-16 2016-05-18 주식회사 만도 체크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369B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7773B2 (en) Check valve
KR102559207B1 (ko) 체크밸브
KR20140143888A (ko) 가변 페달감 조절 장치
KR20180127699A (ko) 체크밸브
CN110242785B (zh) 电磁阀
JP5009107B2 (ja) サックバックバルブ
JP2015031305A (ja) シリンダ装置
KR20150067243A (ko) 레벨링 밸브
JP2016508587A (ja) オーバーフロー弁
KR20070012356A (ko) 유체 제어기
EP3614025B1 (en) Two-way valve
KR20190017861A (ko) 체크밸브
KR20180127702A (ko) 체크밸브
KR101979415B1 (ko) 체크밸브
KR20190108749A (ko) 체크밸브
US10737676B2 (en) Solenoid valve
US20050006190A1 (en) Brake control device with a check valve for a motor vehicle
KR102037084B1 (ko) 체크밸브
JP6161356B2 (ja) 減圧弁
JP5767837B2 (ja) 差圧弁及び空気バネ式懸架装置
KR102037080B1 (ko) 체크밸브
KR102177295B1 (ko) 체크밸브
GB2320750A (en) Master cylinder device
KR102544752B1 (ko) 체크밸브
KR101913145B1 (ko) 페달 시뮬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